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5303A - 제거 시스템용 튜브 및 제거 시스템을 통해 용기에서 유체를 제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제거 시스템용 튜브 및 제거 시스템을 통해 용기에서 유체를 제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5303A
KR20210105303A KR1020210020403A KR20210020403A KR20210105303A KR 20210105303 A KR20210105303 A KR 20210105303A KR 1020210020403 A KR1020210020403 A KR 1020210020403A KR 20210020403 A KR20210020403 A KR 20210020403A KR 20210105303 A KR20210105303 A KR 20210105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removal system
closing means
brewing head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5033B1 (ko
Inventor
안드레아스 스치틀리
니코 피셔
Original Assignee
아스 스트로뭉스테크니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스 스트로뭉스테크니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아스 스트로뭉스테크니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105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5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29Keg connection means
    • B67D1/0841Details
    • B67D1/0848Loc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29Keg connection means
    • B67D1/0831Keg connection means combined with valves
    • B67D1/0832Keg connection means combined with valves with two valves disposed concentr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0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 container, e.g. bottle, cartridge, bag-in-box,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1/0802Dip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29Keg connection means
    • B67D1/0831Keg connection means combined with valves
    • B67D1/0835Keg connection means combined with valves with one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61Details of liquid containers, e.g. filling, emptying, closing or opening means
    • B67D3/0064Dip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74Safety or war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liquids other than fuel or lubricants
    • B67D7/0288Container connection means
    • B67D7/0294Combined with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2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 B67D7/3245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relating to the transfer method
    • B67D7/3272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relating to the transfer method using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2001/0812Bottles, cartridges or similar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거 시스템(1)의 추출헤드(2)에 분리가능한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5a)가있는 제거 시스템(1) 용 튜브에 관한 것으로, 튜브(5)는 용기에서 유체를 제거하기 위한 일회용 부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제거 시스템용 튜브 및 제거 시스템을 통해 용기에서 유체를 제거하는 방법{Tube for a removal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fluid from a container by means of a removal system}
본 발명은 제거 시스템용 튜브 및 제거 시스템을 통해 용기로부터 유체를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런 제거 시스템은 화학 물질과 같은 유체가 저장되는 병과 병의 입구에 고정될 수 있는 추출헤드를 포함하며, 추출헤드는 이런 목적에 적합한 폐쇄수단을 갖는다. 이런 병은 예를 들어 실험실에서 사용된다.
이런 유형의 알려진 제거 시스템에서 추출헤드는 간단한 뚜껑 형태를 취하고, 뚜껑 안으로 튜브가 배치되어 병의 내부공간으로 안내된다. 이어서, 용기에서 유체를 펌핑하기 위해 튜브를 펌프에 연결한다.
병을 비우면 튜브를 뚜껑에서 빼내고 다른 병에서 유체를 제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대안으로, 튜브를 교환 중에 뚜껑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뚜껑을 새 병에 고정한다.
이런 제거 시스템의 첫 번째 단점은 뚜껑의 보어홀에 튜브를 끼워, 누출방지 밀봉이 안된다는데 있다. 따라서, 병에 저장된 유체의 증기가 누출될 수 있으며, 이는 특히 독성 화학 물질이 병에 저장되었을 때 심각하다.
또 다른 단점은 빈 병에서 빼낸 튜브에 첫 번째 병의 유체 잔류물이 여전히 붙어 있어, 다음 병의 유체를 오염시킨다는 것이다.
또, 튜브를 빼낼 때 유체 잔류물이 튜브에서 계속해서 떨어지는 한 작업자가 유체 잔류물에 노출될 수 있다.
EP 2 848 583 B1은 딥튜브가 있는 추출헤드가 용기 입구에 고정될 수 있는 제거 시스템을 소개한다. 유체는 딥튜브를 통해 용기에서 제거 할 수 있다.
딥튜브로 작동하는 이런 제거 시스템은 배럴과 같은 큰 용기에 사용할 수 있지만 병에서 유체를 제거하는데는 사용할 수 없다.
병에 제거 시스템을 사용하려면, 병에서 유체를 제거하는데 필요한 운송 승인을 해치는 구조적 변경을 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높은 기능성을 가지면서도 단순한 설계 구조를 갖도록 전술한 제거 시스템을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독립항들의 특징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와 유용한 추가 특징들은 종속항에서 설명된다.
본 발명은 제거 시스템의 추출헤드에 해제 가능한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가진 제거 시스템 용 튜브에 관한 것으로, 튜브는 용기로부터 유체를 제거하기 위한 일회용 부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아이디어는 용기에서 유체를 제거하거나 용기를 채우는 튜브를 일회용 부품, 즉 일회용으로 설계하는데 있다.
튜브는 이런 목적에 적합한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으며,이를 통해 튜브는 제거 시스템의 추출헤드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유체를 제거하기 위해 튜브는 추출헤드에 연결되고 추출헤드는 추출헤드의 구성 요소로 폐쇄수단을 사용하여 용기에 고정된다. 유체를 제거한 후 튜브를 추출헤드에서 분리하고 병과 함께 폐기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거 시스템은 용기를 채우는데도 적합하다.
제거 시스템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튜브는 다른 용기에 사용될 수 있다. 용기로는 후술하는 병이나 통이 특히 유리하다.
인터페이스와 함께 튜브는 제거 시스템에서 모듈식 장치로 사용할 수 있는 저렴하고 효율적으로 생산가능한 유닛을 형성한다.
다른 추출헤드에 연결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것이 특히 유리한다.
따라서 인터페이스가 있는 튜브는 다양한 제거 시스템에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응용 분야에 사용할 수 있는 모듈형 유닛을 형성한다.
인터페이스가 튜브에 고정된 플라스틱 부품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더욱 유리한다.
따라서 인터페이스는 사출 성형 플라스틱 부품의 형태로 저렴하고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제거 시스템에 의해 용기로부터 유체를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본질적인 장점은 추출헤드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는 일회용 부품으로서 튜브를 사용하여 추출헤드의 다중 사용 중에 오염을 쉽게 피할 수 있다는 것이다. 추출헤드에 고정된 튜브는 한 번만 병을 비우고 추출헤드의 작동 메커니즘을 작동하여이 병에 남아있다. 이것은 튜브가 다음에 비워지는 병의 유체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새로운 튜브가 추출헤드에 고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염없이 병을 비우는 방법이 제공된다. 교체 가능한 튜브는 매우 비용 효율적이며 특히 플라스틱 조각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튜브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다른 재료로도 만들 수도 있다. 따라서 병을 비우기 위해 별도의 튜브를 사용한다 해도 제거 시스템의 제조 비용이 눈에 띄게 증가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추출헤드는 잠금위치에서 추출헤드에 튜브를 고정하는 잠금수단을 갖는다. 작동 메커니즘에 의해, 잠금수단은 튜브를 해제하는 해제위치로 움직일 수 있다.
잠금수단은 작동 메커니즘을 작동함으로써 잠금위치에서 해제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할 수 있는 기계 장치를 의미한다.
작동 메커니즘은 잠금수단으로 직접 전달되는 작동동작을 일으키는 순수한 기계 장치인 것이 특히 유리한다.
이와 같이 튜브에 대한 단순한 디자인의 잠금 및 잠금 해제 메커니즘이 생성된다.
설계 관점에서 유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수단은 가이드채널의 보어홀에 움직이게 장착된 볼로 형성된다. 튜브는 가이드채널 내부로 안내될 수 있다. 잠금위치에서 볼은 튜브를 제자리에 고정하는 압력으로 튜브에 밀착된다. 해제위치에서 볼이 튜브에서 해제된다.
이런 잠금수단은 단순한 설계로 구현되며 튜브의 안정적인 잠금 및 잠금 해제를 보장한다.
보어홀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채널 내 원주 방향으로 등거리에 배치되고 하나의 볼이 모든 보어홀에 안내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보어홀 및 볼은 각각 동일하게 형성되고 가이드채널의 종축선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평면에 배향된다.
보어홀 내에서 튜브를 잠그기 위한 볼이 반경방향으로 움직여 직접 튜브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볼에서 튜브로 힘이 잘 전달되어 안정적인 잠금이 가능한다.
동일한 형태의 보어홀, 볼 및 가이드채널 내 회전 대칭 배열로 인해 튜브에 대한 힘의 전달이 모든 측면에서 발생하여 특히 효율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잠금이 이루어진다.
각 보어홀은 가이드채널로로 통하는 입구에서 가이드채널로 안내되는 볼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수축되는 것이 더욱 유리하다.
이런 식으로, 튜브가 가이드채널에서 분리되어 가이드채널이 비어있을 때 볼이 보어홀에서 떨어지는 것을 간단하게 방지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채널은 잠금수단에 대해 움직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이드채널은 폐쇄수단에 대해 움직일 수 있는 헤드피스의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가이드채널에 대한 폐쇄수단의 잠금위치에서, 폐쇄수단의 포지셔닝 수단은 튜브에 대해 보어홀의 잠금수단을 누르고 가이드채널에서 후자를 고정한다. 폐쇄수단의 해제위치에서, 가이드채널에 대해, 포지셔닝 수단은 잠금수단과 맞물려서 튜브가 가이드채널로부터 해제된다.
포지셔닝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폐쇄수단에 배열된다. 예를 들어, 돌출부, 래칭 스톱 또는 래칭 러그가 포지셔닝 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특히 폐쇄수단의 구성 요소 일 수 있고 그와 함께 단일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런 포지셔닝 수단은 특히 단순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 또, 이런 포지셔닝 수단에 의해, 잠금수단에 대한 작동 메커니즘의 특히 간단하고 직접적인 결합이 실현된다.
일반적으로 포지셔닝 수단은 작동 메커니즘에 의해 제어된다. 이는 특히 사용자가 작동 메커니즘을 조작하지 않을 때 포지셔닝 수단이 폐쇄수단의 잠금위치에서 튜브를 고정하도록하기 위해 특히 간단하게 발생한다. 작동 메커니즘을 작동함으로써 포지셔닝 수단이 잠금수단과 맞물리지 않게된다.
작동 메커니즘이 스프링인 것이 유리한다. 이 경우, 헤드피스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폐쇄수단에 대해 잠금위치에 유지된다. 해제위치로의 변위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폐쇄수단에 헤드피스를 눌러서 수행된다.
따라서 기능적 원리는 스프링의 탄성력이 추출헤드에 튜브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튜브를 해제하려면 사용자는 폐쇄수단에 대해 헤드피스를 눌러 작동 메커니즘을 작동해야한다. 또한 이런 방식으로 새 튜브가 추출헤드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변형에 따르면, 폐쇄수단은 튜브가 추출헤드에 고정된 잠금위치로 서로에 대해 움직일 수 있고 튜브가 추출헤드에서 분리되는 해제위치로 서로에 대해 움직일 수 있는 2 부분을 갖는다.
이 변형의 본질적인 장점은 추출헤드에서 튜브를 분리하는데 별도의 작동 수단이 불필요하다는 것이다. 용기로부터 추출헤드를 해제하기 위해 폐쇄수단을 열 때 튜브가 추출헤드로부터 동시에 해제되어 빈 용기로 떨어진다.
한편으로는 별도의 작동 수단을 설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거 시스템의 효율적인 구조가 가능하다. 또 제거 시스템의 기능과 작동 안정성이 향상된다. 작업자는 더 이상 작동 메커니즘을 작동하고 추출헤드에서 튜브를 분리할 것을 주의할 필요가 없다. 이런 기능이 폐쇄수단을 열 때 자동으로 독립적으로 발생한다.
설계 관점에서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폐쇄수단은 튜브가 추출헤드에 고정된 잠금위치와 추출헤드에서 해제된 해제위치로 서로에 대해 움직일 수 있는 2 부분을 갖는다.
이에 의해, 용기로부터 추출헤드를 해제하기 위해 폐쇄수단이 열릴 때, 폐쇄수단의 일부는 자동으로 해제위치로 이동된다.
따라서 추출헤드에 대한 튜브의 해제 가능한 고정이 간단한 설계로 실현되며, 특히 폐쇄수단을 열면 튜브가 추출헤드로부터 자동으로 해제된다.
설계 관점에서 특히 간단하고 견고한 실시예에 따르면, 폐쇄수단의 제1 부분이 한쪽면으로 돌출하는 제1 안내면을 갖는 결합요소들을 갖고, 폐쇄수단의 제2 부분은 한쪽면으로 열려있는 제2 안내면을 갖는 요홈부들 가져, 해제위치와 잠금위치 사이를 움직일 때, 제1 부분이 제2 부분에 대해 움직이면서 제1 안내면이 제2 안내면을 따라 움직이도록 한다.
잠금위치에서 부분들의 표면들이 서로 밀착하고 해제위치에서 부분들이 서로 분리된다.
결합요소와 요홈부의 안내면들은 서로에 대한 폐쇄수단의 부분들의 저마찰, 제어된 이동성을 보장한다.
폐쇄수단이 스크류탑에 구현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 스크류탑이 풀리면 풀리면 폐쇄수단의 부분들이 해제위치로 이동한다.
스크류탑은 특히 취급이 간편하다는 점에서 좋다.
도 1 : 제거 시스템의 개략도.
도 1a :도 1에 따른 제거 시스템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튜브의 개략도.
도 2 : 잠금위치에 있는 도 1에 따른 제거 시스템의 추출헤드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
도 3 : 잠금 해제된 튜브가 배열된 도 2에 따른 제거 시스템의 추출헤드의 단면도.
도 4 : 튜브가 추출헤드에서 떨어지는 도 2에 따른 제거 시스템의 추출헤드의 단면도.
도 5 : 도 1에 따른 제거 시스템의 추출헤드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
도 6 : 도 5에 따른 추출헤드의 폐쇄수단 구성 요소의 사시도.
도 1은 제거 시스템(1)의 일례를 보여준다.
이 제거 시스템(1)은 유체(4)가 들어있는 병(3)의 입구에 배치될 수 있는 추출헤드(2)를 포함한다. 추출헤드(2)에서 병(3)의 내부공간으로 이어진 튜브(5)가 추출헤드에 장착된다.
추출헤드(2)는 라인(6)을 통해 펌프(7)에 연결된다. 유체(4)는 펌프(7)에 의해 병(3) 밖으로 펌핑된다. 유체(4)는 튜브(5)를 통해 병(3)에서 라인(6)에 보내진다.
도 1a는 도 1의 튜브를 보여준다. 튜브(5)의 단부의 인터페이스(5a)가 추출헤드(2)에 연결된다. 인터페이스(5a)는 플라스틱 부품으로, 길이방향으로 뻗는 보어홀(20)을 가지며, 인터페이스(5a)는 튜브(5)에 부착된다. 인터페이스(5a)를 형성하는 플라스틱 부품은 외부 표면에 적절한 몰딩(5b)을 가지며, 몰딩은 추출헤드(2)의 기하학적 구조에 일치한다. 인터페이스(5a)는 다른 추출헤드, 즉 다른 제거 시스템(1)에도 연결되도록 설계되었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헤드(2)의 제1 실시예를 보여준다. 추출헤드(2)는 스크류탑 형태의 폐쇄수단(8)을 가지며, 이를 통해 추출헤드(2)를 병의 입구에 고정할 수 있다. 스크류탑에는 병(3) 입구의 나사(9a)에 결합되는 암나사(9)이 있다. 추출헤드(2)의 스크류탑으로 인해, 병(3)의 입구가 밀봉된다.
또, 추출헤드(2)는 헤드피스(10)를 갖는다. 헤드피스(10)의 상단에, 펌프(7)로 이어지는 라인(6)이 연결되는 연결부(11)가 제공된다. 연결부(11)는 체크밸브(12)에 의해 고정된다. 체크밸브(12)는 유체(4)가 라인(6)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헤드피스(10)에 볼밸브(13)가 제공되며, 이를 통해 병(3) 안의 공기와 압력 평형이 이루어진다.
헤드피스(10)의 바닥에 가이드채널(14)이 개방되어 있고, 가이드채널(14)은 폐쇄수단(8)의 중앙 요홈부(27)로 돌출하고, 가이드채널(14)의 하단은 폐쇄수단(8) 내에서 고정수단(15)에 고정된다. 가이드채널(14)은 중공 원통형이다.
헤드피스(10)가 폐쇄수단(8)을 형성하는 스크류탑에 대해 이동 가능하면서, 작동 메커니즘이 형성된다.
헤드피스(10)와 스크류탑 사이에 스프링(16)이 배치된다. 헤드피스(10)는 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해 폐쇄수단(8)의 상부로부터 일정 거리에 유지된다(도 2 참조). 사용자가 이런 작동 메커니즘을 작동시키려면, 헤드피스(10)의 하단이 폐쇄수단(8)의 상단에 놓일때까지 헤드피스(10)의 상단을 내리누르면 된다(도 3~4 참조).
도 2는 작동 메커니즘이 미작동 상태인 추출헤드(2)를 보여준다. 튜브(5)는 가이드채널(14)의 내부공간에 장착되고 잠금수단으로 그 위치에 유지된다.
도 2~4에서 알 수 있듯이, 가이드채널(14)에 삽입될 수 있는 튜브(5)의 상단부에 인터페이스(5a)를 형성하는 슬리브(17)가 제공되며, 슬리브(17)는 원주홈(18) 형태의 몰딩(5b)을 갖는다.
잠금수단은 가이드채널(14) 내의 보어홀(20)에서 안내되는 볼(19)로 이루어진다. 여기서는, 3개의 동일한 보어홀(20)이 가이드채널(14)의 종축선에 수직인 평면에 120°각도로 제공된다. 보어홀(20)은 가이드채널(14) 내에서 반경방향으로 뻗는다. 볼(19)은 각 보어홀(20)에서 안내되며, 모든 볼(19)은 형태가 동일하다. 볼(19)은 거의 유격 없이 각각의 보어홀(20)에서 안내된다.
보어홀(20)의 직경은 가이드채널(14)로 연결된 입구 영역에서 다소 수축되어, 볼 직경보다 작아져, 볼(19)이 빈 가이드채널(14)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2~4에서 알 수 있듯이, 요홈부(27)를 둘러싸는 폐쇄수단(8)의 벽면 상연부에 돌출부(21)는 제공되는데, 이 돌출부(21)는 원주 방향으로 뻗으면서 요홈부(27)를 좁히고, 요홈부 안으로 가이드채널(14)이 돌출한다. 이 돌출부(21)는 포지셔닝 수단을 형성한다. 도 2는 잠금위치에 있는 폐쇄수단(8)과 포지셔닝 수단을 보여준다. 작동 메커니즘이 작동하지 않고 스프링(16)에 의해 헤드피스(10)가 폐쇄수단(8)에 간격을 두고 있을 때 잠금위치가 설정된다. 이때, 도 2와 같이, 포지셔닝 수단을 형성하는 돌출부(21)는 보어홀(20) 안에 위치한다. 따라서, 돌출부는 가이드채널(14)의 내부공간 방향으로 보어홀의 볼을 밀어내어, 잠금위치에서 볼(19)이 가압력에 의해 튜브(5)의 슬리브(17)의 홈(18) 안으로 밀려들어가고, 이때문에 튜브(5)가 가이드채널(14) 안에 고정된다.
작동 메커니즘이 도 3과 같이 작동될 때, 헤드피스(10)는 폐쇄수단(8)을 형성하는 스크류탑을 가압하고 가이드채널(14)은 스크류탑의 요홈부(27) 안으로 더 밀려진다. 이에 의해, 폐쇄수단(8)과 돌출부(21)가 잠금위치에서 해제위치로 움직인다. 해제위치에서, 돌출부(21)는 보어홀(20) 위에 놓인다. 따라서 볼(19)이 해제위치에 있고 더이상 튜브(5)를 누르지 않아, 튜브(5)가 더 이상 가이드채널(14) 내부에 단단히 고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중력에 의해 튜브(5)는 가이드채널(14)에서 병(3) 안으로 떨어진다(도 4 참조).
병(3)을 비우려면, 추출헤드(2)를 병(3)에 고정한다. 작동 메커니즘은 작동되지 않고 튜브(5)는 가이드채널(14) 내부에 단단히 고정된다(도 2 참조). 이때 병(3)이 펌프(7)에 의해 비워진다. 병(3)이 비면, 작동 메커니즘이 작동되고 가이드채널(14) 내부의 튜브(5)가 해제되어(도 3), 튜브(5)가 빈병(3) 안으로 떨어져, 폐기할 수 있다.
추출헤드(2)가 다른 병(3)에서 유체(4)를 제거하는데 사용될 경우, 먼저 새로운 튜브(5)가 추출헤드(2)의 가이드채널(14) 내부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작동 메커니즘을 작동시킨 다음 튜브(5)를 가이드채널(14)에 삽입한다. 다음, 사용자는 헤드피스(10)를 해제하여 헤드피스(10)가 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해 폐쇄수단(8)으로부터 상승하도록 한다. 이 경우, 폐쇄수단(8)이 돌출부(21)와 함께 잠금위치로 움직이고, 튜브(5)가 가이드채널(14) 내부에 단단히 고정된다.
이렇게 형성된 어셈블리를 다른 병(3)에 설치해 유체(4)를 제거할 수 있다.
도 5는 제거 시스템(1)의 추출헤드(2)의 제2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 경우에도, 유체(4)를 제거하기 위한 슬리브(17)가 있는 튜브(5)를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튜브(5)는 폐쇄수단(8)을 형성하는 스크류탑에 결합되어, 스크류탑으로 튜브(5)를 추출헤드(2)에 풀었다 고정했다 할 수 있다. 특히, 스크류탑을 풀면 튜브(5)도 자동으로 추출헤드(2)에서 풀린다.
도 5~6에 도시된 것처럼, 폐쇄수단(8)은 서로에 대해 움직이는 2 부분(22,23)을 갖는다.
2 부분 모두 회전대칭의 본체를 갖는다.
제1 부분(22)은 본질적으로 중공 실린더로 설계된다. 제1 안내면(25)을 형성하는 곡면을 갖는 다수의 동일한 결합 요소들(24)이 한쪽면에서 돌출해 있다.
제2 부분(23)은 외면에 형성된 돌출부들(26)을 가지며, 이들 돌출부(26)는 스크류탑을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제2 부분(23)의 본체 내부의 한쪽면에 요홈부(27)가 제공되고, 각각의 요홈부(27)는 결합요소(24)의 제1 안내면(25)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2 안내면(28)을 갖는다. .
제1, 제2 부분들(22,23)이 위아래에서 회전하여 폐쇄수단(8)을 형성하면, 결합 요소(24)의 제1 안내면(25)이 요홈부(27)의 제2 안내면(28)과 접촉한다. 이렇게 하여, 폐쇄수단(8)의 2 부분들이 잠금위치와 해제위치 사이를 움직일 수 있다.
잠금위치에서, 결합요소(24)의 제1 안내면(25)이 요홈부(27)의 제2 안내면(28)의 윗면 전체에 놓여, 제1, 제2 부분들(22,23)의 표면이 서로 밀착된다(도 5 참조).
이 잠금위치에서, 나사산(9a)의 안쪽으로 맞물린 튜브(5)가 추출헤드(2)의 슬리브(17)로 고정된다. 스크류탑이 풀리면, 제2 안내면(28)을 따라 제1 안내면이 미끄러지면서 슬라이딩하는 2 부분들(22,23)이 서로 분리된다. 2 부분들이 해제위치로 될 정도로 스크류탑을 풀면, 튜브(5)가 풀려 병(3) 안으로 떨어진다.

Claims (15)

  1. 제거 시스템(1)용 튜브(5)에 있어서:
    추출헤드(2)에 분리가능한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5a)를 가져, 용기에서 유체(4)를 제거하기 위한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2. 제1항에 있어서, 인터페이스(5a)가 다른 추출헤드에 연결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튜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인터페이스(5a)가 튜브(5)에 고정된 플라스틱 부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튜브.
  4. 제거 시스템(1)에 의해 용기로부터 유체(4)를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추출헤드(2)가 폐쇄수단(8)에 의해 용기에 고정되고, 튜브(5)가 인터페이스(5a)를 통해 제공되며, 튜브(5)가 인터페이스에 의해 추출헤드(2)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고, 튜브(5)가 용기에서 유체(4)를 제거하기 위한 일회용 부품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추출헤드(2)가 잠금위치에서 추출헤드(2)에 튜브(5)를 고정하는 잠금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제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잠금수단이 튜브(5)를 해제하는 작동 메커니즘에 의해 해제위치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제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잠금수단이 가이드채널(14)의 보어홀(20)에 움직일 수 있게 장착된 볼(19)로 형성되고, 튜브(5)가 가이드채널(14) 내부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제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잠금위치에서 볼(19)이 가압력으로 튜브(5)를 가압하여 튜브(5)가 제자리에 고정되고, 해제위치에서 볼(19)이 튜브(5)에서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제거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튜브(5)가 폐쇄수단(8)에 의해 추출헤드(2)에 해제가능하게 고정되어, 폐쇄수단(8)이 열리면 튜브(5)가 추출헤드로부터 자동으로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폐쇄수단(8)이 튜브(5)가 추출헤드(2)에 고정되는 잠금위치로 서로에 대해 움직일 수 있는 2 부분들을 갖고, 이런 2 부분들은 튜브(5)가 추출헤드(2)에서 해제되는 해제위치로 서로에 대해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용기에서 추출헤드(2)를 해제하기 위해 폐쇄수단(8)을 열 때, 폐쇄수단(8)의 부분들이 해제위치로 자동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폐쇄수단(8)이 스크류탑 내부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폐쇄수단(8)의 부분들이 스크류탑이 풀릴 때 해제위치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폐쇄수단(8)의 제1 부분(22)이 한쪽면으로 돌출하는 제1 안내면(25)을 갖는 결합요소들을 갖고, 폐쇄수단(8)의 제2 부분(23)은 한쪽면으로 열려있는 제2 안내면(28)을 갖는 요홈부들(27) 가져, 해제위치와 잠금위치 사이를 움직일 때, 제1 부분(22)이 제2 부분(23)에 대해 움직이면서 제1 안내면(25)이 제2 안내면(28)을 따라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들의 표면이 잠금위치에서 서로 밀착되고, 상기 부분들이 해제위치에서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KR1020210020403A 2020-02-18 2021-02-16 제거 시스템용 튜브 및 제거 시스템을 통해 용기에서 유체를 제거하는 방법 KR1026350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58022.2A EP3868704A1 (de) 2020-02-18 2020-02-18 Schlauch für ein entnahmesystem und verfahren zur entnahme von flüssigkeit aus einem behälter mittels eines entnahmesystems
EP20158022.2 2020-0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303A true KR20210105303A (ko) 2021-08-26
KR102635033B1 KR102635033B1 (ko) 2024-02-07

Family

ID=69810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403A KR102635033B1 (ko) 2020-02-18 2021-02-16 제거 시스템용 튜브 및 제거 시스템을 통해 용기에서 유체를 제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55135B2 (ko)
EP (1) EP3868704A1 (ko)
KR (1) KR102635033B1 (ko)
CN (1) CN11333575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26635B1 (nl) * 2018-09-20 2020-04-21 Anheuser Busch Inbev Sa Kit voor het verdelen van een drank door een verdeelbuis die een verdeelklep omvat
EP3650404B1 (en) * 2018-11-12 2021-03-10 Micro Matic A/S A dispense head and beverage dispensing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6364A (en) * 1995-12-29 1998-11-17 Burton; John W. Refillable pressurized beverage container
KR20090101857A (ko) * 2008-03-24 2009-09-29 마리 케이 인코포레이티드 강제-압입 딥튜브를 이용하는 유체 분배 기구
KR20180000817A (ko) * 2016-06-24 2018-01-04 (주) 뉴우성 용기 내부의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딥튜브
US20180209566A1 (en) * 2017-01-26 2018-07-26 as Strömungstechnik GmbH Withdrawa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13821A (en) * 1925-09-28 1927-01-11 John J Frawley Hand oiler
US2055045A (en) * 1935-11-19 1936-09-22 Eagle Mfg Co Hand oiler
US2315263A (en) * 1941-08-02 1943-03-30 American La France Foamite Liquid discharge system
US3039656A (en) * 1958-12-11 1962-06-19 Aircraft Armaments Inc Extensible faucet for pressurized containers
US3339811A (en) * 1965-09-07 1967-09-05 Brau Supply Co Inc Beer keg
US3423110A (en) * 1966-02-18 1969-01-21 Hansen Mfg Quick-connective coupling
US3578219A (en) * 1969-05-01 1971-05-11 Harry E Berry Quick-connect coupling conversion means for beer kegs
US3709528A (en) * 1971-04-16 1973-01-09 Foster Mfg Co Inc Hose coupling
US4995534A (en) * 1989-09-07 1991-02-26 Texpro, Inc. Detachable volved dispensing head for bottle
US6425502B1 (en) * 1998-02-19 2002-07-30 Entegris, Inc. Containment system
FR2786848B1 (fr) * 1998-12-02 2001-02-09 Legris Sa Coupleur a billes
WO2006000437A1 (de) * 2004-06-25 2006-01-05 Impress Group B.V. Einweg-zapfhahn für einen unter druck stehenden flüssigkeitsbehälter
US20060226175A1 (en) * 2005-03-31 2006-10-12 Sealed Air Corporation (Us) Quick disconnect dip tube coupling assembly
TW200730414A (en) * 2005-11-18 2007-08-16 Advanced Tech Materials Material storage and dispensing containers and systems comprising same
NL1031412C2 (nl) * 2006-03-20 2007-09-21 Heineken Supply Chain Bv Container voor drank.
SE533208C2 (sv) * 2007-06-05 2010-07-20 Petainer Lidkoeping Ab Förslutning för dryckesbehållare
WO2011100937A1 (de) * 2010-02-19 2011-08-25 Budich International Gmbh Sicherheits-verbindungssystem mit einem sicherheitsschraubverschluss für einen wirkstoffbehälter und einer gegenkupplung sowie wasserdesinfektionseinrichtung
DE102010049024B4 (de) * 2010-10-21 2015-06-18 Hw Brauerei-Service Gmbh & Co. Kg Ventilanordnung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US20130056504A1 (en) * 2011-09-02 2013-03-07 Ottocom, Llc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ing with, and Controlling, Beverage Dispensing Containers
JP2015533362A (ja) * 2012-11-02 2015-11-24 アドバンスト テクノロジー マテリア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浸漬管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製造する方法
WO2015022692A2 (en) * 2013-08-15 2015-02-19 Yazamco Corp Ltd. Beverage dispenser
DE102013110020A1 (de) 2013-09-12 2015-03-12 as Strömungstechnik GmbH Entnahmesystem
US11027960B2 (en) * 2015-08-13 2021-06-08 David G. Kraenzle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transfer of liquids to/from containers and/or storage of liquids in containers
IT201800006223A1 (it) * 2018-06-12 2019-12-12 Sistema erogatore a circuito chiuso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6364A (en) * 1995-12-29 1998-11-17 Burton; John W. Refillable pressurized beverage container
KR20090101857A (ko) * 2008-03-24 2009-09-29 마리 케이 인코포레이티드 강제-압입 딥튜브를 이용하는 유체 분배 기구
KR20180000817A (ko) * 2016-06-24 2018-01-04 (주) 뉴우성 용기 내부의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딥튜브
US20180209566A1 (en) * 2017-01-26 2018-07-26 as Strömungstechnik GmbH Withdrawa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53413A1 (en) 2021-08-19
US11655135B2 (en) 2023-05-23
KR102635033B1 (ko) 2024-02-07
TW202134132A (zh) 2021-09-16
CN113335751A (zh) 2021-09-03
EP3868704A1 (de) 202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05303A (ko) 제거 시스템용 튜브 및 제거 시스템을 통해 용기에서 유체를 제거하는 방법
US5816298A (en) Two-part fluid coupling with guide structure
JP5147022B2 (ja) 媒体移送用の装置
EP3153460B1 (en) Container with pressure relief valve
US20070131725A1 (en) Dispensing valve for fluids stored under pressure
PL190470B1 (pl) Zespół zaworowy do zbiornika napoju, zbiornik napoju oraz sposób zastosowania zbiornika napoju
CN113165859B (zh) 用于通过包括分配阀的分配管来分配饮料的套件
US6962321B1 (en) Fluid coupling with rotary actuation
EP3033298A1 (en) A container for transporting and storing a liquid
US20200369443A1 (en) Dispensing system
CA1327715C (en) Liquid sampling device
EP3778418B1 (en) Fixed quantity discharge device for liquid container
RU2750979C2 (ru) Сопрягающее и открывающее емкость устройство со щупом
US11618667B2 (en) Removal system
WO2016100709A1 (en) Nozzle and actuator for portable fuel containers
JPS5839649Y2 (ja) ポンプ注液式液体容器
CN220578920U (zh) 一种酒桶
CN212522410U (zh) 口服液饮用装置及口服液包装装置
CN112055621B (zh) 锁定喷嘴
CN112041087B (zh) 可旋转分配喷嘴
KR20220033806A (ko) 유체 용기용 인입출 기능을 갖는 주입 장치
WO2001007331A1 (en) Fluid coupling with rotary actuation
WO2024062317A1 (en) Stopper for releasing a substance, associated kit and actuation method
CN111481440A (zh) 口服液饮用装置及口服液包装装置
JPS62144754A (ja) 容器嵌合用密閉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