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6470A - 폐액 처리 조성물 및 폐액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폐액 처리 조성물 및 폐액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6470A
KR20210116470A KR1020217021870A KR20217021870A KR20210116470A KR 20210116470 A KR20210116470 A KR 20210116470A KR 1020217021870 A KR1020217021870 A KR 1020217021870A KR 20217021870 A KR20217021870 A KR 20217021870A KR 20210116470 A KR20210116470 A KR 20210116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liquid
container
liquid treatment
group
treatme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1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유키 우루마
사토루 토요시마
Original Assignee
다이켄 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켄 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켄 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16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64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DFLOTATION; DIFFERENTIAL SEDIMENTATION
    • B03D3/00Differential sedimentation
    • B03D3/06Flocc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2/00Accommodation for nursing, e.g. in hospitals, not covered by groups A61G1/00 - A61G11/00, e.g. trolleys for transport of medicaments or food; Prescription li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1/00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60Containers for suction drainage, adapted to be used with an external suction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1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using floccul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organic material
    • C02F1/56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3Wastewater from hospitals, laboratories and the like, heavily contaminated by pathogenic microorg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5/00Use of specific compounds during water treatment
    • C02F2305/14Additives which dissolves or releases substances when predefined environmental conditions are reached, e.g. pH or temper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국면은 체액을 포함하는 폐액을 처리하여 상기 폐액을 용기 내에서 상청과 응집물로 분리하기 위한 폐액 처리 조성물로서, OH기, NH기 및 FH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를 갖는 고체형 응집제와, OH기, NH기 및 FH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를 갖는 고체형 화합물을 포함하는 폐기 처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액 처리 조성물 및 폐액 처리 방법
본 발명은 체액을 포함하는 폐액을 처리하기 위한 폐액 처리 조성물 및 이러한 폐액 처리 조성물을 이용하여 폐액을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술 중이나 치료 중인 환자로부터 배출되는 체액을 포함하는 폐액 혹은 정상인으로부터 채취되어 검사에 사용된 후에 배출되는 체액을 포함하는 폐액 등은 적절한 처리가 실시되고 나서 폐기된다. 이들 폐액은 예를 들어 혈액이나 체강 내 세정액 등을 포함하는데 폐액의 입수 경로에 관계없이 원내감염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폐액의 처리에는 안전면에서 엄중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은 폐액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지금까지도 몇 가지의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폐액 처리 방법에서는 수술 중이나 치료 중인 환자로부터 배출된 체액을 포함하는 폐액을 용기에 수용하고, 용기 내의 폐액에 응집제를 투입하여 교반함으로써 폐액을 상청과 응집물로 분리한다. 그 후 상청을 용기로부터 배출하고 용기 내에 잔존한 응집물을 용기와 함께 소각 처리하여 폐기된다. 또한, 상청을 용기로부터 배출할 때에는 용기로부터의 상청을 필터에 통과시킴으로써 상청 중에 혼입되어 있는 응집물을 여과 분별한다.
이 폐액 처리 방법에서는 용기로부터 배출된 상청은 가열살균 등의 처리가 되고, 상청 중에 혼입되어 있던 응집물에서 필터로 분별된 응집물도 포함하여 나머지 응집물은 용기마다 소각 처리되기 때문에 안전하게 폐액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청을 용기로부터 배출하기 때문에 용기 내의 폐기물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취급성의 점에서도 유리하다.
그러나 폐액에 포함되는 혈액의 농도는 폐액이 수용된 용기마다 다르기 때문에 농도에 따라 교반 시간의 길이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교반 시간을 엄밀하게 설정하지 않아도 폐액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폐액 처리 조성물 및 이러한 폐액 처리 조성물을 이용하여 폐액을 처리하기 위한 유용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국제공개 제97/27883호
본 발명의 일 국면은 체액을 포함하는 폐액을 처리하여 상기 폐액을 용기 내에서 상청과 응집물로 분리하기 위한 폐액 처리 조성물로서, OH기, NH기 및 FH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를 갖는 고체형 응집제와, OH기, NH기 및 FH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를 갖는 고체형 화합물을 포함하는 점에 요지를 갖는 폐액 처리 조성물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관한 폐액 처리 방법은 체액을 포함하는 폐액을 용기에 수용하고, 본 실시형태의 폐액 처리 조성물을 용기 내의 폐액에 투입하여 교반함으로써 폐액을 상청과 응집물로 분리하는 분리 공정과, 상기 상청이 필터를 통해 폐기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폐액 처리 방법을 실시할 때의 폐액 처리 장치의 구성예의 개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폐액 처리 방법에서의 준비 공정의 개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접촉 공정에서 용기 내에 투하된 폐액 처리 조성물 유닛의 수용성 부재가 용해됨으로써 교반자가 수용성 부재로부터 해방되어 폐액 중에 낙하하는 과정 및 폐액 처리 조성물이 수용성 부재로부터 해방되어 폐액 중에 방출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서 2%의 혈액을 포함하는 용액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였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대용 현미경 사진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서 교반 시간을 4분으로 하여 샘플을 폐액 처리한 후 대형 네트를 이용하여 여과 분별하였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6은 실시예 1에서 교반 시간을 4분으로 하여 샘플을 폐액 처리한 후 중간 네트를 이용하여 여과 분별하였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7은 실시예 1에서 각 네트를 통과한 후 소형 네트를 통과한 용액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였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대용 현미경 사진이다.
도 8은 실시예 1에서 교반 시간을 10분으로 하여 샘플을 폐액 처리한 후 대형 네트를 이용하여 여과 분별하였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9는 실시예 1에서 교반 시간을 10분으로 하여 샘플을 폐액 처리한 후 중간 네트를 이용하여 여과 분별하였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10은 실시예 1에서 소형 네트를 이용하여 여과 분별한 후의 상청의 상태를 처리 전의 용액의 상태와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11은 실시예 2에서 교반 시간을 4분으로 하여 샘플을 폐액 처리한 후 대형 네트 및 소형 네트를 이용하여 여과 분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12는 실시예 2에서 교반 시간을 4분으로 하여 샘플을 폐액 처리한 후 중간 네트 또는 소형 네트를 이용하여 여과 분별한 후의 상청의 상태를 처리 전의 용액의 상태와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13은 실시예 2에서 교반 시간을 4분으로 하여 샘플을 폐액 처리한 후 중간 네트 및 소형 네트를 이용하여 여과 분별하였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14는 실시예 2에서 대형 네트 또는 소형 네트를 이용하여 여과 분별한 후의 상청의 상태를 처리 전의 용액의 상태와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15는 비교예에서 2%의 혈액을 포함하는 용액을 샘플로서 이용하여 폐액 처리한 후 중간 네트를 이용하여 여과 분별하였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16은 비교예에서 도 15(B)에 나타낸 용액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였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대용 현미경 사진이다.
도 17은 비교예에서 10%의 혈액을 포함하는 용액의 폐액 처리 전후의 상태를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였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대용 현미경 사진이다.
도 18은 비교예에서 도 15(B)에 나타낸 용액을 폐액 처리 전의 상태와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19는 실시예 3에서 소형 네트를 이용하여 여과 분별한 후의 상청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였을 때의 상태를 폐액 처리 전의 상태와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 대용 현미경 사진이다.
도 20은 실시예 3에서 소형 네트를 이용하여 여과 분별한 후의 상청의 상태를 폐액 처리 전의 상태와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폐액에 포함되는 혈액의 농도는 폐액이 수용된 용기마다 다른 것이 통상적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폐액의 처리를 행하는 경우, 폐액을 상청과 응집물로 분리할 때의 교반 시간은 폐액 중의 혈액의 농도에 따라 보다 엄밀하게 설정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용기마다 혈액의 농도가 다른 폐액에 대해 폐액 중의 혈액의 농도에 따라 교반 시간을 엄밀하게 설정하는 것은 곤란하고, 폐액 중의 혈액의 농도에 따라 적절한 교반 시간으로 설정되지 않음으로써 다양한 결함을 초래하고 있다. 예를 들어 혈액의 농도가 옅은 폐액(이하, 「박혈(薄血) 폐액」이라고 부르기도 함)을 상정하여 교반 시간을 짧게 설정한 경우에 실제 혈액의 농도가 상정한 농도보다 진한 폐액(이하, 「농혈(濃血) 폐액」이라고 부르기도 함)일 때에는 교반 시간이 충분하지 않게 되어 혈액을 충분히 응결하지 못한 응집물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폐액 처리는 전자동화하에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지만 이러한 전자동화를 실시함에 있어서는 폐액 중의 혈액의 농도에 따라 적정한 교반 시간을 설정하기 위해 폐액 중의 혈액 농도를 계측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즉, 폐액 중의 혈액 농도를 계측하는 공정이 필요한 것은 전자동화를 실시하는 데에도 장해가 된다.
혈액을 충분히 응결하지 못한 응집물은 미세하고 응집 강도가 낮은 응집물이 된다. 또한, 교반 시간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충분히 응결되지 않고 남은 혈액 세포가 상청 중에 혼입되어 있고, 이러한 혈액 세포도 상청 중에서 미세하고 응집 강도가 낮은 응집물을 형성하기 쉬워진다. 이러한 미세하고 응집 강도가 낮은 응집물이 많아지면 필터의 막힘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반대로 농혈 폐액임을 상정하여 교반 시간을 길게 설정한 경우에 실제로는 박혈 폐액이었을 때에는 크고 응집 강도가 높은 응집물이 당초 형성되어 있어도 장시간의 교반에 의해 응집물이 붕괴되어 혈액이 충분히 응결되지 않은 상태로 되돌아가 상청 중에 혼입되어 상기와 같이 필터의 눈 막힘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로부터 폐액을 상청과 응집물로 분리할 때에 필터의 눈 막힘 발생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분리되는 응집물은 비교적 크고 응집 강도가 높은 응집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형성되는 응집물이 비교적 크고 응집 강도가 높은 것은 폐액 처리 후의 취급성의 점에서도 필요한 요건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상황하에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교반 시간을 엄밀하게 설정하지 않아도 폐액을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비교적 크고 응집 강도가 높은 응집물을 얻을 수 있으며 필터의 막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는 폐액 처리 조성물 및 이러한 폐액 처리 조성물을 이용하여 폐액을 처리하기 위한 유용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체액을 포함하는 폐액을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비교적 크고 강도가 높은 응집물을 얻을 수 있는 폐액 처리 조성물의 실현을 목표로 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검토하였다. 그 결과 OH기, NH기 및 FH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를 갖는 고체형 응집제와, OH기, NH기 및 FH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를 갖는 고체형 화합물을 포함하는 폐액 처리 조성물을 이용하여 폐액을 처리하면, 교반 시간을 엄밀하게 설정하지 않아도 폐액을 상청과 응집물로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응집물은 비교적 크고 강도도 높게 할 수 있으며, 필터의 막힘 발생이라는 결함을 방지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실시형태의 폐액 처리 조성물은 체액을 포함하는 폐액을 처리하여 상기 폐액을 용기 내에서 상청과 응집물로 분리하기 위한 폐액 처리 조성물로서, OH기, NH기 및 FH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를 갖는 고체형 응집제와, OH기, NH기 및 FH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를 갖는 고체형 화합물을 포함하는 폐액 처리 조성물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교반 시간을 엄밀하게 설정하지 않아도 폐액을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비교적 크고 응집 강도가 높은 응집물을 얻을 수 있으며 필터의 막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는 폐액 처리 조성물 및 이러한 폐액 처리 조성물을 이용하여 폐액을 처리하기 위한 유용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응집제)
본 실시형태의 폐액 처리 조성물에서 이용하는 응집제는 폐액에 포함되는 혈액 등의 성분을 응집시켜 용기 내에서 응집물을 생성시키기 위한 것이다. 응집제는 예를 들어 혈액에 포함되는 세포 성분인 적혈구를 응집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 이용하는 응집제로서는 분말상, 입상, 괴상 등의 고체형의 것이 이용된다. 단, 후술하는 폐액 처리에서 액층 중에 분산되기 쉽게 하기 위해 응집제는 분말상 또는 입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 이용하는 고체형 응집제는 OH기, NH기 및 FH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를 가진다. 이 응집제는 본 실시형태에서 이용하는 고체형 화합물, 즉 OH기, NH기 및 FH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를 갖는 고체형 화합물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비교적 크고 응집 강도가 높은 응집물이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이용하는 응집제는 표면이 마이너스로 하전되어 있는 혈액 등의 성분을 응집물에 도입하기 쉽다는 관점에서 플러스 하전을 가지고 있는 응집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응집제로서는 폴리염화알루미늄, 황산알루미늄(황산 밴드), 폴리염화제2철 등의 무기계 응집제로도 되고, 이들 무기계 응집제이어도 수중에서는 히드록시기(-OH기)를 형성한다. 단, 형성되는 응집물이 크고 응집 강도가 보다 높은 응집물을 얻는다는 점을 고려하면 유기계 응집제인 고분자 응집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분자 응집제로서는 표면이 마이너스로 하전되어 있는 혈액 등의 성분을 응집물에 도입하기 쉽다는 관점에서 적어도 플러스 하전(양이온)을 가지고 있는 응집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 폴리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및 폴리비닐아미딘 등의 양이온계 고분자 응집제 외에 양성 고분자 응집제 등을 바람직한 고분자 응집제로서 들 수 있다.
단, 본 실시형태에서 이용하는 양이온계 고분자 응집제는 상기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양이온을 갖는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의 단독 중합체 혹은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와 아크릴아미드의 공중합체 등이면 된다. 또한, 상기 양성 고분자 응집제는 상기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및 아크릴산의 공중합체를 바람직한 응집제로서 들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OH기를 갖는 응집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NH기나 FH기를 갖는 응집제를 이용할 수 있다. NH기를 갖는 응집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아미드(비이온계 고분자 응집제), 양이온 모노머 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양이온계 고분자 응집제), 아크릴아미드 아크릴산나트륨 공중합체(음이온계 고분자 응집제) 등을 들 수 있다.
(고체형 화합물)
본 실시형태의 폐액 처리 조성물은 OH기, NH기 및 FH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를 갖는 고체형 화합물도 포함한다. 상기 고체형 응집제와 고체형 화합물을 포함시킴으로써 본 실시형태의 폐액 처리 조성물을 이용하여 폐액을 처리하였을 때에 형성되는 응집물은 비교적 크고 응집 강도도 높아지며 또한 응결되지 않고 남은 혈액 세포가 상청 중에 혼입되는 경우도 적어진다. 게다가 일단 형성된 응집물은 장시간 교반에 의해서도 붕괴되는 것이 억제된다. 본 실시형태의 폐액 처리 조성물을 이용하여 폐액을 처리하면 응집물에 의해 필터의 막힘이 발생하는 일이 저감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이용하는 고체형 화합물로서는 붕소 함유 화합물을 바람직한 화합물로서 들 수 있다. 붕소 함유 화합물로서는 폐액에 투입하였을 때에 히드록시기(-OH기)를 갖는 수소 붕산 이온을 형성하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어 붕산, 울렉사이트, 붕사 및 커나이트 등을 바람직한 화합물로서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이용해도 된다. 이 중에서 폐액의 온도에 관계없이 녹는다는 관점에서 가장 바람직한 화합물은 붕사이다.
상기 설명에서는 OH기를 갖는 화합물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NH기나 FH기를 갖는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폐액에 투입하였을 때에 NH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질화티타늄(TiN), 질화지르코늄(ZrN), 질화알루미늄(AlN) 등의 질소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폐액에 투입하였을 때에 FH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불화칼슘(CaF), 불화알루미늄(AlF), 불화나트륨(NaF), 불화칼륨(KF) 등을 들 수 있다.
(폐액 처리 방법)
본 실시형태의 폐액 처리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체액을 포함하는 폐액을 상청과 응집물로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폐기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폐액 처리 방법은 체액을 포함하는 폐액을 용기에 수용하고, 본 실시형태의 폐액 처리 조성물을 용기 내의 폐액에 투입하여 교반함으로써 폐액을 상청과 응집물로 분리하는 분리 공정과, 상기 상청이 필터를 통해 폐기되는 공정을 포함하는 폐액 처리 방법이다.
본 실시형태의 폐액 처리 방법에서 상기 응집제의 폐액에의 투입량은 폐액 전체에 대해 0.02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질량% 이상이다. 응집제의 폐액에의 투입량을 폐액 전체에 대해 0.02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그 효과가 유효하게 발휘된다. 응집제의 폐액에의 투입량의 상한에 대해서는 전혀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 효과가 포화된다는 관점에서 0.3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질량% 이하이다.
또한, 고체형 화합물의 폐액에의 투입량은 폐액 전체에 대해 0.02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질량% 이상이다. 고체형 화합물의 폐액에의 투입량을 폐액 전체에 대해 0.02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그 효과가 유효하게 발휘된다. 고체형 화합물의 폐액에의 투입량의 상한에 대해서는 전혀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 효과가 포화된다는 관점에서 0.8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1질량% 이하이다.
또, 폐액 처리 조성물에서는 각 성분의 투입량이 상기의 범위 내가 되도록 고체형 응집제와 고체형 화합물의 함유 비율을 조정하면 된다.
형성되는 응집물의 간극에 혈액 등의 성분과 함께 수분을 도입하면서 슬라임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응결되지 않고 남은 폐액 중의 혈액 등을 최대한 저감하면서 슬라임 중에 도입할 수 있고, 그 결과 비교적 크고 응집 강도가 높은 응집제가 형성된다.
한편, 무기계 응집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형성되는 응집물의 응집 강도는 약간 저하된다. 단, 고체형 화합물을 포함시킴으로써 무기계 응집제 단독으로 폐액을 처리한 경우에 비해 어느 정도의 응집 강도는 확보할 수 있다. 즉, 무기계 응집제 단독으로 폐액을 처리한 경우에는 혈액 세포 등의 성분끼리 응결된 비교적 작은 응집물이 되고, 이러한 응집물은 장시간 교반에 의해 붕괴되기 쉬운 것이지만, 고체형 화합물이 동시에 존재함으로써 비교적 작은 응집물끼리 강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 장시간 교반에 의해서도 붕괴되기 어려워진다고 추측된다.
체액을 포함하는 폐액에는 혈액, 생리식염수 등의 성분뿐만 아니라 지방 등의 유지 성분도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유지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본 실시형태의 폐액 처리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유지 흡수제를 포함해도 된다. 이러한 유지 흡수제로서는 활성탄을 바람직한 유지 흡수제로서 들 수 있다. 유지 흡수제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유지 흡수제의 폐액에의 투입량이 폐액 전체에 대해 0.02~0.3질량%가 되도록 폐액 처리 조성물 중의 함유량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입량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질량% 이상이며 0.15질량% 이하이다. 또, 폐액 처리 조성물에 상기한 고체형 응집제 및 고체형 화합물과 함께 유지 흡수제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폐액 처리 조성물 중에서 이들의 함유 비율(질량비)을 엄밀하게 조정하지 않아도 (고체형 응집제):(고체형 화합물):(유지 흡수제)에서 1:1:1이 되도록 배합해도 된다.
체액을 포함하는 폐액이 수용된 용기 내에서는 상기한 유지 성분 외에 체액에 유래하는 혈병, 거품 등의 부유물이 폐액 상에 떠올라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부유물이 있고 게다가 응집제로서 분말상, 입상 등의 고체형 응집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폐액이 수용된 용기 내에 응집제를 직접 투입해도 고체형 응집제가 폐액에 접촉하기 전에 부유물에 부착되어 버리기 때문에 폐액 중에 응집제가 충분히 퍼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폐액을 상청과 응집물로 분리하는 효율이 저하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이용하는 고체형 화합물도 기본적으로 분말상, 입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폐액 처리 조성물을 이용하여 폐액을 처리함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도 해결할 수 있는 폐액 처리 방법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실시형태의 폐액 처리 방법에서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는 폐액 처리 조성물과 수용성 부재를 포함하는 폐액 처리 조성물 유닛을 상기 용기 내에서 폐액에 접촉시켜 상기 수용성 부재의 일부 또는 전체를 상기 폐액에서 용해시킴으로써 상기 폐액 처리 조성물을 상기 폐액에 포함시키는 접촉 공정을 더 구비하는 폐액 처리 방법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폐액 처리 방법에서는 용기 내에서 폐액에 떠오르는 부유물에 분말상, 입상 등의 고체형 응집제 및 붕소 함유 화합물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 결과, 그 용해된 부분으로부터 폐액 처리 조성물을 폐액에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폐액 처리 조성물이 폐액와 접촉하기 전에 부유물에 부착되는 것에 기인하여 폐액 처리 조성물이 폐액 중에 충분히 퍼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도 없다. 이에 의해 이 실시형태의 폐액 처리 방법에서는 접촉 공정에서 폐액 처리 조성물을 폐액에 충분히 포함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폐액을 분리 공정에서 교반함으로써 원하는 양의 폐액 처리 조성물을 폐액 중에 분산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폐액에 포함되는 성분이 폐액 처리 조성물에 의해 효율적으로 응집물이 되기 때문에 용기 내에서 폐액을 상청과 응집물로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분리된 상청은 예를 들어 용기로부터 배출되어 적절한 처리가 실시됨으로써 안전하게 폐기된다. 또한, 분리된 응집물은 용기와 함께 또는 용기와는 별개로 예를 들어 소각 처리 등의 적절한 처리가 실시됨으로써 안전하게 폐기된다. 이러한 폐액 처리 방법을 적용하면 분말상, 입상 등의 고체형 응집제 및 붕소 함유 화합물을 이용하는 경우이어도 부유물을 갖는 폐액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폐액 처리 방법에 대해 폐액 처리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실시형태의 폐액 처리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폐액 처리 장치는 도시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후술하는 설명에 등장하는 도면에서 주요 부호는 이하를 나타낸다: 20 용기, 21 용기 본체, 22 상부 덮개, 28 보유지지 용기, 31 투하 기구, 40 폐액 처리 조성물 유닛, 41 고체형 응집제, 42 교반자, 43 수용성 부재, 44 고체형 화합물(붕소 함유 화합물), 50 교반 장치, 70 폐액, 72 부유물.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폐액 처리 방법을 실시할 때에 이용되는 폐액 처리 장치(10)의 일례의 개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폐액 처리 장치(10)는 용기(20)와 보유지지 용기(28)와 폐액 처리 조성물 유닛(40)과 교반 장치(50)를 구비한다. 용기(20)는 용기 본체(21)와 상부 덮개(22)를 가진다. 용기 본체(21)는 용기(20) 내에 흡인되어 유입되는 폐액을 보유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용기 본체(21)는 변형 가능한 가요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해 용기 본체(21)는 용기(20)의 내부 압력과 외부 압력의 차에 따라 내부 용적이 증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외부 압력은 후술하는 보유지지 용기(28)와 용기 본체(21) 사이의 공간의 압력이다. 용기 본체(21)는 예를 들어 연질의 합성수지 등과 같이 용이하게 변형 가능한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용기(20)는 보유지지 용기(28)와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폐액을 처리하는 준비의 단계에서 용기 본체(21)가 수축된 상태의 용기(20)가 보유지지 용기(28)에 장착되어 도 1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용기 본체(21)가 보유지지 용기(28) 내에 수용됨과 아울러 보유지지 용기(28)의 상부의 개구부가 상부 덮개(22)에 의해 막힌다.
또한, 상부 덮개(22)에 설치된 접속구(24)에 튜브(23)의 일단이 접속되고, 접속구(26)에는 튜브(25)의 일단이 접속된다. 또한, 보유지지 용기(28)에 설치된 접속구(29)에는 튜브(30)의 일단이 접속된다.
용기 본체(2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액 처리에 사용하기 전에는 예를 들어 벨로즈 형상으로 복수의 접은 자국이 형성되어 있고, 용기(20)의 내부 용적이 작아지도록 수축된 상태에 있다.
용기(20)를 폐액 처리에 사용할 때에는 용기(20)의 내부 압력이 용기(20)의 외부 압력보다 커지도록 용기(20)의 내외 압력이 조절된다. 이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0)의 내부 용적이 커지도록 용기 본체(21)의 접은 자국이 늘어나 확장된 상태가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용기 본체(21)가 신축 가능(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용기 본체(21)는 사용 전후에도 동일한 형상으로 변형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용기(20)는 일회용 용기로서 구성되어 있다. 즉, 용기(20)는 후술하는 폐기 공정에서 용기(20) 내에 수용된 폐액 처리 조성물과 함께 폐기된다. 단, 용기(20)는 반드시 일회용 용기가 아니어도 되고, 본 실시형태의 폐액 처리 방법을 실시한 후 살균, 세정 등의 적절한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재이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부 덮개(22)는 용기 본체(21)의 상부의 개구부를 막기 위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덮개(22)에는 접속구(24)와 접속구(26)가 설치되어 있다. 접속구(24)에는 접촉 공정에서 폐액을 용기(20) 내에 도입하기 위한 튜브(23)가 접속된다. 접속구(26)에는 접촉 공정에서 용기(20) 내의 공기를 용기 본체(21)의 외부로 배출하는 튜브(25)가 접속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0) 내에서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폐액 처리 조성물 유닛(40)이 용기(20)에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폐액 처리 조성물 유닛(40)은 용기(20)의 상부 덮개(22)에 장착되어 상부 덮개(22)에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폐액 처리 조성물 유닛(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 전에는 용기(20)에 지지되어 있다(구체적으로는 상부 덮개(22)의 하면에 지지되어 있다). 한편, 폐액 처리 조성물 유닛(40)은 후술하는 접촉 공정의 적절한 시점에서 용기(20)(구체적으로는 상부 덮개(22)의 하면)로부터 벗어나 폐액에 투하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덮개(22)에는 투하 기구(31)가 설치되어 있다. 투하 기구(31)는 접촉 공정에서 용기(20) 내에 수용된 폐액에 폐액 처리 조성물 유닛(40)을 투하하기 위한 것이다. 투하 기구(31)는 폐액 처리 조성물 유닛(40)에 대한 용기(20)에 의한 지지(구체적으로는 폐액 처리 조성물 유닛에 대한 상부 덮개(22)에 의한 지지)를 용기(20)의 외부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해제하여 용기(20) 내의 폐액에 폐액 처리 조성물 유닛(40)을 낙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조작은 작업자에 의한 수동으로 행해져도 되고, 폐액 처리 장치(10)의 제어부에 의한 자동으로 행해져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투하 기구(31)는 예를 들어 폐액 처리를 행하는 작업자가 용기(20)의 외부로부터 조작 가능한 투하 버튼이다. 작업자가 이 투하 버튼을 누름으로써 상부 덮개(22)에 지지되어 있던 폐액 처리 조성물 유닛(40)이 하방으로 눌려 상부 덮개(22)로부터 벗어나 폐액의 액면을 향하여 낙하한다. 또, 투하 기구(31)는 도 1에 도시된 투하 버튼에 한정되지 않고, 접촉 공정에서의 적절한 시점에서 조작자에 의해 수동으로 또는 폐액 처리 장치(10)의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폐액 처리 조성물 유닛(40)을 폐액에 투하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기구를 채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0)는 보유지지 용기(28)에 보유지지된다. 보유지지 용기(28)는 용기(20)를 보유지지 가능한 정도의 강성을 가지고 있다. 보유지지 용기(28)는 용기 본체(21)의 전체를 수용 가능한 용기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유지지 용기(28)의 상부의 개구부는 용기(20)의 상부 덮개(22)에 의해 막힌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유지지 용기(28)에는 접속구(29)가 설치되어 있다. 접속구(29)에는 튜브(30)가 접속된다. 튜브(30)는 후술하는 준비 공정, 접속 공정 등에서 보유지지 용기(28)와 용기 본체(21) 사이의 공간에 있는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이 공간의 압력을 용기 본체(21)의 내부 압력보다 작게 하여 용기 본체(21)를 수축 상태로부터 확장 상태로 하기 위해 또는 그 확장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보유지지 용기(28)는 재사용 용기로서 구성되어 있다. 즉, 보유지지 용기(28)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폐액 처리 방법에 사용된 후 살균, 세정 등의 적절한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재이용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액 처리 조성물 유닛(40)은 응집제(41)과 교반자(42)와 고체형 화합물(44)과 이들 응집제(41), 교반자(42) 및 고체형 화합물(44)을 수용하는 수용성 부재(43)를 가진다. 이하에서는 고체형 화합물(44)을 붕소 함유 화합물(44)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폐액 처리 조성물 유닛(40)에 포함되는 응집제(41) 및 붕소 함유 화합물(44)의 양은 예를 들어 용기 본체(21)의 용량 등을 고려하여 상기한 바람직한 투입량으로 조정된다. 또한, 분말상 또는 입상의 응집제(41) 및 붕소 함유 화합물(44)의 입경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후술하는 접촉 공정에서의 폐액의 액층에서의 분산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된다.
교반자(42)는 후술하는 교반 공정에서 용기(20) 내의 액층을 교반하기 위해 이용된다. 후술하는 교반 장치(50)가 자기 교반기(magnetic stirrer)이므로, 교반자(42)로서는 예를 들어 막대자석이 합성수지 등에 의해 피복된 가늘고 긴 형태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교반자(42)는 무게 조절 부재의 일례로서, 폐액 처리 조성물 유닛(40)의 무게를 조절하기 위한 기능도 가지고 있다. 교반자(42)의 질량은 후술하는 접촉 공정에서 폐액에 투하된 폐액 처리 조성물 유닛(40)의 일부 또는 전체가 부유물을 통과하여 부유물의 하방에 있는 폐액에 도달하도록 조정된다. 구체적으로 교반자(42)로서는 폐액에 포함되는 혈액보다 비중이 큰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교반자(42)의 질량은 폐액 처리 조성물 유닛(40) 전체의 질량이 그 폐액 처리 조성물 유닛(40)과 동일 부피의 폐액의 질량보다 커지도록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부재(43)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수용성을 갖는 합성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등을 예시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수용성 종이이어도 된다. 이러한 수용성 종이를 수용성 부재의 소재로서 이용함으로써 폐액 처리 조성물 유닛을 폐액에 접촉시켰을 때에 수용성 부재의 용해가 신속하게 진행되고 그만큼 폐액 처리 효율이 높아진다. 또, 수용성 부재가 폐액에 접촉하였을 때부터 그것이 용해되어 내부의 폐액 처리 조성물이 폐액에 접촉하기까지의 시간은 수용성 부재를 구성하는 재료, 수용성 부재의 두께 등을 바꿈으로써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수용성 부재(43)에는 분말상 또는 입상의 응집제(41)와 교반자(42) 및 붕소 함유 화합물(44)이 수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1장의 수용성 종이를 반으로 접어 수용성 종이를 겹치거나 또는 2장의 수용성 종이를 겹쳐 이들 수용성 종이의 사이에 응집제(41), 교반자(42) 및 붕소 함유 화합물을 배치한 상태로 수용성 종이의 주위 테두리 부분을 예를 들어 융착 등의 접합 방법을 이용하여 접합한다. 이에 의해 응집제(41)와 교반자(42)가 밀봉된 상태의 폐액 처리 조성물 유닛(40)을 얻을 수 있다.
또, 응집제(41), 교반자(42) 및 붕소 함유 화합물(44)은 반드시 수용성 필름에 의해 밀봉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수용 공간이 폐액 처리 조성물 유닛(40)의 외부와 다소 연통되어 있어도 된다. 즉, 접촉 공정에서 수용성 필름이 액층에 접촉하기 전에 응집제(41), 교반자(42) 및 붕소 함유 화합물(44)이 수용성 필름의 수용 공간으로부터 밖으로 나와 버리는 일이 없을 정도로 응집제(41), 교반자(42) 및 붕소 함유 화합물(44)이 수용성 필름으로 둘러싸여 보유지지되어 있으면 된다.
교반 장치(50)는 후술하는 교반 공정에서 용기(20) 내의 폐액을 교반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교반 장치(50)로서 자기 교반기가 이용되고 있다. 이 교반 장치(50)(자기 교반기(50))는 본체(51)와 상술한 교반자(42)를 구비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 교반자(42)는 폐액 처리 조성물 유닛(40)의 일부를 구성함과 아울러 교반 장치(50)의 일부도 구성하고 있다.
자기 교반기(50)의 본체(51)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부나 제어부, 이들을 수용하는 케이싱 등을 구비한다. 교반자(42)의 회전 속도는 구동부나 제어부에 의해 조절된다. 자기 교반기(50)의 케이싱의 상판 상에는 보유지지 용기(28)가 세팅된다. 또, 교반 장치(50)로서는 예를 들어 모터에 연결된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폐액을 교반하는 기계식 교반기 등의 다른 교반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폐액 처리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폐액 처리 방법은 예를 들어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준비 공정과 접촉 공정과 분리 공정과 배출 공정과 폐기 공정을 구비할 수 있다.
(준비 공정)
우선, 준비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준비 공정은 후술하는 접촉 공정 전에 행해지는 공정으로, 접촉 공정에서 용기(20) 내에 폐액을 흡인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하기 위한 것이다.
준비 공정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 장치(50)의 본체(51) 상에 보유지지 용기(28)를 세팅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21)가 수축된 상태의 용기(20)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유지지 용기(28)에 장착한다. 이에 의해 용기 본체(21)가 보유지지 용기(28) 내에 수용됨과 아울러 보유지지 용기(28)의 상부의 개구부가 상부 덮개(22)에 의해 막힌다.
또한, 준비 공정에서는 상부 덮개(22)에 설치된 접속구(24)에 튜브(23)의 일단이 접속되고, 접속구(26)에는 튜브(25)의 일단이 접속된다. 또한, 보유지지 용기(28)에 설치된 접속구(29)에는 튜브(30)의 일단이 접속된다.
또한, 튜브(25)에는 튜브(25)를 통해 용기(20) 내의 공기를 흡인하기 위한 흡인 장치(펌프)(32)가 설치된다. 튜브(30)에는 튜브(30)를 통해 보유지지 용기(28)와 용기 본체(21) 사이의 공간에 있는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 장치(펌프)(33)가 설치된다. 흡인 장치(펌프)(32, 33)로서는 예를 들어 병동에 설치된 흡인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흡인 장치(펌프)(32, 33)로서는 롤러 펌프(튜브 펌프) 등과 같이 음압을 발생시킬 수 있는 펌프(32, 33)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흡인 장치(펌프)(32, 33) 중 어느 한쪽을 생략하여 튜브(25)를 통한 공기의 흡인과 튜브(30)를 통한 공기의 흡인을 하나의 흡인 장치에 의해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준비 공정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 상태에 있는 용기 본체(21)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 상태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준비 공정에서는 튜브(23)의 타단은 개방되어 있고, 용기 본체(21)의 외부 공기가 튜브(23)를 통해 용기 본체(21)의 내부로 유입 가능한 상태에 있다.
이 상태로 펌프(33)의 운전을 개시하면, 보유지지 용기(28)와 용기 본체(21) 사이의 공간에 있는 공기가 튜브(30)를 통해 보유지지 용기(28) 밖으로 흡인된다. 한편, 용기 본체(21)의 내부에는 튜브(23)를 통해 외부 공기가 자유롭게 유입 가능하다. 이 때문에 보유지지 용기(28)와 용기 본체(21) 사이의 공간의 압력이 용기(20) 내(용기 본체(21) 내)의 압력보다 작아진다. 이러한 압력차가 발생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되어 있던 용기 본체(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유지지 용기(28) 내에서 확장된다. 그 후, 흡인 장치(펌프)(33)의 운전을 정지한다. 또, 흡인 장치(펌프)(33)가 롤러 펌프인 경우, 펌프의 운전이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그 펌프에 의해 튜브(30)의 유로가 막혀 있다. 상기 준비 공정에 의해 폐액 처리 조성물 유닛(40)이 보유지지된 용기(20)를 접촉 공정을 행하기 위한 위치에 세팅할 수 있다.
(접촉 공정)
다음으로 접촉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접촉 공정은 폐액 처리 조성물 유닛(40)을 용기(20) 내에서 폐액에 접촉시켜 수용성 부재(43)를 폐액에서 용해시킴으로써 응집제(41) 및 붕소 함유 화합물(44)을 폐액에 포함시키기 위해 행해진다.
우선, 용기(20) 내에 폐액을 유입시킨다. 이 때, 튜브(23)의 타단측으로부터 체액을 포함하는 폐액이 흡인된다. 상부 덮개(22)의 접속구(26)와 튜브(25)의 사이에는 지수(止水) 필터(34)가 설치되어 있다. 지수 필터(34)는 용기(20) 내에 수용된 폐액의 일부가 용기(20) 밖으로 유출되어 튜브(25)에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지수 필터(34)는 용기(20) 내의 폐액의 일부가 접속구(26)를 통해 지수 필터(34)에 도달하면 흡인을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지수 필터(34)는 중공의 유로 부재와 흡수체를 구비한다. 유로 부재는 접속구(26)와 튜브(25)를 연통하는 유로를 가진다. 흡수체는 그 유로에 설치되어 있다. 흡수체는 액체의 흡수성이 매우 우수한 섬유(초흡수 가공된 섬유)를 소재로 한다. 흡수체는 공기가 흐르는 간극을 갖는 한편 액체를 흡수하면 순식간에 팽윤한다. 이에 의해 지수 필터(34)는 팽윤 후의 흡인을 정지할 수 있으므로 접촉 공정에서 용기(20) 내의 폐액이 튜브(25)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흡인 장치(펌프)(32)의 운전이 개시되면 용기(20) 내의 공기가 튜브(25)를 통해 용기 본체(21) 밖으로 배출됨에 동반하여 발생하는 음압에 의해 체액을 포함하는 폐액이 튜브(23)를 통해 흡인되어 용기(20) 내에 유입된다. 이 때, 용기 본체(21)의 확장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흡인 장치(펌프)(33)의 운전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20) 내로의 폐액의 흡인 종료 후, 튜브(배관 튜브)(25)가 용기(20)(구체적으로는 지수 필터(34))로부터 분리된다. 지수 필터(34)는 접속구(26)에 장착한 상태 그대로이다.
다음으로 용기(20) 내의 폐액에 폐액 처리 조성물 유닛(40)을 투하한다. 도 3은 투하 공정의 개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A), 도 3(B) 및 도 3(C)은 투하 공정에서 용기(20) 내에 투하된 폐액 처리 조성물 유닛(40)의 수용성 부재(43)가 용해되어 교반자(42)가 해방되는 과정 및 응집제(41)와 붕소 함유 화합물(44)이 폐액으로 방출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투하 공정에서는 투하 기구(31)의 일례인 투하 버튼이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또는 폐액 처리 장치(10)의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눌려진다. 이에 의해 상부 덮개(22)에 지지되어 있던 폐액 처리 조성물 유닛(40)이 상부 덮개(22)로부터 벗어나 폐액(70)의 액면을 향하여 낙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응집제(41) 및 붕소 함유 화합물(44)이 수용성 부재(43)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이 수용 상태에서는 용기(20) 내의 폐액(70)의 표층 부분에서 폐액(70)에 떠오르는 부유물(72)에 응집제(41) 및 붕소 함유 화합물(44)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폐액 처리 조성물 유닛(40)은 무게 조절 부재로서의 교반자(42)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액 처리 조성물 유닛(40)의 적어도 일부가 부유물(72)의 하방에 있는 폐액(70)에 도달한다. 이와 같이 수용성 부재(43)가 폐액(70)에 접촉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성 부재(43) 중 폐액(70)에 접촉하고 있는 부분이 점차 용해된다. 수용성 부재(43)의 일부가 용해되면 수용성 부재(43)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응집제(41), 붕소 함유 화합물(44) 및 교반자(42)가 폐액(70)에 노출된다. 그리고 수용성 부재(43)의 용해가 더욱 진행되면 수용성 부재(43)는 응집제(41), 붕소 함유 화합물(44) 및 교반자(42)를 보유지지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응집제(41) 및 붕소 함유 화합물(44)의 일부 또는 전부 및 교반자(42)는 폐액(70) 중에 방출된다. 그리고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집제(41) 및 붕소 함유 화합물(44)의 대부분은 폐액(70) 중에 방출되고, 교반자(42)는 용기 본체(21)의 바닥면 상에 낙하한다.
또, 접촉 공정에서는 수용성 부재(43)의 전체가 완전히 용해될 필요는 없고, 수용성 부재(43)의 일부가 용해되지 않고 남아 있어도 된다.
(분리 공정)
다음으로 분리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분리 공정은 응집제(41) 및 붕소 함유 화합물(44)을 포함시킨 폐액(70)을 교반하여 폐액(70)을 용기(20) 내에서 상청과 응집물로 분리하기 위해 행해진다. 이 분리 공정은 교반 공정과 이 교반 공정 후에 행해지는 정치(靜置) 공정을 포함한다.
교반 공정에서는 접촉 공정에서 용기 본체(21)의 바닥면에 낙하한 교반자(42)를 폐액(70)에서 회전시킨다. 교반자(42)의 회전 속도 등은 자기 교반기(50)의 본체(51)에 의해 제어된다. 상술한 접촉 공정에서 폐액(70)에는 응집제(41) 및 붕소 함유 화합물(44)이 포함되어 있고, 교반 공정에서 그 폐액(70)을 교반함으로써 응집제(41) 및 붕소 함유 화합물(44)을 폐액(70) 전체에 퍼지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폐액(70)에 포함되는 성분이 응집제(41) 및 붕소 함유 화합물(44)에 의해 효율적으로 응집물이 된다.
응집물의 생성에 필요한 교반이 완료되면 자기 교반기(50)의 운전이 정지된다. 그리고 용기 본체(21) 및 그 내부의 폐액(70)이 정치되면 용기(20) 내에서 응집물이 침전하기 때문에 폐액(70)을 상청과 응집물로 분리할 수 있다.
(배출 공정)
다음으로 배출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배출 공정은 상청을 용기(20)로부터 배출하기 위해 행해진다. 이에 의해 용기(20) 내의 폐기물의 부피를 작게 할 수 있다. 이 배출 공정에서는 용기(20) 내의 상청이 용기(20)로부터 배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배출 공정에서는 용기(20)의 용기 본체(21)를 수축시켜 용기 본체(21)의 용적을 작게 함으로써 용기(20)의 상부로부터 상청만을 용기(20) 밖으로 배출한다.
이 때 흡인 장치(도시생략)를 이용하여 용기(20) 내의 공기 및 상청을 흡인하여 이들을 용기(20) 밖으로 배출한다. 예를 들어 상부 덮개(22)의 접속구(24)에 배출 튜브가 접속된다. 이 배출 튜브에는 흡인 장치로서 예를 들어 롤러 펌프가 설치되어 있다. 배출 공정은 접속구(24) 등의 다른 개구부가 닫힌 상태로 행해진다.
롤러 펌프의 운전을 개시하면, 용기(20) 내의 공기 및 상청이 흡인되어 이들이 용기(20) 밖으로 배출된다. 그 배출에 의한 음압으로 용기 본체(21)가 수축한다. 이에 의해 용기 본체(21)가 수축한 후의 용기(20) 내에는 응집물과 소량의 상청이 남는다.
또, 용기 본체(21)에 대해 용기 본체(21)의 외부로부터 압력을 가하여 용기 본체(21)를 찌그러뜨림으로써 용기(20)의 상부로부터 상청만을 용기(20) 밖으로 배출해도 된다.
(폐기 공정)
다음으로 폐기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폐기 공정에서는 용기(20)가 보유지지 용기(28)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용기(20) 내에 남은 응집물은 용기(20)와 함께 소각 처리 등의 적절한 처리가 실시됨으로써 안전하게 폐기된다. 또한, 용기(20)로부터 배출된 상청은 필터(도시생략)를 통과시켜 상청 중의 응집물을 여과 분별한 후 적절한 처리가 실시됨으로써 안전하게 폐기된다.
상기 폐기 공정에서 이용되는 필터로서는 눈크기 사이즈가 (10mm×10mm)~(15mm×15mm) 정도의 대형 네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폐액 처리 방법에서는 비교적 크고 응집 강도가 높은 응집물을 얻을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대형 네트로 구성된 필터를 이용해도 충분한 여과가 가능하며 또한 여과 시간도 단축된다.
또한, 상기 폐기 공정에서 이용되는 필터로서는 이중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한 대형 네트와 이 대형 네트보다 선직경 및 눈크기가 작은 네트(후기 실시예에서 나타내는 중간 네트 또는 소형 네트)로 구성되는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중간 네트의 눈크기 사이즈로서는 (1mm×1mm)~(10mm×10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소형 네트의 눈크기는 (1mm×1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용하는 필터는 눈크기가 너무 작으면 본 실시형태의 폐액 처리 방법에서도 막힘 발생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각 네트의 눈크기는 적어도 (50μm×50μm)~(100μm×100μm)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폐액 처리 방법에서는 상기 폐기 공정에서 이용되는 필터로서 상기와 같은 이중 구조로 하고 상류측의 대형 네트에서 용기 내의 상청을 여과한 후에 대형 네트를 통과한 응집물을 대형 네트보다 선직경 및 눈크기가 작은 네트로 포착함으로써 배출되는 상청이 보다 고운 상태가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응집제(41) 및 붕소 함유 화합물(44)이 수용성 부재(43)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20) 내에서 폐액(70)에 떠오르는 부유물(72)에 응집제(41) 및 붕소 함유 화합물(44)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폐액 처리 조성물 유닛(40)을 폐액(70)에 접촉시켜 수용성 부재(43)를 폐액(70)에서 용해시킴으로써 그 용해된 부분으로부터 응집제(41) 및 붕소 함유 화합물(44)을 폐액(70)으로 방출하여 폐액(70)에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응집제(41) 및 붕소 함유 화합물(44)이 폐액(70)에 접촉하기 전에 응집제(41) 및 붕소 함유 화합물(44)이 부유물(72)에 부착되는 것에 기인하여 응집제(41) 및 붕소 함유 화합물(44)이 폐액(70)에 충분히 퍼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접촉 공정에서 응집제(41) 및 붕소 함유 화합물(44)을 폐액(70)에 충분히 포함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폐액(70)을 분리 공정에서 교반함으로써 원하는 양의 응집제(41) 및 붕소 함유 화합물(44)을 폐액(70)에 분산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폐액(70)에 포함되는 성분이 응집제(41) 및 붕소 함유 화합물(44)에 의해 비교적 크고 응집 강도가 높은 응집물이 되기 때문에 용기(20) 내에서 폐액(70)을 상청과 응집물로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분리된 상청에는 응집물의 혼입이 최대한 저감되어 있고, 미세하고 응집 강도가 낮은 응집물의 형성이 억제되어 필터의 눈 막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기술을 개시하고 있는데 그 중 주요 기술을 이하에 정리한다.
즉, 본 발명의 일 국면에 관한 폐액 처리 조성물은 체액을 포함하는 폐액을 처리하여 상기 폐액을 용기 내에서 상청과 응집물로 분리하기 위한 폐액 처리 조성물로서, OH기, NH기 및 FH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를 갖는 고체형 응집제와, OH기, NH기 및 FH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를 갖는 고체형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폐액 처리 조성물에서 이용하는 고체형 응집제로서는 양이온계 고분자 응집제 및 양성 고분자 응집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체형 화합물로서는 붕소 함유 화합물을 바람직한 화합물로서 들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붕산, 울렉사이트, 붕사 및 커나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바람직한 화합물로서 들 수 있다. 상기 폐액 처리 조성물은 유지 흡수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관한 폐액 처리 방법은 체액을 포함하는 폐액을 용기에 수용하고, 상기 본 실시형태의 폐액 처리 조성물을 용기 내의 폐액에 투입하여 교반함으로써 폐액을 상청과 응집물로 분리하는 분리 공정과, 상기 상청이 필터를 통해 폐기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폐액 처리 방법에서 상기 고체형 응집제의 폐액에의 투입량은 폐액 전체에 대해 0.02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체형 화합물의 폐액에의 투입량은 폐액 전체에 대해 0.02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폐액 처리 방법에서의 보다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상술한 폐액 처리 조성물과 수용성 부재를 포함하는 폐액 처리 조성물 유닛을 상기 용기 내에서 상기 폐액에 접촉시켜 상기 수용성 부재의 일부 또는 전체를 상기 폐액에서 용해시킴으로써 상기 폐액 처리 조성물을 상기 폐액에 포함시키는 접촉 공정을 더 구비하는 폐액 처리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폐액 처리 방법에서는 상기 폐액 처리 조성물 유닛을 구성하는 수용성 부재는 수용성 종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교반 시간을 엄밀하게 설정하지 않아도 폐액을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비교적 크고 응집 강도가 높은 응집물을 얻을 수 있어 필터의 막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폐액 처리 방법에서 상기 필터는 (15mm×15mm) 이하의 눈크기를 갖는 네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폐액 처리 방법에서는 비교적 크고 응집 강도가 높은 응집물을 얻을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눈크기를 갖는 대형 네트로 구성된 필터를 이용해도 충분한 여과가 가능하며 또한 여과 시간도 단축된다.
또한, 상기 필터는 이중 구조로 되어 있고 (15mm×15mm) 이하의 눈크기를 갖는 제1 네트와 상기 제1 네트보다 눈크기 사이즈가 작은 제2 네트로 구성되는 것은 바람직한 실시형태이다. 상술한 폐액 처리 방법에서는 상기 폐기 공정에서 이용되는 필터로서 상기와 같은 이중 구조로 하여 상류측의 제1 네트에서 용기 내의 상청을 여과한 후에 제1 네트를 통과한 응집물을 제1 네트보다 눈크기가 작은 제2 네트에서 포착함으로써 배출되는 상청이 보다 고운 상태가 된다.
이하에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서술하지만,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전혀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박혈 폐액을 상정한, 2%(질량 비율; 혈액 농도에 대해서는 이하 동일)의 혈액을 포함하는 용액(4L)을 샘플로서 이용하였다. 이 용액에 대해 활성탄, 붕사 및 고분자 응집제를 하기의 양(용액에 대한 비율)이 되도록 투입하여 교반을 행하였다. 이 2%의 혈액을 포함하는 용액에서의, 폐액 처리 조성물에 의해 처리(이하에서는 편의상 용액 중에서 응집물을 형성하기까지의 처리를 「폐액 처리」라고 부르기도 함)하기 전의 혈액 개수는 혈구 계산반으로 측정하였을 때에 750만개/mL이다. 2%의 혈액을 포함하는 용액을 광학 현미경으로 배율: 100배로 관찰하였을 때의 상태를 도 4(도면 대용 현미경 사진)에 나타낸다.
(각 성분의 첨가량: 용액에 대한 비율)
활성탄: 0.075질량%
붕사: 0.062질량%
고분자 응집제(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 0.075질량%
용액 중에 형성된 응집물을 필터를 상정한 눈크기가 다른 2종류의 네트(대형 네트 및 중간 네트)를 각각 이용하여 여과 분별하였다. 이 때, 여과 분별 후 1분간 정치하고 각 네트 상에 포착된 응집물의 질량과, 각 네트를 통과한 응집물을 눈크기 사이즈가 더 미세한(500μm×500μm; 선직경: 0.1mm) 네트(이하, 「소형 네트」라고 부름)에서 포착한 응집물의 질량 및 이들 응집물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또, 교반 시간은 2%의 혈액을 포함하는 용액에 대해 응집물의 크기 및 응집 강도에 대해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4분과, 농혈 폐액을 폐액 처리하는 데에 충분한 시간이면서 박혈 폐액을 폐액 처리하였을 때에 일단 형성된 플록이 부서질 가능성이 있는 10분의 2가지로 하였다.
(이용한 네트)
(a) 대형 네트(합성수지제)
눈크기: 5mm×5mm(정사각형)
선직경: 2.45~2.60mm
(b) 중간 네트(합성수지제)
눈크기: 1.5mm×1.5mm(정사각형)
선직경: 1.96~2.0mm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교반 시간을 4분으로 하여 처리한 후 대형 네트를 이용하여 여과 분별하였을 때의 상태를 도 5(도면 대용 사진)에 나타낸다. 도 5(A)는 대형 네트 상에 남은 응집물의 상태, 도 5(B)는 대형 네트로 여과 분별한 용액(상청에 상당)의 상태, 도 5(C)는 소형 네트 상에 남은 응집물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교반 시간을 4분으로 하여 폐액 처리한 후 중간 네트를 이용하여 여과 분별하였을 때의 상태를 도 6(도면 대용 사진)에 나타낸다. 도 6(A)은 중간 네트 상에 남은 응집물의 상태, 도 6(B)은 중간 필터로 여과 분별한 용액(상청에 상당)의 상태, 도 6(C)은 소형 네트 상에 남은 응집물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상기 각 네트를 통과한 후 소형 네트를 통과한 용액을 광학 현미경으로 배율: 100배로 관찰하였을 때의 상태를 도 7(도면 대용 현미경 사진)에 나타낸다. 도 7(A)은 대형 네트를 통과한 후 소형 네트를 통과한 용액, 도 7(B)은 중간 네트를 통과한 후 소형 네트를 통과한 용액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도 7(A)에 나타낸 용액에서의 혈액 개수는 620개/mL이며, 도 7(B)에 나타낸 용액에서의 혈액 개수는 3100개/mL이다.
교반 시간을 10분으로 하여 폐액 처리한 후 대형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 분별하였을 때의 상태를 도 8(도면 대용 사진)에 나타낸다. 도 8(A)은 대형 네트 상에 남은 응집물의 상태, 도 8(B)은 대형 네트로 여과 분별한 용액(상청에 상당)의 상태, 도 8(C)은 소형 네트 상에 남은 응집물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교반 시간을 10분으로 하여 폐액 처리한 후 중간 네트를 이용하여 여과 분별하였을 때의 상태를 도 9(도면 대용 사진)에 나타낸다. 도 9(A)는 중간 필터 상에 남은 응집물의 상태, 도 9(B)는 중간 필터로 여과 분별한 용액(상청에 상당)의 상태, 도 9(C)는 소형 필터 상에 남은 응집물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중간 필터를 통과한 후 소형 네트를 이용하여 여과 분별한 후의 상청의 상태를 폐액 처리 전의 용액의 상태와 비교하여 도 10(도면 대용 사진)에 나타낸다. 도 10에서 좌측이 폐액 처리 전의 용액의 상태를 나타내며, 우측이 소형 네트로 여과 분별한 후의 상청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통상적인 폐액에는 최대 10% 정도의 혈액이 포함되어 있는데, 10분의 교반 시간은 이러한 농혈 폐액을 폐액 처리하는 데에 충분한 시간이다(후기 실시예 2 참조). 상기 결과는 박혈 폐액에 대해 10분의 교반 시간으로 교반해도 응집물이 붕괴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2)
농혈 폐액을 상정한, 10%의 혈액을 포함하는 용액(4L)을 샘플로서 이용하였다. 이 용액에 대해 활성탄, 붕사 및 고분자 응집제를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투입하여 4분의 교반을 행하였다.
용액 중에 형성된 응집물을 실시예 1에서 이용한 대형 네트 및 소형 네트로 순차 여과 분별하였다. 또한, 용액 중에 형성된 상기 응집물을 실시예 1에서 이용한 중간 네트 및 소형 네트로 순차 여과 분별하였다. 이 때의 여과 분별은 4분의 교반 후 3분간 정치한 후에 행하였다. 각 네트 상에 포착된 응집물의 상태, 각 네트로 여과 분별 후의 상청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10%의 혈액을 포함하는 용액을 샘플로서 이용하여 폐액 처리한 후 대형 네트 및 소형 네트를 이용하여 여과 분별하였을 때의 상태를 도 11(도면 대용 사진)에 나타낸다. 도 11(A)은 대형 네트 상에 남은 응집물의 상태, 도 11(B)은 대형 네트로 여과 분별한 용액(상청에 상당)의 상태, 도 11(C)은 소형 네트 상에 남은 응집물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대형 네트 또는 소형 네트를 이용하여 여과 분별한 후의 상청의 상태를 처리 전의 용액의 상태와 비교하여 도 12에 나타낸다. 도 12에서 좌측이 폐액 처리 전의 용액의 상태, 중앙이 대형 네트를 이용하여 여과 분별한 후의 상청의 상태, 우측이 소형 네트를 이용하여 여과 분별한 후의 상청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10%의 혈액을 포함하는 용액을 샘플로서 이용하여 폐액 처리한 후 중간 네트 및 소형 네트를 이용하여 여과 분별하였을 때의 상태를 도 13(도면 대용 사진)에 나타낸다. 도 13(A)은 중간 네트 상에 남은 응집물의 상태, 도 13(B)은 중간 네트로 여과 분별한 용액(상청에 상당)의 상태, 도 13(C)은 소형 네트 상에 남은 응집물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중간 네트 또는 소형 네트를 이용하여 여과 분별한 후의 상청의 상태를, 처리 전의 용액의 상태(10%의 혈액을 포함하는 용액의 상태)와 비교하여 도 14에 나타낸다. 도 14에서 좌측이 폐액 처리 전의 용액의 상태, 중앙이 중간 네트를 이용하여 여과 분별한 후의 상청의 상태, 우측이 소형 네트를 이용하여 여과 분별한 후의 상청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농혈 폐액을 본 실시형태의 폐액 처리 조성물을 이용하여 폐액 처리하면, 교반 시간을 4분 정도로 설정함으로써 응집물의 형성은 완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결과는 이중 구조의 필터를 이용하여 처리하는 것이 유용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1, 2의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활성탄, 붕사 및 고분자 응집제를 포함하는 폐액 처리 조성물을 이용하여 폐액 처리하면, 교반 시간을 폐액 중의 혈액 농도에 따라 엄밀하게 설정하지 않아도(예를 들어 교반 시간을 4분 정도로 설정함으로써) 비교적 크고 충분한 응집 강도를 가지며 필터의 막힘을 초래하는 것과 같은 응집물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효과적으로 폐액을 처리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실시예 1에서 이용한 2%의 혈액을 포함하는 용액(4L)을 샘플로서 이용하였다. 이 용액에 대해 활성탄 및 고분자 응집제를 하기의 양으로 포함하도록 첨가하여 10분의 교반을 행하였다. 이 때 농혈 폐액을 상정한, 10%의 혈액을 포함하는 용액(4L)을 샘플로서 동일한 실험을 행하였다. 이 10%의 혈액을 포함하는 용액에서의 폐액 처리 전의 혈액 개수는 혈구 계산반으로 측정하였을 때에 3950만개/mL이다.
(각 성분의 첨가량: 폐액에 대한 비율)
활성탄: 0.075질량%
고분자 응집제(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 0.075질량%
폐액 중에 형성된 응집물을 실시예 1에서 나타낸 2종류의 네트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여과 분별하였다.
2%의 혈액을 포함하는 용액을 샘플로서 이용하여 폐액 처리한 후 중간 네트를 이용하여 여과 분별하였을 때의 상태를 도 15(도면 대용 사진)에 나타낸다. 도 15(A)는 중간 네트 상에 남은 응집물의 상태, 도 15(B)는 중간 네트로 여과 분별한 용액(상청에 상당)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도 15(B)에서 나타낸 용액을 광학 현미경으로 배율: 100배로 관찰하였을 때의 상태를 도 16(도면 대용 현미경 사진)에 나타낸다.
또한, 10%의 혈액을 포함하는 용액(4L)의 폐액 처리 전후의 상태를 도 17(도면 대용 현미경 사진)에 나타낸다. 도 17(A)은 10%의 혈액을 포함하는 용액의 폐액 처리 전을(관찰의 편의상 10배 희석한 용액을 이용함), 도 17(B)은 10%의 혈액을 포함하는 용액의 폐액 처리 후를 광학 현미경으로 배율: 100배로 관찰하였을 때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17(B)에 나타낸 폐액 처리 후의 용액의 상태를 처리 전의 용액의 상태(10%의 혈액을 포함하는 용액의 상태)와 비교하여 도 18(도면 대용 사진)에 나타낸다. 도 18에서 좌측이 폐액 처리 전의 용액의 상태를 나타내며, 우측이 처리 후의 용액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7(B)에 나타낸 용액에서의 혈액 개수는 혈구 계산반으로 측정하였을 때에 37만개/mL이다.
이들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붕사를 함유시키지 않고 활성탄 및 고분자 응집제만으로 폐액 처리하면, 폐액 중의 혈액이 응집물에 의해 충분히 응집되지 않고 용액 중에 충분히 남아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혈액은 미세하고 응집 강도가 낮은 응집물을 형성하기 쉬워져 필터의 막힘의 원인이 된다.
(실시예 3)
박혈 폐액을 상정한, 2%의 혈액을 포함하는 용액(5L)을 샘플로서 이용하였다. 이 용액에 대해 활성탄, 붕사 및 고분자 응집제를 하기의 양으로 포함하도록 투하하여 4분의 교반을 행하였다. 즉, 실시예 2에서는 폐액 처리 조성물 중의 붕사의 양을 실시예 1보다 10배로 늘린 예이다.
(각 성분의 첨가량: 용액에 대한 비율)
활성탄: 0.075질량%
붕사: 0.62질량%
고분자 응집제(폴리아크릴에스테르): 0.075질량%
폐액 중에 형성된 응집물을 상기한 소형 네트를 이용하여 여과 분별하였다. 이 때의 여과 분별은 교반 후 1분간 정치한 후에 행하였다.
폐액 처리 전후의 용액을 광학 현미경으로 배율: 100배로 관찰하였을 때의 상태를 도 19(도면 대용 현미경 사진)에 나타낸다. 도 19(A)는 폐액 처리 전의 용액의 상태를 나타내며, 상기 도 4에 나타낸 상태와 거의 대응한다. 도 19(B)는 폐액 처리 후의 용액의 상태를 나타내며, 용액 중의 혈액은 충분히 제거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폐액 처리 전후의 용액의 상태를 도 20(도면 대용 사진)에 나타낸다. 도 20에서 좌측이 폐액 처리 전의 용액의 상태를 나타내며, 우측이 폐액 처리 후의 용액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붕사의 함유량을 10배로 늘린 폐액 처리 조성물을 이용해도 비교적 크고 충분한 응집 강도를 가지며 필터의 눈 막힘을 초래하는 것과 같은 응집물을 발생시키지 않아 효과적으로 폐액을 처리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출원은 2019년 1월 25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2019-11239를 기초로 하는 것으로, 그 내용은 본원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표현하기 위해 전술에서 구체예나 도면 등을 참조하면서 실시형태를 통해 본 발명을 적절하고 충분히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전술한 실시형태를 변경 및/또는 개량하는 것은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것이라고 인식해야 한다. 따라서, 당업자가 실시하는 변경 형태 또는 개량 형태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는 수준의 것이 아닌 한 상기 변경 형태 또는 상기 개량 형태는 상기 청구항의 권리 범위에 포괄된다고 해석된다.
본 발명의 폐액 처리 조성물 및 폐액 처리 방법은 체액을 포함하는 폐액 등의 처리에서 매우 유용하기 때문에 의료나 폐기 처리 등의 기술 분야에서 광범위한 산업상 이용가능성을 가진다.

Claims (12)

  1. 체액을 포함하는 폐액을 처리하여 상기 폐액을 용기 내에서 상청과 응집물로 분리하기 위한 폐액 처리 조성물로서,
    OH기, NH기 및 FH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를 갖는 고체형 응집제와, OH기, NH기 및 FH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를 갖는 고체형 화합물을 포함하는 폐액 처리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체형 응집제는 양이온계 고분자 응집제 및 양성 고분자 응집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폐액 처리 조성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체형 화합물은 붕소 함유 화합물인 폐액 처리 조성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붕소 함유 화합물은 붕산, 울렉사이트, 붕사 및 커나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폐액 처리 조성물.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지 흡수제를 더 포함하는 폐액 처리 조성물.
  6. 체액을 포함하는 폐액을 용기에 수용하고,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폐액 처리 조성물을 용기 내의 폐액에 투입하여 교반함으로써 폐액을 상청과 응집물로 분리하는 분리 공정과, 상기 상청을 필터를 통해 폐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폐액 처리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체형 응집제의 폐액에의 투입량은 폐액 전체에 대해 0.02질량% 이상인 폐액 처리 방법.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체형 화합물의 폐액에의 투입량은 폐액 전체에 대해 0.02질량% 이상인 폐액 처리 방법.
  9.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액 처리 조성물과 상기 폐액 처리 조성물을 수용하는 수용성 부재를 포함하는 폐액 처리 조성물 유닛을 상기 용기 내에서 폐액에 접촉시켜 상기 수용성 부재의 일부 또는 전체를 상기 폐액에서 용해시킴으로써 상기 폐액 처리 조성물을 상기 폐액에 포함시키는 접촉 공정을 더 구비하는 폐액 처리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폐액 처리 조성물 유닛을 구성하는 수용성 부재는 수용성 종이인 폐액 처리 방법.
  11.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15mm×15mm) 이하의 눈크기를 갖는 네트로 구성되는 폐액 처리 방법.
  12.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이중 구조로 되어 있고, (15mm×15mm) 이하의 눈크기를 갖는 제1 네트와, 상기 제1 네트보다 눈크기 사이즈가 작은 제2 네트로 구성되는 폐액 처리 방법.
KR1020217021870A 2019-01-25 2020-01-17 폐액 처리 조성물 및 폐액 처리 방법 KR202101164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11239 2019-01-25
JP2019011239A JP7344643B2 (ja) 2019-01-25 2019-01-25 廃液処理組成物及び廃液処理方法
PCT/JP2020/001456 WO2020153247A1 (ja) 2019-01-25 2020-01-17 廃液処理組成物及び廃液処理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470A true KR20210116470A (ko) 2021-09-27

Family

ID=71736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1870A KR20210116470A (ko) 2019-01-25 2020-01-17 폐액 처리 조성물 및 폐액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098064A1 (ko)
EP (1) EP3895774B1 (ko)
JP (1) JP7344643B2 (ko)
KR (1) KR20210116470A (ko)
CN (1) CN113348027A (ko)
BR (1) BR112021014218A2 (ko)
WO (1) WO202015324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27883A1 (fr) 1996-02-01 1997-08-07 Daiken Iki Co., Ltd. Procede et un appareil d'elimination de dechets liquides y compris les humeurs, et appareil a cet effet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57083A (ja) * 1988-12-06 1990-06-15 Daiken Iki Kk 体液を含む廃液の処理容器
HU9202203D0 (en) * 1990-01-29 1992-12-28 Yasuyuki Sakurada Apparatus for purifying sewage water
JP2918426B2 (ja) * 1993-08-26 1999-07-12 大研医器株式会社 廃液回収器及びこれを用いた廃液処理方法
JP4077925B2 (ja) * 1998-04-16 2008-04-23 株式会社テクノメデイカ 医療廃液処理方法、医療廃液処理剤及び医療廃液処理容器
JP2000070611A (ja) * 1998-08-27 2000-03-07 Diamond Engineering Kk 廃水処理剤及びその処理方法
JP2003201373A (ja) * 2001-10-23 2003-07-18 Jsr Corp ゴム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ゴム成形品
JP2006122795A (ja) * 2004-10-28 2006-05-18 Daicen Membrane Systems Ltd 排水処理方法
JP2007271388A (ja) * 2006-03-30 2007-10-18 Hidetoshi Tsuchida 血清または血漿の分離方法および血液分離管
JP2012011363A (ja) * 2010-07-05 2012-01-19 Hi-Van:Kk 凝集沈殿剤及びそれを用いた水質浄化法
CN104229957A (zh) * 2013-06-24 2014-12-24 张家领 一种以天然矿物质为主成分的复合型絮凝剂
CN103466732A (zh) * 2013-10-12 2013-12-25 南京御水科技有限公司 一种安全便捷的水处理药剂投加使用方法
CN105936566B (zh) * 2016-05-31 2019-02-26 王翔 一种医疗废液处理系统
CN106186239A (zh) * 2016-08-30 2016-12-07 吴小慧 一种适用于高浓度工业废水的絮凝剂及其制备方法
CN106830139A (zh) * 2017-04-17 2017-06-13 刘成才 一种用于水净化的高效净水剂及其制备方法
JP7224753B2 (ja) * 2017-05-30 2023-02-20 オルガノ株式会社 凝集膜ろ過方法および凝集膜ろ過装置
JP6292493B1 (ja) * 2017-05-31 2018-03-14 孝司 名取 凝集剤組成物及び凝集処理方法
JP7119649B2 (ja) 2017-06-30 2022-08-17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水酸化リチウム
CN107892374A (zh) * 2017-11-17 2018-04-10 郭进标 环保污水絮凝剂及其制备方法
CN107724082A (zh) * 2017-11-28 2018-02-23 翁书豪 一种脱浆坯布生产工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27883A1 (fr) 1996-02-01 1997-08-07 Daiken Iki Co., Ltd. Procede et un appareil d'elimination de dechets liquides y compris les humeurs, et appareil a cet eff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1014218A2 (pt) 2021-09-21
EP3895774A1 (en) 2021-10-20
EP3895774A4 (en) 2022-06-01
CN113348027A (zh) 2021-09-03
US20220098064A1 (en) 2022-03-31
JP7344643B2 (ja) 2023-09-14
WO2020153247A1 (ja) 2020-07-30
EP3895774C0 (en) 2024-04-03
EP3895774B1 (en) 2024-04-03
JP2020116535A (ja) 202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30937C (en) Particle suspensions of flocculating polymer powders and powder flocculant polymer blends
JP2017500199A (ja) 膜水処理設備、および吸着性粉末材料への吸着を組み込む方法、および膜の摩耗を制限する手段
KR20210116470A (ko) 폐액 처리 조성물 및 폐액 처리 방법
JP5282864B2 (ja) 膜分離方法及び膜分離装置
CN207986909U (zh) 一种市政生活污水三级处理装置
JP2021167829A (ja) リサイクル資材の清浄度を評価する方法、及び使用済の衛生用品からリサイクル資材を製造する方法
WO1994010611A1 (en) Developer circulating method in flexographic plate making step and apparatus for practicing the same
CN207659213U (zh) 一种一体化污水处理装置
JP5348369B2 (ja) 水処理方法
CN108128929A (zh) 一种黑河道治理用的二次沉淀及生化处理装置
CN108373213A (zh) 一种黑河道二次沉淀及生化处理装置
JP7403387B2 (ja) 凝集膜ろ過システムおよび凝集膜ろ過方法
JPH05317864A (ja) 研削廃液浄化方法及び装置
JP6795204B2 (ja) 高分子吸収体の回収方法及び回収装置
TW417000B (en) Processes for reducing contamination fo cellulosic liquors
JP2014094351A (ja) 廃液処理装置
JP2538006B2 (ja) 廃水処理剤及びこれを使用する廃水の処理方法
JP2019076388A (ja) 廃液処理方法
CN208104074U (zh) 一种黑河道二次沉淀及生化处理装置
CN205434507U (zh) 超纯血液透析浓缩液制造系统
CN208454666U (zh) 一种黑河道二次沉淀及生化处理装置
CN214327418U (zh) 用于污水处理的自动化污水处理设备
JP2004290918A (ja) 廃液の浄化方法及び浄化剤
JP2568729B2 (ja) 汚水処理装置
JP2003200005A (ja) 懸濁粒子の凝集方法及び凝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