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4223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4223A
KR20210104223A KR1020200018579A KR20200018579A KR20210104223A KR 20210104223 A KR20210104223 A KR 20210104223A KR 1020200018579 A KR1020200018579 A KR 1020200018579A KR 20200018579 A KR20200018579 A KR 20200018579A KR 20210104223 A KR20210104223 A KR 20210104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substrate
display area
blocking patterns
patter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재
김도훈
김한수
박경민
박천덕
소동윤
이영대
최명욱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8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4223A/ko
Priority to US17/132,866 priority patent/US11489137B2/en
Publication of KR20210104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223A/ko
Priority to US17/975,870 priority patent/US117232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6Shielding, e.g. light-blocking means over the TFTs
    • H01L27/3272
    • H01L27/323
    • H01L51/525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에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서로 중첩하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의 상기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표시 소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의 상기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실링 부재, 상기 제2 기판 위의 상기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터치부, 그리고 상기 제2 기판 위의 상기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차단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부재는 복수의 차단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차단 패턴들은 상기 제1 기판의 가장자리와 나란한 제1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1 가장자리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2 가장자리를 가지고, 상기 제1 가장자리의 길이는 상기 제2 가장자리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차단 패턴들의 상기 제2 가장자리는 서로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DISPLAY DEVICE}
본 개시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 주변의 주변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주변 영역에는 표시 영역의 복수의 화소에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회로부와 표시 영역을 밀봉하기 위한 실링 부재가 위치할 수 있다.
실링 부재는 하부 기판과 상부 기판을 합착하고, 복수의 화소 영역을 밀봉할 수 있다. 하부 기판과 상부 기판을 합착하는 실링 공정에 있어서, 실링 부재는 레이저 빔(laser beam)에 의해 가열된 후 경화될 수 있다. 이 때, 실링 부재가 위치할 영역 주변에도 레이저 빔이 조사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실링 부재의 폭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표시 장치의 비표시 영역에 더미 구조가 있을 경우, 이를 통해 외부로부터 정전기가 유입될 수 있고, 정전기에 의해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이나 터치 패널이 파괴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표시 장치의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실링 부재의 폭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비표시 영역의 폭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로부터 정전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전기에 의해 표시 영역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목적은 상술한 목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음이 자명하다.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에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서로 중첩하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의 상기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표시 소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의 상기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실링 부재, 상기 제2 기판 위의 상기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터치부, 그리고 상기 제2 기판 위의 상기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차단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부재는 복수의 차단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차단 패턴들은 상기 제1 기판의 가장자리와 나란한 제1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1 가장자리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2 가장자리를 가지고, 상기 제1 가장자리의 길이는 상기 제2 가장자리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차단 패턴들의 상기 제2 가장자리는 서로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가장자리와 중첩하는 부분과 상기 실링 부재와 중첩하는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차단 부재, 그리고 상기 실링 부재와 중첩하는 상기 부분 사이와 상기 터치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차단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실링 부재와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차단 부재는 상기 실링 부재로부터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가장자리를 향해 순서대로 위치하는 복수의 제1 차단 패턴들, 복수의 제2 차단 패턴들, 그리고 복수의 제3 차단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제1 차단 패턴들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차단 패턴들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제3 차단 패턴들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차단 부재는 상기 실링 부재로부터 상기 터치부를 향해 순서대로 위치하는 복수의 제4 차단 패턴들, 복수의 제5 차단 패턴들, 그리고 복수의 제6 차단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제4 차단 패턴들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제5 차단 패턴들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제6 차단 패턴들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차단 패턴 중 하나의 중앙 부분을 통과하도록 이은 가상의 제1 선은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2 차단 패턴들의 상기 제2 가장자리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4 차단 패턴 중 하나의 중앙 부분을 통과하도록 이은 가상의 제2 선은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5 차단 패턴들의 상기 제2 가장자리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터치부와 같은 층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표시 소자는 상기 실링 부재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에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서로 중첩하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의 상기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실링 부재, 상기 제2 기판 위의 상기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실링 부재와 중첩하지 않는 차단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제1 기판의 가장자리와 나란한 제1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차단 패턴들과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차단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차단 패턴들 중 하나의 중앙 부분을 통과하도록 이은 가상의 제1 선은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2 차단 패턴들의 상기 제2 가장자리들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2 기판 위의 상기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터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터치부와 같은 층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차단 패턴들과 상기 복수의 제2 차단 패턴들은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하게 뻗어 있는 제1 가장자리와 상기 제2 방향과 나란하게 뻗어 있는 제2 가장자리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 가장자리의 길이는 상기 제2 가장자리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표시 장치의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실링 부재의 폭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비표시 영역의 폭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로부터 정전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전기에 의해 표시 영역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효과는 상술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음이 자명하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간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부분(A)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부분(B)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차단 패턴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정전기 입자의 이동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일반적인 표시 장치에서 정전기 입자의 이동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은 한 실험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의 일부 영역을 구분하여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실험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차단 패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 쪽으로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각 구성의 배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간략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표시 장치(10)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DA), 표시 영역(DA)의 주변에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DA)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DA)은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화소들은 유기 발광 소자 또는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화소들은 제1 전극, 제2 전극,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유기 발광 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들과 신호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화소들은 제1 전극, 제2 전극, 액정층,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에 연결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들과 신호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주변을 감싸도록 위치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에는 표시 영역(DA)을 밀봉하는 실링 부재(400), 실링 부재(400)의 양쪽에 위치하는 제1 차단 부재(500a)와 제2 차단 부재(500b)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제1 방향(D1)과 나란한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표시 영역(DA)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제1 가장자리(E1), 제1 방향(D1)과 다른 제2 방향(D2)과 나란한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표시 영역(DA)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제2 가장자리(E2), 그리고 제1 가장자리(E1)와 제2 가장자리(E2) 사이에 위치하는 네 개의 코너부(C)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코너부(C)는 완만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각 코너부(C)의 형상은 변화 가능할 수 있다. 두 개의 제1 가장자리(E1) 중 하나에 인접하여, 구동회로(210)가 위치할 수 있고, 제1 가장자리(E1)의 길이와 제2 가장자리(E2)의 길이는 다를 수 있다.
도 1과 함께 도 2를 참고하면, 표시 장치(10)는 서로 마주하는 제1 기판(100a)과 제2 기판(100b), 제1 기판(100a)과 제2 기판(100b)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 소자(200)와 실링 부재(400)를 포함하고, 제2 기판(100b) 위에 위치하는 터치부(300), 제1 차단 부재(500a)와 제2 차단 부재(5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판(100b)은,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과 수직을 이루고 제1 기판(100a)과 제2 기판(100b)의 표면과 수직을 이루는 제3 방향(D3)을 따라 제1 기판(100a)과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위치한다. 제2 기판(100b)은 표시 소자(200)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 기판(encapsulation substrate)일 수 있다.
표시 소자(200)는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부(300)는 표시 소자(200)와 제3 방향(D3)을 따라 서로 중첩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란 사용자의 손과 같은 외부 물체가 표시 장치의 터치면에 직접적으로 닿는 경우뿐만 아니라 외부 물체가 표시 장치의 터치면에 접근하거나 접근한 상태에서 움직이는(hovering)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터치부(300)는 대부분 표시 영역(DA)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비표시 영역(NDA)에 위치할 수도 있다.
실링 부재(400)는 레이저 빔과 같은 빛 에너지를 통해 가열된 후 경화되어, 제1 기판(100a)과 제2 기판(100b)을 서로 합착시켜 표시 영역(DA)에 위치하는 표시 소자(200)를 밀봉할 수 있다.
제1 차단 부재(500a)와 제2 차단 부재(500b)는 서로 이격될 수 있고, 제1 방향(D1)과 제2 방향(D2)이 교차하여 이루는 평면 형태상, 실링 부재(400)의 양쪽 옆에 위치하고, 제3 방향(D3)을 따라 실링 부재(400)와 서로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제1 차단 부재(500a)와 제2 차단 부재(500b)의 일부 가장자리는 실링 부재(400)와 제3 방향(D3)을 따라 중첩할 수도 있고, 이 경우도 제1 차단 부재(500a)와 제2 차단 부재(500b)의 대부분은 실링 부재(400)와 제3 방향(D3)을 따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차단 부재(500a)와 제2 차단 부재(500b)는 터치부(300)와 같은 층 위에 위치할 수 있으며, 터치부(300)가 포함하는 신호선 등과 같은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차단 부재(500a)와 제2 차단 부재(500b)는 레이저 빔과 같은 빛 에너지를 차단할 수 있다.
제1 차단 부재(500a)와 제2 차단 부재(500b)는 실링 부재(400)에 레이저 빔과 같은 빛 에너지를 조사할 때, 실링 부재(400)가 형성될 위치의 양쪽에 빛이 조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실링 부재(400)의 폭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일, 실링 부재(400)가 위치하는 영역 주변에 제1 차단 부재(500a)와 제2 차단 부재(500b)가 위치하지 않을 경우, 실링 부재(400)가 형성될 영역의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에도 레이저 빔과 같은 빛 에너지가 조사되어, 실링 부재(400)가 형성되어야 할 영역뿐만 아니라 그 주변 영역에도 위치하게 되어, 실링 부재(400)의 폭이 넓어지게 된다. 제1 차단 부재(500a)와 제2 차단 부재(500b)는 실링 부재(400)가 형성될 영역의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에 빛 에너지가 통과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실링 부재(400)의 폭이 불필요하게 넓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면, 도 1 및 도 2와 함께 도 3을 참고하여, 표시 장치(10)의 제1 가장자리(E1)에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NDA)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부분(A)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비표시 영역(NDA)은 제1 방향(D1)과 제2 방향(D2)이 교차하여 이루는 평면을 기준으로, 제1 가장자리(E1)와 실링 부재(400)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차단 부재(500a)와 실링 부재(400)와 터치부(300)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차단 부재(500b)를 포함한다.
제1 차단 부재(500a)는 실링 부재(400)로부터 제1 가장자리(E1)를 향해 차례로 위치하는 복수의 제1 차단 패턴들(50a), 복수의 제2 차단 패턴들(50b), 복수의 제3 차단 패턴들(50c)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1 차단 패턴들(50a)은 제1 가장자리(E1)와 나란한 제1 방향(D1)을 따라 일렬 배치되고, 복수의 제2 차단 패턴들(50b)은 제1 방향(D1)을 따라 일렬 배치되고, 복수의 제3 차단 패턴들(50c)은 제1 방향(D1)을 따라 일렬 배치된다.
복수의 제1 차단 패턴들(50a), 복수의 제2 차단 패턴들(50b), 복수의 제3 차단 패턴들(50c)의 각각은 제1 방향(D1)과 나란한 가장자리의 길이가 제2 방향(D2)과 나란한 가장자리의 길이보다 길다.
복수의 제1 차단 패턴들(50a)의 가장자리들 중 제2 방향(D2)과 나란한 가장자리들은 복수의 제2 차단 패턴들(50b)의 가장자리들 중 제2 방향(D2)과 나란한 가장자리들과 제2 방향(D2)을 따라 서로 중첩하지 않는다. 이와 유사하게, 복수의 제2 차단 패턴들(50b)의 가장자리들 중 제2 방향(D2)과 나란한 가장자리들은 복수의 제3 차단 패턴들(50c)의 가장자리들 중 제2 방향(D2)과 나란한 가장자리들과 제2 방향(D2)을 따라 서로 중첩하지 않는다.
제2 차단 부재(500b)는 실링 부재(400)로부터 터치부(300)를 향해 차례로 위치하는 복수의 제4 차단 패턴들(51a), 복수의 제5 차단 패턴들(51b), 복수의 제6 차단 패턴들(51c)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4 차단 패턴들(51a)은 제1 가장자리(E1)와 나란한 제1 방향(D1)을 따라 일렬 배치되고, 복수의 제5 차단 패턴들(51b)은 제1 방향(D1)을 따라 일렬 배치되고, 복수의 제6 차단 패턴들(51c)은 제1 방향(D1)을 따라 일렬 배치된다.
복수의 제4 차단 패턴들(51a), 복수의 제5 차단 패턴들(51b), 복수의 제6 차단 패턴들(51c)의 각각은 제1 방향(D1)과 나란한 가장자리의 길이가 제2 방향(D2)과 나란한 가장자리의 길이보다 길다.
복수의 제4 차단 패턴들(51a)의 가장자리들 중 제2 방향(D2)과 나란한 가장자리들은 복수의 제5 차단 패턴들(51b)의 가장자리들 중 제2 방향(D2)과 나란한 가장자리들과 제2 방향(D2)을 따라 서로 중첩하지 않는다. 이와 유사하게, 복수의 제5 차단 패턴들(51b)의 가장자리들 중 제2 방향(D2)과 나란한 가장자리들은 복수의 제6 차단 패턴들(51c)의 가장자리들 중 제2 방향(D2)과 나란한 가장자리들과 제2 방향(D2)을 따라 서로 중첩하지 않는다.
이처럼, 제1 차단 부재(500a)의 복수의 제3 차단 패턴들(50c), 복수의 제2 차단 패턴들(50b), 복수의 제1 차단 패턴들(50a)의 가장자리들은 제2 방향(D2)을 따라 일렬 배치되지 않고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차단 부재(500b)의 복수의 제4 차단 패턴들(51a), 복수의 제5 차단 패턴들(51b), 복수의 제6 차단 패턴들(51c)의 가장자리들은 제2 방향(D2)을 따라, 일렬 배치되지 않고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표시 장치(10)의 가장자리(E1)로부터 터치부(300)와 표시 소자(200)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따라 복수의 차단 패턴들(50c, 50b, 50a)의 가장자리가 일렬을 이루지 않도록 배치됨으로써, 복수의 차단 패턴들(50c, 50b, 50a)의 가장자리를 따라 정전기 등이 터치부(300)와 표시 소자(2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표시 장치(10)의 가장자리(E1)로부터 터치부(300)와 표시 소자(200)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따라 복수의 차단 패턴들(51a, 51b, 51c)의 가장자리가 일렬을 이루지 않도록 배치됨으로써, 복수의 차단 패턴들(51a, 51b, 51c)의 가장자리를 따라 정전기 등이 터치부(300)와 표시 소자(2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뒤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면, 도 1 및 도 2와 함께 도 4를 참고하여, 표시 장치(10)의 코너부(C)에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NDA)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부분(B)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코너부(C)의 비표시 영역(NDA)은 제1 방향(D1)과 제2 방향(D2)이 교차하여 이루는 평면을 기준으로,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와 실링 부재(400)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차단 부재(500a)와 실링 부재(400)와 터치부(300)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차단 부재(500b)를 포함한다.
제1 차단 부재(500a)는 복수의 제7 차단 패턴들(52a)을 포함하고, 제2 차단 부재(500b)는 복수의 제8 차단 패턴들(52b)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7 차단 패턴들(52a)과 복수의 제8 차단 패턴들(52b)은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와 실링 부재(4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규치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 중 곡면을 이루지 않고 대체로 한 방향으로 뻗어 있는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NDA)과 달리, 도 4를 참고로 설명한 코너부(C)의 비표시 영역(NDA)의 차단 패턴들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뻗어 있는 가장자리의 길이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지 않고, 가장자리와 나란하게 규칙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면, 도 5를 참고하여,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차단 패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차단 패턴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여, 도 3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 중 곡면을 이루지 않고 대체로 한 방향으로 뻗어 있는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NDA)의 제1 차단 부재(500a)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복수의 제1 차단 패턴들(50a), 복수의 제2 차단 패턴들(50b), 복수의 제3 차단 패턴들(50c)의 각각은 제1 방향(D1)과 나란한 제3 가장자리(E11)의 제1 길이(L1)가 제2 방향(D2)과 나란한 제4 가장자리(E22)의 제2 길이(L2)보다 길다.
제1 차단 패턴들(50a)의 제4 가장자리(E22)는 제2 차단 패턴들(50b)의 제4 가장자리(E22)와 제2 방향(D2)을 따라 서로 중첩하지 않는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차단 패턴들(50b)의 제4 가장자리(E22)는 제3 차단 패턴들(50c)의 제4 가장자리(E22)와 제2 방향(D2)을 따라 서로 중첩하지 않는다.
제1 차단 패턴들(50a)의 중앙 부분을 통과하여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한 가상의 제1 중앙선(CC1)은 인접한 두 개의 제2 차단 패턴들(50b)의 제4 가장자리(E2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차단 패턴들(50b)의 중앙 중앙 부분을 통과하여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한 가상의 제2 중앙선(CC2)은 인접한 두 개의 제3 차단 패턴들(50c)의 제4 가장자리(E2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 차단 부재(500b)의 복수의 차단 패턴들(51a, 51b, 51c)의 형태나 배치는 도 5에 도시한 제1 차단 부재(500a)의 복수의 차단 패턴들(50a, 50b, 50c)과 유사하다.
도 6과 도 7을 참고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정전기 입자의 이동에 대하여 개념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정전기 입자의 이동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7은 일반적인 표시 장치에서 정전기 입자의 이동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외부로부터 제3 차단 패턴들(50c) 중 어느 하나에 정전기 입자(P)가 유입될 경우, 유입된 정전기 입자(P)는 제3 차단 패턴(50c)의 모서리 쪽을 향해 제1 경로(P1)로 이동한 후, 인접한 다른 제3 차단 패턴(50c)을 향해 제2 경로(P2)로 이동하거나, 인접한 제2 차단 패턴(50b)의 가장자리를 향해 제3 경로(P3)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경로(P2)로 이동한 정전기 입자는 인접한 다른 한 제3 차단 패턴(50c)을 향해 이동하거나, 인접한 다른 한 제2 차단 패턴(50b)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제3 경로(P3)로 이동한 정전기 입자는 다시 제2 차단 패턴(50b)의 모서리를 향해 제4 경로(P4)로 이동하고, 다시 인접한 제1 차단 패턴(50a)의 가장자리를 향해 제5 경로(P5)로 이동할 수 있다. 제5 경로(P5)를 통해 이동한 정전기 입자는 제1 차단 패턴(50a) 내에서 다른 한 가장자리나 모서리를 향해 제6 경로(P6)로 이동한 후, 제2 차단 부재(500b)의 복수의 차단 패턴들(51a, 51b, 51c)을 향해 제7 경로(P7)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차단 부재(500b)의 복수의 차단 패턴들(51a, 51b, 51c)에서도 유사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처럼, 외부로부터 제1 차단 부재(500a)에 유입된 정전기 입자는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E1)로부터 터치부(300)와 표시 소자(200)를 향해 이동할 때, 제2 방향(D2)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제1 방향(D1)과 제2 방향(D2)의 조합에 의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차단 부재(500a)의 차단 패턴들(50c, 50b, 50a)의 가장자리 중 제1 방향(D1)과 나란한 제3 가장자리(E11)의 길이가 제2 방향(D2)과 나란한 제4 가장자리(E22)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정전기 입자의 이동 거리는 제2 방향(D2)을 향해 직선으로 이동하는 경우보다 길어지게 된다. 또한, 제3 차단 패턴들(50c)의 제4 가장자리(E22)는 제2 차단 패턴들(50b)의 제4 가장자리(E22)와 나란하지 않고, 제2 방향(D2)을 따라 제3 차단 패턴들(50c)의 제4 가장자리(E22)는 제2 차단 패턴들(50b)의 중앙 부분과 인접한 부분과 중첩한다. 이처럼, 제2 방향(D2)을 따라 서로 인접한 차단 패턴들(50c, 50b, 50a)의 제4 가장자리(E22)가 서로 인접하지 않도록 배치함으로써, 정전기 입자는 제2 방향(D2)을 향해 직선으로 이동하기 어렵다.
이처럼 외부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정전기 입자의 이동 경로가 길어짐으로써, 터치부(300)와 표시 소자(200)까지 이동하기 어렵고, 터치부(300)와 표시 소자(200)까지 이동하기 전에 크기가 감소하거나 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차단 부재(500a)와 제2 차단 부재(500b)를 형성함으로써 실링 부재(400)의 폭이 넓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제1 차단 부재(500a)와 제2 차단 부재(500b)를 통해 터치부(300)와 표시 소자(200)까지 정전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실링 부재(400)의 양쪽에 판형태의 두 차단 부재(5000a, 5000b)를 형성한 경우의 예를 설명한다. 도 7을 참고하면, 외부로부터 유입된 정전기 입자(P)는 두 차단 부재(5000a, 5000b)를 통해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여 예를 들어 세 개의 경로(P11, P12, P13)를 통해 터치부(300)까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차단 부재(500a) 및 제2 차단 부재(500b)와 비교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된 정전기 입자는 짧은 경로를 통해 터치부(300)와 표시 소자(200)에 까지 이동 가능할 수 있다.
그러면, 도 8을 참고하여, 한 실험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한 실험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의 일부 영역을 구분하여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실험예에서는 표시 장치의 제1 가장자리(E1) 중 구동 회로부가 연결된 부분에 실링 부재(400)를 형성하되, 차단 부재(500a, 500b)를 형성하지 않고, 빛을 조사하여 형성한 경우, 실링 부재(400)를 이루는 물질층이 실제 적층된 영역의 제1 폭(W1)과 실제 형성된 실링 부재(400)의 제2 폭(W2)을 각 영역에 따라 비교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도 8은 표시 장치의 제1 가장자리(E1) 중 구동 회로부가 연결된 부분의 영역을 구분한 것이다. 도 8의 제1 영역(1)은 구동 신호선이 위치하는 영역으로 예를 들어 제2 전원선(ELVSS)이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고, 제2 영역(2)과 제3 영역(3)은 구동 신호선이 위치하는 영역으로 예를 들어 제1 전원선(ELVDD)이 각기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4 영역(4)과 제5 영역(5)은 비표시 영역(NDA)을 감싸고 있는 크랙 감지선이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6 영역(6)과 제7 영역(7)은 제조 공정에서 셀을 구분하기 위한 레이블이 위치하는 영역이고, 제8 영역(8)은 터치부(300)에 연결된 감지 신호선들이 위치하는 영역이고, 제9 영역(9)은 제1 영역(1)과 같이 구동 신호선, 예를 들어 제2 전원선(ELVSS)이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위치 1 2 3 4 5 6 7 8 9
W1(㎛) 374 374 374 374 374 374 374 374 374
W2(㎛) 490.73 440.15 492.04 463.51 412.91 455.73 523.16 357 480.36
표 1을 참고하면, 실링 부재(400)의 주변에 차단 부재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 실링 부재(400)를 이루는 물질층이 실제 적층된 영역의 제1 폭(W1)과 실제 형성된 실링 부재(400)의 제2 폭(W2)의 차이가 100㎛이상 발생됨을 알 수 있었다.이처럼, 실링 부재(400)의 주변에 차단 부재를 형성하지 않으면, 실링 부재(400)의 폭이 원하는 값보다 커지게 되고, 이에 의해 비표시 영역(NDA)의 폭을 감소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면 도 9 내지 도 11과 함께, 표 2 및 표 3을 참고하여, 다른 한 실험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실험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차단 패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험예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와 같이 실링 부재(400)의 주변에 제1 차단 부재(500a)와 제2 차단 부재(500b)를 형성한 제1 경우(case 1)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단 부재를 형성한 제2 경우(case 2), 제3 경우(case 3), 제4 경우(case 4)에 대해, 5번에 걸쳐 표시 장치를 형성하였다. 각 경우에 대하여, 다른 조건은 모두 동일하고, 차단 부재의 위치 및 형태만 다르게 형성한 후, 외부에서 일정한 크기의 전압을 인가하여, 정전기에 의해 터치부에 문제가 발생되는 지 여부를 측정하였다. 외부에서 10kV의 전압을 인가한 경우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고, 외부에서 8kV의 전압을 인가한 경우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도 9를 참고하면, 제2 경우(case 2)는 표시 장치의 제1 가장자리(E1)와 실링 부재(400) 사이에 판 형태의 차단 부재(5000a)를 형성하고, 실링 부재(400)와 터치부(300) 사이에 제1 방향(D1)을 따라 길게 뻗어 있는 복수의 차단 패턴들(5a, 5b, 5c, 5d)을 포함하는 차단 부재(5000b)를 형성하였다.
도 10을 참고하면, 제3 경우(case 3)는 표시 장치의 제1 가장자리(E1)와 실링 부재(400) 사이에 제1 방향(D1)과 제2 방향(D2)을 따라 가장자리가 일렬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차단 패턴들(5000c)을 형성하였고, 실링 부재(400)와 터치부(300) 사이에는 차단 부재를 형성하지 않았다.
도 11을 참고하면, 제4 경우(case 4)는 앞선 실험예의 결과에서 실링 부재의 실제 폭이 가장 넓게 형성되는 도 8의 제7 영역(7)에 판 형태의 차단 부재(5000d)를 형성하였고, 실링 부재(400)와 터치부(300) 사이에는 차단 부재를 형성하지 않았다.
case case 1 case 2 case 3 case 4
1 OK Non OK OK OK
2 OK Non OK OK OK
3 OK OK OK OK
4 OK OK OK OK
5 Non OK Non OK Non OK OK
case case 1 case 2 case 3 case 4
1 OK OK OK Non OK
2 OK Non OK OK Non OK
3 OK OK Non OK OK
4 OK Non OK OK OK
5 OK OK OK Non OK
표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와 같이 실링 부재(400)의 주변에 제1 차단 부재(500a)와 제2 차단 부재(500b)를 형성한 제1 경우(case 1)에서, 외부로부터 10kV의 전압이 인가된 경우 중, 한 경우에서만 정전기에 의해 터치부에 문제가 발생하였고, 나머지는 모두 정전기에 의해 터치부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단 부재를 형성한 제2 경우(case 2)는 외부로부터 10kV의 전압을 인가한 경우와 8kV의 전압을 인가한 경우, 정전기에 의해 터치부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단 부재를 형성한 제3 경우(case 3)는 외부로부터 10kV의 전압을 인가한 경우와 8kV의 전압을 인가한 경우 모두 5번 중 한번에서 정전기에 의해 터치부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단 부재를 형성한 제4 경우(case 4)는 외부로부터 10kV의 전압을 인가한 경우 정전기에 의해 터치부에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았으나, 외부로부터 8kV의 전압을 인가한 경우 5번 중 3번에서 정전기에 의해 터치부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본 실시예와 같이, 실링 부재가 위치하는 영역 주변에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와 나란한 방향으로 더 긴 가장자리를 가지는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고,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에서 터치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가장자리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지 않는 복수의 차단 패턴들을 포함하는 차단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실링 부재의 폭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비표시 영역의 폭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로부터 정전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전기에 의해 표시 영역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a, 100b: 기판 200: 표시 소자
300: 터치부 400: 실링 부재
500a, 500b: 차단 부재 DA: 표시 영역
NDA: 비표시 영역 E1, E2: 가장자리

Claims (18)

  1.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에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서로 중첩하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의 상기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표시 소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의 상기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실링 부재,
    상기 제2 기판 위의 상기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터치부, 그리고
    상기 제2 기판 위의 상기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차단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부재는 복수의 차단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차단 패턴들은 상기 제1 기판의 가장자리와 나란한 제1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1 가장자리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2 가장자리를 가지고, 상기 제1 가장자리의 길이는 상기 제2 가장자리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차단 패턴들의 상기 제2 가장자리는 서로 중첩하지 않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가장자리와 중첩하는 부분과 상기 실링 부재와 중첩하는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차단 부재, 그리고
    상기 실링 부재와 중첩하는 상기 부분 사이와 상기 터치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차단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실링 부재와 중첩하지 않는 표시 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제1 차단 부재는 상기 실링 부재로부터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가장자리를 향해 순서대로 위치하는 복수의 제1 차단 패턴들, 복수의 제2 차단 패턴들, 그리고 복수의 제3 차단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차단 패턴들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2 차단 패턴들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3 차단 패턴들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표시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제2 차단 부재는 상기 실링 부재로부터 상기 터치부를 향해 순서대로 위치하는 복수의 제4 차단 패턴들, 복수의 제5 차단 패턴들, 그리고 복수의 제6 차단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4 차단 패턴들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5 차단 패턴들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6 차단 패턴들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표시 장치.
  6. 제4항에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차단 패턴 중 하나의 중앙 부분을 통과하도록 이은 가상의 제1 선은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2 차단 패턴들의 상기 제2 가장자리들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4 차단 패턴 중 하나의 중앙 부분을 통과하도록 이은 가상의 제2 선은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5 차단 패턴들의 상기 제2 가장자리들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8. 제2항에서,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터치부와 같은 층 위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표시 소자는 상기 실링 부재에 의해 밀봉되는 표시 장치.
  10. 제1항에서,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터치부와 같은 층 위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1. 제9항에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표시 소자는 상기 실링 부재에 의해 밀봉되는 표시 장치.
  12.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에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서로 중첩하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의 상기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실링 부재,
    상기 제2 기판 위의 상기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실링 부재와 중첩하지 않는 차단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제1 기판의 가장자리와 나란한 제1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차단 패턴들과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차단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차단 패턴들 중 하나의 중앙 부분을 통과하도록 이은 가상의 제1 선은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2 차단 패턴들의 상기 제2 가장자리들 사이를 통과하는 표시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제2 기판 위의 상기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터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터치부와 같은 층 위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복수의 제1 차단 패턴들과 상기 복수의 제2 차단 패턴들은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하게 뻗어 있는 제1 가장자리와 상기 제2 방향과 나란하게 뻗어 있는 제2 가장자리를 가지고, 상기 제1 가장자리의 길이는 상기 제2 가장자리의 길이보다 긴 표시 장치.
  15. 제13항에서,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터치부와 같은 층 위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6. 제15항에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표시 소자는 상기 실링 부재에 의해 밀봉되는 표시 장치.
  17. 제12항에서,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터치부와 같은 층 위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8. 제17항에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표시 소자는 상기 실링 부재에 의해 밀봉되는 표시 장치.
KR1020200018579A 2020-02-14 2020-02-14 표시 장치 KR2021010422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579A KR20210104223A (ko) 2020-02-14 2020-02-14 표시 장치
US17/132,866 US11489137B2 (en) 2020-02-14 2020-12-23 Display device
US17/975,870 US11723227B1 (en) 2020-02-14 2022-10-28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579A KR20210104223A (ko) 2020-02-14 2020-02-14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223A true KR20210104223A (ko) 2021-08-25

Family

ID=77272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579A KR20210104223A (ko) 2020-02-14 2020-02-14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11489137B2 (ko)
KR (1) KR2021010422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4223A (ko) 2020-02-14 2021-08-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538B1 (ko) 2009-11-16 2012-04-1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197935B1 (ko) 2014-02-21 2021-01-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5132698A1 (en) * 2014-03-06 2015-09-1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device
CN108766994B (zh) * 2018-06-20 2021-03-16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面板和有机发光显示装置
KR20200094244A (ko) 2019-01-29 2020-08-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210104223A (ko) 2020-02-14 2021-08-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57578A1 (en) 2021-08-19
US11723227B1 (en) 2023-08-08
US11489137B2 (en) 202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9281B1 (ko) 전자 장치
JP6055089B2 (ja) 表示装置
TWI545371B (zh) 電子元件、觸控面板及使用其之顯示裝置
KR20180047586A (ko) 인-셀 터치 폴더블 표시 장치
CN109671703B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JP6401026B2 (ja) 表示装置
KR101595659B1 (ko) 액정 표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N112130368B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JP5805797B2 (ja) 表示装置
JP2017083738A (ja) 表示装置
WO2014129272A1 (ja) 表示装置
KR20210104223A (ko) 표시 장치
JP6560556B2 (ja) 表示装置
CN110275650B (zh) 触摸感应装置、触控显示面板及触控显示面板母板
CN103354209B (zh) 显示面板及其封装方法
WO2021020469A1 (ja) センサ付き表示装置
KR10246788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5981005B2 (ja) 表示装置
KR102288112B1 (ko) 전자 장치
KR102523923B1 (ko) 표시 패널용 모기판, 그의 절단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표시 패널
KR102611213B1 (ko) 표시 장치
WO2019021927A1 (ja) 表示パネル
JP7565204B2 (ja) タッチパネル及び表示装置
CN113157149A (zh) 触控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JP2018147348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