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192B1 - 무인헬기용 보수 받침대 - Google Patents

무인헬기용 보수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192B1
KR101552192B1 KR1020140046514A KR20140046514A KR101552192B1 KR 101552192 B1 KR101552192 B1 KR 101552192B1 KR 1020140046514 A KR1020140046514 A KR 1020140046514A KR 20140046514 A KR20140046514 A KR 20140046514A KR 101552192 B1 KR101552192 B1 KR 101552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icopter
support
block
pair
ski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6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만
Original Assignee
김창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만 filed Critical 김창만
Priority to KR1020140046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1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2Helicopters ; Flying to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9/00Work holders
    • Y10S269/909Work holder for specific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 헬기용 보수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복수개의 통과공이 형성된 프레임과, 양단부 일측이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보수대상헬기가 안착되며, 상기 보수대상헬기의 저부와 대응되는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받침부와, 일단부가 상기 복수개의 통과공 중 어느 하나의 통과공을 통과하여 상기 받침부의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 받침부의 회전각도를 고정하는 고정핀 및 상기 받침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일측에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보수대상헬기의 한 쌍의 스키드 중 어느 하나의 스키드 일측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내면 일측에 지지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헬기용 보수 받침대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받침부를 제공함과 아울러 고정핀이 받침부의 일측에 지지되어 받침부의 회전각도를 고정함으로써 무인헬기 보수작업 중 무인헬기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무인헬기를 용이하게 회전하여 뒤집을 수 있으면서도 무인헬기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보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보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인헬기용 보수 받침대{Repair pedestal for unmaned helicopter}
본 발명은 무인 헬기용 보수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인헬기 보수작업 중 무인헬기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무인헬기를 용이하게 회전하여 뒤집을 수 있으면서도 무인헬기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보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보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는 무인 헬기용 보수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인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는 적외선 감지기, 비디오 카메라, 기상 레이더등을 장착하여 다양한 군사적인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경제적, 안전성의 이유로 고공영상촬영, 약품살포등의 목적으로 산업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 주 5일제 근무의 확산으로 레포츠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는데, 그 중 무인기 조정, 즉 RC(Radio Controll) 헬기 조종이 레포츠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상기한 RC(Radio Controll) 헬기는 무선으로 비행을 제어하는 고가의 장난감 일종으로서, 사용자가 조종하는 송신기에서 RC헬기에 장착된 수신기로 제어신호가 무선으로 전달되고, 신호처리를 통하여 구동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RC헬기는 무선신호에 의해 독립적으로 구동될 뿐 아니라 고속비행도 가능한 경우가 많은 바 비숙련자의 경우 조종기술이 미숙하여 의도하지 않은 다른 곳으로 비행하다가 다른 물체와 충돌하거나 무선수신범위를 벗어나 수신기에 제어신호가 전달되지 않아 제어가 불가능하여 RC헬기가 다른 물체와 충돌하거나 지상으로 추락하여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었다.
이에 종래에는 사용자가 파손된 RC헬기의 보수작업을 하기 위해 작업대상영역에 RC헬기를 놓은 상태에서 한 손으로는 RC헬기를 고정하고, 다른 한 손으로 RC헬기를 보수하게 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RC헬기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자의 양손 중 한 손이 사용되면서 다른 한 손만으로 RC헬기를 수리하기에는 보수작업에 상당한 제약이 있었을 뿐 아니라 RC헬기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없어 RC헬기의 보수작업시간이 현저하게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RC헬기 보수작업 중 RC헬기의 저부를 수리해야 하는 경우에는 RC헬기를 뒤집어서 수리해야 하나, RC헬기를 뒤집는 과정에서 메인로터 블레이드, 테일로터 블레이드등과 같은 RC헬기의 부품 일부가 작업대상영역의 바닥면이나 주위 물품에 걸리면서 보수작업 중 RC헬기의 보수대상부품 외의 구성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인헬기 보수작업 중 무인헬기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무인헬기를 용이하게 회전하여 뒤집을 수 있으면서도 무인헬기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보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보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는 무인 헬기용 보수 받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일측에 복수개의 통과공이 형성된 프레임과, 양단부 일측이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보수대상헬기가 안착되며, 상기 보수대상헬기의 저부와 대응되는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받침부와, 일단부가 상기 복수개의 통과공 중 어느 하나의 통과공을 통과하여 상기 받침부의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 받침부의 회전각도를 고정하는 고정핀과, 상기 받침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일측에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보수대상헬기의 한 쌍의 스키드 중 어느 하나의 스키드 일측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내면 일측에 지지되는 걸림부 및 상기 받침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 중 상기 보수대상헬기의 한 쌍의 스키드 중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스키드 일측이 지지되어 상기 한 쌍의 스키드간 높이차를 보상하는 단차보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가 수평상태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받침부의 저면 일측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걸림부는 상기 받침부의 일측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블럭과, 상기 지지블럭 일측에 상기 받침부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보수대상헬기의 한 쌍의 스키드 중 어느 하나의 스키드 일측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내면 일측에 지지되는 이동블럭과, 양측단부가 상기 지지블럭과, 상기 이동블럭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이동블럭에 상기 지지블럭 방향으로 인장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이동블럭과 상기 지지블럭의 일측에 삽입결합되어 상기 이동블럭의 이동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 중 상기 보수대상헬기의 한 쌍의 스키드 중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스키드 일측이 걸림지지되는 걸림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받침부를 제공함과 아울러 고정핀이 받침부의 일측에 지지되어 받침부의 회전각도를 고정함으로써 무인헬기 보수작업 중 무인헬기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무인헬기를 용이하게 회전하여 뒤집을 수 있으면서도 무인헬기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보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보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헬기용 보수 받침대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헬기용 보수 받침대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헬기용 보수 받침대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받침부가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 헬기용 보수 받침대의 분해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 헬기용 보수 받침대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헬기용 보수 받침대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헬기용 보수 받침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헬기용 보수 받침대의 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헬기용 보수 받침대(1)는 프레임(10)과, 받침부(20)와, 고정핀(30)과, 수평지지바(40)와, 걸림부(50) 및 단차보상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10)은 상호 대향되게 수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11)와, 양측 단부가 한 상의 지지플레이트(11)의 일측에 각각 결합되어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11)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바(1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후술하는 받침부(20)의 양측단부를 지지하여 받침부(20)가 안정적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11)는 대략 플레이트형상으로 형성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호 대향되게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후술하는 고정핀(30)이 삽입되어 받침부(20)의 회전각도를 고정할 수 있도록 일측에 복수개의 통과공(11a)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11)는 받침부(20)의 양측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바(12)는 단면이 대략 원형의 바(bar)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단부가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11) 일측에 각각 결합되어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11)를 상호 연결함과 아울러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지지플레이트(11)의 배치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연결바(12)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11)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 적어도 3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부(20)는 대략 플레이트형상으로 형성되는 받침플레이트(21)와, 받침플레이트(21)의 양측단부 일측에 각각 형성되고 일측이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11) 일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축(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받침플레이트(21)는 대략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면에 보수대상헬기가 안착되고, 안착된 보수대상헬기의 저부와 대응되는 중앙부 일측에 개구(21a)가 형성되어 보수대상헬기의 안착영역을 제공함과 아울러 개구(21a)를 통해 보수대상헬기의 저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보수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받침플레이트(21)는 양측단부 일측에 통과공(11a)을 통과한 고정핀(30)의 일측이 삽입되는 고정공(21b)이 형성된다.
회전축(22)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받침플레이트(21)의 양측단부 일측에 각각 형성되고, 일측이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11) 일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받침플레이트(21)가 회전되도록 하여 받침플레이트(21)의 상면에 안착된 보수대상헬기가 동반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보수대상헬기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핀(30)은 통과공(11a) 및 고정공(21b)보다 큰 직경을 갖는 지지판(31)과, 지지판(3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외면에 나사산(32a)이 형성된 고정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고정부(32)가 복수개의 통과공(11a) 중 어느 하나의 통과공(11a)과, 상기한 고정공(21b)에 나사결합되어 받침플레이트(21)의 회전각도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수평지지바(40)는 대략 봉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단부가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11)에 각각 결합되며, 받침플레이트(21)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받침플레이트(21)의 저면 일측을 지지함으로써 받침플레이트(21)의 상면에 보수대상헬기가 안착되는 경우 받침플레이트(21)의 수평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걸림부(50)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블럭형상으로 형성되고, 받침플레이트(21)의 상면 일측에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 일측에 스키드가 삽입되는 삽입홈(51)이 형성된다.
여기서 걸림부(50)는 삽입홈(51)이 상면 일측으로부터 보수대상헬기의 내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삽입홈(51)에 스키드가 삽입된 상태에서 받침플레이트(21)가 회전하는 경우 스키드가 삽입홈(5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차보상부(60)는 대략 블럭형상으로 형성되고, 받침부(20) 중 보수대상헬기의 한 쌍의 스키드 중 걸림부(50)에 지지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스키드 일측이 지지되는 것으로서, 받침플레이트(21)의 상면으로부터 걸림부(50)에 지지되는 스키드의 높이와 대응되는 두께로 형성되어 한 쌍의 스키드간 높이차를 보상함으로써 받침부(20) 회전시 보수대상헬기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받침부가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헬기용 보수 받침대의 동작을 첨부된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받침플레이트(21)를 수평으로 배치하여 받침플레이트(21)의 저면 일측이 수평지지대에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받침플레이트(21)의 상면에 보수대상헬기를 안착한다.
이때, 보수대상헬기의 한 쌍의 스키드 중 어느 하나의 스키드 일측을 걸립부의 삽입홈(51)에 삽입하여 걸림부(50)의 일측에 지지되도록 한다.
이후, 보수작업이 용이한 방향으로 받침플레이트(21)를 회전하여 보수대상헬기가 동반 회전하도록 하고, 받침플레이트(21)의 회전각도가 정해지면 지지플레이트(11)의 통과공(11a)으로 고정핀(30)의 나사부를 삽입하여 나사부의 일측을 받침플레이트(21)의 고정공(21b)에 나사결합함으로써 받침플레이트(21)의 회전각도를 조절한다.
이와 같이 받침플레이트(21)의 회전각도가 고정되면, 작업자는 받침플레이트(21)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21a)를 통해 보수대상헬기를 보수한 후 상기한 순서의 역행으로 보수대상헬기를 받침플레이트(21)로부터 탈거함으로써 보수작업을 완료한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 헬기용 보수 받침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 헬기용 보수 받침대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 내지 도6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2 내지 도4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보수대상헬기(H)의 수리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수대상헬기(H)의 보수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것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 실시예와 달리 걸림부(50')가 지지블럭(51')과, 이동블럭(52')과, 탄성부재(53') 및 고정부재(5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동블럭(52')이 받침부(20)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보수대상헬기(H)가 폭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수대상헬기(H)의 보수작업위치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지지블럭(51')은 대략 블럭형상으로 형성되고 받침부(20)의 일측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51'a)와, 지지부(51'a)의 일측으로부터 받침부(2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레일부(51'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후술하는 이동블럭(52')이 받침부(20)에 설치되도록 설치영역을 제공함과 아울러 이동블럭(52')이 설정된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블럭(52')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지지블럭(51')은 일측에 후술하는 고정부재(54')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지지공(51'c)이 형성된다.
이동블럭(52')은 하단부가 레일부(51'b)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 일측에 보수대상헬기(H)의 한 쌍의 스키드 중 어느 하나의 스키드가 삽입되는 삽입홈(52'a)(51)이 형성되며, 일측에 관통공(52'b)이 형성된다.
이러한 이동블럭(52')은 한 쌍의 스키드 중 어느 하나의 스키드가 삽입홈(52'a)(51)에 삽입되어 이를 지지함과 아울러 받침부(20)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어느 하나의 스키드가 지지된 보수대상헬기(H)가 동반 이동되도록 하여 보수대상헬기(H)의 보수작업위치가 변경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탄성부재(53')는 일반적인 인장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양측단부가 각각 지지블럭(51')의 일측과, 이동블럭(52')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어 이동블럭(52')에 지지블럭(51') 방향으로 인장력을 제공함으로써 후술하는 고정부재(54')의 고정력이 해제되는 경우 이동블럭(52')을 초기위치, 즉 이동블럭(52')이 고정부(32)와 접하는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부재(54')는 대략 핀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동블럭(52')의 관통공(52'b)을 통해 복수개의 지지공(51'c) 중 어느 하나의 지지공(51'c)에 삽입되어 지지블럭(51')의 일측에 결합됨으로써 이동블럭(52')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걸림턱부(70)는 상기한 단차보상부(60)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개가 돌출형성되는 것으로서, 걸림부(50')에 지지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스키드를 지지함으로써 보수대상헬기(H)의 유동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이동블럭(52')을 이동한 상태에서 고정부재(54')를 관통공(52'b)을 통해 지지공(51'c)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다른 하나의 스키드를 지지함으로써 고정부재(54')를 어느 하나의 지지공(51'c)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 헬기용 보수 받침대(1)는 이동블럭(52')의 삽입홈(52'a)에 보수대상헬기(H)의 어느 하나의 스키드가 삽입되어 걸림부(50')에 보수대상헬기(H)가 지지된 상태에서 보수대상헬기(H)를 보수하게 되는데, 보수대상헬기(H)의 보수과정에서 작업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고정부재(54')를 지지공(51'c)으로부터 인출한 후 이동블럭(52')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블럭(52')이 이동됨에 따라 보수대상헬기(H) 또한 이동블럭(52')과 동일한 방향으로 동반 이동되는데, 이동블럭(52')의 이동이 완료되면 보수대상헬기(H)의 다른 하나의 스키드를 복수개의 걸림턱부(70) 중 현재 위치와 대응되는 걸림턱부(70)의 일측에 지지한다.
이후, 고정부재(54')를 관통공(52'b)을 통해 복수개의 지지공(51'c) 중 관통공(52'b)과 대응되는 위치의 지지공(51'c)에 삽입하여 이동블럭(52')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보수대상헬기(H)의 위치를 변경하고, 변경된 위치에서 보수대상헬기(H)의 보수작업을 재개한다.
그 외의 구조는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무인 헬기용 보수 받침대 10 : 프레임
11 : 지지플레이트 11a : 통과공
12 : 연결바 20 : 받침부
21 : 받침플레이트 21a : 개구
21b : 고정공 22 : 회전축
30 : 고정핀 31 : 지지판
32 : 고정부 32a : 나사산
40 : 수평지지바 50 : 걸림부
51 : 삽입홈 50' : 걸림부
51' : 지지블럭 51'a : 지지부
51'b : 레일부 51'c : 고정공
52' : 이동블럭 52'a : 삽입홈
52'b : 관통공 53' : 탄성부재
54' : 고정부재 60 : 단차보상부
70 : 걸림턱부

Claims (5)

  1. 일측에 복수개의 통과공이 형성된 프레임과;
    양단부 일측이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보수대상헬기가 안착되며, 상기 보수대상헬기의 저부와 대응되는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받침부와;
    일단부가 상기 복수개의 통과공 중 어느 하나의 통과공을 통과하여 상기 받침부의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 받침부의 회전각도를 고정하는 고정핀과;
    상기 받침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일측에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보수대상헬기의 한 쌍의 스키드 중 어느 하나의 스키드 일측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내면 일측에 지지되는 걸림부; 및
    상기 받침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 중 상기 보수대상헬기의 한 쌍의 스키드 중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스키드 일측이 지지되어 상기 한 쌍의 스키드간 높이차를 보상하는 단차보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헬기용 보수 받침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가 수평상태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받침부의 저면 일측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헬기용 보수 받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받침부의 일측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블럭과;
    상기 지지블럭 일측에 상기 받침부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보수대상헬기의 한 쌍의 스키드 중 어느 하나의 스키드 일측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내면 일측에 지지되는 이동블럭과;
    양측단부가 상기 지지블럭과, 상기 이동블럭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이동블럭에 상기 지지블럭 방향으로 인장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이동블럭과 상기 지지블럭의 일측에 삽입결합되어 상기 이동블럭의 이동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헬기용 보수 받침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 중 상기 보수대상헬기의 한 쌍의 스키드 중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스키드 일측이 걸림지지되는 걸림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헬기용 보수 받침대.
KR1020140046514A 2014-04-18 2014-04-18 무인헬기용 보수 받침대 KR101552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514A KR101552192B1 (ko) 2014-04-18 2014-04-18 무인헬기용 보수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514A KR101552192B1 (ko) 2014-04-18 2014-04-18 무인헬기용 보수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2192B1 true KR101552192B1 (ko) 2015-09-10

Family

ID=54247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6514A KR101552192B1 (ko) 2014-04-18 2014-04-18 무인헬기용 보수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21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4513A (ko) * 2020-02-17 2021-08-25 백형민 드론 이착륙대와 이를 이용한 차량용 드론 캐리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0893A (ja) * 2009-08-04 2011-02-17 Mechadyne Kk Rcカー支持台
CN103100229A (zh) 2013-02-26 2013-05-15 丁云广 基于航模直升机的机械抓手
KR200472232Y1 (ko) * 2012-06-29 2014-04-10 정홍철 차량용 노트북 거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0893A (ja) * 2009-08-04 2011-02-17 Mechadyne Kk Rcカー支持台
KR200472232Y1 (ko) * 2012-06-29 2014-04-10 정홍철 차량용 노트북 거치대
CN103100229A (zh) 2013-02-26 2013-05-15 丁云广 基于航模直升机的机械抓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4513A (ko) * 2020-02-17 2021-08-25 백형민 드론 이착륙대와 이를 이용한 차량용 드론 캐리어
KR102340632B1 (ko) * 2020-02-17 2021-12-20 백형민 드론 이착륙대와 이를 이용한 차량용 드론 캐리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43296A (zh) 曲率可调的曲面显示器
US20170127833A1 (en) Display supporting apparatus
US9846033B2 (en) Laser level with adjustable stand
US20150239079A1 (en) Screw mounting device
CN104254725A (zh) 云台
EP3053710A1 (en) Pallet for conveying pieces or components along assembly lines
KR101921742B1 (ko) 드론 운전 연습 장치
US10253923B2 (en) Floor stand for flat panel display
CN109163714B (zh) 复杂地形条件下测量定位坐标转换装置及其施工方法
KR101552192B1 (ko) 무인헬기용 보수 받침대
CN204004178U (zh) 配重组件、使用该配重组件的配重机构及云台
CN207425279U (zh) 一种具有可调节高度的led显示屏
WO2015082705A4 (de) Fahrzeug für die fortbewegung eines fahrers mit einer auf einem boden und in beliebige richtungen abrollenden kugel
KR101480525B1 (ko) 측지측량시 삼각대의 지면 고정장치
CN105848531A (zh) 物品展示台
CN105547049B (zh) 光电瞄准系统下视跟踪测试方法及实施该方法的测试装置
KR20130020387A (ko) 캐리지레일 설치용 지그가 구비되어 있는 정반
CN102580274B (zh) 一种飞机灭火瓶灭火剂自动混合装置
WO2016174484A3 (en) Ball serving apparatus
KR101656503B1 (ko) 센터축이 구비된 3축식 모션베이스
KR200444042Y1 (ko) 노즐용 위치조절장치
CN112881210B (zh) 疲劳裂纹观测设备和疲劳裂纹测试装置
US9829148B2 (en) Rotatable platter for a monitor having a passage for wiring and a stopper
KR101605407B1 (ko) 핸들러용 픽커
CN103150727A (zh) 一种摄像机标定靶姿位调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