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4339A - 생체 고분자 기반 광가교형 조직 접착제 제조 - Google Patents

생체 고분자 기반 광가교형 조직 접착제 제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4339A
KR20210104339A KR1020200018961A KR20200018961A KR20210104339A KR 20210104339 A KR20210104339 A KR 20210104339A KR 1020200018961 A KR1020200018961 A KR 1020200018961A KR 20200018961 A KR20200018961 A KR 20200018961A KR 20210104339 A KR20210104339 A KR 20210104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ssue
dopa
tissue adhesive
hama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윤
성금용
찬드라세카란 아지시
김소담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18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4339A/ko
Publication of KR20210104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3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4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4/08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09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6/0023Polysaccha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Heter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more than one sugar residue in the main chain in either alternating or less regular sequence; Gellans; Succinoglycans; Arabinogalactans; Tragacanth or gum tragacanth or traganth from Astragalus; Gum Karaya from Sterculia urens; Gum Ghatti from Anogeissus latifolia;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3Glycosaminoglycans or mucopolysaccharides, e.g. keratan sulfate; Derivatives thereof, e.g. fucoidan
    • C08B37/0072Hyaluronic acid, i.e. HA or hyaluronan; Derivatives thereof, e.g. 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lan) or hyaluron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 고분자 기반 광가교형 조직 접착제 제조에 관한 것으로, 메타크릴레이트 그룹과 DOPA 그룹이 도입된 히알루론산 화합물을 이용하여 광가교성 및 조직 접착성을 동시에 가지는, 생체 고분자 기반의 우수한 조직 접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직 접착체는 보다 향상된 광가교성 및 조직 접착력을 가질 수 있기에, 이를 이용하여 창상 부위의 상처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체 고분자 기반 광가교형 조직 접착제 제조{PREPARATION OF PHOTO-CROSSLINKABLE TISSUE ADHESIVE BASED ON BIOPOLYMERS}
본 발명은 생체 고분자 기반 광가교형 조직 접착제 제조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접착제란, 여러 의료의 영역에서 조직의 고정, 상처의 봉합, 지혈, 공기유출방지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접착제를 말한다. 접착제의 재료는 생체 내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생체 적합성이 높아야 하며, 자연적으로 제거가 되기 위해 생분해성을 가져야 한다. 또한, 기능적으로는 수술 중에 빠르게 접착력을 달성하여야 하며, 체액이나 혈액 등의 젖은 상태에서도 높은 접착력을 유지해야 한다.
기존 의료 환경에서는 상처 부위의 보호 및 지혈 등을 조치하기 위해 의료용 봉합사 및 스테이플을 이용한 기계적 봉합법을 실시하였다. 생체 조직을 접합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계적 봉합법의 경우, 시술 시 전문적인 기술이 요구되며 적용 후 접합제가 풀어지거나 절단으로 인한 염증 반응이 우려된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 글루(glue) 형태의 화학적 접착제를 이용해 창상 부위에 적용 시 편의성을 가지면서도 적절한 조직 접착력을 부여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의료 환경에서 많이 사용되는 글루 형태의 시아노아크릴레이트(cyano-acrylate) 계열의 화학 접착제는 높은 조직 접착성과 편의성을 보여주지만, 젖은 조직에서 그 성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거나 분해 시 독성 물질인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를 생성하여 염증 반응을 유발하는 사례가 보고되었다. 또한, 혈액의 응고과정을 모방하여 제작된 피브린 글루(fibrin glue)는 생체 내에서 거부반응이나 조직 독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접착강도가 약하고 접착에 소요되는 시간이 비교적 길어 대면적이나 움직임이 심한 부위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결국, 상처 회복에 도움을 주면서 의료 환경에서 즉각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조직 접착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27455호 (2012.11.21.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광가교성 및 조직 접착성을 동시에 가지는, 생체 고분자 기반의 우수한 조직 접착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직 접착제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에 따른 조직 접착제는 생체 적합성이 우수하며 창상 부위에서 상처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생체 고분자에 메타크릴레이트(methacrylate) 그룹과 DOPA 그룹을 도입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광가교성 및 조직 접착력을 가질 수 있기에, 본 발명에 따른 조직 접착체를 이용하여 창상 부위의 상처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직 접착제의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합성예에 따른 조직 접착성과 광가교성을 동시에 가지는 히알루론산(HA) 기반 광가교형 조직 접착제 합성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합성예에 따른 HAMA-DOPA의 1H NMR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HAMA-DOPA 농도에 따른 하이드로겔의 물성에 관한 것으로, 4a는 HAMA-DOPA의 전단강도 측정 모식도, 4b는 전단 거리에 따른 조직 접착제의 인장 하중(tensile load) 측정 결과, 4c는 HAMA-DOPA 농도에 따른 전단강도(shear strength)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HAMA-DOPA 농도에 따른 하이드로겔의 조직 접착력에 관한 것으로, 5a는 HAMA-DOPA의 조직 접착력 실험 모식도, 5b는 인장 거리에 따른 조직 접착제의 하중 측정 결과, 5c는 HAMA-DOPA 농도에 따른 조직 접착력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동물모델에서의 HAMA-DOPA 처리에 따른 창상 치유 효과를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HAMA-DOPA의 동물모델의 창상 부위에서의 조직 접착력에 관한 것으로, 7a는 HAMA-DOPA의 창상 부위에서의 조직 접착력 실험 모식도, 7b 및 7c는 창상 부위에서의 조직 접착력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HAMA-DOPA 처리에 따른 창상 조직을 H&E 염색한 후 광학 현미경을 통해 분석한 이미지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생체 고분자 기반 광가교형 조직 접착제를 개발하기 위해, 인체 내 다양한 조직의 구성 성분이자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물질로, 창상 부위에서 상처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을 도입하고, 여기에 광가교형 HA를 구현하기 위해 메타크릴레이트(methacrylate) 그룹과 초기 조직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홍합의 강한 수중 접착력과 관계있는 DOPA 그룹을 도입하여 새로운 형태의 광가교형 조직 접착제를 합성하였다. 창상으로 인해 벌어진 조직 사이에서 상기 조직 접착제의 광 가교 및 향상된 조직 접착력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직 접착제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합성예 1> HAMA-DOPA 합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직 접착제의 개념도를 나타낸 것으로, 창상 부위에 적용하기 위한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생체 고분자로서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을 선택하였고, 광가교형 HA를 구현하기 위해 메타크릴레이트(methacrylate, MA)와 조직 접착력 향상을 위한 도파(DOPA) 그룹을 도입하여 새로운 형태의 광가교형 조직 접착제를 개발하였다.
1. 합성방법
본 합성예에 따른 광가교형 조직 접착제를 제조하기 위해 도 2와 같이, HA 용액에 낮은 온도(0-4℃)와 pH 8-10 조건에서 HA의 하이드록시기(-OH)를 메타크릴레이트로 치환하여 히알루론산 메타크릴레이트(hyaluronate methacrylate, HAMA)를 우선적으로 제조하였고, 제조된 HAMA 고분자의 카르복시기와 조직 접착력을 부여할 DOPA 그룹을 EDC/NHS 촉매 조건 하에서 반응시켜, HAMA-DOPA를 합성하였다.
2. 합성결과
상기 합성예에 따라 제조한 광가교형 조직 접착제의 화학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1H NMR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도 3의 NMR 스펙트럼에서 메타크릴레이트 양성자 (5.6, 6.1ppm)와 DOPA 그룹의 카테콜 양성자 (6.8, 6.9, 7.1ppm)을 HA의 메틸 양성자 (1.9ppm)와 비교 적분하여 치환율(degree of substitution)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메타크릴레이트와 DOPA 그룹의 치환율은 각각 180, 24%로 분석되었으며, 이를 창상 부위에 적용해 새로운 형태의 조직 접착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실험예 1> 광가교형 조직 접착제(HAMA-DOPA)의 물성 평가
상기 합성예에 따라 제조된 HAMA-DOPA 농도에 따른 하이드로겔의 전단강도(shear strength)를 도 4a와 같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4b 및 도 4c와 같이, 고분자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전단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이용해 HAMA-DOPA의 농도 조절을 통해 치료하고자 하는 다양한 조직에 맞게 적용할 수 있다.
<실험예 2> 광가교형 조직 접착제(HAMA-DOPA)의 조직 봉합강도 평가
상기 합성예에 따라 제조된 HAMA-DOPA 하이드로겔이 갖는 조직 봉합강도를 분석하기 위해 인체 피부와 유사한 돼지 피부를 이용하여 도 5a와 같이 실험하였다.
그 결과, 도 5b 및 도 5c와 같이, 고분자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봉합강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15%의 HAMA-DOPA의 접착력은 20.5 ± 4.5 kPa로 가장 높은 접착강도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HAMA-DOPA를 창상 부위에 적용한 후 격한 움직임에도 일정 강도까지는 봉합 부위에 조직 접착제가 탈거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동물 모델을 이용한 광가교형 조직 접착제(HAMA-DOPA)의 창상 치유 효능 평가
광가교형 조직 접착제의 창상 조직에서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실험동물에 창상을 유발한 뒤 HAMA-DOPA를 적용하여 피부 봉합 및 치료를 분석하였다. 실험동물 등부 피부에 창상 유발 당일에서 창상 유발 후 7일 경과 시점까지 대조군과 실험군의 창상 부분을 1일 간격으로 촬영하여 육안적으로 창상 치유 효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도 6과 같이, 창상 유발 당일에는 대조군을 제외한 실험군에서 창상 부위의 접합이 확인되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HAMA-DOPA에 비해 상업용 글루 그룹에서 실험동물의 움직임에 의한 결손이 관찰되었다. 또한, 7일 후 창상 부위에서 HAMA-DOPA 그룹의 창상 수복 및 치유 효능이 더 나은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이를 통해, HAMA-DOPA의 창상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창상 유발 후 7일 경과 시점에서 HAMA-DOPA의 조직 접착력을 유지하는지를 도 7a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도 7b 및 도 7c와 같이, HAMA-DOPA를 적용한 그룹에서는 suture나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의료용 글루보다 우수한 조직 접착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창상 부위에서의 안정적인 봉합 성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치유되는 동안 상처의 벌어짐과 같은 우려로부터 벗어나도록 도와줄 수 있다.
또한, 창상 부위에서의 조직학적 분석을 통한 주변 조직에서의 염증 및 치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H&E 염색 후 광학 현미경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7일째의 경우, 광가교형 조직 접착제 HAMA-DOPA를 적용한 그룹이 대조군(control), suture 군, 상업적 글루(commercial glue) 군에 비해 상처 수복이 잘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도 8의 조직 접착력 결과와 상응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14일째의 경우, HAMA-DOPA를 적용한 그룹이 대조군보다 표피층의 회복이 더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여, 조직 접착제로서의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즉,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

Claims (1)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직 접착제.
    [화학식 1]
    Figure pat00003
KR1020200018961A 2020-02-17 2020-02-17 생체 고분자 기반 광가교형 조직 접착제 제조 KR202101043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961A KR20210104339A (ko) 2020-02-17 2020-02-17 생체 고분자 기반 광가교형 조직 접착제 제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961A KR20210104339A (ko) 2020-02-17 2020-02-17 생체 고분자 기반 광가교형 조직 접착제 제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339A true KR20210104339A (ko) 2021-08-25

Family

ID=77495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961A KR20210104339A (ko) 2020-02-17 2020-02-17 생체 고분자 기반 광가교형 조직 접착제 제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433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8105A1 (en) * 2022-06-21 2023-12-28 King Abdullah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Mussel-inspired photoreactive instant glue for
US11994520B2 (en) 2020-11-23 2024-05-28 King Abdullah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ing lateral flow immunochromatography (LFIA) peptide-based test strips for rapid detection of antigens and antibodies against specific antige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7455A (ko) 2010-01-20 2012-11-2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가교결합성 아크릴레이트 접착제 중합체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7455A (ko) 2010-01-20 2012-11-2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가교결합성 아크릴레이트 접착제 중합체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94520B2 (en) 2020-11-23 2024-05-28 King Abdullah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ing lateral flow immunochromatography (LFIA) peptide-based test strips for rapid detection of antigens and antibodies against specific antigens
WO2023248105A1 (en) * 2022-06-21 2023-12-28 King Abdullah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Mussel-inspired photoreactive instant glue 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9682B1 (ko) 생체 손상 수선 또는 지혈용 제제 및 이를 위한 방법
US20210100928A1 (en) Elastic Biopolymer and Use as a Tissue Adhesive
Kim et al. Rapidly photocurable silk fibroin sealant for clinical applications
RU2674704C1 (ru) Гемостатическая инъекционная игла с покрытием из сшитого хитозана, содержащего пирокатехиновую группу и окисленную пирокатехиновую группу
JP2022064909A (ja) 精製された両親媒性ペプチド組成物を用いた、外科的方法
DE60027606T2 (de) Polyphenolisches protein enthaltende bioadhäsive zusammensetzung
EP2796100B1 (de) Gelbildendes System zum Entfernen von Nierensteinfragmenten
KR20210104339A (ko) 생체 고분자 기반 광가교형 조직 접착제 제조
CN107041967A (zh) 一种功能性自组装纳米多肽水凝胶材料及其在制备止血材料中的应用
Wang et al. A catechol bioadhesive for rapid hemostasis and healing of traumatic internal organs and major arteries
US8795331B2 (en) Medical devices incorporating functional adhesives
DE3390556C2 (ko)
KR102595422B1 (ko) 광경화성 지혈제 조성물
NL2028827B1 (en) Bio-adhesive
WO2000072857A9 (en) Fibrin polymer structure
KR102537183B1 (ko) 두께 조절이 자유롭고 신축력을 지닌 알지네이트-보론산-폴리페놀 봉합사 및 이의 제조방법
Ghosh Light-Activated Biomaterials for Soft Tissue Sealing and Wound Repair
DE202013012287U1 (de) Gelbildendes System zum Entfernen von Nierensteinfragmenten
RU2283669C1 (ru) Медицинский полимерный клей
JP2014217632A (ja) 生体内流路形成誘導材
DE102011057184A1 (de) Vorrichtungen zum Verschliessen offener Wunden und zur Bearbeitung von Gewebe eines menschlichen oder tierischen Kör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