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1468A - 육묘상자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육묘상자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1468A
KR20230081468A KR1020210169533A KR20210169533A KR20230081468A KR 20230081468 A KR20230081468 A KR 20230081468A KR 1020210169533 A KR1020210169533 A KR 1020210169533A KR 20210169533 A KR20210169533 A KR 20210169533A KR 20230081468 A KR20230081468 A KR 20230081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edling box
support
transfer uni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9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다롱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광원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광원기계 filed Critical 유한회사 광원기계
Priority to KR1020210169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1468A/ko
Publication of KR20230081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14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0Devices for adjusting the seed-box ; Regulation of machines for depositing quantities at interv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individual load-carriers which are pivotally mounted, e.g. for free-swing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co-operating units, e.g. interconnected by piv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11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the articles being stacked by direct action of the feeding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33Position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 B65G2814/0305Adding to the 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파종된 육묘상자를 다층으로 적재할 수 있는 육묘상자 적재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육묘상자 적재장치는 베이스부, 제1이송부, 제2이송부 그리고 적재 이송부를 포함한다. 베이스부는 서로 이격 배치되어 그 사이에 작동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를 가진다. 제1이송부는 베이스부의 후방에 구비되고, 외부의 육묘상자를 작동공간으로 이송한다. 제2이송부는 베이스부의 전방에 구비되고, 작동공간에서 육묘상자가 나오도록 이송한다. 적재 이송부는 작동공간에 구비되고 제1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육묘상자를 받치는 한 쌍의 받침 유닛과, 받침 유닛에 받쳐진 육묘상자가 제2이송부에 적재되도록 받침 유닛을 이동시키는 이동 유닛을 가진다. 이동 유닛은 작동공간에서 받침 유닛이 상향 이동, 전방 이동, 하향 이동 및 후방 이동을 반복하도록 하고, 제2이송부가 멈춤 상태에서, 받침 유닛은 하향 이동하면서 받치고 있던 육묘상자를 제2이송부에 적재시킨다.

Description

육묘상자 적재장치{APPARATUS FOR LOADING SEEDING BOX}
본 발명은 육묘상자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종된 육묘상자를 다층으로 적재할 수 있는 육묘상자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벼농사에 사용되는 수도용 볍씨 등과 같은 논작물과, 양파나 파 등과 같은 밭작물을 경작하기 위해 조성한 이랑에 종자의 파종과 추비를 간편하고 정확히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파종기를 사용한다.
이러한 파종기는 육묘상자를 투입하여 그 육묘상자 내에 흙과 씨앗을 공급하고, 씨앗이 파종된 육묘상자는 파종기로부터 배출되어 발아장소로 이송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39193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에는 육묘 상자 이송장치가 개시된다.
위 선행기술문헌에서는, 파종기로부터 하나씩 인출되어 적재틀에 공급되는 육묘상자들이 이동제어부에 의해 적재틀에서 일정수량으로 나열되어 정렬된다. 이후, 육묘상자들은 전달이송부에 의해 이송베드로 이동되고, 배출이송부가 이송베드를 당김에 따라 이송틀 상에서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발아실로 이송된다.
이때, 파종기로부터 하나씩 인출되는 육묘상자들은 적재틀 상에서 평면적으로 나열되어 정렬된 상태로 구비되었다가 이송된다.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육묘상자 이송장치에서는, 파종기에서 인출되는 육묘상자가 적재틀에 단층 구조로 정렬된 상태로 이송틀로 이송되어 배출된다. 따라서, 육묘상자를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해서는 육묘상자를 하나하나 옮겨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작업공정이 더디게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적재틀에 육묘상자를 일정 개수 이상 나열하기 위해서는 적재틀을 일정 면적 이상으로 구비해야 하므로 넓은 작업공간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적재틀에 육묘상자가 단층 구조로 구비되므로 적재틀의 넓은 면적에 비해 활용도가 현저하게 떨어져 작업능률 및 생산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39193호(2011.06.03.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파종된 육묘상자를 다층으로 적재할 수 있는 육묘상자 적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서로 이격 배치되어 그 사이에 작동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를 가지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후방에 구비되고, 외부의 육묘상자를 상기 작동공간으로 이송하는 제1이송부; 상기 베이스부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작동공간에서 육묘상자가 나오도록 이송하는 제2이송부; 그리고 상기 작동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제1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육묘상자를 받치는 한 쌍의 받침 유닛과, 상기 받침 유닛에 받쳐진 육묘상자가 상기 제2이송부에 적재되도록 상기 받침 유닛을 이동시키는 이동 유닛을 가지는 적재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작동공간에서 상기 받침 유닛이 상향 이동, 전방 이동, 하향 이동 및 후방 이동을 반복하도록 하고, 상기 제2이송부가 멈춤 상태에서, 상기 받침 유닛은 하향 이동하면서 받치고 있던 육묘상자를 상기 제2이송부에 적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 적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에 각각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1체인을 가지는 제1구동부와, 상기 제1구동부와 동일하게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에 각각 상기 제1구동부보다 상기 작동공간으로 더 돌출되고, 수평방향으로 소정 거리 오프셋(off-set)되어 구비되는 제2기어 및 제2체인을 가지는 제2구동부를 가지며, 상기 받침 유닛은 상기 제1체인 및 상기 제2체인에 상기 제1체인 및 상기 제2체인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 결합되어 상향 이동, 전방 이동, 하향 이동 및 후방 이동을 반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받침 유닛은 육묘상자의 모서리를 받치는 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제2체인에 결합되는 제1결합구와, 상기 받침 플레이트가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부는 상기 받침 플레이트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결합구와 힌지 연결되는 연결구와, 상기 제1체인에 결합되는 제2결합구와, 일단부는 상기 제1결합구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결합구에 힌지 연결되는 연결암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받침 유닛은 상기 연결구에 구비되고, 상기 받침 플레이트가 하향 회전되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연결구에 구비되고, 상기 받침 플레이트가 수평상태보다 더 하측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수직 플레이트에서 상기 제2이송부(300)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걸림구를 가지고, 상기 받침 유닛은 상기 받침 플레이트에 상기 수직 플레이트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받침 유닛이 상기 제2이송부보다 하측으로 하향 이동 시에 상기 걸림구에 가압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하향 회전시키는 돌출편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작동공간에서 상기 제1이송부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제1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육묘상자가 미리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면 감지하는 제1센서부와, 상기 제1센서부가 육묘상자를 감지하면 상기 이동 유닛을 작동시켜 상기 받침 유닛이 상기 제1이송부의 육묘상자를 상향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작동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제2이송부에 적재되는 육묘상자의 높이를 감지하는 제2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센서부가 적재된 육묘상자의 높이가 미리 설정된 높이에 도달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이송부를 작동시켜 상기 적재된 육묘상자가 이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작동공간에서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받침 유닛이 상향 이동되어 미리 설정된 높이에 도달하면 감지하는 제3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센서부가 상기 받침 유닛을 감지하면 상기 이동 유닛의 작동을 중지시키며, 상기 이동 유닛의 작동이 중지되는 시점에 복수 개의 상기 받침 유닛 중 한 쌍의 받침 유닛은 상기 제1센서부에 의해 감지되는 육묘상자의 수직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이송부에 의해 육묘상자가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적재 이송부는 상향 이동, 전방 이동, 하향 이동 및 후방 이동하면서 공급되는 육묘상자를 제2이송부에 다층으로 적재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능률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육묘상자 적재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일측의 수직 플레이트를 생략하고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육묘상자 적재장치의 이동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육묘상자 적재장치의 이동 유닛의 작동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예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육묘상자 적재장치의 작동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육묘상자 적재장치의 받침 유닛의 작동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육묘상자 적재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일측의 수직 플레이트를 생략하고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육묘상자 적재장치는 베이스부(100), 제1이송부(200), 제2이송부(300) 그리고 적재 이송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부(100)는 서로 이격 배치되어 그 사이에 작동공간(120)을 형성하는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110a,110b)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이송부(200)는 베이스부(100)의 후방에 구비되고, 제2이송부(300)는 베이스부(100)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제1이송부(200)는 외부의 육묘상자를 작동공간(120)으로 이송할 수 있고, 제2이송부(300)는 작동공간(120)에서 육묘상자가 나오도록 이송할 수 있다.
적재 이송부(400)는 작동공간(120)에 구비되고 제1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되는 육묘상자를 받치는 한 쌍의 받침 유닛(410)과, 받침 유닛(410)에 받쳐진 육묘상자가 제2이송부(300)에 적재되도록 받침 유닛(410)을 이동시키는 이동 유닛(450)을 가질 수 있다.
이동 유닛(450)은 작동공간(120)에서 받침 유닛(410)이 상향 이동, 전방 이동, 하향 이동 및 후방 이동을 반복하도록 할 수 있다. 제2이송부(300)가 멈춤 상태에서, 받침 유닛(410)은 하향 이동하면서 받치고 있던 육묘상자를 제2이송부(300)에 적재시킬 수 있다.
상세히, 베이스부(100)는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110a,110b)를 가질 수 있다. 수직 플레이트(110a,110b)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그 사이에 작동공간(120)을 형성할 수 있다. 수직 플레이트(110a,110b)는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연결 프레임(130)을 가질 수 있으며, 연결 프레임(130)은 서로 이격된 수직 플레이트(110a,110b)를 연결하여 수직 플레이트(110a,110b)가 견고하고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육묘상자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전단/전단부/전방, 후단/후단부/후방으로 설명한다. 즉, 육묘상자가 제1지점에서 제2지점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1지점을 후단/후단부/후방, 제2지점을 전단/전단부/전방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에 따르면, 육묘상자는 베이스부(100)의 후방에서 작동공간(120)으로 이송되고, 다층으로 적재된 후, 베이스부(100)의 전방으로 이송된다.
제1이송부(200)는 베이스부(100)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제1이송부(200)는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롤러(210)와, 제1롤러(210)에 결합되어 육묘상자를 베이스부(100)의 작동공간(120)으로 이송하는 벨트(220)와, 제1롤러(210)가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동력발생부(230, 도 5 참조)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롤러(210) 및 벨트(220)는 프레임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2이송부(300)는 베이스부(100)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제2이송부(300)는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적재된 육묘상자를 베이스부(100)의 전방으로 이송하는 복수 개의 제2롤러(310)와, 제2롤러(310)가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동력발생부(320, 도 5 참조)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롤러(310)도 프레임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1이송부(200) 및 제2이송부(300)로는 롤러 또는 벨트를 이용한 통상의 이송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적재 이송부(400)는 작동공간(120)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받침 유닛(410) 및 이동 유닛(450)을 가질 수 있다.
먼저, 이동 유닛(450)은 제1구동부(460) 및 제2구동부(470)를 가질 수 있다.
제1구동부(460)는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기어(461a,461b,461c,461d)와, 제1기어(461a,461b,461c,461d)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1체인(462)과, 제1기어(461a,461b,461c,461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1기어가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3동력발생부(463, 도 5 참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직 플레이트(110a)에서 상측에 구비되는 제1기어(461a,461b)는 동일한 수평선상에 구비될 수 있고, 수직 플레이트(110a)에서 하측에 구비되는 제1기어(461c,461d)도 동일한 수평선상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를 기준으로 좌측에 구비되는 제1기어(461a,461c)는 동일한 수직선상에 구비될 수 있고, 우측에 구비되는 제1기어(461b,461d)도 동일한 수직선상에 구비될 수 있다.
제2구동부(470)는 제1구동부(460)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구동부(470)는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기어(471a,471b,471c,471d)와, 제2기어(471a,471b,471c,471d)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2체인(472)과, 제2기어(471a,471b,471c,471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2기어가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4동력발생부(473, 도 5 참조)를 가질 수 있다.
제2구동부(470)에서도, 수직 플레이트(110a)에서 상측에 구비되는 제2기어(471a,471b)는 동일한 수평선상에 구비될 수 있고, 수직 플레이트(110a)에서 하측에 구비되는 제2기어(471c,471d)는 동일한 수평선상에 구비될ㄹ 수 있다. 그리고, 도 2를 기준으로 좌측에 구비되는 제2기어(471a,471c)는 동일한 수직선상에 구비될 수 있고, 우측에 구비되는 제2기어(471b,471d)도 동일한 수직선상에 구비될 수 있다.
제2체인(472)은 복수 개의 제2기어(471a,471b,471c,471d)에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다만, 제2구동부(470)는 제1구동부(460)보다 작동공간(120)으로 더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구동부(470)는 제1구동부(460)보다 수평방향으로 소정 거리 오프셋(off-set)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1기어(461a,461b,461c,461d) 및 제2기어(471a,471b,471c,471d)는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제1체인(462) 및 제2체인(472)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기어(471a,471b,471c,471d)는 제1기어(461a,461b,461c,461d)보다 돌출 형성되어 서로 다른 수직 평면상에 구비되기 때문에, 제1체인(462) 및 제2체인(472)은 서로 방해 받지 않으면서 회전될 수 있다.
제1체인(462) 및 제2체인(472)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도 2를 참조했을 때, 제1체인(462) 및 제2체인(472)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구동부(460) 및 제2구동부(470)는 수직 플레이트(110a,110b)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수직 플레이트(110a,110b)에 구비되는 제1구동부(460) 및 제2구동부(470)는 작동공간(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받침 유닛(410)은 제1체인(462) 및 제2체인(472)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받침 유닛(410)은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되어 육묘상자의 하부 양측 모서리를 지지하여 육묘상자를 받칠 수 있다(도 10 참조).
받침 유닛(410)은 제1체인(462) 및 제2체인(472)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동시에 여러 개의 육묘상자를 이송할 수 있다. 받침 유닛(410)은 제1체인(462) 및 제2체인(472)에 결합되어 상향 이동, 전방 이동, 하향 이동 및 후방 이동을 반복할 수 있다.
도 2에는 받침 유닛(410)이 2개인 것으로 도시되었는데, 받침 유닛(410)의 개수는 특정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에서는 편의상, 받침 유닛(410)의 개수가 4개인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육묘상자 적재장치의 이동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육묘상자 적재장치의 이동 유닛의 작동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받침 유닛(410)은 받침 플레이트(411), 제1결합구(421), 연결구(431), 제2결합구(423) 및 연결암(424)을 가질 수 있다.
받침 플레이트(411)는 육묘상자의 모서리를 받칠 수 있다. 받침 플레이트(4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결구(431)는 일단부가 받침 플레이트(411)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구(431)에는 제1통공(433)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받침 플레이트(411)의 하부에는 한 쌍의 연장구(412)가 형성될 수 있고, 연장구(412)에는 제2통공(41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통공(433) 및 제2통공(413)에는 제1힌지축(436)이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연결구(431)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받침 플레이트(411)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제1결합구(421)는 제2체인(472)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2체인(472)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제1결합구(421)는 제2힌지축(422)에 의해 연결구(431)와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구(431)가 수평 상태가 유지되면서 제1결합구(421)는 회전될 수 있다.
제2결합구(423)는 제1체인(462)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1체인(462)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연결암(424)의 일단부는 제3힌지축(425)에 의해 제1결합구(421)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암(424)의 타단부는 제4힌지축(426)에 의해 제2결합구(423)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체인(462) 및 제2체인(472)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제1결합구(421) 및 제2결합구(423)가 연결암(424)에 의해 힌지 연결됨에 따라, 제1체인(462) 및 제2체인(472)이 이동 시에 연결구(431) 및 받침 플레이트(411)는 수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받침 플레이트(411)는 제1체인(462) 및 제2체인(472)과 함께 상향 이동(10)하다가(도 4의 (a) 참조), 도 4의 (b) 및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동방향이 바뀌면서 전방 이동(11)하게 되는 경우에, 제1결합구(421)는 제3힌지축(425)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2결합구(423)는 제4힌지축(426)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므로, 받침 플레이트(411)는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도 4의 (d) 및 (e)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동방향이 바뀌면서 하향 이동(12)하게 되는 경우에도, 제1결합구(421)는 제3힌지축(425)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2결합구(423)는 제4힌지축(426)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므로, 받침 플레이트(411)는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받침 플레이트(411)는 후방 이동(13) 시에도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받침 유닛(410)은 탄성부재(435) 및 지지구(432)를 가질 수 있다.
탄성부재(435)는 제1힌지축(436)에 결합될 수 있으며, 받침 플레이트(411)가 하향 회전되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지지구(432)는 연결구(431)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받침 플레이트(411)의 하부를 지지하여, 받침 플레이트(411)가 하향으로 회전 이동 시에, 수평상태보다 더 하측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받침 플레이트(411)는 다른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탄성부재(43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수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다가 탄성부재(435)의 탄성 복원력보다 큰 외력이 가해지면 탄성 복원력의 반대 방향으로 가해지면 받침 플레이트(411)는 상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가해지던 외력이 없어지면 탄성부재(43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하향 회전되고 지지구(432)에 의해 회전이 구속되어 수평한 상태로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받침 플레이트(411)는 육묘상자의 하부를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게 된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육묘상자 적재장치의 작동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육묘상자 적재장치는 제1센서부(510), 제2센서부(520), 제3센서부(53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베이스부(100)는 작동공간(120, 도 1 참조)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설치구(140)를 가질 수 있다. 설치구(140)는 제1이송부(200) 및 제2이송부(30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제1센서부(510)는 설치구(140)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되는 육묘상자(20)에 대응되는 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센서부(510)는 제1이송부(200)의 전방에 위치되어 제1이송부(200)에서 이송되는 육묘상자(20)를 감지할 수 있다. 제1센서부(510)는 제1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되는 육묘상자(20)가 미리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면 육묘상자(20)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제1센서부(510)가 미리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는 육묘상자(20)를 감지하면 제1롤러(210)가 구동되지 않도록 제1동력발생부(2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동시에, 제어부(600)는 제1센서부(510)가 육묘상자(20)를 감지하면, 제3동력발생부(463) 및 제4동력발생부(473)를 제어하여 이동 유닛(450)을 작동시킴으로써 받침 유닛이 제1이송부(200)의 육묘상자(20)를 상향 이동(10)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3센서부(530)는 작동공간(120)에 구비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110a,11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직 플레이트의 후방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3센서부(530)는 육묘상자(20)를 받친 상태에서 상향 이동(10)하는 받침 플레이트가 미리 설정된 높이에 도달하면 받침 플레이트를 감지할 수 있다.
즉,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3센서부(530)가 받침 플레이트(411a)를 감지하면, 제어부(600)는 이동 유닛(450)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이동 유닛(450)의 작동이 중지되는 시점에 복수 개의 받침 유닛 중 한 쌍의 받침 유닛은 제1센서부(510)에 의해 감지되는 육묘상자의 수직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제1이송부(200)의 육묘상자(20)가 받침 플레이트(411a)에 의해 받쳐져 상향 이동(10)되면, 전방의 받침 플레이트(411d)는 후방 이동(13)하여 제1이송부(200)의 전방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1이송부(200)에 의해 새로운 육묘상자(20a)가 이송되고, 새로운 육묘상자(20a)가 제1센서부(510)에 의해 감지되면, 제어부(600)는 다시 이동 유닛(450)을 작동시켜 받침 플레이트(411d)가 새로운 육묘상자(20a)를 바쳐 상향 이동(10)되도록 할 수 있다(도 7 참조).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 제1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되는 또 다른 육묘상자(20b)는 전방에서 후방 이동(13)한 또 다른 받침 플레이트(411c)에 의해 받쳐져서 상향 이동(10)될 수 있고, 전방 상측에서 하향 이동(12)하는 받침 플레이트(411a)에 받쳐진 육묘상자(20)는 제2이송부(300)에 놓일 수 있다(도 8 참조).
그리고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면, 제2이송부(300)에는 복수개의 육묘상자(20,20a,20b,20c,20d,20e,20f)가 적재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인력을 이용하지 않고도 육묘상자를 다층으로 적재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능률이 향상될 수 있다.
제2센서부(520)는 설치구(140)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이송부(300)에 적재되는 육묘상자(20,20a,20b,20c,20d,20e,20f)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다.
제2센서부(520)가 적재된 육묘상자의 높이가 미리 설정된 높이에 도달한 것을 감지하면, 제어부(600)는 제2이송부(300)를 작동시켜 적재된 육묘상자가 이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센서부(520)의 높이는 조절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적재되는 육묘상자의 개수도 조절될 수 있다(도 9 참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육묘상자 적재장치의 받침 유닛의 작동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받침 유닛(410)은 돌출편(414)을 가질 수 있다.
돌출편(414)은 받침 플레이트(411)에 수직 플레이트(110a,110b)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100)는 수직 플레이트(110a,110b)의 하부에서 제2이송부(300)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걸림구(111)를 가질 수 있다.
도 10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받침 플레이트(411)가 하향 이동(12)하면 받침 플레이트(411)에 받쳐진 육묘상자(20)는 제2이송부(300)에 적재되어 있는 육묘상자(20b)에 적재될 수 있다.
그리고, 받침 플레이트(411)의 하향 이동(12)이 계속되면, 받침 플레이트(411)는 하측의 육묘상자(20b)의 측면에 의해 가압되게 되어, 제1힌지축(436)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받침 플레이트(411)는 안정적으로 하향 이동(12)이 계속될 수 있다(도 10의 (b) 참조).
그러다가, 받침 플레이트(411)가 제2이송부(300)보다 더 하측으로 하향 이동(12)되면 받침 플레이트(411)에 가해지던 외력이 없어지게 되고, 탄성부재(43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회전되어 다시 수평한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도 10의 (c) 참조).
받침 플레이트(411)가 하향 이동(12)시에 돌출편(414)은 걸림구(111)에 가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받침 플레이트(411)가 내측으로 하향 회전되도록 도울 수 있다. 탄성부재(435)가 정상 작동되는 경우에는, 돌출편(414) 및 걸림구(111)에 의한 효과가 없이도 받침 플레이트(411)는 안정적으로 하향 회전될 수 있지만, 만일 탄성부재(435)가 고장이 나는 경우라도, 돌출편(414) 및 걸림구(111)에 의해 받침 플레이트(411)는 하향 회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20a,20b,20c,20d,20e,20f,20g,20h,20i: 육묘상자
100: 베이스부 110a,110b: 수직 플레이트
120: 작동공간 200: 제1이송부
300: 제2이송부 400: 적재 이송부
410: 받침 유닛
411,411a,411b,411c,411d: 받침 플레이트
414: 돌출편 421: 제1결합구
423: 제2결합구 424: 연결암
431: 연결구 435: 탄성부재
450: 이동 유닛 460: 제1구동부
461a,461b,461c,461d: 제1기어 462: 제1체인
470: 제2구동부 471a,471b,471c,471d: 제2기어
472: 제2체인 510: 제1센서부
520: 제2센서부 530: 제3센서부
600: 제어부

Claims (8)

  1. 서로 이격 배치되어 그 사이에 작동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를 가지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후방에 구비되고, 외부의 육묘상자를 상기 작동공간으로 이송하는 제1이송부;
    상기 베이스부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작동공간에서 육묘상자가 나오도록 이송하는 제2이송부; 그리고
    상기 작동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제1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육묘상자를 받치는 한 쌍의 받침 유닛과, 상기 받침 유닛에 받쳐진 육묘상자가 상기 제2이송부에 적재되도록 상기 받침 유닛을 이동시키는 이동 유닛을 가지는 적재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작동공간에서 상기 받침 유닛이 상향 이동, 전방 이동, 하향 이동 및 후방 이동을 반복하도록 하고,
    상기 제2이송부가 멈춤 상태에서, 상기 받침 유닛은 하향 이동하면서 받치고 있던 육묘상자를 상기 제2이송부에 적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 적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에 각각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1체인을 가지는 제1구동부와,
    상기 제1구동부와 동일하게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에 각각 상기 제1구동부보다 상기 작동공간으로 더 돌출되고, 수평방향으로 소정 거리 오프셋(off-set)되어 구비되는 제2기어 및 제2체인을 가지는 제2구동부를 가지며,
    상기 받침 유닛은 상기 제1체인 및 상기 제2체인에 상기 제1체인 및 상기 제2체인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 결합되어 상향 이동, 전방 이동, 하향 이동 및 후방 이동을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 적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유닛은
    육묘상자의 모서리를 받치는 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제2체인에 결합되는 제1결합구와,
    상기 받침 플레이트가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부는 상기 받침 플레이트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결합구와 힌지 연결되는 연결구와,
    상기 제1체인에 결합되는 제2결합구와,
    일단부는 상기 제1결합구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결합구에 힌지 연결되는 연결암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 적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유닛은
    상기 연결구에 구비되고, 상기 받침 플레이트가 하향 회전되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연결구에 구비되고, 상기 받침 플레이트가 수평상태보다 더 하측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 적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수직 플레이트에서 상기 제2이송부(300)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걸림구를 가지고,
    상기 받침 유닛은
    상기 받침 플레이트에 상기 수직 플레이트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받침 유닛이 상기 제2이송부보다 하측으로 하향 이동 시에 상기 걸림구에 가압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하향 회전시키는 돌출편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 적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공간에서 상기 제1이송부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제1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육묘상자가 미리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면 감지하는 제1센서부와,
    상기 제1센서부가 육묘상자를 감지하면 상기 이동 유닛을 작동시켜 상기 받침 유닛이 상기 제1이송부의 육묘상자를 상향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 적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제2이송부에 적재되는 육묘상자의 높이를 감지하는 제2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센서부가 적재된 육묘상자의 높이가 미리 설정된 높이에 도달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이송부를 작동시켜 상기 적재된 육묘상자가 이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 적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공간에서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받침 유닛이 상향 이동되어 미리 설정된 높이에 도달하면 감지하는 제3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센서부가 상기 받침 유닛을 감지하면 상기 이동 유닛의 작동을 중지시키며,
    상기 이동 유닛의 작동이 중지되는 시점에 복수 개의 상기 받침 유닛 중 한 쌍의 받침 유닛은 상기 제1센서부에 의해 감지되는 육묘상자의 수직 하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 적재장치.
KR1020210169533A 2021-11-30 2021-11-30 육묘상자 적재장치 KR202300814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533A KR20230081468A (ko) 2021-11-30 2021-11-30 육묘상자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533A KR20230081468A (ko) 2021-11-30 2021-11-30 육묘상자 적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468A true KR20230081468A (ko) 2023-06-07

Family

ID=86760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533A KR20230081468A (ko) 2021-11-30 2021-11-30 육묘상자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146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193B1 (ko) 2009-12-09 2011-06-0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육묘 상자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193B1 (ko) 2009-12-09 2011-06-0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육묘 상자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835B1 (ko)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
KR101928244B1 (ko) 적층 공급된 육묘상자의 정렬 및 상승장치
KR101740876B1 (ko) 육묘상자 적층장치
KR101796901B1 (ko) 육묘상자 적층이송장치
KR102351359B1 (ko) 육묘상자 이송장치
KR101443433B1 (ko) 육묘공정 자동화 설비 시스템
KR101868578B1 (ko) 육묘 파종기용 배출모판 적층장치
KR20100135057A (ko) 농산물 이송용 이동식 컨베이어
KR20160137923A (ko) 육묘상자 적재장치
CH688280A5 (it) Stazione di distribuzione di prodotti.
KR102471050B1 (ko) 다수개의 육묘상자공급기가 구비되는 육묘상자 공급용 컨베이어
KR20230081468A (ko) 육묘상자 적재장치
KR101244121B1 (ko) 이송베드의 이송방향 전환장치
KR102132839B1 (ko) 육묘상자 적재장치
KR101809415B1 (ko) 육묘상자 적층장치용 승강구
KR101817909B1 (ko) 육묘상자 적층이송장치
KR102471053B1 (ko) 다수의 육묘상자공급기를 갖는 육묘상자 공급용 컨베이어의 육묘상자 공급 공정
KR101902148B1 (ko) 육묘상자 스토퍼를 갖는 육묘상자 적층이송장치
KR102365085B1 (ko) 육묘판 지지장치
KR101698297B1 (ko) 육묘상자 적재장치
KR20220034399A (ko) 모판픽업유닛을 갖춘 모판 이송 시스템
KR102243908B1 (ko) 육묘상자 강제 이송장치
KR20220039177A (ko) 폴딩 가능한 육묘판 지지장치
KR20180057430A (ko) 회전 적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 적재 장치
KR101592833B1 (ko) 가변형 컨베이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