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1715A - 진학 전문가 정보 제공 연동 기반의 구인 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진학 전문가 정보 제공 연동 기반의 구인 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1715A
KR20210101715A KR1020200015989A KR20200015989A KR20210101715A KR 20210101715 A KR20210101715 A KR 20210101715A KR 1020200015989 A KR1020200015989 A KR 1020200015989A KR 20200015989 A KR20200015989 A KR 20200015989A KR 20210101715 A KR20210101715 A KR 20210101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b
information
search
unit
see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주은
Original Assignee
권주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주은 filed Critical 권주은
Priority to KR1020200015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1715A/ko
Publication of KR20210101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7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구인정보 제공 연동 기반의 구인 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구인서버로부터 구인업체정보를 입력받는 구인업체가입부 및, 구직단말로부터 구직자정보를 입력받는 구직자가입부를 포함하는 회원가입모듈; 상기 구인서버로부터 업무내용정보, 업무일정정보, 급여정보를 포함하는 구인정보를 입력받는 구인신청부 및, 상기 구직단말로부터 희망급여정보와 희망업무내용정보, 희망일정정보를 포함하는 구직신청정보를 입력받는 구직신청부를 포함하는 구인구직신청모듈; 상기 구인서버로부터 입력받은 복수개의 상기 구인정보를 기반으로 구인리스트를 생성하는 구인리스트생성부와, 상기 구인서버로부터 구인중개요청정보를 입력받는 구인중개요청부 및, 상기 구인중개요청정보의 입력에 따라 상기 구인서버가 보유한 상기 구인리스트를 다른 상기 구인서버로 송신하는 구인중개부를 포함하는 구인구직중개모듈; 상기 구인정보를 상기 구직단말에 제공하는 구인정보제공부 및, 상기 구직단말로부터 상기 구인정보에 대한 업무희망여부를 입력받아 상기 구인서버에게 제공하고 배정여부를 입력받는구직수행부 및, 상기 배정여부 입력에 따라 상기 구직자정보를 상기 구인정보에 배정한 구직매칭정보를 생성하여상기 구인서버 및 상기 구직단말에 제공하는 매칭처리부를 포함하는 인력배치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학 전문가 정보 제공 연동 기반의 구인 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A System Providing Interactive Employment And Recruitment Services about School Entrance Expert}
본 발명은 구인정보 제공 연동 기반의 구인 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구직자와 구인업체를 상호 연결함과 동시에 인력 배치의 효율성을 높이며, 구인업체 간 구인정보 연동기능을 부가한 구인정보 제공 연동 기반의 구인 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간제 근무형태가 아닌 일용직 소개시장은 소규모 소개업소의 난립과 그에 따른 정보의 분산으로 인한 일용직 정보 취득의 한계 때문에 구직자의 수입이 낮고 작업일수 역시 낮은 것이 현실이며 일용직을 필요로 하는 회사의 경우에도 인력을 찾기 어렵고 높은 정보비를 지출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구직자의 경우 전문기술을 갖고 있음에도 단순 구직자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아 인력의 구조적인 낭비가 나타나고 있다.
현재 구직자 및 소개소, 기업들에게 인력 정보를 수집함에 있어 사용되는 방법은 전화기, 핸드폰, 인터넷 등을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일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구직자들은 직업소개소에 새벽부터 무작정 기다려야하는 불편함이 많았다. 이러한 구직자의 구직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인터넷을 활용한 직업소개 방법이 활용되고 있으나, 현장에서 업계의 현실과는 괴리가 있어 사용화나 보편화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 등록특허 제 10-1348915호에 ‘스마트폰을 이용한 구인, 구직 관리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구인을 원하는 구인업체와 일자리를 구하는 구직자를 연결하여 구인, 구직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구인을 희망하는 구인업체서버(2)로부터 제공된 업체정보를 미리 설정된 분류단계로 저장하는 구인업체관리부(8)와, 클라이언트(6)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전용 앱을 통해 입력된 구직정보를 전송받아 미리 설정된 분류단계로 저장하는 클라이언트관리부(10)와, 구인업체서버(2)의 구인요청시, 구인업체서버(2)로부터 제공된 구인정보를 미리 설정된 분류단계로 저장하는 구인정보관리부(12)와, 구인업체서버(2)와 클라이언트(6) 사이의 인력 제공에 대한 임금 지급과, 구인정보 제공에 대한 메인서버(4)와 클라이언트(6) 사이의 수수료인 월(년)회비 결제, 차감식 충전금액 결제를 관리하는 결제관리부(14)와, 구인업체서버(2)의 구인정보와 클라이언트(6)의 구직정보를 미리 설정된 분류단계에 의해 상호 매칭시킨 후, 구인업체서버(2)가 미리 선택한 클라이언트(6)에게 선택적 발송 또는 구인정보와 구직정보가 매칭된 클라이언트(6) 전체에게 발송 중 어느 하나로 클라이언트(6)의 스마트폰 앱으로 발송하고, 스마트 폰 앱을 확인한 클라이언트(6)가 구인 요청 승인을 확인함에 따라 실시간으로 구인업체서버(2)와 클라이언트(6)를 연계하는 메인서버(4)로 구성된다.
따라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구인업체와 구직자를 실시간으로 연결하여 줌으로써 구인업체는 빠른 시간 안에 필요한 인력을 충당할 수 있으며, 구직자는 인터넷과 같은 별도의 구직활동 없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용이하게구인정보를 제공받아 일자리를 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의 경우 구직자와 구인업체 사이의 단순 연결 서비스에 불과하며, 구직자를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 또는 단순 일용직 노동자의 근무 일정 관리 등의 구인업체 및 구직자가 구인/구직을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별도의 부가 기능을 제공하는 데에는 무리가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구인정보 제공 연동 기반의 구인 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구직자와 구인업체를 상호 연결함과 동시에 인력 배치의 효율성을높이며, 구인업체 간 구인정보 연동 기능을 부가한 구인정보 제공 연동 기반의 구인 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구인정보 제공 연동 기반의 구인 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구직자와 구인업체를 상호 연결함과 동시에 인력배치의 효율성을 높이며, 구인업체 간 구인정보 연동 기능을 부가한 구인정보 제공 연동 기반의 구인 구직 중개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인/구직 매칭이 완료된 구직자의 근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구인업체로 하여금구직자의 근태관리를 가능케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직자가 일을 하지 않는 공일에 해당하는 구인정보가 업로드 되는 경우 이를 제공받을 수 있어 구직자가 공일을 허비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효율적인 구인/구직 매칭을 가능하게 하는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구인업체와 구직자의 구직성향을 분석하여 구직자의 구직성향에 맞는 구인업체를 중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직자에게 최적화된 구인중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구직자의 과거 구직경향을 토대로 각각의 구인정보에 대한 구직자의 업무희망여부를 예측하여 구인중개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인정보 제공 연동 기반의 구인 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구인정보 제공 연동 기반의 구인 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구인서버로부터 구인업체정보를 입력받는 구인업체가입부 및, 구직단말로부터 구직자정보를 입력받는 구직자가입부를 포함하는 회원가입모듈; 상기 구인서버로부터 업무내용정보, 업무일정정보, 급여정보를 포함하는 구인정보를 입력받는 구인신청부 및, 상기 구직단말로부터 희망급여정보와 희망업무내용정보, 희망일정정보를 포함하는 구직신청정보를 입력받는 구직신청부를 포함하는 구인구직신청모듈; 상기 구인서버로부터 입력받은 복수개의 상기 구인정보를 기반으로 구인리스트를 생성하는 구인리스트생성부와, 상기 구인서버로부터 구인중개요청정보를 입력받는 구인중개요청부 및,상기 구인중개요청정보의 입력에 따라 상기 구인서버가 보유한 상기 구인리스트를 다른 상기 구인서버로 송신하는 구인중개부를 포함하는 구인구직중개모듈; 상기 구인정보를 상기 구직단말에 제공하는 구인정보제공부 및,상기 구직단말로부터 상기 구인정보에 대한 업무희망여부를 입력받아 상기 구인서버에게 제공하고 배정여부를입력받는 구직수행부 및, 상기 배정여부 입력에 따라 상기 구직자정보를 상기 구인정보에 배정한 구직매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구인서버 및 상기 구직단말에 제공하는 매칭처리부를 포함하는 인력배치모듈;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구직자가입부는, 상기 구직단말로부터 나이정보 및 경력정보를 [0018] 포함하는 구직자정보를 입력받고,상기 구인신청부는, 상기 구인서버로부터 상기 구인정보에 대한 희망배치인원정보를 더 입력받으며, 상기 매칭처리부는, 상기 희망배치인원정보에 상응하는 수의 상기 구직자정보를 상기 구인정보에 배정하며, 상기 인력배치모듈은, 상기 나이정보 및 상기 경력정보에 따라 상기 구인정보에 배정된 복수개의 상기 구직자정보에 세부업무정보를 차등 배정하는 최적업무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상기 구직매칭정보가 생성된 상기 구직단말의 업무시작시간정보 및 업무완료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근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구인서버에게 제공하는 근태확인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상기 시스템은, 캘린더와 연동하여 상기 구직매칭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업무일정정보를 상기 구직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업무일정안내부를 포함하는 일정관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인정보 제공 연동 기반의 구인 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1) 구직자와 구인업체를 상호 연결함과 동시에 인력 배치의 효율성을 높이며, 구인업체 간 구인정보 연동 기능을 부가한 구인정보 제공 연동 기반의 구인 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고,
2) 구인/구직 매칭이 완료된 구직자의 근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구인업체로 하여금 구직자의 근태관리를 가능케 하며,
3) 구직자가 일을 하지 않는 공일에 해당하는 구인정보가 업로드 되는 경우 이를 제공받을 수 있어 구직자가 공일을 허비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효율적인 구인/구직 매칭을 가능하게 하고,
4) 구인업체와 구직자의 구직성향을 분석하여 구직자의 구직성향에 맞는 구인업체를 중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직자에게 최적화된 구인중개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10)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구인정보 제공 연동 기반의 구인 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기본적으로 구직자(20)가 이용하는 구직단말(21), 구인업체(30)가 이용하는 구인서버(31), 그리고 메인서버(40)로 이루어진다.
구직단말(21)은 구직을 하고자하는 구직자(20)가 이용하는 단말로서, 데스크톱PC,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구직을 하고자 하는 구직자(20)가 소지하는 단말로서 어플리케이션이나 인터넷 웹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이라면 그 종류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구직자(20)는 구직단말(2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10)을 이용하고 구직을 시도할 수 있다. 이 때 구직단말(21)에는 인터넷 웹페이지나 어플리케이션 등이 구현되어 있어 구직을 위해 구직자(20)가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 있다.
구인서버(31)는 구인을 하고자 하는 구인업체(30)가 이용하는 서버로서, 구인업체(30)에 구비된 서버용 개별 PC 나 서버용 개별 PC의 집합체 등이 구인서버(31)가 될 수 있으며, 혹은 구인업체(30)가 구비한 태블릿PC나 스마트폰 등을 통해 서버 운영이 가능한 경우 그 역시 구인서버(31)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구인업체(30)는 구인서버(31)를 통해 본 발명의 시스템(10)이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이나 인터넷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이용할 수있다. 메인서버(40)는 본 발명의 구인 구직 중개서비스 제공 시스템(10) 이 구현되는 메인 서버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메인서버(40)는 각각의 구직단말(21) 및 구인서버(31)로부터 구직자정보 및 구인업체정보를 각각 입력받고 이를 중개하는 역할을 통해 구인 및 구직을 중개할 분 아니라, 구인업체(30) 간의 구인리스트 공유 역할을 수행하여 구인업체(30) 간의 구인업체(30)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를 통해 구직자(20)와 구인업체(30)를 상호 연결함과 동시에 인력 배치의 효율성을 높이며, 구인업체(30) 간구인정보 연동 기능을 통해 구인 구직 중개 성공률을 보다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메인서버(40)는 구직자(20)와 구인업체(30)가 각각 보유한 구직단말(21) 및 구인서버(31)에 구인 구직중개를 위해 마련된 인터넷 웹페이지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관리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구직자(20) 어플리케이션 및 구인업체(30) 어플리케이션은 상호 동일하거나 혹은 다른 구성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어플리케이션일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인정보 제공 연동 기반의 구인 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구성에 대해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10)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구인정보 제공 연동 기반의 구인 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회원가입모듈(100), 구인구직신청모듈(200), 구인구직중개모듈(300), 인력배치모듈(400)을 기본적으로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원가입모듈(100)은 구인서버(31)로부터 구인업체정보를 입력받고 구직단말(21)로부터 구직자정보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구인업체가입부(110) 및 구직자가입부(120)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구인업체가입부(110)는 구인업체(30)에 구비된 구인서버(31)를 통해 구인업체정보를 입력받는 것으로서, 이 때 구인업체정보라 함은 구인업체(30)의 회사명과 구인업체(30)의 직원 수, 구인업체(30)의 업력정보를 포함할 수있다.
구직자가입부(120)는 구직자(20)가 소지한 구직단말(21)로부터 구직자정보를 입력받는 것으로서, 이 때 구직자정보라 함은 구직자(20)의 나이, 성별, 이름, 거주지, 경력, 혹은 급여이체를 위한 급여계좌정보 등을 포함할수 있다.
구인구직신청모듈(200)은 구인 구직 중개를 위한 구인업체(30)의 무내용정보, 업무일정정보, 급여정보를 포함하는 구인정보와, 구직자(20)의 희망급여정보와 희망업무내용정보, 희망일정정보를 포함하는 구직신청정보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구인신청부(210) 및 구직신청부(220)를 각각 포함한다.
구인신청부(210)는 구인업체(30)에 구비된 상기 구인서버(31)로부터 업무내용정보, 업무일정정보, 급여정보를포함하는 구인정보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업무내용정보라 함은 수행해야 할 업무사항에 대한정보, 즉 무슨 업무를 수행해야 하는 지의 정보를 의미하고, 업무일정정보는 근무 기간 및 근무 시간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여, 급여정보는 업무 수행을 통해 구직자(20)에게 제공될 급여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혹은 구인정보를 통해 구인업체(30)가 선호하는 구직자(20)에 대한 정보, 즉 경력 몇 년 이상을 선호하는지, 특정 성별이나 특정 거주지에 거주하는 거주자를 선호하는 지 등을 함께 입력받을 수도 있다.
구직신청부(220)는 구직자(20)가 소지한 상기 구직단말(21)로부터 희망급여정보와 희망업무내용정보, 희망일정정보를 포함하는 구직신청정보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희망급여정보라 함은 구직자(20)가 제공받고자 하는 급여 수준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고, 희망업무내용정보는 구직자(20)가 수행하고자 하는 업무의 종류 또는 업종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며, 희망일정정보라 함은 구직자(20)가 업무를 수행할 수 있거나 수행하고싶은 시간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구인구직중개모듈(300)은 복수개의 상기 구인정보를 기반으로 구인리스트를 생성하고, 이를 구인서버(31) 간 공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구인리스트생성부(310)와 구인중개요청부(320), 구인중개부(330)를 포함한다. 구인리스트생성부(310)는 상기 구인서버(31)로부터 입력받은 복수개의 상기 구인정보를 기반으로 구인리스트를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인신청부(210)에서 입력받은 인정보가 적어도 두 개 이상 포함된구인리스트를 생성한다. 이 때 구인리스트는 상술한 업무내용정보나 업무일정정보, 급여정보 등이 표 등의 형태로 나열된 형태일 수 있다.
구인요청중개부는 상기 구인서버(31)로부터 구인중개요청정보를 입력받는 것으로서, 이는 해당하는 구인업체(30)로부터 상술한 구인정보를 다른 구인업체(30)와 공유할 것인지 대한 여부를 입력받는 것이다. 이는 각각의구인업체(30)에 구비된 구인서버(31)로부터 구인중개요청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인정보의 공유라 함은, 적절한 구직자(20) 모집을 위해 각각의 구인업체(30)가 보유한 구인정보를 다른 구인업체(30)와 나눔으로써 구인/구직 중개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구인중개부(330)는 상기 구인중개요청정보의 입력에 따라 상기 구인서버(31)가 보유한 상기 구인리스트를 다른상기 구인서버(31)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구인리스트를 다른 구인서버(31)로 송신하여 구인정보가 구인업체(30) 간 연동될 수 있게 된다. 이 때 송신될 구인리스트를 제공받을 구인서버(31)로부터 구인서버(31)의 수신 여부를 입력받을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구인정보 연동 여부를 송신자와 수신자 모두로부터 입력받아 제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인구직중개모듈(300)을 통해 상술한 구인업체(30)가 보유한 구인정보를 다른 구인업체(30)와 공유하고, 이를 통해 복수의 구인업체(30)로부터 동일한 구인정보에 대한 구직자(20) 매칭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구인/구직 중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인력배치모듈(400)은 구인정보를 기반으로 구직자(20)를 매칭하여 실제 구인/구직 중개를 수행하는 기능을 갖는것으로서, 이를 위해 구인정보제공부(410)와 구직수행부(420) 및 매칭처리부(430)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구인정보제공부(410)는 상기 구인정보를 상기 구직단말(21)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는 구인업체(30)로부터 입력된 구인정보를 구직단말(21)에 제공하여 구직자(20)로 하여금 구인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하는 것이다. 구직자(20)는 구직단말(21)을 통해 구인정보를 확인하고 본인의 구직신청정보와 부합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직수행부(420)는 상기 구인정보에 대한 업무희망여부를 입력받아 상기 구인서버(31)에게 제공하고 배정여부를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는 구직자(20)가 제공받은 구인정보에 대한 업무 배정, 즉 해당 구인정보에 구직을 하고자 하는 의사를 업무희망여부 입력을 통해 나타내는 경우 이를 해당 구인정보를 보유한 구인서버(31)에 제공하는 것이다. 더불어 이 때 구직자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구인서버(31)로부터 구인정보에 대한 업무를 희망하는 구직자(20)에 대한 정보를 구인업체(30)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 후 구인서버(31)를통해 배정여부를 입력하여 해당 구인정보에 해당 구직자(20)를 배정할 것인지에 대한 여부를 입력받는다.
매칭처리부(430)는 상기 배정여부 입력에 따라 상기 구직자정보를 상기 구인정보에 배정한 구직매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구인서버(31) 및 상기 구직단말(21)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배정여부가 입력되어 구인서버(31)로부터 해당 구인정보에 구직자(20)를 배정하기로 확정되는 경우, 구직자정보를 구인정보에 배정 처리하여 구인서버(31) 및 구직단말(21)에 각각 제공함으로써 구인/구직이 성사되었음을 알리는 것이다. 이 때 하나의 구인정보에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구직자정보가 배정될 수 있으며, 구인정보 입력 시 필요인원정보를입력받은 뒤 해당 필요인원정보 만큼의 구직자정보를 배정 처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인정보 제공 연동 기반의 구인 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구직자(20)와 구인업체(30)를 상호 연결함과 동시에 인력 배치의 효율성을 높이며, 구인업체(30) 간 구인정보 연동 기능을 부가하여 구인업체(30)가 갖고 있었던 구인리스트를 상호 공유할 수 있어 복수의 구인업체(30)로부터 동일한 구인정보에 대한 구직자(20) 매칭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구인/구직 중개의 효율성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이와 같은 구인정보 제공 연동 기반의 구인 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있어 포함될 수 있는추가적인 구성 및 시스템(10)에 포함된 기본 구성에 포함될 수 있는 세부적인 기능 및 구성에 대해 도면과 함께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1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인정보 제공 연동 기반의 구인 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포함될 수 있는 세부 구성 및 추가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구인 구직 수행에 있어 경력 및 나이에 따라 각각의 구직자(20)가 배정되는 업무 내용에 차등을 둘 수 있 게 할 수 있으며, 나이와 경력, 각각의 구인정보에 필요한 인원만큼의 구직자(20) 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위해 상기 구직자가입부(120)는, 상기 구직단말(21)로부터 나이정보 및 경력정보를 포함하는 구직자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고, 상기 구인신청부(210)는, 상기 구인서버(31)로부터 상기 구인정보에 대한 희망배치인원정보를 더입력받을 수 있으며, 상기 매칭처리부(430)는, 상기 희망배치인원정보에 상응하는 수의 상기 구직자정보를 상기구인정보에 배정할 수 있고, 상기 인력배치모듈(400)은, 상기 나이정보 및 상기 경력정보에 따라 상기 구인정보에 배정된 복수개의 상기 구직자정보에 세부업무정보를 차등 배정하는 최적업무배정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기본 구성 설명에 있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고 설명한 나이 및 경력정보, 희망배치인원정보 입력 및이를 이용한 구인 / 구직 중개에 대한 구성으로서, 구직자가입부(120)를 통한 구직자정보 입력 시 구직자(20)의 나이정보와 경력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여 경력 및 나이를 구인 / 구직 중개에 반영토록 할 수 있다. 이때 경력정보의 경우 구직단말(21)을 통해 원하는 상황에 수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점점 축적되는 구직자(20)의 경력을 반영할 수 있다.
또한 구인신청부(210)를 통해 희망배치인원정보를 입력받고, 매칭처리부(430)를 통해 상기 희망배치인원정보에 상응하는 수의 상기 구직자정보를 상기 구인정보에 배정하도록 하여 적절한 인원 만큼이 구인정보에 배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인력배치모듈(400)에 포함될 수 있는 최적업무배정부(440)를 통해 상기 나이정보 및 상기 경력정보에 따라상기 구인정보에 배정된 복수개의 상기 구직자정보에 세부업무정보를 차등 배정할 수 있어, 경력이나 나이를 기반으로 동일한 구인정보에 배정되는 구직자(20) 사이의 직급 차이를 두거나, 경력이나 나이가 가장 높은 사람을 관리자 급으로 지정하여 다른 구직자(20)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혹은 근무 시간에도 차등을 둘 수도있다.
또 다른 구성으로서, 상기 시스템(10)은, 상기 구직매칭정보가 생성된 상기 구직단말(21)의 업무시작시간정보 및 업무완료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근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구인서버(31)에게 제공하는 근태확인모듈(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구직매칭정보가 생성되어 구인 / 구직 중개가 완료된 구직자정보가 입력된 구직단말(21), 즉 구직매칭정보가 생성된 구직자(20)(본 발명을 통해 구직매칭정보가 생성되어 구직이 완료된 구직자(20))가 배정된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그 근태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때 구인서버(31)라 함은 해당 구직매칭정보에 해당하는 구인정보를 보유한 구인서버(31)를 의미하며, 이를통해 구인업체(30)가 근태정보를 제공받아 확인할 수 있어 배정된 구직자(20)가 업무를 잘 수행하고 있는지, 근태가 어떤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추후 구직 매칭 시 참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혹은 특정 구직단말(21)로부터 생성된 근태정보가 매우 불량하다고 여겨지는 경우, 구직매칭정보를 파기하여 근로 계약을 해지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시스템(10)은, 캘린더와 연동하여 상기 구직매칭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업무일정정보를 상기 구직단말(21)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업무일정안내부를 포함하는 일정관리모듈(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시스템(10)을 통해 구직을 수행하는 구직자(20)의 편의를 더 높이기 위한 구성으로서, 구직 수행을 위해 구직단말(21)에 구현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페이지가 구직단말(21)의 캘린더와 연동되도록 하여 구직매칭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업무일정정보를 상기 구직단말(21)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함으로써 구직자(20)로 하여금 업무일정정보를 캘린더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더 나아가, 상기 일정관리모듈(600)은, 상기 구직단말(21)로부터 상기 캘린더 상에서 상기 업무일정정보가출력되지 않은 공일정보에 대한 공일업무희망정보를 입력받는 공일업무수행판단부(610)를 더 포함할 수 있고,상기 인력배치모듈(400)은, 상기 업무일정정보가 상기 공일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구인정보의 입력에 따라 상기공일업무희망정보가 입력된 상기 구직단말(21)에 알림정보를 출력하는 긴급구인알림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일업무수행판단부(610)는 상기 구직단말(21)로부터 상기 캘린더 상에서 상기 업무일정정보가 출력되지 않은공일정보에 대한 공일업무희망정보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캘린더 상에 업무일정정보가 출력되지 않는 날은 해당 구직자(20)가 업무를 수행하지 않는 날, 즉 다른 구인정보와의 매칭이 수행될 수 있는 날(공일-일을 하지 않는 날)을 의미한다. 따라서 구직단말(21)을 통해 이러한 공일에 대한 정보인 공일정보에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인 공일업무희망정보를 입력받아 또 다른 매칭을 수행하도록 준비할 수도 있다. 긴급구인알림부(450)는 상기 업무일정정보가 상기 공일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구인정보의 입력에 따라 상기 공일 업무희망정보가 입력된 상기 구직단말(21)에 알림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는 구인서버(31)로부터 입력된 구인정보에 포함된 업무일정정보가 공일정보에 부합하는 경우, 즉 해당 구직자(20)가 업무를 수행하지 않아 다른 구인정보와의 매칭이 가능한 날짜에만 근무를 하게 되는 구인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공일업무희망정보가 입력된 상기 구직단말(21)에 알림정보를 출력하여 해당 구직자(20)의 공일정보와 부합하는 구인정보가 입력되었음을 알리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구직자(20)는 본인이 일을 할 수 있는 기간과 부합하는 구인정보가 등록되었음을 확인하여 그에 대한 업무희망정보 입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구직매칭정보가 생성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우선순위 산출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상술한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10)에 포함될 수 있는 우선순위 산출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구인정보 제공 연동 기반의 구인 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기본적으로 구인과 구직을 수행하는 만큼, 구인정보와 구직자(20)를 적절히 매칭하여 구인 구직을 수행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더불어 구직자(20)에게 적절한 구인정보를 제공하여, 구직자(20)가 원하는 조건에 부합하는 구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야 구인 / 구직의 효율성이 높아질 수 있음은 이루 말할 것도 없다. 따라서 구직자(20) 및 구인업체(30)의 성향 및 업무에 필요한 업무특성정보를 분석하여 이를 기반으로 구직자(20)가 구직을 수행할 수 있도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시스템(10)은, 상기 구직단말(21) 및 상기 구인서버(31)를 통해 구직자(20) 및 구인업체(30)의 성향정보 및 업무특성정보를 각각 분석하고 비교 처리하여 복수개의 상기 구인정보에 대한 상기 구직자별 우선순위를 산출하는 최적화중개모듈(70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구인정보제공부(410)는, 산출된 상기 우선순위가 기 설정된 기준순위 이상인 상기 구인정보를 상기 구직단말(21)에 제공할 수 있다.
최적화중개모듈(700)은 상기 구직단말(21) 및 상기 구인서버(31)를 통해 구직자(20) 및 구인업체(30)의 성향정
보 및 업무특성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받아 각각 분석하고 비교 처리하여 복수개의 상기 구인정보에 대한 상기 구직자별 우선순위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구직자(20)와 구인업체(30) 각각의 성향, 즉구직자(20)가 업무를 수행할 때에 있어서의 성향이나 혹은 구인업체(30)에서 원하는 구직자(20)의 성향을 분석할 수도 있는 것이며, 혹은 특정 업무나 직종에 대한 호감도 등을 성향정보로서 분석할 수도 있다.
더불어 구인업체(30)가 보유한 구인정보의 해당 업무 및 구직자(20)가 그간 수행해온 업무에 대한 업무특성정보를 함께 분석하고 이와 같은 성향정보 및 업무특성정보를 상호 비교 처리하여 입력된 복수개의 구인정보에 대한 구직자별 우선순위를 산출한다.
이는 해당 구인정보가 구직자(20)에 얼마나 부합되는 지를 우선순위를 통해 산출하는 것으로서, 구직자(20)의 성향정보 및 업무특성정보와 가장 부합하는 구인정보를 가장 높은 우선순위로 부여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그 후 상기 구인정보제공부(410)를 통해 산출된 상기 우선순위가 기 설정된 기준순위 이상인 상기 구인정보를 상기 구직단말(21)에 제공하는 것이며, 혹은 우선순위에 따라 복수개의 구인정보를 순차적으로 제공하여 구직자(20)가 우선순위가 높은 구인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본인과 가장 부합하는 구인정보를 가장 먼저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최적화중개모듈(700)의 상세 구성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최적화중개모듈(700)은, 구직자설문부(710)와 구인업체설문부(720), 비교산출부(730), 쌍대비교부(740). 고유치산출부(750), 중요도산출부(760), 최종수치산출부(770), 우선순위산출부(7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직자설문부(710)는 상기 구직단말(21)을 통해 상기 구직자(20)에게 구직자(20)성향정보를 묻는 설문을 각각 디스플레이하여 각각의 상기 설문에 대한 구직자수치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는 구직자(20)의 인성검사와도 유사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 구직자수치라 함은 매우 아니다 -> 매우 그렇다로 이루어져 각 항목별로 점수가 부가된 수치를 일컫는다. 매우 아니다가 1점, 아니다 2점, 보통이다 3점,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가 5점인 경우 구직자(20)는 구직단말(21)을 통해 만약 각 설문에 따라 1점 내지 5점의 구직자수치를 입력할 수있다. 이와 같은 구직자수치는 보다 세분화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구인업체설문부(720)는 상기 구인서버(31)를 통해 상기 구인업체(30)에게 구인성향정보를 묻는 설문을 각각 디 스플레이하여 각각의 상기 설문에 대한 구인업체수치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구인업체(30)에게 상술한 구직자설문부(710)에서 수행한 것과 동일한 유형의 설문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때 유형이 비슷할 뿐 설문에 포함된 각각의 개별 설문 문항은 동일할 수도,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개별 설문문항 역시 유사하거나, 특정 성향에 있어서의 구직자(20)/구인업체(30)의 입장 차이를 반영한 설문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구인업체(30) 및 구직자(20)에게 제공되는 설문은 그 개수가 동일하다. 따라서 구인업체(30)는 해당 설문 수행을 통해, 해당 구인업체(30)가 소유한 각각의 구인정보에 대한 구인성향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인성향정보는 구인정보별로 이루어지며, 해당 구인업체(30)가 여러 건의 구인정보를 보유하는 경우, 각각의 구인정보 마다 구인성향정보 입력이 수행되어야 한다.
비교산출부(730)는 각 설문에 대한 상기 구직자수치와 상기 구인업체수치를 비교 처리하여 비교수치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구직자수치와 구인업체수치의 비교 처리를 통해 비교수치를 산출함으로써 해당 구인정보에 구직자(20)의 성향이 얼마나 부합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쌍대비교부(740)는 각각의 상기 구직자수치를 비교하여 쌍대비교행렬을 생성하는 것으로서, 구직자(20)의 설문수행을 통해 입력받은 구직자수치 간의 비교를 통해 쌍대비교행렬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는 설문에 포함된 복수개의 질문 각각에 대한 구직자수치가 입력되었을 때, 동일한 구직자(20)가 입력한 질문 각각에 대한 구직자수치의 쌍대비교행렬 분석을 통해 특정 질문에 대한 구직자(20)의 중요도 판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들어 구직자(20)성향정보 분석에 있어, 어떠한 성향이나 질문 등을 구직자(20)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지의 여부를 쌍대비교행렬 분석을 통해 알아내는 것이다.
고유치산출부(750)는 상기 쌍대비교행렬의 고유치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쌍대비교행렬 작성이 이루어지면 해당 행렬로부터 고유치를 산출하는 것이다. 이 때 고유치 산출을 위해서는 고유방정식을 작성하고 그에 대한 해를 구하는 방식을 통해 고유치를 산출할 수 있는데, 이 때 고유방정식의 해를 구하기 위해서는 행렬식(determinant)가 이용되며, 행렬식의 답을 도출하는 방식을 통해 고유치를 산출해낼 수 있다. 이러한 고유치는 단일 값으로 나타날 수도 있을 뿐 아니라 복수의 값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중요도산출부(760)는 상기 고유치를 기반으로 상기 쌍대비교행렬로부터 중요도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 때 만약 고유치가 복수의 값으로 나타나는 경우 고유치의 최대값을 기반으로 중요도를 산출한다. 이때 산출되는 중요도는 설문에 포함된 각각의 질문에 대한 중요도로서, 각각의 질문 별 중요도가 고유치를 기반으로 산출된다.
최종수치산출부(770)는 상기 비교수치에 상기 중요도를 부여하여 각 설문별 최종수치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비교산출부(730)를 통해 산출된 비교추시에 상술한 중요도산출부(760)를 통해 산출된 중요도를 반영하여 설문의 최종수치, 즉 설문에 포함된 복수개의 질문별 최종수치를 산출하는 것이다.
우선순위산출부(780)는 상기 최종수치를 기반으로 복수개의 상기 구인정보에 대한 상기 구직자별 우선순위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산출된 최종수치를 기반으로 구인정보에 대한 우선순위를 산출하여 해당 구인정보와 구직자(20)의 성향이 부합하는 지를 판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비교수치 산출 전 단계에 있어, 설문을 수행할 때에는 응답자(구직자(20), 구인업체(30))가 입력한 답안에 대한 신뢰도를 판정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는 응답자가 좋은 평가를 받기 위해 솔직하게 답안을 수행하지 않고 거짓으로 설문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최적화중개모듈(700)은, 상기 구직자수치에 대한 일관성점수를 검증하는 일관성판단부(79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비교산출부(730)는, 상기 일관성점수가 기 설정된 기준점수 이하인 상기 구직자수치와 상기 구인업체수치를 비교 처리하여 비교수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기준점수를 초과하는 일관성점수가 나타나는 경우, 즉 특정 방향의 설문에 대해 너무 높은 일관성이 드러나는 경우 이는 거짓으로 꾸며낸 답이라고 판정되는 것이며, 이 경우 응답자에게 경고메세지를 출력하고 설문을 재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인정보 제공 연동 기반의 구인 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시스템 20 : 구직자
21 : 구직단말 30 : 구인업체
31 : 구인서버 40 : 메인서버
100 : 회원가입모듈 110 : 구인업체가입부
120 : 구직자가입부 200 : 구인구직신청모듈
210 : 구인신청부 220 : 구직신청부
300 : 구인구직중개모듈 310 : 구인리스트생성부
320 : 구인중개요청부 330 : 구인중개부
400 : 인력배치모듈 410 : 구인정보제공부
420 : 구직수행부 430 : 매칭처리부
440 : 최적업무배정부 450 : 긴급구인알림부
500 : 근태확인모듈 600 : 일정관리모듈
610 : 공일업무수행판단부 700 : 최적화중개모듈
710 : 구직자설문부 720 : 구인업체설문부
730 : 비교산출부 740 : 쌍대비교부
750 : 고유치산출부 760 : 중요도산출부
770 : 최종수치산출부 780 : 우선순위산출부
790 : 일관성판단부 791 : 거리산출부
792 : 구직경향반영부

Claims (6)

  1. 구인정보 제공 연동 기반의 구인 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구인서버로부터 구인업체정보를 입력받는 구인업체가입부 및, 구직단말로부터 구직자정보를 입력받는 구직자가 입부를 포함하는 회원가입모듈;
    상기 구인서버로부터 업무내용정보, 업무일정정보, 급여정보를 포함하는 구인정보를 입력받는 구인신청부 및,
    상기 구직단말로부터 희망급여정보와 희망업무내용정보, 희망일정정보를 포함하는 구직신청정보를 입력받는 구직신청부를 포함하는 구인구직신청모듈;
    상기 구인서버로부터 입력받은 복수개의 상기 구인정보를 기반으로 구인리스트를 생성하는 구인리스트생성부와, 상기 구인서버로부터 구인중개요청정보를 입력받는 구인중개요청부 및, 상기 구인중개요청정보의 입력에 따라 상기 구인서버가 보유한 상기 구인리스트를 다른 구인서버로 송신하는 구인중개부를 포함하는 구인구직중개모듈;
    상기 구인정보를 상기 구직단말에 제공하는 구인정보제공부 및, 상기 구직단말로부터 상기 구인정보에 대한 업무희망여부를 입력받아 상기 구인서버에게 제공하고 배정여부를 입력받는 구직수행부 및, 상기 배정여부 입력에 따라 상기 구직자정보를 상기 구인정보에 배정한 구직매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구인서버 및 상기 구직단말에 제공하는 매칭처리부를 포함하는 인력배치모듈;
    상기 구직단말 및 상기 구인서버를 통해 구직자 및 구인업체의 성향정보 및 업무특성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받아 각각 분석하고 비교 처리하여 복수개의 상기 구인정보에 대한 상기 구직자별 우선순위를 산출하는 최적화중개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구인정보제공부는, 산출된 상기 우선순위가 기 설정된 기준순위 이상인 상기 구인정보를 상기 구직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최적화중개모듈은, 상기 구직단말을 통해 상기 구직자에게 구직자성향정보를 묻는 설문을 각각 디스플레이하여 각각의 상기 설문에 대한 구직자수치를 입력받는 구직자설문부와, 상기 구인서버를 통해 상기 구인업체에게 구인성향정보를 묻는 설문을 각각 디스플레이하여 각각의 상기 설문에 대한 구인업체수치를 입력받는 구인업체설문부 및, 각 설문에 대한 상기 구직자수치와 상기 구인업체수치를 비교 처리하여 비교수치를 산출하는 비교산출부와, 각각의 상기 구직자수치를 비교하여 쌍대비교행렬을 생성하는 쌍대비교부 및, 상기 쌍대비교행렬의 고유치를 산출하는 고유치산출부와, 상기 고유치를 기반으로 상기 쌍대비교행렬로부터 중요도를 산출하는 중요도산출부 및, 상기 비교수치에 상기 중요도를 부여하여 각 설문별 최종수치를 산출하는 최종수치산출부와, 상기 최종수치를 기반으로 복수개의 상기 구인정보에 대한 상기 구직자별 우선순위를 산출하는 우선순위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인정보 제공 연동 기반의 구인 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직자가입부는,
    상기 구직단말로부터 나이정보 및 경력정보를 포함하는 구직자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구인신청부는, 상기 구인서버로부터 상기 구인정보에 대한 희망배치인원정보를 더 입력받으며,
    상기 매칭처리부는, 상기 희망배치인원정보에 상응하는 수의 상기 구직자정보를 상기 구인정보에 배정하며,
    상기 인력배치모듈은,
    상기 나이정보 및 상기 경력정보에 따라 상기 구인정보에 배정된 복수개의 상기 구직자정보에 세부업무정보를 차등 배정하는 최적업무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인정보 제공 연동 기반의 구인 구직 중개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구직매칭정보가 생성된 상기 구직단말의 업무시작시간정보 및 업무완료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근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구인서버에게 제공하는 근태확인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인정보 제공 연동 기반의 구인 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캘린더와 연동하여 상기 구직매칭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업무일정정보를 상기 구직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업무일정안내부를 포함하는 일정관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인정보 제공 연동 기반의 구인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관리모듈은,
    상기 구직단말로부터 상기 캘린더 상에서 상기 업무일정정보가 출력되지 않은 공일정보에 대한 공일업무희망정보를 입력받는 공일업무수행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력배치모듈은,
    상기 업무일정정보가 상기 공일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구인정보의 입력에 따라 상기 공일업무희망정보가 입력된상기 구직단말에 알림정보를 출력하는 긴급구인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인정보 제공 연동기반의 구인 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인신청부는,
    상기 구인서버로부터 업무위치정보를 더 입력받고,
    상기 최적화중개모듈은,
    네비게이션과 연동되어 실시간교통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구직단말의 현재위치정보로부터 상기 업무위치정보까지의 예상경로정보 및 예상소요시간정보를 생성하는 거리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선순위산출부는, 상기 최종수치에 상기 예상경로정보와 상기 예상소요시간정보의 고저를 반영하여 상기 구인정보에 대한 상기 구직자별 우선순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인정보 제공 연동 기반의 구인 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00015989A 2020-02-10 2020-02-10 진학 전문가 정보 제공 연동 기반의 구인 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1017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989A KR20210101715A (ko) 2020-02-10 2020-02-10 진학 전문가 정보 제공 연동 기반의 구인 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989A KR20210101715A (ko) 2020-02-10 2020-02-10 진학 전문가 정보 제공 연동 기반의 구인 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715A true KR20210101715A (ko) 2021-08-19

Family

ID=77492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989A KR20210101715A (ko) 2020-02-10 2020-02-10 진학 전문가 정보 제공 연동 기반의 구인 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17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2797A (ko) 2021-08-30 2023-03-07 김현진 정비사업 인력 중개 플랫폼 서버 및 중개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2797A (ko) 2021-08-30 2023-03-07 김현진 정비사업 인력 중개 플랫폼 서버 및 중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7609B1 (ko) 구인정보 제공 연동 기반의 구인 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954952B1 (ko) 일자리 매칭 서버 및 방법
US8660871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career employment services
US8374901B2 (en) Career and employment services system and apparatus
KR20140001015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구인, 구직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120115101A (ko) 온라인 인적 네트워킹뱅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1899056B1 (ko) 실시간 자동 매칭을 제공하고 매칭된 근무지의 근무환경을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구인 구직 중개시스템
EP3905162A2 (en) Schedule management service system and method
AU2019309314A1 (en) Talent and work experience-centered credit recognition academic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alent contribution bank service using same
Boltz et al. How does working‐time flexibility affect workers' productivity in a routine job? Evidence from a field experiment
US20100094679A1 (en) Establishing and managing mentor-protege relationships
KR20200104011A (ko) 자산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웰스매니저 추천 및 매칭 방법
US202003346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lateral scheduling of resources
KR20200093151A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문 기술 인력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210101715A (ko) 진학 전문가 정보 제공 연동 기반의 구인 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00770B1 (ko) 실시간 구인 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22037826A (ja) 人材マッチングシステム、人材マッチングプログラム、人材マッチング方法
Beno An empirical study on teleworking among Slovakia’s office-based academics
JP2002366790A (ja) 技術情報表示システム
US20210390649A1 (en) Integrated scholarship management system and scholarship operation method using same
KR100518939B1 (ko) 학원관리 시스템
Vashakidze One-Stop-Shop Access in the Delivery of Public Services: Its Impact on Service Effectiveness and Efficient Governance
KR20200104015A (ko) 자산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상품추천방법
KR102555120B1 (ko) 인공지능 기반 재능 경력 인정 학사관리, ar과 홀로그램을 이용한 명예의 전당 및 재능 기부 은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23135677A1 (ja) ユーザにマッチする助成金又は補助金制度を提案する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