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5231A - 음료추출속도가 향상된 음료추출용기 - Google Patents

음료추출속도가 향상된 음료추출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5231A
KR20210115231A KR1020200030701A KR20200030701A KR20210115231A KR 20210115231 A KR20210115231 A KR 20210115231A KR 1020200030701 A KR1020200030701 A KR 1020200030701A KR 20200030701 A KR20200030701 A KR 20200030701A KR 20210115231 A KR20210115231 A KR 20210115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ion
beverage
container body
container
beverage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7485B1 (ko
Inventor
노환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로마빌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로마빌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로마빌커피
Priority to KR1020200030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485B1/ko
Publication of KR20210115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2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securing the filter holder to the beverag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8Paper filter inlays therefor to be disposed af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추출속도가 향상된 음료추출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부가 개방된 용기몸체와, 상부 외주연이 상기 용기몸체의 내부 상측에 부착되고, 내부에 상기 추출대상물이 수용되는 추출공간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추출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추출부재는 상기 용기몸체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속도가 향상된 음료추출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추가 구성없이 간단한 구조만으로 추출면적을 증대시켜 음료 추출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적은 양으로도 농도가 진한 음료를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료추출속도가 향상된 음료추출용기{beverage extraction container improved beverage extraction speed}
본 발명은 음료추출속도가 향상된 음료추출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추가 구성없이 간단한 구조만으로 추출면적을 증대시켜 음료 추출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적은 양으로도 농도가 진한 음료를 추출할 수 있는 음료추출속도가 향상된 음료추출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판매기를 통해 판매되는 커피, 차등과 같은 즉석 음용 음료나 봉지에 밀봉된 인스턴트 음료는 냉동 건조된 음료분말을 주원료로 하고, 기호에 따라 프림, 설탕등을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음용하고 있다.
이러한 인스턴트 음료는 봉지를 개봉한 뒤 종이컵 등의 용기에 담아 물을 부어주게 되면 음용이 가능한 것으로서, 즉석에서 간편하게 음료를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많은 이들이 이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냉동 건조된 음료분말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음료, 일예로 냉동 건조된 커피분말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커피는 커피 원두를 갈아서 커피 추출액을 추출하는 이른바 원두커피에 비해 맛과 향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원두커피의 대중화와 더불어 소비자의 관심도 원두커피로 전문화 및 고급화되면서 맛과 향이 높은 커피를 즐기기 위해 가정에서 직접 고가의 커피 메이커를 구입하여 커피를 만들어 마시거나, 전문점을 직접 방문하여 음료를 음용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커피제조처에서 드립(drip)한 커피를 1회 소량 단위로 봉지에 개별 포장한 일회용 드립(drip) 커피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데, 이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면서도 간편하게 커피를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많은 소비자들이 이를 애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일회용 드립(drip) 커피 또한 이미 드립된 커피를 유통, 보관하는 과정에서 그 향과 맛이 일부 방출 및 소실되어 실제 음용시 커피의 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일회용 컵에 분말형태의 원두커피와 추출용기를 제공하는 형태의 인스턴트 원두커피가 제공되고 있으며, 소비자가 봉지를 개봉하여 원두커피를 함께 제공되는 드립용 용기에 담은 뒤 자신의 컵 위에 얹고 드립용 커피 안에 뜨거운 물을 부어 추출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본 출원인 또한 상기한 소비자들의 요구에 맞춰 분말형태의 원두커피나 차 등을 걸러 마실 수 있도록 하는 음료추출용기를 개발하여 특허출원(한국등록특허 1378808호)한 바 있다.
도1은 한국등록특허 제1378808호에 따른 음료추출용기(이하 '종래의 음료추출용기'라 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음료추출용기(100)는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용기몸체(110)와, 용기몸체(110)의 하부에 부착되는 여과지(120) 및 용기몸체(110)의 상단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손잡이(130)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음료추출용기(100)는 용기몸체(110) 내부에 미리 제공된 원두커피분말과 같은 추출대상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뜨거운 물을 부어 여과지(120)를 통해 음료추출액을 추출하는 것으로서, 추출되는 음료추출액이 곧바로 음용컵에 담길 수 있도록 음용컵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음료추출용기(100)는 용기몸체(110)의 하부영역이 여과지(120)로 구성되는 바 음료의 추출면적이 작을 뿐 아니라 용기몸체(110) 내부에 추출대상물이 수용되는 경우 추출대상물이 여과지(120), 즉 추출면적의 상당부분을 차폐함으로써 음료 추출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음료추출용기(100)는 용기몸체(110)에 뜨거운 물을 부어 음료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추출대상물에 의해 여과지(120)의 공극이 막히면서 음료 추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378808호 '친환경 종이추출용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추가 구성없이 간단한 구조만으로 추출면적을 증대시켜 음료 추출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적은 양으로도 농도가 진한 음료를 추출할 수 있는 음료추출속도가 향상된 음료추출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기몸체를 접은 상태로 휴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성을 크게 향상시킨 음료추출속도가 향상된 음료추출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기몸체 하단부를 내측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하여 휴대시 용기몸체에 의해 추출부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용기몸체 내면과 추출부재 외면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음료의 추출량을 확인할 수 있고, 음료추출 후 추출부재를 분리하지 않더라도 빨대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음료추출속도가 향상된 음료추출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추출대상물이 수용되고, 유체가 유입되는 경우 상기 추출대상물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음료추출용기에 있어서, 상하부가 개방된 용기몸체와, 상부 외주연이 상기 용기몸체의 내부 상측에 부착되고, 내부에 상기 추출대상물이 수용되는 추출공간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추출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추출부재는 상기 용기몸체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속도가 향상된 음료추출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몸체는 외면 일측 중 서로 대향하는 영역 일측에 함몰된 접힘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몸체는 하단부에 내측방향으로 만곡지게 컬링가공된 내측컬링부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추출부재는 상부 외주연 중 어느 일측이 상기 용기몸체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어 외면과 상기 용기몸체의 내면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추가 구성없이 간단한 구조만으로 추출면적을 증대시켜 음료 추출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적은 양으로도 농도가 진한 음료를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용기몸체를 접은 상태로 휴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성을 크게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몸체 하단부를 내측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하여 휴대시 용기몸체에 의해 추출부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용기몸체 내면과 추출부재 외면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음료의 추출량을 확인할 수 있고, 음료추출 후 추출부재를 분리하지 않더라도 빨대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한국등록특허 제1378808호에 따른 음료추출용기(이하 '종래의 음료추출용기'라 함)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추출속도가 향상된 음료추출용기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추출속도가 향상된 음료추출용기의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추출속도가 향상된 음료추출용기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추출용기가 접철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추출용기를 이용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추출속도가 향상된 음료추출용기의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추출속도가 향상된 음료추출용기를 사용하는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추출속도가 향상된 음료추출용기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추출속도가 향상된 음료추출용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추출속도가 향상된 음료추출용기의 단면도이다.
도2 내지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추출속도가 향상된 음료추출용기(1)는 상하부가 개방된 용기몸체(10)와, 상부 외주연이 용기몸체(10)의 내부 상측에 부착되는 추출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용기몸체(10)는 상단부에 외측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된 외측컬링부(11)가 형성되고, 외측컬링부(11)가 별도로 준비된 음용컵의 상부에 거치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용기몸체(10)는 일측에 추출부재(20)가 부착되어 추출부재(20)가 음용컵 상부에 배치되도록 함과 아울러 추출부재(20)에서 음료 추출시 추출부재(20)를 지지하여 음료추출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용기몸체(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며, 내측에는 추출부재(20)가 배치되는 배치공간(12)이 형성되고, 외면 중 서로 대향하는 영역 일측에는 접힘선(13)이 소정깊이로 함몰형성된다.
여기서, 용기몸체(10)는 접힘선(13)을 따라 접철된 상태로 보관 또는 휴대함으로써 휴대성이 크게 향상될 뿐 아니라 함몰된 접힘선(13)과 음용컵 내면 사이에 공기유출로가 형성되어 음료추출시 음용컵 내부의 증기가 공기유출로를 따라 외부로 용이하게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음료추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용기몸체(10)는 하단부에 내측방향으로 만곡지게 컬링가공된 내측컬링부(1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형상유지를 위한 용기몸체(10)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용기몸체(10)를 접철상태로 보관하는 경우 날카로운 용기몸체(10)의 하단부에 의해 추출부재(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추출부재(20)는 내부에 추출공간(21)이 형성되고, 추출공간(21)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형성되며, 하부 직경이 상부 직경보다 좁아지게 형성되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추출부재(20)는 상단 외주연이 용기몸체(10)의 상단 내측면에 부착되며, 음료를 추출할 수 있도록 여과지 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추출부재(20)는 용기몸체(10)에 지지되고, 추출공간(21)에 추출대상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물이 유입되는 경우 추출대상물로부터 추출된 음료가 음용컵 내에 수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추출부재(20)는 인체에 해가 없고, 추출대상물의 입자보다는 작은 공극을 갖고 물 등과 같은 유체 입자보다는 큰 공극을 갖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이 가능하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추출용기가 접철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추출용기를 이용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추출속도가 향상된 음료추출용기(1)의 동작을 첨부된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음료추출용기(1)는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몸체(10)에 추출부재(20)가 부착된 상태에서 용기몸체(10)가 접힘선(13)을 따라 접철되어 보관 및 휴대되는데, 추출부재(20)가 부착된 상태로 용기몸체(10)가 접철된다 하더라도 용기몸체(10)의 하단부가 내측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바 보관 또는 유통과정에서 용기몸체(10)의 모서리에 의해 추출부재(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음료를 추출하고자 하는 경우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접철된 용기몸체(10)를 펴고, 용기몸체(10)의 외측컬링부(11)가 음용컵의 상부에 지지되도록 하여 용기몸체(10)를 음용컵에 거치한다.
다음, 추출부재(20)의 추출공간(21) 내에 추출대상물과, 물을 순서대로 투입하여 추출대상물로 음료를 추출한다.
추출된 음료를 추출부재(20)를 통과하여 음용컵에 수용되며, 음료의 추출과정이 완료되면, 음용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음료추출용기를 음용컵으로부터 분리한 후 음료를 음용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음료추출속도가 향상된 음료추출용기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추출부재(20)를 이용하여 음료의 추출 표면적이 증대되어 음료추출속도가 크게 향상됨과 아울러 적은 양의 추출대상물로부터 농도가 진한 음료를 추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용기몸체(10)를 추출부재(20)와 함께 접철된 상태로 보관 또는 휴대함으로써 그 휴대성이 크게 향상된 특징을 갖는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추출속도가 향상된 음료추출용기의 사시도이고,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추출속도가 향상된 음료추출용기를 사용하는 도면이다.
도7 및 도8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2 내지 도6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음료추출시 음료의 추출량을 확인할 수 있고, 본 실시예의 음료추출용기 탈거동작업이 음료추출완료시 음료를 곧바로 음용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것이다.
도7 및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 실시예와 달리 추출부재(20)의 상부 외주연이 용기몸체(10)의 상부 내면에 부착되되, 추출부재(20)의 상부 외주연 중 어느 일측이 용기몸체(10)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추출부재(20)의 외면과 용기몸체(10)의 내면 사이에 공간부(S)가 형성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는 공간부(S)를 통해 음료 추출시 음용컵에 추출된 음료의 추출량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음료추출 완료 후 공간부(S)를 통해 빨대를 삽입하여 음료추출용기의 탈거동작없이 곧바로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그 외의 구조는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 용기몸체 11 : 외측컬링부
12 : 배치공간 13 : 접힘선
14 : 내측컬링부 20 : 추출부재
21 : 추출공간 S : 공간부

Claims (4)

  1. 내부에 추출대상물이 수용되고, 유체가 유입되는 경우 상기 추출대상물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음료추출용기에 있어서,
    상하부가 개방된 용기몸체와;
    상부 외주연이 상기 용기몸체의 내부 상측에 부착되고, 내부에 상기 추출대상물이 수용되는 추출공간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추출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추출부재는 상기 용기몸체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속도가 향상된 음료추출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는 외면 일측 중 서로 대향하는 영역 일측에 함몰된 접힘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속도가 향상된 음료추출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는 하단부에 내측방향으로 만곡지게 컬링가공된 내측컬링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속도가 향상된 음료추출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재는 상부 외주연 중 어느 일측이 상기 용기몸체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어 외면과 상기 용기몸체의 내면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추출속도가 향상된 음료추출용기.
KR1020200030701A 2020-03-12 2020-03-12 음료추출속도가 향상된 음료추출용기 KR102337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701A KR102337485B1 (ko) 2020-03-12 2020-03-12 음료추출속도가 향상된 음료추출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701A KR102337485B1 (ko) 2020-03-12 2020-03-12 음료추출속도가 향상된 음료추출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231A true KR20210115231A (ko) 2021-09-27
KR102337485B1 KR102337485B1 (ko) 2021-12-09

Family

ID=77926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701A KR102337485B1 (ko) 2020-03-12 2020-03-12 음료추출속도가 향상된 음료추출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48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8809A (ja) * 1999-07-01 2001-01-16 Tanaka Kanichi ドリッパー付カップ
JP2012515043A (ja) * 2009-01-16 2012-07-05 アロマビル コーヒ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使い捨てコーヒー豆抽出機
KR101378808B1 (ko) 2011-07-15 2014-04-01 노환걸 친환경 종이추출용기
KR101636661B1 (ko) * 2015-12-24 2016-07-05 남익현 드립 커피용 컵 세트
CN208909619U (zh) * 2018-07-27 2019-05-31 马登振 一种防溢水水杯滤网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8809A (ja) * 1999-07-01 2001-01-16 Tanaka Kanichi ドリッパー付カップ
JP2012515043A (ja) * 2009-01-16 2012-07-05 アロマビル コーヒ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使い捨てコーヒー豆抽出機
KR101378808B1 (ko) 2011-07-15 2014-04-01 노환걸 친환경 종이추출용기
KR101636661B1 (ko) * 2015-12-24 2016-07-05 남익현 드립 커피용 컵 세트
CN208909619U (zh) * 2018-07-27 2019-05-31 马登振 一种防溢水水杯滤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7485B1 (ko) 202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6408A (en) Beverage brewing device
JP6386529B2 (ja) 飲料を抽出するための方法、装置、及びカプセル
JP6185058B2 (ja) 飲料を抽出するためのカプセルおよび方法ならびにデバイス
US6298771B1 (en) Disposable coffee brewing unit for individual servings
US10932606B2 (en) Portable drip coffee apparatus
US20210261324A1 (en) Alcohol Infused Coffee Pod Assembly
JP2001511026A (ja) 飲料製造用の煎じ出し装置
KR101636661B1 (ko) 드립 커피용 컵 세트
US6622614B1 (en) Integrated container and infuser apparatus
US20160007795A1 (en) 3 in 1 mini coffee tube as a container, a filter, and a stirring tool
US20180186562A1 (en) Device, System, & Method to Provide Premium Water For Use With Contents of A Beverage Cartridge
WO2013162438A1 (en) Lid for a cup
JP2008541804A (ja) コーヒー飲料を準備するためのキットおよび方法
KR200455438Y1 (ko)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KR100757255B1 (ko) 차 우림구
KR102337485B1 (ko) 음료추출속도가 향상된 음료추출용기
KR101651519B1 (ko) 휴대용 드립 커피 추출기
US20040083897A1 (en) Instant coffee-brewing container for preparing freshly brewed coffee
KR20090012348U (ko) 블렌딩 음료를 위한 추출캡슐 및 추출컵
KR101599443B1 (ko) 티백 보관이 가능한 생수병
US3279926A (en) Individual coffee extractor
EP0958769A1 (en) Portable coffee maker set
KR20190070000A (ko) 음료추출용기가 구비된 음료컵
KR200480810Y1 (ko) 드립식 음료추출용기
JP3152879U (ja) 飲用溶液抽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