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6275A -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6275A
KR20210116275A KR1020210030615A KR20210030615A KR20210116275A KR 20210116275 A KR20210116275 A KR 20210116275A KR 1020210030615 A KR1020210030615 A KR 1020210030615A KR 20210030615 A KR20210030615 A KR 20210030615A KR 20210116275 A KR20210116275 A KR 20210116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terminal
antenna wire
bobbin
bez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0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코 키리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신
Publication of KR20210116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62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 개수 및 조립 공정수의 증가를 억제하는 스위치 장치(10)에서 케이스(20)의 후단부에 터미널 베이스(32)가 조립되고, 터미널 베이스(32)에는 제1 터미널(36) 및 제2 터미널(38)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20)의 전단부에는 통형상의 보빈부(2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안테나선(60)이 보빈부(21)의 안테나선 수용부(21A)의 내부에서 보빈부(21)의 둘레 방향으로 권회되어 있고, 안테나선(60)의 일단부가 제1 터미널(36)에 접속되고, 안테나선(60)의 타단부가 제2 터미널(38)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위치 기구(40)를 수용하기 위한 케이스(20)를 활용하여 케이스(20)의 전단부에 안테나선(60)을 휘감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위치 장치{SWITCH DEVICE}
본 발명은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스위치 장치에서는 통형상의 홀더(케이스)의 일단부에 안테나 홀더가 조립되어 있고, 안테나 홀더에는 안테나선이 권회되어 있다. 그리고, 안테나선의 양단부가 케이스 내에서 케이스의 타단측으로 인출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의 타단부에는 터미널 베이스가 조립되어 있고, 안테나선의 양단부가 터미널 베이스의 터미널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스위치 장치에서 트랜스폰더 통신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14-167260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 스위치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안테나선을 안테나 홀더에 권회하고, 이 안테나 홀더를 홀더에 조립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 때문에, 부품 개수 및 조립 공정수가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부품 개수 및 조립 공정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1 또는 그 이상의 실시 형태는 통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케이스의 일단측에 조작 가능하게 노출된 노브(knob)와, 상기 노브가 조작됨으로서 작동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스위치 기구와, 상기 케이스의 타단부에 조립된 터미널 베이스와, 상기 터미널 베이스에 배치된 터미널을 갖는 터미널 베이스 애시(assy)와, 상기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일단부를 구성하는 통형상의 보빈부와, 상기 보빈부에 권회됨과 함께, 단부가 상기 터미널에 접속된 안테나선을 구비한 스위치 장치이다.
본 발명의 1 또는 그 이상의 실시 형태는 상기 터미널에는 상기 안테나선의 단부와 접속되는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의 주벽(周壁)에는 상기 접속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 장치이다.
본 발명의 1 또는 그 이상의 실시 형태는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노브를 지름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는 베젤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베젤에는 개구 커버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 커버부에 의해 상기 개구부가 상기 케이스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여 있는 스위치 장치이다.
본 발명의 1 또는 그 이상의 실시 형태는 상기 터미널 베이스에는 상기 케이스의 일단측으로 연출된 연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속부가 상기 연출부에 배치되고, 상기 연출부에는 상기 안테나선을 권회하는 권회부가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 장치이다.
본 발명의 1 또는 그 이상의 실시 형태는 상기 케이스의 일단부에는 상기 노브를 지름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는 베젤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베젤에는 안테나 커버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빈부에 권회된 안테나선이 상기 안테나 커버부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여 있는 스위치 장치이다.
본 발명의 1 또는 그 이상의 실시 형태는 상기 노브는 상기 베젤의 지름 방향 내측에 배치된 피조작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피조작부와, 상기 보빈부 및 상기 안테나 커버부가 상기 케이스의 축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는 스위치 장치이다.
본 발명의 1 또는 그 이상의 실시 형태는 상기 보빈부가 위치하는 상기 케이스의 일단측의 내주벽은 상기 피조작부의 외형보다도 지름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스위치 장치이다.
상기 구성의 스위치 장치에 의하면, 부품 개수 및 조립 공정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의 (A)는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스위치 장치를 도시하는 제1 방향 일방측에서 본 측면도이고, (B)는 (A)의 스위치 장치를 앞측에서 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B)에 도시되는 스위치 장치의 제1 방향 일방측에서 본 종단면도(도 1의 (B)의 2-2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에 도시되는 스위치 장치의 제2 방향 일방측에서 본 종단면도(도 1의 (B)의 3-3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A)에 도시되는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되는 케이스의 앞측에서 본 정면도.
도 6은 도 1의 (A)에 도시되는 베젤을 케이스로부터 분해한 상태의 스위치 장치를 도시하는 제1 방향 일방측 또한 제2 방향 일방측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되는 케이스의 접속용 개구부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제1 방향 일방측에서 본 측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되는 케이스의 접속용 개구부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제2 방향 일방측에서 본 측면도.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스위치 장치(10)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스위치 장치(10)는 차량(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등에 배치되어 차량의 엔진(파워 유닛)을 시동 또는 정지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1의 (A) 및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위치 장치(10)는 전체로서 개략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스위치 장치(10)의 축방향 일방측(도 1의 (A)의 화살표A 방향측)을 스위치 장치(10)의 앞측으로 하고, 스위치 장치(10)의 축방향 타방측(도 1의 (A)의 화살표B 방향측)을 스위치 장치(10)의 후측으로 하고 있다. 또한, 앞측에서 본 정면시로, 전후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을 제1 방향(도 1의 (B)의 화살표C 및 화살표D를 참조)으로 하고, 제1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을 제2 방향(도 1의 (B)의 화살표E 및 화살표F를 참조)으로 하고 있다.
도 1∼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위치 장치(10)는 케이스(20)와, 터미널 베이스 애시(30)와, 스위치 기구(40)와, 안테나선(60)과, 베젤(7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하, 스위치 장치(10)의 각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케이스(20)에 관해)
도 1∼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케이스(20)는 전후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는 개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20)의 외주부에는 제1 방향 양측 부분에서 한 쌍의 고정편(20A)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편(20A)은 제2 방향에서 보아, 케이스(20)의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앞측으로 경사되고 있다. 그리고, 고정편(20A)이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등에 계합되어 케이스(20)(즉, 스위치 장치(10))가 차량에 고정되어 있다.
케이스(20)의 전단부(일단부)에는 후술하는 안테나선(60)을 권회하기 위한 보빈부(2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보빈부(21)는 전후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는 개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정면시로, 제1 방향을 장변으로 하는 개략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 구체적으로는 보빈부(21)의 장변이 케이스(20)의 직경과 개략 일치하고 있고, 보빈부(21)의 단변이 케이스(20)의 직경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보빈부(21)의 중심축이 케이스(20)의 중심축에 대해 제2 방향 일방측(도 5의 화살표E 방향측)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보빈부(21)의 제2 방향 일방측의 주벽이 케이스(20)의 제2 방향 일방측의 주벽에 접속되어 있고, 보빈부(21)의 제2 방향 타방측의 주벽이 케이스(20)의 제2 방향 타방측의 주벽에 대해 케이스(20)의 지름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보빈부(21)의 제2 방향 타방측의 주벽과, 케이스(20)의 제2 방향 타방측의 주벽, 사이에는 앞측 개구부(20B)가 형성되어 있다.
보빈부(21)의 외주부에는 안테나선 수용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안테나선 수용부(21A)는 보빈부(21)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개방되고 또한 보빈부(21)의 둘레 방향으로 연재된 홈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보빈부(21)의 둘레 방향 전둘레에 걸쳐 연재되고 있다.
케이스(20)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슬라이더(50)를 가이드하기 위한 한 쌍의 제1 가이드 레일(22)이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제1 가이드 레일(22)은 전후 방향으로 연재되고, 케이스(20)의 중심축에 대해 제1 방향 양측에 배치됨과 함께, 연결편(23)(도 4 및 도 5 참조)에 의해 케이스(20)의 주벽에 연결되어 있다. 제1 가이드 레일(22)에는 제1 가이드 홈(22A)이 형성되어 있고, 제1 가이드 홈(22A)은 제1 방향 내측으로 개방됨과 함께,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또한, 케이스(20)의 내주부에는 제2 방향 양측 부분에서 후술하는 슬라이더(50)를 가이드하기 위한 한 쌍의 제2 가이드 레일(2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제2 가이드 레일(24)은 전후 방향으로 연재됨과 함께, 제1 방향으로 이간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제2 가이드 레일(24) 사이에는 제2 가이드 홈(24A)이 형성되어 있고, 제2 가이드 홈(24A)은 제2 방향 내측으로 개방됨과 함께,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케이스(20)의 주벽에는 제1 방향 일방측(도 4 및 도 6의 화살표C 방향측)이고 동시에 제2 방향 일방측인 부분에서 「개구부」로서의 접속용 개구부(25)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접속용 개구부(25)는 케이스(20)의 지름 방향 외측에서 보아, 전후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개략 사각형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케이스(20)의 전후 방향 중간부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접속용 개구부(25)가 보빈부(21)에 대해 후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20)의 외주부에는 안테나선 수용부(21A)와 접속용 개구부(25) 사이에서 연통 홈(26)이 형성되어 있다. 연통 홈(26)은 케이스(20)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개방됨과 함께,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고, 접속용 개구부(25)의 내부와 안테나선 수용부(21A)의 내부가 연통 홈(26)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터미널 베이스 애시(30)에 관해)
도 1∼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터미널 베이스 애시(30)는 스위치 장치(10)의 후단부를 구성하고 있다. 터미널 베이스 애시(30)는 터미널 베이스 애시(30)의 기부를 구성하는 터미널 베이스(32)를 가지고 있다. 터미널 베이스(32)는 수지제가 됨과 함께, 전후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는 개략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터미널 베이스(32)가 케이스(20)의 후단부에 내삽되어 갈고리 감합(claw fitting) 에 의해 케이스(20)에 조립되어 있다.
터미널 베이스(32)의 제2 방향 타방측의 부분에는 커넥터부(32A)가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부(32A)는 전후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는 개략 사각형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터미널 베이스(32)로부터 후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한, 커넥터부(32A)의 저면이 터미널 베이스(32)의 하면보다도 앞측에 배치되도록, 커넥터부(32A)의 내부가 오목형상으로 도려내져 있다.
터미널 베이스(32)의 제1 방향 일방측이고 동시에 제2 방향 일방측인 부분에는 「연출부」로서의 베이스 연장부(32B)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연장부(32B)는 제2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고 또한 전후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개략 장척 플레이트형상으로 형성되고, 터미널 베이스(32)로부터 앞측으로 연출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 연장부(32B)의 일측면(제2 방향 일방측의 면)이 케이스(20)의 접속용 개구부(25)로부터 노출되어 있다(도 6∼도 8 참조).
도 6∼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베이스 연장부(32B)의 일측면에는 전후 한 쌍의 권회부(33F, 33R)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권회부(33F, 33R)는 제2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는 개략 원주형상으로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어 배치되어 있다. 권회부(33F, 33R)의 선단부에는 돌출부(33A)가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33A)는 권회부(33F, 33R)로부터 제1 방향 타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터미널 베이스(32)는 앞측으로 개방된 오목형상의 회피부를 가지고 있고, 당해 회피부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터미널 베이스 애시(30)는 복수(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8개)의 기판용 터미널(34)을 가지고 있다. 기판용 터미널(34)은 전후 방향으로 연재된 개략 사각형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판용 터미널(34)의 길이 방향 중간부가 커넥터부(32A)의 저부에서 터미널 베이스(32)와 일체로 형성됨과 함께, 2열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방향에 나란히 있는 4개의 기판용 터미널(34)을 1열로 하여 2열의 기판용 터미널(34)이 제2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판용 터미널(34)의 후부가 커넥터부(32A)의 내부에 배치됨과 함께, 기판용 터미널(34)의 전부가 터미널 베이스(32)로부터 앞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한, 도 6∼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터미널 베이스 애시(30)는 「터미널」로서의 안테나선용 제1 터미널(36)(이하, 단지 제1 터미널(36)이라고 칭함)과, 「터미널」로서의 안테나선용 제2 터미널(38)(이하, 단지 제2 터미널(38)이라고 칭함) 을 가지고 있다.
제1 터미널(36)은 개략 장척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소정의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고, 제1 터미널(36)의 길이 방향 양단부를 제외하는 부분이 터미널 베이스(32)에 매설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터미널(36)의 일단측 부분이 베이스 연장부(32B)에 매설되어 있다. 또한, 제1 터미널(36)의 일단부는 「접속부」로서의 제1 터미널 접속부(36A)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터미널 접속부(36A)가 베이스 연장부(32B)로부터 제2 방향 일방측으로 돌출하여 케이스(20)의 접속용 개구부(25)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노출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터미널 접속부(36A)는 제1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한 개략 I자형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터미널 접속부(36A)에는 전후 방향 외측으로 개방된 전후 한 쌍의 노치부(36A1)(도 7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터미널 접속부(36A)는 앞측의 권회부(33F)에 대해 제1 방향 일방측이고 동시에 후측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제1 터미널(36)의 타단부는 제1 터미널 엔드부(36B)(도 7 참조)로서 구성되어 있고, 제1 터미널 엔드부(36B)는 전후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한 개략 사각형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터미널 엔드부(36B)는 커넥터부(32A)의 저부로부터 후측으로 연출되고, 커넥터부(32A)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2 터미널(38)은 제1 터미널(36)과 마찬가지로, 개략 장척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소정의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고, 제2 터미널(38)의 길이 방향 양단부를 제외하는 부분이 터미널 베이스(32)에 매설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터미널(38)의 일단측 부분이 베이스 연장부(32B)에 매설되어 있다. 또한, 제2 터미널(38)의 일단부는 「접속부」로서의 제2 터미널 접속부(38A)로서 구성되어 있고, 제2 터미널 접속부(38A)는 베이스 연장부(32B)로부터 제2 방향 일방측으로 돌출하여 케이스(20)의 접속용 개구부(25)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노출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터미널 접속부(38A)는 제1 터미널 접속부(36A)와 마찬가지로, 제1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한 개략 I자형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2 터미널 접속부(38A)에는 전후 방향 외측으로 개방된 전후 한 쌍의 노치부(38A1)(도 7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터미널 접속부(38A)는 후측의 권회부(33R)에 대해 제1 방향 일방측이고 동시에 앞측에 배치됨과 함께, 제1 터미널 접속부(36A)의 후측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제2 터미널(38)의 타단부는 제2 터미널 엔드부(38B)(도 7 참조)로서 구성되어 있고, 제2 터미널 엔드부(38B)는 전후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한 개략 사각형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터미널 엔드부(38B)는 커넥터부(32A)의 저부로부터 후측으로 연출되어 커넥터부(32A)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커넥터부(32A)에 외부 커넥터(도시 생략)가 접속됨으로써, 후술하는 기판(42)이 기판용 터미널(34)에 의해 차량의 제어부(도시 생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후술하는 안테나선(60)이 제1 터미널(36) 및 제2 터미널(38)에 의해 차량의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성이 되어 있다.
(스위치 기구(40)에 관해)
도 2∼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위치 기구(40)는 케이스(2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스위치 기구(40)는 기판(42)과, 러버 콘택트(48)와, 슬라이더(50)와, 렌즈(52)와, 노브(5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기판(42)에 관해>
기판(42)은 전후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는 개략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판(42)은 터미널 베이스(32)의 앞측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전술한 기판용 터미널(34)의 전단부가 기판(42)에 접속되어 있다. 기판(42)의 전면(일측면)에서의 제2 방향 일방측의 부분에는 한 쌍의 고정 접점(43)(도 4 참조)이 마련되어 있고, 고정 접점(43)은 제1 방향으로 이간하여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기판(42)의 전면에는 한 쌍의 고정 접점(43) 사이에서 한 쌍의 인디게이터용 LED(44)가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인디게이터용 LED(44)는 제2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판(42)의 전면에는 한 쌍의 인디게이터용 LED(44)의 제2 방향 타방측에서 조명용 LED(45)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인디게이터용 LED(44) 및 조명용 LED(45)는 발광된 광을 앞측으로 조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러버 콘택트(48)에 관해>
러버 콘택트(48)는 정면시로 기판(42)에 대응하는 개략 원형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후측으로 개방된 오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판(42)이 후측으로부터 러버 콘택트(48) 내에 수용되어 러버 콘택트(48)가 기판(42)의 앞측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케이스(20)의 제2 가이드 레일(24)의 후단부가 러버 콘택트(48)의 외주부의 앞측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도 2 참조). 이것에 의해, 러버 콘택트(48)의 앞측으로의 이동이 케이스(20)에 의해 제한되어 있다.
러버 콘택트(48)에는 기판(42)에서의 한 쌍의 고정 접점(43)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한 쌍의 스위치부(48A)(도 4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스위치부(48A)는 러버 콘택트(48)로부터 앞측으로부터 융기한 개략 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스위치부(48A)의 내부에는 가동 접점(도시 생략)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스위치부(48A)가 후측(고정 접점(43)측)으로 가압됨으로써, 스위치부(48A)가 작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43)에 접촉하여 스위치부(48A)가 ON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러버 콘택트(48)에는 인디게이터용 LED(44)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인디게이터용 통부(48B)가 형성되어 있다. 인디게이터용 통부(48B)는 개략 사각형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러버 콘택트(48)로부터 앞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한, 러버 콘택트(48)에는 조명용 LED(45)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조명용 통부(48C)가 형성되어 있다. 조명용 통부(48C)는 개략 사각형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러버 콘택트(48)로부터 앞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슬라이더(50)에 관해>
슬라이더(50)는 슬라이더 본체(50A)와, 단부(50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더 본체(50A)는 전후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는 개략 사각형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부(50B)는 슬라이더(50)의 하단부가 후방측으로 한 단 내려가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더(50)의 제2 방향 타방측의 부분에는 앞측으로 개방된 회피부(50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50)가 케이스(20)의 내부에서 러버 콘택트(48)의 앞측에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더(50)의 제1 방향 양측의 외주부에는 케이스(20)의 제1 가이드 홈(22A)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1 슬라이드 리브(50D)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 슬라이드 리브(50D)는 전후 방향으로 연재됨과 함께, 제1 가이드 홈(22A) 내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50)의 제2 방향 양측의 외주부에는 케이스(20)의 제2 가이드 홈(24A)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2 슬라이드 리브(50E)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슬라이드 리브(50E)는 전후 방향으로 연재됨과 함께, 제2 가이드 홈(24A) 내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더(50)가 케이스(20)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50)의 케이스(20)로의 연결 상태에서는 슬라이더 본체(50A)가 케이스(20)의 보빈부(21) 내를 삽통함과 함께, 회피부(50C)에 의해 보빈부(21)와의 간섭이 회피되어 있다(도 2 참조). 즉, 보빈부(21)의 주벽에서의 제2 방향 타방측 부분이 회피부(50C) 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정면시로, 조명용 LED(45) 및 조명용 통부(48C)가 슬라이더 본체(50A)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50)의 제1 방향 양측부에는 러버 콘택트(48)의 스위치부(48A)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스위치 가압부(50F)(도 4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스위치 가압부(50F)는 전후 방향으로 연재됨과 함께, 스위치부(48A)의 앞측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50)의 케이스(20)로의 연결 상태에서는 회피부(50C) 내에 배치된 보빈부(21)의 주벽이 회피부(50C)의 저면의 앞측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더(50) 및 후술하는 노브(54)의 전후 위치가 설정되어 슬라이더(50) 및 노브(54)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초기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50)의 제2 방향 일방측의 부분에는 후술하는 렌즈(52)를 수용하기 위한 렌즈 수용부(50G)가 형성되어 있다. 렌즈 수용부(50G)는 전후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는 개략 사각형 통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정면시로 인디게이터용 LED(44)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렌즈(52)에 관해>
렌즈(52)는 광을 투과 가능한 투명한 수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렌즈(52)는 제2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고 또한 전후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개략 장척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렌즈(52)가 슬라이더(50)의 렌즈 수용부(50G)에 후측으로부터 삽입되어 갈고리 감합에 의해 슬라이더(50)에 조립되어 있다. 렌즈(52)의 전단부(일단부)는 인디게이터부(52A)로서 구성되어 있고, 인디게이터부(52A)는 슬라이더(50)로부터 앞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한편, 렌즈(52)의 후단부는 슬라이더(50)로부터 후측으로 돌출하여 러버 콘택트(48)의 인디게이터용 통부(48B) 내에 배치되어 있다.
<노브(54)에 관해>
노브(54)는 노브 베이스(56)와, 「피조작부」로서의 의장 패널(58)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노브 베이스(56)는 베이스 플레이트(56A)를 가지고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56A)는 전후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는 개략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케이스(20)와 동축상에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56A)의 제1 방향 일방측 및 타방측의 부분에는 각각 한 쌍의 연결편(56B)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연결편(56B)은 제1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여 베이스 플레이트(56A)로부터 후측으로 연출됨과 함께, 제2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56A)가 슬라이더(50)의 앞측으로 배치되고, 연결편(56B)이 갈고리 감합에 의해 슬라이더(50)에 상대 이동 불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플레이트(56A)가 케이스(20)의 보빈부(21)에 대해 앞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노브 베이스(56)가 슬라이더(50)와 전후 방향으로 일체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56A)에는 렌즈(52)의 인디게이터부(52A)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렌즈 구멍(56C)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인디게이터부(52A)가 렌즈 구멍(56C) 내를 후측으로부터 삽통하고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56A)의 개략 중앙부에는 조명 구멍(56D)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조명 구멍(56D)은 개략 사각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정면시로 조명용 LED(45)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의장 패널(58)은 광을 투과 가능한 수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의장 패널(58)은 정면시로 베이스 플레이트(56A)에 대응한 원형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후측으로 개방된 오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의장 패널(58)은 2색 성형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56A)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의장 패널(58)에는 렌즈(52)의 인디게이터부(52A)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인디게이터 구멍(58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인디게이터부(52A)가 인디게이터 구멍(58A) 내에 후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인디게이터 구멍(58A)으로부터 앞측으로 노출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인디게이터용 LED(44)에 의해 발광된 광이 렌즈(52)에 의해 앞측으로 유도되어 인디게이터부(52A)가 조명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의장 패널(58)에는 문자나 기호 등에 의해 구성된 표시 마크(58B)가 형성되어 있고, 표시 마크(58B)는 베이스 플레이트(56A)의 조명 구멍(56D)의 앞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표시 마크(58B)는 예를 들면, 의장 패널(58)의 앞면에 흑색 도장을 행하고, 표시 마크(58B)에 대응하는 심볼을 레이저 가공 등에 의해 제거함에 의해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조명용 LED(45)에 의해 발광된 광이 슬라이더(50) 및 조명 구멍(56D)을 통과하여 표시 마크(58B)가 조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케이스(20)의 보빈부(21)의 내주면이 정면시로, 의장 패널(58)의 외형의 지름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의장 패널(58)은 스위치 장치(10)의 전단부를 구성하고, 차량의 캐빈측으로 조작 가능하게 노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조작자가 의장 패널(58)을 후측으로 가압 조작함으로써, 슬라이더(50)가 후측으로 슬라이드 하여 스위치 기구(40)의 스위치부(48A)가 작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안테나선(60)에 관해)
도 2, 도 3, 도 6∼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안테나선(60)은 케이스(20)의 보빈부(21)의 안테나선 수용부(21A)에서 보빈부(21)의 둘레 방향을 따라 권회되어 있다. 또한, 안테나선(60)의 일단부(60A) 및 타단부(60B)가 케이스(20)의 연통 홈(26) 내에 배치되어 연통 홈(26)으로부터 케이스(20)의 접속용 개구부(25) 내로 연출되어 있다.
그리고, 도 6∼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안테나선(60)의 일단부(60A)가 앞측의 권회부(33F)에 권회되어 있다. 또한, 권회부(33F)에 권회된 안테나선(60)의 일단부(60A)는 제1 터미널(36)의 제1 터미널 접속부(36A)측으로 인출되어 제1 터미널 접속부(36A)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단부(60A)가 제1 터미널 접속부(36A)에서의 노치부(36A1)의 부위에서 권회됨과 함께, 제1 터미널 접속부(36A)에 솔더링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터미널 접속부(36A) 및 앞측의 권회부(33F)가 쌍을 이룸과 함께, 안테나선(60)의 일단부(60A)에 대해 접속 처리를 하는 부위로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안테나선(60)의 타단부(60B)는 후측의 권회부(33R)에 권회되어 있다. 또한, 권회부(33R)에 권회된 안테나선(60)의 타단부(60B)는 제2 터미널(38)의 제2 터미널 접속부(38A)측으로 인출되어 제2 터미널 접속부(38A)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타단부(60B)가 제2 터미널 접속부(38A)에서의 노치부(38A1)의 부위에서 권회됨과 함께, 제2 터미널 접속부(38A)에 솔더링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터미널 접속부(38A) 및 후측의 권회부(33R)가 쌍을 이룸과 함께, 안테나선(60)의 타단부(60B)에 대해 접속 처리를 하는 부위로서 구성되어 있다.
(베젤(70)에 관해)
도 1∼도 3, 및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베젤(70)은 전후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는 개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베젤(70)은 베젤(70)의 전부를 구성하는 노브 커버부(71)와, 베젤(70)의 후부를 구성하는 안테나 커버부(7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안테나 커버부(72)의 외주부가 노브 커버부(71)의 외주부에 대해 지름 방향 내측으로 한 단 내려가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베젤(70)이 케이스(20)의 전단부에 외삽되어 안테나 커버부(72)가 갈고리 감합에 의해 케이스(20)에 상대 이동 불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안테나 커버부(72)가 케이스(20)의 보빈부(21)의 지름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안테나선 수용부(21A)를 지름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음과 함께, 노브 커버부(71)가 노브(54)의 의장 패널(58)의 지름 방향 외측에 소정의 틈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안테나 커버부(72)에 의해 안테나선(60)이 덮임과 함께, 보빈부(21) 및 안테나 커버부(72)가 노브(54)의 의장 패널(58)에 대해 후측으로 어긋나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베젤(70)은 전술한 케이스(20)의 접속용 개구부(25)를 막는 개구 커버부(73)를 가지고 있다. 개구 커버부(73)는 베젤(70)의 지름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고 또한 전후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개략 사각형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개구 커버부(73)가 안테나 커버부(72)에서의 제1 방향 일방측 및 제2 방향 일방측의 후단부로부터 후측으로 연출되어 케이스(20)의 접속용 개구부(25)를 지름 방향 외측으로부터 막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터미널 접속부(36A) 및 제2 터미널 접속부(38A)에 접속된 안테나선(60)의 일단부(60A) 및 타단부(60B)가 개구 커버부(73)에 의해 시인 불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작용 효과)
다음으로, 본 실시의 형태의 스위치 장치(10)의 작용 및 효과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스위치 장치(10)의 비조작 상태에서는 노브(54)가 초기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노브(54)가 초기 위치로부터 후측으로 가압 조작되면, 노브(54)와 함께 슬라이더(50)가 후측으로 슬라이드한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더(50)의 스위치 가압부(50F)가 러버 콘택트(48)의 한 쌍의 스위치부(48A)를 가압한다. 따라서, 한 쌍의 스위치부(48A)의 가동 접점이 기판(42)의 고정 접점(43)에 접촉하여 한 쌍의 스위치부(48A)가 온이 되고, 온 신호가 차량의 제어부에 출력된다. 한편, 노브(54)에 대한 조작을 해제하면, 러버 콘택트(48)의 스위치부(48A)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더(50)가 앞측으로 슬라이드한다. 이것에 의해, 노브(54)가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그리고, 차량의 제어부는 조작자가 소유하는 휴대기와 통신에 의해 접속하고, 당해 휴대기와의 인증이 완료된 상태에서 스위치 장치(10)가 조작됨으로써, 차량의 엔진(파워 유닛)을 시동 또는 정지시킨다. 또한, 스위치 장치(10)는 안테나선(60)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조작자가 소유하는 휴대기의 전지가 소모되어 휴대기와의 통신이 불능하게 되었을 때에는 트랜스폰더 통신을 행함으로써, 휴대기와의 통신을 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휴대기를 스위치 장치(10)의 노브(54)에 대면, 스위치 장치(10)의 코일형상의 안테나선(60)으로부터 송신되는 기동 전파를 휴대기가 수신하여 휴대기의 트랜스폰더 내의 코일부에 의해 기전력이 발생하고, 그 전력에 의해 휴대기가 차량의 인증 장치를 향하여 ID 신호를 송신함에 의해 차량의 인증 장치와 휴대기의 통신을 행할 수가 있다.
여기서, 케이스(20)의 후단부에는 터미널 베이스(32)가 내삽되어 조립되어 있다. 터미널 베이스(32)에는 제1 터미널(36) 및 제2 터미널(38)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20)의 전단부에는 통형상의 보빈부(2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안테나선(60)이 보빈부(21)의 안테나선 수용부(21A)의 내부에서 보빈부(21)의 둘레 방향으로 권회되어 있고, 안테나선(60)의 일단부(60A)가 제1 터미널(36)에 접속되고, 안테나선(60)의 타단부(60B)가 제2 터미널(38)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위치 기구(40)를 수용하기 위한 케이스(20)를 활용하여 케이스(20)의 전단부에 안테나선(60)을 휘감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즉, 배경 기술에 기재한 스위치 장치와 같이 안테나선(60)을 휘감기 위한 타 부품을 케이스와는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어짐과 함께, 당해 타 부품을 케이스에 조립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의 스위치 장치(10)에 의하면, 부품 개수 및 설치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터미널(36)에는 안테나선(60)의 일단부(60A)와 접속되는 제1 터미널 접속부(36A)가 형성되어 있고, 제2 터미널(38)에는 안테나선(60)의 타단부(60B)와 접속되는 제2 터미널 접속부(38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20)의 주벽에는 접속용 개구부(25)가 관통 형성되어 있고, 제1 터미널 접속부(36A) 및 제2 터미널 접속부(38A)가 접속용 개구부(25)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케이스(20)의 후단부에 터미널 베이스(32)를 조립한 상태에서 보빈부(21)에 권회된 안테나선(60)의 일단부(60A)와 제1 터미널 접속부(36A)를 접속할 수 있음과 함께, 안테나선(60)의 타단부(60B)와 제2 터미널 접속부(38A)를 접속할 수 있다. 즉, 보빈부(21)를 케이스(20)에 일체로 형성한 경우에도, 보빈부(21)에 권회된 안테나선(60)의 단부 접속 처리를 접속용 개구부(25)에서 행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0)의 전단부에는 노브(54)를 지름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는 베젤(70)이 고정되어 있다. 이 베젤(70)에는 후측으로 연출된 개구 커버부(73)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 커버부(73)에 의해 케이스(20)의 접속용 개구부(25)가 지름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여 있다. 이것에 의해, 노브(54)를 덮는 베젤(70)을 활용하여 케이스(20)의 접속용 개구부(25)를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 장치(10)의 부품 개수의 삭감에 한층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 베이스(32)에는 앞측(보빈부(21)측)에 연출된 베이스 연장부(32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터미널(36)의 제1 터미널 접속부(36A) 및 제2 터미널(38)의 제2 터미널 접속부(38A)가 베이스 연장부(32B)에 배치되고, 베이스 연장부(32B)의 일측면부터 돌출하고 있다. 또한, 베이스 연장부(32B)의 일측면에는 안테나선(60)의 일단부(60A) 및 타단부(60B)가 권회되는 한 쌍의 권회부(33F, 33R)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안테나선(60)을 제1 터미널(36) 및 제2 터미널(38)에 접속할 때의 공정수를 삭감하면서, 안테나선(60)의 접속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배경 기술에 기재한 스위치 장치에서는 케이스의 앞쪽측에 보빈부가 마련되어 있고, 터미널의 접속부가 케이스의 후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즉, 이 스위치 장치에서는 안테나선을 케이스의 전단측으로부터 후단부까지 인출하여 케이스의 후단부에서 안테나선과 터미널의 접속을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보빈부로부터 인출되는 안테나선의 단부의 길이가 비교적 길어진다. 이것에 의해, 보빈부에 권회된 안테나선의 권회 상태 및 안테나선의 양단부의 배치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해, 안테나선의 양단부를 가고정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보빈부에, 후측으로 연출된 연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연출부에는 전후 한 쌍의 권회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안테나선의 양단부가 각각 2개소의 권회부에 권회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 본 실시의 형태의 스위치 장치(10)에서는 터미널 베이스(32)로부터 앞측으로 연출된 베이스 연장부(32B)에, 제1 터미널 접속부(36A) 및 제2 터미널 접속부(38A)가 배치됨과 함께, 전후 한 쌍의 권회부(33F, 33R)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터미널 접속부(36A) 및 제2 터미널 접속부(38A)를 보빈부(21)(즉, 권회된 안테나선(60))의 근방에 배치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안테나선(60)과 제1 터미널(36) 및 제2 터미널(38)의 접속을 케이스(20)의 전후 방향 중간부에서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보빈부(21)로부터 인출된 안테나선(60)의 일단부(60A) 및 타단부(60B)의 길이를 비교적 단축할 수 있다. 그 결과, 안테나선(60)의 일단부(60A)에 대한 가고정 부위를 권회부(33F)의 1개소로 하고, 안테나선(60)의 타단부(60B)에 대한 가고정 부위를 권회부(33R)의 1개소로 하여서도, 보빈부(21)에 권회된 안테나선(60)의 권회 상태 및 안테나선(60)의 양단부의 배치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경 기술에 기재된 스위치 장치와 비교하여 안테나선(60)을 제1 터미널(36) 및 제2 터미널(38)에 접속할 때의 공정수를 삭감하면서, 안테나선(60)의 접속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의 스위치 장치(1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안테나선(60)과 제1 터미널(36) 및 제2 터미널(38)의 접속을 케이스(20)의 전후 방향 중간부에서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베젤(70)에서 후측으로 연출된 개구 커버부(73)를 형성함으로써, 케이스(20)의 접속용 개구부(25)를 막을 수 있다. 즉, 배경 기술에 기재된 스위치 장치에서는 케이스의 후단부에서 안테나선과 터미널을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터미널 베이스 외에 접속부를 덮는 커버부재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것에 대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안테나선(60)과 제1 터미널(36) 및 제2 터미널(38)의 접속을 케이스(20)의 전후 방향 중간부에서 행하고 있기 때문에, 베젤(70)을 활용하여 케이스(20)의 접속용 개구부(25)를 막을 수 있다.
또한, 베젤(70)의 안테나 커버부(72)는 케이스(20)의 보빈부(21)의 지름 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보빈부(21)에 권회된 안테나선(60)이 안테나 커버부(72)에 의해 케이스(20)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여 있다. 이것에 의해, 노브(54)를 덮는 베젤(70)을 활용하여 안테나선(60)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 장치(10)의 부품 개수의 삭감에 한층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노브(54)는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는 의장 패널(58)을 가지고 있고, 의장 패널(58)이 베젤(70)의 노브 커버부(71)의 지름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의장 패널(58)이 보빈부(21) 및 안테나 커버부(72)에 대해, 앞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베젤(70)의 형상의 자유도를 올릴 수 있다.
즉, 가령, 전후 방향에서 보빈부(21)와 의장 패널(58)이 겹치도록 배치한 경우(이하, 이 경우를 비교례의 스위치 장치라고 한다)에는 보빈부(21)가 의장 패널(58)의 지름 방향 외측에 배치되게 된다. 이 때문에, 베젤(70)에 의해 보빈부(21) 및 안테나선(60)을 덮기 위해서는 베젤(70)의 노브 커버부(71)를 후측으로 개방된 단면 U자형상으로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베젤(70)의 형상이 제약되고, 베젤(70)의 형상의 자유도가 저하하는 경향이 된다.
이것에 대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의장 패널(58)이 보빈부(21) 및 안테나 커버부(72)에 대해, 앞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베젤(70)에서 의장 패널(58)을 지름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는 노브 커버부(71)와, 보빈부(21)를 지름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는 안테나 커버부(72)를 전후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노브 커버부(71)에서의 형상의 자유도를 상기 비교례의 스위치 장치와 비교하여 올릴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교례의 스위치 장치에서는 보빈부(21)를 의장 패널(58)의 지름 방향 외측에 배치하기 때문에, 보빈부(21)를 지름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는 베젤(70)의 외경이 커지는 경향이 된다. 이것에 대해, 본 실시의 형태의 스위치 장치(1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의장 패널(58)과 보빈부(21)가 전후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정면시로, 의장 패널(58)의 외형의 내측에, 보빈부(21)의 내주면이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베젤(70)의 지름 방향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더 나아가서는 스위치 장치(10)의 지름 방향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터미널(36) 및 제2 터미널(38)은 수지제의 터미널 베이스(32)에 인서트 성형되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압입 등의 주지의 고정 방법에 의해 터미널 베이스(32)에 고정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빈부(21)는 정면시로 개략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원형상으로 하여도 좋고, 그 경우, 보빈부(21)를 케이스(20)와 동축상에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빈부(21)를 의장 패널(58)에 대해 축방향의 후방측으로 어긋나게 하여 배치하고 있는데,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케이스(20)를 앞측으로 연장시켜서 형성하고, 보빈부(21)를 축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 의장 패널(58)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하여도 좋다.
10: 스위치 장치 20: 케이스
21: 보빈부 25: 접속용 개구부(개구부)
30: 터미널 베이스 애시 32: 터미널 베이스
36: 안테나선용 제1 터미널(터미널) 36A: 제1 터미널 접속부(접속부)
38: 안테나선용 제2 터미널(터미널) 38A: 제2 터미널 접속부(접속부)
40: 스위치 기구 48A: 스위치부
54: 노브 58: 의장 패널(피조작부)
60: 안테나선
60A: 안테나선의 일단부(안테나선의 단부)
60B: 안테나선의 타단부(안테나선의 단부)
70: 베젤 72: 안테나 커버부
73: 개구 커버부

Claims (7)

  1. 통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케이스의 일단측에 조작 가능하게 노출된 노브(knob)와, 상기 노브가 조작됨으로써 작동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스위치 기구와,
    상기 케이스의 타단부에 조립된 터미널 베이스와, 상기 터미널 베이스에 배치된 터미널을 갖는 터미널 베이스 애시와,
    상기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일단부를 구성하는 통형상의 보빈부와,
    상기 보빈부에 권회됨과 함께, 단부가 상기 터미널에 접속된 안테나선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에는 상기 안테나선의 단부와 접속되는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의 주벽에는 상기 접속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노브를 지름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는 베젤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베젤에는 개구 커버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 커버부에 의해 상기 개구부가 상기 케이스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베이스에는 상기 케이스의 일단측으로 연출된 연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속부가 상기 연출부에 배치되고,
    상기 연출부에는 상기 안테나선을 권회하는 권회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단부에는 상기 노브를 지름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는 베젤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베젤에는 안테나 커버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빈부에 권회된 안테나선이 상기 안테나 커버부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상기 베젤의 지름 방향 내측에 배치된 피조작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피조작부와, 상기 보빈부 및 상기 안테나 커버부가 상기 케이스의 축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부가 위치하는 상기 케이스의 일단측의 내주벽은 상기 피조작부의 외형보다도 지름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KR1020210030615A 2020-03-17 2021-03-09 스위치 장치 KR202101162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45985A JP2021150043A (ja) 2020-03-17 2020-03-17 スイッチ装置
JPJP-P-2020-045985 2020-03-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275A true KR20210116275A (ko) 2021-09-27

Family

ID=77691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0615A KR20210116275A (ko) 2020-03-17 2021-03-09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1150043A (ko)
KR (1) KR20210116275A (ko)
CN (1) CN11341008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67260A (ja) 2013-02-28 2014-09-11 Yuhshin Co Ltd スイッ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67260A (ja) 2013-02-28 2014-09-11 Yuhshin Co Ltd スイッ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410083A (zh) 2021-09-17
JP2021150043A (ja) 202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49754B2 (ja) スイッチ装置
KR102020092B1 (ko) 스위치 장치
JP6230537B2 (ja) スイッチ装置
US9702331B2 (en) Button-type car ignition system
JP5471214B2 (ja) スイッチ装置
EP2639669A1 (en) Input device having illumination function
JP6017348B2 (ja) スイッチ装置
JP6176733B2 (ja) エンジンスタートスイッチ
US20050064808A1 (en) Operating device for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7220929B2 (en) Vehicle interior illumination lamp
JP5444075B2 (ja) スイッチ装置
JP2010044972A (ja) 照光式スイッチ装置
JP5317943B2 (ja) スイッチ装置
KR20210116275A (ko) 스위치 장치
JP4609247B2 (ja) 発光スイッチ
EP3118876B1 (en) Switch apparatus having wireless function
JP2001206130A (ja) 発光シガーライター
JP2022143149A (ja) スイッチ装置
KR100771777B1 (ko) 차량용 리모트 키
JP6017349B2 (ja) スイッチ装置
JP2010257654A (ja) スイッチ
JP2023091909A (ja) スイッチ装置
JP2013100818A (ja) エンジンのスタート・ストップスイッチ装置
CN217659574U (zh) 光源结构以及回充座
KR20230012290A (ko) 스위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