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8757A - 육묘판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육묘판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8757A
KR20210108757A KR1020200023765A KR20200023765A KR20210108757A KR 20210108757 A KR20210108757 A KR 20210108757A KR 1020200023765 A KR1020200023765 A KR 1020200023765A KR 20200023765 A KR20200023765 A KR 20200023765A KR 20210108757 A KR20210108757 A KR 20210108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support
tray
support link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3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5085B1 (ko
Inventor
윤석수
Original Assignee
윤석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석수 filed Critical 윤석수
Priority to KR1020200023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085B1/ko
Publication of KR20210108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01C11/025Transplanting machines using seedling trays; Devices for removing the seedlings from the tr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9Handling or transporting of soil blocks or seedl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앙기에 설치되어 예비 육묘판을 적재하거나 공급받을 수 있는 육묘판 지지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지지장치는, 이앙기의 일측에 고정되는 지지판(50), 제1연결링크(32), 제1지지링크(22), 제2지지링크(24), 그리고 제2연결링크(34)를 포함한다. 제2지지링크(24)는 제1연결링크(32) 및 제2연결링크(34)를 통하여 제1지지링크(22)의 상부로 회동하여 다단으로 폴딩된 상태로 유지 가능하고, 다단으로 폴딩된 상태에서 제2지지링크(24)의 측면에 설치된 폴딩 스토퍼(24s)가 제2연결링크(24)의 일
측에 걸림으로써 제1지지링크(22)와 제2지지링크(24)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지지링크(24)는 제1연결링크(32) 및 제2연결링크(34)를 통하여 제1지지링크(22)와 같이 언폴딩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펼친 상태에서 제1연결링크(32)의 일측 단부는 제2연결링크(34)의 내측단부 상부에 걸쳐진다.

Description

육묘판 지지장치{Device for supporting rice seeding plates in rice transporter}
본 발명은 이앙기에 사용되는 육묘판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자로 펼쳐지거나 다단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육묘판을 공급받을 수 있음과 동시에 접은 상태에서 예비 육묘판을 다단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육묘판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앙기는 육묘된 벼(치묘)를 논에 심는 장치라고 할 수 있고, 이러한 이앙기는 후방측에 설치되어 있는 식부부에서 일정 크기의 묘를 떼어내고 이것을 논에 심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일반적인 이앙기에서 식부부에 적재되어 있는 육묘판 이외에, 예비적인 육묘판을 지지하는 예비 육묘판(예비 묘대)이 본체 측면에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예비 육묘판은 그 자체로 육묘판을 적재하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을 뿐이어서, 사용 편의성에 일정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거나(Folding) 펼치는(Unfolding)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모판의 다단 적재 및 공급되는 모판의 이송이 편리한 이앙기용 예비 육묘판 지지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후방향으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경사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 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이앙기용 예비 육묘판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육묘판 지지장치는, 이앙기의 일측에 고정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대하여 기본 지지핀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연결링크, 제1연결링크의 외측에서 기본 지지핀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1트레이를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링크, 내측단부가 제1연결링크의 상단부와 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지지링크, 그리고 상기 제2지지링크의 외측부분 및 제1지지링크의 하나의 외측부분을 각각 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연결링크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지지링크는 제1연결링크 및 제2연결링크를 통하여 제1지지링크의 상부로 회동하여 다단으로 폴딩된 상태로 유지 가능하고, 다단으로 폴딩된 상태에서 제2지지링크의 측면에 설치된 폴딩 스토퍼가 제2연결링크의 일측에 걸림으로써 제1지지링크와 제2지지링크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지지링크는 제1연결링크 및 제2연결링크를 통하여 제1지지링크와 같이 언폴딩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펼친 상태에서 제1연결링크의 일측 단부는 제2연결링크의 내측단부 상부에 걸쳐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내측단부가 제1연결링크의 하단부와 핀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3지지링크, 그리고 제3지지링크의 외측부분 및 제1지지링크의 다른 하나의 외측부분을 각각 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3연결링크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3지지링크는 제1연결링크 및 제3연결링크를 통하여 제1지지링크의 하부로 회동하여 폴딩된 상태로 유지 가능하고, 다단으로 접힌 상태에서 제3지지링크의 측면에 설치된 폴딩 스토퍼가 제3연결링크의 일측에 걸림으로써 제1지지링크와 제3지지링크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3지지링크는 제1연결링크 및 제3연결링크를 통하여 제1지지링크와 같이 언폴딩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언폴딩 상태에서 제1연결링크의 다른 외측 단부 상에는 제3연결링크의 내측단부가 걸쳐진다.
여기서 제1지지링크 및 제2지지링크에는, 제1트레이와 제2트레이를 지지하기 위하여, 한 쌍으로 구성되는 트레이 서포터가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제1트레이와 제2트레이가 연속되는 일직선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1지지링크 및 제2지지링크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트레이 서포터는 각각 다른 높이의 제1지지링크 및 제2지지링크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3지지링크에는 제3트레이를 지지하기 위하여 한 쌍으로 구성되는 트레이 서포터가 설치되고, 제3트레이는 제2트레이와 연속되는 일직선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트레이 서포터는 각각 다른 높이의 제3지지링크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제1연결링크 내지 제3연결링크에 의하여, 제1지지링크 내지 제3지지링크가 상하로 폴딩된 폴딩상태 및 좌우로 펼쳐진 언폴딩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1연결링크를 지지판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제1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기본 지지핀을 중심으로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지지링크를, 지지판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제2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트레이 내지 제3트레이의 상면에는 육묘판의 이송을 위한 다수의 롤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트레이 내지 제3트레이의 양단부 측에는 트레이홈이 성형되고, 이러한 트레이홈의 내부에는 트레이 스토퍼가 양측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트레이 스토퍼가 회전에 의하여 90도 이상 세워지면, 트레이홈의 저면에 접촉하여 트레이 스토퍼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는 멈춤돌출부가 트레이 스포터의 외측면에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트레이가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폴딩되거나, 다수의 트레이가 좌우로 직선 상태로 펼쳐지는 폴딩상태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렇게 변환된 상태에서 각각 육묘판을 적재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펼쳐진 상태에서 육묘판의 공급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지지장치는 실제로 이앙기에 설치된 상태로 사용되기 때문에, 육묘판의 공급 및 예비 적재에 편리한 장점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 지지장치의 접힌 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지지장치의 반 정도 펼친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지지장치의 완전 펼친 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지지장치의 링크의 접힌 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지지장치 링크의 반 정도 펼친 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지지장치의 완전 펼친 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지지장치의 링크를 내측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지지장치의 언폴딩 스토퍼를 보인 예시 정면도.
도 9은 본 발명 지지장치의 폴딩 스토퍼를 보인 예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 지지장치의 지지판 주변의 구성을 보인 확대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 지지장치를 접은 상태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트레이를 보인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비 육묘판 지지장치는, 다수의 트레이(12,14,16)를 다단으로 접거나(도 1) 일자 상태로 펼칠 수 있도록(도 3)에 구성되고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다단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하에 위치하는 각각의 트레이(12,14,16)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어서 각각의 트레이에 육묘판을 적재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서와 같이 다수의 트레이(12,14,16)를 일자 상태로 펼치게 되면 외부에서 육묘판을 이송할 수 있는 이송장치로도 사용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육묘판 지지장치는, 현재 생산 중인 이앙기에 부착되어 있거나 부착될 수 있는 프레임(40)에 설치된다. 즉 이앙기에 부착되어 있는 장착프레임(40)은 서로 평행하는 한 쌍의 수직부분(42)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고,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수직부분(42)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분(44)으로 구성되는 장착프레임(40)을 예시적으로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장착프레임(40)에 대하여, 양측의 수직부분(42)에 각각 한 쌍의 U형볼트(U) 및 너트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지지판(50)을 고정시킨 상태로 지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앙기에 지지되는 본 발명의 지지판(50)은, 상술한 다수의 트레이(12,14,16) 및 이를 지지하는 링크체(L)를 지지하는 기본적인 지지체라고 할 수 있고, 기본적으로 이앙기 본체에 장착되어 지지되는 것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판(50)이 이앙기의 장착프레임(40)에 지지된다는 것은, 본 발명의 지지장치 전체가 이앙기에 대하여 지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지지판(50)에 설치되는 다수의 링크 및 이러한 링크에 지지되는 트레이(12,14,16)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다수의 육묘판을 지지하기 위한 트레이(12,14,16)는 도시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3개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트레이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트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트레이(12,14,16)는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되는 트레이 서포터(22a,24a,26a) 상에 올려진 상태로 고정되어 지지되는데, 이러한 트레이 서포터(22a,24a,26a)는 각각의 트레이에 대응하는 지지링크(22,24,26)에 지지되고 있다. 본 발명의 트레이는, 중앙에 위치하는 제1트레이(12)[제1지지링크(22)에 의하여 지지됨]와, 그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2트레이(14)[제2지지링크(24)에 의하여 지지됨] 및 제3트레이(16)[제3지지링크(26)에 의하여 지지됨]로 구성되고 있다.
여기서 각각의 트레이(12,14,16)는 각각의 지지링크(22,24,26)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트레이(12,14,16)의 움직임은 지지링크(22,24,26)의 움직임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트레이 지지링크(22.24,26)의 움직임을 위주로 설명할 것인 바, 이는 궁극적으로 트레이(12,14,16)의 움직임과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지지링크(22)는 기본 지지핀(22h)에 의하여 지지판(5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제1지지링크(22)의 제1측면(좌측면)과 제2지지링크(24)의 좌측부분 사이에는 제1연결링크(34)가 각각 핀(34a,34b)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1지지링크(22)의 제2측면(우측면)과 제3지지링크(26)의 우측부분 사이에는 제3연결링크(36)가 각각 핀(36a,36b) 연결됨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1지지링크(22)의 중앙과 제2지지링크(24)의 우측단부 사이에는 제1연결링크(32)가 각각 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지지링크(22)의 중앙과 제3지지링크(26)의 좌측 단부 사이에는 제1연결링크(32)가 각각 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여기서 제1연결링크(32)는 지지판(50)에 회동 가능하게 핀(22h) 지지되는데, 예를 들면 제1연결링크(32)는 제1지지링크(22)와 같이 지지판(50)에 핀 연결되고,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제1연결링크(32)는 제1지지링크(22)의 내측(지지판 측)에서, 동일한 하나의 핀(22h)으로 지지판(5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을 정리하면, 제1연결링크(32)는 제1지지링크(22)와 같이 기본 지지핀(22h)을 통하여 지지판(5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그 좌측단부(상단부)는 핀(32a)을 통하여 제1측면 지지링크(24)의 우측단부(지지판을 중심으로 내측단부)와 연결되고, 그 우측단부(하단부)는 핀(32b)을 통하여 제2측면 지지링크(26)의 좌측단부(지지판을 중심으로 내측단부)와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1연결링크(34)는, 제2지지링크(24)의 우측부분(외측 부분)와 제1지지링크(22)의 우측단부(외측단부)를 각각 핀(34a,34b) 연결한다. 제3연결링크(36)는, 제1지지링크(22)의 우측단부와 제3지지링크(26)의 우측부분(지지판을 중심으로 외측부분)을 각각 핀(36a,36b) 연결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내측부분(내측단부) 또는 외측부분(외측단부)라고 함은, 지지판(50)을 중심으로 할 때 내부 및 외부를 칭하는 개념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2지지링크(24)와 제3지지링크(26)는, 기본 지지핀(22h)을 중심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공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제1지지링크(22)를 중심으로 제2지지링크(24)는 상부로 이동하고, 제3지지링크(26)는 하부로 이동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제1지지링크(22), 제2지지링크(24), 그리고 제3지지링크(26)의 운동(이동방향)은 실질적으로 제1트레이(12), 제2트레이(14), 그리고 제3트레이(16)의 이동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것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다음에는 상술한 3개의 트레이(12,14,16)가 다단으로 접히거나(도 1 및 도 4 참조), 일자 형상으로 펼쳐지는(도 3 및 도 6)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위에서 설명한 제1연결링크(32), 제2연결링크(34), 그리고 제3연결링크(36)는, 각각 제1지지링크(22), 제2지지링크(24), 제3지지링크(26)의 내측[지지판(50)에 가까운 방향]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전히 펼친 상태가 되면, 모든 트레이(12,14,16)는 일자형상으로 펼쳐짐과 동시에, 제1연결링크(32)의 좌측단부는 제2연결링크(34)의 우측 단부 위에 걸려지게 되고 제1연결링크(32)의 우측단부는 제3연결링크(36)의 좌측 단부 아래에 걸려지는 상태가 될 것이다.
여기서 제2연결링크(34) 및 제3연결링크(36)와 일부 겹쳐지는 부분의 제1연결링크(32)의 상부 및 하부에는 언폴딩 스토퍼(32sa,32sb)를 각각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완전히 펼쳐지면 제1연결링크(32)의 좌측 단부 하부에 설치되는 제1언폴딩 스토퍼(32sa)는 제2연결링크(34)의 우측 상단부에 걸리게 되고, 제1연결링크(32)의 주측 상단부에 설치되는 제2언폴딩 스토퍼(32sb)는 제3연결링크(36)의 좌단부의 하면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은 한 쌍의 언폴딩 스토퍼(32sa,32sb)에 의하여 일자 형태로 펼쳐지고, 더 이상 펼쳐지지 않는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참고로 언폴딩 스토퍼(32sa,32bs)는 제1연결링크(32)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링크(22,24,26)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폴딩상태라고 함은 트레이 내지 지지링크가 상하로 배열된 상태를 의미하고, 언폴딩 상태라고 함은 트레이 내지 지지링크가 좌우로 펼쳐진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도 5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12,14,16)가 접히게 되면, 제2지지링크(24) 및 제3지지링크(26)의 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폴딩 스토퍼(24s,26s)가 제2연결링크(34) 및 제3연결링크(36)에 걸리게 되어 더 이상 접히지 않도록 지지된다. 이와 같은 폴딩 스토퍼(24s,26s)의 크기 및 위치는 각 트레이(12,14,16)의 상하 간격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도 9에서 제3지지링크(26)의 측면에 설치된 폴딩스토퍼(26s)가 더 좌측에 설치되면, 제3연결링크(36)가 더 수평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제3연결링크(36)와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이는 실질적으로 제1지지링크(22)와 제3지지링크(26) 사이의 간격이 더 좁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폴딩스토퍼(24s,26s)는 제2연결링크(24) 및 제3연결링크(26)의 측면(내측면)에 설치되어,, 제2연결링크(24) 및 제3연결링크(36)과 간섭을 일으키게 된다. 여기서 폴딩스토퍼(24s,26s)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간섭이 발생하는 위치가 변경되고 이는 궁극적으로 제1트레이(12)(제1지지링크)에 대한 제2트레이(14)(제2지지링크) 및 제3트레이(16)(제3지지링크)의 간격이 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폴딩 스토퍼(24s,26s)의 위치에 의하여, 상하로 배치되는 각 트레이(12,14,16) 사이의 간격이 변경될 수 있다. 이렇게 각 트레이 사이의 상하 간격이 정확하게 설정되면 실질적으로 접힌 상태에서 각각의 트레이에 육묘판을 예비적으로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트레이가 접힌 상태에서 각 트레이 상에 예비 묘대를 적재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펼친 상태에서도 적재 기능은 가지고 있고 더욱이 육묘판(묘대)의 이송 기능까지 있다고 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폴딩스토퍼 및 언폴딩스토퍼가 접촉하는 각 링크의 해당 부분에는, 어느 일측에 고무 등과 같은 재질의 완충재를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각각의 트레이를 지지하는 제1지지링크(22), 제2지지링크(24), 그리고 제3지지링크(26)는, 제1연결링크(32), 제2연결링크(34), 그리고 제3연결링크(36)에 의하여, 폴딩상태(도 1 및 도 4)와 언폴딩상태(도 3 및 도 6)로 자세가 변경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폴딩 및 언폴딩으로의 자세 변경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트레이(12,14,16)가 폴딩상태 또는 언폴딩상태에서, 지지판(5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어느 하나의 링크를 지지판(50)에 대하여 고정 상태로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제1연결링크(32)를 지지판(50)에 고정함으로써, 모든 지지링크를 정해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연결링크(32)의 일단부 측면에는 일부가 지지판(50)과 면접촉할 수 있는 고정용브라켓(32br)이 고정(예를 들면 용접 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고정용브라켓(32br)의 지지판(50) 접촉부분에는 고정너트(32bn)가 용접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판(50)의 반대측에는 폴딩용 클램프레버(66)가 설치되는데, 여기서 클램프레버(66)의 나사부분(66a)이 고정너트(32bn)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클램프레버(66)를 회전시키면, 지지판(50)과 면접촉하고 있는 고정용브라켓(32br)의 일부분이 지지판(50)에 밀착되어 큰 마찰력이 작용하게 된다. 폴딩용 클램프레버(66)의 회전에 의하여 지지판(50)으로 당겨지는 고정용 너트(32bn)가, 지지판(50)과 지지판(50)과 면접촉하는 고정용브라켓(32br)의 일 부분을 서로 큰 힘으로 밀착시킨다. 이러한 밀착에 의하여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하여 제1연결링크(32)가 정해진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클램프레버(66) 자체는 이미 공지되어 있고 많은 제조사에 의하여 판매되고 있는 구성 부품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클램프레버(66) 자체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레버부분을 잡고 회전시키게 되면 나사부분이 연동하게 회전하면서 상대물(암나사를 가지는 부품)이 직선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폴딩 및 언폴딩 동작시, 제1연결링크(32)는 기본 지지핀(22h)을 중심으로 원호운동을 하게 된다. 즉, 트레이(12,14,16)들이 폴딩에서 언폴딩 상태로 또는 그 반대로 운동할 때, 연결링크(32)의 정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폴딩용 클램프레버(66)는 원호운동을 수행한다. 따라서 도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판(50)에는 폴딩용 클램프레버(66)의 운동 궤적을 따라 중심 원호형 구멍(52)이 성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지지판(50)은 예를 들면 장착프레임(40)을 통하여 이앙기에 장착되는 것으로, 본 발명 지지장치 전체를 지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판(50) 자체를 이앙기에 연결하여 지지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다양한 구성이 가능할 것임은 물론이고, 공지된 구성도 당연히 포함될 수 있을 것임은 통상의 기술자라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3개의 트레이(12,14,16)를 가지는 본 발명 지지장치는 전체적으로 일정한 각도 범위(예를 들면 5도 내지 10도) 내에서 틸팅이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트레이의 틸팅 기능은 육묘판을 공급받을 때 현지의 지형에 따라서 매우 유용하게 작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이 3개의 트레이(12,14,16)가 좌우로 일정하게 경사지도록 동작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으로 제1트레이(12)를 지지하고 있는 제1지지링크(22)가 기본 지지핀(22h)을 중심으로 좌우 일정 각도 회전하는 것으로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서 도 10 중심으로 보면, 제1지지링크(22)는 기본지지핀(22h)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여기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지지링크(22)는, 제1지지링크(22) 이외에도, 그 양측에 대칭되는 위치에 측면핀(22ha,22hb)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측면핀(22ha,22hb)은, 지지판(50)까지 수평으로 연장된 상태로 설치된다.
지지판(50)에 대하여 제1지지링크(22)를 지지하는 것은 기본지지핀(22h) 및 측면핀(22ha,22hb)이고, 이들은 각각 제1지지링크(22)와는 고정된 상태로 연결(예를 들면 용접 등)되어 있다. 그리고 기본지지핀(22h) 및 측면핀(22ha,22hb)의 전면은 지지판(50)을 관통하여 클램프레버(60,62,64)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측면핀(22ha,22hb)을 고정시키기 위한 측면의 클램프레버(62,64)는, 지지판(56)에 성형된 측면 원호형 구멍(54,56)을 관통한 상태로 측면핀(22ha,22hb)에 나사 결합되고 있다.
상기 클램프레버(60,62,64)는, 그 나사부분(60a,62a,64a)이 기본지지핀(22h) 및 측면핀(22ha,22hb)의 내부로 나사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클램프레버(60,62,64)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기본지지핀(22h) 및 측면핀(22ha,22hb)의 단부는 지지판(50)의 이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즉, 클램프레버(60,62,64)의 회전시켜서 기본지지핀(22h) 및 측면핀(22ha,22hb)의 단부가 지지판(50)의 이면에 강하게 밀착되면, 실질적으로 제1지지링크(22)가 지지판(50)에 밀착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실질적으로 제1지지링크(22)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자 상태의 트레이(12,14,16)가 일정하게 경사진 상태를 유지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제1지지링크(22)는 부싱(69)을 통하여 제1연결링크(32)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1지지링크(22)는 제1연결링크(3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트레이(12,14,16)를 접거나 펼쳐서 그 상태로 고정하는 것은, 폴딩용 클램프레버(66)를 이용하여 제1연결링크(32)를 지지판(50)에 고정하는 것에 기초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일자로 배열된 트레이(12,14,16)를 일정 범위 내에서 경사시켜 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제1지지링크(22)를 지지판(50)에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 및 도 6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3개의 트레이를 펼치는 것은, 거의 수평 상태로 펼쳐지는 제1연결링크(32)와 제2연결링크(34), 그리고 제1연결링크(32)와 제3연결링크(36)가 서로 인접한 부분에서 각각 발생하는 상대적인 간섭(겹침)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제1연결링크(22)와 제2연결링크(34)의 인접부분이 펼친 상태에서 중첩(간섭)되는데, 이렇게 중첩되는 부분의 제1연결링크(22)에 언폴딩 스토퍼(32sa)를 설치하고 있다.
즉 언폴딩 스토퍼(32sa,32sb)는 제1연결링크(32) 내지 제3지지링크(26) 사이의 펼침시 생기는 간섭에 기초하여, 제1연결링크(32) 내지 제3연결링크(36)가 대략 수평상태로 펼쳐진 한계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3개의 트레이(12,14,16)는 거의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제1지지링크(22) 내지 제3지지링크(26)에 설치된다. 이때 각각의 트레이(12,14,16)를 지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지지링크(22,24,26)에 설치되는 트레이서포터(22a,24a,26a)는 각각 좌우 한 쌍으로 설치되는데, 좌우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트레이(12,14,16)가 수평상태(일자로 펼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모든 연결링크(32,34,36)는 지지판(50) 측에 배치되고, 모든 지지링크(22,24,26)는 지지판(50)의 반대측 연결링크(32,34,36)에 배치되어야 한다. 즉, 모든 링크의 상태를 보이는 평면도인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판(50)과 인접한 측에는 연결링크(32,34,36)가 배치되고, 지지판(50)과 이격된 외측(연결링크의 외측)에는 지지링크(22,24,26)가 배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펼쳐진 상태에서, 모든 트레이(12,14,16)는 일자로 서로 연결되어야 육묘판의 이송이 가능하다. 그런데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펼쳐진 상태에서 연결링크(32,34,36)는 각각 일부가 중첩(간섭)된다. 예를 들면 제1연결링크(32)의 좌측단부(지지판을 중심으로 하나의 외측단부)는 제2연결링크(34)의 우측단부(지지판을 중심으로 내측단부) 상에 올라타고, 제1연결링크(32)의 우측단부(지지판을 중심으로 다른 하나의 외측단부)는 제3연결링크(36)의 좌측단부(지지판을 중심으로 내측단부) 밑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연결링크(32,34,36)의 각각의 좌우 단부가 간섭을 일으켜야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연결링크(32,34,36)가 전체적으로 완전한 일자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지지링크(22,24,26)도 전체적으로 완전한 일자로 펴지는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12,14,16)는 완전히 일자로 펼쳐져야 한다.
여기서 각각의 트레이(12,14,16)는 각각의 지지링크(22,24,26)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면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한 쌍의 트레이 서포터(22a,24a,24b)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모든 트레이(12,14,16)가 전체적으로 완전한 일자를 이루도록 하기 위하여, 각각의 트레이(12,14,16)에 설치되는 한 쌍의 트레이 서포터(22a,24a,26a)의 좌우 높이를 달리함으로써, 3개의 트레이(12,14,16)가 완전히 일자 상태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트레이(12,14,16) 자체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모든 트레이(12,14,16)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도 12에서와 같이 제1트레이(12)를 대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트레이(12)는 육묘판을 올려서 지지할 수 있는 폭을 가지고,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트레이(12)에는 다수의 롤러(12a)가 설치되어 있어서, 육묘판의 이송 시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12)의 양측 단부에는 트레이 스토퍼(13)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트레이 스토퍼(13)는 트레이(12)의 상면에 올려둔 육묘판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규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트레이(12)는 접혀지거나 세워질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트레이(12)의 상면 양측에는 트레이 스토퍼(13)가 내부로 들어가서 트레이(12)의 상면과 수평면을 이룰 수 있도록, 트레이홈(12c)이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트레이 스토퍼(13)의 하단부 양측에는 힌지축(13a)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트레이홈(12c)의 내부 양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이 스토퍼(13)의 외측면 하단부에는 멈춤돌출부(13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멈춤돌출부(13b)는 트레이 스토퍼(13)가 각각 외측을 향하여 세워지면서 90도(수직상태)를 넘어가면 트레이홈(12c)의 저면(12d)에 접촉함으로써, 트레이 스토퍼(13)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트레이(12)의 양측에서 트레이 스토퍼(13)가 세워진 상태가 되면, 양측의 트레이 스토퍼(13) 내부에 있는 육묘판은 트레이(12)의 상부에서 외부로 임의로 이탈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모든 트레이(12,14,16)가 일자로 펼쳐진 상태에서 육묘판을 이송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트레이 스토퍼(13)를 트레이홈(12c)의 내부로 접어 넣은 상태로 사용하면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도 특허법의 규정 취지 상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12 ..... 제1트레이
14 ..... 제2트레이
16 ..... 제3트레이
22 ..... 제1지지링크
22a,24a,26a ..... 트레이서포터
22h ..... 기본 지지핀
24 ..... 제2지지링크
24s ..... 폴딩 스토퍼
26 ..... 제3지지링크
26s ..... 폴딩 스토퍼
32 ..... 제1연결링크
32br ..... 고정용브라켓
32bn ..... 고정너트
34 ..... 제2연결링크
36 ..... 제3연결링크
40 ..... 장착프레임
50 ..... 지지판
66 ..... 폴딩용 클램프 레버

Claims (8)

  1. 이앙기의 일측에 고정되는 지지판(50)과;
    상기 지지판(50)에 대하여 기본 지지핀(22h)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연결링크(32);
    상기 제1연결링크(32)의 외측에서 기본 지지핀(22h)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1트레이를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링크(22);
    내측단부가 제1연결링크(32)의 상단부와 핀(32a)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지지링크(24); 그리고
    상기 제2지지링크(24)의 외측부분 및 제1지지링크(22)의 하나의 외측부분을 각각 핀(34b,34a)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연결링크(34)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링크(24)는 제1연결링크(32) 및 제2연결링크(34)를 통하여 제1지지링크(22)의 상부로 회동하여 다단으로 폴딩된 상태로 유지 가능하고, 다단으로 폴딩된 상태에서 제2지지링크(24)의 측면에 설치된 폴딩 스토퍼(24s)가 제2연결링크(24)의 일측에 걸림으로써 제1지지링크(22)와 제2지지링크(24)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제2지지링크(24)는 제1연결링크(32) 및 제2연결링크(34)를 통하여 제1지지링크(22)와 같이 언폴딩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펼친 상태에서 제1연결링크(32)의 일측 단부는 제2연결링크(34)의 내측단부 상부에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판 지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내측단부가 제1연결링크(32)의 하단부와 핀(32b)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3지지링크(36); 그리고
    상기 제3지지링크(26)의 외측부분 및 제1지지링크(22)의 다른 하나의 외측부분을 각각 핀(36a,36b)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3연결링크(3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3지지링크(26)는 제1연결링크(32) 및 제3연결링크(36)를 통하여 제1지지링크(22)의 하부로 회동하여 폴딩된 상태로 유지 가능하고, 다단으로 접힌 상태에서 제3지지링크(24)의 측면에 설치된 폴딩 스토퍼(26s)가 제3연결링크(24)의 일측에 걸림으로써 제1지지링크(22)와 제3지지링크(26)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제3지지링크(26)는 제1연결링크(32) 및 제3연결링크(36)를 통하여 제1지지링크(22)와 같이 언폴딩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언폴딩 상태에서 제1연결링크(32)의 다른 외측 단부 상에는 제3연결링크(36)의 내측단부가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판 지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제1지지링크(22) 및 제2지지링크(24)에는, 제1트레이(12)와 제2트레이(14)를 지지하기 위하여, 한 쌍으로 구성되는 트레이 서포터(22a,24a)가 각각 구비되고;
    제1트레이와 제2트레이가 연속되는 일직선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1지지링크(22) 및 제2지지링크(24)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트레이 서포터는 각각 다른 높이의 제1지지링크(22) 및 제2지지링크(24)에 설치될 수 있는 육묘판 지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제3지지링크(26)에는 제3트레이(16)를 지지하기 위하여 한 쌍으로 구성되는 트레이 서포터(26a)가 설치되고, 제3트레이(16)는 제2트레이(14)와 연속되는 일직선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트레이 서포터는 각각 다른 높이의 제3지지링크(26)에 설치될 수 있는 육묘판 지지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연결링크(32) 내지 제3연결링크(36)에 의하여, 제1지지링크(22) 내지 제3지지링크(26)가 상하로 폴딩된 폴딩상태 및 좌우로 펼쳐진 언폴딩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1연결링크(32)를 지지판(50)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제1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육묘판 지지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본 지지핀(22h)을 중심으로 지지판(5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지지링크(22)를, 지지판(50)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제2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육묘판 지지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트레이 내지 제3트레이의 상면에는 육묘판의 이송을 위한 다수의 롤러가 설치되는 육묘판 지지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트레이 내지 제3트레이의 양단부 측에는 트레이홈(12c)이 성형되고, 이러한 트레이홈(12c)의 내부에는 트레이 스토퍼(13)가 양측의 힌지축(13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트레이 스토퍼(13)가 회전에 의하여 90도 이상 세워지면, 트레이홈(12c)의 저면(12d)에 접촉하여 트레이 스토퍼(13)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는 멈춤돌출부(13b)가 트레이 스포터(13)의 외측면에 성형된 육묘판 지지장치.
KR1020200023765A 2020-02-26 2020-02-26 육묘판 지지장치 KR102365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765A KR102365085B1 (ko) 2020-02-26 2020-02-26 육묘판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765A KR102365085B1 (ko) 2020-02-26 2020-02-26 육묘판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757A true KR20210108757A (ko) 2021-09-03
KR102365085B1 KR102365085B1 (ko) 2022-02-17

Family

ID=77785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765A KR102365085B1 (ko) 2020-02-26 2020-02-26 육묘판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50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97827A (zh) * 2023-08-11 2023-10-20 新疆农业科学院经济作物研究所(新疆维吾尔自治区棉花研究所新疆维吾尔自治区甜菜改良中心) 一种甜菜选育套帐隔离装置及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5916A (ja) * 2007-09-14 2009-04-02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乗用移植機
JP6196146B2 (ja) * 2013-12-18 2017-09-13 ヤンマー株式会社 田植機
KR102019562B1 (ko) * 2017-11-13 2019-09-06 (주)신풍 육묘판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5916A (ja) * 2007-09-14 2009-04-02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乗用移植機
JP6196146B2 (ja) * 2013-12-18 2017-09-13 ヤンマー株式会社 田植機
KR102019562B1 (ko) * 2017-11-13 2019-09-06 (주)신풍 육묘판 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97827A (zh) * 2023-08-11 2023-10-20 新疆农业科学院经济作物研究所(新疆维吾尔自治区棉花研究所新疆维吾尔自治区甜菜改良中心) 一种甜菜选育套帐隔离装置及使用方法
CN116897827B (zh) * 2023-08-11 2024-05-07 新疆农业科学院经济作物研究所(新疆维吾尔自治区棉花研究所新疆维吾尔自治区甜菜改良中心) 一种甜菜选育套帐隔离装置及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5085B1 (ko) 202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2090B1 (en) Object supporting structure
KR102365085B1 (ko) 육묘판 지지장치
JP3148195U (ja) モニター支持装置
AU2017347381B2 (en) Conveyor belt arrangement of a material processing device
KR102040440B1 (ko) 육묘상자 이송 컨베이어용 고정 및 이동장치
CN102486256A (zh) 平板电视机挂架
WO2016128765A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load
KR20220039177A (ko) 폴딩 가능한 육묘판 지지장치
KR102019562B1 (ko) 육묘판 공급장치
WO2012063510A1 (ja) 組立図板装置
JP2009160007A (ja) ミシン台
US20130283583A1 (en) Turbine extension nut support tool
US6298998B1 (en) Supportive pin rack for green tire storage
CN113479561A (zh) 一种链条输送装置、输送模组及输送线
CA2276896C (en) Supportive pin rack for green tire storage
US5135118A (en) Jib hold rod securing device for cranes
BR112018015183B1 (pt) Elemento de trabalho de uma máquina agrícola tendo um sistema para ajustar a pressão para baixo
KR101902827B1 (ko) 모니터용 지지 브래킷
KR20200001985U (ko) 포장장치용 필름 폭 조정장치
KR20230081468A (ko) 육묘상자 적재장치
JP5381398B2 (ja) 多条苗移植機
CN204400042U (zh) 用于行李安检设备输送机上的皮带自动调偏装置
JP4331494B2 (ja) 折り畳み脚付陳列台及びその支持構造
JP3396322B2 (ja) 多条田植機
KR20140112973A (ko) 접이식 행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