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1393A -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충진 앰플 - Google Patents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충진 앰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1393A
KR20210091393A KR1020200004229A KR20200004229A KR20210091393A KR 20210091393 A KR20210091393 A KR 20210091393A KR 1020200004229 A KR1020200004229 A KR 1020200004229A KR 20200004229 A KR20200004229 A KR 20200004229A KR 20210091393 A KR20210091393 A KR 20210091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glucan
vaginal
feminine cleanser
clea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3425B1 (ko
Inventor
손채원
Original Assignee
손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채원 filed Critical 손채원
Priority to KR1020200004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3425B1/ko
Publication of KR20210091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16Gluc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34Urogenital system, e.g. vagina, uterus, cervix, penis, scrotum, urethra, bladder; Personal lubric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2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disorders of the vagi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icrob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docri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충진 앰플에 관한 것으로, 인체에 유해한 알코올류 및 인공 방부제를 포함하지 않아 여성 청결제 조성물로 사용 시 피부 자극이 없으며, 피부 보습, 질 내 pH 조절 및 항균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산소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장시간 유통에도 상태가 변화하지 않아 여성 청결제로 사용 시 편의성을 높인 것이다.

Description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충진 앰플{FEMININE CLEANSER COMPOSITION COMPRISING BETA GLUCAN AND VACUUM FILLING AMPOU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충진 앰플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체에 무해한 천연 추출물인 베타글루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피부자극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피부 보습, 질 내 pH 조절 및 항균 효과가 우수한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이를 포함하여 상태 변화 없이 장시간 유통이 가능한 진공 충진 앰플에 관한 것이다.
여성의 비뇨생식기계는 자궁, 질, 외음부, 요도 등을 포함하며, 해부생리학적, 기능적 특성상 외부로부터의 감염에 노출되기 쉽다. 대표적인 여성 생식기관의 감염으로는 세균성 바지노시스 트리코모나스 질염, 외음부 및 질 칸디다증, 만성 외음부 칸디다증, 일반 염증성 질염, 위축성 질염, 및 자궁경 질염 등이 있으며, 여러 환경적 요인들로 인하여 이러한 생식기관과 관련된 질환으로 고생하는 여성인구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질은 외음부와 자궁의 연결 통로로 여성의 몸에서 온도 및 습도가 가장 높기 때문에 질염을 일으킬 수 있는 세균 및 곰팡이를 포함한 유해 균주들의 증식하기 용이하며, 그로 인한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정상적인 조건에서 질 내부에 많은 유산균이 서식하며 질 내부를 약산성으로 만들어 병원균이나 곰팡이가 증식하는 것을 억제하지만, 항생제 장기복용이나 피임약 장기복용, 탐폰이나 루프사용 또는 임신이나 출산, 수유, 폐경 등으로 여성 호르몬의 균형 변화 등의 이유로 질 내부의 균형이 깨어질 때, 질 내에서 정상적인 조건에서는 성장이 통상적으로 억제되는 기회 감염성 병원체의 증식이 일어나 질염이 발병할 수 있다. 따라서 질은 항상 청결히 유지하고, 외부로부터 세균감염에 노출되지 않도록 유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여성생식기관은 성생활 중에 점막을 통해 병균에 쉽게 감염될 수 있다. 또한 장시간 자궁 내에 피임기구를 설치하는 경우 만성염증이 유발되며, 의료기구를 체내에 도입하거나 포유동물의 출산 시 해당 신체 부위의 점막이 손상되는 일이 종종 발생되는데, 이러한 상처는 병원균의 감염의 기회를 높이고,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월경을 전, 후로 다량의 출혈이 동반될 때에는 위생적으로 매우 불편한 느낌을 가질 뿐만 아니라, 감염의 기회가 더 높아진다. 그러므로 이에 따른 적절한 예방, 진단과 치료로 치명적 합병증을 감소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여성의 경우, 비뇨생식기계 염증은 부인과를 찾아오는 환자들의 가장 흔한 질환 중의 하나이며, 이러한 염증은 세균성에서부터 기생충, 바이러스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이들 환자들은 소양감 및 심한 염증과 악취를 동반하게 되는데, 특히 인유두종 바이러스의 감염은 자궁경부암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어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여성질환을 예방하고 불쾌한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서 질세정제(청결제), 외음부 세정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세정제는 제조 과정 및 사용 중 미생물에 의한 오염을 피할 수 없기 때문에 제품의 보존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보존제를 사용한다.
이러한 보존제로 널리 사용되는 것은 파라벤류 방부제(파라옥시안식향산나트륨), 이미다졸리디닐유레아, 페녹시에탄올 등의 방부제이다. 이러한 방부제는 항균력이 높아 각종 세균, 곰팡이 및 박테리아 등에 의한 변질을 방지하여 보존력이 매우 우수하지만, 종종 독성, 피부자극, 알러지 등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피부자극을 유발하지 않고 보존력이 높은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가 개발되고 있으며, 계속해서 보다 우수한 보존력을 가지면서 안전한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근년에는 국내, 유럽 등의 여러 회사에서 식물성 추출물 등을 이용한 무자극 제품을 출시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살균, 보존제를 사용하지 않고 방부 효과가 있는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한편, 질염 등을 예방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국부용 세정제로는 지방산류 또는 증류된 라우릴알코올(lauryl alcohol) 등을 설폰화하고, 완화제, 점증제, 영양제, 기포제, 유기 살균제 등을 합성한 제품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으며, 세정력을 지닌 계면 활성제 및 의약품으로서의 포비돈-요오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품 또한 판매되고 있다.
다만, 화학적 질 세정제는 장기간 사용 시 세정효과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잡균이 제거됨과 동시에 진균이 증가하며, 악취 및 불쾌한 냄새를 유발하여 냄새 제거 효과가 저해되는 등 한계가 존재한다.
더 나아가, 상기한 화학적 합성에 의한 소독제인 포비돈-요오드는 칸디다성 질염, 트리코모나스 질염 및 기타 질 감염증의 예방 및 치료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화학적 합성에 의한 여성청결제에 대한 기술 중 하나로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37078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화학적 여성 청결제의 주성분인 요오드는 과민 증상이나 점막 손상에 의한 소양감, 작열감, 피부 궤양, 접촉성 피부염 등을 일으킬 우려가 있으며, 질내 무기 요오드 또는 혈중 총 요오드 수치가 상승하여 갑상선 기능 저하증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들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항생물질 등과 같은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질정, 로션, 크림, 연고, 액제 형태의 질내 적용 제제가 사용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살균제, 소독제, 항생제 등의 사용은 항생 물질 내성 미생물의 발생가능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질내에서 분비물의 적당한 산도를 유지하여 자정작용을 하는 질 내의 정상적인 유산간균 등을 무차별적으로 공격하여 질내 유용 미생물까지 제거함으로써 병원성 혐기성 세균 등으로 대체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 쉬워 완치가 어렵고 부작용이 많으며 재발되는 경우가 흔한 문제가 있다.
또한 질염의 일반적인 치료제로서 사용되는 니스타틴(nystatin), 암포테리 B(amphotericin B)과 같은 폴리엔(Polyene)계 약물, 케토코나졸(ketoconazole) 과 같은 아졸(Azole)계 약물, 미코나졸(miconazole)과 같은 이미다졸(imidazole)계 약물 및 이트라코나졸(itraconazole), 플루코나졸(fluconazole)과 같은 트리아졸(triazole)계 약물이 있으나, 항생제에 대한 내성으로 인하여 차후 치료에 더 큰 어려움이 야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질 세정 및 이상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여러 가지 약물이 제시되고 있으나, 사용되는 부위가 외부 물질에 대한 가장 민감한 점막 부위임을 고려한 자극성이 없는 세정제, 청결제 또는 약물의 제시는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자극성과 부작용이 없는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청결제에 대한 지속적인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출원인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체에 무해한 천연 성분인 베타글루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피부 보습, 질 내 pH 조절 및 항균 효과가 우수하여 질 관련 질환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진공 충진 앰플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KR 10-2020-0000706 A KR 10-2049278 B1
본 발명의 목적은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충진 앰플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체에 유해한 알코올류 및 인공 방부제를 포함하지 않아 여성 청결제 조성물로 사용하는 경우 피부 자극이 없으며, 피부 보습, 질 내 pH 조절 및 항균 효과가 우수한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충진 앰플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산소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장시간 유통에도 상태가 변화하지 않는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충진 앰플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은 치마버섯(Schizophyllum commune) 또는 이의 배양물로부터 분리한 베타글루칸(β-gluca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피부 보습, pH 조절 및 항균 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질 관련 질환의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이며, 상기 질 관련 질환은 질 이완증, 질 건조증, 질 진균증 및 냉대하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베타글루칸, 1,2-헥산디올, 펙틴, L-아르기닌 및 정제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여성 청결제는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여성 청결제는 피부에 도포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도포 후 질 내 pH를 4.5 내지 5.5로 유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충진 앰플은 본체부에 뚜껑부가 밀봉 결합되는 여성 청결제 용기로, 상기 본체부의 내부는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부가 결합된 본체부 상단은 뚜껑부가 제거되고 본체부에 외력을 가하였을 때, 상기 조성물이 배출되는 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조성물의 충진 시, 질소 상태에서 채워지고 뚜껑부가 밀봉 결합되어 내부가 질소 및 상기 조성물로 채워지는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산소와 접촉하지 않아 장시간 유통에도 상태가 변화하지 않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은 치마버섯(Schizophyllum commune) 또는 이의 배양물로부터 분리한 베타글루칸(β-gluca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피부 보습, pH 조절 및 항균 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상기 베타글루칸은 포도당이 β-1,3 화학 결합을 중심으로 중합된 다당류로서, 버섯, 효모 등의 미생물의 세포벽 또는 세포의 다당류로부터 분리하여 생산되는 미생물 유래의 베타글루칸(β-1,3-글루칸 또는 β-1,3-1,6-글루칸)과, 보리, 귀리와 같은 곡물의 식이 섬유에서 추출 생산되는 식물성 베타글루칸(β-1,3-1,4-글루칸)이 있다. 이들은 더욱 구체적인 포도당 결합 구조에 따라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또한 고부가가치의 생물 소재로 화장품의 첨가제, 건강보조식품, 식품첨가제, 콘크리트 혼화제, 사료 첨가제 등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상기 베타글루칸은 보다 구체적으로 β-(1,6)-분지된 (1,3)-글루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치마 버섯(Schizophyllum commune)의 시조피란(Schizophyllan) 등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진 β-(1,6)-분지된 (1,3)-글루칸 형태의 베타글루칸(β-Glucan)은,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동시에 내성이 없는 천연 면역조절제와 항암 및 항산화에 대한 생리활성 등에 대해 보고되어 있다.
상기 베타글루칸은 인체의 면역시스템에 작용하여 인체의 면역력을 증강시켜 주는 이른바 BRM(biological response modifiers)으로 잘 알려졌으며, 특히 베타글루칸이 면역계 내의 대식세포(macrophage)의 기능을 활성화함으로써 이 대식세포가 다른 림프구나 백혈구의 증식인자인 인터페론 또는 인터루킨 등의 사이토카인을 분비시켜 면역계의 전반적인 기능을 강화시킨다고 보고된 바 있다.
상기 치마버섯 또는 이의 배양물로부터 분리한 β-(1,6)-분지된 (1,3)-글루칸을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경우, 질 점막의 보습력을 향상시켜 가려움증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질 내부의 pH를 약산성 조건으로 조절하여 유해균을 감소시키고 유익균을 증가시킴으로써 면역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질염을 유발하는 진균류에 대한 항균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진균류에는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칸디다 트로피칼리스(Candidan tropicalis) 및 칸디다 글라브라타(Candida glabrata) 등이 있으며, 이중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가 질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으로 85 내지 90%정도를 차지한다.
그러나, 칸디다 알비칸스 이외의 칸디다에 의한 외음 질염의 발생 빈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로 칸디다 진균류는 질뿐만 아니라, 구강, 기관지, 장 등에도 존재하며 건강한 신체에서도 흔히 볼 수 있어 상기 진균류의 항균 활성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이 필요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항균 효과는 진균류인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칸디다 트로피칼리스(Candidan tropicalis) 및 칸디다 글라브라타(Candida glabrata)의 발육과 생활 기능을 저지 또는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질염 원인균을 살균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베타글루칸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치마버섯과 같이 베타글루칸을 함유한 천연물로부터 추출하거나, 분리하는 공정을 거쳐야 한다.
이때, 추출 공정을 이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유기 용매를 추출 용매로 추출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유기 용매로 추출하는 경우, 천연물에 포함되어 있는 유익한 성분이 추출되고, 이를 정제하고, 분획하여 획득함으로써, 대량으로 생산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다만, 유기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베타글루칸을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로 사용하는 경우,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내에 추출 용매인 유기 용매가 함께 혼합되어 포함됨에 따라, 질 점막 등에 유기 용매가 함께 전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천연물로부터 유효 성분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유기 용매를 사용하게 되면, 빠른 시간 내 유효 성분의 분리가 가능하여, 대량 생산에는 매우 효과적이라고 할 것이지만, 유기 용매로 추출된 천연 추출물을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로 이용하는 경우, 질 내부로 천연 추출물의 유효 성분만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유기 용매가 함께 전달되어 질 점막에 자극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유기 용매인 에탄올 등의 알코올 성분은 휘발성이 강하기 때문에 청량한 사용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일 성분으로 사용되고 있다.
더 나아가, 미세하게 알코올 성분으로 인한 소독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고 하나, 질 점막 또는 피부에 자극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에탄올이 피부 등에 사용되는 경우 경피 흡수 촉진제의 역할을 하는데, 이때 조성물에 포함된 다른 유해한 성분의 흡수를 촉진시킬 수 있다. 즉,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의 성분에 방부제로, 파라벤류가 사용되는 경우에 에탄올의 작용에 의해 파라벤류 성분이 피부 내로 쉽게 흡수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알데하이드 분해효소 결핍증(Aldehyde dehydrogenase deficiency)가 있는 사람에게는 피부 염증이나 자극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유기 용매로 쉽게 사용되는 알코올류 용매의 경우, 앞서 설명한 에탄올과 같이 피부에 자극이 발생하거나, 경피 흡수 촉진제로 역할을 담당할 수 있어 가급적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등의 화장료 조성물로의 사용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기존 화학 성분의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로의 사용이 문제되어, 천연 물질을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로 이용하고자 함이나, 이러한 천연 물질의 유효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유기 용매를 이용할 경우, 천연 물질을 사용하는 효과가 반감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치마버섯(Schizophyllum commune) 또는 이의 배양물로부터 분리한 베타글루칸(β-gluca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치마 버섯을 배양하여 제조한 배양물로부터 베타글루칸을 분리하여 이를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로 이용하고자 한다.
상기 치마버섯의 배양물로부터 베타글루칸을 분리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다.
치마버섯의 균사체는 야생에서 채취한 치마버섯의 자실체로부터 수득한 포자를 발아하여 획득한 균사체를 이용하였다. 효모-감자전분-포도당 한천배지(효모추출물 3g, 감자전분 10g 포도당 10g, 한천 15g, 증류수 1 ℓ)에 도말하여 24℃ 온도에서 7일간 배양하여 얻는다. 한편, 균사체는 효모-감자전분-포도당 한천배지가 든 시험관에 사면 배양하여 4℃에 보관하고, 1개월마다 계대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상기의 사면배지에서 성장한 균사체를 무균적으로 수거한 후, 이를 액체배지에 5%(v/v)되게 접종한다. 액체배지로는 포도당 5%, 효모추출물 1%, 맥아추출물 0.4%, 탈지유 0.4%, 일인산칼륨 0.3%, 황산철 0.04% pH는 5.5로 조정된 배지를 사용할 때 균사체 성장율 및 베타글루칸 생산성 측면에서 양호하다. 균사체의 액체배양은 발효조 내에서 28℃, 교반속도 250 rpm, 통기량 1vvm의 조건으로 7일간 배양하였다. 상기 알콜정제를 통해 치마버섯 유래 베타글루칸을 회수하였다.
상기와 같은 제조 방법을 통해 치마버섯으로부터 베타글루칸을 분리하는 것으로, 직접 생산하거나, ㈜큐젠바이오텍으로부터 공급받아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베타글루칸은 치마버섯 균사체를 배양한 배양물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추출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분리한 순도가 높은 베타글루칸으로 피부 보습, 질 내 pH 조절 및 항균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상기 조성물은 질 관련 질환의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이며, 상기 질 관련 질환은 질 이완증, 질 건조증, 질 진균증 및 냉대하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상기 질 관련 질환은 질 분비물, 냄새, 작열감, 소양감, 성교통, 배뇨통 등의 증상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 감염 또는 염증 상태를 포함하는 것이다.
질 이완증은 질 주위의 근육과 질 입구 근육이 처지고 질 점막이 감속하여 근막이 이완되는 증상으로 질의 탄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성감이 약해져 성관계 시 불감증이 있을 수가 있으며, 심할 경우 여성으로서의 자신감의 결여되는 상황에 이른다.
질 건조증은 애액이 부족한 체질이거나 자궁과 질 주변의 혈류량과 혈액순환 감소로 정상적으로 나와야 할 질 분비액이 줄어드는 현상으로 여성호르몬이 감소하면 탄력성과 유연성을 잃은 질과 요도계의 상피세포가 얇아지면서 주로 발생한다. 질 건조가 오래 지속되면 면역력이 떨어져 여러 가지 질환에 노출될 수 있으며, 수축력 감퇴로 인한 요실금, 자궁이탈 등의 위험이 뒤따른다.
질 진균증은 칸디다균에 의해 유발된 질염으로 칸디다균이 습한 음부에 서식하면서 염증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질염 중 하나이다. 주증상은 냉이 많아지고 피부에 염증 반응이 생겨 가려움을 느낀다. 또한 병의 종류와 정도, 2차 세균 감염 등에 따라 피부가 벗겨지거나 고름이 나오는 등 차이가 있다.
냉대하증은 몸 전체나 신체 일부분의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생기는 일종의 순환 장애 같은 것으로 여성의 성기에는 분비되는 분비물인 냉의 양이 많아지는 증상이다. 이 분비물이 생기는 이유는 각종 유해세균으로부터 생식기를 보호하기 위한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그 분비물의 양이 많아지면 속옷에 심하게 묻고 양이 많아 늘 습하고 눅눅한 상태로 이어져서 냄새가 나며, 질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인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에 노출되기 쉽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것으로, 질과 관련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는 모두 사용 가능하며,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조성물은 베타글루칸, 1,2-헥산디올, 펙틴, L-아르기닌 및 정제수를 포함한다.
기존의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은 파라벤, 글리세린, 글리콜,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다만, 이들은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이를 포함한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피부 자극을 일으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호르몬계를 교란시키고, 질 내부의 유수분 및 pH 밸런스를 붕괴시켜 상기 질 관련 질환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로 인체에 무해한 베타글루칸, 1,2-헥산디올, 펙틴, L-아르기닌 및 정제수를 포함하여 피부 자극을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은 등골나물 추출물 및 덜꿩나무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등골나물(Eupatorium japonicum Thunb. ex Murray)은 우리나라 각처의 산과 들에서 자라는 숙근성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토양의 비옥도에 관계없으며, 반그늘인 곳과 양지에서 자란다. 키는 70 내지 150㎝이고, 잎은 달걀 모양을 한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마주나고 끝이 뾰족한데 길이는 10 내지 18㎝, 폭은 3 내지 8㎝이고, 밑부분 잎은 작으며 꽃이 필 때 없어진다. 꽃은 원줄기 끝에 편평하게 무리지어 작은 꽃들이 핀다. 열매는 10 내지 11월에 익으며 종자는 흰색 갓털을 달고 있다. 관상용으로 쓰이며, 어린순은 식용, 뿌리를 포함한 전초는 약용으로 쓰인다.
등골나물에 포함된 아야핀(Ayapin)이라는 성분은 한방에서 황달, 통경, 중풍, 고혈압, 산후복통, 토혈, 폐렴 등 한약제로 사용된다. 또한, 등골나물의 알려진 효능으로 잎줄기는 이뇨제로 부종을 빼주고, 목욕제로 피로회복에 좋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나아가, 항바이러스작용, 유행성 바이러스에 대한 직접적인 억제작용, 소화 불량, 복통 등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덜꿩나무(Viburnum erosum Thunb.)는 인동과 덜꿩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으로 경기도 이남의 낮은 산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나무이다. 봄철의 하얀색 꽃과 가을철의 붉은 열매가 아름다워 공원수로 많이 식재된다. 타원형의 잎은 마주보기로 달리며, 앞면과 뒷면에 털이 소복하게 나 있어 만지면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 줄기는 여러 개로 갈라져 포기를 이루어 자란다. 꽃은 4 내지 5월에 새로 나온 가지 끝에 하얀색 양성화가 동그란 모양을 만들며 모여 핀다. 팥처럼 생긴 조그만 열매는 9 내지 10월에 붉게 익는데 새들의 좋은 먹이가 된다. 햇볕이 적당히 드는 숲에서 자라며, 보습성과 배수성이 좋은 토양 조건에서 잘 자란다. 추위를 견디는 내한성이 매우 강하고 양지와 음지에서 모두 잘 자라며, 건조한 환경에서도 잘 견디는 특징이 있다. 덜꿩나무라는 이름의 연유는 들에 있는 꿩들이 좋아하는 열매를 달고 있다는 뜻으로 들꿩나무로 불리다가 덜꿩나무가 된 것으로 추정된다. 덜꿩나무와 관련된 효능으로는 어린 잎은 나물로 먹을 수 있고, 늙은 잎과 줄기는 한방에서 구내염이나 가려움증의 약재로 사용한다.
상기 등골나물 추출물 및 덜꿩나무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소량 첨가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베타글루칸 등과의 혼합에 따른 상승 작용으로 피부 보습, 질 내 pH 조절 및 항균 효과를 더욱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등골나물 추출물 및 덜꿩나무 추출물은 추출 용매로 유기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정제수를 사용하여 추출 공정을 진행한다. 상기 등골나물, 덜꿩나무를 건조하고 분쇄한 이후, 시료의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50배의 정제수를 사용하여 침출시켜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료의 중량을 기준으로 2 내지 50배의 정제수를 90 내지 100℃로 가열하고, 상기 가열된 정제수에 시료를 넣고, 침출을 위해 1 내지 72시간 동안 방치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24 내지 48시간 동안 방치하여 추출물로 제조한다. 추출 후, 추출물은 농축 또는 동결 건조의 방법으로 분말 형태로 획득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에탄올 등의 알코올류 유기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추출물의 제조 공정에 다소 시간이 소요되기는 하나,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로의 이용을 위해 유기 용매를 추출 용매로 사용하지 않고, 열수 추출 방법에 의해 추출물을 제조하여,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로 사용 시, 유기 용매에 의한 피부 자극 발생을 방지하고자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베타글루칸 1 내지 5 중량부, 1,2-헥산디올 10 내지 15 중량부, 펙틴 10 내지 15 중량부, L-아르기닌 10 내지 15 중량부, 등골나물 추출물 0.5 내지 1.5 중량부 및 덜꿩나무 추출물 0.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범위내에서 혼합 사용 시, 피부 보습 및 질 내 pH 조절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항균 효과를 최대로 나타낼 수 있도록 하여 질 관련 질환의 개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범위값 미만이거나 초과인 경우 각 성분 간의 상승 작용의 부족으로 상기 효과가 미비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여성 청결제는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여성 청결제는 피부에 도포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도포 후 질 내 pH를 4.5 내지 5.5로 유지하는 것이다.
정상적인 질의 pH는 4.5 내지 5.5의 약산성으로 유지됨으로써, 질 내 유해한 세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다. 질의 내부가 산성인 이유는 질 내에 서식하는 유익균과 질 상피세포가 글리코겐(glycogen) 및 글루코오스(glucose)를 이용하여 젖산(lactic acid)을 생산해 내기 때문이다. 질 내에 서식하는 유산균은 젖산을 생산하여 pH 4.5 내지 5.5의 약산성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유해균의 침입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알칼리성 성분을 함유하는 비누나 바디워시 등을 사용하는 경우, 질 내부의 상기 pH 환경의 균형이 깨지게 되어 유해균의 침입 및 그에 따른 질염, 자궁내막증 등 다양한 여성 질환을 유발하게 된다.
상기 여성 청결제는 피부에 도포하여 사용하는 경우, 질 내 유익균의 증식을 유도하여 질 내 pH를 4.5 내지 5.5범위의 약산성 조건으로 유지함으로써, 여성 질환을 야기하는 유해균의 침임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여성 청결제는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형화될 수 있다. 피부 외용제의 제형화에 있어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고,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화에 있어서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6th ed(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1995)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여성 청결제는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의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로션 등의 유액; 영양 크림, 등의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또는 클렌징 폼, 비누, 바디워시 등의 세정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여성 청결제은,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여성 청결제는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 필수성분 외에 제형의 종류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성분들이 적절히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성 청결제는 상기 베타글루칸에 추가적으로 피부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피부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는 정제수, 오일, 왁스, 지방산, 지방산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계면 활성제, 흡습제, 증점제, 항산화제, 점도 안정화제, 킬레이팅제, 완충제, 방부제, 저급 알코올 등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종류와 농도는 다양하고 당업자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변경할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알코올류와 같은 화학 성분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해, 앞서 설명한 1,2-헥산디올을 제외한 다른 성분을 사용하지 않으나, 상기 예시한 성분의 사용이 반드시 불가한 것은 아니며, 당업자가 여성 청결제의 성분으로 추가 가능한 성분은 제한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기능적 물질, 예컨대, 보습제, 항염증제, 항박테리아제, 항진균제, 비타민, 항생제 등이 포함될 수도 있으며, 이들은 여성 청결제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여성 청결제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충진 앰플은 본체부에 뚜껑부가 밀봉 결합되는 여성 청결제 용기로, 상기 본체부의 내부는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부가 결합된 본체부 상단은 뚜껑부가 제거되고 본체부에 외력을 가하였을 때, 상기 조성물이 배출되는 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조성물의 충진 시, 질소 상태에서 채워지고 뚜껑부가 밀봉 결합되어 내부가 질소 및 상기 조성물로 채워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산소와 접촉하지 않아 장시간 유통에도 상태가 변화하지 않는 것이다.
최근 화장품 또는 인공눈물 등의 제형 중 앰플이 다수 출시되고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앰플은 주사제 1회분을 밀봉하는 작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 용기를 일컫는 용어로, 앰플형 화장품은 이 용기 형태를 화장품 분야에 응용하여 외부 접촉에 변질되기 쉬운 고농축 성분을 위생적으로 포장한데서 유래되었으며, 앰플형 화장품은 주요 영양 성분을 고농축하여, 소량 피부에 떨어뜨려 바르면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을 용기에 담아 상기 앰플형 여성 청결제로 이용하고자 한다.
이러한 앰플형 제품의 특성 상, 마개부의 내부가 스포이드 형태로 구성되거나, 마개부에 스포이드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제품이 다수 출시되고 있다.
즉, 일반적으로 소량을 피부에 떨어뜨려 사용하는 엠플형 여성 청결제의 특성을 고려할 때, 마개부의 내부가 스포이드 형태로 구성되어, 용기 내의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을 일부 덜어내어, 피부로 떨어지게 하거나, 마개부를 스포이드와 결합시켜, 용기내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을 마개부의 스포이드를 통해 외부로 소량 떨어지게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시중의 앰플형 제품의 경우, 공기와 직접적인 접촉이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어, 산소에 의한 산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매우 크고, 산화가 일어남은 제품이 변형되어 장시간 사용 및 유통이 불가함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다.
즉, 앰플형 여성 청결제 내에 사용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농축의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으로, 유효 성분을 다량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공기중의 산소와 쉽게 산화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고, 장시간 사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종래 앰플형 여성 청결제에는 방부제를 필수적으로 함유하고 있다.
즉, 앰플형 여성 청결제는 제품 특성 및 형상에 의해 공기에 노출되어 사용하게 되고, 이러한 사용 상태로 인해 공기 중의 산소와 산화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이러한 문제를 막기 위해 방부제를 소량이라도 포함하여 산화를 방지하고자 한다.
다만, 방부제를 매우 소량 첨가하고 있다하더라도, 앰플형 여성 청결제를 사용하는 것은 고농축의 조성물을 피부에 전달시켜, 유익한 성분을 전달하기 위함이나, 장시간 사용을 위해 방부제를 포함하게 되는 경우, 이러한 방부제 성분까지 피부로 전달하게 되어, 피부 자극이 발생하거나, 피부 트러블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긴다.
사실상, 엠플형 여성 청결제는 고농축의 조성물을 피부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피부에 유해한 성분을 제공하지 않기 위해 방부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보습 효과 등은 매우 우수하나, 장시간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고, 반면, 장시간 사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방부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피부에 방부제를 제공해서, 피부 자극 또는 피부 트러블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본체부에 뚜껑부가 밀봉 결합되는 여성 청결제 용기로, 상기 본체부의 내부는 상기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부가 결합된 본체부 상단은 뚜껑부가 제거되고 본체부에 외력이 가하였을 때, 상기 조성물이 배출되는 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조성물의 충진 시, 질소 상태에서 채워지고 뚜껑부가 밀봉 결합되어 내부가 질소 및 상기 조성물로 채워지는 진공 충진 앰플형 여성 청결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진공 충진 앰플의 경우,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되며, 본체부 및 뚜껑부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뚜껑부가 밀봉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며, 뚜껑부가 결합된 부분은 본체부 내부에 포함된 상기 조성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는 볼록한 형태로, 외력에 의해 눌려지게 되고, 외부의 눌려지는 힘에 의해 본체부 내부에 포함된 상기 조성물이 출구부를 통해 외부로 나오게 된다.
상기 출구부는 직경이 0.5 내지 1mm인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되어, 외부의 힘에 의해 본체부의 상기 조성물이 출구부로 이동하더라도, 다량 배출되지 않고 한 방울씩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상기 조성물을 충진할 때에는 주사기 형태의 주입 장치를 이용하여 내부로 주입하고, 이때 질소 환경 하에서 충진 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질소 환경 하에서 상기 조성물이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충진되고, 본체부의 출구부와 뚜껑부가 밀봉 결합되면, 본체부의 내부는 상기 조성물과 질소로만 채워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내부가 밀봉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산소와의 접촉이 차단되어 산화로 인한 상태 변화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이 산소와 접촉하거나, 외부의 유해 물질이 직접 투입되지 못하게 되어, 최대 3년까지 상태변화 없이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부에 포함되는 상기 조성물의 양을 1회 사용 양으로 한정하여 본 발명의 앰플형 여성 청결제는 1회 사용 후 버려지는 형태로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즉, 다회 사용을 위한 용기로 제공되지 않고 1회 사용이 가능한 용기로 제공됨에 따라, 앰플형 여성 청결제의 사용에 의한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의 공기 접촉 및 유해물질의 전달 가능성을 막고, 장시간 유통 및 사용이 가능한 형태로 제공 가능하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 방법은 뚜껑부를 외력에 의해 비틀어주면 쉽게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이후, 출구부를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을 바르고자 하는 부위에 위치시키고, 본체부를 눌러주면, 출구부를 통해 상기 조성물이 1 내지 2방울씩 떨어지게 된다.
소량을 피부에 전달하여 사용하는 앰플형 제품의 사용 방법을 고려할 때, 다량이 한번에 전달되는 것보다 1 내지 2방울씩 떨어지도록 구성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충진 앰플에 관한 것으로, 인체에 유해한 알코올류 및 인공 방부제를 포함하지 않아 여성 청결제 조성물로 사용 시 피부 자극이 없으며, 피부 보습, 질 내 pH 조절 및 항균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산소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장시간 유통에도 상태가 변화하지 않아 여성 청결제로 사용 시 편의성을 높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T1)의 질 내 pH 조절 효과를 나타낸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1: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의 제조]
1. 천연 추출물의 제조
등골나물 잎, 줄기 및 뿌리를 세척하고 건조한 뒤 이를 분쇄하였다. 상기 분쇄물을 물에 혼합하고 이를 2시간 동안 98 내지 100℃를 유지한 후, 이를 냉각시킨 뒤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하여 그 여액을 수득하였다.
덜꿩나무 추출물의 제조 또한, 상기 등골나물 추출물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열수 추출물로 제조하였다.
2.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의 제조
치마버섯 균사체 또는 이의 배양물로부터 분리된 베타글루칸은 ㈜큐젠바이오텍으로부터 공급받아 사용하였다.
상기 베타글루칸(BG), 1,2-헥산디올(HD), 펙틴(PT), L-아르기닌(LA), 등골나물 추출물(ME), 덜꿩나무 추출물(VE) 및 정제수(WA)를 하기 표 1과 같이 혼합하여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로 제조하였다.
T1 T2 T3 T4 T5 T6 T7 T8
WA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BG 2.5 0.5 1 3 5 10 3 3
HD 12.5 12.5 12.5 12.5 12.5 12.5 12.5 12.5
PT 12.5 12.5 12.5 12.5 12.5 12.5 12.5 12.5
LA 12.5 12.5 12.5 12.5 12.5 12.5 12.5 12.5
ME - 0.1 0.5 1 1.5 2 1 -
VE - 0.1 0.5 1 1.5 2 - 1
(단위 : 중량부)
[제조예 2: 진공 충진 앰플의 제조]
상단부에 직경이 1mm인 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본체부에 주사 형태로 상기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을 주입하였다. 주입 시, 질소 환경에서 주입 공정을 진행하고, 주입이 완료된 즉시 뚜껑부와 밀봉 결합하여 진공 충진 앰플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피부 보습 효과 실험]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의 보습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각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이 도포된 피부를 대상으로 하여 수분 보유능 및 수분 증발량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수분 보유능의 측정은 Corneometer (Courage + Khazaka, GmbH, Germany)를 사용하여 피부 표면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였으며, 측정온도는 22℃이고, 45%의 상대습도를 유지하는 항온, 항습실에서 T1 내지 T8이 충진된 앰플을 시험자 28명을 대상으로 한쪽 볼에 도포하고 도포 2시간 후의 피부의 수분함량을 측정하였다. 상대적인 비교를 위해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을 도포한 곳과 도포하지 않은 곳을 각각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이 평균 수치로 나타내었다.
하기의 ○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을 도포한 볼이고, Χ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을 도포하지 않은 볼에 대한 전기 전도도 측정 결과이다
T1 T2 T3 T4 T5 T6 T7 T8
58 52 75 82 76 62 55 53
Χ 47 46 50 51 52 49 50 48
(단위 : corneometer units)
상기 측정 결과에 따라, 전기 전도도가 큰 수치를 나타내는 것은 수분 함량이 우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베타글루칸에 의해 T1 내지 T8의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을 사용한 볼에서 사용하지 않은 볼보다 우수한 보습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2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T3 내지 T5에서 보다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pH 조절 효과 실험]
칸디다 알비칸스 (Candida albicans)에 감염된 질염 환자인 20 내지 40세의 여성 80 명을 선정하여 상기 T1의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을 2주 동안 사용하게 하여 질 내부의 pH 변화를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는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T1의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을 2주 동안 사용한 결과 질 내부의 pH를 낮추어 약산성으로 조절하고 질 내 유익균을 증식시킴으로써, 질염 등을 야기하는 유해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천연 추출물(등골나물 추출물 및 덜꿩나무 추출물)이 더 첨가된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의 pH 조절 효과를 실험하기 위해 상기 동일한 조건의 20 내지 40세의 질염 환자 80명을 대상으로 2주 동안 T2 내지 T8의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을 사용하게 한 후, 질 내 pH 변화를 실험하였다.
상대적인 비교를 위해, 상기 T1의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을 2주 동안 사용한 효과를 지수 5로 두고, 천연 추출물이 포함된 T2 내지 T8를 지수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지수는 높을수록 그 효과가 우수함을 의미한다.
T1 T2 T3 T4 T5 T6 T7 T8
pH 조절효과 5 6 8 9 8 7 5 6
(단위 : 지수)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천연 추출물(등골나물 추출물 및 덜꿩나무 추출물)을 더 포함한 T2 내지 T8은 이를 포함하지 않은 T1과 동등 또는 우수한 pH 조절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T3 내지 T5에서 가장 우수한 pH 조절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은 질 내 pH를 약산성 상태로 조절함으로써 질염 등을 야기하는 유해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항균 효과 실험]
전 배양된 칸디다 알비칸스 (Candida albicans)를 디스크 확산법 측정용 평판배지(Sabouraud [0057] Dextrose Agar.Difco.USA)에 100 ㎕씩 분주하여 도말한 후, 상기 T1 내지 T8의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을 멸균된 페이퍼 디스크에 5mg/disc의 농도로 시료를 점적한 후 배지 위에 올려놓았다.
이에 대한 대조군으로 항진균제인 이트라코나졸 (Itraconazol)을 페이퍼 디스크에 100㎍/disk의 농도로 시료를 점적한 후 배지 위에 올려놓았다. 이 평판배지를 28℃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양 후 생성된 세균의 생육저지환(Clean Zone)의 크기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생육저지환 크기(mm)
T1 28
T2 31
T3 23
T4 17
T5 21
T6 29
T7 28
T8 30
대조군 35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이 대조군인 이트라코나졸(항진균제)에 비하여 강한 생육저지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T3 내지 T5에서 가장 우수한 생육저지환의 크기 감소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은 항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피부 자극 발생 실험]
20 내지 40 세의 여성 80명을 선정하여, 5명씩 16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상기 T1 내지 T8의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을 10일 동안 사용하게 한 이후, 피부 자극 발생 여부에 대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다.
[평가 기준]
◎: 전혀 자극이 없음
○: 거의 자극이 없음
△: 약간의 자극이 있어, 민감한 점막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함
Х: 자극이 심해 사용이 불가함
T1 T2 T3 T4 T5 T6 T7 T8
1
2
3
4
5
상기 표 5에 의하면, 상기 T1 내지 T8의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은 전반적으로 피부 자극이 심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T3 내지 T5에서 피부 자극이 가장 적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은 인체에 무해한 성분을 사용하여 민감한 피부를 갖는 여성에게도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치마버섯(Schizophyllum commune) 또는 이의 배양물로부터 분리한 베타글루칸(β-gluca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피부 보습, pH 조절 및 항균 효과가 우수한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질 관련 질환의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이며,
    상기 질 관련 질환은 질 이완증, 질 건조증, 질 진균증 및 냉대하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베타글루칸, 1,2-헥산디올, 펙틴, L-아르기닌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여성 청결제는 피부에 도포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도포 후 질 내 pH를 4.5 내지 5.5로 유지하는
    여성 청결제.
  6. 본체부에 뚜껑부가 밀봉 결합되는 여성 청결제 용기로,
    상기 본체부의 내부는 상기 제1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부가 결합된 본체부 상단은 뚜껑부가 제거되고 본체부에 외력을 가하였을 때, 상기 조성물이 배출되는 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조성물의 충진 시, 질소 상태에서 채워지고 뚜껑부가 밀봉 결합되어 내부가 질소 및 상기 조성물로 채워지는
    진공 충진 앰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산소와 접촉하지 않아 장시간 유통에도 상태가 변화하지 않는 것인
    진공 충진 앰플.
KR1020200004229A 2020-01-13 2020-01-13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충진 앰플 KR102413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229A KR102413425B1 (ko) 2020-01-13 2020-01-13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충진 앰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229A KR102413425B1 (ko) 2020-01-13 2020-01-13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충진 앰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393A true KR20210091393A (ko) 2021-07-22
KR102413425B1 KR102413425B1 (ko) 2022-07-15

Family

ID=77158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229A KR102413425B1 (ko) 2020-01-13 2020-01-13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충진 앰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34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6537A (ko) * 1998-03-24 1999-10-15 서경배 "치마버섯 유래의 베타-1, 6-분지-베타-1, 3-글루칸의 제조방법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베타-1, 6-분지-베타-1, 3-글루칸을함유하는 외용제 조성물
KR102049278B1 (ko) 2018-01-30 2019-11-27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자귀나무 수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KR102057829B1 (ko) * 2019-05-29 2019-12-20 손채원 치마버섯 균사체 또는 이의 배양물로부터 분리된 베타글루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충진 앰플
KR20200000706A (ko) 2018-06-25 2020-01-03 주식회사 케이와이코스메틱 여성청결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6537A (ko) * 1998-03-24 1999-10-15 서경배 "치마버섯 유래의 베타-1, 6-분지-베타-1, 3-글루칸의 제조방법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베타-1, 6-분지-베타-1, 3-글루칸을함유하는 외용제 조성물
KR102049278B1 (ko) 2018-01-30 2019-11-27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자귀나무 수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KR20200000706A (ko) 2018-06-25 2020-01-03 주식회사 케이와이코스메틱 여성청결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57829B1 (ko) * 2019-05-29 2019-12-20 손채원 치마버섯 균사체 또는 이의 배양물로부터 분리된 베타글루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충진 앰플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체험단]Y존관리템/썸도씨 사임당 화장품 여성청결제+남성청결제"(2019. 4. 3.)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3425B1 (ko) 2022-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5709B1 (ko) 질염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는 항균제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EP2575971B1 (en) Combined plant extract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microbial infections
KR101864409B1 (ko) 한방 추출물 및 미생물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살균 또는 항진균용 조성물
KR20160015718A (ko) 쇠비름 추출물 및 피톤치드를 함유하는 여성 청결제
KR102069297B1 (ko) 여성 청결제 조성물
KR102133101B1 (ko) 백모화 및 쑥을 함유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KR102296688B1 (ko) 천연물 유래의 질 건강 유지용 조성물
KR20100130877A (ko) 피부 염증 및 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조성물
EP3134099B1 (en) Anti-candida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KR102413425B1 (ko)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충진 앰플
KR101398549B1 (ko)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1501538B1 (ko) 손바닥선인장 종자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964428B1 (ko) 약용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완화용 화장료조성물
KR20210130870A (ko) 소금 및 아시아홀리오크충영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KR10184197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및 항균 조성물
KR20210048021A (ko) 당귤껍질 추출물, 후박 추출물 및 폴리리신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245617B1 (ko) 장미 추출물 및 지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KR102292487B1 (ko) 코파이바 수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위생 관리용 조성물
KR102248786B1 (ko) 쑥 추출물 및 지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KR102575660B1 (ko) 항균 활성을 갖는 외용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KR102180666B1 (ko) 애플민트, 유자 및 꽃송이버섯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54206A (ko) 쑥 추출물 및 장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CN112237625A (zh) 包含天然萃取物的女性清洁剂用组合物
CN113491765A (zh) 含蜂胶及天然萃取物的女性清洁剂用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90123611A (ko) 프로폴리스와 참다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항진균 천연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