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6771B1 - 케이블드럼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드럼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6771B1
KR101906771B1 KR1020180049746A KR20180049746A KR101906771B1 KR 101906771 B1 KR101906771 B1 KR 101906771B1 KR 1020180049746 A KR1020180049746 A KR 1020180049746A KR 20180049746 A KR20180049746 A KR 20180049746A KR 101906771 B1 KR101906771 B1 KR 101906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drum
speed
drum mounting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9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수
Original Assignee
박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수 filed Critical 박철수
Priority to KR1020180049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67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9/00Unwinding or paying-out filamentary material; Supporting, storing or transporting packages from which filamentary material is to be withdrawn or paid-out
    • B65H49/18Methods or apparatus in which packages ro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1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devices acting on running material and not associated with supply or take-up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1/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metering predetermined lengths of running material
    • B65H61/005Applications of devices for metering predetermined lengths of running material for measuring speed of running yar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nwinding Of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드럼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 풀링 시 일정 속도 이상으로 케이블이 풀링되면 케이블이 풀링되는 속도를 감속시키는 케이블드럼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케이블드럼 안전장치는, 회전축(210)의 중심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일측 또는 양측에 원형 플렌지(220)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블(1)이 권취되는 케이블드럼(100)이 상기 회전축(210)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회전되되, 장착된 상기 케이블드럼(100)과 함께 회전되는 드럼장착부(200); 상기 드럼장착부(200)의 회전속도 또는 케이블(10)의 이동속도를 측정하는 속도센서(300); 및 상기 속도센서(300)로 측정된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를 넘어서면 상기 드럼장착부(20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케이블드럼 안전장치 {CABLE DRUM SAFETY DEVICE}
본 발명은 케이블드럼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 풀링 시 일정 속도 이상으로 케이블이 풀링되면 케이블이 풀링되는 속도를 감속시키는 케이블드럼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권취드럼은 케이블을 용이하게 운반 또는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통상 나무와 금속으로 만들어진 원통 북 모양의 얼레 틀이다. 이와 같은 케이블 권취드럼은 얼에 감겨지는 전선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중량으로 구비된다.
케이블 포설 작업 시 케이블은 드럼에 감겨져 있는 상태로 현장에 입고되고, 이 드럼을 케이블 풀링 다이에 설치하고, 드럼을 회전시켜 케이블을 풀면서 케이블 풀링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일반적으로 인력이 동원되어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케이블 풀링 작업이 수행되나, 케이블 풀링 작업에 탄력이 붙으면 드럼이 고속 회전을 하게 되면서 케이블이 급속하게 풀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케이블이 급속하게 풀리게 되면 작업이 위험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10-1523899]에서는 케이블 드럼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523899](등록일자: 2015년05월22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 풀링 시 일정 속도 이상으로 케이블이 풀링되면 케이블이 풀링되는 속도를 감속시키는 케이블드럼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 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드럼 안전장치는, 케이블(1)이 권취되는 케이블드럼(100); 회전축(210)의 중심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일측 또는 양측에 원형 플렌지(220)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블드럼(100)이 상기 회전축(210)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회전되되, 장착된 상기 케이블드럼(100)과 함께 회전되는 드럼장착부(200); 상기 드럼장착부(200)의 회전속도 또는 케이블(10)의 이동속도를 측정하는 속도센서(300); 및 상기 속도센서(300)로 측정된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를 넘어서면 상기 드럼장착부(20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럼장착부(200)는 일 측 또는 양 측 플렌지(220)의 외주연에 바퀴 주변에 동일 간격으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속도센서(300)는 외주연에 상기 드럼장착부(200)의 외주연 돌기와 맞물리는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드럼장착부(200)의 돌기가 형성된 플렌지(220)의 외주연과 상기 속도센서(300)의 외주연이 서로 맞물리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속도센서(300)는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의 회전롤러(310)가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310) 사이에 케이블(1)이 끼워지고, 상기 케이블(1)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상기 회전롤러(310)의 회전속도를 근거로 상기 케이블(1)의 이동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드럼 안전장치는 상기 속도센서(300)에 연결되며, 상기 속도센서(300)를 수직이동시키는 장력조절부(510); 상기 장력조절부(510)에 연결되며, 상기 드럼장착부(200)의 회전축(210)에 평행하도록 구비된 가이드축(521)을 따라 상기 장력조절부(510) 및 속도센서(300)를 수평 이동시키는 가이드부(520); 상기 드럼장착부(200) 또는 상기 드럼장착부(200)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1)의 장력을 감지하는 장력감지부(530); 및 상기 장력감지부(530)에 의해 감지된 장력을 근거로 상기 장력조절부(510)를 조종하는 장력제어부(5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케이블드럼 안전장치는 모터(600); 상기 모터(600)와 상기 회전축(21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모터(600)와 벨트(650)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60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변속시켜 상기 회전축(210)으로 전달하는 감속기(700); 상기 감속기(7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210)의 회전과 연동하여 작동되는 유압펌프(800); 및 상기 유압펌프(800)와 연결되며, 상기 유압펌프(800)에서 배출되는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유압조절부(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드럼 안전장치에 의하면, 케이블이 풀링되는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이면 케이블이 풀링되는 속도를 감속시킴으로써, 케이블드럼이 위치한 장소에 인력을 배치하지 않아도 안전하게 케이블 풀링작업이 가능함으로써, 인력 소모를 줄임과 동시에 보다 안정적인 케이블 풀링 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플렌지와 속도센서가 평 기어 형태로 맞물려 돌아가면서 속도를 측정함으로써,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보다 정확한 회전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한 쌍의 회전롤러가 케이블을 끼운 상태로 케이블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속도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추가적인 연산과정 없이 케이블의 이동속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력을 감지하여 케이블에 가해지는 장력이 소정의 장력 한계범위 내에서 장력이 유지되도록 케이블에 가해지는 장력을 제어함으로써, 장력이 급격하게 변하여 케이블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완충역할을 하여 케이블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케이블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 케이블가 회전축의 직각 방향에 해당되는 일직선상에 위치된 상태로 케이블드럼에 감기게 함으로써, 케이블 간의 접촉으로 인한 마찰 등으로 인하여 손상될 수 있는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터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감속시키고, 드럼장착부(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작동되는 유압펌프에서 배출되는 유량이 일정하게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의 중력가속도에 의해 드럼장착부의 회전속도가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드럼 안전장치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드럼 안전장치의 다른 예시도.
도 3은 도 2의 속도센서가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는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
도 4는 도 3에 모터, 감속기, 유압펌프 및 유압조절부가 더 추가된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드럼 안전장치의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드럼 안전장치의 다른 예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속도센서가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는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3에 모터, 감속기, 유압펌프 및 유압조절부가 더 추가된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드럼 안전장치는 케이블드럼(100), 드럼장착부(200), 속도센서(300) 및 감속부(400)를 포함한다.
케이블드럼(100)은 케이블(1)이 권취된다.
상기 케이블드럼(100)은 케이블(1)을 용이하게 운반 또는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통상 나무와 금속으로 만들어진 원통 북 모양의 얼레 틀이다.
상기 케이블드럼(100)은 원통형의 몸통과, 상기 몸통 양 외측면에 원형으로 상기 몸통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케이블(1)이 몸통에 감길 때, 케이블드럼(100)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몸통 부분의 외면에 케이블(1)이 권취된다.
또한, 케이블드럼(100)의 무게를 줄임과 동시에 드럼작창부(200)의 회전축(210)에 장착하기 위해, 상기 몸통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몸통의 비어있는 원통 부분에 기둥 축 방향으로 회전축(210)이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210)을 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축(210)과 함께 상기 케이블드럼(100)이 회전된다.
이를 위해, 후술하는 드럼장착부(200)와 상기 케이블드럼(100)은 서로 고정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결합으로는 끼움결합 등 다양한 결합을 사용할 수 있다.
드럼장착부(200)는 회전축(210)의 중심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일 측 또는 양 측에 원형 플렌지(220)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블드럼(100)이 상기 회전축(210)에 설치(장착,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회전되되, 장착된 상기 케이블드럼(100)과 함께 회전된다.
상기 드럼장착부(200)는 상기 회전축(210)에 상기 케이블드럼(100)을 장착하여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축(210)과 플렌지(220)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케이블(1)이 감긴 케이블드럼(100)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다양한 크기의 케이블드럼(100)을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속도센서(300)는 상기 드럼장착부(200)의 회전속도 또는 케이블(10)의 이동속도를 측정한다.
상기 속도센서(300)는 드럼장착부(200)의 회전속도를 측정하거나, 상기 케이블(10)의 이동속도를 측정한다.
실질적으로는 케이블이 풀링되는 속도(케이블이 이동되는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하기 위함이나, 드럼장착부(200)의 회전속도 측정으로도 상기 케이블(10)의 이동속도의 연산이 가능하다.
감속부(400)는 상기 속도센서(300)로 측정된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를 넘어서면 상기 드럼장착부(20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킨다.
상기 감속부(400)는 일종의 브레이크 역할을 하는 것으로, 유압 디스크 브레이크 등을 이용한 마찰력으로 드럼장착부(20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감속부(400)는 평상시에는 상기 드럼장착부(20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나, 상기 감속부(400)로 상기 드럼장착부(20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감속부(400)의 일부가 상기 드럼장착부(200)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드럼 안전장치의 드럼장착부(200)는 일 측 또는 양 측 플렌지(220)의 외주연에 바퀴 주변에 동일 간격으로 돌기(표면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속도센서(300)는 외주연에 상기 드럼장착부(200)의 외주연 돌기와 맞물리는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드럼장착부(200)의 돌기가 형성된 플렌지(220)의 외주연과 상기 속도센서(300)의 외주연이 서로 맞물리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드럼장착부 플렌지(220)의 외주연과 상기 속도센서(300)의 외주연을 기어의 이빨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드럼장착부 플렌지(220)의 외주연과 상기 속도센서(300)의 외주연이 맞물려 회전하도록 하는 것은,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보다 정확한 회전속도를 측정하기 위함이다.
도 1에서는 플렌지(220)와 속도센서(300)가 평 기어 형태로 맞물려 돌아가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헬리컬 기어, 베벨기어, 스파이럴 베벨 기어, 제롤 베벨 기어, 나사 기어, 웜과 웜기어 등 드럼장착부(플렌지)의 회전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드럼 안전장치의 속도센서(300)는 서로 마주보도록(맞물리는 형태로 구비된) 한 쌍의 회전롤러(310)가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310) 사이에 케이블(1)이 끼워지고, 상기 케이블(1)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상기 회전롤러(310)의 회전속도를 근거로 상기 케이블(1)의 이동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속도센서(300)는 케이블(1)이 통과되며, 상기 속도센서(300)는 상기 케이블(1)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롤러(310)의 회전속도를 근거로 상기 케이블(1)의 이동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속도센서(300)는 한 쌍의 회전롤러(310)가 케이블(1)을 끼운 상태로 상기 케이블(1)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서로 마주보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회전롤러(310)는 서로 붙는 것은 아니나, 케이블(1)이 끼워질 경우 상기 케이블(1)에 밀착되도록 서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케이블(1)의 이동에 따라 회전롤러(310)가 회전되며, 회전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케이블(1)의 이동속도를 측정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310)는 끼워지는 케이블(1)의 직경에 따라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롤러(310)의 외주연은 중심선에 해당되는 부분이 상기 회전롤러(310)중심부 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면의 형상이 반구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드럼 안전장치는 장력조절부(510), 가이드부(520), 장력감지부(530) 및 장력제어부(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력조절부(510)는 상기 속도센서(300)에 연결되며, 상기 속도센서(300)를 수직 이동시킨다.
상기 장력조절부(510)는 케이블(1)에 가해지는 장력이 급격하게 변하여 케이블(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완충역할을 해주는 구성으로, 상기 케이블(1)의 장력을 조절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을 때 조절할 수 있다.
가이드부(520)는 상기 장력조절부(510)에 연결되며, 상기 드럼장착부(200)의 회전축(210)에 평행하도록 구비된 가이드축(521)을 따라 상기 장력조절부(510) 및 속도센서(300)를 수평 이동시킨다.
상기 가이드부(520)의 수평위치는 상기 케이블드럼(100)에 케이블(1)이 감겨야 할 위치에서 상기 회전축(210)의 직각 방향에 해당되는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케이블(1) 간의 접촉으로 인한 마찰 등으로 인하여 손상될 수 있는 케이블(1)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장력감지부(530)는 상기 드럼장착부(200) 또는 상기 드럼장착부(200)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1)의 장력을 감지한다.
장력감지부(530)는 로드셀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1)에 가해지는 장력을 측정한다.
드럼장착부(200)를 지지하는 프레임 등에 장력감지부(530)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케이블(1)에 가해지는 장력을 측정할 수 있다면 어디(회전축(210) 등)에도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장력제어부(540)는 상기 장력감지부(530)에 의해 감지된 장력을 근거로 상기 장력조절부(510)를 조종한다.
상기 장력제어부(540)는 장력을 감지하고 장력을 제어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드럼 안전장치에서 연산, 판단, 처리 등을 필요로 하는 다른 제어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드럼 안전장치는 모터(600), 감속기(700), 유압펌프(800) 및 유압조절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속기(700)는 상기 모터(600)와 상기 회전축(21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모터(600)와 벨트(650)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60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변속시켜 상기 회전축(210)으로 전달한다.
유압펌프(800)는 상기 감속기(700)의 일 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210)의 회전과 연동하여 작동된다.
유압조절부(900)는 상기 유압펌프(800)와 연결되며, 상기 유압펌프(800)에서 배출되는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이때, 상기 유압조절부(900)는 상기 유압펌프(800)를 통해 배출되는 유량보다 상기 유압펌프(800)로 유입되는 유량이 적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속기(700)는 상기 모터(60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감속시켜 상기 회전축(210)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유압펌프(800) 및 유압조절부(900)는 상기 회전축(210)의 회전과 연동되는 유압펌프(800)에서 배출되는 유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케이블드럼(100)에서 권출되는 케이블(1)의 중력 가속도에 의해 상기 드럼장착부(200)(회전축(210))의 회전 속도가 증대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드럼장착부(200)의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드럼장착부(200)는 상기 감속기(700)에 의해 회전 속도가 감속된 상태에서 상기 유압펌프(800) 및 유압조절부(900)에 의해 회전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상기 드럼장착부(200)에서 권출되는 케이블(1)을 안정적으로 승하강 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유압조절부(900)에는 유체순환라인(910), 저장탱크(920) 및 유량조절밸브(93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체순환라인(910)은 상기 저장탱크(920)에 저장된 유체를 상기 유압펌프(800)로 공급한 후에 다시 배출되는 순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유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체순환라인(910)의 일단은 상기 유압펌프(800)의 입구(810)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유체순환라인(910)의 타단은 상기 유압펌프(800)의 출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920)는 상기 유압펌프(800)에 의해 상기 유체순환라인(910) 내부를 순환하는 상기 유체를 저장 및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920)는 상기 유체순환라인(910)의 일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밸브(930)는 상기 유압펌프(800)의 출구를 통해 상기 저장탱크(920)로 배출되는 상기 유체의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즉, 상기 유량조절밸브(930)는 상기 유압펌프(800)의 출구(820)와 상기 저장탱크(92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유체순환라인(910)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유량조절밸브(930)는 상기 유압펌프(800)의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유체의 유량보다 상기 유압펌프(800)의 입구(810)를 통해 상기 유압펌프(800)로 유입되는 유량이 적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유량조절밸브(930)는, 상기 유압펌프(800)의 구동 속도에 관계없이 상기 유압펌프(800)에서 상기 저장탱크(920)로 이동되는 상기 유체의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상기 드럼장착부(200)에서 케이블(1)이 풀려 발생되는 중력가속도에 의해 상기 드럼장착부(200)의 회전속도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케이블
100: 케이블드럼
200: 드럼장착부
210: 회전축 220: 플렌지
300: 속도센서
310: 회전롤러
400: 감속부
510: 장력조절부 520: 가이드부
521: 가이드축
530: 장력감지부 540: 장력제어부
600: 모터 650: 벨트
700: 감속기 800: 유압펌프
900: 유압조절부

Claims (5)

  1. 케이블 포설 작업 시 케이블 풀링 작업을 수행하는 케이블드럼 안전장치에 있어서,
    회전축(210)의 중심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일측 또는 양측에 원형 플렌지(220)가 구비되며, 케이블(1)이 권취되는 케이블드럼(100)이 상기 회전축(210)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회전되되, 장착된 상기 케이블드럼(100)과 함께 회전되는 드럼장착부(200);
    상기 드럼장착부(200)의 회전속도 또는 케이블(10)의 이동속도를 측정하는 속도센서(300);
    상기 속도센서(300)로 측정된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를 넘어서면 상기 드럼장착부(20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부(400);
    모터(600);
    상기 모터(600)와 상기 회전축(21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모터(600)와 벨트(650)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60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변속시켜 상기 회전축(210)으로 전달하는 감속기(700);
    상기 감속기(700)의 일 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210)의 회전과 연동하여 작동되는 유압펌프(800); 및
    상기 유압펌프(800)와 연결되며, 상기 유압펌프(800)에서 배출되는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유압조절부(900);
    를 포함하며,
    상기 드럼장착부(200)는
    일 측 또는 양측 플렌지(220)의 외주연에 바퀴 주변에 동일 간격으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속도센서(300)는
    외주연에 상기 드럼장착부(200)의 외주연 돌기와 맞물리는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드럼장착부(200)의 돌기가 형성된 플렌지(220)의 외주연과 상기 속도센서(300)의 외주연이 서로 맞물리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드럼장착부(200)는
    회전축(210)과 플렌지(220)가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감속부(400)는
    유압 디스크 브레이크를 이용한 마찰력으로 드럼장착부(20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감속부(400)는
    평상시에는 상기 드럼장착부(20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나, 상기 감속부(400)로 상기 드럼장착부(20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감속부(400)의 일부가 상기 드럼장착부(200)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드럼 안전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49746A 2018-04-30 2018-04-30 케이블드럼 안전장치 KR101906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746A KR101906771B1 (ko) 2018-04-30 2018-04-30 케이블드럼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746A KR101906771B1 (ko) 2018-04-30 2018-04-30 케이블드럼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6771B1 true KR101906771B1 (ko) 2018-10-10

Family

ID=63876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746A KR101906771B1 (ko) 2018-04-30 2018-04-30 케이블드럼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67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809B1 (ko) * 2019-10-28 2021-04-12 주식회사 우성특수중기 지중관로용 케이블 포설장치
CN113173453A (zh) * 2021-05-24 2021-07-27 谢才云 一种线缆放线装置
KR20210118613A (ko) * 2020-03-23 2021-10-01 주식회사 포스코 드럼 지지장치 및 와이어 공급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334B1 (ko) * 2016-04-19 2016-11-04 대광기업 주식회사 장력조절부가 구비되는 와이어 로프 스풀링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334B1 (ko) * 2016-04-19 2016-11-04 대광기업 주식회사 장력조절부가 구비되는 와이어 로프 스풀링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809B1 (ko) * 2019-10-28 2021-04-12 주식회사 우성특수중기 지중관로용 케이블 포설장치
KR20210118613A (ko) * 2020-03-23 2021-10-01 주식회사 포스코 드럼 지지장치 및 와이어 공급방법
KR102326864B1 (ko) * 2020-03-23 2021-11-16 주식회사 포스코 드럼 지지장치 및 와이어 공급방법
CN113173453A (zh) * 2021-05-24 2021-07-27 谢才云 一种线缆放线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6771B1 (ko) 케이블드럼 안전장치
KR101672334B1 (ko) 장력조절부가 구비되는 와이어 로프 스풀링 장치
EP2699503B1 (en)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linear material slack
KR101086384B1 (ko) 윈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율이동장치
US8042663B1 (en) Communications spooler for a mobile robot
JP2996908B2 (ja) 走行する帯材の幅にわたって張力を補償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4635875A (en) Cable pulling device
JP5514296B2 (ja) ウインチ及びこれを含む自律移動装置
CN209758607U (zh) 一种收缩膜恒速收卷装置
US9950915B2 (en) Winch system
JPH08301580A (ja) ウインチのワイヤ乱巻防止装置
CN109436967A (zh) 一种钢丝绳自动开料设备
US3136496A (en) Wire pay-off reel
CN114341048A (zh) 导绳装置、电动卷扬机和起重机系统
JP5102007B2 (ja) リール装置
KR960010191A (ko) 와이어 쏘
US393332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unwinding of bands
KR20140120701A (ko) 배관의 테이핑 장치
US3248088A (en) Tensioning device
CN212356291U (zh) 一种起重机起升高度限制器
CN114436072B (zh) 一种卷盘控制模块
US3777995A (en) Thread winding device
CN110294388B (zh) 放绳辅助装置及曳引绳安装或更换系统
CN114772492A (zh) 一种带张力及速度检测的液压拖曳绞车
KR101315175B1 (ko)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