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5554A - 의상의 패턴 조각들의 자동 재봉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의상의 패턴 조각들의 자동 재봉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5554A
KR20210095554A KR1020200178512A KR20200178512A KR20210095554A KR 20210095554 A KR20210095554 A KR 20210095554A KR 1020200178512 A KR1020200178512 A KR 1020200178512A KR 20200178512 A KR20200178512 A KR 20200178512A KR 20210095554 A KR20210095554 A KR 20210095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edges
pattern pieces
matching
automatic s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8508B1 (ko
Inventor
마재환
Original Assignee
(주)클로버추얼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클로버추얼패션 filed Critical (주)클로버추얼패션
Priority to CA3168638A priority Critical patent/CA3168638A1/en
Priority to PCT/KR2021/000901 priority patent/WO2021150056A1/en
Priority to US17/155,941 priority patent/US20210227912A1/en
Priority to BR112022014203A priority patent/BR112022014203A2/pt
Priority to JP2022544767A priority patent/JP7474338B2/ja
Priority to EP21153298.1A priority patent/EP3854925A1/en
Priority to CN202110095722.XA priority patent/CN113151985B/zh
Publication of KR20210095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5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00Patterns for cutting-out; Methods of drafting or marking-out such patterns, e.g. on the cloth
    • A41H3/007Methods of drafting or marking-out patterns using comput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재봉 방법 및 장치는 의상을 구성하는 패턴 조각들의 배치 정보를 획득하고, 패턴 조각들의 외곽선 상에 위치하는 노드들 및 서로 인접한 노드들을 연결하는 방향성을 갖는 세그먼트들을 포함하는 그래프를 생성하고, 배치 정보 및 그래프를 기초로 패턴 조각들에서 서로 재봉되는 영역들에 대응하는 에지들을 매칭시킴으로써 패턴 조각들에 대한 재봉선들을 생성한다.

Description

의상의 패턴 조각들의 자동 재봉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AUTOMATIC SEWING PATTERN PIECES OF GARMENT}
실시예들은 의상의 패턴 조각들의 자동 재봉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재봉은 옷감 등을 말라서 바느질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의상을 구성하는 2차원 패턴 조각들이 많을수록 재봉되어야 하는 부분이 많아질 수 있다. 가상 의상은 여러 겹(layer)의 2차원 패턴 조각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2차원 패턴 조각들 중 재봉을 위해 서로 매칭되어야 하는 패턴 조각들을 검색하고, 매칭된 패턴 조각들이 정확하게 재봉되도록 안내하는 재봉선을 표시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될 수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원의 개시 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턴 조각들의 외곽선 상에 위치하는 노드들 및 서로 인접한 노드들을 연결하는 방향성을 갖는 세그먼트들을 포함하는 그래프를 생성하고, 그래프 병합(graph merge) 방식에 의해 에지들(edges)을 매칭시킴으로써 의상의 패턴 조각들에 대한 재봉선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념상의 재봉 단위에 해당하는 에지들 간의 매칭을 기초로 실제 패턴 조각들에 대한 재봉선을 생성함으로써 재봉선 생성을 위한 연산을 간략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쌍(edge pair)을 구성하는 에지들 각각의 병합 가능성(mergeability)에 기초하여 산출된 매칭 코스트(matching cost)에 기초하여 후보 에지 집합에 포함된 에지 쌍들을 매칭시킴으로써 에지 쌍 매칭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상의 패턴 조각들에 대한 재봉선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재봉선에 따라 재봉된 패턴 조각들에 의해 구성된 의상을 아바타에 착장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재봉되는 3차원 의상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재봉 방법은 의상을 구성하는 패턴 조각들의 배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패턴 조각들의 외곽선 상에 위치하는 노드들 및 서로 인접한 노드들을 연결하는 방향성을 갖는 세그먼트들(segments)을 포함하는 그래프(graph)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배치 정보 및 상기 그래프를 기초로, 상기 패턴 조각들에서 서로 재봉되는 영역들에 대응하는 에지들(edges)을 매칭(matching)시킴으로써 상기 패턴 조각들에 대한 재봉선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배치 정보는 상기 패턴 조각들과 상기 의상이 착장되는 아바타의 배치 포인트들 간의 매칭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패턴 조각들의 외곽선 상에 위치하는 점들 중 해당 점에 대응하는 각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각도보다 큰 값을 갖는 코너점(corner point)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패턴 조각들의 외곽선 상에 위치하는 점들 중 노치 마크(notch mark)가 위치하는 지점에 대응하는 노치(notch)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코너점 및 상기 노치를 상기 노드들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노드들을 연결하는 선분을 상기 세그먼트들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노드들 및 상기 세그먼트들을 포함하는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지들 각각은 해당하는 에지에 포함된 세그먼트와 상기 세그먼트의 방향성의 페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턴 조각들에 대한 재봉선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배치 정보 및 상기 그래프에 기초하여 설정된 매칭 순서를 기초로, 상기 패턴 조각들에서 서로 재봉되는 영역들에 대응하는 에지들을 순차적으로 매칭시키는 단계; 및 상기 매칭된 에지들을 상기 패턴 조각들에 대한 재봉선으로 변환(conversion)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지들을 순차적으로 매칭시키는 단계는 상기 배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패턴 조각들 각각에 속하는 모든 에지들을 추출하여 후보 에지 집합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모든 에지들 중 서로 매칭되는 에지 쌍들(edge pairs)을 포함하는 후보 에지 쌍 집합(candidate edge pair set)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후보 에지 쌍 집합에 포함된 에지 쌍들의 매칭 코스트(matching cost)를 기초로, 상기 에지 쌍들을 매칭시키는 단계; 상기 에지 쌍들 간의 매칭 결과를 평가(validation)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매칭된 에지 쌍들을 제외한 나머지 에지들에 대응하는 태그(tag)를 마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칭 코스트는 상기 에지 쌍을 구성하는 에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태그 및 상기 에지 쌍을 구성하는 에지들 각각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된 병합 가능성(mergeability)에 의해 미리 산출될 수 있다.
상기 매칭 코스트는 상기 에지 쌍을 구성하는 에지들 간의 길이 비율 (length ratio), 상기 에지 쌍을 구성하는 에지들의 길이의 합(total length), 상기 에지 쌍을 구성하는 에지들의 노멀 벡터(normal vector)가 향하는 방향 및 상기 에지 쌍을 구성하는 에지들 간의 거리(distance)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미리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에지 쌍들을 매칭시키는 단계는 상기 후보 에지 집합에 포함된 에지 쌍들 중 상기 매칭 코스트가 가장 낮은 에지 쌍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에지 쌍들을 매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지 쌍들을 매칭시키는 단계는 상기 후보 에지 집합에 포함된 에지 쌍들의 매칭 코스트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매칭 코스트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에지 쌍들 간의 매칭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칭 결과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에지 쌍들 간의 매칭 결과가 상기 매칭된 에지 쌍들에 대응하여 기대되는 의상의 부위 별 기대 형상을 가지는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매칭 결과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그를 마킹하는 단계는 상기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의상의 부위 별 기대 형상에 해당하는 태그를 상기 매칭된 에지 쌍들을 제외한 나머지 에지들에 마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재봉 방법은 상기 매칭된 에지 쌍들에 대응하여 상기 그래프를 병합(merge)하는 단계; 및 상기 병합된 그래프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들을 결합(concatenate) 함으로써 새로운 에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턴 조각들에 대한 재봉선으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매칭된 에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노드들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노드들을 페어링(pairing) 시킴으로써 상기 패턴 조각들에 대한 상기 재봉선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칭된 에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노드들은 상기 매칭된 에지들의 시작점에 해당하는 시작 노드, 상기 매칭된 에지들의 끝점에 해당하는 종료 노드, 및 상기 시작 노드와 상기 종료 노드 사이에 위치하는 내부 노드들(internal node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봉선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시작점과 상기 끝점 간에 루프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루프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내부 노드들을 정규화된 길이(normalized length) 순으로 정렬하는 단계; 및 상기 정렬된 내부 노드들 중 서로 매칭되는 상대편 에지의 내부 노드와 가장 인접한 해당 에지의 내부 노드를 서로 페이링 시킴으로써 상기 패턴 조각들에 대한 상기 재봉선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봉선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시작점과 상기 끝점 간에 루프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루프가 존재한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노드들 각각을 상기 시작 노드로 설정하여 상기 노드들 간의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노드들 간의 페어링에 따른 페어링 스코어에 기초하여 상기 패턴 조각들에 대한 상기 재봉선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재봉 방법은 상기 재봉선들에 따라 상기 패턴 조각들을 재봉하는 단계; 및 상기 재봉선들에 따라 재봉된 패턴 조각들에 의해 구성된 의상을 아바타에 착장(draping)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재봉 장치는 의상을 구성하는 패턴 조각들의 배치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패턴 조각들의 외곽선 상에 위치하는 노드들 및 서로 인접한 노드들을 연결하는 방향성을 갖는 세그먼트들을 포함하는 그래프를 생성하고, 상기 배치 정보 및 상기 그래프를 기초로, 상기 패턴 조각들에서 서로 재봉되는 영역들에 대응하는 에지들을 매칭시킴으로써 상기 패턴 조각들에 대한 재봉선들을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일 측에 따르면, 패턴 조각들의 외곽선 상에 위치하는 노드들 및 서로 인접한 노드들을 연결하는 방향성을 갖는 세그먼트들을 포함하는 그래프를 생성하고, 그래프 병합(graph merge) 방식에 의해 에지들(edges)을 매칭시킴으로써 의상의 패턴 조각들에 대한 재봉선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개념상의 재봉 단위에 해당하는 에지들 간의 매칭을 기초로 실제 패턴 조각들에 대한 재봉선을 생성함으로써 재봉선 생성을 위한 연산을 간략화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에지 쌍(edge pair)을 구성하는 에지들 각각의 병합 가능성(mergeability)에 기초하여 산출된 매칭 코스트(matching cost)에 기초하여 후보 에지 집합에 포함된 에지 쌍들을 매칭시킴으로써 에지 쌍 매칭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의상의 패턴 조각들에 대한 재봉선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재봉선에 따라 재봉된 패턴 조각들에 의해 구성된 의상을 아바타에 착장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재봉되는 3차원 의상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재봉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 조각들의 배치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프의 노드와 세그먼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와 에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프를 생성하는 방법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설정된 매칭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재봉선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에지들을 순차적으로 매칭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매칭 순서를 나타낸 프로그램 코딩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새로운 에지가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매칭된 에지들을 패턴 조각들에 대한 재봉선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노드들을 페어링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재봉 장치에 의해 패턴 조각들에 대한 재봉선이 생성된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재봉 장치에 의해 생성된 재봉선에 따라 재봉된 패턴 조각들에 의해 구성된 의상을 아바타에 착장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재봉 장치의 블록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재봉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재봉 장치가 단계(110) 내지 단계(130)의 과정을 거쳐 패턴 조각들에 대한 재봉선들을 생성하는 과정이 도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패턴 조각들은 3차원 의상을 위한 2차원의 패턴 조각들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2차원 패턴 조각들을 패턴 조각들로 간략화하여 기재하지만, 별도의 기재가 없더라도 '패턴 조각들'은 2차원의 패턴 조각들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패턴 조각(들)'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3차원 아바타에 착장시키고자 하는 의상의 제작에 이용되는 2차원 패턴의 일부에 해당할 수 있다. 패턴 조각(들)은 예를 들어, 소매, 몸통(앞, 뒤), 목 칼라, 하의 등과 같이 3차원 아바타의 각 신체 부분에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의상'은 예를 들어, 3차원 가상 의상에 해당하며, 2차원 패턴들에 대응되는 의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2차원 패턴'은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가상으로 제작되는 2차원 평면의 패턴에 해당할 수 있다. 2차원 패턴은 3차원 아바타의 각 신체 부분(예를 들어, 손목, 몸통(앞, 뒤), 목, 다리 등)에 해당하는 패턴 조각들을 포함할 수 있다.
2차원 패턴은 3차원 가상 의상(virtual clothes)의 시뮬레이션을 위하여 복수의 다각형(예를 들어, 삼각형)들을 포함하는 메쉬(mesh)로 모델링될 수 있다. 다각형(삼각형)의 세 꼭지점은 질량을 가지고 있는 점(point mass)이며, 다각형의 각 변은 그 질량을 연결하는 탄성을 가지고 있는 스프링들로 표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2차원 패턴은 예를 들어, 질량-스프링 모델(Mass-Spring Model)에 의해 모델링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들은 사용되는 천(fabric)의 물성에 따라 예를 들어, 신축(stretch), 비틀림(shear), 및 굽힘(bending)에 대한 각 저항값(resist)을 가질 수 있다. 각 꼭지점들은 중력 등과 같은 외부적인 힘(external force)과 신축, 비틀림, 및 굽힘의 내부적인 힘(internal force)의 작용에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외부적인 힘과 내부적인 힘을 계산하여 각 꼭지점에 가해지는 힘을 구하면, 각 꼭지점의 변위 및 움직임의 속도를 구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시점(time step)의 다각형의 꼭지점들의 움직임을 통하여 가상 의상의 움직임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메쉬로 이루어진 2차원의 가상 의상 패턴들을 3차원의 아바타에 착장(draping)시키면 물리 법칙에 기반한 자연스러운 모습의 3차원 가상 의상을 구현할 수 있다.
단계(110)에서, 자동 재봉 장치는 의상을 구성하는 패턴 조각들의 배치 정보를 획득한다. 배치 정보는 의상의 패턴 조각(들)과 아바타의 배치 포인트(들) 간의 매칭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배치 포인트(들)는 특정 패턴 조각들이 최종 착장될 의상의 위치 근처에 미리 배치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점(들)의 집합에 해당할 수 있다. 배치 포인트의 일 예시는 아래 도 2의 배치 포인트(215)를 참조할 수 있다. 각 배치 포인트에는 해당 배치 포인트가 아바타의 어느 부위(신체 부위)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패턴 조각들의 배치 정보에 대하여는 아래의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계(120)에서, 자동 재봉 장치는 패턴 조각들의 외곽선 상에 위치하는 노드들 및 서로 인접한 노드들을 연결하는 방향성을 갖는 세그먼트들(segments)을 포함하는 그래프(graph)를 생성한다. 노드들은 예를 들어, 패턴 조각들의 외곽선 상에 위치하는 코너점(corner point) 및 노치(notch)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가 그래프를 생성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자동 재봉 장치는 패턴 조각들의 외곽선 상에 위치하는 점들 중 해당 점에 대응하는 각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각도보다 큰 값을 갖는 코너점(corner point)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코너점은 '뾰족점' 또는 '꼭지점'이라고도 불릴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지점을 기준으로 할 때 불연속 정도가 큰 경우, 해당 지점이 코너점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해당 지점을 기준으로 양쪽 에지의 각도가 임계 각도보다 크거나, 또는 양쪽 에지의 방향 차이가 임계 차이보다 큰 경우에 자동 재봉 장치는 해당 지점을 코너점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자동 재봉 장치는 패턴 조각들의 외곽선 상에 위치하는 점들 중 노치 마크(notch mark)가 위치하는 지점에 대응하는 노치(notch)를 추출할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코너점 및 노치를 노드들로 설정하고, 노드들을 연결하는 방향성을 갖는 선분들을 세그먼트들로 설정할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노드들 및 세그먼트들을 포함하는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노드(들), 세그먼트(들), 및 그래프에 대하여는 아래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계(130)에서, 자동 재봉 장치는 배치 정보 및 그래프를 기초로, 패턴 조각들에서 서로 재봉되는 영역들에 대응하는 에지들(edges)을 매칭(matching)시킴으로써 패턴 조각들에 대한 재봉선들을 생성한다. 자동 재봉 장치가 재봉선들을 생성하는 과정은 아래의 도 8 내지 9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자동 재봉 장치는 단계(130)에서 생성된 재봉선을 포함하는 패턴 조각들을 출력할 수도 있고, 또는 재봉선에 따라 패턴 조각들을 재봉할 수도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예를 들어, 몸판 및 슬리브의 순서로 패턴 조각들을 재봉할 수 있다. 또한, 자동 재봉 장치는 예를 들어, 몸판 중 몸판의 앞, 뒤, 사이드, 및 숄더의 순서로 몸판에 속한 하위 파트들을 재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킹된 에지들이 의상의 칼라에 해당하는 경우, 자동 재봉 장치는 그래프를 기초로, 칼라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해당하는 사이드 에지들을 식별할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몸판을 기초로, 사이드 에지들을 재봉할지 여부를 결정한 후, 식별된 사이드 에지들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칼라의 상하 에지들을 식별할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식별된 상하 에지들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칼라를 적층하여 재봉함으로써 칼라를 생성할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재봉선에 따라 재봉된 패턴 조각들에 의해 구성된 의상을 예를 들어, 아래의 도 15와 같이 아바타에 착장 시뮬레이션하여 제공할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패턴 조각들을 재봉하여 구성한 가상 의상 및 가상 의상을 착장한 3차원 아바타 중 적어도 하나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착장(draping)'은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의상의 2차원 패턴 조각들을 결합(또는 재봉한) 3차원 의상을 3차원 아바타에 입히는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 조각들의 배치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의상이 착장되는 아바타(211)의 배치 포인트들(215)을 나타낸 화면(210), 패턴 조각들(235)을 나타낸 화면(230), 및 사용자에 의해 아바타에 인접하게 배치된 패턴 조각들(255)을 나타낸 화면(250)이 도시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동 재봉을 적용하고자 하는 의상을 선택하면, 화면(230)과 같이 선택된 의상을 구성하는 패턴 조각들(235)이 주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화면(230)에 주어진 복수의 패턴 조각들(235)을 화면(250)에 표시된 아바타의 신체 부위 또는 정렬점(arrangement point)에 패턴 조각들(255)을 대략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자동 재봉 장치는 화면(250)에서 패턴 조각들(235) 각각이 해당하는 부위 및 패턴 조각들(235) 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포함하는 배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패턴 조각들(235) 각각이 해당하는 부위는 예를 들어, 목, 손목, 팔, 몸통 등과 같이 아바타의 신체 부위에 해당할 수도 있고, 또는 예를 들어, 몸통 앞판, 몸통 뒷판, 좌측 소매, 우측 소매 및 목 칼라 등과 같이 아바타에 착장되는 의상의 부위에 해당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배치 정보는 패턴 조각들(235)과 의상이 착장되는 아바타(211)의 배치 포인트들(215) 간의 매칭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배치 포인트들(215)은 특정 패턴들을 최종 착장될 위치 근처에 미리 올려놓기 쉽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점의 집합에 해당할 수 있다. 배치 포인트들(215) 각각에는 해당 배치 포인트가 몸의 어느 부위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매칭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는 예를 들어, 패턴 조각들(255)의 모양, 패턴 조각들(255)의 길이, 패턴 조각들(255)의 배치 방향, 패턴 조각들(255)의 배치 위치, 패턴 조각들(255)의 배치 위치에 대응되는 아바타(211)의 신체 부위, 패턴 조각들(255) 간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 및 패턴 조각들(255)의 태그(tag)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패턴 조각들(255)의 태그는 예를 들어, 해당 패턴 조각이 아바타(211)에 배치되는 위치 또는 패턴 조각의 모양 등을 통해 자동 재봉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마킹된 것이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마킹된 것일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예를 들어, 아바타에 배치된 패턴 모양으로부터 해당 패턴 조각이 아바타의 어느 부위에 해당하는 패턴 조각인지를 추정하여 해당 패턴 조각에 대응하는 태그(tag)를 자동으로 마킹할 수 있다. 또는 자동 재봉 장치는 예를 들어, 배치 정보에 따라, 패턴 조각들의 하위 파트들의 모양 및 하위 파트들의 배치 위치를 파악하여 하위 파트들의 세그먼트들에 대응하는 부위 별 태그를 마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의상의 패턴 조각들(235)을 클릭한 후, 대응되는 아바타의 배치 포인트들(215)을 클릭하면, 패턴 조각들(235)은 화면(250)과 같이 배치판에서 패턴 조각들에 대응되는 신체 부분의 정위치에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패턴 조각(235)을 특정 배치 포인트(215)로 옮겨 클릭하면, 특정 패턴 조각은 특정 배치 포인트의 위치로 옮겨 위치하며, 이를 통해 패턴 조각이 신체 부위 별로 분류되는 '패턴 분류(pattern classification)'가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에게 명시적으로 패턴 분류를 위한 추가 작업을 하도록 하는 대신, 배치판의 배치 포인트들을 이용한 패턴 배치를 통해 패턴 분류가 자동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고, 패턴 분류를 통해 각 패턴 조각의 분류 결과(예를 들어, 어느 패턴 조각이 몸의 어느 부위에 속하는가)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배치 포인트를 통한 배치 절차를 거치지 않는 패턴 조각들은 자동 재봉의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재봉 장치는 화면(250)과 같이 복수의 패턴 조각들(235)이 아바타의 신체 부위 또는 정렬점(arrangement point)에 대략적으로 배치된 상태를 입력으로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프의 노드와 세그먼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노드들 및 세그먼트들이 도시된다.
노드들은 패턴 조각의 형태를 나타내는 외곽선 상의 일 정점에 해당하며, 예를 들어, 재봉선의 끝점이 될 가능성이 높은 점들에 해당할 수 있다. 노드들의 타입(type)은 예를 들어, 검은색 점으로 표시된 모양 점(Shape point) 또는 너치(notch)(310), 스무드(smooth)(320), 및 코너(corner)(3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무드(320)는 세그먼트 및/또는 에지의 외곽선 중 직선 상의 일 정점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코너(330)는 패턴 조각의 하위 파트들 각각에서 모서리와 모서리가 만나는 꼭지점에 해당할 수 있다.
스무드(320)와 코너(330)는 모서리의 각도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너치(310) 여부는 스무드 또는 코더 여부와는 독립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임의의 너치는 코너일 수도 있고, 코너가 아닐 수도 있다.
세그먼트(350)는 인접 노드들을 단순히 연결한 유향 선분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유향 선분은 시작점과 끝점 간의 방향성을 갖는 선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세그먼트(350)에는 생성과 동시에 미리 정의되는 ‘방향’이 존재하고 그 값은 불변일 수 있다.
세그먼트(350)는 하위 파트들의 에지에서 노드에 의해 구분되는 에지의 일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나의 에지는 복수의 세그먼트들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아래의 도 4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세그먼트들에 의해 에지가 구성될 수 있다. 에지는 패턴 조각들을 연결한 외곽선에 해당할 수 있다. 에지는 여러 패턴 조각들 또는 여러 세그먼트들에 걸쳐서 존재할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초기 에지 추출 과정에서 스무드(320) 타입의 노드는 스킵(skip)하고, 코너(330) 타입의 노드를 기준으로 패턴 조각을 분할할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처음에는 노드와 세그먼트(또는 에지)가 없으므로 단일 패턴 조각 내에서 노드와 세그먼트(또는 에지)를 정의되고, 이후, 반복 과정에서 여러 패턴 조각들에 대한 노드와 세그먼트(또는 에지)를 정의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와 에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들(410, 420) 및 에지(430)가 도시된다.
세그먼트들(410, 420)은 하위 파트들의 에지에서 노드에 의해 구분되는 에지의 일부분 및/또는 하위 파트들의 일부의 외곽선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그먼트(410)은 노드 0과 노드 1을 연결하며, 노드 0에서 노드 1로 향하는 방향성을 갖는 외곽선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세그먼트(420)은 노드 30과 노드 31을 연결하며, 노드 30에서 노드 31을 향하는 방향성을 갖는 외곽선에 해당할 수 있다.
에지(430)는 신체 부위 별로 해당하는 패턴 조각의 하위 파트들을 연결한 외곽선에 해당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나의 에지(430)는 복수의 세그먼트들(410, 420)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에지(430)에 기재된 '(30, false)'는 30번 세그먼트를 (그것이 원래 정의된 방향을 기준으로) 역방향으로 진행한다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0, true)는 0번 세그먼트를 원래 정의된 방향을 기준으로 정방향으로 진행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정리하자면, 에지(430)에 기재된 {(30, false), (0, true)}는 30번 세그먼트를 역행 후 0번 세그먼트를 순행하는 에지라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지(430)는 여러 하위 파트들 또는 여러 패턴 조각들에 걸쳐서 존재할 수 있다. 맨 처음 에지는 하위 파트 상에만 존재하지만, 하위 파트들 및/또는 패턴 조각들 간에 병합(merge)이 발생하는 경우, 여러 하위 파트들 또는 여러 패턴 조각들에 걸쳐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지들이 서로 병합되는 경우, 그래프는 병합된 에지 쌍(pair)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병합된 에지들의 인덱스 또는 병합된 에지들의 태그 정보 등)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에지들 각각은 해당하는 에지에 포함된 세그먼트와 세그먼트의 방향성의 페어, 다시 말해 Edge = Ordered list of (segment, direction) pairs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매산과 몸판의 암홀이 재봉된다고 하자. 이 경우, 개념상의 재봉선은 소매산 에지와 암홀 에지 한 쌍을 서로 매칭시킴으로써 재봉될 수 있지만, 실제 재봉선은 소매산과 암홀 각각에 해당하는 패턴 조각들 4쌍을 서로 매칭시켜야 재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4개의 세그먼트들을 연결한 하나의 덩어리가 에지가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세그먼트들의 개수>에지들의 개수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지는 사용자가 생각하는 개념상의 재봉선 또는 개념상의 재봉 단위에 해당할 수 있다. 에지는 개념상의 재봉 단위이므로 여러 패턴 조각들에 걸쳐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재봉선 생성 문제를 이와 같은 개념상의 재봉선에 해당하는 에지 매칭(edge matching) 문제로 치환(reduction)하여 해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매칭(matching)'은 재봉 가능한 에지들을 서로 짝지어주어 에지 쌍(edge pair)들을 생성하는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프를 생성하는 방법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재봉 장치는 초기 그래프에서 매칭 가능한 에지 쌍들을 찾아 병합 및/또는 결합해 가면서 그래프를 반복적으로(iteratively) 갱신할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처음부터 모든 패턴 조각들을 대상으로 에지들을 매칭하지 않고, 신체 부위 별 하위 파트(sub part) 단위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애초에 사람이 의상을 이해하는 방식에 해당할 수 있다. 사람은 예를 들어, n 개의 패턴 조각들을 뭉뚱그려서 의상 또는 신체 부위의 단위로 인식하지, 패턴 조각들 각각을 개별적으로 이해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재봉 장치는 그래프의 맨 하위에 해당하는 각 신체 부위(또는 의상 부위) 별 패턴 조각들의 하위 파트들을 매칭시킨 후, 순차적으로 그 상위의 패턴 조각, 및 서로 다른 신체 부위(또는 의상 부위)에 속하는 패턴 조각을 매칭시키는 바텀 업(bottom-up) 방식으로 하위 파트들을 포함하는 패턴 조각들을 부위별로 하나씩 매칭시켜가며 반복적으로 그래프를 병합하여 재봉선을 생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반복적으로 그래프를 병합할 때, 해당 부위 별로 반복되는 과정을 '라운드(round)' 또는 '반복(iteration)'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재봉 과정 전체를 아우르는1개의 그래프(600)가 도시된다.
도 6에 도시된 그래프(600)는 노드들 및 에지들로 구성될 수 있다. 노드들에 해당하는 숫자는 예를 들어, 17, 16, 14, 13, 40, 및 44 등과 같이 각 노드에 해당하는 지점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에지들에 해당하는 숫자는 예를 들어, 2, 4, 6, 7, 8, 9, 10, 11, 21, 및 23 등과 같이 해당 에지의 가운데 지점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에지들 및 노드들이 표시된 6개의 패턴 조각들이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프(600)에 해당할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전처리 과정에서 획득한 패턴 조각들 각각의 배치 정보 및 그래프(600)를 기초로, 하위 파트들에 속하는 에지들을 가져올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예를 들어, 현재 라운드(round)가 우측 슬리브(right sleeve)에 해당한다면, 우측 슬리브에 해당하는 패턴 조각들 상에 정의된 에지들을 전부 추출하여 후보 에지 집합을 구성할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후보 에지 집합에 포함된 모든 에지들 중 서로 매칭되는 에지 쌍들을 포함하는 후보 에지 쌍 집합 (candidate edge pair set)을 추출하고, 후보 에지 쌍 집합에 포함된 에지 쌍들 중 조건을 만족하는 에지 쌍을 서로 매칭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설정된 매칭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일반 슬리브(normal sleeve)와 결합되는 몸판 패턴 조각(710) 및 래글런 슬리브(raglan sleeve)와 결합되는 몸판 패턴 조각(730)이 도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 조각들은 각 하위 파트마다 서로 의존성(dependency)이 존재하며 서로 완전 독립적으로 처리될 수는 없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몸판 패턴 조각(710)은 어깨와 암홀 부분이 명확하게 구분되므로 일반 슬리브를 갖는 의상의 몸판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몸판 패턴 조각(730)은 어깨와 암홀 부분이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으므로 래글런 슬리브를 갖는 의상의 몸판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슬리브가 일반 슬리브인 경우, 몸판 패턴 조각(710)과 결합되어야 하고, 슬리브가 래글런 슬리브인 경우, 몸판 패턴 조각(730)과 결합되어야 한다.
'의존성'은 이와 같이 슬리브의 형태에 따라 각 슬리브와 재봉되는 몸판 패턴 조각의 형태가 달라질 수 있으며, 패턴 조각의 형태에 따라 해당 패턴 조각에 맞는 패턴 조각이 달라질 수 있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자동 재봉 장치는 재봉에 앞서 슬리브가 래글런 슬리브인지 또는 일반 슬리브인지를 먼저 파악해야 하고, 이러한 패턴 조각들 간의 매칭 순서는 사전에 결정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재봉선들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재봉 장치가 단계(810) 내지 단계(820)를 통해 패턴 조각들에 대한 재봉선들을 생성하는 과정이 도시된다.
단계(810)에서, 자동 재봉 장치는 배치 정보 및 그래프에 기초하여 설정된 매칭 순서를 기초로, 패턴 조각들에서 서로 재봉되는 영역들에 대응하는 에지들을 순차적으로 매칭시킬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가 에지들을 순차적으로 매칭시키는 과정은 아래의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계(820)에서, 자동 재봉 장치는 단계(810)에 의해 매칭된 에지들을 패턴 조각들에 대한 재봉선으로 변환(conversion)할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가 매칭된 에지들을 패턴 조각들에 대한 재봉선으로 변환하는 과정은 아래의 도 1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에지들을 순차적으로 매칭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재봉 장치는 단계(910) 내지 단계(950)를 통해 에지들을 순차적으로 매칭시킬 수 있다.
단계(910)에서, 자동 재봉 장치는 배치 정보를 기초로, 패턴 조각들 각각에 속하는 모든 에지들을 추출하여 후보 에지 집합(candidate edge set)(E)을 구성할 수 있다.
단계(920)에서, 자동 재봉 장치는 단계(910)에서 후보 에지 집합(E)에 포함된 모든 에지들중 서로 매칭되는 에지 쌍들(예를 들어, (e1, e2))을 포함하는 후보 에지 쌍 집합(candidate edge pair set)(P)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P = {(e1, e2) | e1, e2 ∈ E, e1≠e2}일 수 있다.
단계(930)에서, 자동 재봉 장치는 후보 에지 쌍 집합(P)에 포함된 에지 쌍들의 매칭 코스트(matching cost)를 기초로, 에지 쌍들을 매칭시킬 수 있다. 단계(930)에서, 자동 재봉 장치는 후보 에지 쌍 집합(P)의 모든 원소들에 대해 매칭 가능 여부를 판별하고, 그 중 조건(예를 들어, 매칭 코스트(matching cost))을 만족하는 일부 에지 쌍을 매칭시킬 수 있다. 여기서, 매칭 코스트는 예를 들어, 에지 쌍을 구성하는 에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태그 및 에지 쌍을 구성하는 에지들 각각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된 병합 가능성(mergeability)에 의해 미리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병합 가능성'은 패턴 조각들 별 특성에 따른 병합 가능성으로서, 예를 들어, 확실히 병합 가능함(Definitely mergeable), 병합 가능함(Possibly mergeable), 확실히 병합 불가능함(Definitely not mergeable)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분 패턴 조각들에서 루프(loop)가 생기지 않는 경우, 병합 결과가 루프를 생성하는 에지쌍들 간에는 병합이 불가능하고, 해당 에지 쌍들에 대한 병합 가능성은 '확실히 병합 불가능함'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루프'는 모두가 하나로 어이져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매칭 코스트는 예를 들어, 에지 쌍을 구성하는 에지들 간의 길이 비율(length ratio), 에지 쌍을 구성하는 에지들의 길이의 합(total length), 에지 쌍을 구성하는 에지들의 노멀 벡터(normal vector)가 향하는 방향 및 에지 쌍을 구성하는 에지들 간의 거리(distance)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미리 산출될 수 있다. 매칭 코스트는 예를 들어, 에지들 간의 길이 비율이 1에 가까울수록 낮게 산출될 수 있다. 또한, 매칭 코스트는 에지들의 길이 합이 클수록 낮게 산출되고, 에지들의 노멀 벡터가 향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을 바라보고 있을수록 낮게 산출될 수 있다. 또는 매칭 코스트는 에지들 간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낮게 산출될 수 있다. 이때, 에지들의 노멀 벡터가 향하는 방향은 동일 파트 내의 에지일 경우에만 고려될 수 있다.
매칭 코스트는 병합 가능성이 "확실히 병합 가능함"인 에지 쌍의 매칭 코스트가 가장 낮고, 그 다음으로 병합 가능성이 "병합 가능함"인 에지 쌍의 매칭 코스트가 높으며, 병합 가능성이 "확실히 병합 불가능함"인 에지 쌍의 매칭 코스트가 가장 높게 산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자동 재봉 장치는 예를 들어, 병합 가능성이 "확실히 병합 불가능함"으로 분류되는 에지 쌍에는 반복 종료 조건에 해당하는 임계 코스트(threshold cost) 보다 큰 매칭 코스트를 부과하여 해당 에지 쌍과 매칭을 시도하는 순간에 매칭 과정의 반복이 종료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단계(930)에서, 자동 재봉 장치는 후보 에지 쌍 집합에 포함된 에지 쌍들 중 매칭 코스트가 가장 낮은 에지 쌍부터 순차적으로 매칭시킬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매칭 코스트가 가장 낮은 에지 쌍부터 에지 쌍들을 매칭시켜 가면서 더 이상 매칭시킬 수 있는 에지 쌍이 없을 때까지 에지 쌍들 간의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후보 에지 쌍 집합에 포함된 에지 쌍들의 매칭 코스트와 미리 설정된 임계값(예를 들어, 임계 코스트)을 비교하고, 매칭 코스트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에지 쌍들 간의 매칭을 종료할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가 에지 쌍들을 매칭시키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자동 재봉 장치는 예를 들어, 매칭 코스트를 키(key) 값으로 하는 최소 힙(min heap)에 후보 에지 쌍들을 등록하여, 매 단계마다 힙에서 가장 작은 매칭 코스트를 가진 후보 에지 쌍(e0, e1)을 호출할 수 있다. 이때, 후보 에지 쌍들의 매칭 코스트가 일정 한도를 넘는 경우, 자동 재봉 장치는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2. 자동 재봉 장치는 에지 e0 또는 에지 e1 이 병합된 세그먼트(merged segment)를 포함하거나, 병합 불가능한 경우, 해당 에지 쌍을 버리고 힙에서 그 다음으로 작은 매칭 코스트를 갖는 새로운 후보 에지 쌍을 호출할 수 있다.
3. 자동 재봉 장치는 에지 e0 와 에지 e1 이 위의 2.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후보 에지 쌍(e0, e1)을 병합할 수 있다. 후보 에지 쌍(e0, e1)이 병합됨에 따라 자동 재봉 장치는 에지 e0 와 에지 e1이 포함하는 모든 세그먼트들을 ‘병합된(merged)’ 상태로 바꿔줄 수 있다.
4. 자동 재봉 장치는 필요한 경우 에지 e0 와 에지 e1의 양끝에 연결되는 에지를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자동 재봉 장치는 각 에지의 양 끝에 연결되는 에지를 최대 2개까지 결합할 수 있다.
5. 자동 재봉 장치는 새로 생긴 에지들과 기존 에지들과의 매칭 코스트를 계산하여 힙에 삽입할 수 있다.
단계(940)에서, 자동 재봉 장치는 에지 쌍들 간의 매칭 결과를 평가(validation)할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예를 들어, 에지 쌍들 간의 매칭 결과가 매칭된 에지 쌍들에 대응하여 기대되는 의상의 부위 별 기대 형상을 가지는지 여부를 기초로, 매칭 결과를 평가할 수 있다.
각 라운드(다시 말해 각 신체 부위별 매칭 시)마다 반복적인 에지 매칭 과정이 끝나고 나면 의상의 부위 별로 기대되는 특정한 형태 또는 형상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상의 부위가 슬리브의 경우, 최종 형태가 수직 실린더(vertical cylinder) 형태를 가져야 한다. 즉, 옆면을 구성하는 에지들 중 일부가 병합되어 후보 에지 집합에서 사라지고, 후보 에지 집합에서 병합되지 않고 남은 에지들이 2개의 분리된 루프(disjoint loop)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부 루프(Upper loop)가 차후 슬리브의 소매산이 될 수 있다.
또는 의상의 부위가 몸판의 경우, 암홀 루프(armhole loop)가 2개 생기고, 목과 허리 루프가 별도로 생기거나 또는 둘이 연결된 긴 하나의 루프가 생길 수 있다. 이때, 목과 허리 루프가 별도로 생기는지 또는 긴 하나의 루프가 생기는지 여부는 의상 앞면이 열렸는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에지 쌍들 간의 매칭 결과가 이러한 기대되는 형태 대로 결과가 나왔는지를 평가할 수 있다. 평가 도중에 에지 쌍들 간의 매칭 결과가 기대와 다른 모양을 가진 경우, 자동 재봉 장치는 하위 파트의 반복 매칭 과정을 실패로 처리하고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이 경우, 자동 재봉 장치는 현재까지 구한 매칭된 에지 쌍들에 의해 패턴 조각들에 대한 재봉선으로 변환할 수 있다.
단계(950)에서, 자동 재봉 장치는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매칭된 에지 쌍들을 제외한 나머지 에지들에 대응하는 태그(tag)를 마킹할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의상의 부위 별 기대 형상에 해당하는 태그를 매칭된 에지 쌍들에 마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ront shoulder’ 라는 태그가 붙은 에지가 있는 경우, 해당 에지는 ‘Back shoulder’ 라는 태그가 붙은 에지하고만 병합될 수 있으며, 나머지 다른 에지들과는 병합이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태그는 해당 에지의 병합 가능성을 정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지 쌍들의 매칭에 의해 실린더가 만들어진 경우, 자동 재봉 장치는 상측 루프(upper loop)와 하측 루프(lower loop)의 두 분리된 그룹(disjoint group)으로 후보 에지 집합을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리브 후보 에지 집합이 래글런(Raglan) 슬리브에 해당하는 경우, 통상의 슬리브와 어깨 재봉선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다시 말해, 통상의 슬리브가 팔 부위를 어깨 부근에서 몸통에 재봉하는 것과 달리, 래글런 슬리브는 팔 부위를 목 칼라 부근에 재봉한다. 이와 같이, 슬리브 후보 에지 집합이 래글런 슬리브인지 또는 통상의 슬리브인지와 같이 슬리브의 유형에 따라 재봉 지점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자동 재봉 장치는 슬리브 후보 에지 집합에 속한 에지들을 먼저 매칭 시킴으로써 해당 슬리브 후보 에지 집합이 래글런 슬리브인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가 래글런 슬리브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자동 재봉 장치는 예를 들어, 탑 그룹(Top group)으로 구분된 에지들의 종단 노드 집합(end node set) 중 가장 높은(topmost) 위치하는 2 개의 노드들을 선택할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선택된 2개의 노드들이 서로 분리되어 있고, 충분히 첨예(acute)하며, 선택된 2개의 노드들의 위치가 가장 옆에 있는 노드(sidemost node)의 위치보다 위에 있다면 해당 에지들에 대응하는 슬리브를 래글런 슬리브로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리브 후보 에지 집합이 래글런 슬리브로 판별된 경우, 자동 재봉 장치는 가장 높이(topmost) 위치하는 2 개의 노드들 사이에 낀 오목한 에지(concave edge)에 'SET_SLEEVETOP_NECK' 태그를 마킹하고, 탑 그룹에 속한 에지들 중 오목한 에지(concave edge)를 제외한 나머지 상측 루프의 에지들에는 'SET_SLEEVETOP' 태그를 마킹할 수 있다. 또한, 자동 재봉 장치는 하측 루프의 에지들에는 'SLEEVE_BOTTOM' 태그를 마킹할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예를 들어, 'SLEEVETOP_NECK' 및 'SLEEVETOP'으로 태깅된 에지들이 여러 패턴 조각들인 경우, 여러 패턴 조각들을 전부 연결(concatenate) 시켜서 하나의 패턴 조각으로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리브 후보 에지 집합이 래글런 슬리브가 아닌 일반 슬리브로 판별된 경우, 자동 재봉 장치는 탑 그룹으로 구분된 에지들 모두에 대해 'SET_SLEEVETOP' 태그를 마킹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매칭 순서를 나타낸 프로그램 코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매칭 순서를 포함하는 반복 라운드(Iteration round)가 도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재봉 장치는 전술한 것과 같이 미리 설정된 매칭 순서에 따라 패턴 조각들을 매칭하며 각 라운드 마다 추출한 에지들 중 서로 매칭시킬 에지 쌍들을 포함하는 후보 에지 집합을 결정할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후보 에지 집합에 포함된 에지 쌍들을 매칭시킨 결과가 정상적으로 나왔는지를 에지 쌍들의 매칭 코스트를 기초로 확인(또는 평가)한 후, 매칭된 에지 쌍들에 대응하는 태그를 마킹할 수 있다.
매칭 순서는 예를 들어, 슬리브 -> 몸판 -> 칼라의 순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리브의 후보 에지 집합이 래글런 슬리브에 해당하는 경우, 통상의 슬리브와 어깨 재봉선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다시 말해, 통상의 슬리브가 팔 부위가 어깨 부근에서 몸통에 재봉되어야 하는 것과 달리, 래글런 슬리브는 팔 부위가 목의 칼라 부근에 재봉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슬리브의 후보 에지 집합이 래글런 슬리브인지 또는 통상의 슬리브인지와 같이 슬리브의 유형에 따라 재봉 지점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자동 재봉 장치는 슬리브의 후보 에지 집합에 속한 에지들을 먼저 매칭 시킴으로써 해당 슬리브 후보 에지 집합이 래글런 슬리브인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이후, 자동 재봉 장치는 앞면 및/또는 뒷면에 해당하는 좌, 우측 몸판의 후보 에지 집합에 포함된 에지 쌍들을 매칭시킨 후, 앞면 몸판의 후보 에지 집합과 뒷면 몸판의 후보 에지 집합에 포함된 에지 쌍들을 매칭시킬 수 있다. 만약, 몸판의 후보 에지 집합에 옆면 일부를 튼 플라켓(placket)이 있는 경우, 앞과 뒤 몸판의 후보 에지 집합에 포함된 에지 쌍들을 매칭한 후 플라켓을 반영할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슬리브의 후보 에지 집합과 몸판의 후보 에지 집합을 결합한 후, 결합 결과에 칼라 후보 에지 집합에 포함된 에지 쌍들을 매칭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의상에서 목 부분에 대한 특징은 몸판의 후보 에지 집합에서의 목 부분의 길이, 및 목 부분의 형태 등과 같이 몸판 부분이 완성되어야 최종적으로 파악될 수 있다. 따라서, 자동 재봉 장치는 슬리브의 후보 에지 집합과 몸판의 후보 에지 집합 간의 결합 이후에 칼라의 후보 에지 집합을 마지막으로 매칭시킬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미리 정해진 재봉 규칙을 고려하여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i) 각 신체 부위에 대응하는 패턴 조각마다 재봉되는 특정한 형태를 지켜 재봉이 수행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슬리브 패턴 조각이 수직 실린더(vertical cylinder) 형태를 가지는 경우, 슬리브 패턴 조각의 패턴 조각들은 탑(top)과 바텀(bottom)의 두 개의 분리 집합(disjoint set)으로 나눠질 수 있다. 이 경우, 슬리브의 위/아래 패턴 조각 각각은 서로 다른 부위의 패턴 조각들과 재봉될 수 있다. 슬리브의 위쪽 패턴 조각은 소매산이 되어 몸판 패턴 조각과 재봉될 수 있다. 또한, 슬리브의 아래쪽 패턴 조각은 손목 시보리나 커프(cuff) 패턴 조각과 재봉될 수 있다.
또한, 몸판 패턴 조각은 앞면 좌, 우 및 뒷면의 3개의 분리 집합으로 나눠지거나, 또는 앞면 좌, 우 및 뒷면 상, 하의 4개의 분리 집합으로 나눠질 수 있다. 이 경우, 3개 또는 4개의 분리 집합 또한 서로 다른 부위의 패턴 조각들과 재봉될 수 있다.
ii) 서로 다른 패턴 조각에 속한 패턴 조각들 간에는 패턴 조각 간의 외곽선에 해당하는 부분 이외에는 절대로 재봉이 수행되지 않아야 한다. 예를 들어, 슬리브 패턴 조각과 몸판 패턴 조각의 경우, 슬리브 탑(sleeve top)과 암홀 (arm hole)의 조합만이 재봉될 수 있다. 또한, 앞면 몸판 패턴 조각과 뒷면 몸판 패턴 조각 간에는 어깨와 옆구리만이 재봉되고, 그 외의 나머지 부분은 재봉되지 않는다. 이 밖에도, 앞면 좌측 몸판 패턴 조각과 앞면 우측 몸판 패턴 조각 간에는 중심선(Centerline)에 대하여만 재봉이 수행되고, 그 외 나머지 부분은 재봉되지 않는다.
iii) 특정 패턴 조각의 재봉 형태가 해당 패턴 조각 자체의 정보만으로 결정될 수 없는 경우, 해당 패턴 조각과 결합되는 다른 패턴 조각에 대한 처리가 선행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칼라 패턴 조각의 경우, 몸판 패턴 조각에서 목 부분의 위치가 먼저 파악되어야 칼라 패턴 조각이 몸판 패턴 조각의 어느 부분과 재봉되는지가 결정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새로운 에지가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자동 재봉 장치는 도 10을 통해 전술한 과정을 통해 매칭된 에지 쌍들에 대응하여 그래프를 병합할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병합된 그래프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들을 결합(concatenate) 함으로써 새로운 에지를 생성할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예를 들어, 이전 과정에서 획득한 n 개의 후보 에지 집합에 포함된 에지 쌍들에 대해 모든 쌍들의 매칭 코스트를 사전에 계산해 둘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매칭 코스트가 가장 낮은 에지 쌍부터 하나씩 매칭시켜 나가며, 더 이상 매칭시킬 수 있는 에지 쌍이 없을 때까지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매칭 코스트가 일정 임계치를 넘어간 에지 쌍을 만나면 매칭을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1110)에서 에지 쌍들(1115)의 매칭 코스트가 가장 낮은 경우, 자동 재봉 장치는 에지 쌍들(1115)을 매칭시킬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매칭된 에지 쌍들을 도면(1120)과 같이 그래프 상에서 병합할 수 있다. 이때, 도면(1120)의 병합을 통해 도면(1130)과 같이 기존에 없던 새로운 에지(1133, 1135)들이 생성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매칭된 에지들을 패턴 조각들에 대한 재봉선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재봉 장치가 단계(1210) 내지 단계(1220)를 통해 매칭된 에지들을 패턴 조각들에 대한 재봉선으로 변환하는 과정이 도시된다.
단계(1210)에서, 자동 재봉 장치는 매칭된 에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노드들을 검색할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매칭된 에지 쌍들을 구성하는 에지들에 대응하는 노드들을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매칭된 에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노드들"은 매칭된 에지들의 시작점에 해당하는 시작 노드, 매칭된 에지들의 끝점에 해당하는 종료 노드, 및 시작 노드와 종료 노드 사이에 위치하는 내부 노드들(internal nodes)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단계(1220)에서, 자동 재봉 장치는 단계(1210)에서 검색된 노드들을 페어링(pairing) 시킴으로써 패턴 조각들에 대한 재봉선들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페어링'은 이미 재봉이 결정된 에지 쌍 내에서의 내부 노드(internal node) 사이의 매칭으로 이해될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내부 노드들 중 시작점과 끝점 간에 루프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루프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방법으로 노드들을 페어링하여 재봉선들을 생성할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가 노드들을 페어링시키는 방법은 아래의 도 1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노드들을 페어링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매칭되는 에지 쌍이 비루프 에지들(non-loop edges)에 해당하는 경우에 노드들을 페어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310, 1330) 및 사용자가 사전에 직접 만든 재봉선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자동 재봉을 시도한 경우에 노드들을 페어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350)이 도시된다.
전술한 것과 같이 매칭된 에지 쌍들은 개념상의 재봉선에 해당하므로 이를 실제 재봉선으로 변환해 주어야 한다. 예를 들어, 자동 재봉 장치는 매칭된 에지 쌍(e0, e1)을 각 에지를 구성하는 (내부) 노드 사이의 매칭으로 구체화함으로써 개념상의 재봉선을 실제 재봉선으로 변환할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에지들의 시작점과 끝점 간에 루프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전술한 노드 및 에지들 간의 매칭 과정을 통한 병합 결과에 따라, 비루프 에지(non-loop edges) 및 루프 에지(loop edge)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매칭되는 에지 쌍이 비루프 에지들에 해당하는 경우, 재봉의 시작점과 끝점이 명확하게 고정될 수 있다. '비루프 에지들'은 에지들이 서로 이격되어 있어 하나의 루프를 형성하지 않는 에지들 또는 에지들의 시작점과 끝점이 상이한 점으로 병합된 에지들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1310) 또는 도면(1330)에서 서로 매칭되는 에지 쌍이 비루프 에지들에 해당하는 경우, 자동 재봉 장치는 두 에지 (e0, e1)의 시작점을 0, 끝점을 1로 설정하고, 나머지 내부 노드들을 정규화된 길이(α) 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각 내부 노드마다 상대편 에지의 내부 노드들 중 정규화된 길이(α) 값이 가장 유사한 내부 노드들 찾아 둘을 짝지어 줄 수 있다. 이때, 짝지워진 내부 노드들의 정규화된 길이(α) 값 간의 차이가 일정 기준보다 크거나, 어느 하나의 내부 노드가 이미 다른 노드와 페어링된 경우에는 자동 재봉 장치는 해당 노드를 버릴(discard) 수 있다.
이와 달리, 서로 매칭되는 에지 쌍이 루프 에지들(loop edges)에 해당하는 경우, 재봉의 시작점과 끝이 명확하지 않을 수 있다. '루프 에지들'은 에지들이 서로 이어져 하나의 루프를 형성하는 에지들 또는 에지들의 시작점과 끝점이 동일한 점으로 병합된 에지들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지들의 시작점과 끝점 간에 루프가 존재한다고 결정된 경우, 자동 재봉 장치는 노드들 각각을 시작 노드로 설정하여 노드들 간의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노드들 간의 페어링에 따른 페어링 스코어에 기초하여 패턴 조각들에 대한 재봉선들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페어링 스코어는 매칭 코스트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로 매칭되는 에지 쌍이 루프 에지들에 해당하는 경우에 루프 에지들은 시작점이 불분명하다. 따라서, 자동 재봉 장치는 모든 노드들을 한번씩 시작점으로 잡아 (내부) 노드들 간의 페어링을 시도해볼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페어링을 시도한 노드들을 페어링 스코어들(pairing score)을 산출하고, 그 중 페어링 스코어가 가장 높은 노드들을 최종적으로 페어링할 수 있다. 페어링 스코어는 예를 들어, 두 노드들 간의 정규화된 길이(α) 값이 가까울수록 높게 산출될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노드의 타입 별로 페어링 스코어에 차등을 둘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예를 들어, 노치 노드> 코너 노드> 비코너 노드의 순으로 페어링 스코어에 차등을 둘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예를 들어, n 개의 페어링 스코어들 중에서 페어링 스코어가 가장 높은 노드들을 페어링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자동 재봉 장치는 에지들의 시작점과 끝점 간에 루프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된 경우, 자동 재봉 장치는 내부 노드들을 정규화된 길이(normalized length)(α) 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정렬된 내부 노드들 중 서로 매칭되는 상대편 에지의 내부 노드와 가장 인접한 해당 에지의 내부 노드를 서로 페어링 시킴으로써 패턴 조각들에 대한 재봉선들을 생성할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가 패턴 조각들에 대한 재봉선을 생성한 결과는 예를 들어, 아래의 도 14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도면(1350)에 이중 점선 화살표(Double-dashed arrow)로 도시된 기존 재봉선(1351, 1353)과 같이 사용자가 사전에 직접 만든 재봉선이 존재하는 경우, 자동 재봉 장치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자동 재봉을 수행할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기존 재봉선(1351, 1353)은 있다는 표시만 해 놓고, 전술한 페어링 과정을 통해 노드들을 페어링하고, 페어링된 노드들을 재봉선으로 변환할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예를 들어, 기존 재봉선들(1351, 1353)에 대해 해당 재봉선 쌍의 시작점과 끝점을 짝지어 준 노드 쌍(node pair)들을 미리 저장한 후, 해당 노드들을 포함하는 에지들을 구성하는 세그먼트들에 기존 재봉선과 연관된 에지임을 표시해 둘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페어링된 노드들을 재봉선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내부 노드를 매칭시킬 때, 단일 점선 화살표(single-dashed arrow)로 표시된 미리 저장한 노드 쌍들을 강제적으로 페어링시킬 수 있다. 이를 "Hard constraint'라고 부를 수 있다.
도면(1350)에서 표시된 실선 화살표는 노드 페어링을 수행해서 얻어지는 최종 결과물의 일부에 해당할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들 이외에도, 상용 의상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다양한 의상 특징들에 대한 추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자동 재봉 방법에서는 한번 '병합’ 상태로 마킹된 세그먼트 및 '병합’ 상태로 마킹된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에지는 매칭 대상에서 제외되므로, 같은 자리에 2회 이상의 재봉선이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서, 예를 들어, 시보리, 헨리넥, 플리츠, 또는 겹패턴 등에 의해 하나의 세그먼트에 2개 이상의 재봉선들이 생성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 재봉 장치는 하나의 세그먼트에 2개 이상의 재봉선들이 생성될 수 있는 패턴 조각들의 특성을 검출(detect)한 후, 후처리를 통해 2차적으로 재봉선을 생성함으로써 하나의 세그먼트에 2개 이상의 재봉선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턴 조각이 가로로 길쭉한 사각 패턴이면서 중간에 수평 방향의 내부 선분을 포함한 시보리에 해당하는 경우, 자동 재봉 장치는 수평 방향의 내부 선분을 기준으로 접히는 패턴으로 가정하고 위 아래를 재봉시킬 수 있다. 또는 패턴 조각이 사용자가 칼주름의 접힘 각을 설정해 준 플리츠에 해당하는 경우, 자동 재봉 장치는 주름으로 접혀 들어가는 부분에 대해서는 다트와 유사하게 처리해주고, 그 위에 겹쳐서 추가되는 재봉선은 마지막에 후처리로 개별적으로 추가할 수 있다.
또는, 패턴 조각이 예를 들어, 몸판 세로 길이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많이 짧은 플라켓 1쌍에 해당하는 경우, 자동 재봉 장치는 해당 의상을 헨리넥 셔츠로 간주하여 플라켓을 처리하는 라운드(= SET_BODICE_PLACKET)의 평가 과정에서 해당 플라켓의 바닥 부분을 강제적으로 2회 재봉해 줄 수 있다.
이 밖에도, 패턴 조각이 재봉하면 안 되는 에지에 해당하는 벤트(vent)를 포함하는 경우, 자동 재봉 장치는 그래프 생성 과정에서 해당 형태(예를 들어, 벤트 형태)를 검출하고, 벤트 형태가 검출된 경우, 해당 패턴 조각에 대한 태그를 벤트로 표시하여 재봉을 진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자동 재봉 장치는 벤트로 태그된 패턴 조각의 특정 에지의 연장선 상에 내부 선분이 존재하고, 해당 내부 선분을 기준으로 디귿자(ㄷ) 형태의 요철이 존재하는 경우, 디귿자(ㄷ) 부분의 에지들을 벤트로 처리하여 재봉하지 않는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재봉 장치에 의해 패턴 조각들에 대한 재봉선이 생성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의상을 구성하는 패턴 조각들이 도시된 화면(1410) 및 화면(1410)에 도시된 패턴 조각들에 대응하는 재봉선이 표시된 화면(1430)이 도시된다.
자동 재봉 장치는 화면(1410)에 도시된 패턴 조각들의 배치 정보 및 패턴 조각들에 대응하는 그래프를 기초로 에지들을 매칭시켜 화면(1430)과 같이 각 패턴 조각들에 대응하는 재봉선들(1435)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자동 재봉 장치는 화면(1430)에 도시된 재봉선들(1435)에 따라 패턴 조각들을 재봉하여 아래의 도 15와 같이 재봉된 패턴 조각들에 의해 구성된 의상(1530)을 아바타(1510)에 착장할 수도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재봉 장치에 의해 생성된 재봉선에 따라 재봉된 패턴 조각들에 의해 구성된 의상을 아바타에 착장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4에 도시된 재봉선에 따라 재봉된 패턴 조각들에 의해 구성된 의상(1530)을 착장한 아바타(1510)가 시뮬레이션된 화면(1500)이 도시된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재봉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재봉 장치(16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610), 및 프로세서(1630)를 포함한다. 자동 재봉 장치(1600)는 메모리(1650), 및 출력 장치(16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610), 프로세서(1630), 메모리(1650), 및 출력 장치(1670)는 통신 버스(1605)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610)는 의상을 구성하는 패턴 조각들의 배치 정보를 획득한다.
프로세서(1630)는 패턴 조각들의 외곽선 상에 위치하는 노드들 및 서로 인접한 노드들을 연결하는 방향성을 갖는 세그먼트들을 포함하는 그래프를 생성한다. 프로세서(1630)는 배치 정보 및 그래프를 기초로, 패턴 조각들에서 서로 재봉되는 영역들에 대응하는 에지들을 매칭시킴으로써 패턴 조각들에 대한 재봉선들을 생성한다.
메모리(16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610)를 통해 획득한 패턴 조각들의 배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50)는 프로세서(1630)가 생성한 그래프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650)는 프로세서(1630)에 의해 매칭된 에지들에 대한 정보 및/또는 재봉선들이 생성된 패턴 조각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메모리(1650)는 재봉선에 따라 재봉된 패턴 조각들에 의해 구성된 의상 및 해당 의상을 아바타에 착장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출력 장치(1670)는 프로세서(1630)에 의해 구성된 재봉선이 생성된 패턴 조각들, 재봉선에 따라 재봉된 패턴 조각들에 의해 구성된 가상 의상, 및/또는 가상 의상을 착장한 3차원 아바타를 표시할 수 있다. 출력 장치(1670)는 재봉선이 생성된 패턴 조각들, 패턴 조각들이 재봉된 가상 의상 및/또는 가상 의상을 착장한 3차원 아바타를 화면 상에 출력할 수도 있고, 또는 종이 또는 옷감 등에 재봉선이 표시된 패턴 조각들을 출력할 수도 있다.
출력 장치(1670)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고, 자동 재봉 장치(1600)의 외부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630)는 도 1 내지 도 15를 통해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대응되는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630)는 목적하는 동작들(desired operations)을 실행시키기 위한 물리적인 구조를 갖는 회로를 가지는 하드웨어로 구현된 데이터 처리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적하는 동작들은 프로그램에 포함된 코드(code) 또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630)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또는 NPU(Neural network Processing Un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로 구현된 자동 재봉 장치(16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코어 프로세서(multi-core processor),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63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자동 재봉 장치(16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630)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는 메모리(1650)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650)는 상술한 프로세서(1630)의 처리 과정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메모리(1650)는 각종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5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650)는 하드 디스크 등과 같은 대용량 저장 매체를 구비하여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600: 자동 재봉 장치
1605: 통신 버스
1610: 사용자 인터페이스
1630: 프로세서
1650: 메모리
1670: 출력 장치

Claims (20)

  1. 의상을 구성하는 패턴 조각들의 배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패턴 조각들의 외곽선 상에 위치하는 노드들 및 서로 인접한 노드들을 연결하는 방향성을 갖는 세그먼트들(segments)을 포함하는 그래프(graph)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배치 정보 및 상기 그래프를 기초로, 상기 패턴 조각들에서 서로 재봉되는 영역들에 대응하는 에지들(edges)을 매칭(matching)시킴으로써 상기 패턴 조각들에 대한 재봉선들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재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정보는
    상기 패턴 조각들과 상기 의상이 착장되는 아바타의 배치 포인트들 간의 매칭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자동 재봉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패턴 조각들의 외곽선 상에 위치하는 점들 중 해당 점에 대응하는 각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각도보다 큰 값을 갖는 코너점(corner point)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패턴 조각들의 외곽선 상에 위치하는 점들 중 노치 마크(notch mark)가 위치하는 지점에 대응하는 노치(notch)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코너점 및 상기 노치를 상기 노드들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노드들을 연결하는 선분을 상기 세그먼트들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노드들 및 상기 세그먼트들을 포함하는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재봉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들 각각은
    해당하는 에지에 포함된 세그먼트와 상기 세그먼트의 방향성의 페어를 포함하는,
    자동 재봉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조각들에 대한 재봉선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배치 정보 및 상기 그래프에 기초하여 설정된 매칭 순서를 기초로, 상기 패턴 조각들에서 서로 재봉되는 영역들에 대응하는 에지들을 순차적으로 매칭시키는 단계; 및
    상기 매칭된 에지들을 상기 패턴 조각들에 대한 재봉선으로 변환(conversion)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재봉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들을 순차적으로 매칭시키는 단계는
    상기 배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패턴 조각들 각각에 속하는 모든 에지들을 추출하여 후보 에지 집합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모든 에지들 중 서로 매칭되는 에지 쌍들을 포함하는 후보 에지 쌍 집합(candidate edge pair set)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후보 에지 쌍 집합에 포함된 에지 쌍들의 매칭 코스트(matching cost)를 기초로, 상기 에지 쌍들을 매칭시키는 단계;
    상기 에지 쌍들 간의 매칭 결과를 평가(validation)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매칭된 에지 쌍들을 제외한 나머지 에지들에 대응하는 태그(tag)를 마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재봉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코스트는
    상기 에지 쌍을 구성하는 에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태그 및 상기 에지 쌍을 구성하는 에지들 각각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된 병합 가능성(mergeability)에 의해 미리 산출되는,
    자동 재봉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코스트는
    상기 에지 쌍을 구성하는 에지들 간의 길이 비율(length ratio), 상기 에지 쌍을 구성하는 에지들의 길이의 합(total length), 상기 에지 쌍을 구성하는 에지들의 노멀 벡터(normal vector)가 향하는 방향 및 상기 에지 쌍을 구성하는 에지들 간의 거리(distance)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미리 산출되는,
    자동 재봉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쌍들을 매칭시키는 단계는
    상기 후보 에지 집합에 포함된 에지 쌍들 중 상기 매칭 코스트가 가장 낮은 에지 쌍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에지 쌍들을 매칭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재봉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쌍들을 매칭시키는 단계는
    상기 후보 에지 집합에 포함된 에지 쌍들의 매칭 코스트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매칭 코스트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에지 쌍들 간의 매칭을 종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재봉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결과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에지 쌍들 간의 매칭 결과가 상기 매칭된 에지 쌍들에 대응하여 기대되는 의상의 부위 별 기대 형상을 가지는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매칭 결과를 평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재봉 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를 마킹하는 단계는
    상기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의상의 부위 별 기대 형상에 해당하는 태그를 상기 매칭된 에지 쌍들을 제외한 나머지 에지들에 마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재봉 방법.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된 에지 쌍들에 대응하여 상기 그래프를 병합(merge)하는 단계; 및
    상기 병합된 그래프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들을 결합(concatenate) 함으로써 새로운 에지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자동 재봉 방법.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조각들에 대한 재봉선으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매칭된 에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노드들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노드들을 페어링(pairing) 시킴으로써 상기 패턴 조각들에 대한 상기 재봉선들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재봉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된 에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노드들은
    상기 매칭된 에지들의 시작점에 해당하는 시작 노드, 상기 매칭된 에지들의 끝점에 해당하는 종료 노드, 및 상기 시작 노드와 상기 종료 노드 사이에 위치하는 내부 노드들(internal nodes)을 포함하는,
    자동 재봉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선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시작점과 상기 끝점 간에 루프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루프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내부 노드들을 정규화된 길이(normalized length) 순으로 정렬하는 단계; 및
    상기 정렬된 내부 노드들 중 서로 매칭되는 상대편 에지의 내부 노드와 가장 인접한 해당 에지의 내부 노드를 서로 페어링 시킴으로써 상기 패턴 조각들에 대한 상기 재봉선들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재봉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선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시작점과 상기 끝점 간에 루프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루프가 존재한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노드들 각각을 상기 시작 노드로 설정하여 상기 노드들 간의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노드들 간의 페어링에 따른 페어링 스코어에 기초하여 상기 패턴 조각들에 대한 상기 재봉선들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재봉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선들에 따라 상기 패턴 조각들을 재봉하는 단계; 및
    상기 재봉선들에 따라 재봉된 패턴 조각들에 의해 구성된 의상을 아바타에 착장(draping)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자동 재봉 방법.
  19.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20. 의상을 구성하는 패턴 조각들의 배치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패턴 조각들의 외곽선 상에 위치하는 노드들 및 서로 인접한 노드들을 연결하는 방향성을 갖는 세그먼트들을 포함하는 그래프를 생성하고, 상기 배치 정보 및 상기 그래프를 기초로, 상기 패턴 조각들에서 서로 재봉되는 영역들에 대응하는 에지들을 매칭시킴으로써 상기 패턴 조각들에 대한 재봉선들을 생성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자동 재봉 장치.
KR1020200178512A 2020-01-23 2020-12-18 의상의 패턴 조각들의 자동 재봉 방법 및 장치 KR102438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A3168638A CA3168638A1 (en) 2020-01-23 2021-01-22 Automatic determination of sewing lines for assembling pattern pieces of garment
PCT/KR2021/000901 WO2021150056A1 (en) 2020-01-23 2021-01-22 Automatic determination of sewing lines for assembling pattern pieces of garment
US17/155,941 US20210227912A1 (en) 2020-01-23 2021-01-22 Automatic determination of sewing lines for assemblying pattern pieces of garment
BR112022014203A BR112022014203A2 (pt) 2020-01-23 2021-01-22 Método implementado por computador para determinar linhas de costura para peças de padrão de costura combinadas para formar uma peça de vestuário, meio de armazenamento e dispositivo de computação
JP2022544767A JP7474338B2 (ja) 2020-01-23 2021-01-22 衣服のパターンピースの自動裁縫方法及び装置
EP21153298.1A EP3854925A1 (en) 2020-01-23 2021-01-25 Automatic determination of sewing lines for assemblying pattern pieces of garment
CN202110095722.XA CN113151985B (zh) 2020-01-23 2021-01-25 服装纸样样片的自动缝纫方法及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358 2020-01-23
KR20200009358 2020-01-23
KR1020200122378 2020-09-22
KR20200122378 2020-09-22
KR20200122350 2020-09-22
KR1020200122350 2020-09-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5554A true KR20210095554A (ko) 2021-08-02
KR102438508B1 KR102438508B1 (ko) 2022-09-01

Family

ID=77315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512A KR102438508B1 (ko) 2020-01-23 2020-12-18 의상의 패턴 조각들의 자동 재봉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5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0705A1 (ko) * 2022-01-20 2023-07-27 (주)클로버추얼패션 패턴 생성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3383A (ja) * 1998-03-30 2000-01-07 Toray Ind Inc 組立構造体の着装状態解析方法ならびに衣料服飾品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支援装置
JP2002279014A (ja) * 2001-03-16 2002-09-27 Toyobo Co Ltd 服飾シミュレーショ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服飾シミュレーションプログラム、服飾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および、縫製データ生成方法
KR20070044102A (ko) * 2005-10-24 2007-04-27 강기용 3차원 텍스타일 디자인 방법, 및 텍스타일 디자인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판독가능 저장매체
CN107958488A (zh) * 2017-10-16 2018-04-24 中国科学院自动化研究所 服装裁片的交互式编辑与缝合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3383A (ja) * 1998-03-30 2000-01-07 Toray Ind Inc 組立構造体の着装状態解析方法ならびに衣料服飾品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支援装置
JP2002279014A (ja) * 2001-03-16 2002-09-27 Toyobo Co Ltd 服飾シミュレーショ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服飾シミュレーションプログラム、服飾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および、縫製データ生成方法
KR20070044102A (ko) * 2005-10-24 2007-04-27 강기용 3차원 텍스타일 디자인 방법, 및 텍스타일 디자인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판독가능 저장매체
CN107958488A (zh) * 2017-10-16 2018-04-24 中国科学院自动化研究所 服装裁片的交互式编辑与缝合方法及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0705A1 (ko) * 2022-01-20 2023-07-27 (주)클로버추얼패션 패턴 생성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8508B1 (ko) 202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91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ng realistic clothing
Berthouzoz et al. Parsing sewing patterns into 3D garments
KR101808726B1 (ko) 3d 의상 착장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KR102130252B1 (ko) 바인딩을 반영한 의복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KR20070062944A (ko) 가상 형지 작성프로그램, 가상 형지 작성장치 및 가상 형지작성방법
KR102136620B1 (ko) 의상 패턴들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38508B1 (ko) 의상의 패턴 조각들의 자동 재봉 방법 및 장치
Zhao et al. Clothing cosegmentation for shopping images with cluttered background
KR20210021929A (ko) 의상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KR102332069B1 (ko) 부자재 요소를 포함하는 의상의 그레이딩 방법 및 장치
JP7474338B2 (ja) 衣服のパターンピースの自動裁縫方法及び装置
Bang et al. Estimating garment patterns from static scan data
US9820519B2 (en) Automatic 3D garment construction from tagged cloth panels
KR102322810B1 (ko) 3d 패턴 생성 솔루션을 이용한 의류 샘플 제작 방법
Mariolis et al. Matching folded garments to unfolded templates using robust shape analysis techniques
CN109371555A (zh) 一种全成型针织服装程序文件制作流程的设计方法及装置
KR102228099B1 (ko) 의상의 패턴 조각들의 결합을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74508B1 (ko) 의상의 패턴 조각에 다트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EP3905206A1 (en) Computer implemented methods for generating 3d garment models
CN111475911A (zh) 编织模拟方法及编织模拟系统
KR20240073752A (ko) 자동 배치 방법 및 자동 배치 장치
US20240169632A1 (en) Automatic arrangement of patterns for garment simulation using neural network model
CN116451285A (zh) 一种复用缝纫信息的自动化服装建模方法
CN118057394A (zh) 使用神经网络模型的用于服装模拟的纸样自动排列方法及装置
RU2637896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рука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