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6107A - 케이블 부싱 - Google Patents

케이블 부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6107A
KR20210096107A KR1020217016377A KR20217016377A KR20210096107A KR 20210096107 A KR20210096107 A KR 20210096107A KR 1020217016377 A KR1020217016377 A KR 1020217016377A KR 20217016377 A KR20217016377 A KR 20217016377A KR 20210096107 A KR20210096107 A KR 20210096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lever
frame part
frame
closed position
guide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6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발렌틴 에만
브루노 에만
Original Assignee
아이코텍 프로젝트 게엠베하 & 씨오. 케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코텍 프로젝트 게엠베하 & 씨오. 케이지 filed Critical 아이코텍 프로젝트 게엠베하 & 씨오. 케이지
Publication of KR20210096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1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2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having bracket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of a common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58Tubes, sleeves, beads, or bobbins through which the conductor passes
    • H01B17/583Grommets; Bush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케이블 그로밋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간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프레임 부분뿐만 아니라, 상기 제1 프레임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거나 될 수 있고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클램핑 레버를 가지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케이블 부싱에 관한 것이며, 상기 프레임 부분들은 상기 클램핑 레버의 닫힌 위치에서 받치는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받쳐진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부싱은 상기 클램핑 레버 또는 상기 제2 프레임 부분이 제1 가이드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 부분 또는 상기 클램핑 레버는 상기 클램핑 레버가 이동할 때에 상기 제1 가이드 표면을 따라 적어도 일시적으로 미끄러지는 제1 슬라이딩 에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이드 표면은 상기 클램핑 레버가 그 닫힌 위치로 이동할 때에 상기 프레임 부분들이 서로를 향해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치는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케이블 부싱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상세하게 명시된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탄성 케이블 그로밋(cable grommet)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간을 포함하는 케이블 부싱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들이나 유사한 것들을 포함하는 미리 제조된 케이블들을 수용하기 위해 슬릿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탄성 케이블 그로밋들을 포함하는 케이블 부싱들은 이러한 관점에서 해당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다. 상기 케이블 그로밋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수용하는 상기 프레임은 적어도 두 개의 프레임 부분들을 포함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이들은 통상적으로 나사 결합되거나, 먼지와 특히 물에 대해 높은 수준의 밀봉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도 선택적으로 함께 래치된다.
실제로, 특히 이에 따라 밀봉되게 구성되는 케이블 부싱들에서, 상기 프레임 부분들을 함께 나사 결합하여 상기 부싱들을 조립하는 것이 대체로 표준이다. 그러나 이는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이에 따른 긴 조립 시간이 요구된다. 이는 결과적으로 조립의 복잡성과 이에 따른 조립에 의해 수반되는 비용을 증가시킨다.
일반적으로 유럽 특허 EP 2 614 563(B1)에는 두 개의 동일하게 구성된 프레임 부분들을 슬라이딩 요소에 의해 서로 맞물리게 하는 기술을 기재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비록 이러한 구성을 매우 신속하게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함께 래치되는 경우와 유사하게 높은 밀폐 효과를 위해 요구되는 힘들이 통상적으로 상기 탄성 케이블 그로밋들에 인가되지 않는다. 슬라이딩 요소 대신에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브래킷 클로저(clamping bracket closure)를 포함하는 선택적인 해결 방안이 구현되는 힘들에 관하여 보다 우수하지만, 상기 클램핑 브래킷 클로저를 포함하는 구성은 클램핑 브래킷 클로저가 상기 클램핑 브래킷 클로저 자체의 생산 및 조립의 관점에서 상대적으로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밀폐 효과와 관련된 다른 심각한 단점은 상기 클램핑 브래킷 클로저의 원리로부터 유래된다. 상기 클램핑 브래킷 클로저는 안전한 고정을 위해 통과되는 사점(dead centre)을 요구한다. 이에 따라, 받쳐진 프레임 부분들 및 그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탄성 케이블 그로밋들에 결과적으로 작용하는 것 보다 큰 스트레스가 증강된다. 상기 클램핑 브래킷의 부품은 돌기 후방에서 고리에 걸리며, 상기 구성에 가해지는 압력은 상기 케이블 그로밋들의 탄성에 의해 어느 정도까지는 다시 경감된다. 이러한 재설정 동안, 상기 케이블 그로밋들은 말하자면 상기 클램핑 레버가 억눌려지게 당기며, 이에 따라 상기 클램핑 브래킷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이 보장된다. 그러나 높은 수준의 밀폐가 생성되도록 의도될 경우, 이러함 점이 정확해야 하며, 이는 중요한 결점이 된다. 실제로, 후에 요구되는 장력을 넘어 상기 케이블 그로밋들을 적재하는 것은 명확하게 이들을 최소의 정도까지 안착되게 하며, 최소의 정도까지 경감되는 압력으로 인한 실제 닫힌 위치에 있는 상부 사점 위치에서 상기 탄성 케이블 그로밋들의 "과응력(overstressing)"으로 인하여 이후의 밀봉이 더 이상 완전하게 제공되지 못하게 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에 의해 처리되는 문제점은 간단한 조립과 함께 매우 우수한 밀폐 효과가 구현될 수 있는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명시된 유형의 케이블 부싱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 및 특히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의 특징을 가지는 케이블 부싱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케이블 부싱의 유익한 실시예들과 개선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으로부터 기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부싱은 순차적으로 다중의 부분들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복수의 케이블 그로밋들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수용 공간들을 한정하기 위해 프레임 부분에 단단하게 또는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디바이더(divider)들을 가질 수 있는 두 개의 프레임 부분들을 포함한다. 이들 두 개의 프레임 부분들은 이후에 받치는 방향(bracing direction)으로 클램핑 레버에 의하여 내부에 놓이는 상기 탄성 케이블 그로밋들 및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케이블들 또는 블라인드 플러그(blind plug)들에 대해 받쳐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클램핑 레버, 또는 상기 제2 프레임 부분, 즉 상기 클램핑 레버가 회전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지 않는 프레임 부분은 가이드 표면을 포함한다. 상기 제2 프레임 부분, 또는 이에 따른 상기 클램핑 레버는 그 요소들이 기능을 담당하는 바에 따라 개개의 슬라이딩 포인트들, 슬라이딩 표면 또는 이들과 유사한 것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 슬라이딩 에지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두 개의 L자 형상의 프레임 부분들이 존재할 경우, 각각의 상기 프레임 부분들이 두 가지 기능들을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하나의 클램핑 레버는 우측 상단에서 하나의 프레임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클램핑 레버는 좌측 하단에서 다른 하나의 프레임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상기 슬라이딩 에지는 상기 클램핑 레버가 그 닫힌 위치(closed position)로 이동하면서 상기 가이드 표면을 따라 이동한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표면은, 예를 들면 기울어진 평면의 형태 또는 바람직하게는 굴곡진 평면의 형태로 폐쇄 방향(closure direction)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장된다. 상기 폐쇄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이러한 가이드 표면 및 상기 가이드 표면상에서 미끄러지는 상기 슬라이딩 에지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표면 및 상기 슬라이딩 에지 모두가 이동하며,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 부분들이 하나의 프레임 부분에 대한 상기 클램핑 레버의 회전 운동에 의해 다른 하나를 향해 이동한다. 상기 가이드 표면 및 상기 슬라이딩 에지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상기 클램핑 레버는 말하자면 다른 것인 제2 프레임 부분에 대향되는 상기 폐쇄 방향으로 상기 제1 프레임 부분을 당기며,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 부분들 사이에 삽입되는 상기 탄성 케이블 그로밋들을 받친다. 상기 클램핑 레버만이 이동될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상기 구성은 매우 간단하고, 사용하기에 효율적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적용되는 힘들과 경로들이 상기 가이드 표면의 형상을 결정하므로, 요구되는 용도에 따라 변화되고 설정될 수 있다. 클램핑 브래킷 클로저(clamping bracket closure) 내에서와는 달리, 이러한 구성은 초과되는 최대 장력의 포인트가 없이 증가되는 장력이 증강되도록 생성된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립 후에 상기 케이블 부싱의 극히 우수하게 밀폐되는 구성이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케이블 부싱의 유익한 개선예에 따르면, 상기 클램핑 레버가 그 닫힌 위치를 향해 보다 가깝게 이동하면서 상기 가이드 표면의 경사가가 평탄해지므로, 상기 클램핑 레버의 회전의 각이 진 단면에 따라 상기 경로가 보다 짧아지면서 상기 프레임 부분들이 서로를 향해 이동될 수 있는 점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이 상기 가이드 표면 상부에서 수행될 수 있으므로, 상기 탄성 케이블 그로밋들의 대향하는 힘들은 여전히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시초에 상대적으로 긴 경로가 생성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긴 경로에 의해 신속한 받쳐짐(bracing)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탄성 케이블 그로밋들의 대향하는 힘들이 이에 따라 보다 커질 때, 종료를 향해 이에 따른 보다 짧은 경로가 생성될 수 있으므로, 특히 보다 큰 받치는 힘(bracing force)들이 여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에서, 가장 중요한 이점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부싱의 다음의 변형예에 의해 제공되며, 여기서 상기 클램핑 레버 및 상기 제2 프레임 부분 사이에, 상기 제1 가이드 표면 및 상기 제1 슬라이딩 에지 이외에도 다른 제2 가이드 표면 및 제2 슬라이딩 에지가 형성되며, 상기 클램핑 레버가 그 닫힌 위치로 이동할 때에 상기 제1 가이드 표면 및 상기 제1 슬라이딩 에지 뒤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속되게 된다. 이러한 연결에서, "결속하게 되는"이라는 표현은 이들이 힘들을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특히 상대적으로 탄성의 가이드 표면의 경우에 이들은 이미 접촉되어 있다.
상기 구성은, 예를 들면 상기 제1 가이드 표면 및 상기 제1 슬라이딩 에지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인장력으로 생성되는 상대적으로 긴 경로 및 그 닫힌 위치를 향하는 상기 클램핑 레버의 이동의 종단을 향해 상기 제2 가이드 표면 및 상기 제2 슬라이딩 에지를 적절하게 정렬시켜 상기 클램핑 레버의 각도에 따라 생성되는 보다 짧은 경로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예를 들면, 상기 과정에서 신속한 종결과 밀폐를 보조하는 높은 받쳐지는 힘 모두를 구현하기 위해 보다 큰 힘들이 적용되게 한다.
특히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르면, 이에 따라 상기 제1 가이드 표면이 상기 제2 가이드 표면보다 상기 제1 프레임 부분에 대해 상기 클램핑 레버의 받침대(fulcrum)로부터 긴 거리를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클램핑 레버는 통상적으로 항상 최대의 레버 길이로 작동된다. 실제로, 상기 작동이 이에 따라 일어나므로 상기 받침대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클램핑 레버의 측부가 연관되는 프레임 부분을 향해 밀려진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가이드 표면은 이에 따라 이러한 영역 내에서 상기 받침대로부터 상대적으로 멀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는 통상적으로 일어나는 힘의 작용의 영역 내가 된다. 이에 따라, 조립 동안에 인가되는 힘과 상기 제1 가이드 표면 및 제1 슬라이딩 에지의 위치 사이에 레버 스트로크(lever stroke)가 사실상 없게 된다. 따라서 이는 실질적으로 상기 클램핑 레버를 작동시켜 상기 케이블 부싱을 마감하는 작업자에 의해 인가되는 힘에 의하여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 표면 및 이에 따른 상기 제2 슬라이딩 에지는 상기 클램핑 레버와 상기 제2 프레임 부분 사이에서 상기 받침대로부터 보다 짧은 거리에 있다. 상기 클램핑 레버에 작용하는 힘이 변화되지 않고 남을 때, 이는 작업자에 의해 인가되는 힘을 이에 따라 증강시키는 레버 스트로크를 가져온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이 경우에 상기 레버 스트로크는 상기 받침대로부터의 상기 제1 가이드 표면의 거리와 상기 받침대로부터의 상기 제2 가이드 표면의 거리 사이의 차이에 대응된다. 이러한 레버 스트로크가 이에 따라 길어지도록 선택될 경우, 조립 동안에 인가되도록 요구되는 보다 큰 양의 힘이 없이 상기 받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큰 힘이 상기 케이블 그로밋들에 작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은 상기 밀폐의 질을 더욱 향상시킨다.
상기 두 가이드 표면들을 가지는 이러한 개념의 매우 유익한 개선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가이드 표면이 그 닫힌 위치로의 상기 클램핑 레버의 이동의 종단에서 상기 제1 슬라이딩 에지와 접촉하는 영역 내에 리세스(recess)를 포함하는 점이 더 제공될 수 있다. 그 닫힌 위치로의 상기 클램핑 레버의 이동의 종단 및 이에 따른 상기 받치는 방향으로의 상기 제2 프레임 부분에 대한 상기 제1 프레임 부분의 이동의 종단에서, 상기 리세스는 상기 제1 가이드 표면 및 상기 제1 슬라이딩 에지가 더 이상 결속되지 않게 하며, 이에 따라 더 이상 힘이 전달되지 않는다.
이는 이러한 개념의 유익한 구성에 따라 상기 제1 슬라이딩 에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슬라이딩 에지가 상기 클램핑 레버가 그 닫힌 위치로 이동할 때에 상기 제2 가이드 표면과 결속하게 되면 상기 리세스가 시작되는 점이 제공될 때에 특히 유용하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표면들 및 슬라이딩 에지들 중의 둘이 제공될 경우, 일종의 "과업의 분담"이 상기 리세스를 거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가이드 표면은 초기에 상기 제1 슬라이딩 에지와 결속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에서 적은 힘으로 이에 따른 보다 긴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클램핑 레버가 이미 상기 경로의 단면을 통과한 후에만 상기 제2 슬라이딩 에지가 결속하게 될 때에 시작되는 상기 제2 가이드 표면이 이후에 결속되면, 상기 제1 슬라이딩 에지가 상기 리세스를 통해 상기 제1 가이드 표면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는 양 슬라이딩 에지들이 결속되는 정지되는 중간 상태를 방지한다. 상기 제2 가이드 표면은, 이후에 예를 들면 보다 긴 레버 경로에 의하여 보다 짧은 경로 내에, 특히 보다 큰 힘으로 최대의 인장력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2 슬라이딩 에지와 협력하여 사용될 수 있다.
대체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종래 기술과 유사하게 동일한 프레임 부분들만을 가지는 구성도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러한 사항은 삽입된 케이블들 및 케이블 그로밋들이 상기 프레임 부분들 내에 자동적으로 유지되지 않기 때문에 비현실적이며, 이에 따라 상기 구성은 조립하기가 상대적으로 어렵다. 보다 간단한 조립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개념의 유익한 개선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프레임 부분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레버에 회전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리브 부분으로 설계되고, 상기 제2 프레임 부분이 두 개의 레그들을 포함하는 U자 형상의 프레임 부분으로 설계되는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두 개의 레그들을 포함하는 U자 형상의 프레임 부분은 이들이 쉽게 떨어져 나가지 않고 클램핑 방식으로 상기 레그들 사이에 상기 케이블 그로밋들을 수용할 수 있다. 본문에서의 범주 내에서, 상기 레그들은 상기 둘의 외측 레그들인 것으로 이해된다. 이라한 사항과 관계없이, 통합되거나 삽입된 디바이더들이, 예를 들면 특히 복수의 개개의 케이블 그로밋들이 서로 옆에 위치하도록 의도될 경우에 케이블 그로밋들을 수용하기 위한 보다 큰 공간들을 형성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사항은 디바이더들이 상기 U자 형상의 제2 프레임 부분 내에 사용될 때에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제1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리드는 각각의 그 단부들에서 클램핑 레버를 수용할 수 있으며, 레버는 상기 닫힌 위치에서 상기 제2 프레임 부분의 레그들 옆에 놓인다. 따라서 상기 구성은 우측 및 좌측 모두에 클램핑 레버를 가지는 리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리드에 회전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될 수 있거나, 샤프트 또는 대응되는 돌기들에 의해 래칭(latching) 방식으로 상기 리드에 연결될 수도 있는 상기 클램핑 레버들은 그 레그들에 대해 상기 제2 프레임 부분을 따라 우측 및 좌측에서 아래로 접혀지며,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 부싱의 프레임을 폐쇄한다. 이는 상기 두 클램핑 레버들이 동시에 동일하게 상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조립하기가 매우 간단하다.
두 개의 L자 형상의 프레임 부분들을 구비하는 것도 물론 가능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선택적인 변형예에서, 상기 리드가 그 단부들 중의 하나에 상기 클램핑 레버를 포함하며, 다른 하나의 단부에 상기 제2 프레임 부분 내의 대응되는 리세스 내에 상기 리드를 장착하고 회전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게 안내하기 위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 레버가 상기 닫힌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 부분의 레그들 중의 하나 옆에 있는 구성도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은 제1 프레임 부분의 형태로 제2 프레임 부분 내에 매달리고, 중심의 리드의 방식으로 상기 탄성 케이블 그로밋들을 구비하여 제공되는 상기 제2 프레임 부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게 피봇되는 리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리드의 자유단은 이에 따라 상술한 변형예들의 하나 또는 그 이상에 따라 생성될 수 있는 상기 클램핑 레버를 가진다. 바로 위에서 설명한 구성과는 달리, 이러한 구성은 이에 따라 하나의 단일 클램핑 레버를 가지며, 상기 프레임의 구성 및 제조의 관점에서 보다 간단하다.
상기 리드의 이러한 구성에 관계없이, 이는 상기 받치는 방향이 결국 상기 케이블 그로밋들이 받치는 방향이기 때문에 적어도 상기 클램핑 레버의 이동의 종단에서 상기 리드의 이동에 관계없이 작업자 또는 상기 프레임 부분들 사이의 회전축 사이의 이동에 의해 정합될 때에 상기 받치는 방향이 상기 제2 프레임 부분의 레그들에 평행하게 한정되도록 의도되는 경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부싱의 유익한 구성은 상기 클램핑 레버가 그 가장 긴 연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중심 그루브를 가지며, 상기 클램핑 레버의 닫힌 위치에서 상기 그루부 내로 상기 제2 프레임 부분의 레그의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돌출되거나, 그 반대가 되는 사항을 더 제공한다. 돌기들 및 그루브들과 함께 정합되는 단면상으로 빗과 같은 프로파일을 가져오는 이와 같은 돌기, 또는 복수의 이러한 돌기들은 이상적으로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클램핑 레버를 안정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개념의 매우 바람직한 전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표면이 적어도 하나의 돌기 내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에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의 부분적으로 좁아지는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구성이 여기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레임 부분이 예를 들어 플라스틱 물질 또는 섬유 보강 플라스틱 물질로부터 사출 성형 공정으로 제공될 때에 쉽게 몰드로부터 탈착되기 위해 간단한 방식으로 생산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상기 제1 프레임 부분의 레그(들) 상의 상기 케이블 부싱을 통해 상기 케이블들의 관통 방향을 가로지르는 핀(fin)의 방식으로 연장되는 이와 같은 돌기는 상대적으로 생산하기에 간단하며, 상기 클램핑 레버는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2 프레임 부분의 이러한 돌기 주위에 결속되는 대응되는 그루브를 포함한다. 상기 그루브의 부분적으로 좁아지는 부분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딩 에지는, 예를 들면 상기 그루브이 우측 및 좌측에 대해 두 개의 돌기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후에 상기 우측 및 좌측에 부착되고, 두 부분들로 되는 상기 제1 및/또는 제2 가이드 표면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대체로 언제나 특히 바로 앞서 설명한 구성에서, 상기 클램핑 레버 및 상기 제2 프레임 부분이 특히 상기 돌기의 영역 내에 상기 프레임의 평면적인 연장에 직교하고 상기 클램핑 레버의 닫힌 위치에서 정렬되는 홀들을 포함하는 구성이 여기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클램핑 레버의 닫힌 위치에서, 정렬되는 이와 같은 홀들은 특히 상기 클램핑 레버의 이러한 위치를 영구적으로 고정시키는 데 기여한다. 상기 홀들은 특히 케이블 부싱들의 프레임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대체로 흔하고 표준적인 홀들이 될 수 있으므로, 완전히 구비되고 받쳐진 프레임은 한편으로는 나사 결합에 의해 스위치기어 캐비닛(switchgear cabinet), 예를 들면 상기 스위치기어 캐비닛의 벽에 연결되고, 이러한 벽을 통하는 구멍 주위에서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받쳐진 위치(braced position) 및 이에 따른 상기 클램핑 레버의 닫힌 위치에 고정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클램핑 레버가 래칭 후크(latching hook)에 의해 상기 제2 프레임 부분에 대해 그 닫힌 위치에 고정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러한 종류의 래칭 후크는 상기 클램핑 레버를 상기 닫힌 위치에 신뢰성 있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보호 조치로서 상기 가이드 표면들의 적어도 하나와 그 슬라이딩 에지 사이에 마찰력들이 야기되게 할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기계적 고정이 자체적으로 알려진 방식으로 래칭 후크에 의해 생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부싱의 유익한 개선예는 상기 프레임 부분들이 상기 받치는 방향으로 받쳐지는 동안에 점점 더 맞물리는 각각의 다른 프레임 부분 내의 배향 돌기들 및 대응되는 리세스 부분들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부분들이 서로에 대해 배향되고 고정되는 구성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배향 돌기들 또는 중심 돌기들은 상기 받쳐진 상태에서 서로에 대한 상기 프레임 부분들의 정합되는 연결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상기 프레임은 예를 들면 이에 따라 그 표면이 평탄하고, 결과적으로, 예를 들면 스위치기어 캐비닛의 벽에 대해 평탄한 실에 의해 잘 밀봉될 수 있다. 상기 배향에 의하여, 받쳐지는 동안 및 상기 받쳐진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부분들의 상호작용은, 예를 들면 밀봉 에지들, 밀봉 표면들 및 이들과 유사한 것들의 원하는 방식으로 및 원하는 위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부싱의 다른 유리한 구성들은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예들에서 찾을 수 있으며, 첨부된 도면들에서,
도 1은 탄성 케이블 그로밋들 및 케이블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부싱의 가능한 실시예의 삼차원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구성의 전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따른 도면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부싱의 선택적인 실시예의 전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따른 도면의 단면도이고,
도 6은 열린 위치에 있는 클램핑 레버를 구비하는 케이블 부싱의 상세도이며,
도 7은 제1 중간 위치에 있는 클램핑 레버를 구비하는 도 6의 경우와 유사한 도면이고,
도 8은 제2 중간 위치에 있는 클램핑 레버를 구비하는 도 6의 경우와 유사한 도면이며,
도 9는 닫힌 위치에 있는 클램핑 레버를 구비하는 도 6의 경우와 유사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X-X 라인을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에서 예시적인 래칭 후크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의 예시는 제1 실시예의 케이블 부싱(cable bushing)(1)을 나타낸다. 이러한 삼차원 도면은 복수의 탄성 케이블 그로밋(cable grommet)들(3)이 내부에 배치되는 프레임(2)을 도시한다. 모두를 참조 부호로 나타내지는 않은 상기 케이블 그로밋들(3)은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기 슬릿(slit)(4)을 구비하여 제공되므로, 이들은 커넥터들을 구비하여 제공되는 조립식 케이블들(5)을 수용하기 위해 그 자체로 알려진 방식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들(5) 중의 일부가 부분적으로 도시되며, 여기서는 상기 케이블들(5)은 모두는 아니지만 자체적인 참조 부호로 제공된다. 여기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2)은 제1 프레임 부분(6)으로 구성되며, 여기서는 제2의 U자 형상의 프레임 부분(7)을 형성한다. 이는 각기 상기 제1 프레임 부분(6)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고, 분절되도록 상기 프레임(2)의 우측의 하나의 클램핑 레버(clamping lever)(8) 및 상기 프레임(2)의 좌측의 하나의 클램핑 레버가 도시되며, 레버들은 여기에 도시되는 상기 클램핑 레버들(8)의 닫힌 상태(closed state)에서 상기 제2 프레임 부분(7)의 레그(leg)들(9) 옆에 안착된다. 선택적으로는, 두 개의 L자 형상의 프레임 부분들을 가지는 구성 또한 가능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클램핑 레버(8)는, 예를 들면 우측 상단에서 하나의 프레임 부분(7)에 회전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클램핑 레버(8)는 좌측 하단에서 다른 하나의 프레임 부분(6)에 회전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다.
도 2의 도면은 상기 탄성 케이블 그로밋들(3) 및 상기 케이블들(5)이 없이 상기 케이블 부싱(1)을 다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상기 탄성 케이블 그로밋들(3)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들(10)이 여기서는 상기 U자 형상의 제2 프레임 부분(7) 내에 도시된다. 도 2에 도시한 구성에서, 상기 공간들(10)은 단지 예시이지만 상기 제2 프레임 부분(7)의 레그들(9) 사이의 다섯의 동등하게 크기가 조절된 공간들로 형성된다. 이러한 사항들은 선택적이며, 단지 예시이지만 디바이더(divider)들(11)에 의해 서로 이격된다. 다르게 크기가 조절된 공간들(10)이 제공되거나, 도 1의 구성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특히 다른 하나의 상단에 하나가 있는 적층 방향으로 각각의 공간들 내에 수용되는 상기 케이블 그로밋들(3)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위해 가능한 단일의 공간만이 제공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더들(11)은 상기 제2 프레임 부분에 고정되게 구성될 수 있거나, 플러그-인(plug-in) 방식으로 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부싱(1)의 중요한 기능은 상기 제1 프레임 부분(6)에 의한 상기 클램핑 레버들(8)에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리드는 상기 탄성 케이블 그로밋들(3)이 삽입될 때에 상기 제2 프레임 부분(7)에 받쳐질 수 있다. 기본적인 구성이 모든 다음의 도면들에서 명확성을 위해 이러한 도면들로부터 생략되는 상기 케이블 그로밋들(3)의 도면과 함께 도 3의 단면도에 도시된다. 여기서는 하부 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프레임 부분(7)은 베이스 부분(12)에 의한 상기 레그들(9)의 안정하지만 여전히 경량인 연결을 얻기 위하여 프레임워크 구조로 부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리드로 이용되는 상기 제1 프레임 부분(6)도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방식으로 나타나지 않을지라도 대체로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상기 제2 프레임 부분(7) 내의 배향 돌기(orienting projection)들(13)과 여기서는 상기 제1 프레임 부분(6) 내의 대응되는 리세스된(recessed) 부분들(14)이 상기 제1 프레임 부분(6) 및 상기 제2 프레임 부분(7) 사이에 있으므로, 상기 프레임 부분들은 여기서 나타낸 받치는 방향(bracing direction)(V)으로 받쳐지는 동안에 서로에 대해 배향되며, 서로에 대해 위치가 기계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클램핑 레버들(8)은 여기서는 각기 이들의 닫힌 위치로 도시되며, 이러한 점은 다음에 보다 상세하게 논의될 것이다. 이들은 여기서 선택되는 도 3의 단면 후방의 평면 내에 대응되는 리세스를 가진다. 즉, 이들은 상기 레그들(9)의 돌기들(15)이 내부로 돌출되는 그루브(groove)를 구비하여 제공된다. 상기 그루브 자체는 도 10의 도면에만 직접적으로 도시되며, 여기서는 참조 부호 16으로 나타낸다. 상기 그루브(16)가 상기 레그(8) 내에 있고, 상기 돌기들(15)이 상기 클램핑 레버(8) 있거나 및/또는 서로 옆에 놓이고 서로 체결되는 복수의 그루브들(16)과 돌기들(15)을 포함하는 구성도 가능할 수 있다.
조립 동안에, 상기 두 개의 클램핑 레버들(8)은 상기 제2 프레임 부분(7), 즉 즉, 상기 탄성 케이블 그로밋들(3)을 위한 공간들(10)이 제공되는 상기 U자 형상의 프레임 부분에 대해 상기 제1 프레임 부분(6), 즉 상기 리드를 받친다. 도 1 내지 도 3의 이러한 변형예에서, 상기 클램핑 레버들(8) 중의 둘이 각 경우에 도시되며, 상기 구성은 조립 동안에 좌측 및 우측에서 동등하게 받쳐질 수 있으며, 다음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방식으로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수행된다. 상기 받쳐진 위치(braced position) 및 이에 따른 상기 클램핑 레버들(8)의 닫힌 위치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 레버들(8) 내의 홀들(17) 및 상기 레그들(9) 내 또는 상기 레그들(9)의 돌기들(15) 내의 홀들(18)은 서로 정렬되게 된다. 이후에 나사(screw)들이, 예를 들면 상기 케이블 부싱(1)의 프레임(2)을 개구 주위의 스위치기어 캐비닛(switchgear cabinet)의 벽상에 작창하기 위하여 동등한 정렬된 홀들(17, 18)을 통해 안내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동등한 정렬된 홀들(17, 18)을 통해 안내되는 상기 나사들이 상기 클램핑 레버들(8)의 닫힌 위치를 고정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 부싱(1)의 닫힌 위치 및 받쳐진 위치를 고정시킨다.
도 4 및 도 5는 상기 케이블 부싱(1)의 선택적인 변형예를 도시하며, 도 2 및 도 3의 그 프레임(2)의 도면은 유사하다. 상기 구성은 실질적으로 유사하지만, 여기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상기 두 개의 클램핑 레버들(8) 중의 하나는 좌측 편에서 생략된다. 상기 제2의 U자 형상의 프레임 부분(7)의 좌측의 레그(9)는 이에 따라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동일한 전체적인 폭 및 특히 일측의 홀들(17, 18)과 타측의 홀들(18) 사이에 동일한 거리를 구현하기 위해 보다 넓게 구성된다. 도 5의 단면도는 이러한 원리를 나타낸다. 리드로 이용되는 상기 제1 프레임 부분(6)은 상기 제1 프레임 부분(6)을 매달고, 회전 가능하게 동작되도록 안내하기 위해 설계되는 돌기(19) 또는 상기 제2 프레임 부분(7) 내의 대응되는 리세스(20) 내의 리드 및 특히 여기서는 상기 제2 프레임 부분(7)의 좌측 레그(9)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리드로 이용되는 상기 제1 프레임 부분(6)은 이에 따른 중심의 상기 리드의 피보팅(pivoting)이 증가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2 프레임 부분(7)을 닫기 위해 열린 위치(open position)로 제공되는 그 클램핑 레버(8)와 함께 피봇될 수 있으며, 상기 배향 돌기들(13) 및 리세스 부분들(14) 또한 상응하는 방식으로 여기에 다시 체결되게 된다. 또한, 도 5의 구성은 여기서 닫힌 위치에 있는 상기 클램핑 레버(8)를 구비하여 최종적인 닫힌 위치를 다시 도시한다. 이러한 구성도 이에 따라 두 개의 L자 형상의 프레임 부분들(6, 7)을 구비하여 제공될 수 있다.
다음의 도면들에서, 특히 그 열린 위치로부터 그 닫힌 위치로의 상기 클램핑 레버(8)의 이동 및 상기 제2 프레임 부분(7)에 대해 상기 제1 프레임 부분(6)이 받쳐지기 위한 과정에서 발생되는 메커니즘이 논의될 것이다. 이는 단지 예시로서 우측 클램핑 레버(8)를 기초로 하여 설명되며, 이에 따라 도 1 내지 도 3의 변형예 및 도 4 및 도 5의 경우에 모두 적용된다. 도 1 내지 도 3의 변형예에서, 상기 좌측 클램핑 레버(8)는 이에 따라 유사한 방식으로 기능한다. 이 경우, 도 7 및 도 8의 단면도들은 효율적으로 예시하기 위하여 도 6 및 도 9의 경우들로부터 약간 오프셋(offset)되게 다시 예시적일 경우에만 받침대(fulcrum)(23)의 영역 내의 상기 제1 프레임 부분(6) 상에 상기 클램핑 레버(8)의 회전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는 수용의 구성으로 선택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상기 클램핑 레버(8)는 복수의 연결 편(connecting piece)들(32)에 의해 부착되는 샤프트(31)를 포함하며, 샤프트는 상기 제1 프레임 부분(6)의 일련의 둥근 톱니들(33) 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경우, 심지어 해체된 상태에서도 상기 클램핑 레버(8)를 상기 제1 프레임 부분(6) 상에 단단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샤프트(31)의 단부들에 대한 래칭(latching)이 가능하다. 힘들은 상기 제1 프레임 부분을 거치지 않지만, 대신에 상기 샤프트(31) 및 상기 톱니들(33)을 거쳐 전달되며, 매우 큰 인장력들 큰 표면 면적으로 인해 매우 큰 인장력들이 가능해진다.
도 6은 여전히 열린 위치에 있는 상기 클램핑 레버(8)를 구비하여 제1 프레임 부분(6)으로서 상기 제2 프레임 부분(7) 상으로 느슨하게 놓인 리드를 도시한다. 이러한 위치에서, 상기 클램핑 레버(8)는 상기 제2 프레임 부분(7)의 레그(9) 및 이의 상기 돌기(15) 옆에 느슨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클램핑 레버(8)는 아직 상기 제2 프레임 부분(7)와 결속되지 않거나, 이에 결속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기능에 대해 중요한 사항 및 도 6의 구성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 레버(8)는 영상 면내로 돌출되는 상대적으로 작은 표면 형상의 제1 슬라이딩 에지(sliding edge)(21)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 레버(8)의 이러한 슬라이딩 에지(21)는 상기 제2 프레임 부분의 제1 가이드 표면(22)과 교차되며, 여기서는 상기 레그(9) 상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15)와 연결된다. 도 7의 구성에서, 상기 클램핑 레버(8)가 상기 레그(9)를 향해 기울어져 피봇된 이후에 이러한 점을 볼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표면(22)은 여기서는 굴곡지며, 서로에 대해 상기 프레임 부분들(6, 7)의 받치는 방향(V)에 대하여 경사진 위치를 가진다. 상기 경사는 매우 크고 가파른 경사도로 시작되므로, 상기 제2 프레임 부분(7)에 대해 상기 제1 프레임 부분(6)의 상대적으로 긴 경로가 상기 클램핑 레버(8)의 각이 진 경로의 첫 번째 부분 내에 얻어진다. 이러한 단계에서, 도시되지 않지만 상기 리세스들(10) 내에 정렬되는 상기 탄성 케이블 그로밋들(3)은 사실상 이들의 스프링 특성 곡선의 시점이기 때문에 여전히 상대적으로 받쳐지기 용이하다. 화살표(F)에 따라 상기 클램핑 레버(8)를 누르고 있는 작업자는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상기 제1 프레임 부분(6)이 상기 제2 프레임 부분(7)에 대해 이를 따라 이동되는 상대적으로 긴 경로를 구현한다. 이러한 위치 및 수직에서 상기 클램핑 레버(8)이 표면 사이의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로 인하여, 특히 불확실한 작업자에 따라 상기 힘들이 어떻든지 다른 수준의 힘들을 받기 때문에 유효력은 여기서 인가되는 힘과 대략적으로 동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그 기능이 단일의 나타낸 힘(F)으로 대략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 8의 구성에서, 상기 클램핑 레버(8)는 이후에 그 각이 진 경로의 다른 부분 상에서 그 회전 샤프트(rotary shaft)(23)에 대해 더 이동된다. 상기 제1 슬라이딩 에지(21)는 상기 제1 가이드 표면(22) 상의 긴 경로를 이미 미끄러지며, 상기 두 개의 프레임 부분들(6, 7)은 이미 서로를 향해 분명하게 이동된다. 상기 제1 슬라이딩 에지(21)는 리세스(24)에 접근한다. 도 8의 구성보다 짧은 방식으로 상기 클램핑 레버(8)의 각이 진 경로를 따라, 상기 제1 슬라이딩 에지(21)가 이러한 리세스 상에 안착되게 되며, 이에 따라 더 이상 결속되지 않는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도 8의 구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슬라이딩 에지(25)는 이후에 제2 가이드 표면(26)과 결속된다. 상기 제2 가이드 표면(26) 및 상기 제2 슬라이딩 에지(25)는 각기 상기 그루브(16) 및 상기 돌기(15)의 우측 및 좌측으로 형성되는 각각의 두 부분들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슬라이딩 에지(25) 및 상기 제2 가이드 표면(26) 사이의 결속은 상기 클램핑 레버(8)의 이동의 종단까지 도 9에 도시한 그 닫힌 위치에 남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경사는 특히 상기 제2 가이드 표면(26)에서 닫힌 위치에서의 상기 클램핑 레버(8)의 이동의 종단 보다 낮으며, 상기 제1 프레임 부분(6) 및 상기 제2 프레임 부분(7) 사이에 짧은 경로만을 제공하지만, 상기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받치는 힘(bracing force)을 인가하기 위해 마찬가지로 상기 받치는 방향(V)에 대해 비스듬하다. 이렇게 하기 위해, 상기 받침대(23)로부터 상기 제2 가이드 표면(26) 및 상기 제2 슬라이딩 에지(25)의 거리는 상기 제1 프레임 부분(6)에 대해 회전하는 상기 클램핑 레버(8)에 대하여 상기 힘(F)이 작용하는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가이드 표면(22) 및 상기 제1 슬라이딩 에지(21)의 경우보다 짧아지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1 가이드 표면(22) 및 상기 제1 슬라이딩 에지(21) 내의 영역 내에서의 상기 힘(F)의 작용은 이에 따라 직접적인 힘의 작용이지만, 도 8에 나타낸 레버 스트로크(lever stroke)(l)가 이후에 상기 힘(F)의 작용의 증강을 위해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2 가이드 표면(26) 상의 상기 제2 슬라이딩 에지(25)의 결속 동안에 동등한 힘(F)의 작용이 이에 따라 증강된다. 이는 상기 공간들(10) 내의 상기 탄성 케이블 그로밋들(3)의 매우 강한 받쳐짐을 가져온다. 상기 클램핑 레버(8)의 닫힌 위치까지 상방으로 경사지는 상기 제2 가이드 표면(26)의 결과로서, 상기 클램핑 레버(8)의 닫힌 위치에 도달될 때까지 그 동안에 경감되지 않고 점차적으로 큰 힘이 상기 탄성 케이블 그로밋들(3)에 인가된다. 이는 전체 케이블 부싱(1)의 극히 우수한 밀폐를 가져온다.
도 9(도 3 및 도 5와 유사한)에 도시한 상기 클램핑 레버(8)의 닫힌 위치에서, 상기 클램핑 레버(8) 내의 홀들(17) 및 상기 레그(9)의 돌기(15) 내의 홀들(18)은 이후에 하나가 다른 하나 상부에 일치되게 정렬된다. 나사들이 이후에, 예를 들면 상기 케이블 부싱(1)을 상기 스위치기어 캐비닛의 벽에 나사 결합시키기 위해 이들을 통해 안내될 경우, 상기 클램핑 레버(들)(8)의 닫힌 위치가 동시에 고정되며,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 부싱(1)이 상기 프레임 부분들(6, 7)의 닫히고 받쳐진 위치에 신뢰성 있게 고정된다.
선택적으로 또는 특히 추가적으로, 래칭 후크(latching hook)(27)도 제공될 수 있다.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도 9의 X-X 라인을 따른 단면도에서, 이와 같은 래칭 후크가 예시로서 도시된다. 상기 돌기들(15)은 보강으로서 리브(rib)들(28)을 포함한다. 이들 리브들(28) 중의 하나는 이후에, 예를 들면 상기 래칭 후크(27)에 의해 상기 클램핑 레버(8)의 닫힌 위치를 고정시키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단지 예시로서, 이러한 종류의 래칭 후크(27)는 그 타측 단부에서 상기 제2 슬라이딩 에지(25)를 지지하는 상기 돌기(15)을 향하는 클램핑 레버(8)의 일부 상에 형성된다. 상기 구성은 상기 래칭 후크(27)의 경사(29) 및 갭(gap)(30)에 의해 구현되는 그 탄성으로 인해 상기 리브(28) 상부에서 미끄러질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클램핑 레버(8)가 그 닫힌 위치에 도달될 때에 상기 리브에 래치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리세스(24)의 영역 내의 래칭도 가능하다.

Claims (14)

  1. 적어도 하나의 탄성 케이블 그로밋(cable grommet)(3)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간(10)을 구비하고, 적어도 제1 및 제2 프레임 부분(6, 7)뿐만 아니라, 상기 제1 프레임 부분(6)에 회전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고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클램핑 레버(clamping lever)(8)를 가지는 프레임(2)을 포함하는 케이블 부싱(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분들(6, 7)은 상기 클램핑 레버(8)의 닫힌 위치에서 받치는 방향(bracing direction)(V)으로 서로에 대해 받쳐지며,
    상기 클램핑 레버(8) 및/또는 상기 제2 프레임 부분(7)은 제1 가이드 표면(2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 부분(7) 및/또는 상기 클램핑 레버(8)는 상기 클램핑 레버(8)가 이동할 때에 상기 제1 가이드 표면(22)을 따라 적어도 일시적으로 미끄러지는 제1 슬라이딩 에지(21)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이드 표면(22)은 상기 받치는 방향(V)에 대해 비스듬히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 부분들(6, 7)이 상기 클램핑 레버(8)가 그 닫힌 위치로 이동할 때에 서로를 향해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부싱(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표면(22)의 경사는 상기 클램핑 레버(8)가 그 닫힌 위치를 향해 이동하면서 평탄해져 상기 프레임 부분들(6, 7)이 상기 클램핑 레버(8)의 회전의 각이 진 단면에 따라 상기 경로가 짧아지면서 서로를 향해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부싱(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레버(8) 및 상기 제2 프레임 부분(7) 사이에, 상기 클램핑 레버(8)가 그 닫힌 위치로 이동할 때에 상기 제1 가이드 표면(22) 및 상기 제1 슬라이딩 에지(21) 후방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속되게 되는 다른 제2 가이드 표면(26) 및 제2 슬라이딩 에지(2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부싱(1).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표면(22)은 상기 제2 가이드 표면(26)보다 상기 제1 프레임 부분(6)에 대해 상기 클램핑 레버(8)의 받침대(fulcrum)(23)로부터 큰 거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부싱(1).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표면(22)은 상기 닫힌 위치로의 상기 클램핑 레버(8)의 이동의 종단에서 상기 제1 슬라이딩 에지(21)와 접촉되는 영역 내에 리세스(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부싱(1).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24)는 상기 제1 슬라이딩 에지(21)를 기초로 하여 상기 클램핑 레버(8)가 그 닫힌 위치로 이동할 때에 상기 제2 슬라이딩 에지(25)가 상기 제2 가이드 표면(26)와 체결되게 되면 시작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부싱(1).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부분(6)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레버(8)에 회전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게 연결되는 리드로 설계되며, 상기 제2 프레임 부분(7)은 두 레그들(9)을 구비하는 U자 형상의 프레임 부분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부싱(1).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는 각각의 그 단부들에서 상기 닫힌 위치에서 상기 제2 프레임 부분(7)의 레그들(9) 옆에 있는 상기 클램핑 레버들(8) 중의 둘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부싱(1).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부분(6)은 그 일측 단부에서 상기 클램핑 레버(8)를 수용하고, 그 타측 단부에서 상기 제2 프레임 부분(7)의 대응되는 리세스(recess)(20) 내에 상기 제1 프레임 부분(6)을 장착하고 회전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돌기(projection)(19)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 레버(8)는 상기 닫힌 위치에서 상기 제2 프레임 부분(7)의 레그들(9) 중의 하나 옆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부싱(1).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레버(8) 또는 상기 제2 프레임 부분(7)의 대응되는 레그(9)는 그 가장 긴 연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중심 그루브(groove)(16)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프레임 부분(7)의 레그(9)의 적어도 하나의 돌기(15) 또는 상기 클램핑 레버(8)가 상기 클램핑 레버(8)의 닫힌 위치에서 그 그루브 내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부싱(1).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표면들(22, 26)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15) 내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에지들(21, 22)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16)의 부분적으로 좁아지는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부싱(1).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레버(8) 및 상기 제2 프레임 부분(7)은 상기 클램핑 레버(8)의 닫힌 위치에서 정렬되는 상기 프레임(2)의 연장에 직교하는 홀들(17, 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부싱(1).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레버(8)는 래칭 후크(latching hook)(27)에 의해 상기 제2 프레임 부분(7)에 대해 그 닫힌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부싱(1).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분들(6, 7)은 각각의 다른 프레임 부분(7, 6) 내에 상기 받치는 방향(V)으로 받쳐지는 동안에 점차 맞물리는 배향 돌기들(13) 및 대응되는 리세스 부분들(14)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부분들(6, 7)은 서로에 대해 배향되고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부싱(1).
KR1020217016377A 2018-10-29 2019-10-24 케이블 부싱 KR202100961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218426.7 2018-10-29
DE102018218426.7A DE102018218426A1 (de) 2018-10-29 2018-10-29 Kabeldurchführung
PCT/EP2019/079039 WO2020089031A1 (de) 2018-10-29 2019-10-24 Kabeldurchführ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107A true KR20210096107A (ko) 2021-08-04

Family

ID=68344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6377A KR20210096107A (ko) 2018-10-29 2019-10-24 케이블 부싱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42772B2 (ko)
EP (1) EP3874569A1 (ko)
JP (1) JP7416813B2 (ko)
KR (1) KR20210096107A (ko)
DE (1) DE102018218426A1 (ko)
WO (1) WO20200890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7102147U1 (de) * 2017-04-10 2017-05-05 Igus Gmbh Leitungsdurchführung, insbesondere Zugentlastung für eine Energieführungskette
IT202100006518A1 (it) 2021-03-18 2022-09-18 Detas S P A Assieme di passacavo per il passaggio e la guida di un cav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403650A (nl) * 1984-11-30 1986-06-16 Johannes Alfred Beele Doorvoerinrichting.
GB2186440B (en) * 1986-02-11 1990-03-14 Hawke Cable Glands Ltd Improved transit for cables and pipes
NL8901597A (nl) * 1989-06-23 1991-01-16 Pidou Bv Doorvoerinrichting.
DE10313989B4 (de) * 2003-03-27 2012-07-12 Murrplastik Systemtechnik Gmbh Kabeldurchführungsvorrichtung
DE102010037465A1 (de) 2010-09-10 2012-03-15 Phoenix Contact Gmbh & Co. Kg Rahmen für Kabeldurchführungssysteme und Rahmenteile hierfür
DE102010037463A1 (de) * 2010-09-10 2012-03-15 Phoenix Contact Gmbh & Co. Kg Rahmen eines Kabeleinführungssystems und Kabeltülle hierfür
DE102011054294A1 (de) * 2011-10-07 2013-04-11 Phoenix Contact Gmbh & Co. Kg Kabeldurchführung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Kabeldurchführung
EP2746634B1 (de) 2012-12-21 2021-05-05 icotek project GmbH & Co. KG Kabelhalter mit einem U-förmigen Rahmen und einer Anzahl von Tüllen zum Hindurchführen von Kabeln
DE102014102790A1 (de) 2014-03-03 2015-09-03 Murrelektronik Gmbh Rahmen für Kabeldurchführungen, Befestigungselemente sowie Kabeldurchführungssystem
DE102014016890A1 (de) 2014-11-18 2016-05-19 Jacob Gmbh Elektrotechnische Fabrik Leitungsdurchführung
DE202017102147U1 (de) * 2017-04-10 2017-05-05 Igus Gmbh Leitungsdurchführung, insbesondere Zugentlastung für eine Energieführungsket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99537A1 (en) 2021-12-23
WO2020089031A1 (de) 2020-05-07
JP2022509394A (ja) 2022-01-20
US11942772B2 (en) 2024-03-26
DE102018218426A1 (de) 2020-04-30
JP7416813B2 (ja) 2024-01-17
EP3874569A1 (de) 2021-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96107A (ko) 케이블 부싱
KR100211896B1 (ko) 전기 플러그 및 소켓 접속장치
CN107710518A (zh) 模块化的插接连接器系统
US10280671B2 (en) Furniture hinge comprising a damper and a spring
US10081466B2 (en) Case with device for tool free unlocking access
CN107708489B (zh) 具有固定地互连的底板、面部、后壁和两个侧壁的抽屉
US10260267B2 (en) Furniture hinge comprising a damper
AU2012393264B2 (en) Furniture accessory in the form of a cable basket
KR20210048595A (ko) 팬 장치
JPH01286270A (ja) 導体接続装置
KR101503315B1 (ko) 배전반케이스 외부 핸들조작장치
US10980141B2 (en) Latching system for an enclosure
US4015867A (en) Device for latching a door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r rotation
KR101839765B1 (ko) 도어 힌지 장치
TW493031B (en) Actuator handle mechanism
KR101534392B1 (ko) 롯드바 지지대
KR100902654B1 (ko) 단자함
KR200475414Y1 (ko) 임시장착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핸들장치
JP2004055508A (ja) 配電架空線路に遠隔設置するための絶縁分岐コネクタ
CN209557910U (zh) 抓手
KR101315492B1 (ko) 도어래치장치
KR101376280B1 (ko) 조립식 파티션 체결장치
EP3479018A1 (en) A tool-less hinge mechanism
JP2024508726A (ja) ストランドを通して供給するための装置
KR0125186Y1 (ko) 분전반의 전면커버 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