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4513A - 드론 이착륙대와 이를 이용한 차량용 드론 캐리어 - Google Patents

드론 이착륙대와 이를 이용한 차량용 드론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4513A
KR20210104513A KR1020200042372A KR20200042372A KR20210104513A KR 20210104513 A KR20210104513 A KR 20210104513A KR 1020200042372 A KR1020200042372 A KR 1020200042372A KR 20200042372 A KR20200042372 A KR 20200042372A KR 20210104513 A KR20210104513 A KR 20210104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ing
drone
unit
fixing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2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0632B1 (ko
Inventor
백형민
Original Assignee
백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형민 filed Critical 백형민
Publication of KR20210104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007Helicopter portable landing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11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for carrying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80/00Transport or storage specially adapted for UAVs
    • B64U80/80Transport or storage specially adapted for UAVs by vehicles
    • B64U80/86Lan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B64C2201/20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Remote Sens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 이착륙대와 이를 이용한 차량용 드론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론을 적재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된 드론 이착륙대와 이를 이용한 차량용 드론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 이착륙대와 이를 이용한 차량용 드론 캐리어는 드론이 이착륙할 수 있는 발착부와, 상기 발착부에 설치되어 상기 드론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드론을 고정하거나 이륙할 수 있도록 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이탈방지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이탈방지유닛은 상기 드론을 고정할 수 있는 죠와, 상기 발착부에 설치되어 상기 죠가 상기 드론과 접촉 되도록 이송시킬 수 있는 작동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드론 이착륙대와 이를 이용한 차량용 드론 캐리어{Apparatus for holding drone and carrier of vehic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드론 이착륙대와 이를 이용한 차량용 드론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론을 적재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된 드론 이착륙대와 이를 이용한 차량용 드론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인 비행체(UAV: Unmanned Aerial Vehicle)"라고도 칭하는 드론은, 사람이 타지 않고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하는 것으로, 육상과 해상에서 감시뿐만 아니라 물류 운반, 고공 촬영 또는 사고 수습 등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드론은 각 용도에 맞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면 또는 드론 전용의 이착륙대부터 이륙 또는 착륙할 수 있다.
또한, 드론은 상황에 따라 차량으로 운반되어 현장에서 이착륙 할 수 있는데 이때 현장의 지면에서 이착륙 하거나 지면이 고르지 않은 경우, 드론을 운송하는 차량에 탑재된 이착륙대를 이용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8-0089789 호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에 이착륙대가 구비되며 전자석을 이용해 드론을 고정할 수 있는 차량용 드론 캐리어가 개시되어 있으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석을 이용해 드론을 고정할 수 있는 드론 캐리어는 전원부의 충전이 원활하지 않은 상태에서 드론을 장기간 거치시키는 경우 전력이 방전되어 차체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 20-0283987 호에는 드론을 탑재한 상태에서 고리 또는 탄성이 있는 끈 등으로 드론을 결박시킬 수 있는 고리를 구비한 차량용 루프 캐리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고리를 이용해 드론을 결박함으로써 고정하는 것은 많은 시간이 걸리며 결박이 느슨하거나 끈이 손상된 경우 운반중에 풀림으로써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위험을 내포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이착륙대는 탑재된 드론이 외부환경에 노출됨으로써 눈 또는 비와 같은 이물질로 인해 드론이 쉽게 고장나는 환경에 노출될 수 있으며 드론이 이착륙하기 위한 지형이 경사진 경우 이착륙대 또한 드론이 이륙 또는 착륙시 경사면에 수직 방향으로 튕겨나갈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2010142 호 : 농사용 무인기(헬기,드론)을 위한 탈착형 헬리포트 플랫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283987 호 : 차량용 루프 캐리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드론을 장기간 고정하더라도 일정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외부환경으로부터 드론을 보호하거나 경사지에서도 수평의 이착륙대를 제공할 수 있는 드론 이착륙대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드론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드론 이착륙대는 드론이 이착륙할 수 있는 발착부와, 상기 발착부에 설치되어 상기 드론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드론을 고정하거나 이륙할 수 있도록 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이탈방지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이탈방지유닛은 상기 드론을 고정할 수 있는 죠와, 상기 발착부에 설치되어 상기 죠가 상기 드론과 접촉 되도록 이송시킬 수 있는 작동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발착부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죠가 가이드 되도록 돌출될 수 있는 돌출홈이 형성된 발착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돌출홈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축과, 상기 스크류축의 양측에서 한쌍의 평행한 가이드홈을 마련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는 한쌍의 가이드레일과, 양단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양단의 사이에 상기 스크류축과 스크류결합되는 스크류홈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축이 정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전진 또는 후퇴할 수 있는 이송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죠는 상기 돌출홈을 통해 돌출되도록 상기 이송블록에 설치되며 전진방향에 상기 드론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이 마련되도록 연장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발착부가 기울어질 수 있도록 상기 발착부와 힌지결합되는 틸팅부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틸팅부는 상기 발착부를 기울어질 수 있게 지지하도록 상기 발착부와 힌지축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보조프레임과, 상기 보조프레임에 대한 상기 발착부의 각도를 고정하거나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각도고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도고정유닛은 상기 보조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힌지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각도고정공이 관통 형성된 각도고정브라켓과, 상기 발착부에 설치되며 상기 발착부가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각도고정공과 일직선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각도조절공이 형성된 각도조절부재와, 상기 각도고정공 및 상기 각도조절공에 삽입 체결되어 상기 보조프레임에 대한 상기 발착부의 기울어짐을 차단하는 각도고정핀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발착부에 탑재된 드론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이 개폐될 수 있는 케이지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케이지는 상기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발착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각각의 일측에 케이지가이드홈이 형성된 한쌍의 베이스레일들과, 상기 케이지가이드홈을 따라 가이드되는 복수개의 베이스롤러들과, 상기 베이스롤러들에 의해 양측이 각각 유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쌍의 지지벽들과, 상기 지지벽들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벽들이 전후방향으로 유동함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캐노피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발착부에 탑재된 드론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내부에 상기 수용공간이 개폐될 수 있는 케이지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케이지는 상기 발착부를 소정 높이로 이격시키도록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힌지결합되고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양측을 개폐할 수 있는 한쌍의 제1 측벽들과, 상기 제1 측벽들의 상부로부터 각각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지붕과, 상기 베이스의 전후측에 힌지결합되고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전후측을 개폐할 수 있는 한쌍의 제2 측벽들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드론 캐리어는 드론이 이착륙할 수 있는 발착부와, 상기 발착부에 설치되어 상기 드론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드론을 고정하거나 이륙할 수 있도록 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이탈방지유닛을 포함하는 드론 이착륙대와,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발착부를 전후방으로 이송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유닛과, 상기 슬라이드유닛에 대한 상기 발착부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슬라이드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이탈방지유닛은 상기 드론을 고정할 수 있는 죠와, 상기 발착부에 설치되어 상기 죠가 상기 드론과 접촉되도록 이송시킬 수 있는 작동부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 유닛은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발착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각각의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홈이 형성된 한쌍의 슬라이드레일들과, 상기 슬라이드홈을 따라 가이드되어 상기 발착부를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개의 슬라이드롤러들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레일은 상기 발착부를 고정하기 위한 소정의 위치상에 상기 슬라이드고정부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발착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슬라이드고정공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론 이착륙대와 이를 이용한 차량용 드론 캐리어는 이탈방지유닛에 의해 죠가 드론과 접촉되어 드론을 발착부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드론이 장기간 거치된 상태에서도 일정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틸팅부를 통해 발착부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어 경사지에서도 드론이 수평자세로 이착륙할 수 있는 이착륙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케이지를 통해 드론을 외부환경으로부터 격리할 수 있어 눈, 비와 같은 이물질이 드론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대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이탈방지유닛을 확대도시한 요부사시도,
도 3는 도 1의 틸팅부를 확대도시한 요부사시도,
도 4은 도 1의 이탈방지유닛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대의 사시도,
도 6는 도 5의 케이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대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대한 케이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9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드론캐리어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슬라이드고정부재를 확대도시한 요부사시도,
도 11은 도 9의 차량용 드론캐리어가 차량에 설치되고 오르막 경사로에 위치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
도 12은 도 9의 차량용 드론캐리어가 차량에 설치되고 내리막 경사로에 위치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대의 입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각도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분리사시도,
도 15는 도 13의 각도고정부의 작동예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드론 이착륙대와 이를 이용한 차량용 드론 캐리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대(1)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대(1)는 드론(0)이 이착륙할 수 있는 발착부(10)와, 발착부(10)에 설치되어 드론(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드론(0)을 고정하거나 이륙할 수 있도록 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이탈방지유닛(20)을 구비한다.
발착부(10)는 메인프레임(11)과, 메인프레임(11)의 상부에 설치되며 죠(21)가 가이드 되도록 돌출될 수 있는 돌출홈(16)이 형성된 발착패드(15)를 구비한다.
발착패드(15)는 소정의 폭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목재, 플라스틱, 판금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돌출홈(16)은 발착패드(15) 상에서 드론(0)이 이착륙하는 부분의 중심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경로를 형성하도록 한쌍의 장공이 폭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것이다.
메인프레임(11)은 다수개의 알루미늄 프로파일, 또는 사각파이프 등의 부재들로 제작되어 발착패드(15)를 충격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설치되며 이때 메인프레임(11)을 이루는 부재들이 돌출홈(16)의 하부에 배치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탈방지유닛(20)은 드론(0)을 고정할 수 있는 죠(21)와, 발착부(10)에 설치되어 죠(21)가 드론(0)과 접촉 되도록 이송시킬 수 있는 작동부(30)를 구비한다.
작동부(30)는 돌출홈(26)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메인프레임(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축(33)과, 스크류축(33)의 양측에서 한쌍의 평행한 가이드홈(35)을 마련하도록 메인프레임(11)에 설치되는 한쌍의 가이드레일(34)과, 양단이 가이드레일(34)에 의해 지지되고 양단의 사이에 스크류축(33)과 스크류결합되는 스크류홈(37)이 관통 형성되어 스크류축(33)이 정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전진 또는 후퇴할 수 있는 이송블록(36)을 구비한다.
돌출홈(16)의 하부에 돌출홈(16)과 평행한 회전축을 형성하도록 한쌍의 필로우블록(31)이 메인프레임(11)에 설치되고, 스크류축(33)은 각 필로우블록(3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스크류축(33)의 외주면에는 스크류축(33)의 회전에 따라 이송블록(36)이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도록 스크류가 형성되어 이송블록(36)과 나사결합된다.
가이드레일(34)은 스크류축(33)과 평행하게 메인프레임(11)에 한쌍이 스크류축(33) 및 돌출홈의 양측에서 설치되고, 가이드홈(35)은 각 가이드레일(34)의 상호 대향하는 측면에 돌출홈(16)과 평행하고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인입 형성된다.
이때, 스크류축(33)과 가이드홈(35)의 각 중심은 발착패드(15)와 평행한 평면상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블록(36)은 중심부에 스크류축(33)이 결합되도록 스크류홈(37)이 관통 형성되고, 스크류홈(37)의 내주면에는 스크류축(33)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크류와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것이다.
이송블록(36)의 양측은 가이드홈(35)보다 작은 폭으로 연장 형성되어 각각 가이드홈(35)에 삽입됨으로써 스크류축(33)이 회전함에 따라 이송블록(36)이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한다.
죠(21)는 돌출홈(16)을 통해 발착패드(15)의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이송블록(36)에 설치되며 죠(21)가 드론0)과 접촉하기 위해 이송되는 전진방향에 드론(0)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22)이 마련되도록 연장 형성된다.
죠(21)는 드론(1)이 수평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드론(1)과 전진방향으로 접촉하는 수평물림부(23)와, 수평물림부(23)가 드론(1)과 접촉하면 드론(1)이 수직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드론(1)과 결합되는 결합홈(22)을 형성하는 수직물림부(24)로 구성된다.
수평물림부(23)와 수직물림부(24)는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해 조립이 가능한 분할된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체로 형성된 것 또한 이와 다르지 않다.
작동부(30)는 드론(0)이 이착륙하는 발착패드(15)의 중심에 대해 대칭하도록 한쌍이 설치됨으로써 각 죠(21)가 드론(0)과 접촉하는 중심방향으로 전진하여 드론(0)과 접촉함으로써 드론(0)이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때, 각 스크류축(33)은 중심방향의 각 일측이 상호 축결합되고 상호 스크류의 방향이 반대로 형성됨으로써 하나의 스크류축(33)이 회전하면 다른 하나의 스크류축이 동시에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호 대칭관계에 있는 죠(21)들이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일 스크류축(33)은 메인프레임(11)의 후퇴방향에 설치된 필로우블록(31)으로부터 중심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더 연장형성되고 후퇴방향의 일측부에 중심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지레부(38)가 연장 형성되고, 지레부(38)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부재(39)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핸들부재(39)를 적은 힘으로도 스크류축(33)를 회전시킬 수 있는 토크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다르게, 스크류축(33)의 일측부에 렌치용 비트 등을 삽입 체결할 수 있는 다각의 홈(미도시)이 인입 형성되어 렌치와 같은 수공구 또는 전동렌치를 이용해 스크류축(33)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 또한 이와 다르지 않다.
발착부(10)가 기울어질 수 있도록 발착부(10)의 하부에는 틸팅부(40)가 힌지결합된다.
틸팅부(40)는 발착부(10)를 기울어질 수 있게 지지하도록 발착부(10)와 힌지축(13)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보조프레임(41)과, 보조프레임(41)에 대한 발착부(10)의 각도를 고정하거나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각도고정유닛(50)을 구비한다.
틸팅부(40)는 메인프레임(11)의 하부에 배치되고, 메인프레임(11)의 하부에는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힌지축(13)이 삽입될 수 있는 제1 회전축공(14)이 형성된 제1 지지부재(12)가 고정 결합된다.
보조프레임(41)은 다수개의 알루미늄 프로파일, 또는 사각파이프 등의 부재들로 제작된다.
보조프레임(41)에는 일측이 보조프레임(41)에 고정 설치되어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1 회전축공(14)과 일직선의 회전축을 이루는 제2 회전축공(43)이 형성된 제2 지지부재(42)가 설치됨으로써 메인프레임(11)과 보조프레임(41)이 제1, 2 회전축공(14, 43)에 삽입되는 힌지축(13)에 의해 힌지결합 될 수 있다.
각도고정유닛(50)은 보조프레임(41)에 설치되며 힌지축(13)과 평행한 방향으로 각도고정공(52)이 관통 형성된 각도고정브라켓(51)과, 발착부(10)에 설치되며 발착부(10)가 기울어짐에 따라 각도고정공(52)과 일직선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각도조절공(55)이 형성된 각도조절부재(54)와, 각도고정공(52) 및 각도조절공(55)에 삽입 체결되어 보조프레임(41)에 대한 발착부(10)의 기울어짐을 차단하는 각도고정핀(57)을 구비한다.
각도고정브라켓(51)은 일측이 보조프레임(41)에 고정 설치되어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판상의 구조물로 형성된다. 이때, 각도고정핀(57)이 힌지축(13)과 평행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각도고정공(52)이 힌지축(13)과 평행한 일직선으로 배열되게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도조절부재(54)는 힌지축(13)과 직교하게 설치되는 판상의 부재로 제1 지지부재(12)와 일체로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달리 메인프레임(11)에 별도로 설치됨도 다름없다.
각도조절부재(54)에는 각도조절공(55)이 제1 회전축공(14)으로부터 고정하고자 하는 각도마다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며, 각각의 각도조절공(55)들로부터 제1 회전축공(14)까지의 거리는 모두 동일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각도조절공(55)들은 삽입된 각도고정핀(57)의 유동이 최소화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도고정핀(57)은 상기 각도고정공(52)과 각도조절공(55)를 통해 각도를 고정하기 위한 삽입방향으로 삽입되어 각도고정브라켓(51)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발착부(10)의 각도조절부재(54)가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된다.
각도고정핀(57)은 사용자가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각도조절공(52)에 삽입되지 않는 일측이 수직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도고정핀(57)은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된 탄성부재(58)가 각도고정브라켓(51)에 의해 일측이 각도고정핀(57)의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지지되고 각도고정핀(57)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각도고정핀(57)의 중단에 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판상의 탄성부재지지부(59)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각도고정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각도고정핀(57)을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당기면 탄성부재(58)가 압착됨으로써 각도고정핀(57)을 삽입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발생시킴으로써 각도고정을 위한 조작을 간편하게 한다.
도면에는 틸팅부(40)에 대한 발착부(10)의 각도 조절이 하나의 힌지축(13)에 의한 회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도시되어 있으나 도시된 바와 다르게 상호 직교하는 복수개의 힌지축(13) 및 각도고정유닛(50)을 구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대(1)가 경사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전후방향에 대한 발착부(10)의 기울기 뿐만 아니라 좌우방향에 대한 발착부(10)의 기울기 또한 조절할수 있게 구성함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대(1)의 작동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돌출홈(16)을 통해 돌출된 죠(21)가 발착패드(15)의 중심으로부터 벌어진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드론(0)이 발착패드(15)의 상면에 탑재됨으로써 착륙하거나 적재될 수 있다.
드론(0)이 발착패드(15)의 상면에 탑재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핸들부재(39)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죠(21)를 드론(0)에 접촉시킴으로써 드론(0)을 발착패드(15)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죠(21)를 드론(0)으로부터 떨어뜨림으로써 고정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론 착륙대(1)가 기울어진 장소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각도고정핀(57)을 당겨 각도고정공(52)과 각도조절공(55)으로부터 뽑음으로써 틸팅부(40)에 대한 발착부(10)의 각도 고정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사용자는 발착부(10)를 드론이 이착륙하기 용이한 수평상태로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발착부(10)를 수평상태로 조절 한 뒤 각도고정공(52)과 고정하고자 하는 각도의 각도조절공(55)을 일치시키고 각도조정핀(57)을 파지한 손을 놓으면 압착된 상태의 탄성부재(58)가 발생시키는 복원력에 의해 각도조정핀(57)이 각도고정공(52)과 각도조절공(55)에 삽입되어 각도 고정상태를 유지할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대(2)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대(2)가 도시되어 있다.
케이지(70) 외에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함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대(2)는 발착부(10)에 탑재된 드론(0)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71)이 내부에 마련되며, 수용공간(71)이 개폐될 수 있는 케이지(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케이지(7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발착부(10)의 양측에 배치되고 각각의 일측에 케이지가이드홈(74)이 형성된 한쌍의 베이스레일(72)들과, 케이지가이드홈(74)을 따라 가이드되는 복수개의 베이스롤러(76)들과, 베이스롤러(76)들에 의해 양측이 각각 유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쌍의 지지벽(78)들과, 지지벽(78)들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지지벽(78)들이 전후방향으로 유동함에 따라 수용공간(71)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캐노피(79)를 구비한다.
각 베이스레일(72)들은 상호 대면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에 케이지가이드홈(74)이 형성되고 드론(0)이 적재되는 발착패드(15)를 중심으로 상호 대칭하게 설치된다.
베이스레일(72)은 발착부(1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적어도 두배 이상 연장 형성되어 캐노피(79)가 수용공간(71)의 상부를 완전이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이송될 수 있는 거리의 경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롤러(76)들은 케이지가이드홈(74)을 따라 유동 가능하도록 베이스레일(72)과 체결되며, 지지벽(78)은 베이스롤러(76)들이 케이지가이드홈(74)의 유동에 따라 이송되도록 지지하도록 일측이 베이스롤러(76)의 회전축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이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벽브라켓(77)에 고정 결합된다.
각 지지벽(78)들은 상호 드론(0)이 적재되는 발착패드(15)를 중심으로 상호 대칭하게 설치된다.
캐노피(79)는 수용공간(71)의 상부를 연결함으로써 수용공간(71)의 상부를 차단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캐노피(79)와 지지벽(78)은 일체 또는 분할된 판재로 형성된 것일 뿐만 아니라 프레임과 프레임에 고정되는 직물 또는 비닐 등의 가요성 소재로 형성된 것임도 무방하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베이스레일(72)에는 복수개의 캐노피(79)가 겹쳐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각 캐노피(79)를 지지하는 지지벽(78)들은 다른 캐노피를 지지하는 지지벽과 간섭되지 않도록 각기 다른 간격으로 배열되며, 각 지지벽(78)을 지지하는 지지벽브라켓(77)은 일측이 베이스롤러(76)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방으로 연장되어 각 지지벽(78)을 지지하는 간격을 달리 형성하도록 각기 다른 측방으로 으로 절곡된 것이다.
또한, 캐노피(79)가 이송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여러 방법이 채택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벽(78)에 설치되어 캐노피(79)를 고정하고자 하는 위치상에서 베이스레일(72)과 결합되거나 해제될 수 있는 고정클립(73)이 적용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다르게 베이스레일(72)의 케이지가이드홈(74)에 삽입되어 베이스롤러(76)의 유동을 차단하는 차단부재(미도시), 또는 베이스롤러(76)와 지지벽브라켓(77)을 밀착시키도록 조임으로써 베이스롤러(76)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조임부재(미도시)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대(2)는 지지벽(78) 및 캐노피(79)를 베이스레일(72)을 따라 이송하여 발착패드(15)에 탑재된 드론(0)을 바람, 비 또는 눈과 같은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대(3)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대(3)가 도시되어 있다.
케이지(70) 외에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함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대(3)는 발착부(10)에 탑재된 드론(0)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81)이 내부에 마련되며, 수용공간(81)이 개폐될 수 있는 케이지(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케이지(80)는 발착부(10)를 소정 높이로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베이스(82)와 수용공간(81)의 양 측을 개폐할 수 있게 베이스(82)의 양측에 힌지결합되는 제1 측벽(85)과, 제1 측벽(85)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제1 측벽(85)이 양 측을 개폐함에 따라 수용공간(81)의 상방을 개폐할 수 있는 지붕(87)과, 수용공간(81)의 전후측을 개폐할 수 있게 베이스(82)의 전후측에 힌지결합되는 제2 측벽(89)을 구비한다.
베이스(82)는 발착부(10)의 너비보다 더 큰 너비로 형성되는 판상의 하판(83)과, 하판(83)의 양측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갖도록 상방 연장 형성되는 한쌍의 지지판(84)으로 구성된다.
발착부(10)는 지지판(84)에 의해 지지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부(40)의 양측이 고정결합된다.
이때, 제1 측벽(85) 또는 제2 측벽(89)이 수용공간(81)을 개폐하는 움직임에 의해 발착부(10)가 간섭되지 않도록 지지판(84)의 상호 대향하는 내측면에 의해 상기 틸팅부(40)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측벽(85)은 일측이 각 지지판(84)과 힌지결합되고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타측이 상호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지붕(87)은 제1 측벽(85)의 각 상부로부터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제1 측벽(85)이 수용공간(81)의 측방을 차단하면, 수용공간(81)의 상방을 차단한다.
제2 측벽은 제1 측벽(85)이 수용공간(81)의 양측을 차단하고, 지붕(87)이 수용공간(81)의 상방을 차단하는 상태에서 전후측을 개폐할 수 있도록 일측이 하판(83)와 힌지결합되고 수용공간(81)의 전후측을 차단하도록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각 지붕(87)은 상부에 후크 또는 클립 등의 걸림부재(92)가 걸릴 수 있는 걸림쇠부재(91)가 각각 설치됨으로써 걸림부재(92)를 걸림쇠부재(91)에 걸어 양 지붕(87)이 상호 벌어지지 않게 고정하여 수용공간(81)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대(3)는 수용공간(81)을 외부로부터 완전히 격리하여 드론(0)을 외부환경으로부터 완전히 보호할 수 있으며, 베이스(82)가 차량에 설치된 차량 탑재형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붕(87)에 별도의 손잡이를 설치함으로써 도수 운반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드론 캐리어(4)에 대해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드론캐리어(4)가 도시되어 있다.
슬라이드유닛(100)과 슬라이드고정부재(120)와 보조프레임(41)외에는 상술한 와 동일함에 따라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드론 캐리어(4)는 드론(0)이 이착륙할 수 있는 발착부(10)와, 발착부(10)에 설치되어 드론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드론을 고정하거나 이륙할 수 있도록 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이탈방지유닛(20)을 포함하는 드론 이착륙대(1)와, 차량에 설치되어 발착부를 전후방으로 이송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유닛과, 슬라이드유닛(100)에 대한 발착부(1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슬라이드고정부재(120)를 구비하고, 이탈방지유닛(20)은 드론(0)을 고정할 수 있는 죠(21)와, 발착부(10)에 설치되어 죠(21)가 드론(0)에 접촉되도록 이송시킬 수 있는 작동부(30)를 구비한다.
슬라이드유닛(10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발착부(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각각의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홈(111)이 형성된 한쌍의 슬라이드레일(110)들과, 슬라이드홈(111)을 따라 가이드되어 발착부(10)를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개의 슬라이드롤러(113)들을 구비한다.
슬라이드레일(110)은 승용차의 상부 또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등에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어 발착부(10)의 양측에 설치되고, 슬라이드홈(111)은 상호 대향하는 내측면에 슬라이드레일(1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슬라이드롤러(113)는 보조프레임(41)의 양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슬라이드홈(111)을 따라 전후방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드레일(110)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보조프레임(41)은 차량의 전방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가 더 연장된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적재함에 설치된 슬라이드롤러(113)로부터 발착부(10)가 차량의 외부로 돌출되게 지지될 수 잇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한 도면에는 틸팅부(40)를 구비함에 따라 슬라이드롤러(113)가 보조프레임(41)을 지지하도록 도시되어있으나, 틸팅부를(40)를 구비하지 않고 슬라이드롤러(113)를 메인프레임(11)의 양측에 설치함 또한 이와 다름없다.
슬라이드홈(111)을 따라 유동하는 발착부(1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슬라이드레일(110)은 발착부(10)를 고정하기 위한 위치상의 상면으로부터 슬라이드홈(111)을 연통하는 적어도 한쌍의 슬라이드고정공(112)들이 형성되고, 각 슬라이드고정공(112)에는 한쌍의 고정못(121)을 구비하는 슬라이드고정부재(120)가 삽입됨으로써 슬라이드롤러(113)의 전후방을 차단하도록 체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드론 캐리어(4)는 드론(0)이 발착부(10)에 탑재된 상태에서 슬라이드레일(110)에 따라 이송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슬라이드레일(110)에 복수개의 드론 이착륙대(1)를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종류 및 슬라이드레일(110)의 길이에 따라 복수개의 드론(0)을 탑재 및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드론캐리어(4)가 화물차에 설치된 상태에서 경사로에 위치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랑용 드론 캐리어(4)는 틸팅부(40)를 통한 발착부(10)의 각도를 조정함에 있어 적재함 바닥과의 간섭을 피함으로써 더 넓은 범위의 각도조정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도 13 내지 도 15 에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대(5)가 도시되어 있다.
틸팅부(40)외에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함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대(5)는 전후방향의 경사면에서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힌지축(13)에 대해 직교하는 좌우방향의 경사면에서 기울기를 조절할 수도록 복수개의 각도고정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12)의 상부에는 제1 회전축공(14)과 수평상에서 직교하는 회전축을 형성하도록 제2 보조회전축공(138)이 형성되고 제2 보조회전축공(138)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보조각도고정핀(134)이 체결될 수 있는 보조각도고정공(131)이 형성된 한쌍의 보조지지부재(139)가 설치된다.
메인프레임(11)의 하부에는 보조지지부재(139)와 보조힌지축(133)에 의해 힌지결합 될 수 있도록 한쌍의 보조각도조절부재(132)가 설치되며, 보조각도조절부재(132)는 보조힌지축(133)이 삽입될 수 있는 제1 보조회전축공(137)이 형성됨으로써 보조힌지축(133)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보조각도조절부재(132)에는 보조각도조절부재(132)와 보조지지부재(139)가 상호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기울어짐에 따라 보조각도고정공(131)과 일직선을 이루는 보조각도조절공(136)이 형성됨으로써 보조각도조절공(136)과 보조각도고정공(131)에 보조각도고정핀(134)이 체결됨으로써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보조각도고정핀(134)과 보조힌지축(133)은 각각의 일측이 보조손잡이(135)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사용자가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보조각도고정핀(134)을 해제하거나, 각도를 고정하기 위해 보조각도고정핀(134)을 체결하기 위한 조작을 쉽게 할 수 있다.
보조힌지축(133)은 각 보조지지부재(139)의 제2 보조회전축공(138)에 체결된 상태에서 돌출된 타측부에 보조탄성부재(141)가 체결되고 보조탄성부재(141)가 압축되는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보조힌지축(133)의 선단부에 보조나사(142)가 체결됨으로써 보조각도고정핀(134)이 체결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대(5)는 경사면에서 전후방향에 대해 1차적인 기울기의 조절에 더하여 좌우방향에 대한 2차적인 기울기의 조절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드론 이착륙대와 이를 이용한 차량용 드론 캐리어는 본 도면에 도시 된 일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0 : 드론 1,2,3,5 :드론 이착륙대
4 : 차량용 드론 캐리어
10 : 발착부 20 : 이탈방지유닛
40 : 틸팅부 70, 80 : 케이지
100 : 슬라이드 유닛

Claims (8)

  1. 드론이 이착륙할 수 있는 발착부와;
    상기 발착부에 설치되어 상기 드론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드론을 고정하거나 이륙할 수 있도록 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이탈방지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이탈방지유닛은 상기 드론을 고정할 수 있는 죠와, 상기 발착부에 설치되어 상기 죠가 상기 드론과 접촉 되도록 이송시킬 수 있는 작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이착륙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착부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죠가 가이드 되도록 돌출될 수 있는 돌출홈이 형성된 발착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돌출홈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축과, 상기 스크류축의 양측에서 한쌍의 평행한 가이드홈을 마련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는 한쌍의 가이드레일과, 양단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양단의 사이에 상기 스크류축과 스크류결합되는 스크류홈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축이 정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전진 또는 후퇴할 수 있는 이송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죠는 상기 돌출홈을 통해 돌출되도록 상기 이송블록에 설치되며 전진방향에 상기 드론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이 마련되도록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이착륙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착부가 기울어질 수 있도록 상기 발착부와 힌지결합되는 틸팅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틸팅부는 상기 발착부를 기울어질 수 있게 지지하도록 상기 발착부와 힌지축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보조프레임과, 상기 보조프레임에 대한 상기 발착부의 각도를 고정하거나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각도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이착륙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고정유닛은 상기 보조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힌지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각도고정공이 관통 형성된 각도고정브라켓과, 상기 발착부에 설치되며 상기 발착부가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각도고정공과 일직선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각도조절공이 형성된 각도조절부재와, 상기 각도고정공 및 상기 각도조절공에 삽입 체결되어 상기 보조프레임에 대한 상기 발착부의 기울어짐을 차단하는 각도고정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이착륙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착부에 탑재된 드론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이 개폐될 수 있는 케이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케이지는 상기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발착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각각의 일측에 케이지가이드홈이 형성된 한쌍의 베이스레일들과, 상기 케이지가이드홈을 따라 가이드되는 복수개의 베이스롤러들과, 상기 베이스롤러들에 의해 양측이 각각 유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쌍의 지지벽들과, 상기 지지벽들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벽들이 전후방향으로 유동함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캐노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이착륙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착부에 탑재된 드론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내부에 상기 수용공간이 개폐될 수 있는 케이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케이지는 상기 발착부를 소정 높이로 이격시키도록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힌지결합되고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양측을 개폐할 수 있는 한쌍의 제1 측벽들과, 상기 제1 측벽들의 상부로부터 각각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지붕과, 상기 베이스의 전후측에 힌지결합되고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전후측을 개폐할 수 있는 한쌍의 제2 측벽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이착륙대.
  7. 드론이 이착륙할 수 있는 발착부와, 상기 발착부에 설치되어 상기 드론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드론을 고정하거나 이륙할 수 있도록 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이탈방지유닛을 포함하는 드론 이착륙대와;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발착부를 전후방으로 이송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유닛과;
    상기 슬라이드유닛에 대한 상기 발착부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슬라이드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이탈방지유닛은 상기 드론을 고정할 수 있는 죠와, 상기 발착부에 설치되어 상기 죠가 상기 드론과 접촉되도록 이송시킬 수 있는 작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드론 캐리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유닛은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발착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각각의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홈이 형성된 한쌍의 슬라이드레일들과, 상기 슬라이드홈을 따라 가이드되어 상기 발착부를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개의 슬라이드롤러들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레일은 상기 발착부를 고정하기 위한 소정의 위치상에 상기 슬라이드고정부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발착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슬라이드고정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드론 캐리어.
KR1020200042372A 2020-02-17 2020-04-07 드론 이착륙대와 이를 이용한 차량용 드론 캐리어 KR1023406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115 2020-02-17
KR20200019115 2020-0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513A true KR20210104513A (ko) 2021-08-25
KR102340632B1 KR102340632B1 (ko) 2021-12-20

Family

ID=77495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2372A KR102340632B1 (ko) 2020-02-17 2020-04-07 드론 이착륙대와 이를 이용한 차량용 드론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6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2281A (ko) * 2021-06-01 2022-12-08 주식회사 담스테크 드론의 이착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528B1 (ko) * 2022-06-29 2023-02-07 주식회사 위즈윙 차량용 드론 이착륙 캐리어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2628A (ja) * 1996-05-16 1997-11-25 Mutsuo Hamaguchi 小型飛行体物体の移動式離着陸施設
KR200283987Y1 (ko) 2002-04-18 2002-07-31 이종웅 차량용 루프 캐리어
CN204270150U (zh) * 2014-11-25 2015-04-15 深圳市鸣鑫航空科技有限公司 多旋翼无人机回收系统
KR101552192B1 (ko) * 2014-04-18 2015-09-10 김창만 무인헬기용 보수 받침대
US20170050749A1 (en) * 2015-08-17 2017-02-23 Skyyfish, LLC Autonomous system for unmanned aerial vehicle landing, charging and takeoff
KR102010142B1 (ko) 2017-10-23 2019-08-13 농업회사법인농부촌영농단(합) 농사용 무인기(헬기, 드론)를 위한 탈착형 헬리포트 플랫폼
CN110712584A (zh) * 2019-10-15 2020-01-21 驰运装卸服务(上海)有限公司 一种运无人机卡车装卸系统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2628A (ja) * 1996-05-16 1997-11-25 Mutsuo Hamaguchi 小型飛行体物体の移動式離着陸施設
KR200283987Y1 (ko) 2002-04-18 2002-07-31 이종웅 차량용 루프 캐리어
KR101552192B1 (ko) * 2014-04-18 2015-09-10 김창만 무인헬기용 보수 받침대
CN204270150U (zh) * 2014-11-25 2015-04-15 深圳市鸣鑫航空科技有限公司 多旋翼无人机回收系统
US20170050749A1 (en) * 2015-08-17 2017-02-23 Skyyfish, LLC Autonomous system for unmanned aerial vehicle landing, charging and takeoff
KR102010142B1 (ko) 2017-10-23 2019-08-13 농업회사법인농부촌영농단(합) 농사용 무인기(헬기, 드론)를 위한 탈착형 헬리포트 플랫폼
CN110712584A (zh) * 2019-10-15 2020-01-21 驰运装卸服务(上海)有限公司 一种运无人机卡车装卸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2281A (ko) * 2021-06-01 2022-12-08 주식회사 담스테크 드론의 이착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0632B1 (ko) 2021-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0632B1 (ko) 드론 이착륙대와 이를 이용한 차량용 드론 캐리어
US7381137B2 (en) Zipline braking and motion-arrest system
JP7111775B2 (ja) 容器取付アセンブリ
US4039163A (en) Aircraft cargo ramp
AU673127B2 (en) Wheel chocking system for arresting road vehicles during transportation
KR102177753B1 (ko) 무선 조종이 가능한 와이어 이송 트롤리
US11697034B2 (en) Method of using an aircraft emergency slide container as an installation tool for deinstallation and installation of aircraft emergency slides
US20220266976A1 (en) Aircraft security doo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ty door handling
KR102062695B1 (ko) 드론용 운반체
JP6709344B2 (ja) 船積み用雨除け装置
US10954000B2 (en) Conveyor system
CN112334281B (zh) 挂壁式固定装置
JPH09503468A (ja) 航空機貨物パニエアセンブリ
JP6040446B2 (ja) 運搬用吊り滑車機構および吊り滑車機構使用の運搬方法
AU2010200659A1 (en) Suspension system for an armored vehicle
AU2016301118A1 (en) Load holding system and method
KR20230009227A (ko) 드론 플랫폼
KR102139821B1 (ko) 버스 수화물 슬라이드 적재장치
US7438304B2 (en) Vehicle mount/dismount system
CN215883748U (zh) 一种人防门运输设备
KR101173748B1 (ko) 원격조종 토잉장치
FI12081U1 (fi) Ajoeste
US20200008346A1 (en) Spreader Cover Having Modular Hard Covers Movable by Linkages or Slide Mechanisms and Including Extended Handles
JP6945843B2 (ja) ブレーキ装置を備えた台車
EP4380826A1 (en) Motorized rack for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