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1440A - 바나바 잎을 이용한 여주 재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여주재배 방법 - Google Patents

바나바 잎을 이용한 여주 재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여주재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1440A
KR20210091440A KR1020200004607A KR20200004607A KR20210091440A KR 20210091440 A KR20210091440 A KR 20210091440A KR 1020200004607 A KR1020200004607 A KR 1020200004607A KR 20200004607 A KR20200004607 A KR 20200004607A KR 20210091440 A KR20210091440 A KR 20210091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ter
ton
hours
balsam pear
bitter gou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0409B1 (ko
Inventor
김명환
한나영
Original Assignee
김명환
한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환, 한나영 filed Critical 김명환
Priority to KR1020200004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409B1/ko
Publication of KR20210091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5/00Fertilisers from distillery wastes, molasses, vinasses, sugar plant or similar wastes or residues, e.g. from waste originating from industrial processing of raw material of agricultural origin or derived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05Fruit crops, e.g. strawberries, tomatoes or cucumb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5/00Fertilisers from distillery wastes, molasses, vinasses, sugar plant or similar wastes or residues, e.g. from waste originating from industrial processing of raw material of agricultural origin or derived products thereof
    • C05F5/006Waste from chemical processing of material, e.g. diestillation, roasting, coo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1/00Mixtures of fertilisers belonging individually to different subclasses of C05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20Liquid fertili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여주 재배용 기능성 복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여주 재배방법, 그리고 이로써 재배한 여주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여주 재배용 기능성 복합 조성물은 1톤의 물에 500kg의 바나바 잎을 넣고 20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12시간 가열하여 얻어지는 바나바잎 농축액 5~20wt%와; 1톤의 물에 여주 400kg을 넣고 22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4시간 가열하여 얻어지는 여주 농축액 15~70wt%; 그리고 미역 200kg, 펄빅산분말 300kg을 1톤의 물에 넣고 60rpm/분으로 교반하면서 100℃의 온도를 유지하며 6시간 가열하여 얻어지는 N.P.K농축액 20~70wt%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바나바 잎을 이용한 여주 재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여주재배 방법{BALSAM PEAR CULTIVATION COMPOSITION USING BANABA LEAF AND BALSAM PEAR, AND ITS CULTIVATION METHOD USING SAME}
본 발명은 여주재배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여주재배방법 및 여주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나바잎 농축액, 여주농축액 그리고 N.P.K 농축액으로 구성되는 여주재배용 기능성 복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여주재배방법과 그 과실인 여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인간이 앓고 있는 질병 중 당뇨병은 체내에서의 포도당이 에너지원으로 완전히 사용되지 못하는 경우 발생되는 질병으로, 증상으로는 피로누적, 갈증 및 이에 따른 소변량 증과 등과 체중감소, 손발저림 등의 증상과 공복간의 증가 등이 있다고 알려져 왔다.
상기와 같은 당뇨병은 적절한 체중 유지, 식이요법 등 철저한 관리와 약물치료 등으로 적절하게 다스리지 못하면 망막성 질환, 족부 괴사, 신부전증 등 여러 가지 합병증을 일으키게 되고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르는 무서운 질병으로 판단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위험한 당뇨병의 치료 및 개선을 하기 위한 것으로는, 제2형 당뇨병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메트포르민(Metformin),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기 위한 혈당강하제로 사용하는 설폰요소제, 신장으로의 당 배설을 촉진하고 포도당의 재흡수에 관혀하는 SGLT2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약물 등은 당뇨 수치를 안정시키고 당뇨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약물 등은 효과 외에 부작용이 따르고 장기 복용하는 데 따른 내성이 강화되어 약효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최근에는 일부 국가, 예를 들어 싱가포르 등에서는 메트포르민에서 발암물질이 검출된 것으로 보고된 바도 있다.
따라서, 인공적인 약물 등 보다 천연물이나 농산물 등을 통해 기능성 건강식품이나 건강보조식품을 통해 당뇨병의 예방과 치료 등을 할 수 있다면 내성 없이 간편하게 섭취하여 인간의 건강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이러한 방법이나 제품의 개발이 요구된다.
한편, 바나바는 아열대 지방에서 자생하는 다년생 상록수로서 타원형의 두꺼운 잎에는 당뇨에 유효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의 바나바 잎의 대표적인 성분은 코로솔산으로 이 물질은 글루코오스를 세포 내로 신속하게 흡스시켜 당뇨를 예방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상기 코로솔산은 포도당 내 세포흡수율을 45%나 높이며, 특히 당뇨의 원인인 중성지방을 22%, 콜레스테롤을 4.8% 저하시켜 당뇨병으로 인한 제2합병증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 바나바잎에는 당뇨병 예방 및 노화방지 등에 효능이 있는 파이토스테롤 성분과, 항산화 및 항암 등에 효능이 있는 엘라그산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서, 바나바잎은 인간에게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또한, 여주는 박과에 딸린 한해살이로 비터멜론으로도 불리며 독특한 모양의 열매를 맺으며, 일면 당뇨잡는 도깨비 방망이로 불릴 만큼 당뇨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주는 또한 카탄틴성분의 물질, 베타카로틴 성분의 물질, 비타민 C, 칼륨, 철분 및 미네랄 성분이 풍부하여 성인병 예방 및 치유에 많은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이 천연물질인 바나바잎이나 여주 등에는 당뇨병 및 이의 합병증에 대한 예방과 치유에 효과적인 물질들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왔고, 상기의 당뇨병 관련 인공적인 약제에 대한 부작용 등으로 인하여 상기의 바나바 잎이나 여주 등을 이용해 당뇨병 및 이와 관련괸 질병의 예방 및 치유를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강구되어 왔다.
상기의 여러 방법들 중 하나로, 등록특허 제10-0481114호에서는 혈당조절기능 및 인슐린 저항성 개선, 당뇨성 합병증 억제활성을 나타내고, 천연 약재로서 안정성 획보를 위해, 바나바, 호로파 및 여주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당강하용 약학적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등록특허 10-1074338호에서는 화학 합성약제의 단일 약효발휘와는 달리 장기간 사용에 따른 내성 및 부작용을 최소화한 천연물로서 다양한 고혈당의 원인이 될 수 있는 혈당조절기전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목적을 위해, 항당뇨 성분으로 알려진 알카로이드 및 테르펜류 등의 성분을 다량 함유한 영지버섯, 쓴메밀, 여주혼합물의 추출액에 유산균 배양액을 주입하여 발효시키는, 혈당강하용 식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 외, 공개특허 10-2013-0015357호에서는 기존의 기능성 음료가 가지는 미네랄 및 영양공급 효과 외에 인슐린 분비를 촉진시켜 항당뇨 효능을 갖게 되어 당뇨 환자의 기능성 음료로서 적합한 음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겨우살이로부터 추출한 천연 추출물과 수분 함량을 10% 이하로 건조시킨 홍삼가루, 여주열매가루, 바나바잎 가루를 음료조성물에 포함시키는, 당뇨억제용 기능성 음료 조성물을 공개하고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995281호에서는 당뇨병, 비알콜성 지방간, 신부전증 및 고지혈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곰취추출물 및 여주추출물을 9:1 내지 1:9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곰취추출물 및 여주추출물을 포함하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본 발명이 추구하는 발명의 사상과 이를 위한 구성이 전혀 다른 발명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과는 달리,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고, 당뇨병에 대하여 효능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여주에 보다 유효성분이 많이 함유되도록 여주를 재배하고자 여주 재배용 기능성 복합조성물과, 이를 이용해 여주를 재배하는 방법 및 이를 통해 재배된 여주를 화장품 원료, 기능성 식품이나 약제, 보조식품 등으로 널리 활용할 수 있는 원료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들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나바 잎을 농축한 바나바 잎 농축액과; 여주를 농축한 여주농축액 및 미역, 펄빅산 분말을 혼합 교반하여 농축한 N.P.K농축액을 포함하는 여주재배용 기능성 복합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에서의 바나바 잎 농축액은 5~20wt를, 여주농축액은 15~70wt%를, 그리고 N.P.K농축액은 20~70wt%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의 여주재배용 기능성 복합 조성물로서 여주를 재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상기의 조성물을 물과 희석시켜 종자의 침장 후 파종부터 수확 시까지 관주하는데, 약 10일 간격으로 1회당 2ℓ씩 관주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의 방법으로 재배된 여주를 분말 건조한 여주분말과 바나바 잎을 분말 건조한 바나바 분말을 혼합하여 건강기능성 식품, 화장품, 약제 또는 건강보조식품 등의 원료로 사용하기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에서의 여주 분말과 바나바잎 분말은 중량으로 약 3~7:7~3 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여주재배용 조성물로 본 발명의 재배방법에 의해 재배된 여주는 총 폴라보노이드 함량이 매우 높게 나타나 바나바 잎 분말과 본 발명의 방법으로 재배된 여주분말을 혼합하면 바나바 잎이 갖고 있는 유효성분과 여주가 갖고 있는 유효성분이 상승작용을 하여 건강기능성 식품이나 화장품, 약제 또는 건강보조식품 등의 원료로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여주 재배용 기능성 복합 조성물의 시험성적서.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와 실시를 돕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들은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나 수정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여주 재배용 기능성 복합 조성물]
본 발명의 제1과제인 여주재배용 기능성 복합조성물은 바나바잎 농축액과 여주농축액 그리고 N.P.K농축액을 포함하는데, 바나바 잎 농축액은 바나바 잎 500kg을 기준으로 물 1톤에 넣고 가열하면서 만드는데, 온도는 200℃로 하고 시간은 12시간 교반 가열하여 바나바 잎 농축액을 만드는데, 교반 시 분당 80rpm의 중저속으로 하여 바나바 잎 속에 함유된 유효성분이 80% 이상 추출되게 한다.
또한 여주 농축액은 여주 400kg을 기준으로 하여 물 1톤에 넣고 가열하면서 만드는데, 온도는 220℃로 하여 4시간 교반 가열하여 여주농축액을 만든다. 여주는 과질이 두꺼워 낮은 온도에서는 유효성분 검출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상기와 같이 높은 온도로 가열하고 섬유질 파괴를 고려하여 상기 4시간 정도 분당 60rpm의 저속 교반 가열한다.
한편 N.P.K농축액은 식물 성장의 3대 영양소인 질소, 인산, 칼륨의 농축액으로 천연물을 사용하는데 칼륨 등이 풍부한 미역 200kg을 기준으로 펄빅산(Fulvic acid)분말 300kg을 1톤의 물에 넣고 교반하면서 가열하여 만드는데, 분당 60rpm으로 저속 교반하여 미역과 펄빅산 분말이 잘 혼합되게 하면서 온도는 100℃로 하여 6시간 가열하여 만든다.
여기서 100℃가 넘게 되면 해초류의 영양소 파괴가 일어날 수 있고, 6시간 이상 가열하면 섬유질 파괴가 일어나 성분 검출이 곤란해 질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한다.
상기와 같이 만들어진 바나바 잎 농축액과 여주 농축액, 그리고 N.P.K농축액을 혼합하여 본 발명의 여주 재배용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만드는데, 바나바 잎 농축액 5~20wt%, 여주 농축액 15~70wt%, 그리고 N.P.K농축액 20~70wt%를 포함하도록 만드는데, 그 함량이 적거나 많게 되면 타 성분과의 비율이 맞지 않거나 여주가 웃자라거나 생육이 더딜 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한다.
[여주 재배]
상기와 같이 준비된 바나바 잎 농축액 5~20wt%, 여주 농축액 15~70wt%, 그리고 N.P.K농축액 20~70wt%를 포함하는 여주 재배용 기능성 복합 조성물로서 본 발명의 제2과제인 여주를 재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여주 재배는 4월 초 경에 종자를 약 3일 간 침장한 후, 모종판에 옮겨 심어 약 4월 말까지 비닐 하우스에서 평균 온도 25℃를 유지하면서 잎이 두 장 정도 나올 때까지 육묘한 다음 5월 초 경에 밭에 정식하고 성장시키면 7월 경 열매가 열리기 시작하여 수확을 하기 시작하는데, 서리가 오기 전인 11월 말 경에 수확을 끝낸다.
본 발명의 여주 재배방법에서는 상기의 여주재배 과정에서 상기 본 발명의 여주 재배용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사용하여 여주를 재배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여주 재배방법에서는 상기의 침장된 여주를 모종판에 옮겨 심은 후 수확 전까지 물 250ℓ를 기준으로 상기 본 발명의 기능성 복합 조성물 1ℓ를 희석시킨 희석액을 여주에 관주하여 성장시킨다.
상기에서의 관주는 상기 희석액을 모종판에 옮겨 심은 후 약 10일 간격으로 1회 당 1㎡를 기준으로 상기 희석액을 2ℓ씩 관주하는데, 희석액의 조성물 농도가 너무 진하게 되면 여주의 과성장 등이 나타날 수 있고, 농도가 너무 희박하면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비율로 희석하고, 관주의 간격과 관주량이 너무 많게 되면 여주가 웃자라 제대로 된 과싱를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상기와 같이 하여 관주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해 재배된 여주는 통상의 방법으로 수확한다.
[건강기능성 식품 등의 원료]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의 본 발명의 방법으로 재배된 여주를 이용하여 건강기능성 식품 등에 사용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제3목적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수확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세척 등을 거친 여주 1톤을 기준으로 하여, 질소가스를 이용해 약 160℃에서 10~20시간 동안 동결건조하여 함수율 2% 이하인 여주를 분말화한다.
또한 바나바 잎 1톤을 기준으로 질소가스를 이용하여 약 160℃에서 10~20시간 동결건조하여 함수율 2% 이하인 바나바 잎을 분말화한다.
상기에서 여주와 바나바 잎을 동결건조하는 이유는 열에 민감한 손상을 최소화하고 사용 시 체내 흡수력을 높이기 위함이고 수분율을 2% 이하로 하는 것은 이후의 양자 혼합 시 뭉치지 않고 잘 혼합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만들어진 여주 분말과 바나바 잎 분말은 중량으로 약 7:3으로 혼합하고 1태블릿(Tablet) 당 5~700mg의 형태로 만들어 상기와 같은 건강기능성 식품 등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원료로 만든다.
물론 상기 태블릿으로 만들어진 혼합물을 그대로 복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기능성 복합 조성물의 제조]
교반기가 설치된 용기에 약 1톤의 물을 넣고 바나바 잎 500kg을 넣은 다음 온도를 약 200℃로 하고 교반기의 속도를 분당 80rpm으로 하여 12시간 가열 교반하여 바나바 앞 농축액을 만들었다.
교반기가 설치된 용기에 약 1톤의 물을 넣은 다음 여주 400kg을 넣은 후 온도는 약 220℃로 하고 교반기의 속도는 분당 60rpm의 속도로 4시간 가열 교반하여 여주농축액을 만들었다.
또한 교반기가 설치된 용기에 약 1톤의 물을 넣고 여기에 미역 200kg, 펄빅산 분말 300kg을 넣은 다음 온도는 100℃를 유지하면서 교반기의 속도를 분당 60rpm으로 하여 6시간 가열 교반하여 N.P.K농축액을 만들었다.
상기와 같이 만들어진 농축액에서 바나바 잎 농축액 15wt%, 여주 농축액 40wt%, 그리고 N.P.K농축액 45wt%의 비율로 혼합하여 여주 재배용 기능성 복합조성물을 만들었다.
[여주 재배]
2018.04.02.부터 04.04. 까지 3일 간 종자를 침장한 후, 모종판에 심고 04.05.부터 04.30. 까지 비닐하우스에서 평균 온도 25℃를 유지하면서 잎이 두 장 나올때까지 육묘하여 2018.05.01. 밭에 정식하고 재배하였다.
상기와 같이 재배할 때 여주 재배 비닐하우스와 여주재배 밭에는 외부인이 출입할 수 없도록 하였다.
상기 재배 시 물 250ℓ를 기준으로 상기 여주 재배용 기능성 조성물 1ℓ를 희석한 희석액을, 모종판에 심은 침장된 여주종자에 대하여 약 10일 간격으로 수확 전까지 1회 당 1㎡을 기준으로 2ℓ씩 관주하였고, 07.20. 부터 수확하여 11.30. 수확을 마쳤다.
수확된 여주를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에 의뢰하여 총 폴라노이드 양을 측정한 결과, 도 1에서와 같이 상당히 높은 함량을 보였다.
[원료의 가공]
상기 재배방법으로 수확된 여주 1톤을 기준으로 질소가스를 이용하여 ??160℃에서 약 17시간 동결 건조한 후, 분쇄하여 함수율 약 1.9 정도의 여주 분말 약 70kg을 준비한다.
바나바 잎 1톤을 기준으로 질소가스를 이용하여 ??160℃에서 14시간 동결 건조한 후 분쇄하여 함수율 약 1.8 정도의 바나바잎 분말 약 70kg을 준비한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여주분말과 바나바잎 분말은 중량비로 약 7:3 비율로 혼합한 다음 1태블릿 당 약 5~700mg이 되게 하여 기능성 식품, 화장품, 약제 또는 건강보조식품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원료를 만들면 된다.

Claims (3)

  1. 여주 재배용 기능성 복합 조성물로서,
    1톤의 물에 500kg의 바나바 잎을 넣고 20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12시간 가열하여 얻어지는 바나바잎 농축액 5~20wt%와;
    1톤의 물에 여주 400kg을 넣고 22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4시간 가열하여 얻어지는 여주 농축액 15~70wt%;
    그리고 미역 200kg, 펄빅산분말 300kg을 1톤의 물에 넣고 60rpm/분으로 교반하면서 100℃의 온도를 유지하며 6시간 가열하여 얻어지는 N.P.K농축액 20~70wt%을 포함하는 기능성 복합 조성물.
  2. 제 1항의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이용한 여주 재배방법으로서,
    물 250ℓ를 기준으로 상기 기능성 복합 조성물 1ℓ를 희석시켜 여주 모종판에 심은 후부터 수확 전까지 10일 간격으로 1회 당 1㎡를 기준하여 희석물을 2ℓ씩 관주하여 재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주 재배방법.
  3. 제 2항의 재배방법으로 재배된 여주를 사용하는 기능성 원료 제조방법으로서,
    수확된 여주 1톤을 기준으로 질소가스를 이용해 ??160℃로 10~20시간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함수율 2% 이하로 분말건조한 여주분말과, 바나바잎 1톤 기준으로 질소가스를 이용하여 ??160℃로 10~20시간 동결건조하여 함수율 2% 이하로 분말건조한 바나바분말을 중량비로 7:3으로 혼합하여 건강기능성 식품, 화장품 원료, 약제원료, 또는 건강보조식품의 원료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주를 사용하는 기능성 원료의 제조방법.
KR1020200004607A 2020-01-14 2020-01-14 바나바 잎을 이용한 조성물로 재배된 여주를 사용하는 기능성 원료의 제조 방법 KR102380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607A KR102380409B1 (ko) 2020-01-14 2020-01-14 바나바 잎을 이용한 조성물로 재배된 여주를 사용하는 기능성 원료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607A KR102380409B1 (ko) 2020-01-14 2020-01-14 바나바 잎을 이용한 조성물로 재배된 여주를 사용하는 기능성 원료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440A true KR20210091440A (ko) 2021-07-22
KR102380409B1 KR102380409B1 (ko) 2022-03-30

Family

ID=77158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607A KR102380409B1 (ko) 2020-01-14 2020-01-14 바나바 잎을 이용한 조성물로 재배된 여주를 사용하는 기능성 원료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040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114B1 (ko) * 2004-09-04 2005-04-07 부광메디칼 주식회사 바나바, 호로파 및 여주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혈당강하용 약학적 조성물
KR20110107511A (ko) * 2010-03-25 2011-10-04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조류를 이용한 기능성 강화 액체비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62683A (ko) * 2015-11-30 2017-06-08 김명환 함침 처리를 통한 여주 종자의 가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114B1 (ko) * 2004-09-04 2005-04-07 부광메디칼 주식회사 바나바, 호로파 및 여주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혈당강하용 약학적 조성물
KR20110107511A (ko) * 2010-03-25 2011-10-04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조류를 이용한 기능성 강화 액체비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62683A (ko) * 2015-11-30 2017-06-08 김명환 함침 처리를 통한 여주 종자의 가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0409B1 (ko) 202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9553B1 (ko) 식물 생육 활성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29713B1 (ko) 스테비아 추출물 및 광물질을 함유하는 원예용 비료 및 그제조방법
CN103864511A (zh) 一种增效有机无机复合肥
CN109180323A (zh) 一种用于农用植物的生物有机肥料及其制法
CN107318551B (zh) 一种五星枇杷的育苗方法
CN106083394A (zh) 一种利用芦苇粉制作金针菇栽培料的方法
CN102939846A (zh) 一种生产银杏叶农产品的种植方法
CN107628886A (zh) 一种黄桃专用微平衡生态肥及其制备方法
CN107417433A (zh) 一种用于果树的生物肥及其制备方法
CN109748607A (zh) 一种大棚作物专用富硒营养液及其制备方法
CN104402578A (zh) 一种韭菜营养剂及其制备方法
CN106258754A (zh) 一种富硒番石榴果树的栽培方法
KR100377252B1 (ko) 항암용 건강식품
CN102960160A (zh) 一种生产芦荟农产品的种植方法
CN105254370A (zh) 一种铁皮石斛叶面肥及其制备方法
KR101296588B1 (ko) 오이재배용 혼합 농축액 및 이를 이용한 식물 재배 방법
CN104163700A (zh) 一种含油菜秸秆的杏鲍菇培养基及其制备方法
KR102380409B1 (ko) 바나바 잎을 이용한 조성물로 재배된 여주를 사용하는 기능성 원료의 제조 방법
KR20090063395A (ko) 항산화 기능을 갖는 오이의 재배방법 및 그에 의해 재배된오이
CN103155778B (zh) 一种生产红豆杉农产品的种植方法
KR101238338B1 (ko) 다량의 미네랄이 함유된 포도 및 그 시비방법
CN113773131B (zh) 一种肥料增效剂的制备及其应用方法
CN112624872A (zh) 一种降低番茄早疫病发病率的复合微生物肥及制备方法
CN112673909A (zh) 一种富硒高钙菜的种植方法
CN104744177B (zh) 一种用于反季节水果青萝卜的冲施药肥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