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9314A - 가열로의 도어장치 - Google Patents

가열로의 도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9314A
KR20210099314A KR1020200013010A KR20200013010A KR20210099314A KR 20210099314 A KR20210099314 A KR 20210099314A KR 1020200013010 A KR1020200013010 A KR 1020200013010A KR 20200013010 A KR20200013010 A KR 20200013010A KR 20210099314 A KR20210099314 A KR 20210099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eating furnace
auxiliary
auxiliary doo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5759B1 (ko
Inventor
조영종
이겨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013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759B1/ko
Publication of KR20210099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9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8Door frames; Doors, lids, removable covers
    • F27D1/1858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024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of metallic work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8Door frames; Doors, lids, removable covers
    • F27D1/1858Doors
    • F27D2001/1875Hanging doors and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34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 F27D2003/0046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comprising one or more movable arms, e.g. f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브의 추출시 외부의 공기가 가열로 내로 침입할 수 있는 면적을 줄여 가열로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열로의 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하부 도어; 상기 하부 도어 위에 배치되어 승강 가능한 상부 도어; 상기 하부 도어의 일측면과 상기 상부 도어의 일측면을 따라 승강 가능한 보조 도어; 및 상기 보조 도어와 상기 상부 도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보조 도어가 일정 높이만큼 상승한 후 상기 보조 도어와 상기 상부 도어 간 걸림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보조 도어의 추가 상승에 따라 상기 상부 도어가 함께 상승되게 하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열로의 도어장치{DOOR APPARATUS FOR HEATING FURNACE}
본 발명은, 예컨대 가열로의 내부에 위치된 슬라브를 추출하기 위하여 가열로를 개폐시키는 도어장치로서, 슬라브의 추출시 가열로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가열로의 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제철소에서 생산된 슬라브는 후공정인 열간 압연을 위하여 가열로의 내부에 투입되고,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된 슬라브는 가열로의 일측면을 통해 추출된다.
이러한 가열로는 슬라브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도어를 가지며, 가열된 슬라브는 추출기의 포크를 이용하여 추출도어를 통해 가열로의 외부로 인출되고, 이렇게 인출된 슬라브는 이송롤에 의해 압연롤 쪽으로 이동된다.
가열로 내부는 슬라브의 가열을 위해 적정한 온도와 압력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슬라브를 추출하기 위해 추출도어를 개방하는 경우에, 가열로 내외부의 온도 편차에 의한 대류 현상으로 가열로 내부의 고온 가스가 가열로 외부로 방출됨과 동시에 가열로 외부의 저온 공기가 가열로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추출도어가 개방될 때 필연적으로 외부의 공기에 노출되는 면적이 증대됨으로써, 가열로 내 온도를 저하시켜 제품의 품질에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연료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에너지의 낭비를 초래한다.
(특허문헌 1) KR 1128941 B1
이에 본 발명은 슬라브의 추출시 외부의 공기가 가열로 내로 침입할 수 있는 면적 및 시간을 줄여 가열로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열로의 도어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의 도어장치는, 하부 도어; 상기 하부 도어 위에 배치되어 승강 가능한 상부 도어; 상기 하부 도어의 일측면과 상기 상부 도어의 일측면을 따라 승강 가능한 보조 도어; 및 상기 보조 도어와 상기 상부 도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보조 도어가 일정 높이만큼 상승한 후 상기 보조 도어와 상기 상부 도어 간 걸림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보조 도어의 추가 상승에 따라 상기 상부 도어가 함께 상승되게 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추출기와 간섭이 되는 부분만 먼저 개방될 수 있어, 슬라브의 추출시 외부의 공기가 가열로 내로 침입할 수 있는 면적 및 시간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가열로 내 저온 공기의 유입으로 인한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의 도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부 도어와 상부 도어를 분리한 채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보조 도어의 정면도이다.
도 5는 하부 도어와 상부 도어 및 보조 도어가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가열로의 도어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의 도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의 도어장치는 가열로(1)의 일측면에 있는 개구부를 개방시켜, 가열된 슬라브와 같은 소재(S)를 추출 내지 운반 가능하게 한다. 이 도어장치는 가열로의 일측면에서 상하로, 즉 높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도어들을 구비한다.
가열로(1)의 내부에 투입된 소재(S)가 가열될 때, 도어장치는 가열로의 개구부를 폐쇄하여 가열로의 내부열이 차단된다. 한편, 가열로에 의한 소재의 가열이 완료되면, 도어장치의 도어가 일정 높이만큼 상승하게 되고, 소재를 인출하기 위하여, 추출기의 포크(2)가 가열로 내에 진입하여 포크홈(미도시)에 삽입되고, 이어서 소재를 가열로로부터 추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의 도어장치는, 하부 도어(10); 이 하부 도어 위에 배치되어 승강 가능한 상부 도어(20); 하부 도어의 일측면과 상부 도어의 일측면을 따라 승강 가능한 보조 도어(30); 및 이 보조 도어와 상부 도어에 각각 설치되어, 보조 도어가 일정 높이만큼 상승한 후 보조 도어와 상부 도어 간 걸림이 이루어짐으로써, 보조 도어의 추가 상승에 따라 상부 도어가 함께 상승되게 하는 걸림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하부 도어(10)와 상부 도어(20) 및 보조 도어(30)의 구성 및 작동관계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의 도어장치는 가열로(1)에 설치되어 보조 도어(30)를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 구동부(50)는 가열로(1)의 상부에 위치되고, 보조 도어(30)와 웨이트부(60)를 연결할 수 있다. 보조 도어와 웨이트부는 승강 구동부에 의해 서로의 역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승강 구동부(50)는 샤프트(51), 복수의 웨이트휠(52), 복수의 연결부재(5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51)는 예컨대 원형 단면의 바아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열로(1)의 상부에 수평하게 그리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샤프트는 가열로의 개구부에 인접한 상부 선단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웨이트휠(52)은 서로 이격되어 샤프트(51) 상에 고정되게 배치되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복수의 연결부재(53) 중 적어도 하나가 보조 도어(30)에 연결되고, 해당 웨이트휠(52)에 감긴다. 복수의 연결부재 중 다른 하나가 웨이트부(60)에 연결되고, 해당 웨이트휠에 감긴다.
이러한 연결부재(53)로는 금속 재질로 된 체인 또는 와이어 로프 등이 채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웨이트휠(52)도 연결부재의 형태에 따라 스프로킷이나 드럼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승강 구동부(50)는 샤프트(51)와 연결되어 샤프트를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5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모터(54)는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샤프트의 회전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샤프트는 모터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모터(54)와 샤프트(51) 사이에는 기어박스(55) 또는 체인기구(56)가 개재될 수 있다. 기어박스가 채택된 경우에는 모터의 회전력이 증가된 상태로 샤프트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덧붙여 또는 기어박스 없이 체인기구가 채용되면, 모터의 회전력을 손실 없이 샤프트에 정확히 전달하여 샤프트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웨이트부(60)는 샤프트(51)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가열로(1)의 측방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웨이트부는 도시되지 않은 케이싱 내에 수용되어 적절히 보호되고 상하로 원활히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웨이트부(60)는 각각 소정의 중량을 가진 복수의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상하 적층된 상태로 조립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웨이트부는 플레이트의 갯수를 조정하여, 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가진 승강 구동부(50)의 작동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예를 들어, 모터(54)의 구동에 의해 샤프트(51)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보조 도어(30)에 연결된 연결부재(53)는 해당 웨이트휠(52)에 감기면서 보조 도어를 위로 이동, 즉 상승시킴과 동시에, 웨이트부(60)에 연결된 연결부재는 해당 웨이트휠로부터 풀리면서 웨이트부를 아래로 이동시킨다.
반면에, 모터(54)의 역방향 구동에 의해 샤프트(51)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보조 도어(30)에 연결된 연결부재(53)는 해당 웨이트휠(52)로부터 풀리면서 보조 도어를 아래로 이동, 즉 하강시킴과 동시에, 웨이트부(60)에 연결된 연결부재는 해당 웨이트휠에 감기면서 웨이트부를 위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승강 구동부(50)의 모터(54) 및 샤프트(51)의 회전은 보조 도어(30)의 높이방향으로의 이동과, 이에 따른 웨이트부(60)의 역방향 및 높이방향으로의 이동을 구현한다. 이로써, 도어장치는 가열로(1)의 일측면에 있는 개구부를 도어들에 의해 개폐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부 도어와 상부 도어를 분리한 채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보조 도어의 정면도이며, 도 5는 하부 도어와 상부 도어 및 보조 도어가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하부 도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서 가열로(1)의 개구부 앞에서 지반에 또는 설비의 바닥에 고정되게 배치된다.
또한, 하부 도어(10)에는 가열된 슬라브와 같은 소재(S)의 운반을 위한 추출기의 포크(2)가 관통할 수 있는 복수의 관통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홈은 각각 하부 도어의 상면부터 소정의 깊이로 하부 도어의 하면을 항해 연장하여 대략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하부 도어(10)의 뒤에는, 추출기의 포크(2)가 삽입되는 가열로의 포크홈이 위치될 수 있다. 포크가 이 포크홈에 원활히 삽입될 수 있도록 포크홈과 하부 도어의 관통홈(12)은 서로 연통되게 그 높이가 적절히 맞추어 정렬되며, 관통홈의 단면 형상과 단면적은 포크홈과 동일하거나, 단면 형상은 포크홈과 동일하면서 단면적은 포크홈보다 다소 큰 것이 좋다. 다시 말하면, 가열로의 포크홈과 하부 도어의 관통홈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도어(10)의 일측면, 예컨대 전면(前面)에는 높이방향으로 연장한 제1 안내홈(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제1 안내홈을 따라 보조 도어(30)가 하부 도어에 대해 높이방향으로 안정되게 상대이동할 수 있다. 제1 안내홈은 하부 도어의 전면과 상면 및 하면을 향해 개방되게 형성된다.
또, 제1 안내홈(11) 내에서 제1 안내홈의 벽부에 복수의 관통홈(12)이 형성되어, 제1 안내홈과 관통홈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부 도어(2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서, 가열된 슬라브와 같은 소재(S)가 추출되는 가열로(1)의 개구부 앞에서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상부 도어는 하부 도어(10) 상에 서로 맞물리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도어(20)의 하면에는 중앙이 돌출된 치합돌기(23)가 형성되고, 하부 도어(10)의 상면에는 중앙이 오목한 치합홈(13)이 형성되어, 이들 치합돌기와 치합홈이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덧붙여, 치합홈(13)에는 규사 등을 함유한 모래층(미도시)이 수용될 수 있다. 이로써, 상부 도어(20)가 하부 도어(10)에 서로 맞물려 가열로(1)의 개구부를 폐쇄할 때,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 간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부 도어(20)의 일측면, 예컨대 전면에는 높이방향으로 연장한 제2 안내홈(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제2 안내홈을 따라 보조 도어(30)가 상부 도어에 대해 높이방향으로 안정되게 상대이동할 수 있다. 제2 안내홈은 상부 도어의 전면과 상면 및 하면을 향해 개방되게 형성된다.
제2 안내홈(21)은 제1 안내홈(11)과 동일한 폭(높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의 길이)과 깊이(하부 도어(10)의 두께방향으로의 길이)를 갖는 것이, 보조 도어(30)의 원활한 승강 이동을 위해 바람직하다.
상부 도어(20)의 상면에는, 걸림부(40)를 구성하는 후크 걸이대(41)가 직립하여 설치되고, 이 후크 걸이대에는 후술하는 보조 도어(30)의 후크(42)가 결합된다.
후크 걸이대(41)는 대략 문(門) 형상의 부재로 형성되고, 각 다리부의 하단이 상부 도어(20)의 상면에 고정됨으로써 폐단면의 고리 형상으로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후크 걸이대에는 상부 도어의 측방을 향해 후크 이동홀(43)이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도어(30)는 하부 도어(10)와 상부 도어(20)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전술한 승강 구동부(50)의 연결부재(53)에 연결되어 높이방향으로 승강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도어(30)는, 하부 도어(10)에 제1 안내홈(11)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도어(20)에 제2 안내홈(21)이 형성된 경우에, 제1 안내홈과 제2 안내홈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것처럼, 보조 도어(30)는 하부 도어(10)와 상부 도어(20)의 높이를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높이를 가질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하부 도어의 높이를 커버할 수 있는 높이를 갖는 것이 좋다.
보조 도어(30)의 상면에는, 걸림부(40)를 구성하는 후크(42)가 보조 도어의 측방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고, 이 후크는 전술한 상부 도어(20)의 후크 걸이대(41)와 결합한다.
후크(42)는 후크 걸이대(41)의 후크 이동홀(43) 내에 삽입되어, 후크 이동홀 내에서 보조 도어(30)의 승강 이동에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보조 도어가 소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후크 이동홀의 단부(44)에 걸리게 된다.
본 명세서와 도면들에서는, 걸림부(40)의 구성을 후크(42)와, 후크 이동홀(43)을 갖춘 후크 걸이대(41)로 설명하면서 도해하고 있지만, 걸림부의 구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한 작동관계를 발휘할 수 있다면 예를 들어 보조 도어(30)와 상부 도어(20)에 각각 적절히 배치되고서 서로 직각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기둥부재나 돌출부재로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이에 따라, 걸림부(40)를 매개로 하여 보조 도어(30)를 추가로 상승시키는 구동력을 상부 도어(20)에 인가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조 도어의 추가 상승에 따라 상부 도어가 함께 상승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걸림부(40)로 인하여, 하나의 모터(54)를 포함한 승강 구동부(50)에 의해 보조 도어(30)를 일정 높이만큼 상승시킨 다음에 상부 도어(20)도 함께 상승시킬 수 있도록 도어장치를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을 얻게 된다.
또한,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가열로(1)의 개구부를 차등적으로 개방할 수 있어, 슬라브와 같은 소재의 추출시 외부의 공기가 가열로 내로 침입할 수 있는 면적 및 시간이 줄어들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가열로의 도어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먼저, 가열로(1) 내로 반입된, 슬라브와 같은 소재(S)가 후공정에 적합한 온도로 가열될 때까지 도어장치의 도어들은 가열로의 개구부를 폐쇄시켜 가열로 내부의 열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도 7 참조).
소재(S)의 가열이 완료되면 이를 인출하기 위해 추출기의 포크(2)가 가열로(1) 내에 진입하여 포크홈에 삽입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승강 구동부(50)의 모터(54)가 구동되어 샤프트(51)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보조 도어(30)에 연결된 연결부재(53)는 해당 웨이트휠(52)에 감기면서 보조 도어를 위로 이동시킴(도 8 참조)과 동시에, 웨이트부(60)에 연결된 연결부재는 해당 웨이트휠로부터 풀리면서 웨이트부를 아래로 이동시킨다.
이때, 보조 도어(30)는 하부 도어(10)의 제1 안내홈(11)과 상부 도어(20)의 제2 안내홈(21)을 따라 하부 도어 및 상부 도어에 대해 높이방향으로 상대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도어(20)의 후크 걸이대(41)의 후크 이동홀(43) 내에 삽입되어 있는 보조 도어(30)의 후크(42)는 후크 이동홀 내에서 보조 도어의 승강 이동에 따라 높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승강 구동부(50)의 모터(54) 및 샤프트(51)의 회전은 보조 도어(30)를 일정 높이만큼 상승시킨다. 보조 도어의 하단은, 하부 도어(10)의 관통홈(12) 및 가열로(1)의 포크홈을 충분히 노출시키는 높이에 위치할 때까지, 예를 들면 하부 도어의 상면과 일치하거나 그 이상의 높이로 될 때까지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출기의 포크(2)가 가열로(1) 내에 진입할 때 가열로의 개구부가 완전히 개방되지 않게 함으로써 열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즉, 상부 도어(20)는 상승되지 않으므로 불필요한 도어의 개방에 따른 열손실이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추출기의 포크(2)는 소재(S)의 하면에 도달할 때까지 수평하게 더욱 이동된다. 이어서, 포크를 대략 수직하게 상승시켜 가열로(1) 내 스키드(미도시) 상에 놓여져 있던 소재를 포크 상에 안착시킨다.
이렇게 포크(2)를 수직하게 상승시켜 소재(S)를 포크 상에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상승되는 포크를 방해하지 않도록 승강 구동부(50)의 모터(54) 및 샤프트(51)가 일방향으로 더욱 회전하여 보조 도어(30)를 일정 높이만큼 추가로 상승시킴과 더불어 상부 도어(20)도 상승시켜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 가열로(1)의 개구부는 완전히 개방될 수 있다.
승강 구동부(50)의 모터(54)가 더욱 구동되어 샤프트(51)가 일방향으로 더욱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보조 도어(30)에 연결된 연결부재(53)는 해당 웨이트휠(52)에 감기면서 보조 도어를 더욱 위로 이동시킴(도 9 참조)과 동시에, 웨이트부(60)에 연결된 연결부재는 해당 웨이트휠로부터 풀리면서 웨이트부를 더욱 아래로 이동시킨다.
이때, 보조 도어(30)는 상부 도어(20)의 제2 안내홈(21)을 따라 상부 도어에 대해 높이방향으로 상대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도어(20)의 후크 걸이대(41)의 후크 이동홀(43) 내에 삽입되어 있는 보조 도어(30)의 후크(42)는 후크 이동홀의 단부(44)에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걸림부(40)를 매개로 하여 보조 도어(30)를 추가로 상승시키는 구동력을 상부 도어(20)에 인가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조 도어의 추가 상승에 따라 상부 도어가 함께 상승할 수 있다.
보조 도어(30)의 추가 상승 높이는 상승된 보조 도어 및 상부 도어(20)의 하단이 포크(2)의 상단 또는 포크 상에 안착된 소재(S)의 상면보다 더 높은 지점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높이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 구동부(50)를 구성하는 모터(54)에 예컨대 캠형 리미트 스위치 등과 같은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보조 도어(30)의 하단이 하부 도어(10)의 상면과 일치할 때까지 모터가 회전하여 보조 도어가 이동될 수 있게 하고, 추출기의 포크(2)가 상승하는 신호가 전달될 때부터 보조 도어의 하단이 포크의 상단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할 때까지 모터가 더욱 회전하여 보조 도어가 추가 상승될 수 있게 제어할 수 있다.
가열로(1)의 개구부가 하부 도어(10)와 상부 도어(20) 간 소정의 간격만큼 개방되어 소재(S)가 안착된 추출기의 포크(2)가 가열로 밖으로 빠져나온 후, 승강 구동부(50)의 모터(54)를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샤프트(51)가 역방향으로 회전되게 하고, 이에 따라 보조 도어(30)에 연결된 연결부재(53)는 해당 웨이트휠(52)로부터 풀리면서 보조 도어를 아래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웨이트부(60)에 연결된 연결부재는 해당 웨이트휠에 감기면서 웨이트부를 위로 이동시킨다.
결국, 도어장치의 도어들은 원래의 위치로 하강됨으로써 가열로(1)를 다시 폐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도어의 개방이 2단계로 분할되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개방에 따른 가열로 내부의 열이 누출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함은 물론, 외부의 공기가 가열로 내로 침입할 수 있는 면적 및 시간을 줄여 가열로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된 하부 도어에 추출기의 포크가 관통할 수 있는 복수의 관통홈이 형성되고, 이들 관통홈을 보조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추출기와 간섭이 되는 부분만 먼저 개방될 수 있어, 추출기의 포크가 가열로 내부로 진입 가능하게 됨과 더불어, 소재의 추출을 위해 필요한 시간 동안만 보조 도어의 추가 상승 및 걸림에 의해 상부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다.
상부 도어에 의한 가열로 개구부의 완전 개방시간을 단축시키게 됨에 따라, 차가운 외부 공기가 가열로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과, 가열로 내부의 고온 가스가 가열로 외부로 누설되는 현상을 최대한 억제시키게 되고, 이로써 가열로의 열손실을 줄여 열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소재의 품질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가열로 내부의 온도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되어, 가열 및 온도 유지에 소요되는 연료의 낭비를 없앨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경제적인 측면에서 상당히 유용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가열로 2: 포크
10: 하부 도어 11: 제1 안내홈
12: 관통홈 13: 치합홈
20: 상부 도어 21: 제2 안내홈
23: 치합돌기 30: 보조 도어
40: 걸림부 41: 후크 걸이대
42: 후크 43: 후크 이동홀
44: 단부 50: 승강 구동부
51: 샤프트 52: 웨이트휠
53: 연결부재 54: 모터
55: 기어박스 56: 체인기구
60: 웨이트부

Claims (8)

  1. 하부 도어;
    상기 하부 도어 위에 배치되어 승강 가능한 상부 도어;
    상기 하부 도어의 일측면과 상기 상부 도어의 일측면을 따라 승강 가능한 보조 도어; 및
    상기 보조 도어와 상기 상부 도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보조 도어가 일정 높이만큼 상승한 후 상기 보조 도어와 상기 상부 도어 간 걸림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보조 도어의 추가 상승에 따라 상기 상부 도어가 함께 상승되게 하는 걸림부
    를 포함하는 가열로의 도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도어에는, 소재의 운반을 위한 추출기의 포크가 관통할 수 있는 복수의 관통홈이 형성된 가열로의 도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도어의 일측면에는 높이방향으로 연장한 제1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도어의 일측면에는 높이방향으로 연장한 제2 안내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안내홈과 상기 제2 안내홈을 따라 상기 보조 도어가 상기 하부 도어와 상기 상부 도어에 대해 높이방향으로 상대이동하는 가열로의 도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도어의 하면에는 돌출된 치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도어의 상면에는 오목한 치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치합돌기와 상기 치합홈이 상호 맞물리도록 된 가열로의 도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치합홈에는 모래층이 수용된 가열로의 도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상부 도어의 상면에 직립하여 설치된 후크 걸이대와,
    상기 보조 도어의 상면에서 측방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후크
    를 포함하는 가열로의 도어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열로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도어를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가열로의 도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구동부는,
    상기 가열로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 상에 고정되게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복수의 웨이트휠;
    상기 보조 도어와 웨이트부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웨이트휠 중 해당 웨이트휠에 각각 감기는 복수의 연결부재; 및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를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
    를 포함하는 가열로의 도어장치.
KR1020200013010A 2020-02-04 2020-02-04 가열로의 도어장치 KR102305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010A KR102305759B1 (ko) 2020-02-04 2020-02-04 가열로의 도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010A KR102305759B1 (ko) 2020-02-04 2020-02-04 가열로의 도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314A true KR20210099314A (ko) 2021-08-12
KR102305759B1 KR102305759B1 (ko) 2021-09-27

Family

ID=77314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010A KR102305759B1 (ko) 2020-02-04 2020-02-04 가열로의 도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57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99214A (zh) * 2021-10-20 2022-01-07 东莞市群和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用于铝合金板材的节能式热成型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3549U (ko) * 1997-09-27 1999-04-15 이구택 가열로 추출도어장치
KR20030034698A (ko) * 2001-10-26 2003-05-09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로의 도어 개폐장치
KR20050046215A (ko) * 2003-11-13 2005-05-18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로 도어장치
KR20130105036A (ko) * 2012-03-16 2013-09-25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로의 도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3549U (ko) * 1997-09-27 1999-04-15 이구택 가열로 추출도어장치
KR20030034698A (ko) * 2001-10-26 2003-05-09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로의 도어 개폐장치
KR20050046215A (ko) * 2003-11-13 2005-05-18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로 도어장치
KR20130105036A (ko) * 2012-03-16 2013-09-25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로의 도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99214A (zh) * 2021-10-20 2022-01-07 东莞市群和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用于铝合金板材的节能式热成型炉
CN113899214B (zh) * 2021-10-20 2024-02-02 东莞市群和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用于铝合金板材的节能式热成型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5759B1 (ko) 202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5759B1 (ko) 가열로의 도어장치
US20130273486A1 (en) Layer furnac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layer furnace system
KR100765046B1 (ko) 추출기용 보조 도어를 갖는 가열로의 도어장치
US4861000A (en) Installation having several elements for heat treatments
CN110216783A (zh) 一种养护窑窑门、窑门开启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023115B1 (ko) 가열로 도어장치
KR200472136Y1 (ko) 이송체인의 끼임 방지기능이 구비된 디펜스 도어 개폐장치
KR101316730B1 (ko) 가열로의 도어 장치
KR101010636B1 (ko) 소둔로 내부의 폭발압력 유도배출용 자동도어장치
DE4033893C1 (ko)
JPH031469Y2 (ko)
JPS5937433B2 (ja) 加熱炉の扉構造
KR20060022913A (ko) 슬라브 추출시 가열로의 열손실 최소화장치
KR20160040031A (ko) 롤러게이트 개폐장치의 랙기어박스 권양기
CN114688869B (zh) 一种大型高效率燃气台车式电阻炉
JPH0585839U (ja) バッチ式加熱炉又は保温炉の保温カバ−装置
JP2961959B2 (ja) 炉の弁装置
KR101856954B1 (ko) 가열로
CN212025410U (zh) 一种气冷推杆炉
KR19980011940U (ko) 가열로 밀폐장치
JP4218578B2 (ja) ガレージ扉
JP4526208B2 (ja) 開閉器のシャッタ機構
KR20230151316A (ko) 가열로의 도어 장치
KR100760570B1 (ko) 자동 장착 가능한 침지노즐 예열장치
KR102070388B1 (ko) 견인수단을 구비한 패널 스태킹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