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2226A - 스피커 장치 - Google Patents

스피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2226A
KR20210102226A KR1020217016567A KR20217016567A KR20210102226A KR 20210102226 A KR20210102226 A KR 20210102226A KR 1020217016567 A KR1020217016567 A KR 1020217016567A KR 20217016567 A KR20217016567 A KR 20217016567A KR 20210102226 A KR20210102226 A KR 20210102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sound
speaker
speaker unit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6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지 나가타
마사토시 다니자와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02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22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53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using an acoustic labyrinth or a transmission line
    • H04R1/285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using an acoustic labyrinth or a transmission line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헬멧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되고, 음성의 출력을 행하는 스피커 유닛과, 스피커 유닛을 배면측으로부터 덮는 배면벽부를 갖고 스피커 유닛의 배면과 배면벽부 사이의 공간이 스피커 유닛의 배면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출력 공간으로서 형성된 스피커 하우징과, 내부 공간이 출력 공간에 연통되어 출력 공간으로 출력되는 음성을 헬멧의 외부를 향하여 유도하는 덕트를 구비하고, 스피커 유닛의 배면과 배면벽부 사이의 거리가 음성을 유도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덕트의 내부 공간의 거리보다 작게 된다.

Description

스피커 장치
본 기술은 헬멧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스피커 장치에 대한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스피커 장치에는, 오토바이 등의 이륜차의 주행시나 공사 현장이나 방재용 등의 각종 양태에 있어서 사용되는 헬멧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타입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이러한 헬멧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스피커 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휴대 전화 등의 휴대 단말기로부터의 무선 통신에 의해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음성의 출력이 행해진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헬멧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스피커 장치에 있어서는, 스피커 장치가 헬멧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스피커 장치의 외장으로서 마련된 쉘의 내면이나 내장 부품으로서 마련된 각 패드 등의 존재에 의해, 스피커 유닛의 배면측에 충분한 크기의 공간을 확보하기가 곤란하다.
이 경우에는, 스피커 유닛의 배면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과 스피커 유닛의 정면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이 역위상의 음성으로서 서로 섞여서 상쇄되어, 저음역의 음압 감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스피커 장치에 있어서는, 스피커 하우징의 측면부에 측면 구멍과 음성 경로를 형성하고,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측면 구멍 및 음성 경로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성과 스피커 유닛의 정면 및 배면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을 합성하고, 음성 경로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성의 공진 주파수를 조정하여 저음역의 음압 감도의 저하를 억제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1-309477호 공보
상기와 같은 스피커 장치는 헬멧에 장착되기 때문에, 박형화에 의해 헬멧의 내부에 있어서의 스피커 장치의 배치 공간을 작게 할 필요가 있고, 또한, 상기와 같은 저음역의 음압 감도의 저하를 억제할 필요도 있다.
그래서, 본 기술 스피커 장치는, 박형화를 도모한 후 저음역의 음압 감도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본 기술에 관한 스피커 장치는, 헬멧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되고, 음성의 출력을 행하는 스피커 유닛과, 상기 스피커 유닛을 배면측으로부터 덮는 배면벽부를 갖고 상기 스피커 유닛의 배면과 상기 배면벽부 사이의 공간이 상기 스피커 유닛의 배면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출력 공간으로서 형성된 스피커 하우징과, 내부 공간이 상기 출력 공간에 연통되어 상기 출력 공간으로 출력되는 음성을 상기 헬멧의 외부를 향하여 유도하는 덕트를 구비하고, 상기 스피커 유닛의 배면과 상기 배면벽부 사이의 거리가 음성을 유도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덕트의 내부 공간의 거리보다 작게 된 것이다.
이에 의해, 스피커 유닛의 배면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이, 음성의 출력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가 덕트의 음성을 유도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보다 작게 된 출력 공간으로부터 덕트를 지나 헬멧의 외부로 방출된다.
둘째, 상기한 스피커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덕트의 적어도 일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스피커 하우징과 덕트를 각각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다.
셋째, 상기한 스피커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스피커 유닛의 배면으로부터의 음성의 출력 방향과 상기 덕트의 음성을 유도하는 방향이 다른 방향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스피커 유닛의 배면으로부터의 음성의 출력 방향과 덕트가 연장되는 방향이 다른 방향이 되어, 스피커 하우징에 대한 덕트의 방향을 자유롭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넷째, 상기한 스피커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스피커 유닛의 배면으로부터의 음성의 출력 방향과 상기 덕트의 음성을 유도하는 방향이 직교하는 방향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스피커 유닛의 배면으로부터의 음성의 출력 방향과 덕트가 연장되는 방향이 직교하는 방향이 되고, 스피커 하우징의 두께 방향에 대해 덕트가 연장되는 방향을 직교하는 방향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섯째, 상기한 스피커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덕트에 있어서의 선단의 개구가 음성을 상기 헬멧의 외부로 방출하는 음성 방출구로서 형성되고, 상기 헬멧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음성 방출구가 상기 스피커 하우징보다 하방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스피커 유닛의 배면으로부터 출력된 음성이 덕트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방출되기 때문에, 헬멧의 개구 방향과 음성 방출구의 개구 방향이 일치된다.
여섯째, 상기한 스피커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음성 방출구가 상기 헬멧의 하측 개구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덕트가 헬멧의 하측 개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음성 방출구로부터 외부의 공기가 침입하기 어렵다.
일곱째, 상기한 스피커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덕트는 음성을 유도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내부 공간의 거리가 상기 헬멧의 후방으로 감에 따라서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음성 방출구의 방향이 스피커 장치를 향하여 전방으로부터 흐르는 바람을 향하지 않는 방향이 된다.
여덟째, 상기한 스피커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덕트에 있어서의 선단의 개구가 음성을 상기 헬멧의 외부로 방출하는 음성 방출구로서 형성되고, 상기 헬멧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음성 방출구가 상기 스피커 하우징보다 후방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스피커 유닛의 배면으로부터 출력된 음성이 덕트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방출되기 때문에, 이륜차 등의 주행 시에 음성 방출구로부터 외부의 공기가 침입하기 어렵다.
아홉째, 상기한 스피커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헬멧의 내부에 냉각용 공간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헬멧에는 상기 냉각용 공간에 연통된 바람 유입 구멍과 바람 유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이 상기 냉각용 공간에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헬멧에 형성되어 있는 냉각용 공간 및 바람 유출 구멍을 통해 스피커 유닛의 배면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이 헬멧의 외부로 방출된다.
열째, 상기한 스피커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헬멧에 음성 방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이 상기 음성 방출 구멍에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스피커 유닛의 배면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이 음성 방출 구멍으로부터 헬멧의 외부로 방출된다.
열한째, 상기한 스피커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헬멧은 내장 부품으로서 마련된 치크 패드를 갖고, 상기 스피커 하우징 또는 상기 덕트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치크 패드에 눌린 상태로 상기 헬멧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헬멧에 장착된 상태에서 스피커 하우징 또는 덕트의 적어도 일부가 치크 패드에 의해 눌린다.
열두째, 상기한 스피커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스피커 하우징 또는 상기 덕트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치크 패드와 다른 상기 내장 부품 사이에 집힌 상태에서 상기 헬멧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헬멧에 장착된 상태에서 스피커 하우징 또는 덕트의 적어도 일부가 치크 패드와 다른 내장 부품 사이에 집힌다.
도 1은 도 2 내지 도 13과 함께 본 기술 스피커 장치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본 도면은, 스피커 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나타내는 헬멧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스피커 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나타내는 헬멧의 단면도이다.
도 3는 한쪽 치크 패드가 분리되고 스피커 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나타내는 헬멧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스피커 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스피커 장치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7과 함께 스피커 장치의 헬멧으로의 장착의 수순에 대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도면은, 치크 패드가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치크 패드가 장착되고 스피커 장치가 헬멧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스피커 하우징이 덕트보다 전방에 위치된 방향으로 스피커 장치가 장착된 헬멧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스피커 하우징이 덕트보다 하방에 위치된 방향으로 스피커 장치가 장착된 헬멧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스피커 유닛의 배면으로부터의 음성의 출력 방향과 덕트의 음성을 유도하는 방향이 동일 방향으로 된 스피커 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스피커 유닛의 배면으로부터의 음성의 출력 방향과 덕트의 음성을 유도하는 방향이 동일 방향으로 된 스피커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스피커 유닛의 배면으로부터의 음성의 출력 방향과 덕트의 음성을 유도하는 방향이 다른 방향으로 된 스피커 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덕트의 선단면이 경사진 스피커 장치의 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이하에, 본 기술 스피커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헬멧의 구성>
우선, 스피커 장치(1)가 장착되는 헬멧(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도 1 내지 도 3 참조).
헬멧(100)은, 예를 들어 오토바이 등의 이륜차용 헬멧이며, 외장으로서 마련된 쉘(101)에 필요한 각 부가 장착되거나 또는 지지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헬멧(100)은, 예를 들어 공사 현장 등에 있어서 사용되는 헬멧이나 방재용 등에 있어서 사용되는 다른 종류의 헬멧이어도 된다.
쉘(101)은 하방으로 개구되어 있고, 전방면측에 창부(101a)를 갖고 있다. 쉘(101)은, 예를 들어 섬유 강화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쉘(101)에는 외면측에 창부(101a)를 개폐하는 투명한 페이스 커버(102)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쉘(101)의 내면에는 충격 흡수 라이너(103)가 장착되어 있다. 충격 흡수 라이너(103)는 발포 스티렌에 의해 형성되고, 예를 들어 주 라이너(103a)와 프론트 라이너(103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주 라이너(103a)는 쉘(101)의 상부로부터 후방부에 걸치는 위치에 설치되고, 프론트 라이너(103b)는 쉘(101)의 전방부에 있어서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충격 흡수 라이너(103)는 도시하지 않은 천으로 된 커버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쉘(101)의 내부에는 내장 부품으로서 헤드 패드(104)가 장착된다. 헤드 패드(104)는, 예를 들어 후크 고정이나 패스너 고정 등에 의해 쉘(101)에 장착된다.
헤드 패드(104)는 우레탄 폼 등의 쿠션재를 주체로 하여 형성되고, 탑승자에게 헬멧(100)이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헤드부를 받치는 기능을 갖고 있다.
헤드 패드(104)는 주 라이너(103a)를 내측으로부터 덮는 상태로 쉘(101)에 장착된다.
쉘(101)의 내부에는 내장 부품으로서 네크 패드(105)가 장착된다. 네크 패드(105)는, 예를 들어 후크 고정이나 패스너 고정 등에 의해 쉘(101)에 장착된다. 또한, 네크 패드(105)는 헤드 패드(104)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네크 패드(105)는 우레탄 폼 등의 쿠션재를 주체로 하여 형성되고, 탑승자에게 헬멧(100)이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경부(頸部)를 받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네크 패드(105)는 전방으로 개구된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고, 후방측에 위치된 후방부(105a)와 후방부(105a)의 좌우 양단부에 연속된 측부(105b, 105b)를 갖고 있다.
네크 패드(105)는 후방부(105a)가 주 라이너(103a)의 하단부와 네크 패드(104)의 하단부의 하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쉘(101)에 장착된다. 네크 패드(105)는 측부(105b, 105b)가 각각 주 라이너(103a)와 프론트 라이너(103b) 사이에 있어서 쉘(101)에 있어서의 하단부의 내주부에 장착된다.
쉘(101)의 내면에 있어서의 좌우 양측부에는 내장 부품으로서 각각 치크 패드(106, 106)가 장착된다. 치크 패드(106)는, 예를 들어 후크 고정이나 패스너 고정 등에 의해 쉘(101)에 장착된다.
치크 패드(106)는 우레탄 폼 등의 쿠션재를 주체로 하여 형성되고, 탑승자에게 헬멧(100)이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볼부를 받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치크 패드(106)는, 좌우 방향을 향해 대략 전후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받침면부(107)와, 받침면부(107)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굴곡 가능하게 되어 받침면부(107)의 하부 에지에 연속된 굴곡면부(108)와, 받침면부(107)의 상부 에지의 일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면부(109)를 갖고 있다. 치크 패드(106)에는 받침면부(107)와 돌출면부(109) 사이에 노치(106a)가 형성되어 있다.
치크 패드(106)는 굴곡면부(108)가 받침면부(107)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굴곡되고, 예를 들어 굴곡면부(108)의 각 일부가 각각 네크 패드(105)의 각 일부를 하방으로부터 덮는 상태에서 쉘(101)에 장착된다. 치크 패드(106)는 쉘(101)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받침면부(107)와 돌출면부(109)가 쉘(101)의 내면에 있어서의 측부를 따라 위치된다.
쉘(101)의 내면에는 턱 벨트(110, 110)의 일단부가 장착되고, 턱 벨트(110, 110)는 쉘(101)의 하측 개구(101b)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턱 벨트(110)는, 치크 패드(106)가 쉘(101)의 내면에 있어서의 측부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치크 패드(106)의 노치(106a)에 삽통되고, 쉘(101)의 하측 개구(101b)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다.
턱 벨트(110, 110)는 타단부끼리 결합되고, 탑승자에게 헬멧(100)이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탑승자의 턱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한 헬멧(100)의 구성은 일례이며, 충격 흡수 라이너(103)의 형상이나 크기나 위치, 헤드 패드(104)나 네크 패드(105)나 치크 패드(106)의 형상이나 크기나 위치 등은 다른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헬멧(100)의 내장 부품으로서는 헤드 패드(104)와 치크 패드(106)만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스피커 장치의 구성>
다음에, 헬멧(100)에 장착되는 스피커(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도 4 및 도 5 참조).
스피커 장치(1)는, 예를 들어 다이내믹형의 스피커 장치이며, 케이스체(2)와 스피커 유닛(3)을 갖고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케이스체(2)는 외형이 대략 원 형상으로 형성된 스피커 하우징(4)과 스피커 하우징(4)에 연속되어 외형이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덕트(5)를 갖고, 스피커 하우징(4)과 덕트(5)는, 예를 들어 정면측의 부분과 배면측의 부분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피커 장치(1)는 스피커 하우징(4)의 적어도 일부와 덕트(5)의 적어도 일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피커 하우징(4)과 덕트(5)를 각각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고, 스피커 장치(1)의 부품 점수의 삭감 및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 하우징(4)과 덕트(5)는 별도의 부재로서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케이스체(2)는 프론트 케이스(6)와 리어 케이스(7)가 결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스피커 장치(1)는 프론트 케이스(6)측이 정면측으로 되고, 리어 케이스(7)측이 배면측으로 되고, 프론트 케이스(6)와 리어 케이스(7)의 결합 방향이 두께 방향으로 되어 있다.
프론트 케이스(6)는 대략 원환형의 보유 지지부(8)와 보유 지지부(8)에 연속되는 직사각형의 평판부(9)를 갖고 있다. 보유 지지부(8)에는 정면측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플랜지형 누름부(8a)가 마련되어 있다. 보유 지지부(8)에는 누름부(8a)의 내측에 원형의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이 음성 출력 구멍(8b)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리어 케이스(7)는 보유 지지부(8)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10)와 평판부(9)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11)를 갖고 있다.
제1 결합부(10)는 대략 원형상의 배면벽부(10a)와 배면벽부(10a)의 외주부에 있어서의 일부를 제외한 부분으로부터 정면측으로 돌출된 주면부(10b)를 갖고, 주면부(10b)의 정면측의 단부면이 보유 지지부(8)의 배면측의 단부면에 맞대져서 보유 지지부(8)에 결합되어 있다. 보유 지지부(8)와 제1 결합부(10)가 결합됨으로써 스피커 하우징(4)이 구성되고, 스피커 하우징(4)의 내부 공간이 배치 공간(12)으로서 형성된다.
제2 결합부(11)는 직사각 형상의 대향면부(11a)와 대향면부(11a)의 양쪽 측연부로부터 각각 정면측으로 돌출되는 측면부(11b, 11b)를 갖고, 측면부(11b, 11b)의 정면측의 단부면이 평판부(9)의 양쪽 측연부에 맞대져서 평판부(9)에 결합되어 있다. 평판부(9)와 제2 결합부(11)가 결합됨으로써 덕트(5)가 구성되고, 덕트(5)의 내부 공간(5a)에서 스피커 유닛(3)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일부가 유도된다. 덕트(5)의 스피커 하우징(4)과 반대측의 개구는 음성 방출구(5b)로서 형성된다.
덕트(5)는 스피커 장치(1)의 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으로 형성되고, 두께 방향 T가 폭 방향 H 및 길이 방향 L에 비해 작게 되어 박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스피커 하우징(4)은 두께가 덕트(5)의 두께보다 다소 크게 되어 있지만, 두께 방향 T가 폭 방향 H 및 길이 방향 L에 비해 작게 되어 박형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스피커 장치(1)는 전체로서 두께 방향 T가 폭 방향 H 및 길이 방향 L에 비해 작게 되어 박형으로 되어 있다.
스피커 유닛(3)은 스피커 하우징(4)에 배치되어 있다. 스피커 유닛(3)은 코일이나 마그네트를 갖는 드라이브부(3a)와 드라이브부(3a)가 배치된 유닛 케이스(3b)와 드라이브부(3a)의 정면측에 있어서 유닛 케이스(3b)에 지지된 진동판(3c)을 갖고 있다. 스피커 유닛(3)은 축 방향이 케이스체(2)의 두께 방향에 일치되고, 유닛 케이스(3b)가 외주측으로부터 보유 지지부(8)에 보유 지지된 상태에서 스피커 하우징(4)의 배치 공간(12)에 배치되고, 진동판(3c)이 음성 출력 구멍(8b)에 위치된다.
스피커 유닛(3)이 배치 공간(12)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는, 유닛 케이스(3b)와 제1 결합부(10)의 배면벽부(10a)가 케이스체(2)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여 위치되고, 스피커 유닛(3)의 배면측의 단부면과 배면벽부(10a)의 정면측의 면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이 출력 공간(12a)이 된다. 스피커 하우징(4)의 출력 공간(12a)은 덕트(5)의 내부 공간(5a)에 연통되어 있다.
스피커 장치(1)에 있어서는, 유닛 케이스(3b)의 배면측의 단부면인 스피커 유닛(3)의 배면(3a)과 배면벽부(10a)의 정면측의 면 사이의 거리 A는 음성을 유도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덕트(5)의 내부 공간(5a)의 거리 B보다 작게 되어 있다(도 5 참조).
스피커 유닛(3)에는, 예를 들어 무선 통신에 의해 신호가 입력되고,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음성이 출력된다. 또한, 스피커 장치(1)는 유선에 의해 스피커 유닛(3)에 신호가 입력되는 타입이어도 된다.
스피커 유닛(3)으로부터는 음성이 음성 출력 구멍(8b)을 지나 정면측으로 출력된다. 또한, 스피커 장치(1)에 있어서는, 스피커 유닛(3)으로부터 배면측으로 음성의 일부가 출력된다. 배면측에 출력된 음성은 스피커 하우징(4)의 내부에 있어서 차례로 출력 공간(12a)과 덕트(5)의 내부 공간(5a)을 지나 음성 방출구(5b)로부터 스피커 장치(1)의 외부로 방출된다.
이와 같이 스피커 장치(1)에 있어서는, 스피커 유닛(3)의 배면(3a)으로부터 음성이 출력되는 출력 방향 P와 덕트(5)의 음성을 유도하는 방향 Q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도 5 참조).
이 때, 스피커 하우징(4)은 배치 공간(12)이 음성 출력 구멍(8b) 이외는 개방되어 있지 않고, 덕트(5)는 내부 공간(5a)이 음성 방출구(5b) 이외는 개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스피커 유닛(3)으로부터 배면측에 출력된 음성은 출력 공간(12a)과 내부 공간(5a)을 지날 때 스피커 장치(1)의 외부로는 방출되지 않고, 음성 방출구(5b)로부터만 스피커 장치(1)의 외부로 방출된다.
<스피커 장치의 헬멧에 대한 장착 상태>
이어서, 스피커 장치(1)의 헬멧(100)에 대한 장착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도 2, 도 3, 도 6 및 도 7 참조).
스피커 장치(1, 1)는 각각 정면이 대향하는 방향으로 쉘(101)의 내면에 있어서의 좌우 양측부에 장착된다. 스피커 장치(1)의 쉘(101)에 대한 장착은, 접착이나 첩부나 걸림 결합이나 다른 부재에 의한 누름 등의 각종 수단에 의해 행해진다. 스피커 장치(1)는 케이스체(2)의 배면벽부(10a)가 쉘(101)의 내면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장착되고, 스피커 유닛(3)의 진동판(3c)이 귀측을 향하는 상태가 된다.
이하에, 스피커 장치(1)의 헬멧(100)으로의 장착의 수순에 대해 설명한다(도 6 및 도 7 참조).
스피커 장치(1)는 헤드 패드(104)와 네크 패드(105)가 쉘(101)에 장착되고 치크 패드(106)가 쉘(101)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로 쉘(101)의 내면에 배치된다(도 6 참조). 이 때 스피커 장치(1)는 덕트(5)가 네크 패드(105)의 측부(105b)에 밀어붙여진다.
스피커 장치(1)가 쉘(101)의 내면에 배치되면, 치크 패드(106)가 스피커 장치(1)의 일부를 내측으로부터 덮는 상태로 쉘(101)에 장착된다(도 7 참조). 스피커 장치(1)는, 예를 들어 덕트(5)가 치크 패드(106)의 받침면부(107)에 의해 내측으로부터 눌려, 네크 패드(105)의 측부(105b)와 치크 패드(106)의 받침면부(107)에 의해 집힌 상태가 된다. 이 때 덕트(5)를 집은 치크 패드(106)의 받침면부(107)와 네크 패드(105)의 측부(105b)는 변형된 상태가 된다.
또한, 스피커 장치(1)는, 스피커 유닛(3)으로부터의 음성의 출력이 방해 받지 않는 상태라면, 덕트(5)와 스피커 하우징(4)이 치크 패드(106)의 받침면부(107)에 의해 내측으로부터 눌려도 되고, 또한, 스피커 하우징(4)이 치크 패드(106)의 받침면부(107)에 의해 내측으로부터 눌려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치크 패드(106)가 쉘(101)에 장착됨으로써 스피커 장치(1)가 헬멧(100)에 장착된다. 스피커 장치(1)가 헬멧(100)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는, 치크 패드(106)의 받침면부(107)에 의해 덕트(5)가 눌리고, 일부가 덕트(5)보다 귀측으로 돌출된 보유 지지부(8)가 받침면부(107)의 상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받침면부(107)에 의해 보유 지지부(8)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스피커 장치(1)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단, 스피커 장치(1)가 헬멧(100)에 점착 테이프 등의 다른 수단에 의해 헬멧(100)에 장착되어도 된다.
또한, 스피커 장치(1)는 스피커 하우징(4) 또는 덕트(5)의 적어도 일부가 치크 패드(106)에 눌린 상태로 헬멧(100)에 장착되기 때문에, 헬멧(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스피커 하우징(4) 또는 덕트(5)의 적어도 일부가 치크 패드(106)에 의해 눌려, 헬멧(100)에 스피커 장치(1)를 안정된 상태에서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 장치(1)는 스피커 하우징(4) 또는 덕트(5)의 적어도 일부가 치크 패드(106)와 다른 내장 부품, 예를 들어 네크 패드(105) 사이에 집힌 상태에서 헬멧(100)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헬멧(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스피커 하우징(4) 또는 덕트(5)의 적어도 일부가 치크 패드(106)와 다른 내장 부품 사이에 집히기 때문에, 헬멧(100)에 스피커 장치(1)를 안정된 상태에서 장착할 수 있음과 함께 스피커 장치(1)의 손상이나 흠집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피커 장치(1)가 헬멧(100)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스피커 유닛(3)으로부터 음성이 출력되면, 스피커 유닛(3)으로부터 정면측으로 출력된 음성이 음성 출력 구멍(8b)을 지나 귀에 도달하고, 스피커 유닛(3)으로부터 배면측에 출력된 음성이 차례로 스피커 유닛(3)의 출력 공간(12a)과 덕트(5)의 내부 공간(5a)을 지나 음성 방출구(5b)로부터 스피커 장치(1)의 외부로 방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피커 장치(1)가 헬멧(100)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는, 덕트(5)의 음성 방출구(5b)가 스피커 하우징(4)보다 하방에 위치되어 있다(도 2 참조).
따라서, 스피커 유닛(3)의 배면(3a)으로부터 출력된 음성이 덕트(5)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방출되기 때문에, 헬멧(100)의 개구 방향과 음성 방출구(5b)의 개구 방향이 일치되고, 스피커 유닛(3)의 배면(3a)으로부터 출력된 음성을 헬멧(100)의 외부로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 장치(1)가 헬멧(100)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는, 음성 방출구(5b)가 헬멧(100)의 하측 개구(101b)보다 상측에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덕트(5)가 헬멧(100)의 하측 개구(101b)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음성 방출구(5b)로부터 외부의 공기가 침입하기 어렵고, 예를 들어 이륜차의 주행 시에 풍절음의 발생이 억제되고, 스피커 유닛(3)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스피커 장치의 헬멧에 대한 다른 장착 상태>
이하에, 스피커 장치(1)의 헬멧(100)에 대한 다른 장착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도 8 및 도 9 참조).
상기에는, 스피커 하우징(4)이 덕트(5)의 상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헬멧(100)에 장착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스피커 장치(1)는 스피커 하우징(4)이 덕트(5)의 상방 이외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헬멧(100)에 장착되어도 되고, 스피커 하우징(4)과 덕트(5)가 전후로 나란히 배열되는 상태나 상하 좌우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상태에서 헬멧(100)에 장착되어도 된다.
스피커 장치(1)는, 예를 들어 스피커 하우징(4)이 덕트(5)의 전방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헬멧(100)에 장착되어도 된다(도 8 참조). 이 경우에는, 헬멧(100)에 음성 방출 구멍(100a)이 형성되고, 덕트(5)의 내부 공간(5a)이 음성 방출 구멍(100a)에 연통되고, 음성 방출구(5b)를 통하여 음성 방출 구멍(100a)으로부터 헬멧(100)의 외부로 음성이 방출된다.
이와 같이, 헬멧(100)에 덕트(5)의 내부 공간(5a)이 연통되는 음성 방출 구멍(100a)이 형성됨으로써, 스피커 유닛(3)의 배면(3a)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이 음성 방출 구멍(100a)으로부터 헬멧(100)의 외부로 방출되기 때문에, 스피커 유닛(3)의 배면(3a)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을 헬멧(100)의 외부로 간소한 구성에 의해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 하우징(4)이 덕트(5)의 전방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헬멧(100)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음성 방출구(5b)가 스피커 하우징(4)보다 후방에 위치된다.
따라서, 스피커 유닛(3)의 배면(3a)으로부터 출력된 음성이 덕트(5)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방출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이륜차 등의 주행 시에 음성 방출구(5b)로부터 외부의 공기가 침입하기 어려워 풍절음의 발생이 억제되어, 스피커 유닛(3)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스피커 유닛(3)의 배면(3a)으로부터 출력된 음성을 헬멧(100)의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다.
스피커 장치(1)는, 예를 들어 스피커 하우징(4)이 덕트(5)의 하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헬멧(100)에 장착되어도 된다(도 9 참조). 이 경우에도, 헬멧(100)에, 음성을 음성 방출구(5b)로부터 헬멧(100)의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음성 방출 구멍(100a)이 형성된다.
단, 헬멧(100)의 종류에 따라서는, 내부에 있어서의 상부에 냉각용 공간(100b)이 형성됨과 함께 냉각용 공간(100b)에 연통된 바람 유입 구멍(100c)과 바람 유출 구멍(100d)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러한 구성의 헬멧(100)에 있어서는, 바람 유입 구멍(100c)으로부터 외부의 공기가 냉각용 공간(100b)으로 유입되어 냉각용 공간(100b)으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헬멧(100)의 내부 공간이 냉각되고, 냉각에 사용된 냉각용 공간(100b)의 공기가 바람 유출 구멍(100d)으로부터 외부로 유출된다. 따라서, 헬멧(100)의 내부 공간의 온도 상승이 억제되고, 사용자에게 있어서의 헬멧(100)의 양호한 장착 상태가 확보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헬멧(100)에 스피커 장치(1)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덕트(5)의 내부 공간(5a)이 음성 방출구(5b)를 통하여 냉각용 공간(100b)에 연통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스피커 하우징(4)이 덕트(5)의 하측에 위치된 상태로 하여 덕트(5)의 내부 공간(5a)이 냉각용 공간(100b)에 연통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헬멧(100)에 형성되어 있는 냉각용 공간(100b) 및 바람 유출 구멍(100d)을 통하여 스피커 유닛(3)의 배면(3a)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이 헬멧(100)의 외부로 방출된다.
따라서, 헬멧(100)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공간을 이용하여 스피커 유닛(3)의 배면(3a)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이 헬멧(100)의 외부로 방출되어, 스피커 유닛(3)의 배면(3a)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을 헬멧(100)의 외부로 확실하게 방출할 수 있다.
<기타>
상기에는, 스피커 유닛(3)의 배면(3a)으로부터의 음성의 출력 방향 P와 덕트(5)의 음성을 유도하는 방향 Q가 직교하는 방향으로 된 스피커 장치(1)를 예로서 나타내었다(도 5 참조). 단, 스피커 장치(1A, 1B)와 같이, 스피커 유닛(3)의 배면(3a)으로부터의 음성의 출력 방향 P와 덕트(5)의 음성을 유도하는 방향 Q가 같은 방향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도 10 및 도 11 참조).
이 경우에는, 덕트(5)가 스피커 하우징(4)의 배면벽부(10a)에 연속해서 마련되고, 스피커 유닛(3)의 배면(3a)으로부터 출력된 음성이 덕트(5)에 의해 배면측으로 유도되어 배면측으로부터 헬멧(100)의 외부로 방출된다.
또한, 스피커 장치(1C)와 같이, 스피커 유닛(3)의 배면(3a)으로부터의 음성의 출력 방향 P와 덕트(5)의 음성을 유도하는 방향 Q가 직교하지는 않지만 다른 방향으로 되어도 된다(도 12 참조). 스피커 장치(1C)는, 예를 들어 덕트(5)가 연장되는 방향이 스피커 유닛(3)으로부터의 음성의 출력 방향 P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되어 있다.
스피커 장치(1)와 스피커 장치(1C)는 스피커 유닛(3)의 배면(3a)으로부터의 음성의 출력 방향 P와 덕트(5)의 음성을 유도하는 방향 Q가 다른 방향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스피커 유닛(3)의 배면(3a)으로부터의 음성의 출력 방향 P와 덕트(5)가 연장되는 방향이 다른 방향이 되어, 스피커 하우징(4)에 대한 덕트(5)의 방향을 자유롭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스피커 하우징(4)과 덕트(5)의 형상 자유도가 높아져, 스피커 장치(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헬멧(100)의 내부 공간의 유효 활용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스피커 장치(1)는, 스피커 유닛(3)의 배면(3a)으로부터의 음성의 출력 방향 P와 덕트(5)의 음성을 유도하는 방향 Q가 직교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스피커 유닛(3)의 배면(3a)으로부터의 음성의 출력 방향 P와 덕트(5)가 연장되는 방향이 직교하는 방향이 된다.
따라서, 스피커 하우징(4)의 두께 방향에 대해 덕트(5)가 연장되는 방향을 직교하는 방향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져, 스피커 장치(1)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헬멧(100)의 내부 공간의 유효 활용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덕트(5)는 음성을 유도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내부 공간(5a)의 거리가 헬멧(100)의 후방으로 감에 따라서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3 참조). 예를 들어, 덕트(5)가 스피커 하우징(4)의 하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헬멧(100)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덕트(5)의 상하 방향의 길이가 후방으로 감에 따라서 짧아지고, 음성 방출구(5b)가 후방 비스듬하게 아래쪽을 향하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덕트(5)의 음성을 유도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내부 공간(5a)의 거리가 헬멧(100)의 후방으로 감에 따라서 작아짐으로써, 예를 들어 이륜차 등의 주행 시에, 음성 방출구(5b)의 방향이 스피커 장치(1)를 향하여 전방으로부터 흐르는 바람 W을 향하지 않는 방향이 되기 때문에, 음성 방출구(5b)로부터 외부의 공기가 침입하기 어려워 풍절음의 발생이 억제되고, 스피커 유닛(3)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하는 스피커 장치(1C)와 같이, 덕트(5)를 스피커 하우징(4)에 대해 경사지게 하여, 음성 방출구(5b)의 방향이 스피커 장치(1)를 향하여 전방으로부터 흐르는 바람 W을 향하지 않는 방향으로 하고, 음성 방출구(5b)로부터 외부의 공기를 침입하기 어렵게 하여 풍절음의 발생을 억제해도 된다.
<결론>
이상에 기재한 대로, 스피커 장치(1, 1A, 1B, 1C)에 있어서는, 스피커 유닛(3)을 배면측으로부터 덮는 배면벽부(10a)를 갖고 스피커 유닛(3)의 배면(3a)과 배면벽부(10a) 사이의 공간이 스피커 유닛(3)의 배면(3a)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출력 공간(12a)으로서 형성된 스피커 하우징(4)과, 내부 공간(5a)이 출력 공간(12a)에 연통되어 출력 공간(12a)으로 출력되는 음성을 헬멧(100)의 외부를 향하여 유도하는 덕트(5)를 구비하고 있다.
헬멧(100)은 공사 현장이나 방재의 용도 등에 있어서 사용되기 때문에 충격을 받는 경우도 적지 않고, 또한, 오토바이 등의 이륜차의 주행 시에 있어서도 사용되기 때문에 진동을 받는 경우도 많다.
그래서, 스피커 장치(1, 1A, 1B, 1C)에 있어서는, 스피커 유닛(3)의 배면(3a)으로부터 음성 방출구(5b)까지의 경로에 있어서 스피커 하우징(4) 및 덕트(5)에 구멍이나 절결 등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스피커 하우징(4)과 덕트(5)의 높은 강도가 확보된다. 따라서, 헬멧(100)에 충격이나 진동이 부여된 경우에 있어서도 스피커 장치(1, 1A, 1B, 1C)에 기계적인 손상이 생기기 어렵고, 강도의 향상에 의해 스피커 장치(1, 1A, 1B, 1C)의 양호한 사용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 장치(1, 1A, 1B, 1C)에 있어서는, 스피커 유닛(3)의 배면(3a)과 배면벽부(10a) 사이의 거리 A가 음성을 유도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덕트(5)의 내부 공간(5a)의 거리 B보다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거리 A가 거리 B보다 작기 때문에, 스피커 하우징(4)의 박형화가 도모되고, 스피커 하우징(4)의 박형화에 의해 헬멧(100)의 내부에 있어서의 스피커 장치(1, 1A, 1B, 1C)의 배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 장치(1, 1A, 1B, 1C)에 있어서는, 스피커 유닛(3)의 배면(3a)으로부터 출력된 음성이 출력 공간(12a)과 내부 공간(5a)을 통하여 음성 방출구(5b)로부터 헬멧(100)의 외부로 방출된다.
따라서, 스피커 유닛(3)으로부터 정면측으로 출력된 음성과 스피커 유닛(3)으로부터 배면측으로 출력된 음성이 서로 섞이는 일이 없고, 스피커 유닛(3)으로부터 정면측과 배면측으로 각각 출력된 음성이 역위상의 음성으로서 서로 상쇄될 일도 없기 때문에, 저음역의 음압 감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기술>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할 수 있다.
(1)
헬멧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되고,
음성의 출력을 행하는 스피커 유닛과,
상기 스피커 유닛을 배면측으로부터 덮는 배면벽부를 갖고 상기 스피커 유닛의 배면과 상기 배면벽부 사이의 공간이 상기 스피커 유닛의 배면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출력 공간으로서 형성된 스피커 하우징과,
내부 공간이 상기 출력 공간에 연통되어 상기 출력 공간으로 출력되는 음성을 상기 헬멧의 외부를 향하여 유도하는 덕트를 구비하고,
상기 스피커 유닛의 배면과 상기 배면벽부 사이의 거리가 음성을 유도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덕트의 내부 공간의 거리보다 작게 된,
스피커 장치.
(2)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덕트의 적어도 일부가 일체로 형성된
상기 (1)에 기재된 스피커 장치.
(3)
상기 스피커 유닛의 배면으로부터의 음성의 출력 방향과 상기 덕트의 음성을 유도하는 방향이 다른 방향으로 된
상기 (1) 또는 상기 (2)에 기재된 스피커 장치.
(4)
상기 스피커 유닛의 배면으로부터의 음성의 출력 방향과 상기 덕트의 음성을 유도하는 방향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된
상기 (3)에 기재된 스피커 장치.
(5)
상기 덕트에 있어서의 선단의 개구가 음성을 상기 헬멧의 외부로 방출하는 음성 방출구로서 형성되고,
상기 헬멧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음성 방출구가 상기 스피커 하우징보다 하방에 위치된
상기 (1) 내지 상기 (4)의 어느 것에 기재된 스피커 장치.
(6)
상기 음성 방출구가 상기 헬멧의 하측 개구보다 상측에 위치된
상기 (5)에 기재된 스피커 장치.
(7)
상기 덕트는 음성을 유도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내부 공간의 거리가 상기 헬멧의 후방으로 감에 따라서 작게 된
상기 (5) 또는 상기 (6)에 기재된 스피커 장치.
(8)
상기 덕트에 있어서의 선단의 개구가 음성을 상기 헬멧의 외부로 방출하는 음성 방출구로서 형성되고,
상기 헬멧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음성 방출구가 상기 스피커 하우징보다 후방에 위치된
상기 (1) 내지 상기 (4)의 어느 것에 기재된 스피커 장치.
(9)
상기 헬멧의 내부에 냉각용 공간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헬멧에는 상기 냉각용 공간에 연통된 바람 유입 구멍과 바람 유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이 상기 냉각용 공간에 연통된
상기 (1) 내지 상기 (4)의 어느 것에 기재된 스피커 장치.
(10)
상기 헬멧에 음성 방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이 상기 음성 방출 구멍에 연통된
상기 (1) 내지 상기 (9)의 어느 것에 기재된 스피커 장치.
(11)
상기 헬멧은 내장 부품으로서 마련된 치크 패드를 갖고,
상기 스피커 하우징 또는 상기 덕트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치크 패드에 눌린 상태에서 상기 헬멧에 장착된
상기 (1) 내지 상기 (10)의 어느 것에 기재된 스피커 장치.
(12)
상기 스피커 하우징 또는 상기 덕트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치크 패드와 다른 상기 내장 부품 사이에 집힌 상태에서 상기 헬멧에 장착된
상기 (11)에 기재된 스피커 장치.
100: 헬멧
106: 치크 패드
1: 스피커 장치
3: 스피커 유닛
4: 스피커 하우징
5: 덕트
5a: 내부 공간
5b: 음성 방출구
10a: 배면벽부
12a: 출력 공간
100a: 음성 방출 구멍
100b: 냉각용 공간
100c: 바람 유입 구멍
100d: 바람 유출 구멍
1A: 스피커 장치
1B: 스피커 장치
1C: 스피커 장치

Claims (12)

  1. 헬멧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되고,
    음성의 출력을 행하는 스피커 유닛과,
    상기 스피커 유닛을 배면측으로부터 덮는 배면벽부를 갖고 상기 스피커 유닛의 배면과 상기 배면벽부 사이의 공간이 상기 스피커 유닛의 배면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출력 공간으로서 형성된 스피커 하우징과,
    내부 공간이 상기 출력 공간에 연통되어 상기 출력 공간으로 출력되는 음성을 상기 헬멧의 외부를 향하여 유도하는 덕트를 구비하고,
    상기 스피커 유닛의 배면과 상기 배면벽부 사이의 거리가 음성을 유도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덕트의 내부 공간의 거리보다 작게 된,
    스피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덕트의 적어도 일부가 일체로 형성된,
    스피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유닛의 배면으로부터의 음성의 출력 방향과 상기 덕트의 음성을 유도하는 방향이 다른 방향으로 된,
    스피커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유닛의 배면으로부터의 음성의 출력 방향과 상기 덕트의 음성을 유도하는 방향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된,
    스피커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에 있어서의 선단의 개구가 음성을 상기 헬멧의 외부로 방출하는 음성 방출구로서 형성되고,
    상기 헬멧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음성 방출구가 상기 스피커 하우징보다 하방에 위치된,
    스피커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방출구가 상기 헬멧의 하측 개구보다 상측에 위치된,
    스피커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음성을 유도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내부 공간의 거리가 상기 헬멧의 후방으로 감에 따라서 작게 된,
    스피커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에 있어서의 선단의 개구가 음성을 상기 헬멧의 외부로 방출하는 음성 방출구로서 형성되고,
    상기 헬멧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음성 방출구가 상기 스피커 하우징보다 후방에 위치된,
    스피커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의 내부에 냉각용 공간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헬멧에는 상기 냉각용 공간에 연통된 바람 유입 구멍과 바람 유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이 상기 냉각용 공간에 연통된,
    스피커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에 음성 방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이 상기 음성 방출 구멍에 연통된,
    스피커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은 내장 부품으로서 마련된 치크 패드를 갖고,
    상기 스피커 하우징 또는 상기 덕트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치크 패드에 눌린 상태에서 상기 헬멧에 장착된,
    스피커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하우징 또는 상기 덕트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치크 패드와 다른 상기 내장 부품 사이에 집힌 상태에서 상기 헬멧에 장착된,
    스피커 장치.
KR1020217016567A 2018-12-14 2019-11-06 스피커 장치 KR202101022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34122 2018-12-14
JPJP-P-2018-234122 2018-12-14
PCT/JP2019/043466 WO2020121692A1 (ja) 2018-12-14 2019-11-06 スピーカー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2226A true KR20210102226A (ko) 2021-08-19

Family

ID=71075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6567A KR20210102226A (ko) 2018-12-14 2019-11-06 스피커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750959B2 (ko)
KR (1) KR20210102226A (ko)
CN (1) CN113170248A (ko)
WO (1) WO202012169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9477A (ja) 2000-04-27 2001-11-02 Foster Electric Co Ltd ヘッドホン・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262Y2 (ko) * 1981-04-02 1986-08-14
JPS59169320U (ja) * 1983-04-28 1984-11-1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ヘルメツト
JPH01221504A (ja) 1988-02-28 1989-09-05 Honda Motor Co Ltd ヘルメットの音響装置
US4977975A (en) 1989-09-14 1990-12-18 Lazzeroni John J Vented motorcycle helmet speaker enclosure
JP2814772B2 (ja) * 1991-05-16 1998-10-27 ソニー株式会社 インナーイヤー型ヘッドホン
JP2005163222A (ja) * 2003-12-02 2005-06-23 Yamaha Motor Co Ltd ヘルメット
US7308108B2 (en) * 2004-04-10 2007-12-11 Davis William E Helmet-mounted intercommunications and entertainment system
DE102016103477A1 (de) * 2016-02-26 2017-08-31 USound GmbH Audiosystem mit strahlformenden Lautsprechern sowie Brille mit einem derartigen Audiosystem
US10555071B2 (en) * 2018-01-31 2020-02-04 Bose Corporation Eyeglass headphon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9477A (ja) 2000-04-27 2001-11-02 Foster Electric Co Ltd ヘッドホン・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21957A1 (en) 2022-01-20
WO2020121692A1 (ja) 2020-06-18
CN113170248A (zh) 2021-07-23
US11750959B2 (en) 202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5900B2 (en) Headphone earcup
EP3675515A1 (en) Headphone
EP3162622B1 (en) Acoustic device
US11425488B2 (en) Duct structure of earphone speaker unit
US7450976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1363370B2 (en) Receiver module integrated with duct
JPWO2005015947A1 (ja) ディフューザ及びこれを用いたスピーカ
ES2379909T3 (es) Casco deportivo para motociclistas y otros deportes, que incluye un dispositivo de comunicación inalámbrica, particularmente para su uso en una tecnología Bluetooth® o similares
US8776944B2 (en) On-vehicle acoustic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JP4962221B2 (ja) ヘッドホン
KR20210102226A (ko) 스피커 장치
US9799321B2 (en) Waveguide for a boat
JP2008012993A (ja) 車両のドア構造
EP2495990B1 (en) Speaker device
US20050041829A1 (en) Speaker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CN115623398A (zh) 电子设备
JP6952386B1 (ja) 車両のスピーカ装置及び部屋のスピーカ装置
US11206477B2 (en) Sound transducer structure of electronic device
JP4290315B2 (ja) ヘッドホン・ユニット
CN214205607U (zh) 一种减振结构及终端
WO2006137665A1 (en) Micro speaker unit
JP2001231088A (ja) 音声発生装置及び方法
JP2001333478A (ja) ヘルメットを構成要素とするスピーカ及びスピーカ機能を有するヘルメット
JP2004180073A (ja) 携帯型電子機器のスピーカ取り付け構造
KR102209485B1 (ko) 마이크 일체형 리시버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