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5762A - Elevator Device - Google Patents

Elevato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5762A
KR20210085762A KR1020190179176A KR20190179176A KR20210085762A KR 20210085762 A KR20210085762 A KR 20210085762A KR 1020190179176 A KR1020190179176 A KR 1020190179176A KR 20190179176 A KR20190179176 A KR 20190179176A KR 20210085762 A KR20210085762 A KR 20210085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lot
vehicle elevator
elevat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91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05211B1 (en
Inventor
정성인
유종희
이경택
고영주
김명진
Original Assignee
정성인
김명진
고영주
유종희
이경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인, 김명진, 고영주, 유종희, 이경택 filed Critical 정성인
Priority to KR1020190179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211B1/en
Publication of KR20210085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762A/en
Priority to KR1020210122563A priority patent/KR102416326B1/en
Priority to KR1020210122561A priority patent/KR102447754B1/en
Priority to KR1020210122562A priority patent/KR10244786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211B1/en
Priority to KR1020220119193A priority patent/KR1026685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movable platform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palet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04H6/422Automatically operated car-pa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elevator device for a collective building.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vehicle elevator device for vertical parking of an individual household in a collective building, wherein a parking space is provided as a common space next to an individual dedicated space of the collective building, and a vehicle is moved to be parked in the parking space.

Description

집합건물 개별 세대 수직 주차용 차량 엘리베이터 장치 {Elevator Device}Vehicle Elevator Device for Vertical Parking of Individual Households in a Complex Building {Elevator Device}

본 발명은 집합건물용 차량 엘이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게하게는 집합 건물의 개별 전용 공간 옆에 공용 공간으로 주차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주차 공간에 자동차를 이동시켜 주차할 수 있는 집합건물 개별 세대 수직 주차용 차량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elevator device for an assembly building, and more specifically, a parking space is provided as a common space next to an individual dedicated space of an assembly building, and an individual assembly building that can move and park a car in the parking space It relates to a vehicle elevator device for household vertical parking.

종래의 집합건물은 공용 공간으로서 주자창을 지상 또는 지하에 배치하고, 특히 쾌적한 환경을 위한 설계로 인해 보차의 완전한 분리를 위해 주자창은 지하에 배치되는 추세에 있다.In a conventional assembly building, the main window is disposed on the ground or underground as a common space, and in particular, the main window is placed underground for complete separation of the car due to the design for a comfortable environment.

따라서, 주차장은 공용 공간으로 지하의 공간에 배치되고 입주자가 주차 공간을 공동으로 이용하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공용 공간을 입주자가 같이 이용하게 되므로 주차 위치가 일정하지 않으며, 주차하는 과정에서 접촉사고, 문콕 사고 등 분쟁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가 있다.Therefore, the parking lot is placed in the underground space as a common space and is used in a way that the tenants use the parking space jointly, and since the tenants use the common space together, the parking location is not constant. There are issues that are prone to disputes, such as accidents.

또한, 주차장기준이 점점 강화되어 세대당 주차대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주차 필요 면적은 주차 1대당 33㎡의 바닥 면적을 필요로 하므로 증가되는 주차 대수를 지하 공간만으로 수용하기에는 공간 및 시공상의 제약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as the parking lot standard is gradually tightened, the number of parking spaces per household is increasing, and the required parking area requires a floor area of 33 m2 per parking lot, so space and construction are limited to accommodate the increasing number of parking spaces only in the underground space. there is

그리고 주차장이 공용 공간이므로 주차 후 각 입주 공간으로 이동하기 위한 동선이 길어지고, 도난 및 납치와 같은 강력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arking lot is a public spa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ovement line to move to each occupancy space after parking is long, and violent accidents such as theft and kidnapping occur frequently.

또한, 향후 미래의 자동차는 주거의 일부분으로 인식 될 소지가 있으며, 전기차의 경우 특히 세대별 충전 시스템이 필요하므로 입주자 전용 공간에 개별 주차 공간을 할당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In addition, future cars are likely to be recognized as part of a dwelling, and in the case of electric vehicles, in particular, a charging system for each generation is required, so there is a growing need to allocate individual parking spaces to occupants-only spaces.

도 1은 종래의 주차시스템을 갖는 공동주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1 schematically shows an apartment house having a conventional parking system.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주차시스템을 갖는 공동주택(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028236호)은 자동차 엘리베이터와 각 층마다 자동차 주차공간인 주차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를 통해 각 층으로 이동되며 자동차를 내려 주차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 a conventional apartment house having a parking system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3-0028236) includes a car elevator and a parking space unit that is a car parking space on each floor, and is accessed to each floor through the elevator. It is movable and consists of a structure that can lower the car and park it.

그러나, 종래의 주차시스템을 갖는 공동주택은 엘리베이터와 주차공간부가 세장형으로 구성되고, 입주자용 엘리베이터 공간을 고려할 경우 엘리베이터 모듈 공간이 세로로 길어지기 때문에 전용 공간의 평면 설계 및 향에 큰 제약이 따르고, 소형 평수의 경우 적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However, in the apartment house having the conventional parking system, the elevator and the parking space part are elongated, and when the elevator space for occupants is considered, the elevator module space is lengthened vertically, so there is a big restriction on the plan design and orientation of the dedicated space. ,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difficult to apply in the case of small squares.

또한,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후 운전자가 각 층에 도착하여 전진 이동하여 주차하여야 하고, 외부로 이동시 엘리베이터에 후진 이동하여 탑승하여야 하므로 운전이 미숙한 운전자의 경우 자동차 엘리베이터 이용이 어려울 수 있으며, 실내에서 이동이 필요하므로 매연에 의한 환기 설비가 필수적으로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 In addition, after boarding the elevator, the driver must arrive at each floor, move forward to park, and when moving outside, the elevator must move backwards to board, so it may be difficult for inexperienced drivers to use the car elevator and move indoors. Since this is necessary, there was a problem that ventilation equipment by soot was essential.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집합 건물의 개별 전용 공간 옆에 공용 공간으로 주차 공간과 차량 엘리베이터를 구비하되, 상기 주차 공간과 차량 엘리베이터를 수평하게 배치하고, 상기 차량 엘리베이터를 통해 자동차를 횡방햐으로 이동시켜 주차할 수 있는 집합건물 개별 세대 수직 주차용 차량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king space and a vehicle elevator as a common space next to an individual dedicated space in an assembly building, and horizontally arranging the parking space and the vehicle elevator, and the vehicle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vehicle elevator device for vertical parking of individual households in a collective building that can be parked by moving cars horizontally through an elevato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집합건물 개별 세대 수직 주차용 차량 엘리베이터 장치는 자동차가 입차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층으로 이동하거나 특정 층의 전용 주차장에 주차된 자동차를 출차시키는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과; 상기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의 우측 또는 좌측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인접한 개별 전용공간에 부속된 전용 주차장과; 상기 전용 주차장과 차량 엘리베이터 내부 사이에 자동차를 횡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는 슬라이딩 이동수단과; 상기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과 슬라이딩 이동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vehicle elevator device for vertical parking of individual households in an assembly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hicle elevator unit that moves to a floor desired by a driver or takes out a vehicle parked in a dedicated parking lot on a specific floor, and ; a dedicated parking lot attached to an individual dedicated space adjacent to at least one of the right side or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elevator unit; a sliding movement means for horizontally moving the vehicle in the lateral direction between the dedicated parking lot and the inside of the vehicle elevato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elevator unit and the sliding means.

상기 슬라이딩 이동수단은 차량 엘리베이터에 입차 또는 출차하는 자동차가 로딩되는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 측면 또는 하부에 형성된 레일과; 상기 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레일이 횡방향으로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liding means includes a main plate on which a car entering or leaving the vehicle elevator is loaded; a rail formed on the side or lower side of the main plate; and a driving unit seated on the rail to provide a rotational force so that the rail can move horizontally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메인 플레이트는 전용 주차장의 바닥에 각각 설치되고, 전용 메인 플레이트로 할당되어 유저로부터 입차 호출이 있는 경우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은 상기 유저의 전용 주차장에서 메인 플레이트를 로딩하여 지상 또는 지하층으로 수직 이동한 후 자동차를 상기 메인 플레이트 상에 로딩하고 전용 주차장의 층으로 수직 이동한 후 자동차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주차시킬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이동수단은 각 층의 전용 주차장마다 배치된 메인 플레이트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되; 차량 엘리베이터가 특정 층에 도착하면 슬라이딩 이동 제어를 통해 메인 플레이트를 차량 엘리베이터 내부로 수평이동 시키거나, 반대로 차량 엘리베이터 내부의 메인 플레이트를 전용 주차장으로 수평이동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ain plate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dedicated parking lot, and is assigned as a dedicated main plate. When there is a call from the user, the vehicle elevator unit loads the main plate from the user's dedicated parking lot and vertically moves to the ground or basement floor. can be loaded on the main plate and vertically moved to the floor of the dedicated parking lot and then the car can be parked by sliding; The sliding means slides the main plate disposed in each dedicated parking lot of each floor; When the vehicle elevator arrives at a specific floor, the main plate is horizontally moved into the vehicle elevator through sliding movement control, or, conversely, the main plate inside the vehicle elevator is horizontally moved to the dedicated parking lot.

상기 슬라이딩 이동수단은 전용 주차장에 주차되거나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에 로딩된 자동차를 리프팅하여 횡방향으로 수평이동하는 수평 이동 리프터와; 전용 주차장과 엘리베이터 바닥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수평 이동 리프트가 장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수평 이동 리프터 이동 가이드홈과; 상기 수평 이동 리프터 이동홈 바닥 또는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 이동 리프터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liding means includes: a horizontal moving lifter that moves horizontally by lifting a car parked in a dedicated parking lot or loaded in a vehicle elevator unit; a horizontal movable lifter movement guide groove which is formed in the dedicated parking lot and the elevator floor, respectively, to which the horizontal movable lift is mounted and can sli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ail formed on the bottom or side of the horizontal moving lifter moving groove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horizontally moving lifter.

상기 수평 이동 리프터는 전용 주차장에 주차되거나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에 로딩된 자동차 바퀴 사이의 배면에 하부에 위치하는 리프팅 플레이트와;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는 리프트 업하여 자동차를 들어올리는 리프터와; 상기 리프터 하부에 결합되어 자동차가 들어올려지면 전용 주차장 또는 차량 엘리베이터로 횡방향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orizontal moving lifter includes: a lifting plate loc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rear surface between the wheels of the car parked in the dedicated parking lot or loaded in the vehicle elevator unit; The lifting plate includes a lifter for lifting the vehicle by lifting up;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horizontal moving mean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lifter to horizontally move the vehicle to a dedicated parking lot or a vehicle elevator when the vehicle is lifted.

상기 제어부는 유저의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 호출을 관리하는 호출관리유닛과;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 호출에 따라 차량 엘리베이터의 수직이동과 자동차의 수평이동을 제어하는 차량엘리베이터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 unit includes: a call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the user's vehicle elevator unit call;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ehicle elevato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ehicle elevator and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vehicle elevator unit call.

상기 호출관리유닛은 전용 주차장의 사용자인 유저 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고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에 대한 호출이 있는 경우 등록된 유저 정보로부터 유저를 식별하고, 식별된 유저 정보로부터 유저의 전용 주차장 위치를 식별하는 유저정보관리모듈과; 유저 식별이 완료되면 먼저 호출된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의 호출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유저에게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에 대한 배차 순서를 결정하여 할당하는 배차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all management unit receives and registers user information that is a user of the dedicated parking lot, identifies the user from the registered user information when there is a call to the vehicle elevator unit, and identifies the user's dedicated parking lot location from the identified user information an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When user identification is comple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dispatch management module that determines and allocates the dispatch order for the vehicle elevator unit to the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call information of the first called vehicle elevator unit.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유닛은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의 수직 이동을 제어하는 수직이동제어모듈과; 전용 주차장에 주차된 자동차 또는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에 로딩된 자동차를 수평 이동시켜 전용 주차장에 주차시키거나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 밖으로 출차시키는 수평이동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이동제어모듈은 입차시 슬라이딩 이동 수단을 제어하여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에 로딩된 자동차를 유저의 전용 주차장으로 횡방향으로 수평이동 시키고, 출차시 슬라이딩 이동 수단을 제어하여 전용 주차장에 주차된 자동차를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 내부로 횡방향으로 수평이동 시키도록 제어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levator control unit includes a vertical movement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ehicle elevator unit; a horizontal movement control module for horizontally moving a vehicle parked in the dedicated parking lot or a vehicle loaded in the vehicle elevator unit to be parked in the dedicated parking lot or taken out of the vehicle elevator unit; The horizontal movement control module controls the sliding movement means when entering the vehicle to horizontally move the car loaded in the vehicle elevator unit to the user's dedicated parking lot, and controls the sliding movement means when exiting the vehicle to move the car parked in the dedicated parking lo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rols to move horizontal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to the elevator unit.

본 발명에 따른 집합건물 개별 세대 수직 주차용 차량 엘리베이터 장치는 집합 건물의 개별 전용 공간 옆에 공용 공간으로 주차 공간과 차량 엘리베이터를 구비하되, 상기 주차 공간과 차량 엘리베이터를 수평하게 배치하고, 상기 차량 엘리베이터를 통해 자동차를 횡방햐으로 이동시켜 주차할 수 있으므로 공동 주차장이 아닌 개인화된 주차장에 주차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The vehicle elevator device for vertical parking of individual households in a collectiv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arking space and a vehicle elevator as a common space next to an individual dedicated space of an assembly building, the parking space and the vehicle elevator are horizontally arranged, and the vehicle elevator Since the car can be parked by moving it sideways through the system, an excellent effect of being able to park it in a private parking lot rather than a public parking lot occurs.

도 1은 종래의 주차시스템을 갖는 공동주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합건물용 차량 엘리베이터 장치를 구비한 집합 건물의 평면도 및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차량 엘리베이터가 각 층마다 좌, 우측 양방향으로 자동차를 이동시키는 양방향 엘리베이터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합건물용 차량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4의 장치 제어를 위한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인 플레이트를 통해 자동차를 수평 이동시키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이동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평이동 리프터를 통한 슬라이딩 이동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1 schematically shows an apartment house having a conventional parking system.
2 schematically show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ssembly building having a vehicle elevator device for an assembly build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chematically shows a two-way elevator system in which one vehicle elevator moves the vehicle in both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each flo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chematical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elevator device for an assembly build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lock diagram for controlling the device of FIG. 4 .
Figure 6 schematically shows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vehicle through the main pl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chematically shows a sliding mov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schematically shows a sliding movement method through a horizontal movement lif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합건물용 차량 엘리베이터 장치를 구비한 집합 건물의 평면도 및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2 schematically show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ssembly building having a vehicle elevator device for an assembly build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집합건물용 차량 엘리베이터 장치는 사람 전용 엘리베이터 및 복도 공간을 포함하여 서비스 코어를 구성할 수 있다.The vehicle elevator apparatus for an assembly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stitute a service core including a dedicated elevator and a corridor space.

도 2는 2개의 차량 엘리베이터가 인접하여 배치되고 각 차량 엘리베이터가 각각 좌측과 우측 한 방향으로만 자동차를 이동시키는 일방향 엘리베이터 방식에 대한 것이지만, 도 3과 같이 하나의 차량 엘리베이터가 각 층마다 좌, 우측 양방향으로 자동차를 이동시키는 양방향 엘리베이터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2 is a one-way elevator system in which two vehicle elevators are arranged adjacently and each vehicle elevator moves a car in only one direction to th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but as shown in FIG. 3, one vehicle elevator is installed to the left and right on each floor It may be configured as a two-way elevator method that moves the car in both directions.

다만, 양방향 엘리베이터 방식의 경우 고층일 경우 이용 세대의 증가로 인한 정체로 인해 엘리베이터 상하차에 지나치게 오랜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저층 건물에 적합하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two-way elevator method, if it is a high-rise building, it is suitable for a low-rise building because it may take an excessively long time to get on and off the elevator due to congestion due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households.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합건물용 차량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4의 장치 제어를 위한 블럭도이다.4 schematical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elevator device for an assembly build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block diagram for controlling the device of FIG. 4 .

도 4 및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집합건물용 차량 엘리베이터 장치는 자동차가 입차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층으로 이동하거나 특정 층의 전용 주차장에 주차된 자동차를 출차시키는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10)과 상기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의 우측 또는 좌측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인접한 개별 전용공간에 부속된 전용 주차장(20)과 상기 차량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4 and 5, the vehicle elevator device for an assembly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hicle elevator unit 10 that a car enters and moves to a floor desired by a driver or pulls out a car parked in a dedicated parking lot on a specific floor, and th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edicated parking lot 20 attached to an individual dedicated space adjacent to at least one direction of the right or left side of the vehicle elevator unit and a controller 3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elevator.

상기 전용 주차장(20)은 각 세대에 할당된 전용 공간으로 자동차가 없는 경우 창고 등의 용도로 전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전기차 충전을 위한 충전기(미도시)가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dedicated parking lot 20 is a dedicated space allocated to each household, and when there is no car, it may be used exclusively for a purpose such as a warehouse, and a charger (not shown)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may be installed individually.

상기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10)은 엘리베이터를 수직으로 승강 및 하강 이동시키는 승하강이동수단(110)을 포함하고, 지상 또는 지하 주차장에서 최고층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입차 시 지상 또는 지하층에서 자동차를 차량 엘리베이터에 상차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특정 층으로 수직 이동하고 상기 특정 층에 도착하면 전용 주차장인 횡방향으로 자동차를 이송시켜 주차시키고, 출차 시 특정 층의 전용 주차장으로부터 출차 호출이 있는 경우 상기 특정 층으로 수직이동 한 후 상기 전용 주차장에 주차된 자동차를 엘리베이터 유닛 내부로 횡방향으로 이송시킨 뒤 지상 또는 지하층으로 수직이동하여 출차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vehicle elevator unit 10 includes a lifting and lowering means 110 for vertically moving the elevator up and down, and can be connected to the highest floor in an above-ground or underground parking lot, and when entering a vehicle from the ground or basement floor, a car to the vehicle elevator After getting off the vehicle, the driver moves vertically to a specific floor desired, and when arriving at the specific floor, the car is transported and park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ch is the exclusive parking lot. Then, the car parked in the dedicated parking lot is transported laterally into the elevator unit, and then vertically moved to the ground or basement floor to take out the car.

여기서, 상기 승하강이동수단(110)는 통상의 엘리베이터 구조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자명한 구성이며 본 발명의 핵심에서 벗어나는 부분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 the elevating means 110 is a self-evident configuration generally applied to a conventional elevator structure, and since it is a part deviating from 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운전자가 탑승한 상태는 물론 하차한 상태에서(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동차를 자동으로 특정층의 전용 주차장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nd it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transfer the car to a dedicated parking lot on a specific floor in a state in which the driver is on board as well as in a state in which the driver is disembarked (in a state in which the driver is not boarded).

여기서, 상기 차량 엘리베이터 장치는 자동차를 전후 방향이 아닌 횡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자동차 운전을 통한 이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전용 주차장과 엘리베이터 유닛 사이에는 자동차를 횡방향으로 수평이동하기 위한 슬라이딩 이동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vehicle elevator device has to move the car in the lateral direction, not the front-rear direction, so it is impossible to move through the driving of the car, so a sliding movement means 30 for horizontally moving the car in the lateral direction between the dedicated parking lot and the elevator unit. It may be composed of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인 플레이트를 통해 자동차를 수평 이동시키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Figure 6 schematically shows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vehicle through the main pl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슬라이딩 이동수단(40)은 차량 엘리베이터에 입차 또는 출차하는 자동차가 로딩되는 메인 플레이트(410)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 측면 또는 하부에 형성된 레일(420)과 상기 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레일이 횡방향으로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부재(431)와 구동 모터(432)를 구비한 구동유닛(4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liding means 40 is seated on a main plate 410 on which a car entering or leaving a vehicle elevator is loaded, a rail 420 formed on the side or lower side of the main plate, and the rail so that the rail is horizontally horizontal.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riving unit 430 having a rotating member 431 and a driving motor 432 for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to be movable.

여기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410)는 전용 주차장의 바닥에 각각 설치되고, 전용 메인 플레이트로 할당되어 유저로부터 입차 호출이 있는 경우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은 상기 유저의 전용 주차장에서 메인 플레이트를 로딩하여 지상 또는 지하층으로 수직 이동한 후 자동차를 상기 메인 플레이트 상에 로딩하고 전용 주차장의 층으로 수직 이동한 후 자동차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주차시킬 수 있다.Here, the main plate 410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dedicated parking lot, respectively, and is assigned as a dedicated main plate, and when there is a call in from the user, the vehicle elevator unit loads the main plate from the user's dedicated parking lot to the ground or basement floor. After moving vertically, the car is loaded on the main plate, and after moving vertically to the floor of the exclusive parking lot, the car can be parked by sliding the car.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이동수단(40)은 각 층의 전용 주차장마다 배치된 메인 플레이트(410)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역할로 차량 엘리베이터가 특정 층에 도착하면 슬라이딩 이동 제어를 통해 메인 플레이트(410)를 차량 엘리베이터 내부로 수평이동 시키거나, 반대로 차량 엘리베이터 내부의 메인 플레이트(410)를 전용 주차장(20)으로 수평이동 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sliding means 40 serves to slide the main plate 410 disposed in each dedicated parking lot of each floor, and when the vehicle elevator arrives at a specific floor, the main plate 410 is moved to the vehicle elevator through sliding movement control. The main plate 410 inside the vehicle elevator can be horizontally moved to the inside or, conversely, horizontally moved to the dedicated parking lot 20 .

상기 회전부재(431)는 바퀴, 롤러같은 활차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메인 플레이트 측면 또는 바닥에 형성된 레일에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력에 따라 상기 메인 플레이트가 수평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의 정,역회전에 따라 메인 플레이트(410)를 수평 왕복이동 시킬 수 있다.The rotating member 431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ulley such as a wheel or a roller, and in a state in which the rotating member is engaged with a rail formed on the side or bottom of the main plate, the main plate can move horizontally according to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ng member. have. Here, the main plate 410 may be horizontally reciprocated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또한, 상기 레일(420)과 회전부재(431)는 렉기어와 같이 기어를 조합한 기어 어셈블리로 구성될 수 있다. Also, the rail 420 and the rotating member 431 may be configured as a gear assembly in which gears are combined, such as a rack gear.

상기 구동모터(432)은 상기 회전부재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메인 플레이트가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스텝 모터 또는 전기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The driving motor 432 provides a rotational force to the rotating member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sliding the main plate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may be configured as a stepper motor or an electric motor.

상기 구동유닛(430)은 메인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레일의 위치에 따라 위치가 측면 또는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430 may be positioned on a side surface or a bottom surfac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rail formed on the main plate.

도 6a는 메인 플레이트 측면에 레일이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로, 상기 레일에 회전부재가 안착될 수 있도록 구동 유닛은 전용 주차장과 차량 엘리베이트 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6A is a structure in which the rail is integrally formed on the side of the main plate, and the driving unit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dedicated parking lot and the vehicle elevator so that the rotating member can be seated on the rail.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이동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7 schematically shows a sliding mov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이동수단(40)은 전용 주차장에 주차되거나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에 로딩된 자동차를 리프팅하여 횡방향으로 수평이동하는 수평 이동 리프터(450)와 전용 주차장과 엘리베이터 바닥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수평 이동 리프트가 장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수평 이동 리프터 이동 가이드홈(460)과 상기 수평 이동 리프터 이동홈 바닥 또는 측면에 형성된 레일(4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7, the sliding means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rizontal movement lifter 450 that moves horizontal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lifting a car parked in a dedicated parking lot or loaded in a vehicle elevator unit, and a dedicated parking lot and elevator floo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horizontally movable lifter movement guide groove 460 that is respectively formed in the horizontal movement lift and can slide and can move and a rail 470 formed on a floor or a side of the horizontally movable lifter movement groove.

도 7의 실시예는 전용 메인 플레이트 없이 자동차의 입출차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전용 주차장에서 메인 플레이트를 가져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자동차 이동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embodiment of FIG. 7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moving the vehicle because it is not necessary to bring the main plate from the dedicated parking lot in that the vehicle can enter and exit without a dedicated main plate.

상기 수평 이동 리프터(450)는 전용 주차장에 주차된 자동차를 출차하거나, 엘리베이터에 로딩된 자동차를 전용 주차장에 입차시켜 주차하는 경우 자동차를 리프트 업(Lift-up)한 후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자동차를 수평 이동 시킨 후 자동차를 리프트 다운(Lift-dowm)하여 자동차를 전용주차장에 주차시키거나 전용주차장에 주차된 자동차를 출차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horizontal moving lifter 450 lifts up the car and then slides in the lateral direction when taking out a car parked in the dedicated parking lot or parking the car loaded in the elevator in the dedicated parking lot. After horizontally moving the car, it lifts down the car to park the car in the dedicated parking lot or takes the car out of the car parked in the dedicated parking lot.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 이동 리프터(450)는 전용 주차장에 주차되거나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에 로딩된 자동차 바퀴 사이의 배면에 하부에 위치하는 리프팅 플레이트(451)와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는 리프트 업하여 자동차를 들어올리는 리프터(452)와 상기 리프터 하부에 결합되어 자동차가 들어올려지면 전용 주차장 또는 차량 엘리베이터로 횡방향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수단(45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horizontal moving lifter 450 is a lifting plate 451 and the lifting plate located on the lower side between the wheels of a car parked in a dedicated parking lot or loaded in a vehicle elevator unit and the lifting plate is lifted up to lift the ca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lifter 452 and a horizontal moving means 453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lifter and horizontally moving horizontally to a dedicated parking lot or vehicle elevator when the car is lifted.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451)는 리프트 다운된 상태에서는 바닥면과 높이가 동일하고 리프트 업된 상태에서는 자동차 바퀴 사이의 배면에 맞닿으면서 자동차가 들어올려지게 되며, 자동차 하부와 직접 맞닿기 때문에 리프트 업과정에서 자동차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 재질의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고무, 실리콘과 같은 탄성을 가진 재료의 탄성층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lifting plate 451 has the same height as the floor surface in the lifted down state, and the car is lifted while contacting the rear surface between the car wheels in the lifted up state, and since it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car, in the lift-up process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vehicle, an elastic layer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rubber or silicone, is combined on a metal base plate.

상기 리프터(452)는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를 리프트 업하거나 리프트 다운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모터로 펌프를 구동하여 압력을 가한 오일이 실린더를 통하여 플런저(Plunger)를 밀어 올려 자동차를 상승 하강시키는 방식을 유압 실린더 방식의 리트터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프터의 구성은 본 발명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구성 및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lifter 452 serves to lift up or lift down the lifting plate, and the oil pressurized by driving the pump with a motor pushes the plunger through the cylinder to raise and lower the vehicle. It may be composed of a cylinder-type retriever. Here,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lifter is a technique that is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configuration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수평 이동수단(453)은 상기 레일에 결합되어 레일을 따라 횡방향으로 수평이동하는 이동부재(453a)와 상기 이동부재에 구동한 힘을 제공하는 구동모터(453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horizontal moving means 453 may include a moving member 453a coupled to the rail and horizontally moving along the rail and a driving motor 453b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moving member. .

상기 이동부재(453a)는 수평 이동 리프터 이동홈 바닥 또는 측면에 형성된 레일(470)을 따라 횡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구성으로 레일에 바퀴, 롤러와 같은 활차가 결합되는 방식, 상기 레일에 형성된 홈에 안착되는 돌출부를 구비한 샤프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과 이동부재는 렉기어와 같은 기어 어셈블리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moving member 453a is configured to linearly mov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long the rail 470 formed on the bottom or side of the horizontal moving lifter moving groove, in a manner in which a pulley such as a wheel or a roller is coupled to a rail, in a groove formed in the rail It may be composed of a shaft having a protrusion to be seated. In addition, the rail and the moving member may be configured in a gear assembly method such as a rack gear.

상기 구동모터(453b)는 상기 이동부재가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스텝모터 또는 전기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The driving motor 453b may be configured as a step motor or an electric motor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sliding the moving member in the lateral direction.

상기 제어부(30)는 차량 엘리베이터의 동작과 개별 차량 주차장의 도어를 제어하여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에 입차된 자동차를 운전자가 원하는 층의 차량 주차장으로 이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The control unit 3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elevator and the door of the individual vehicle parking lot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car parked in the vehicle elevator unit to the vehicle parking lot of the floor desired by the driver.

상기 제어부(30)는 유저의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 호출을 관리하는 호출관리유닛(310)과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 호출에 따라 차량 엘리베이터의 수직이동과 자동차의 수평이동을 제어하는 차량엘리베이터제어유닛(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 includes a call management unit 310 that manages a user's vehicle elevator unit call and a vehicle elevator control unit 320 that control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ehicle elevator and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vehicle elevator unit call. can be configured.

상기 호출관리유닛(310)은 유저가 자동차를 입차시키거나 출차시키는 경우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에 대한 호출이 요청되면 상기 호출에 따라 유저를 인증하여 식별하고 호출 정보를 등록하여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을 배차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call management unit 310, when a user enters or leaves a car, when a call to the vehicle elevator unit is requested, authenticates and identifies the user according to the call and registers call information to manage the vehicle elevator unit dispatch is responsible for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호출관리유닛(310)은 전용 주차장의 사용자인 유저 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고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에 대한 호출이 있는 경우 등록된 유저 정보로부터 유저를 식별하고, 식별된 유저 정보로부터 유저의 전용 주차장 위치를 식별하는 유저정보관리모듈(311)과 유저 식별이 완료되면 먼저 호출된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의 호출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유저에게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에 대한 배차 순서를 결정하여 할당하는 배차관리모듈(3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all management unit 310 receives and registers user information, which is a user of the dedicated parking lot, and identifies the user from the registered user information when there is a call to the vehicle elevator unit, and the user's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ed user information. The user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311 for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dedicated parking lot and the dispatch management module for determining and assigning the dispatch order for the vehicle elevator unit to the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call information of the vehicle elevator unit called first when the user identification is completed ( 312) may be included.

본 발명은 사람이 이용하는 엘리베이터와 같이 각 전용 주차장마다 호출버튼이 형성되어 수동으로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을 호출할 수도 있지만, 유저의 단말(60)에 엘리베이터 어플리케이션(610)을 설치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차량 엘리베이터을 호출하는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like an elevator used by a person, a call button is formed for each dedicated parking lot so that the vehicle elevator unit can be called manually, but by installing the elevator application 610 in the user's terminal 60, the vehicle through the elevator application It may consist of an interface that calls an elevator.

상기 유저정보관리모듈(311)은 유저가 자신의 단말에 엘리베이터 어플리케이션(610)을 설치 한 후 유저 정보를 입력하고 인증을 통해 유저를 확인하여 유저 등록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와 등록된 유저로부터 차량 엘리베이터의 호출이 있는 경우 상기 유저를 식별하여 식별된 유저의 전용 주차장(10)의 위치를 확인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user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311 includes an interface for performing user registration by inputting user information after the user installs the elevator application 610 on his/her terminal and confirming the user through authentication and the vehicle elevator from the registered user. When there is a call, it identifies the user and serves to confirm the location of the identified user's dedicated parking lot 10 .

여기서, 상기 유저정보관리모듈(311)은 유저 등록을 수행하는 경우 유저가 집합건물의 관리사무소에 등록된 실제 유저가 맞는지 확인을 위해 집합건물 관리자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유저 정보를 확인한 후 유저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Here, the user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311 checks user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the database of the collective building manager server to check whether the user is an actual user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office of the collective building when performing user registration, and then registers the user. can be performed.

상기 유저 등록시 입력되는 유저 정보는 유저의 식별정보(ID/PW), 이름, 전화번호, 세대 정보(층호수), 차량번호를 기본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information input at the time of user registration may basically includ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PW), name, phone number, household information (floor number), and vehicle number.

그리고 상기 호출관리유닛(310)은 입차 호출시에 지상층 또는 지하층 차량 엘리베이터 입구의 대기 위치에 설치되어 자동차가 진입하는 경우 차량 번호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차량인식센서(314)와 상기 차량인식센서로부터 차량번호가 인식되면 자동으로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을 호출할 수 있는 자동호출모듈(31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d the call management unit 310 is installed at the standby position of the entrance of the vehicle elevator on the ground floor or the basement floor when a call is made to automatically recognize the vehicle number when a vehicle enters the vehicle from the vehicle recognition sensor 314 and the vehicle recognition sensor. When the number is recognized,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automatic call module 313 that can automatically call the vehicle elevator unit.

여기서, 상기 차량인식센서(314)는 자동차의 번호판을 인식할 수 있는 카메라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vehicle recognition sensor 314 may be configured as a camera sensor that can recognize the license plate of the vehicle.

출차와 달리 입차의 경우 유저가 자동차를 운전하여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의 대기 위치에 정차시키기 때문에 상기 자동호출모듈(313)이 상기 자동차의 번호판을 자동인식하고 인식된 번호판과 일치하는 유저 정보로부터 유저를 식별하고, 식별된 유저의 전용 주차장 위치를 확인하여 자동 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case of entry, unlike exiting, because the user drives the vehicle and stops at the waiting position of the vehicle elevator unit, the automatic call module 313 automatically recognizes the license plate of the vehicle and identifies the user from user information that matches the recognized license plate. And, it may be configured to be automatically called by checking the location of the identified user's dedicated parking lot.

여기서, 입차 시 대기 차량이 있는 경우 유저 단말의 엘리베이터 어플리케이션(610)을 통해 직접 차량 엘리베이터를 호출할 수 있다. Here, when there is a waiting vehicle when entering the vehicle, the vehicle elevator may be directly called through the elevator application 610 of the user terminal.

따라서, 상기 유저정보관리모듈(311)은 유저 등록이 완료되면, 유저의 로그인 과정을 통해 유저를 식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저의 전용 주차장의 위치와 차량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user registration is completed, the user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311 can identify the user through the user's log-in process, and thus can confirm the location and vehicle number of the user's dedicated parking lot.

그리고 상기 배차관리모듈(312)은 유저로부터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의 호출이 있는 경우 입차, 출차 여부와 기 호출된 호출 정보를 고려하여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의 스케줄링을 수행하여 배차 순서를 결정하여 배차 정보를 유저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In addition, the dispatch management module 312 determines the dispatch order by performing scheduling of the vehicle elevator unit in consideration of entry and exit status and previously called call information when there is a call from the user to the vehicle elevator unit, and provides dispatch information to the user. play a role in providing

상기 배차관리모듈(312)이 유저 호출에 따라 배차 순서를 결정하여 배차 정보가 생성되면 호출한 유저의 엘리베이터 어플리케이션(610)을 통해 배차 정보를 전송한다.The dispatch management module 312 determines the dispatch order according to the user's call, and when dispatch information is generated, the dispatch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elevator application 610 of the calling user.

여기서, 배차 정보는 배차 순서, 차량 엘리베이터까지 탑승까지 소요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출차시 유저는 상기 배차 정보 확인을 통해 출차 시간을 정확히 알 수 있으므로 대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Here, the dispatch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the order of dispatch and the time it takes to board the vehicle to the elevator, and when leaving the vehicle, the user can accurately know the departure time through the confirmation of the vehicle dispatch information, thereby minimizing the waiting time.

또한, 상기 배차관리모듈(312)은 유저의 자동차가 차량 엘리베이터 탑승 순서가 되면 출차 지연을 방지하기 위해 유저의 엘리베이터 어플리케이션(610)을 통해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atch management module 312 may transmit an alarm through the user's elevator application 610 to prevent a delay in taking out when the user's car is in the order of boarding the vehicle elevator.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유닛(320)은 호출관리유닛(310)에 따라 결정된 배차 순서에 따라 차량 엘리베이터를 동작시켜 자동차를 입,출차 시키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And the elevator control unit 320 plays a role of controlling the vehicle to enter and exit the vehicle by operating the vehicle elevator according to the dispatch order determined by the call management unit 310 .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유닛(320)은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의 수직 이동을 제어하는 수직이동제어모듈(321)과 전용 주차장에 주차된 자동차 또는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에 로딩된 자동차를 수평 이동시켜 전용 주차장에 주차시키거나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 밖으로 출차시키는 수평이동제어모듈(3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elevator control unit 320 horizontally moves the vertical movement control module 321 for controll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ehicle elevator unit and the vehicle parked in the dedicated parking lot or the vehicle loaded in the vehicle elevator unit to the dedicated parking lo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horizontal movement control module 322 for parking or taking out the vehicle elevator unit.

상기 수직이동제어모듈(321)은 통상의 엘리베이터와 같이 승하강 제어를 위해 승하강 이동수단(110)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통상의 엘리베이터와 동일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vertical movement control module 321 is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elevation movement means 110 for elevation control like a conventional elevator, and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a conventional elevator.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수평이동제어모듈(322)은 입차시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에 로딩된 자동차를 유저의 전용 주차장으로 횡방향으로 수평이동 시키고, 출차시 전용 주차장에 주차된 자동차를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 내부로 횡방향으로 수평이동 시키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horizontal movement control module 322 horizontally moves the car loaded in the vehicle elevator unit to the user's exclusive parking lot when entering the vehicle, and horizontally moves the car parked in the dedicated parking lot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elevator unit when exiting the vehicle. It is responsible for controlling the

1. 메인 플레이트를 통한 슬라이딩 이동 자동차 입출차 방식1. Entrance/exit method of sliding moving car through main plate

먼저, 도 4의 실시예와 같이 각 전용 주차장에 배치된 유저 전용의 메인 플레이트가 이동하는 방식의 경우 입차시 배차 순서가 되면 차량 엘리베이터가 인식된 자동차의 유저정보에 따라 전용 주차장의 층으로 이동한 후 슬라이딩 이동 수단을 통해 전용 주차장에 위치한 메인 플레이트를 차량 엘리베이터 내부로 수평 이동시킨다.First, in the case of a method in which the user-only main plate disposed in each dedicated parking lot moves as in the embodiment of FIG. 4, when the vehicle is in the order of dispatch when entering the vehicle, the vehicle elevator moves to the floor of the dedicated parking lot according to the user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car. Then, the main plate located in the dedicated parking lot is horizontally moved into the vehicle elevator through sliding movement means.

이어서, 차량 엘리베이터 입구로 하강한 후, 차량 엘리베이터 내부로 자동차를 이동시키면 인식된 자동차의 유저 정보에 따라 전용 주차장의 층으로 수직 이동한다.Then, after descending to the entrance of the vehicle elevator, when the vehicle is moved into the vehicle elevator, it vertically moves to the floor of the dedicated parking lot according to the recognized user information of the vehicle.

그리고 전용 주차장 층에 도착하면 슬라이딩 이동 수단을 통해 상기 차량 엘리베이터 내부의 메인 플레이트를 전용 주차장으로 수평 이동시킨다.And when it arrives at the exclusive parking lot floor, the main plate inside the vehicle elevator is horizontally moved to the exclusive parking lot through a sliding means.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유저의 전용 주차장에 자동차가 메인 플레이트에 로딩된 상태로 주차된다.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car is parked in the user's dedicated parking lot with the car loaded on the main plate.

출차시에는 유저가 차량 엘리베이터를 호출한 후 배차 순서에 따라 차량 엘리베이터가 전용 주차장이 있는 층에 도착하면 전용 주차장의 메인 플레이트에 자동차가 로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 수단을 통해 상기 메인 플레이트를 차량 엘리베이터 내부로 수평이동 시킨다.When leaving the vehicle, after the user calls the vehicle elevator and the vehicle elevator arrives at the floor where the dedicated parking lot is located in the order of dispatch, the main plate is moved inside the vehicle elevator with the car loaded on the main plate of the dedicated parking lot through sliding means. move horizontally with

그리고 차량 엘리베이터 입구로 하강 한 후 유저가 차량 엘리베이터 외부로 차를 이동시켜 자동차를 출차시키게 된다. And after descending to the entrance of the vehicle elevator, the user moves the vehicle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elevator to take out the vehicle.

2. 수평이동 리프터를 통한2. Through the horizontal movement lifter 슬라이딩 이동 자동차 입출차 방식Sliding vehicle entry and exit method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평이동 리프터를 통한 슬라이딩 이동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8 schematically shows a sliding movement method through a horizontal movement lif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용 주차장의 층에서 차량 엘리베이터 입구층으로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이 승하강 이동하는 동작은 상기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전용 주차장에서 차량 엘리베이터 내부 사이에 자동차가 수평이동하는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Since the movement of the vehicle elevator unit from the floor of the dedicated parking lot to the entrance floor of the vehicle elevator is the same as the above embodiment, only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horizontally moving between the inside of the vehicle elevator in the dedicated parking lot will be described.

수평이동은 전용 주차장에서 차량 엘리베이터 내부로 이동하는 경우와 반대로 차량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전용 주차장으로 이동하는 경우로 구분되고, 동작은 상호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차량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전용 주차장으로 수평이동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Horizontal movement is divided into the case of moving from the inside of the vehicle elevator to the dedicated parking lot, as opposed to the case of moving from the dedicated parking lot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elevator. Only the case of horizontal movement to the parking lot will be described.

먼저, 차량 엘리베이터가 유저의 전용 주차장 층에 도착하면 차량 엘리베이터 내부 바닥면의 수평 이동 리프터 이동 가이드홈(460)에 수용된 수평 이동 리프터의 리프터(452)가 리프팅 플레이트(451)을 승강하면서 자동차의 바퀴 사이의 하부에 맞닿으면서 상기 자동차가 리프트 업된다.(도 8의 (a))First, when the vehicle elevator arrives at the user's exclusive parking lot floor, the lifter 452 of the horizontal movement lifter accommodated in the horizontal movement lifter movement guide groove 460 of the floor inside the vehicle elevator lifts the lifting plate 451 while lifting the wheel of the car. The vehicle is lifted up while abutting against the lower part between the two (Fig. 8(a)).

이 상태에서, 리프터(452) 하부의 수평 이동수단(453)이 전용 주차장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여기서, 자동차는 리프터(452)에 의해 들어 올려진 상태이므로 상기 수평 이동수단(453)에 의해 수평 이동할 수 있다. (도 8의 (b))In this state, the horizontal moving means 453 under the lifter 452 is slid in the direction of the dedicated parking lot. Here, since the vehicle is lifted by the lifter 452 , it can be moved horizontally by the horizontal moving means 453 . ((b) of FIG. 8)

상기 수평 이동수단(453)이 전용 주차장 끝단까지 수평이동 하면 상기 리프터(452)가 리프팅 플레이트(451)가 하강하면서 상기 자동차는 리프트 다운되어 전용 주차장의 바닥면에 바퀴가 닿으면서 주차된다.When the horizontal moving means 453 horizontally moves to the end of the exclusive parking lot, the lifter 452 is lifted down while the lifting plate 451 is lowered, and the car is parked while the wheels touch the floor surface of the dedicated parking lot.

그리고 상기 수평 이동수단(453)이 반대로 차량 엘리베이터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수평 이동 리프터(450)가 원위치로 복귀한다. (도 8의 (c))Then, the horizontal moving means 453 is slidably moved into the vehicle elevator, so that the horizontal moving lifter 45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FIG. 8 (c))

상기와 같이 수평 이동 리프터(450)가 차량 엘리베이터 내부로 복귀하면 다른 자동차를 입출차시킬 준비가 되고, 배차 정보에 따라 다음 자동차를 입출차시킨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horizontal movement lifter 450 returns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elevator, it is ready to enter and exit another vehicle, and enters and exits the next vehicle according to vehicle dispatch information.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8)

자동차가 입차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층으로 이동하거나 특정 층의 전용 주차장에 주차된 자동차를 출차시키는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과;
상기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의 우측 또는 좌측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인접한 개별 전용공간에 부속된 전용 주차장과;
상기 전용 주차장과 차량 엘리베이터 내부 사이에 자동차를 횡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는 슬라이딩 이동수단과;
상기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과 슬라이딩 이동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합건물 개별 세대 수직 주차용 차량 엘리베이터 장치.
a vehicle elevator unit that allows a car to enter and move to a floor desired by a driver or to take out a car parked in a dedicated parking lot on a specific floor;
a dedicated parking lot attached to an individual dedicated space adjacent to at least one of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vehicle elevator unit;
a sliding movement means for horizontally moving the vehic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dedicated parking lot and the inside of the vehicle elevator;
A vehicle elevator device for vertical parking of individual household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elevator unit and the sliding mea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이동수단은
차량 엘리베이터에 입차 또는 출차하는 자동차가 로딩되는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 측면 또는 하부에 형성된 레일과;
상기 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레일이 횡방향으로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합건물 개별 세대 수직 주차용 차량 엘리베이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liding movement means
a main plate on which cars entering or leaving the vehicle elevator are loaded;
a rail formed on the side or lower side of the main plate;
A vehicle elevator device for vertical parking of individual households in an assembly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driving unit that is seated on the rail and provides a rotational force so that the rail can move horizontally in the lateral direc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는
전용 주차장의 바닥에 각각 설치되고,
전용 메인 플레이트로 할당되어 유저로부터 입차 호출이 있는 경우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은 상기 유저의 전용 주차장에서 메인 플레이트를 로딩하여 지상 또는 지하층으로 수직 이동한 후 자동차를 상기 메인 플레이트 상에 로딩하고 전용 주차장의 층으로 수직 이동한 후 자동차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주차시킬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이동수단은
각 층의 전용 주차장마다 배치된 메인 플레이트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되;
차량 엘리베이터가 특정 층에 도착하면 슬라이딩 이동 제어를 통해 메인 플레이트를 차량 엘리베이터 내부로 수평이동 시키거나, 반대로 차량 엘리베이터 내부의 메인 플레이트를 전용 주차장으로 수평이동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합건물 개별 세대 수직 주차용 차량 엘리베이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ain plate is
Each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private parking lot,
When there is a call in from the user because it is assigned to a dedicated main plate, the vehicle elevator unit loads the main plate from the user's private parking lot and vertically moves to the ground or basement floor, then loads the car on the main plate and goes to the floor of the dedicated parking lot. After moving vertically, the car can be parked by sliding;
The sliding movement means
Sliding and moving the main plate arranged for each dedicated parking lot on each floor;
When the vehicle elevator arrives at a specific floor, the main plate is horizontally moved into the vehicle elevator through sliding movement control, or, conversely, the main plate inside the vehicle elevator is horizontally moved to the dedicated parking lot. vehicle elevator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이동수단은
전용 주차장에 주차되거나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에 로딩된 자동차를 리프팅하여 횡방향으로 수평이동하는 수평 이동 리프터와;
전용 주차장과 엘리베이터 바닥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수평 이동 리프트가 장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수평 이동 리프터 이동 가이드홈과;
상기 수평 이동 리프터 이동홈 바닥 또는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 이동 리프터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합건물 개별 세대 수직 주차용 차량 엘리베이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liding movement means
a horizontal moving lifter that moves horizontally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lifting a car parked in a dedicated parking lot or loaded in a vehicle elevator unit;
a horizontal movable lifter movement guide groove which is formed in the dedicated parking lot and the elevator floor, respectively, to which the horizontal movable lift is mounted and can slide;
A vehicle elevator device for vertical parking of individual households in an assembly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ail formed on the floor or side of the horizontal moving lifter moving groove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horizontally moving lifte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이동 리프터는
전용 주차장에 주차되거나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에 로딩된 자동차 바퀴 사이의 배면에 하부에 위치하는 리프팅 플레이트와;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는 리프트 업하여 자동차를 들어올리는 리프터와;
상기 리프터 하부에 결합되어 자동차가 들어올려지면 전용 주차장 또는 차량 엘리베이터로 횡방향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합건물 개별 세대 수직 주차용 차량 엘리베이터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horizontal moving lifter
a lifting plate located on the lower side between the wheels of the car parked in the dedicated parking lot or loaded in the vehicle elevator unit;
The lifting plate includes a lifter for lifting the vehicle by lifting up;
A vehicle elevator device for vertical parking of individual households in an assembly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horizontal moving mean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lifter and horizontally moving horizontally to a dedicated parking lot or vehicle elevator when the vehicle is lif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유저의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 호출을 관리하는 호출관리유닛과;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 호출에 따라 차량 엘리베이터의 수직이동과 자동차의 수평이동을 제어하는 차량엘리베이터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합건물 개별 세대 수직 주차용 차량 엘리베이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a call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a user's vehicle elevator unit call;
A vehicle elevator device for vertical parking of individual households in a collective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ehicle elevato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ehicle elevator and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vehicle elevator unit call.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관리유닛은
전용 주차장의 사용자인 유저 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고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에 대한 호출이 있는 경우 등록된 유저 정보로부터 유저를 식별하고, 식별된 유저 정보로부터 유저의 전용 주차장 위치를 식별하는 유저정보관리모듈과;
유저 식별이 완료되면 먼저 호출된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의 호출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유저에게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에 대한 배차 순서를 결정하여 할당하는 배차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합건물 개별 세대 수직 주차용 차량 엘리베이터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all management unit
a user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that receives and registers user information that is a user of the dedicated parking lot, identifies the user from the registered user information when there is a call to the vehicle elevator unit, and identifies the location of the user's dedicated parking lot from the identified user information;
When user identification is completed, a vehicle for vertical parking for individual households in an assembly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dispatch management module that determines and allocates a dispatch order for the vehicle elevator unit to the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call information of the vehicle elevator unit called first elevator devic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유닛은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의 수직 이동을 제어하는 수직이동제어모듈과;
전용 주차장에 주차된 자동차 또는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에 로딩된 자동차를 수평 이동시켜 전용 주차장에 주차시키거나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 밖으로 출차시키는 수평이동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이동제어모듈은
입차시 슬라이딩 이동 수단을 제어하여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에 로딩된 자동차를 유저의 전용 주차장으로 횡방향으로 수평이동 시키고, 출차시 슬라이딩 이동 수단을 제어하여 전용 주차장에 주차된 자동차를 차량 엘리베이터 유닛 내부로 횡방향으로 수평이동 시키도록 제어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합건물 개별 세대 수직 주차용 차량 엘리베이터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elevator control unit
a vertical movement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ehicle elevator unit;
a horizontal movement control module for horizontally moving a vehicle parked in the dedicated parking lot or a vehicle loaded in the vehicle elevator unit to be parked in the dedicated parking lot or taken out of the vehicle elevator unit;
The horizontal movement control module is
When entering the vehicle, the sliding movement means is controlled to horizontally move the car loaded in the vehicle elevator unit to the user's dedicated parking lot, and when exiting the vehicle, the sliding movement means is controlled to move the car parked in the dedicated parking lot into the vehicle elevator unit in the lateral direction. A vehicle elevator device for vertical parking of individual households in an assembly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rols to move horizontally.
KR1020190179176A 2019-12-31 2019-12-31 Elevator Device KR1023052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176A KR102305211B1 (en) 2019-12-31 2019-12-31 Elevator Device
KR1020210122563A KR102416326B1 (en) 2019-12-31 2021-09-14 Elevator Device
KR1020210122561A KR102447754B1 (en) 2019-12-31 2021-09-14 Elevator Device
KR1020210122562A KR102447868B1 (en) 2019-12-31 2021-09-14 Elevator Device
KR1020220119193A KR102668556B1 (en) 2022-09-21 Elevato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176A KR102305211B1 (en) 2019-12-31 2019-12-31 Elevator Device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563A Division KR102416326B1 (en) 2019-12-31 2021-09-14 Elevator Device
KR1020210122562A Division KR102447868B1 (en) 2019-12-31 2021-09-14 Elevator Device
KR1020210122561A Division KR102447754B1 (en) 2019-12-31 2021-09-14 Elevator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762A true KR20210085762A (en) 2021-07-08
KR102305211B1 KR102305211B1 (en) 2021-09-24

Family

ID=76893887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9176A KR102305211B1 (en) 2019-12-31 2019-12-31 Elevator Device
KR1020210122563A KR102416326B1 (en) 2019-12-31 2021-09-14 Elevator Device
KR1020210122562A KR102447868B1 (en) 2019-12-31 2021-09-14 Elevator Device
KR1020210122561A KR102447754B1 (en) 2019-12-31 2021-09-14 Elevator Device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563A KR102416326B1 (en) 2019-12-31 2021-09-14 Elevator Device
KR1020210122562A KR102447868B1 (en) 2019-12-31 2021-09-14 Elevator Device
KR1020210122561A KR102447754B1 (en) 2019-12-31 2021-09-14 Elevator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305211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08453A (en) * 2021-07-19 2021-11-05 四川移柯智创通信技术有限公司 Intelligent unmanned parking lot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CN114215403A (en) * 2022-01-04 2022-03-22 上海禾通涌源停车设备有限公司 Two-layer lifting and transverse moving type longitudinal moving parking equipment
WO2022075812A1 (en) * 2020-10-08 2022-04-14 정성인 Vehicle elevator device for vertical parking of individual households in collective building, and standby parking system and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using same
KR102511781B1 (en) * 2021-11-11 2023-03-20 정성인 Vertical Parking System For PAV For Individual Households In a Collective Building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6596B1 (en) * 2022-04-15 2024-04-16 정성인 Vehicle Elevator Device For Vertical Parking In Individual Rooms Of the Lodging Building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0830Y1 (en) * 1995-04-12 1998-10-15 정수철 Parking device
KR20040003887A (en) * 2002-07-04 2004-01-13 박진수 Apartment structure
KR20100082098A (en) * 2009-01-08 2010-07-16 쌍용건설 주식회사 Apartmenet with parking space in a story
KR20140109060A (en) * 2013-03-05 2014-09-15 박성준 An independence drive-in residential facilities
JP2018049514A (en) * 2016-09-23 2018-03-29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control program, and contro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893Y1 (en) * 2002-09-13 2002-12-13 이완영 A palletless rack type car parking system with staker crane
KR100801935B1 (en) * 2006-05-12 2008-02-12 주식회사 라이크텍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LPR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0830Y1 (en) * 1995-04-12 1998-10-15 정수철 Parking device
KR20040003887A (en) * 2002-07-04 2004-01-13 박진수 Apartment structure
KR20100082098A (en) * 2009-01-08 2010-07-16 쌍용건설 주식회사 Apartmenet with parking space in a story
KR20140109060A (en) * 2013-03-05 2014-09-15 박성준 An independence drive-in residential facilities
JP2018049514A (en) * 2016-09-23 2018-03-29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control program, and control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75812A1 (en) * 2020-10-08 2022-04-14 정성인 Vehicle elevator device for vertical parking of individual households in collective building, and standby parking system and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using same
CN113608453A (en) * 2021-07-19 2021-11-05 四川移柯智创通信技术有限公司 Intelligent unmanned parking lot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KR102511781B1 (en) * 2021-11-11 2023-03-20 정성인 Vertical Parking System For PAV For Individual Households In a Collective Buildings
CN114215403A (en) * 2022-01-04 2022-03-22 上海禾通涌源停车设备有限公司 Two-layer lifting and transverse moving type longitudinal moving parking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8011A (en) 2021-09-29
KR102416326B1 (en) 2022-07-01
KR20210116401A (en) 2021-09-27
KR102447754B1 (en) 2022-09-26
KR102447868B1 (en) 2022-09-26
KR20210119342A (en) 2021-10-05
KR20220132509A (en) 2022-09-30
KR102305211B1 (en) 2021-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5211B1 (en) Elevator Device
US20080236956A1 (en) Method of Allocating a User to an Elevator Car
JP4602330B2 (en)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CN104340783B (en) Elevator operat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elevator
CN101641274A (en) Method for operating a lift unit and corresponding lift unit
KR102668556B1 (en) Elevator Device
KR20090085959A (en) Lifter for cars and park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230138119A (en) Automatic Car Wash Management System Using Te Vehicle Elevator Device For Vertical Parking Of Individual Households In The Collective Building
CN109179107B (en) Dispatching method of lifting cross sliding type elevator
KR102477003B1 (en) Vehicle elevator device for vertical parking of individual households in collective building and waiting system for entering and leaving vehicle
EP3628621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rvicing remote elevator calls based on proximity to elevator landing
KR102656596B1 (en) Vehicle Elevator Device For Vertical Parking In Individual Rooms Of the Lodging Building
KR20230108579A (en) Vehicle elevator device for vertical parking of individual households in collective building
KR20210053742A (en) Elevator Device
KR102511781B1 (en) Vertical Parking System For PAV For Individual Households In a Collective Buildings
KR20230148439A (en) Fire Door Device
KR20230122345A (en) Moving Or Cargo Transport Control System Using Vehicle Elevator Device For Collective Building
JP7215549B1 (en) elevator maintenance system
JPH0510044A (en) Parking facilities for high-rise building
CN117842797A (en) Car stopping method of elevator system
KR20240044055A (en) Packing System having Car Washing Function
JP2023127766A (en) Mobile system
TH76296B (en) Methods for Allocating Users to Elevator Cabin
TH83992A (en) Methods for Allocating Users to Elevator Cabin
JPS63140451U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