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2489A - 스포츠 의류 - Google Patents

스포츠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2489A
KR20210092489A KR1020200005956A KR20200005956A KR20210092489A KR 20210092489 A KR20210092489 A KR 20210092489A KR 1020200005956 A KR1020200005956 A KR 1020200005956A KR 20200005956 A KR20200005956 A KR 20200005956A KR 20210092489 A KR20210092489 A KR 20210092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ory
sports
present
tissue
sports clot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슬기
Original Assignee
배슬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슬기 filed Critical 배슬기
Priority to KR1020200005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2489A/ko
Priority to PCT/KR2020/000793 priority patent/WO2021145482A1/ko
Publication of KR20210092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24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5Sports garments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088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10Knitte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포츠 의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포츠 의류 착용자가 스포츠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압박 또는 물리적 저항을 받는 부분에 신축성을 가지는 부속품을 봉제 결합함으로써, 스포츠 수행 과정에서 착용자의 유연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고, 이로 인하여 스포츠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포츠 의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스포츠 의류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스포츠 의류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 중, 착용자가 스포츠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압박을 받는 부분에 봉제되어 결합되는 부속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부속품은 니트 편직으로 형성되되, 신축성을 가지는 신축 조직부 및 상기 신축 조직부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봉제되는 시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포츠 의류{Sports clothing}
본 발명은 스포츠 의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포츠 의류 착용자가 스포츠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압박 또는 물리적 저항을 받는 부분에 신축성을 가지는 부속품을 봉제 결합함으로써, 스포츠 수행 과정에서 착용자의 유연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고, 이로 인하여 스포츠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포츠 의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골프, 사이클 등의 다양한 스포츠를 즐기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각 스포츠를 수행하는 사람들을 위한 기능성 스포츠 의류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스포츠 의류의 착용자는 스포츠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굽힘 또는 비틀림 움직임이 많이 발생하는 부분에서 압박을 받게 되고, 움직임에 대한 불편함을 느끼게 되며, 이로 인하여 기존의 스포츠 의류가 경기력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44510호는 스윙의 일관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스윙 속도 및 비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골프 의류를 개시하고 있고, 일본 등록특허 제5150681호는 골프 스윙시 신축성 부족에 의한 조임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골프 셔츠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들은 단순히 골프 스윙에 도움을 주는 골프 의류를 개시하고 있을 뿐, 신축 동작을 수행하는 부속품의 구체적인 구성 및 배치에 대해 제시하지 못하고 시각적 효과을 향상시키는 구조에 대해서도 전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44510호(공고일자 : 2019년 01월 31일, 발명의 명칭 : 골프 의류) 선행기술문헌2 : 일본 등록특허 제5150681호(등록일자 : 2012년 12월 07일, 발명의 명칭 : 골프 셔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스포츠 의류 착용자가 스포츠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압박 또는 물리적 저항을 받는 부분에 신축성을 가지는 부속품을 봉제 결합함으로써, 스포츠 수행 과정에서 착용자의 유연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고, 이로 인하여 스포츠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포츠 의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골프용 상의, 골프용 하의, 사이클용 상의, 사이클용 하의 등 다양한 스포츠 의류에 적용될 수 있고, 특히 골프용 상의에 가장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부속품이 골프용 상의의 등쪽 어께 부분 접촉 영역과 팔꿈치 부분 접촉 영역에 봉제되어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골퍼가 골스 스윙을 더 편하고 유연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골프 경기력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포츠 의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속품이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늘어난 상태인 경우, 줄어든 상태에서 노출시키는 색상과 다른 색상을 추가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신축의 정도를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움직임에 따른 역동성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디자인과 미적 효과가 상승되도록 하는 스포츠 의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니트 편직으로 부속품을 형성하되, 안조직에 충분히 큰 통공이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부속품이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늘어난 상태인 경우, 통기성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포츠 의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인 스포츠 의류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스포츠 의류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 중, 착용자가 스포츠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압박을 받는 부분에 봉제되어 결합되는 부속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부속품은 니트 편직으로 형성되되, 신축성을 가지는 신축 조직부 및 상기 신축 조직부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봉제되는 시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포츠 의류는 골프용 상의에 해당되고, 상기 부속품은 상기 골프용 상의의 등쪽 어께 부분 접촉 영역과 팔꿈치 부분 접촉 영역에 봉제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부속품의 신축 조직부는 상기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늘어난 상태인 경우, 줄어든 상태에서 노출시키는 색상과 다른 색상을 추가적으로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 및 해결 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인 스포츠 의류에 의하면, 스포츠 의류 착용자가 스포츠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압박 또는 물리적 저항을 받는 부분에 신축성을 가지는 부속품을 봉제 결합하기 때문에, 스포츠 수행 과정에서 착용자의 유연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고, 이로 인하여 스포츠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포츠 의류는 골프용 상의, 골프용 하의, 사이클용 상의, 사이클용 하의 등 다양한 스포츠 의류에 적용될 수 있고, 특히 골프용 상의에 가장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부속품이 골프용 상의의 등쪽 어께 부분 접촉 영역과 팔꿈치 부분 접촉 영역에 봉제되어 결합되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골퍼가 골스 스윙을 더 편하고 유연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골프 경기력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부속품이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늘어난 상태인 경우, 줄어든 상태에서 노출시키는 색상과 다른 색상을 추가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신축의 정도를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움직임에 따른 역동성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디자인과 미적 효과가 상승되도록 하는 장점이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니트 편직으로 부속품을 형성하되, 안조직에 충분히 큰 통공이 형성되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부속품이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늘어난 상태인 경우, 통기성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의류의 배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의류에 적용되는 부속품의 평상시 상태(줄어든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의류에 적용되는 부속품의 늘어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의류에 적용되는 부속품의 실물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의류를 구성하는 본체에 부속품을 봉제한 후, 부속품의 평상시 상태(줄어든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의류를 구성하는 본체에 부속품을 봉제한 후, 부속품의 늘어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의류를 입은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부속품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스포츠 의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동작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동작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의류의 배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의류에 적용되는 부속품의 평상시 상태(줄어든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의류에 적용되는 부속품의 늘어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의류에 적용되는 부속품의 실물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의류를 구성하는 본체에 부속품을 봉제한 후, 부속품의 평상시 상태(줄어든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의류를 구성하는 본체에 부속품을 봉제한 후, 부속품의 늘어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의류를 입은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부속품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의류(100)는 본체(10)와 부속품(3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의류(100)는 골프용 상의, 골프용 하의, 사이클용 상의, 사이클용 하의 등 다양한 스포츠용 상의 또는 하의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스포츠 의류(100)를 구성하는 본체(10)는 각 스포츠 의류(100) 중, 상기 부속품(30)이 결합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포츠 의류(100)가 골프용 상의인 경우, 등쪽 어깨 부분 접촉 영역(12)과 팔꿈치 부분 접촉 영역(14)에 위치하는 상기 부속품(30)이 결합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부속품(30)은 상기 본체(10) 중, 착용자가 스포츠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압박 또는 물리적 저항을 받는 부분에 봉제되어 결합된다. 상기 부속품(30)은 스포츠 의류 착용자가 스포츠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예를 들어 골프 스윙을 하는 과정 또는 사이클을 타는 과정에서, 전체적으로 불편함이 없이 유연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에서 압박을 받는 부분 또는 물리적 저항을 받는 부분에 봉제 결합된다.
상기 부속품(30)은 기본적으로 신축성을 가져야 하고, 상기 본체(10)에 깔끔하게 봉제 결합될 수 있어야 하며, 더 나아가 우수한 통기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부속품(3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트 편직으로 형성되되, 신축성을 가지는 신축 조직부(31) 및 상기 신축 조직부(31)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에 봉제되는 시접부(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부속품(30)은 기본적으로 니트 편직 기법을 통해 제작 형성되기 때문에, 기본적인 통기성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속품(30)은 반드시 신축성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일정한 니트 조직 패턴의 신축 조직부(31)를 구비하고, 더 나아가 상기 신축 조직부(31)가 상기 본체(10)에 깔끔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신축 조직부(31)의 테두리 부분에서 연장 형성되는 시접부(37)를 구비한다.
상기 부속품(30)은 상기 신축 조직부(31)가 신축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섬유를 이용하여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부속품(30)은 상기 신축 조직부(31)가 최적의 신축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폴리에스테르 고신축사를 이용하여 상기 신축 조직부(31)가 양두 조직으로 니트 편직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나일론과 같은 합성 섬유로써 세탁 후 쉽게 마르고 구김이 잘 가지 않은 특성을 가질뿐 아니라, 잘 늘어남과 동시에 다시 원래대로 줄어들어 복원력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부속품(30)은 span사, Lycra, polyurethan사 등 고무 재질의 탄력사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들 탄력사들은 스포츠 의류의 무게를 증가시키는 단점을 가지기 때문에, 폴레에스테르 재질의 탄력사를 이용한다.
한편, 상기 부속품(30)의 신축 조직부(31)는 폴리에스테르 탄력사를 사용하여 양두 조직으로 니트 편직되어 형성된다. 상기 양두 조직은 니트 편직 과정에서 겉조직과 안조직을 번갈아 사용하여 형성되는 요철감 있는 무늬 패턴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신축 조직부(31)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성을 생성하는 일정한 패턴의 겉조직을 겉면에 형성하고,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성을 생성하는 일정한 패턴의 안조직을 속면에 형성한다. 즉, 상기 신축 조직부(31)의 겉면에는 신축성을 생성하는 겉조직 신축 패턴부(33)가 형성되고, 상기 신축 조직부(31)의 속면에는 신축성을 생성하는 안조직 신축 패턴부(35)가 형성된다.
상기 신축 조직부(31)를 구성하는 상기 겉조직 신축 패턴부(33) 및 상기 안조직 신축 패턴부(35)는 폴리에스테르 탄력사를 이용하여 니트 편직되기 때문에, 높은 신축성을 가진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속품(30)을 양측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여 벌리면, 상기 신축 조직부(31)를 구성하는 상기 겉조직 신축 패턴부(33) 및 상기 안조직 신축 패턴부(35)가 함께 늘어나게 된다(신장된다).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겉조직 신축 패턴부(33) 및 상기 안조직 신축 패턴부(35)는 줄어들어(수축되어), 도 2에 도시된 원래의 상태로 복원된다.
도 4는 상기 부속품(30)의 실제 사진을 보여준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속품(30)은 니트 편집 기법으로 형성된 니트 조직임을 알 수 있고, 일정한 신축 패턴을 가지는 신축 조직부(31)와 이 신축 조직부(31)를 본체(10)에 봉제 결합하기 위하여 신축 조직부(31)의 테두리에서 연장 형성되는 시접부(37)로 구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의류(100)는 다양한 스포츠를 수행하는 사람을 위해 제공될 수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퍼들을 위한 골프용 상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의류(100)인 골프용 상의는 몸통의 전면과 후면에 밀착되는 몸통 전면부(미도시)와 몸통 후면부(11) 그리고 상기 몸통 전면부(미도시)와 몸통 후면부(1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팔에 밀착되는 소매(13)로 구성되는 본체(1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의류(100)인 골프용 상의는 상기 본체(10) 중, 골프용 상의를 착용하는자 즉, 골퍼가 스윙하는 과정에서 압박 또는 물리적 저항을 받는 부분에 봉제 결합되는 부속품(3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골퍼가 스윙하는 과정에서 비틀림, 굽힘 등의 압박 또는 물리적 저항을 가장 많이 받는 부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쪽 어깨 부분 접촉 영역(12)과 팔꿈치 부분 접촉 영역(14)이다. 따라서, 상기 부속품(30)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의류(100)인 골프용 상의를 구성하는 본체(10) 중, 상기 등쪽 어깨 부분 접촉 영역(12)과 팔꿈치 부분 접촉 영역(14)에 각각 봉제 결합된다. 상기 부속품(30)이 봉제 결합되는 상기 본체(10)의 해당 부분은 미리 제거되고, 이 제거된 부분에 상기 부속품(30)이 봉제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포츠 의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용 상의에 해당되고, 상기 부속품(30)은 상기 골프용 상의의 등쪽 어께 부분 접촉 영역(12)과 팔꿈치 부분 접촉 영역(14)에 봉제되어 결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골퍼가 스윙을 하게 되면, 양 등쪽 어깨 부분과 양 팔꿈치 부분에서 굽힘, 비틀림 등의 동작이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골프용 상의를 착용한 골퍼는 상기 양 등쪽 어깨 부분 접촉 영역(12)과 양 팔꿈치 부분 접촉 영역(14)에서 압박을 받아 불편함을 느낀다. 구체적으로, 오른손잡이인 골퍼가 골프용 상의를 착용한 상태에서 백스윙을 하게되면 왼 등쪽 어깨 부분 접촉 영역(12)과 오른 팔꿈치 부분 접촉 영역에서 압박을 받아 불편함을 느끼게 되고, 피니쉬 동작에서는 오른 등쪽 어깨 부분 접촉 영역(12)과 왼 팔꿈치 부분 접촉 영역에서 압박을 받아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의류(100)인 골프용 상의를 구성하는 본체(10) 중, 상기 양 등쪽 어깨 부분 접촉 영역(12)과 양 팔꿈치 부분 접촉 영역(14)에서 상기 부속품(30)이 봉제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를 보여준다. 상기 부속품(30)의 시접부(37)가 상기 본체(10) 내로 인입된 상태로 상기 본체(10)에 봉제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신축 조직부(31)만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가 된다.
도 5는 골프 스윙을 하지 않는 평소의 상태, 즉 줄어든 상태(수축 상태)에서의 상기 신축 조직부(31)를 보여주고 있다. 이 경우에서는 상기 신축 조직부(31)가 늘어난 상태(신장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상기 신축 조직부(31)의 겉면에 형성되는 상기 겉조직 신축 패턴부(33)만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6은 골프 스윙(백스윙 및 피니쉬)을 수행하는 상태, 즉 늘어난 상태(신장 상태)에서의 상기 신축 조직부(31)를 보여주고 있다. 이 경우에서는 상기 신축 조직부(31)가 늘어난 상태(신장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신축 조직부(31)의 겉면에 형성되는 상기 겉조직 신축 패턴부(33)뿐만 아니라 상기 신축 조직부(31)의 속면에 형성되는 안조직 신축 패턴부(35)도 함께 외부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의류(100), 특히 골프용 상의에 적용되는 상기 부속품(30)의 신축 조직부(31)는 상기 착용자(골퍼)의 움직임(스윙)에 따라 늘어난 상태(신장 상태)인 경우, 줄어든 상태(수축 상태)에서 노출시키는 색상과 다른 색상을 추가적으로 노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 조직부(31)는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고신축사를 이용하여 양두 조직으로 니트 편직하여 형성되되, 겉면에 형성되는 겉조직 신축 패턴부(33)와 속면에 형성되는 안조직 신축 패턴부(35)를 서로 다른 색상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고신축사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 조직부(31)는 겉면에 형성되는 겉조직 신축 패턴부(33)가 검정색의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고신축사를 이용하여 형성되고, 속면에 형성되는 안조직 신축 패턴부(35)가 흰색의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고신축사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 조직부(31)는 니트 편직 기법을 통해 형성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통기성이 확보된다. 그러나, 착용자에게 쾌적함을 주기 위하여 간헐적으로 통기성이 더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착용자(골퍼)가 움직임(스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안조직 신축 패턴부(35)가 외부로 노출되면, 통기성이 더욱더 확보될 수 있도록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신축 조직부(31)는 상기 안조직 신축 패턴부(35)의 조직 통공이 상기 겉조직 신축 패턴부(33)의 조직 통공보다 더 크게 형성되도록 니트 편직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 조직부(31)는 니트 편직으로 부속품을 형성하되, 안조직에 충분히 큰 통공이 형성되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부속품이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늘어난 상태인 경우, 통기성이 더욱더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1 : 몸통 후면부
12 : 등쪽 어깨 부분 접촉 영역 13 : 소매
14 : 팔꿈치 부분 접촉 영역 30 : 부속품
31 : 신축 조직부 33 : 겉조직 신축 패턴부
35 : 안조직 신축 패턴부 37 : 시접부
100 : 스포츠 의류

Claims (3)

  1. 스포츠 의류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 중, 착용자가 스포츠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압박을 받는 부분에 봉제되어 결합되는 부속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부속품은 니트 편직으로 형성되되, 신축성을 가지는 신축 조직부 및 상기 신축 조직부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봉제되는 시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의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포츠 의류는 골프용 상의에 해당되고, 상기 부속품은 상기 골프용 상의의 등쪽 어께 부분 접촉 영역과 팔꿈치 부분 접촉 영역에 봉제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의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부속품의 신축 조직부는 상기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늘어난 상태인 경우, 줄어든 상태에서 노출시키는 색상과 다른 색상을 추가적으로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의류.
KR1020200005956A 2020-01-16 2020-01-16 스포츠 의류 KR2021009248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956A KR20210092489A (ko) 2020-01-16 2020-01-16 스포츠 의류
PCT/KR2020/000793 WO2021145482A1 (ko) 2020-01-16 2020-01-16 스포츠 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956A KR20210092489A (ko) 2020-01-16 2020-01-16 스포츠 의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489A true KR20210092489A (ko) 2021-07-26

Family

ID=76864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956A KR20210092489A (ko) 2020-01-16 2020-01-16 스포츠 의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92489A (ko)
WO (1) WO202114548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50681B2 (ja) 2010-06-22 2013-02-20 帝人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ゴルフシャツ
KR101944510B1 (ko) 2017-03-06 2019-01-3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골프 의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7727A (ja) * 1999-12-03 2001-06-12 Kazumi Konishi ゴルフスイング矯正衣
JP4084407B1 (ja) * 2007-06-05 2008-04-30 恵子 三宅 スイング矯正上衣
KR101926728B1 (ko) * 2016-10-24 2018-12-07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골프 의류
KR102055143B1 (ko) * 2018-05-18 2019-12-13 전홍석 골프웨어용 장식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50681B2 (ja) 2010-06-22 2013-02-20 帝人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ゴルフシャツ
KR101944510B1 (ko) 2017-03-06 2019-01-3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골프 의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45482A1 (ko) 2021-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09644B (zh) 具有预配置压缩区段和一体式结构图案的训练紧身衣
US9850601B2 (en) Knitted athletic performance garment
CN1976604B (zh) 具有裆部的衣服
JP5947563B2 (ja) 特にサイクリング用のシートパッド付スポーツ衣料
WO2012140754A1 (ja) 衣類
JP2007186829A (ja) 衣料および衣料の製造方法
JP2024029234A (ja) 衣服構造
JPWO2019102870A1 (ja) 衣料の上半身部
US3821817A (en) Glove construction
KR20210092489A (ko) 스포츠 의류
JP4284032B2 (ja) 袖付き衣類
JP2017043863A (ja) 被服
US9192196B2 (en) Underwear with seamless neck portion
KR20040040468A (ko) 의류 물품
JP3215271U (ja) 袖の長さを調整可能な上着
JP4776607B2 (ja) 衣類の袖口部の縫製方法および衣類の袖部の縫製方法
WO2018138948A1 (ja) 衣類
JP6811832B1 (ja) スポーツ用衣料
JP7161542B2 (ja) シャツおよびパンツ
JP3215630U (ja) 衣類用口部材
CN217565002U (zh) 一种瑜伽练习用耐磨针织服装
JP2014029040A (ja) 上衣
WO2021177172A1 (ja) 衣類
KR20040060369A (ko) 팬티 및 그 제조방법
JP2005290592A (ja) シャ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