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7324A - 음원 탐지에 기초하는 능동 음 생성 방식의 층간 소음 제거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원 탐지에 기초하는 능동 음 생성 방식의 층간 소음 제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7324A
KR20210087324A KR1020200000442A KR20200000442A KR20210087324A KR 20210087324 A KR20210087324 A KR 20210087324A KR 1020200000442 A KR1020200000442 A KR 1020200000442A KR 20200000442 A KR20200000442 A KR 20200000442A KR 20210087324 A KR20210087324 A KR 20210087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sound
vibration
active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기
Original Assignee
김순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기 filed Critical 김순기
Priority to KR1020200000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7324A/ko
Publication of KR20210087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73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209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sound absorbing de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10K11/1781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input or output signals, e.g. frequency range, modes, transfer functions
    • G10K11/17821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input or output signals, e.g. frequency range, modes, transfer functions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the input signals onl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2Rooms, e.g. ANC inside a room, office, concert hall or automobile cabi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01Computational
    • G10K2210/3026Feedba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원 탐지에 기초하는 능동 음 생성 방식의 층간 소음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능동 음 생성 방식의 층간 소음 제거 시스템은 천정 또는 위층에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소음의 발생원을 탐지하는 진동/소음 탐지 모듈(11); 진동 또는 소음 발생의 위치 또는 형태를 탐지하는 발생원 위치/형태 탐지 모듈(12); 소음 또는 진동에 의한 소음이 도달하는 피해 대상을 탐지하는 피해 대상 탐지 모듈(13); 소음의 형태에 따라 그에 적합한 능동 제거 음을 생성하는 능동 제거 음 생성 모듈(14); 및 능동 제거 음을 정해진 방향으로 송신하는 제거 음파 송신 모듈(15)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원 탐지에 기초하는 능동 음 생성 방식의 층간 소음 제거 시스템{An Active Sound Generating Type of a System for Removing a Noise Based on Detecting a Noise Source}
본 발명은 음원 탐지에 기초하는 능동 음 생성 방식의 층간 소음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상하 공간을 분리시키는 층에서 발생되는 층간 소음의 형태를 탐지하여 이를 상쇄시키는 능동 음의 생성하여 층간 소음이 제거되도록 하는 음원 탐지에 기초하는 능동 음 생성 방식의 층간 소음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듣는 사람에게 불쾌감을 느끼게 하는 소음(noise)은 각각의 심리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르고 예를 들어 자동차, 철도 또는 비행기와 같은 교통수단으로부터 발생하는 가청 주파수의 음은 소음이 될 수 있다. 또는 공사장 또는 공장에서 발생되는 기계음 또는 진동에 의한 음이 소음이 될 수 있고, 소음은 일반적으로 불협화음의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은 소음은 스트레스를 유발시키면서 활동 능력을 감소시키고, 다양한 정신적 또는 신체적 질병을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피해 대상에게 도달되지 않도록 제거가 될 필요가 있다. 소음은 다수인의 활동하는 공동생활 공간에서 주로 발생하고, 다수인이 거주하는 아파트, 공동업무 시설 또는 이와 유사한 공동 거주 공간에서 발생하는 층간 소음은 많은 사회적 문제를 유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층간 소음 문제는 아파트 또는 이와 유사한 집합 건물의 증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생하고 있고, 건축 기술의 발전만으로 해결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층간 소음 문제의 해결을 위한 다양한 기술이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특허등록번호 10-1782402는 공용 공간 및 복수 개의 전용 공간을 포함하는 공동 주택의 층간 소음 방지 구조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등록번호 10-1897106은 소음 및 진동을 감쇠시키는 층간 소음 방지 모듈에 대하여 개시한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소재 또는 구조적으로 층간 소음을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은 설치비용을 증가시키면서 실질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소음 제거에 적용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진다. 그러므로 층간 소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특허문헌1: 특허등록번호 10-1782402((주)리종합건축사무소, 2017.10.23. 공고)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특허문헌2: 특허등록번호 10-1897106(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2018.10.22. 공고) 소음과 진동을 감쇠시키는 층간소음 방지모듈
본 발명의 목적은 층간 소음의 발생원을 탐지하고, 발생원의 형태에 따라 능동 제거 음을 발생시켜 층간 소음이 제거되도록 하는 음원 탐지에 기초하는 능동 음 생성 방식의 층간 소음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능동 음 생성 방식의 층간 소음 제거 시스템은 천정 또는 위층에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소음의 발생원을 탐지하는 진동/소음 탐지 모듈; 진동 또는 소음 발생의 위치 또는 형태를 탐지하는 발생원 위치/형태 탐지 모듈; 소음 또는 진동에 의한 소음이 도달하는 피해 대상을 탐지하는 피해 대상 탐지 모듈; 소음의 형태에 따라 그에 적합한 능동 제거 음을 생성하는 능동 제거 음 생성 모듈; 및 능동 제거 음을 정해진 방향으로 송신하는 제거 음파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거 음파 송신 모듈은 송신 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다수 개의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능동 제거 음파 생성 모듈에 의하여 발생된 소음과 반대되는 위상을 가진 가상 소음이 생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원 탐지에 기초하는 능동 음 생성 방식의 층간 소음 제거 시스템은 능동 소음 제거(Active Noise Cancellation) 기술에 기초하여 다수 개의 감지 소자를 이용하여 매트릭스 구조로 소음 발생 부위를 계산하여 파악하는 것에 의하여 소음 발생원의 정확한 탐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거 시스템은 초음파, 레이저 또는 이와 유사한 탐지 수단에 의하여 소음이 도달하는 피해 대상의 위치를 산출하여 반대 위상을 가진 가상 소음(Virtual Sound)을 전송하여 소음을 제거하여 능동적으로 소음이 제거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음 제거 시스템은 집한 건물에서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소음 제거가 가능하면서 새로운 소음 발생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제거되도록 하면서 피해 대상을 추적하여 소음이 효율적으로 제거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원 탐지에 기초하는 능동 음 생성 방식의 층간 소음 제거 시스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 제거 시스템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 제거 시스템에서 소음이 제거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 제거 시스템이 적용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원 탐지에 기초하는 능동 음 생성 방식의 층간 소음 제거 시스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음원 탐지에 기초하는 능동 음 생성 방식의 층간 소음 제거 시스템은 천정 또는 위층에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소음의 발생원을 탐지하는 진동/소음 탐지 모듈(11); 진동 또는 소음 발생의 위치 또는 형태를 탐지하는 발생원 위치/형태 탐지 모듈(12); 소음 또는 진동에 의한 소음이 도달하는 피해 대상을 탐지하는 피해 대상 탐지 모듈(13); 소음의 형태에 따라 그에 적합한 능동 제거 음을 생성하는 능동 제거 음 생성 모듈(14); 및 능동 제거 음을 정해진 방향으로 송신하는 제거 음파 송신 모듈(15)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원 탐지에 기초하는 능동 음 생성 방식의 층간 소음 제거 시스템은 (i) 다수 방향의 소음의 탐지가 가능한 소음 감지 진동자를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하고, (ii) 각각의 소음 신호의 크기를 분석하고 산출하여 소음 원의 위치를 분석하고, 피해 대상의 위치를 추적하여 가상 소음의 생성 형태 및 방향을 결정하고, (iii) 매트릭스 구조로 가상 서라운드 제거 모듈을 형성하고, (iv) 소음과 반대되는 위상을 가진 제거 음을 피해 대상을 향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해 대상의 위치는 예를 들어 초음파 센서 또는 레이저 센서와 같은 탐지 센서에 의하여 탐지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위치의 다수 피해 대상이 탐지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피해 대상의 위치가 추적될 수 있다. 아래에서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진 소음 제거 시스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진동/소음 탐지 모듈(11)에 의하여 위층 또는 바닥 면에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소음이 탐지될 수 있고, 진동/소음 탐지 모듈(11)은 다수 개의 소음 탐지 또는 진동 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 개의 탐지 센서는 천정 또는 실내에서 서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고, 소음 또는 진동 탐지를 위한 진동자, 증폭기, 필터 또는 이와 유사한 전자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 개의 탐지 센서에서 탐지된 진동 또는 정보는 전송 가능한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발생원 위치/형태 탐지 모듈(12)로 전송될 수 있다. 진동/소음 탐지 모듈(11)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진동 또는 소음이 탐지되어 발생원 위치/형태 탐지 모듈(12)로 전송될 수 있고, 진동/소음 탐지 모듈(11)은 예를 들어 진동 형태, 소음의 방향, 진폭, 주파수, 파형, 시간에 따른 변화 형태 또는 시각 정보를 발생원 위치/형태 탐지 모듈(12)로 전송할 수 있다. 발생원 위치/형태 탐지 모듈(12)은 각각의 탐지 센서의 탐지 정보를 분석하여 발생원의 위치, 발생원의 형태 및 발생원의 지속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 결과에 따라 발생원의 추적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발생원 위치/형태 탐지 모듈(12)에 의하여 진동 또는 소음 발생 정보가 추적되면서 이와 함께 피해 대상 탐지 모듈(13)에 의하여 소음이 도달하는 공간에 위치하는 사람과 같은 피해 대상이 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소음이 도달되는 영역 및 그 영역에 위치하는 피해 대상이 탐지될 수 있고, 이와 함께 각각의 소음이 피해 대상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이 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음이 직접 피해 대상에게 도달하는지, 반사 형태로 도달하는지 또는 흡수되어 영향을 미치지 않는지 여부가 탐지될 수 있다. 그리고 피해 대상 탐지 모듈(13)의 탐지 결과가 능동 제거 음 생성 모듈(14)로 전송될 수 있다. 능동 제거 음 생성 모듈(14)은 피해 대상 탐지 모듈(13)의 탐지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소음의 제거를 위한 음파를 생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발생된 소음과 간섭을 유발하여 소음의 제거가 가능한 반대 위상을 가지면서 동일 또는 유사한 진폭을 가진 제거 음을 생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제거 음이 제거 음파 송신 모듈(15)로 전송될 수 있고, 제거 음파 송신 모듈(15)에 의하여 피해 대상 탐지 모듈(13)에 의하여 탐지된 피해 대상에게 전송될 수 있다. 제거 음파 송신 모듈(15)은 생성된 제거 음을 증폭시키면서 위상을 조절하여 피해 대상에게 제거 음을 전송할 수 있다. 제거 음파 송신 모듈(15)은 예를 들어 다수 개의 스피커와 같은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출력 수단에 의하여 제거 음이 피해 대상에게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제거 음은 진동 발생원으로 전송되거나, 소음 발생 위치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소음 또는 진동이 피해 대상에게 전달되지 않고 층간 진동 또는 소음이 제거될 수 있다. 능동 제거 음 생성 모듈(14)은 진동 또는 소음의 제거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능동 음을 생성시킬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 제거 시스템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거 음파 송신 모듈(15)은 송신 방향을 조절이 가능한 다수 개의 출력 수단(26)을 포함한다. 진동 또는 소음의 탐지를 위한 다수 개의 탐지 센서(21_1 내지 21_N)가 소음 발생 층(NL) 또는 소음 또는 진동의 발생 공간에 배치될 수 있고, 각각의 탐지 센서(21_1 내지 21_N)으로부터 탐지된 소음 또는 진동 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신호 프로세서(22)로 전송될 수 있다. 각각의 탐지 센서(21_1 내지 21_N)는 신호의 수신 방향, 주파수, 진폭, 수신 시각, 주기 또는 이와 유사한 탐지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신호 처리 프로세서(22)로 전송할 수 있다. 신호 처리 프로세서(22)는 각각의 탐지 센서(21_1 내지 21_N)로부터 전송된 소음 또는 진동 정보를 전송 가능한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소음/진동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각각의 신호 처리 프로세서(22)의 소음/진동 데이터가 소음 원 분석 유닛(23)으로 전송되고, 소음 원 분석 유닛(23)에 의하여 발생원, 피해 대상의 노출 여부, 제거 여부 또는 이와 유사한 소음 또는 진동 발생 상태에 대한 분석이 될 수 있다. 소음 원 분석 유닛(23)에 의한 분석 결과가 능동 제거 음 생성 유닛(24)으로 전송될 수 있다. 능동 제거 음 생성 유닛(24)은 제거되어야 하는 소음 또는 진동을 결정할 수 있고, 음 발생기(25)로부터 제거 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능동 제거 음 생성 유닛(24)에 의하여 생성된 제거 음이 제거 음 출력 유닛(26)으로 전송될 수 있다. 제거 음 출력 유닛(26)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스피커와 같은 다수 개의 출력 수단(261)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출력 수단(26)은 방향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소음 제거 대상 탐지 유닛(27)에 의하여 진동 또는 소음에 노출되는 피해 대상의 위치가 탐지되어 능동 제거 음 출력 유닛(26)으로 전송될 수 있다. 능동 제거 음 출력 유닛(26)은 제거 음이 전송되어야 하는 출력 수단(261)을 결정하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후 제거 음은 스피커와 같은 출력 수단(261)를 통하여 정해진 방향으로 전송되어 표적(T)에 도달하여 소음을 제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음과 반대 위상을 가진 제거 음이 출력 수단(261)을 통하여 표적(T)으로 전송되어 소음이 제거될 수 있다. 또는 능동 제거 음이 발생원으로 송신되어 진동이 완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생되는 진동과 반대되는 위상은 가진 제거 음이 피해 대상 또는 진동 위치로 전송될 수 있다. 다양한 형태의 제거 음이 생성되어 피해 대상 또는 발생원으로 전송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 제거 시스템에서 소음이 제거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능동 제거 음 생성 모듈(14)에 의하여 발생된 소음과 반대되는 위상을 가진 가상 소음이 생성된다. 소음이 제거되는 과정은 소음 또는 진동이 탐지되는 단계(P11); 탐지된 소음 또는 진동의 소거를 위한 능동 음이 생성되어 변환되는 단계(P12); 소음의 형태 및 위치가 탐지되는 단계(P13); 발생된 소음이 도달되어 영향을 미치는 소음 피해 대상이 탐지되는 단계(P14); 생성된 능동 음이 다중 가상 소음 형태로 전송되는 단계(P15) 및 소음 원 및 소음 피해 대상이 추적되는 단계(P16)를 포함한다.
소음은 다양한 발생원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고, 발생원은 가청 주파수의 소리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소음의 생성시키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소음의 발생원은 이동성을 가지거나, 일정한 영역에서 발생될 수 있다. 다수 개의 탐지 센서에 의하여 다양한 위치 또는 방향에서 발생되는 소음 또는 진동이 탐지되어 소음 발생원 또는 진동 발생원이 탐지될 수 있다(P11). 다수 개의 탐지 센서에 의한 탐지에 의하여 각각의 소음 발생원 또는 진동 발생원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고, 소음 정보 또는 진동 정보가 능동 제거 음 생성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능동 제거 음 생성 장치는 탐지된 소음 또는 진동 발생원에 의한 소음에 대응되는 음파를 생성할 수 있고, 소음 발생원과 소음이 전달되는 피해 대상 사이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소음 발생원 또는 진동 발생원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동일한 진폭 및 반대되는 위상을 가진 음파로 변환할 수 있다(P12). 이와 같은 형태의 제거 음의 전송을 위하여 소음 형태 및 소음 위치가 분석될 수 있고, 또한 소음 발생원의 이동성 또는 소음 발생원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변화가 분석될 수 있다(P13). 이와 함께 소음 피해 대상이 탐지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소음이 발생된 공간의 내부에 위치하는 피해 대상이 있는지 여부가 탐지될 수 있다(P14). 예를 들어 초음파 센서, 레이저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와 같은 센서에 의하여 소음 발생 공간의 내부에 위치하는 사람이 탐지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발생된 소음의 반사율이 탐지되어 그에 대응되도록 제거 음이 전송되거나 또는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소음에 대한 반응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백색 잡음이 소음의 유입 방향으로 전송될 수 있고, 백색 잡음은 넓은 음폭을 가지면서 사람에게 영향을 주지 않는 다양한 형태의 음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음 피해 대상이 탐지되면(P14), 능동 음 생성 장치에 의하여 생성된 능동 음이 출력 수단을 통하여 건물로 전송될 수 있고, 출력 수단은 다중 가상 소음 전송 구조를 가질 수 있다(P15). 출력 수단은 건물의 외부 또는 건물의 내부와 같이 소음의 제거에 적합한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소음 탐지를 위한 수단 또는 능동 제거 음 생성 장치도 또한 동일하다. 다중 가상 소음 구조를 통하여 제거 음이 전송되어 소음이 제거될 수 있고(P15), 이와 같은 소음 탐지, 제거 음 생성 및 제거 음 전송에 의한 소음 제거는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소음 원 또는 소음 피해 대상이 추적될 수 있고, 소음 원의 상태 또는 소음 피해 대상의 상태에 따라 제거 음의 생성 및 전송이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다양한 음이 소음 제거 음과 함께 소음 피해 대상에게 전송되어 소음을 완화시킬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 제거 시스템이 적용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소음에 노출되는 보호 대상(421)이 위치하는 보호 공간(PS)의 내부 또는 외부에 소음 제거 시스템이 설치될 수 있지만, 소음 제거 시스템은 전체적으로 하나의 통합 장치의 형태로 또는 분리되어 서로 연결된 모듈 형태로 보호 공간(PS)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시된 실시 예에서 보호 공간(PS)의 외부에 소음 제거 시스템이 설치되어 보호 공간(PS)의 내부로 유입되는 소음이 제거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되지만 소음 제거 시스템은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마이크로폰과 같은 탐지 수단(482)에 의하여 소음 원(41)에서 발생되어 소음 공간(NS)으로 송신되는 소음이 탐지될 수 있다. 소음 공간(NS)으로 송신된 소음은 보호 공간(PS)에 위치하는 보호 대상(421)에게 도달되거나 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보호 대상(421)에 대한 도달 여부가 마이크로폰과 같은 대상 탐지 수단(481)에 .의하여 탐지되어 방향/형태 탐지 유닛(42)으로 전송될 수 있다. 대상 탐지 수단(481)은 다수 개가 될 수 있고, 방향/형태 탐지 유닛(42)은 보호 공간(PS)으로 유입되어 보호 대상(421)에게 도달할 수 있는 진동 또는 소음의 진폭, 주파수, 방향 또는 이와 유사한 소음 또는 진동을 탐지하여 소음 분석 유닛(43)으로 전송할 수 있다. 소음 분석 유닛(43)은 소음 또는 진동 형태를 분석하여 능동 제거 음이 발생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능동 제거 음의 진폭, 방향, 지속 시간 또는 능동 제거 음의 발생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발생된 능동 제거 음 발생 조건이 능동 제거 음 생성 유닛(44)으로 전송될 수 있고, 능동 제거 음 생성 유닛(44)에서 발생 조건에 따라 능동 제거 음이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능동 제거 음이 발생 방향 선택 유닛(45)으로 전송될 수 있고, 출력 조절 유닛(46)으로 전송되어 증폭이 되어 스피커와 같은 출력 수단(47)으로 전송될 수 있다. 발생된 소음과 반대되는 위상을 가진 소음 또는 소음의 완화를 위한 백색 잡음과 같은 제거 음이 스피커와 같은 출력 수단(47)을 통하여 보호 공간(PS)으로 전송될 수 있다. 소음과 제거 음이 합성된 전달 음이 마이크로폰과 같은 전달 탐지 수단(481)에 의하여 탐지되어 소음 분석 유닛(43)으로 전송될 수 있다. 전달 탐지 수단(481)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분석하여 소음 분석 유닛(43)은 제거 음의 위상, 진폭 또는 방향을 수정할 수 있다. 다양한 탐지 수단에 의하여 소음 또는 전달 음이 탐지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음원 탐지에 기초하는 능동 음 생성 방식의 층간 소음 제거 시스템은 능동 소음 제거(Active Noise Cancellation) 기술에 기초하여 다수 개의 감지 소자를 이용하여 매트릭스 구조로 소음 발생 부위를 계산하여 파악하는 것에 의하여 소음 발생원의 정확한 탐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거 시스템은 초음파, 레이저 또는 이와 유사한 탐지 수단에 의하여 소음이 도달하는 피해 대상을 위치를 산출하여 반대 위상을 가진 가상 소음(Virtual Sound)을 전송하여 소음을 제거하여 능동적으로 소음이 제거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음 제거 시스템은 집한 건물에서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소음 제거가 가능하면서 새로운 소음 발생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제거되도록 하면서 피해 대상을 추적하여 소음이 효율적으로 제거되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진송/소음 탐지 모듈 12: 위치/형태 탐지 모듈
13: 피해 대상 탐지 모듈 14: 능동 제거 음 생성 모듈
15: 제거 음파 송신 모듈 21_1 내지 21_N: 탐지 센서
22: 신호 프로세서 23: 소음 원 분석 유닛
24: 능동 제거 음 생성 유닛 26: 제거 음 출력 유닛
261: 출력 수단 421: 보호 대상

Claims (3)

  1. 천정 또는 위층에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소음의 발생원을 탐지하는 진동/소음 탐지 모듈(11);
    진동 또는 소음 발생의 위치 또는 형태를 탐지하는 발생원 위치/형태 탐지 모듈(12);
    소음 또는 진동에 의한 소음이 도달하는 피해 대상을 탐지하는 피해 대상 탐지 모듈(13);
    소음의 형태에 따라 그에 적합한 능동 제거 음을 생성하는 능동 제거 음 생성 모듈(14); 및
    능동 제거 음을 정해진 방향으로 송신하는 제거 음파 송신 모듈(15)을 포함하는 음원 탐지에 기초하는 능동 음 생성 방식의 층간 소음 제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거 음파 송신 모듈(15)은 송신 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다수 개의 출력 수단(261)을 포함하는 음원 탐지에 기초하는 능동 음 생성 방식의 층간 소음 제거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능동 제거 음파 생성 모듈(14)에 의하여 발생된 소음과 반대되는 위상을 가진 가상 소음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건물 외부 소음 제거 시스템.
KR1020200000442A 2020-01-02 2020-01-02 음원 탐지에 기초하는 능동 음 생성 방식의 층간 소음 제거 시스템 KR202100873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442A KR20210087324A (ko) 2020-01-02 2020-01-02 음원 탐지에 기초하는 능동 음 생성 방식의 층간 소음 제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442A KR20210087324A (ko) 2020-01-02 2020-01-02 음원 탐지에 기초하는 능동 음 생성 방식의 층간 소음 제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324A true KR20210087324A (ko) 2021-07-12

Family

ID=76859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442A KR20210087324A (ko) 2020-01-02 2020-01-02 음원 탐지에 기초하는 능동 음 생성 방식의 층간 소음 제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732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2402B1 (ko) 2017-06-19 2017-10-23 (주)리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층간소음방지시스템
KR101897106B1 (ko) 2018-04-11 2018-10-22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음 및 진동을 감쇠시키는 층간소음 방지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2402B1 (ko) 2017-06-19 2017-10-23 (주)리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층간소음방지시스템
KR101897106B1 (ko) 2018-04-11 2018-10-22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음 및 진동을 감쇠시키는 층간소음 방지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87329A (ko) 능동형 도로 및 거리 소음 제거 시스템
Fletcher et al. Public exposure to ultrasound and very high-frequency sound in air
US201600932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e noise cancellation within an enclosed space
RU2007139146A (ru) Система активного шумоподавления и ее применение
WO2001034264A8 (en) Acoustic location system
US2022013041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multi-directional bark deterrence
JP4285492B2 (ja) 信号処理装置
Ducourneau et al. Measurement of sound absorption coefficients of flat surfaces in a workshop
KR20210087324A (ko) 음원 탐지에 기초하는 능동 음 생성 방식의 층간 소음 제거 시스템
US745377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noise for moveable target
JP7166062B2 (ja) 騒音低減方法および騒音低減装置
KR20210087305A (ko) 능동형 건물 외부 소음 제거 시스템
Paxton et al. Measurements of ultrasound from public address and voice alarm systems in public places
KR101194765B1 (ko) 주파수 상쇄를 이용한 도로 소음저감 장치 및 방법
JP2002228643A (ja) 防音性能測定方法及び測定装置
JP2014055783A (ja) 動作音検出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JP2013044796A (ja) 定在波騒音低減方法
JPH0782347B2 (ja) 能動制御型防音装置
JP3802438B2 (ja) 能動消音装置
JP2022547115A (ja) 超音波センサシステム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によるノイズ補償
JP2005003777A (ja) 吸音システム
KR102667011B1 (ko) 진동자를 이용한 부착형 층간소음 감소 시스템 및 감소방법
JP2011215842A (ja) 警備装置および警備方法
KR102565269B1 (ko)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JP4057257B2 (ja) 車両等の検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