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6852A - 무선 인터넷망(lte)를 이용한 실시간 통합 차량관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인터넷망(lte)를 이용한 실시간 통합 차량관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6852A
KR20210106852A KR1020200021906A KR20200021906A KR20210106852A KR 20210106852 A KR20210106852 A KR 20210106852A KR 1020200021906 A KR1020200021906 A KR 1020200021906A KR 20200021906 A KR20200021906 A KR 20200021906A KR 20210106852 A KR20210106852 A KR 20210106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ehicle
terminal
driving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호철
Original Assignee
박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호철 filed Critical 박호철
Priority to KR1020200021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6852A/ko
Publication of KR20210106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8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7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input to the navigation device is provided by a suitable I/O arrangement
    • G08G1/09688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input to the navigation device is provided by a suitable I/O arrangement where input information is obtained using a mobile device, e.g. a mobile phone, a PD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OBD-II 모듈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차량운행 정보 수집장치를 동작시켜 차량 운행정보, 차량단말 및 차량 운행이력을 수집하고 외부 서버에서 수집된 차량 운행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실시간 통합 차량관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 운행에 필요한 운행정보를 수집하여 무선통신망을통해 하기 통합 관제시스템으로 전달하는 단말기와, OBD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차량 주행정보를 수집하여 단거리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OBD 전송기와, 상기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운행정보를 수신하여 단말기별로 저장하고 각 차량의 운행현황을 모니터링하여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통합 관제시스템을 포함하는데 있다.

Description

무선 인터넷망(LTE)를 이용한 실시간 통합 차량관제 시스템 및 방법{Real-time integrated vehicles management system using wireless Internet network(LE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관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운행일지에 기록할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추후 사용자에게 운행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실시간 통합 차량관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은 그 성능과 외관에 있어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으며, 점차 다양한 연료를 사용하는 차세대 차량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차량의 진화에 더불어 차량에 적용되는 각종 기계 장치들과 전자 장치들을 관리하고통제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과, 이러한 시스템에 연동되어 차량 내부의 결함을 감지하는 시스템(On-BoardDiagnostics, 이하 OBD라 칭함) 역시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그리고 차량은 이러한 각종 시스템들과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들이 결합 되어 출시되고 있으며, 더불어 무선 통신 기능을 부가하여 원격 관리가 가능한 텔레매틱스 시스템의 적용도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 내 시스템은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으나, 아직 대다수의 차량은 경고 램프(Malfunction IndicatorLamp)를 통해 차량의 이상 중 일부 내용을 파악하는 수준이고, 전문적 지식이 있어야 차량의 소리나 주행 상황등을 통해 차량의 이상을 파악하고 있다.
따라서 심각한 이상이 발생한 이후에야 차량을 정비하게 되므로 차량의 문제점을 적시에 파악하지 못하게 되는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비록 이상의 발생을 인지하였다 하더라도 이를 무시하고 운행할 경우 차량의 이상을심화시킬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정확히 어떠한 부분에서 어떠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는지는 정비소를 방문해야만 확인이 가능하여 차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하고있을 뿐만 아니라 정비소의 판단을 신뢰하지 못하여 다툼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게 된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차량에는 OBD 시스템이 장착되고 있어 전용 차량 진단기를 이용할 경우 표준화된 자동차부품명과 결함코드 번호체계를 이용하여 정확한 결함 부품과 결합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OBD시스템의 인터페이스(16핀 표준 데이터 연결 커넥터)를 통해 산소 센서, 배기가스 재순화 밸브, 연료탱크 압력센서, 캠샤프트 포지션 센서를 비롯하여 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도어 개폐 센서, 급정차 감지 센서 등과 같은다양한 센서들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센서가 적용된 차량이라 할지라도 실제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는 단순히 상기 센서들에 의해 파악된 측정치의 이상에 따른 경고램프 점등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실제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정비소에서 차량을 실제 운전하면서 전용 차량 진단기를 이용하여 구체적인 원인을 파악하는 복잡한 과정이 필요 하며,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더라도 실제 운전 중의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OBD 시스템을 실제 운전자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실제 주행 중의 이상에 대처하고 차량의 이상여부를 효과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 OBD 시스템의 인터페이스에 장착되어 표준 결함코드 번호체계에 따라 차량의 운행정보를 파악하여 이를 운전자에게 알기 쉽게 제공해 주거나 이상 발생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모니터링 장치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모니터링 장치는 기본적인 주행 정보를 제공하고 이상 여부를 알려주는 기능 외에도 차계부에 해당하는 기능도 제공하여 차량 관리의 편의성도 높이고 있다.
도 1 은 종래의 모니터링 장치(20)를 나타낸 블록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적 통신 환경 변화에 강하고 통신속도가 빠르며 가격이 저렴한 블루투스 모듈을 적용한 모니터링 장치로서, 블루투스 동글을 적용한 차량 진단및 관리 수단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러한 모니터링 장치(20)는 OBD 시스템(10)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21)와,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23),무선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모듈(24)과 안테나(25) 및 상기 인터페이스(21)를 통해 OBD 시스템(10)과 통신하여이상 여부나 현재 운행 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메모리(23)에 저장하고, 이상 상태를 파악하며, 운행 정보와 이상 상태 정보를 블루투스 모듈(24)을 통해 전송하는 제어부(22)로 이루어진다.
부가적으로 백업 배터리나 백업 메모리 등을 더 구비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도시된 구성을 가지게 되며, 이를 통해 차량의 운행 정보를 저장하여 마치 차량용 블랙박스처럼 사용되기도 하고, 차량의 이상 상태를 블루투스 모듈(24)을 통해 인접한 블루투스 디바이스(내비게이션 장치, 블루투스 지원 이동통신 단말기, PDA, PMP등)에 이상 상태를 직접 알려주기도 하며,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핫스팟에 진입할 경우 각종 운행정보 등을 원격지 서버에 전송하기도 한다.
도 2 는 종래의 차량 모니터링 장치(20)와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40)를 이용한 핫스팟(45)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로, 차량이 주기적으로 방문하는 관공서, 대형 쇼핑몰, 주유소, 주거 밀집지역 등에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40)를 설치하여 핫스팟(45)을 설정한 후, OBD 시스템(10)과 모니터링 장치(20)를 구비한 차량(30)이 해당 지역에 진입하면 차량의 운행정보를 액세스 포인트(40)를 통해 통신망(50)에 구성된 원격지 서버(60)에 제공하는것이 기본적인 구조 및 동작 방식이다.
이때, 도 2의 구성에 따라서는 해당 정보를 핫스팟에 구성된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운전자가 자신의 차량 상태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으며, 해당 핫스팟의 운영자가 차량의 상태를 인쇄하여 제공해 줄 수도 있으며, 운전자 스스로 상기 서버(60)에 접속하여 차량의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다.
물론,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차량 모니터링 장치(20)를 구성할 수도 있고, 지그비(Zigbee)나 초광대역(UWB) 통신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전원이 충분한 차량의 경우 블루투스나 와이파이를 이용하는 것이일반적이다. 하지만, 사용자에게 직접 정보를 제공해 줄 필요가 있기 때문에 보다 범용성이 높은 블루투스 통신이 적합하여 대부분의 차량 모니터링 장치(20)는 블루투스 방식을 이용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신의 경우 원격지 통신을 위해서 핫스팟에 진입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어차량의 상태를 주행 중에 확인하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
또한, 차량의 운행 상태에 따른 문제점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수단이 필요하게되는데, 해당 수단이 블루투스를 지원한다 할지라도 블루투스 장치들 간 표준이 정립되어 있지 않아 호환성이낮은 문제점이 있다. 즉, 주로 블루투스 헤드셋 이용을 위해 블루투스 통신 모듈이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경우 비록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모니터링 장치가 차량 이상을 알리는 정보를 제공한다 할지라도 이를정확하게 표현하도록 하기 어렵다. 이는 간단히 생각해 보더라도 이동통신 단말기마다화면 구성과 크기가 상이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마다 블루투스 통신의 개시 조건이 상이하며, 블루투스 통신에 의해 제공된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도 상이하기 때문에 직접적인 블루투스 통신 방식에 의한 표시 디바이스 원격 제어는 호환성이 극히 낮을 수밖에 없다.
결과적으로, 직접적인 블루투스 접속을 통한 차량 운행 정보의 전달을 위해서는 전용 표시 디바이스를 별도로구매하여 차량에 장착하거나, 특정한 프로그램을 범용 단말기(PDA, PMP 등)에 설치하거나, 지원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등의 다양한 제한조건이 발생하기 때문에 차량 운행상태를 수신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 규격이 표준화되어 모든 블루투스 지원 단말기에 적용되기 전까지 호환성에 대한 문제는 끊임없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핫스팟이 필요하지 않은 통신 방식을 적용해야 하는데, 이동통신 모듈을 적용하거나 와이 브로 모듈을 적용할 경우 서비스는 가능하지만 해당 서비스 이용을 위해 모니터링 장치를 통신사에 등록하는 번거로움을 감수해야만 한다.
그 외에도, 차량 운행정보를 원격지 서버에서 취합하기 위해서는 핫스팟을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핫스팟을 구성하여 운영하기 위한 운영자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서 해당 운영자가 이러한 핫스팟을 운영하여 얻을 수 있는이익이 전제된 사업 모델이 필요하게 되므로 핫스팟의 설치가 제한되며 서비스 이용자들의 경우 서비스 이용을위해 핫스팟 운영자에 대해 직간접적인 이득을 줄 수밖에 없어 서비스 호응도나 활용성이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OBD-II 모듈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차량운행 정보 수집장치를 동작시켜 차량 운행정보, 차량단말 및 차량 운행이력을 수집하고외부 서버에서 수집된 차량 운행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실시간 통합 차량관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통합 차량관제 시스템의 특징은 차량 운행에 필요한운행정보를 수집하여 무선통신망을 통해 하기 통합 관제시스템으로 전달하는 단말기와, OBD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차량 주행정보를 수집하여 단거리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OBD 전송기와, 상기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운행정보를 수신하여 단말기별로 저장하고 각 차량의 운행현황을 모니터링하여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통합 관제시스템을 포함하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OBD 전송기는 주행 중인 차량의 브레이크, 엑셀레이터, 속도, RPM 정보를 포함하는 주행정보를차량에서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처리하는 주행정보 처리부와, 상기 주행정보 처리부에서 처리된 주행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외부 통신부와, 차량의 추적을 위해 GPS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좌표 및 표고차 등을 기반으로현재 위치를 추적하여 검출하는 GPS 모듈과, 상기 OBD 전송기에서 외부 통신부를 이용하여 주행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안전한 전송 및 혹시 모를 전송 지연에 대비한 백업을 위하여 운행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차량에서 OBD 전송기로 전원을 제공받지 못하거나 혹시 모른 전원 단선에 대비하여OBD 전송기로 보조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와, OBD 전송기 내부의 전류값, 신호전송 여부를 측정하여 고장 여부를 확인하는 고장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 통신부는 OBD 전송기와 단말기가 정상적으로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주행정보 처리부에서 처리된 주행정보를 통합 관제시스템으로 바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말기는 차량이 멈추었을 때 차량 내외부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처리부와, 상기 OBD 전송기에서 수신된 현재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위치를 초단위로 검출하여 저장하여 위치추적 처리부와, 상기OBD 전송기에서 수신된 차량의 주행정보와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를 이용해 차량이 얼마동안 멈추었는지를 산출하는 대기시간 처리부와, 상기 카메라 처리부에서 촬영된 영상과 대기시간 처리부에서 산출된 대기시간과 함께,OBD 전송기에서 수신된 차량 주행정보 및 위치 정보를 통합적으로 취합하여 차량 고유의 주행일지를 생성하는주행일지 생성부와, 상기 OBD 전송기 및 통합 관제시스템으로부터 긴급한 내용이나 공지사항이 수신되면,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메신저 생성부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지도를 현재 차량 위치와 매칭시켜 운전자가 어디에 있는지 어떤 길로 가야될 지를 알려주는 내비게이션 처리부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운행 정보를 통합 관제시스템으로 전송하고, 또한 상기 OBD 전송기와 통신을 처리하는 제 2 외부 통신부와, 단말기내부의 전류값, 신호전송 여부를 측정하여 고장 여부를 확인하는 고장 처리부와, 상기 OBD 전송기에서 수신받은주행정보, 위치정보 및 이를 기반으로 검출된 지역 날씨 계절(메타 데이터)을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여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합관제 시스템은 인터넷 접속된 단말기에 웹사이트를 통해 요청 차량의 위치, 주행정보, 주행일지, 지역 날씨 계절을 포함하는 차량 운행정보를 제공하는 웹사이트 처리부와, 상기 단말기에서 수신된 주행일지 정보를 통합하여 사용자가 쉽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별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주행일지 처리부와, 상기 단말기 및 지역 날씨 계절의 데이터 백업을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단말기 및 OBD 전송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을 처리하는 제 3 외부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통합 차량관제 방법의 특징은 (A) 단말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해 OBD 수신기에서 수집된 운행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B) 상기 단말기는 수집되는 운행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이 운행 중 멈춘 경우, 차량의 내외부 중 적어도 하나의영상을 촬영하고, 차량이 멈추고 있는 대기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와, (C) 상기 단말기는 차량이 운행 중인 경우, 수신된 현재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위치를 초단위로 검출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D) 상기 단말기에서수신된 차량 주행정보, 촬영영상, 대기시간 및 위치 정보를 통합적으로 취합하여 차량 고유의 주행일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주행일지와 함께 운행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통합 관제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E) 상기통합 관제시스템에서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주행일지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별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 후, 데이터베이스화된 차량별 통합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F) 상기 통합 관제시스템에서 저장된 통합 정보를 자신의 웹사이트를 통해 공개하여,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된 회원에게 선별적으로 저장된 통합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D) 단계에서 생성되는 주행일지는 각 정보를 서로 결합 및 편집하여 하나의 파일로 생성하는것이 아닌 시간별로 각각의 정보를 하나로 단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E) 단계는 상기 수신된 주행일지 정보에 통합적으로 취합되어 있는 차량 주행정보, 촬영영상,대기시간 및 위치 정보를 시간별로 서로 나열하여 동일 시간대별로 정보를 서로 결합하여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F) 단계는 시간대별로, 지역별로, 위치별로 주행정보, 촬영영상, 대기시간 및 위치 정보를선택적으로 분류하고, 이를 다시 지도보기를 통해 보다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F) 단계는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주행위치 추적정보, 1일간의 전체차량 운행기록 및 블랙박스영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회원 가입된 사용자가 단말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를 통해, 저장된 통합 정보의 확인하기를 요청한 경우, 무선통신망을 통해 단말기로 통합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단말기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통해 통합 관제시스템에서 수신된 통합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합 관제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요청이 없는 경우에도 긴급한 내용이나 공지사항이 있는 경우,회원 가입된 사용자의 단말기로 무선통신망을 통해 메신저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통합 차량관제 시스템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원격지 서버에 직접 차량 운행 정보나 위급정보를 제공하고, 추후 운전자의 단말기를 통해 운행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운전자는 장소나 디바이스 호환성에 구애받지 않고서도 자신의 차량 운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효과가 있다.
둘째, 운전자는 차량 운행정보를 일일이 수기로 작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운전자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효과가있다.
셋째, 운전자가 수기로 작성한 차량 운행정보를 일일이 서버에 입력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차량 운행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이용하여 운행이력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효율적으로 운행이력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따른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모니터링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2 는 종래의 차량 모니터링 장치와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핫스팟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통합 차량관제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4 는 도 3의 OBD-II 전송기의 내부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5 는 도 3의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통합 차량관제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통합 차량관제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과 같이, 실시간 통합 차량관제 시스템은 차량 운행에 필요한 운행정보(영상, 위치, 차량 내부정보 등)를수집하여 무선통신망(3G/4G)을 통해 통합 관제시스템(300)으로 전달하는 단말기(100)와, OBD-II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차량 주행정보를 수집하여 단거리통신망(블루투스)을 통해 상기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OBD-II 전송기(200)와, 상기 단말기(100)에서 전송되는 운행정보(주행정보,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단말기별로 저장하고 각 차량의 운행현황을 모니터링하여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통합 관제시스템(30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OBD-II 전송기(200)는 차량의 내부 네트워크를 물리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SAE J-1962 커넥터를 이용한다. 차량은 동일 커넥터의 Female 커넥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OBD-II 전송기(200)는 차량의 커넥터를 연결하기 위해 Male 커넥터를 채택한다. 또한 OBD-II 전송기(200)는 MCU(마이크로컨트롤러)가 포함되어 있고, MCU내부의 비휘발성 기억 공간(ROM)에 차량 내부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펌웨어가 개발되어 내장된다. 상기 펌웨어는OBD 인터프리터 칩을 이용하여 차량 내부정보를 수집한다.
또한, 상기 MCU는 고속의 처리를 위해 32bit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ARM Cortex M3 Core가 내장되어 있는 STM의STM32F103ZE 제품을 사용한다. 그리고 MCU에서 OBD-II 전송기(200)를 이용해 차량 내부정보를 수집하기 위해OBD 인터프리터 칩을 사용한다. 상기 OBD 인터프리터 칩은 기존 상용제품에 사용하는 제품보다 고성능 처리가가능한 STN1110 제품을 사용한다.
도 4 는 도 3의 OBD-II 전송기의 내부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로서, 상기 OBD-II 전송기(200)는 주행 중인차량의 브레이크, 엑셀레이터, 속도, RPM 정보를 포함하는 주행정보를 차량에서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처리하는주행정보 처리부(210)와, 상기 주행정보 처리부(210)에서 처리된 주행정보를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외부 통신부(220)와, 차량의 추적을 위해 GPS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좌표 및 표고차 등을 기반으로 현재 위치를 추적하여 검출하는 GPS 모듈(230)과, 상기 OBD-II 전송기(200)에서 외부 통신부(220)를 이용하여 주행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안전한 전송 및 혹시 모를 전송 지연에 대비한 백업을 위하여 운행정 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40)와, 차량에서 OBD-II 전송기(200)로 전원을 제공받지 못하거나 혹시 모른 전원 단선에 대비하여 OBD-II 전송기(200)로 보조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250)와, OBD-II 전송기(200) 내부의 전류값,신호전송 여부 등을 측정하여 고장 여부를 확인하는 고장 처리부(26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외부 통신부(220)는 OBD-II 전송기(300)와 단말기(100)가 정상적으로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주행정보 처리부(210)에서 처리된 주행정보를 단말기(100)가 아니라 통합 관제시스템(300)으로 바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240)는 운행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운행정보가 외부 통신부(220)를 이용하여 전송이 완료되면, 메모리 용량을 고려하여 저장되어 있던 운행정보를 삭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는 도 3의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로서, 상기 단말기(100)는 주행이 아니라 관용차의일하는 도중에 머무는 시간처리에서 받아오는 신호를 인식하여 차량이 멈추었을 때 차량 내외부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처리부(110)와, 상기 OBD-II 전송기(00)에서 수신된 현재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위치를 초단위로 검출하여 저장하여 위치추적 처리부(120)와, 상기 OBD-II 전송기(200)에서 수신된 차량의 주행정보와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를 이용해 차량이 몇 초 동안 멈추었는지를 산출하는 대기시간 처리부(130)와, 상기 카메라 처리부(110)에서 촬영된 영상과 대기시간 처리부(130)에서 산출된 대기시간과 함께, OBD-II 전송기(200)에서 수신된 차량 주행정보 및 위치 정보를 통합적으로 취합하여 차량 고유의 주행일지를 생성하는 주행일지 생성부(140)와, 상기 OBD-II 전송기(200) 및 통합 관제시스템(300)으로부터 긴급한 내용이나 공지사항 등이 수신되면,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메신저 생성부(150)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지도를 현재 차량 위치와 매칭시켜 운전자가 어디에 있는지 어떤 길로 가야될 지를 알려주는 내비게이션 처리부(160)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운행정보(주행정보, 위치정보)를 통합 관제시스템(300)으로 전송하고, 또한 상기 OBD-II전송기(200)와 통신을 처리하는 제 2 외부 통신부(170)와, 단말기(100) 내부의 전류값, 신호전송 여부 등을 측정하여 고장 여부를 확인하는 고장 처리부(180)와, 상기 OBD-II 전송기(200)에서 수신받은 주행정보, 위치정보및 이를 기반으로 검출된 지역 날씨 계절(메타 데이터)을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90)로 구성된다.
도 6 은 도 3의 통합관제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로서, 상기 통합관제 시스템(300)은 인터넷 접속된 단말기에 웹사이트를 통해 요청 차량의 위치, 주행정보, 주행일지, 지역 날씨 계정 등을 포함하는 차량 운행정보를 제공하는 웹사이트 처리부(310)와, 상기 단말기(100)에서 수신된 주행일지 정보를 통합하여 사용자가 쉽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별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주행일지 처리부(320)와, 상기 단말기(100) 및 지역 날씨 계절의 데이터 백업을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330)와, 상기 단말기(100) 및 OBD-II 전송기(2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을 처리하는 제 3 외부 통신부(340)로 구성된다.
이때, 웹사이트 처리부(310)는 정보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들에게 어플리케이션, 관리 프로그램 등이 필요 없이바로 인터넷만이 가능한 단말기로 차량 운행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지역 날씨 계절은 현재 차량의 GPS정보를 이용해 지역 날씨 계절 등을 파악해 검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통합 차량관제 시스템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6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부재를 지칭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통합 차량관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단말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단말기(100)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해OBD-II 수신기(200)에서 수집된 운행정보를 수신한다(S10). 이때, OBD-II 수신기(200)에서 수집되는 운행정보는주행 중인 차량의 브레이크, 엑셀레이터, 속도, RPM 정보를 포함하는 주행정보 및 GPS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좌표 및 표고차 등을 기반으로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이어, 단말기(100)는 OBD-II 수신기(200)에서 수집되는 운행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이 운행 중 멈춘 경우(S30),카메라 처리부(110)를 이용하여 차량의 내외부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촬영하고(S30), 또한 차량이 멈추고 있는 대기시간을 카운트한다(S40). 아울러, 차량이 운행 중인 경우는(S30) 수신된 현재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현재위치를 초단위로 검출하여 저장한다(S50).
그리고 단말기(100)는 주행일지 생성부(140)를 통해 수신된 차량 주행정보, 촬영영상, 대기시간 및 위치 정보를통합적으로 취합하여 차량 고유의 주행일지를 생성한다(S60). 이때, 생성되는 주행일지는 시간별로 각각의 정보를 하나로 연결시키는 것으로, 각 정보를 서로 결합 및 편집하여 하나의 파일로 생성하는 것이 아님에 주의하야여 한다. 이는 많은 계산량 및 오랜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단말기 내에서 수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며, 이는 차후 통합 관제시스템(300)에서 수행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생성된 주행일지와 함께 운행정보(주행정보, 위치정보)를 무선통신망([0055] 3G/4G)을 통해 통합 관제시스템(300)으로 전송한다(S70).
이에 상기 통합 관제시스템(300)은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주행일지 정보를 주행일지 처리부(320)를 통해 사용자가 쉽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별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 후, 데이터베이스화된 차량별 통합 정보를 저장한다(S80). 이때, 상기 주행일지 처리부(320)에서는 수신된 주행일지 정보에 통합적으로 취합되어 있는 차량 주행정보, 촬영영상, 대기시간 및 위치 정보를 시간별로 서로 나열하여 동일 시간대별로 정보를서로 결합하여 편집한다.
이어, 상기 통합 관제시스템(300)은 저장된 통합 정보를 자신의 웹사이트를 통해 공개하여,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된 회원에게 선별적으로 저장된 통합 정보를 제공한다(S90).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 8a 및 도 8c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시간대별로, 지역별로, 위치별로 주행정보,촬영영상, 대기시간 및 위치 정보 등을 선택적으로 검출하고, 이를 다시 지도보기를 통해 보다 상세한 정보를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도 9a 및 도 9d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자신의 주행위치를 추적하고, 1일간의 전체차량 운행기록 및 블랙박스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회원 가입된 사용자가 단말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100)를 통해, 저장된 통합 정보의 확인하기를 요청한 경우(S100), 무선통신망(3G/4G)을 통해 단말기(100)로 통합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통합 관제시스템(300)은 사용자의 요청이 없는 경우에도 긴급한 내용이나 공지사항이 있는 경우, 회원 가입된 사용자의 단말기(100)로 무선통신망을 통해 메신저 형태로 제공한다(S110).
그러면, 상기 단말기(100)는 설치되어 있는 단말기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통해 통합 관제시스템(300)에서 수신된 통합 정보를 표시한다(S120).
이때, 상기 단말기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통해 표시되는 통합 정보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차량 운행에 필요한 운행정보를 수집하여 무선통신망을 통해 하기 통합 관제시스템으로 전달하는 단말기와,OBD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차량 주행정보를 수집하여 단거리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OBD전송기와,
    상기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운행정보를 수신하여 단말기별로 저장하고 각 차량의 운행현황을 모니터링하여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통합 관제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통합 차량관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OBD 전송기는
    주행 중인 차량의 브레이크, 엑셀레이터, 속도, RPM 정보를 포함하는 주행정보를 차량에서 실시간으로 감지하여처리하는 주행정보 처리부와,
    상기 주행정보 처리부에서 처리된 주행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외부 통신부와,
    차량의 추적을 위해 GPS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좌표 및 표고차 등을 기반으로 현재 위치를 추적하여 검출하는GPS 모듈과,
    상기 OBD 전송기에서 외부 통신부를 이용하여 주행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안전한 전송 및 혹시 모를 전송 지연에 대비한 백업을 위하여 운행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차량에서 OBD 전송기로 전원을 제공받지 못하거나 혹시 모른 전원 단선에 대비하여 OBD 전송기로 보조 전원을인가하는 배터리와,
    OBD 전송기 내부의 전류값, 신호전송 여부를 측정하여 고장 여부를 확인하는 고장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통합 차량관제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통신부는 OBD 전송기와 단말기가 정상적으로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주행정보 처리부에서 처리된 주행정보를 통합 관제시스템으로 바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통합 차량관제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차량이 멈추었을 때 차량 내외부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처리부와,
    상기 OBD 전송기에서 수신된 현재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위치를 초단위로 검출하여 저장하여 위치추적 처리부와,
    상기 OBD 전송기에서 수신된 차량의 주행정보와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를 이용해 차량이 얼마동안 멈추었는지를산출하는 대기시간 처리부와,
    상기 카메라 처리부에서 촬영된 영상과 대기시간 처리부에서 산출된 대기시간과 함께, OBD 전송기에서 수신된차량 주행정보 및 위치 정보를 통합적으로 취합하여 차량 고유의 주행일지를 생성하는 주행일지 생성부와,
    상기 OBD 전송기 및 통합 관제시스템으로부터 긴급한 내용이나 공지사항이 수신되면,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여운전자에게 제공하는 메신저 생성부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지도를 현재 차량 위치와 매칭시켜 운전자가 어디에 있는지 어떤 길로 가야될 지를 알려주 는 내비게이션 처리부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운행정보를 통합 관제시스템으로 전송하고, 또한 상기 OBD 전송기와 통신을 처리하는 제 2외부 통신부와,
    단말기 내부의 전류값, 신호전송 여부를 측정하여 고장 여부를 확인하는 고장 처리부와,
    상기 OBD 전송기에서 수신받은 주행정보, 위치정보 및 이를 기반으로 검출된 지역 날씨 계절(메타 데이터)을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통합 차량관제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제 시스템은
    인터넷 접속된 단말기에 웹사이트를 통해 요청 차량의 위치, 주행정보, 주행일지, 지역 날씨 계절을 포함하는 차량 운행정보를 제공하는 웹사이트 처리부와,
    상기 단말기에서 수신된 주행일지 정보를 통합하여 사용자가 쉽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별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주행일지 처리부와,
    상기 단말기 및 지역 날씨 계절의 데이터 백업을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단말기 및 OBD 전송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을 처리하는 제 3 외부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통합 차량관제 시스템.
  6. (A) 단말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해 OBD 수신기에서 수집된 운행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단말기는 수집되는 운행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이 운행 중 멈춘 경우, 차량의 내외부 중 적어도 하나의영상을 촬영하고, 차량이 멈추고 있는 대기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와,
    (C) 상기 단말기는 차량이 운행 중인 경우, 수신된 현재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위치를 초단위로 검출하여저장하는 단계와,
    (D) 상기 단말기에서 수신된 차량 주행정보, 촬영영상, 대기시간 및 위치 정보를 통합적으로 취합하여 차량 고유의 주행일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주행일지와 함께 운행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통합 관제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E) 상기 통합 관제시스템에서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주행일지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별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 후, 데이터베이스화된 차량별 통합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F) 상기 통합 관제시스템에서 저장된 통합 정보를 자신의 웹사이트를 통해 공개하여,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된회원에게 선별적으로 저장된 통합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통합 차량관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생성되는 주행일지는 각 정보를 서로 결합 및 편집하여 하나의 파일로 생성하는 것이 아닌시간별로 각각의 정보를 하나로 단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통합 차량관제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회원 가입된 사용자가 단말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를 통해, 저장된 통합 정보의 확인하기를 요청한 경우, 무선통신망을 통해 단말기로 통합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단말기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통해 통합 관제시스템에서 수신된 통합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통합 차량관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으로 단말기 화면에 최초 표시되는 메인 화면으로, '내비게이션', '운행기록','환경설정', '메신저', '제어기능' 및 '로그인' 선택 아이콘을 제공하고,
    상기 내비게이션은 현재위치 및 현재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저장되어 있는 지도정보와의 매칭을 통해 제공하고,
    상기 운행기록은 디지털 운행 기록계 기능을 통해 이동경로, 주행거리, 운행속도, RPM, 브레이크, 가속도 센서,운행일지의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환경설정은 사용자 등록을 통한 단말기 인증, 제공되는 데이터 및 영상 설정, 긴급전송 설정, 속도제한 및 차량 아이콘의 기본설정, 그리고 블랙박스의 저장, 전송 및 연결여부 정보의 설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통합 차량관제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제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요청이 없는 경우에도 긴급한 내용이나 공지사항이 있는 경우, 회원 가입된사용자의 단말기로 무선통신망을 통해 메신저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통합 차량관제 방법.
KR1020200021906A 2020-02-21 2020-02-21 무선 인터넷망(lte)를 이용한 실시간 통합 차량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068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906A KR20210106852A (ko) 2020-02-21 2020-02-21 무선 인터넷망(lte)를 이용한 실시간 통합 차량관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906A KR20210106852A (ko) 2020-02-21 2020-02-21 무선 인터넷망(lte)를 이용한 실시간 통합 차량관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852A true KR20210106852A (ko) 2021-08-31

Family

ID=77489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906A KR20210106852A (ko) 2020-02-21 2020-02-21 무선 인터넷망(lte)를 이용한 실시간 통합 차량관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685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1547B1 (ko) 실시간 통합 차량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769102B1 (ko) Obd와 스마트폰을 사용한 보험사 서버와 연동된 자동차 운행기록 분석 시스템 및 방법
CN110912998B (zh) 一种基于远程设备端的车辆问题排查系统及方法
US20200410789A1 (en) Recording device, record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130030583A (ko) 차량용 운행정보 확인장치 및 영상 저장장치의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US20080082221A1 (en) System for monitoring, controlling, and reporting vehicle operation through onboard diagnostic port
US20080015748A1 (en) System for monitoring, controlling, and reporting vehicle operation through onboard diagnostic port
BRPI1103445A2 (pt) Método para fornecer informação de manutenção de veículo e serviço
US20120120930A1 (en) Vehicle network system interconnecting with a home network
CN105353696A (zh) 为远程控制系统提供控制基础的车载控制器
KR101267549B1 (ko) 전기자동차 운행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N102213962A (zh) 基于OSGi的远程实时汽车诊断系统
CN105184528A (zh) 一种用于车企管理的汽车obd系统
CN102385380A (zh) 集群汽车诊断信息平台
CN105564245A (zh) 基于汽车仪表的信息显示方法和汽车仪表
JP2006256457A (ja) 車載データ管理装置、及び、車両情報供給システム
EP427033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agnostic tool detection in a telematics device
JP2015038672A (ja) 車両の運行管理装置及び車両情報収集用デバイス
KR100866617B1 (ko) 차량 운행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9897282U (zh) 一种基于obd的远程监控装置
KR101445370B1 (ko) Mdr 모듈이 장착된 멀티 블랙박스
CN105480175A (zh) 车辆报警系统
TWM567719U (zh) Vehicle condi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EP42211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non-interfering mode in a telematics device
CN107968837A (zh) 一种基于soc芯片的车联网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