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7631A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17631A KR20210117631A KR1020200034080A KR20200034080A KR20210117631A KR 20210117631 A KR20210117631 A KR 20210117631A KR 1020200034080 A KR1020200034080 A KR 1020200034080A KR 20200034080 A KR20200034080 A KR 20200034080A KR 20210117631 A KR20210117631 A KR 202101176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ading
- degrees
- container
- ship
- lashing brid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4—Means for preventing unwanted cargo movement, e.g. dunn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63B2025/285—Means for securing deck containers against unwanted mov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온데크 상에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선박에 있어서, 상기 온데크 적재구역이, 비져빌리티 라인(Visibility line)을 넘지 않도록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제1 적재구역; 및 상기 비져빌리티 라인을 넘어서되 선실에서의 시야를 5도 이내로 가리도록 상기 제1 적재구역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제2 적재구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주구는 선체의 갑판 위에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선박의 조종실이 마련되어 있고, 승무원들이 일상 생활과 업무를 하는 공간이다. 거주구는 최하층의 메인 데크(Main deck)로부터 최상층의 탑 데크(Top deck)까지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선원들이 거주할 수 있는 선실, 조타실, 제어실, 기타 편의시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 선박은 컨테이너를 운송하기 위한 선박으로서, 컨테이너는 선체 내부 또는 해치 커버의 상면에 적재될 수 있다. 컨테이너 선박은 적재되는 컨테이너들을 고정하기 위하여 래싱 브리지를 사용할 수 있다.
컨테이너는 화물을 외포장 없이 용이하게 수송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화물의 파손이나 분실, 도난 등과 같은 수송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자동차, 선박 등으로의 적재 및 하역 작업을 기계화할 수 있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컨테이너의 수송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이 등장하였고, 컨테이너 선박은 수 천개에 이르는 컨테이너를 운송할 수 있다. 컨테이너 선박은 수송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화물 적재 공간을 극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68363호는 선박의 거주구 구조에 관한 것으로, 해상에 부유된 채 사용되는 선원들의 생활공간인 거주구와, 추진 수단으로서의 쓰러스터를 포함하며, 거주구는 평면에서 볼 때 좌우현측에 각각 오목부가 형성된 형태를 가지며, 쓰러스터는 오목부 내에 배치되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90927호는 선박 거주구에 관한 것으로, 선박의 거주구 중심의 전방 위치에서 선박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전방부, 거주구 중심의 후방 위치에서 전방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며, 전방부보다 큰 폭 방향 길이를 갖는 후방부 및 전방부의 단부와 후방부의 단부 사이에 마련된 측면부를 포함하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선박들은 거주구 및 화물 적재 공간의 공간적 제약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규정을 만족하면서도 컨테이너 적재를 높일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온데크 상에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선박에 있어서, 상기 온데크 적재구역이, 비져빌리티 라인(Visibility line)을 넘지 않도록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제1 적재구역; 및 상기 비져빌리티 라인을 넘어서되 선실에서의 시야를 5도 이내로 가리도록 상기 제1 적재구역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제2 적재구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적재구역은, 선수 방향으로 각도 범위가 10도 내에서 선박 길이의 2 배 또는 500m 중 작은 조건 내에서 해수면이 보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적재구역은, 맹목구간이 형성되는 구간에서 선수 방향으로 각도 범위가 10도 내에서는 5도 범위 내이고, 10도 이외의 구간에서는 10도 범위로 이루어지되, 총합이 20도 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테이너를 고박하는 래싱브릿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래싱브릿지는, 상기 제2 적재구역에서 상기 제1 적재구역에 대비하여 연장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테이너를 고박하는 래싱브릿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래싱브릿지는, 접힘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프레임이 힌지 회전되고, 다수의 프레임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상기 프레임을 당기거나 미는 유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은, 선수 방향으로 Solas 규정을 만족하도록 제1 적재구역이 비져빌리티 라인을 넘지 않으면서도 제2 적재구역에는 추가적으로 컨테이너가 더 적재되어 컨테이너 선적량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선박의 운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제1 적재구역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상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제2 적재구역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래싱브릿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다른 형태의 래싱브릿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상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제2 적재구역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래싱브릿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다른 형태의 래싱브릿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제1 적재구역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상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제2 적재구역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래싱브릿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다른 형태의 래싱브릿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은 아래와 같다. 온데크(부호 도시하지 않음) 상에 컨테이너(C)가 적재되는 선박(100)으로서, 온데크 적재구역은 제1 적재구역(110)과 제2 적재구역(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적재구역(110)은, 비져빌리티 라인(10)(Visibility line)을 넘지 않도록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적재구역(110)은 선박(100)의 선수 방향으로 각도 범위가 10도 내에서 선박 길이의 2 배 또는 500m 중 작은 조건 내에서 해수면이 보이도록 마련될 수 있고, 섹터범위는 최소 5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적재구역(110)을 선박(100)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비져빌리티 라인(10)의 아래에 컨테이너(C)가 마련되어 Solas 규정을 만족할 수 있어, 안정운항이 가능하다.
제2 적재구역(120)은, 비져빌리티 라인(10)을 넘어서되 선실(20)에서의 시야를 5도 이내로 가리도록 제1 적재구역(110)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적재구역(120)은, 맹목구간이 형성되는 구간에서 선수 방향으로 각도 범위가 10도 내에서는 5도 범위 미만이 제2 적재구역(120)일 수 있고, 이때 10도 범위 내에서 나머지 범위는 제1 적재구역(110)일 수 있다. 그리고 좌우 방향으로 10도 이외의 구간에서는 각각의 외측 방향인 즉 우현에서는 우측방향으로 10도, 좌현에서는 좌측방향으로 10도 범위로 이루어지되, 총합이 20도 내에 제2 적재구역(120)이 형성될 수 있다(도 2 참조).
여기서 맹목구간은, 뷰 포지션(viewing position)에서 해면을 바라볼 때, 시야를 방해하는 선실(20) 전방의 카고, 카고 장비 등이 위치되는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적재구역(120)을 선박(100)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비져빌리티 라인(10)을 넘어 컨테이너가 마련되어 컨테이너 적재 개수가 극대화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적재구역(120)(Hatching 구역일 수 있음)은 항구 하역장비 등 제반 시설이 만족하는 한 비져빌리티 라인의 상부에서도 높이 제한 없이 컨테이너 로딩(Container Loading)이 가능하여, 예시적으로 도 2를 참조하는 구간에서와 같이 3 단의 컨테이너를 더 적재하는 경우 150 TEU 이상 추가 선적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적재구역(120)에 마련되는 래싱브릿지(130)는, 제1 적재구역(110)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이루어 전체적으로 'ㄷ'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그리고 제2 적재구역(120)에 해당되는 Lashing Force가 부족해지지 않도록, 즉 비져빌리디 라인 상부로 추가 선적되는 구간에서 컨테이너 선적 층수가 종래에 대비하여 높아지더라도 래싱브릿지(130)가 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래싱브릿지(130)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추가 선적이 가능한 제2 적재구역(120)에 영구적으로 래싱브릿지(130)의 단수가 높여진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래싱브릿지(130)는 상부 방향으로 동일한 구조가 연장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래싱브릿지(130)에 컨테이너의 피팅(Fitting)이 이루어져 선적량이 증가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래싱브릿지(130)는 제2 적재구역(120)에서 컨테이너(C)의 단수를 높일 수 있는 구조를 이루되, 컨테이너(C)의 선적량에 따라 래싱브릿지(130)가 접힌 형태로 보관될 수도 있다.
즉 래싱브릿지(130)는, 접힘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프레임이 힌지 회전되거나, 슬라이딩되는 구조 등을 이룰 수 있고, 이때 래싱브릿지(130)는, 유압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여 프레임(131)을 당기거나 미는 유압장치에 의해 프레임(131)이 접히거나 펼쳐져 컨테이너(C)의 선적량에 따라 제1 적재구역(110)으로부터 래싱브릿지(130)가 돌출되거나, 제1 적재구역(110)가 동일한 층수를 이루는 형태를 이룰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선수 방향으로 Solas 규정을 만족하도록 제1 적재구역(110)이 비져빌리티 라인(10)을 넘지 않으면서도 제2 적재구역(120)에는 추가적으로 컨테이너(C)가 더 적재되어 컨테이너(C) 선적량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선박의 운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비져빌리티 라인
100: 선박
110: 제1 적재구역 120: 제2 적재구역
130: 래싱브릿지 131: 프레임
110: 제1 적재구역 120: 제2 적재구역
130: 래싱브릿지 131: 프레임
Claims (5)
- 온데크 상에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선박에 있어서,
상기 온데크 적재구역이,
비져빌리티 라인(Visibility line)을 넘지 않도록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제1 적재구역; 및
상기 비져빌리티 라인을 넘어서되 선실에서의 시야를 5도 이내로 가리도록 상기 제1 적재구역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제2 적재구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적재구역은,
선수 방향으로 각도 범위가 10도 내에서 선박 길이의 2 배 또는 500m 중 작은 조건 내에서 해수면이 보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적재구역은,
맹목구간이 형성되는 구간에서 선수 방향으로 각도 범위가 10도 내에서는 5도 범위 내이고, 10도 이외의 구간에서는 10도 범위로 이루어지되, 총합이 20도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 제1항에 있어서,
컨테이너를 고박하는 래싱브릿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래싱브릿지는, 상기 제2 적재구역에서 상기 제1 적재구역에 대비하여 연장된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선박. - 제1항에 있어서,
컨테이너를 고박하는 래싱브릿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래싱브릿지는, 접힘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프레임이 힌지 회전되고, 다수의 프레임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상기 프레임을 당기거나 미는 유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4080A KR20210117631A (ko) | 2020-03-19 | 2020-03-19 | 선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4080A KR20210117631A (ko) | 2020-03-19 | 2020-03-19 | 선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17631A true KR20210117631A (ko) | 2021-09-29 |
Family
ID=77925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34080A KR20210117631A (ko) | 2020-03-19 | 2020-03-19 | 선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117631A (ko) |
-
2020
- 2020-03-19 KR KR1020200034080A patent/KR2021011763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223669B1 (en) | Vessel having a standardized hull capable of having a plurality of optional and operational modular structures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for | |
US20020069806A1 (en) | Autonomous container ship | |
US20020164231A1 (en) | Craft for embarking/landing on unequipped shorelines | |
US6537009B1 (en) | Handler for container ship | |
KR20230058351A (ko) | 컨테이너 선박 | |
KR20100092876A (ko) | 선박 | |
US2440307A (en) | Ship hold | |
IE43369B1 (en)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hip's hull | |
KR20210117631A (ko) | 선박 | |
KR20220132502A (ko) | 컨테이너 선박 | |
CN117222577A (zh) | 货柜堆叠协助装置、具有货柜堆叠协助装置的货柜载具及货柜装载和卸除方法 | |
WO2018099906A1 (en) | Container ship with reinforced hull | |
TWI590981B (zh) | 貨物裝載船及其操作方法 | |
JP2007253976A (ja) | 風圧軽減部材付きコンテナ及び船舶の運航方法 | |
DK179427B1 (en) | Container ship with reinforced hull | |
JP6500256B2 (ja) | 揚陸用の船舶、揚陸方法、及び揚陸用の船舶の設計方法 | |
US2970705A (en) | Cargo ships | |
KR101642391B1 (ko) | 화물 적재 선박 | |
WO2012054970A1 (en) | A marine vessel for and method of transferring roro cargo between vessels at sea | |
JPH10509397A (ja) | 海上輸送システムおよび積み荷取り扱いシステム | |
JP5201804B2 (ja) | トリマラン構造船 | |
Olsen et al. | Positioning and Securing of Containers | |
CN117120331A (zh) | 货柜运输船 | |
KR20230157609A (ko) | 컨테이너 선박용 보호장치 | |
KR20170009079A (ko) | 컨테이너 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