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7765A - 차량용 릴리프 밸브 - Google Patents

차량용 릴리프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7765A
KR20210117765A KR1020200034439A KR20200034439A KR20210117765A KR 20210117765 A KR20210117765 A KR 20210117765A KR 1020200034439 A KR1020200034439 A KR 1020200034439A KR 20200034439 A KR20200034439 A KR 20200034439A KR 20210117765 A KR20210117765 A KR 20210117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pilot
poppet
throttle
pressur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4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우
Original Assignee
(주)서진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진정공 filed Critical (주)서진정공
Priority to KR1020200034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7765A/ko
Publication of KR20210117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7765A/ko
Priority to KR1020210132791A priority patent/KR102358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67Valves or distribu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2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16K31/122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one side of the piston being spring-loa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릴리프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일럿 포펫과 스프링 간을 동심으로 유지할 수 있고, 파일럿 포펫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릴리프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릴리프 밸브는 본체부(10와, 메인포핏(20)과, 제1스로틀(22)과, 피스톤(26)과, 파일럿통로(24)와, 제1스프링(44)과, 제2스로틀(48)과, 플러그(12)와, 파일럿 시트(40)와, 파일럿 포펫(28)과, 제2스프링(46)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는 밸브체의 내부에 고압실(14), 저압실(16) 및 배압실(18)을 갖춘다. 상기 메인포핏(20)은 상기 고압실(14)과 상기 저압실(16)과의 사이를 개폐 제어하며 내부에 내부통로(34)가 형성된다. 상기 제1스로틀(22)는 상기 메인포핏(20)의 내부통로(34)에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피스톤(26)은 상기 제1스로틀(22)의 반대쪽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통로(34)의 바깥쪽 외주부에 걸리도록 위치한다. 상기 파일럿통로(24)는 상기 제1스로틀(22)과 상기 피스톤(26) 사이 구간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1스프링(44)은 상기 피스톤(26)의 외경에 일측단이 삽입되어 탄성지지된다. 상기 제2스로틀(48)은 상기 제1스프링(44)의 타측단과 연결되어지지된다. 상기 플러그(12)는 상기 본체부(10)의 일측에 결합된다. 상기 파일럿 시트(40)는 일측단은 상기 메인포핏(20)의 외경에 결합되는 동시에 타측단은 상기 플러그(12)와 맞닿아서 상기 피스톤(26)을 비롯하여 상기 제1스프링(44) 및 상기 제2스로틀(48)의 외경을 감싸며 위치한다. 상기 파일럿 포펫(28)은 상기 플러그(12)의 내부에 상기 제2스로틀(48)과 당접 가능하게 내재된다. 상기 제2스프링(46)은 상기 파일럿 포펫(28)과 상기 플러그(12)의 타측부를 마감하는 캡 사이에 탄성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파일럿 포펫(28)은 일단이 상기 제2스프링(46)의 일단에 삽입되어 상기 제2스프링(46)의 일단의 내경을 가압하여 지지할 있도록 형성되고, 외주면은 요철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12)는 내주면이 상기 파일럿 포펫(28)이 요동되지 않도록 상기 파일럿 포펫(28)의 외주면과 형합하도록 요철되어 형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릴리프 밸브{Relief valv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릴리프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일럿 포펫과 스프링 간을 동심으로 유지할 수 있고, 파일럿 포펫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릴리프 밸브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굴삭기 등을 포함하는 건설중장비 차량을 이용한 굴삭 작업중 굴삭 대상물에 따라서, 또는 굴삭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여러 옵션장치(버켓, 햄머 등)를 착탈시키게 되며, 이때 교체되는 옵션장치에 따라 요구되는 릴리프 밸브의 설정압력을 재설정하여 작업을 하게 된다.
릴리프 밸브의 설정 압력을 변경할 경우에는 외부에서 직접 압력계를 보면서 압력을 설정하거나, 운전실에서 소정의 파일럿 신호압 발생 장치를 이용하여 릴리프 밸브의 릴리프 설정압력을 변동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종류의 릴리프 밸브는 한국등록특허 10-0263818(2000,05,22)에 개시되어 있으며, 밸브체의 내부에 고압실(14), 저압실(16) 및 배압실(18)을 갖춘 본체부(10)와; 고압실(14)과 저압실(16)과의 사이를 개폐 제어하며 내부에 내부통로(34)가 형성된 메인포핏(20)과; 메인포핏(20)의 내부통로(34)에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스로틀(22)과; 스로틀(22)의 반대쪽에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통로(34)의 바깥쪽 외주부에 걸리며 위치하는 피스톤(26)과; 스로틀(22)과 피스톤(26) 사이 구간 내부에 형성되는 파일럿통로(24)와; 피스톤(26)의 외경에 일측단이 삽입되어 탄성지지되는 스프링(44)과; 스프링(44)의 타측단과 연결되어 지지되는 스로틀(48)과; 일측단은 메인포핏(20)의 외경에 결합되는 동시에 타측단은 플러그(12)와 결합되어, 피스톤(26)을 비롯하여 스프링(44) 및 스로틀(48)의 외경을 감싸며 위치하는 파일럿 시트(40: 포펫시트)와; 상기 플러그(12)의 내부에 스로틀(48)과 당접 가능하게 내재되는 파일럿 포펫(28)과; 파일럿 포펫(28)과 플러그(12)의 타측부를 마감하는 캡 사이에 탄성지지되는 스프링(4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릴리프 밸브 동작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고압실(14)의 압력이 상승하면 고압실(14)은 내부통로(34) 및 파일럿통로(24)를 통하여 배압실(18)과 연통하고 있으므로, 고압실(14)의 압력이 파일럿 포펫(28)에 작용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파일럿 포펫(28)이 스프링(46)을 압축시키며 도 4의 배치 기준으로 우측으로 밀리게 되어 스로틀(48)이 개구된다.
상기 배압실(18)은 피스톤(26)에 설치된 스로틀(22)를 통하여 고압실(14)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배압실(18)의 압력이 저하됨에 따라, 배압실(18)내의 압력과 메인포핏(20)의 내부통로(34)내의 압력 간의 차압력에 의하여 피스톤(26)이 스프링(44)을 압축시키면서 도 4의 배치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하여, 피스톤(26)의 개구부(50)가 파일럿 포펫(28)의 선단부 즉, 스로틀(48)에 당접한다.
이때, 배압실(18)은 스로틀(48) 및 파일럿통로(24), 피스톤(26)의 스로틀(22), 메인포핏(20)의 내부통로(34)를 통하여 고압실(14)과 연통되는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배압실(18)내의 압력은 고압실(14)내의 압력에 비하여 상당히 낮게 유지되어 있으므로, 메인포핏(20)에 대하여 고압실(14)로부터 작용하는 힘(A1×P1)은 배압실(18)로부터 작용하는 힘(A2×P2)보다 크게 된다.
그 결과, 메인포핏(20)도 도 4의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하여 고압실(14)이 저압실(16)과 연통되는 상태가 되고, 따라서 고압실(14)내의 압유가 슬리브(38)에 설치된 구멍(52)을 통하여 저압실(16)내로 유출(릴리프)된다.
그러나, 종래의 릴리프 밸브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파일럿 포펫(28)이 플렉시블 스프링(46)에 지지되면서 이동할 때, 파일럿 포펫(28)이 반경방향으로도 움직이면서 파일럿시트(40)의 내벽과 부딪침과 함께 마찰되면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플렉시블 스프링(46)이 플렉시블한 상태이므로, 파일럿 포펫(28)과 플렉시블 스프링(46)간의 동심이 유지되지 못하고 편심력이 발생되어, 결국 파일럿 포펫(28)이 반경방향으로 움직이며 이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파일럿시트(40)의 내경에 대하여 파일럿 포펫(28)의 외경이 일점 지지됨에 따라, 파일럿 포펫(28)이 불안정된 배열을 갖게 되므로, 파일럿 포펫(28)과 플렉시블 스프링(46)간의 동심이 더욱 유지되지 못하여 이음이 더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파일럿 포펫을 스프링시트를 이용하여 지지하는 동시에 스프링시트와 접하는 파일럿 포펫의 지지면을 구형으로 개선하여 파일럿 포펫과 스프링 간을 동심으로 유지할 수 있고, 파일럿시트에 대한 파일럿 포펫의 지지 구조를 3점식 구조로 개선하여 파일럿 포펫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일럿 포펫의 움직임이 정확한 동심방향으로 안내되면서 소음 발생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건설중장비 차량용 릴리프 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릴리프 밸브는 본체부(10와, 메인포핏(20)과, 제1스로틀(22)과, 피스톤(26)과, 파일럿통로(24)와, 제1스프링(44)과, 제2스로틀(48)과, 플러그(12)와, 파일럿 시트(40)와, 파일럿 포펫(28)과, 제2스프링(46)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는 밸브체의 내부에 고압실(14), 저압실(16) 및 배압실(18)을 갖춘다. 상기 메인포핏(20)은 상기 고압실(14)과 상기 저압실(16)과의 사이를 개폐 제어하며 내부에 내부통로(34)가 형성된다. 상기 제1스로틀(22)는 상기 메인포핏(20)의 내부통로(34)에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피스톤(26)은 상기 제1스로틀(22)의 반대쪽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통로(34)의 바깥쪽 외주부에 걸리도록 위치한다. 상기 파일럿통로(24)는 상기 제1스로틀(22)과 상기 피스톤(26) 사이 구간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1스프링(44)은 상기 피스톤(26)의 외경에 일측단이 삽입되어 탄성지지된다. 상기 제2스로틀(48)은 상기 제1스프링(44)의 타측단과 연결되어지지된다. 상기 플러그(12)는 상기 본체부(10)의 일측에 결합된다. 상기 파일럿 시트(40)는 일측단은 상기 메인포핏(20)의 외경에 결합되는 동시에 타측단은 상기 플러그(12)와 맞닿아서 상기 피스톤(26)을 비롯하여 상기 제1스프링(44) 및 상기 제2스로틀(48)의 외경을 감싸며 위치한다. 상기 파일럿 포펫(28)은 상기 플러그(12)의 내부에 상기 제2스로틀(48)과 당접 가능하게 내재된다. 상기 제2스프링(46)은 상기 파일럿 포펫(28)과 상기 플러그(12)의 타측부를 마감하는 캡 사이에 탄성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파일럿 포펫(28)은 일단이 상기 제2스프링(46)의 일단에 삽입되어 상기 제2스프링(46)의 일단의 내경을 가압하여 지지할 있도록 형성되고, 외주면은 요철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12)는 내주면이 상기 파일럿 포펫(28)이 요동되지 않도록 상기 파일럿 포펫(28)의 외주면과 형합하도록 요철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러그(12)의 내주면과, 파일럿 포펫(28)의 외주면이 형합하도록 요철된다. 따라서 파일럿 포펫(28)의 동심을 유지한 채 슬라이딩을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파일럿 포펫(28)의 일단이 제2스프링(46)의 내경을 가압하여 지지하도록 삽입된다. 그래서 제2스프링946)과 파일럿 포펫(28) 간에 동심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릴리프 밸브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파일럿 포펫(28)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플러그(12)의 종단면도,
도 4는 종래의 릴리프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릴리프 밸브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며, 차이가 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파일럿 포펫(28)은 일단(a)이 제2스프링(46)의 일단에 삽입되어 제2스프링(46)의 일단의 내경을 가압하여 지지할 있도록 형성된다. 즉 파일럿 포펫(28)의 일단(a)이 제2스프링(46)의 일단에 삽입되면 제2스프링(46)의 내경과 파일럿 포펫(28)의 일단(a)과의 사이에 유격이 없도록 형성된다. 그래서 제2스프링(46)은 파일럿 포펫(28)에서 흔들리지 않는다. 또한 파일럿 포펫(28)의 외주면(b)은 요철이 형성된다.
플러그(12)는 파일럿 포펫(28)의 슬라이딩을 안내한다. 이때 플러그(12)의 내주편(c)은 파일럿 포펫(28)의 요철이 형성된 외주면(b)과 형합하도록 요철이 형성된다. 따라서 파일럿 포펫(28)이 플러그(12) 내에서 슬라이딩을 할 때 흔들리지 않는다.
그래서 파일럿 포펫(28)은 플러그(12) 내에서 안정적으로 슬라이딩을 할 수 있으며, 파일럿 포펫(28)의 일단이 제2스프링(46)에 삽입되어 지지하므로 제2스프링(46)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파일럿 포펫(28)이 플러그(12) 내부에서 동심이 유지되면서 슬라이딩되고, 제2스프링(26)이 파일럿 포펫(28)의 일단(a)에 의하여 고정되므로 제2스프링(26)의 동심도 유지될 수 있다.
10 : 본체부 14 : 고압실
16 : 저압실 18 : 배압실
20 : 메인포핏 22 : 제1스로틀
24 : 파일럿 통로 26 : 피스톤
28 : 파일럿 포펫 34 : 내부통로
40 : 파일럿시트 44 : 제1스프링
46 : 제2스프링 48 : 제2스로틀
12 : 플러그

Claims (1)

  1. 밸브체의 내부에 고압실(14), 저압실(16) 및 배압실(18)을 갖춘 본체부(10)와,
    상기 고압실(14)과 상기 저압실(16)과의 사이를 개폐 제어하며 내부에 내부통로(34)가 형성된 메인포핏(20)과,
    상기 메인포핏(20)의 내부통로(34)에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스로틀(22)과,
    상기 제1스로틀(22)의 반대쪽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통로(34)의 바깥쪽 외주부에 걸리며 위치하는 피스톤(26)과,
    상기 제1스로틀(22)과 상기 피스톤(26) 사이 구간 내부에 형성되는 파일럿통로(24)와,
    상기 피스톤(26)의 외경에 일측단이 삽입되어 탄성지지되는 제1스프링(44)과,
    상기 제1스프링(44)의 타측단과 연결되어지지되는 제2스로틀(48)과;
    상기 본체부(10)의 일측에 결합된 플러그(12)와,
    일측단은 상기 메인포핏(20)의 외경에 결합되는 동시에 타측단은 상기 플러그(12)와 맞닿아서 상기 피스톤(26)을 비롯하여 상기 제1스프링(44) 및 상기 제2스로틀(48)의 외경을 감싸며 위치하는 파일럿 시트(40)와;
    상기 플러그(12)의 내부에 상기 제2스로틀(48)과 당접 가능하게 내재되는 파일럿 포펫(28)과;
    상기 파일럿 포펫(28)과 상기 플러그(12)의 타측부를 마감하는 캡 사이에 탄성지지되는 제2스프링(46)을 포함하는 릴리프 밸브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포펫(28)은 일단이 상기 제2스프링(46)의 일단에 삽입되어 상기 제2스프링(46)의 일단의 내경을 가압하여 지지할 있도록 형성되고, 외주면은 요철되어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12)는 내주면이 상기 파일럿 포펫(28)이 요동되지 않도록 상기 파일럿 포펫(28)의 외주면과 형합하도록 요철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 밸브.
KR1020200034439A 2020-03-20 2020-03-20 차량용 릴리프 밸브 KR2021011776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439A KR20210117765A (ko) 2020-03-20 2020-03-20 차량용 릴리프 밸브
KR1020210132791A KR102358811B1 (ko) 2020-03-20 2021-10-07 차량용 릴리프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439A KR20210117765A (ko) 2020-03-20 2020-03-20 차량용 릴리프 밸브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791A Division KR102358811B1 (ko) 2020-03-20 2021-10-07 차량용 릴리프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765A true KR20210117765A (ko) 2021-09-29

Family

ID=7792499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4439A KR20210117765A (ko) 2020-03-20 2020-03-20 차량용 릴리프 밸브
KR1020210132791A KR102358811B1 (ko) 2020-03-20 2021-10-07 차량용 릴리프 밸브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791A KR102358811B1 (ko) 2020-03-20 2021-10-07 차량용 릴리프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117765A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2125Y2 (ja) * 1992-04-27 1998-09-30 東芝機械株式会社 リリーフ弁
JP4302302B2 (ja) * 2000-08-24 2009-07-22 カヤバ工業株式会社 直動型リリーフ弁
KR101141177B1 (ko) * 2011-06-28 2012-05-02 파카코리아 주식회사 건설중장비 차량용 릴리프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963A (ko) 2021-10-19
KR102358811B1 (ko)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5701B2 (en) Adjustable oscillation damper
US6986362B2 (en) Pilot operated relief valve
US8146897B2 (en) Self-pumping hydropneumatic spring strut with internal level control
US8424614B2 (en) Hydraulic hammer
WO2005087444A1 (en) Hydraulic pressure accumulator
KR102358811B1 (ko) 차량용 릴리프 밸브
ES2296139T3 (es) Martillo rompedor hidraulico.
KR101265550B1 (ko) 직동형 릴리프밸브
KR101141177B1 (ko) 건설중장비 차량용 릴리프 밸브
US10562165B2 (en) Hydraulic hammer
CN112412773A (zh) 一种用于柱塞泵的功率控制阀
JP2007146947A (ja) 油圧緩衝器
JPH08303538A (ja) 油圧式テンショナ
JP2017217727A (ja) 油圧ダウンザホールドリルの打撃機構
JP2002031106A (ja) シリンダのクッション構造
KR100263818B1 (ko) 릴리프 밸브
JP4657519B2 (ja) 緩衝装置
KR102571846B1 (ko) 보지밸브 부착 공기압 실린더 장치
KR102609876B1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JP3609634B2 (ja) シリンダ装置
JP7479807B2 (ja) 弁および建設機械
JP6780820B2 (ja) エアシリンダ
JPS6114683Y2 (ko)
JPS5824570Y2 (ja) ハイドロニユ−マチツクサスペンシヨン
KR20220122865A (ko) 압축기용 체크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