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4206A - 쑥 추출물 및 장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 Google Patents

쑥 추출물 및 장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4206A
KR20210054206A KR1020190140041A KR20190140041A KR20210054206A KR 20210054206 A KR20210054206 A KR 20210054206A KR 1020190140041 A KR1020190140041 A KR 1020190140041A KR 20190140041 A KR20190140041 A KR 20190140041A KR 20210054206 A KR20210054206 A KR 20210054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mugwort
rose
composi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우
서주원
김휘
송미경
곽원일
김태종
나현정
윤지민
Original Assignee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40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4206A/ko
Publication of KR20210054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206A/ko
Priority to KR1020210097685A priority patent/KR2021009603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8Rosa (r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2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disorders of the vagi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0Antimyc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예는 쑥 추출물 및 장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형태의 여성 청결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는 쑥 추출물 및 장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질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여성 청결제 등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쑥 추출물과 장미 추출물은 병용 처리시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균의 생장 억제에 대해 우수한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고 식물에서 유래하기 때문에 자극성과 부작용이 없다. 본 발명의 여성 청결제 등은 경제적이고 안전한 항진균 소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의약품, 화장품, 퍼스널 케어 제품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쑥 추출물 및 장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Feminine cleanser comprising extract of mugwort and extract of rose}
본 발명은 여성 청결제 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여성 외음부의 가려움 또는 질염 등을 유발하는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균의 생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식물 추출물들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및 상기 식물 추출물들의 다양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여성의 질은 외음부와 자궁의 연결 통로로 여성의 몸에서 가장 습기가 많고 따뜻한 곳이다. 따라서, 질염의 주원인인 세균이나 곰팡이가 서식하기 적합한 환경이므로 그로 인한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정상적인 조건에서는 질 내부에 많은 유산균이 서식하면서 질 내부를 약산성으로 만들어 병원균이나 곰팡이가 증식하는 것을 억제하지만, 항생제 장기복용이나 피임약 장기복용, 탐폰이나 루프사용 또는 임신이나 출산, 수유, 폐경 등으로 여성 호르몬의 균형 변화 등의 이유로 질 내부의 균형이 깨어질 때 질 내에서 정상적인 조건에서는 성장이 통상적으로 억제되는 기회감염성 병원체의 증식이 일어나 질염이 발병할 수 있다. 질염은 세균성 질염(bacterial vaginosis), 칸디다성 질염(Candida vaginitis), 트리코모나스 질염(Trichomonas vaginitis), 위축성 질염(Atrophic vaginitis)등이 보고되어 있다.
세균성 질염과 함께 흔한 질환인 칸디다성 질염(Candida vaginitis)은 진균인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균이 습한 음부에 서식하면서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서, 약 75%의 여성이 살아가는 동안 한 번 이상 질과 외음부의 칸디다성 질염을 겪으며 45%의 여성이 1년에 2회 이상의 재발을 겪는 흔한 질환이다. 건강한 사람의 구강, 장, 질 등에 정상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칸디다(주로 Candida albicans)가 임신이나 경구용 피임약 장기 복용 등으로 여성 호르몬의 상태가 비정상적일 때, 감기나 당뇨병, 에이즈의 이유로 면역성이 극도로 쇠약할 때 감염을 유발하게 된다. 비만, 항생제의 알레르기나 관절염 등의 치료제로 쓰이는 부신 피질 호르몬의 복용 등에 의해서도 발병할 수 있다. 항생제의 투여로 인한 발병의 경우 항생제가 질 내의 유익한 유산균을 죽임으로써 발생하는데 이런 경우 재발의 가능성도 크다. 너무 꼭 끼는 거들이나 바지 등을 입어 통풍이 안 되거나 목욕 후 외음부의 물기를 잘 닦지 않아 젖은 팬티를 입은 경우, 생리 중 패드를 자주 갈지 않는 경우에도 잘 발생한다. 질에 칸디다 알비칸스가 서식하고 있는 여성의 50%만이 증상이 있는데 주증상은 냉이 많아지고 피부에 염증 반응이 생겨서 가려운 것이며, 병의 종류와 정도 또는 2차 세균 감염 등에 따라서 피부가 벗겨지거나 고름이 나오는 등 차이가 있다. 특징적 증상으로는 짙고 하얀 분비물이 나오며, 외음부는 매우 신경이 예민하여 아프거나 때로 부종과 염증이 생기기도 한다. 작열감, 성교통, 부종, 외음부 통증 등이 있고 임상 소견으로는 외음부 및 질의 홍반, 울혈, 표피박리, 소포, 농포, 등을 볼 수 있다.
상기 칸디다성 질염을 예방하기 위해 여성 청결제, 외음부 세정제 또는 질 세정제와 같은 제품을 많이 이용하지만 실제로 효능이 미미하거나, 민감한 부위에 맞지 않는 화학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칸디다성 질염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하는 fluconazole과 같은 Azole계 항진균제의 경우 이에 대해 내성을 갖는 균주가 보고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항진균제가 적절한 항생제라 할지라도, 충분치 못 한 양을 투여했을 경우에는 병균은 죽지 않고 내성으로 인하여 오히려 차후 치료에 더 큰 어려움을 낳는다. 또한 세정제로 사용되는 물리화학적 질 세정제는 장기간 사용시 세정 효과가 저하되고 잡균은 제거되는 대신 진균이 증가하며, 악취 및 불쾌한 냄새 제거 효과가 저해되는 등 한계가 존재하였다.
이러한 결점 등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생약 기반의 질염 치료제 또는 여성청결제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36339호에는 유백피, 익모초 및 토복령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청결제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83990호에는 초정약수 2~40 중량%; 익모초 추출물, 쑥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의 혼합물 0.01~3 중량%; 및 정제수 45~95 중량%를 함유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70780호에는 다마스크 장미꽃오일, 금잔화꽃수, 라벤더꽃수, 홍차 추출물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45709호에는 중량비 기준 고삼 1.0~4.0 : 단삼 20~40 : 사상자 1.0~4.0 : 지부자 1.0~4.0 : 황금 40~60 : 황련 5.0~15 : 황백 1.0~4.0로 구성하여 혼합된 천연 생약재를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천연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고, 진균류인 칸디다알비칸스(Candida albicans)와 일반세균인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에 항균활성 효과가 있는 항균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5173호에는 지유에 물, 친수성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첨가하여 추출된 여성 비뇨생식계 관련 질환 예방 및 개선/완화 효능을 갖는 지유 추출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에 제시된 여성 청결제는 경제성이 떨어지고 그 효과 또한 미비하여 유효성분의 사용량이 매우 높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적 배경하에서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원료로도 칸디다성 질염의 가장 큰 원인균인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에 대해 우수한 항진균 활성을 보이면서 자극성과 부작용이 없어 보다 경제적이고 안전한 천연 추출물 복합 소재 및 이의 여성 청결제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다양한 식물 추출물들의 병용 처리에 의한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균의 생장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고, 그중 쑥 추출물과 장미 추출물을 병용 처리시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균의 생장 억제에 대해 우수한 시너지 효과를 나타낸다는 점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예는 쑥 추출물 및 장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형태의 여성 청결제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예는 쑥 추출물 및 장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질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여성 청결제 등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쑥 추출물과 장미 추출물은 병용 처리시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균의 생장 억제에 대해 우수한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고 식물에서 유래하기 때문에 자극성과 부작용이 없다. 본 발명의 여성 청결제 등은 경제적이고 안전한 항진균 소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의약품, 화장품, 퍼스널 케어 제품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여성 청결제"는 여성의 외음부에 사용되는 전용 클렌저로서, 여성 외음부 세정제 또는 질 세정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이란 생물체를 상당히 자극하지 않고 투여 활성 물질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예방"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특정 질환의 증상을 억제하거나 진행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개선"은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치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특정 질환의 증상을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개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특정 질환의 증상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을 가진 인간, 원숭이, 개, 염소, 돼지 또는 쥐 등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 또는 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이는 개체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동시에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여성 청결제는 쑥 추출물 및 장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조성물의 형태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질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쑥 추출물 및 장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하고 있는 쑥 추출물 및 장미 추출물에 대해 설명한다.
쑥 추출물
본 발명에서 쑥 추출물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쑥 추출물을 얻기 위해 원료로 쑥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 예를 들어 잎, 줄기, 뿌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중 쑥의 지상부인 잎 또는 줄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쑥은 쑥(Artemisia) 속에 다년생 초본식물이라면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Artemisia vulgaris L.,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등에서 선택할 수 있고, 이중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쑥으로부터 추출물을 얻기 위해서는 추출 과정이 필요한데, 이때 추출 방법으로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추출 방법, 예를 들어 용매 추출법을 사용할 수 있다. 용매 추출법을 이용하여 쑥 추출물을 제조할 때 사용될 수 있는 추출 용매는 물, 탄소 수가 1 내지 4인 저급 알코올(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함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디에틸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이중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 용매로 물을 사용하는 경우 물은 열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추출 용매로 알코올을 사용하는 경우 알코올은 탄소 수가 1 내지 4인 저급 알코올인 것이 바람직하고,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에서 선택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추출 용매로 함수 알코올을 사용하는 경우 알코올 함량은 50~90%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 추출법에 의해 수득한 쑥 추출액은 여과되어 여과된 추출액 형태로 회수되고, 감압증발기 등에 의해 농축되어 농축된 추출액 형태로 회수되고, 동결 건조 또는 스프레이 드라이와 같은 통상의 고상화 방법에 의해 추출물 분말 형태로 회수될 수 있다.
장미 추출물
본 발명에서 장미 추출물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미 추출물을 얻기 위해 원료로 장미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 예를 들어 잎, 줄기, 뿌리, 꽃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중 장미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장미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 장미속에 속하는 식물이라면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Rosa arvensis, Rosa canina, Rosa Damascena, Rosa gallica, Rosa kordesii, Rosa moschata, Rosa nitida, Rosa palustris, Rosa rugosa, Rosa setigera 등에서 선택할 수 있고, 이중 다마스크 장미(Rosa Damascena)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장미로부터 추출물을 얻기 위해서는 추출 과정이 필요한데, 이때 추출 방법으로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추출 방법, 예를 들어 용매 추출법을 사용할 수 있다. 용매 추출법을 이용하여 장미 추출물을 제조할 때 사용될 수 있는 추출 용매는 물, 탄소 수가 1 내지 4인 저급 알코올(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함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디에틸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이중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 용매로 물을 사용하는 경우 물은 열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추출 용매로 알코올을 사용하는 경우 알코올은 탄소 수가 1 내지 4인 저급 알코올인 것이 바람직하고,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에서 선택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추출 용매로 함수 알코올을 사용하는 경우 알코올 함량은 50~90%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 추출법에 의해 수득한 장미 추출액은 여과되어 여과된 추출액 형태로 회수되고, 감압증발기 등에 의해 농축되어 농축된 추출액 형태로 회수되고, 동결 건조 또는 스프레이 드라이와 같은 통상의 고상화 방법에 의해 추출물 분말 형태로 회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여청 청결제나 질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쑥 추출물 대 장미 추출물의 중량비는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균의 생장 억제에 대한 시너지 효과나 경제성 등을 고려할 때 1:0.08 내지 1:0.67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1 내지 1:0.6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2 내지 1:0.5에서 선택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여청 청결제나 질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경우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균의 생장 억제에 대한 시너지 효과, 경제성, 안전성 등을 고려할 때 쑥 추출물은 0.15~0.5 g/L의 농도로 사용자에게 처리되고 장미 추출물은 0.04~0.1 g/L의 농도로 사용자에게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쑥 추출물은 0.2~0.4 g/L의 농도로 사용자에게 처리되고 장미 추출물은 0.05~0.09 g/L의 농도로 사용자에게 처리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여청 청결제나 질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쑥 추출물 및 장미 추출물은 병용 처리에 의해 우수한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균의 생장 억제 활성을 가지며,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균에 의해 유발되는 질염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여청 청결제나 질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사용 목적 내지 양상에 따라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퍼스널 케어 제품(personal care product) 등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유효성분 외에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와 같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쑥 추출물 및 장미 추출물 외에 질 세정 또는 질염 개선 효과를 갖는 공지의 유효성분을 1종 이상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고, 제제화할 경우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 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에 비경구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는 피부 외용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라면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환자 또는 사용자의 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하루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사용되는 양태를 고려할 때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와 같은 피부 외용 형태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퍼스널 케어 제품(personal care product)은 스프레이형, 액상형, 젤형, 분말, 고형의 비누, 거품 타입의 세정제, 또는 물티슈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 인진쑥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줄기 및 잎 100 중량부에 정제수 700 중량부를 첨가하고 약 100℃에서 약 4 hr 동안 1차 추출하고 1차 추출액을 약 25 ㎛ 이하의 공극 크기를 자지는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또한, 1차 추출액을 여과한 후 남은 잔사에 정제수 500 중량부를 첨가하고 약 100℃에서 약 4 hr 동안 2차 추출하고 2차 추출액을 약 25 ㎛ 이하의 공극 크기를 자지는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액을 취합하고, 이를 약 55~60℃에서 약 20~25 브릭스(Brix) 농도로 감압농축하여 농축된 추출액을 수득하고, 이를 분무건조(Spray dry)하여 분말 형태의 인진쑥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2. 장미꽃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다마스크 장미꽃(Rosa Damascena Flower) 100 중량부에 정제수 700 중량부를 첨가하고 약 100℃에서 약 4 hr 동안 1차 추출하고 1차 추출액을 약 25 ㎛ 이하의 공극 크기를 자지는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또한, 1차 추출액을 여과한 후 남은 잔사에 정제수 500 중량부를 첨가하고 약 100℃에서 약 4 hr 동안 2차 추출하고 2차 추출액을 약 25 ㎛ 이하의 공극 크기를 자지는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액을 취합하고, 이를 약 55~60℃에서 약 20~25 브릭스(Brix) 농도로 감압농축하여 농축된 추출액을 수득하고, 이를 분무건조(Spray dry)하여 분말 형태의 장미꽃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3. 인진쭉 추출물과 장미꽃 추출물의 병용시 칸디다 알비칸스( Candida albicans ) 생장 억제에 대한 시너지 효과 평가
(1) 실험 균주의 분양 및 배양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CTC)로부터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KCTC 7965 균주를 분양받아 실험 균주로 사용하였다. -80℃에서 보관하고 있는 실험 균주를 페트리디쉬(Petri dish) 내의 SDA 배지에 스트리킹(Streaking) 하고 약 35℃에서 약 24 hr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SDA 배지는 -80℃에서 보관하고 있는 실험 균주를 활발한 생육 상태로 만드는 배지로서 그 조성은 다음과 같다.
* SDA 배지 1000㎖ 기준 구성성분 : Sabouraud Broth(BD 238230) 30.0g, Agar 15.0g, Water 1000㎖
배양한 페트리디쉬(Petri dish)를 파라필름(parafilm)으로 감아 밀봉하고 약 4℃에서 보관하며 사용하였다. 보관 중인 페트리디쉬(Petri dish)에서 단일 콜로니(colony) 한개를 취하여 새로운 SDA 배지에 스트리킹(Streaking) 하고 약 35℃에서 약 24 hr 동안 배양한 후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2) 추출물 시료의 준비
인진쑥 추출물을 후술하는 실험에서 마이크로플레이트(microplate)에 처리되는 최종 농도가 0.0625g/L, 0.09375g/L, 0.1250g/L, 0.1786g/L, 0.2321g/L, 0.2589g/L, 0.2859g/L, 0.3125g/L, 0.3393g/L가 되도록 RPMI 1640 배지로 희석하여 다양한 농도의 인진쑥 추출물 용액을 준비하였다.
또한, 장미꽃 추출물을 후술하는 실험에서 마이크로플레이트(microplate)에 처리되는 최종 농도가 0.035g/L, 0.037g/L, 0.038g/L, 0.040g/L, 0.042g/L, 0.043g/L, 0.045g/L, 0.050g/L, 0.056g/L, 0.061g/L, 0.067g/L, 0.075g/L, 0.083g/L가 되도록 RPMI 1640 배지로 희석하여 다양한 농도의 장미꽃 추출물 용액을 준비하였다.
상기 RPMI 1640 배지는 페트리디쉬(Petri dish) 내의 SDA 배지상에서 배양되어 활발한 생육 상태가 된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KCTC 7965 균주를 CLSI M27-A2 method에 따라 이용할 때 사용하는 배지로서, 그 조성은 다음과 같다. RPMI 1640 배지는 4℃에서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 RPMI 1640 배지(pH 7.0) 1000㎖ 기준 구성성분 : RPMI 1640(Merck KGaA, product number : R6504) 10.4g, MOPS[3-(N-morpholino)propanesulfonic acid] 34.53g, 1M Sodium hydroxide 용액을 pH 7.0이 될때까지 첨가, Water를 배지 부피가 1000㎖가 될때까지 첨가
(3) 96-well polystyrene 마이크로플레이트(microplate)를 이용한 추출물들 처리 농도별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의 배양 및 생장 수준 확인
96-well polystyrene microplate(CORNING, Costar® Assay Plate 96-Well Clear Round Bottom With Lid Non-Treated)에 농도별로 희석한 추출물 용액을 총 100㎕가 되도록 넣었다. 먼저, 같은 세로줄의 B~G열은 같은 농도의 장미꽃 추출물이 위치하도록 하며, 3열에서 9열로 갈수록 더 높은 농도의 장미꽃 추출물이 위치하도록 하여 장미꽃 추출물 용액을 50㎕씩 넣었다. 다음으로는 같은 가로줄의 2~9열은 같은 농도의 인진쑥 추출물이 위치하도록 하며, C열에서 G열로 갈수록 더 높은 농도의 인진쑥 추출물이 위치하도록 하여 인진쑥 추출물 용액을 50㎕씩 넣었다. 이후, 추출물 용액이 총 50㎕ 들어있는 B열과 2열에는 RPMI 1640 배지 50㎕를 추가하였다. 또한, 10열과 11열은 추출물 용액을 넣지않고 RPMI 1640 배지 100㎕를 넣어 대조군(Control)으로 사용하였다. 1개의 플레이트(plate)당 처리 가능한 장미꽃 추출물의 농도는 7개 농도, 인진쑥 추출물의 농도는 5개 농도이므로 4개의 플레이트(plate)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1번 플레이트(plate)에는 장미꽃 추출물 저농도 구간과 인진쑥 추출물 저농도 구간, 2번 플레이트(plate)에는 장미꽃 추출물 고농도 구간과 인진쑥 추출물 저농도 구간, 3번 플레이트(plate)에는 장미꽃 추출물 저농도 구간과 인진쑥 추출물 고농도 구간, 4번 플레이트(plate)에는 장미꽃 추출물 고농도 구간과 인진쑥 추출물 고농도 구간의 시너지 효과를 관찰하도록 하였으며 3번 반복하였다. 위와 같이 플레이트(plate)에 추출물을 배치하면 가로 줄의 B열과 세로줄의 2열에서 단일 추출물의 농도별 효능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SDA 배지에 스트리킹(Streaking)하고 배양하여 준비한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KCTC 7965 균주의 단일 군집 5개를 취하여 0.85% saline 용액 5㎖에 현탁하고 약 15초 동안 vortex 하였다. vortex한 현탁액에 대해 Spectrophotometer(Mecasys Co.의 Optizen2120uv)를 이용해 53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밀도가 0.5 McFarland standard가 되는지 확인하였다. 필요에 따라 세포 밀도가 0.5 McFarland standard가 되도록 0.85% saline 용액을 첨가하거나 단일 군집을 현탁하여 조정하였다. 세포 밀도를 맞춘 현탁액을 RPMI 1640배지로 50배 희석하고, 다시 20배 희석하여 세포 밀도가 1×103~5×103 CFU/㎖가 되도록 조정하고, 접종 용액을 준비하였다.
이후, 실험 플레이트(plate상)의 B~G열이면서 2~11열에 위치하는 웰(well)에 준비된 접종 용액 100㎕를 넣어주어 최종적으로 접종된 세포 밀도가 0.5×103~2.5×103 CFU/㎖가 되도록 하였다. 또한, 추출물의 시너지 효과를 관찰할 플레이트(plate)와 동일하게 추출물이 처리된 플레이트(plate)에 접종 용액 대신 RPMI 1640배지 100㎕를 넣어 추출물의 색을 측정할 Blank plate로 사용하였다. 또한, 어떤 것도 처리되지 않은 웰(well)에는 멸균된 2차 증류수 200㎕를 채워주었다. 접종이 완료된 플레이트(plate)를 약 35℃의 배양기(incubator)에서 약 48 hr 동안 배양한 후 육안으로 상태를 관찰하여 가라앉은 균이 보이지 않는 MIC 농도를 관측하였다. 또한, 가라앉은 균을 멀티피펫(multipipette)으로 샘플링한 후 Microplate reader(BioTek® Synergy HTX Multi-Mode Reader)로 53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이를 배양된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의 세포 밀도(cell density)로 간주하였다.
(4) 인진쑥 추출물과 장미꽃 추출물의 병용시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의 생장 억제에 대한 시너지 효과 분석
96-well polystyrene 마이크로플레이트(microplate)에서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를 배양한 후 흡광도(OD)를 측정하고, 다음과 같은 식에 따라 처리한 추출물들의 대조군(Control) 대비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에 대한 생장 억제율(Growth inhibition, GI)을 계산하였다.
GI(%) = (ODcontrol - ODtest)×100/ODcontrol
인진쑥 추출물의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에 대한 생장 억제율(Growth inhibition, GI)을 계산한 결과, 인진쑥 추출물은 처리 농도 0.2321 g/L에서부터 약 10.3%의 생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기 시작하였고, 처리 농도 0.3393 g/L일때 약 19.4%의 생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장미꽃 추출물의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에 대한 생장 억제율(Growth inhibition, GI)을 계산한 결과, 장미꽃 추출물은 처리 농도 0.067 g/L에서부터 약 2.7%의 생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기 시작하였고, 처리 농도 0.075 g/L일때 약 17.1%의 생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체커보드 어세이(Checkerboard assay)는 2개 물질의 조합시 미생물의 생장 억제에 대한 시너지 효과가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이다. 본 실험에서는 저널 Asian Pacificjournal of Tropical Medicine (2014)456-461에 개시된 체커보드 어세이(Checkerboard assay) 기준에 의거하여 인진쑥 추출물과 장미꽃 추출물의 병용시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의 생장 억제에 대한 시너지 효과 여부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2가지 추출물이 처리된 웰(well)의 GIcombination 값을 단일 추출물이 처리된 웰(we11)의 GIalone 값으로 나누어 인진쑥 추출물 대비 추출물 병용의 생장 억제 효과 배수 및 장미꽃 추출물 대비 추출물 병용의 생장 억제 효과 배수를 계산하고, 하기의 기준에 따라 인진쑥 추출물과 장미꽃 추출물의 병용시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의 생장 억제에 대한 시너지 효과 여부를 평가하였다.
* 2 ≤ GI인진쑥+장미꽃/GI인진쑥 및 GI인진쑥+장미꽃/GI장미꽃 → 시너지 효과 있음
* 1.5 ≤ GI인진쑥+장미꽃/GI인진쑥 또는 GI인진쑥+장미꽃/GI장미꽃 < 2 → 부분적으로 시너지 효과 있음
* GI인진쑥+장미꽃/GI인진쑥 또는 GI인진쑥+장미꽃/GI장미꽃 < 1.5 → 시너지 효과 없음
* GI인진쑥+장미꽃 : 인진쑥 추출물과 장미꽃 추출물의 병용 처리시 생장 억제율; GI인진쑥 : 인진쑥 추출물 단독 처리시 생장 억제율; GI장미꽃 : 장미꽃 추출물 단독 처리시 생장 억제율
하기 표 1은 인진쑥 추출물과 장미꽃 추출물의 단독 처리시 또는 병용 처리시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에 대한 생장 억제율(Growth inhibition, GI)을 나타낸 것이다.
Growth Inhibition (%) 장미꽃 추출물 처리 농도 (g/L)
0.000 0.061 0.067 0.075 0.083
인진쑥 추출물 처리 농도 (g/L) 0.000 0.0 0.0 2.7 17.1 45.2
0.2321 10.3 70.1 75.5 80.4 82.4
0.2589 10.8 65.9 79.4 81.5 89.1
0.2859 14.5 70.5 73.9 82.3 82.2
0.3125 17.7 73.9 77.4 74.9 83.9
0.3393 19.4 68.9 78.3 79.1 80.3
하기 표 2는 인진쑥 추출물 대비 인진쑥 추출물 및 장미꽃 추출물 병용의 생장 억제 효과 배수인 GI인진쑥+장미꽃/GI인진쑥 값을 나타낸 것이다.
GI인진쑥+장미꽃/GI인진쑥 장미꽃 추출물 처리 농도 (g/L)
0.000 0.061 0.067 0.075 0.083
인진쑥 추출물 처리 농도 (g/L) 0.000
0.2321 6.8 7.3 7.8 8.0
0.2589 6.1 7.4 7.5 8.3
0.2859 4.9 5.1 5.7 5.7
0.3125 4.2 4.4 4.2 4.7
0.3393 3.6 4.0 4.1 4.1
하기 표 3은 장미꽃 추출물 대비 인진쑥 추출물 및 장미꽃 추출물 병용의 생장 억제 효과 배수인 GI인진쑥+장미꽃/GI장미꽃 값을 나타낸 것이다.
GI인진쑥+장미꽃/GI장미꽃 장미꽃 추출물 처리 농도 (g/L)
0.000 0.061 0.067 0.075 0.083
인진쑥 추출물 처리 농도 (g/L) 0.000
0.2321 > 2 28.0 4.7 1.8
0.2589 > 2 29.4 4.8 2.0
0.2859 > 2 27.4 4.8 1.8
0.3125 > 2 28.7 4.4 1.9
0.3393 > 2 29.0 4.6 1.8
상기 표 1 내지 표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인진쑥 추출물을 0.2321 g/L 내지 0.3393 g/L의 농도로 처리하고 동시에 장미꽃 추출물을 0.061 g/L 내지 0.075 g/L 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생장 억제에 대해 시너지 효과를 보였다. 또한, 인진쑥 추출물을 0.2321 g/L 내지 0.3393 g/L의 농도로 처리하고 동시에 장미꽃 추출물을 0.083 g/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생장 억제에 대해 부분적으로 시너지 효과를 보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본 발명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실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6)

  1. 쑥 추출물 및 장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형태의 여성 청결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쑥 추출물과 장미 추출물은 열수에 의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청결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쑥 추출물은 쑥의 지상부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청결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쑥은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청결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미 추출물은 장미꽃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청결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쑥 추출물 대 장미 추출물의 중량비는 1:0.08 내지 1:0.67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청결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쑥 추출물은 0.15~0.5 g/L의 농도로 사용자에게 처리되고 상기 장미 추출물은 0.04~0.1 g/L의 농도로 사용자에게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청결제.
  8. 제1항 내지 제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균의 생장 억제 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청결제.
  9. 쑥 추출물 및 장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질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쑥 추출물과 장미 추출물은 열수에 의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쑥 추출물은 쑥의 지상부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쑥은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장미 추출물은 장미꽃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쑥 추출물 대 장미 추출물의 중량비는 1:0.08 내지 1:0.67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쑥 추출물은 0.15~0.5 g/L의 농도로 사용자에게 처리되고 상기 장미 추출물은 0.04~0.1 g/L의 농도로 사용자에게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16.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질염은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균에 의해 유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90140041A 2019-11-05 2019-11-05 쑥 추출물 및 장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KR2021005420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041A KR20210054206A (ko) 2019-11-05 2019-11-05 쑥 추출물 및 장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KR1020210097685A KR20210096033A (ko) 2019-11-05 2021-07-26 쑥 추출물 및 장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041A KR20210054206A (ko) 2019-11-05 2019-11-05 쑥 추출물 및 장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685A Division KR20210096033A (ko) 2019-11-05 2021-07-26 쑥 추출물 및 장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206A true KR20210054206A (ko) 2021-05-13

Family

ID=7591337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041A KR20210054206A (ko) 2019-11-05 2019-11-05 쑥 추출물 및 장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KR1020210097685A KR20210096033A (ko) 2019-11-05 2021-07-26 쑥 추출물 및 장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685A KR20210096033A (ko) 2019-11-05 2021-07-26 쑥 추출물 및 장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54206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033A (ko) 202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5709B1 (ko) 질염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는 항균제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KR100772575B1 (ko)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RU2536264C2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наружного применения на коже, содержащая соль и сахар в качестве активных ингредиентов,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и лечения вагиноза, и ее применение
WO2008140200A1 (en) External compositions for the skin
KR101864409B1 (ko) 한방 추출물 및 미생물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살균 또는 항진균용 조성물
KR20160015718A (ko) 쇠비름 추출물 및 피톤치드를 함유하는 여성 청결제
KR20190014774A (ko)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33101B1 (ko) 백모화 및 쑥을 함유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US20220047494A1 (en) Antibacterial, deodorization, easing of acne and atopy or skin calming-functional composition for y-zone cleanliness containing quercus acutissima sap and zinc ricinoleate
KR101924822B1 (ko) 렌틸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EP3134099B1 (en) Anti-candida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KR102245617B1 (ko) 장미 추출물 및 지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KR102049278B1 (ko) 자귀나무 수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KR102248786B1 (ko) 쑥 추출물 및 지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KR20120062615A (ko) 부챗말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237517B1 (ko) 상승효과를 갖는 장미 추출물 및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용 조성물, 및 칸디다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54206A (ko) 쑥 추출물 및 장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KR102172448B1 (ko) 동백유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KR20120005260A (ko) 해당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청결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15668B1 (ko) 프로바이오틱스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여드름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37512B1 (ko) 상승효과를 갖는 장미 추출물 및 목단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용 조성물, 및 칸디다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86025B1 (ko) 생유산균을 포함하고 질염 개선에 도움을 주는 여성청결제용 조성물
KR102413425B1 (ko)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충진 앰플
KR102575660B1 (ko) 항균 활성을 갖는 외용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KR102540960B1 (ko) 무화과 효소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