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3257A - 와이어 그리퍼, 및, 선재 절분 공구 - Google Patents

와이어 그리퍼, 및, 선재 절분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3257A
KR20210113257A KR1020217024184A KR20217024184A KR20210113257A KR 20210113257 A KR20210113257 A KR 20210113257A KR 1020217024184 A KR1020217024184 A KR 1020217024184A KR 20217024184 A KR20217024184 A KR 20217024184A KR 20210113257 A KR20210113257 A KR 20210113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re gripper
gripper
contact surfac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4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유키 나가키
도모하루 미야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나가키세이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나가키세이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나가키세이키
Publication of KR20210113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32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5/00Implements for fastening, connecting or tensioning of wire or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선재에 와이어 그리퍼를 장착하는 것이 용이한 와이어 그리퍼, 및, 선재 절분(切分) 공구를 제공한다. 와이어 그리퍼는, 선재에 접촉하는 제1 접촉면을 갖는 제1 부재와, 선재에 접촉하는 제2 접촉면을 갖는 제2 부재와, 제1 부재에 대해, 제1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제2 부재에 대해, 제2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요동 부재와,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에 결합 가능한 제1 결합부를 구비한다. 제1 결합부는, 제1 접촉면 및 제2 접촉면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와이어 그리퍼, 및, 선재 절분 공구
본 발명은, 와이어 그리퍼, 및, 선재 절분(切分) 공구에 관한 것이다.
가공 전선 등의 선재를 파지하는 와이어 그리퍼가 알려져 있다.
관련된 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는, 가선 절분 공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가선 절분 공구에서는, 한쪽의 와이어 그리퍼가 가선에 걸린 후, 다른 쪽의 와이어 그리퍼가 원격 조작봉을 이용하여 밀어올려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른 쪽의 와이어 그리퍼의 빠짐 방지구의 링부에 원격 조작봉의 훅이 걸린 상태에서, 다른 쪽의 와이어 그리퍼가 원격 조작봉을 이용하여 밀어올려진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가선 절분 공구에서는, 다른 쪽의 와이어 그리퍼를 밀어올림에 있어서, 다른 쪽의 와이어 그리퍼의 빠짐 방지구의 링부에 결합한 원격 조작봉과, 다른 쪽의 와이어 그리퍼가 장착되는 가선이 서로 교차하게 된다.
일본국 특허공개 2011-67007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선재에 와이어 그리퍼를 장착하는 것이 용이한 와이어 그리퍼, 및, 선재 절분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와이어 그리퍼, 및, 선재 절분 공구에 관한 것이다.
(1) 선재에 접촉하는 제1 접촉면을 갖는 제1 부재와,
상기 선재에 접촉하는 제2 접촉면을 갖는 제2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에 대해, 제1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상기 제2 부재에 대해, 제2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요동 부재와,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에 결합 가능한 제1 결합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접촉면 및 상기 제2 접촉면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와이어 그리퍼.
(2)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1 접촉면 및 상기 제2 접촉면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상측 부분과,
상기 제1 접촉면 및 상기 제2 접촉면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하측 부분
을 갖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하측 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1)에 기재된 와이어 그리퍼.
(3) 상기 요동 부재에 대해, 제3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버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와이어 그리퍼.
(4) 상기 레버 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3)에 기재된 와이어 그리퍼.
(5) 상기 레버 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를 갖는
상기 (3)에 기재된 와이어 그리퍼.
(6)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부재의 전방측 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와이어 그리퍼.
(7) 상기 제1 결합부는, 관통 구멍부이며,
상기 관통 구멍부의 중심축은, 상기 제1 축과 평행한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와이어 그리퍼.
(8)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와이어 그리퍼와,
상기 와이어 그리퍼에 연결된 신축 가능한 봉 부재와,
상기 봉 부재에 연결된 제2 와이어 그리퍼
를 구비하는
선재 절분 공구.
본 발명에 의해, 선재에 와이어 그리퍼를 장착하는 것이 용이한 와이어 그리퍼, 및, 선재 절분 공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2면도이다.
도 2는, 가이드부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레버 부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2면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7은, 가이드 부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8은, 가이드 부재의 다른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9는, 가이드 부재의 또 다른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2면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2면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2면도이다.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14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선재 절분 공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15는, 선재 지지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1), 및, 선재 절분 공구(1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동종의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그리고,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가 부여된 부재에 대해, 반복되는 설명이 생략되는 경우가 있다.
(방향의 정의)
본 명세서에 있어서, 와이어 그리퍼에 의해 파지되는 선재의 연장 방향, 바꾸어 말하면, 와이어 그리퍼의 선재 수용 공간의 연장 방향을, 「제1 방향」이라고 정의한다. 또한, 와이어 그리퍼가 레버 부재(레버 부재(40))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와이어 그리퍼에 의해 파지되는 선재의 연장 방향이며, 레버 부재가 견인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고 정의하고, 제1 방향과는 반대 방향을 제2 방향이라고 정의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와이어 그리퍼의 제1 방향측이, 「후방」이라 불리고, 와이어 그리퍼의 제2 방향측이, 「전방」이라 불리는 경우가 있다.
(제1 실시 형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1A)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1A)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2면도이다. 도 1의 우측에는, 개략 정면도가 기재되고, 도 1의 좌측에는, 개략 측면도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도 1의 좌측의 도면(개략 측면도)에 있어서, 도면의 복잡화를 피하기 위해서, 로크 부재(50) 등의 기재가 생략되어 있다. 도 2는, 가이드부(GA)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레버 부재(40)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1A)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1A)는,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와, 요동 부재(20)와, 제1 결합부(30)를 구비한다.
제1 부재(11)는, 선재(W)(보다 구체적으로는 선재(W)의 상측면)에 접촉하는 제1 접촉면(11a)을 갖는다. 제1 접촉면(11a)의 제1 방향(DR1)에 수직인 단면 형상은, 예를 들면, 상측을 향해 파인 곡선 형상이다. 제1 부재(11)는, 1개의 부품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복수 부품의 어셈블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2 부재(12)는, 선재(W)(보다 구체적으로는 선재(W)의 하측면)에 접촉하는 제2 접촉면(12a)을 갖는다. 제2 접촉면(12a)의 제1 방향(DR1)에 수직인 단면 형상은, 예를 들면, 하측을 향해 파인 곡선 형상이다. 제2 부재(12)는, 1개의 부품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복수 부품의 어셈블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접촉면(11a) 및 제2 접촉면(12a)이 선재(W)에 접촉함으로써,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는, 선재(W)를 파지한다. 또한,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에 의해 파지되는 선재(W)는, 예를 들면, 전선(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설 전선)이다.
요동 부재(20)는, 제1 부재(11)에 대해, 제1 축(AX1)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와이어 그리퍼(1A)는, 요동 부재(20)와 제1 부재(11)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핀 부재(P1)를 구비하고, 당해 제1 핀 부재(P1)가 제1 축(AX1)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또, 요동 부재(20)는, 제2 부재(12)에 대해, 제2 축(AX2)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와이어 그리퍼(1A)는, 요동 부재(20)와 제2 부재(12)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핀 부재(P2)를 구비하고, 당해 제2 핀 부재(P2)가 제2 축(AX2)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요동 부재(20)가, 제1 축(AX1) 둘레를 회동하면, 요동 부재(20)에 연결된 제2 부재(12)가 제1 부재(11)에 대해 상대 이동하여, 제1 접촉면(11a)과 제2 접촉면(12a) 사이의 거리가 변화한다. 또, 제2 접촉면(12a)이 선재(W)에 접촉하면, 제2 부재(12)는, 제2 축(AX2) 둘레를, 요동 부재(20)에 대해 회동한다. 이렇게 하여, 제2 접촉면(12a)이 제1 접촉면(11a)에 대해 평행이 되고, 제1 접촉면(11a) 및 제2 접촉면(12a)에 접촉하는 선재(W)에 균형 있게 파지력이 작용한다. 또한, 요동 부재(20)는, 1개의 부품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복수 부품의 어셈블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요동 부재(20)는, 판형상의 부재이다. 또, 요동 부재(20)는, 정면에서 봤을 때, 대략 삼각형 형상을 갖고, 당해 삼각형의 각 꼭짓점 부분에, 상술한 제1 축(AX1), 상술한 제2 축(AX2), 및, 후술하는 제3 축(AX3)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단, 요동 부재(2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에 기재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 결합부(30)는,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바꾸어 말하면, 와이어 그리퍼(1A)를 상방으로 들어올리기 위한 원격 조작 공구)의 선단부에 결합 가능한 부분이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결합부(30)는, 관통 구멍부(30h)이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결합부(30)가, 제1 접촉면(11a) 및 제2 접촉면(12a)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접촉면(11a)이 제2 접촉면(12a)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의 자세가 유지된 상태(바꾸어 말하면, 와이어 그리퍼(1A)가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에 의해 들어올려진 상태)에 있어서, 제1 결합부(30)가, 제1 접촉면(11a) 및 제2 접촉면(12a)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결합부(30)가, 제1 접촉면(11a) 및 제2 접촉면(12a)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제1 접촉면(11a)과 제2 접촉면(12a) 사이의 선재 수용 공간(SP)에 선재(W)가 삽입될 때까지의 공정(바꾸어 말하면, 와이어 그리퍼(1A)를 선재(W)에 장착하는 공정)에 있어서,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가 선재(W)와 교차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와이어 그리퍼(1A)를 선재(W)에 장착하는 공정에 있어서,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 중 제1 결합부(30)와 결합하는 부분이, 항상, 선재(W)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선재(W)와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가 간섭하지 않고, 와이어 그리퍼(1A)를 선재(W)에 장착하는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1 실시 형태의 와이어 그리퍼(1A)에 있어서 채용 가능한 임의 부가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1 부재(11))
제1 부재(11)는, 제1 접촉면(11a) 및 제2 접촉면(12a)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상측 부분(111)과, 제1 접촉면(11a) 및 제2 접촉면(12a)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하측 부분(112)과, 제1 접촉면(11a)의 높이와 제2 접촉면(12a)의 높이 사이의 높이에 위치하는 중간 부분(113)을 갖고 있어도 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결합부(30)는, 제1 부재(11) 중 하측 부분(112)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와이어 그리퍼(1A)를 선재(W)에 장착하는 공정에 있어서, 선재(W)와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가 간섭하지 않고, 와이어 그리퍼(1A)를 선재(W)에 장착하는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제1 결합부(30)가, 제1 부재(11)(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부재(11)의 하측 부분(112))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와이어 그리퍼(1A)를 선재(W)에 장착하는 공정에 있어서, 제1 결합부(30)와 제1 부재(11)(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접촉면(11a)) 사이의 위치 관계가 변화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부재(11)가 선재(W)에 접촉함으로써, 제1 결합부(30)가 제1 부재(11)에 대해 요동 운동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와이어 그리퍼(1A)를 선재(W)에 장착하는 작업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예를 들면, 제1 결합부(30)가, 요동 부재(20)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부재(11)가 선재(W)에 접촉함으로써, 제1 결합부가 요동 부재(20)와 함께, 제1 부재(11)에 대해 요동한다. 당해 요동에 의해, 와이어 그리퍼(1A)를 선재(W)에 장착하는 작업이 저해될 가능성이 있다.
(레버 부재(40))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1A)는, 요동 부재(20)에 대해, 제3 축(AX3)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버 부재(40)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 와이어 그리퍼(1A)는, 요동 부재(20)와 레버 부재(40)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3 핀 부재(P3)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당해 제3 핀 부재(P3)는, 제3 축(AX3)을 따라 배치된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레버 부재(40)가 제1 방향(DR1)으로 끌어당겨지면, 레버 부재(40)에 접속된 요동 부재(20)는, 제1 축(AX1) 둘레를 요동한다. 당해 요동 부재(20)의 요동에 수반하여, 제2 부재(12)의 제2 접촉면(12a)이 제1 부재의 제1 접촉면(11a)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선재(W)가,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에 의해 파지된다. 또한,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레버 부재(40)의 제2 단부(40b)(요동 부재(20)에 연결된 제1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는, 자유단부이다. 당해 자유단부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신축 가능한 봉 부재(70)에 연결된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레버 부재(40)의 제2 단부(40b)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2개 이상의 관통 구멍(40h)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봉 부재(70)에 대해 제2 단부(40b)를 연결하는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가이드부(GA))
와이어 그리퍼(1A)(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부재(11))는, 레버 부재(4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GA)를 갖고 있어도 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가이드부(GA)는, 제1 부재(11)의 후방측 부분(제1 방향(DR1)측의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가이드부(GA)는, 제1 접촉면(11a)의 후단(또는 제2 접촉면(12a)의 후단)보다 하방으로 또한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도 2에 기재된 예에서는, 가이드부(GA)는, 레버 부재(4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벽(Gw)을 구비한다. 가이드 벽(Gw)은, 예를 들면, 레버 부재(40)의 중간 부분(43)(도 1을 참조)이 삽입 통과되는 관통 구멍(Gh)을 규정하는 벽이다. 가이드부(GA)는, 레버 부재(40)의 위치를 규제함으로써, 레버 부재(40)가 횡 방향(도 1의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과잉으로 위치 어긋나는 것을 억제하고, 그 결과, 레버 부재(40)와 요동 부재(20) 사이의 연결 부분에 과잉 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억제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결합부(30)가, 레버 부재(4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GA)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결합부(30)는, 가이드부(GA) 중, 레버 부재(40)의 하방에 위치하는 가이드부 하단부(바꾸어 말하면, 제1 부재(11)의 하단부(112b))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결합부(30)가, 레버 부재(4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GA)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결합부(30)가, 제1 접촉면(11a), 제2 접촉면(12a), 및, 요동 부재(20)로부터 충분히 멀어진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이 때문에, 와이어 그리퍼(1A)를 선재(W)에 장착하는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의 시야가, 제1 결합부(30)에 결합한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에 의해 방해되는 것이 억제된다.
(레버 부재(40)의 결합부(42))
레버 부재(40)는, 가이드부(GA)(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단부(112b))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42)를 갖고 있어도 된다. 도 3에 기재된 예에서는, 결합부(42)는, 레버 부재(40)의 하면(40s)에 설치되어 있다. 또, 도 3에 기재된 예에서는, 결합부(42)는, 레버 부재(40)의 하면(40s)에 형성된 오목부(40d)이다.
레버 부재(40)가, 가이드부(GA)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42)를 구비하는 경우, 레버 부재(40)와 가이드부(GA) 사이의 상대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와이어 그리퍼(1A)를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에 의해 들어올릴 때에, 레버 부재(40)가 제1 부재(11)에 대해 상대 이동하면, 요동 부재(20)가 요동한다. 그 결과, 제1 부재(11)의 제1 접촉면(11a)과 제2 부재(12)의 제2 접촉면(12a) 사이의 간격이 변화한다. 제1 접촉면(11a)과 제2 접촉면(12a) 사이의 간격이 변화하면, 제1 접촉면(11a)과 제2 접촉면(12a)에 의해 규정되는 선재 수용 공간(SP) 내에 선재(W)를 삽입하는 작업이 저해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해, 레버 부재(40)가, 가이드부(GA)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42)를 구비하는 경우, 와이어 그리퍼(1A)를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에 의해 들어올릴 때에, 레버 부재(40)가 제1 부재(11)에 대해 상대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접촉면(11a)과 제2 접촉면(12a) 사이의 간격이 일정 간격으로 유지되어, 제1 접촉면(11a)과 제2 접촉면(12a)에 의해 규정되는 선재 수용 공간(SP) 내에 선재(W)를 삽입하는 작업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결합부(42)와, 가이드부(GA)(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단부(112b)) 사이의 결합은, 레버 부재(40)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유지된다. 바꾸어 말하면, 레버 부재(40)에 작용하는 중력에 저항해서, 레버 부재(40)를 들어올리면, 결합부(42)와 가이드부(GA) 사이의 결합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결합부(30)의 배치)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결합부(30)가, 제1 부재(11)의 후방측 부분(보다 구체적으로는, 레버 부재(4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GA))에 배치되어 있다. 대체적으로,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결합부(30)가, 제1 부재(11)의 전방측 부분(11f)(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방향(DR2)측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1 결합부(30)가, 제1 접촉면(11a)의 전단(또는 제2 접촉면(12a)의 전단)보다 하방으로 또한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와이어 그리퍼(1A)를 선재(W)에 장착하는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의 시야가, 제1 결합부(30)에 결합한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에 의해 방해되는 것이 억제된다.
(제1 결합부(30)의 형상 또는 구조)
도 1 또는 도 4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결합부(30)는, 관통 구멍부(30h)이다. 또, 관통 구멍부(30h)의 중심축(AX)은, 제1 축(AX1)과 평행하다. 대체적으로, 관통 구멍부(30h)의 중심축(AX)은, 제1 방향(DR1)과 평행해도 된다. 또한, 제1 결합부(30)가 관통 구멍부(30h)인 경우, 당해 구멍부의 내경은, 예를 들면, 13mm 이상 45mm 이하이다.
도 1 또는 도 4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결합부(30)는, 제1 부재(11)와는 별체인 제1 결합 부재(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대체적으로, 제1 결합부(30)는, 제1 부재(11)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1 부재(11)에 구멍 형성 가공 등을 실시함으로써, 제1 결합부(30)가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제1 결합 부재(3)는, 돌출부(32)(예를 들면, 어깨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돌출부(32)는, 관통 구멍(30h)의 중심축(AX)보다 상방(보다 구체적으로는, 관통 구멍(30h)의 상단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어떤 종류의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예를 들면, SHOTGUN STICK(HASTINGS사 제조), SHOTGUN STICK(AB CHANCE사 제조))가 제1 결합부(30)와 결합한 상태에서, 당해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의 일부분이 돌출부(32)에 접촉하면, 제1 결합 부재(3)(및 와이어 그리퍼(1A))가,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에 대해 요동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제1 결합 부재(3)에 돌출부(32)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선재(W)를 향해 와이어 그리퍼(1A)를 어프로치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돌출부(32)는, 관통 구멍(30h)의 중심축(AX)을 지나는 연직면(P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또, 돌출부(32)는, 제1 돌출부(32a)와, 제2 돌출부(32b)를 포함하며, 제1 돌출부(32a)의 돌출 방향은, 제2 돌출부(32b)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이다.
도 1 또는 도 4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결합 부재(3)에는, 제1 결합부(30)로서 기능하는 관통 구멍부(30h)에 추가하여, 제2 관통 구멍부(31h)가 형성되어 있다. 제2 관통 구멍부(31h)는, 제1 결합 부재(3)의 경량화에 기여하는 구멍부이다. 또한, 제2 관통 구멍부(31h)의 구멍 형상은, 관통 구멍부(30h)의 구멍 형상과 상이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관통 구멍부(31h)의 구멍 형상이, 관통 구멍부(30h)의 구멍 형상과 상이한 형상이므로, 작업자는,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를 결합시켜야 할 구멍부가 어느 구멍부인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4에 기재된 예에서는, 관통 구멍부(30h)의 구멍 형상이 원 형상이며, 제2 관통 구멍부(31h)의 구멍 형상이 비원형 형상이다.
(로크 부재(50))
와이어 그리퍼(1A)는, 로크 부재(50)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로크 부재(50)는, 제1 접촉면(11a)과 제2 접촉면(12a) 사이에서 선재(W)가 파지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부재, 바꾸어 말하면, 제1 접촉면(11a)과 제2 접촉면(12a) 사이의 거리를 규정하는 부재이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로크 부재(50)의 제1 부분(51)은, 제1 부재(11)에 장착되며, 로크 부재(50)의 제2 부분(도시는 생략)은, 요동 부재(20)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로크 부재(50)는, 제1 부재(11)에 장착되는 제1 부분(51), 및, 요동 부재(20)에 장착되는 제2 부분에 추가하여, 조작부(50a)(예를 들면, 조작환(環))와, 로크 부재(50)의 제1 부분(51)과 로크 부재(50)의 제2 부분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나사봉(50b)을 구비한다. 또한, 로크 부재(50)의 제1 부분(51) 또는 제2 부분의 한쪽에는, 나사봉(50b)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또, 로크 부재(50)의 제1 부분(51) 또는 제2 부분의 다른 쪽에는, 나사봉(50b)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바꾸어 말하면, 나사봉(50b)을 삽입 통과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부(50a)(예를 들면, 조작환)를, 원격 조작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나사봉(50b)이 회전한다. 나사봉(50b)이 회전하면, 로크 부재(50)의 제1 부분(51) 또는 제2 부분의 한쪽이 나사봉(5b)에 나사 결합하고 있는 점에서, 로크 부재(50)의 제1 부분(51)과 로크 부재(50)의 제2 부분 사이의 간격이 작아져, 요동 부재(20)가 요동한다. 요동 부재(20)가 요동함으로써, 제1 접촉면(11a)과 제2 접촉면(12a) 사이의 거리가 작아져, 선재(W)가 제1 접촉면(11a)과 제2 접촉면(12a) 사이에서 파지된다.
제1 접촉면(11a)과 제2 접촉면(12a) 사이에, 선재(W)가 배치된 상태에서, 로크 부재(50)를 조작함으로써, 제1 접촉면(11a) 및 제2 접촉면(12a)에 의한 선재(W)의 파지 상태가 유지된다. 또, 로크 부재(50)는, 제1 접촉면(11a)과 제2 접촉면(12a) 사이의 거리가 커지는 방향으로 요동 부재(20)가 요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이 때문에, 와이어 그리퍼(1A)가 의도치 않게, 선재(W)로부터 탈락하는 것이 방지된다.
(제2 실시 형태)
도 5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1B)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1B)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2면도이다. 도 5의 우측에는, 개략 정면도가 기재되고, 도 5의 좌측에는, 개략 측면도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도 5의 좌측의 도면(개략 측면도)에 있어서, 도면의 복잡화를 피하기 위해서, 로크 부재(50) 등의 기재가 생략되어 있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1B)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7은, 가이드 부재(60)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8은, 가이드 부재(60)의 다른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9는, 가이드 부재(60)의 또 다른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1B)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2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의 상측에는 개략 평면도가 기재되고, 도 10 내지 도 12의 하측에는 개략 측면도가 기재되어 있다.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1B)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1B)는, 제1 접촉면(11a)과 제2 접촉면(12a) 사이의 선재 수용 공간(SP)으로 선재(W)를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60)를 구비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 완료 사항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명시적으로 설명되지 않았다고 해도,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 완료 사항을 채용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1B)는,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와, 요동 부재(20)와, 가이드 부재(60)를 구비한다. 와이어 그리퍼(1B)는, 레버 부재(40)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제1 부재(11), 제2 부재(12), 요동 부재(20), 및, 레버 부재(40)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 완료했기 때문에, 제1 부재(11), 제2 부재(12), 요동 부재(20), 및, 레버 부재(40)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가이드 부재(60)는, 제1 접촉면(11a)과 제2 접촉면(12a) 사이의 선재 수용 공간(SP)으로 선재(W)를 안내하는 부재이며, 폐쇄부(61)와, 가이드부(62)를 구비한다.
폐쇄부(61)는, 선재 수용 공간(SP)의 측부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는 부분이다. 폐쇄부(61)는, 선재 수용 공간(SP)에 삽입된 선재(W)가, 선재 수용 공간(SP)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가이드부(62)는, 당해 가이드부(62)를 압압(押壓)하는 선재(W)를 선재 수용 공간(SP)을 향해 안내하는 부분이다.
와이어 그리퍼(1B)가, 폐쇄부(61)와 가이드부(62)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제1 접촉면(11a)과 제2 접촉면(12a) 사이의 선재 수용 공간(SP) 내에 선재(W)를 삽입하는 작업이 용이해지고, 또한, 선재 수용 공간(SP)으로부터 선재(W)가 벗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선재(W)에 와이어 그리퍼(1B)를 장착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계속해서, 제2 실시 형태의 와이어 그리퍼(1B)에 있어서 채용 가능한 임의 부가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가이드 부재(60)의 전체 형상)
도 6, 도 7에 기재된 예에서는, 가이드 부재(60)는, 폐쇄부(61)를 갖는 제1 판부(PL1)와, 가이드부(62)를 갖는 제2 판부(PL2)를 갖는다. 또, 제1 판부(PL1)와 제2 판부(PL2)는, 굴곡부(BN)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제1 판부(PL1)와 제2 판부(PL2)와 굴곡부(BN)는, 1개의 판재를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도 6, 도 7에 기재된 예에서는, 가이드부(62)와 폐쇄부(61)는,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부품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가이드 부재(60)의 제조 비용이 저감된다. 단, 가이드부(62)와 폐쇄부(61)가 별체로, 가이드부(62)가 폐쇄부(61)에 장착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60)에는, 선재 수용 공간(SP)의 외부로부터 선재 수용 공간(SP)의 내부를 시인(視認) 가능하게 하는 슬릿(SL) 및/또는 관통 구멍(H)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가이드 부재(60)가 슬릿(SL) 또는 관통 구멍(H)을 구비하는 경우, 선재(W)가, 선재 수용 공간(SP)의 내부에 적절히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60)가, 제1 가이드 부재(60-1)와, 제2 가이드 부재(60-2)를 구비하고, 당해 제1 가이드 부재(60-1)와 제2 가이드 부재(60-2)가, 간극(G)을 두고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작업자는, 간극(G)을 개재하여, 선재(W)가, 선재 수용 공간(SP)의 내부에 적절히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폐쇄부(61))
도 10 및 도 11에 기재된 예에서는, 가이드 부재(60)는, 가이드부(62)가 선재(W)에 의해 압압되면, 폐쇄부(61)가, 선재 수용 공간(SP)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0은, 가이드부(62)가 선재(W)에 의해 압압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1은, 가이드 부재(60)가 선재(W)에 의해 압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구성에 의해, 가이드부(62)에 접촉한 선재(W)가, 선재 수용 공간(SP) 내로 원활하게 안내된다(도 11의 화살표 A를 참조).
도 11에 기재된 예에서는, 폐쇄부(61)는, 선재(W)가 선재 수용 공간(SP)에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1 위치에 있다. 폐쇄부(61)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선재 수용 공간(SP)의 내부와 선재 수용 공간(SP)의 외부 사이의 개구(OP)의 폭(보다 구체적으로는, 폐쇄부(61)의 하단과 제2 부재(12) 사이의 최소 거리)은, 선재(W)의 직경보다 크다. 따라서, 선재(W)는, 당해 개구(OP)를 가로질러, 선재 수용 공간(SP) 내에 들어갈 수 있다.
한편, 도 12에 기재된 예에서는, 폐쇄부(61)는, 선재(W)가 선재 수용 공간(SP)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위치에 있다. 폐쇄부(61)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술한 개구(OP)의 폭은, 선재(W)의 직경보다 작다. 따라서, 선재(W)가, 개구(OP)를 가로질러, 선재 수용 공간(SP)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탈락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1 및 도 12에 기재된 예에서는, 폐쇄부(61)의 위치는, 선재(W)가 선재 수용 공간(SP)에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1 위치(도 11을 참조)와, 선재(W)가 선재 수용 공간(SP)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위치(도 12를 참조) 사이에서 위치 변경 가능하다. 따라서, 선재 수용 공간(SP) 내에 선재(W)를 삽입하는 작업이 용이함과 더불어, 또한, 선재 수용 공간(SP)에 삽입된 선재(W)가, 선재 수용 공간(SP)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선재 수용 공간(SP)에 삽입된 선재(W)가, 선재 수용 공간(SP)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관점에서, 폐쇄부(61)는, 제1 위치(도 11을 참조)로부터 제2 위치(도 12를 참조)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 도 12에 기재된 예에서는, 와이어 그리퍼(1B)가, 탄성 가압 부재(68)를 구비하고, 폐쇄부(61)가, 당해 탄성 가압 부재(68)에 의해, 제1 위치(도 11을 참조)로부터 제2 위치(도 12를 참조)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탄성 가압 부재(68)의 일단부가, 제1 부재(11)에 장착된 가이드 부재 지지 부재(69)에 의해 지지되고, 탄성 가압 부재(68)의 타단부가, 가이드 부재(60)의 기단부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부재 지지 부재(69)와 제1 부재(11) 사이에 배치된 가이드 부재(60)(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이드 부재(60)의 기단부)가 탄성 가압 부재(68)에 의해 압압됨으로써, 폐쇄부(61)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된다.
또한, 폐쇄부(61)의 위치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원활하게 위치 변경 가능하게 하는 관점에서, 가이드 부재(60)는, 가이드 부재 지지 부재(69)의 축부(69a)에 대해 수직인 자세와, 가이드 부재 지지 부재(69)의 축부(69a)에 대해 경사진 자세(수직인 자세를 제외한다) 사이에서, 자세 변경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부재(60)가 축부(69a)에 대해 자세 변경 가능함으로써, 폐쇄부(61)는, 하방을 향함에 따라 선재 수용 공간(SP)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도 11을 참조). 당해 경사에 의해, 개구(OP)의 폭이 확대된다. 또, 가이드 부재(60)가 축부(69a)에 대해 자세 변경 가능함으로써, 폐쇄부(61)는, 연직 방향에 평행이 될 수 있다(도 12를 참조). 폐쇄부(61)가 연직 방향과 평행이 되면, 개구(OP)의 폭이 축소된다.
또한, 가이드 부재(60)가 축부(69a)에 대해 자세 변경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가이드 부재(60)에 형성된 삽입 구멍(60h)(도 7 등을 참조)의 내경은, 당해 삽입 구멍(60h)에 삽입된 축부(69a)의 외경보다 충분히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가이드 부재(60)의 기단부는, 가이드 부재 지지 부재(69)의 머리부(69b)와 제1 부재(11) 사이에 헐겁게 끼워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부재 지지 부재(69)의 머리부(69b)와 제1 부재(11) 사이의 간격이, 가이드 부재(60)의 기단부의 두께보다 크므로, 가이드 부재(60)의 기단부는, 축부(69a)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도 11에 기재된 예에서는, 폐쇄부(61)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부재(68)의 수가 2개인데, 당해 탄성 가압 부재(68)의 수는, 1개 또는 3개 이상이어도 된다.
도 11에 기재된 예에서는, 가이드 부재(60)와, 폐쇄부(61)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부재(68)가 별체이다. 대체적으로, 가이드 부재(60) 자체가, 폐쇄부(61)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해도 된다. 예를 들면, 가이드 부재(60)가, 판스프링인 경우에는, 가이드 부재(60) 자체가, 폐쇄부(61)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한다.
도 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폐쇄부(61) 중 선재 수용 공간(SP)에 면하는 면에는, 볼록부(610)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폐쇄부(61)에 볼록부(610)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볼록부(610)에 접촉한 선재(W)는, 선재 수용 공간(SP)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안내된다. 이 경우, 선재(W)는, 가이드부(62)에 추가하여, 볼록부(610)에 의해서도 안내되게 되어, 선재(W)가 선재 수용 공간(SP)의 중심을 향해 안내되기 쉬워진다.
(가이드부(62))
도 6에 기재된 예에서는, 가이드부(62)는, 폐쇄부(61)에 이어지는 기단부(62a)와, 선단부(62b)를 갖는다. 가이드부(62)의 연장 방향, 바꾸어 말하면, 기단부(62a)로부터 선단부(62b)를 향하는 방향은, 선재 수용 공간(SP)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다.
도 6에 기재된 예에서는, 가이드부(62)는, 선재(W)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선재를 안내하는 가이드면(62s)을 구비한다. 또, 가이드면(62s)은, 제1 축(AX1)에 수직인 면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폐쇄부(61)가 제1 위치(도 6을 참조)에 있을 때, 가이드면(62s)은, 상방을 향함에 따라 선재 수용 공간(SP)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 때문에, 선재(W)가 가이드면(62s)에 접촉하면, 선재(W)는, 선재 수용 공간(SP)을 향해 안내된다. 또한, 가이드면(62s)은, 평면형상의 경사면이어도 되고, 곡면형상의 경사면이어도 된다.
도 5에 기재된 예에서는, 와이어 그리퍼(1B)는, 가이드 부재(60)에 추가하여,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된 제1 결합부(30)를 구비한다. 대체적으로, 와이어 그리퍼(1B)는, 제1 결합부(30)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제3 실시 형태)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선재 절분 공구(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선재 절분 공구(100)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15는, 선재 지지구(90)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선재 절분 공구(100)는, 와이어 그리퍼(1)와, 제2 와이어 그리퍼(2)와, 신축 가능한 봉 부재(70)를 구비한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선재 절분 공구(100)의 와이어 그리퍼(1)로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1A)가 채용되어도 되고,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1B)가 채용되어도 된다.
와이어 그리퍼(1)는, 선재(W)의 제1 부분을 파지하는 기구이다. 와이어 그리퍼(1)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 또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 완료했기 때문에, 와이어 그리퍼(1)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선재 절분 공구(100)의 제2 와이어 그리퍼(2)로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1A)가 채용되어도 되고,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1B)가 채용되어도 되고, 그 외의 와이어 그리퍼가 채용되어도 된다.
제2 와이어 그리퍼(2)는, 상술한 선재(W) 중 제 1 부분과는 상이한 제2 부분을 파지하는 기구이다. 도 14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와이어 그리퍼(2)는,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와, 요동 부재(20)와, 레버 부재(40)를 구비한다. 제2 와이어 그리퍼(2)는, 제2 결합부(80), 및/또는, 가이드 부재(60)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와, 요동 부재(20)와, 레버 부재(40), 가이드 부재(60)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 또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 완료했기 때문에, 이들 구성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2 결합부(80)는,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바꾸어 말하면, 제2 와이어 그리퍼(2)를 상방으로 들어올리기 위한 원격 조작 공구)의 선단부에 결합 가능한 부분이다. 도 14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결합부(80)는, 관통 구멍부(80h)이다. 제2 결합부(80)는, 제1 결합부(30)와 동일한 구성이다. 따라서, 제2 결합부(80)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결합부(30)에 관한 설명에 있어서, 「제1 결합 부재(3)」, 「제1 결합부(30)」, 「관통 구멍부(30h)」, 「제2 관통 구멍부(31h)」를, 각각, 「제2 결합 부재(8)」, 「제2 결합부(80)」, 「관통 구멍부(80h)」, 「제2 관통 구멍부(81h)」로 대체하면, 제2 결합부(80)에 대한 설명이 된다.
도 14에 기재된 예에서는, 신축 가능한 봉 부재(70)는, 와이어 그리퍼(1)(보다 구체적으로는, 와이어 그리퍼(1)의 레버 부재(40)의 제2 단부(40b))에 연결되어 있다. 또, 신축 가능한 봉 부재(70)는, 제2 와이어 그리퍼(2)(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와이어 그리퍼(2)의 레버 부재(40)의 제2 단부(40b))에 연결되어 있다.
신축 가능한 봉 부재(70)는, 와이어 그리퍼(1)와 제2 와이어 그리퍼(2)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도 14에 기재된 예에서는, 봉 부재(70)의 제1 단부(70a)가, 와이어 그리퍼(1)에 연결되고, 봉 부재(70)의 제2 단부(70b)가, 제2 와이어 그리퍼(2)에 연결되어 있다.
와이어 그리퍼(1)가 선재(W)의 제1 부분을 파지하고, 또한, 제2 와이어 그리퍼(2)가 선재(W)의 제2 부분을 파지한 상태에서, 봉 부재(70)를 봉 부재의 길이 방향축(L1)을 따르는 방향으로 수축시키면, 와이어 그리퍼(1)와 제2 와이어 그리퍼(2) 사이의 거리가 축소된다. 그 결과, 선재(W) 중, 와이어 그리퍼(1)와 제2 와이어 그리퍼(2)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 이완된다.
봉 부재(70)는, 외측 부재(71)와, 내측 부재(72)와, 조작부(73)를 포함한다. 조작부(73)는, 내측 부재(72)의 외측 부재(71)에 대한 상대 이동을 조작하기 위한 부분이다. 조작부(73)는, 봉 부재(70)에 접속되어 있으며, 제4 축(AX4) 둘레로 회전 가능하다. 조작부(73)는, 원격 조작 부재의 원위단이 결합하는 결합부(730)를 구비한다.
원격 조작 부재를 이용하여, 신축 가능한 봉 부재(70)를 수축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일례로서, (A) 조작부(73)에는, 조작부와 함께 제4 축(AX4) 둘레를 회전하는 제1 베벨기어가 설치되고, (B) 외측 부재(71)에는, 제1 베벨기어와 하중 전달 가능하게 접속된 제2 베벨기어가 배치되고, (C) 제2 베벨기어는, 외측 나사가 외주에 배치된 나사봉과 함께, 봉 부재(70)의 길이 방향축(L1) 둘레를 회전하고, (D) 내측 부재(72)가, 당해 나사봉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원격 조작 부재에 의해, 조작부(73)를 제4 축(AX4) 둘레로 회전시키면, 제1 베벨기어가 제4 축(AX4) 둘레를 회전하고, 제2 베벨기어가 봉 부재(70)의 길이 방향축(L1) 둘레를 회전한다. 제2 베벨기어가 길이 방향축(L1) 둘레를 회전하면, 나사봉이 길이 방향축(L1) 둘레를 회전한다. 나사봉이 길이 방향축(L1) 둘레를 회전하면, 나사봉에 나사 결합하는 내측 부재(72)가, 외측 부재(71)로 끌려들어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봉 부재(70)가 수축한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봉 부재(70)를 수축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은, 상술한 메커니즘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봉 부재(70)를 수축시킴으로써, 와이어 그리퍼(1)와 제2 와이어 그리퍼(2) 사이에 위치하는 선재(W)(선재(W)의 일부분)가 이완된 후, 선재의 절단 작업, 및, 선재를 가르는 작업이 실행된다. 첫째로, 선재(W)의 이완 부분이 임의의 절단 공구에 의해 절단된다. 그 결과, 선재(W)에, 제1 절단 단부와, 제2 절단 단부가 형성된다. 다음에, 제1 절단 단부와 제2 절단 단부가 갈린다(예를 들면, 상하 방향으로 가른다). 이상의 공정(보다 구체적으로는, 와이어 그리퍼(1)가 선재(W)의 제1 부분을 파지하고, 제2 와이어 그리퍼(2)가 선재(W)의 제2 부분을 파지한 상태에서 봉 부재(70)를 수축시키는 공정, 봉 부재(70)의 수축에 의해 형성된 선재(W)의 이완 부분을 절단 공구에 의해 절단하는 공정, 및, 절단에 의해 형성된 제1 절단 단부와 제2 절단 단부를 가르는 공정)에 의해, 선재의 절분 작업이 완료된다.
제1 절단 단부와 제2 절단 단부를 가르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관점에서, 선재 절분 공구(100)는, 적어도 1개의 선재 지지구(90)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선재 지지구(90)는, 와이어 그리퍼(1)와 제2 와이어 그리퍼(2)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선재(W)를 지지하는 부재이다. 도 14에 기재된 예에 있어서, 선재 절분 공구(100)는, 제1 선재 지지구(90a)와 제2 선재 지지구(90b)를 포함한다. 도 14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선재 지지구(90a) 및 제2 선재 지지구(90b)는, 봉 부재(70)에 장착되어 있다.
도 15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선재 지지구(90a)는, 선재(W)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CP)을 갖는다. 도 15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선재 지지구(90a)가 갖는 수용 공간(CP)의 수는 2개인데, 제1 선재 지지구(90a)가 갖는 수용 공간(CP)의 수는 1개 또는 3개 이상이어도 된다. 제1 선재 지지구(90a)는, 틀 부재(91)와, 틀 부재(91)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 부재(92)를 갖는다. 개폐 부재(92)는, 조작부(93)에 연결되어 있으며, 조작부(93)를 조작함으로써, 개폐 부재(92)를 닫힘 상태로부터 열림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개폐 부재(92)가 열림 상태일 때, 작업자는, 원격 조작 공구를 이용하여, 선재(W)를, 제1 선재 지지구(90a)의 수용 공간(CP)에 삽입할 수 있다. 또, 개폐 부재(92)가 열림 상태일 때, 작업자는, 원격 조작 공구를 이용하여, 선재(W)를, 제1 선재 지지구(90a)의 수용 공간(CP)으로부터 꺼낼 수 있다.
선재의 제1 절단 단부와 제2 절단 단부를 가르는 것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수용 공간(CP) 내에 제1 절단 단부에 이어지는 선재가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선재 지지구(90a)를, 봉 부재(70)의 길이 방향축(L1) 둘레로 회전시키면 된다. 대체적으로, 제1 수용 공간(CP1) 내에 배치된 선재를, 원격 조작 공구를 이용하여, 제2 수용 공간(CP2)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가르는 작업이 실행되어도 된다.
도 14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선재 지지구(90b)는, 틀 부재(94)와, 틀 부재(94)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 부재(95)를 갖는다. 틀 부재(94)는, 상술한 틀 부재(91)와 동일한 구성이며, 개폐 부재(95)는, 상술한 개폐 부재(92)와 동일한 구성이다. 따라서, 틀 부재(94)와, 개폐 부재(95)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에 기재된 예에서는, 봉 부재(70)의 제1 단부(70a)는, 와이어 그리퍼(1)의 레버 부재(40)와 요동 불가능하게 연결되고, 봉 부재(70)의 제2 단부(70b)는, 제2 와이어 그리퍼(2)의 레버 부재(40)와 요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결합부(30)를,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에 결합시키고, 제2 결합부(80)를, 제2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 및 제2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를 이용하여, 선재 절분 공구(100)를 들어올릴 수 있다.
도 14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결합부(30)가, 와이어 그리퍼(1)의 제1 접촉면(11a) 및 제2 접촉면(12a)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고, 제2 결합부(80)가, 제2 와이어 그리퍼(2)의 제1 접촉면(11a) 및 제2 접촉면(12a)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 및 제2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가 선재(W)와 간섭하는 일 없이, 와이어 그리퍼(1) 및 제2 와이어 그리퍼(2)를 용이하게 선재(W)에 장착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혹은, 부가적으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선재 절분 공구(100)의 와이어 그리퍼(1)에 가이드 부재(60)가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가이드 부재(60)의 가이드부(62)에 접촉한 선재(W)는, 가이드부(62)에 의해, 선재 수용 공간(SP)으로 안내된다. 이 경우, 선재(W)를 선재 수용 공간(SP)에 삽입하는 작업이 용이하다. 또, 가이드 부재(60)의 폐쇄부(61)가, 선재 수용 공간(SP) 내에 삽입된 선재(W)가, 선재 수용 공간(SP)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와이어 그리퍼(1)를 선재(W)에 장착하는 작업을 보다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혹은, 부가적으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선재 절분 공구(100)의 제2 와이어 그리퍼(2)에 가이드 부재(60)가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와이어 그리퍼(1) 및 제2 와이어 그리퍼(2) 중 한쪽이, 봉 부재(70)에 대해, 요동축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와이어 그리퍼(1)의 레버 부재(40)가 봉 부재(70)의 제1 단부(70a)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제1 결합부(30)를,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를 이용하여, 선재 절분 공구(100)를 들어올릴 수 있다. 제1 결합부(30)는, 와이어 그리퍼(1)의 제1 접촉면(11a) 및 제2 접촉면(12a)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가 선재(W)와 간섭하는 일 없이, 와이어 그리퍼(1)를 용이하게 선재(W)에 장착할 수 있다. 와이어 그리퍼(1)가 선재(W)에 장착된 후, 제2 와이어 그리퍼(2)가 원격 조작 공구를 이용하여 들어올려진다. 당해 들어올림 동작에 의해, 봉 부재(70)는, 와이어 그리퍼(1)에 대해 요동축 둘레로 회동하면서, 상방으로 들어올려진다. 그 후, 제2 와이어 그리퍼(2)가 선재(W)에 장착된다.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 있어서, 각 실시 형태는 적절히 변형 또는 변경될 수 있음이 분명하다. 또, 각 실시 형태에서 이용되는 임의의 구성 요소를, 다른 실시 형태에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임의의 구성 요소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와이어 그리퍼 또는 선재 절분 공구를 이용하면, 선재에 와이어 그리퍼를 용이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와이어 그리퍼 또는 선재 절분 공구를 선재에 장착하는 작업을 행하는 업자, 및, 와이어 그리퍼 또는 선재 절분 공구를 제조하는 제조업자에게 있어서 유용하다.
1, 1A, 1B: 와이어 그리퍼 2: 제2 와이어 그리퍼
3: 제1 결합 부재 8: 제2 결합 부재
11: 제1 부재 11a: 제1 접촉면
11f: 전방측 부분 12: 제2 부재
12a: 제2 접촉면 20: 요동 부재
30: 제1 결합부 30h: 관통 구멍부
31h: 제2 관통 구멍부 32: 돌출부
32a: 제1 돌출부 32b: 제2 돌출부
40: 레버 부재 40b: 제2 단부
40d: 오목부 40h: 관통 구멍
40s: 하면 42: 결합부
43: 중간 부분 50: 로크 부재
50a: 조작부 50b: 나사봉
51: 제1 부분 60: 가이드 부재
60-1: 제1 가이드 부재 60-2: 제2 가이드 부재
60h: 삽입 구멍 61: 폐쇄부
62: 가이드부 62a: 기단부
62b: 선단부 62s: 가이드면
68: 탄성 가압 부재 69: 가이드 부재 지지 부재
69a: 축부 69b: 머리부
70: 봉 부재 70a: 제1 단부
70b: 제2 단부 71: 외측 부재
72: 내측 부재 73: 조작부
80: 제2 결합부 80h: 관통 구멍부
81h: 제2 관통 구멍부 90: 선재 지지구
90a: 제1 선재 지지구 90b: 제2 선재 지지구
91: 틀 부재 92: 개폐 부재
93: 조작부 94: 틀 부재
95: 개폐 부재 100: 선재 절분 공구
111: 상측 부분 112: 하측 부분
112b: 하단부 113: 중간 부분
610: 볼록부 730: 결합부
AX1: 제1 축 AX2: 제2 축
AX3: 제3 축 AX4: 제4 축
BN: 굴곡부 CP, CP1, CP2: 수용 공간
G: 간극 GA: 가이드부
Gh: 관통 구멍 Gw: 가이드 벽
H: 관통 구멍 L1: 길이 방향축
OP: 개구 P1: 제1 핀 부재
P2: 제2 핀 부재 P3: 제3 핀 부재
PL1: 제1 판부 PL2: 제2 판부
SL: 슬릿 SP: 선재 수용 공간
W: 선재

Claims (15)

  1. 선재에 접촉하는 제1 접촉면을 갖는 제1 부재와,
    상기 선재에 접촉하는 제2 접촉면을 갖는 제2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에 대해, 제1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상기 제2 부재에 대해, 제2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요동 부재와,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에 결합 가능한 제1 결합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접촉면 및 상기 제2 접촉면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와이어 그리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1 접촉면 및 상기 제2 접촉면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상측 부분과,
    상기 제1 접촉면 및 상기 제2 접촉면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하측 부분
    을 갖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하측 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와이어 그리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요동 부재에 대해, 제3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버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와이어 그리퍼.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요동 부재에 대해, 제3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버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와이어 그리퍼.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레버 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배치되어 있는, 와이어 그리퍼.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레버 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배치되어 있는, 와이어 그리퍼.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레버 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를 갖는, 와이어 그리퍼.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레버 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를 갖는, 와이어 그리퍼.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부재의 전방측 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와이어 그리퍼.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관통 구멍부이며,
    상기 관통 구멍부의 중심축은, 상기 제1 축과 평행한, 와이어 그리퍼.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관통 구멍부이며,
    상기 관통 구멍부의 중심축은, 상기 제1 축과 평행한, 와이어 그리퍼.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와이어 그리퍼와,
    상기 와이어 그리퍼에 연결된 신축 가능한 봉 부재와,
    상기 봉 부재에 연결된 제2 와이어 그리퍼
    를 구비하는,
    선재 절분(切分) 공구.
  13. 청구항 9에 기재된 와이어 그리퍼와,
    상기 와이어 그리퍼에 연결된 신축 가능한 봉 부재와,
    상기 봉 부재에 연결된 제2 와이어 그리퍼
    를 구비하는,
    선재 절분 공구.
  14. 청구항 10에 기재된 와이어 그리퍼와,
    상기 와이어 그리퍼에 연결된 신축 가능한 봉 부재와,
    상기 봉 부재에 연결된 제2 와이어 그리퍼
    를 구비하는,
    선재 절분 공구.
  15. 청구항 11에 기재된 와이어 그리퍼와,
    상기 와이어 그리퍼에 연결된 신축 가능한 봉 부재와,
    상기 봉 부재에 연결된 제2 와이어 그리퍼
    를 구비하는,
    선재 절분 공구.
KR1020217024184A 2019-01-12 2019-12-03 와이어 그리퍼, 및, 선재 절분 공구 KR202101132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03917 2019-01-12
JP2019003917 2019-01-12
PCT/JP2019/047128 WO2020144975A1 (ja) 2019-01-12 2019-12-03 掴線器、および、線材切分工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257A true KR20210113257A (ko) 2021-09-15

Family

ID=71521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4184A KR20210113257A (ko) 2019-01-12 2019-12-03 와이어 그리퍼, 및, 선재 절분 공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100393B2 (ko)
KR (1) KR20210113257A (ko)
CN (1) CN216774109U (ko)
TW (1) TW202037024A (ko)
WO (1) WO20201449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9533A1 (ja) 2021-05-13 2022-11-17 株式会社永木精機 掴線器、線材切分工具、および、掴線器の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7007A (ja) 2009-09-17 2011-03-31 Hokkai Denki Koji Kk 架線切分け工具及びその取付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07A (ja) * 1990-04-13 1992-01-06 Kyushu Electric Power Co Inc ケーブル張線装置
JP2013062960A (ja) * 2011-09-14 2013-04-04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間接活線用張線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7007A (ja) 2009-09-17 2011-03-31 Hokkai Denki Koji Kk 架線切分け工具及びその取付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037024A (zh) 2020-10-01
WO2020144975A1 (ja) 2020-07-16
JPWO2020144975A1 (ja) 2021-11-11
CN216774109U (zh) 2022-06-17
JP7100393B2 (ja) 2022-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17002B1 (en) Compliant underactuated grasper
US20200023526A1 (en) Automatic Pick-Up Equipment
US20130345848A1 (en) Robot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itting
CN104274122A (zh) 吸尘器-抽吸管
CN110722606B (zh)
US6401299B1 (en) Folding hinge
KR20210113257A (ko) 와이어 그리퍼, 및, 선재 절분 공구
KR20210113258A (ko) 와이어 그리퍼, 및, 선재 절분 공구
JP6916387B2 (ja) ワイヤクランプ
EP1702721A1 (en) Clamping and centering device for work pieces, having a hook-shaped clamping member
WO2007071896A1 (en) Hook
TWI846797B (zh) 緊線器及線材切割工具
JP7287711B2 (ja) 掴線器、および、線材切分工具
RU2799497C2 (ru) Проводной зажим и инструмент для резки и разделения провода
RU2801323C2 (ru) Проводной зажим и инструмент для резки и разделения провода
JP7117032B2 (ja) 掴線器、および、作業工具の第1部材に揺動部材を取り付ける取付構造
KR102670262B1 (ko) 공구
JP5653717B2 (ja) ヤットコ用アダプタ
JP2008283915A (ja) 魚掴み器
CN110293490A (zh) 钩张紧器
KR102543446B1 (ko) 전선 절분 공구
KR100309353B1 (ko)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연결구조
JP7436021B2 (ja) 把持具の緩衝装置、およびその緩衝装置を備える把持具
JP4870229B2 (ja) 綴じ具
JP5094828B2 (ja) アダプ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