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1873A - 열차 승강장 발빠짐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열차 승강장 발빠짐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1873A
KR20210101873A KR1020200016363A KR20200016363A KR20210101873A KR 20210101873 A KR20210101873 A KR 20210101873A KR 1020200016363 A KR1020200016363 A KR 1020200016363A KR 20200016363 A KR20200016363 A KR 20200016363A KR 20210101873 A KR20210101873 A KR 20210101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
case
shielding
platform
shiel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1112B1 (ko
Inventor
이동운
김대건
박찬영
박효준
배원호
고유진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16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1112B1/ko
Publication of KR20210101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열차 승강장 발빠짐 방지 장치는, 열차 승강장의 승차영역 선단부에 설치되며, 승강장과 열차의 틈새 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폐 유닛; 상기 차폐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폐 유닛은, 상기 승차영역 선단부에 설치되며 열차를 향하여 개구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후단이 축결합되어 후단을 기준으로 전단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동에 의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접어지거나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펼쳐지는 차폐 부재;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며, 상기 차폐 부재의 회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고, 구동축이 정역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차폐 부재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차 승강장 발빠짐 방지 장치 { Prevention device for foot fall for train staition }
본 발명은 열차 승강장 발빠짐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열차가 승강장으로 진입한 상태에서 열차와 승강장 사이의 틈새를 차폐하여 승객들의 발빠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열차 승강장 발빠짐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차는 객차나 화물차를 여러개 연결하여 동력의 힘으로 궤도 위를 달리는 차량을 말한다. 이러한 열차는 지하철도, 지상철도 등에 승객의 운송을 위해 적용되고 있으며 버스 보다 유용한 대중 교통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다.
하지만, 승객의 하차 및 승차가 이루어지는 승강장에 안전 요원이나 안전 장치가 부족한 실정이며, 안전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특히, 열차와 승강장 사이의 틈으로 인한 다양한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열차의 운행시 승강장과 열차의 간섭이 발생할 경우 열차의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선로에 위치된 열차와 승강장 사이는 완전히 밀착될 수 없으며 틈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틈새로 승객의 승하차시 발빠짐 사고가 발생하거나, 승객이 소지한 우산, 지팡이를 포함한 철로의 안전운행을 방해할 수 있는 여러가지 물건이나 쓰레기가 떨어져 사고를 야기할 수 있다.
한편, 승강장에는 발빠짐을 조심하라는 경고문이 인쇄물로 배치되거나 방송되고 있으나, 이를 방지하기 위한 시설 및 장치는 현저히 부족한 상태다.
선행기술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2-003333호에는, 승강장의 바닥면 선단에 설치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돌출부(3)가 돌출 형성되어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에 발생하는 간격을 제거하는 전동차 승강장의 발 빠짐 방지장치가 개시된다.
하지만, 선행기술의 발빠짐 방지장치(1)에 의하면 돌출부(3)가 전동차의 진입 공간으로 항상 돌출되어 있으므로, 전동차의 진입시 전동차와 접촉하여 소음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접촉 충격에 의한 파손 발생 문제점이 있으며, 다수의 돌출부(3)가 변형을 위해서 이격되어 사이에 틈이 형성됨에 따라 물건이나 쓰레기가 선로로 떨어지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어렵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2-003333호
본 발명은, 열차와 승강장 사이의 틈새에 승객의 발이 빠지거나 물건이 선로로 떨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열차 승강장 발빠짐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열차 승강장 발빠짐 방지 장치는, 열차 승강장의 승차영역 선단부에 설치되며, 승강장과 열차의 틈새 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폐 유닛; 상기 차폐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폐 유닛은, 상기 승차영역 선단부에 설치되며 열차를 향하여 개구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후단이 축결합되어 후단을 기준으로 전단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동에 의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접어지거나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펼쳐지는 차폐 부재;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며, 상기 차폐 부재의 회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고, 구동축이 정역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차폐 부재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차폐 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축결합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회동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회전부의 회동에 의해서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틈새 공간을 차폐하는 발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폐 부재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발판부의 상면은 상기 회전부의 상면 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단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열차의 정지 및 출발을 감지하는 감지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부재로부터 열차의 정지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차폐 부재가 펼쳐지도록 상기 모터를 정회전 동작시키고, 상기 감지 부재로부터 열차의 출발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차폐 부재가 접어지도록 상기 모터를 역회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열차 승강장 발빠짐 방지 장치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차폐 부재에 의해서 승강장과 열차 사이의 틈새가 차폐되어 승객의 승하차시 승객의 발이 빠지거나 물건이 선로로 떨어지는 문제를 방지하여, 승객의 안전 및 열차 운행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둘째, 차폐 부재와 모터가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에 장착되어 하나의 모듈로 구성됨에 따라, 차폐 유닛을 승강장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한 효과가 있다.
셋째, 차폐 유닛이 케이스, 케이스에 축결합되는 차폐 부재, 차폐 부재의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간단한 구성 및 결합 구조로 구성된다. 따라서, 적은 비용으로 제조 가능하여 우수한 동작 신뢰성을 통해서 승객의 안전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열차 승강장 발빠짐 방지 장치가 구비된 승강장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열차 승강장 발빠짐 방지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열차 승강장 발빠짐 방지 장치가 승강장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열차 승강장 발빠짐 방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열차 승강장 발빠짐 방지 장치가 구비된 승강장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열차 승강장 발빠짐 방지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열차 승강장 발빠짐 방지 장치(1)는 차폐 유닛(100), 제어부(200), 감지 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 유닛(100)은 승강장의 승하차 영역에 설치될 수 있으며, 열차 정차 공간을 향하는 승강장의 선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서 동작되어 승강장과 열차 사이의 틈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감지 부재(300)로 부터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차폐 유닛(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감지 부재(300)는 열차가 승강장으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200)로 감지 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차폐 유닛(100), 제어부(200), 감지 부재(300)는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어부(200)와 감지 부재(300)는 상기 차폐 유닛(100)의 일측에 장착되어 하나의 모듈을 이룰 수 있다. 또는, 상기 차폐 유닛(100), 제어부(200), 감지 부재(300)는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일부만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차폐 유닛(100)은 승강장의 승하차 영역의 수에 대응하여 다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다수의 차폐 유닛(100)은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서 함께 제어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 부재(300)는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으며 다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감지 부재(300)가 다수로 구비되는 경우, 다수의 감지 부재(300)는 열차의 진입 및 정지, 출발 등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감지 부재(300)는 상기 차폐 유닛(100)의 일측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승강장의 일측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열차의 선로 바닥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열차 정차 공간의 천장에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감지 부재(300)는 배치 위치에 따라 상기 열차의 진입, 정지, 출발 등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감지 부재(300)는 정지 및 출발을 감지 가능한 레이더, 적외선 센서, 분석프로그램을 구비한 카메라 장치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폐 유닛(100)은 상기 제어부(2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 부재(300)는 상기 제어부(200)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00)로 감지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한 열차 승강장 발빠짐 방지 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열차 승강장 발빠짐 방지 장치가 승강장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열차 승강장 발빠짐 방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차폐 유닛(100)은 승강장의 선단부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선반부의 내부에는 설치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열차 정차 공간을 향하는 승강장 벽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설치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공간은 상기 승강장 벽면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열차 정차 공간을 향하여 개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치공간의 상면은 상기 승강장의 바닥면에 의해서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차폐 유닛(100)은 케이스(110), 동력 부재(120), 동력 전달 부재(130), 차폐 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승강장의 설치공간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설치공간에 수용되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0)에는 내부 공간(1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0)는 대략 일면이 개구된 육면체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열차 정차 공간을 향하여 개구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열차 정차 공간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볼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110)는 전방으로 개구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동력 부재(120)는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115)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차폐 부재(130)의 동작을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동력 부재(120)는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서 정역회전 제어되는 모터일 수 있다. 상기 동력 부재(120)가 모터인 경우, 상기 동력 부재(120)는 정역회전 동작하는 구동축(1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부재(130)는, 상기 동력 부재(120)의 동력을 상기 차폐 부재(150)로 전달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부재(130)는 상기 동력 부재(120)의 구동축(125)에 구비되는 제1 기어(131)와, 후술할 차폐 부재(150)의 회전축(155)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기어(131)와 연동하는 제2 기어(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어(131)와 제2 기어(132)는 접촉각에 따라 다양한 구조의 기어가 적용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구동축(125)과 회전축(155)이 평행하는 경우, 상기 제1 기어(131)와 제2 기어(132)는 평 기어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125)과 회전축(155)이 수직 교차하는 경우, 상기 제1 기어(131)와 제2 기어(132)는 스크류 기어 구조 또는 베벨 기어 구조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제1 기어(131)와 제2 기어(132)가 평 기어 구조로 적용되는 것을 예로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차폐 부재(150)는 회동에 의해서 열차와 승강장 사이의 틈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차폐 부재(150)는 열차와 승강장 사이의 틈을 차폐 가능하도록, 상기 열차 정차 공간을 향하여 전방으로 연장되어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좌우로 소정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차폐 부재(150)의 좌우 폭은 열차의 출입문의 좌우 폭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차폐 부재(150)는 전후방으로 연장되고 소정의 좌우 폭을 가지는 바디(151), 상기 바디(151)의 좌우측면 후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전축(1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55)은 상기 바디(151)의 좌후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회전축(155)은 상기 바디(151)와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상기 바디(151)의 후단을 관통하는 별도의 부재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차폐 부재(150)의 회전축(155)에는 상기 제2 기어(1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기어(132)는 상기 회전축(155)에 의해서 중심이 관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55)은 상기 제2 기어(132)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차폐 부재(150)의 회전축(155)은 상기 케이스(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115) 양측면에는 상기 회전축(155)이 결합되는 축 결합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 결합부(111)는 상기 회전축(155)가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폐 부재(150)는 상기 회전축(155)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110)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 부재(150)는 후단을 기준으로 전단이 상하로 회전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차폐 부재(150)는 접힌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어, 열차를 향하여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차폐 부재(150)가 접힌 상태는 상기 차폐 부재(150)의 전단부가 하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내부 공간(115)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폐 부재(150)는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열차와 승강장 사이의 틈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차폐 부재(150)가 펼쳐진 상태는, 상기 차폐 부재(150)의 전단부가 상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내부 공간(115)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151)는 회전부(152)와 발판부(153)로 전후방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152)는 상기 회전축(155)이 형성된 상기 바디(151)의 후단부로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차폐 부재(150)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115)에 위치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152)는 상기 차폐 부재(150)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내부 공간(115)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부(152)는 상기 케이스(110)와의 접촉에 의해서 상기 차폐 부재(150)의 스토퍼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발판부(153)는 회전부(152)의 전방에 위치된 상기 바디(151)의 나머지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판부(153)는 상기 차폐 부재(150)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1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열차와 승강장 사이의 틈을 차폐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발판부(153)는 상기 차폐 부재(150)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기준으로 볼 때, 상기 회전부(152)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상기 발판부(153)는 상기 회전부(152) 보다 두께가 두껍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이 상기 회전부(152)의 상면 보다 상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바디는(151)는 상기 회전부(152)가 상기 발판부(153) 보다 상면이 낮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152)에 대응하는 상면 영역이 함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바디는(151)는 상기 회전부(152)의 상면과 상기 발판부(153)의 상면이 단차지도록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바디(151)의 단차 구조에 의해서 상기 차폐 부재(150)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발판부(153)와 승강장 바닥면의 상하 단차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발판부(153)는 상기 승강장 바닥면의 높이를 고려하여 상면 높이가 설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열차 승강장 발빠짐 방지 장치(1)의 전체적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열차(2)가 선로를 따라 승강장으로 진입한 후 정지하면, 상기 감지 부재(300)는 상기 열차(2)가 정지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 부재(300)는 상기 제어부(200)로 열차가 정지함을 알리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감지 부재(30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열차와 승강장 사이의 틈이 차폐되도록 상기 차폐 유닛(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차폐 부재(150)가 펼쳐지도록 상기 동력 부재(120)를 정회전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동력 부재(120)의 동력은 상기 동력 전달부재(130)에 의해서 상기 차폐 부재(150)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 부재(150)는 전단이 회전축(155)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회전되어 펼쳐질 수 있으며, 열차와 승강장 사이의 틈을 차폐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차폐 부재(150)는 상기 회전부(152)가 상기 케이스(110)의 상면과 접촉함에 따라 회전 동작이 제한될 수 있으며, 완전히 펼쳐진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 부재(150)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발판부(153)는 상기 케이스(110)의 외측으로 최대로 돌출된 상태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발판부(153)의 상면은 상기 케이스(110)의 상면 보다 더 상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장 바닥며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발판부(153)의 상면은 승강장의 바닥면과 동일한 수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152)와의 단차에 의해서 형성된 상기 발판부(153)의 배면은 승강장의 벽면에 접촉하거나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판부(153)의 배면에는 탄성 부재(1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60)는 상기 차폐 부재(150)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승강장의 벽면과 접촉하여 승강장의 벽면과 발판부(153) 사이의 틈을 차폐하는 기능을 할 수 잇다.
그리고, 상기 탄성 부재(160)는 상기 차폐 부재(150)가 완전히 펼쳐지기 직전에 승강장의 벽면과 접촉하여 상기 차폐 부재(150)가 펼쳐질 때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흡수하고 소음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60)는 고무, 우레탄 등의 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폐 부재(150)가 펼쳐짐에 따라 승강장과 열차 사이의 틈이 차폐되어, 승객들이 보다 안전하게 승차 및 하차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선로에 여러가지 물건이나 쓰레기가 떨어지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승객들의 승하차가 모두 이루어진 후 열차는 다음 승강장으로 이동하게 된다.
열차가 출발시 상기 감지 부재(300)는 열차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 부재(300)는 상기 제어부(200)로 열차가 출발함을 알리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감지 부재(30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차폐 부재(150)가 접어지도록 상기 차폐 유닛(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차폐 부재(150)가 접어지도록 상기 동력 부재(120)를 역회전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동력 부재(120)의 동력은 상기 동력 전달부재(130)에 의해서 상기 차폐 부재(150)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 부재(150)는 전단이 회전축(155)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회전되어 접어질 수 있다.
상기 차폐 부재(150)는 완전히 접어진 상태에서 전단이 하방을 향하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공간(115)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다.
열차의 출발시 상기 차폐 부재(150)가 완전히 접어짐에 따라 열차와의 차폐 유닛(100)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1 : 열차 승강장 발빠짐 방지 장치
100: 차폐 유닛 110: 케이스
115: 내부 공간 111: 축 결합부
120: 동력 부재 125: 구동축
130: 동력 전달부재 131: 제1 기어
132: 제2 기어 150: 차폐 부재
151: 바디 152: 회전부
153: 발판부 155: 회전축
160: 탄성 부재 200: 제어부
300: 감지부재
2 : 열차

Claims (3)

  1. 열차 승강장의 승차영역 선단부에 설치되며, 승강장과 열차의 틈새 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폐 유닛;
    상기 차폐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폐 유닛은,
    상기 승차영역 선단부에 설치되며 열차를 향하여 개구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후단이 축결합되어 후단을 기준으로 전단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동에 의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접어지거나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펼쳐지는 차폐 부재;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며, 상기 차폐 부재의 회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고, 구동축이 정역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차폐 부재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 발빠짐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축결합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회동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회전부의 회동에 의해서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틈새 공간을 차폐하는 발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폐 부재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발판부의 상면은 상기 회전부의 상면 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단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 발빠짐 방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열차의 정지 및 출발을 감지하는 감지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부재로부터 열차의 정지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차폐 부재가 펼쳐지도록 상기 모터를 정회전 동작시키고,
    상기 감지 부재로부터 열차의 출발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차폐 부재가 접어지도록 상기 모터를 역회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 발빠짐 방지 장치.
KR1020200016363A 2020-02-11 2020-02-11 열차 승강장 발빠짐 방지 장치 KR102301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363A KR102301112B1 (ko) 2020-02-11 2020-02-11 열차 승강장 발빠짐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363A KR102301112B1 (ko) 2020-02-11 2020-02-11 열차 승강장 발빠짐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873A true KR20210101873A (ko) 2021-08-19
KR102301112B1 KR102301112B1 (ko) 2021-09-09

Family

ID=77492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363A KR102301112B1 (ko) 2020-02-11 2020-02-11 열차 승강장 발빠짐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11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0941A (ko) 2022-07-18 2024-01-25 정도훈 곡선 승강장 발빠짐 주의 알림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4985B2 (ja) * 1989-02-03 1997-09-1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プラットホームと車両との隙間を埋める可動踏板装置
KR20020033331A (ko) 2000-10-30 2002-05-06 정희종 전동차 승강장의 발 빠짐 방지장치
JP2005225310A (ja) * 2004-02-12 2005-08-25 Mitsubishi Heavy Ind Ltd 車両とホームの隙間調整装置
KR101535369B1 (ko) * 2014-02-05 2015-07-08 (주)코아텍 지하철 안전 발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4985B2 (ja) * 1989-02-03 1997-09-1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プラットホームと車両との隙間を埋める可動踏板装置
KR20020033331A (ko) 2000-10-30 2002-05-06 정희종 전동차 승강장의 발 빠짐 방지장치
JP2005225310A (ja) * 2004-02-12 2005-08-25 Mitsubishi Heavy Ind Ltd 車両とホームの隙間調整装置
KR101535369B1 (ko) * 2014-02-05 2015-07-08 (주)코아텍 지하철 안전 발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1112B1 (ko) 2021-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8674B1 (ko) 지하철 승강장의 안전발판
JP5567333B2 (ja) プラットフォーム遮蔽ドア
EP2484576B1 (en) Train stop detection system
US20100058949A1 (en) Device for bridging a gap between a platform and a rail vehicle
KR102301112B1 (ko) 열차 승강장 발빠짐 방지 장치
AU2017213560A1 (en) Intelligent step for BRT platform
KR20180119117A (ko) 다층 구조의 스마트 주차 시스템
KR101172738B1 (ko) 철도차량 출입문과 안전발판의 연계 제어 시스템
KR101614861B1 (ko) 승강장 안전발판과 전동열차 및 승강장 안전문과의 연동제어시스템
CN110758438B (zh) 轨道行走装置
KR101092223B1 (ko)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
KR101924515B1 (ko) 주차타워의 승하강장치
KR20090034232A (ko) 철도차량용 안전 스탭 장치
RU2689913C2 (ru)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й вагон с пассажирским отсеком, доступным через подвижную и неподвижную площадки между двумя уровнями
JP7321073B2 (ja) ホームドア装置
KR200294519Y1 (ko) 경사형 엘리베이터와 경사 안내부 및 경사형 엘리베이터시스템
KR101278946B1 (ko)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JP2700375B2 (ja) プラットホーム安全確認装置
KR200489413Y1 (ko) 승강장의 안전발판
JP4578229B2 (ja) 列車の人身事故防止装置
KR200475847Y1 (ko) 철도건널목의 통행안전장치
KR101596302B1 (ko) 승강장의 스크린도어
KR100209557B1 (ko) 철도차량의 플랫폼 안전장치
CN113830109B (zh) 一种交通轨道车
KR102522765B1 (ko) 승객의 발빠짐을 방지할 수 있는 지하철 승강장용 안전발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