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6581A -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6581A
KR20210096581A KR1020210080734A KR20210080734A KR20210096581A KR 20210096581 A KR20210096581 A KR 20210096581A KR 1020210080734 A KR1020210080734 A KR 1020210080734A KR 20210080734 A KR20210080734 A KR 20210080734A KR 20210096581 A KR20210096581 A KR 20210096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wifi
terminal
vehicle machine
machin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0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5806B1 (ko
Inventor
칭 왕
넝쥔 어우양
씬쉐 레이
Original Assignee
아폴로 인텔리전트 커넥티비티 (베이징)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폴로 인텔리전트 커넥티비티 (베이징)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아폴로 인텔리전트 커넥티비티 (베이징)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10096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4Negotiation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in-vehicl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매체를 개시하며, 컴퓨터 기술분야 중의 인공지능, 차량 인터넷, 스마트 교통기술에 응용된다. 구체적인 구현 방안은, 차량 머신 장치를 통해 단말기와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기 전에, 우선 양자 사이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하고,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해, 차량 머신 장치가 단말기에 차량 머신 장치와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제공하고, 단말기가 해당 파라미터 정보를 기초로 자동으로 상기 차량 머신 장치에 WiFi 직접 연결 요청을 발송할 수 있으며, 차량 머신 장치는 상기 단말기가 개시한 WiFi 직접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기와의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기에, 사용자가 연결하고자 하는 WiFi 기기를 수동으로 검색하고 선택하여 확정할 필요가 없이, 차량 머신 장치와 단말기 사이의 WiFi 직접 연결을 자동으로 구축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을 감소하고, 사용자가 차량을 운전 또는 단말기의 기타 기능을 사용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Description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매체{METHO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ESTABLISHING WIRELESS CONNECTION}
본 출원은 컴퓨터 기술에서 인공지능, 차량 인터넷, 스마트 교통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차량 운전 과정에서 운전자와 탑승객은 일반적으로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단말기를 차량과 서로 연결하여 차량의 출력 장치를 통해 단말기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표시하고자 한다.
종래의 핸드폰 등 단말기와 차량을 서로 연결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USB 유선 연결, WiFi 핫스팟 무선 연결 및 WiFi 직접 연결 무선 연결 방법을 포함한다. 이 중, USB 유선 연결 방법은 조작이 복잡하고, 사용자는 매번 연결할 때마다 연결을 완료하기 위해 복잡한 조작 단계를 수행해야 한다. 또한 시중에 USB 데이터 케이블은 불합격 제품이 많아 연결이 종종 불안정하다. WiFi 핫스팟 무선 연결 방식은 휴대폰의 핫스팟을 사용해야 하는데, 이는 많은 전력을 소모할 뿐만 아니라, 휴대폰의 핫스팟이 종종 불안정하여, 연결이 지연되는 문제가 자주 발생하고 효과가 좋지 않다. WiFi 직접 연결 무선 연결 방식은 주변의 모든 무선 연결 장치를 검색하게 되어 있어, 사용자가 연결할 장치를 수동으로 선택해야 하며, 자동 연결을 실현할 수 없다.
본 출원은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매체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 머신 장치에 응용되는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바,
연결될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상기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파라미터 정보를 기초로 발송한 WiFi 직접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기와의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단말기에 응용되되, 상기 단말기는 차량의 차량 머신 장치와 WiFi 직접 연결 통신을 구축하기 위한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바,
차량의 차량 머신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상기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해,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 머신 장치에 WiFi 직접 연결 요청을 발송하여, 상기 차량 머신 장치와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차량 머신 장치에 응용되는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바,
블루투스 모듈과 WiFi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연결될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하고;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또한, 상기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WiFi 모듈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파라미터 정보를 기초로 발송한 WiFi 직접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기와의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한다.
본 출원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단말기에 응용되되, 상기 단말기는 차량의 차량 머신 장치와 WiFi 직접 연결 통신을 구축하기 위한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바,
블루투스 모듈과 WiFi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차량의 차량 머신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하고;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또한, 상기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해,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WiFi 모듈은, 상기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 머신 장치에 WiFi 직접 연결 요청을 발송하여, 상기 차량 머신 장치와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한다.
본 출원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통신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이 저장되고, 상기 명령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술한 임의의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출원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컴퓨터 명령이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제공하는 바, 상기 컴퓨터 명령은 컴퓨터가 상술한 임의의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 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임의의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한다.
본 출원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중의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임의의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한다.
본 출원에 따른 기술은 모바일 단말과 차량 머신 장치 사이에 자동으로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 것을 구현한다.
본 부분에서 설명된 내용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핵심 또는 중요한 특징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출원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의 다른 특징은 다음 설명에 의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방안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출원에 대한 한정은 아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무선 연결 구축을 구현할 수 있는 시나리오 도면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라미터 정보를 협상하여 확정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전반적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전자기기의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 도면과 결합하여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며,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다양한 세부 사항을 포함하며, 이들을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만 간주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에 대하여 다양한 변경과 수정을 가할 수 있으며, 이는 본 출원의 범위와 정신을 벗어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명확성과 간결성을 위하여, 아래의 설명에서 공지 기능과 구조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은, 컴퓨터 기술분야 중의 인공지능, 차량 인터넷, 스마트 교통기술에 응용되며, 모바일 단말과 차량의 차량 머신 장치 사이의 WiFi 직접 연결을 자동으로 구축하여 사용자의 수동 조작을 감소하기 위한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매체를 제공한다.
본 출원에 따른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핸드폰 등 단말기와 사용자 차량의 차량 머신 장치의 WiFi 직접 연결을 자동으로 구축하는데 응용될 수 있으며, 단말기와 차량 머신 장치 사이의 데이터 인터랙션하는 시나리오를 구현한다.
예를 들면,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무선 연결 구축을 구현할 수 있는 시나리오 도면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나리오에서, 단말기는 사용자의 핸드폰(10)일 수 있고, 핸드폰(10)은 WiFi 직접 연결 기능과 블루투스 기능을 동시에 구비하고, 차량 머신 장치는 차량의 WiFi 직접 연결 기능과 블루투스 기능을 구비한 차량 머신(11)일 수 있으며, WiFi 직접 연결을 자동으로 구축하는 과정에, 우선 핸드폰(10)은 차량 머신(11)과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하고, 그 다음 핸드폰(10)과 차량 머신(11)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기초로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협상하여 확정하고, 핸드폰(10)은 협상하여 확정된 파라미터 정보를 기초로 WiFi 직접 연결 요청을 개시하고, 차량 머신(11)은 WiFi 직접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핸드폰(10)과 차량 머신(11)의 직접적인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한다.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한 후, 핸드폰(10)은 차량 머신(11)과 WiFi 직접 연결을 통해 데이터 인터랙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핸드폰 스크린에 표시된 내용을 차량의 차량 머신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의 구체적인 단계는 아래와 같다.
단계(S201), 차량 머신 장치는 연결될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한다.
본 실시예에서, 차량 머신 장치와 연결될 단말기 사이에 WiFi 직접 연결이 자동으로 구축되는 것을 구현하기 위하여, 우선 차량 머신 장치와 단말기 사이에 자동으로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한다.
여기서, 차량 머신 장치와 단말기 사이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은, 차량 머신 장치가 단말기에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S202),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해, 차량 머신 장치가 단말기에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제공하고, 단말기는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획득한다.
차량 머신 장치와 단말기 사이에 블루투스 통신 연결이 구축된 후, 차량 머신 장치와 단말기는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해 데이터 인터랙션을 수행하여, 차량 머신 장치가 단말기에 차량 머신 장치와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제공하고, 단말기는 차량 머신 장치와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차량 머신 장치가 단말기에 제공한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는, 해당 차량 머신 장치와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가리킨다. 해당 파라미터 정보는 적어도 차량 머신 장치의 WiFi 기기 식별자를 포함한다. 해당 파라미터 정보는 WiFi 직접 연결 서비스 명칭, WiFi 직접 연결 서비스 유형, WiFi 직접 연결 지원 여부, 사용 가능한 WiFi 직접 연결 주파수 대역 등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머신 장치의 WiFi 기기 식별자는 해당 차량 머신 장치를 유일하게 표기하기 위한 것이고, 서도 다른 차량의 차량 머신 장치의 WiFi 기기 식별자는 서로 다르다. 예를 들면, 차량 머신 장치의 WiFi 기기 식별자는 차량 머신 장치의 명칭, 통신 주소 등일 수 있다.
단계(S203), 단말기는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기초로, 차량 머신 장치에 WiFi 직접 연결 요청을 발송하여, 차량 머신 장치와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한다.
차량 머신 장치와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획득한 후, 단말기는 파라미터 정보 중의 차량 머신 장치의 WiFi 기기 식별자를 기초로, 사용자가 연결할 차량 머신 장치를 수동으로 선택할 필요없이, 자동으로 차량 머신 장치에 WiFi 직접 연결 요청을 발송할 수 있다.
단계(S204), 단말기가 파라미터 정보를 기초로 발송한 WiFi 직접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차량 머신 장치가 단말기와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한다.
차량 머신 장치는 WiFi 직접 연결 요청이 모니터링 되면 요청을 접수하고 요청을 개시한 단말기와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차량 머신 장치와 단말기가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기 전에, 우선 양자 사이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하고,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해, 차량 머신 장치가 단말기에 차량 머신 장치와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제공하고, 단말기는 해당 파라미터 정보를 기초로 자동으로 차량 머신 장치에 WiFi 직접 연결 요청을 발송할 수 있으며, 차량 머신 장치는 단말기가 개시한 WiFi 직접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단말기와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기에, 사용자가 연결하고자 하는 WiFi 기기를 수동으로 검색하고 선택하여 확정할 필요가 없이, 차량 머신 장치와 단말기 사이의 WiFi 직접 연결을 자동으로 구축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을 감소하고, 사용자가 차량을 운전하거나, 또는 단말기의 기타 기능을 사용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3은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본 실시예에서, 차량 머신 장치가 연결될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는,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이 모니터링될 때, 차량 머신 장치가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이 구축된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 주소를 기초로, 단말기에 블루투스 통신 연결 요청을 발송하여,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말기는 차량 머신 장치가 발송한 블루투스 통신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차량 머신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의 구체적인 단계는 아래와 같다.
단계(S301), 단말기는 차량 머신 장치와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을 자동으로 구축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와 차량 머신 장치 사이에 첫 번째로 블루투스 페어링을 수행한 후, 단말기와 차량 머신 장치가 통신 범위내에 있으면, 단말기와 차량 머신 장치 사이는 자동으로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차량을 기동한 후,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이미 차량에 탑승했거나 차량 부근에 도착하고, 사용자가 휴대한 모바일 단말은 차량의 차량 머신 장치의 통신 범위에 진입한다. 만약 사용자가 해당 모바일 단말을 사용하여 차량 머신 장치와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을 구축했었던 적이 있으면, 모바일 단말과 차량 머신 장치는 자동으로 블루투스 페어링을 수행하여,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을 구축한다.
실제 응용에서, 모바일 기기와 차량 머신 장치가 첫번째로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을 구축할 때만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여 블루투스 페어링을 수행해야 하며, 향후 사용 과정에는 단말기와 차량 머신 장치 사이에는 자동으로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와 차량 머신 장치가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을 자동으로 구축하는 과정은 종래기술에서 단말기와 차량이 자동으로 블루투스 페어링을 수행하는 과정과 동일하며, 여기서 더 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S302),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이 모니터링 될 때, 차량 머신 장치는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이 구축된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 주소를 획득한다.
차량 머신 장치는 차량이 이전에 이미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을 구축했었던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시스템 계층을 통해 해당 차량의 블루투스 연결 히스토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해당 블루투스 연결 히스토리 정보는 해당 차량과 이미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을 구축했었던 적이 있는 단말기,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을 구축한 시간, 블루투스 통신 주소 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제 응용에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과 사용자의 차량은 일반적으로 보다 긴 시간 동안 변화가 발생하지 않으며, 차량 머신 장치와 연결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은 보다 긴 시간 내에 변화가 발생하지 않기에, 우선적으로 지난번에 차량 머신 장치와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성공한 단말기를 이번의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 단말기로 할 수 있으며, WiFi 직접 연결의 효율과 성공율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실제 사용 습관에 더욱 근접할 수 있다.
선택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해당 단계는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이 모니터링 될 때, 과거 WiFi 직접 연결 데이터를 기초로, 현재 첫 번째 WiFi 직접 연결이 아닌 것으로 확정되면, 이전 WiFi 직접 연결한 단말기를 이번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할 단말기로 하고; 단말기가 아직 차량 머신 장치와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이 구축되지 않았으면, 단말기와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이 구축된 후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 주소를 획득한다.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이 모니터링 될 때, 과거 WiFi 직접 연결 데이터를 기초로, 현재 첫 번째 WiFi 직접 연결인 것으로 확정되면, 현재 이미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이 구축된 기기를 단말기로 하고,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 주소를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이 모니터링 될 때, 차량 머신 장치는 과거 WiFi 직접 연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해당 과거 WiFi 직접 연결 데이터는 차량 머신 장치와 과거에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했었던 시간, 단말기 등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과거 WiFi 직접 연결 데이터를 기초로, 차량 머신 장치가 이미 몇번의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했었는지, 및 매번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한 대상과 시간을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차량 머신 장치는 과거 WiFi 직접 연결 데이터를 기초로, 현재 첫 번째 WiFi 직접 연결인지 여부를 확정할 수 있으며, 만약 차량 머신 장치가 이미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한 적이 있으면, 현재 첫 번째 WiFi 직접 연결이 아닌 것으로 확정하며, 이때, 지난번에 차량 머신 장치와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한 단말기는 이번 차량 머신 장치와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 단말기일 가능성이 매우 크며, 지난번 WiFi 직접 연결한 단말기를 이번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할 단말기로 하고, 지난번 WiFi 직접 연결한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 주소를 획득하여, 해당 단말기와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지난번 WiFi 직접 연결한 단말기가 아직 차량 머신 장치와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을 구축하지 않았으면, 단말기와의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이 구축된 후,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 주소를 획득하여, 해당 단말기와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한다.
또한, 만약 차량 머신 장치가 어느 단말기와도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한 적이 없으면, 현재 첫 번째 WiFi 직접 연결인 것으로 확정한다. 이때, 차량 머신 장치는 현재 이미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이 구축된 기기를 곧 WiFi 직접 연결이 구축될 단말기로 하고,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 주소를 획득하여, 해당 단말기와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할 수 있으며,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 과정이 더욱 스마트하고 효과적이도록 한다.
차량 머신 장치는 획득된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 주소를 기초로, 자동으로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차량 머신 장치는 상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해당 상주 서비스는 모바일 단말과 자동으로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하기 위한 것이고,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해 단말기와 차량 머신 장치가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협상하여 확정한다.
단계(S303), 차량 머신 장치가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 주소를 기초로, 단말기에 블루투스 통신 연결 요청을 발송한다.
차량 머신 장치와 곧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 단말기 및 이의 블루투스 통신 주소를 확정한 후에, 해당 단계에서, 차량 머신 장치는 단말기에 블루투스 통신 연결 요청을 발송하여, 단말기와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요청한다.
여기서, 차량 머신 장치와 단말기 사이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은 블루투스 소켓(Socket) 연결을 가리킨다.
실제 응용에서, 일반적으로 단말기(예컨대 핸드폰)는 응용 계층에서 이미 페어링 연결된 블루투스 기기를 획득할 수 없고, 페어링 연결된 순간만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때, 만약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된 후, 다시 단말기의 WiFi 직접 연결 기능을 시작하면, 단말기는 자동으로 이미 페어링 연결된 기기에 블루투스 통신 연결 요청을 개시할 수 없으며, 자동으로 WiFi 직접 연결하는 타겟 대상을 선택하여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할 수 없다. 본 실시예에서, 차량의 차량 머신 장치가 이미 페어링 연결된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 주소를 획득하고,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개시하여, 후속의 WiFi 직접 연결이 자동으로 구축되는 과정이 구현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블루투스 통신 요청을 개시한 대상인 단말기가 지난번 차량 머신 장치와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한 단말기이면, 단말기에 알림 정보를 발송할 수 있으며, 알림 정보는 사용자에게 단말기의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기 위한 클라이언트를 실행할 것을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단말기의 WiFi 직접 연결 클라이언트를 실행하여, 단말기와 차량 머신 장치가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 기능을 시작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에 블루투스 통신 연결 요청을 발송한 후에, 블루투스 통신 요청을 개시한 대상인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 주소와 지난번 차량 머신 장치와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한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 주소와 일치하면, 알림 정보를 발송한다.
선택적으로, 알림 정보는 단말기에 표시될 수 있으며, 단말기에 보다 긴 시간 동안 유지하여 사용자가 해당 알림 정보를 발견하도록 하고, 메시지가 여러 번 팝업되어 사용자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단계(S304), 단말기는 차량 머신 장치가 발송한 블루투스 통신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차량 머신 장치와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한다.
본 실시예에서, 차량 머신 장치는 능동적으로 단말기에 블루투스 통신 연결 요청을 발송하고, 단말기는 해당 블루투스 통신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차량 머신 장치와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함으로써, 차량 머신 장치와 단말기 사이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자동으로 구축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으며, 후속으로 WiFi 직접 연결을 자동으로 구축하는 통신 채널을 제공한다.
단계(S305),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해, 차량 머신 장치와 단말기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 머신 장치와 단말기가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협상하여 확정한다.
차량 머신 장치와 단말기 사이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한 후,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해, 차량 머신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양자가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에 대해 통신 검증하여, 차량 머신 장치와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협상하여 확정함으로써, WiFi 직접 연결 파라미터의 자동 협상과 확정을 구현하고, WiFi 직접 연결을 자동으로 구축하는데 사용 가능한 파라미터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WiFi 직접 연결에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는 적어도 WiFi 직접 연결 서비스 명칭, 차량 머신 장치의 WiFi 기기 식별자를 포함한다. 또한, WiFi 직접 연결에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는 WiFi 직접 연결 서비스 유형, WiFi 직접 연결 지원 여부, 사용 가능한 WiFi 직접 연결 주파수 대역 등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 머신 장치와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확정한 후에, 단말기는 아래의 단계(S306-S308)를 통해,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기초로, 차량 머신 장치에 WiFi 직접 연결 요청을 발송하여, WiFi 직접 연결을 자동으로 구축한다.
단계(S306), 단말기는 파라미터 정보 중의 WiFi 직접 연결 서비스 명칭에 따라, WiFi 직접 연결의 구축을 허용하는 예비 WiFi 기기를 검색한다.
본 실시예에서, 차량 머신 장치와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획득한 후에, 단말기는 파라미터 정보 중의 WiFi 직접 연결 서비스 명칭에 따라, WiFi 직접 연결의 구축을 허용하는 예비 WiFi 기기, 즉 주변에 연결 가능한 WiFi 기기를 검색하여, 예비 WiFi 기기로 한다.
단계(S307), 단말기는 파라미터 정보를 기초로 예비 WiFi 기기에 차량 머신 장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정한다.
해당 단계에서, 단말기가 파라미터 정보 중의 차량 머신 장치의 WiFi 기기 식별자를 기초로, 예비 WiFi 기기에 차량 머신 장치가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되면, 단계(S306)를 실행하고, 예비 WiFi 기기에 차량 머신 장치가 포함되는 것이 검출될 때까지 WiFi 직접 연결의 구축을 허용하는 예비 WiFi 기기를 재 검색한다.
해당 단계에서, 파라미터 정보 중의 차량 머신 장치의 WiFi 기기 식별자를 기초로, 예비 WiFi 기기에 차량 머신 장치가 포함되는 것으로 확정되면, 단계(S308)를 실행하여, 차량 머신 장치에 WiFi 직접 연결 요청을 발송한다.
단계(S308), 단말기가 차량 머신 장치에 WiFi 직접 연결 요청을 발송한다.
본 실시예에서,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 것을 허용하는 예비 WiFi 기기가 검색된 후에, 단말기는 파라미터 정보 중의 곧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 차량 머신 장치의 WiFi 기기 식별자를 기초로, 자동으로 예비 WiFi 기기에서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고자 하는 차량 머신 장치를 선택하여 확정하고, 그 다음 차량 머신 장치에 WiFi 직접 연결 요청을 발송하기에, 사용자자 수동으로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 타겟을 검색하고 선택할 필요가 없다.
단계(S309), 차량 머신 장치는 단말기가 파라미터 정보를 기초로 발송한 WiFi 직접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단말기와의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한다.
예를 들면,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 파라미터 정보 중에서, WiFi 직접 연결 서비스 명칭은 “ClfWfd_vehicle”일 수 있고, 핸드폰측은 지속적으로 연결 가능한 WiFi 기기를 검색할 것이며, WiFi 직접 연결 서비스 명칭을 통해 서비스 명칭이 “ClfWfd_vehicle”인 연결 가능한 WiFi 기기, 다시 말하면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 것을 허용하는 예비 WiFi 기기를 선별해 내고; 그 다음 파라미터 정보에서 획득된 차량 머신 장치의 WiFi 기기 식별자를 기초로, 예비 WiFi 기기 중에서 파라미터 정보 중의 차량 머신 장치의 WiFi 기기 식별자와 매칭되는 것을 선별해 내면, 곧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할 차량 머신 장치를 확정하여, 해당 차량 머신 장치에 WiFi 직접 연결 요청을 개시할 수 있으며, 차량 머신 장치는 요청을 접수하고, 단말기와의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한다.
예시적으로, 아래 도 4와 결합하여 단말기와 차량 머신 장치가 블루투스 통신 연결(블루투스Socket 연결)을 자동으로 구축하는 전반적인 프로세스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단말기가 차량 머신 장치와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을 자동으로 구축한 후,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에서, 차량 머신 장치가 단말기에 블루투스 통신 연결 요청을 개시하고, 단말기는 블루투스 통신 연결 요청을 대기한다. 구체적으로, 차량 머신 장치는 지난번 WiFi 직접 연결이 성공한 것 또는 현재 이미 블루투스 페어링이 성공한 타겟 기기를 확정하고, 만약 타겟 기기를 확정하는 것에 실폐하면, 다시 말하면 지난번 WiFi 직접 연결에 성공한 기기를 획득하지 못하고 현재 이미 블루투스 페어링에 성공한 기기가 없으면, 제1 기설정된 시간 동안 간격을 두고 다시 타겟 기기를 확정하고; 만약 타겟 기기를 성공적으로 확정하면, 타겟 기기에 블루투스 통신 연결 요청을 개시하고, 타겟 기기인 단말기가 블루투스 통신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차량 머신 장치와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한다. 블루투스 통신 연결에 실폐하면, 제2 기설정 시간 간격 후에, 차량 머신 장치가 타겟 기기를 다시 확정하고, 타겟 기기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이 성공적으로 구축될 때까지 타겟 기기에 블루투스 통신 연결 요청을 개시한다.
여기서, 제1 기설정된 시간과 제2 기설정된 시간은 실제 응용 시나리오에 따라 설정하고 조정할 수 있으며, 제1 기설정된 시간과 제2 기설정된 시간은 동일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1 기설정된 시간과 제2 기설정된 시간은 모두 2초, 3초 또는 5초 등일 수 있고, 또는 제1 기설정된 시간과 제2 기설정된 시간은 서로 다를 수도 있으며, 여기서 구체적인 한정을 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아래 도 5를 결합하여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기 전에, 단말기와 차량 머신 장치 사이에 자동으로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협상하여 확정하는 전반적인 프로세스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단말기와 차량 머신 장치가 작동된 후, 단말기와 차량 머신 장치는 자동으로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과 블루투스 통신 연결(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블루투스 Socket 연결)을 수행하고, 블루투스 통신 연결이 성공한 후,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해 블루투스 통신(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BT Socket)을 수행하여, 단말기와 차량 머신 장치의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협상한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차량 머신 장치가 단말기에 무선 연결 방식이 WiFi 직접 연결인 것, WiFi 직접 연결 서비스 명칭, WiFi 직접 연결 주파수 대역 등 파라미터 정보를 발송하고, 단말기는 이러한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확인한 후, 단말기에 확인 메시지를 발송하고, 단말기는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여,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의 협상을 완료한다. 또한, 기설정된 규칙에 따라, 만약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하는데 실폐하면, USB연결 등 종래기술 중의 임의의 한가지 방식을 통해 단말기와 차량 머신 장치의 연결을 구현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아래 도 6을 결합하여 단말기와 차량 머신 장치 사이에 자동으로 WiFi 직접 연결을 수행하는 전반적인 프로세스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첫 번째 블루투스 페어링을 수행 시, 사용자는 수동으로 사용하는 단말기와 차량의 차량 머신 장치에 대해 블루투스 페어링을 수행하고, 후속으로 단말기가 차량 머신 장치의 통신 범위에 진입한 후, 단말기와 차량 머신 장치 사이의 블루투스 페어링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을 구축한다. 그 다음 차량 머신 장치는 자동으로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 주소를 획득하여, 단말기와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해, 단말기와 차량 머신 장치가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협상하여 확정한다. 파라미터 정보를 성공적으로 협상한 후, 단말기와 차량 머신 장치 각각은 WiFi 모듈을 초기화하고, 단말기는 파라미터 정보를 기초로, WiFi 직접 연결하는 기기를 스캔하고, 차량 머신 장치에 WiFi 직접 연결 요청을 발송하며, 차량 머신 장치는 WiFi 직접 연결 요청을 모니터링하고, 단말기와 차량 머신 장치가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한 후 차량 머신 장치는 단말기의 통신 주소(예를 들면 IP 주소 등)을 획득할 수 있으며, 단말기와 차량 머신 장치의 연결이 성공한다. 실제 사용 시,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에서 차량 머신측과 WiFi 직접 연결하는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차량 머신 측도 작동할 때 대응되는 서비스 측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것이며, WiFi 직접 연결이 성공한 후, 차량 머신측은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동작에 응답하여 대응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에서 클라이언트를 실행하고 WiFi를 사용하는 권한을 부여해야 하며, 이러한 것은 일부 일반적인 설정이며, 여기서 더 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단말기와 차량 머신 장치 사이의 WiFi 직접 연결이 구축된 후, 단말기와 차량 머신 장치 사이에서 WiFi 직접 연결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방식은, USB 연결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방식과 유사하게, 단말기의 스크린 잠금과 백 그라운드 스크린 캡쳐 등 동작을 지원하고, 단말기는 모바일 네트워크와 WiFi연결을 지원한다. 단말기의 WiFi 직접 연결을 위한 클라이언트가 실행된 후, 단말기와 차량 머신 장치 사이의 WiFi 직접 연결은 자동으로 구축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스크린 잠금, 백 그라운드 캡쳐, 오디오/비디오 재생 등 조작을 포함하여 단말기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단말기의 사용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이 외에, 비교적 구형의 차량 머신은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없으며, 단말기와 차량 머신이 WiFi 핫스팟 연결을 구축한 후, 단말기는 모바일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없지만,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와 차량 머신이 WiFi 직접 연결 구축을 선택하고,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한 후, 모바일 단말은 여전히 모바일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차량 머신 장치를 통해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이 모니터링 될 때, 과거 WiFi 직접 연결 데이터를 기초로, 현재 첫 번째 WiFi 직접 연결이 아닌 것으로 확정되면, 우선적으로 지난번 WiFi 직접 연결한 단말기를 이번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 단말기로 하고; 현재 첫 번째 WiFi 직접 연결인 것으로 확정되면, 현재 이미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이 구축된 기기를 단말기로 하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단말기를 선택할 필요가 없이 자동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단말기를 선택할 수 있으며; 그 다음, 차량 머신 장치는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 주소를 획득하고, 단말기에 블루투스 통신 연결 요청을 발송하고, 단말기는 요청을 접수하고, 단말기와 차량 머신 장치가 자동으로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하고,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해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협상하고; 나아가, 단말기가 파라미터 정보 중의 WiFi 직접 연결 서비스 명칭을 기초로, WiFi 직접 연결의 구축을 허용하는 예비 WiFi 기기를 검색하고; 파라미터 정보 중의 차량 머신 장치의 WiFi 기기 식별자를 기초로, 예비 WiFi 기기 중의 차량 머신 장치를 확정하고, 차량 머신 장치에 WiFi 직접 연결 요청을 발송하고, 차량 머신 장치는 요청을 접수하고, 사용자가 연결하고자 하는 차량 머신 장치를 수동으로 선택할 필요가 없이 단말기와의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여, 차량 머신 장치와 단말기 사이의 WiFi 직접 연결을 자동으로 구축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을 감소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차량을 운전 또는 단말기의 기타 기능을 사용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7은 본 출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는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 실시예에 따른 처리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70)는 블루투스 모듈(701)과 WiFi 모듈(702)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블루투스 모듈(701)은 연결될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한다.
블루투스 모듈(701)은 또한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해, 단말기에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제공한다.
WiFi 모듈(702)은 단말기가 파라미터 정보를 기초로 발송한 WiFi 직접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단말기와의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구체적으로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차량 머신 장치가 실행하는 방법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한 것이며, 구체적인 기능은 여기서 더 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차량 머신 장치를 통해 단말기와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기 전에, 우선 양자 사이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하고,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해, 차량 머신 장치가 단말기에 차량 머신 장치와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제공하고, 단말기는 해당 파라미터 정보를 기초로 자동으로 차량 머신 장치에 WiFi 직접 연결 요청을 발송할 수 있으며, 차량 머신 장치는 단말기가 개시한 WiFi 직접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단말기와의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고, 사용자가 연결하고자 하는 WiFi 기기를 수동으로 검색하고 선택하여 확정할 필요가 없이, 차량 머신 장치와 단말기 사이의 WiFi 직접 연결을 자동으로 구축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을 감소하고, 사용자가 차량을 운전 또는 단말기의 기타 기능을 사용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술한 제3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본 출원의 제4 실시예의 블루투스 모듈은 또한,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이 모니터링 될 때,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이 구축된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 주소를 획득하고;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 주소를 기초로, 단말기에 블루투스 통신 연결 요청을 발송하여, 단말기와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한다.
한가지 선택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블루투스 모듈은 또한,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이 모니터링 될 때, 과거 WiFi 직접 연결 데이터를 기초로, 현재 첫 번째 WiFi 직접 연결이 아닌 것으로 확정되면, 이전 WiFi 직접 연결한 단말기를 이번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할 단말기로 하고; 단말기가 아직 차량 머신 장치와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을 구축하지 않았을 때, 단말기와 차량 머신 장치가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이 구축된 후,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 주소를 획득한다.
한가지 선택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블루투스 모듈은 또한,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이 모니터링 될 때, 과거 WiFi 직접 연결 데이터를 기초로, 현재 첫 번째 WiFi 직접 연결인 것으로 확정되면, 현재 이미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이 구축된 기기를 단말기로 하고,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 주소를 획득한다.
한가지 선택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블루투스 모듈은 또한,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 주소를 기초로, 단말기에 블루투스 통신 연결 요청을 발송한 후, 알림 정보를 발송하되, 알림 정보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기 위한 클라이언트를 실행할 것을 알리기 위한 것이다.
한가지 선택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블루투스 모듈은 또한,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해,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단말기와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협상하여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한가지 선택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WiFi 직접 연결에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는 적어도 WiFi 직접 연결 서비스 명칭, 차량 머신 장치의 WiFi 기기 식별자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구체적으로 상술한 제2 실시예의 차량 머신 장치가 실행하는 방법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한 것이며, 구체적인 기능은 여기서 더 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차량 머신 장치가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이 모니터링 될 때, 과거 WiFi 직접 연결 데이터를 기초로, 현재 첫 번째 WiFi 직접 연결이 아닌 것으로 확정되면, 우선적이로 지난번 WiFi 직접 연결한 단말기를 이번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 단말기로 하고; 현재 첫 번째 WiFi 직접 연결인 것으로 확정되면, 현재 이미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이 구축된 기기를 단말기로 하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단말기를 선택할 필요가 없이 연결하고자 하는 단말기를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그 다음, 차량 머신 장치는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 주소를 획득하고, 단말기에 블루투스 통신 연결 요청을 발송하며, 단말기는 요청을 접수하고, 단말기와 차량 머신 장치는 자동으로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하고,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해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협상하며; 또한, 단말기는 파라미터 정보 중의 WiFi 직접 연결 서비스 명칭을 기초로, WiFi 직접 연결의 구축을 허용하는 예비 WiFi 기기를 검색하고; 파라미터 정보 중의 차량 머신 장치의 WiFi 기기 식별자를 기초로, 예비 WiFi 기기 중의 차량 머신 장치를 확정하고, 차량 머신 장치에 WiFi 직접 연결 요청을 발송하고, 차량 머신 장치가 요청을 접수하고, 단말기와의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차량 머신 장치를 선택할 필요가 없이, 차량 머신 장치와 단말기 사이의 WiFi 직접 연결을 자동으로 구축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을 감소하고, 사용자가 차량을 운전 또는 단말기의 기타 기능을 사용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8은 본 출원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는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 실시예에 따른 처리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80)는 블루투스 모듈(801)과 WiFi 모듈(802)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블루투스 모듈(801)은, 차량의 차량 머신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한다.
블루투스 모듈(801)은 또한,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해,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획득한다.
WiFi 모듈(802)은,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기초로, 차량 머신 장치에 WiFi 직접 연결 요청을 발송하여, 차량 머신 장치와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구체적으로 상술한 제1 실시예의 단말기가 실행하는 방법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한 것이며, 구체적인 기능은 여기서 더 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차량 머신 장치를 통해 단말기와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기 전에, 우선 양자 사이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하고,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해, 차량 머신 장치가 단말기에 차량 머신 장치와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제공하고, 단말기는 해당 파라미터 정보를 기초로 자동으로 차량 머신 장치에 WiFi 직접 연결 요청을 발송할 수 있으며, 차량 머신 장치는 단말기가 개시한 WiFi 직접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단말기와의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고, 사용자가 연결하고자 하는 WiFi 기기를 수동으로 검색하고 선택하여 확정할 필요가 없이, 차량 머신 장치와 단말기 사이의 WiFi 직접 연결을 자동으로 구축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을 감소하고, 사용자가 차량을 운전 또는 단말기의 기타 기능을 사용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술한 제5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본 출원의 제6 실시예의 블루투스 모듈은 또한,
차량 머신 장치가 발송한 블루투스 통신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차량 머신 장치와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한다.
한가지 선택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블루투스 모듈은 또한,
차량의 차량 머신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하기 전에, 차량 머신 장치와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을 구축한다.
한가지 선택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블루투스 모듈은 또한,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해, 차량 머신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 머신 장치와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협상하여 확정한다.
한가지 선택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WiFi 모듈은 또한,
파라미터 정보 중의 WiFi 직접 연결 서비스 명칭을 기초로, WiFi 직접 연결의 구축을 허용하는 예비 WiFi 기기를 검색하고; 파라미터 정보 중의 차량 머신 장치의 WiFi 기기 식별자를 기초로, 예비 WiFi 기기 중의 차량 머신 장치를 확정하고, 차량 머신 장치에 WiFi 직접 연결 요청을 발송한다.
한가지 선택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WiFi 모듈은 또한,
파라미터 정보 중의 WiFi 직접 연결 서비스 명칭을 기초로, WiFi 직접 연결의 구축을 허용하는 예비 WiFi 기기를 검색한 후에, 파라미터 정보 중의 차량 머신 장치의 WiFi 기기 식별자를 기초로, 예비 WiFi 기기 중에 차량 머신 장치가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되면, 예비 WiFi 기기 중에 차량 머신 장치가 포함될 때까지 WiFi 직접 연결의 구축을 허용하는 예비 WiFi 기기를 재 검색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구체적으로 상술한 제2 실시예의 단말기가 실행하는 방법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한 것이며, 구체적인 기능은 여기서 더 이상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차량 머신 장치가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이 모니터링 될 때, 과거 WiFi 직접 연결 데이터를 기초로, 현재 첫 번째 WiFi 직접 연결이 아닌 것으로 확정되면, 우선적으로 지난번 WiFi 직접 연결한 단말기를 이번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 단말기로 하고; 현재 첫 번째 WiFi 직접 연결인 것으로 확정되면, 현재 이미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이 구축된 기기를 단말기로 하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단말기를 선택할 필요가 없이 연결하고자 하는 단말기를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그 다음, 차량 머신 장치는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 주소를 획득하고, 단말기에 블루투스 통신 연결 요청을 발송하고, 단말기가 요청을 접수하고, 단말기와 차량 머신 장치가 자동으로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하고,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해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협상하고; 나아가, 단말기가 파라미터 정보 중의 WiFi 직접 연결 서비스 명칭을 기초로, WiFi 직접 연결의 구축을 허용하는 예비 WiFi 기기를 검색하고; 파라미터 정보 중의 차량 머신 장치의 WiFi 기기 식별자를 기초로, 예비 WiFi 기기 중의 차량 머신 장치를 확정하고, 차량 머신 장치에 WiFi 직접 연결 요청을 발송하고, 차량 머신 장치는 요청을 접수하고, 단말기와의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고, 사용자가 연결하고자 하는 차량 머신 장치를 수동으로 선택할 필요가 없이, 차량 머신 장치와 단말기 사이의 WiFi 직접 연결을 자동으로 구축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을 감소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차량을 운전 또는 단말기의 기타 기능을 사용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출원은 전자기기와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더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출원은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중의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한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를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전자기기(900)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전자기기는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컴퓨터, 예컨대, 랩톱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개인 정보 단말기, 서버, 블레이드 서버, 대형 컴퓨터, 및 기타 적합한 컴퓨터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전자기기는 다양한 형태의 이동장치, 예컨대, 개인 디지털 단말기, 셀폰, 스마트 폰, 웨어러블 기기 및 기타 유사한 컴퓨팅 장치를 더 나타낼 수 있다. 본문에 개시된 부재, 이들의 연결 및 관계, 및 이들의 기능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문에 개시된 것 및/또는 요구하는 본 출원의 구현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900)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902)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저장유닛(908)으로부터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903)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한 적합한 동작과 처리를 실행하는 컴퓨팅 유닛(901)을 포함한다. RAM(903)에는 전자기기(90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저장될 수도 있다. 컴퓨팅 유닛(901), ROM(902) 및 RAM(903)은 버스(904)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입출력(I/O) 인터페이스(905)도 버스(904)에 연결된다.
전자기기(900)의 여러 부재는 I/O 인터페이스(905)에 연결되는 바,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등 입력유닛(906); 예를 들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 출력유닛(907); 예를 들면 마그네트 디스크, 광 디스크 등 저장유닛(908); 및 예를 들면 네트워크 카드, 모뎀, 무선통신 송수신기 등 통신유닛(909)을 포함한다. 통신유닛(909)은 기기(900)가 인터넷과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 및/또는 다양한 전신 네트워크를 통해 기타 기기와 정보/데이터를 교환한다.
컴퓨팅 유닛(901)은 처리와 컴퓨팅 능력을 구비한 다양한 통용 및/또는 전용 처리 모듈일 수 있다. 컴퓨팅 유닛(901)의 일부 예시는 중앙 처리유닛(CPU), 그래픽 처리유닛(GPU), 다양한 전용 인공지능(AI) 컴퓨팅 칩, 다양한 머신 러닝 모델 알고리즘을 실행하는 컴퓨팅 유닛,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및 임의의 적합한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컴퓨팅 유닛(901)은 예컨대,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과 같은 상기 설명된 각 방법과 처리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은 머신 판독 가능 매체, 예를 들면 저장유닛(908)에 유형적으로 포함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의 부분 또는 전부는ROM(902) 및/또는 통신유닛(909)을 거쳐 전자기기(900)에 로딩 및/또는 설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이 RAM(903)에 로딩되어 컴퓨팅 유닛(901)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설명된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의 하나 또는 복수의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기타 실시예에서, 컴퓨팅 유닛(901)은 기타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예를 들면, 펌웨어를 통해)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에서 이상 설명된 시스템과 기술의 다양한 구현 방식은 디지털 전자 회로 시스템, 집적 회로 시스템,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전용 집적회로(ASIC), 전용 표준 제품(ASSP), 시스템 온 칩의 시스템(SOC), 캐리어 프로그램 가능 로직 기기(CPLD),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구현 방식은,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 프로그램에 구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실행 및/또는 해석될 수 있고, 해당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는 전용 또는 통용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일 수 있고, 저장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 장치로부터 데이터 및 명령을 수신할 수 있으며, 또한, 데이터 및 명령을 해당 저장 시스템, 해당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 및 해당 적어도 하나의 출력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 언어 중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작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는 통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에 제공되어, 프로그램 코드가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에 의해 실행될 때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에 규정된 기능/동작이 실시되도록 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는 완전하게 머신에서 실행될 수 있고, 부분적으로 머신에서 실행될 수도 있으며, 독립된 소프트웨어 패키지로서 부분적으로 머신에서 실행되고 부분적으로 원격 머신에서 실행되거나, 또는 완전하게 원격 머신 또는 서버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상하문에서 머신 판독 가능 매체는 명령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기기에 사용되거나, 또는 명령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기기와 결합적으로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거나 저장할 수 있는 유형의 매체일 수 있다. 머신 판독 가능 매체는 머신 판독 가능 신호 매체 또는 머신 판독 가능 저장매체일 수 있다. 머신 판독 가능 매체는 전자, 마그네트, 광학, 적외선 또는 반도체 시스템, 장치 또는 기기, 또는 상술한 내용의 임의의 적합한 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머신 판독 가능 저장매체의 더욱 구체적인 예시는 하나 또는 복수의 와이어 기반 전기 연결, 휴대용 컴퓨터 디스크,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삭제 가능 프로그램 가능 롬(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광케이블, 휴대용 콤팩트 디스크 롬(CD-ROM), 광학 저장기기, 자기 저장 기기 도는 상술한 내용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제공하기 위하여, 컴퓨터 상에서 여기에 설명되는 시스템 및 기술을 실시할 수 있으며, 해당 컴퓨터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예를 들어, CRT(캐소드레이 튜브) 또는 LCD(액정 디스플레이) 모니터); 및 키보드 지향 장치(예를 들어, 마우스 또는 트랙볼)를 구비하고, 사용자는 해당 키보드와 해당 지향장치를 통해 입력을 컴퓨터로 제공할 수 있다. 기타 종류의 장치는 또한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피드백은 임의의 형태의 센싱 피드백(예를 들어, 시각적 피드백, 청각적 피드백, 또는 촉각적 피드백)일 수 있고; 임의의 형태(사운드 입력, 음성 입력 또는 촉각 입력)을 통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시스템과 기술은 백그라운드 부재를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예를 들어, 데이터 서버), 또는 중간부재를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예를 들어, 응용 서버), 또는 프론트 엔드 부재를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예를 들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또는 인터넷 브라우저를 구비하는 사용자 컴퓨터, 사용자는 해당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또는 해당 인터넷 브라우저를 통해 여기에 설명되는 시스템 및 기술의 실시방식과 인터랙션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백그라운드 부재, 중간 부재, 또는 프론트 엔드 부재를 포함하는 임의의 컴퓨팅 시스템에서 실시될 수 있다. 임의의 형태 또는 매체의 디지털 데이터 통신(예를 들어, 통신망)을 통해 시스템의 부재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통신망의 예시로서, 랜(LAN), 광역 통신망(WAN) 및 인터넷을 포함한다.
컴퓨터 시스템은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일반적으로 서로 멀리 떨어져 있으며 통상적으로 통신망을 통해 인터랙션한다. 상응한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며 서로 클라이언트-서버 관계를 가지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관계를 생성한다. 서버는 클라우드 서버일 수 있고,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 또는 클라우드 호스트라고 불리우며,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 시스템 중의 하나의 호스트 제품으로서, 종래의 물리적인 호스트와 VPS 서버(“Virtual Private Server”, 또는 “VPS”로 약칭)에서 관리 난이도가 크고, 서비스 확장성이 약한 결함을 해결한다.
상술한 다양한 형태의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단계를 재배열,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출원에 기재된 각 단계는 병열로 수행될 수 있고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 솔루션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만 있다면, 본문에서는 여기서 한정하지 않는다.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본 출원의 보호범위에 대한 한정이 아니다.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설계 수요와 기타 요소를 기초로, 다양한 수정, 조합, 서브 조합 및 대체를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의 정신과 원칙 내에서 이루어진 모든 수정, 동등한 대체와 개진 등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Claims (29)

  1. 차량 머신 장치에 응용되는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에 있어서,
    연결될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상기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파라미터 정보를 기초로 발송한 WiFi 직접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기와의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연결될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하는 상기 단계는,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이 모니터링 될 때,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이 구축된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 주소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블루투스 통신 연결 요청을 발송하여, 상기 단말기와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이 모니터링 될 때,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이 구축된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 주소를 획득하는 상기 단계는,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이 모니터링 될 때, 과거 WiFi 직접 연결 데이터를 기초로, 현재 첫 번째 WiFi 직접 연결이 아닌 것으로 확정되면, 이전 WiFi 직접 연결한 단말기를 이번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할 단말기로 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아직 상기 차량 머신 장치와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이 구축되지 않았으면, 상기 단말기와의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이 구축되는 것을 대기한 후에, 상기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이 모니터링 될 때,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이 구축된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 주소를 획득하는 상기 단계는,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이 모니터링 될 때, 과거 WiFi 직접 연결 데이터를 기초로, 현재 첫 번째 WiFi 직접 연결인 것으로 확정되면, 현재 이미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이 구축된 기기를 단말기로 하고, 상기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 주소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블루투스 통신 연결 요청을 발송하는 단계 후에, 상기 단계는,
    알림 정보를 발송하되, 상기 알림 정보는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의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 클라이언트를 실행할 것을 제시하기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단말기와의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협상하여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WiFi 직접 연결에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는 적어도 WiFi 직접 연결 서비스 명칭, 상기 차량 머신 장치의 WiFi 기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방법.
  8. 단말기에 응용되되, 상기 단말기는 차량의 차량 머신 장치와 WiFi 직접 연결 통신을 구축하기 위한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차량 머신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상기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해,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 머신 장치에 WiFi 직접 연결 요청을 발송하여, 상기 차량 머신 장치와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차량의 차량 머신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하는 상기 단계는,
    차량 머신 장치가 발송한 블루투스 통신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 머신 장치와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차량의 차량 머신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하는 상기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차량 머신 장치와의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해,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획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차량 머신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차량 머신 장치와의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협상하여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 머신 장치에 WiFi 직접 연결 요청을 발송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파라미터 정보 중의 WiFi 직접 연결 서비스 명칭을 기초로, WiFi 직접 연결의 구축을 허용하는 예비 WiFi 기기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파라미터 정보 중의 상기 차량 머신 장치의 WiFi 기기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예비 WiFi 기기 중의 상기 차량 머신 장치를 확정하고, 상기 차량 머신 장치에 WiFi 직접 연결 요청을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정보 중의 WiFi 직접 연결 서비스 명칭을 기초로, WiFi 직접 연결의 구축을 허용하는 예비 WiFi 기기를 검색하는 상기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파라미터 정보 중의 상기 차량 머신 장치의 WiFi 기기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예비 WiFi 기기 중에 상기 차량 머신 장치가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되면, 검색된 예비 WiFi 기기에 상기 차량 머신 장치가 포함될 때까지, WiFi 직접 연결의 구축을 허용하는 예비 WiFi 기기를 재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차량 머신 장치에 응용되는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에 있어서,
    블루투스 모듈과WiFi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연결될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하고;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또한, 상기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WiFi 모듈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파라미터 정보를 기초로 발송한 WiFi 직접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기와의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또한,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이 모니터링 될 때,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이 구축된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 주소를 획득하고;
    상기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 주소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블루투스 통신 연결 요청을 발송하여, 상기 단말기와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또한,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이 모니터링 될 때, 과거 WiFi 직접 연결 데이터를 기초로, 현재 첫 번째 WiFi 직접 연결이 아닌 것으로 확정되면, 이전 WiFi 직접 연결한 단말기를 이번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할 단말기로 하고;
    상기 단말기가 아직 상기 차량 머신 장치와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이 구축되지 않았으면, 상기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의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이 구축되는 것을 대기한 후에, 상기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 주소를 획득하는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또한,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이 모니터링 될 때, 과거 WiFi 직접 연결 데이터를 기초로, 현재 첫 번째 WiFi 직접 연결인 것으로 확정되면, 현재 이미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이 구축된 기기를 단말기로 하고, 상기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 주소를 획득하는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또한,
    상기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 주소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블루투스 통신 연결 요청을 발송하여, 알림 정보를 발송하되, 상기 알림 정보는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의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 클라이언트를 실행할 것을 제시하기 위한 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또한,
    상기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단말기와의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협상하여 확정하는 장치.
  20. 제14항 내지 제19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WiFi 직접 연결에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는 적어도 WiFi 직접 연결 서비스 명칭, 상기 차량 머신 장치의 WiFi 기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장치.
  21. 단말기에 응용되되, 상기 단말기는 차량의 차량 머신 장치와 WiFi 직접 연결 통신을 구축하기 위한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에 있어서,
    블루투스 모듈과WiFi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차량의 차량 머신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하고;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또한, 상기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해,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WiFi 모듈은, 상기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 머신 장치에 WiFi 직접 연결 요청을 발송하여, 상기 차량 머신 장치와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또한,
    차량 머신 장치가 발송한 블루투스 통신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 머신 장치와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또한,
    상기 차량의 차량 머신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구축하기 전에, 상기 차량 머신 장치와의 블루투스 페어링 연결을 구축하는 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또한,
    상기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차량 머신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차량 머신 장치와의 WiFi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협상하여 확정하는 장치.
  25.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WiFi 모듈은 또한,
    상기 파라미터 정보 중의 WiFi 직접 연결 서비스 명칭을 기초로, WiFi 직접 연결의 구축을 허용하는 예비 WiFi 기기를 검색하고;
    상기 파라미터 정보 중의 상기 차량 머신 장치의 WiFi 기기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예비 WiFi 기기 중의 상기 차량 머신 장치를 확정하고, 상기 차량 머신 장치에 WiFi 직접 연결 요청을 발송하는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WiFi 모듈은 또한,
    상기 파라미터 정보 중의 WiFi 직접 연결 서비스 명칭을 기초로, WiFi 직접 연결의 구축을 허용하는 예비 WiFi 기기를 검색한 후에, 상기 파라미터 정보 중의 상기 차량 머신 장치의 WiFi 기기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예비 WiFi 기기 중에 상기 차량 머신 장치가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되면, 검색된 예비 WiFi 기기에 상기 차량 머신 장치가 포함될 때까지, WiFi 직접 연결의 구축을 허용하는 예비 WiFi 기기를 재 검색하는 장치.
  27.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통신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이 저장되고, 상기 명령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제1항 내지 제6항,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기기.
  28. 컴퓨터 명령이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명령은 컴퓨터가 제1항 내지 제6항,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29.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중의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6항,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080734A 2020-12-15 2021-06-22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매체 KR1025558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1475648.6 2020-12-15
CN202011475648.6A CN112654020B (zh) 2020-12-15 2020-12-15 建立无线连接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581A true KR20210096581A (ko) 2021-08-05
KR102555806B1 KR102555806B1 (ko) 2023-07-14

Family

ID=75353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0734A KR102555806B1 (ko) 2020-12-15 2021-06-22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844121B2 (ko)
EP (1) EP3879861B1 (ko)
JP (1) JP7262523B2 (ko)
KR (1) KR102555806B1 (ko)
CN (1) CN112654020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43907A (zh) * 2021-11-26 2022-03-04 阿波罗智联(北京)科技有限公司 无线连接建立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205813A (zh) * 2021-12-03 2022-03-18 阿波罗智联(北京)科技有限公司 添加好友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4501387A (zh) * 2022-01-21 2022-05-13 阿维塔科技(重庆)有限公司 车对车通讯方法及车辆通讯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16124A (zh) * 2021-06-03 2021-08-27 阿波罗智联(北京)科技有限公司 车机互联方法和装置
CN113329373A (zh) * 2021-06-08 2021-08-31 阿波罗智联(北京)科技有限公司 车机互联方法和装置
CN113490193A (zh) * 2021-07-28 2021-10-08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3726608B (zh) * 2021-08-30 2022-11-22 阿波罗智联(北京)科技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及装置
CN113993103B (zh) * 2021-10-22 2024-01-19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车载终端的网络自动互联方法
CN114285873B (zh) * 2021-12-09 2024-01-02 阿波罗智联(北京)科技有限公司 建立通信连接的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CN115022982B (zh) * 2021-12-31 2023-04-11 荣耀终端有限公司 多屏协同无感接入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339957B (zh) * 2022-02-28 2024-05-10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Wi-Fi热点连接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15052020B (zh) * 2022-06-23 2024-02-02 阿波罗智联(北京)科技有限公司 设备互连系统、方法、装置以及连接设备
CN115119010B (zh) * 2022-06-29 2023-07-25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连麦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5515255A (zh) * 2022-08-03 2022-12-23 阿波罗智联(北京)科技有限公司 建立无线连接的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6709576A (zh) * 2022-12-05 2023-09-05 荣耀终端有限公司 停车处理方法、设备以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57890A1 (en) * 2006-08-30 2008-03-06 Apple Computer, Inc. Automated pairing of wireless accessories with host devices
US20160302026A1 (en) * 2013-11-06 2016-10-1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communication link using bluetooth
EP3506517A1 (en) * 2016-09-09 2019-07-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File transmission method, file reception method and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15398A1 (en) * 2008-02-25 2009-08-27 Adler Mitchell D Methods and Systems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s Between Devices
US9319828B2 (en) * 2013-06-24 2016-04-19 Csr Technology Inc.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and devices
US9936448B2 (en) * 2013-11-06 2018-04-0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JP2015104098A (ja) 2013-11-28 2015-06-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その無線通信方法
KR20150128346A (ko) * 2014-05-09 2015-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전자장치에서 자동 링크 변경 방법 및 장치
KR102322917B1 (ko) 2014-07-31 2021-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7211242B (zh) * 2015-02-08 2020-10-23 苹果公司 车内无线通信
JP6869746B2 (ja) 2017-02-22 2021-05-1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06982267A (zh) 2017-05-31 2017-07-25 福州大学 一种基于wifi连接的新能源汽车与手机终端信息传输系统
CN107864469B (zh) * 2017-10-31 2020-05-05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无线连接方法及设备
CN109362119A (zh) * 2018-09-30 2019-02-19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智能设备的网络连接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CN109309967B (zh) * 2018-12-11 2021-01-19 连尚(新昌)网络科技有限公司 传输文件的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913014A (zh) 2019-12-10 2020-03-24 扬州航盛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本地热点的Android手机与智能驾舱无感互联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57890A1 (en) * 2006-08-30 2008-03-06 Apple Computer, Inc. Automated pairing of wireless accessories with host devices
US20160302026A1 (en) * 2013-11-06 2016-10-1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communication link using bluetooth
EP3506517A1 (en) * 2016-09-09 2019-07-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File transmission method, file reception method and termina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43907A (zh) * 2021-11-26 2022-03-04 阿波罗智联(北京)科技有限公司 无线连接建立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143907B (zh) * 2021-11-26 2023-05-12 阿波罗智联(北京)科技有限公司 无线连接建立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205813A (zh) * 2021-12-03 2022-03-18 阿波罗智联(北京)科技有限公司 添加好友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4501387A (zh) * 2022-01-21 2022-05-13 阿维塔科技(重庆)有限公司 车对车通讯方法及车辆通讯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654020A (zh) 2021-04-13
EP3879861A2 (en) 2021-09-15
EP3879861A3 (en) 2022-01-19
JP2022003772A (ja) 2022-01-11
EP3879861B1 (en) 2024-01-10
US11844121B2 (en) 2023-12-12
US20210315034A1 (en) 2021-10-07
CN112654020B (zh) 2023-03-28
KR102555806B1 (ko) 2023-07-14
JP7262523B2 (ja) 2023-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5806B1 (ko)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매체
US20220303276A1 (en) Network connection method, hotspot terminal and management terminal
EP3276917B1 (en) Terminal remote assistance method, device and system
JP6293874B2 (ja) ワイヤレスドッキングアーキテクチャ
CN112218271A (zh) 车内无线通信
CN109688570B (zh) 蓝牙连接方法、系统和存储介质
US108635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2016529749A (ja) ワイヤレスドッキングのためのアクセス制御
US20200120739A1 (en) Method of switching connection to network, intelligent terminal, and apparatus having storage function
US20220312180A1 (en) Method for discovering bluetooth device and bluetooth device
CN109905358B (zh) 基于移动计算设备之间的电话呼叫来管理数据通信
US20140089431A1 (en) Instant messaging method, terminal, server, and system
WO2016173251A1 (zh) 一种连接Wi-Fi网络的方法、无线音箱及终端
CN111028839B (zh) 一种智能家居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WO2013158140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accessing a communications network
US20200213844A1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1047010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115098052B (zh) 屏幕投射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WO2019096155A1 (zh) 无线连接方法和具有存储功能的装置
CN112153754B (zh) 点对点连接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0725809B2 (en) Application interac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US9521697B2 (en) Role reversal from wireless docking center to wireless dockee
CN114205813A (zh) 添加好友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3301542B (zh) 配对连接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0086706B (zh) 用于加入特定于设备的消息群组的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