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8100A - 콘크리트를 분리하여 타설하거나 방수성능 시험용 물을 담수하기 위한 분리대 - Google Patents
콘크리트를 분리하여 타설하거나 방수성능 시험용 물을 담수하기 위한 분리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98100A KR20210098100A KR1020200011876A KR20200011876A KR20210098100A KR 20210098100 A KR20210098100 A KR 20210098100A KR 1020200011876 A KR1020200011876 A KR 1020200011876A KR 20200011876 A KR20200011876 A KR 20200011876A KR 20210098100 A KR20210098100 A KR 202100981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parator
- vertical plate
- plate
- waterproof sheet
- attachm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365—Stop-end shutter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2—Flooring or floor layers made of masses in situ, e.g. seamless magnesite floors, terrazzo gypsum floors
- E04F15/14—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 E04F15/142—Dividing strips or boundary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의 방수시트를 보호하는 콘크리트를 분리하여 시공하거나 상기 방수시트의 방수성능 시험용 물을 담수하기 위한 분리대에 있어서, 상기 분리대는 부착부, 막음부 및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부는 상기 방수시트의 수평면 상에 밀착하여 시공하기 위한 부착판을 포함하고, 상기 막음부는 상기 부착판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판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판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방수시트의 수평면 상에 밀착하여 시공하기 위한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의 일단이 상기 수직판의 하단에 결합되는 것인 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분리대는 설치가 간단하면서도 콘크리트의 분리시공(타설) 경계 및 담수(방수) 시험 경계를 명확히 구분할 수 있으며, 구조물에 설치된 방수시트로부터 탈형할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를 분리하여 타설하거나 방수성능 시험용 물을 담수하기 위한 분리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설치가 간단하면서도 콘크리트의 분리 시공 경계 및 담수 시험 경계를 명확히 구분해줄 수 있는 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호 콘트리트는 방수 시트 상부에 시공하는데 타설 구간의 경계에 설치할 때 방수 시트를 보호하기 위해 못을 사용하지 않고, 목재와 목재 사이에 용접철망을 넣고 고정하거나, 모르터 등으로 고정하여 콘크리트 타설 경계 및 담수 시험 경계를 설치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바닥에 고정되지 않고, 용접철망과 목재의 무게 또는 모르터 등으로 경계를 설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보호 콘크리트 분리 타설을 위한 분리대의 일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의 콘크리트 분리대는 콘크리트 구조물(11)을 감싸고 있는 방수 시트(12) 위에 목재(13)와 용접철망(14)을 결합하여 굳지 않는 콘크리트(15)가 타설 경계를 넘지 않도록 타설 경계를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보호 콘크리트 분리대는 목재(13)와 방수시트(12)가 일체화되지 않아 정확한 경계면을 설치할 수 없는 큰 단점을 가진다.
또한, 용접철망(14)을 목재(13)와 목재(13) 사이에 넣고 못으로 연결하는 복잡한 작업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가 간단하면서도 끊어치기 구간의 콘크리트의 분리시공(타설) 경계 및 담수(방수) 시험 경계를 명확히 구분해줄 수 있는 분리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물에 설치된 방수시트로부터 탈형할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분리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분리대를 이용한 끊어치기 구간의 콘크리트의 분리 시공 방법 및 방수시트의 담수 시험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구조물의 방수시트를 보호하는 콘크리트를 분리하여 시공하거나 상기 방수시트의 방수성능 시험용 물을 담수하기 위한 분리대에 있어서, 상기 분리대(10)는 부착부(100), 막음부(200) 및 지지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부(100)는 상기 방수시트(12)의 수평면 상에 밀착하여 시공하기 위한 부착판(110)을 포함하고, 상기 막음부(200)는 상기 부착판(110)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판(210)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판(110)의 일단(1101)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방수시트(12)의 수평면 상에 밀착하여 시공하기 위한 지지판(31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310)의 일단(3101)이 상기 수직판(210)의 하단(2100)에 결합되는 것인 분리대(10)가 제공된다.
상기 부착부(100)가 상기 분리대(10)를 상기 방수시트(12)에 부착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막음부(200)가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하기 위한 굳지 않은 콘크리트(fresh concrete) 또는 상기 방수성능 시험용 물을 포함하는 유체(15)의 흐름을 막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유체(15)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분리대(10)가 그립부(40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400)가 상기 지지판(310)의 타단(3102)에 결합된 그립판(410)을 포함하고, 상기 그립판(410)이 상기 지지판(310)에 대하여 상부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수시트(12)로부터 상기 분리대(10)를 탈착 시에 상기 그립부(400)는 상기 분리대(10)를 잡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분리대(10)가 고정부(50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500)가 상기 부착판(110)의 일부 상과 상기 방수시트(12)의 일부 상에 밀착하게 위치시켜, 상기 부착판(110)과 상기 방수시트(12)를 점착할 수 있다.
상기 분리대(10)가 고정부(50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방수시트(12)의 일부 상에 상기 고정부(500)가 밀착하게 위치하고, 상기 고정부(500) 상에 부착판(110)의 일부가 밀착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가 점착 테이프, 점착제 및 양면 점착 테이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판(210)이 제1 수직판(211) 및 제2 수직판(21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직판(211)의 일단(2111)이 상기 부착판(110)의 일단(1101)에 결합하고 타단(2112)이 상부에서 소정 길이만큼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직판(212)의 일단(2121)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수직판(212)의 타단(2122)이 상기 지지판(310)의 일단(310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판(210)이 제1 수직판(211'), 제2 수직판(212') 및 제3 수직판(213')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직판(211')의 일단(2111')이 상기 부착판(110)의 일단(1101)에 결합하고, 상기 제2 수직판(212')의 일단(2121')이 상부에서 소정 길이만큼 절곡 형성되고, 제3 수직판의 일단(2131')에 결합하고, 타단(2122')이 하부에서 상기 지지판(310)의 일단(3101)에 결합하고, 상기 제1 수직판(211')의 타단(2112')이 상기 제2 수직판(212')과 상기 제3 수직판(213') 사이에 위치하여 제1 수직판(211')이 제2 수직판(212')과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막음부(200)가 상기 제1 수직판(211, 211')과 제2 수직판(212, 212') 사이에 간격재(22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타설된 상기 콘크리트 또는 담수된 상기 물의 높이(h1)에 대한 상기 수직판(210)의 높이(h2)의 비(h2/h1)는 1.05 내지 1.5일 수 있다.
상기 수직판(210)의 높이가 50 내지 200 mm 일 수 있다.
상기 지지판(310)의 폭이 50 내지 150 mm 일 수 있다.
상기 부착판(110)의 폭이 1 내지 100mm 일 수 있다.
상기 부착판(110), 상기 지지판(310) 및 상기 수직판(210)의 두께가 각각 0.5 내지 5mm 일 수 있다.
상기 분리대(10)는 금속, 플라스틱, 및 목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a) 구조물(11)의 방수시트(12)를 보호하는 콘크리트를 시공하고자 하는 구간의 경계에 상기 분리대(10)를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분리대(10)가 설치된 구간 내에 굳지 않은 콘크리트(15)를 주입하는 단계; (c) 상기 굳지 않은 콘크리트(15)를 양생하여 상기 굳지 않은 콘크리트(15)를 굳히는 단계; 및 (d) 상기 굳힌 콘크리트로부터 상기 설치된 분리대(10)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의 분리 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a) 방수시트(12)의 방수성능 시험용 물(15)을 담수하고자 하는 구간의 경계에 상기 분리대(10)를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분리대(10)가 설치된 구간 내에 물(15)을 주입하는 단계; (c) 상기 물(15)이 주입된 구간 내에 위치한 상기 방수시트(12)의 방수성능을 시험하는 단계; 및 (d) 상기 방수시트(12)의 방수성능을 시험한 후, 상기 물(15)을 배출하고, 상기 설치된 분리대(10)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수성능 시험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분리대는 설치가 간단하면서도 끊어치기 구간의 콘크리트의 분리시공(타설) 경계 및 담수(방수) 시험 경계를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리대는 구조물에 설치된 방수시트로부터 탈형할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리대를 이용함으로써, 작업이 간단한 끊어치기 구간의 콘크리트 분리 시공 방법 및 담수 시험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분리 타설을 위한 분리대를 적용한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대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대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대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대의 구성도이다.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재를 앞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b)는 상기 연결재를 좌측 또는 우측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c)는 상기 연결재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0은 (a)는 본 발명의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ㄱ자형 연결재를 앞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b)는 상기 연결재를 우측에서 바라본 우측면도이고, (c)는 상기 연결재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1은 콘크리트 분리 타설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대를 적용한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분리 타설을 위한 분리대를 적용한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대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대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대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대의 구성도이다.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재를 앞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b)는 상기 연결재를 좌측 또는 우측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c)는 상기 연결재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0은 (a)는 본 발명의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ㄱ자형 연결재를 앞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b)는 상기 연결재를 우측에서 바라본 우측면도이고, (c)는 상기 연결재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1은 콘크리트 분리 타설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대를 적용한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도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될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형성되어" 있다거나 "적층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표면 상의 전면 또는 일면에 직접 부착되어 형성되어 있거나 적층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더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대의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8은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대의 구성도이고, 도 9 및 10은 본 발명의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재의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또한 도 11은 콘크리트 분리 타설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대를 적용한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2 내지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분리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은 방수 시트 시공 후 방수시트를 보호하는 콘트리트 공사 중에 발생하는 끊어치기 구간의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양생 및 방수시트의 담수 시험을 위한 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조물의 방수시트를 보호하는 콘크리트를 분리하여 시공하거나 상기 방수시트의 방수성능 시험용 물을 담수하기 위한 분리대에 있어서, 상기 분리대(10)는 부착부(100), 막음부(200) 및 지지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부(100)는 상기 방수시트(12)의 수평면 상에 밀착하여 시공하기 위한 부착판(110)을 포함하고, 상기 막음부(200)는 상기 부착판(110)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판(210)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판(110)의 일단(1101)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방수시트(12)의 수평면 상에 밀착하여 시공하기 위한 지지판(31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310)의 일단(3101)이 상기 수직판(210)의 하단(2100)에 결합되는 것인 분리대(10)를 제공한다.
상기 부착부(100)가 상기 분리대(10)를 상기 방수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막음부(200)가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하기 위한 굳지 않은 콘크리트(fresh concrete) 또는 상기 방수성능 시험용 물을 포함하는 유체(15)의 흐름을 막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유체(15)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분리대(10)가 그립부(40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400)가 상기 지지판(310)의 타단(3102)에 결합된 그립판(410)을 포함하고, 상기 그립판(410)이 상기 지지판(310)에 대하여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수시트(12)로부터 상기 분리대(10)를 탈착 시에 상기 그립부(400)는 상기 분리대(10)를 잡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분리대(10)가 고정부(50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500)가 상기 부착판(110)의 일부 상과 상기 방수시트(12)의 일부 상에 밀착하게 위치시켜, 상기 부착판(110)과 상기 방수시트(12)를 점착할 수 있다.
상기 분리대(10)가 고정부(50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방수시트(12)의 일부 상에 상기 고정부(500)가 밀착하게 위치하고, 상기 고정부(500) 상에 부착판(110)의 일부가 밀착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가 점착 테이프, 점착제 및 양면 점착 테이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착판(110)에 점착 테이프, 점착제 또는 양면 점착 테이프를 부착하여 상기 방수시트의 표면 상에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판(202)에도 점착 테이프, 점착제 또는 양면 점착 테이프를 부착하여 상기 유체(50)에 대한 지지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수직판(210)이 제1 수직판(211) 및 제2 수직판(21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직판(211)의 일단(2111)이 상기 부착판(110)의 일단(1101)에 결합하고 타단(2112)이 상부에서 소정 길이만큼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직판(212)의 일단(2121)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수직판(212)의 타단(2122)이 상기 지지판(310)의 일단(3101)에 결합될 수 있다.
또 7 및 8을 참조하면, 상기 수직판(210)이 제1 수직판(211'), 제2 수직판(212') 및 제3 수직판(213')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직판(211')의 일단(2111')이 상기 부착판(110)의 일단(1101)에 결합하고, 상기 제2 수직판(212')의 일단(2121')이 상부에서 소정 길이만큼 절곡 형성되고, 제3 수직판의 일단(2131')에 결합하고, 타단(2122')이 하부에서 상기 지지판(310)의 일단(3101)에 결합하고, 상기 제1 수직판(211')의 타단(2112')이 상기 제2 수직판(212')과 상기 제3 수직판(213') 사이에 위치하여 제1 수직판(211')이 제2 수직판(212')과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막음부(200)가 상기 제1 수직판(211, 211')과 제2 수직판(212, 212') 사이에 간격재(22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간격재(220)는 상기 막음부(200)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간격재(220)는 금속, 플라스틱, 및 목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금속 및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타설된 상기 콘크리트 또는 담수된 상기 물의 높이(h1)에 대한 상기 수직판(210)의 높이(h2)의 비(h2/h1)는 1.05 내지 1.5일 수 있고, 있고, 상기 높이의 비(h2/h1)가 1.05 미만이면 탈형 작업의 어려움으로 인해 바람직하지 않고, 1.5 초과이면 경제성 악화로 인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수직판(210)의 높이가 50 내지 200 mm 일 수 있고, 상기 높이가 50mm 미만이면 담수테스트 기준에 적합하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고, 200mm 초과이면 취급하기가 불편하고 원가가 상승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지지판(310)의 폭이 50 내지 150 mm 일 수 있고, 상기 폭이 50mm 미만이면 안정성 부족으로 인해 바람직하지 않고, 150mm 초과이면 취급이 불편하고 원가가 상승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부착판(110)의 폭이 1 내지 100mm 일 수 있고, 상기 폭이 1mm 미만이면 부착성능으로 저하로 인해 바람직하지 않고, 110mm 초과이면 타설 후 탈형의 어려움으로 인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부착판(110), 상기 지지판(310) 및 상기 수직판(210)의 두께가 각각 0.5 내지 5mm 일 수 있고, 상기 두께가 0.5mm 미만이면 지지력이 약하고 파손 등의 위험으로 인해 바람직하지 않고, 5mm 초과이면 제품의 연결 시, 모서리(코너) 부분에서 상기 부착판이 겹치면서 너무 두꺼워져 고정부를 이용하여 부착판을 방수시트에 부착하는 것이 어려워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분리대(10)는 금속, 플라스틱, 및 목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금속 및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대(10)는 어느 하나의 분리대와 다른 하나의 분리대를 연속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1 수직판(211, 211')과 상기 제2 수직판(212, 212') 사이에 연결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재는 판(plate) 형태일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분리대의 제1 수직판(211, 211')과 제2 수직판(212, 212')의 사이 및 다른 하나의 분리대의 제1 수직판(211, 211')과 제2 수직판(212, 212') 사이에 상기 연결재를 동시에 끼워 분리대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콘크리트의 모서리(코너) 부분에서 상기 연결재는 ㄱ자 형태의 판일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분리대의 제1 수직판(211, 211')과 제2 수직판(212, 212') 사이 및 다른 하나의 분리대의 제1 수직판(211, 211')과 제2 수직판(212, 212') 사이에 상기 연결재를 동시에 끼워 분리대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굳지 않은 콘크리트 또는 방수 시험용 물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점착 테이프,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기 연결재와 상기 수직판의 경계면 또는 수직판과 다른 수직판의 경계면을 밀봉할 수 있다.
상기 연결재는 금속, 플라스틱 및 목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금속 및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재의 두께는 0.5 내지 5mm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mm 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mm 일 수 있다.
상기 분리대는 콘크리트 분리시공(타설) 구간 경계 구분용 또는 방수성능 시험용 물을 담수하기 위한 경계 구분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수시트에 부착된 상기 분리대(10)는 막음판(210)의 잉여부(상기 막음판(210)에서 상기 유체(15)의 높이를 제외한 부분) 또는 그립부(400)를 이용하여 쉽게 탈형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탈형은 손 또는 망치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분리대는 부착판(110) 및 지지판(310)으로부터 수직판(210)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분리대(10)는 방수시트(12) 시공 후 보호 콘트리트 공사 중에 발생하는 끊어치기 구간의 콘크리트 분리와 담수 시험을 위한 것으로, 부착판(110)에 점착테이프(500)를 부착하여 방수시트(12)의 표면 상에 고정시키고, 지지판(310)이 굳지 않은 콘크리트(fresh concrete) 또는 상기 방수성능 시험용 물을 포함하는 유체(15)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수직판(210)은 굳지 않은 콘크리트(fresh concrete)의 높이 또는 상기 방수성능 시험용 물의 수위보다 5~50% 정도 길게 제작함으로써 쉽게 탈형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분리 시공 시스템 및 담수 시험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구조물(11)의 방수시트(12)를 보호하는 콘크리트를 시공하고자 하는 구간의 경계에 상기 분리대(10)를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분리대(10)가 설치된 구간 내에 굳지 않은 콘크리트(15)를 주입하는 단계; (c) 상기 굳지 않은 콘크리트(15)를 양생하여 상기 굳지 않은 콘크리트(15)를 굳히는 단계; 및 (d) 상기 굳힌 콘크리트로부터 상기 설치된 분리대(10)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의 분리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방수시트(12)의 방수성능 시험용 물(15)을 담수하고자 하는 구간의 경계에 상기 분리대(10)를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분리대(10)가 설치된 구간 내에 물(15)을 주입하는 단계; (c) 상기 물(15)이 주입된 구간 내에 위치한 상기 방수시트(12)의 방수성능을 시험하는 단계; 및 (d) 상기 방수시트(12)의 방수성능을 시험한 후, 상기 물(15)을 배출하고, 상기 설치된 분리대(10)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수성능 시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본 발명에 따른 분리대
11: 콘크리트 구조물 12: 방수 시트
13: 목재 14: 용접철망
15: 굳지 않은 콘크리트 또는 방수성능 시험용 물
100: 부착부 200: 막음부
300: 지지부 400: 그립부
500: 고정부
110: 부착판 210: 수직판
310: 지지판 410: 그립판
211, 211': 제1 수직판 212, 212': 제2 수직판
213': 제3 수직판 220: 간격재
1101: 부착판의 일단 2100: 수직판의 하단
3101: 지지판의 일단 3102: 지지판의 타단
2111, 2111': 제1 수직판의 일단 2112, 2112': 제1 수직판의 타탄
2121, 2121': 제2 수직판의 일단 2122, 2122': 제2 수직판의 타탄
2131': 제3 수직판의 일단
11: 콘크리트 구조물 12: 방수 시트
13: 목재 14: 용접철망
15: 굳지 않은 콘크리트 또는 방수성능 시험용 물
100: 부착부 200: 막음부
300: 지지부 400: 그립부
500: 고정부
110: 부착판 210: 수직판
310: 지지판 410: 그립판
211, 211': 제1 수직판 212, 212': 제2 수직판
213': 제3 수직판 220: 간격재
1101: 부착판의 일단 2100: 수직판의 하단
3101: 지지판의 일단 3102: 지지판의 타단
2111, 2111': 제1 수직판의 일단 2112, 2112': 제1 수직판의 타탄
2121, 2121': 제2 수직판의 일단 2122, 2122': 제2 수직판의 타탄
2131': 제3 수직판의 일단
Claims (20)
- 구조물의 방수시트를 보호하는 콘크리트를 분리하여 시공하거나 상기 방수시트의 방수성능 시험용 물을 담수하기 위한 분리대에 있어서,
상기 분리대는 부착부, 막음부 및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부는 상기 방수시트의 수평면 상에 밀착하여 시공하기 위한 부착판을 포함하고,
상기 막음부는 상기 부착판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판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판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방수시트의 수평면 상에 밀착하여 시공하기 위한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의 일단이 상기 수직판의 하단에 결합되는 것인 분리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가 상기 분리대를 상기 방수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막음부가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하기 위한 굳지 않은 콘크리트(fresh concrete) 또는 상기 방수성능 시험용 물을 포함하는 유체의 흐름을 막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유체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대가 그립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가 상기 지지판의 타단에 결합된 그립판을 포함하고, 상기 그립판이 상기 지지판에 대하여 상부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대.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시트로부터 상기 분리대를 탈착 시에 상기 그립부는 상기 분리대를 잡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대가 고정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가 상기 부착판의 일부 상과 상기 방수시트의 일부 상에 밀착하게 위치시켜, 상기 부착판과 상기 방수시트를 점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대가 고정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방수시트의 일부 상에 상기 고정부가 밀착하게 위치하고, 상기 고정부 상에 부착판의 일부가 밀착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대.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가 점착 테이프, 점착제 및 양면 점착 테이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판이 제1 수직판 및 제2 수직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직판의 일단이 상기 부착판의 일단에 결합하고, 상기 제1 수직판의 타단이 상부에서 소정 길이만큼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직판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수직판의 타단이 상기 지지판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판이 제1 수직판, 제2 수직판 및 제3 수직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직판의 일단이 상기 부착판의 일단에 결합하고,
상기 제2 수직판의 일단이 상부에서 소정 길이만큼 절곡 형성되고, 제3 수직판의 일단에 결합하고, 상기 제2 수직판의 타단이 하부에서 상기 지지판의 일단에 결합하고,
상기 제1 수직판의 타단이 상기 제2 수직판과 상기 제3 수직판 사이에 위치하여 제1 수직판이 제2 수직판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대. -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막음부가 상기 제1 수직판과 제2 수직판 사이에 간격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대. - 제1항에 있어서,
타설된 상기 콘크리트 또는 담수된 상기 물의 높이(h1)에 대한 상기 수직판의 높이(h2)의 비(h2/h1)는 1.05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판의 높이가 50 내지 20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폭이 50 내지 15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판의 폭이 1 내지 1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판, 상기 지지판 및 상기 수직판의 두께가 각각 0.5 내지 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대는 금속, 플라스틱, 및 목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대. - (a) 구조물의 방수시트를 보호하는 콘크리트를 시공하고자 하는 구간의 경계에 제1항에 따른 분리대를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분리대가 설치된 구간 내에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단계;
(c) 상기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상기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굳히는 단계; 및
(d) 상기 굳힌 콘크리트로부터 상기 설치된 분리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의 분리 시공 방법. - (a) 방수시트의 방수성능 시험용 물을 담수하고자 하는 구간의 경계에 제1항에 따른 분리대를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분리대가 설치된 구간 내에 물을 주입하는 단계;
(c) 상기 물이 주입된 구간 내에 위치한 상기 방수시트의 방수성능을 시험하는 단계; 및
(d) 상기 방수시트의 방수성능을 시험한 후, 상기 물을 배출하고, 상기 설치된 분리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수성능 시험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1876A KR102423117B1 (ko) | 2020-01-31 | 2020-01-31 | 콘크리트를 분리하여 타설하거나 방수성능 시험용 물을 담수하기 위한 분리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1876A KR102423117B1 (ko) | 2020-01-31 | 2020-01-31 | 콘크리트를 분리하여 타설하거나 방수성능 시험용 물을 담수하기 위한 분리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8100A true KR20210098100A (ko) | 2021-08-10 |
KR102423117B1 KR102423117B1 (ko) | 2022-07-20 |
Family
ID=77316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11876A KR102423117B1 (ko) | 2020-01-31 | 2020-01-31 | 콘크리트를 분리하여 타설하거나 방수성능 시험용 물을 담수하기 위한 분리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23117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21725A (ja) * | 1996-10-17 | 1998-05-12 | Nsp Corp | コンクリートの開口部成形用型枠 |
KR20000012310A (ko) * | 1999-11-23 | 2000-03-06 | 임성빈 | 콘크리트 이어치기방법 및 그 콘크리트 차단망 |
KR101059736B1 (ko) * | 2011-04-20 | 2011-08-26 | (주)칠칠공사 | 비노출식 옥상 방수 시공용 균열방지시트 및 그 균열방지시트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
-
2020
- 2020-01-31 KR KR1020200011876A patent/KR10242311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21725A (ja) * | 1996-10-17 | 1998-05-12 | Nsp Corp | コンクリートの開口部成形用型枠 |
KR20000012310A (ko) * | 1999-11-23 | 2000-03-06 | 임성빈 | 콘크리트 이어치기방법 및 그 콘크리트 차단망 |
KR101059736B1 (ko) * | 2011-04-20 | 2011-08-26 | (주)칠칠공사 | 비노출식 옥상 방수 시공용 균열방지시트 및 그 균열방지시트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23117B1 (ko) | 2022-07-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7070859A (ja) | 建造物の免震施工方法および免震構造 | |
CN103088992B (zh) | 高层建筑大型设备浮动地台及施工方法 | |
KR102423117B1 (ko) | 콘크리트를 분리하여 타설하거나 방수성능 시험용 물을 담수하기 위한 분리대 | |
CN107524158B (zh) | 一种精密设备使用的隔振基础结构及施工工艺 | |
CN207988292U (zh) | 预制叠合楼板 | |
JP3770381B2 (ja) | 土台支持体の形成方法 | |
CN108756039A (zh) | 楼板施工方法 | |
KR101327378B1 (ko) | 건물의 최저층 바닥 시공용 배수판 | |
CN109352795A (zh) | 预制道路板模板体系及预制道路板制造方法 | |
AU2016324344B2 (en) | Pool coping system | |
CN108131530B (zh) | 一种设备安装平台的安装方法 | |
JP2022045148A (ja) | 仮設開口部用型枠 | |
KR101894411B1 (ko) | 기둥 보강 구조물 및 이를 설치하는 기둥 보강 공정 | |
JP2007113358A (ja) | 防蟻施工方法及び防蟻構造 | |
JP2747886B2 (ja) | 橋梁用弾性支承体の据付方法 | |
AU2006262036B2 (en) | Form for casting light weight composite concrete panels | |
JP3587761B2 (ja) |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設置法 | |
JP5968205B2 (ja) | 免震基礎およびその構築方法 | |
JP4489644B2 (ja) | 側溝蓋用埋設型枠、及び側溝の蓋体の形成方法 | |
KR101002851B1 (ko) | 도로용 l형 측구 및 시공방법 | |
JP2006249680A (ja) | 免震床構造とその製造方法 | |
CN211257887U (zh) | 下沉式卫生间底层回填结构 | |
CN102561693B (zh) | 格子梁施工方法与其装置 | |
JP2001220713A (ja)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方法 | |
CN107460895B (zh) | 一种提高散水分隔缝质量的施工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