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0330A - Pe부직포방수시트와 가설지지재가 일체로 조립된 방수 겸 거푸집결합체 및 이를 이용한 직4각형단면의 하부 지하구조물의 설치공법 - Google Patents

Pe부직포방수시트와 가설지지재가 일체로 조립된 방수 겸 거푸집결합체 및 이를 이용한 직4각형단면의 하부 지하구조물의 설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0330A
KR20210090330A KR1020200003167A KR20200003167A KR20210090330A KR 20210090330 A KR20210090330 A KR 20210090330A KR 1020200003167 A KR1020200003167 A KR 1020200003167A KR 20200003167 A KR20200003167 A KR 20200003167A KR 20210090330 A KR20210090330 A KR 20210090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waterproof sheet
formwork assembly
temporary
temporar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3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9591B1 (ko
Inventor
최현우
Original Assignee
선구시엠(주)
주식회사 도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대아산업개발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선구산업(주)
주식회사 유신
주식회사 화인건영
(주)신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구시엠(주), 주식회사 도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대아산업개발,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선구산업(주), 주식회사 유신, 주식회사 화인건영, (주)신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선구시엠(주)
Priority to KR1020200003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591B1/ko
Publication of KR20210090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0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02D2450/10Membranes
    • E02D2450/105Membranes impermeable
    • E02D2450/106Membranes impermeable for liqui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02D2450/10Membranes
    • E02D2450/108Membranes multi-laye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E부직포방수시트의 포설 및 종횡철근이 배근되는 직4각형 단면의 버텀(bottom)공간(G)(Ⅰ공간)의 양측 수직개방부에 레미콘 타설을 위한 거푸집결합체를 설치하되 거푸집결합체가 PE부직포방수시트와, 가설지지철망과, 가설자립지지강재로 이루어지고, 이때 PE부직포방수시트는 방수기능 및 거푸집기능과, 그리고 되메움시 보호재 기능이 복합화된 부재이며, 가설지지철망과 가설자립지지강재는 거푸집결합체의 수직지지재이고, 또한 타설되는 레미콘의 수평작용압력에 대한 거푸집결합체의 수평저항 인장재로서 버텀(bottom)공간(G)(Ⅰ공간)의 「횡 철근 + 인장연결결속선」 이 담당되게 함으로써 종래기술과는 달리 버텀(bottom)공간(G)외부로의 수평작업공간이 생략되어 작업이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발명이다.

Description

PE부직포방수시트와 가설지지재가 일체로 조립된 방수 겸 거푸집결합체 및 이를 이용한 직4각형단면의 하부 지하구조물의 설치공법{The mold of a corporate body assembling PE unwoven waterproof sheet and temporary supporter and method installing it thereof}
본 발명은 PE부직포방수시트와 가설지지재가 일체로 조립된 방수 겸 거푸집결합체 및 이를 이용한 직4각형단면의 하부 지하구조물의 설치공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PE부직포방수시트의 포설 및 종횡철근이 배근되는 직4각형 단면의 버텀(bottom)공간(G)(Ⅰ공간)의 양측 수직개방부에 레미콘 타설을 위한 거푸집결합체를 설치하되 거푸집결합체가 PE부직포방수시트와, 가설지지철망과, 가설자립지지강재로 이루어지고, 이때 PE부직포방수시트는 방수기능 및 거푸집기능과, 그리고 되메움시 보호재 기능이 복합화된 부재이며, 가설지지철망과 가설자립지지강재는 거푸집결합체의 수직지지재이고, 또한 타설되는 레미콘의 수평작용압력에 대한 거푸집결합체의 수평저항 인장재로서 버텀(bottom)공간(G)(Ⅰ공간)의 「횡 철근 + 인장연결결속선」 이 담당되게 함으로써 종래기술과는 달리 버텀(bottom)공간(G)외부경계측면으로의 수평작업공간이 생략되어 작업이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거푸집결합체의 구조는 지지벽체 타설을 위한 거푸집사이의 수령간격이 넓은 종래기술과는 달리 그 두께가 극히 얇은 구조일 뿐 아니라 양생·경화와는 무관한 구조이어서 양생기간에 전혀 구애를 받지 않아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효율적이며, 후속적업역시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그뿐 아니라 거푸집결합체는 양생·경화와는 무관한 재질이고, 수평저항 인장재인 횡 철근의 양단이 양측 대칭 거푸집결합체에 수평연결·결속되고, 이후 타설되는 레미콘의 수평작용압력에 대하여 버텀(bottom)공간(G)(Ⅰ공간)내부에 배근된 횡 철근이 곧바로 수평인장력(T)으로 저항·지지됨으로써 거푸집결합체의 수평지지가 간단하여 그 설치작업이 용이하면서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거푸집결합체의 PE부직포방수시트는 타설된 레미콘과 함께 버텀(bottom)공간(G)의 하부 및 양측부에 그대로 남아있고, 레미콘이 경화된 후에는 가설자립지지강재와 가설지지철망이 철거되며, 철거후의 버텀(bottom)공간(G)의 구조물 외벽면에는 PE부직포방수시트만 부착됨으로써 구조물외벽에 가설자립지지강재와 가설지지철망이 남아있지 않아 지중 환경이 오염되지 않으면서 재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되메움시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가 큰 PE 장섬유 압착 부직포와 이에 결착·앵카된 쿠션작용의 아스팔트에 의해 충분한 보호재로서 역할이 되도록 한 것이다.
지하철, 지하차도, 아파트지하주차장, 공동구 등의 지하구조물은 일반적으로 도1과 같다. 도1의 지하구조물의 형상은 4각형 단면의 박스형태다.
도1의 A-A선의 아래는 수평상의 4각형단면이고, 그 위는 수직상의 4각형단면이다. 통상 버텀(bottom)구조물은 상부의 하중을 집중적으로 받으므로 높이1.0M 이상의 구조물로 설계된다.
A-A선의 아래를 Ⅰ, 그 위를 Ⅱ라 하면, Ⅰ은 수평상의 4각형단면이고, Ⅱ는 수직상의 4각형단면이다.
도1은 완성된 지하구조물을 도시하고 있지만 Ⅰ과 Ⅱ는 완성된 지하구조물이전의 상태, 즉 철근배근 및 거푸집이 설치되기 이전의 성태를 말한다(도2b의 G 참조). 이때 Ⅰ는 4각형단면의 하부 지하구조물에 해당되는 종래 개량아스팔트시트포설 및 철근배근을 위한 공간이다.
다만 설명의 편의상 Ⅰ, Ⅱ의 위치가, 완성된 지하구조물의 4각형단면의 해당되는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특히 상면·하면·양 수직측면으로 이루어진 Ⅰ의 4각형단면에는 1곳 밀폐면과 3곳 개방면으로 이루어진다.
Ⅰ의 4각형단면공간은 지하구조물의 버텀(bottom)구조물에 대응되는 버텀(bottom)공간이다. 이때 버텀(bottom)구조물의 높이는 1.2~1.5m이다.
1곳 밀폐면은 기초콘크리트 수평면(C)으로 된 하면이고, 3곳 개방면은 상면·양 수직측면이다.
밀폐면인 기초콘크리트 수평면(C)에는 거푸집설치가 필요 없다. 밀폐면자체가 거푸집기능을 하기 때문이다. 밀폐면은 두께 10cm의 면고르기 몰탈로 타설된다.
그런데 개방면 3곳 중 2곳, 곧 양 수직측면에만 거푸집설치가 필요하다. 이때 양 수직측면에 설치된 거푸집은 타설된 1.2~1.5m 높이의 레미콘수평압력에 대한 저항구조재이다.
개방면 1곳, 곧 상면에는 거푸집설치가 필요 없다. 왜냐하면 하면 기초콘크리트 수평면(C)과 양 수직측면 거푸집(B)사이에 레미콘이 타설되면, 상면 수평 개방면은 거푸집이 없이도 자연히 수평면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렇다.
이러한 점에서 Ⅰ의 4각형단면은 레미콘 타설을 위한 거푸집설치의 가장 효율적 단면이다.
종래기술 도 2b 및 도 2c에 의하면, Ⅰ의 4각형단면의 타설 레미콘수평압력에 대한 저항구조재인 거푸집은 콘크리트벽체(10)이다.
도 2a의 양 거푸집(1)(1)은, 도 2b의 콘크리트벽체(10)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일 뿐, 콘크리트벽체(10)가 아니다.
도 2a, 도 2b 및 도 2c에 의해 Ⅰ의 4각형단면의 레미콘 타설을 위한 사전조치사항에 대하여 살펴본다.
첫 번째 사전조치사항은, 도 2a의 콘크리트벽체(10)를 위한 거푸집(1)(1)설치 및 거푸집(1)(1)사이(D)에 콘크리트 타설이 그것이다. 이때 거푸집(1)(1)에 대한 별도 추가수평지지구조가 필요하다. 수직재인 거푸집(1)자체로는 레미콘의 수평압력의 지지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도 2a에 도시된바와 같이 고정용 수직 지주기둥(4)과 가름대(2) 및 버팀지주(3)가 바로 별도 추가수평지지구조이다.
두 번째 사전조치사항은, 도 2b에 의하면, 양생·경화된 콘크리트벽체(10)a만 남고, 별도 추가수평지지구조(즉, 거푸집)는 제거된 상태이다. 그 이후 콘크리트벽체(10)만 남이 있는 상태에서 Ⅰ의 G공간에 기초콘크리트 수평면(C)과 콘크리트벽체(10)에 접면되게 종래 개량아스팔트시트(20)가 포설된다.
세 번째 사전조치사항은, 도 2c에 의하면 종래 개량아스팔트시트(20)가 포설된 상태에서 Ⅰ의 G공간에 스페이서(30)와 함께 종횡철근(40)이 배근되는 사항이다.
네 번째 사전조치사항은, Ⅰ의 G공간에 레미콘(50)이 타설되는 사항이다. 이때 레미콘(50)의 수평압력에 대한 저항·지지는 콘크리트벽체(10)에 의해 이루어진다.
종래 개량아스팔트시트(20)는 두께 3~5mm의 아스팔트(ASP)로 이루어지고, 양 표면에는 비닐지(VIN)와 이면지가 부착된다. 이는 롤상 용이성을 위해서다. 이때 실제방수를 위한 몸체는 아스팔트(ASP)와 비닐지(VIN)이다. 이면지는 롤상 보호재일 뿐이기 때문이다.
종래 개량아스팔트시트(20)는 콘크리트벽체(10)에 의존되지 않고서는 지지력이 없는 재질일 뿐 아니라 그 자체만으로 레미콘(50)의 수평압력에 대한 저항·지지력이 부족한 재질이다. 종래 개량아스팔트시트(20)는 자립이 불가능한 것은 인장강도가 취약한 재질이기 때문이다.
Ⅰ의 G공간에 타설된 레미콘(50)이 양생·경화됨으로써 Ⅰ공간의 버텀(bottom)구조물의 축조가 완성된다.
Ⅰ의 축조가 완성된 후 종래 개량아스팔트시트(20)는 콘크리트벽체(10)의 폭(D)뒤에 숨어있으므로 되메움재와 직접 접촉되지 않는다. 되메움재와 직접 접촉된다하더라도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가 취약한 종래 개량아스팔트시트(20)는 찍혀 방수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다 추가되는 문제점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a의 콘크리트벽체(10)형성을 위한 거푸집(1)(1)사이의 수평간격(D)과, 그리고 거푸집(1)관련 별도 추가수평지지구조의 수평 가름대(2)가 합해진 수평작업공간이 불가피하고, 거푸집(1)(1)지지구조 즉, 별도 추가수평지지구조가 더해지므로 전체거푸집설치작업 및 해체로 인하여 비효율적 비경제적이며 작업시간이 추가되고 작업통로를 막아 작업자 통행에 지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벽체(10)의 수평간격(D)이 넓으므로 레미콘의 양생 ·경화시간이 요구되어 그 후속공정이 신속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 본 발명은 PE부직포방수시트의 포설 및 종횡철근이 배근되는 직4각형 단면의 버텀(bottom)공간(G)(Ⅰ공간)의 전후, 양측 수직개방부에 레미콘 타설을 위한 거푸집결합체를 설치하되 거푸집결합체가 PE부직포방수시트와, 가설지지철망과, 가설자립지지강재로 이루어지고, 이때 PE부직포방수시트는 방수기능 및 거푸집기능과, 그리고 되메움시 보호재 기능이 복합화된 부재이며, 가설지지철망과 가설자립지지강재는 거푸집결합체의 수직지지재이고, 또한 타설되는 레미콘의 수평작용압력에 대한 거푸집결합체의 수평저항 인장재로서 버텀(bottom)공간(G)(Ⅰ공간)의 「횡 철근 + 인장연결결속선」 이 담당되게 함으로써 종래기술과는 달리 버텀(bottom)공간(G)외부로의 수평작업공간이 생략되어 작업이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고,
⒝ 또한 거푸집결합체의 구조는 지지벽체 타설을 위한 거푸집사이의 수령간격이 넓은 종래기술과는 달리 그 두께가 극히 얇은 구조일 뿐 아니라 양생·경화와는 무관한 구조이어서 양생기간에 전혀 구애를 받지 않아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효율적이며, 후속적업역시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으며,
⒞ 그뿐 아니라 거푸집결합체는 양생·경화와는 무관한 재질이고, 수평저항 인장재인 횡 철근의 양단이 양측 대칭 거푸집결합체에 수평연결·결속되고, 이후 타설되는 레미콘의 수평작용압력에 대하여 버텀(bottom)공간(G)(Ⅰ공간)내부에 배근된 횡 철근이 곧바로 수평인장력(T)으로 저항·지지됨으로써 거푸집결합체의 수평지지가 간단하여 그 설치작업이 용이하면서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고,
⒟ 거푸집결합체의 PE부직포방수시트는 타설된 레미콘과 함께 버텀(bottom)공간(G)의 하부 및 양측부에 그대로 남아있고, 레미콘이 경화된 후에는 가설자립지지강재와 가설지지철망이 철거되며, 철거후의 버텀(bottom)공간(G)의 구조물 외벽면에는 PE부직포방수시트만 부착됨으로써 구조물외벽에 가설자립지지강재와 가설지지철망이 남아있지 않아 지중 환경이 오염되지 않으면서 재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되메움시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가 큰 PE 장섬유 압착 부직포와 이에 결착·앵카된 쿠션작용의 아스팔트에 의해 충분한 보호재로서 역할이 되게 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PE부직포방수시트와 가설지지재가 일체로 조립된 방수 겸 거푸집결합체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하구조물의 하부와 상부를 직4각형단면 Ⅰ, Ⅱ로 나누고, 버텀(bottom)공간(G)(Ⅰ공간)은 기초콘크리트 수평면(C)으로 한 하면부와, 수평개방면의 상면부 및 수직개방면의 측면부로 이루어진 직4각형공간부이고, 개방면 양 측면부에 거푸집결합체(100)를 조립·설치하되 순차적으로 PE부직포방수시트(110)와 가설지지철망(120)과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가설자립지지강재(130)에 의해 거푸집결합체(100)가 이루어지고, 이때 PE 장섬유 압착 부직포(112)와, 그리고 결착·앵카부(114a) 및 돌출부(114b)를 갖는 아스팔트 층(114)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그 PE부직포방수시트(110)의 포설은 하면부 기초콘크리트 수평면(C)에 걸쳐 그 양단이 가설자립지지강재(130)에 의해 지지된 수직상의 가설지지철망(120)에 접면·설치되고, 또 PE부직포방수시트(110)가 포설된 상태에서 버텀(bottom)공간(G)에 종횡철근이 배근되며, 횡 철근(142)과 거푸집결합체(100)의 가설지지철망(120)과의 사이에는 인장연결결속선(144)이 수평연결·결속되고, 이때 양측 거푸집결합체(100)에 결속·연결된 「횡 철근 + 인장연결결속선」이 거푸집결합체(100)에 대한 수평저항 인장재(140)가 됨으로써 거푸집결합체(100)자체의 직립자립이 더욱 강고할 뿐만 아니라 타설된 묽은 상태의 레미콘(R)의 수평작용압력에 대하여 거푸집기능으로서 온전히 수행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PE부직포방수시트와 가설지지재가 일체로 조립된 방수 겸 거푸집결합체이다.
여기에다,
PE부직포방수시트(110)의 PE 압착부직포(112)는 중량이 230g-270g/m2이고, 그 두께가 18.0-20.0mm인 PE 장섬유 원자재 부직포를 압착·가공하여 0.47mm-0.5mm두께(t)의 PE 압착장섬유 부직포(112)를 형성하되 PE 압착장섬유 부직포(112)의 인장강력은 경사방향(MD)으로 35~94kgf/5cm이고, 위사방향으로 18~39kgf/5cm인 한편, PE 장섬유 압착 부직포(112)에 대한 아스팔트 결착·앵카부(114a)의 두께는 PE 압착장섬유 부직포(112)두께(t)의 30~40%이며, 그 아스팔트 돌출부(114b)의 두께는 2.5mm임을 특징으로 하는 PE부직포방수시트와 가설지지재가 일체로 조립된 방수 겸 거푸집결합체이다.
또한,
가설자립지지강재(130)는 다수의 관통홀(132a)을 갖는 수직지지부(132)와 수평지지부(134)로 이루어지되 중량블록(150)의 자중이 놓이는 수평지지부(134)에 의해 가설자립지지강재(130)이 수직 자립되고, 이 수평지지부(134)와 가설지지철망(120)과의 연결·결속은 수평지지부(134)의 관통홀(132a)과 가설지지철망(120)을 통해 통상의 결속철사에 의해 연결·결속되게 하되 가설자립지지강재(130)에 의해 가설지지철망(120)의 수직이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PE부직포방수시트와 가설지지재가 일체로 조립된 방수 겸 거푸집결합체이다.
그뿐 아니라,
횡 철근(142)에 결속된 인장연결결속선(144)은 횡 철근(142)의 수평 연장선에 설치되면서 거푸집결합체(100)의 PE부직포방수시트(110) 및 가설지지철망(120)을 관통하여 가설지지철망(120)에 결속되고, 「횡 철근(142) + 인장연결결속선(144)」이 양측 거푸집결합체(100)에 대한 수평저항 인장재(140)가 됨으로써 레미콘(R) 타설 수평작용압력에 대하여 수평인장력(T)으로 저항·발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PE부직포방수시트와 가설지지재가 일체로 조립된 방수 겸 거푸집결합체이다.
본 발명은 특히 하부Ⅰ의 공간, 즉 버텀(bottom)공간(G)에 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한 것이다. 버텀(bottom)공간(G)에는 개방면인 개방면인 전 후, 양 측면에만 거푸집이 필요하다.
버텀(bottom)공간(G)(Ⅰ공간)의 상면부의 수평개방면은 타설 레미콘(R) 의 중력에 의해 자연히 수평면이 이루어지므로 거푸집이 필요 없다. 또 버텀(bottom)공간(G)(Ⅰ공간)의 하면부는 기초콘크리트 수평면(C)에 의해 폐쇄단면이기 때문에 거푸집이 필요 없다. 버텀(bottom)공간(G)의 거푸집이 최소화도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다.
버텀(bottom)공간(G)의 양 측면은 수직상이면서 그 공간 내에는 수직상의 양 측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근된 수평 횡 철근(142)이 배근되므로 횡 철근(142)에 인장연결결속선(144)의 일단이 결속되면서 그 타단이 거푸집결합체(100)에 결속되어 레미콘(R) 의 수평작용압력에 대하여 「횡 철근(142) + 인장연결결속선(144)」의 수평저항 인장재(140)가 버텀(bottom)공간(G)의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버텀(bottom)공간(G)의 외부수평간격이 생략되어 버텀(bottom)공간(G)의 이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거푸집결합체(100)는 PE부직포방수시트(110)와 가설지지철망(120)과 가설자립지지강재(130)로의 조립결합체이다.
먼저, PE부직포방수시트(110)는 PE 장섬유 압착 부직포(112)와 아스팔트(114)로 이루어진다. 아스팔트(114)가 PE 장섬유 압착 부직포(112)에 결착·앵카된다. PE 장섬유 압착 부직포(112)와 아스팔트(114)와의 관계는 그림-3에 도시되어있다.
PE 장섬유 압착 부직포(112)는 중량이 230g-270g/m2이고, 그 두께가 18.0-20.0mm인 PE 장섬유 원자재 부직포를 압착·가공하여 0.47mm-0.5mm두께(t)의 PE 압착장섬유 부직포(112)가 되게 형성하되 이때 인장강력은 경사방향(MD)으로 35~94kgf/5cm이고, 위사방향으로 18~39kgf/5cm이다.
아스팔트(114)의 PE 장섬유 압착 부직포 결착·앵카는 PE 장섬유 압착 부직포(112)두께(t)의 30~40%가 바람직하다.
아스팔트(114)는 PE 장섬유 압착 부직포(112)의 하부에 돌출된 구조이다. 이때 아스팔트(114)의 PE 장섬유 압착 부직포(112)의 결착·앵카부(114a)는 PE 장섬유 압착 부직포(112)두께(t)의 30~40%가 바람직하다. 아스팔트 돌출부(114b) 두께는 2.5mm-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아스팔트 돌출부(114b)의 두께는, PE부직포방수시트(110)의 방수기능이 확실히 이루어지게 한 것이고, 이와 동시에 인장연결결속선(144)으로 뚫린 PE부직포방수시트(110) 관통공의 폐쇄가 그 자체스스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PE 장섬유 압착 부직포(112)두께(t)의 30~40%에 아스팔트(114)가 결착·앵카됨으로써 PE 장섬유 압착 부직포(112)와 아스팔트(114)와 일체화되어 그 분리가 방지된다.
이때 아스팔트 돌출부(114b)가 레미콘(R) 타설면 쪽이고, PE 장섬유 압착 부직포(112)는 되메움쪽이다. 돌출아스팔트는 레미콘(R) 과의 부착이 용이할 뿐 아니라 방수기능이 우수하다. PE 장섬유 압착 부직포(112)는 인장강도가 커 되메움 보호재로서 역할을 하고, 아스팔트 돌출부(114b)도 보호재로서 쿠션작용을 한다.
다음으로, 거푸집결합체(100)의 가설지지철망(120)은 PE부직포방수시트(110)를 수직으로 유지되게 하면서 레미콘(R) 의 수평작용압력에 대하여 저항·지지하는 부재이다. 가설지지철망(120)의 형태는 격자상의 용접이 바람직하다. 그 직경은 φ5mm가 바람직하다. 버텀(bottom)공간(G)(Ⅰ공간)의 축조높이 1~1.5m에 대한 레미콘(R) 의 수평작용압력을 지지하면 되기 때문이다.
그 다음으로, 거푸집결합체(100)의 가설자립지지강재(130)는 가설지지철망(120)의 수직지지력이 유지되게 하면서 레미콘(R)의 수평작용압력에 대하여 저항 ·지지하는 부재이다.
가설자립지지강재(130)의 수평지지부(134)에 중량블록(150)또는 모래주머니와 같은 중량체를 얹혀 놓고, 수직이 유지된 상태에서 가설지지철망(120)을 수직상으로 유지되게 한다. 가설자립지지강재(130)는 가설지지철망(120)에 대하여 일정간격으로 설치된다. 그 간격은 1.5~2.0m간격이 바람직하다.
이제 「횡 철근(142) + 인장연결결속선(144)」의 수평저항 인장재(140)와 거푸집결합체(100)와의 결속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평저항 인장재(140)의 인장연결결속선(144)」이 양측 거푸집결합체(100)의 PE부직포방수시트(110)를 관통한다. 관통된 인장연결결속선(144)」단부는 거푸집결합체(100)의 가설지지철망(120)에 결속된다. 가설자립지지강재(130)는 가설지지철망(120)에 결속·고정된다. F는 결속마무리선(F)이다. 가설지지철망(120)은 가설자립지지강재(130)의 수평지지부(134)에 결속되어 수직으로 자립된 상태이다. 이때 수평지지부(134)의 관통홀(132a)과 가설지지철망(120)을 통해 통상의 결속철사에 의해 연결·결속된다. 통상의 결속철사란 공사현장에서 철근결속선(일명 반생)과 같은 것을 말한다.
인장연결결속선(144)(일명 반생)은 구운 선으로 아주 부드럽게 휘어지는 결속선으로서 공사현장에서 주로 많이 사용된다. 그 휘어짐이 부드러워 결속이 자유롭기 때문이다. 레미콘(R) 의 수평작용압력에 대한 저항·지지를 위해 인장연결결속선(144)의 직경은 #6(φ4.6mm) ~ #10이다. #6(φ4.6mm)이 바람직하다.
횡 철근(142)과 거푸집결합체(100)[가설지지철망(120) 또는 가설자립지지강재(130)]는 수평저항 인장재(140)에 의해 연결된다. 이때 횡 철근(142)과 거푸집결합체(100)사이의 연결은 인장연결결속선(144)에 의해 이루어진다. 인장연결결속선(144)의 결속은 건설현장에서 통상 사용되는 방법을 따르기로 한다. 종횡철근의 배근은 스페이서(S)와 함께 배근된다.
관통된 PE부직포방수시트(110)는 버텀(bottom)공간(G)에 구조물이 축조된 다음, 거푸집결합체(100)[즉 가설지지철망(120)과 가설자립지지강재(130)]가 제거된 후 직접 PE부직포방수시트(110)의 관통구멍의 접착·밀봉이 극히 용이하다. 실란트부착, 새로운 PE부직포방수시트(110)의 작은 조각이면 충분하기 때문이다.
수평저항 인장재(140)와 거푸집결합체(100)의 장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거푸집결합체(100)의 두께가 얇은 점, 수평저항 인장재(140)가 버텀(bottom)공간(G)의 내부에 위치됨으로써 그 외부 수평거리가 생략되는 점, 구조물이 축조된 후에는 거푸집결합체(100)[즉 가설지지철망(120)과 가설자립지지강재(130)]가 철거되고 이것이 다시 재활용되는 점, 철거 후 축조 구조물외벽에 부착된 PE부직포방수시트(110)[즉,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가 큰 PE 장섬유 압착 부직포(112)와 이에 결착·앵카된 쿠션작용의 아스팔트(114)]가 되메움시 보호재로서 충분한 역할을 담당하는 점, 축조 구조물외벽에 부착된 PE부직포방수시트(110)의 관통구멍의 메움이 실란트 부착, PE부직포방수시트(110)의 작은 조각으로 땜방이 완벽하게 방수가 이루어지는 점, PE부직포방수시트(110)의 보호재 레미콘(R) 수평작용압력이 간단한 구조의 수평저항 인장재(140)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점 등이 본 발명이 갖는 장점이다.
⒜ 본 발명은 PE부직포방수시트의 포설 및 종횡철근이 배근되는 직4각형 단면의 버텀(bottom)공간(G)(Ⅰ공간)의 양측 수직 개방부에 레미콘 타설을 위한 거푸집결합체를 설치하되 거푸집결합체가 PE부직포방수시트와, 가설지지철망과, 가설자립지지강재로 이루어지고, 이때 PE부직포방수시트는 방수기능 및 거푸집기능과, 그리고 되메움시 보호재 기능이 복합화된 부재이며, 가설지지철망과 가설자립지지강재는 거푸집결합체의 수직지지재이고, 또한 타설되는 레미콘 의 수평작용압력에 대한 거푸집결합체의 수평저항 인장재로서 버텀(bottom)공간(G)의 「횡 철근(142) + 인장연결결속선(144)」이 담당되게 함으로써 종래기술과는 달리 버텀(bottom)공간(G)외부로의 수평작업공간이 생략되어 작업이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고,
⒝ 또한 거푸집결합체의 구조는 지지벽체 타설을 위한 거푸집사이의 수령간격이 넓은 종래기술과는 달리 그 두께가 극히 얇은 구조일 뿐 아니라 양생·경화와는 무관한 구조이어서 양생기간에 전혀 구애를 받지 않아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효율적이며, 후속적업역시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으며,
⒞ 그뿐 아니라 거푸집결합체는 양생·경화와는 무관한 재질이고, 수평저항 인장재인 횡 철근(142)의 양단이 양측 대칭 거푸집결합체에 수평연결·결속되고, 이후 타설되는 레미콘의 수평작용압력에 대하여 버텀(bottom)공간(G) 내부에 배근된 횡 철근(142)이 곧바로 수평인장력(T)으로 저항·지지됨으로써 거푸집결합체의 수평지지가 간단하여 그 설치작업이 용이하면서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고,
⒟ 거푸집결합체의 PE부직포방수시트는 타설된 레미콘과 함께 버텀(bottom)공간(G)의 하부 및 양측부에 그대로 남아있고, 레미콘의 경화된 후에는 가설자립지지강재와 가설지지철망이 철거되며, 철거후의 버텀(bottom)공간(G)의 구조물 외벽면에는 PE부직포방수시트만 부착됨으로써 구조물외벽에 가설자립지지강재와 가설지지철망이 남아있지 않아 지중 환경이 오염되지 않으면서 가설자립지지강재와 가설지지철망은 재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되메움시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가 큰 PE 장섬유 압착 부직포(112)와 이에 결착·앵카된 쿠션작용의 아스팔트(114)에 의해 충분한 보호재로서 역할을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통상적인 지하구조물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상태도
[도 2a] Ⅰ공간의 기초콘크리트 수평면(C)상에 개방면의 수직측면부에 콘크리트벽체(10)형성을 위한 거푸집(1) 및 이에 관련된 별도의 지지구조가 설치된 종래기술의 상태도
[도 2b] 도 2a에서 거푸집이 탈리된 콘크리트벽체(10)수직면과 기초콘크리트 수평면(C)상에 종래 개량아스팔트시트(20)가 포설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상태도
[도 2c] 도 2b의 G공간에 스페이서(30)와 함께 종횡철근(40)이 배근된 후 레미콘(50)이 타설된 상태를 보안 단면상태도
[도3] 본 발명 버텀(bottom)공간(G)의 바닥면에 포설된 PE부직포방수시트의 연장부가 가설자립지지강재에 수직지지·고정된 가설지지철망에 고정·지지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4] 도3의 버텀(bottom)공간(G)에 스페이서(S)와 함께 배근된 횡 철근(142)과 가설지지철망에 결속된 인장연결결속선(144)이 연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5] 도3의 버텀(bottom)공간(G)에 종횡 철근의 배근과 함께 횡 철근(142)과 가설지지철망에 인장연결결속선(144)이 결속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6] 도5의 정면도 및 거푸집결합체(100)의 PE부직포방수시트, 가설지지철망 및 가설자립지지강재의 확대사시도
[도7] 양측 거푸집결합체(100)에 결속되면서 양측 횡 철근(142)에 결속된 인장연결결속선(144)과 함께 하나의 일체화 수평저항 인장재(140)를 이루고 있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8] 도5의 버텀(bottom)공간(G)에 레미콘의 타설 및 양생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9] 도8의 레미콘의 양생된 후, 설자립지지강재(130)와 가설지지철망(120)이 철거되고, 지하 구조물외측면에 PE부직포방수시트만 부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본 발명 방수 겸 거푸집결합체를 이용한 직4각형단면의 하부 지하구조물의 설치공법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평상의 4각형단면의 Ⅰ공간[버텀(bottom)공간(G)]과 수직상의 4각형단면 Ⅱ공간으로 나누고, 기초콘크리트 수평면(C)으로 한 하면부와, 수평개방면의 상면부 및 수직개방면의 측면부로 이루어진 직4각형공간부의 버텀(bottom)공간(G)을 축조함에 있어
⒜ 하면부 기초콘크리트 수평면(C)위에 PE부직포방수시트(110)가 포설되고, 그 양단이 가설자립지지강재(130)에 의해 지지된 수직상의 가설지지철망(120)에 접면·포설되며, 이때 PE부직포방수시트(110)는 PE 장섬유 압착 부직포(112)와, 그리고 결착·앵카부(114a) 및 돌출부(114b)를 갖는 아스팔트 층(114)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그 PE부직포방수시트(110)의 포설은 하면부 기초콘크리트 수평면(C)에 걸쳐 그 양단이 가설자립지지강재(130)에 의해 지지된 수직상의 가설지지철망(120)에 접면·설치되고, 또 PE부직포방수시트(110)가 포설된 상태에서 버텀(bottom)공간(G)에 종횡철근이 배근되며, 횡 철근(142)과 거푸집결합체(100)의 가설지지철망(120)과의 사이에는 인장연결결속선(144)이 수평연결·결속되고, 이때 양측 거푸집결합체(100)에 결속·연결된 「횡 철근 + 인장연결결속선」이 거푸집결합체(100)에 대한 수평저항 인장재가 됨으로써 거푸집결합체(100)자체의 직립자립이 더욱 강고할 뿐만 아니라 레미콘(R) 의 수평작용압력에 대하여 거푸집기능으로서 온전히 수행되는 거푸집결합체(100)가 조립·형성되는 단계;
⒝ 상기 양측 수직거푸집결합체(100)가 조립된 상태에서 버텀(bottom)공간(G)(Ⅰ공간)의 종방향의 전후에 상기 양측 수직거푸집결합체(100)에 직각 방향으로 통상적인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 버텀(bottom)공간(G)에 레미콘(R) 을 타설하고, 양생·경화된 후 버텀(bottom)공간(G) 양측에 설치된 거푸집결합체(100)의 가설자립지지강재(130) 및 가설지지철망(120)과, 통상의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
⒟ 상기 ⒜단계 ~ ⒞단계를 반복하면서 하부지하구조물의 길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축조해나가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PE부직포방수시트(110)와 가설지지재가 일체로 조립된 방수 겸 거푸집결합체(100)를 이용한 직4각형단면의 하부 지하구조물의 설치공법이다.
여기에다,
상기 ⒜단계에서 PE부직포방수시트(110)의 PE 압착부직포(112)는 중량이 230g-270g/m2이고, 그 두께가 18.0-20.0mmmm인 PE 장섬유 원자재 부직포(112)를 압착·가공하여 0.47mm-0.5mm두께(t)의 PE 압착장섬유 부직포(112)를 형성하되 PE 압착장섬유 부직포(112)의 인장강력은 경사방향(MD)으로 35~94kgf/5cm이고, 위사방향으로 18~39kgf/5cm인 한편, PE 장섬유 압착 부직포(112)에 대한 아스팔트 결착·앵카부(114a)의 두께는 PE 압착장섬유 부직포(112)두께(t)의 30~40%이며, 그 아스팔트 톨출부의 두께는 2.5mm임을 특징으로 하는 PE부직포방수시트(110)와 가설지지재가 일체로 조립된 방수 겸 거푸집결합체를 이용한 직4각형단면의 하부 지하구조물의 설치공법이다.
그뿐 아니라,
상기 ⒜단계에서 가설자립지지강재(130)는 다수의 관통홀(132a)을 갖는 수직지지부(132)와 수평지지부(134)로 이루어지되 중량블록(150)의 자중이 놓이는 수평지지부(134)에 의해 가설자립지지강재(130)이 수직 자립되고, 이 수평지지부(134)와 가설지지철망(120)과의 연결·결속은 수평지지부(134)의 관통홀(132a)과 가설지지철망(120)을 통해 통상의 결속철사에 의해 연결·결속되게 하되 가설자립지지강재(130)에 의해 가설지지철망(120)의 수직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PE부직포방수시트(110)와 가설지지재가 일체로 조립된 방수 겸 거푸집결합체를 이용한 직4각형단면의 하부 지하구조물의 설치공법이다.
또한,
상기 ⒜단계에서 횡 철근(142)에 결속된 인장연결결속선(144)은 횡 철근(142)의 수평 연장선에 설치되면서 거푸집결합체(100)의 PE부직포방수시트(110) 및 가설지지철망(120)을 관통하여 가설지지철망(120)에 결속되고, 「횡 철근(142) + 인장연결결속선(144)」이 양측 거푸집결합체(100)에 대한 수평저항 인장재(140)가 됨으로써 레미콘(R) 타설 수평작용압력에 대하여 수평인장력(T)으로 저항·발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PE부직포방수시트(110)와 가설지지재가 일체로 조립된 방수 겸 거푸집결합체를 이용한 직4각형단면의 하부 지하구조물의 설치공법이다.
거푸집결합체(100)의 PE부직포방수시트(110)는 방수기능 및 거푸집기능과, 그리고 되메움시 보호재 기능이 복합화된 부재이다. 되메움시 보호재 기능은 가설지지철망(120)과 가설자립지지강재(130)이 철거된 후 구조물외벽에는 오로지 PE부직포방수시트(110)만 부착된다. 이 상태에서 되메움되므로 PE부직포방수시트(110)에 직접 접촉·충돌된다. 이때 PE부직포방수시트(110)의 PE 장섬유 압착 부직포(112)는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가 클 뿐만 아니라 이에 결착·앵카된 아스팔트(114)는 쿠션작용이 합해져서 보호재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횡 철근 + 인장연결결속선」이 거푸집결합체(100)에 대한 수평저항 인장재가 됨으로써 레미콘(R) 의 수평작용압력에 대하여 수평인장력(T)으로 발휘저항·지지된다. 수평인장력(T)의 수평지지가 간단하여 그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효율적이 되는 유용한 발명이다.
100; 거푸집결합체(100)
110; PE부직포방수시트(110),
112; PE 장섬유 압착 부직포(112), 114; 아스팔트 층,(114), 114a; 아스팔트 결착·앵카부(114a), 114b; 아스팔트 돌출부(114b),
120; 가설지지철망(120),
130; 가설자립지지강재(130), 132; 수직지지부(132), 132a; 관통홀(132a), 134; 수평지지부(134),
140; 수평저항 인장재(140), 142; 횡 철근(142), 144; 인장연결결속선(144),
150; 중량블록(150)
C; 기초콘크리트 수평면(C),
G; 버텀(bottom)공간(G),
F; 결속마무리선(F)
S; 스페이서(S)
R; 레미콘(R)

Claims (8)

  1. 지하구조물의 하부와 상부를 직4각형단면 Ⅰ, Ⅱ로 나누고, 버텀(bottom)공간(G)(Ⅰ공간)은 기초콘크리트 수평면(C)으로 한 하면부와, 수평개방면의 상면부 및 수직개방면의 측면부로 이루어진 직4각형공간부이고, 개방면 양 측면부에 거푸집결합체(100)를 조립·설치하되 순차적으로 PE부직포방수시트(110)와 가설지지철망(120)과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가설자립지지강재(130)에 의해 거푸집결합체(100)가 이루어지고, 이때 PE 장섬유 압착 부직포(112)와, 그리고 결착·앵카부(114a) 및 돌출부(114b)를 갖는 아스팔트 층(114)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그 PE부직포방수시트(110)의 포설은 하면부 기초콘크리트 수평면(C)에 걸쳐 그 양단이 가설자립지지강재(130)에 의해 지지된 수직상의 가설지지철망(120)에 접면·설치되고, 또 PE부직포방수시트(110)가 포설된 상태에서 버텀(bottom)공간(G)에 종횡철근이 배근되며, 횡 철근(142)과 거푸집결합체(100)의 가설지지철망(120)과의 사이에는 인장연결결속선(144)이 수평연결·결속되고, 이때 양측 거푸집결합체(100)에 결속·연결된 「횡 철근 + 인장연결결속선」이 거푸집결합체(100)에 대한 수평저항 인장재(140)가 됨으로써 거푸집결합체(100)자체의 직립자립이 더욱 강고할 뿐만 아니라 레미콘(R) 의 수평작용압력에 대하여 거푸집기능으로서 온전히 수행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PE부직포방수시트와 가설지지재가 일체로 조립된 방수 겸 거푸집결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PE부직포방수시트(110)의 PE 압착부직포(112)는 중량이 230g-270g/m2이고, 그 두께가 18.0-20.0mm인 PE 장섬유 원자재 부직포를 압착·가공하여 0.47mm-0.5mm두께(t)의 PE 압착장섬유 부직포(112)를 형성하되 PE 압착장섬유 부직포(112)의 인장강력은 경사방향(MD)으로 35~94kgf/5cm이고, 위사방향으로 18~39kgf/5cm인 한편, PE 장섬유 압착 부직포(112)에 대한 아스팔트 결착·앵카부(114a)의 두께는 PE 압착장섬유 부직포(112)두께(t)의 30~40%이며, 그 아스팔트 돌출부(114b)의 두께는 2.5mm임을 특징으로 하는 PE부직포방수시트와 가설지지재가 일체로 조립된 방수 겸 거푸집결합체
  3. 제1항에 있어서
    가설자립지지강재(130)는 다수의 관통홀(132a)을 갖는 수직지지부(132)와 수평지지부(134)로 이루어지되 중량블록(150)의 자중이 놓이는 수평지지부(134)에 의해 가설자립지지강재(130)이 수직 자립되고, 이 수평지지부(134)와 가설지지철망(120)과의 연결·결속은 수평지지부(134)의 관통홀(132a)과 가설지지철망(120)을 통해 통상의 결속철사에 의해 연결·결속되게 하되 가설자립지지강재(130)에 의해 가설지지철망(120)의 수직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PE부직포방수시트와 가설지지재가 일체로 조립된 방수 겸 거푸집결합체
  4. 제1항에 있어서
    횡 철근(142)에 결속된 인장연결결속선(144)은 횡 철근(142)의 수평 연장선에 설치되면서 거푸집결합체(100)의 PE부직포방수시트(110) 및 가설지지철망(120)을 관통하여 가설지지철망(120)에 결속되고, 「횡 철근(142) + 인장연결결속선(144)」이 양측 거푸집결합체(100)에 대한 수평저항 인장재(140)가 됨으로써 레미콘(R) 타설 수평작용압력에 대하여 수평인장력(T)으로 저항·발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PE부직포방수시트와 가설지지재가 일체로 조립된 방수 겸 거푸집결합체
  5. 수평상의 4각형단면의 Ⅰ공간[버텀(bottom)공간(G)]과 수직상의 4각형단면
    Ⅱ공간으로 나누고, 기초콘크리트 수평면(C)으로 한 하면부와, 수평개방면의 상면부 및 수직개방면의 측면부로 이루어진 직4각형공간부의 버텀(bottom)공간(G)을 축조함에 있어
    ⒜ 하면부 기초콘크리트 수평면(C)위에 PE부직포방수시트(110)가 포설되고, 그 양단이 가설자립지지강재(130)에 의해 지지된 수직상의 가설지지철망(120)에 접면·포설되며, 이때 PE부직포방수시트(110)는 PE 장섬유 압착 부직포(112)와, 그리고 결착·앵카부(114a) 및 돌출부(114b)를 갖는 아스팔트 층(114)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그 PE부직포방수시트(110)의 포설은 하면부 기초콘크리트 수평면(C)에 걸쳐 그 양단이 가설자립지지강재(130)에 의해 지지된 수직상의 가설지지철망(120)에 접면·설치되고, 또 PE부직포방수시트(110)가 포설된 상태에서 버텀(bottom)공간(G)에 종횡철근이 배근되며, 횡 철근(142)과 거푸집결합체(100)의 가설지지철망(120)과의 사이에는 인장연결결속선(144)이 수평연결·결속되고, 이때 양측 거푸집결합체(100)에 결속·연결된 「횡 철근 + 인장연결결속선」이 거푸집결합체(100)에 대한 수평저항 인장재가 됨으로써 거푸집결합체(100)자체의 직립자립이 더욱 강고할 뿐만 아니라 레미콘(R) 의 수평작용압력에 대하여 거푸집기능으로서 온전히 수행되는 거푸집결합체(100)가 조립·형성되는 단계;
    ⒝ 상기 양측 수직거푸집결합체(100)가 조립된 상태에서 버텀(bottom)공간(G)(Ⅰ공간)의 종방향의 전후에 상기 양측 수직거푸집결합체(100)에 직각 방향으로 통상적인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 버텀(bottom)공간(G)에 레미콘(R) 을 타설하고, 양생·경화된 후 버텀(bottom)공간(G)에 설치된 거푸집결합체(100)의 가설자립지지강재(130) 및 가설지지철망(120)과, 통상의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
    ⒟ 상기 ⒜단계 ~ ⒞단계를 반복하면서 하부지하구조물의 길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축조해나가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PE부직포방수시트(110)와 가설지지재가 일체로 조립된 방수 겸 거푸집결합체(100)를 이용한 직4각형단면의 하부 지하구조물의 설치공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에서 PE부직포방수시트(110)의 PE 압착부직포(112)는 중량이 230g-270g/m2이고, 그 두께가 18.0-20.0mm인 PE 장섬유 원자재 부직포(112)를 압착 ·가공하여 0.47mm-0.5mm두께(t)의 PE 압착장섬유 부직포(112)를 형성하되 PE 압착장섬유 부직포(112)의 인장강력은 경사방향(MD)으로 35~94kgf/5cm이고, 위사방향으로 18~39kgf/5cm인 한편, PE 장섬유 압착 부직포(112)에 대한 아스팔트 결착·앵카부(114a)의 두께는 PE 압착장섬유 부직포(112)두께(t)의 30~40%이며, 그 아스팔트 톨출부의 두께는 2.5mm임을 특징으로 하는 PE부직포방수시트(110)와 가설지지재가 일체로 조립된 방수 겸 거푸집결합체를 이용한 직4각형단면의 하부 지하구조물의 설치공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에서 가설자립지지강재(130)는 다수의 관통홀(132a)을 갖는 수직지지부(132)와 수평지지부(134)로 이루어지되 중량블록(150)의 자중이 놓이는 수평지지부(134)에 의해 가설자립지지강재(130)이 수직 자립되고, 이 수평지지부(134)와 가설지지철망(120)과의 연결·결속은 수평지지부(134)의 관통홀(132a)과 가설지지철망(120)을 통해 통상의 결속철사에 의해 연결·결속되게 하되 가설자립지지강재(130)에 의해 가설지지철망(120)의 의 수직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PE부직포방수시트(110)와 가설지지재가 일체로 조립된 방수 겸 거푸집결합체를 이용한 직4각형단면의 하부 지하구조물의 설치공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에서 횡 철근(142)에 결속된 인장연결결속선(144)은 횡 철근(142)의 수평 연장선에 설치되면서 거푸집결합체(100)의 PE부직포방수시트(110) 및 가설지지철망(120)을 관통하여 가설지지철망(120)에 결속되고, 「횡 철근(142) + 인장연결결속선(144)」이 양측 거푸집결합체(100)에 대한 수평저항 인장재(140)가 됨으로써 레미콘(R) 타설 수평작용압력에 대하여 수평인장력(T)으로 저항·발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PE부직포방수시트(110)와 가설지지재가 일체로 조립된 방수 겸 거푸집결합체를 이용한 직4각형단면의 하부 지하구조물의 설치공법
KR1020200003167A 2020-01-09 2020-01-09 Pe부직포방수시트와 가설지지재가 일체로 조립된 방수 겸 거푸집결합체 및 이를 이용한 직4각형단면의 하부 지하구조물의 설치공법 KR102339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167A KR102339591B1 (ko) 2020-01-09 2020-01-09 Pe부직포방수시트와 가설지지재가 일체로 조립된 방수 겸 거푸집결합체 및 이를 이용한 직4각형단면의 하부 지하구조물의 설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167A KR102339591B1 (ko) 2020-01-09 2020-01-09 Pe부직포방수시트와 가설지지재가 일체로 조립된 방수 겸 거푸집결합체 및 이를 이용한 직4각형단면의 하부 지하구조물의 설치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0330A true KR20210090330A (ko) 2021-07-20
KR102339591B1 KR102339591B1 (ko) 2021-12-17

Family

ID=77127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3167A KR102339591B1 (ko) 2020-01-09 2020-01-09 Pe부직포방수시트와 가설지지재가 일체로 조립된 방수 겸 거푸집결합체 및 이를 이용한 직4각형단면의 하부 지하구조물의 설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95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34375A (zh) * 2022-10-24 2022-12-06 浙江交工集团股份有限公司 明挖隧道喷锚基面控制热熔粘贴卷材防水体系及施工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2913A (ko) * 2004-05-28 2005-12-01 김범준 벽 및 슬라브 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697650B1 (ko) * 2005-11-21 2007-03-20 (주)미륜 와이어식 거푸집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시공방법
KR100962256B1 (ko) * 2009-09-07 2010-06-11 세트코코리아(유) 스프레이형 라텍스 아스팔트 방수공법
KR20130023026A (ko) * 2011-08-25 2013-03-07 최태웅 Pe 장섬유 부직포에 아스팔트계 방수도막을 형성한 방수시트의 이음접합부를 맞댐하여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의하여 접합하는 공법
KR101502301B1 (ko) * 2014-06-05 2015-03-13 주식회사 블루폼 판넬 수직 결합용 지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2913A (ko) * 2004-05-28 2005-12-01 김범준 벽 및 슬라브 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697650B1 (ko) * 2005-11-21 2007-03-20 (주)미륜 와이어식 거푸집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시공방법
KR100962256B1 (ko) * 2009-09-07 2010-06-11 세트코코리아(유) 스프레이형 라텍스 아스팔트 방수공법
KR20130023026A (ko) * 2011-08-25 2013-03-07 최태웅 Pe 장섬유 부직포에 아스팔트계 방수도막을 형성한 방수시트의 이음접합부를 맞댐하여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의하여 접합하는 공법
KR101502301B1 (ko) * 2014-06-05 2015-03-13 주식회사 블루폼 판넬 수직 결합용 지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34375A (zh) * 2022-10-24 2022-12-06 浙江交工集团股份有限公司 明挖隧道喷锚基面控制热熔粘贴卷材防水体系及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9591B1 (ko) 2021-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7800B1 (ko) 단면증설 및 지중보에 의한 기존 철근콘크리트 모멘트골조 건축물의 내진보강방법
WO2002053844A1 (en) Masonry retainer wall system and method
US5588784A (en) Soil or rock nail wall with outer face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KR20100138122A (ko) 강합성 복개 아치 구조물을 포함하는 지중 아치 라멘식 구조물의 기초부 및 이 시공 방법
US5395185A (en) Method of temporarily shoring and permanently facing and excavated slope with a retaining wall
KR101000552B1 (ko) 콘크리트가 보강된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2339591B1 (ko) Pe부직포방수시트와 가설지지재가 일체로 조립된 방수 겸 거푸집결합체 및 이를 이용한 직4각형단면의 하부 지하구조물의 설치공법
KR20150043913A (ko) 편토압 보강 라멘교 및 이의 시공 방법
JP2000265484A (ja) PCa杭地中壁による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KR101356724B1 (ko)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314764B1 (ko) 파형강판을 이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230986B1 (ko) 역류방지형 콘크리트 타설구 및 바이브레이터 근입구가 구비된 거푸집을 이용한 지하외벽 선시공 공법
KR102395328B1 (ko) 패널을 이용한 성토부 옹벽 구조 및 성토부 옹벽 시공방법
KR20080025219A (ko)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한 지하벽체의 시공방법 및 지하벽체시공을 위한 데크플레이트
KR100641355B1 (ko) 파형강판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120122024A (ko) 커플러와 볼트를 활용하여 가설 흙막이벽과 지하실 외벽을 일체화하는 공법
KR102300604B1 (ko) 섬유보강 모르타르 바름에 의한 조적조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
KR100919921B1 (ko) 패널을 이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20080059951A (ko) 가시설 겸용 파일기초와 지하옹벽 시공방법 및 그를 위한전단마찰 보강재
KR100562686B1 (ko) 강널말뚝과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이용한 지하 구조체 및그의 시공방법
KR101483865B1 (ko) 합성구조의 띠장을 이용한 지하구조물시공방법
KR101809554B1 (ko) 키락블록과 쉬트파일체를 이용한 구조물
KR102505365B1 (ko) 터널 숏크리트 낙하 방지용 지보재
KR100884391B1 (ko) 옹벽 상단의 배수기능을 보강한 보강토 옹벽 및 이 시공방법
CN215483636U (zh) 一种梁柱干式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