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2000A - 진공 채혈관 연결 홀더 - Google Patents

진공 채혈관 연결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2000A
KR20210092000A KR1020200005412A KR20200005412A KR20210092000A KR 20210092000 A KR20210092000 A KR 20210092000A KR 1020200005412 A KR1020200005412 A KR 1020200005412A KR 20200005412 A KR20200005412 A KR 20200005412A KR 20210092000 A KR20210092000 A KR 20210092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blood
needle
branch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5826B1 (ko
Inventor
서효석
Original Assignee
서효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효석 filed Critical 서효석
Priority to KR1020200005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826B1/ko
Publication of KR20210092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2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61B5/150213Ven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53Details for enhanced collection of blood or interstitial fluid at the sample site, e.g. by applying compression, heat, vibration, ultrasound, suction or vacuum to tissue; for reduction of pain or discomfort; Skin piercing elements, e.g. blades, needles, lancets or canulas, with adjustable piercing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61B5/150221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61B5/150267Modular design or construction, i.e. subunits are assembled separately before being joined together or the device comprises interchangeable or detachable mod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43Collection vessels for collecting blood samples from the skin surface, e.g. test tubes, cuvet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74Needle sets comprising wings, e.g. butterfly type, for ease of hand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venous or arterial blood, e.g. with syringes
    • A61B5/154Devices using pre-evacuated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채혈관 연결 홀더에 관한 것으로, 버터플라이 니들에 장착된 튜브(5) 일측이 연결되며 내부에 혈액이 이동하는 공급통로(11a)가 형성되어 있는 접속부(11)와, 상기 공급통로(11a)와 연통된 제1분기통로(12a)가 형성되도록 상기 접속부(11)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1분기관부(12)와, 상기 공급통로(11a) 및 제1분기통로(12a)와 연통된 제2분기통로(13a)가 형성되도록 상기 접속부(11)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된 제2분기관부(13)로 구성된 분기관(10)과; 상기 제1분기통로(12a)와 연통되는 공기통로(21)가 형성되도록 제1분기관부(12)와 연결되고, 단부에는 혈액의 통과는 억제하고 공기의 통과는 가능하도록 하는 필터부재(22)가 설치되어 있으며, 관로상에는 단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오리피스부(23)가 형성되어 있는 압력조절관(20)과; 상기 제2분기통로(13a)와 연통되는 연결통로(31)가 형성되도록 제2분기관부(13)와 연결되고, 단부에는 니들(32)이 설치되어 있으며, 니들(32)의 외주면과 하단을 감싸는 고무 재질의 보호부재(33)가 설치되어 있는 연결관(30)과; 진공채혈관(1) 상부가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부가 개방된 하부중공부(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니들(32) 및 보호부재(33)가 상기 하부중공부(41)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부가 상기 연결관(30)의 중간에 연결되어 있는 채혈관보호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버터플라이 니들의 튜브에 장착되는 홀더의 구조를 "Y"자 형상으로 분기된 형태로 형성하고, 분기된 일측 관로는 진공채혈관이 장착되도록 하는 한편, 분기된 타측 관로상에는 공기는 배기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홀더 일측에 진공채혈관을 연결하고, 홀더 타측에 피채혈자에 꽂힌 바늘과 연결된 튜브가 연결된 상태에서 홀더 및 튜브 내부의 공기가 원할히 배기 가능한 구조를 취하여 진공채혈관 내부에 혈액이 원할하게 설계량에 맞게 유입될 수 있게 되고, 역류 압력이 발생할 때, 상기한 분기관을 이용한 배기 구조를 이용하여 용혈을 야기하거나 혈액 유입의 방해 없이 원할하게 압이 해소될 수 있게 되며, 상기 공기가 배기되는 필터가 설치된 관로 내주면은 오리피스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진공채혈관이 홀더에 연결되어 흡입압이 작용할 때, 필터 측을 통해 홀더 측으로 외기가 빨려들어오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진공 채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홀더에 장착된 니들이 고무마개의 외곽이 아닌 중앙을 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고무마개의 혈액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진공 채혈관 연결 홀더{connection holder of vacuum assisted blood colection tube needle set}
본 발명은 진공 채혈관 연결 홀더에 관한 것으로, 홀더가 "Y"자 형태의 분기관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분기관 일측에 혈액 이동은 방지하면서 공기가 통과하는 필터가 장착되어 채혈관 내 혈액 유입이 원할하고,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진공 채혈관 연결 홀더에 관한 것이다.
진공 채혈은 일반 주사기를 이용한 방법, 더블포인트 니들을 이용한 방법, 버터플라이 니들을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우선 일반 주사기를 이용한 방법은 플런저(plunger)를 뒤로 당겨 배럴(barrel) 내에 진공이 생겨 혈액이 주사기 안으로 유입되는 방식으로 종래에 만힝 사용하던 방식이다.
그러나, 일반 주사기를 이용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숙달되지 않아 플런저를 급하게 당기면 허탈이 일어나 혈관이 막힐 수 있고, 용혈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여러 개의 채혈관에 혈액을 저장해야 하는 경우 주사기를 이용하여 채혈관에 혈액을 저장하는 과정에서 공기 접촉을 통한 불순물이 포함될 수 있는 바, 여러 개의 채혈관에 저장하거나, 많은 양을 채혈하는 경우에 권고되지 않는 방식이다.
더블포인트 니들을 이용한 방식은 양쪽 편에 주사침이 있는 더블 포인트 니들과 플라스틱 홀더, 고무마개로 닫힌 진공튜브를 이용하여 진행된다.
먼저, 홀더에 더블 포인트 니들의 일측을 결합시킨 후, 타측의 니들을 피채혈자의 정맥에 꽂은 다음 진공튜브를 홀더에 채결하여 홀더 측 니들이 진공튜브 내측으로 삽입되어 혈액이 진공튜브 내측으로 흡입된다.
버터플라이 니들을 사용하는 방법은 일측에 튜브가 연결되어 있고, 튜브 중간에는 밸브가 설치되어 있고, 단부에 홀더가 구비된 나비주사침을 피채혈자 혈관에 꽂은 다음 홀더에 진공채혈관을 연결하여 마찬가지로 혈액이 진공채혈관에 채워지도록 하며, 진공채혈관을 교체할 경우 밸브를 그때마다 잠갔다 열었다 하는 동작을 반복하면 된다.
더블포인트 니들 및 버터플라이 니들을 사용하는 방법은 한 명의 피채혈자로부터 여러 개의 진공채혈관을 수득하는 데 주로 사용되는데, 니들을 혈관에 꽂는 경우 내부가 - 300mmhg 정도의 마이너스 압력 상태인 튜브가 연결되는 순간 혈관 내부의 혈액이 자연스럽게 진공 튜브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채혈 과정에서 피채혈자의 자세, 채혈 과정에서 구혈대가 먼저 떼어지는 경우, 홀더나 튜브 내부에 남아 있는 공기의 존재 등의 이유로 혈관 내의 압력이 낮아지는 경우 채혈관 내의 혈액이 혈관측을 향해 역류할 우려가 있다.
그런데, 진공 채혈관 내에는 항응고제 등의 약제가 수납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역류가 발생할 경우 이 약제가 혈관측으로 이행하여 악영향을 미치게 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3-129111(특허문헌 1)에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혈액을 채취하기 위해서 혈관에 삽입되는 제1중공바늘과, 진공 채혈관의 마개체를 찔러 통과시켜서 진공 채혈관 내를 연통하기 위한 제2중공바늘이 구비되어 있으며, 제1중공바늘과 제2중공바늘은 베이스부 측에 있는 허브에 고정되고, 허브 내에는 내부 유로가 형성되어 있되, 내부 유로는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역류방지밸브가 설치된 구성이 공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혈액이 내부 유로 내에 있어서 제1중공바늘측으로부터 제2중공바늘측으로 흐를 때, 역류방지밸브의 틈이 열려 혈액이 흐르고, 반대로 될 경우 선단의 틈이 혈액의 압력에 의해 닫혀져서 혈액의 역류가 방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이 혈액이 흐르는 공간의 면적을 인위적으로 조절하는 방식의 경우 경우에 따라 용혈을 야기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60132(특허문헌 2)에는 역류방지구조가 구비된 홀더 구조가 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경우 홀더 내부에 십자 모양의 절개된 역류방지부재가 사용되는데, 이 경우 역류압이 높을 경우 양측의 밸브 부분이 역류에 의해 내측으로 밀어넣어져 슬릿이 개방되어 버리는 바, 역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특허문헌 1, 2의 경우 튜브 내부, 홀더 내부 등에 잔존하는 공기는 배기 처리할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내부 공기에 의한 역류 흐름을 방지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에서는 진공채혈관과 주사바늘 사이에 공기가 채워져 있기 때문에 진공채혈관을 연결한 상태로 채혈이 시작되고 나서 그 사이의 공기로 인해 진공채혈관 내로의 혈액 유입이 원할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JP 평3-129111 JP 2003-260132 (2003.09.16)
본 발명의 진공 채혈관 연결 홀더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버터플라이 니들의 튜브에 장착되는 홀더의 구조를 "Y"자 형상으로 분기된 형태로 형성하고, 분기된 일측 관로는 진공채혈관이 장착되도록 하는 한편, 분기된 타측 관로상에는 공기는 배기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홀더 일측에 진공채혈관을 연결하고, 홀더 타측에 피채혈자에 꽂힌 바늘과 연결된 튜브가 연결된 상태에서 홀더 및 튜브 내부의 공기가 원할히 배기 가능한 구조를 취하여 진공채혈관 내부에 혈액이 원할하게 설계량에 맞게 유입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역류 압력이 발생할 때, 상기한 분기관을 이용한 배기 구조를 이용하여 용혈을 야기하거나 혈액 유입의 방해 없이 원할하게 압이 해소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공기가 배기되는 필터가 설치된 관로 내주면은 오리피스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진공채혈관이 홀더에 연결되어 흡입압이 작용할 때, 필터 측을 통해 홀더 측으로 외기가 빨려들어오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진공 채혈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홀더에 장착된 니들이 고무마개의 외곽이 아닌 중앙을 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고무마개의 혈액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진공 채혈관 연결 홀더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버터플라이 니들에 장착된 튜브(5) 일측 또는 주사침이 연결되며 내부에 혈액이 이동하는 공급통로(11a)가 형성되어 있는 접속부(11)와, 상기 공급통로(11a)와 연통된 제1분기통로(12a)가 형성되도록 상기 접속부(11)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1분기관부(12)와, 상기 공급통로(11a) 및 제1분기통로(12a)와 연통된 제2분기통로(13a)가 형성되도록 상기 접속부(11)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된 제2분기관부(13)로 구성된 분기관(10)과; 상기 제1분기통로(12a)와 연통되는 공기통로(21)가 형성되도록 제1분기관부(12)와 연결되고, 단부에는 혈액의 통과는 억제하고 공기의 통과는 가능하도록 하는 필터부재(22)가 설치되어 있으며, 관로상에는 단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오리피스부(23)가 형성되어 있는 압력조절관(20)과; 상기 제2분기통로(13a)와 연통되는 연결통로(31)가 형성되도록 제2분기관부(13)와 연결되고, 단부에는 니들(32)이 설치되어 있으며, 니들(32)의 외주면과 하단을 감싸는 고무 재질의 보호부재(33)가 설치되어 있는 연결관(30)과; 진공채혈관(1) 상부가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부가 개방된 하부중공부(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니들(32) 및 보호부재(33)가 상기 하부중공부(41)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부가 상기 연결관(30)의 중간에 연결되어 있는 채혈관보호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니들(32)은 단부가 사선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어 있되, 절개면(32a)의 배면이 절개면 방향으로 밴딩 처리된 밴딩부(32b)가 형성되어, 단부(32c)가 니들(32)의 중심 축(32d)에 근접하여 위치하여, 진공채혈관(1)의 고무 마개(3)를 뚫고 장착될 때 보호부재(33) 선단의 중앙 부위를 니들(32) 단부(32c)가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접속부(11)의 공급통로(11a)와 제2분기관부(13)의 제2분기통로(13a)는 중심축이 일직선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분기관부(12)의 제1분기통로(12a)와 제2분기관부(13)의 제2분기통로(13a)는 사이각이 20 ~ 6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필터부재(22)로부터 상기 오리피스부(23) 사이의 거리와 오리피스부(23)로부터 제1분기통로(12a) 단부까지의 거리는 1 : 2의 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버터플라이 니들의 튜브에 장착되는 홀더의 구조를 "Y"자 형상으로 분기된 형태로 형성하고, 분기된 일측 관로는 진공채혈관이 장착되도록 하는 한편, 분기된 타측 관로상에는 공기는 배기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홀더 일측에 진공채혈관을 연결하고, 홀더 타측에 피채혈자에 꽂힌 바늘과 연결된 튜브가 연결된 상태에서 홀더 및 튜브 내부의 공기가 원할히 배기 가능한 구조를 취하여 진공채혈관 내부에 혈액이 원할하게 설계량에 맞게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역류 압력이 발생할 때, 상기한 분기관을 이용한 배기 구조를 이용하여 용혈을 야기하거나 혈액 유입의 방해 없이 원할하게 압이 해소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상기 공기가 배기되는 필터가 설치된 관로 내주면은 오리피스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진공채혈관이 홀더에 연결되어 흡입압이 작용할 때, 필터 측을 통해 홀더 측으로 외기가 빨려들어오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진공 채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홀더에 장착된 니들이 고무마개의 외곽이 아닌 중앙을 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고무마개의 혈액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에 채혈 중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진공 채혈관 연결 홀더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체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니들의 가공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진공 채혈관 연결 홀더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공급관부와 제2분기관부가 일직선상을 이루도록 구성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홀더 일측이 체결되는 진공채혈관(1)은 통상의 진공채결관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나 플라스틱 재질의 투명몸체로 이루어지며, 그 상부에는 외측마개(2)가 설치되고, 외측마개(2)의 내측으로 투명몸체 상부를 차단하는 고무 마개(3)가 설치된다.
더하여, 본 발명의 홀더 타측이 체결되는 튜브(5)에는 단부에 피채혈자의 혈관에 꽂아 혈액을 배출시키는 주사바늘(4)이 연결된다.
튜브(5) 중간에는 밸브(6)가 설치되어 튜브(5) 내부에서의 혈액 이동을 순간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홀더는 이러한 튜브(5)와 진공채혈관(1)에 양측이 연결되며, 밸브(6)를 열고 닫으면서 다수 개의 진공채혈관(1)을 교대로 연속으로 찰탁하여 연속으로 다수 개의 진공채혈관(1) 내부에 혈액을 충진할 수 있도록 하는 홀더에 관한 것이다.
또는 튜브(5) 대신 일회용 주사침이 연결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진공 채혈관 연결 홀더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진공 채혈관 연결 홀더는 크게 분기관(10), 압력조절관(20), 연결관(30) 및 채혈관보호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분기관(10)은 접속부(11), 제1분기관부(12) 및 제2분기관부(13)로 구분되며, 이들은 모두 일체를 이룬다.
접속부(11)는 버터플라이 니들에 장착된 튜브(5) 일측 또는 주사침이 연결되며 내부에 혈액이 이동하는 공급통로(11a)가 형성되어 있다.
제1분기관부(12)는 상기 공급통로(11a)와 연통된 제1분기통로(12a)가 형성되도록 상기 접속부(11)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분기관부(13)는 상기 공급통로(11a) 및 제1분기통로(12a)와 연통된 제2분기통로(13a)가 형성되도록 상기 접속부(11)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공급통로(11a)는 튜브(5)를 통해 혈액이 유입되는 통로이며, 제2분기통로(13a)는 공급통로(11a)로부터 혈액이 유입되어 진공채혈관(1) 측으로 보내주는 통로이다.
제1분기통로(12a)는 종래에 없던 것으로, 본 발명의 홀더의 일측에 튜브(5)가 연결되고, 타측에 진공채혈관(1)이 연결된 상태에서 압력조절관(20)이 연결됨으로써 홀더 내부에 있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진공채혈관(1) 측으로 원할하게 혈액이 유입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 피채혈자의 자세나 채혈시 팔뚝을 묶어둔 밴드가 풀러지는 경우로 인해 일시적인 압력 변화로 역류 현상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이 압력이 해소될 수 있게 하여 역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해주게 된다.
도 3의 예에서 접속부(11)의 공급통로(11a) 중심축은 제2분기관부(13)의 제2분기통로(13a)의 중심축, 제1분기관부(12)의 제1분기통로(12a) 중심축은 모두 서로 어긋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공급통로(11a)로부터 이동하는 혈액이 제1분기통로(12a)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이 경우 배기 장애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급통로(11a)와 제2분기통로(13a)가 일직선상을 이루어 혈액의 이동이 원할히 이루어지도록 하고, 혈액이 제1분기통로(12a) 측으로 잘 이동하지 않도록 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접속부(11)는 그 자체로 튜브(5)에 연결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양방향 아답터(14)의 일단이 끼움 결합되고, 아답터(14)의 타단이 튜브(5)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아답터(14)에는 도 3에 도시된 커버(50)가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튜브(5) 접속 부위의 오염이 방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분기관부(12)의 제1분기통로(12a)와 제2분기관부(13)의 제2분기통로(13a)는 사이각이 20 ~ 60도 정도가 바람직하다.
만일 사이각이 상기 범위의 최소값 미만일 경우 채혈 과정에서 혈액이 제1분기통로(12a)로 유입되어 압력 조절 기능이 상실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사이각이 상기 범위의 최대값을 초과할 경우에는 채혈 초기 홀더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통로가 과도하게 꺾여 배기가 원할히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으며, 외기가 쉽게 유입되어 채혈에 방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
가장 적합한 사이각은 45도 정도가 좋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압력조절관(20)은 본 발명에서 매우 중요한 구성요소로, 상기 제1분기통로(12a)와 연통되는 공기통로(21)가 형성되도록 제1분기관부(12)와 연결되고, 단부에는 혈액의 통과는 억제하고 공기의 통과는 가능하도록 하는 필터부재(22)가 설치되어 있으며, 관로상에는 단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오리피스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오리피스부(2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조절관(20)의 양 단부로부터 중간 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압력조절관(2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필터부재(22) 측은 내경이 작고, 반대편으로 갈수록 점차 내경이 커지는 형태를 이룬다.
이에 따라 공기통로(21)는 오리피스부(23) 내주면에 의해 둘러쌓인 공간이 가변통로(21c)와, 가변통로(21c)를 기준으로 제1분기통로(12a) 측과 연통되는 유입통로(21a), 가변통로(21c)를 기준으로 필터부재(22) 사이에 위치하는 배출통로(21b)로 구분된다.
본 발명의 홀더 내부에 위치하던 공기가 배출되는 과정에서는 공기는 유입통로(21a), 가변통로(21c), 배출통로(21b) 순으로 이동하게 되며, 공기는 가변통로(21c)에서 유속이 빨라진 후 다시 배출통로(21b)에서는 압력이 떨어지게 되며, 인접한 필터부재(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반대의 경우 필터부재(22)의 외측에서 압력조절관(2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 일단 오리피스부(23)의 선단부 내경이 좁기 때문에 외부의 공기는 쉽게 유입되지 못한다.
더하여, 역류 현상이 발생하는 시점에서는 진공채혈관(1) 측에서 제2분기통로(13a) 측으로 혈액이 유입되고, 제2분기통로(13a)와 제1분기통로(12a)가 만나는 지점에서는 공급통로(11a)가 혈액으로 채워져 있기 때문에 혈액이 자연스럽게 공기통로(21) 측으로 유입되게 되므로, 사용 상태에서 압력조절관(22)의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 유입은 거의 없게 된다.
즉, 초기의 채혈시에는 진공채혈관(1)의 마이너스 압력에 의해 혈액이 진공채혈관(1)을 향하는 방향 즉, 공급통로(11a), 제2분기통로(13a)를 거쳐 진공채혈관(1) 내부로 유입되고, 공기는 압력조절관(20)을 통해 외부로 원할하게 배출된다.
말기의 채혈시에는 압력차가 줄어들고 경우에 따라 압력이 서로 역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압력조절관(20)을 통해 압력이 해소되기 때문에 혈액이 역류할 가능성은 줄어들게 된다.
가사, 미량의 혈액이 위로 향한다 치더라도 역류하려는 혈액은 압력조절관(20) 내부로 유입되기 때문에 진공채혈관(1) 내부의 약품이 피채혈자의 혈관에 도래할 가능성은 극소화된다.
필터부재(22)는 부직포, 직물, 다공체, 소수성 막 등 공지된 필터 중 혈액의 이동은 차단하고, 공기는 통과 가능한 것이라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처럼 압력조절관(20)의 단부에 혈액의 통과는 차단하고, 공기는 통과 가능한 필터부재(22)가 장착되는 경우 압력조절관(20)을 통해 홀더 내부의 공기를 배기할 수 있어 채혈이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계량 만큼의 혈액을 진공채혈관(1)에 충진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역류 현상이 발생하려 하는 경우 압력을 해소해주게 되어 역류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피채혈자의 혈관 내부로 진공채혈관(1) 내의 약물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는 한편, 채혈 과정에서 외부에서의 공기 유입이 차단되거나 최소화될 수 있어 안정적인 채혈이 가능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필터부재(22)로부터 상기 오리피스부(23) 사이는 4 ~6mm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배출통로(21b)의 길이는 4 ~6mm가 바람직하며, 유입통로(21a)는 8 ~ 12mm 정도가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압력조절관(21)의 상부는 상기 제1분기관부(12)에 끼움 결합되고, 단부는 사실상 오리피스부(23)가 위치하기 때문에 제1분기통로(12a)의 거리가 8 ~ 12mm 정도가 된다 할 것이다.
즉, 오리피스부(23)를 기준으로 할 때, 필터부재(22)로부터 상기 오리피스부(23) 사이의 거리와 오리피스부(23)로부터 제1분기통로(12a) 단부까지의 거리는 1 : 2의 비를 갖는 것이다.
만일, 제1분기통로(12a) 또는 유입통로(21a)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더 작을 경우 오리피스부(23)의 방해로 배기 속도가 지연되고, 배기가 원할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길이가 상대적으로 더 긴 경우 압력조절관(20)의 내부로 외기가 다량 유입된 상태가 될 수 있어 위생적이지 않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연결관(30)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2분기통로(13a)와 연통되는 연결통로(31)가 형성되도록 제2분기관부(13)와 연결되고, 단부에는 니들(32)이 설치되어 있으며, 니들(32)의 외주면과 하단을 감싸는 고무 재질의 보호부재(33)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보호부재(33)는 니들(32)이 외부로 노출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진공채혈관(1) 내부로 니들(32)이 유입되기 전에 보호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연결관(30)의 하부 외주면은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면상에서 턱(34)이 형성되어 있고, 이 턱(34)은 상광하협의 외주면 형상을 취하여 채혈관보호부재(40)와의 착탈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있다.
또, 턱(34)의 상부와 하부는 연결관(30)과의 연결을 위한 홈(35)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고무 보호부재(33)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는 반구형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니들(32)을 보호하게 되며, 진공채혈관(1)의 상부에 설치된 고무 마개(3)에 눌리게 되면 탄성 변형된다.
아울러 보호부재(33)의 내경은 니들(32)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크게 이루어진다.
한편, 종래에 홀더에 장착된 니들은 절삭면이 단면상에서 일측 상단으로부터 타측 하단까지 일직선상으로 경사지게 절삭된 것을 사용하였다.
이 경우, 사용시 니들(32)이 고무 보호부재(33) 하단 정 중앙이 아닌 측방측으로 치워져 관통하면서 고무 보호부재(33)에 혈액이 묻어 오염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니들(32)은 단부가 사선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어 있되, 절개면(32a)의 배면이 절개면 방향으로 밴딩 처리된 밴딩부(32b)가 형성되어, 단부(32c)가 니들(32)의 중심 축(32d)에 근접하여 위치하도록 한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진공채혈관(1)의 고무 마개(3)를 뚫고 장착될 때 보호부재(33) 선단의 중앙 부위를 니들(32) 단부(32c)가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 경우 고무 보호부재(33)의 하단부나, 내주면이 잘 오염되지 않게 해주게 된다.
이때, 니들(32)의 단부와 고무 보호부재(33)의 하단 내주면 사이의 거리는 0.5mm 정도 이격된 상태가 바람직하다.
거리가 너무 멀면 역시 니들(32) 단부가 고무 보호부재(33) 하단 정중앙을 관통시키지 못할 우려가 있으며, 너무 가까울 경우 오염의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채혈관보호부재(40)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진공채혈관(1) 상부가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부가 개방된 하부중공부(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니들(32) 및 보호부재(33)가 상기 하부중공부(41)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부가 상기 연결관(30)의 중간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관(30)의 상부는 도면과 같이 상하로 이격된 이중 평판(42)이 형성되어 있다.
이중 평판(42)은 각각 홀(43) 타공이 이루어져 있으며, 이 두 홀(43) 내주면은 상기 연결관(30)의 두 홈(35)에 끼워지고, 그 사이 공간에는 턱(34)이 끼워짐으로써 고정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버터플라이 니들의 튜브에 장착되는 홀더의 구조를 "Y"자 형상으로 분기된 형태로 형성하고, 분기된 일측 관로는 진공채혈관이 장착되도록 하는 한편, 분기된 타측 관로상에는 공기는 배기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홀더 일측에 진공채혈관을 연결하고, 홀더 타측에 피채혈자에 꽂힌 바늘과 연결된 튜브가 연결된 상태에서 홀더 및 튜브 내부의 공기가 원할히 배기 가능한 구조를 취하여 진공채혈관 내부에 혈액이 원할하게 설계량에 맞게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역류 압력이 발생할 때, 상기한 분기관을 이용한 배기 구조를 이용하여 용혈을 야기하거나 혈액 유입의 방해 없이 원할하게 압이 해소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상기 공기가 배기되는 필터가 설치된 관로 내주면은 오리피스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진공채혈관이 홀더에 연결되어 흡입압이 작용할 때, 필터 측을 통해 홀더 측으로 외기가 빨려들어오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진공 채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홀더에 장착된 니들이 고무마개의 외곽이 아닌 중앙을 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고무마개의 혈액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성에서 분기관(10), 압력조절관(20), 연결관(30), 채혈관보호부재(40)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분리식 구성으로 도시 및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1 : 진공채혈관 2 : 상부마개
3 : 고무 마개 4 : 주사바늘
5 : 튜브 10 : 분기관
11 : 접속부 11a : 공급통로
12 : 제1분기관 12a : 제1분기통로
13 : 제2분기관 13a : 제2분기통로
14 : 아답터 20 : 압력조절관
21 : 공기통로 21a : 유입통로
21b : 배출통로 21c : 가변통로
22 : 필터부재 23 : 오리피스부
30 : 연결관 31 : 연결통로
32 : 니들 32a : 절삭면
32b : 밴딩부 32c : 단부
32d : 중심 축 33 : 보호부재
34 : 턱 35 : 홈
40 : 채혈관보호부재 41 : 하부중공부
42 : 평판 43 : 홀
50 : 커버

Claims (5)

  1. 진공 채혈관 연결 홀더에 있어서,
    버터플라이 니들에 장착된 튜브(5) 일측 또는 주사침이 연결되며 내부에 혈액이 이동하는 공급통로(11a)가 형성되어 있는 접속부(11)와, 상기 공급통로(11a)와 연통된 제1분기통로(12a)가 형성되도록 상기 접속부(11)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1분기관부(12)와, 상기 공급통로(11a) 및 제1분기통로(12a)와 연통된 제2분기통로(13a)가 형성되도록 상기 접속부(11)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된 제2분기관부(13)로 구성된 분기관(10)과;
    상기 제1분기통로(12a)와 연통되는 공기통로(21)가 형성되도록 제1분기관부(12)와 연결되고, 단부에는 혈액의 통과는 억제하고 공기의 통과는 가능하도록 하는 필터부재(22)가 설치되어 있으며, 관로상에는 단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오리피스부(23)가 형성되어 있는 압력조절관(20)과;
    상기 제2분기통로(13a)와 연통되는 연결통로(31)가 형성되도록 제2분기관부(13)와 연결되고, 단부에는 니들(32)이 설치되어 있으며, 니들(32)의 외주면과 하단을 감싸는 고무 재질의 보호부재(33)가 설치되어 있는 연결관(30)과;
    진공채혈관(1) 상부가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부가 개방된 하부중공부(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니들(32) 및 보호부재(33)가 상기 하부중공부(41)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부가 상기 연결관(30)의 중간에 연결되어 있는 채혈관보호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
    진공 채혈관 연결 홀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32)은 단부가 사선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어 있되, 절개면(32a)의 배면이 절개면 방향으로 밴딩 처리된 밴딩부(32b)가 형성되어, 단부(32c)가 니들(32)의 중심 축(32d)에 근접하여 위치하여,
    진공채혈관(1)의 고무 마개(3)를 뚫고 장착될 때 보호부재(33) 선단의 중앙 부위를 니들(32) 단부(32c)가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채혈관 연결 홀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11)의 공급통로(11a)와 제2분기관부(13)의 제2분기통로(13a)는 중심축이 일직선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채혈관 연결 홀더.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기관부(12)의 제1분기통로(12a)와 제2분기관부(13)의 제2분기통로(13a)는 사이각이 20 ~ 6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채혈관 연결 홀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22)로부터 상기 오리피스부(23) 사이의 거리와 오리피스부(23)로부터 제1분기통로(12a) 단부까지의 거리는 1 : 2의 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채혈관 연결 홀더.
KR1020200005412A 2020-01-15 2020-01-15 진공 채혈관 연결 홀더 KR102385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412A KR102385826B1 (ko) 2020-01-15 2020-01-15 진공 채혈관 연결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412A KR102385826B1 (ko) 2020-01-15 2020-01-15 진공 채혈관 연결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000A true KR20210092000A (ko) 2021-07-23
KR102385826B1 KR102385826B1 (ko) 2022-04-13

Family

ID=77155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412A KR102385826B1 (ko) 2020-01-15 2020-01-15 진공 채혈관 연결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8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91885A (zh) * 2022-02-25 2022-04-26 济宁医学院附属医院 微量采液器及使用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9111A (ja) 1989-10-13 1991-06-03 Showa Alum Corp パネル部材の連結装置
KR19990001862U (ko) * 1997-06-23 1999-01-15 곽상한 차량용 에어클리너
JP3066696U (ja) * 1999-08-18 2000-03-03 川澄化学工業株式会社 医療用針及び採血器具
JP2003260132A (ja) 2002-03-07 2003-09-16 Enomoto Co Ltd 留置針
JP2005349195A (ja) * 2004-06-02 2005-12-22 Becton Dickinson & Co 通気機構付き採血セット
KR20150002816U (ko) * 2014-01-08 2015-07-16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일체형 관류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일체형 혈액 역류 방지 밸브 의료 기기
JP2016202986A (ja) * 2012-03-14 2016-12-08 テルモ株式会社 検査用血液容器および採血器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6696B2 (ja) * 1993-11-05 2000-07-17 矢崎総業株式会社 電子素子の取付方法及び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9111A (ja) 1989-10-13 1991-06-03 Showa Alum Corp パネル部材の連結装置
KR19990001862U (ko) * 1997-06-23 1999-01-15 곽상한 차량용 에어클리너
JP3066696U (ja) * 1999-08-18 2000-03-03 川澄化学工業株式会社 医療用針及び採血器具
JP2003260132A (ja) 2002-03-07 2003-09-16 Enomoto Co Ltd 留置針
JP2005349195A (ja) * 2004-06-02 2005-12-22 Becton Dickinson & Co 通気機構付き採血セット
JP2016202986A (ja) * 2012-03-14 2016-12-08 テルモ株式会社 検査用血液容器および採血器具
KR20150002816U (ko) * 2014-01-08 2015-07-16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일체형 관류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일체형 혈액 역류 방지 밸브 의료 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91885A (zh) * 2022-02-25 2022-04-26 济宁医学院附属医院 微量采液器及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5826B1 (ko) 202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601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roducing an intravenous catheter
KR100352411B1 (ko) 한손으로 사용하는 밀폐형 혈액 샘플링 시스템
CN100360087C (zh) 闪回式血液收集针头
US5466219A (en) Blood aspiration assembly components and blunt needle aspirators
EP0495497B1 (en) Intravenous catheter
US4212308A (en) Parallel-flow one-way blood sampling device
JP2004216122A (ja) 排気構造を有する流体回収キット
JPH0542220A (ja) 輸液フイルター
JPS649011B2 (ko)
US4424817A (en) Syringe with means for automatically sealing a blood sample within the syringe
US6638250B2 (en) Indwelling venous cannula
US20170027491A1 (en) Use of Automatic Flow Regulators for Flow Modulation During Blood Collection
US20210361207A1 (en) Fluid optimization and contaminant containment device and method using displaceable plug
KR102385826B1 (ko) 진공 채혈관 연결 홀더
EP1747755B1 (en) Backflow preventing structure of blood sampler, lure needle, blood sampling needle and blood sampling holder
US20210370020A1 (en) An intravenous catheter device
WO1992004867A1 (en) A blood sampling device
JP5824798B2 (ja) 医療用薬液移送器
US20170119977A1 (en) Valved catheters and related methods
US5562639A (en) Vented fluid collection system
JP2002253535A (ja) 採血針
CN215780823U (zh) 静脉内导管系统以及用于静脉内导管系统的灌注器
JP4007681B2 (ja) 翼付採血針
CN109893712A (zh) 一种双排气穿刺防回血留置输液针
CN208927260U (zh) 一种留置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