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604B1 - 섬유보강 모르타르 바름에 의한 조적조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 - Google Patents

섬유보강 모르타르 바름에 의한 조적조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604B1
KR102300604B1 KR1020200132758A KR20200132758A KR102300604B1 KR 102300604 B1 KR102300604 B1 KR 102300604B1 KR 1020200132758 A KR1020200132758 A KR 1020200132758A KR 20200132758 A KR20200132758 A KR 20200132758A KR 102300604 B1 KR102300604 B1 KR 102300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reinforced mortar
stucco
spac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2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훈
유지훈
김대호
남숭현
Original Assignee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한울구조안전기술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한울구조안전기술사사무소 filed Critical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32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6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7Preventive constructional measures against earthquake damage in existing buildings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체 전면에 치장벽체가 시공된 기존 조적조 건물의 치장벽체 외면에 섬유보강 모르타르를 바름 시공한 후 양생 및 경화시켜 간단하게 내진 보강함으로써, 기존 치장벽체의 벽돌 제거 없이 치장벽체 전체를 일체화하여 횡력에 저항하는 구조체로 사용할 수 있고, 시공시 분진 및 소음을 최소화하여 거주 상태에서 보강이 가능한 섬유보강 모르타르 바름에 의한 조적조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 구조체의 전면에 공간 쌓기에 의해 구조체와 이격되도록 치장벽체가 시공된 기존 조적조 건물을 내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a) 치장벽체 외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b) 상기 치장벽체의 치장벽돌 중 일부 치장벽돌의 외면에 섬유보강 모르타르를 바름 시공하는 단계; (c) 상기 섬유보강 모르타르를 양생하여 경화시키는 한편, 상기 섬유보강 모르타르가 시공되지 않은 치장벽돌을 제거하여 치장벽체 내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공간부를 통해 구조체의 전면에 앵커홀을 천공하는 단계; (e) 상기 앵커홀에 앵커를 시공하는 단계; 및 (f) 상기 공간부에 섬유보강 모르타르를 충전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섬유보강 모르타르 바름에 의한 조적조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Seismic retrofit method of masonry buildings by plastering fiber-reinforced mortar}
본 발명은 조적조 건물의 전면에 시공된 치장벽체의 외면에 섬유보강 모르타르를 바름 시공한 후 양생 및 경화시켜 간단하게 내진 보강함으로써, 기존 치장벽체의 벽돌 제거 없이 치장벽체 전체를 일체화하여 횡력에 저항하는 구조체로 사용할 수 있고, 시공시 분진 및 소음을 최소화하여 거주 상태에서 보강 가능한 섬유보강 모르타르 바름에 의한 조적조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국내에서 발생한 2016년 규모 5.8 지진과 2017년 규모 5.4의 지진으로 인해 많은 건물에 대한 피해가 보고되었다. 그 중 비보강 조적조 건물은 대부분 내진 설계가 도입된 1988년 이전에 건축된 건물로, 벽돌과 모르타르로 이루어져 지진 등 횡력에 구조적으로 취약한 특성이 있다.
또한, 기존 조적조 건물은 철근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부에 치장벽돌을 공간 쌓기로 쌓아 구조체와 치장벽체 사이가 이격되고, 이격된 공간에는 단열재가 시공된다. 이에 치장벽체가 구조체와 분리되므로, 지진 등 횡력 작용시 벽체의 탈락 또는 추락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노후화된 소규모 조적조 건물의 내진 보강을 위해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었다.
먼저, RC 보강 공법은 기존 조적 구조물과의 일체성 확보에 유리하고 보강 성능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철근 배근 및 거푸집 설치 공정이 필요하고, 습식 시공되는 특성상 작업성이 떨어지며, 콘크리트 양생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거주자 불편이 크다.
다음으로, 보강판 부착 공법은 FRP나 강판을 조적벽 외부에 부착하는 공법이다. 상기 공법은 실험실 조건에서와 달리 실제 조적조 건물에 적용시, 벽체 표면의 노후화 및 재료 간 이질성으로 인해 보강판이 탈락할 우려가 있다. 또한, 시공 난이도가 높아 현장 적용성이 떨어진다.
이 밖에 섬유 보강 공법, 허니컴 내진 보강 공법, 메탈라스와 강판 보강 공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 공법은 조적 치장벽을 제거하고 치장벽 내측의 벽체를 직접 보강하는 방식에 해당하여 치장벽돌을 모두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KR 10-1904204 B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존 치장벽체의 벽돌을 제거하지 않고, 치장벽체 전체를 일체화하여 횡력에 저항하는 구조체로 사용할 수 있는 섬유보강 모르타르 바름에 의한 조적조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시공시 분진 및 소음을 최소화하여 거주 상태에서 보강할 수 있고, 거주자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섬유보강 모르타르 바름에 의한 조적조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건물 구조체의 전면에 공간 쌓기에 의해 구조체와 이격되도록 치장벽체가 시공된 기존 조적조 건물을 내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a) 치장벽체 외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b) 상기 치장벽체의 치장벽돌 중 일부 치장벽돌의 외면에 섬유보강 모르타르를 바름 시공하는 단계; (c) 상기 섬유보강 모르타르를 양생하여 경화시키는 한편, 상기 섬유보강 모르타르가 시공되지 않은 치장벽돌을 제거하여 치장벽체 내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공간부를 통해 구조체의 전면에 앵커홀을 천공하는 단계; (e) 상기 앵커홀에 앵커를 시공하는 단계; 및 (f) 상기 공간부에 섬유보강 모르타르를 충전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d) 단계 이후에, 상기 공간부에는 구조체와 치장벽체 사이 공간을 폐쇄하는 것으로 전후가 개방된 박스형이며, 전단에 걸림바가 수직 절곡되고, 상기 걸림바 단부에 내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걸림바를 치장벽체의 전면에서 이격시키는 지지부가 형성된 복수의 고정바가 전방에 결합된 강판 거푸집이 삽입되어, 상기 강판 거푸집의 내부에 상기 섬유보강 모르타르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보강 모르타르 바름에 의한 조적조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고정바 외부를 감싸는 후프근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보강 모르타르 바름에 의한 조적조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강판 거푸집의 내부에는 수직 방향의 보강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보강 모르타르 바름에 의한 조적조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적조 건물의 전면에 시공된 치장벽체 외면에 섬유보강 모르타르를 바름 시공한 후 양생 및 경화시켜 간단하게 내진 보강할 수 있는 섬유보강 모르타르 바름에 의한 조적조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치장벽체의 벽돌을 제거하지 않으므로, 기존 치장벽체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시공시 소음 및 진동 발생이 최소화되어 거주자 생활에 불편을 초래하지 않으므로 거주 중 시공이 용이하다.
또한, 치장벽체 외부 전체에 섬유보강 모르타르가 바름 시공되어 일체화되므로 치장벽체 전체를 일체화하여 횡력에 대한 저항성이 크게 향상되고, 벽돌의 탈락 및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섬유 혼입량에 따라 섬유보강 모르타르의 인장 강도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치장벽체의 사인장 전단강도 향상 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내진 보강된 조적조 건물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섬유보강 모르타르 바름에 의한 조적조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에 대한 단계별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강판 거푸집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강판 거푸집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강판 거푸집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강판 거푸집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강판 거푸집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강판 거푸집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강판 거푸집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보강바에 의한 구조체의 쪼갬 파괴 방지 개념을 도시하는 입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내진 보강된 조적조 건물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 섬유보강 모르타르 바름에 의한 조적조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은 건물 구조체(1)의 전면에 치장벽체(2)가 시공된 기존 조적조 건물을 내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a) 치장벽체(2) 외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b) 상기 치장벽체(2)의 외면에 섬유보강 모르타르(4)를 바름 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섬유보강 모르타르(4)를 양생하여 경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존 치장벽체(2)의 벽돌을 제거하지 않고 치장벽체(2) 전체를 일체화하여 횡력에 저항하는 구조체(1)로 사용하며, 시공시 분진 및 소음을 최소화하여 거주 상태에서 보강할 수 있고, 거주자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섬유보강 모르타르 바름에 의한 조적조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 구조체(1)의 전면에 치장벽체(2)가 시공된 기존 조적조 건물을 내진 보강하는 방법이다.
상기 구조체(1)는 콘크리트 구조물이다.
본 발명에서는 먼저, (a) 치장벽체(2) 외면의 이물질을 제거한다(도 2의 (a)).
샌드 블라스트 등에 의해 치장벽체(2) 외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거친 면을 만들어 부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b) 상기 치장벽체(2)의 외면에 섬유보강 모르타르(4)를 바름 시공하고, (c) 상기 섬유보강 모르타르(4)를 양생하여 경화시킨다(도 1).
상기 섬유보강 모르타르(4)는 시공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섬유 혼입량에 따라 인장 강도를 많이 증가시킬 수 있어 치장벽체의 사인장 전단강도 향상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아울러 상기 치장벽체(2)의 외부 전체에 섬유보강 모르타르(4)가 바름 시공되어 상호 일체화되므로 횡력에 대한 저항성이 크게 향상되고, 벽돌의 탈락 및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섬유보강 모르타르(4)의 바름 시공만으로 보강이 완료되므로 기존 치장벽체(2)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시공시 소음 및 진동 발생이 최소화되어 거주자 생활에 불편을 초래하지 않아 거주 중 시공이 용이하다.
도 2는 본 발명 섬유보강 모르타르 바름에 의한 조적조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에 대한 단계별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의 (a) 내지 (f)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b) 단계에서, 치장벽체(2)의 치장벽돌 중 일부에는 섬유보강 모르타르(4)가 시공되지 않도록 섬유보강 모르타르(4)가 바름 시공되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섬유보강 모르타르(4)가 시공되지 않은 치장벽돌을 제거하여 치장벽체(2) 내에 공간부(21)가 형성되며, 상기 (c) 단계 이후에, (d) 상기 공간부(21)를 통해 구조체(1)의 전면에 앵커홀(11)을 천공하는 단계; (e) 상기 앵커홀(11)에 앵커(5)를 시공하는 단계; 및 (f) 상기 공간부(21)에 섬유보강 모르타르(4')를 충전하는 단계; 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는 앵커(5)를 고정할 위치의 치장벽체(2) 부분에 섬유보강 모르타르(4)를 시공하지 않고 비워둘 수 있다(도 2의 (b)).
상기 (b) 단계에서 섬유보강 모르타르(4)를 바름 시공한 후 (c) 단계에서 상기 섬유보강 모르타르(4)가 양생하여 경화되면, 상기 섬유보강 모르타르(4)가 시공되지 않은 부분의 치장벽돌을 제거하여 치장벽체(2) 내에 공간부(21)를 형성한다(도 2의 (c)).
치장벽돌이 제거되는 부분 이외의 치장벽체(2)에는 섬유보강 모르타르(4)가 이미 시공되어 보강되어 있으므로 보강 공사 중 치장벽체(2)의 나머지 부분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치장벽체(2)의 폭과 높이, 지진력의 크기, 구조체(1)의 위치 등을 고려하여 제거할 치장벽돌의 위치와 개수 등이 결정된다.
상기 구조체(1)와 치장벽체(2) 사이 공간에 단열재(3)가 시공된 경우에는 해당 부위의 단열재(3)도 제거하여 콘크리트 구조체(1)가 노출되도록 한다.
후술할 (e) 단계에서 구조체(1)의 전면에 시공되는 앵커(5)는 콘크리트 보에 앵커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콘크리트 보 위치의 치장벽돌을 제거함이 바람직하다.
이후, (d) 상기 공간부(21)를 통해 구조체(1)의 전면에 앵커홀(11)을 천공하고(도 2의 (d)), (e) 상기 앵커홀(11)에 앵커(5)를 시공한다(도 2의 (e)).
상기 앵커(5)는 앵커홀(11)에 삽입된 일단을 에폭시 등에 의해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앵커(5)의 타단은 공간부(21) 내로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한다.
상기 앵커(5)는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설치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f) 상기 공간부(21)에 섬유보강 모르타르(4')를 충전한다(도 2의 (f)).
이에 따라 상기 앵커(5)의 타단이 공간부(21) 내에 정착된다.
상기 공간부(21)에 타설되는 섬유보강 모르타르(4')는 치장벽체(2) 전면에 바름 시공된 섬유보강 모르타르(4)와 동일면을 이루도록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앵커(5)는 전면에 바름 시공된 섬유보강 모르타르(4)에 의해 보강된 치장벽체(2)를 구조체(1)에 고정하여 일체화함으로써, 구조체(1)의 지진력을 치장벽체(2)로 효과적으로 전달하도록 한다. 즉, 지진력의 일부를 치장벽체(2)가 분담하도록 함으로써 지진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킨다.
아울러 치장벽체(2)가 구조체(1)에 고정되므로, 치장벽체(2)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강판 거푸집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강판 거푸집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5는 강판 거푸집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치장벽체(2)는 공간 쌓기에 의해 구조체(1)와 이격되고, 상기 (d) 단계 이후에, 상기 공간부(21)에는 구조체(1)와 치장벽체(2) 사이 공간을 폐쇄하는 것으로 전후가 개방된 박스형의 강판 거푸집(6)이 삽입되어, 상기 강판 거푸집(6)의 내부에 상기 섬유보강 모르타르(4')가 채워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치장벽체(2)는 방습, 방음, 단열 등의 목적으로 배면의 구조체(1)와 공간 쌓기로 시공되어 구조체(1)와의 사이에 소정의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 공간에는 주로 단열재(3)가 시공되나, 경우에 따라 단열재(3)가 밀실하게 시공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간부(21)에 섬유보강 모르타르 충전시, 이격 공간으로 섬유보강 모르타르가 유출되어 섬유보강 모르타르가 공간부(21) 내에 밀실하게 충전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이격 공간을 폐쇄하여 섬유보강 모르타르가 밀실하게 충전될 수 있도록 공간부(21)를 통해 강판 거푸집(6)을 삽입한다.
상기 강판 거푸집(6)은 전후가 개방된 사각 단면의 박스형 부재로 구성할 수 있으며, 공간부(2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하여 공간부(21)에 삽입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강판 거푸집(6)은 공간 쌓기된 이격 공간에만 구비될 수도 있고, 치장벽돌까지 연장될 수도 있다.
상기 강판 거푸집(6)은 공간부(21) 형성 후 앵커(5) 시공 전 또는 시공 후에 공간부(21)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강판 거푸집(6)은 내부에 충전되는 섬유보강 모르타르(4')를 구속하여 강도 및 연성을 증가시키고, 앵커(5)가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정착되도록 한다.
도 6은 강판 거푸집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판 거푸집(6)의 전방에는 전단에 걸림바(611)가 수직 절곡되어 상기 걸림바(611)가 치장벽돌의 외측에 걸리는 복수의 고정바(61)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강판 거푸집(6)을 공간부(21)를 통해 삽입할 때, 치장벽체(2)와 구조체(1) 사이 이격 공간이 빈 공간이면 강판 거푸집(6)이 이격 공간으로 빠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강판 거푸집(6)의 전방에 고정바(61)를 돌출 설치하여 강판 거푸집(6)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바(61)의 단부는 외측으로 수직 절곡하여 걸림바(611)를 형성함으로써, 걸림바(611)가 치장벽돌의 외측에 걸려 강판 거푸집(6)이 전도되거나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바(61)는 복수 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61)는 강판 거푸집(6)의 크기 등에 따라 박스형의 강판 거푸집(6)의 모서리는 물론 강판 거푸집(6)의 각 면에도 위치 가능하며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바(61)는 후단을 강판 거푸집(6)의 내측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치장벽체(2)의 외부에 바름 시공되는 섬유보강 모르타르(4) 내에 고정바(61)가 정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b) 단계에서 섬유보강 모르타르(4)가 미시공되는 부위는 (d) 단계에서 제거될 치장벽돌 부위보다 넓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 부위는 공간부(21) 충전시 같이 채워 넣도록 한다.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고정바(61) 외부를 감싸는 후프근(6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프근(62)은 공간부(21) 내에 충전되는 섬유보강 모르타르(4)를 구속하여 강도 및 연성을 증가시킨다.
상기 후프근(62)은 강판 거푸집(6)의 전방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바(61)를 이용하여 고정바(61)의 외부에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후프근(62)은 고정바(61)의 외부에 결속선, 태그 용접 등에 의해 고정 가능하다.
도 7은 강판 거푸집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강판 거푸집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바(61)의 걸림바(611) 단부에는 내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걸림바(611)를 치장벽체(2)의 전면에서 이격시키는 지지부(612)가 구비될 수 있다.
치장벽돌은 섬유보강 모르타르(4)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다. 따라서 치장벽돌에 손상에 발생하더라도 고정바(61)가 전면의 섬유보강 모르타르(4)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조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바(61)의 단부에 지지부(612)를 절곡 형성함으로써, 고정바(61)가 치장벽체(2)의 전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고정바(61)가 섬유보강 모르타르(4) 내부에 정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강판 거푸집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보강바에 의한 구조체의 쪼갬 파괴 방지 개념을 도시하는 입면도이다.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판 거푸집(6)의 내부에는 수직 방향의 보강바(6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강판 거푸집(6)은 원형이 아닌 사각 단면으로 형성되는데, 강판 거푸집(6) 자체는 면외 방향 강성이 부족하다. 이에 따라 앵커(5) 주변에서 지진하중 작용시 전단력에 평행하게 쪼개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강판 거푸집(6)의 상하를 보강바(63)로 고정하여 서로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강판 거푸집(6)이 내부 모르타르를 구속하여 수평 방향으로 쪼개짐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10).
1: 구조체
11: 앵커홀
2: 치장벽체
21: 공간부
3: 단열재
4: 섬유보강 모르타르
5: 앵커
6: 강판 거푸집
61: 고정바
611: 걸림바
612: 지지부
62: 후프근
63: 보강바

Claims (7)

  1. 건물 구조체(1)의 전면에 공간 쌓기에 의해 구조체(1)와 이격되도록 치장벽체(2)가 시공된 기존 조적조 건물을 내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a) 치장벽체(2) 외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b) 상기 치장벽체(2)의 치장벽돌 중 일부 치장벽돌의 외면에 섬유보강 모르타르(4)를 바름 시공하는 단계;
    (c) 상기 섬유보강 모르타르(4)를 양생하여 경화시키는 한편, 상기 섬유보강 모르타르(4)가 시공되지 않은 치장벽돌을 제거하여 치장벽체(2) 내에 공간부(21)를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공간부(21)를 통해 구조체(1)의 전면에 앵커홀(11)을 천공하는 단계;
    (e) 상기 앵커홀(11)에 앵커(5)를 시공하는 단계; 및
    (f) 상기 공간부(21)에 섬유보강 모르타르(4')를 충전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d) 단계 이후에, 상기 공간부(21)에는 구조체(1)와 치장벽체(2) 사이 공간을 폐쇄하는 것으로 전후가 개방된 박스형이며, 전단에 걸림바(611)가 수직 절곡되고, 상기 걸림바(611) 단부에 내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걸림바(611)를 치장벽체(2)의 전면에서 이격시키는 지지부(612)가 형성된 복수의 고정바(61)가 전방에 결합된 강판 거푸집(6)이 삽입되어, 상기 강판 거푸집(6)의 내부에 상기 섬유보강 모르타르(4')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보강 모르타르 바름에 의한 조적조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고정바(61) 외부를 감싸는 후프근(62)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보강 모르타르 바름에 의한 조적조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
  6. 삭제
  7. 제1항에서,
    상기 강판 거푸집(6)의 내부에는 수직 방향의 보강바(6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보강 모르타르 바름에 의한 조적조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
KR1020200132758A 2020-10-14 2020-10-14 섬유보강 모르타르 바름에 의한 조적조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 KR102300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758A KR102300604B1 (ko) 2020-10-14 2020-10-14 섬유보강 모르타르 바름에 의한 조적조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758A KR102300604B1 (ko) 2020-10-14 2020-10-14 섬유보강 모르타르 바름에 의한 조적조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0604B1 true KR102300604B1 (ko) 2021-09-09

Family

ID=77777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758A KR102300604B1 (ko) 2020-10-14 2020-10-14 섬유보강 모르타르 바름에 의한 조적조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6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6600A (ko) 2021-12-23 2023-06-30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진보강용 충전재 및 이를 이용한 교육시설물의 치장벽돌 벽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9779A (ja) * 1999-08-12 2001-02-20 Toshiba Eng Co Ltd 先入れ機器用床開口の閉鎖工法
KR20100046324A (ko) * 2008-10-27 2010-05-07 (주)에이엠에스 엔지니어링 기설 조적 벽체의 비철거형 친환경 내진보강공법
KR101791819B1 (ko) * 2017-04-10 2017-10-31 티앤에스엔지니어링 (주) 건물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둥의 안정성을 높인 강판프레임 콘크리트 내진보강공법
KR101904204B1 (ko) 2017-09-26 2018-10-04 김양중 바잘트섬유시트 및 금속보강구를 이용한 조적조 구조물의 내진 또는 구조보강 방법
KR101947388B1 (ko) * 2018-10-01 2019-02-13 이기환 세라믹 코팅층을 이용한 조적조의 내진 보강구조
KR20190073298A (ko) * 2017-12-18 2019-06-26 (주)에이톰엔지니어링 기존 조적벽체의 합성 보강을 통해 내진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보강구조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9779A (ja) * 1999-08-12 2001-02-20 Toshiba Eng Co Ltd 先入れ機器用床開口の閉鎖工法
KR20100046324A (ko) * 2008-10-27 2010-05-07 (주)에이엠에스 엔지니어링 기설 조적 벽체의 비철거형 친환경 내진보강공법
KR101791819B1 (ko) * 2017-04-10 2017-10-31 티앤에스엔지니어링 (주) 건물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둥의 안정성을 높인 강판프레임 콘크리트 내진보강공법
KR101904204B1 (ko) 2017-09-26 2018-10-04 김양중 바잘트섬유시트 및 금속보강구를 이용한 조적조 구조물의 내진 또는 구조보강 방법
KR20190073298A (ko) * 2017-12-18 2019-06-26 (주)에이톰엔지니어링 기존 조적벽체의 합성 보강을 통해 내진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보강구조 시스템
KR101947388B1 (ko) * 2018-10-01 2019-02-13 이기환 세라믹 코팅층을 이용한 조적조의 내진 보강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6600A (ko) 2021-12-23 2023-06-30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진보강용 충전재 및 이를 이용한 교육시설물의 치장벽돌 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7449B2 (en) Reinforced masonry panel structures
KR100748636B1 (ko) 패널 거푸집 부재를 이용하여 교각의 상부에 일체형으로코핑부를 시공하는 방법 및 이러한 코핑부를 구비한콘크리트 교각
US20070186502A1 (en) Unitized post tension block system for masonry structures
EP1945879A2 (en) Bolt-a-blok - a system for unitized, post-tensioned masonry structures
UA82533C2 (uk) Будівництво великопролітних будинків із саморозкріпленням зі складених несучих стінових панелей і перекриттів
US20130333318A1 (en) Reinforced masonry panel structures
US10221558B1 (en) Foundation connection device for use during construction of concrete wall panels
CA2714391A1 (en) Masonry with vertical reinforced concrete strengthening
KR101174675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의 결합구조물
KR102300604B1 (ko) 섬유보강 모르타르 바름에 의한 조적조 건축물의 내진 보강 방법
KR101186053B1 (ko) 선가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이용한 현장타설 철근콘크리트 보의 시공방법
KR102440308B1 (ko) 보강스트립을 이용한 조적조 건물의 내진 보강 방법
JP4440136B2 (ja) 手摺支柱の取付工法
JP3690437B2 (ja) 既存建築物の耐震補強構造
KR100964991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내진 보강방법
KR101756040B1 (ko) 모체일체화 콘크리트 내진 보강 구조 및 내진 보강 방법
KR200431156Y1 (ko) 패널 거푸집 부재를 이용하여 교각의 상부에 일체형으로시공된 코핑부를 구비한 콘크리트 교각
KR102398605B1 (ko) Pc 보강패널을 이용한 내진 보강 시스템의 시공 방법
GB2071725A (en) System of construction or composite structural members with various captive infilling materials
KR101965754B1 (ko) 철근콘크리트 프레임의 내진 보강용 pc 벽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339591B1 (ko) Pe부직포방수시트와 가설지지재가 일체로 조립된 방수 겸 거푸집결합체 및 이를 이용한 직4각형단면의 하부 지하구조물의 설치공법
KR102137915B1 (ko) 내진 보강을 위한 3축 홀더유닛을 이용한 치장벽돌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440307B1 (ko) 조적조 건물의 내진 보강 구조
JP2003129676A (ja) コンクリート躯体の補強方法
JP7373383B2 (ja) 既存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塀の改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