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876B1 -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 Google Patents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876B1
KR102609876B1 KR1020180113888A KR20180113888A KR102609876B1 KR 102609876 B1 KR102609876 B1 KR 102609876B1 KR 1020180113888 A KR1020180113888 A KR 1020180113888A KR 20180113888 A KR20180113888 A KR 20180113888A KR 102609876 B1 KR102609876 B1 KR 102609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ief valve
working fluid
closing member
flow path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4283A (ko
Inventor
이수윤
이정욱
신재윤
정승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3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876B1/ko
Publication of KR20200034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021Generation or control of line pressure
    • F16H61/0025Supply of control fluid; Pumps therefo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01B33/082Transmissions; Gearings; Power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으로부터 전달된 구동을 이용하여 작동유체를 유동시키는 유압펌프; 제1유로부재와 제2유로부재 각각을 통해 상기 유압펌프에 연결된 유압모터; 상기 제1유로부재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을 제어하도록 상기 제1유로부재에 연결된 제1릴리프밸브; 상기 제2유로부재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을 제어하도록 상기 제2유로부재에 연결된 제2릴리프밸브; 상기 제1릴리프밸브와 상기 제2릴리프밸브 각각에 연결된 연통부; 및 상기 제1유로부재, 상기 제1릴리프밸브, 상기 연통부, 상기 제2릴리프밸브, 및 상기 제2유로부재 간에 작동유체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저감부를 포함하되, 상기 저감부는 소음 저감 성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Transmission of Agricultural Vehicle}
본 발명은 농업용 작업차량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업용 작업차량은 땅을 이용하여 인간 생활에 필요한 작물을 재배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콤바인(Combine), 트랙터(Tractor) 등이 농업용 작업차량에 해당한다. 콤바인은 벼, 보리, 밀, 콩 등의 작물을 예취하여 탈곡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트랙터는 견인력을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농업용 작업차량은 작업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토크, 속도 등을 조절하기 위해 변속장치를 포함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는 유압펌프와 유압모터 간에 작동유체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많은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유압펌프와 유압모터 간에 작동유체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으로부터 전달된 구동을 이용하여 작동유체를 유동시키는 유압펌프; 제1유로부재와 제2유로부재 각각을 통해 상기 유압펌프에 연결된 유압모터; 상기 제1유로부재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을 제어하도록 상기 제1유로부재에 연결된 제1릴리프밸브; 상기 제2유로부재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을 제어하도록 상기 제2유로부재에 연결된 제2릴리프밸브; 상기 제1릴리프밸브와 상기 제2릴리프밸브 각각에 연결된 연통부; 및 상기 제1유로부재, 상기 제1릴리프밸브, 상기 연통부, 상기 제2릴리프밸브, 및 상기 제2유로부재 간에 작동유체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저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감부는 소음 저감 성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압펌프와 유압모터 간에 작동유체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소음 발생의 원인이 되는 부품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업용 작업차량의 운행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에 있어서 제1릴리프밸브에 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에 있어서 제2릴리프밸브에 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8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에 있어서 저감부에 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트랙터, 콤바인 등과 같은 농업용 작업차량(미도시)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미도시)으로부터 전달된 구동에 대해 필요에 따라 토크, 속도 등을 조절하는 변속기능을 구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정유압식 변속기(Hydrostatic Transmission, HST)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차량본체(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유압펌프(2), 유압모터(3), 제1릴리프밸브(4), 및 제2릴리프밸브(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압펌프(2)는 상기 엔진으로부터 전달된 구동을 이용하여 작동유체를 유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유압펌프(2)는 제1유로부재(21) 및 제2유로부재(22) 각각을 통해 상기 유압모터(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부재(21) 및 상기 제2유로부재(22)는 각각 작동유체가 유동하기 위한 통로로 기능한다. 상기 제1유로부재(21) 및 상기 유로부재(22)는 각각 파이프(Pipe), 호스(Hose), 튜브(Tub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부재(21) 및 상기 제2유로부재(22)는 각각 변속기본체(미도시)에 형성된 홈, 관통공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변속기본체는 상기 유압펌프(2) 및 상기 유압모터(3)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유압펌프(2)는 상기 제1유로부재(21)를 통해 작동유체를 상기 유압모터(3) 쪽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유로부재(22)를 통해 유동하는 작동유체는 상기 유압모터(3)에서 상기 유압펌프(2) 쪽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유압펌프(2)는 상기 제2유로부재(22)를 통해 작동유체를 상기 유압모터(3) 쪽으로 유동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유로부재(21)를 통해 유동하는 작동유체는 상기 유압모터(3)에서 상기 유압펌프(2) 쪽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유압펌프(2)가 갖는 펌프회전기구가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펌프회전기구가 회전하는 방향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탑승한 운전자가 조작부(100)를 조작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운전자가 상기 조작부(100)를 통해 전진변속 및 후진변속 중에서 어느 하나가 이루어지도록 조작함에 따라 상기 펌프회전기구가 회전하는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펌프회전기구는 복수개의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압펌프(2)는 사판(斜板)이 기울어지는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1유로부재(21)와 상기 제2유로부재(22) 각각을 통해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을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판이 기울어지는 각도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탑승한 운전자가 상기 조작부(100)를 조작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운전자가 상기 조작부(100)를 통해 주행속도가 조절되도록 조작함에 따라 상기 사판이 기울어지는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유압모터(3)는 상기 제1유로부재(21) 및 상기 제2유로부재(22) 각각을 통해 상기 유압펌프(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압모터(3)는 상기 제1유로부재(21) 및 상기 제2유로부재(22) 각각을 통해 유동하는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유압모터(3)는 모터회전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회전기구는 복수개의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회전기구는 상기 제1유로부재(21) 및 상기 제2유로부재(22) 각각을 통해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동방향에 따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컨대, 작동유체가 상기 제1유로부재(21)를 통해 상기 유압펌프(2)에서 상기 유압모터(3) 쪽으로 유동함과 아울러 작동유체가 상기 제2유로부재(22)를 통해 상기 유압모터(3)에서 상기 유압펌프(2) 쪽으로 유동하는 경우, 상기 모터회전기구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컨대, 작동유체가 상기 제2유로부재(22)를 통해 상기 유압펌프(2)에서 상기 유압모터(3) 쪽으로 유동함과 아울러 작동유체가 상기 제1유로부재(21)를 통해 상기 유압모터(3)에서 상기 유압펌프(2) 쪽으로 유동하는 경우, 상기 모터회전기구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모터회전기구는 상기 제1유로부재(21) 및 상기 제2유로부재(22) 각각을 통해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에 따라 회전하는 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유압모터(3)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이 갖는 후속변속부(2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속변속부(200)는 상기 유압모터(3)로부터 전달된 구동에 대해 추가 변속을 수행한 후에, 추가 변속을 수행한 구동을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차축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후속변속부(200)는 기계식으로 변속을 수행하는 부변속부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제1릴리프밸브(4)는 상기 제1유로부재(21)에 연결된 것이다. 상기 제1릴리프밸브(4)는 제1연결부재(40)를 통해 상기 제1유로부재(2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릴리프밸브(4)는 연통부(6)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통부(6)는 상기 제1릴리프밸브(4), 상기 제2릴리프밸브(5), 및 저장탱크(300)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릴리프밸브(4)는 상기 제1유로부재(21)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릴리프밸브(4)는 제1밸브본체(41), 제1밸브시트(42), 제1저압개폐부재(43), 제1고압개폐부재(44), 제1저압탄성부재(45), 및 제1고압탄성부재(4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밸브본체(41)는 상기 제1밸브시트(42), 상기 제1저압개폐부재(43), 상기 제2개폐부재(44), 상기 제1저압탄성부재(45), 및 제1고압탄성부재(46)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1밸브본체(41)는 상기 제1연결부재(40) 및 상기 연통부(6) 각각에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밸브본체(41)는 상기 제1릴리프밸브(4) 및 상기 제2릴리프밸브(5)가 결합되는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연결부재(40) 및 상기 연통부(6)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홈, 관통공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릴리프밸브(4)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1설치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밸브시트(42)는 상기 제1밸브본체(41)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1밸브시트(42)에는 제1연통공(4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통공(421)은 상기 제1밸브시트(42)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통공(421)은 상기 제1밸브본체(41)의 내부와 상기 연통부(6) 간에 작동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압개폐부재(43)는 상기 제1연통공(421)을 개폐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1저압개폐부재(43)는 상기 제1밸브본체(41)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저압개폐부재(43)는 상기 제1밸브시트(42)에 접촉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동유체는 상기 제1저압개폐부재(43)와 상기 제1밸브시트(42)의 사이를 통과할 수 없도록 차단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저압개폐부재(43)는 상기 제1밸브시트(42)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동유체는 상기 제1저압개폐부재(43)와 상기 제1밸브시트(42)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압개폐부재(43)에는 제1통과공(4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통과공(431)은 상기 제1저압개폐부재(43)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통과공(431)은 상기 제1밸브본체(41)의 내부와 상기 제1연통공(421) 간에 작동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압개폐부재(44)는 상기 제1통과공(431)을 개폐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1고압개폐부재(44)는 상기 제1밸브본체(41)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압개폐부재(44)는 상기 제1저압개폐부재(43)에 접촉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동유체는 상기 제1고압개폐부재(44)와 상기 제1저압개폐부재(43)의 사이를 통과할 수 없도록 차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고압개폐부재(44)는 상기 제1통과공(431)을 폐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저압개폐부재(43)가 상기 제1밸브시트(42)에 접촉된 상태이면, 상기 제1고압개폐부재(44) 및 상기 제1저압개폐부재(43)는 상기 제1연통공(42)을 폐쇄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압개폐부재(44)는 상기 제1저압개폐부재(43)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동유체는 상기 제1고압개폐부재(44)와 상기 제1저압개폐부재(43)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고압개폐부재(44)는 상기 제1통과공(431)을 개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저압개폐부재(43)가 상기 제1밸브시트(42)에 접촉된 상태이더라도 상기 제1고압개폐부재(44)가 상기 제1저압개폐부재(43)로부터 이격된 상태이면, 작동유체는 상기 제1통과공(431)을 통해 상기 제1밸브본체(41)의 내부 및 상기 연통부(6) 간에 유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고압개폐부재(44)가 상기 제1통과공(431)을 폐쇄시킨 상태이더라도 상기 제1저압개폐부재(43)가 상기 제1밸브시트(42)로부터 이격된 상태이면, 작동유체는 상기 제1저압개폐부재(43)와 상기 제1밸브시트(42)의 사이를 통해 상기 제1밸브본체(41)의 내부 및 상기 연통부(6) 간에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압탄성부재(45)는 상기 제1저압개폐부재(43)가 상기 제1밸브시트(42)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저압개폐부재(43)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1저압탄성부재(45)는 상기 제1밸브본체(4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압탄성부재(45)는 상기 제1밸브본체(41)와 상기 제1고압개폐부재(4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압탄성부재(45)는 일측이 상기 제1밸브본체(41)에 지지됨과 아울러 타측이 상기 제1고압개폐부재(44)를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저압탄성부재(45)는 상기 제1밸브본체(41)에 지지된 일측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고압개폐부재(44)를 탄성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저압개폐부재(43)가 상기 제1밸브시트(42)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저압개폐부재(43)를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압탄성부재(45)는 스프링(Spring)일 수 있다.
상기 제1고압탄성부재(46)는 상기 제1고압개폐부재(44)가 상기 제1저압개폐부재(43)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고압개폐부재(44)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1고압탄성부재(46)는 상기 제1밸브본체(4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압탄성부재(46)는 상기 제1저압개폐부재(43)와 상기 제1고압개폐부재(4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압탄성부재(46)는 일측이 상기 제1저압개폐부재(43)에 지지됨과 아울러 타측이 상기 제1고압개폐부재(44)를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고압탄성부재(46)는 상기 제1저압개폐부재(43)에 지지된 일측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고압개폐부재(44)를 탄성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고압개폐부재(44)가 상기 제1저압개폐부재(43)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고압개폐부재(44)를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압탄성부재(46) 및 상기 제1저압탄성부재(45)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압탄성부재(46)는 스프링(Spring)일 수 있다.
상기 제1릴리프밸브(4)가 상기 제1유로부재(21)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을 제어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제1유로부재(21)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이 기설정된 제1기준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제1릴리프밸브(4)는 상기 연통부(6)에 연결된 통로를 폐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유로부재(21)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는 상기 제1릴리프밸브(4)를 통과하지 못하므로, 상기 연통부(6)로 배출되지 않는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저압개폐부재(43)가 상기 제1밸브시트(42)에 접촉됨과 아울러 상기 제1고압개폐부재(44)가 상기 제1저압개폐부재(43)에 접촉된 상태일 수 있다.
다음, 상기 제1유로부재(21)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이 상기 제1기준범위를 초과한 경우, 상기 제1릴리프밸브(4)는 상기 연통부(6)에 연결된 통로를 개방시킨다. 이 경우, 상기 제1유로부재(21)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은 고압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릴리프밸브(4)가 상기 연통부(6)에 연결된 통로를 개방시킴에 따라, 상기 제1유로부재(21)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일부는 상기 제1릴리프밸브(4)를 통과하여 상기 연통부(6) 쪽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릴리프밸브(4)는 상기 제1유로부재(21)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을 감소시킴으로써, 과압에 의해 상기 유압펌프(2), 상기 유압모터(3) 등이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릴리프밸브(4)는 오버로드 릴리프 밸브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1릴리프밸브(4)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는 상기 연통부(6)를 통해 상기 제2릴리프밸브(5) 쪽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1릴리프밸브(4)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는 일부가 상기 제2릴리프밸브(5) 쪽으로 유동함과 아울러 나머지 일부가 상기 저장탱크(300) 쪽으로 유동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유로부재(21)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이 고압에 해당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압개폐부재(44)는 상기 제1유로부재(21)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에 밀려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저압개폐부재(43)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유로부재(21)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는 상기 제1고압개폐부재(44)와 상기 제1저압개폐부재(43)의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연통부(6) 쪽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저압개폐부재(43)는 상기 제1밸브시트(42)에 접촉된 상태일 수 있다.
다음, 상기 제1유로부재(21)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이 상기 제1기준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제1릴리프밸브(4)는 상기 연통부(6)에 연결된 통로를 개방시킨다. 이 경우, 상기 제1유로부재(21)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은 저압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릴리프밸브(4)가 상기 연통부(6)에 연결된 통로를 개방시킴에 따라, 상기 연통부(6)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일부는 상기 제1릴리프밸브(4)를 통과하여 상기 제1유로부재(21) 쪽으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릴리프밸브(4)는 상기 제1유로부재(21)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을 증가시킴으로써, 공동 현상에 의해 상기 유압펌프(2), 상기 유압모터(3) 등이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릴리프밸브(4)는 안티캐비테이션 밸브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연통부(6)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는 상기 제2릴리프밸브(5)로부터 배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릴리프밸브(5)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는 상기 연통부(6)를 통해 상기 제1릴리프밸브(4) 쪽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2릴리프밸브(5)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는 일부가 상기 제1릴리프밸브(4) 쪽으로 유동함과 아울러 나머지 일부가 상기 저장탱크(300) 쪽으로 유동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유로부재(21)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이 저압에 해당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저압개폐부재(43)는 상기 연통부(6)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에 밀려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밸브시트(42)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통부(6)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는 상기 제1저압개폐부재(43)와 상기 제1밸브시트(42)의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제1유로부재(21) 쪽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고압개폐부재(44)는 상기 제1저압개폐부재(43)에 접촉된 상태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를 참고하면, 상기 제2릴리프밸브(5)는 상기 제2유로부재(22)에 연결된 것이다. 상기 제2릴리프밸브(5)는 제2연결부재(50)를 통해 상기 제2유로부재(2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릴리프밸브(4)는 상기 연통부(6)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릴리프밸브(5) 및 상기 제1릴리프밸브(4)는 상기 연통부(6)를 기준으로 하여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릴리프밸브(5)는 상기 제2유로부재(22)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릴리프밸브(5)는 제2밸브본체(51), 제2밸브시트(52), 제2저압개폐부재(53), 제2고압개폐부재(54), 제2저압탄성부재(55), 및 제2고압탄성부재(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밸브본체(51)는 상기 제2밸브시트(52), 상기 제2저압개폐부재(53), 상기 제2개폐부재(44), 상기 제2저압탄성부재(55), 및 제2고압탄성부재(56)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2밸브본체(51)는 상기 제2연결부재(50) 및 상기 연통부(6) 각각에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밸브본체(51)는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릴리프밸브(5)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2설치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밸브시트(52)는 상기 제2밸브본체(51)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2밸브시트(52)에는 제2연통공(5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통공(521)은 상기 제2밸브시트(52)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통공(521)은 상기 제2밸브본체(51)의 내부와 상기 연통부(6) 간에 작동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2저압개폐부재(53)는 상기 제2연통공(521)을 개폐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2저압개폐부재(53)는 상기 제2밸브본체(51)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저압개폐부재(53)는 상기 제2밸브시트(52)에 접촉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동유체는 상기 제2저압개폐부재(53)와 상기 제2밸브시트(52)의 사이를 통과할 수 없도록 차단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저압개폐부재(53)는 상기 제2밸브시트(52)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동유체는 상기 제2저압개폐부재(53)와 상기 제2밸브시트(52)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2저압개폐부재(53)에는 제2통과공(5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통과공(531)은 상기 제2저압개폐부재(53)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통과공(531)은 상기 제2밸브본체(51)의 내부와 상기 제2연통공(521) 간에 작동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압개폐부재(54)는 상기 제2통과공(531)을 개폐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2고압개폐부재(54)는 상기 제2밸브본체(51)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고압개폐부재(54)는 상기 제2저압개폐부재(53)에 접촉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동유체는 상기 제2고압개폐부재(54)와 상기 제2저압개폐부재(53)의 사이를 통과할 수 없도록 차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고압개폐부재(54)는 상기 제2통과공(531)을 폐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저압개폐부재(53)가 상기 제2밸브시트(52)에 접촉된 상태이면, 상기 제2고압개폐부재(54) 및 상기 제2저압개폐부재(53)는 상기 제1연통공(42)을 폐쇄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고압개폐부재(54)는 상기 제2저압개폐부재(53)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동유체는 상기 제2고압개폐부재(54)와 상기 제2저압개폐부재(53)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고압개폐부재(54)는 상기 제2통과공(531)을 개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저압개폐부재(53)가 상기 제2밸브시트(52)에 접촉된 상태이더라도 상기 제2고압개폐부재(54)가 상기 제2저압개폐부재(53)로부터 이격된 상태이면, 작동유체는 상기 제2통과공(531)을 통해 상기 제2밸브본체(51)의 내부 및 상기 연통부(6) 간에 유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고압개폐부재(54)가 상기 제2통과공(531)을 폐쇄시킨 상태이더라도 상기 제2저압개폐부재(53)가 상기 제2밸브시트(52)로부터 이격된 상태이면, 작동유체는 상기 제2저압개폐부재(53)와 상기 제2밸브시트(52)의 사이를 통해 상기 제2밸브본체(51)의 내부 및 상기 연통부(6) 간에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2저압탄성부재(55)는 상기 제2저압개폐부재(53)가 상기 제2밸브시트(52)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저압개폐부재(53)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2저압탄성부재(55)는 상기 제2밸브본체(5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압탄성부재(55)는 상기 제2밸브본체(51)와 상기 제2고압개폐부재(5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압탄성부재(55)는 일측이 상기 제2밸브본체(51)에 지지됨과 아울러 타측이 상기 제2고압개폐부재(54)를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저압탄성부재(55)는 상기 제2밸브본체(51)에 지지된 일측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고압개폐부재(54)를 탄성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2저압개폐부재(53)가 상기 제2밸브시트(52)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저압개폐부재(53)를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2저압탄성부재(55)는 스프링(Spring)일 수 있다.
상기 제2고압탄성부재(56)는 상기 제2고압개폐부재(54)가 상기 제2저압개폐부재(53)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고압개폐부재(54)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2고압탄성부재(56)는 상기 제2밸브본체(5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압탄성부재(56)는 상기 제2저압개폐부재(53)와 상기 제2고압개폐부재(5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압탄성부재(56)는 일측이 상기 제2저압개폐부재(53)에 지지됨과 아울러 타측이 상기 제2고압개폐부재(54)를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고압탄성부재(56)는 상기 제2저압개폐부재(53)에 지지된 일측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고압개폐부재(54)를 탄성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2고압개폐부재(54)가 상기 제2저압개폐부재(53)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고압개폐부재(54)를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압탄성부재(56) 및 상기 제2저압탄성부재(55)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압탄성부재(56)는 스프링(Spring)일 수 있다.
상기 제2릴리프밸브(5)가 상기 제2유로부재(22)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을 제어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제2유로부재(22)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이 기설정된 제2기준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제2릴리프밸브(5)는 상기 연통부(6)에 연결된 통로를 폐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유로부재(22)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는 상기 제2릴리프밸브(5)를 통과하지 못하므로, 상기 연통부(6)로 배출되지 않는다.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저압개폐부재(53)가 상기 제2밸브시트(52)에 접촉됨과 아울러 상기 제2고압개폐부재(54)가 상기 제2저압개폐부재(53)에 접촉된 상태일 수 있다.
다음, 상기 제2유로부재(22)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이 상기 제2기준범위를 초과한 경우, 상기 제2릴리프밸브(5)는 상기 연통부(6)에 연결된 통로를 개방시킨다. 이 경우, 상기 제2유로부재(22)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은 고압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2릴리프밸브(5)가 상기 연통부(6)에 연결된 통로를 개방시킴에 따라, 상기 제2유로부재(22)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일부는 상기 제2릴리프밸브(5)를 통과하여 상기 연통부(6) 쪽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릴리프밸브(5)는 상기 제2유로부재(22)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을 감소시킴으로써, 과압에 의해 상기 유압펌프(2), 상기 유압모터(3) 등이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릴리프밸브(5)는 오버로드 릴리프 밸브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2릴리프밸브(5)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는 상기 연통부(6)를 통해 상기 제1릴리프밸브(4) 쪽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릴리프밸브(4)는 상기 제1유로부재(21)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이 저압에 해당함에 따라 상기 연통부(6)에 연결된 통로를 개방시킨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릴리프밸브(5)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는 상기 제1릴리프밸브(4)를 통과하여 상기 제1유로부재(21)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2릴리프밸브(5)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는 일부가 상기 제1릴리프밸브(4) 쪽으로 유동함과 아울러 나머지 일부가 상기 저장탱크(300) 쪽으로 유동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유로부재(22)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이 고압에 해당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고압개폐부재(54)는 상기 제2유로부재(22)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에 밀려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저압개폐부재(53)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유로부재(22)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는 상기 제2고압개폐부재(54)와 상기 제2저압개폐부재(53)의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연통부(6) 쪽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저압개폐부재(53)는 상기 제2밸브시트(52)에 접촉된 상태일 수 있다.
다음, 상기 제2유로부재(22)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이 상기 제2기준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제2릴리프밸브(5)는 상기 연통부(6)에 연결된 통로를 개방시킨다. 이 경우, 상기 제2유로부재(22)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은 저압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2릴리프밸브(5)가 상기 연통부(6)에 연결된 통로를 개방시킴에 따라, 상기 연통부(6)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일부는 상기 제2릴리프밸브(5)를 통과하여 상기 제2유로부재(22) 쪽으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릴리프밸브(5)는 상기 제2유로부재(22)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을 증가시킴으로써, 공동 현상에 의해 상기 유압펌프(2), 상기 유압모터(3) 등이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릴리프밸브(5)는 안티캐비테이션 밸브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연통부(6)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는 상기 제1릴리프밸브(4)로부터 배출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릴리프밸브(4)는 상기 제1유로부재(21)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이 고압에 해당함에 따라 상기 연통부(6)에 연결된 통로를 개방시킨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제1릴리프밸브(4)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는 상기 연통부(6)를 통해 상기 제2릴리프밸브(5) 쪽으로 유동한 후에, 상기 제2릴리프밸브(5)를 통과하여 상기 제2유로부재(22)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릴리프밸브(4)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는 일부가 상기 제2릴리프밸브(5) 쪽으로 유동함과 아울러 나머지 일부가 상기 저장탱크(300) 쪽으로 유동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유로부재(22)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이 저압에 해당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저압개폐부재(53)는 상기 연통부(6)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에 밀려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밸브시트(52)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통부(6)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는 상기 제2저압개폐부재(53)와 상기 제2밸브시트(52)의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제2유로부재(22) 쪽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고압개폐부재(54)는 상기 제2저압개폐부재(53)에 접촉된 상태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저감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감부(10)는 작동유체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것이다. 상기 저감부(10)는 상기 제1릴리프밸브(4) 및 상기 제2릴리프밸브(5)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저감부(10)는 레저네이터(Resonator)로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감부(10)는 공진주파수를 이용하여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저감부(10)는 본체(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저감부(10)가 상기 제1릴리프밸브(4, 도 2에 도시됨)에 결합된 경우, 상기 제1밸브본체(41, 도 2에 도시됨)가 상기 본체(20)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저감부(10)가 상기 제2릴리프밸브(5, 도 5에 도시됨)에 결합된 경우, 상기 제2밸브본체(51, 도 5에 도시됨)가 상기 본체(20)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저감부(10)가 상기 연통부(6, 도 2에 도시됨)에 결합된 경우, 상기 연통부(6, 도 2에 도시됨)가 상기 본체(20)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밸브본체(41), 상기 제2밸브본체(51), 및 상기 연통부(6)가 상기 하우징으로 일체화되어 구현된 경우, 상기 하우징이 상기 본체(20)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저감부(10)는 작동유체가 유입되기 위한 공명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20)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이 증가하는 경우, 상기 공명실에는 상기 본체(20)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일부가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저감부(10)는 상기 본체(20)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이 증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본체(20)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본체(20)의 내부에 위치한 부품들이 진동 등으로 인해 서로 반복적으로 부딪힘에 따라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저감부(10)가 상기 제1릴리프밸브(4)에 결합된 경우, 상기 제1저압개폐부재(43) 및 상기 제1밸브시트(42)가 진동 등으로 인해 서로 반복적으로 부딪힘에 따라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본체(20)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일부가 상기 공명실로 유입됨으로써, 상기 저감부(10)는 상기 본체(20)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 증가로 인한 진동 등을 감소시킴으로써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상기 저감부(10)에 관해 여러 가지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저감부(10)의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8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는 연통실(11), 연결실(12), 확장실(13), 제1커버부재(14), 및 조절부재(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통실(11), 상기 연결실(12), 및 상기 확장실(13)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통실(11), 상기 연결실(12), 및 상기 확장실(13)이 상기 공명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연통실(11), 상기 연결실(12), 및 상기 확장실(13)은 상기 본체(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실(11)은 상기 본체(20)의 내부에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실(12)은 상기 연통실(11) 및 상기 확장실(13) 각각에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실(12)은 상기 연통실(11) 및 상기 확장실(1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확장실(13)은 상기 연결실(12)에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실(11), 상기 연결실(12), 및 상기 확장실(13)은 각각 상기 본체(20)에 홈(Groove) 내지 구멍(Hole)을 가공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연통실(11)은 상기 확장실(13)에 비해 더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실(11) 및 상기 확장실(13)이 원통 형태로 형성된 경우, 상기 연통실(11)의 직경(11D)은 상기 확장실(13)의 직경(13D)에 비해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실(12)은 상기 연통실(11)에 연결된 부분에서 상기 확장실(13)에 연결된 부분으로 연장될수록 크기가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실(11) 및 상기 확장실(13)이 원통 형태로 형성된 경우, 상기 연결실(12)은 원뿔대(Truncated Con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실(11)이 형성된 내면 및 상기 확장실(13)이 형성된 내면을 연결하는 연결면(121)은,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면(121)은 내각이 120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장실(13)은 상기 본체(20)의 외부에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장실(13)은 상기 연결실(12) 및 상기 연통실(11) 각각에 비해 더 큰 부피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장실(13)은 전체적으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부재(14)는 상기 본체(20)에서 상기 확장실(13)로 인해 개방된 부분을 막도록 상기 본체(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부재(14)는 상기 조절부재(15) 및 상기 확장실(13)에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부재(14)는 제1덮개부재(141), 및 제1삽입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덮개부재(141)는 상기 조절부재(15)에 지지되는 것이다. 상기 제1덮개부재(141)는 상기 제1삽입부재(142)에 비해 더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덮개부재(141) 및 상기 제1삽입부재(142)가 원통 형태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제1덮개부재(141)는 상기 제1삽입부재(142)에 비해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덮개부재(141)는 상기 제1삽입부재(14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덮개부재(141) 및 상기 제1삽입부재(14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삽입부재(142)는 상기 조절부재(15) 및 상기 확장실(13)에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제1삽입부재(142)는 상기 제1덮개부재(14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부재(142)에는 밀폐부재(143)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부재(142)가 상기 조절부재(15) 및 상기 확장실(13)에 삽입되면, 상기 밀폐부재(143)는 상기 제1삽입부재(142) 및 상기 본체(20)의 내벽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밀폐부재(143)는 상기 제1삽입부재(142) 및 상기 본체(20)의 내벽 사이를 통해 작동유체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15)는 상기 제1삽입부재(142)가 상기 확장실(13)에 삽입되는 삽입깊이(ID, 도 9에 도시됨)를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조절부재(15)는 상기 제1덮개부재(141) 및 상기 본체(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덮개부재(141)는 상기 조절부재(15)의 두께(15T, 도 9에 도시됨)에 따라 상기 본체(20)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삽입부재(142)가 상기 확장실(13)에 삽입되는 삽입깊이(ID)가 상기 조절부재(15)의 두께(15T)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조절부재(15)의 두께(15T)가 두꺼워질수록 상기 제1덮개부재(141)가 상기 본체(20)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삽입깊이(ID)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확장실(13)의 부피가 증가하게 된다. 상기 조절부재(15)의 두께(15T)가 얇아질수록 상기 제1덮개부재(141)가 상기 본체(20)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삽입깊이(ID)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확장실(13)의 부피가 감소하게 된다.
상기 조절부재(15)에는 조절공(15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공(151)은 상기 조절부재(15)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부재(152)는 상기 조절공(151)을 통해 상기 조절부재(15)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확장실(13)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15)는 와셔(Washer)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는 상기 연통실(11)의 길이(11L), 상기 연통실(11)의 직경(11D), 및 상기 공명실의 부피에 따라 소음 저감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공진주파수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연통실(11)의 길이(11L)는 상기 연통실(11)이 연장되어 형성된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확장실(13)이 상기 연통실(11)의 상측에 배치된 경우, 상기 연통실(11)의 길이(11L)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공명실의 부피는 상기 연통실(11)의 부피, 상기 연결실(12)의 부피, 및 상기 확장실(13)의 부피를 모두 합한 것이다. 상기 연통실(11)의 부피는 상기 연통실(12)의 직경(11D) 및 상기 연통실(12)의 길이(11L)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연결실(12)의 부피는 상기 연결실(12)의 최소직경(11D), 상기 연결실(12)의 최대직경(13D), 및 상기 연결실(12)의 길이(12L)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상기 확장실(13)의 부피는 상기 제1삽입부재(142)가 차지하는 부피가 제외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확장실(13)의 부피는 상기 제1삽입부재(142)가 삽입된 삽입깊이(ID)를 제외한 길이(13L) 및 상기 확장실(13)의 직경(13D)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는 상기 조절부재(15)의 교체를 통해 상기 확장실(13)의 부피를 조절함으로써, 소음 저감 성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부재(5)의 두께(15T)가 제1두께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삽입깊이(ID)가 제1삽입깊이로 구현된 경우, 상기 확장실(13)의 부피는 제1부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1조절부재(5)를 상기 제1두께에 비해 더 두꺼운 제2두께로 형성된 것으로 교체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부재(5)의 두께(15T')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삽입깊이(ID')는 상기 제1삽입깊이에 비해 더 작은 제2삽입깊이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확장실(13)의 부피는 상기 제1부피에 비해 더 큰 제2부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1조절부재(5)를 상기 제1두께에 비해 더 얇은 제3두께로 형성된 것으로 교체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부재(5)의 두께(15T")가 감소함에 따라 상기 삽입깊이(ID")는 상기 제1삽입깊이에 비해 더 큰 제3삽입깊이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확장실(13)의 부피는 상기 제1부피에 비해 더 작은 제3부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는 상기 조절부재(15)의 교체를 통해 상기 확장실(13)의 부피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제1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는 상기 조절부재(15)의 교체를 통해 상기 확장실(13)의 부피를 조절하여 소음 저감 성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소음 저감 성능을 조절하기 위한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제1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는 상기 조절부재(15)를 제외한 다른 부품들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소음 저감 성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소음 저감 성능을 조절하기 위한 작업에 대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셋째, 제1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는 상기 조절부재(15)의 교체를 통해 소음 저감 성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다양한 유압조건을 갖는 변속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는 상기 본체(20)의 상부(上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본체(20)가 상기 제1밸브본체(41, 도 2에 도시됨)인 경우, 제1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는 상기 제1밸브본체(41, 도 2에 도시됨)의 상벽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본체(20)가 상기 제2밸브본체(51, 도 5에 도시됨)인 경우, 제1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는 상기 제2밸브본체(51, 도 5에 도시됨)의 상벽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본체(20)가 상기 연통부(6, 도 2에 도시됨)인 경우, 제1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는 상기 연통부(6)의 상벽에 결합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12를 참고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는 상기 연통실(11), 상기 확장실(13), 상기 제1커버부재(14), 및 상기 조절부재(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와 대비할 때 상기 연결실(12, 도 8에 도시됨)이 없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에 있어서, 상기 연통실(11)이 형성된 내면 및 상기 확장실(13)이 형성된 내면을 연결하는 연결면(121)은, 수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실(11), 상기 확장실(13), 상기 제1커버부재(14), 및 상기 조절부재(15)는 각각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에서 설명한 바와 대략 일치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
도 13을 참고하면, 제3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는 상기 연통실(11), 상기 연결실(12), 상기 확장실(13), 상기 제1커버부재(14), 조절부재(15), 및 저감본체(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와 대비할 때 상기 저감본체(16)를 추가로 포함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3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와 대비할 때, 상기 저감본체(16)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20)에 대해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연통실(11), 상기 연결실(12), 상기 확장실(13), 상기 제1커버부재(14), 및 상기 조절부재(15)는 각각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에서 설명한 바와 대략 일치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저감본체(16)는 상기 본체(20)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본체(20)에는 상기 저감본체(16)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감본체(16)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저감본체(16)에는 상기 연통실(11), 상기 연결실(12) 및 상기 확장실(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감본체(16)에는 상기 제1커버부재(14)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저감본체(16)와 상기 제1커버부재(14)의 사이에는 상기 조절부재(1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삽입공에는 상기 저감본체(16)와 상기 본체(20)의 사이를 밀폐시키는 상기 밀폐부재(143, 도 8에 도시됨)가 배치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3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는 제2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와 같이 상기 연결실(12, 도 8에 도시됨)이 없게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연통실(11)이 형성된 내면 및 상기 확장실(13)이 형성된 내면을 연결하는 연결면(121)은, 수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4실시예>
도 14를 참고하면, 제4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는 상기 연통실(11), 상기 연결실(12), 상기 확장실(13), 상기 제1커버부재(14), 및 상기 조절부재(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4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와 대비할 때 배치방향이 다른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경우, 제4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통실(11), 상기 연결실(12), 상기 확장실(13), 상기 제1커버부재(14), 및 상기 조절부재(15)는 각각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에서 설명한 바와 대략 일치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4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는 상기 본체(20)의 측부(側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본체(20)가 상기 제1밸브본체(41, 도 2에 도시됨)인 경우, 제4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는 상기 제1밸브본체(41, 도 2에 도시됨)의 측벽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밸브본체(41, 도 2에 도시됨)의 측벽은 상기 제1저압탄성부재(45, 도 2에 도시됨)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본체(20)가 상기 제2밸브본체(51, 도 5에 도시됨)인 경우, 제4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는 상기 제2밸브본체(51, 도 5에 도시됨)의 측벽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밸브본체(51, 도 5에 도시됨)의 측벽은 상기 제2저압탄성부재(55, 도 5에 도시됨)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본체(20)가 상기 연통부(6, 도 2에 도시됨)인 경우, 제4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는 상기 연통부(6)의 측벽에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4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는 제2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와 같이 상기 연결실(12, 도 8에 도시됨)이 없게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연통실(11)이 형성된 내면 및 상기 확장실(13)이 형성된 내면을 연결하는 연결면(121)은, 수직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5실시예>
도 15를 참고하면, 제5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는 상기 연통실(11), 상기 연결실(12), 상기 확장실(13), 상기 제1커버부재(14), 상기 조절부재(15), 및 상기 저감본체(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5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와 대비할 때 상기 저감본체(16)를 추가로 포함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5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와 대비할 때, 상기 저감본체(16)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20)에 대해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연통실(11), 상기 연결실(12), 상기 확장실(13), 상기 제1커버부재(14), 및 상기 조절부재(15)는 각각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에서 설명한 바와 대략 일치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저감본체(16)는 상기 본체(20)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본체(20)에는 상기 저감본체(16)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감본체(16)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저감본체(16)에는 상기 연통실(11), 상기 연결실(12) 및 상기 확장실(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감본체(16)에는 상기 제1커버부재(14)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저감본체(16)와 상기 제1커버부재(14)의 사이에는 상기 조절부재(1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삽입공에는 상기 저감본체(16)와 상기 본체(20)의 사이를 밀폐시키는 상기 밀폐부재(143, 도 8에 도시됨)가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저감본체(16)는 상기 본체(20)의 측부(側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저감본체(16)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5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저감본체(16)는 탄성부재(30)를 지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0)는 상기 제1저압탄성부재(45, 도 2에 도시됨) 및 상기 제2저압탄성부재(55, 도 5에 도시됨)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5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는 제2커버부재(17)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커버부재(17)는 상기 삽입공을 막도록 상기 본체(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부재(17)에는 상기 연통실(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감본체(16)에는 상기 연결실(12) 및 상기 확장실(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감본체(16)는 상기 제2커버부재(17)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본체(20)에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5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는 제2실시예에 따른 저감부(10)와 같이 상기 연결실(12, 도 8에 도시됨)이 없게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연통실(11)이 형성된 내면 및 상기 확장실(13)이 형성된 내면을 연결하는 연결면(121)은, 수직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제1저감부(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저감부(7)는 상기 제1릴리프밸브(4)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저감부(7)는 상기 제1릴리프밸브(4)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저감부(7)는 상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부재(21)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이 상기 제1기준범위를 초과함에 따라 작동유체가 상기 제1유로부재(21)에서 상기 제1릴리프밸브(4)를 통과하여 상기 연통부(6)로 유동하는 경우, 상기 제1저감부(7)에는 상기 제1릴리프밸브(4)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일부가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유로부재(21)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이 고압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저감부(7)는 상기 제1릴리프밸브(4)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유로부재(21)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이 상기 제1기준범위 미만임에 따라 작동유체가 상기 연통부(6)에서 상기 제1릴리프밸브(4)를 통과하여 상기 제1유로부재(21)로 유동하는 경우, 상기 제1저감부(7)에는 상기 제1릴리프밸브(4)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일부가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유로부재(21)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이 저압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저감부(7)는 상기 제1릴리프밸브(4)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제2저감부(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저감부(8)는 상기 제2릴리프밸브(5)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저감부(8)는 상기 제2릴리프밸브(5)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저감부(8)는 상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유로부재(22)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이 상기 제2기준범위를 초과함에 따라 작동유체가 상기 제2유로부재(22)에서 상기 제2릴리프밸브(5)를 통과하여 상기 연통부(6)로 유동하는 경우, 상기 제2저감부(8)에는 상기 제2릴리프밸브(5)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일부가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유로부재(22)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이 고압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2저감부(8)는 상기 제2릴리프밸브(5)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유로부재(22)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이 상기 제2기준범위 미만임에 따라 작동유체가 상기 연통부(6)에서 상기 제2릴리프밸브(5)를 통과하여 상기 제2유로부재(22)로 유동하는 경우, 상기 제2저감부(8)에는 상기 제2릴리프밸브(5)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일부가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유로부재(22)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이 저압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2저감부(8)는 상기 제2릴리프밸브(5)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상기 제1저감부(7) 및 상기 제2저감부(8)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저감부(7) 및 상기 제2저감부(8)는 상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 중에서 서로 동일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저감부(7) 및 상기 제2저감부(8)는 상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 중에서 서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상기 저감부(10)가 상기 연통부(6)에 결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저감부(10)는 상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저감부(10)에는 상기 제1릴리프밸브(4)로부터 배출된 후에 상기 연통부(6)를 통해 상기 제2릴리프밸브(5) 쪽으로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일부가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유로부재(21)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은 고압에 해당함과 아울러 상기 제2유로부재(22)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은 저압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저감부(10)에는 상기 제2릴리프밸브(5)로부터 배출된 후에 상기 연통부(6)를 통해 상기 제1릴리프밸브(4) 쪽으로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일부가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유로부재(22)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은 고압에 해당함과 아울러 상기 제1유로부재(21)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은 저압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상기 제1유로부재(21)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압력이 고압에 해당하는 경우 및 상기 제2유로부재(22)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압력이 고압에 해당하는 경우 모두에 대해, 하나의 저감부(10)를 이용하여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2 : 유압펌프
3 : 유압모터 4 : 제1릴리프밸브
5 : 제2릴리프밸브 6 : 연통부
7 : 제1저감부 8 : 제2저감부
10 : 저감부 21 : 제1유로부재
22 : 제2유로부재 40 : 제1연결부재
41 : 제1밸브본체 42 : 제1밸브시트
43 : 제1저압개폐부재 44 : 제1고압개폐부재
45 : 제1저압탄성부재 46 : 제1고압탄성부재
50 : 제2연결부재 51 : 제2밸브본체
52 : 제2밸브시트 53 : 제2저압개폐부재
54 : 제2고압개폐부재 55 : 제2저압탄성부재
56 : 제2고압탄성부재 11 : 연통실
12 : 연결실 13 : 확장실
14 : 제1커버부재 15 : 조절부재
16 : 저감본체 17: 제2커버부재

Claims (1)

  1.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으로부터 전달된 구동을 이용하여 작동유체를 유동시키는 유압펌프(2);
    제1유로부재(21)와 제2유로부재(22) 각각을 통해 상기 유압펌프(2)에 연결된 유압모터(3);
    상기 제1유로부재(21)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을 제어하도록 상기 제1유로부재(21)에 연결된 제1릴리프밸브(4);
    상기 제2유로부재(22)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을 제어하도록 상기 제2유로부재(22)에 연결된 제2릴리프밸브(5);
    상기 제1릴리프밸브(4)와 상기 제2릴리프밸브(5) 각각에 연결된 연통부(6); 및
    상기 제1유로부재(21), 상기 제1릴리프밸브(4), 상기 연통부(6), 상기 제2릴리프밸브(5), 및 상기 제2유로부재(22) 간에 작동유체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상기 제1릴리프밸브(4), 상기 제2릴리프밸브(5) 및 상기 연통부(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본체(20)에 결합되는 저감부(10);를 포함하고,
    상기 저감부(10)는
    상기 본체(20)의 내부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연통실(11);
    상기 본체(20)의 외부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확장실(13);
    상기 확장실(13)로 인해 개방된 부분을 막도록 상기 본체(20)에 결합되는 제1커버부재(14); 및
    상기 제1커버부재(14)가 삽입되는 조절부재(15);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부재(14)는
    상기 조절부재(15) 및 상기 확장실(13)에 삽입되는 제1삽입부재(142); 및
    상기 제1삽입부재(142)에 비해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절부재(15)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1덮개부재(141);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재(15)의 두께(15T)에 따라 상기 제1삽입부재(142)가 상기 확장실(13)에 삽입되는 삽입깊이(ID)가 조절될 수 있고,
    상기 연통실(11)의 직경(11D)은 상기 확장실(13)의 직경(13D)에 비해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KR1020180113888A 2018-09-21 2018-09-21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KR102609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888A KR102609876B1 (ko) 2018-09-21 2018-09-21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888A KR102609876B1 (ko) 2018-09-21 2018-09-21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283A KR20200034283A (ko) 2020-03-31
KR102609876B1 true KR102609876B1 (ko) 2023-12-06

Family

ID=70002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888A KR102609876B1 (ko) 2018-09-21 2018-09-21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876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1474A (ko) * 2011-01-11 2012-07-1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유압 맥동 소음 저감을 위한 가변식 측면 분기관
KR101881055B1 (ko) * 2016-08-17 2018-07-23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유압 변속기의 유압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283A (ko) 202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4598B2 (ja) 油圧式無段変速装置
US11535208B2 (en) Hydraulic transaxle
US7523610B2 (en) Neutral valve structure
US9822876B2 (en) Axial piston device
US6151895A (en) Hydrostatic transmission system
KR101675659B1 (ko) 펌프 제어 장치
WO2021059614A1 (ja) 流量制御弁
US7117881B2 (en) Control system
US6491145B2 (en) Regulable dashpot for motor vehicles, and method of adjusting such a dashpot
KR102609876B1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US6058962A (en) Flow rate regulating valve of hydraulic pump
JP2006064011A (ja) 油圧式無段式変速装置
EP1811207B1 (en) Hst
KR20120079224A (ko) 직동형 릴리프밸브
KR20200034282A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US11952988B2 (en) Fluid pressure rotating machine
KR101990319B1 (ko) 정유압 변속장치용 복합 밸브
JP2011038543A (ja) 設定圧可変式のリリーフ弁
EP2486278B1 (en) Return to neutral mechanism for hydraulic pump
KR101902697B1 (ko) 압력 보상형 유량 제어 기능을 갖는 정유압 무단 변속기용 중립밸브 및, 중립밸브에 구비되는 스풀 시트 설계방법
JP5945742B2 (ja) ポンプユニットの斜板角制御システム
JP2021173321A (ja) 弁及び流体圧システム
JP2004019793A (ja) 油圧装置の防振構造
JP2007147086A (ja) 静油圧式無段変速装置における油圧装置の防振構造
KR20200117846A (ko) 펌프 유닛 및 건설 기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