KR20210118831A - 재분산 가능한 2층 화장료 - Google Patents

재분산 가능한 2층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8831A
KR20210118831A KR1020217022819A KR20217022819A KR20210118831A KR 20210118831 A KR20210118831 A KR 20210118831A KR 1020217022819 A KR1020217022819 A KR 1020217022819A KR 20217022819 A KR20217022819 A KR 20217022819A KR 20210118831 A KR20210118831 A KR 20210118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layer
redispersible
aqueous phase
layer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2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야코 키타무라
마이 오자와
타카요시 사코다
Original Assignee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filed Critical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Publication of KR20210118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883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3Liquid compositions with two or more distinct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7Galactomannans, e.g. gua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성 상, 및 0.1 내지 1000 ㎛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수성 상 폴리사카라이드 겔 입자를 포함하는 재분산 가능한 이층 화장료를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재분산 가능한 이층 화장료
본 발명은 재분산 가능한 이층 화장료(redispersible two-layer cosmetic)에 관한 것이다.
다층 화장료(multilayer cosmetic)는 다중 층(예를 들어, 분말 층과 수성 층, 또는 수성 층과 오일 층)으로 구성된다. 다층 화장료에 대한 많은 상이한 기술은 계속 발전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다층 화장료가 우수한 심미적 외관을 제공하고 소비자에게 매우 주목을 끌기 때문이다.
일본 미심사 특허 공보 제2013-177366호(균등 특허 EP2810639B1)는, 예를 들어, (A) 석신산 및/또는 이의 염, (B) 벤토나이트 및 (C) 친수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재분산 가능한 분말-분산된(powder-dispersed) 화장료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수성 층, 및 특이적 분말, 예컨대, 벤토나이트, 셀룰오로스 및 합성 폴리머(po;ymer)를 포함한 분말 층으로 구성되는 이층 화장료에서, 성분이 분말 층의 습함(moistness)으로 인해서 피부 상에 흡착되어, 소비자가 찾는 장기-지속 보습 효과(long-lasting moisturizing effect)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흔하다.
또한, 일본 미심사 특허 공보 제2007-126394호는 특이적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마크로모노머(macromonomer), 소수성 모노머 및 가교 가능한 모노머를 중합시킴으로써 얻은 코폴리머(copolymer)를 5 내지 40 질량%의 액체 오일과 함께 포함하는 다층 화장료로서, 계면활성제 함량이 특정된 범위 내에 있는 다층 화장료를 개시하고 있다. 일본 미심사 특허 공보 제2014-208634호는 하기 성분(a) 내지 성분(d)을 포함하는 다층 화장료를 개시하고 있다: (a) 25℃에서 30 내지 400 mm2/s의 점도를 갖는 비휘발성 탄화수소 오일, (b) 25℃에서 30 내지 400 mm2/s의 점도를 갖는 실리콘 오일, (c) 물 및 (d) 이소스테아르산의 에스테르 및 폴리글리세린.
그러나, 수성 층과 오일 층으로 구성된 그러한 이층 화장료는 오일성의 끈적끈적한 느낌(oily sticky feel)을 생성시켜서 소비자에 의해서 조사된 매끄러움(smoothness)에 영향을 주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장기-지속 보습 효과 및 매끄러움 둘 모두의 면에서 개선된 이층 화장료를 제공할 필요가 여전하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에 의해서 수행된 조사는 특이적 겔 입자 및 수성 상으로 구성된 신규한 재분산 가능한 이층 화장료의 발견에 이르렀고, 이러한 이층 화장료는 개선된 장기-지속 보습 효과 및 매끄러움을 나타내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본 발명은 수성 상, 및 0.1 내지 1000 ㎛의 평균 입자 크기(average mean size)를 갖는 폴리사카라이드 겔 입자를 포함하는 재분산 가능한 이층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현 '재분산 가능한 이층 화장료'는 조성물이 비-사용시 투명한 상청액(clear supertanant)을 부여할 수 있는 반면에 사용을 위한 진탕(shaking)시 수성 상(상부 층) 내에 폴리사카라이드 겔 입자(하부 층)의 우수한 재분산성을 제공함을 의미한다. 그래서, 수성 상 내의 겔 입자의 침강 및 분산이 정치(비-사용) 및 교반(진탕)의 사이클을 통해서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어 '이층' 화장료는 조성물이, 정치(비-사용) 시에, 두 개의 가시적으로 뚜렷한 층, 즉, 수성 상을 포함하는 상부 층 및 폴리사카라이드 겔 입자를 포함하는 하부 층을 나타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재분산 가능한 이층 화장료는 개선된 장기-지속 보습 효과 및 매끄러움을 나타낸다.
폴리사카라이드는 한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겔 입자로서, 한천 겔의 분쇄된 형태가 사용될 수 있고, 한천 겔은 겔-형성 수성 상(제2 층)으로 팽윤된 한천을 겔화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이층 화장료의 점도는 25℃에서 1 cP 내지 200 cP일 수 있다.
수성 상은 폴리올 또는 모노-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수성 상은 또한 아릴옥시알칸올, 예컨대, 페녹시에탄올을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유리한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장기-지속 보습 효과 및 매끄러움 둘 모두의 면에서 개선된 재분산 가능한 이층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구현예가 이제 기재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기재된 구현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현예의 재분산 가능한 이층 화장료는 수성 상(제1 층, 즉, 상부 층) 및 0.1 내지 1000 ㎛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폴리사카라이드 겔 입자(제2 층, 즉, 하부 층)를 함유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이층 화장료"는 비-사용 시에 두 개의 가시적으로 뚜렷한 층을 갖는 화장료를 나타낸다. 즉, 복수의 겔 입자가 수성 상으로부터 분리된다.
본 구현예의 이층 화장료가 정치(at rest)(비-사용) 및 교반(진탕)의 사이클을 진행하는 경우, 겔 입자의 침강 및 분산이 수성 상에서 수행된다. 구체적으로는, 침강(예를 들어, 대략 100 mL가 120 mL의 용량을 갖는 용기에 담기고 1일 또는 그 초과 동안 정치되는 시점) 동안에, 겔 입자는 수성 상에서 침강되어, 이층 화장료는 복수의 겔 입자 응집체에 의해서 형성된 하부 층, 및 하부 층 위의 수성 상으로 구성된 상부 층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겔 입자는, 이층 화장료를 위한 통상적인 저장 온도(예를 들어, 실온, 또는 5 내지 30℃) 및 저장 시간(예를 들어, 3년) 조건 하에, 이들이 수성 상 내로 희석되지 않고 이들의 형태를 상실하지 않고, 입자가 함께 유착되지 않고 응집체(매스: mass)를 형성시키지 않는 성분으로 구성된다. 수성 상은 또한 겔 입자들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교반(진탕)되는 경우, 겔 입자는 수성 상에 분산되고, 이에 따라서, 이층 화장료는 수성 상 및 수성 상에 분산된 겔 입자를 포함한다.
수성 상(제1 층)
수성 상은 물 단독으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이것은 물 중의 다른 수용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성 성분은 물 100g 당 적어도 0.1g까지 용해되는 성분이다.
수용성 성분은 폴리올, 모노-알코올(보존제로서 작용하는 것들은 배제함), 보존제, 향료, 가용화제, 염석제, pH 조절제, 계면활성제, 증백제(whitening agent), 항-염증성 작용제, 착색제, 및 비-겔화 폴리사카라이드(예를 들어, 잔탄검(xanthan gum), 나트륨 히알루로네이트, 아라비아검(gum arabic), 잔탄검, 구아검 및 석시노글리칸(succinoglycan))을 포함한다.
폴리올의 결합가(valency)는, 예를 들어, 2 내지 4, 또는 2 내지 3일 수 있다. 다르게 설명하면, 폴리올은 디올 및/또는 트리올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올의 예는 디올, 예컨대, 부틸렌 글리콜(1,3-부틸렌 글리콜), 펜틸렌 글리콜, 프로판디올, 디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알킬렌 글리콜(예컨대,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트리올, 예컨대, 글리세린을 포함한다. 이러한 폴리올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수성 상은 폴리올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지는 경우, 전체 폴리올 함량은, 이층 화장료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30 질량%, 5 내지 20 질량% 또는 7 내지 15 질량%일 수 있다. 용어 '질량%'는 또한 중량%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모노-알코올(C1-C5)은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부탄올을 포함한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모노-알코올은 에탄올이다. 이들 모노 알코올은 또한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수성 상이 모노-알코올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지는 경우, 전체 모노올 함량은, 이층 화장료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20 질량%, 2 내지 15 질량% 또는 3 내지 10 질량%일 수 있다.
보존제는 아릴옥시알칸올, 예컨대, 페녹시에탄올, 및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 디나트륨 및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 테트라나트륨을 포함한다. 수성 상은 보존제로서 아릴옥시알칸올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페녹시에탄올을 포함한다. 이러한 보존제는 또한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수성 상이 보존제를 포함하는 경우, 보존제 함량은, 이층 화장료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5 질량%, 0.01 내지 2 질량%, 0.1 내지 2 질량%, 0.5 내지 2 질량% 또는 0.7 내지 2 질량%일 수 있다.
가용화제는 PPG-6 데실 테트라데세스-20(PPG-6 decyl tetradeceth-20), PPG-6 데실 테트라데세스-30, PEG-60 수소화된 피마자유, PEG-80 수소화된 피마자유, PEG-60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PEG-20 소르비탄 코코에이트 및 PEG-20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한다. 수성 상이 가용화제를 포함하는 경우, 전체 가용화제 함량은, 이층 화장료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5 질량%, 0.05 내지 1 질량% 또는 0.05 내지 0.5 질량%일 수 있다.
염석제(salting-out agent)는 나트륨 클로라이드, 칼륨 클로라이드, 칼슘 클로라이드, 나트륨 설페이트 및 마그네슘 설페이트를 포함한다. 수성 상이 염석제를 포함하는 경우, 전체 염석제 함량은, 이층 화장료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10 질량%, 0.5 내지 5 질량% 또는 0.7 내지 2 질량%일 수 있다.
수성 상 함량은, 이층 화장료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85.0 내지 99.9 질량% 또는 90.0 내지 99.5 질량%일 수 있다.
폴리사카라이드 겔 입자(제2 층)
겔 입자는 겔화 가능한 폴리사카라이드, 및 겔의 형성을 위한 제2 층 내의 용매(제2 층의 겔-형성 수성 상)을 포함한다. 겔화 가능한 폴리사카라이드(이하, 간단히 "폴리사카라이드"로도 일컬어짐)는 한천, 카라기난(예컨대, 카파-카라기난 및 이오타-카라기난(iota-carrageenan)), 젤란검(gellan gum), 나트륨 알기네이트, 타마린드 검(tamarind gum), 만난(mannan) 및 로커스트 빈 검(locust bean gum),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이들 폴리사카라이드는 유사하게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폴리사카라이드는 바람직하게는 한천, 카라기난 및 젤란검(gellan gum),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한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이다. 겔-형성 수성 상은 제1 층의 수성 상을 위한 상기 언급된 성분 중 어떠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겔-형성 수성 상에 사용되는 성분은 상기 기재된 수성 상(제1 층)에서와 동일할 수 있거나 상이한 것일 수 있다. 특정의 구현예에서, 폴리사카라이드 겔의 형성을 위해서 사용되는 용매는 물이다.
겔 입자는, 예를 들어, 하기 방법에 의해서 얻어질 수 있다. 먼저, 겔화 가능한 폴리사카라이드가, 필요에 따라서, 가열함으로써 수성 상(제2 층)으로 팽윤된다. 폴리사카라이드를 팽윤시키기 위한 온도는, 예를 들어, 70 내지 100℃ 또는 80 내지 90℃일 수 있다. 폴리사카라이드는, 예를 들어, 1000 내지 5000 rpm의 조건 하에 교반되는 동안에 팽윤될 수 있다. 팽윤된 폴리사카라이드는 냉각을 위해서 정치되고, 이어서, 분쇄되거나, 팽윤된 폴리사카라이드가 교반 동안에 냉각되어 폴리사카라이드 겔 입자를 생성시키고, 겔 입자는 0.1 내지 1000 ㎛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다. 분쇄는, 예를 들어, 균질기(homogenizer), 디스퍼 믹서(Disper mixer) 또는 블렌더(blender)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분쇄는 대안적으로는 5000 rpm 내지 20,000 rpm에서 교반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겔화제(gelling agent)(예컨대, 칼슘 클로라이드 또는 칼륨 클로라이드)가 또한 겔 입자를 생산하는 공정 동안에 사용될 수 있다. 겔화제가 폴리사카라이드의 겔화를 위해서 사용되는 경우, 폴리사카라이드의 젤리 강도(jelly strength)(겔화 강도)가, 예를 들어, 1.5 질량%의 폴리사카라이드 농도에서 500 g/cm2 내지 1000 g/cm2이도록 하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겔 입자는 화장료를 위한 증량제(thickening agent)로서 사용되기에 충분히 효과적인 증량 효과를 갖지 않는다.
한천이 폴리사카라이드로서 사용되는 경우, 겔 입자로서, 한천 겔의 분쇄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한천 겔로서, 제2 층의 겔-형성 수성 상으로 팽윤되고 겔화된 한천이 사용될 수 있다. 한천 겔의 분쇄된 형태는 팽윤된 한천을 정치시켜 냉각시키고 이어서 이를 분쇄되게 함으로써 또는 팽윤된 한천을 교반하면서 냉각시킴으로써 얻어진다.
폴리사카라이드가 카라기난, 젤란검, 나트륨 알기네이트, 타마린드 검, 만난 및 로커스트 빈 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경우, 겔 입자는 제2 층의 겔 형성 수성 상으로 팽윤된 폴리사카라이드를 겔화시킴으로써 얻은 폴리사카라이드 겔의 분쇄된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겔화는 겔화제를 첨가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겔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는 0.1 ㎛ 또는 그 초과, 1 ㎛ 또는 그 초과, 5 ㎛ 또는 그 초과, 10 ㎛ 또는 그 초과, 50 ㎛ 또는 그 초과, 60 ㎛ 또는 그 초과, 70 ㎛ 또는 그 초과 또는 80 ㎛ 또는 그 초과, 및 1000 ㎛ 이하, 500 ㎛ 이하, 400 ㎛ 이하, 300 ㎛ 이하, 250 ㎛ 이하, 200 ㎛ 이하, 150 ㎛ 이하 또는 120 ㎛ 이하일 수 있다. 달리 설명하면, 겔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는 0.1 내지 1000 ㎛, 1 내지 500 ㎛, 5 내지 400 ㎛, 10 내지 300 ㎛, 50 내지 250 ㎛, 60 내지 200 ㎛, 70 내지 150 ㎛ 또는 80 내지 120 ㎛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평균 입자 크기"는 레이저 산란 입자 크기 분포 분석기를 사용하여 측정된 값으로서 정의된다. 겔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는, 폴리사카라이드 겔 입자가 생산되는 조건(예컨대, 분쇄 조건)을 변경시킴으로써 이러한 범위 내로 조절될 수 있다.
폴리사카라이드가 한천일 경우, 폴리사카라이드의 젤리 강도(또는 겔화 강도)는 1.5 질량%의 폴리사카라이드 농도에서 500 g/cm2 또는 그 초과, 600 g/cm2 또는 그 초과, 650 g/cm2 또는 그 초과 또는 700 g/cm 또는 그 초과, 및 1000 g/cm2 이하, 900 g/cm2 이하, 800 g/cm2 이하 또는 750 g/cm2 이하일 수 있다. 더 우수한 매끄러움의 관점에서, 폴리사카라이드가 한천인 경우, 이의 젤리 강도는 1.5 질량%의 폴리사카라이드 농도에서 500 g/cm2 내지 1000 g/cm2, from 600 g/cm2 내지 900 g/cm2, 650 g/cm2 내지 800 g/cm2 또는 700 g/cm2 내지 800 g/cm2일 수 있다.
젤리 강도(또는 겔화 강도)는 1.5% 폴리사카라이드 농도를 갖는 수용액에 대한 겔 강도로서 측정된다. 달리 설명하면, 젤리 강도 측정을 위해서, 폴리사카라이드를 정확하게 칭량하고, 탈이온수를 이에 첨가하여, 폴리사카라이드가 물을 충분히 흡수되게 한다. 후속하여, 따뜻한 탈이온수를 이에 첨가하여 함량을 조절하고, 이어서, 이것을 고온 수조에 가하여 열에 의한 용해를 유발시킨다. 가열에 의해서 물을 증발시키기 위해서, 탈이온수를 보충제로서 사용하여 함량을 조절하고, 테이프가 상부 둘레(around the upper portion)에 감겨있는 유리 용기 내로 용액이 흐르게 한다. 용기를 방치하여 실온에서 냉각되게 하고, 이어서 캡핑(capping)하고 20℃의 항온 챔버(chamber)에서 밤새 방치한다. 테이프를 유리 용기로부터 박리시키고, 이어서, 용기 밖으로 빠져나오는 용기 주변부 둘레의 젤리를 절단기에 의해서 절단하여 버린다. 얻은 젤리의 절단 표면의 강도를 질감 분석기 등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즉, 1 cm2의 면적을 갖는 실리더형 플런저(plunger)를 절단 표면 상에 장착하고, 샘플 스테이지를 적절한 리프팅 속도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젤리가 파괴될 때까지 인가된 힘이 측정될 수 있다.
겔 입자가 더욱 용이하게 침강되게 하는 관점에서, 폴리사카라이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50,000 또는 그 초과, 200,000 또는 그 초과, 250,000 또는 그 초과, 또는 300,000 또는 그 초과일 수 있고, 우수한 매끄러움(최소로 거친 표면)의 관점에서,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500,000 이하, 450,000 이하, 400,000 이하 또는 350,000 이하이다. 폴리사카라이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50,000 내지 500,000, 150,000 내지 450,000, 150,000 내지 400,000, 150,000 내지 350,000, 200,000 내지 500,000, 200,000 내지 450,000, 200,000 내지 400,000, 200,000 내지 350,000, 250,000 내지 500,000, 250,000 내지 450,000, 250,000 내지 400,000, 250,000 내지 350,000, 300,000 내지 500,000, 300,000 내지 450,000, 300,000 내지 400,000 또는 300,000 내지 350,000일 수 있다.
폴리사카라이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HPLC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HPL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에 의해서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95 내지 97℃의 증류수에 폴리사카라이드를 용해시킨 후에, 용액을 50℃로 냉각시켜 측정 샘플을 얻고,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측정을 이러한 샘플을 사용하여 수행한다.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의 한 가지 예는 검출기로서 시차 굴절계, 컬럼으로서 HPLC를 위한 TOSOH TSK-GEL 또는 Tosoh Corp.에 의한 TSK-GEL GMPWXL 및 전개 용매로서 0.1 M 나트륨 니트레이트를 구비한 Shimadzu Corp.에 의한 LC-10AT VP 또는 RID-10A이고, 측정은 항온에서 수행된다. 한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표준 샘플로서 공지된 분자량의 플루란(pullulan)(예를 들어, Shodex STANDARD P-82)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표준 샘플을 증류수에 용해시키고, 측정은 동일한 조건 하에 HPLC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서 수행된다.
폴리사카라이드 함량은, 이층 화장료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질량% 또는 그 초과, 0.05 질량% 또는 그 초과, 0.10 질량% 또는 그 초과, 0.20 질량% 또는 그 초과, 0.30 질량% 또는 그 초과 또는 0.40 질량% 또는 그 초과 및 2.0 질량% 이하, 1.0 질량% 이하, 0.8 질량% 이하 또는 0.6 질량% 이하일 수 있다. 달리 설명하면, 폴리사카라이드 함량은, 이층 화장료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0.05 내지 2.0 질량%, 특히, 0.10 내지 1.0 질량%, 또는 0.20 내지 0.8 질량% 또는 또한 0.40 내지 0.6 질량%일 수 있다.
폴리사카라이드 겔 입자 함량은, 이층 화장료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5 질량% 또는 그 초과, 10 질량% 또는 그 초과 또는 15 질량% 또는 그 초과 및 50 질량% 이하, 30 질량% 이하 또는 25 질량% 이하일 수 있다. 폴리사카라이드 겔 입자 함량은, 이층 화장료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50 질량%, 특히, 10 내지 30 질량% 또는 또한 15 내지 25 질량%일 수 있다.
이층 화장료의 점도는 200 cP 이하, 100 cP 이하, 50 cP 이하 또는 10 cP 미만일 수 있고, 이것은, 예를 들어, 25℃에서 1 cP 또는 그 초과, 또는 5 cP 또는 그 초과일 수 있다. 즉, 이층 화장료의 점도는 25℃에서 1 cP 내지 200 cP, 1 cP 내지 100 cP, 1 cP 내지 50 cP, 1 cP 내지 10 cP 미만, 5 cP 내지 200 cP, 5 cP 내지 100 cP, 5 cP 내지 50 cP 또는 5 cP 내지 10 cP 미만일 수 있다.
이층 화장료의 점도는 100 rpm, 25℃의 조건 하에, 회전 점도계(Anton Paar GmbH에 의해서 Rheolab QC)를 사용하여 전단 점도(shear viscosity)을 기반으로 측정될 수 있다. 이러한 범위에서의 점도는 이층 화장료의 안정성을 개선시킬 것이며, 사용 동안에 우수한 느낌을 준다.
재분산 가능한 이층 화장료는, 예를 들어, 제1 층의 수성 상 및 제2 층의 겔 입자를 혼합(진탕) 및 교반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본 구현예의 재분산 가능한 이층 화장료는 화장수 제품(cosmetic water product), 클렌징 로션(cleansing lotion), 페이스 클렌저, 에센스, 메이크업 베이스(makeup base), 로션 미스트, 또는 썬스크린 등을 위해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케라틴 물질(keratinic material)을 보호하고/거나 메이크업하기 위한 화장 방법으로서, 본 발명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재분산 가능한 이층 화장료의 케라틴 물질 상, 특히, 피부 상에의 적용을 포함하는 화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용어 '케라틴 물질'은 피부 및/또는 입술, 바람직하게는 피부를 의미한다.
재분산 가능한 이층 화장료는 일반적으로는 사용 전에 진탕된다.
특히, 본 발명의 재분산 가능한 이층 화장료는 유리하게는 이것이 적용되는 케라틴 물질 상에, 특히, 피부 상에 장기-지속 보습 효과 및 매끄러움을 제공한다.
실시예
본 발명은 이제 실시예에 의해서 예시될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의 중량%로도 일컬어지는 질량%이다.
하기 폴리사카라이드가 제조되었다.
· 한천 1(상품명: Ina Agar CS-7, Ina Food Industry Co., Ltd., INCI 명칭: 한천, 젤리 강도(1.5 질량% 농도): 730±20 (g/cm3), 중량 평균 분자량: 300,000).
· 한천 2(상품명: Ina Agar CS-310, Ina Food Industry Co., Ltd., INCI 명칭: 한천, 젤리 강도(1.5 질량% 농도): 100±50 (g/cm3), 중량 평균 분자량: 100,000).
· 한천 3(상품명: Ina Agar CS-33, Ina Food Industry Co., Ltd., INCI 명칭: 한천, 젤리 강도(1.5 질량% 농도): 850±50 (g/cm3), 중량 평균 분자량: 700,000).
· 카라기난(상품명: GENUGELR, SWG-J 유형: kappa, CPKelco Co., Ltd, INCI 명칭: 카라기난(Kappa)).
· 젤란검(상품명: KELCOGEL, CPKelco Co., Ltd, INCI 명칭: 젤란검(LA type)).
한천의 젤리 강도 및 중량 평균 분자량은 상기 언급된 방법에 의해서 측정된 값이다.
폴리사카라이드 겔 입자를 하기 방법에 의해서 폴리사카라이드로부터 제조하였다. 먼저, 물(제2 층의 겔-형성 수성 상)과 폴리사카라이드를 조합하였고, 조합물을 90℃, 3000 rpm에서 교반하는 동안에, 폴리사카라이드가 팽윤되었다. 한천이 폴리사카라이드로서 사용되는 경우, 팽윤된 폴리사카라이드를 정치시켜 냉각하여 한천 겔(폴리사카라이드 농도: 4 질량%)을 얻었다. 겔화제로서, 칼륨 클로라이드를 카파 카라기난에 첨가하고 혼합하여 젤란검 겔(폴리사카라이드 농도: 4 질량%)을 얻었다. 물(제2 층의 겔-형성 수성 상)을 겔에 첨가하였고, 이어서, 이는 18,000 rpm에서 2분 동안 와링(Waring) 배합기에 의해서 분쇄되어 폴리사카라이드 겔 입자(폴리사카라이드 농도: 2 질량%)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9에서, 한천 겔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는 100 ㎛이었고, 실시예 2에서, 카라기난 겔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는 100 ㎛이었고, 실시예 3에서, 젤란검 겔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는 100 ㎛이었다. 겔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는 레이저 산란 입자 크기 분포 분석기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표 1 및 표 2에 열거된 조성을 갖는 수성 상(제1 층)을 상기 기재된 방법에 의해서 얻은 폴리사카라이드 겔 입자에 첨가하였고, 혼합물을 교반하여 실시예를 위한 이층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의 이층 화장료의 폴리사카라이드 함량은 이층 화장료의 전체 질량과 관련하여 표 1에 열거된 양이었다.
한천(상품명: Ina Agar CS-7, Ina Food Industry Co., Ltd.) 및 물을 조합하였고, 조합물을 90℃, 3000 rpm에서 교반하는 동안에, 한천이 팽윤되었다. 표 1에 열거된 조성을 갖는 수성 상(제1 층)을 팽윤된 한천에 첨가하였고, 혼합물을 교반하여 비교예 1 및 2를 위한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벤토나이트 및 카올린(분말 제2 상)을 또한 표 1에 열거된 조성을 갖는 수성 상(제1 상)과 혼합하고 비교예 3을 위한 이층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표 1에 열거된 조성을 갖는 오일(제2 상)을 표 1에 열거된 조성을 갖는 수성 상(제1 상)과 혼합하여 비교예 4를 위한 이층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표 2에 열거된 조성을 갖는 화장료를 또한 비교예 5를 위한 화장료로서 제조하였다.
이층 화장료의 점도는 하기 방법에 의해서 측정되었다. 각각의 화장료의 전단 점도는 회전 점도계(Rheolab QC, Anton Paar GmbH)(회전 속도: 100 rpm)를 사용하여 25℃에서 측정되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를 하기 스케일(scale)에 대한 "분리", "재분산성", "장기-지속 보습 효과" 및 "매끄러움"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장기-지속 보습 효과" 및 "매끄러움" 파라미터는 화장 전문가의 평가 패널에 의한 피부 상의 단일 사용 시험에 의해서 평가되었다.
(1) 분리
진탕에 의한 혼합에 이어진 실온에서의 정치 후에, 외관을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A: 균일한 상부 층과 균일한 하부 층 사이의 계면이 하루의 절반 동안 정치시킨 후에 명확하게 관찰 가능하였다.
B: 균일한 상부 층과 균일한 하부 층 사이의 계면이 완전한 하루 동안 정치시킨 후에 명확하게 관찰 가능하였다.
C: 상부 층과 하부 층 사이의 계면이 진탕시키고 완전한 하루 동안 정치시킨 후에 관찰 가능하였으나 불명확하였으며, 상부 층 또는 하부 층의 균일성은 없었다.
D: 진탕시키고 완전한 하루 동안 정치시킨 후에 상부 층과 하부 층 사이의 계면은 관찰되지 않았다.
(2) 재분산성
혼합물을 진탕시키고, 25℃에서 1 개월 동안 정치시키고, 이어서 다시 진탕시켰다.
A: ≤10 회(times) 진탕 후에 균일하게 분산됨
B: 10 내지 ≤ 20 회 진탕 후에 균일하게 분산됨
C: ≥20 회 후에 분산되지만 불-균일함
D: 재분산되지 않음
(3) 장기-지속 보습 효과
A: 매우 두드러진 장기-지속 보습 효과
B: 두드러진 장기-지속 보습 효과
C: 사실상 두드러진 장기-지속 보습 효과가 없음
D: 두드러진 장기-지속 보습 효과가 완전히 없음
(4) 매끄러움
A: 매우 두드러진 매끄러움
B: 두드러진 매끄러움
C: 사실상 두드러진 매끄러움이 없음
D: 두드러진 매끄러움이 완전히 없음
[표 1]
Figure pct00001
용어 'rem'은 'qslOO'을 의미한다.
[표 2]
Figure pct00002
이들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수성 상 및 0.1 내지 1000 ㎛ 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폴리사카라이드 겔 입자를 포함하는 재분산 가능한 이층 화장료가 잘 재분산될 수 있고,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다른 이층 화장료에 비해서 개선된 장기-지속 보습 효과 및 매끄러움을 가짐을 나타냈다.

Claims (10)

  1. 수성 상, 및 0.1 내지 1000 ㎛의 평균 입자 크기(average mean size)를 갖는 폴리사카라이드 겔 입자를 포함하는 재분산 가능한 이층 화장료(redispersible two-layer cosmetic).
  2. 청구항 1에 있어서,
    폴리사카라이드가 한천, 카라기난(carageenan), 젤란검(gellan gum), 나트륨 알기네이트, 타마린드 검, 만난(mannan), 로커스트 빈 검(locust bean gum), 및 이들의 혼합물, 특히, 한천, 카라기난 및 젤란검,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한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재분산 가능한 이층 화장료.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이층 화장료의 점도가 25℃에서 1 cP 내지 200 cP인, 재분산 가능한 이층 화장료.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성 상이 폴리올, 특히, 디올, 트리올 및 이들의 혼합물, 특히, 부틸렌 글리콜(1,3-부틸렌 글리콜), 펜틸렌 글리콜, 프로판디올, 디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알킬렌 글리콜, 글리세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폴리올을 포함하는, 재분산 가능한 이층 화장료.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성 상이 모노-알코올, 특히,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부탄올, 바람직하게는 에탄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모노-알코올을 포함하는, 재분산 가능한 이층 화장료.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성 상이 아릴옥시알칸올, 바람직하게는 페녹시에탄올을 포함하는, 재분산 가능한 이층 화장료.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 제품(water product), 클렌징 로션(cleansing lotion), 페이스 클렌저, 에센스, 메이크업 베이스, 로션 미스트, 또는 썬스크린 등인, 재분산 가능한 이층 화장료.
  8. 케라틴 물질(keratinic material)을 보호(caring)하고/거나 메이크업 하기 위한 화장 방법으로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재분산 가능한 이층 화장료의, 케라틴 물질 상으로의, 특히, 피부 상으로의 적용을 포함하는, 화장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재분산 가능한 이층 화장료가 사용 전에 진탕되는, 화장 방법.
  10.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이층 화장료가, 이것이 적용되는 케라틴 물질 상에, 특히, 피부 상에 장기-지속 보습 효과 및 매끄러움(smoothness)을 제공하는, 화장 방법.
KR1020217022819A 2018-12-19 2018-12-19 재분산 가능한 2층 화장료 KR202101188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B2018/001593 WO2020128555A1 (en) 2018-12-19 2018-12-19 Redispersible two-layer cosmetic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8831A true KR20210118831A (ko) 2021-10-01

Family

ID=65598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2819A KR20210118831A (ko) 2018-12-19 2018-12-19 재분산 가능한 2층 화장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071858A1 (ko)
EP (1) EP3897857A1 (ko)
JP (1) JP7276784B2 (ko)
KR (1) KR20210118831A (ko)
CN (1) CN113242748B (ko)
WO (1) WO20201285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91243B (zh) * 2020-08-31 2023-03-07 广州环亚化妆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双层多效凝珠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3642B2 (ja) * 1989-12-22 1998-05-20 株式会社コーセー 二層型化粧料
JP3492952B2 (ja) * 1999-09-27 2004-02-03 日興製薬株式会社 水層−油層からなる液−液系二層型化粧料
JP2002249417A (ja) * 2001-02-21 2002-09-06 Shiseido Co Ltd 二層分離型化粧料
JP3975060B2 (ja) * 2001-02-28 2007-09-12 日興製薬株式会社 水層−油層からなる液−液系の二層型化粧料
EP1352625B1 (en) * 2002-04-10 2007-02-14 Kao Corporation Cosmetic composition
JP2007126394A (ja) 2005-11-04 2007-05-24 Shiseido Co Ltd 多層型化粧料
JP5053560B2 (ja) * 2006-03-31 2012-10-17 株式会社コーセー 二層型メイクアップリムーバー
JP2010189361A (ja) * 2009-02-20 2010-09-02 Sansho Kaken Kk 化粧料
EP2619253B1 (en) * 2010-09-24 2014-07-23 Unilever PLC Highly concentrated, spherical biopolymer gel particle suspensions prepared by hipe-gelation process
KR20130060663A (ko) * 2011-11-30 2013-06-10 코웨이 주식회사 물리적 혼합을 통해 순간적으로 색상이 변하는 층 분리형 화장료 조성물
JP5373177B2 (ja) 2012-02-02 2013-12-18 株式会社 資生堂 再分散型粉末分散化粧料
FR3002444B1 (fr) * 2013-02-25 2015-03-13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de type gel
JP6262584B2 (ja) 2013-03-28 2018-01-17 株式会社コーセー 多層化粧料
FR3068238B1 (fr) * 2017-06-30 2020-07-31 Capsum Composition triphasi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71858A1 (en) 2022-03-10
JP2022516410A (ja) 2022-02-28
CN113242748B (zh) 2024-01-30
EP3897857A1 (en) 2021-10-27
WO2020128555A1 (en) 2020-06-25
CN113242748A (zh) 2021-08-10
JP7276784B2 (ja) 2023-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12261A (ko) 다량의 유분을 포함하면서 피부개선효과가 우수한 하이드로겔 마스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하여 제조된 하이드로겔 조성물
KR20170065947A (ko) 오일-볼 화장료 조성물
JP2002003340A (ja) ツヤの良いオイルゲル化粧料
WO2017023691A1 (en) Cosmetic compositions for minimizing skin imperfections
KR20210118831A (ko) 재분산 가능한 2층 화장료
KR101859674B1 (ko) 알약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
KR20160056842A (ko) 점증제 없이 점도 및 경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94406B1 (ko)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를 포함하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JP2011190232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KR20210104805A (ko) 재분산 가능한 삼층 화장료
KR20230148815A (ko) Iso 표준 16128에 따른 95% 이상의 천연 유래 성분의백분율을 포함하는 안정한 거시적 에멀젼 형태의 조성물
KR102635300B1 (ko) 오일 드롭을 포함하는 투명한 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WO2021130677A1 (en) Composition with superabsorbent polymer
CN115135296A (zh) 水包油型乳化化妆品
CN112004518A (zh) 气凝胶及其在化妆品应用中的用途
KR102633490B1 (ko) 사용감이 개선된 크림상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109064A (ko) 불소계 오일상을 포함하는 층상 화장품
CN112533582B (zh) 凝胶粒子及包含该凝胶粒子的皮肤外用剂
KR102622689B1 (ko) 과량의 펄을 함유하는 저점도 가용화 화장료 조성물
JP7183022B2 (ja) 粒状組成物
JP2022120798A (ja) ゲル状化粧料、及び化粧方法
KR101978439B1 (ko) 타마린드씨 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22086863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KR20190126015A (ko) 펄 안료를 함유한 컬러 체인지 소프트 에멀젼 비드의 제조 방법
JP2021004236A (ja) ハイドロゲル粒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