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8905A - 무인판매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무인판매방법 - Google Patents

무인판매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무인판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8905A
KR20210088905A KR1020200001966A KR20200001966A KR20210088905A KR 20210088905 A KR20210088905 A KR 20210088905A KR 1020200001966 A KR1020200001966 A KR 1020200001966A KR 20200001966 A KR20200001966 A KR 20200001966A KR 20210088905 A KR20210088905 A KR 20210088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unit
payment
management server
kio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6030B1 (ko
Inventor
이정용
Original Assignee
하나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나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나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1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030B1/ko
Publication of KR20210088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8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판매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써, 구매자가 구매제품 결제신호를 입력하고, 구매제품의 결제정보가 출력되는 입출력부가 형성된 키오스크; 하나 이상의 제품이 수납되고 잠금여부를 설정가능한 수납공간 및 수납공간을 촬영하는 카메라부가 배치된 제품수납부; 및 제품수납부에서 외부로 반출된 구매제품을 결정하고, 키오스크의 결제신호를 승인하여 결제정보를 키오스크로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제품수납부는 수납공간의 개방시점부터 폐쇄시점까지 카메라부가 수납공간을 촬영한 다 수의 촬영이미지를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관리서버는 다 수의 촬영이미지를 비교하여 외부로 반출된 구매제품을 결정한 뒤, 구매제품의 가격정보를 키오스크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인판매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무인판매방법{UN-MANNED SELL SYSTEM AND SELL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별도의 판매자가 없이 무인으로 제품을 판매할 수 있는 무인판매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무인판매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장에서 제품을 구매하기 위해서는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을 선택하고, 선택한 제품의 계산을 위해 계산대 등 계산장소로 제품을 가지고 간 상태에서 이를 판매하고 있는 판매자에게 비용을 지불하여 구매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편의점에서 커피를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구매자는 편의점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커피를 냉장고 등 제품수납부에서 취득한 후, 이를 계산대로 들고간 뒤 판매자에게 건네주고, 판매자가 해당 제품에 대한 가격정보를 바코드 등을 활용하여 판단한 후, 판단된 가격에 대한 금액을 결제하여 구매자에게 건네줌으로써 제품의 구입단계가 종료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제품 구매 방식의 경우, 판매자가 필수적으로 매대에 대기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판매자가 사정 상 자리를 비우는 경우에는 제품을 구매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구매자가 단시간에 많이 몰리거나 계산을 위한 매대가 한 군데만 존재하는 경우에는, 구매자가 제품을 구매하기 위해 장시간 대기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최근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제품판매처에서는 키오스크 등 다양한 무인판매 장치를 설치하여, 구매자가 판매자에게 제품을 직접 가져가지 않고, 무인판매 장치를 활용하여 바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상황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무인판매 장치에 대한 선행기술문헌은 아래와 같다.
특허등록번호 제10-1949258호 (발명의 명칭 : 키오스크 기반 결제시스템) 그런데 종래의 무인판매 시스템은 아래와 같은 문제가 있다. 무인판매 시스템, 예를 들어 키오스크로 제품을 구매하기 위해서, 구매자는 키오스크로 이동하여 제품을 구매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해야 된다. 일 예로, 제품을 구매하기 위해 키오스크 화면을 통해서 제품 구매 절차에 따라 신호를 입력하고,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의 가격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바코드 등을 활용하여 직접 가격정보가 저장된 신호를 키오스크로 입력한 뒤, 카드나 현금 등 결제수단을 통해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전자기기를 잘 작동시키지 못하는 세대, 예를 들어 나이가 있는 노인은 무인판매 제품을 통해 제품을 결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무인판매 제품으로 제품을 구매하기 위한 절차가 까다로울 뿐 아니라, 제품에 대한 바코드 인식 등의 동작을 구매자가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제품 구매가 오히려 더 힘든 문제가 있다. 또한, 제품이 수납된 매대 등에서 구매자가 제품을 취득하여 계산하지 않고 가져가는 등 도난이나 절도 등이 일어날 경우, 이를 방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CCTV 또는 계산대에 판매자를 상주시켜야 하고 이에 따라 인건비 및 장치비 등의 유지비용이 늘어가 결국은 사업자에게 부담으로 다가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판매자가 구매자의 제품에 대한 바코드 정보를 잘못 인식하거나, 구매자가 무인판매 장치를 잘못 동작시키는 경우,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에 대한 정확한 가격 결제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구매자가 직접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제품에 대한 가격정보를 바로 인식하여 제품을 결제하는 무인판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판매 시스템은, 구매자가 구매제품 결제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구매제품의 결제정보가 출력되는 입출력부가 형성된 키오스크; 하나 이상의 수납제품이 수납되는 수납공간 및 상기 수납공간을 촬영하는 카메라부가 배치되고, 잠금상태가 설정가능한 제품수납부; 및 상기 제품수납부에서 외부로 반출된 상기 구매제품을 결정하고, 상기 키오스크의 상기 결제신호를 승인하여 상기 결제정보를 상기 키오스크로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품수납부는 상기 수납공간의 개방시점부터 폐쇄시점까지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수납공간을 촬영한 다 수의 촬영이미지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다 수의 촬영이미지를 비교하여 외부로 반출된 상기 구매제품을 결정하고, 상기 구매제품의 구매가격정보를 상기 키오스크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수납공간의 개방시점에서 상기 수납공간의 제1 촬영이미지 및 상기 수납공간의 폐쇄시점에서 상기 수납공간의 제2 촬영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1 촬영이미지 및 상기 제2 촬영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수납공간에서 외부로 반출된 상기 구매제품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구매가격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상기 구매가격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키오스크는, 결제수단을 인식하고, 상기 결제수단이 정상으로 인식된 제1 판단결과 또는 상기 결제수단이 비정상으로 인식된 제2 판단결과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결제수단인식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품수납부의 잠금상태를 설정하는 잠금상태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상태설정부는, 상기 제1 판단결과를 전송받으면 상기 제품수납부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제2 판단결과를 전송받으면 상기 제품수납부를 잠금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제품수납부는 복 수개 배치된 경우, 상기 제1 판단결과가 전송되면 상기 입출력부로부터 복 수개의 상기 제품수납부 중 하나 이상의 선택제품수납부를 선택하는 선택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제품수납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상태설정부는, 상기 제품수납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상기 선택제품수납부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상태 설정부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결제신호를 승인하면 상기 제품수납부를 잠금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상기 구매제품의 가격정보가 외부로 출력되면, 상기 수납제품의 추가구매 여부를 입력받는 추가구매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판매방법은, 키오스크가 결제수단을 인식하여, 상기 결제수단이 정상으로 인식된 제1 판단결과 또는 상기 결제수단이 비정상으로 인식된 제2 판단결과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결제수단인식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제1 판단결과가 전송되면 상기 제품수납부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잠금해제단계; 상기 제품수납부의 수납공간 개방시점부터 폐쇄시점까지 카메라부가 상기 수납공간을 촬영하는 이미지촬영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된 다 수의 촬영이미지를 비교하여 이미지차이정보를 생성하는 이미지 비교단계; 상기 이미지차이정보와 상기 수납제품의 이미지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수납공간에서 외부로 반출된 구매제품을 결정하는 구매제품 결정단계; 및 상기 키오스크가 상기 구매제품의 가격정보 및 결제정보를 출력하여 결제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결제신호를 승인하는 결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단계에서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결제신호를 승인하면 상기 제품수납부를 잠금상태로 설정하는 잠금설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수단인식단계 및 상기 잠금해제단계 사이에, 상기 제품수납부가 복 수개 배치된 경우, 상기 키오스크가 제품수납부 중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선택제품수납부의 선택신호를 입력받는 제품수납부 선택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품수납부 잠금해제단계에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선택제품수납부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판매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무인판매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우선, 구매자는 단순히 키오스크에 결제수단을 인식시키기만 한 뒤, 제품수납부로 가서 원하는 구매제품을 가져오기만 하면 구매제품의 구매가격정보가 키오스크를 통해 출력되기 때문에, 제품구매가 복잡하지 않고 심플하고, 이를 통해 나이가 많은 등 키오스크 사용이 어려운 사용자도 쉽게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키오스크 등을 활용하는 경우와 같이 제품의 바코드 등 결제정보를 직접 인식시킬 필요없이 제품수납부에서 꺼내기만 하면 자동으로 구매제품이 결정되기 때문에 구매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순히 결제수단을 인식시키고 구매제품을 반출하여 가격만 확인하면 결제가 완료되기 때문에 결제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종래의 계산대에서 구매를 위해 대기할 필요가 없어 구매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사업자의 입장에서는 별도로 인력을 고용하거나 직접 매장에서 제품을 판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인건비 및 유지비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무인임에도 불구하고 제품수납부의 잠금상태가 상황에 따라 설정되기 때문에 매장의 안전이나 보안상태 역시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키오스크 및 제품수납부가 서로 통신하는 것이 아니라 관리서버를 매게체로 하여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클라우드 등을 활용하여 관리서버를 구성하면 종래의 제품도 모두 키오스크나 제품수납부로 교체하여 사업자가 손 쉽게 설치를 할 뿐만 아니라, 유지비용 역시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판매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판매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도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판매 방법의 단계별 플로우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판매 시스템 각 구성별 무인판매 단계별 플로우차트.
도 5는 무인판매 시스템 입출력부로 출력되는 초기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품조회단계에서 입출력부로 출력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제품조회단계에서 제품의 상세정보가 입출력부로 출력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결제수단인식단계 및 제품수납부선택단계에서 입출력부로 출력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구매제품결정단계 후 구매제품정보가 입출력부로 출력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조나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인판매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제품 무인판매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이러한 판매시스템을 간략하게 “무인판매 시스템”으로, 판매방법을 “제품 무인판매 방법”으로 호칭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판매 시스템(100)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판매 시스템(100)의 구성에 대한 도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판매 시스템(100)은 별도로 판매자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구매자의 결제수단을 활용하여 구매자가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구매자가 구매제품 결제신호를 입력하거나 구매제품의 결제정보가 출력되는 입출력부(111)을 포함하는 키오스크(110), 내부에 판매를 위한 하나 이상의 제품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수납공간을 촬영하는 카메라부(123)가 배치된 제품수납부(120) 및 제품수납부(120)에서 외부로 반출된 구매제품을 결정하고, 키오스크(110)의 상결제신호를 승인하여 결제정보를 키오스크(110)로 전송하는 관리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구매자는 키오스크(110)를 통해 결제수단을 인식하여 인식된 결제수단의 정보를 기초로 제품수납부(120)에 수납된 수납제품 중 구매를 원하는 구매제품을 외부로 반출할 수 있고, 반출된 구매제품의 정보는 관리서버(130)를 통해 키오스크(110)로 출력되어 구매자는 키오스크(110)를 통해 구매제품의 정보를 확인하여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동작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키오스크(110)는 사용자가 제품을 구매하기 위해 구매제품을 선택하거나, 선택된 구매제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세히, 키오스크(110)는 구매자가 구매제품을 위한 결제신호를 입력시키고, 구매제품의 가격정보, 결제정보 등 제품관련 상세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입출력부(111), 구매자의 결제수단을 인식하기 위한 결제수단인식부(112), 구매자가 선택한 구매제품에 대한 결제신호를 생성하는 결제부(113), 구매자가 구매제품을 선택한 후 결제 전 제품의 추가구매를 진행할 수 있는 추가구매설정부(114), 구매자가 원하는 구매제품이 수용된 제품수납부(120)를 선택할 수 있는 제품수납선택부(115), 각종 정보가 저장되는 제1 저장부(116) 및 각종 정보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1 통신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입출력부(111)은 구매자로부터 신호를 입력받거나 외부로 각종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수단으로, 일 예로, 터치형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입출력부(111)을 하나의 구성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품의 제작공정 등을 고려하여 입력부 및 출력부는 별개로 구성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세히, 키오스크(110)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입출력부(111)을 통해 홍보영상 등 제1 저장부(116)에 저장된 영상 또는 이미지가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제1 저장부(116)에 저장된 영상 또는 이미지는 관리자가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고, 일 예로, 제품 등에 대한 홍보영상, 현재 날짜 및 시간, 날씨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부(111)에는 구매자가 제품수납부(120)에 수납된 제품을 검색하고 수납제품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구매자가 키오스크(110)를 통해 구매제품을 결제하고자 하는 경우, 구매제품에 대한 제품의 이미지와 가격정보 등이 관리서버(130)로부터 제1 통신부(117)로 전송되어 입출력부(111)을 통해 외부로 출력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구매자가 구매제품의 구매액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구매자는 입출력부(111)을 통해 구매제품의 결제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결정에 따라 결제부(113)가 구매제품의 결제신호를 생성하여 관리서버(130)로 전송한 뒤, 관리서버(130)가 결제신호를 승인하는 결제승인신호를 생성하면 구매제품이 결제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결제수단인식부(112)는 구매자의 결제수단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세히, 결제수단인식부(112)는 결제수단, 일 예로 구매자의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 등을 인식할 수 있고, 인식된 결제수단이 정상적인 결제수단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정상적인 결제수단이란, 결제수단을 통해 결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결제수단이 분실신고가 되었거나 거래정지가 된 경우에는 결제수단이 비정상적인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결제수단인식부(112)는 결제수단이 정상으로 인식된 경우에는 제1 판단결과를 생성하고, 반대로 결제수단이 비정상으로 인식된 경우에는 제2 판단결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제1 판단결과 또는 제2 판단결과의 결과신호를 관리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후, 관리서버(130)는 전송된 결과신호가 제1 판단결과인지 제2 판단결과인지에 따라 제품수납부(120)의 잠금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결제부(113)는 구매자가 제품수납부(120)로부터 외부로 반출시킨 구매제품에 대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세히, 구매자가 구매제품을 선택하면, 키오스크(110)는 관리서버(130)로부터 구매제품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입출력부(111)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고, 구매자는 구매제품 정보를 확인한 뒤 결제수단인식부(112)에 인식된 결제수단을 활용하여 결제부(113)를 통해 결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결제부(113)는 생성한 결제신호를 관리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추가구매설정부(114)는 구매자가 결제부(113)를 통해 구매제품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기 전, 제품수납부(120)에 수납된 수납제품 중 추가적으로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에 있는 경우 제품을 추가 구매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세히, 추가구매설정부(114)는, 구매자가 추가 구매신호를 입력하면 다시 제품수납선택부(115)를 통해 수납제품 중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이 수납된 제품수납부(120)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제품수납선택부(115)는 결제수단인식부(112)를 통해 인식된 결제수단이 정상으로 인식되어 제1 판단결과가 관리서버(130)로 전송된 경우, 구매자로부터 제품수납부(120) 선택신호를 입력받는 수단이다. 상세히, 제품수납부(120)가 1개인 경우에는 제품수납선택부(115)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으나, 제품수납부(120)가 복 수개인 경우에는 구매자는 제품수납선택부(115)를 통해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제품수납부(120)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선택신호는 관리서버(130)로 전송될 수 있다. 구매자가 제품수납선택부(115)를 통해 구매를 원하는 제품이 수납된 제품수납부(120)를 선택하면, 관리서버(130)는 선택된 제품수납부(120)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일 예로, 구매자는 제품수납선택부(115)로 제품수납부(120)를 선택하기 위하여 입출력부(111)을 통해 제품수납부(120)의 QR코드 등 인식코드를 활용하거나, 제품수납부(120)의 배치맵을 통해 원하는 제품수납부(120)를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제1 저장부(116)는 키오스크(110)를 통해 입출력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세히, 제1 저장부(116)에는 입출력부(111)을 통해 외부로 출력되기 위한 영상 또는 이미지가 저장될 수 있고, 이 외에도 사용자에게 키오스크(110)를 활용하여 구매제품을 구매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포함한 이미지나 영상정보, 제품수납부(120)를 선택하기 위한 제품수납부(120) 인식코드 등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부(117)는 관리서버(130)를 통해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세히, 제1 통신부(117)를 통해 결제수단인식부(112)로부터 인식된 결제수단의 정상여부를 판단하는 결과신호, 결제부(113)를 통해 생성된 결제신호, 추가구매설정부(114) 또는 제품수납선택부(115)를 통해 선택된 제품수납부(120) 정보신호 등을 관리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고, 관리서버(130)로부터 결제승인정보, 구매제품 상세정보 등을 전송받을 수 있다.
제품수납부(120)는 내부에 구매자가 구매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세히, 제품수납부(120)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수납제품을 수납하는 공간이 형성된 수납공간부(121), 수납공간부(121)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고 잠금상태 설정이 가능한 도어부(122), 수납공간부(121) 내에 배치되어 하나 이상의 수납제품이 수납된 공간을 촬영하는 카메라부(123), 수납제품 관리를 위한 각종 정보가 저장되는 제2 저장부(124) 및 관리서버(130)와 각종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2 통신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공간부(121)는 내부에 구매자가 구매하기 위한 수납제품이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단이다. 수납공간부(121)는 일반적으로 매장이나 편의점 등에 사용되는 매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일반적인 구성을 가진 바,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도어부(122)는 수납공간부(121)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수단으로, 슬라이드(미닫이) 또는 회전형 도어일 수 있다. 또한, 도어부(122)는 잠금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잠금부가 형성되어, 관리서버(130)로부터 잠금설정신호를 전송받으면 수납공간부(121)를 폐쇄한 상태에서 잠금상태로 설정될 수 있고, 반대로 관리서버(130)로부터 잠금해제신호를 전송받으면 수납공간부(121)가 개방될 수 있도록 잠금해제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도어부(122)가 잠금설정신호를 받아 잠금상태로 유지되는 경우, 구매자가 도어부(122)를 밀거나 회전시키더라도 수납공간부(121)가 개방되지 않고, 이 때 잠금부는 전자식 잠금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23)는 수납공간부(121) 내부에 배치되어, 수납공간에 하나 이상의 수납제품이 배치된 공간을 촬영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세히, 카메라부(123)는 내부에 센서가 배치되어, 도어부(122)가 수납공간부(121)를 개방한 시점을 센서가 인식하면 수납공간부(121)의 촬영을 시작할 수 있고, 도어부(122)가 수납공간부(121)를 폐쇄한 시점을 센서가 인식하면 수납공간부(121)의 촬영을 정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부(123)는 설정시간 간격으로 수납공간부(121)를 촬영한 다 수의 촬영이미지를 생성하거나, 또는 수납공간부(121)의 개방시점 및 폐쇄시점 각각의 촬영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저장부(124)는 제품수납부(120)를 통해 생성되는 다 수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세히, 제2 저장부(124)에는 카메라부(123)를 통해 촬영된 다 수의 촬영이미지가 저장될 수 있다.
제2 통신부(125)는 관리서버(130)와 관리서버(130)를 통해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세히, 제2 통신부(125)는 카메라부(123)를 통해 촬영된 다 수의 촬영이미지를 관리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고, 또한, 관리서버(130)로부터 도어부(122)의 잠금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잠금설정신호 또는 잠금해제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다.
관리서버(130)는 키오스크(110) 및 제품수납부(120)와 연결되어 키오스크(110) 및 제품수납부(120)의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할 수 있는 수단이다. 관리서버(130)는 제품수납부(120)에서 외부로 반출된 구매제품을 결정하고, 키오스크(110)의 결제신호를 승인하여 결제정보를 상기 키오스크(110)로 전송할 수 있고, 제품수납부(120)의 잠금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관리서버(130)는 일 예로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관리서버(130)는 중앙단에서 다 수의 키오스크(110) 및 제품수납부(120)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효율이 높은 효과가 있다.
상세히, 관리서버(130)는 카메라부(123)로부터 촬영된 다 수의 촬영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는 이미지비교부(131), 이미지비교부(131)를 통해 비교한 다 수의 촬영이미지의 비교데이터를 기초로 구매자의 구매제품을 결정하는 구매제품결정부(132), 키오스크(110)의 결제부(113)로부터 전송된 결제신호를 기초로 결제승인신호를 생성하는 결제승인부(133), 제품수납부(120)의 잠금상태를 설정하는 잠금상태설정부(134), 제품수납부(120)에 저장된 수납제품에 대한 이미지정보 및 상세정보(예를 들어, 가격정보 등), 결제정보 등을 저장하는 제3 저장부(135) 및 키오스크(110) 및 제품수납부(120)와 통신하여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3 통신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비교부(131)는 카메라부(123)로부터 촬영된 다 수의 촬영이미지, 바람직하게는 개방시점에서의 촬영이미지와 폐쇄시점에서의 촬영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세히, 제품수납부(120)의 개방시점에서 촬영이미지는 내부의 수납제품이 외부로 반출되지 않은 상태의 제1 촬영이미지일 수 있고, 폐쇄시점에서 촬영이미지는 구매자가 수납제품 중 구매를 원하는 구매제품을 외부로 반출한 상태의 제2 촬영이미지일 수 있다. 이미지비교부(131)는 제1 촬영이미지 및 제2 촬영이미지를 비교하여 촬영이미지의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이미지차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매제품결정부(132)는 이미지비교부(131)를 통해 촬영이미지를 비교한 이미지차이정보를 기초로 구매제품을 결정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세히, 구매제품결정부(132)는 이미지차이정보를 제3 저장부(135)에 저장된 구매제품 이미지정보와 비교하여 구매자가 구매한 구매제품의 종류 및 수량을 결정할 수 있고, 이를 기초로 구매자가 선택한 구매제품의 구매가격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산출된 구매가격정보는 제3 통신부(136)를 통해 키오스크(110)로 전송될 수 있다.
결제승인부(133)는 구매자가 키오스크(110)의 결제부(113)를 통해 구매가격정보에 대한 결제신호를 생성하면, 결제신호를 전송받고 결제신호에 대한 승인을 진행하는 수단이다. 결제승인부(133)는 결제신호를 승인하기 위한 결제승인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생성되는 결제정보를 키오스크(110)로 전송할 수 있다. 결제승인부(133)의 동작은 결제수단을 통한 결제 진행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지기술인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잠금상태설정부(134)는 키오스크(110)로부터 결제수단이 정상이라는 제1 판단결과 신호를 전송받으면 제품수납부(12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고, 구매제품의 결제가 완료되면 제품수납부(120)의 잠금을 설정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세히, 잠금상태설정부(134)는 제품수납부(120)의 도어부(122)에 배치된 잠금부를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하여 제품수납부(120)의 잠금설정 또는 잠금해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잠금상태설정부(134)는 제품수납부(120)가 1개인 경우와 제품수납부(120)가 복수개인 경우, 그 동작방식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우선 제품수납부(120)가 1개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결제수단인식부(112)가 결제수단이 정상이라 판단하여 제1 판단결과를 관리서버(130)로 전송하면 잠금상태설정부(134)는 제품수납부(120)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제품수납부(120)가 1개밖에 없기 때문에 구매자가 별도로 제품수납부(120)를 선택할 필요가 없어, 제1 판단결과를 전송받으면 바로 제품수납부(120)의 잠금상태를 해제하여 구매자가 원하는 제품을 바로 반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다르게 제품수납부(120)가 복 수개 배치된 경우, 결제수단인식부(112)에 의해 생성된 제1 판단결과가 관리서버(130)로 전송된 후 구매자가 제품수납선택부(115)를 통해 원하는 구매제품이 수납된 제품수납부(120)를 하나 이상 선택할 수 있고, 잠금상태설정부(134)는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선택제품수납부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즉, 이 경우는 구매자가 제품수납선택부(115)를 통해 잠금 해제를 원하는 선택제품수납부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잠금상태설정부(134)는 선택된 제품수납부(120)의 잠금 상태만 해제할 수 있다.
반대로, 잠금상태설정부(134)는 키오스크(110)로부터 결제수단이 비정상이라는 제2 판단결과 신호를 전송받으면 제품수납부(120)의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결제수단이 비정상이기 때문에 수납제품을 판매할 수 없다고 결정하고 제품수납부(120)를 잠금상태로 유지하여 제품의 안전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잠금상태설정부(134)는 구매제품의 결제가 완료된 시점, 즉, 관리서버(130)가 키오스크(110)의 결제부(113)로부터 전송된 결제신호를 승인하는 결제승인신호를 키오스크(110)로 전송하면, 제품수납부(120)를 잠금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상세히, 결제승인신호가 키오스크(110)로 전송되어 결제가 완료되면 더 이상 제품수납부(120)의 잠금해제를 유지할 이유가 없기 때문에 안전 및 보안상의 이유로 잠금상태설정부(134)는 모든 제품수납부(120)를 잠금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제3 저장부(135)는 제품수납부(120)에 수납된 수납제품에 대한 상세정보, 예를 들어 수납제품에 대한 제품설명정보 및 단가정보 등과 수납제품의 이미지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제3 저장부(135)의 수납제품 상세정보는 키오스크(110)로 전송되어 외부로 출력될 수 있고, 수납제품의 이미지정보는 구매제품결정부(132)에서 이미지차이정보와 비교됨으로써 구매가격정보를 결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제3 통신부(136)는 키오스크(110)의 제1 통신부(117) 및 제품수납부(120)의 제2 통신부(125)와 연결되어 각종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세히, 제3 통신부(136)는 제1 통신부(117)를 통해 수납제품의 상세정보 및 구매가격정보를 키오스크(110)로 전송할 수 있고 결제수단의 정상여부 판단하는 결과신호 및 결제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다. 또한, 제3 통신부(136)는 제2 통신부(125)를 통해 제품수납부(120)의 잠금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잠금설정신호 또는 잠금해제신호를 제품수납부(120)로 전송할 수 있고 카메라부(123)의 촬영이미지를 전송받을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판매 시스템(100)이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 동작하는 제품 무인판매 방법에 대하여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판매 방법의 단계별 플로우차트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판매 시스템(100) 각 구성별 무인판매 단계별 플로우차트이며, 도 5는 무인판매 시스템(100) 입출력부(111)로 출력되는 초기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제품조회단계에서 입출력부(111)로 출력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제품조회단계에서 제품의 상세정보가 입출력부(111)로 출력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결제수단인식단계(S100) 및 제품수납부선택단계(S120)에서 입출력부(111)로 출력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구매제품결정단계(S160) 후 구매제품정보가 입출력부(111)로 출력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품 무인판매 방법은, 제품수납부(120)에 수납된 제품을 조회할 수 있는 제품조회단계, 결제수단이 인식되는 결제수단인식단계(S100), 결제수단이 정상으로 인식되면 제품수납부(120)를 선택하는 제품수납부선택단계(S120), 선택된 선택제품수납부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잠금해제단계(S130), 잠금 해제 후 구매자가 선택제품수납부의 수납공간부(121) 개방시점부터 폐쇄시점까지 수납공간의 제품이미지를 촬영하는 이미지 촬영단계, 관리서버(130)에서 전송된 촬영이미지를 비교하는 이미지비교단계(S150), 이미지 비교를 통해 생성된 이미지차이정보와 제품의 이미지정보를 비교하여 구매제품을 결정하는 구매제품결정단계(S160), 수납제품 중 구매제품을 추가할 수 있는 구매제품 추가단계, 키오스크(110)를 통해 결정된 구매제품의 구매가격정보에 따라 결제를 진행하는 결제단계(S180) 및 결제가 승인되면 선택제품수납부를 잠금상태로 설정하는 잠금설정단계(S19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제품조회단계 전 키오스크(110)에는 제1 저장부(116)에 저장된 영상 또는 이미지가 입출력부(111)을 통해 외부로 출력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품조회단계에서는 구매자는 입출력부(111)을 통해 제품수납부(120)에 수납된 제품에 대한 제품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상세히, 구매자가 입출력부(111)을 통해 제품정보 조회신호를 입력하면, 관리서버(130)로부터 제품수납부(120)에 수납된 수납제품에 대한 상세정보, 예를 들어 제품명, 제품단가, 제품이미지 등이 입출력부(111)을 통해 출력될 수 있고, 구매자는 본인이 원하는 구매제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매자가 제품조회단계를 통해 구매를 원하는 제품이 있음을 확인하면 구매자가 결제수단을 키오스크(110)의 결제수단인식부(112)에 인식시키는 결제수단인식단계(S100)가 진행될 수 있다. 상세히, 구매자는 구매자의 신용카드 등 결제수단을 결제수단인식부(112)에 인식시킬 수 있고, 결제수단인식부(112)는 인식된 결제수단이 정상적인 결제수단인지를 판단하여 정상인 경우에는 제1 판단결과, 비정상인 경우에는 제2 판단결과 신호를 관리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입출력부(111)을 통해 결제수단을 인식시키는 과정이 안내될 수 있다.
결제수단인식부(112)가 제1 판단결과를 관리서버(130)로 전송하면, 구매자가 제품수납부(120)를 선택할 수 있는 제품수납부선택단계(S120)가 진행될 수 있다. 제품수납부선택단계(S120)에서는 키오스크(110) 입출력부(111)을 통해 원하는 제품수납부(120)의 QR코드 등을 인식하거나 또는 터치입력을 통해 선택함으로써 제품수납부(120)가 선택될 수 있다. 제품수납부선택단계(S120)는 제품수납부(120)가 1개만 배치된 경우에는 생략될 수 있다.
반대로 결제수단인식부(112)가 제2 판단결과를 관리서버(130)로 전송하면, 키오스크(110)는 제품조회단계 전인 영상 또는 이미지 출력상태로 회귀될 수 있다.
구매자가 키오스크(110)의 제품수납부선택단계(S120)를 통해 제품수납부(120)를 선택하면, 관리서버(130)는 선택된 선택제품수납부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잠금해제단계(S130)를 수행할 수 있다. 상세히, 구매자가 입출력부(111)을 통해 제품수납부(120)를 선택하면 선택된 제품수납부(120)의 정보가 키오스크(110)의 제1 통신부(117) 및 관리서버(130)의 제3 통신부(136)의 통신에 의해 관리서버(130)로 전송될 수 있다. 관리서버(130)의 잠금상태설정부(134)는 선택된 선택제품수납부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잠금해제신호를 선택제품수납부로 전송할 수 있고, 선택제품수납부의 도어부(122)에 배치된 잠금부가 동작하여 선택제품수납부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선택제품수납부의 잠금상태가 해제된 상태에서 구매자가 원하는 구매상품을 수납공간에서 외부로 반출하기 위해 도어부(122)를 오픈하는 경우, 즉 수납공간부(121)가 개방되는 시점부터 도어부(122)가 닫혀서 수납공간부(121)가 폐쇄되는 시점까지 카메라부(123)가 동작하여 수납공간부(121)를 촬영하는 이미지촬영단계(S140)가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부(123)는 수납공간부(121)의 개방시점부터 폐쇄시점까지 수납공간부(121)를 복 수에 걸쳐 촬영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복 수의 촬영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수납공간부(121)가 폐쇄되면 카메라부(123)로부터 촬영된 다 수의 촬영이미지는 제2 통신부(125)와 제3 통신부(136)의 통신에 의해 관리서버(13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130)의 이미지비교부(131)는 전송된 다 수의 촬영이미지를 비교하여 구매자가 수납공간부(121)의 제품을 외부로 반출하기 전과 반출한 후의 이미지차이정보를 추출하는 이미지비교단계(S150)가 수행될 수 있다.
구매제품결정단계(S160)에서는 이미지비교단계(S150)에서 추출된 이미지차이정보와 제3 저장부(135)에 저장된 수납제품의 이미지정보를 비교하여 구매자가 외부로 반출한 구매제품을 결정할 수 있는 단계이다. 상세히, 관리서버(130)의 구매제품결정부(132)는 이미지차이정보와 수납제품 이미지정보를 비교하여, 비교결과를 바탕으로 구매제품의 종류 및 수량을 결정할 수 있고, 이를 기초로 구매제품의 구매가격정보를 산출할 수 있고, 이를 키오스크(110)로 전송하여 입출력부(111)을 통해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구매제품추가단계(S170)는 구매제품이 결정되어 구매자격정보가 입출력부(111)을 통해 외부로 출력되는 경우,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수납제품 중 구매제품을 구매하기 위한 단계이다. 구매자가 추가구매설정부(114)를 통해 구매제품 추가신호를 입력하면, 제품수납부선택단계(S120)부터 구매제품결정단계(S160)까지의 단계가 반복될 수 있다. 다만, 구매제품추가단계(S170)는 구매자가 추가구매설정부(114)를 통해 구매제품 추가신호를 입력한 경우에만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생략될 수 있는 단계이다.
결제단계(S180)에서는 구매자가 외부로 출력된 구매가격정보를 확인하고 결제부(113)를 통해 결제신호를 입력하면, 결제신호가 관리서버(130)로 전송되어 관리서버(130)의 결제승인부(133)가 결제신호의 결제승인 여부를 결정하고, 결제정보를 키오스크(110)로 전송할 수 있다. 결제승인신호에 따라 결제정보가 키오스크(110)로 전송되면 결제가 완료되어 구매자가 구매상품을 취득할 수 있다.
이 후, 잠금설정단계(S190)에서는 관리서버(130)로부터 결제승인신호가 생성됨과 동시에 잠금상태설정부(134)가 잠금설정신호를 선택제품수납부로 전송하여 선택제품수납부의 도어부(122)가 잠금상태를 유지하도록 잠금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해당 과정을 통해 잠금이 해제되어 있던 선택제품수납부는 잠금상태가 유지되어 비구매자가 수납제품을 외부로 반출하지 못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판매 시스템(100)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구매자의 입장에서는 구매제품을 계산하기 위해 계산대 앞에서 대기하거나 키오스크(110) 장치에 직접 제품의 결제정보를 입력할 필요없이, 결제수단을 인식시키고 구매제품을 단순히 가져오기만 하면 자동으로 구매제품에 대한 가격정보가 산출되기 때문에, 간편하게 구매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사업자의 입장에서는 별도로 인력을 고용하거나 직접 매장에서 제품을 판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인건비 및 유지비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무인임에도 불구하고 제품수납부(120)의 잠금상태가 상황에 따라 설정되기 때문에 매장의 안전이나 보안상태 역시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무인판매 시스템 110 : 키오스크
111 : 입출력부 112 : 결제수단인식부
113 : 결제부 114 : 추가구매설정부
115 : 제품수납부선택부 116 : 제1 저장부
117 : 제1 통신부 120 : 제품수납부
121 : 수납공간부 122 : 도어부
123 : 카메라부 124 : 제2 저장부
125 : 제2 통신부 130 : 관리서버
131 : 이미지비교부 132 : 구매제품결정부
133 : 결제승인부 134 : 잠금상태설정부
135 : 제3 저장부 136 : 제3 통신부

Claims (11)

  1. 구매자가 구매제품 결제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구매제품의 결제정보가 출력되는 입출력부가 형성된 키오스크;
    하나 이상의 수납제품이 수납되는 수납공간 및 상기 수납공간을 촬영하는 카메라부가 배치되고, 잠금상태가 설정가능한 제품수납부; 및
    상기 제품수납부에서 외부로 반출된 상기 구매제품을 결정하고, 상기 키오스크의 상기 결제신호를 승인하여 상기 결제정보를 상기 키오스크로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품수납부는 상기 수납공간의 개방시점부터 폐쇄시점까지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수납공간을 촬영한 다 수의 촬영이미지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다 수의 촬영이미지를 비교하여 외부로 반출된 상기 구매제품을 결정하고, 상기 구매제품의 구매가격정보를 상기 키오스크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판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수납공간의 개방시점에서 상기 수납공간의 제1 촬영이미지 및 상기 수납공간의 폐쇄시점에서 상기 수납공간의 제2 촬영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1 촬영이미지 및 상기 제2 촬영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수납공간에서 외부로 반출된 상기 구매제품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판매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구매가격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상기 구매가격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판매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는,
    결제수단을 인식하고, 상기 결제수단이 정상으로 인식된 제1 판단결과 또는 상기 결제수단이 비정상으로 인식된 제2 판단결과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결제수단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무인판매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품수납부의 잠금상태를 설정하는 잠금상태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상태설정부는,
    상기 제1 판단결과를 전송받으면 상기 제품수납부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제2 판단결과를 전송받으면 상기 제품수납부를 잠금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판매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제품수납부는 복 수개 배치된 경우, 상기 제1 판단결과가 전송되면 상기 입출력부로부터 복 수개의 상기 제품수납부 중 하나 이상의 선택제품수납부를 선택하는 선택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제품수납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상태설정부는,
    상기 제품수납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상기 선택제품수납부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판매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상태 설정부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결제신호를 승인하면 상기 제품수납부를 잠금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판매 시스템.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상기 구매제품의 가격정보가 외부로 출력되면, 상기 수납제품의 추가구매 여부를 입력받는 추가구매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판매 시스템.
  9. 키오스크가 결제수단을 인식하여, 상기 결제수단이 정상으로 인식된 제1 판단결과 또는 상기 결제수단이 비정상으로 인식된 제2 판단결과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결제수단인식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제1 판단결과가 전송되면 상기 제품수납부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잠금해제단계;
    상기 제품수납부의 수납공간 개방시점부터 폐쇄시점까지 카메라부가 상기 수납공간을 촬영하는 이미지촬영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된 다 수의 촬영이미지를 비교하여 이미지차이정보를 생성하는 이미지 비교단계;
    상기 이미지차이정보와 상기 수납제품의 이미지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수납공간에서 외부로 반출된 구매제품을 결정하는 구매제품 결정단계; 및
    상기 키오스크가 상기 구매제품의 가격정보 및 결제정보를 출력하여 결제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결제신호를 승인하는 결제단계를 포함하는 제품 무인판매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단계에서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결제신호를 승인하면 상기 제품수납부를 잠금상태로 설정하는 잠금설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품 무인판매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수단인식단계 및 상기 잠금해제단계 사이에,
    상기 제품수납부가 복 수개 배치된 경우, 상기 키오스크가 제품수납부 중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선택제품수납부의 선택신호를 입력받는 제품수납부 선택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품수납부 잠금해제단계에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선택제품수납부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무인판매 방법.

KR1020200001966A 2020-01-07 2020-01-07 무인판매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무인판매방법 KR102286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966A KR102286030B1 (ko) 2020-01-07 2020-01-07 무인판매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무인판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966A KR102286030B1 (ko) 2020-01-07 2020-01-07 무인판매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무인판매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905A true KR20210088905A (ko) 2021-07-15
KR102286030B1 KR102286030B1 (ko) 2021-08-05

Family

ID=76889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966A KR102286030B1 (ko) 2020-01-07 2020-01-07 무인판매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무인판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03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0634B1 (ko) * 2021-10-15 2022-06-22 도시공유플랫폼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 무인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30108620A (ko) 2022-01-11 2023-07-18 주식회사 스마트키오스크 무인판매 쇼케이스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무인판매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08630A (ko) 2022-01-11 2023-07-18 주식회사 스마트키오스크 무인판매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무인판매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08645A (ko) 2022-01-11 2023-07-18 주식회사 스마트키오스크 성인인증이 가능한 무인판매 단말기, 이를 이용한 무인판매 시스템 및 방법
WO2023158035A1 (ko) * 2022-02-16 2023-08-24 권상언 구매촉진시스템
KR102579349B1 (ko) * 2023-07-21 2023-09-15 하나시스 주식회사 유니버설 무인자판기
KR102616999B1 (ko) * 2023-09-22 2023-12-27 주식회사 굿샵 비전기술을 이용한 자동화 무인 주류 판매 시스템 및 판매 데이터 수집 장치
KR102632998B1 (ko) * 2023-11-07 2024-02-02 하나시스 주식회사 분할형 입출력부를 구비한 키오스크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8524A (ko) * 2008-10-06 2010-04-15 주식회사 한솔비전 무인자전거관리대여시스템 및 그 관리대여방법
KR20150140359A (ko) * 2013-04-08 2015-12-15 로니 헤이 컴퓨터-제어, 무인, 자동화 체크아웃 스토어 아웃렛
KR101887685B1 (ko) * 2018-01-08 2018-09-10 정진혁 운영 시스템을 포함하는 무인 자판기
KR101949258B1 (ko) 2017-11-03 2019-02-18 주식회사 브이알미디어 키오스크 기반 결제 시스템
JP2019150123A (ja) * 2018-02-28 2019-09-12 株式会社ヴィンクス 商品移動検出装置および商品移動検出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8524A (ko) * 2008-10-06 2010-04-15 주식회사 한솔비전 무인자전거관리대여시스템 및 그 관리대여방법
KR20150140359A (ko) * 2013-04-08 2015-12-15 로니 헤이 컴퓨터-제어, 무인, 자동화 체크아웃 스토어 아웃렛
KR101949258B1 (ko) 2017-11-03 2019-02-18 주식회사 브이알미디어 키오스크 기반 결제 시스템
KR101887685B1 (ko) * 2018-01-08 2018-09-10 정진혁 운영 시스템을 포함하는 무인 자판기
JP2019150123A (ja) * 2018-02-28 2019-09-12 株式会社ヴィンクス 商品移動検出装置および商品移動検出方法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그런데 전자기기를 잘 작동시키지 못하는 세대, 예를 들어 나이가 있는 노인은 무인판매 제품을 통해 제품을 결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무인판매 제품으로 제품을 구매하기 위한 절차가 까다로울 뿐 아니라, 제품에 대한 바코드 인식 등의 동작을 구매자가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제품 구매가 오히려 더 힘든 문제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무인판매 시스템은 아래와 같은 문제가 있다.
또한, 제품이 수납된 매대 등에서 구매자가 제품을 취득하여 계산하지 않고 가져가는 등 도난이나 절도 등이 일어날 경우, 이를 방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CCTV 또는 계산대에 판매자를 상주시켜야 하고 이에 따라 인건비 및 장치비 등의 유지비용이 늘어가 결국은 사업자에게 부담으로 다가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판매자가 구매자의 제품에 대한 바코드 정보를 잘못 인식하거나, 구매자가 무인판매 장치를 잘못 동작시키는 경우,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에 대한 정확한 가격 결제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무인판매 시스템, 예를 들어 키오스크로 제품을 구매하기 위해서, 구매자는 키오스크로 이동하여 제품을 구매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해야 된다. 일 예로, 제품을 구매하기 위해 키오스크 화면을 통해서 제품 구매 절차에 따라 신호를 입력하고,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의 가격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바코드 등을 활용하여 직접 가격정보가 저장된 신호를 키오스크로 입력한 뒤, 카드나 현금 등 결제수단을 통해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0634B1 (ko) * 2021-10-15 2022-06-22 도시공유플랫폼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 무인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30108620A (ko) 2022-01-11 2023-07-18 주식회사 스마트키오스크 무인판매 쇼케이스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무인판매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08630A (ko) 2022-01-11 2023-07-18 주식회사 스마트키오스크 무인판매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무인판매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08645A (ko) 2022-01-11 2023-07-18 주식회사 스마트키오스크 성인인증이 가능한 무인판매 단말기, 이를 이용한 무인판매 시스템 및 방법
WO2023158035A1 (ko) * 2022-02-16 2023-08-24 권상언 구매촉진시스템
KR102579349B1 (ko) * 2023-07-21 2023-09-15 하나시스 주식회사 유니버설 무인자판기
KR102616999B1 (ko) * 2023-09-22 2023-12-27 주식회사 굿샵 비전기술을 이용한 자동화 무인 주류 판매 시스템 및 판매 데이터 수집 장치
KR102632998B1 (ko) * 2023-11-07 2024-02-02 하나시스 주식회사 분할형 입출력부를 구비한 키오스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6030B1 (ko) 2021-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6030B1 (ko) 무인판매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무인판매방법
KR102377562B1 (ko) 무인판매 시스템
US5979753A (en) Device and method for secure data updates in a self-checkout system
US6712266B2 (en) Network transaction and cash-accepting add-value station
US20070094087A1 (en) System and method of handling product returns
JP2009009231A (ja) セキュリティ管理システムおよびセキュリティ管理方法
KR102333347B1 (ko)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 및 방법
JP2023009242A (ja) 商品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9189812B2 (en) Kiosk and method for renting carpet cleaning machines
JP7240848B2 (ja) 物品収納決済システム
JP7124595B2 (ja) 電気機器の電子錠ユニット解錠システム
CN112053520A (zh) 店铺管理系统及店铺管理方法
KR102347645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인매장의 출입인증과 상품판매 및 재고관리를 수행하는 시스템
JP5895747B2 (ja) 販売システム
JP2019012341A (ja) ロッカーシステム、ロッカー装置及びロッカー制御方法
CN113614799A (zh) 物品收容系统、服务器、物品收容方法、程序和信息处理装置
JP7408300B2 (ja) 店舗管理装置、電子レシートシステム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14303178A (zh) 售货机控制系统、自动售货机和信息输出方法
JP2007156615A (ja) 商品展示装置、商品展示制御方法、商品売買管理装置、商品売買管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2365190B1 (ko) 무인 매장 관리 방법 및 무인 매장 관리 장치
NL2025889B1 (en) Systems, methods,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interfaces for controlling authorizations to access and/or use a physical space by a person, and spaces controlled thereby
KR102652262B1 (ko) 성인인증이 가능한 무인판매 단말기, 이를 이용한 무인판매 시스템 및 방법
JP727411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441012B1 (ko) 음성인식을 통한 성인인증 도용방지 무인판매시스템
WO2021176922A1 (ja) 物品収容システム、サーバ、物品収容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