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6970A - 연삭 설비 및 연삭 방법 - Google Patents

연삭 설비 및 연삭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6970A
KR20210116970A KR1020200033222A KR20200033222A KR20210116970A KR 20210116970 A KR20210116970 A KR 20210116970A KR 1020200033222 A KR1020200033222 A KR 1020200033222A KR 20200033222 A KR20200033222 A KR 20200033222A KR 20210116970 A KR20210116970 A KR 20210116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support body
guide
inclination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3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8563B1 (ko
Inventor
김준수
강윤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033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563B1/ko
Publication of KR20210116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6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1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005Portal grinding mach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1/00Working rails, sleepers, baseplates, or the like, in or on the line; 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E01B31/02Working rail or other metal track components on the spot
    • E01B31/12Removing metal from rails, rail joints, or baseplates, e.g. for deburring welds, reconditioning worn rails
    • E01B31/17Removing metal from rails, rail joints, or baseplates, e.g. for deburring welds, reconditioning worn rails by gri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삭 설비는 연삭 대상체 표면을 연삭하는 연삭 부재, 연삭 부재가 연삭 대상체의 둘레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연삭 대상체의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된 이동 안내부 및 연삭 부재와 연삭 대상체 사이의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연삭 부재와 연결되는 기울기 조절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삭 설비에 의하면, 연삭 대상체에 체결된 상태로 연삭 부재가 연삭 대상체의 상부면 및 측면 중 어느 하나와 마주보도록 이동 가능하다. 이에, 연삭 대상체 상에서 상부면 및 측면을 연삭하는 작업이 보다 용이해진다. 연삭 부재가 연삭 대상체의 표면에 보다 밀착되며, 연삭 작업시에 연삭 부재가 연삭 대상체 표면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떨어지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연삭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연삭 설비 및 연삭 방법{GRINDING EQUIPMENT AND GRINDING METHOD}
본 발명은 연삭 설비 및 연삭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삭 대상체의 연삭 작업이 용이한 연삭 설비 및 연삭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정 크레인은 중량물인 작업 대상물의 이동을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이때, 천정 크레인은 작업 대상물을 매달고, 레일 장치를 따라 이동 또는 활주한다. 레일 장치는 복수의 레일 부재가 연결된 형태로서, 연속 배치된 두 개의 레일 부재는 상호 연결 또는 결합된다.
한편, 천정 크레인은 중량물을 이동시키기 때문에, 천정 크레인이 활주하는 레일 장치에 큰 하중이 전달된다. 특히, 레일 부재 간의 연결 부위는 하중에 취약하여, 그 연결 부위가 깨지거나, 연결이 끊어지는 등의 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레일 부재 간을 연결시키기 위한 용접 작업을 실시한다.
그런데, 상호 마주보는 레일 부재 사이 뿐만 아니라, 외부로 노출되는 레일 부재의 표면인 상부면 및 측면에도 용접재가 응고되며, 이를 덧살이라고 한다. 이 덧살은 연삭 설비의 활주를 방해하거나, 단턱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천정 크레인의 동작시에 진동 및 소음을 발생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에, 용접 후에 작업자가 연삭 장치를 이용하여 덧살을 연삭하여 제거하는 연삭 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그런데, 작업자가 연삭 장치를 직접 핸들링하여 연삭을 하기 때문에, 덧살이 제거될 때 발생되는 부유물, 연삭 작업에 의한 불꽃 등이 그대로 작업자에게 노출되어, 작업자가 안전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일본공개특허 JP2008-137053
본 발명은 연삭 대상체의 연삭이 용이하고, 연삭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삭 설비 및 연삭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삭 설비는 연삭 대상체 표면을 연삭하는 연삭 부재; 상기 연삭 부재가 상기 연삭 대상체의 둘레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연삭 대상체의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된 이동 안내부; 및 상기 연삭 부재와 연삭 대상체 사이의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상기 연삭 부재와 연결되는 기울기 조절기;를 포함한다.
일측에 상기 이동 안내부가 체결되고, 타측에 연삭 부재가 연결된 연삭 지지 몸체를 구비하는 연삭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기울기 조절기는, 상기 연삭 장치 전체의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상기 연삭 지지 몸체와 연결된 제 1 기울기 조절부; 및 상기 연삭 부재의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상기 연삭 몸체에 체결된 제 2 기울기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기울기 조절부는, 상기 연삭 지지 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연삭 지지 몸체에 체결된 구동 지지부; 및 상기 구동 지지부의 둘레 방향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상기 구동 지지부를 가압하도록 상기 연삭 지지 몸체에 체결된 가압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삭 부재는 상기 연삭 지지 몸체의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연삭 부재와 상기 연삭 지지 몸체는 상기 연삭 대상체의 폭 방향으로 나열 배치된다.
상기 이동 안내부는 상기 연삭 대상체의 상부면 및 폭 방향의 양 측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연삭 대상체의 폭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형상이다.
상기 연삭 지지 몸체에는 상기 이동 안내부가 그 연장 방향으로 통과 가능하도록 체결홀이 마련된다.
상기 제 1 기울기 조절부는 상기 연삭 지지 몸체로부터 상기 이동 안내부가 위치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상기 연삭 지지 몸체에 연결된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울기 조절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연삭 장치의 전체 기울기가 조절된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연삭 지지 몸체 내부로의 돌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연삭 지지 몸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구동 지지부의 둘레 방향으로 나열 배치된 복수의 가압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삭 지지 몸체 내부로 돌출된 상기 복수의 가압체 각각의 끝단은 상기 구동 지지부의 외주면과 접촉된다.
상기 복수의 가압체 각각은, 상기 연삭 지지 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구동 지지부의 둘레 방향으로 나열 배치된 복수의 가압 부재; 및 상기 연삭 지지 몸체 내부로의 돌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연삭 지 몸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연삭 지지 몸체 내부로 돌출된 끝단에 상기 가압 부재가 연결된 복수의 조절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 부재는 탄성력을 가지는 수단이다.
상기 연삭 대상체에 체결된 상태로 상기 연삭 대상체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 안내부와 결합된 가이드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장치는, 상기 연삭 대상체의 폭 방향으로 나열 배치된 제 1 및 제 2 프레임을 구비하는 가이드 몸체; 및 사이에 상기 연삭 대상체가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에 각기 연결된 제 1 및 제 2 대상체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대상체 체결부 각각은, 상기 연삭 대상체의 양 측면을 따라 회전 가능한 가이드 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장치는, 상기 연삭 대상체의 상부면 상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대상체 체결부의 상측에서 상기 가이드 몸체에 체결된 상부 롤러; 및 상기 연삭 대상체의 양 측면 각각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대상체 체결부와 상기 상부 롤러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 몸체에 체결된 제 1 및 제 2 측부 롤러;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연삭 장치가 복수개로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삭 방법은, 연삭 부재를 구비하는 연삭 장치를 연삭 대상체에 체결하는 과정; 상기 연삭 대상체의 표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연삭 부재를 이동시키는 과정; 상기 연삭 부재와 연삭 대상체 사이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과정; 및 상기 연삭 부재를 동작시켜 상기 연삭 대상체의 표면을 연삭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연삭 부재와 연삭 대상체 사이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과정은, 상기 연삭 부재가 상기 연삭 대상체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연삭 장치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제 1 기울기 조절 과정; 및 상기 연삭 부재가 상기 연삭 대상체 표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연삭 부재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제 2 기울기 조절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연삭 부재를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연삭 장치를 상기 연삭 대상체의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된 이동 안내부에 체결한 상태로 이동시켜, 상기 연삭 부재가 상기 연삭 대상체의 상부면 및 상기 연삭 대상체 폭 방향의 양 측면 중 어느 하나와 마주보도록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기울기 조절 과정은, 상기 연삭 장치가 상기 이동 안내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연삭 대상체는 천정 크레인이 활주하는 레일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연삭 과정에 있어서, 상기 연삭 대상체의 용접 작업시에 발생된 덧살을 연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삭 설비에 의하면, 연삭 대상체에 체결된 상태로 연삭 부재가 연삭 대상체의 상부면 및 측면 중 어느 하나와 마주보도록 이동 가능하다. 이에, 연삭 대상체 상에서 상부면 및 측면을 연삭하는 작업이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연삭 부재는 가압부에 의해 연삭 대상체의 표면을 가압할 수 있다. 이에, 연삭 부재가 연삭 대상체의 표면에 보다 밀착되며, 연삭 작업시에 연삭 부재가 연삭 대상체 표면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떨어지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연삭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연삭 설비는 연삭 대상체에 체결된 상태로, 상기 연삭 대상체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연삭 위치가 변경될 때마다 연삭 설비를 연삭 대상체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없어, 연삭 작업 효율이 향상되고,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삭 설비에는, 연삭 대상체의 상부면을 따라 활주하는 상부 롤러, 측면을 따라 활주하는 측면 롤러가 구비됨에 따라, 연삭 설비의 이동이 원활하고, 안정적일 수 있다.
그리고, 연삭 설비는 연삭 대상체에 체결되어 있는 상태로 연삭을 실시함에따라, 작업자가 직접 연삭 설비를 지지 또는 붙잡고 있을 필요가 없다. 따라서,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레일 장치 및 레일 장치를 따라 이동하는 천정 크레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표면에 덧살이 형성된 레일 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레일 장치를 구성하는 레일 부재 간을 용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삭 설비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삭 설비의 측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연삭 부재의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장치의 설명을 위해, 연삭 부재가 위치된 후방에서 가이드 장치를 바라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장치의 설명을 위해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연삭 설비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유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레일 장치 및 레일 장치를 따라 이동하는 천정 크레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표면에 덧살이 형성된 레일 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천정 크레인 및 레일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천정 크레인 및 레일 장치는 해당 기술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장치이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천정 크레인(100)은 크레인 몸체(110), 크레인 몸체(110)의 하부에 설치되며, 레일 장치(200)를 따라 활주하는 휠(wheel)(120), 크레인 몸체(110) 상에 설치되며, 회전 가능한 와이어 드럼(130), 이동시키고자 하는 처리물(이하, 이동 대상물(10))이 지지 또는 또는 걸리는 후크(141)를 구비하는 지지 장치(140), 와이어 드럼(130)과 지지 장치(140)를 연결하는 와이어(150)를 포함한다.
이러한, 천정 크레인(100)은 레일 장치(200)를 따라 활주하여 이동 대상물(10)을 이동시킨다. 즉, 크레인 몸체(110)에 장착된 휠(120)이 레일 장치(200)를 따라 활주하면, 후크(141)에 지지되어 있는 이동 대상물(10)이 이동한다.
여기서, 이동 대상물(10)은 예컨대 제철 조업에서 주편 제조 원료인 용강이 수용된 래들일 수 있다. 물론, 천정 크레인(100)이 이동 시키는 이동 대상물(10)은 상술한 래들에 한정되지 않고, 이동시키고자 하는 다양한 대상물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레일 장치(200)는 이동 대상물(10)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목적지를 향해 연장된 형태이다. 이러한 레일 장치(200)는 목적지를 향해 나열 배치되며, 상호 연결된 복수의 레일 부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레일 부재(210) 각각은, 연장 방향(X 방향)과 교차하는 폭 방향(Y 방향)의 길이가 상하 방향(Z 방향)으로 일정하지 않은 형상일 수 있다. 즉, 레일 부재(210)는 상하 방향의 중간 영역의 폭 방향 길이가 상부 및 하부 영역의 폭 방향 길이에 비해 작은 형상일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레일 부재(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상부 부재(211), 중간 부재(212) 및 하부 부재(213)로 나누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부재(211) 및 하부 부재(213)에 비해 중간 부재(212)의 폭 방향 길이가 짧게 마련된다. 또한, 중간 부재(212)는 상부 부재(211)와 연결된 부위로부터 하측의 소정 위치까지 폭 방향 길이가 감소하는 영역(감소 영역), 감소 영역으로부터 하부 부재(213)와 연결된 부위까지 폭 방향 길이가 증가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형상일 수 있다.
한편, 이동 대상물(10)의 이동을 위해 천정 크레인(100)은 레일 장치(200) 상에서 활주한다. 이때, 이동 대상물(10)을 지지하고 있는 또는 매달고 있는 천정 크레인(100)의 하중이 레일 장치(200)로 전달되며, 이 하중에 의해 레일 장치(200)가 손상될 수 있다. 즉, 레일 부재(210) 간의 연결 부위가 깨지거나, 연결이 끊어지는 등의 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레일 부재(210) 간을 용접 방법으로 다시 연결시킨다. 또한, 레일 장치(200)를 제조할 때에도, 레일 부재(210) 간을 용접하여 마련할 수 있다.
도 3은 레일 장치를 구성하는 레일 부재 간을 용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용접으로 레일 부재 간을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때, 테르밋 용접 방법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3의 (a)와 같이 몰드(M) 내에 보수 또는 연결하고자 하는 두 개의 레일 부재(210)를 일 방향으로 나열 배치시킨다. 이때, 두 개의 레일 부재(210)가 몰드(M) 내에서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시킨다. 즉, 두 개의 레일 부재(210)의 측면이 상호 마주보도록 상호 이격 배치시킨다. 그리고, 몰드(M)의 상측 개구를 통해 두 개의 레일 부재(210) 사이로 용접재(WM)를 채운다. 여기서 용접재(WM)는 산화철과 알루미늄이 혼합된 분말일 수 있다. 그리고, 토치(T)를 동작시켜 화염(F)을 발생시킨다. 화염(F)이 발생되면 산화철이 알루미늄에 의해 환원되며, 환원 반응에 의해 생성된 철이 용융되어 레일 부재(210) 사이에 용접부(WZ)를 형성하며, 용접부(WZ)에 의해 레일 부재(210)가 용접 즉, 연결된다.
그런데, 용접재(WH)가 상호 마주보는 레일 부재(210) 사이 공간 뿐만 아니라, 레일 부재(210)의 외부 표면 즉, 상부면(214) 및 측면(215, 216)에서도 용융되어 응고된다. 여기서, 레일 부재(210)의 외부 표면에 응고된 용접재 즉, 응고물을 덧살(RW)이라고 한다(도 2의 RW, 도 3의 RW). 즉, 레일 부재(210)의 상부면 및 측면에 덧살(RW)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덧살(RW)은 천정 크레인(100)의 휠(120)이 활주하는데 있어서 단턱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천정 크레인(100)의 동작시에 진동 및 소음을 발생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용접 작업에 의해 덧살(RW)이 발생된 경우, 이를 연삭하여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때, 레일 부재(210) 또는 레일 장치(200) 표면에 형성된 덧살(RW) 중, 휠(120)과 접촉 또는 활주하는 영역의 덧살(RW)을 제거한다. 즉, 레일 장치(200)의 상부면(214) 및 측면(215, 216)에 형성된 덧살(RW)을 제거하는데, 측면(215, 216)에 형성된 덧살(RW) 중, 측면(215, 216)의 상부 영역에 형성된 덧살만을 제거하여도 무방하다. 이는, 레일 장치(200)의 측면(215, 216) 중, 상부 영역에 해당하는 일부만이 휠(120)과 접촉되기 때문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삭 설비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여기서, 도 4 및 도 5는 연삭 부재가 레일 장치의 상부면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연삭 부재가 레일 장치의 측면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삭 설비의 측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7은 연삭 부재가 레일 장치의 상부면과 이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연삭 부재가 레일 장치의 상부면과 접촉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삭 설비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연삭 설비를 이용하여 연삭하고자 하는 처리 대상체를 '연삭 대상체'로 명명한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삭 설비는, 연삭 대상체 표면을 연마시키는 연삭 부재(1120)를 구비하는 연삭 장치(1000) 및 연삭 장치(1000)가 체결되며, 체결된 연삭 장치(1000)가 연삭 대상체의 연장 방향(X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하, 폭 방향(Y 방향)) 및 상하 방향(Z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된 이동 안내부(3000)를 포함한다.
또한, 연삭 설비는 이동 안내부(3000)가 결합되며, 연삭 작업을 위해 연삭 대상체에 체결 가능하고, 연삭 작업 전 또는 연삭 작업 종료 후에 연삭 장치(1000)가 연삭 대상체 상에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장치(2000)를 포함한다.
이하, 연삭 설비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있어서, 이동 안내부(3000)를 기준으로 가이드 장치(2000)가 위치된 방향을 전방, 상기 가이드 장치(2000)와 반대 측 방향을 후방이라 정의한다. 또한, 연삭 장치(1000)에 있어서, 이동 안내부(3000)와 결합되는 부분 및 상기 이동 안내부(3000)에 전방에 해당하는 영역을 전단부, 그 반대 측 부분을 후단부라 정의한다.
또한, 연삭 대상체로 레일 장치(200)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연삭 설비로 연삭하고자 하는 더 구체적인 대상은, 용접 작업에 의한 덧살(RW)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연삭 장치(1000)는 레일 장치(200) 표면 상에 형성된 덧살(RW)을 연마하여 제거하는 수단인 연삭 부재(1120)를 구비하는 연삭부(1100) 및 연삭부(1100)에 연결되어, 상기 연삭부(1100)의 이동 또는 기울기 조절하기 위한 레버(1200)를 포함한다.
연삭부(1100)는 이동 안내부(3000)에 체결되어, 이동 안내부(30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또는 활주 가능한 연삭 지지 몸체(1110), 레버(1200)와 반대에 위치되도록 연삭 지지 몸체(1110)의 외측에 위치되며, 회전 가능한 연삭 부재(1120) 및 연삭 지지 몸체(1110) 내부에서 그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연삭 지지 몸체(1110)에 체결된 구동 지지부(1140)를 포함한다.
또한, 연삭부(1100)는 연삭 지지 몸체(1110) 및 구동 지지부(1140)에 연결되며, 구동 지지부(1140)의 기울기가 조절되도록 상기 구동 지지부(1140)의 외측에서 적어도 일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가압부(11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연삭부(1100)는 연삭 부재(1120)의 상측에 위치되어, 연삭 부재(1120)의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 부재(1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삭 지지 몸체(1110)는 연삭부(1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로서,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연삭 대상체인 레일 장치(200)의 연장 방향을 활용하여 다시 설명하면, 연삭 지지 몸체(1110)는 레일 장치(200)의 연장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연삭 지지 몸체(111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구동 지지부(1140)의 적어도 일부 및 가압부(115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있도록 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형상일 수 있다.
도 4,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연삭 지지 몸체(1110) 중, 연삭 부재(1120)와 반대 위치인 전단부에는 이동 안내부(3000)가 체결 또는 관통하는 홀(이하, 체결홀(1111))이 마련되고, 또한, 레버(1200)가 연결된다. 여기서, 체결홀(1111)은 연삭 지지 몸체(1110)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삭 지지 몸체(1110)를 관통하여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연삭 지지 몸체(1110)의 전단부의 반대 위치인 후단부는 개방되어 있는 형상일 수 있다(도 6 내지 도 8 참조).
또한, 연삭 지지 몸체(1110)에는 후술되는 가압부(1150)의 조절 부재가 관통하는 개구(이하, 삽입구)가 마련된다. 삽입구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고, 복수의 삽입구는 구동 지지부(1140)의 둘레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연삭 지지 몸체(1110)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구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연삭 부재(1120)는 덧살(RW)을 연삭 또는 연마하는 수단으로서, 도 4 내지 도 8과 같이, 레버(1200)와 반대 측에 위치하도록 연삭 지지 몸체(1110) 후단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구동 지지부(1140)에 연결된다. 실시예에 따른 연삭 부재(1120)는 원기둥 형상 또는 롤러 형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삭 부재(1120)는 각각이 원형의 평면이며, 상호 마주보는 면인 제 1 면(1121) 및 제 2 면(1122), 제 1 면(1121)과 제 2 면(1122) 사이의 면이며, 제 1 및 제 2 면(1121, 1122) 각각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된 곡면인 제 3 면(1123)을 포함하는 형상일 수 있다(도 4 내지 도 6 참조). 여기서, 제 1 면(1121) 및 제 2 면(1122) 중 어느 하나 예컨대 제 1 면(1121)에는 구동 지지부(1140)가 연결된다. 그리고, 적어도 제 3 면(1123)의 표면에는 덧살의 연삭이 가능하도록 산화알루미늄 또는 다이아몬드와 같은 다수의 입자가 부착되어 있다.
연삭 부재(1120)는 연삭 지지 몸체(1110)와 레일 장치(200)의 폭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배치되는데, 연삭 부재(1120) 중 적어도, 구동 지지부(1140)와 연결된 제 1 면(1121)의 반대면인 제 2 면(1122)이 연삭 지지 몸체(1110)의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도 9 및 도 10 참조). 다른 말로 설명하면, 연삭 부재(1120)의 제 1 면(1121)과 제 2 면(1122) 사이의 중심이 연삭 지지 몸체(1110)의 폭 방향 중심과 동심을 이루지 않고,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면(1121)과 제 2 면(1122) 사이의 중심이 연삭 지지 몸체(111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제 1 면(1121) 및 제 2 면(1122) 중, 제 2 면(1122)만이 연삭 지지 몸체 외측에 위치되거나, 제 1 면(1121) 및 제 2 면(1122) 모두가 연삭 지지 몸체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구동 지지부(1140)는 적어도 일부가 연삭 지지 몸체(1110) 내부에 위치되며, 가압부(1150)에 의해 연삭 지지 몸체(1110)에 체결된 지지대(1141) 및 지지대(1141)와 연삭 부재(1120)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연삭 부재(1120)를 회전 구동시키는 연삭 구동 부재(1142)를 포함한다. 또한, 구동 지지부(1140)는, 연삭 구동 부재(1142)의 동작을 위해 상기 연삭 구동 부재(1142)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선(11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1141)는 연삭 지지 몸체(1110)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연삭 지지 몸체(1110)의 내부에 수용된다. 이때, 지지대(1141)의 연장 방향의 양 끝단 중, 레버(1200)를 향하는 일단과 반대 끝단인 타단은 연삭 지지 몸체(1110)의 후단부 개구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연삭 지지 몸체(1110)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대(1141)의 타단에는 연삭 구동 부재(1142)가 연결된다.
연삭 구동 부재(1142)는 지지대(1141)의 타단과 연삭 부재(1120) 사이를 연결하도록 위치되어, 연삭 부재(1120)를 지지하면서, 상기 연삭 부재(1120)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한다. 이러한 연삭 구동 부재(1142)는 예컨대, 모터를 포함하는 수단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삭 구동 부재(1142)는 지지대(1141)의 타단에 연결된 하우징 및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어 연삭 부재(1120)와 연결된 회전 구동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구동체는 예컨대 모터일 수 있다.
그리고, 연삭 구동 부재(1142)는 전원선(1143)과 연결되어, 전원선(1143)으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회전 동력을 발생키는 수단으로 예컨대 모터(motor)일 수 있다. 여기서 전원선(1143)은 예를 들어, 일단이 연삭 구동 부재(1142)에 연결되고, 상기 일단으로부터 지지대(1141) 내부를 통과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지지대(1141)의 일단 및 연삭 지지 몸체(111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전원선(1143)의 연장 방향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연삭 구동 부재(1142)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면, 어떠한 방법으로 연장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전원선(1143)은 외력에 의해 형태 변형이 가능한 예컨대 휘어질 수 있도록 마련된다.
커버 부재(1130)는 연삭 부재(1120)의 상측에서 연삭 부재(1120)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커버 부재(1130)는 연삭 구동 부재(1142)를 구성하는 본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즉, 커버 부재(1130)는 연삭 부재(1120)의 상측에서 일 위치에 고정 설치되고, 연삭 부재(1120)와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본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부재(1130)는 연삭 부재와 마주하는 면이 상기 연삭 부재(1120)와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연삭 부재의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여기서, 도 9는 가압부가 구동 지지부 및 연삭 부재를 가압하기 전 상태이고, 도 10은 가압되고 있는 상태이다.
가압부(1150)는 구동 지지부(1140)를 연삭 지지 몸체(1110)에 체결하여 지지하면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에서 구동 지지부(1140)를 가압하여, 상기 구동 지지부(1140)의 기울기를 변화시켜, 구동 지지부(1140)에 연결된 연삭 부재가 레일 장치(200) 표면을 가압 또는 밀착되도록 하는 수단이다. 이때, 가압부(1150)는 연삭 부재(1120)가 덧살(RW)과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레일 장치(200) 방향으로 구동 지지부(1140)를 가압하여, 상기 구동 지지부(1140)의 기울기를 조절함으로써, 연삭 부재(1120)가 레일 장치(200) 표면을 가압하도록 한다.
이러한 가압부(1150)는, 도 4, 도 5,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141)의 외측에서, 상기 지지대(1141)의 둘레 방향으로 나열 배치되며, 지지대(1141)의 외주면과 접촉 또는 연결되도록 설치된 복수의 가압체 예컨대 4 개의 가압체(이하, 제 1 내지 제 4 가압체(1150a, 1150b, 1150c, 1150d))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내지 제 4 가압체(1150a 내지 1150d) 각각은, 연삭 지지 몸체(1110) 내부에서 지지대(1141)의 둘레 방향으로 나열 배치되며, 지지대(1141)와 마주하는 내면이 상기 지지대(1141)와 접촉되게 배치되는 가압 부재(1151a, 1151b, 1151c, 1151d) 및 연삭 지지 몸체(1110)에 마련된 삽입홀 각각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연삭 지지 몸체(1110) 내부에 위치되는 선단에 가압 부재(1151a, 1151b, 1151c, 1151d)가 연결된 조절 부재(1152a, 1152b, 1152c, 1152d)를 포함한다.
제 1 내지 제 4 가압 부재(1151a 내지 1151d)는 구동 지지부(1140)를 구성하는 지지대(1141)의 둘레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지지대(1141)와 마주보는 가압 부재(1151a 내지 1151d)의 내면은 지지대(1141)의 외주면과 접촉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제 1 내지 제 4 가압 부재(1151a 내지 1151d)는, 지지대(1141)의 일단 및 타단 중, 상대적으로 타단에 가까운 영역 즉, 후단부의 외주면과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지지대(1141)와 마주보는 가압 부재(1151a 내지 1151d)의 내면은 상기 지지대(1141)의 외주면과 부합 또는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압 부재(1151a 내지 1151d)는 탄성력을 가지는 수단 예컨대 고분자, 플라스틱 또는 고무일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조절 부재(1152a 내지 1152d) 각각은, 지지대(1141)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연삭 지지 몸체(1110)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제 1 내지 제 4 조절 부재(1152a 내지 1152d) 각각은 그 일부가 연삭 지지 몸체(1110)의 외측에 위치되고, 다른 일부는 연삭 지지 몸체(1110)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조절 부재(1152a 내지 1152d)의 외주면에는 가압 부재(1151a 내지 1151d)의 내주면에 마련된 나사산과 부합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수단일 수 있다. 이러한 조절 부재(1152a 내지 1152d)의 선단에는 가압 부재(1151a 내지 1151d)가 연결된다.
이렇게, 복수의 가압체(1150a 내지 1150d)가 지지대(1141)의 둘레 방향으로 나열 배치되고, 각각이 연삭 지지 몸체(1110)를 관통하여 상기 연삭 지지 몸체(1110)에 체결되며, 연삭 지지 몸체(1110) 내부에 위치되는 끝단이 지지대(1141)의 외주면과 접촉 지지됨에 따라, 지지대(1141)가 연삭 지지 몸체(1110) 내부에 체결될 수 있다. 즉, 지지대(1141)는 가압부(1150)를 통해 연삭 지지 몸체(1110)에 간접적으로 체결된다.
복수의 가압 부재(1151a 내지 1151d) 각각으로부터 지지대(1141)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모두 동일한 경우, 지지대(1141)는 연삭 지지 몸체(1110) 폭 방향 및 상하 방향 중심에 위치될 수 있다(도 9 참조). 여기서, 복수의 가압 부재(1151a 내지 1151d) 각각으로부터 지지대(1141)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모두 동일하다는 것은, 복수의 조절 부재(1152a 내지 1152d)가 연삭 지지 몸체(1110) 내부로 돌출된 길이가 동일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반면, 복수의 가압 부재(1151a 내지 1151d) 각각으로부터 지지대(1141)에 가해지는 가압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이 다른 경우, 지지대(1141)는 연삭 지지 몸체(1110) 폭 방향 및 상하 방향 중심에 위치되지 않고, 한 쪽으로 치우치게 될 수 있다(도 10 참조). 즉, 가압력이 상대적으로 작은 방향으로 지지대(1141)가 기울어진다. 여기서, 복수의 가압 부재(1151a 내지 1151d) 각각으로부터 지지대(1141)에 가해지는 가압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이 다르다는 것은, 복수의 조절 부재(1152a 내지 1152d) 중 적어도 하나가 연삭 지지 몸체(1110) 내부로 돌출된 길이가 다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연삭 지지 몸체(1110) 내부로 돌출된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조절 부재(1152a 내지 1152d)에 의한 가압력이 발생된다. 이에, 지지대(1141)의 타단이 돌출된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조절 부재(1152a 내지 1152d)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기울어진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9 및 도 10과 같이 연삭 부재(1120)가 레일 장치(200)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일 때, 지지대(1141)의 둘레 방향으로 나열 배치된 복수의 가압체(1150a 내지 1150d) 중, 최 상측에 위치된 가압체를 제 1 가압체(1150a)로 명명한다. 그리고, 시계 방향으로 제 2 가압체(1150b), 제 3 가압체(1150c), 제 4 가압체(1150d)로 명명한다. 이때, 제 1 가압체(1150a)와 제 3 가압체(1150c)가 마주보고, 제 2 가압체(1150b)와 제 4 가압체(1150d)가 마주보고 있는 상태로 가정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1 내지 제 4 조절 부재(1152a 내지 1152d)가 연삭 지지몸체(1110) 내부로 돌출된 길이가 동일하다. 이때 예를 들어 제 1 조절 부재(1152a)를 예컨대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 3 조절 부재(1152c)를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도 10과 같이 제 1 조절 부재(1152a)는 연삭 지지 몸체(1110) 내부로 돌출되는 길이가 증가하고, 제 3 조절 부재(1152c)는 연삭 지지 몸체(1110) 내부로 돌출되는 길이가 감소한다. 그리고 이때, 제 1 조절 부재(1152a)에 연결된 제 1 가압 부재(1151a) 및 제 3 조절 부재(1152c)에 연결된 제 3 가압 부재(1151c)가 지지대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로 하강한다.
이러한 동작은, 제 1 가압체(1150a)를 통해 레일 장치(200)가 위치된 하측 방향 또는 제 3 가압체(1150c) 방향으로 가압력을 발생시킨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에, 도 10은 도 9에 비해 지지대(1141) 타단의 높이가 낮아진 상태가 되며, 이에 지지대(1141)의 기울기가 변한다. 즉, 가압부(1150)를 조작시키기 전에 비해, 지지대(1141)는 그 타단의 높이가 레일 장치(200)의 상부면(214)과 더 가까워진 상태가 된다. 이렇게 지지대(1141)의 타단의 높이가 낮아지는 힘은 연삭 부재(1120)로 전달되며, 이 힘은 연삭 부재(1120)가 레일 장치(200) 상부면을 가압하는 힘으로 작용한다.
이렇게, 연삭 부재(1120)가 레일 장치(200) 표면 또는 덧살을 가압하게 되면, 연삭 부재(1120)가 레일 장치(200) 표면 또는 덧살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연삭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다시, 도 4 내지 도 8로 돌아가, 연삭 장치(1000)의 구성인 레버(1200)와 이동 안내부(3000)에 대해 설명한다.
레버(1200)는 작업자가 연삭부(1100)의 위치 및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작업자가 손으로 쥐어 핸들링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레버(1200)는 연삭부(1100)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바(bar) 형상일 수 있고, 연삭 부재(1120)와 반대 측에 위치하도록 연삭 지지 몸체(1110)의 전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레버(1200)는 연삭 지지 몸체(1110)의 전단부로부터 상기 연삭 지지 몸체(1110)와 반대 측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한편, 레버(1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손으로 쥐어 핸들링 가능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장치를 마련하여 레버(1200)를 조작할 수도 있다. 그리고, 레버(1200)는 체결홀(1111)의 전방에서 연삭 지지 몸체(11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레버(1200)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연삭 장치(1000)를 이동시키거나, 상기 연삭 장치(1000)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이다. 즉, 작업자가 레버(1200)를 잡고 당기거나 밀면, 연삭 설비 전체가 레일 장치(200)의 연장 방향으로 수평 이동한다. 이러한 동작으로 연삭 설비를 연삭 위치 또는 목적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레버(1200)를 잡고, 연삭 장치(1000)의 폭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연삭 장치(1000)가 레일 장치(200)의 폭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연삭 부재(1120)가 레일 장치(200)의 상부면(214) 및 양 측면(215, 216)과 마주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레버(1200)를 잡고, 상기 레버(1200)의 타단의 높이가 달라지도록 힘을 가하면, 연삭 장치(1110) 전체의 기울기가 변한다. 즉, 연삭 부재(1120)가 레일 장치(200)와 가깝거나 멀어지도록 연삭 장치(1000) 전체의 기울기가 변한다. 이러한 동작으로, 연삭 부재(1120)가 연삭하고자 하는 레일 장치(200)의 표면 또는 덧살과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연삭 부재(1120)가 레일 장치(200)의 표면 또는 덧살과 접촉되면, 연삭 부재(1120)가 레일 장치(200)의 표면 또는 덧살을 가압하도록, 가압부(110)를 이용하여 구동 지지부(1140)의 기울기를 조절한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연삭 장치(1000)는 연삭 부재(1120)의 기울기를 조절한다. 이에, 실시예에 따른 연삭 장치(1000)가 기울기 조절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연삭 부재(1120)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레버(1200)를 통해 연삭 장치(1000)의 전체 기울기를 조절하고, 구동 지지부(1140) 및 가압부(1150)을 통해 연삭 부재(1120)의 기울기를 조절한다.
이에, 연삭 장치(1000)의 전체 기울기를 조절하는 레버(1200)를 제 1 기울기 조절부로 명명하고, 연삭 부재(1120)의 기울기를 국부적으로 조절하며, 구동 지지부(1140) 및 가압부(1150)를 구비하는 구성을 제 2 기울기 조절부로 명명할 수 있다. 또한, 기울기 조절기가 연삭 장치(1000)의 전체 기울기를 조절하는 제 1 기울기 조절부 및 연삭 부재(1120)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제 2 기울기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레버(1200)를 이용하여 연삭 부재(1120)를 레일 장치(200)의 표면 또는 덧살(RW)에 접촉시킨 후에, 가압부(1150)를 이용하여 연삭 부재(110)가 레일 장치(200)의 표면을 가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레버(1200)를 이용하여 연삭 부재(1120)를 레일 장치(200)의 표면 또는 덧살(RW)에 접촉시키고, 동시에 레일 장치(200)의 표면을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가 레버(1200)를 잡고, 레버(1200)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연삭 부재(1120)가 레일 장치(200) 표면을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압부(1150)를 이용할 때에 비해 그 조작이 간단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레버(1200)를 이용하여 연삭 부재(1120)를 레일 장치(200)의 표면 또는 덧살(RW)에 접촉시킨 후에, 가압부(1150)를 이용하여 연삭 부재(1120)가 레일 장치(200)의 표면을 가압하는 경우에는, 연삭 작업시에 작업자가 레버(1200)를 잡고 있을 필요가 없다. 이에, 연삭 작업 시에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이동 안내부(3000)는 연삭 장치(10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수단으로서, 도 4 내지 도 8과 같이, 연삭 지지 몸체(1110)에 마련된 체결홀(1111)을 관통 또는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연삭부(1100)와 체결되며, 가이드 장치(2000)와 결합된다. 이러한 이동 안내부(3000)는 연삭부(1100)의 연장 방향(X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Y 방향) 및 상하 방향(Z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 안내부(3000)는 연삭부(1100)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 1 안내 부재(3100), 제 1 안내 부재(3100)의 일단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 2 안내 부재(3200), 제 1 안내 부재(3100)의 타단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 3 안내 부재(3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2 및 제 3 안내 부재(3200, 3300) 각각의 일단은 제 1 안내 부재(3100)와 연결되고, 타단은 가이드 장치(2000)와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안내부(3000)는 연삭 지지 몸체(1110)에 마련된 체결홀(1111)을 관통 또는 통과하도록, 상기 연삭 지지 몸체(1110)와 체결된다. 이에, 연삭 장치(1000)는 이동 안내부(3000)에 체결된 상태로, 상기 이동 안내부(30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연삭 장치(1000)는 이동 안내부(3000)의 제 1 내지 제 3 안내 부재(3100, 3200, 3300)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된 상태로, 상기 제 1 내지 제 3 안내 부재(3100 ,3200, 3300) 중 어느 하나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연삭 장치(1000)의 이동에 의해 연삭 부재(1120)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장치(200)의 상부면(214)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과 마주보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과, 도 11 및 도 1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장치의 설명을 위해 연삭 부재가 위치된 후방에서 가이드 장치를 바라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장치의 설명을 위해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1 및 도 12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연삭 장치를 생략하고 도시한 도면이다.
가이드 장치(2000)는 이동 안내부(3000)와 결합되며, 레일 장치(2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또는 활주 가능하도록 상기 레일 장치(200)에 체결될 수 있다. 즉, 가이드 장치(2000)는 레일 장치(200)에 체결된 상태로, 상기 레일 장치(200)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가이드 장치(2000)의 이동에 의해 연삭 설비 전체가 레일 장치(200)의 연장 방향으로 함께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연삭 설비의 이동은, 작업자가 레버(1200)를 잡고, 상기 레버(1200)를 당기거나 미는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연삭 장치(1000)의 이동 동작은, 연삭 작업 전 또는 연삭 작업 종료 후에 실시될 수 있다.
가이드 장치(2000)는,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마련된 가이드 몸체(2100), 연삭부(1100) 또는 레버(1200)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회전 가능하도록 가이드 몸체(2100)에 체결된 상부 롤러(2200), 상부 롤러(2200)의 하측에서 상기 상부 롤러(2200)의 연장 방향으로 나열 배치된 한 쌍의 측부 롤러(2300: 2300a, 2300b), 상부 롤러(2200) 및 측부 롤러(2300a, 2300b) 하측에 위치되도록 가이드 몸체(2100)와 연결되며, 연삭 작업을 위해, 레일 장치(200)와 체결되는 가이드 체결부(2400)를 포함한다.
또한, 가이드 장치(2000)는 상부 롤러(2200)가 회전 가능하도록 가이드 몸체(2100)와 상부 롤러(2200) 사이를 연결하는 상부 체결부(2500) 및 측부 롤러(2300a, 2300b)가 회전 가능하도록 가이드 몸체(2100)와 측부 롤러(2300a, 2300b) 사이를 연결하는 측부 체결부(2600)를 포함한다.
가이드 몸체(2100)는 상부 롤러(2200), 측부 롤러(2300a, 2300b)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이동 안내부(3000)가 결합된다. 이러한 가이드 몸체(2100)는 연삭부(1100)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또는 상부 롤러(2200)의 연장 방향으로 나열 배치된 제 1 및 제 2 프레임(2100a, 2100b)을 포함한다. 이때, 제 1 프레임(2100a)과 제 2 프레임(2100b) 사이의 이격 거리는 레일 장치(200)의 폭 방향 길이에 비해 길도록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부 롤러(2200)는 연삭 장치(1000)가 레일 장치(200)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될 때, 레일 장치(200)의 상부면(214)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는 수단이다. 상부 롤러(2200)는 제 1 프레임(2100a)과 제 2 프레임(2100b)이 나열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회전 가능하도록 제 1 및 제 2 프레임(2100a, 2100b)에 체결된다. 이를 위해 예컨대, 상부 롤러(2200)가 회전 가능하도록, 제 1 및 제 2 프레임(2100a, 2100b)과 상부 롤러(2200) 사이를 연결하는 한 쌍의 상부 체결부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1 프레임(2100a)과 상부 롤러(2200)의 일단 사이 및 제 2 프레임(2100b)과 상부 롤러(2200)의 타단 사이 각각에 상부 체결부가 연결될 수 있다.
상부 롤러(2200)는 복수개 예컨대 2 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2 개의 상부 롤러(이하, 제 1 및 제 2 상부 롤러(2200b))는 연삭 장치(1000)의 연장 방향으로 나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몸체(2100)와 제 1 상부 롤러(2200a)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 1 상부 체결부(2510a, 2520a), 가이드 몸체(2100)와 제 2 상부 롤러(2200b)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 2 상부 체결부(2510b, 2520b)가 마련된다.
한 쌍의 측부 롤러 즉, 제 1 및 제 2 측부 롤러(2300: 2300a, 2300b)는 상부 롤러의 하측에 배치되며, 제 1 프레임(2100a)과 제 2 프레임(2100b)의 나열 방향으로 나열 배치된다. 그리고, 가이드 장치(2000)가 레일 장치(200)에 체결되었을 때, 제 1 및 제 2 측부 롤러(2300a, 2300b) 각각은 상기 레일 장치(200)의 양 측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즉, 폭 방향을 기준으로 레일 장치(200)의 일 측면과 마주보도록 제 1 측부 롤러(2300a)가 배치되고, 타 측면과 마주보도록 제 2 측부 롤러(2300b)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측부 롤러(2300a, 2300b) 각각은 연삭 설비의 이동 시에, 레일 장치(200)의 일 측면(215) 및 타 측면(216) 각각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측부 롤러(2300a, 2300b)는 회전 가능하도록 가이드 몸체(2100)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 예컨대 제 1 프레임(2100a)과 제 1 측부 롤러(2300a)를 연결하도록 제 1 측부 체결부(2600a)가 마련되고, 제 2 프레임(2100b)과 제 2 측부 롤러(2300b)를 연결하도록 제 2 측부 체결부(2600b)가 마련된다. 제 1 및 제 2 측부 체결부(2600a, 2600b) 각각은, 예컨대, 가이드 몸체(2100) 내측에서 일단이 프레임(2100a, 2100b)에 연결된 지지 부재(2610a, 2610b) 및 지지 부재(2610a, 2610b)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선단에 측부 롤러(2300a, 2300b)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측부 체결 부재(2620a, 262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삭 설비에 미는 힘 또는 당기는 힘에 작용될 때, 상부 롤러는 레일 장치의 상부면, 측부 롤러는 레일 장치의 측면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한다. 따라서, 연삭 설비가 레일 장치(200) 상에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연삭하고자하는 위치로 연삭 장치의 위치를 조정하기가 용이하다.
가이드 체결부(2400)는 연삭 설비를 연삭 대상체 예컨대 레일 장치(200)에 체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체결부(2400)는 레일 장치의 폭 방향으로 가이드 장치의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가이드 장치를 레일 장치(200)에 체결한다.
이러한 가이드 체결부(240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에 연삭 대상체가 위치될 수 있도록 연삭 대상체의 폭 방향 또는 상부 롤러(2200)의 연장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그 사이의 간격의 조절이 가능한 제 1 및 제 2 대상체 체결부(2400a, 2400b)를 포함한다.
제 1 대상체 체결부(2400a)는 제 1 프레임(2100a)과 제 2 프레임(2100b)의 나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 1 프레임(2100a)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제 1 고정 부재(2410a), 가이드 몸체(2100)의 내측에 위치된 제 1 고정 부재(2410a)에 연결되며, 전후진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한 제 1 가이드 롤러(2420a), 가이드 몸체(2100)의 내측에 위치된 제 1 고정 부재(2410a)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장력 및 탄성력을 가지는 제 1 스프링(2430a)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스프링(2430a)의 일단은 제 1 고정 부재(2410a)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 2 대상체 체결부(2400b)는 상술한 제 1 대상체 체결부(2400a)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으로 마련된다. 즉, 제 2 대상체 체결부(2400b)는 제 1 프레임(2100a)과 제 2 프레임(2100b)의 나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 2 프레임(2100b)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제 2 고정 부재(2410b), 가이드 몸체(2100)의 내측에 위치된 제 2 고정 부재(2410b)에 연결되며, 전후진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한 제 2 가이드 롤러(2420b), 가이드 몸체(2100)의 내측에 위치된 제 2 고정 부재(2410b)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장력 및 탄성력을 가지는 제 2 스프링(2430b)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2 스프링(2430b)의 일단은 제 2 고정 부재(2410b)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가이드 장치(2000)가 레일 장치(200)에 체결되었을 때, 제 1 가이드 롤러(2420a)는 상기 레일 장치(200)의 일 측면(215)과 마주보고, 제 2 가이드 롤러(2420b)는 상기 레일 장치(200)의 타 측면(216)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가이드 롤러(2420a, 2420b) 각각은 레일 장치(200)의 폭 방향 길이에 따라 상기 레일 장치(200)가 위치된 방향으로 전진 또는 프레임(2100a, 2100b)이 위치된 방향으로 후진 이동이 가능하다. 즉, 레일 장치(200)의 폭 방향 길이가 상대적으로 두꺼울 때, 얇을 때에 비해, 제 1 및 제 2 가이드 롤러(2420a, 2420b) 각각이 상대적으로 후진된 상태가 되고, 이에 제 1 가이드 롤러(2420a)와 제 2 가이드 롤러(2420b) 간의 이격 거리가 상대적으로 크다.
또한, 제 1 및 제 2 가이드 롤러(2420a, 2420b) 각각의 후방에 위치된 스프링(2430a, 2430b)에 의해 레일 장치(200)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이에, 제 1 및 제 2 가이드 롤러(2420a, 2420b)가 레일 장치(200)의 측면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레일 장치(200)를 가압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 1 대상체 체결부(2400a)와 제 2 대상체 체결부(2400b) 밖으로 레일 장치(200)가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 장치(2000)가 연삭 대상체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대상체 체결부(2400a)와 제 2 대상체 체결부(2400b) 사이의 간격이 레일 장치(200)의 폭 방향 길이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므로, 레일 장치(200)의 폭 방향 길이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연삭 설비에 미는 힘 또는 당기는 힘에 작용될 때, 제 1 및 제 2 가이드 롤러(2420a, 2420b)가 레일 장치(200)의 측면(215, 216)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됨에 따라, 연삭 설비가 보다 원활하게 수평 이동될 수 있다.
도 13은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연삭 설비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이동 안내부(3000)에 하나의 연삭 장치(1000)가 체결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3에 도시된 변형예와 같이 복수 예컨대 2개 이상의 연삭 장치(1000)가 이동 안내부(3000)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예에 따른 연삭 설비에 의하면, 레일 장치(200)의 상부면과 측면을 함께 연삭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예에서는 연삭부(1100)에 체결홀(1111)이 마련되고, 이동 안내부(3000)가 체결홀(1111)을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연삭부(1100)와 이동 안내부(3000) 사이에 상기 이동 안내부(30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또는 활주 가능한 별도의 수단이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예에 따른 연삭 설비가 연삭하고자 하는 연삭 대상체로 레일 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연삭 대상체는 연삭이 필요한 다양한 장치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연삭 설비가 실질적인 대상으로서 용접 잔여물인 덧살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거가 필요한 대상은 덧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 4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삭 설비를 이용하여 연삭 대상체 상에 형성된 덧살을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때, 연삭 대상체로 레일 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가이드 장치(2000)를 레일 장치(200)에 체결한다. 이를 위해, 제 1 대상체 체결부(2400a)와 제 2 대상체 체결부(2400b)가 레일 장치(20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연삭 설비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도 11과 같이 상기 제 1 대상체 체결부(2400a)와 제 2 대상체 체결부(2400b) 사이로 레일 장치(200)를 삽입 위치시킨다. 이때, 제 1 및 제 2 스프링(2430a, 2430b)으로부터 제 1 및 제 2 가이드 롤러(2420a, 2420b)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제 1 및 제 2 가이드 롤러(2420a, 2420b) 각각이 레일 장치(200)의 일 측면(215) 및 타 측면(216) 각각에 접촉한 상태로 레일 장치(200)를 가압한다. 이에, 가이드 장치(2000)가 레일 장치(200)에 체결된다.
다음으로, 연삭 부재(1120)가 제거하고자 하는 덧살(RW)과 마주하도록 연삭 설비를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작업자가 레버(1200)를 밀거나, 당긴다. 이에 따라, 연삭 설비 전체가 레일 장치(200)의 연장 방향으로 수평 이동한다. 이때, 가이드 장치(2000)의 상부 롤러(2200a, 2200b)가 레일 장치(200)의 상부면(214), 측부 롤러(2300a, 2300b) 및 가이드 롤러(2420a, 2420b)가 레일 장치(200)의 측면(215, 216)과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면서 이동한다. 따라서, 연삭 설비가 레일 장치(200)의 연장 방향으로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7과 같이, 연삭 부재(1120)가 덧살(RW) 예컨대 레일 장치(200) 상부면(214)에 형성된 덧살(RW)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면, 그 이동을 중지한다. 그리고, 도 4,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삭 설비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연삭 부재(1120)를 덧살(RW)과 접촉시킨다. 이를 위해, 레버(1200) 타단이 높아지도록 들어 올려, 연삭부(1100)의 기울기를 조절한다. 즉, 레버(1200) 타단을 들어 올려, 상기 레버(1200)에 연결된 연삭 지지 몸체(1110) 후단부의 높이를 낮춘다. 이에, 연삭 지지 몸체(1110) 내부에 설치된 구동 지지부(1140)의 타단 높이가 낮아지게 그 기울기가 변하고, 상기 구동 지지부(1140)에 연결된 연삭 부재(1120)가 하강한다. 이러한 기울기 조절 동작에 의해 연삭 부재(1120)가 덧살(RW)과 접촉되면 레버(1200)을 조작을 중지한다.
다음으로, 가압부(1150)를 이용하여 구동 지지부(1140)를 레일 장치(200) 상부면(214) 방향으로 가압시켜, 연삭 부재(1120)를 레일 장치(200) 상부면(214)에 밀착시킨다. 이를 위해, 예컨대 제 1 조절 부재(1152a)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 3 조절 부재(1152c)를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도 10과 같이 제 1 조절 부재(1152a)는 연삭 지지 몸체(1110) 내부로 돌출되는 길이가 증가하고, 제 3 조절 부재(1152c)는 연삭 지지 몸체(1110) 내부로 돌출되는 길이가 감소한다. 그리고 이때, 제 1 조절 부재(1152a)에 연결된 제 1 가압 부재(1151a) 및 제 3 조절 부재(1152c)에 연결된 제 3 가압 부재(1151c)가 지지대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로 하강한다. 이에, 도 10은 도 9에 비해 지지대(1141)의 타단의 높이가 낮아진 상태가 되며, 이에 지지대(1141)의 기울기가 변한다. 이렇게 지지대(1141)의 타단의 높이가 낮아지는 힘은 연삭 부재(1120)로 전달되며, 이 힘에 의해 연삭 부재(1120)는 레일 장치(200) 상부면을 가압한다.
다음으로, 연삭 구동 부재(1142)를 동작시킨다. 이에, 연삭 부재(1120)가 회전하며, 연삭 부재(1120)의 회전에 의해 덧살(RW)이 연삭 또는 마모되어 제거된다. 이때, 연삭 부재(1120)는 구동 지지부(1140)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레일 장치(200) 상부면(214)을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연삭 부재(1120)가 회전하더라도 연삭 부재(1120)가 덧살(RW)과 접촉 또는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덧살(RW)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레일 장치(200) 상부면(214)에 형성된 덧살(RW) 제거가 종료되면, 연삭 구동 부재(1142)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그리고, 레일 장치(200)의 일 측면(215)에 형성된 덧살 제거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삭 부재(1120)가 상기 일 측면(215)과 마주보도록 연삭 설비를 이동시킨다. 이때, 작업자가 레버(1200)를 잡고 제 1 안내 부재(3100)에 체결되어 있는 연삭 장치(1000)를 레일 장치(200)의 일 측면(215)과 마주보고 있는 제 2 안내 부재(3200)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킨다. 그리고, 연삭 설비를 제 2 안내 부재(3200)를 따라 소정 거리 하강시켜, 연삭 부재(1120)가 레일 장치(200)의 일 측면(215)에 형성된 덧살(RW)과 마주보도록 한다. 이때, 레일 장치(200)의 상부 부재(211)의 일 측면(215)에 형성된 덧살과 마주보도록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레버(1200)를 조작하여 연삭 부재(1120)가 덧살(RW)과 접촉되도록 연삭 설비의 기울기를 조절한다. 연삭 부재(1120)가 덧살(RW)과 접촉되면, 가압부(1150)를 이용하여 구동 지지부(1140)를 레일 장치(200)의 일 측면(215) 방향으로 가압시켜, 연삭 부재(1120)에 레일 장치(200)의 일 측면(215)을 향한 가압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구동 지지부(1140)의 연삭 구동 부재(1142)를 동작시켜, 연삭 부재(1120)를 회전시킨다. 이에, 레일 장치(200)의 일 측면(215)에 형성된 덧살(RW)이 제거된다. 레일 장치(200)의 일 측면(215)에 형성된 덧살(RW)의 제거가 종료되면, 연삭 구동 부재(1142)를 중지시킨다.
이후, 레일 장치(200)의 타 측면(216)에 형성된 덧살을 제거한다. 이를 위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2 안내 부재(3200)에 체결되어 있는 연삭 장치(1000)를 제 1 안내 부재(3100)를 따라 수평 이동시킨 뒤, 제 3 안내 부재(3300)를 따라 소정 거리 하강시켜, 연삭 부재(1120)가 레일 장치(200)의 타 측면(216)에 형성된 덧살(RW)과 마주보도록 한다.
그리고, 레버(1200)를 조작하여 연삭 부재(1120)가 레일 장치(200)의 타 측면(216)에 형성된 덧살(RW)과 접촉되도록 연삭 설비의 기울기를 조절한다. 이후 가압부(1150)를 이용하여 구동 지지부(1140)를 레일 장치(200)의 타 측면(216) 방향으로 가압시켜, 연삭 부재(1120)에 레일 장치(200)의 일 측면(216)을 향한 가압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이후, 연삭 부재(1120)를 회전시켜, 레일 장치(200)의 타 측면(216)에 형성된 덧살(RW)을 제거한다.
레일 장치(200)의 연장 방향(X 방향)을 기준으로, 일 위치에 형성된 덧살(RW)의 제거가 종료되면, 연삭 설비를 다른 위치로 이동시킨다. 즉, 레버(1200)를 통해 연삭 설비를 당기거나 밀어, 연삭 설비를 다른 위치 예컨대 덧살(RW)이 형성된 위치로 이동시켜 덧살을 제거하는 작업을 반복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연삭 장치(1000)를 이용하여 레일 장치(200)의 상부면(214), 일 측면(215) 및 타측면(216)에 형성된 덧살(RW)을 시간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제거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3과 같이 복수의 연삭 장치(1000)를 이동 안내부(3000)에 체결하고, 복수의 연삭 장치(1000) 중 어느 하나의 연삭 부재(1120)가 레일 장치(200)의 상부면(214)과 마주보고, 다른 연삭 장치(1000)의 연삭 부재(1120)가 레일 장치(200)의 측면(215 또는 216)과 마주보도록 하여, 상부면(214)과 측면(215 또는 216)에 형성된 덧살(RW)을 동시에 제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삭 설비에 의하면, 연삭 대상체에 체결된 상태로 연삭 부재(1120)가 연삭 대상체의 상부면(214) 및 측면(215, 216)과 마주볼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다. 이에, 연삭 대상체 상에서 상부면(214) 및 측면(215, 216)을 연삭하는 작업이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연삭 부재(1120)는 가압부(1150)에 의해 연삭 대상체의 표면을 가압할 수 있다. 이에, 연삭 부재(1120)가 연삭 대상체의 표면에 보다 밀착되며, 연삭 작업시에 연삭 부재(1120)가 연삭 대상체 표면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떨어지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연삭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연삭 설비는 연삭 대상체에 체결된 상태로, 상기 연삭 대상체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연삭 위치가 변경될 때마다 연삭 설비를 연삭 대상체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없어, 연삭 작업 효율이 향상되고,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삭 설비의 가이드 장치는, 연삭 대상체의 상부면을 따라 활주하는 상부 롤러, 측면을 따라 활주하는 측면 롤러가 구비됨에 따라, 연삭 설비의 이동이 원활하고, 안정적일 수 있다.
그리고, 연삭 설비는 연삭 대상체에 체결되어 있는 상태로 연삭을 실시함에따라, 작업자가 직접 연삭 설비를 지지 또는 붙잡고 있을 필요가 없다. 따라서,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200: 레일 장치 214: 상부면
215, 216: 측면
1000: 연삭 장치 1100: 연삭부
1200: 레버 1110: 연삭 지지 몸체
1120: 연삭 부재 1140: 구동 지지부
1150: 가압부 1150a 내지 1150d: 제 1 내지 제 4 가압체
2000: 가이드 장치 2100; 가이드 몸체
2200a, 2200b: 제 1 및 제 2 상부 롤러
2300a, 2300b: 제 1 및 제 2 측부 롤러
2400a, 2400b: 제 1 및 제 2 대상체 체결부
3000: 이동 안내부

Claims (20)

  1. 연삭 대상체 표면을 연삭하는 연삭 부재;
    상기 연삭 부재가 상기 연삭 대상체의 둘레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연삭 대상체의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된 이동 안내부; 및
    상기 연삭 부재와 연삭 대상체 사이의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상기 연삭 부재와 연결되는 기울기 조절기;
    를 포함하는 연삭 설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일측에 상기 이동 안내부가 체결되고, 타측에 연삭 부재가 연결된 연삭 지지 몸체를 구비하는 연삭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기울기 조절기는,
    상기 연삭 장치 전체의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상기 연삭 지지 몸체와 연결된 제 1 기울기 조절부; 및
    상기 연삭 부재의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상기 연삭 몸체에 체결된 제 2 기울기 조절부;
    를 포함하는 연삭 설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울기 조절부는,
    상기 연삭 지지 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연삭 지지 몸체에 체결된 구동 지지부; 및
    상기 구동 지지부의 둘레 방향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상기 구동 지지부를 가압하도록 상기 연삭 지지 몸체에 체결된 가압부;
    를 포함하는 연삭 설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삭 부재는 상기 연삭 지지 몸체의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연삭 부재와 상기 연삭 지지 몸체는 상기 연삭 대상체의 폭 방향으로 나열 배치된 연삭 설비.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 안내부는 상기 연삭 대상체의 상부면 및 폭 방향의 양 측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연삭 대상체의 폭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형상인 연삭 설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삭 지지 몸체에는 상기 이동 안내부가 그 연장 방향으로 통과 가능하도록 체결홀이 마련된 연삭 설비.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울기 조절부는 상기 연삭 지지 몸체로부터 상기 이동 안내부가 위치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상기 연삭 지지 몸체에 연결된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울기 조절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연삭 장치의 전체 기울기가 조절되는 연삭 설비.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연삭 지지 몸체 내부로의 돌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연삭 지지 몸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구동 지지부의 둘레 방향으로 나열 배치된 복수의 가압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삭 지지 몸체 내부로 돌출된 상기 복수의 가압체 각각의 끝단은 상기 구동 지지부의 외주면과 접촉된 연삭 설비.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압체 각각은,
    상기 연삭 지지 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구동 지지부의 둘레 방향으로 나열 배치된 복수의 가압 부재; 및
    상기 연삭 지지 몸체 내부로의 돌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연삭 지 몸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연삭 지지 몸체 내부로 돌출된 끝단에 상기 가압 부재가 연결된 복수의 조절 부재;
    를 포함하는 연삭 설비.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탄성력을 가지는 수단인 연삭 설비.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삭 대상체에 체결된 상태로 상기 연삭 대상체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 안내부와 결합된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는 연삭 설비.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는,
    상기 연삭 대상체의 폭 방향으로 나열 배치된 제 1 및 제 2 프레임을 구비하는 가이드 몸체; 및
    사이에 상기 연삭 대상체가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에 각기 연결된 제 1 및 제 2 대상체 체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대상체 체결부 각각은, 상기 연삭 대상체의 양 측면을 따라 회전 가능한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연삭 설비.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는,
    상기 연삭 대상체의 상부면 상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대상체 체결부의 상측에서 상기 가이드 몸체에 체결된 상부 롤러; 및
    상기 연삭 대상체의 양 측면 각각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대상체 체결부와 상기 상부 롤러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 몸체에 체결된 제 1 및 제 2 측부 롤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연삭 설비.
  14.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삭 장치가 복수개로 마련된 연삭 설비.
  15. 연삭 부재를 구비하는 연삭 장치를 연삭 대상체에 체결하는 과정;
    상기 연삭 대상체의 표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연삭 부재를 이동시키는 과정;
    상기 연삭 부재와 연삭 대상체 사이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과정; 및
    상기 연삭 부재를 동작시켜 상기 연삭 대상체의 표면을 연삭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연삭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연삭 부재와 연삭 대상체 사이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과정은,
    상기 연삭 부재가 상기 연삭 대상체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연삭 장치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제 1 기울기 조절 과정; 및
    상기 연삭 부재가 상기 연삭 대상체 표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연삭 부재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제 2 기울기 조절 과정;
    을 포함하는 연삭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연삭 부재를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연삭 장치를 상기 연삭 대상체의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된 이동 안내부에 체결한 상태로 이동시켜, 상기 연삭 부재가 상기 연삭 대상체의 상부면 및 상기 연삭 대상체 폭 방향의 양 측면 중 어느 하나와 마주보도록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연삭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울기 조절 과정은,
    상기 연삭 장치가 상기 이동 안내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연삭 방법.
  19.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삭 대상체는 천정 크레인이 활주하는 레일 장치를 포함하는 연삭 방법.
  20.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삭 과정에 있어서,
    상기 연삭 대상체의 용접 작업시에 발생된 덧살을 연삭하는 연삭 방법.









KR1020200033222A 2020-03-18 2020-03-18 연삭 설비 및 연삭 방법 KR102368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222A KR102368563B1 (ko) 2020-03-18 2020-03-18 연삭 설비 및 연삭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222A KR102368563B1 (ko) 2020-03-18 2020-03-18 연삭 설비 및 연삭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970A true KR20210116970A (ko) 2021-09-28
KR102368563B1 KR102368563B1 (ko) 2022-02-28

Family

ID=77923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222A KR102368563B1 (ko) 2020-03-18 2020-03-18 연삭 설비 및 연삭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56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4208A (ja) * 1998-08-24 2000-02-29 Sankyu Inc レールフロー研削機における位置決め装置
JP2008137053A (ja) 2006-12-04 2008-06-19 Nippon Steel Corp レールのテルミット溶接方法
JP2017057680A (ja) * 2015-09-18 2017-03-23 保線機器整備株式会社 レール頭部削正機および自走式レール頭部削正装置
JP2019124086A (ja) * 2018-01-19 2019-07-25 保線機器整備株式会社 レール削正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4208A (ja) * 1998-08-24 2000-02-29 Sankyu Inc レールフロー研削機における位置決め装置
JP2008137053A (ja) 2006-12-04 2008-06-19 Nippon Steel Corp レールのテルミット溶接方法
JP2017057680A (ja) * 2015-09-18 2017-03-23 保線機器整備株式会社 レール頭部削正機および自走式レール頭部削正装置
JP2019124086A (ja) * 2018-01-19 2019-07-25 保線機器整備株式会社 レール削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8563B1 (ko) 202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8635A (ko) 오버헤드 그라인더 장치
JPWO2006038551A1 (ja) 縦型スピニングマシン
CN110039248B (zh) 一种用于工字钢生产的成型焊接设备
KR20080086964A (ko) 러그 절단장치
KR102368563B1 (ko) 연삭 설비 및 연삭 방법
KR20170087205A (ko) 코일 바인딩장치
KR101203295B1 (ko) 위보기 용접로봇의 분리식 대차
KR101514530B1 (ko) 금속판 연마기의 연마유닛
KR101113798B1 (ko) 러그 및 피스 절단 장치
KR101327816B1 (ko) 프로펠러 턴 오버 장치 및 그 프로펠러 턴 오버 장치를 이용한 턴 오버 방법
KR102484812B1 (ko) 잔여 코일과 신규 코일에 경사부를 형성하여 플라즈마 커팅에 의한 커팅면의 테이퍼 단차를 방지하고 용접 시 압입롤러로 가압하여 용접갭을 제거함으로써 잔여 코일과 신규 코일의 용착부분이 매끄럽고 평탄하게 형성되는 용접장치
KR101812202B1 (ko) 수직이동 용접장치
WO2012144090A1 (ja) スクイズロールスタンド
CN212043228U (zh) 动锥焊接支撑平台及包含该平台的焊接系统
KR102160074B1 (ko) 와이어 핸들러
US10882097B2 (en) Ring-rolling machine and method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mandrel roll of a ring-rolling machine
KR102160073B1 (ko) 와이어 핸들러
CN208019232U (zh) 履带钢筋向上剪切模具
KR101884513B1 (ko) 배터리 교환 장치
KR101822382B1 (ko) 벨트 절단 장치
KR200493608Y1 (ko) 용접캐리지용 가이드 장치
KR200320017Y1 (ko) 자주구동 및 자주 주행식 고속용접장치
CN216471244U (zh) 导开设备及其导开框架
KR102312429B1 (ko) 와인더 교체장치
KR101331425B1 (ko) 레이저 용접용 핸들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