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4997A - 녹용에서 분리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 Google Patents

녹용에서 분리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4997A
KR20210094997A KR1020200008959A KR20200008959A KR20210094997A KR 20210094997 A KR20210094997 A KR 20210094997A KR 1020200008959 A KR1020200008959 A KR 1020200008959A KR 20200008959 A KR20200008959 A KR 20200008959A KR 20210094997 A KR20210094997 A KR 20210094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tty liver
formula
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glyce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영삼
손기남
Original Assignee
(주) 에프엔지리서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프엔지리서치 filed Critical (주) 에프엔지리서치
Priority to KR1020200008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4997A/ko
Priority to PCT/KR2021/000940 priority patent/WO2021150077A1/ko
Publication of KR20210094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49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3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 A61K31/23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having one or two double bo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2Bones; Osteocytes; Osteoblasts; Tendons; Tenocytes; Teeth; Odontoblasts; Cartilage; Chondrocytes; Synovial membra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Immunology (AREA)
  • Virology (AREA)
  • Zo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4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28

[화학식 2]
Figure pat00029

[화학식 3]
Figure pat00030

[화학식 4]
Figure pat00031

Description

녹용에서 분리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Pharmaceuticals or health functional foods for treating or preventing non-alcoholic fatty acid liver disease comprising novel compounds isolated from Cervus nippon}
본 발명은 녹용에서 분리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지방간은 간 내 지방이 침착되는 질환으로, 통상적으로 지방침착에 인한 무게가 간 내 무게의 5% 이상으로 이루어진 경우로 정의된다.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on-alcoholic fatty acid liver disease; NAFLD)은 그 중 지방간의 원인이 알코올에 기인되지 않은 경우를 말하며 간 내 단순 지방증(simple steatosis)부터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진행된 섬유화(advanced fibrosis), 간경변(cirrhosis)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모두 포함한다.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은 수년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바이러스성, 알코올성 등 원인이 뚜렷한 경우를 제외한 만성 간질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만성 간질환의 70∼90%가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에 의한 것이라는 보고가 있을 정도이다.
단순한 지방증도 지방간염과 섬유화, 간경변증으로 진행하여 사망까지 초래할 수 있다. 실제로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20∼30%는 조직학적으로 섬유화와 염증을 동반한 지방간염(NASH) 소견을 보였으며, 지방간염으로 진행된 경우 간경변, 간부전 및 간세포암으로 발전할 위험이 높아진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발생 기전에 대해서는 아직 완전히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간에서의 지방 축적은 복부 비만, 고혈압, 제2형 당뇨병, 고지혈증 등과 함께 인슐린 저항성의 한 특징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대사증후군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치료는 우선 지방간과 관련된 인자들, 예컨데 비만, 당뇨병, 고지혈증, 혈압, 관련 약제 등의 원인을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약물 요법으로 체중 감소 약물, 인슐린 저항성 개선 약물, 간세포보호 약물, 항산화제와 같이 다양한 메커니즘에 기반한 약물들이 개발되어 임상시험되고 있으나, 아직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치료제로 승인된 약물은 없는 실정이다. 대부분의 비안코올성 지방간 환자가 과체중 혹은 비만을 동반하고 있으므로 현재로서는 적극적인 체중 감량, 적절한 식이요법, 꾸준한 유산소 운동이 가장 효과적이다.
한편, 최근들어 이러한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치료하기 위하여 한약재나 천연재료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7-0135349호는 인삼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8-0082362호는 증숙된 더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9-0113272호는 해당화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9-0017393호는 해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759516호는 떫은감 및 진피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녹용(Cervi Parvum Cornu)은 사슴과 사슴속(Cervus)에 속한 매화록(Cervus nippon), 마록(Cervus elaphus) 또는 대록(Cervus canadensis) 등의 골질화되지 않은 사슴뿔을 잘라 말린 것이다.
녹용은 전통적으로 보약을 대표하는 한약재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동의보감 등에 따르면 강장작용, 보혈작용, 강정작용, 진통작용, 조혈작용, 생장발육촉진작용, 심부전증 치료작용, 기능항진작용, 피로 회복, 신체 활력증강 및 신장의 이뇨기능 강화 등 매우 다양한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녹용에는 각종 유리 아미노산과 다당류, 글리코사미노글리칸(GAGs), 히알루론산, 케라틴, 시알산, 콜레스테롤, 지방산, 인지질, 무기질 성분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녹용의 복용방법으로는, 녹용을 여러 종류의 생약재와 함께 열수 추출하여 그 여액을 복용하거나, 생약재들과 분쇄하여 가루로 만든 뒤 환(丸)으로 해서 복용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용매추출 및 분획법을 이용하여 녹용에서 생리활성 유효성분을 추출하거나 분리하고자 하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99-0044781호는 녹용(매화록)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고, 상기 클로로포름 추출물에 대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획하여 5종의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분리하고, 그 중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1-Palmitoyl-2-linoleoyl-3-acetyl glycerol(PLAG, 이하 'PLA glycerol')의 조혈모세포 및 혈소판 전구세포 증식 촉진활성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후 PLA glycerol 연구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6-0047447호는 면역조절제 및 항암제, 특허공개 제2015-0021464호는 혈액암 또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 특허공개 제2015-0021465호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특허공개 제2015-0021472호는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특허공개 제2017-0005484호는 백혈구 감소증 및 혈소판 감소증 치료용 조성물, 특허등록 제1817552호는 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Figure pat00001
한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0-0059468호는 녹용(매화록)을 에탄올로 추출하고, 상기 에탄올 추출물에 대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획하여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을 비롯한 4종의 포스포리피드계 신규화합물의 구조 및 이의 항진균 활성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Figure pat00002
녹용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약리활성이 있고, 그 성분들도 매우 다양하여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은 약리적 활성성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용매추출 및 분획법을 이용하여 녹용으로부터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신규 화합물을 분리하는 한편, 상기 신규 화합물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이의 화학적 합성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이용될 수 있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4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화학식 2]
Figure pat00004
[화학식 3]
Figure pat00005
[화학식 4]
Figure pat00006
상기 화학식 1 내지 4의 화합물은 녹용으로부터 분리되거나 화학적으로 합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은 예시적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서로 이성질체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은 다른 예시적으로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서로 이성질체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은 또 다른 예시적으로 상기 화학식 1 내지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지방증 또는 간경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유효성분은 간에서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2의 신규 화합물은 세포독성이 없으며, 동물 실험에서 대조구에 비해 대표적 사이토카인들인 IL-6, IL-1β, TNF-α의 생성이 현저하게 억제되고, 비알코올성 지방간 유도 동물실험(MCDD 동물모델)에서 지방증의 등급(grade of steatosis), 소엽내 염증(lobular inflammation) 및 섬유화(fibrosis)의 정도에서 모두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개선되었으며, 비교예의 화합물(PLA glycerol)과 비교할 때에도 유의적인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신규 화합물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녹용으로부터 3가지 유기 용매를 이용한 추출 방법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녹용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 C2의 분획 방법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획물 C2-2-E-a-Ms의 질량분석 데이터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획물 C2-2-E-a-Ms의 LC 데이터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분획물 C2-2-E-a-Ms의 UV분석 데이터이고, (B)는 비교예의 PLA glycerol의 UV분석 데이터이고, (C)는 공액 리놀레산(conjugated linoleic acid)의 UV분석 데이터이고, (D)는 리놀레산의 UV분석 데이터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신규 화합물의 MTT assay에 따른 세포 생존율(cell viability)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신규 화합물의 IL-6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신규 화합물의 IL-1β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신규 화합물의 TNF-α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신규 화합물의 NO 형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신규 화합물의 투여된 MCDD 동물실험에서 지방증의 등급(grade of steatosis), 소엽내 염증(lobular inflammation) 및 섬유화(fibrosis)의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지방간이 유발된 동물실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신규 화합물의 TNF-α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지방간이 유발된 동물실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신규 화합물의 TGF-β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지방간이 유발된 동물실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신규 화합물의 MCP-1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자는 녹용 유래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선행문헌의 용매추출법 및 분획법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실시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염증성 질환에 우수한 생리활성을 가지는 신규 화합물을 분리하고, 상기 신규 화합물이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대표적 인자인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고, 상기 화합물의 신규 합성 방법을 개발하여 본 발명은 완성하였다.
녹용으로부터 생리활성 성분을 추출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용(매화록)을 헥산, 클로로포름, 70% 에탄올의 3가지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추출을 실시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박막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항염증 활성이 우수한 신규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유기 용매를 통한 추출
시중에서 구입한 매화록(Cervus nippon) 2㎏을 분쇄하여 비이커에 넣고 1차 추출용매로서 헥산(n-Hexane) 9L를 넣은 다음, 80℃에서 2시간 가열하는 방식으로 2회 추출하고 여과하여 헥산 추출액을 얻은 다음, 상기 헥산 추출액을 감압 하에 증류, 건조시켜 추출물 C1 30.3g을 수득하였다.
헥산 추출 후 남은 잔사에 2차 추출용매로서 클로로포름(CHCl3) 9L를 넣은 다음, 8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여 2회 추출하고 여과하여 클로로포름 추출액을 얻은 다음, 클로로포름 추출액을 감압 하에 증류, 건조시켜 추출물 C2 17.9g을 수득하였다.
클로로포름 추출 후 남은 잔사에 3차 추출용매로서 70% 에탄올 9L를 넣은 다음, 80℃에서 5시간 동안 가열하여 2회 추출하고 여과하여 에탄올 추출액을 얻은 다음, 에탄올 추출액을 감압 하에 증류, 건조시켜 추출물 C3 89.2g을 수득하였다.
상기에서 수득된 추출물 C1, C2 및 C3 각각에 대하여 항염증 활성 실험한 결과 추출물 C2에서 항염증 활성 효과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추출물 C2을 대상으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생리활성 성분을 분획하였다.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분말 실리카겔에 CHCl3/MeOH(500:1, v/v) 혼합용액을 가하여 팽윤시킨 후, 열린 컬럼에 충진시켰다. 상기 수득한 추출물 C2 17.9g을 CHCl3/MeOH(500:1, v/v)에 용해시켜 실리카겔이 충진된 컬럼에 적용시켰다. 컬럼에 용리액으로서 CHCl3/MeOH(500:2, v/v)을 흘러 넣어주면서 50㎖ 씩의 용출분획을 받은 다음, TLC(전개용매: CHCl3/MeOH=300:1)로 전개하여 요오드(I2)로 발색시킨 후 Rf치에 따라 분리하여 7개의 주요 분획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각각의 분획을 감압증류하여 건조시켜 분획물 C2-1 내지 C2-7을 수득하였다. 상기 7가지의 분획물에 대하여 항염증 활성 실험한 결과 분획물 C2-2에서 항염증 활성 효과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분획물 C2-2를 대상으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생리활성 성분을 다시 분획하였다.
상기 분획물 C2-2 1.8g을 취하였다. 분말 실리카겔 20g에 헥산(n-Hx)/에틸아세테이트(EA)(50:1) 혼합용액 50㎖를 가하여 팽윤시켜 컬럼에 충진시켰다. 분획물 C2-2 1.8g을 용리액인 n-Hx/EA(50:1, v/v) 최소량에 용해시켜 실리카겔 컬럼에 적용시켰다. 상기 실리카겔 컬럼에 용리액을 흘려주면서 15㎖씩 용출분획을 받아 TLC(전개용매: n-Hx/EA=50:1, v/v)로 전개하고, 요오드로 발색시킨 후 Rf에 따라 분리하여 6개의 주요 분획을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된 각각의 분획을 감압증류시키고 건조시켜 분획물 C2-2-A 내지 C2-2-F을 수득하였다. 상기 6가지의 분획물에 대하여 항염증 활성 실험한 결과 분획물 C2-2-E에서 항염증 활성 효과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분획물 C2-2-E를 대상으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생리활성 성분을 다시 분획하였다.
상기 분획물 C2-2-E 212㎎을 취하였다. 분말 실리카겔 3.5g에 n-Hx/EA/AcOH(20:1:0.5, v/v/v) 혼합용액 10㎖를 가하여 팽윤시켜 컬럼에 충진시켰다. 분획물 C2-2-E 212㎎을 용리액인 n-Hx/EA/AcOH(20:1:0.5, v/v/v)에 용해시켜 실리카겔 컬럼에 적용시켰다. 상기 실리카겔 컬럼에 용리액을 흘려주면서 10㎖씩 용출분획을 받아 TLC(전개용매: n-Hx/EA/AcOH=20:1:0.5, v/v/v)로 전개하고, 요오드로 발색시킨 후 Rf에 따라 분리하여 2개의 주요 분획을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된 각각의 분획을 감압증류시키고 건조시켜 각각 분획물 C2-2-E-a 및 C2-2-E-b을 수득하였다. 상기 2가지의 분획물에 대하여 항염증 활성 실험한 결과 분획물 C2-2-E-a에서 항염증 활성 효과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분획물 C2-2-E-a를 대상으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생리활성 성분을 다시 분획하였다.
상기 분획물 C2-2-E-a 137㎎을 취하였다. 이 C2-2-E-a에 메탄올 5㎖을 가하여 혼합시켜 메탄올-가용성 분획물 C2-2-E-a-Ms)과 메탄올-불용성 분획물 C2-2-E-a-Mi)으로 분리하고 각각의 분획을 감압증류시키고 건조시켜 분획물 C2-2-E-a-Ms는 63㎎을 수득하였다. 상기 2가지의 분획물에 대하여 항염증 활성 실험한 결과 분획물 C2-2-E-a-Ms에서 항염증 활성 효과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후술하는 실험예 2에 따른 방법을 통하여 상기 분획물의 항염증 억제 평가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분획물
(100㎍/ml)
IL-6 생성량
(pg/ml)
IL- 생성량
(pg/ml)
TNF-α 생성량
(pg/ml)
C2-2 453 59 283
C2-2-E 402 43 233
C2-2-E-a 321 36 197
C2-2-E-a-Ms 253 34 162
상기 표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분획물이 소분획될수록 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인 IL-6, IL-1β, TNF-α의 생성이 억제됨을 알 수 있다.
분획물 중 가장 염증 억제 활성이 높은 분획물 C2-2-E-a-Ms의 유효성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MALDI-TOF/TOF 질량분석기(Bruker UltraflextremeTM, German), 액체 크로마토그래피(LC) 및 UV 분석기를 이용하여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도 3은 분획물 C2-2-E-a-Ms의 질량분석 데이터이고, 도 4는 분획물 C2-2-E-a-Ms의 LC 데이터이고, 도 5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분획물 C2-2-E-a-Ms의 UV분석 데이터, (B)는 비교예의 PLA glycerol의 UV분석 데이터, (C)는 공액 리놀레산(conjugated linoleic acid)의 UV분석 데이터, (D)는 리놀레산의 UV분석 데이터이다.
본 발명의 분획물 C2-2-E-a-Ms의 유효성분의 질량을 분석한 결과, 질량은 녹용으로부터 분리된 공지의 PLA glycerol(특허공개 제1999-0044781호의 화합물 KJ-3)과 동일하였으나, UV분석 결과 PLA glycerol과는 전혀 다른 UV분석 패턴을 보였다. 도 5의 (C) 공액 리놀레산(Conjugated linoleic acid) UV 패턴, (D) 리놀레산(Linoleic acid)의 UV 패턴과 비교함으로써 본 발명의 분획물 C2-2-E-a-Ms의 화합물은 공액 리놀레오일(Conjugated linoleoyl)의 신규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항염증 생리활성 유효성분은 글리세롤 구조에 아세틸기(acetyl), 팔미토일(palmitoyl), 공액 리놀레오일(conjugated linoleoyl)이 결합된 하기 화학식 1 내지 4로 표시되는 신규 화합물임이 본 발명에서 비로소 확인되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7
[화학식 2]
Figure pat00008
[화학식 3]
Figure pat00009
[화학식 4]
Figure pat00010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PCA glycerol의 화학적 합성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 화학식 2의 화합물(PCA glycerol)은 하기 반응식 1에 따라 고수율로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pat00011
본 발명에 따른 PCA glycerol은,
(a) 팔미트산과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염기 조건 하에서 반응시켜 1-팔미토일 글리세롤을 합성하는 단계;
(b) 상기 1-팔미토일 글리세롤과 아세틸 할라이드를 염기 조건 하에서 반응시켜 1-팔미토일-3-아세틸 글리세롤을 합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1-팔미토일-3-아세틸 글리세롤과 공액 리놀레산(Conjugated linoleic acid)를 염기 조건 하에서 반응시켜 1-팔미토일-2-공액 리놀레오일-3-아세틸 글리세롤(PCA glycerol)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a)에서 화학식 5의 화합물은 1,3-디올 화합물로 보호된 글리세롤 유도체이다. 상기 반응은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와 같은 염기 조건 하에서 실시될 수 있고, 팔미트산의 반응활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피바로일 할라이드(Pivaloyl halide)를 첨가하여 anhydride reaction을 통해 실시될 수 있다. 반응 후 염산 등을 사용하여 탈보호시키면 1-팔미토일 글리세롤이 합성된다. 팔미트산과 화학식 5의 화합물의 당량(eq.)은 0.9:1.1 ~ 1.1:0.9가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계 (b)에서 1-팔미토일 글리세롤과 아세틸 할라이드의 당량은 1:1 ~ 1:1.6가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계 (c)에서 공액 리놀레산의 반응활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피바로일 할라이드(Pivaloyl halide)를 첨가하여 anhydride reaction을 통해 실시될 수 있다. 1-팔미토일-3-아세틸 글리세롤과 공액 리놀레산의 당량(eq.)은 0.9:1.1 ~ 1.1:0.9가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3, 화학식 4의 화합물(CPA glycerol)은 하기 반응식 2에 따라 고수율로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2]
Figure pat00012
본 발명에 따른 CPA glycerol은,
(a) 공액 리놀레산(Conjugated linoleic acid)과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염기 조건 하에서 반응시켜 1-공액 리놀레오일-글리세롤을 합성하는 단계;
(b) 상기 1-공액 리놀레오일-글리세롤과 아세틸 할라이드를 염기 조건 하에서 반응시켜 1-공액 리놀레오일-3-아세틸 글리세롤을 합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1-공액 리놀레오일-3-아세틸 글리세롤과 팔미트산을 염기 조건 하에서 반응시켜 1-공액 리놀레오일-2-팔미토일-3-아세틸 글리세롤(CPA glycerol)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a), (c)에서 anhydride reaction을 위해 피바로일 할라이드(Pivaloyl halide)를 첨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의 합성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1 -Palmitoyl-2-conjugated- linoleoyl -3-acetyl glycerol (PCA glycerol)의 제조
(1) 1-Palmitoyl glycerol의 제조
Figure pat00013
Methylene chloride(MC) 200ml에 Palmitic acid 20.0g과 triethylamine 17.0g을 첨가하고 0℃로 냉각한 후, Pivaloyl chloride 10.0g을 천천히 적가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Solketal 10.8g과 4-Dimethylaminopyridine 0.1g을 첨가한 후 실온에서 12시간 교반하고 정제수 200ml를 첨가하고 층분리 후 유기층은 진공 농축하였다. 농축 모액에 Methanol 200ml, 염산 20ml를 투입하고 실온에서 10시간 교반 후 n-hexane 300ml, 정제수 300ml를 투입하고 3시간 교반 후 여과하고 진공 건조하여 목적 화합물 21.9g (수율:85.0%)을 수득하였다.
(2) 1-Palmitoyl-3-acetyl glycerol의 제조
Figure pat00014
MC 200ml에 상기 수득된 1-Palmitoyl glycerol 20.0g과 Pyridine 33.5g, 4-Dimethylaminopyridine 0.2g을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Acetyl chloride 7.1g을 적가하고 5시간 교반하였다. 정제수 200ml를 투입하고 묽은 염산으로 중화하고 층분리 한 후 유기층을 MgSO4로 탈수한 후 진공 농축하고 n-hexane 100ml를 투입하고 10℃ 이하에서 결정화하여 여과 후 진공 건조하여 목적 화합물 18.5g (수율: 82.0%)을 수득하였다.
(3) 1-Palmitoyl-2-C- linoleoyl -3-acetyl glycerol (PCA glycerol)의 제조
Figure pat00015
n-Hexane 180ml에 conjugated Linoleic acid(cis-9,trans-11/trans-10,cis-12) 14.0g과 triethylamine 10.8g을 첨가하고 0℃로 냉각하고 Pivaloyl chloride 7.0g을 천천히 적가하였다. 적가 완료 후 동온도에서 1시간 교반 후, 1-Palmitoyl-3-Acetyl glycerol 18.0g과 4-Dimethylaminopyridine 1.0g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0시간 교반하였다. 정제수 180ml를 투입하고 층분리 하고 유기층은 MgSO4로 탈수한 후 진공 농축하고 실리카겔 컬럼 정제(용출액: n-Hx:EA=20:1, v/v)하여 목적화합물 26.1g (수율: 85%)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1 -Conjugated- linoeoyl -2- palmitoyl -3-acetyl glycerol (CPA glycerol)의 제조
(1) 1-C- linoleoyl glycerol의 제조
Figure pat00016
n-Hexane 200ml에 conjugated Linoleic acid(cis-9,trans-11/trans-10,cis-12) 22.0g과 triethylamine 10.8g을 첨가하고 0℃로 냉각하고 Pivaloyl chloride 7.0g을 천천히 적가하고 동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Solketal 10.8g과 4-Dimethylaminopyridine 0.1g을 첨가한 후 실온에서 12시간 교반하고 정제수 200ml를 첨가하고 층분리 후 유기층은 진공 농축하였다. 농축 모액에 methanol 200ml, 염산 20ml를 투입하고 실온에서 교반하여 10시간 교반 후 n-hexane 300ml, 정제수 300ml를 투입하고 3시간 교반 후 여과하고 진공 건조하여 목적 화합물 22.8g (수율: 82%)을 수득하였다.
(2) 1-C- linoleoyl -3-acetyl glycerol의 제조
Figure pat00017
MC 200ml에 1-C-linoleoyl glycerol 20.0g과 pyridine 33.5g, 4-Dimethylaminopyridine 0.2g을 첨가하고 1시간 교반한 다음, Acetyl chloride 6.6g을 적가하고 5시간 교반하였다. 정제수 200ml를 투입하고 묽은 염산으로 중화하고 층분리한 후 유기층을 MgSO4로 탈수한 후 진공 농축하고 n-hexane 100ml를 투입하고 10℃ 이하에서 결정화하여 여과 후 진공건조하여 목적 화합물 17.7g (수율: 79.0%)을 수득하였다.
(3) 1-C- linoleoyl -2- palmitoyl -3-acetyl glycerol (CPA glycerol)의 제조
Figure pat00018
n-Hexane 180ml에 Palmitic acid 12.2g과 triethylamine 10.8g을 첨가하고 0℃로 냉각하여 Pivaloyl chloride 7.0g을 천천히 적가하였다. 적가 완료 후 동온도에서 1시간 교반 후 1-C-linoleoyl-3-acetyl glycerol 18.0g과 4-Dimethylaminopyridine 1.0g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0시간 교반하였다. 정제수 180ml를 투입하고 층분리 하고 유기층은 MgSO4로 탈수한 후 진공 농축하고 실리카겔 컬럼 정제(용출액: n-Hx:EA=20:1, v/v)하여 목적화합물 25.9g (수율: 86%)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 1-Palmitoyl-2- linoleoyl -3-acetyl glycerol (PLA glycerol)의 제조
Figure pat00019
실시예 1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되 conjugated Linoleic acid(cis-9,trans-11/trans-10,cis-12) 대신 Linoleic acid(cis-9,cis-12)를 사용하여 PLA glycerol을 합성하였다.
n-Hexane 180ml에 Linoleic acid(cis-9,cis-12) 14.0g과 triethylamine 10.8g을 첨가하고 0℃로 냉각하고 Pivaloyl chloride 7.0g을 천천히 적가하였다. 적가 완료 후 동온도에서 1시간 교반 후, 1-Palmitoyl-3-acetyl glycerol 18.0g과 4-Dimethylaminopyridine 1.0g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0시간 교반하였다. 정제수 180ml를 투입하고 층분리하고 유기층은 MgSO4로 탈수한 후 진공 농축하고 실리카겔 컬럼 정제(용출액: n-Hx:EA=20:1, v/v)하여 목적화합물 24.9g (수율: 81%)을 수득하였다.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에서 합성된 화합물의 항염증 활성 실험을 다음과 같은 동물실험으로 평가하였다.
A. 실험동물
실험동물로서 8주령 C57BL/6 마우스를 온도 22±2℃, 상대습도 65±5%로, 명암 12시간 주기의 환경에서 7일 동안 사육하여 실험실 환경에 적응시킨 뒤 실험에 사용하였다. 고형사료(삼양사료)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였다.
B. 복강대식세포의 분리 배양
마우스에 HBSS를 복강 주사하여 대식세포(macrophage)를 추출하고, 3,000rpm에 5분간 원심분리 후 10% 소태아혈청(FBS)을 첨가한 DMEM배지에 100units/mL의 penicillin/streptomycin을 넣어 복강대식세포를 분리하였으며,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 MTT assay를 통한 세포 독성 평가
상기 배양된 복강대식세포를 3×105 cells/well로 96웰 플레이트에 100uL씩 분주하여 밤새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후 상기 실시예 1(PCA glycerol), 실시예 2(CPA glycerol)의 화합물을 농도별(각각 10㎍/ml, 100㎍/ml 및 200㎍/ml)로 복강대식세포에 처리한 다음,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MTT(5mg/mL) 시약을 40uL씩 분주하고 CO2 배양기에서 4시간 배양한 뒤, MTT 시약을 제거하고 DMSO 시약을 600uL씩 분주한 다음 30분간 상온에서 방치하였다. 이후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microplate reader)로 540 nm에서 흡광도(OD)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화합물의 MTT assay에 따른 세포 생존율(cell viability)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와 도 6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표 2 및 도 6에 보이는 바와 같이 세포 생존율은 최고 200㎍/ml 처리시에도 유의적인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신규 화합물은 세포 독성이 없음이 확인되었다.
정상군 실시예1 (㎍/ml) 실시예2 (㎍/ml)
10 100 200 10 100 200
세포
생존율(%)
100±1.2 100±2.1 98.3±1.9 98.1±1.2 100±0.9 98.3±1.7 98.0±2.8
실험예 2: 항염증 활성 실험(IL-6, IL- 및 TNF-α 생성 억제 평가)
염증 반응 유도인자인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s, LPS)로 유도된 마우스 복강대식세포로부터 분비된 IL-6, IL-1β 및 TNF-α 분비량을 ELISA assay(Millipore사, USA)를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항염증 활성을 평가하였다.
세포 배양액을 얻기 위해 마우스 복강대식세포를 3×105 cells/mL로 조절하여 96웰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24시간 배양 후 상기 실시예 1(PCA glycerol), 실시예 2(CPA glycerol) 및 비교예(PLA glycerol)의 화합물을 농도별(각각 10㎍/ml, 100㎍/ml 및 200㎍/ml)로 처리하고, LPS(1㎍/ml)를 처리하였다. 정상군는 무처리, 대조군은 LPS(1㎍/ml)만을 복강대식세포에 처리하였다. 12시간 배양 후 원심분리를 통해 상층액을 얻었다. ELISA는 마이크로플레이트에 포획 항체(capture antibody)로 항-마우스 IL-6, IL-1β 및 TNF-α를 분주하였다. 이후 0.05% Tween 20이 포함된 인산완충식염수(PBST)로 세척하고 10% FBS으로 차단한 뒤 PBST로 세척하고 웰에 세포 배양 상층액을 분주하고 실온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PBST로 세척하고 희석한 비오티닐된(biotinylated) 항-마우스 IL-6, IL-1β 및 TNF-α 검출 항체(detection antibody)와 스트렙타비딘-HRP 접합체(streptavidin-horseradish peroxydase conjugate)를 분주하여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다시 PBST로 세척하고 OPD 용액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30분 동안 암반응시켰다. 2 N H2SO4로 반응을 종료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화합물의 IL-6 생성량을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도시하고, 도 7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표 3 및 도 7에 보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화합물은 대조군에 비해 IL-6 생성량이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비교예와 대비할 때도 유의적인 IL-6 생성 억제 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LPS (1㎍/ml)
정상군 대조군 실시예1 (㎍/ml) 실시예2 (㎍/ml) 비교예 (㎍/ml)
10 100 200 10 100 200 10 100 200
IL-6
생성량
(pg/ml)
150±18 834±32 321±22 225±23 180±25 325±13 234±20 179±17 364±16 251±24 203±25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화합물의 IL-1β 생성량을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도시하고, 도 8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표 4 및 도 8에 보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화합물은 대조군에 비해 IL-1β 생성량이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비교예와 대비할 때도 유의적인 IL-1β 생성 억제 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LPS (1㎍/ml)
정상군 대조군 실시예1 (㎍/ml) 실시예2 (㎍/ml) 비교예 (㎍/ml)
10 100 200 10 100 200 10 100 200
IL-1β
생성량
(pg/ml)
25±1.8 72±3.5 40±2.9 28±2.3 26±2.8 40±1.7 32±2.4 28±1.7 43±2.2 31±2.4 31±3.1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화합물의 TNF-α 생성량을 측정하여 하기 표 5에 도시하고, 도 9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표 5 및 도 9에 보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화합물은 대조군에 비해 TNF-α 생성량이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비교예와 대비할 때도 유의적인 TNF-α 생성 억제 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LPS(1㎍/ml)
정상군 대조군 실시예1 (㎍/ml) 실시예2 (㎍/ml) 비교예 (㎍/ml)
10 100 200 10 100 200 10 100 200
TNF-α 생성량
(pg/ml)
113±11 375±16 170±8 153±11 121±10 175±7 151±10 123±7 184±21 155±12 137±7
실험예 3: 항염증 활성 실험(NO 형성 억제 평가)
상기 배양된 복강대식세포를 10% FBS가 포함된 DMEM에 현탁시킨 후, 96웰 플레이트에 5×105 cells/well로 분주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고, 새로운 DMEM배지로 교환한 후, 실시예 1, 2 및 비교예의 화합물 각각을 농도별(각각 10㎍/ml, 100㎍/ml 및 200㎍/ml)로 복강대식세포에 처리하고 LPS(1㎍/ml)를 처리한 다음,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상층액을 분리하여 30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분리된 상층액을 새로운 마이크로플레이트(microplate)에 분주하였다. 정상군는 무처리, 대조군은 LPS(1㎍/ml)만을 복강대식세포에 처리하였다.
동일한 양의 Griess 시약(1% sulfanilamide, 0.1% naphthyl-ethylenediamine dihydrochloride, 2% phosphoric acid)을 처리하여 상온에서 10분 반응시켰다. 배양액과 Griess 용액을 5분 동안 반응시킨 후 540nm에서 흡광도(OD)를 측정하였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신규 화합물의 NO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화합물의 일산화질소(NO) 생성율을 측정하여 하기 표 6에 도시하고, 도 10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표 6 및 도 10에 보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화합물은 대조군에 비해 NO 생성율이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비교예와 대비할 때도 유의적인 NO 생성 억제 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LPS (㎍/ml)
정상군 대조군 실시예1 (㎍/ml) 실시예2 (㎍/ml) 비교예 (㎍/ml)
10 100 200 10 100 200 10 100 200
NO
생성율
(%)
25±2 100±4 52±3 43±3 37±4 50±2 44±3 34±1 56±3 45±2 41±3
실시예 4.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ASH) 동물모델 실험
마우스의 MCDD 식이 모델에서 MCDD(methionine choline-deficient diet)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을 유발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메티오닌(methionine)과 콜린(choline)은 간에서 베타-산화와 초저밀도 지질단백(Very low-density lipoprotein: VLDL) 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데, 이러한 메티오닌 및 콜린의 결핍은 마우스에 지방간을 유발시킨다. MCDD 식이 모델은 조직병리학적으로 간소엽 내 염증이 심하게 유발되기 때문에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개선 효과를 관찰하기 위한 모델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실시예 1 및 2의 화합물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발병 예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MCDD를 6주간 섭취시킨 동물모델을 이용하였다.
NASH의 일반적인 현미경 소견은 지방증(steatosis), 소엽내 염증(lobular inflammation), 동모양혈관주변 섬유화(fibrosis)를 보인다. NASH 임상연구 기관인 Clinical Research Network(CRN)에서는 NASH 질환에 해당하는 병변에 대해 자세한 등급체계를 고안하여 NASH 질환의 활동 점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ctivity score, NAS)를 제안하였고, 이는 재현성이 뛰어나 여러 연구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CRN의 분류 체계에 근거하여 동물모델의 간 조직 관찰 결과에서 지방증의 등급(grade of steatosis), 소엽내 염증(lobular inflammation) 및 섬유화(fibrosis)의 정도를 점수화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들이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진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8주령 C57BL/6 마우스를 4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실험군은 (i)MCDD만 6주간 공급하여 NASH 발병을 유도한 대조군(Control), (ii)MCDD + 실시예 1의 화합물 50 mg/kg/day을 함께 6주간 경구투여한 투여군, (ⅲ)MCDD + 실시예 2의 화합물 50 mg/kg/day을 함께 6주간 경구투여한 투여군, (ⅳ)MCDD + 비교예의 화합물 50 mg/kg/day을 함께 6주간 경구투여한 투여군으로 하였다. 식이 실험 종료 후 각각의 마우스 간 조직을 채취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함으로써 지방증의 정도, 소엽내 염증 및 섬유화 정도를 확인하고, NAS 체계에 따라 지방증의 등급(grade of steatosis), 소엽내 염증(lobular inflammation) 및 섬유화(fibrosis)의 정도를 평가하여 표 7 및 도 11에 나타내었다.
대조구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
Grade of steatosis 1.92±0.27 0.97±0.29 1.03±0.36 1.12±0.21
Lobular inflammation 2.58±0.19 0.43±0.16 0.41±0.24 0.71±0.26
Fibrosis 2.16±0.28 0.57±0.11 0.51±0.18 0.89±0.31
상기 표 7 및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화합물과 실시예 2의 화합물의 투여는 지방증의 등급(grade of steatosis), 소엽내 염증(lobular inflammation) 및 섬유화(fibrosis)의 정도에서 모두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비교예의 화합물과 비교할 때 유의적인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지방간 조직 내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 평가
MCDD로 유도된 지방간 조직 내 염증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간을 떼어 내고 PBS로 세척, 파쇄한 다음, PBS 내에서 70 μm 메쉬 셀 스트레이너(mesh cell strainer)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5분 동안 2,000 rpm의 속도로 원심분리하여 상청액을 수집하고, ELISA assay(Millipore사, USA)를 이용하여 TGF-α, TNF-β 및 MCP-1의 발현 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항-마우스 TGF-α, TNF-β 및 MCP-1 포획 항체(capture antibody)를 마이크로플레이트에 분주하였다. 이후 0.05% Tween 20이 포함된 인산완충식염수(PBST)로 세척하고 10% FBS으로 차단한 뒤 PBST로 세척하고 웰에 상청액을 분주하고 실온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PBST로 세척하고 희석한 비오티닐된(biotinylated) 항-마우스 TGF-α, TNF-β 및 MCP-1 검출 항체(detection antibody)와 스트렙타비딘-HRP 접합체(streptavidin-horseradish peroxydase conjugate)를 분주하여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다시 PBST로 세척하고 OPD 용액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30분 동안 암반응시켰다. 2N H2SO4로 반응을 종료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화합물의 TGF-β, TNF-α 및 MCP-1 생성량을 각각 측정하여 하기 표 8 내지 표 10에 도시하고, 도 12 내지 14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 MCDD
정상군 대조군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
TNF-α
생성량
(pg/ml)
9.3±1.7 108.6±25.9 35.3±10.6 37.4±8.5 62.2±13.1
억제율(%) - - % % %
상기 표 8 및 도 1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COPD를 유발한 대조군에서 TNF-α 생성량은 151.6±10.6 pg/ml로 나타나 정상군의 7.1±1.1 pg/ml보다 현저히 증가하였으나, 실시예 1의 화합물 투여군은 42.3±8.5 pg/ml로 대조군 대비 72% 억제율, 실시예 2의 화합물 투여군은 39.8±6.7 pg/ml로 74% 억제율로 비교예(61% 억제율)와 비교할 때 TNF-α 생성량에 있어 유의적인 감소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 MCDD
정상군 대조군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
TNF-β
생성량
(pg/ml)
2.9±1.6 125.4±18.6 15.4±3.5 24.3±11.2 25.7±8.6
억제율(%) - - % % %
상기 표 9 및 도 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COPD를 유발한 대조군에서 MIP2 생성량은 301.4±16.7 pg/ml로 나타나 정상군의 62.1±7.1 pg/ml보다 현저히 증가하였으나, 실시예 1의 화합물 투여군은 91.2±11.5 pg/ml로 대조군 대비 70% 억제율, 실시예 2의 화합물 투여군은 95.3±5.6 pg/ml로 68% 억제율로 비교예(63% 억제율)와 비교할 때 MIP2 생성량에 있어 유의적인 감소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 MCDD
정상군 대조군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
MCP-1
생성량
(pg/ml)
50.4±12.1 354.4±28.2 76.4±12.0 75.5±24.1 101.6±28.3
억제율(%) - - % % %
상기 표 10 및 도 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COPD를 유발한 대조군에서 CXCL-1 생성량은 250.4±18.7 pg/ml로 나타나 정상군의 64.2±8.1 pg/ml보다 현저히 증가하였으나, 실시예 1의 화합물 투여군은 77.3±12.0 pg/ml로 대조군 대비 69% 억제율, 실시예 2의 화합물 투여군은 84.9±8.6 pg/ml로 66% 억제율로 비교예(64% 억제율)와 비교할 때 CXCL-1 생성량에 있어 유의적인 감소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학식 1 내지 4의 화합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 건조제 등 통상의 약학적 조성물 형태일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 등 약학적 제제에 이용되는 첨가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질병의 종류,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학식 1 내지 4의 화합물은 건강기능식품의 유효성분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은 비의약품으로 사용되는 식품으로,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시적으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 건조제 등 통상의 약학적 조성물 형태일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일 수 있다.

Claims (6)

  1. 하기 화학식 1 내지 4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20

    [화학식 2]
    Figure pat00021

    [화학식 3]
    Figure pat00022

    [화학식 4]
    Figure pat00023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혼합물인,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혼합물인,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지방증 또는 간경변인,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간에서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인,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하기 화학식 1 내지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화학식 1]
    Figure pat00024

    [화학식 2]
    Figure pat00025

    [화학식 3]
    Figure pat00026

    [화학식 4]
    Figure pat00027
KR1020200008959A 2020-01-22 2020-01-22 녹용에서 분리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KR2021009499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959A KR20210094997A (ko) 2020-01-22 2020-01-22 녹용에서 분리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PCT/KR2021/000940 WO2021150077A1 (ko) 2020-01-22 2021-01-22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959A KR20210094997A (ko) 2020-01-22 2020-01-22 녹용에서 분리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997A true KR20210094997A (ko) 2021-07-30

Family

ID=76991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959A KR20210094997A (ko) 2020-01-22 2020-01-22 녹용에서 분리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94997A (ko)
WO (1) WO20211500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314B1 (ko) * 2018-07-16 2020-02-11 (주) 에프엔지리서치 녹용에서 분리한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3010B1 (ko) * 1997-11-20 2001-04-02 전길자 녹용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혈모세포 및 혈소판 전구세포 증식촉진용 조성물
WO2012060718A1 (en) * 2010-11-05 2012-05-10 Sally Diana Poppitt Preventing or treating metabolic syndrome by administering a trans fatty acid, or a salt, ester or precursor thereof, or sialic acid in free or bound form
CA3037762C (en) * 2014-05-15 2022-03-22 Enzychem Lifesciences Corporation Methods for treating leukopenia and thrombocytopenia
KR101817552B1 (ko) * 2016-10-13 2018-01-11 주식회사 엔지켐생명과학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함유하는 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18545B1 (ko) * 2019-03-07 2021-02-22 주식회사 엔지켐생명과학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50077A1 (ko) 202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55633B2 (ja) 新規サルビアノール酸化合物l、その調製方法及び使用
US7682638B2 (en) Use of hederagenin 3-O-α-L-rhamnopyranosyl(1-2)-[β-D-glucopyranosyl(1-4)]-α-L-arabinopyranoside or an extract from pulsatillae radix containing the same as a therapeutic agent for solid tumors
WO2010140734A1 (ko) 2,5-비스-아릴-3,4-디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리그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에이엠피케이의 활성화에 의해 매개되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09554B1 (ko) 골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그 조성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또는 건강 식품, 그리고 그 조성물을유효 성분으로 하는 의약 제제
JPH01157995A (ja) 鎮痛−抗炎症活性を有するガングリオシドの内部エステル
KR20060125499A (ko)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긴산꼬리풀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카탈폴 유도체를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20210094997A (ko) 녹용에서 분리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KR101052594B1 (ko) 디아실 코에이:글리세롤 아실트랜스퍼라제 저해활성을 갖는감초 추출물, 이의 용매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US8227512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daurinol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ncers
KR20210094996A (ko) 녹용에서 분리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CN112592328B (zh) 草豆蔻中二芳基庚烷-查尔酮聚合物及其药物组合物与应用
EP1416927B1 (en) Sesquiterpenoid derivatives hav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inhibitory effect
US5747527A (en) Furanoeremophilane and eremophilanolide sesquiterpenes for treatment of diabetes
KR20030023232A (ko) 인삼 또는 돌외로부터 사포닌을 추출하는 방법 및 이방법에 따라 추출된 사포닌을 함유하는 식품
KR101089716B1 (ko)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또는 이들의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10064908B2 (en) Method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liver disease
KR101786999B1 (ko) 귀전우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37717B1 (ko) 녹용에서 분리한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 용도
KR20190093849A (ko) 김네마 실베스트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55554B1 (ko) 택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76314B1 (ko) 녹용에서 분리한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 용도
KR100703596B1 (ko) 연수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한캠프페롤-3-글루쿠로나이드를 함유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20190132314A (ko) 김네마 실베스트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86537B1 (ko) 귀전우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44486B1 (ko) 흰민들레로부터 타락신산을 분리하는 방법 및 타락신산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