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6825A - 차량용 obc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obc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6825A
KR20210086825A KR1020190178682A KR20190178682A KR20210086825A KR 20210086825 A KR20210086825 A KR 20210086825A KR 1020190178682 A KR1020190178682 A KR 1020190178682A KR 20190178682 A KR20190178682 A KR 20190178682A KR 20210086825 A KR20210086825 A KR 20210086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period
pwm
resonanc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6555B1 (ko
Inventor
임동휘
김교민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8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555B1/ko
Publication of KR20210086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6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B60L53/24Using the vehicle's propulsion converter for 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10DC to D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30AC to D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2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OBC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 AC 전원으로부터 입력받은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역률보상 컨버터; 상기 역률보상 컨버터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력을 전달받는 제 1 스위칭 회로부와, 상기 제 1 스위칭 회로부와 연결된 LLC 공진 탱크를 포함하여, 상기 역률 보상 컨버터로부터의 직류 전력을 전력 변환하여 고전압 배터리로 전달하는 DC-DC 컨버터; 및 상기 역률보상 컨버터를 제어하는 PFC 제어부와 상기 제 1 스위칭 회로부를 제어하는 공진 제어부를 포함하는 충전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진 제어부는, 상기 제 1 스위칭 회로부의 스위치의 스위칭을 PWM 제어하는 PWM 주기와, 상기 PWM 제어를 위한 연산을 수행하는 제어 주기를 동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OBC 충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OBC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VEHICULAR ON BOARD CHARGER CHARGING SYSTM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OBC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차량의 고전압 배터리 충전을 위하여 구비되는 OBC(On Board Charger)의 효과적인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차량용 OBC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환경 및 에너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전기 자동차 등의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 EV)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 PHEV)는 고전압 배터리를 구비하고, 고전압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차량탑재형 충전기인 OBC(On Board Charger)를 구비한다.
OBC는 메인 배터리인 고전압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OBC는 PFC(Power Factor Correction), LLC 컨버터를 포함한다. LLC 컨버터는 일반적으로 공진 인덕턴스 Lr, 자화 인덕턴스 Lm, 공진 커패시턴스 Cr로 구성된 공진회로(공진탱크)를 가지는데, 이 공진탱크가 공진주파수(fo)에서 동작할 때(즉, 출력 이득이 1일 때) LLC 컨버터의 효율이 가장 좋다. LLC 컨버터의 출력 이득은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변동되므로 통상적으로 출력 이득이 1이 되는 스위칭 주파수로 고정하여 사용한다.
그런데, 가변 주파수 제어 방식을 적용하는 LLC 컨버터의 경우에는 제어할 출력 전압의 크기에 따라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시켜 제어한다. 그러나, 스위칭 주파수가 가변되는 경우, 스위칭 효율은 증가될 수 있으나 제어가 불안정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69206호 (2018.06.25.)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변 주파수 제어 방식의 LLC 컨버터를 사용하는 차량의 OBC 충전 시스템에서, 안정적인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차량용 OBC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부 AC 전원으로부터 입력받은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역률보상 컨버터; 상기 역률보상 컨버터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력을 전달받는 제 1 스위칭 회로부와, 상기 제 1 스위칭 회로부와 연결된 LLC 공진 탱크를 포함하여, 상기 역률 보상 컨버터로부터의 직류 전력을 전력 변환하여 고전압 배터리로 전달하는 DC-DC 컨버터; 및 상기 역률보상 컨버터를 제어하는 PFC 제어부와 상기 제 1 스위칭 회로부를 제어하는 공진 제어부를 포함하는 충전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진 제어부는, 상기 제 1 스위칭 회로부의 스위치의 스위칭을 PWM 제어하는 PWM 주기와, 상기 PWM 제어를 위한 연산을 수행하는 제어 주기를 동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OBC 충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진 제어부는, 상기 제어 주기에 따라 제어 연산을 위한 전류 또는 전압을 센싱하는 ADC 센싱 주기가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진 제어부는, 상기 제어 주기에 대한 상기 PWM 주기의 비율인 제어율을 고려하여 상기 PWM 주기와 상기 제어 주기를 동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율이 1인 경우, 상기 제어 주기에서의 제어 연산 결과는, 다음 번 제어 주기의 PWM 제어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율이 2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 주기에서의 제어 연산 결과는 다음 번 제어 주기에서의 첫번째 PWM 제어부터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주기는, 상기 공진 제어부의 부하율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주기는 상기 공진 제어부에서 가능한 제어 연산의 가장 짧은 주기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역률보상 컨버터; 제 1 스위칭 회로부와 LLC 공진 탱크를 포함하는 DC-DC 컨버터; 및 상기 제 1 스위칭 회로부를 제어하는 공진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OBC 충전 시스템의 충전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공진 제어부의 상기 제 1 스위칭 회로부의 스위칭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 연산을 위한 제어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제어 주기를 상기 스위칭 제어를 위한 PWM 주기와 비교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 주기와 상기 PWM 주기의 비율인 제어율을 결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어율에 따라 상기 스위칭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충전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공진 제어부의 부하율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어율의 종전 값을 상기 PWM 주기와 곱한 값과 상기 제어 주기를 비교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d) 단계는, 상기 제어율이 1인 경우, 상기 제어 주기에서의 제어 연산 결과는, 다음 번 제어 주기의 PWM 제어에 적용되도록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d) 단계는, 상기 제어율이 2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 주기에서의 제어 연산 결과는 다음 번 제어 주기에서의 첫번째 PWM 제어부터 적용되도록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변 주파수 제어 방식의 LLC 컨버터를 사용하는 차량의 OBC 충전 시스템에서 안정적인 제어를 가능하게 하며, THD(Total Harmonic Distortion)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OBC 충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의 차량용 OBC 충전 시스템의 충전 제어 방식의 일례(제 1 제어 방식)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서의 차량용 OBC 충전 시스템의 충전 제어 방식의 다른 예(제 2 제어 방식)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OBC 충전 시스템의 충전 제어 방식의 일례(제 3 제어 방식)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OBC 충전 시스템의 충전 제어 방식을 부하에 따라 적용한 THD 특성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OBC 충전 시스템의 충전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OBC 충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차량용 OBC 충전 시스템(10)은 외부 AC 전원(1)으로부터 입력받은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역률보상 컨버터(20)(Power Factor Correction Converter, 이하 'PFC 컨버터'라 함)와, 역률 보상 컨버터(20)로부터의 직류 전력을 전력 변환하여 고전압 배터리(2)로 전달하는 DC-DC 컨버터(30)와, PFC 컨버터(20) 및 DC-DC 컨버터(30)를 제어하는 충전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PFC 컨버터(2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교류전원의 무효전력을 감소시키고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 1의 예시에서는 외부 AC 전원(1)을 3상 전원으로 나타내고 PFC 컨버터(20)는 3상 전원으로부터 전달받은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것으로 나타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외부 AC 전원(1)은 통상적인 교류 전원일 수 있고, PFC 컨버터(20)도 2상의 교류 전원으로부터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DC-DC 컨버터(30)는 PFC 컨버터(20)로부터의 직류 전력을 전력 변환하여 고전압 배터리(2)로 전달한다. 도 1에서는 DC-DC 컨버터(30)는 양방향으로 구현되어 양방향으로의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형태를 예시하였다. 도 1과 같이 양방향으로 구현된 DC-DC 컨버터(30)의 경우에는 방향에 따라 벅 모드(buck mode)와 부스트 모드(boost mode)로 기능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DC-DC 컨버터(30)는 LLC 컨버터와 출력 브리지(예를 들면, 다이오드를 이용한 풀-브리지 또는 하프-브리지 형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어떠한 경우이든,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식으로 스위칭 제어를 하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DC-DC 컨버터(30)는, 제 1 스위칭 회로부(40), 상기 제 1 스위칭 회로부(40)에 연결되는 공진탱크로서의 CLLC 공진탱크(CLLC Resonant Tank)(50) 및 CLLC 공진탱크(50)와 연결된 제 2 스위칭 회로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전압 배터리(2)의 충전시에, 제 1 스위칭 회로부(40)는 PFC 컨버터(20)와 직렬로 연결되어 PFC 컨버터(20)의 출력 전압을 인가받고, 제1 스위칭 회로부(40)의 출력은 CLLC 공진탱크(50)로 전달되어 변압된 후 제 2 스위칭 회로부(60)로 전달되며, 제 2 스위칭 회로부(60)의 출력은 고전압 배터리(2)로 전달된다.
고전압 배터리(2)의 방전시에는 고전압 배터리(2)의 전력이 제 2 스위칭 회로부(60)와 CLLC 공진탱크(50)를 거쳐 제 1 스위칭 회로부(40)로 전달된다.
도 1의 예시에서, 제 1 스위칭 회로부(40)는 4개의 스위치(Q1, Q2, Q3, Q4)를 구비하고, 4개의 스위치(Q1, Q2, Q3, Q4)의 온/오프 제어에 따라 스위칭될 수 있다. 또한, 제 2 스위칭 회로부(60)는 4개의 스위치(M1, M2, M3, M4)를 구비하고, 스위치(M1, M2, M3, M4)도 온/오프 제어에 따라 스위칭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제 1 스위칭 회로부(40)와 제 2 스위칭 회로부(60)의 스위치의 개수 및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풀-브리지 형태가 아니라 하프-브리지 형태로 스위치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제 1 스위칭 회로부(40)와 제 2 스위칭 회로부(60)는 입력받은 직류 전력을 스위칭하여 출력 전압 또는 출력 전류의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스위칭 회로부(40)와 제 2 스위칭 회로부(60)의 스위칭 주파수는 가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DC-DC 컨버터(30)를 단방향으로만 구성하는 경우, 제 1 스위칭 회로부(40)는 LLC 회로 형태로 구성되고, 제 2 스위칭 회로부(40)는 다이오드를 이용한 출력 브리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충전 제어부(100)는 PFC 제어부(110)와, 공진 제어부(120, 130)를 포함할 수 있다.
PFC 제어부(110)는 PFC 컨버터(20)의 작동을 제어한다. PFC 제어부(110)는 PFC 컨버터(20)로 입력되는 전압과 PFC 컨버터(20)의 출력 전압을 센싱하여 PFC 컨버터(20)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듀티를 출력할 수 있다.
공진 제어부(120, 130)는 제 1 스위칭 회로부(40)를 제어하는 제 1 공진 제어부(120)와, 제 2 스위칭 회로부(60)를 제어하는 제 2 공진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제 2 스위칭 회로부(60) 대신 다이오드를 이용한 출력 브리지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제 2 공진 제어부(130)는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AC 전원(1)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고전압 배터리(2)의 충전을 수행하는 경우, 제 1 공진 제어부(120)는 제 1 스위칭 회로부(40)를 제어하고, 이 경우 제 2 공진 제어부(130)에 의한 제 2 스위칭 회로부(60)의 스위치들(M1, M2, M3, M4)의 제어는 별도로 수행되지 않거나 제 1 스위칭 회로부(40)와 함께 제 2 스위칭 회로부(60)도 함께 제어될 수 있다.
역으로, 고전압 배터리(2)를 방전시키는 경우에는, 제 2 공진 제어부(130)는 제 2 스위칭 회로부(60)를 제어하고, 이 경우 제 1 스위칭 제어부(120)에 의한 제 1 스위칭 회로부(40)의 스위치들(Q1, Q2, Q3, Q4)의 제어는 별도로 수행되지 않거나 제 2 스위칭 회로부(60)와 함께 제 1 스위칭 회로부(40)도 함께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공진 제어부(120, 130)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으로 스위칭 회로부(40, 60)를 제어할 수 있고, PWM 주기(PWM 스위칭 주파수)는 가변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PWM 주기"는 스위칭 회로부(40, 60)의 스위치들(Q1, Q2, Q3, Q4 또는 M1, M2, M3, M4)을 PWM 방식으로 제어하는 주기를 의미한다.
공진 제어부(120, 130)의 제어를 위하여, DC-DC 컨버터(30)로 입력되는 전압과 전류, DC-DC 컨버터(30)의 출력 전압과 전류가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은 센서 구성에 의해 센싱될 수 있다.
공진 제어부(120, 130)는 DC-DC 컨버터(30)의 입력 전압/전류에 기초하여 출력 전압/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연산을 소정 주기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공진 제어부(120, 130)의 제어 모드는 고전압 배터리(2)의 전압에 따라 선택될 수 있고, 제어 모드는 출력되는 전류를 일정하게(일정 전류), 전압을 일정하게(일정 전압) 또는 전력을 일정하게(일정 전력) 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차량용 OBC 충전 시스템(10)에서의 충전 제어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의 차량용 OBC 충전 시스템의 충전 제어 방식의 일례(제 1 제어 방식)를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의 차량용 OBC 충전 시스템의 충전 제어 방식의 다른 예(제 2 제어 방식)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여 제 1 제어 방식을 설명한다. 공진 제어부(120, 130)는 센싱된 DC-DC 컨버터(3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전압과 전류를 ADC(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통해 입력받고, 이에 따라 PWM 제어를 위한 데이터 세트(Data set)를 생성한다.
공진 제어부(120, 130)의 제어 연산은 제어 주기(D1)에 따라 수행되고, 다음 번 제어 주기(D1)에서 PWM 제어를 위한 데이터 세트를 산출한다. 도 2에 있어서는 전류/전압의 센싱을 위한 ADC 센싱 주기(C1)도 일정하고, ADC 센싱 주기(C1)는 제어 주기(D1)와 동일하다. 즉, 공진 제어부(120, 130)의 제어 연산은 고정된 주기에 따라 이루어지고, PWM 주기(PWM 스위칭 주파수)와 무관하게 CPU 부하율을 고려한 최대 가능한 짧은 주기로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즉, PWM 주기가 A1에서 B1으로 변경되는 경우에도, 제어 주기는 D1으로 유지된다. 이 경우, 공진 제어부(120, 130)의 제어 연산이 PWM 주기와 동기(Sync)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도 2에서, m번째 제어 연산은 n번째 PWM 제어시에 수행되는데, m번째 제어 연산에 따른 Data set은 n+1번째 PWM 제어에 대해 적용되지 못하고, n+2번째 PWM 제어에 대해 적용됨에 따라 제어 연산과 PWM 제어가 동기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는 공진 제어부(120, 130)의 제어 연산은 고정된 주기에 따라 이루어지고, PWM 주기(PWM 스위칭 주파수)와 무관하게 CPU 부하율을 고려한 최대 가능 주기로 제어가 수행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에 따라, 공진 제어부(120, 130)의 제어 연산이 동일한 주기로 이루어지는 경우, PWM 주기와 다르게 되면, 전고조파 왜곡(Total Harmonic Distortion : THD) 특성이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제 2 제어 방식을 설명한다.
공진 제어부(120, 130)는 센싱된 DC-DC 컨버터(3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전압과 전류를 ADC(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통해 입력받고, 이에 따라 PWM 제어를 위한 데이터 세트(Data set)를 생성한다.
전류 전압 센싱을 위한 ADC 센싱 주기(C2)와 공진 제어부(120, 130)의 제어 연산을 위한 제어 주기(D2)는 서로 같으며, ADC 센싱 주기(C2)와 제어 주기(D2)는 PWM 주기(A2)에 따라 변동된다. 즉, 일정 회수의 PWM 주기(A2) 마다 1회씩 ADC 센싱과 공진 제어부(120, 130)의 제어 연산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PWM 주기가 A2에서 B2에서 가변되는 경우, ADC 센싱 주기(C2)와 제어 주기(D2)는 ADC 센싱 주기(C2')와 제어 주기(D2')로 변경될 수 있다.
그런데, 제 2 제어 방식의 경우, 도 3의 PWM 주기(A2)의 경우와 같이 스위칭 주기가 짧은 경우에는 PWM 제어와 제어 연산이 동기되므로 THD 특성은 좋을 수 있으나, PWM 주기(B2)와 같이 스위칭 주기가 긴 경우에는 제어 연산의 주기가 길어짐에 따라 THD 특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OBC 충전 시스템의 충전 제어 방식의 일례(제 3 제어 방식)를 나타낸다.
공진 제어부(120, 130)는 센싱된 DC-DC 컨버터(3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전압과 전류를 ADC(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통해 입력받고, 이에 따라 PWM 제어를 위한 데이터 세트(Data set)를 생성한다. 공진 제어부(120, 13)는 PWM 제어시의 제어 주기(스위칭 주파수)는 가변된다.
PWM 제어를 위한 제어 연산은, PWM 제어 주기를 고려하여 가변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PWM 주기(A3)가 짧은 고속 스위칭 구간에서는 일정 횟수의 PWM 주기(A3)에 대응하여 제어 연산을 수행한다. PWM 주기(B3)가 긴 저속 스위칭 구간에서는 제어 연산 주기를 PWM 주기(B3)에 대응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PWM 주기(A3)에서의 ADC 센싱 주기(C3)와 제어 연산을 위한 제어 주기(D3)는 동일하고, PWM 주기(B3)에서의 ADC 센싱 주기(C3')와 제어 연산을 위한 제어 주기(D3')는 동일할 수 있다.
시스템에서 가능한 제어 연산의 가장 짧은 주기가 T_min라 할 때, PWM 주기(B3)가 T_min 이상인 경우에는, 제어 주기(D3')는 PWM 주기(B3)와 동일하게 유지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m번째 제어 연산은 n번째 PWM 제어시에 수행되고, n+1번째 PWM 제어를 위한 Data set을 n+1번째 PWM 제어 전에 전달한다.
PWM 주기(B3)가 T_min보다 짧아지는 경우, 예를 들면, 도 4와 같이 PWM 제어 주기가 PWM 주기(A3)인 경우에는, 제어 연산은 복수의 PWM 제어마다 1회씩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_min)/2 < PMW 주기(A3)< T_min」인 경우, 2회의 PWM 제어마다 제어 연산은 1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T_min)/3 < PMW 주기(A3)< (T_min)/2」인 경우, 3회의 PWM 제어마다 제어 연산은 1회 수행될 수 있다.
공진 제어부(120, 130)는, 제어 연산을 위한 제어 주기와, 스위칭 회로부(40, 60)의 PWM 제어를 위한 주기인 PWM 주기 사이의 관계를 고려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율(Control_rate)을 스위칭 회로(40, 60)의 스위칭 제어를 위한 제어 연산 주기와 PWM 주기의 비율로 정의할 수 있다. 도 4에 있어서, PMW 주기(A3)에서의 제어율(N)은 3이고, PWM 주기(B3)에서의 제어율(N)은 1이다. 공진 제어부(120, 130)는, 제어 연산에 소모되는 시스템 부하를 고려하여 제어 연산을 위한 제어 주기를 조정하고, 제어 연산 결과가 다음번 제어 주기 시작 전에 스위칭 회로(40, 60)의 제어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어 연산을 위한 제어 주기와 스위칭 회로의 PMW 제어가 이루어지는 PWM 주기를 동기화시킬 수 있다.
도 4와 같은 경우, 모든 제어 구간에서 전고조파 왜곡(Total Harmonic Distortion : THD) 특성이 우수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OBC 충전 시스템의 충전 제어 방식을 부하에 따라 적용한 THD 특성 결과를 나타낸다.
가장 바람직한 결과로서, 제 3 제어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부하의 변동에도 불구하고 대체적으로 양호한 THD 특성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OBC 충전 시스템의 충전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차량용 OBC 충전 시스템의 충전 제어 방법으로서, 공진 제어부(120)에 대한 제어를 중점으로 설명한다.
공진 제어부(120, 130)는 제어 로직을 통한 제어 연산에 따른 CPU 부하율을 측정한다(S10). 또한, S10 단계에서, 부하율을 고려한 최대 가능한 제어 주기를 산출한다(S10). 여기서, 최대 가능한 제어 주기는 현재의 부하율에서 가장 짧은 제어 주기일 수 있다.
현재 부하율에 따른 제어 연산의 최대 가능 제어 주기를 PMW 주기(스위칭 주기)와 비교한다(S20). S20 단계에서, 제어율(N)을 PWM 주기와 곱하여 현재 부하율에 따른 제어 연산의 최대 가능 제어 주기가, 'PWM 주기(스위칭 주기)*N'보다 작고 'PWM 주기(스위칭 주기)*(N-1)' 이상이면, 제어율(N)을 유지한다(S40).
S20 단계의 판단이 No이면, 현재 부하율에 따른 제어 연산의 최대 가능 제어 주기가 'PWM 주기(스위칭 주기)*N' 이상인지를 판단하고(S30), 그 이상이면, 제어율(N)을 증가시키고(S50), 그 이상이 아니면 제어율(N)을 감소시킨다(S60). 즉, 제어 연산의 최대 가능 제어 주기를 고려하여, 한 번의 제어 주기에 몇 번의 PWM 제어를 수행할 지를 결정한다.
S40, S50, S60 단계에서 산출된 제어율에 따라 제어 결과 업데이트 시점을 변경한다(S70). 제어 결과 업데이트 시점은, 제어율을 고려한 제어 주기 내의 마지막 PWM 주기 다음의 제어 주기 내에서의 첫번째 PWM 주기가 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차량용 OBC 충전 시스템
20 : 역률보상 컨버터
30 : DC-DC 컨버터
40 : 제 1 스위칭 회로부
50 : CLLC 공진탱크
60 : 제 2 스위칭 회로부
100 : 충전 제어부
110 : PFC 제어부
120 : 제 1 공진 제어부
130 : 제 2 공진 제어부

Claims (12)

  1. 외부 AC 전원으로부터 입력받은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역률보상 컨버터;
    상기 역률보상 컨버터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력을 전달받는 제 1 스위칭 회로부와, 상기 제 1 스위칭 회로부와 연결된 LLC 공진 탱크를 포함하여, 상기 역률 보상 컨버터로부터의 직류 전력을 전력 변환하여 고전압 배터리로 전달하는 DC-DC 컨버터; 및
    상기 역률보상 컨버터를 제어하는 PFC 제어부와 상기 제 1 스위칭 회로부를 제어하는 공진 제어부를 포함하는 충전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진 제어부는, 상기 제 1 스위칭 회로부의 스위치의 스위칭을 PWM 제어하는 PWM 주기와, 상기 PWM 제어를 위한 연산을 수행하는 제어 주기를 동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OBC 충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제어부는, 상기 제어 주기에 따라 제어 연산을 위한 전류 또는 전압을 센싱하는 ADC 센싱 주기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OBC 충전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제어부는, 상기 제어 주기에 대한 상기 PWM 주기의 비율인 제어율을 고려하여 상기 PWM 주기와 상기 제어 주기를 동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OBC 충전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율이 1인 경우,
    상기 제어 주기에서의 제어 연산 결과는, 다음 번 제어 주기의 PWM 제어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OBC 충전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율이 2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 주기에서의 제어 연산 결과는 다음 번 제어 주기에서의 첫번째 PWM 제어부터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OBC 충전 시스템.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주기는, 상기 공진 제어부의 부하율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OBC 충전 시스템.
  7.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주기는 상기 공진 제어부에서 가능한 제어 연산의 가장 짧은 주기를 기준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OBC 충전 시스템.
  8. 역률보상 컨버터; 제 1 스위칭 회로부와 LLC 공진 탱크를 포함하는 DC-DC 컨버터; 및 상기 제 1 스위칭 회로부를 제어하는 공진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OBC 충전 시스템의 충전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공진 제어부의 상기 제 1 스위칭 회로부의 스위칭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 연산을 위한 제어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제어 주기를 상기 스위칭 제어를 위한 PWM 주기와 비교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 주기와 상기 PWM 주기의 비율인 제어율을 결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어율에 따라 상기 스위칭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충전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공진 제어부의 부하율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제어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어율의 종전 값을 상기 PWM 주기와 곱한 값과 상기 제어 주기를 비교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제어 방법.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제어율이 1인 경우, 상기 제어 주기에서의 제어 연산 결과는, 다음 번 제어 주기의 PWM 제어에 적용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제어 방법.
  12.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제어율이 2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 주기에서의 제어 연산 결과는 다음 번 제어 주기에서의 첫번째 PWM 제어부터 적용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제어 방법.
KR1020190178682A 2019-12-30 2019-12-30 차량용 obc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336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682A KR102336555B1 (ko) 2019-12-30 2019-12-30 차량용 obc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682A KR102336555B1 (ko) 2019-12-30 2019-12-30 차량용 obc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6825A true KR20210086825A (ko) 2021-07-09
KR102336555B1 KR102336555B1 (ko) 2021-12-07

Family

ID=76864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682A KR102336555B1 (ko) 2019-12-30 2019-12-30 차량용 obc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65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1935B1 (ko) * 2022-12-02 2023-11-14 (주)동락포스 500KHz 스위칭 DC-DC 컨버터를 적용한 전기차용 콤팩트 충전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8216A (ja) * 2008-04-24 2009-11-12 Honda Motor Co Ltd Dc/dcコンバータ装置の動作制御方法
JP2010161862A (ja) * 2009-01-07 2010-07-22 Omron Corp デジタル制御方式の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及び当該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としてコンピュータを機能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KR101866095B1 (ko) * 2016-12-09 2018-06-11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wm 스위칭 주파수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80069206A (ko) 2016-12-14 2018-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obc의 충전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20190001625A (ko) * 2017-06-26 2019-0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obc 제어시스템 및 방법
JP2019193379A (ja) * 2018-04-20 2019-10-31 株式会社京三製作所 Dc/dcコンバータ、及びdc/dcコンバータ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8216A (ja) * 2008-04-24 2009-11-12 Honda Motor Co Ltd Dc/dcコンバータ装置の動作制御方法
JP2010161862A (ja) * 2009-01-07 2010-07-22 Omron Corp デジタル制御方式の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及び当該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としてコンピュータを機能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KR101866095B1 (ko) * 2016-12-09 2018-06-11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wm 스위칭 주파수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80069206A (ko) 2016-12-14 2018-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obc의 충전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20190001625A (ko) * 2017-06-26 2019-0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obc 제어시스템 및 방법
JP2019193379A (ja) * 2018-04-20 2019-10-31 株式会社京三製作所 Dc/dcコンバータ、及びdc/dcコンバータの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1935B1 (ko) * 2022-12-02 2023-11-14 (주)동락포스 500KHz 스위칭 DC-DC 컨버터를 적용한 전기차용 콤팩트 충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6555B1 (ko)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7919B2 (en) Electric power conversion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8547073B2 (en) Output side capacitor voltage balancing DC power supply system
KR102518248B1 (ko) 차량 탑재형 충전 시스템
CN104254896B (zh) 磁性构件、电力变换器及供电系统
JP6771156B2 (ja) 電力変換装置
WO2012030959A2 (en) Switching method for switched-mode power converters employing a bridge topology
US20120086418A1 (en) Multi-phase switching regulator and driver circu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MX2011009361A (es) Cargador de bateria que utiliza circuito convertidor continuo doble por dezplazamiento de fase.
JP7023986B2 (ja) 電力変換装置
US20160118904A1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Ramos-Paja et al. Sliding-mode control of a CuK converter for voltage regulation of a dc-bus
KR102336555B1 (ko) 차량용 obc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8817490B2 (en) DC-DC converter
JP4896044B2 (ja) 電力変換装置
WO2019116722A1 (ja) 電力変換装置
US11292355B2 (en) Battery charging method and system for on-board charger
US20110316497A1 (en) Method for closed-loop control of a dc-dc voltage converter comprising a plurality of interlaced cells operating in zero-voltage switching mode
JP6283888B2 (ja) Dc−dcコンバータ
JP6354503B2 (ja) 電力変換システム
US7952338B2 (en) Boost DC/DC converter
Zhao et al. The current sharing strategy of three-phase series capacitor boost converter based on charge-balance method
KR101937013B1 (ko) 역률 개선 컨버터
EP3220525B1 (en) Converter device and method to operate said converter device
JP2019097273A (ja) 電力変換装置
KR101487138B1 (ko) Dc-dc 컨버터 및 이에 포함되는 램프 발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