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8613A - 드럼 지지장치 및 와이어 공급방법 - Google Patents

드럼 지지장치 및 와이어 공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8613A
KR20210118613A KR1020200035097A KR20200035097A KR20210118613A KR 20210118613 A KR20210118613 A KR 20210118613A KR 1020200035097 A KR1020200035097 A KR 1020200035097A KR 20200035097 A KR20200035097 A KR 20200035097A KR 20210118613 A KR20210118613 A KR 20210118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drum
wire drum
support
suppor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6864B1 (ko
Inventor
김효빈
김준수
손재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035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864B1/ko
Publication of KR20210118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8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02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regulating delivery of material from supply package
    • B65H59/04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regulating delivery of material from supply package by devices acting on package or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9/00Unwinding or paying-out filamentary material; Supporting, storing or transporting packages from which filamentary material is to be withdrawn or paid-out
    • B65H49/18Methods or apparatus in which packages rotate
    • B65H49/20Package-supporting devices
    • B65H49/24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70Clutches; Couplings
    • B65H2403/72Clutches, brakes, e.g. one-way clutch +F204
    • B65H2403/725Brakes
    • B65H2403/7251Block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80Arangement of the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6Wires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 와이어 드럼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회전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와이어 드럼과 함께 회전 가능하고, 상기 와이어 드럼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드럼 지지장치 및 와이어 공급방법에 관한 것으로, 와이어 드럼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드럼 지지장치 및 와이어 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드럼 지지장치 및 와이어 공급방법{Apparatus for supporting drum and method for supplying wire}
본 발명은 드럼 지지장치 및 와이어 공급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가 감겨있는 와이어 드럼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드럼 지지장치 및 와이어 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설비에서 와이어 교체 작업을 할 때, 준비 단계에서 새로운 와이어가 감겨있는 와이어 드럼을 고정형 거치대에 배치한다. 이후, 설비에 결합된 기존의 와이어를 풀어내고, 설비의 크레인과 와이어 드럼의 와이어를 연결한다. 크레인이 와이어를 당기며 와이어 드럼에 감겨있는 와이어가 풀릴 수 있고, 설비에 새로운 와이어가 공급될 수 있다.
이때, 크레인이 와이어를 당기는 과정에 있어서, 크레인이 와이어를 당기는 힘이 과도하게 커지면, 와이어 드럼에서 와이어가 풀려나가는 속도보다 와이어 드럼이 회전하는 속도가 더 빨라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와이어가 풀려나가는 속도보다 와이어 드럼의 회전 속도가 더 빨라지면, 와이어 드럼에 감겨 있는 와이어가 과도하게 풀어질 수 있다. 와이어 드럼에서 풀어진 와이어는 엉키거나 꼬일 수 있고, 이에 와이어 드럼에서 설비로 와이어가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할 수 있다.
종래에는 와이어 드럼의 회전 속도가 과도하게 빨라지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하기 위해 크레인이 와이어를 당기는 힘을 조절하였으나, 이는 와이어 드럼의 회전 속도가 과도하게 빨라지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였다. 이에, 와이어 드럼의 회전 속도가 과도하게 빨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JP 1994-042863 U
본 발명은 와이어 드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드럼 지지장치 및 와이어 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와이어 드럼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드럼 지지장치 및 와이어 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 와이어 드럼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회전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와이어 드럼과 함께 회전 가능하고, 상기 와이어 드럼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부는, 회전 가능하고, 회전축이 상기 와이어 드럼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조절롤러; 상기 조절롤러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조절롤러와 연결되는 감속기; 및 상기 감속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감속기와 연결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감속기는, 상기 조절롤러의 회전에 연동하여 축회전 가능하며, 상기 조절롤러에 연결되는 연결로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연결로드를 향하여 이동 가능한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와 결합되는 동력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연결로드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라이닝; 및 상기 복수의 라이닝의 상기 연결로드와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는 마찰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동력부재는, 상기 복수의 라이닝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신장 수축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라이닝에 결합되는 실린더; 및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상기 실린더에 연결되는 동력 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조절롤러의 회전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의 측정값과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와이어 드럼의 회전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감지센서와 연결되는 판단부재; 및 상기 판단부재의 판단에 따라 상기 감속기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판단부재와 연결되는 제어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는, 회전 가능하고, 회전축이 상기 와이어 드럼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교차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복수의 지지롤러; 상기 복수의 지지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지지롤러와 연결되는 간격조절기; 및 상하로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롤러 사이에서 상기 와이어 드럼의 양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더;를 포함한다.
상기 간격조절기는, 회전 가능하고, 상기 교차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축; 상기 가이드축에 삽입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롤러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교차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복수의 이동부재; 및 상기 가이드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축과 연결되는 간격조절부재;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가이더는, 회전 가능하고 회전축이 상하로 배치되는 가이더롤러;를 구비한다.
상기 조절부를 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조절부에 연결되는 보정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정부는,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조절부와 연결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를 선택적으로 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와이어 드럼을 지지부에 안착시키는 과정; 상기 와이어 드럼에 감겨있는 와이어를 설비에 연결시키는 과정; 상기 와이어를 당겨 상기 와이어 드럼에서 상기 설비로 상기 와이어를 공급하는 과정; 및 상기 와이어를 공급하는 중에, 상기 와이어 드럼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 드럼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와이어 드럼의 회전 속도를 측정하는 과정; 상기 와이어 드럼의 회전 속도를 측정한 측정값과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측정값이 상기 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와이어 드럼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 드럼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과정은, 상기 와이어 드럼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상기 와이어 드럼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 드럼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과정은, 상기 와이어 드럼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조절롤러를 정지시켜 상기 와이어 드럼과 마찰을 발생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 드럼을 지지부에 지지시키는 과정은, 상기 와이어 드럼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위치 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와이어 드럼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와이어 드럼의 양측을 지지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 드럼에서 상기 와이어가 풀어 늘어질 경우, 상기 와이어 드럼을 역회전시켜 상기 와이어를 되감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와이어 드럼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와이어 드럼에서 와이어가 과도하게 풀어지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와이어 드럼에서 와이어의 꼬임이나 엉킴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드럼의 꼬임 혹은 엉킴을 방지하면서 설비로 와이어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가 과도하게 풀어지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하여, 와이어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와이어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드럼에서 와이어가 과도하게 풀어질 경우, 와이어 드럼에서 풀어진 와이어를 되감아 줄 수 있다. 이에, 와이어 드럼의 주변 설비와 와이어가 서로 엉키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럼 지지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드럼 지지장치가 와이어 드럼을 지지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드럼 지지장치의 조절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d는 드럼 지지장치로 와이어 드럼을 지지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드럼 지지장치로 와이어 드럼의 와이어를 되감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공급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럼 지지장치는 와이어가 감겨있는 와이어 드럼을 지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드럼 지지장치가 와이어 드럼을 지지하면서, 설비에 구비되는 크레인이 와이어 드럼에 감겨있는 와이어를 당겨 설비로 와이어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설비는 제강 공정 혹은 제강 공정이 진행되는 장소에서 적용되는 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는 고온에 강하고 중량물을 견인할 수 있는 철제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럼 지지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드럼 지지장치가 와이어 드럼을 지지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럼 지지장치(1000)는 프레임(1100), 와이어 드럼(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회전 가능하게 프레임(1100)에 설치되는 지지부(1200) 및 와이어 드럼(10)과 함께 회전 가능하고 와이어 드럼(1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프레임(1100)에 설치되는 조절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드럼 지지장치(1000)는 조절부(1300)를 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조절부(1300)에 연결되는 보정부(1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역회전은 와이어 드럼(10)이 회전하는 방향 중 와이어 드럼(10)으로 와이어(11)가 감기도록 회전하는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정회전은 와이어 드럼(10)이 회전하는 방향 중 와이어 드럼(10)에서 와이어(11)가 풀려나가도록 회전하는 방향일 수 있다.
프레임(1100)은 드럼 지지장치(1000)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일 수 있다. 프레임(1100)은 와이어 드럼(10)이 연장되는 방향(이하 길이방향이라 함)과 길이방향에 수평하게 교차방향(이하 교차방향 함)을 따라 연장되고,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구조체일 수 있다. 여기서, 길이방향은 와이어 드럼(10)이 연장되는 방향일 수 있고, 교차방향은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평하게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고, 상하방향은 길이방향 및 교차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한편, 프레임(1100)의 상면에는 조절부(130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100)은 지지부(1200)가 설치되는 안착대(1110)를 구비할 수 있다. 안착대(1110)는 교차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두께와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구조체일 수 있다. 안착대(111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대(1110)는 4개로 마련되며, 교차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프레임(110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지지부(1200)가 조절부(130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지지부(1200)가 조절부(1300)보다 높은 위치에서 와이어 드럼(1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100)은 지지부(1200)가 교차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레일(1120)을 구비할 수 있다. 레일(1120)은 안착대(1110)의 상면에 설치되며, 후술하는 이동부재(1222)와 결합되어 이동부재(1222)의 이동경로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프레임(1100), 안착대(1110) 레일(112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지지부(1200)는 와이어 드럼(10)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지지부(1200)는 와이어 드럼(1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부분보다 높은 위치에서 와이어 드럼(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부(1200)는 와이어 드럼(10)을 양측에서 지지할 수 있는 복수의 지지롤러(1210), 복수의 지지롤러(12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조절기(1220), 와이어 드럼(10)이 길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반지할 수 있는 가이더(1230) 및 와이어 드럼(10)이 교차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는 이탈방지기(124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롤러(1210)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복수의 지지롤러(1210)는 회전 가능하고, 회전축이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교차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지지롤러(1210)가 한쌍으로 마련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즉, 한쌍의 지지롤러(1210)가 교차방향을 기준으로 와이어 드럼(10)을 양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지지롤러(1210)가 와이어 드럼(10)을 양측에서 지지하고, 와이어 드럼(10)의 회전에 대응하여 함께 회전하므로, 와이어(11)가 풀리면서 회전하는 와이어 드럼(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해 줄 수 있다. 하지만, 복수의 지지롤러(121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간격조절기(1220)는 복수의 지지롤러(12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지지롤러(1210)를 교차방향으로 이동시켜 복수의 지지롤러(1210)를 근접시키거나 혹은 이격시킬 수 있다. 간격조절기(1220)는 복수의 지지롤러(1210)와 연결되며, 안착대(1110)에 설치될 수 있다. 간격조절기(1220)는 가이드축(1221), 복수의 이동부재(1222) 및 간격조절부재(122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축(1221)은 복수의 이동부재(1222) 및 지지롤러(1210)가 이동하는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축(1221)은 교차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바(bar)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축(122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축(1221)이 한쌍으로 마련될 수 있고, 교차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프레임(1100) 상에서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좌측은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보정부(1400)가 구비되는 부분일 수 있고, 우측은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보정부(1400)가 구비되는 부분의 반대 부분일 수 있다.
이동부재(1222)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안착대(1110)에 교차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이동부재(1222)는 레일(112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이동부재(1222)가 4개로 마련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즉, 복수의 이동부재(1222)가 교차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각각 복수의 지지롤러(1210)의 양측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이동부재(1222)는 가이드축(1221)에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교차방향을 따라 관통된 홀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관통된 홀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이동부재(1222)의 나사산과 가이드축(1221)의 나사산이 서로 맞물리며 복수의 이동부재(1222)가 가이드축(1221)에 삽입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축(1221)은 한쌍으로 마련되고, 복수의 이동부재(1222)는 4개로 마련되어 각각 하나의 가이드축(1221)에 한쌍의 이동부재(1222)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가이드축(1221)에 삽입되는 한쌍의 이동부재(1222)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방식이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즉, 한쌍의 이동부재(1222) 중 하나의 이동부재(1222)의 나사산이 오른나사 방식으로 형성될 경우, 다른 하나의 이동부재(1222)의 나사산이 왼나사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가이드축(1221)을 회전시킬 경우, 하나의 이동부재(1222)와 다른 하나의 이동부재(1222)를 근접시키거나 혹은 이격시킬 수 있다. 이로부터, 복수의 지지롤러(1210) 를 근접시키거나 혹은 이격시킬 수 있고, 와이어 드럼(10)이 조절부(1300)와 접촉된 상태에서 교차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와이어 드럼(10)의 양측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축(1221)과 이동부재(1222)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간격조절부재(1223)는 가이드축(1221)을 회전시킬 수 있다. 간격조절부재(1223)는 핸들(1223a), 제1 기어(1223b), 제2 기어(1223c) 및 연결체인(1223d)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1223a)은 프레임(110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1223a)은 한쌍으로 마련되는 가이드축(122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핸들(1223a)은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기어(1223b)는 원형판 모양이고 외주면에 기어 이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어(1223b)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복수의 제1 기어(1223b)는 핸들(1223a)과 동축상에 설치될 수 있다. 즉, 핸들(1223a)에 결합되어 핸들(1223a)과 함께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제1 기어(1223b)가 2개로 마련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제2 기어(1223c)는 원형판 모양이고 외주면에 기어 이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기어(1223c)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한쌍의 가이드축(1221)과 각각 동축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기어(1223c)는 회전하며 한쌍의 가이드축(1221)을 각각 회전시킬 수 있다. 하기에서는 제2 기어(1223c)가 2개로 마련되어 한쌍의 가이드축(1221)에 각각 하나씩 결합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연결체인(1223d)은 복수개 마련되며, 제1 기어(1223b)와 제2 기어(1223c)를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체인(1223d)은 한쌍으로 마련되며 한쌍으로 마련되는 제1 기어(1223b)와 한쌍으로 마련되는 제2 기어(1223c)를 각각 연결시킬 수 있다. 이에, 핸들(1223a)을 회전시킬 경우, 제1 기어(1223b)가 회전할 수 있고, 연결체인(1223d)을 통해 제1 기어(1223b)의 회전력을 제2 기어(1223c)에 전달하여 가이드축(1221)을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기어(1223c)의 직경은 제1 기어(1223b)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즉, 제1 기어(1223b)와 제2 기어(1223c)의 기어비가 커질 수 있다. 이에, 제1 기어(1223b)와 동축상에 연결된 핸들(1223a)을 회전시킬 경우,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제2 기어(1223c)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기어(1223b)와 제2 기어(1223c)의 기어비 차이를 통해, 제2 기어(1223c)를 정밀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가이드축(1221)과 연결된 복수의 이동부재(1222) 사이의 간격을 더 정교하게 맞춰줄 수 있고, 이로부터 복수의 지지롤러(1210) 사이의 간격을 더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핸들(1223a), 제1 기어(1223b), 제2 기어(1223c) 및 연결체인(1223d)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가이더(1230)는 복수로 마련되고, 복수의 지지롤러(1210) 사이에 배치되며, 프레임(1100)에 설치될 수 있다. 가이더(123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고, 내부에 공간을 갖을 수 있다. 여기서, 가이더(1230)의 상하방향 길이는 프레임(1100)에서 지지롤러(1210)의 상측 단부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 드럼(10)은 복수의 지지롤러(1210)에 지지된 상태로 와이어(11)가 당겨지면서 정회전할 수 있다. 이때, 와이어 드럼(10)에서 복수의 지지롤러(1210)와 접촉하는 부분에 마모 혹은 손상이 발생할 경우, 와이어 드럼(10)은 회전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사행할 수 있고, 좌측 혹은 우측으로 이탈될 수 있다. 이에, 가이더(1230)를 마련하여 사행하는 와이어 드럼(10)이 드럼 지지장치(10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더(1230)는 내부 공간에 가이더롤러(1231)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더롤러(1231)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복수의 가이더롤러(1231)는 적어도 일부가 가이더(123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더롤러(1231)는 회전 가능하고, 회전축이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가이더롤러(1231)가 복수의 가이더(1230)에 각각 하나씩 마련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와이어 드럼(10)이 사행하며 가이더(1230)와 접촉되더라도, 가이더(1230)의 외측으로 돌출된 가이더롤러(1231)가 와이어 드럼(10)과 접촉하며 와이어 드럼(10)의 정회전에 대응하여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더롤러(1231)를 통해 회전하는 와이어 드럼(10)과 가이더(1230)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가이더(1230) 및 가이더롤러(1231)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탈방지기(1240)는 와이어 드럼(10)이 와이어(11)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이탈방지기(1240)는 교차방향을 기준으로 전측과 후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후측은 교차방향을 기준으로 간격조절부재(1223)가 설치되는 부분일 수 있고, 전측은 교차방향을 기준으로 간격조절부재(1223)가 설치되는 부분과 반대 부분일 수 있다. 하기에서는 이탈방지기(1240)가 전측에 마련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이탈방지기(1240)는 복수로 마련되며,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된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이탈방지기(1240)의 상하방향 높이는 지지롤러(1210)에 지지된 와이어 드럼의 무게중심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지지롤러(1210)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와이어 드럼(10)이 교차방향으로 튕겨 나가려고 할 때, 이탈방지기(1240)가 와이어 드럼(10)의 이탈을 막아줄 수 있다. 하지만, 이탈방지기(124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3은 드럼 지지장치의 조절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조절부(1300)의 구조를 설명한다. 조절부(1300)는 와이어 드럼(10)과 접촉하여 함께 회전 가능한 조절롤러(1310), 조절롤러(131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는 감속기(1320) 및 감속기(132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롤러(131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조절롤러(1310)는 조절롤러(13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쌍의 조절롤러 지지대(1311)를 포함할 수 있다. 한쌍의 조절롤러 지지대(1311)는 프레임(1100)의 상면에 설치되며, 교차방향으로 이격되는 안착대(1110)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조절롤러(1310) 및 조절롤러 지지대(1311)는 프레임(1100)에서 교차방향을 기준으로 중심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조절롤러(1310)는 조절롤러 지지대(1311)를 통해 양측이 지지된 상태로 와이어 드럼(10)과 접촉하여 와이어 드럼(10)의 회전에 대응하여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지지롤러(1310)는 복수의 지지롤러(1210)와 함께 와이어 드럼(10)을 지지할 수도 있다. 하지만, 조절롤러(131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감속기(1320)는 조절롤러(1310)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감속기(1320)는 조절롤러(1310)의 회전에 연동하여 축회전하는 연결로드(1321), 연결로드(1321)를 가압할 수 있는 가압부재(1322) 및 가압부재(1322)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재(1323)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로드(1321)는 조절롤러(1310)와 동축상에 배치되고, 회전축이 조절롤러(1310)의 회전축과 일치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연결로드(1321)는 일부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형상이고, 일부가 원형판 형상일 수 있다. 즉,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과, 원기둥보다 직경이 큰 원형판이 결합된 모양일 수 있다. 하기에서는 연결로드(1321) 중 원기둥 부분을 제1 연결로드(1321a)라 하고, 원형판 부분을 제2 연결로드(1321b)라 한다. 제1 연결로드(1321a)는 조절롤러(1310)와 결합되며, 조절롤러(131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2 연결로드(1321b)는 제1 연결로드(1321a)와 후술하는 보정부(1400)의 샤프트(1410)에 각각 결합되며 제1 연결로드(1321a)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가압부재(1322)는 제2 연결로드(1321b)를 가압할 수 있다. 즉, 가압부재(1322)는 적어도 일부가 제2 연결로드(1321b)의 회전축을 향하도록 이동하여 제2 연결로드(1321b)의 외주면을 가압할 수 있다. 이에, 가압부재(1322)는 제2 연결로드(1321b)와 마찰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제2 연결로드(1321b)의 회전을 정지시키거나 혹은 제2 연결로드(1320)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가압부재(1322)는 복수의 라이닝(1322a), 라이닝 암(1322b) 및 마찰유닛(1322c)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복수의 라이닝(1322a)은 제2 연결로드(1321b)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며, 제2 연결로드(1321b)의 회전축을 향하여 이동하여 제2 연결로드(1321b)와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라이닝(1322a)은 한쌍으로 마련될 수 있고, 교차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제2 연결로드(1321b)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라이닝(1322a)은 달꼴(crescent)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라이닝 암(1322b)은 복수개로 마련되며, 교차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복수의 라이닝(1322a)과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라이닝 암(1322b)은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하측 부분이 프레임(1100)과 힌지 결합되고, 상측 부분이 동력부재(1323)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측과 하측 사이에 위치한 중간 부분이 라이닝(1322a)과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후술하는 동력부재(1323)의 신장에 의해 복수의 라이닝 암(1322b) 사이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고, 라이닝 암(1322b) 사이의 간격이 함께 좁아짐에 따라 복수의 라이닝(1322a) 사이의 간격도 좁아질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라이닝(1322a)이 제2 연결로드(1321b)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마찰을 발생시킬 수 있고, 마찰에 의해 제2 연결로드(1321b)를 정지시키거나 혹은 제2 연결로드(1321b)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마찰유닛(1322c)은 복수의 라이닝(133e)과 제2 연결로드(1321b) 사이의 마찰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복수의 라이닝(1322a)에서 제2 연결로드(1321b)와 마주보는 면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마찰유닛(1322c)은 제2 연결로드(1321b)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찰유닛(1322c)은 절곡된 얇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마찰유닛(1322c)은 제2 연결로드(1321b)와의 마찰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마찰 계수가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찰유닛(1322c)은 제2 연결로드(1321b)와 접촉하는 표면의 거칠기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복수의 라이닝(1322a), 라이닝 암(1322b) 및 마찰유닛(1322c)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동력부재(1323)는 가압부재(1322)와 결합되며, 가압부재(1322)가 구동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동력부재(1323)는 실린더(1323a), 동력모터(1323b)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1323a)는 복수의 라이닝 암(1322b)과 결합되며, 신장수축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323a)가 신장수축 하며 복수의 라이닝 암(1322b) 및 복수의 라이닝(1322a)을 교차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실린더(1323a)가 수축하며, 복수의 라이닝 암(1322b) 및 복수의 라이닝(1322a) 사이의 간격을 좁히며, 복수의 라이닝(1322a)과 제2 연결로드(1321b)를 접촉시킬 수 있다. 또는, 실린더(1323a)가 신장하며, 복수의 라이닝 암(1322b) 및 복수의 라이닝(1322a) 사이의 간격을 벌어지게 하며, 복수의 라이닝(1322a)과 제2 연결로드(1321b)를 벌려 놓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린더(1323a)는 에어실린더,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로 마련될 수 있다.
동력모터(1323b)는 실린더(1323a)와 결합되고, 프레임(1100)에 설치되며,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동력모터(1323b)에서 발생되는 동력으로 실린더(1323a)가 신장 혹은 수축할 수 있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라이닝(1322a)이 제2 연결로드(1321b)를 가압할 수 있다.
제어기(미도시)는 조절롤러(1310)의 회전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미도시), 감지센서의 측정값과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비교하여 와이어 드럼(10)의 회전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감지센서와 연결되는 판단부재(미도시), 판단부재의 판단에 따라 감속기(132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판단부재와 연결되는 제어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제어기가 감속기(1320)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감지센서는 조절롤러(1310)의 회전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센서는 조절롤러(1310)의 회전 속도를 측정하여 조절롤러(1310)와 접촉 회전하는 와이어 드럼(10)의 회전 속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판단부재는 감지센서와 연결되고, 감지센서에서 감지한 조절롤러(1310)의 회전 속도와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비교하여 와이어 드럼(10)의 회전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이상 여부는 와이어 드럼(10)이 정회전하는 속도보다 와이어 드럼(10)에서 와이어(11)가 풀려나가는 속도보다 빠른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설정값은 예컨데 60rpm일 수 있다. 즉, 판단부재는 와이어 드럼(10)의 정회전 속도가 와이어 드럼(10)에서 와이어(11)가 설비로 풀려나가는 속도보다 빠른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재는 판단부재 및 감속기(1320)와 연결되고, 판단부재의 판단에 따라 감속기(13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와이어 드럼(10)의 정회전 속도가 와이어(11)가 풀려나가는 속도보다 빠르다고 판단될 경우, 제어부재는 감속기(1320)를 작동시켜 지지롤러(1210)를 정지시키거나 혹은 회전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지지롤러(1210)와 와이어 드럼(10) 사이에 마찰을 발생시켜 와이어 드럼(10)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보정부(1400)는 조절부(1300)를 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조절부(130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보정부(1400)는 와이어 드럼(10)이 회전하는 방향 중 와이어 드럼(10)에 와이어(11)가 감기는 방향으로 와이어 드럼(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조절부(1300)는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샤프트(1410) 및 샤프트(1410)를 선택적으로 역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모터(1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1410)는 연결로드(1321)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샤프트(1410)는 연결로드(1321)와 동축상에 배치되고, 회전축이 일치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샤프트(1410)는 정회전하거나 혹은 역회전할 수 있다. 즉, 샤프트(1410)는 와이어 드럼(10)이 정회전함에 따라, 조절롤러(1310) 및 연결로드(1321)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서 정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샤프트(1410)는 구동모터(1420)로부터 발생되는 역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역회전할 수 있고, 구동모터(1420)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연결로드(1321) 및 조절롤러(1310)에 전달하여 와이어 드럼(10)을 역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모터(1420)는 샤프트(1410)와 연결되며,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동모터(1420)는 샤프트(1410)가 정회전할 때에는 동력을 발생시키지 않고, 역회전할 때에만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구동모터(1420)가 샤프트(1410)를 선택적으로 역회전시켜 와이어 드럼(10)을 역회전시킬 수 있고, 와이어 드럼(10)에서 과도하게 풀린 와이어(11)를 되감아 줄 수 있다. 여기서, 구동모터(1420)는 원격 조종기(미도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하지만, 샤프트(1410) 및 구동모터(142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4a는 드럼 지지장치에 와이어 드럼이 지지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b는 드럼 지지장치에 와이어 드럼이 지지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c는 와이어 드럼에서 설비로 와이어가 풀려나가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d는 조절부가 와이어 드럼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드럼 지지장치(1000)로 와이어 드럼(10)을 지지하는 과정 및 와이어 드럼(1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드럼 지지장치(1000)는 와이어 드럼(10)이 안착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지지롤러(1210)는 각각 전측 단부 및 후측 단부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로드(1321b)와 한쌍의 라이닝(1322a)은 서로 이격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조절롤러(1310)는 회전하지 않고 정지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드럼 지지장치(1000)에 와이어 드럼(10)이 안착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지지롤러(1210)는 서로 가까워 지도록 이동하며 와이어 드럼(10)을 양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와이어 드럼(10)이 조절롤러(1310)에 안착되면, 와이어 드럼(10)이 조절롤러(1310)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롤러(1210)가 교차방향으로 이동하며 와이어 드럼(10)을 전측 및 후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작업자가 핸들(1223a)을 회전시켜 제1 기어(1223b)를 회전시키고, 제1 기어(1223b)가 회전함에 따라 연결체인(1223d) 및 제2 기어(1223c)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가이드축(1221)도 함께 회전할 수 있고, 가이드축(1221)과 나사 결합된 이동부재(1222)가 교차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복수의 지지롤러(1210)를 와이어 드럼(10)을 향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와이어 드럼(10)은 하부가 조절롤러(1310)와 접촉된 상태에서 양측이 지지롤러(12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설비의 크레인과 와이어 드럼(10)의 와이어(11)가 연결되어 와이어(11)가 설비로 공급될 수 있다. 즉, 와이어 드럼(10)이 정회전하며 와이어 드럼(10)에서 와이어(11)가 풀려나갈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 드럼(10)의 정회전에 대응하여 조절롤러(1310) 및 지지롤러(1210)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조절롤러(1310)와 연결된 연결로드(1321)도 함께 회전하고 있을 수 있다. 이때, 감지센서는 조절롤러(1310)의 회전속도를 연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즉, 조절롤러(1310)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여 와이어 드럼(10)의 정회전 속도를 간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와이어 드럼(10)이 회전함에 있어서, 감지센서는 조절롤러(1310)의 회전 속도를 판단부재로 송신할 수 있다. 판단부재는 감지센서에서 측정한 측정값을 미리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할 수 있다. 만일, 측정값이 설정값 미만일 경우, 판단부재는 와이어 드럼(10)의 회전 속도가 정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와이어 드럼(10)에서 와이어(11)가 풀려나가는 속도보다 와이어 드럼(10)의 정회전 속도가 더 빠르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측정값이 설정값을 초과할 경우, 판단부재는 와이어 드럼(10)의 정회전 속도가 비정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와이어 드럼(10)에서 와이어(11)가 풀려나가는 속도보다 와이어 드럼(10)의 정회전 속도가 더 빠르다고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재는 제어부재로 감속기(1320)를 작동시키라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재는 감속기(1320)를 작동시켜 조절롤러(1310)의 회전을 정지시키거나 감속시킬 수 있고, 조절롤러(1310)와 와이어 드럼(10) 사이에 마찰을 발생시켜 와이어 드럼(10)의 정회전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재가 동력모터(1323b)를 구동시켜 실린더(1323a)를 수축시킬 수 있다. 이에, 실린더(1323a)의 수축에 따라 복수의 라이닝 암(1322b)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할 수 있고, 복수의 라이닝(1322a)이 근접되며 조절롤러(1310)와 함께 회전하는 연결로드(1321)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연결로드(1321)의 회전이 정지하거나 혹은 회전 속도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로드(1321)와 연결된 조절롤러(1310)의 회전이 정지하거나 혹은 회전 속도가 감소할 수 있고, 조절롤러(1310)와 와이어 드럼(10) 사이에 회전속도 차이에 따라 마찰이 발생할 수 있다. 마찰에 의해 와이어 드럼(10)의 정회전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와이어 드럼(10)에서 와이어(11)가 과도하게 풀려나가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도 5a는 와이어 드럼에서 와이어가 과도하게 풀려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b는 와이어 드럼을 역회전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c는 와이어 드럼에 와이어가 모두 감겨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와이어 드럼(10)에서 와이어(11)가 풀어 늘어질 경우, 와이어(11)를 되감는 과정을 설명한다. 여기서, 와이어(11)가 풀어 늘어지는 것은 와이어 드럼(10)에 감겨있는 와이어(11)끼리 서로 밀착되지 않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즉, 도 5a에 도시된 것처럼 와이어 드럼(10)에 일차로 감겨있는 와이어(11)에 이차로 감겨있는 와이어가 밀착되지 않고 떠있는 상태일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와이어 드럼(10)에서 와이어(11)가 풀어 늘어질 경우, 작업자는 구동모터(1420)를 작동시켜 샤프트(14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작업자는 원격 조종기를 사용하여 구동모터(1420)를 작동시킬 수 있고, 샤프트(1410)를 역회전시킬 수 있다. 즉, 와이어 드럼(10)이 정회전할 때, 샤프트(1410)가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샤프트(1410)와 연결된 연결로드(1321) 및 조절롤러(1310)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지지롤러(1210)는 와이어 드럼(10)이 정회전할 때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조절롤러(1310)의 회전에 따라 와이어 드럼(10)도 역회전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와이어 드럼(10)이 역회전함에 따라, 와이어 드럼(10)에서 과도하게 풀려있던 와이어(11)가 와이어 드럼(10)에 되감아 질 수 있다. 여기서, 구동모터(1420)는 역회전 구동력을 연속해서 발생시킬 수 있고, 샤프트(1410), 연결로드(1321) 및 조절롤러(1310)를 계속 역회전시킬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와이어 드럼(10)에서 과도하게 풀려있는 와이어(11)가 모두 되감아지면, 작업자는 구동모터(1420)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에, 샤프트(1410), 연결로드(1321) 및 조절롤러(1310)가 정지할 수 있고, 와이어 드럼(10)도 정지할 수 있다.
이처럼, 와이어 드럼이 회전할 때, 와이어 드럼의 정회전도를 조절하여 와이어 드럼에서 와이어가 과도하게 풀어지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와이어 드럼에서 와이어의 꼬임이나 엉킴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설비로 와이어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드럼에서 와이어가 과도하게 풀어질 경우, 와이어 드럼을 되감아 풀어진 와이어를 되감아 줄 수 있다. 이에, 와이어 드럼 주변 설비와 와이어가 엉키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공급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공급방법은, 설비로 와이어를 공급하는 방법일 수 있다. 와이어 공급방법은 와이어 드럼(10)을 지지부(1200)에 안착시키는 과정(S110), 와이어 드럼(10)에 감겨있는 와이어(11)를 설비에 연결시키는 과정(S120), 와이어(11)를 당겨 와이어 드럼(10)에서 설비로 와이어(11)를 공급하는 과정(S130) 및 와이어(11)를 공급하는 중에 와이어 드럼(1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과정(S1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공급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공급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와이어 드럼(10)을 지지부(1200)에 안착시킬 수 있다(S110). 보다 구체적으로, 와이어 드럼(10)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조절롤러(1310)와, 복수의 지지롤러(1210)에 와이어 드럼(10)을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지지롤러(1210)를 교차방향으로 이동시켜 와이어 드럼(10)이 조절롤러(1310)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와이어 드럼(10)의 전측 및 후측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와이어 드럼(10)의 정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서 복수의 지지롤러(1210)로 와이어 드럼(10)이 회전 가능하게 양측을 지지할 수 있다.
이후, 설비의 크레인과 와이어 드럼(10)에 감겨있는 와이어(11)를 연결시킬 수 있다(S120). 이후, 크레인이 와이어를 당겨주며 와이어 드럼(10)에서 와이어가 풀려나갈 수 있다(S130). 와이어(11)가 풀리면서, 와이어 드럼(10)이 정회전할 수 있고, 와이어 드럼(10)과 연결된 조절롤러(1310)와 복수의 지지롤러(1210)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조절롤러(1310)와 연결된 연결로드(1321)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와이어 드럼(10)이 회전함에 있어서, 감지센서로 조절롤러(1310)의 회전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조절롤러(1310)의 회전 속도를 측정하여 조절롤러(1310)와 접촉하며 회전하는 와이어 드럼(10)의 정회전 속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만일, 와이어 드럼(10)의 정회전 속도가 설정값을 초과할 경우, 와이어 드럼(10)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S140). 즉, 와이어 드럼(10)의 정회전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감지센서는 조절롤러(1310)의 회전 속도를 판단부재로 송신하고, 판단부재는 감지센서에서 측정한 측정값을 미리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할 수 있다. 만일, 측정값이 설정값 미만일 경우, 판단부재는 와이어 드럼(10)의 회전 속도가 정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와이어 드럼(10)에서 와이어(11)가 풀려나가는 속도보다 와이어 드럼(10)의 정회전 속도가 더 빠르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측정값이 설정값을 초과할 경우, 판단부재는 와이어 드럼(10)의 정회전 속도가 비정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와이어 드럼(10)에서 와이어(11)가 풀려나가는 속도보다 와이어 드럼(10)의 정회전 속도가 더 빠르다고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재는 제어부재로 감속기(1320)를 작동시키라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재는 동력모터(1323b)를 구동시켜 실린더(1323a)를 수축시킬 수 있다. 이에, 복수의 라이닝(1322a)의 사이 간격을 감소시킬 수 있고, 복수의 라이닝(1322a)이 가까워지며 조절롤러(1310)와 함께 회전하는 연결로드(1321)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연결로드(1321)의 회전이 정지하거나 혹은 회전 속도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로드(1321)와 연결된 조절롤러(1310)의 회전이 정지하거나 혹은 회전 속도가 감소할 수 있고, 조절롤러(1310)와 와이어 드럼(10)의 회전속도 차이에 의해 마찰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발생되는 마찰에 의해 와이어 드럼(10)의 정회전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와이어 드럼(10)에서 와이어(11)가 과도하게 풀려나가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와이어 드럼(10)에서 와이어(11)가 풀어 늘어질 경우, 와이어 드럼(10)을 역회전시켜 와이어(11)를 와이어 드럼(10)에 되감아 줄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원격 조종기를 사용하여 구동모터(1420)를 역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구동모터(1420)와 연결된 샤프트(1410)가 역회전할 수 있고, 샤프트(1410)와 연결된 연결로드(1321) 및 조절롤러(1310)도 함께 역회전할 수 있다. 이에, 조절롤러(1310)와 접촉된 와이어 드럼(10)이 역회전하며 과도하게 풀려있던 와이어(11)가 와이어 드럼(10)에 되 감아질 수 있다.
이처럼, 와이어 드럼이 회전할 때, 와이어 드럼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와이어 드럼에서 와이어가 과도하게 풀어지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와이어 드럼에서 와이어의 꼬임이나 엉킴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설비로 와이어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드럼에서 와이어가 과도하게 풀어질 경우, 와이어 드럼을 되감아 와이어 드럼에서 풀어진 와이어를 되감아 줄 수 있다. 이에, 와이어 드럼 주변 설비와 와이어가 엉키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와이어 드럼 11: 와이어
1000: 드럼 지지장치 1100: 프레임
1200: 지지부 1300: 조절부
1400: 보정부

Claims (17)

  1. 프레임;
    와이어 드럼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회전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와이어 드럼과 함께 회전 가능하고, 상기 와이어 드럼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드럼 지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회전 가능하고, 회전축이 상기 와이어 드럼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조절롤러;
    상기 조절롤러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조절롤러와 연결되는 감속기; 및
    상기 감속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감속기와 연결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드럼 지지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는,
    상기 조절롤러의 회전에 연동하여 축회전 가능하며, 상기 조절롤러에 연결되는 연결로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연결로드를 향하여 이동 가능한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와 결합되는 동력부재;를 포함하는 드럼 지지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연결로드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라이닝; 및
    상기 복수의 라이닝의 상기 연결로드와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는 마찰유닛;을 포함하는 드럼 지지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재는,
    상기 복수의 라이닝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신장 수축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라이닝에 결합되는 실린더; 및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상기 실린더에 연결되는 동력 모터;를 포함하는 드럼 지지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조절롤러의 회전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의 측정값과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와이어 드럼의 회전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감지센서와 연결되는 판단부재; 및
    상기 판단부재의 판단에 따라 상기 감속기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판단부재와 연결되는 제어부재;를 포함하는 드럼 지지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회전 가능하고, 회전축이 상기 와이어 드럼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교차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복수의 지지롤러;
    상기 복수의 지지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지지롤러와 연결되는 간격조절기; 및
    상하로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롤러 사이에서 상기 와이어 드럼의 양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더;를 포함하는 드럼 지지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기는,
    회전 가능하고, 상기 교차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축;
    상기 가이드축에 삽입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롤러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교차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복수의 이동부재; 및
    상기 가이드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축과 연결되는 간격조절부재;을 포함하는 드럼 지지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더는, 회전 가능하고 회전축이 상하로 배치되는 가이더롤러;를 구비하는 드럼 지지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를 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조절부에 연결되는 보정부;를 더 포함하는 드럼 지지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조절부와 연결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를 선택적으로 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드럼 지지장치.
  12. 와이어 드럼을 지지부에 안착시키는 과정;
    상기 와이어 드럼에 감겨있는 와이어를 설비에 연결시키는 과정;
    상기 와이어를 당겨 상기 와이어 드럼에서 상기 설비로 상기 와이어를 공급하는 과정; 및
    상기 와이어를 공급하는 중에, 상기 와이어 드럼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와이어 공급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드럼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와이어 드럼의 회전 속도를 측정하는 과정;
    상기 와이어 드럼의 회전 속도를 측정한 측정값과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측정값이 상기 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와이어 드럼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와이어 공급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드럼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과정은,
    상기 와이어 드럼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상기 와이어 드럼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와이어 공급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드럼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과정은,
    상기 와이어 드럼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조절롤러를 정지시켜 상기 와이어 드럼과 마찰을 발생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와이어 공급방법.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드럼을 지지부에 지지시키는 과정은,
    상기 와이어 드럼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위치 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와이어 드럼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와이어 드럼의 양측을 지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와이어 공급방법.
  17.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드럼에서 상기 와이어가 풀어 늘어질 경우, 상기 와이어 드럼을 역회전시켜 상기 와이어를 되감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와이어 공급방법.

KR1020200035097A 2020-03-23 2020-03-23 드럼 지지장치 및 와이어 공급방법 KR102326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097A KR102326864B1 (ko) 2020-03-23 2020-03-23 드럼 지지장치 및 와이어 공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097A KR102326864B1 (ko) 2020-03-23 2020-03-23 드럼 지지장치 및 와이어 공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8613A true KR20210118613A (ko) 2021-10-01
KR102326864B1 KR102326864B1 (ko) 2021-11-16

Family

ID=78115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097A KR102326864B1 (ko) 2020-03-23 2020-03-23 드럼 지지장치 및 와이어 공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68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595B1 (ko) * 2022-05-23 2022-09-30 주식회사 대진테크 대상물 회전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2863U (ja) 1992-11-20 1994-06-07 日立電線物流株式会社 アンダーロール式巻取機
JPH09194131A (ja) * 1996-01-17 1997-07-29 Mitsubishi Electric Corp ケーブルジャッキ
JP2003040522A (ja) * 2001-07-26 2003-02-13 Sanwa Tekki Corp ケーブルドラムの駆動装置
JP4116272B2 (ja) * 2001-08-09 2008-07-09 住友電工スチールワイヤー株式会社 アンダーローラ
KR20090117223A (ko) * 2008-05-09 2009-11-12 주식회사 포스코 와이어 드럼 거치대
KR101906771B1 (ko) * 2018-04-30 2018-10-10 박철수 케이블드럼 안전장치
KR102023055B1 (ko) * 2019-02-21 2019-09-20 세신전기(주)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 간격 자동 조절기능을 갖는 드럼 마그네틱 브레이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2863U (ja) 1992-11-20 1994-06-07 日立電線物流株式会社 アンダーロール式巻取機
JPH09194131A (ja) * 1996-01-17 1997-07-29 Mitsubishi Electric Corp ケーブルジャッキ
JP2003040522A (ja) * 2001-07-26 2003-02-13 Sanwa Tekki Corp ケーブルドラムの駆動装置
JP4116272B2 (ja) * 2001-08-09 2008-07-09 住友電工スチールワイヤー株式会社 アンダーローラ
KR20090117223A (ko) * 2008-05-09 2009-11-12 주식회사 포스코 와이어 드럼 거치대
KR101906771B1 (ko) * 2018-04-30 2018-10-10 박철수 케이블드럼 안전장치
KR102023055B1 (ko) * 2019-02-21 2019-09-20 세신전기(주)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 간격 자동 조절기능을 갖는 드럼 마그네틱 브레이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595B1 (ko) * 2022-05-23 2022-09-30 주식회사 대진테크 대상물 회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6864B1 (ko) 202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7886B1 (ko) 시트재의권취장치
TWI635201B (zh) 多幅織機中的織布卷取裝置
KR102326864B1 (ko) 드럼 지지장치 및 와이어 공급방법
CS216203B2 (en) Method of controlling the pull tension at winding up the material bands on the roll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JP2014534140A (ja) 金属ワイヤを一定の張力で供給するための積極的供給装置
KR20160099167A (ko) 낚시바늘 제조장치용 와이어 공급장치
CN102457038B (zh) 电动式工程机械的缆线引导装置
JP2610320B2 (ja) 巻出装置
JPH06219650A (ja) ケーブル巻取装置
EP0196899B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wire dispensing machines
JP2002145527A (ja) 特に敏感な巻取り材料用の巻取機
JP2012110940A (ja) コイル支持装置
KR20150018059A (ko) 길이 측정 기능을 갖는 벨트 권출장치
US5441213A (en) Diameter feedback controlled winding device
EP1163176B1 (en) Method and device in winding of a web
KR101435028B1 (ko) 텐션릴 진단장치
KR101008170B1 (ko) 권취중인 코일의 에지 정렬 제어장치
JP7153549B2 (ja) フィルム巻取装置
KR101926733B1 (ko) 탄소섬유 공급설비용 탄소섬유 피딩장치
KR20040003229A (ko) 필라멘트 와인딩 기계의 장력 제어장치
KR100347151B1 (ko) 압연기의 이형선재 가이딩장치
JPH06277756A (ja) 線材の貯線装置
JPH11217755A (ja) ホージャリー編機へ伸縮性のある弾性糸を供給する送糸装置
KR102440903B1 (ko) 섬유사 공급 장력조절장치
KR20130022915A (ko) 권선기용 플라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