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1961A - 인공어초 기능을 포함하는 친환경 섬유돌망태 - Google Patents

인공어초 기능을 포함하는 친환경 섬유돌망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1961A
KR20210091961A KR1020200005311A KR20200005311A KR20210091961A KR 20210091961 A KR20210091961 A KR 20210091961A KR 1020200005311 A KR1020200005311 A KR 1020200005311A KR 20200005311 A KR20200005311 A KR 20200005311A KR 20210091961 A KR20210091961 A KR 20210091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ding
mesh
rope
lifting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6920B1 (ko
Inventor
권태열
Original Assignee
(주)그린에이치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린에이치엔테크 filed Critical (주)그린에이치엔테크
Priority to KR1020200005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6920B1/ko
Publication of KR20210091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6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6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인공어초 기능을 포함하는 친환경 섬유돌망태는, 직사각형으로 재단된 망지 원단의 양 세로단을 결속시킨 후 바닥을 봉합한 것으로, 내부에 석재를 수용한 망지 포대; 상기 망지 포대의 입구를 봉합하는 봉합 로프; 상기 망지 포대에 연결되어 크레인 후크에 걸리는 복수의 인양점을 제공하는 인양 로프; 띠 형상의 망지 원단으로, 상기 망지 포대의 중앙 측부 둘레에 덧대어지는 덧댐지; 상기 덧댐지와 상기 망지 포대를 홈질 방식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덧댐 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공어초 기능을 포함하는 친환경 섬유돌망태{Eco-friendly fiber gabion including function of artificial fish-reef}
본 발명은 오탁방지막 또는 해저 케이블 등 수중구조물 시공 시 앵커나 케이블 고정용 중량체 등으로 적용됨과 동시에 해저에서 인공어초로서 이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 기능을 포함하는 친환경 섬유돌망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공어초(人工魚礁)라 함은 해안 회유성 어류, 저서어류 및 연근해에 서식하는 패류 등의 은신처 뿐만 아니라 산란장소를 제공함으로써, 수자원을 보호하고 또한 동,식물성 플라크톤 및 해초류의 증식을 통하여 치어의 생육을 촉진하기 위하여 해저에 투입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인공어초는 해저에 다량 투입되기에 저가이어야 하며, 해양투기시 또는 설치후에는 해류에 의하여 이동하거나 유실되지 않을 정도의 중량을 가져야 할 뿐만 아니라, 해양생물의 산란, 서식 및 집어에 적당하고 또한 해수에 강한 소재로 이루어져야 하는 등의 조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종래의 인공어초는 일반적으로 직육면체의 콘크리트 구조물로 제작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콘크리트 어초는 직육면체형으로 조류나 파도에 의한 파력을 그대로 받는 구조로서 암반 해저면 상에 설치되는 경우 바닥면이 마찰에 의해 훼손되고 부식 및 균열에 의해 내구성이 저하되어 어초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설치 후 유황성 물질이 소산된 후에야 제 기능을 발휘하게 되고, 장기적으로도 강알카리성 물질 등 독성 물질이 용출되어 해양생물과의 친화력이 부족해 해조류 및 미생물 등의 부착능력이 떨어져 장기적으로는 오히려 해양생물의 산란, 서식 및 집어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반면, 오탁방지막은 항만공사나 바다, 강, 하천, 저수지에서 각종 수중 공사를 진행하는 경우 발생되는 오탁수가 유출 및 확산되어 수중 자연 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게 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사 주변 부위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 때 바람, 조류, 파랑 등 외력에 의한 오탁방지막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오탁방지막과 연결된 앵커를 해저면에 설치하는데, 이렇게 설치된 앵커는 일반적으로 공사 완료 후 인양됨으로써 수중에서 제거된다.
상기 앵커 역시 주로 콘크리트 블록형 앵커가 적용되었는데, 이 경우 대규모의 작업 공간과 장기간의 제작 기간, 수송 작업의 어려움 등에 의해 전체 비용이 크게 상승하고, 설치 시 큰 하중으로 인해 훼손되고 이후 내용물이 차츰 유실되어 앵커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며, 이 경우 재시공이 필요하게 되어 환경 오염 및 경제적 손실을 크게 야기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각종 수중구조물 시공 시 필수적으로 이용해야하는 앵커 및 중량체 등을 인공어초로서 더 적합한 구성으로 마련된 섬유돌망태로 적용함으로써 앵커, 중량체로서의 기능과 인공어초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여 환경 오염 최소화, 어류 서식 환경 조성 효과를 함께 달성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35106호 '돌망태를 이용한 인공 어초'(2000년 12월 26일 출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6724호 '생분해성 인공어초' (2011년 11월 15일 출원)
본 발명은, 각종 수중 구조물 설치 시 필수적으로 이용해야하는 중량체를 인공어초 기능을 포함하는 섬유돌망태로 적용함으로써, 단일 구조물이 중량체로서의 기능과 인공어초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토록 하여 환경 오염 최소화, 어류 서식 환경 조성 효과를 함께 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공어초 기능을 포함하는 친환경 섬유돌망태는, 직사각형으로 재단된 망지 원단의 양 세로단을 결속시킨 후 바닥을 봉합한 것으로, 내부에 석재를 수용한 망지 포대; 상기 망지 포대의 입구를 봉합하는 입구 봉합 로프; 상기 망지 포대에 연결되어 크레인 후크에 걸리는 복수의 인양점을 제공하는 인양 로프; 띠 형상의 망지 원단으로, 상기 망지 포대의 중앙 측부 둘레에 덧대어지는 덧댐지; 상기 덧댐지와 상기 망지 포대를 홈질 방식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덧댐 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망지 포대의 내부에는, 석재가 적층 수용된 하부 석재층과, 내부에 패각이 충진된 패각망이 수용된 상부 패각망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패각망의 원사에 이식된 해삼류의 포자와, 상기 덧댐지의 원사에 이식된 해조류의 포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포자가 이식된 원사 표면에는, 수중에서 서서히 녹는 코팅제가 코팅된 서방코팅층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석재층과 패각망층 사이에 배치된 원반형의 부력체 및, 상기 석재층과 상기 부력체 사이의 이격 공간인 해수 유동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망지 포대의 상단은 뒤집어 포개어져 두겹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인양 로프는, 상기 망지 포대의 상부 둘레를 따라 그물코 단위로 홈질 체결되되, 상기 둘레를 복수로 나눈 경계인 복수의 인양점과 대응되는 그물코는 건너뛰어 체결한 상부 인양 로프와, 긴 고리형 로프 한 쌍이 십자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중앙 교차 부위가 상기 망지 포대의 바닥면 중앙에 배치되고 각 단부가 상기 망지 포대의 중부 둘레를 넷으로 나눈 경계인 복수의 인양점에 각각 배치된 상태로, 상기 덧댐 로프에 의해 상기 망지 포대 및 상기 덧댐지와 연결되어, 인양 시 상기 각 단부가 크레인 후크에 걸리도록 형성된 하부 인양 로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덧댐 로프는 형광성 또는 재귀반사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덧댐 로프의 일 측에는 램프와 GPS 모듈 중 하나 이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어초 기능을 포함하는 친환경 섬유돌망태는, 수중구조물 시공 시 중량체로서의 기능과 인공어초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환경 오염 최소화, 어류 서식 환경 조성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어초 기능을 포함하는 친환경 섬유돌망태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인공어초의 상단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하부 인양 로프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덧댐지를 도시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인공어초 기능을 포함하는 친환경 섬유돌망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어초 기능을 포함하는 친환경 섬유돌망태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인공어초의 상단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인공어초 기능을 포함하는 친환경 섬유돌망태는 망지 포대(10)와 인양 로프(30), 입구 봉합 로프(20)을 포함하여 기본적인 섬유돌망태를 구성하되, 인공어초로서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포자를 이식한 덧댐지(40)와 이를 상기 망지 포대(10)에 결합시키는 덧댐 로프(50)를 포함한다.
망지 포대(10)는 내부에 석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 직사각형으로 재단된 망지 원단을 측면 결속 로프(11)와 바닥 봉합 로프(12)를 이용해 포대 형태로 형성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측면 결속 로프(11)는 상기 직사각형 망지 원단의 양 세로단을 항치기, 홀치기 또는 이중 오버로크 방식으로 수직 봉합시켜 망지 원통을 형성한다. 상기 바닥 봉합 로프(12)는 상기 망지 원통의 하부 둘레를 따라 홈질 방식으로 체결된 후 일방으로 조여 묶임으로써 상기 망지 원통의 하부를 폐쇄해 망지 포대(10)를 형성한다. 이 때 상기 바닥 봉합 로프(12)에 의해 마련된 매듭이 상기 망지 포대(10)의 내부 공간을 향하도록 상기 망지 포대(10)의 내외면 위치를 바꾸어 뒤집어 배치함으로써 상기 매듭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해, 상기 망지 포대(10)의 저면이 해저 원지반에 요철없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할 입구 봉합 로프(20)과 상부 인양 로프(31)의 체결 안정성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상기 망지 포대(10)의 상단은 뒤집어진 상태로 포개어져 두 겹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구 봉합 로프(20)은 상기 망지 포대(10)의 입구를 봉합하는 것으로, 상기 망지 포대(10)의 상부 둘레를 따라 그물코 단위로 홈질 체결된 것이다. 상기 입구 봉합 로프(20)은 각 그물코 단위로 홈질 방식으로 체결되는데, 홈질 방식이라 함은 그물코를 지그재그 방식으로 꿰는 바느질의 한 종류를 의미한다. 이 때 상기 입구 봉합 로프(20)은 동일한 부위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입구 봉합 시 한 쌍의 입구 봉합 로프(20)를 양 쪽으로 각각 잡아당기는 방식으로 조임 결합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조임 강도를 손쉽게 조절해 필요에 따라 최종 완성 배치된 섬유돌망태의 퍼짐 정도, 높이 등을 제어함과 동시에 작업 용이성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인양 로프(30)는 상기 망지 포대(10)에 연결되어 크레인 후크에 걸리는 복수의 인양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상부 인양 로프(31)와 하부 인양 로프(3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부 인양 로프(31)는, 상기 망지 포대(10)의 상부 둘레를 따라 그물코 단위로 홈질 체결되되, 상기 둘레 길이를 복수로 나눈 경계인 복수의 인양점과 대응되는 그물코는 건너뛰어 체결된 것이다. 즉 각 인양점 부위의 그물코를 건너뛰는 방식으로 체결함으로써 차후 각 인양점을 크레인 후크에 걸어 인양하는 과정에서 주변 그물코에 인장강도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구조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인양 로프(31)는 상기 망지 포대(10)의 상단에서부터 그물코 두 개 이상 아래 부위에 체결되도록 하여 인양 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인양점은 인양 시 편심 발생을 가장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4개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그 이상이 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상부 인양 로프(41)에 상기 망지 포대(10)의 상부 둘레 길이를 균등 분할한 지점인 인양점 4개 이상을 미리 표시하여 제작하고, 석재를 담은 섬유돌망태가 완성되어 인양할 때 표시된 4개 이상의 인양점을 크레인 후크에 각각 걸면 1개의 인양점 당 5톤 이상의 무게를 받음으로 총 20톤 이상의 무게에 대한 인장 강도가 보장된다. 또한 인양점이 균등 분할되므로 어느 한쪽으로도 무게의 편심이 발생하지 않아 이중으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하부 인양 로프(32)는, 인양점을 망지 포대(10)의 높이 중앙 측에 마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크레인을 이용한 인양 시 보다 안정적으로 인공어초 겸 섬유돌망태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부 인양 로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하부 인양 로프(32)의 형상을 설명하면, 상기 하부 인양 로프(32)는 전체적으로 긴 고리형 로프 한 쌍이 십자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중앙 부위가 상기 망지 포대(10)의 바닥면 중앙에 배치되고, 사방으로 돌출된 각 단부는 상기 망지 포대(10)의 하부를 감싸며 상측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망지 포대(10)의 중부(높이 기준으로 중앙 부위) 둘레 길이를 넷으로 나눈 복수의 각 지점, 즉 인양점 부위에 배치된다.
이 때 상기 하부 인양 로프(32)의 각 단부 측은, 후술할 덧댐 로프(50)에 의해 상기 망지 포대(10) 및 덧댐지(40)와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고, 인양 시 상기 각 단부가 인양점으로서 상기 크레인 후크에 걸린 상태로 인양된다.
상기 하부 인양 로프(32)가 형성됨에 따라 본 발명의 인공어초 기능을 포함하는 친환경 섬유돌망태는 망지 포대(10)의 중부 둘레 사방 지점에 인양점이 마련되어, 인양 하중이 보다 안정적으로 제어될 수 있어 시공 효율성이 증대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덧댐지(40)는 띠 형상의 망지 원단으로, 상기 망지 포대(10)의 중앙 측부 둘레에 덧대어지고, 상기 덧댐 로프(50)는 한 쌍의 로프로서 상기 덧댐지(40)의 상단과 하단 각 둘레를 따라 상기 망지 포대(10)의 대응 부위를 함께 엮어 홈질 방식으로 꿰어진 것이다. 즉, 상기 덧댐 로프(50)에 의해 상기 덧댐지(40)와 상기 망지 포대(10)는 연결된다.
상기 덧댐지(40)와 덧댐 로프(50)가 마련됨에 따라, 본 발명의 인공어초 기능을 포함하는 친환경 섬유돌망태는 내부에 담긴 석재에 의한 하중이 가장 크게 실리는 상기 망지 포대(10)의 중부를 물리적으로 보강하여 내구성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상기 망지 포대(10) 중부의 형상이 상기 덧댐지(40) 및 덧댐 로프(50)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내부에 석재 등을 수용한 인공어초의 전체 형상이 원반 형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이 때 상기 덧댐 로프(50)는 가시성을 높이기 위해 형광성 또는 재귀반사성 재질로 형성되거나 일 측에 램프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덧댐 로프(50)의 일 측에는 GPS 모듈이 구비되어 본 발명의 인공어초 기능을 포함하는 친환경 섬유돌망태가 파도에 쓸려 제 위치를 이탈하는 상황을 외부에서 감지하거나, 또는 향후 인공어초 제거 시 작업자로 하여금 설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정보를 제공토록 할 수 있다. 상기 램프와 GPS 모듈은 별도의 배터리나 태양광모듈 등의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고, 상기 GPS 모듈은 별도의 통신장치와 연동되어 기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덧댐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하면, 상기 덧댐지(40)에는 포자(41)와 서방코팅층(42)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포자(41)는 인공어초로서의 기능이 더욱 발휘될 수 있도록 돕는 미역 등 해조류의 포자(41)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덧댐지(40)의 원사 내부 여백 공간에 이식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덧댐지(40)를 포함한 본 발명에 적용된 망지는 가느다란 실을 서로 꼬아 만들어진 원사로 형성된 것인바, 상기 원사는 가스다란 실의 꼬임 배치 사이에 형성된 여백 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포자(41)는 작업자의 수작업 등에 의해 상기 여백 공간에 끼움식으로 고정된다.
서방코팅층(42)은, 상기 포자(41)가 이식된 덧댐지(40)의 원사 표면에 수중에서 서서히 녹는 코팅제가 코팅된 것으로, 상기 코팅제는 젤라틴, 소수성 폴리머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서방코팅층(42)이 마련됨에 따라 본 발명의 인공어초 기능을 포함하는 친환경 섬유돌망태가 수중에 투하된 이후 상기 코팅제가 서서히 녹아 유실되는 기간동안 상기 포자(41)는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인공어초 기능을 포함하는 친환경 섬유돌망태가 수중구조물 시공에 적용되는 앵커 또는 중량체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사용되는 환경임을 감안하며, 수중 공사에 따른 오염 및 부유물질에 의해 주변 수질이 저하된 상태에서 상기 포자(41)가 바로 노출되어 포자 생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인공어초 기능을 포함하는 친환경 섬유돌망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인공어초 기능을 포함하는 친환경 섬유돌망태의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인공어초 기능을 포함하는 친환경 섬유돌망태의 상기 망지 포대(10) 내부에는 석재가 수용되어 일정 중량을 가진 상태로 해저면에 안착되는 석재층(60)과, 인공어초로서의 기능을 더욱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부력체(70)와 패각망층(90)을 추가로 내장할 수 있으며, 상기 석재층(60) 및 부력체(70)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해수의 유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해수 유동층(80)이 더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석재층(60)은, 상기 망지 포대(10)의 하부에 적층 수용된 복수의 석재로 이루어지는 층으로, 본 발명의 인공어초 기능을 포함하는 친환경 섬유돌망태에 중량을 부여한다.
상기 패각망층(90)은, 내부에 패각(91)이 충진된 패각망(90)이 상기 망지 포대(10) 내부의 상부에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층이다.
상기 망지 포대(10) 내부에 상기 패각(91)이 수용됨으로써 어패류가 산란 및 서식 환경에 보다 안정적으로 적응할 수 있고 종자 부착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패각망층(90)의 원사에는 상기 덧댐지(40)에서와 같이 포자(41)가 이식될 수 있고, 상기 포자가 이식된 원사 표면에 서방코팅층(42)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이식되는 포자는 해삼류의 포자로 적용하여 인공어초로서 생물다양성을 효율적으로 구현해 기능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나아가 향후 상기 패각망층(90)에서 해삼이 서식함에 있어서 상기 덧댐지 측에서 자라는 해조류들을 먹이로 활용하며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으므로, 양식에 활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부력체(70)는, 상기 석재층(60)과 패각망층(90)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석재층(60)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소폭 이격된 부위에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력체(70)는, 부력체바디부(71) 및 와류형성부(7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먼저, 상기 부력체바디부(71)는, 상기 망지 포대(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소정 높이를 형성할 수 있는 원반형으로 마련된다.
상기 부력체바디부(71)에 부력이 형성되어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와류형성부(72)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력체바디부(71)의 하부에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해수 유동층(80)에 형성되는 해수의 유동에 대한 저항을 생성하여 불규칙한 와류를 형성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와류형성부(72)에 의해, 상기 해수 유동층(80)에서는, 유동되는 해류에 와류가 형성되는 환경을 용이하게 조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류형성부(72)는, 상기 부력체바디부(71)와 하기의 석재층(60) 사이의 간격에 해당하는 하기의 해수 유동층(80)의 너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마련되고, 유지되는 너비는 10~12cm가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하기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언급한다.
상기 해수 유동층(80)은 상기 석재층(60)과 상기 부력체바디부(71)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서, 상기 해수 유동층(80)에 의해 해수가 섬유돌망태의 내부를 횡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해수 유동층(80)은 어패류의 은식처로서 활용될 수 있고 와류를 만들어내는 공간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해수 유동층(80)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석재층(60)과 상기 부력체바디부(71) 사이의 공간을 너비로 형성하고, 상기 너비는, 10~12cm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너비가 10cm 미만으로 형성되면, 해수의 유동량이 적어 오염물의 배출이나 자연스러운 해수의 유동에 의해 생성되는 생태계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너비가 12cm를 초과하여 형성되면, 과도한 해수의 유동량이 형성되어, 마찬가지로, 인공어초로서의 기능성이 희박해질 수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석재층(60), 부력체(70), 해수 유동층(80) 및 패각망층(90)이 형성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인공어초 기능을 포함하는 친환경 섬유돌망태는 수중에서 인공어초로서의 기능에 더욱 부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공어초 기능을 포함하는 친환경 섬유돌망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 망지 포대
11: 측면 결속 로프
12: 바닥 봉합 로프
20: 입구 봉합 로프
30: 인양 로프
31: 상부 인양 로프
32: 하부 인양 로프
40: 덧댐지
41: 포자
42: 서방코팅층
50: 덧댐 로프
60: 석재층
70: 부력체
71: 부력체바디부
72: 와류형성부
80: 해수 유동층
90: 패각망
91: 패각

Claims (1)

  1. 직사각형으로 재단된 망지 원단의 양 세로단을 결속시킨 후 바닥을 봉합한 것으로, 내부에 석재를 수용한 망지 포대;
    상기 망지 포대의 입구를 봉합하는 입구 봉합 로프;
    상기 망지 포대에 연결되어 크레인 후크에 걸리는 복수의 인양점을 제공하는 인양 로프;
    상기 망지 포대 높이의 1/4 내지 1/2 높이를 갖는 띠 형상의 망지 원단으로, 상기 망지 포대의 중앙 측부 둘레에 덧대어지는 덧댐지;
    상기 덧댐지와 상기 망지 포대를 홈질 방식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덧댐 로프;
    긴 고리형 로프 한 쌍이 십자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중앙 교차 부위가 상기 망지 포대의 바닥면 중앙에 배치되고 각 단부가 상기 망지 포대의 중부 둘레를 넷으로 나눈 경계인 복수의 인양점에 각각 배치된 상태로, 상기 덧댐 로프에 의해 상기 망지 포대 및 상기 덧댐지와 연결되어, 인양 시 상기 각 단부가 크레인 후크에 걸리도록 형성된 하부 인양 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망지 포대의 내부에는,
    석재가 적층 수용된 하부 석재층;
    내부에 패각이 충진된 패각망이 수용된 상부 패각망층;
    상기 석재층과 패각망층 사이에 배치된 원반형의 부력체; 및
    상기 석재층과 상기 부력체 사이에 10-12cm 폭의 이격 공간이 형성되어 해수가 용이하게 유동할 수 있게 마련되는 해수 유동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부력체는,
    상기 망지 포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소정 높이를 형성할 수 있는 원반형으로 마련되는 부력체바디부; 및
    상기 부력체바디부의 하부에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해수 유동층에 형성되는 해수의 유동에 대한 저항을 생성하여 불규칙한 와류를 형성할 수 있게 마련되는 와류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덧댐 로프는 형광성 또는 재귀반사성 재질로 형성되어, 심해에서의 가시서을 확보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 기능을 포함하는 친환경 섬유돌망태.
KR1020200005311A 2020-01-15 2020-01-15 인공어초 기능을 포함하는 친환경 섬유돌망태 KR102386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311A KR102386920B1 (ko) 2020-01-15 2020-01-15 인공어초 기능을 포함하는 친환경 섬유돌망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311A KR102386920B1 (ko) 2020-01-15 2020-01-15 인공어초 기능을 포함하는 친환경 섬유돌망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961A true KR20210091961A (ko) 2021-07-23
KR102386920B1 KR102386920B1 (ko) 2022-04-14

Family

ID=77155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311A KR102386920B1 (ko) 2020-01-15 2020-01-15 인공어초 기능을 포함하는 친환경 섬유돌망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692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106A (ko) 2000-12-26 2001-05-07 문동신 돌망태를 이용한 인공 어초
JP2002101785A (ja) * 2000-09-28 2002-04-09 Kokoku Kousensaku Kk 人工漁礁
JP2004084183A (ja) * 2002-08-23 2004-03-18 Efui Sekkai Gijutsu Kenkyusho:Kk 土嚢袋とこれを用いた土嚢設置方法及び盛土工法
KR101116724B1 (ko) 2011-11-15 2012-03-13 태안남부수산업협동조합 생분해성 인공어초
KR101788562B1 (ko) * 2017-03-24 2017-10-20 주식회사 코와스 부력부재를 이용한 다기능 부어초
KR20180117291A (ko) * 2017-04-19 2018-10-29 권태열 섬유돌망태 및 섬유돌망태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1785A (ja) * 2000-09-28 2002-04-09 Kokoku Kousensaku Kk 人工漁礁
KR20010035106A (ko) 2000-12-26 2001-05-07 문동신 돌망태를 이용한 인공 어초
JP2004084183A (ja) * 2002-08-23 2004-03-18 Efui Sekkai Gijutsu Kenkyusho:Kk 土嚢袋とこれを用いた土嚢設置方法及び盛土工法
KR101116724B1 (ko) 2011-11-15 2012-03-13 태안남부수산업협동조합 생분해성 인공어초
KR101788562B1 (ko) * 2017-03-24 2017-10-20 주식회사 코와스 부력부재를 이용한 다기능 부어초
KR20180117291A (ko) * 2017-04-19 2018-10-29 권태열 섬유돌망태 및 섬유돌망태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6920B1 (ko) 2022-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58094C (en) Support device for the cultivation of macro organisms in marine waters
CN1091193C (zh) 水中结构物的防冲刷构件和防冲刷施工法
US8869746B2 (en) Mooring structure with habitat features for marine animals
US20080112759A1 (en) Artificial reef anchor structure
WO2013095021A1 (en) Integrated multi-trophic aquaculture system with tourism purpose
JP4489706B2 (ja) 藻場増殖礁
JP7201269B2 (ja) 魚養殖用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6467993B1 (en) Fish attractive device
CN108617560B (zh) 一种抗风浪晃动又能避开浮冰的牡蛎浅海养殖方法
JP2002330651A (ja) 藻場造成方法と藻草育成ネット
KR102386920B1 (ko) 인공어초 기능을 포함하는 친환경 섬유돌망태
JP2000004700A (ja) 海藻養殖場造成用袋体と海藻養殖場を造成する方法
JPH1132623A (ja) 浮き沈みする人工コンブ礁
CN104429891A (zh) 一种藻基集中投放装置
JP2979224B2 (ja) 篭状枠体及び多自然型かごブロック
JP5162291B2 (ja) 沈着基質ユニット及び浮遊幼生育成用構造物
JP3228528U (ja) 籠の回収システム
KR20200017997A (ko) 다기능 섬유 돌망태
JP2000342104A (ja) 人工海草装置
JP2003171923A (ja) 被覆材、被覆材の製作方法、洗掘防止構造、洗掘防止工法
KR20120084542A (ko) 친환경 해중 인공어초
JP2013055902A (ja) 網袋を用いた石詰め藻場礁
JPH034171B2 (ko)
JP3362243B2 (ja) 土木工事用網状収納体
JP7345701B1 (ja) 洗掘防止ユニットの撤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