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5744A - 접이식 목발 - Google Patents

접이식 목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5744A
KR20210085744A KR1020190179143A KR20190179143A KR20210085744A KR 20210085744 A KR20210085744 A KR 20210085744A KR 1020190179143 A KR1020190179143 A KR 1020190179143A KR 20190179143 A KR20190179143 A KR 20190179143A KR 20210085744 A KR20210085744 A KR 20210085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nnection body
coupled
folding
mov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9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1003B1 (ko
Inventor
김동길
김주원
박주동
Original Assignee
김동길
박주동
김주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길, 박주동, 김주원 filed Critical 김동길
Priority to KR1020190179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003B1/ko
Publication of KR20210085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61H3/0244Arrangements for storing or keeping upright when not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61H3/0277Shock absorb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61H3/0244Arrangements for storing or keeping upright when not in use
    • A61H2003/0272Arrangements for storing or keeping upright when not in use on a single crutch allowing it to remain upright when not in use, e.g. retractable trip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1Size reducing arrangements when not in use,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5Damping, vibration related fea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목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목발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 유닛; 및 한 쌍의 지지 유닛 사이에 구비되고, 한 쌍의 지지 유닛을 접철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지지 유닛은, 연결부와 결합되는 제1 지지부; 제1 지지부와 결합되는 손잡이부; 손잡이부와 연결되고, 제1 지지부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와 결합되고, 사용자 및 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 가능한 접촉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목발{FOLDING TYPE CRUTCH}
본 발명은 접이식 목발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질병으로 인하여 거동이 불편하거나 보행이 어려운 환자들은 보행시 보조 기구로서 목발을 사용한다.
한편, 환자들이 택시, 버스, 지하철 등과 같은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우, 대중교통에는 목발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목발의 길이가 고정되어 소정의 부피를 차지하는 바, 목발의 휴대성과 보관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30157호의 '접철식 목발'이 제안된 바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접철식 목발은 제 1로드, 제 1로드에 대하여 접철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 2로드를 구비하는 지지대 및 지지대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다리를 포함함에 따라, 목발이 접힌 상태로 휴대될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접철식 목발은 제2 로드가 제1 로드에 대하여 접철되더라도 제1 로드의 하부에 연결된 다리는 여전히 제1 로드와 고정된 상태를 갖는다. 따라서, 종래의 접철식 목발은 접혀진 상태라 할지라도, 여전히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정도의 부피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목발의 휴대성과 보관성이 크게 개선되었다고 보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목발의 부피가 최소화되도록 접힘으로써 휴대성 및 보관성이 향상될 수 있는 접이식 목발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최소화된 부피를 가지도록 접힘으로써, 휴대성 및 보관성이 향상될 수 있는 접이식 목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 유닛; 및 한 쌍의 상기 지지 유닛 사이에 구비되고, 한 쌍의 상기 지지 유닛을 접철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와 결합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지지부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와 결합되고, 사용자 및 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 가능한 접촉 지지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목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손잡이부 및 상기 접촉 지지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지지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 이동바; 및 상기 손잡이부 및 상기 접촉 지지부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이동바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이동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 지지부는, 상기 제1 이동바 및 상기 제2 이동바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결합 프레임; 상기 결합 프레임의 외측에서 상기 결합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 프레임; 및 상기 결합 프레임에 결합되는 돌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지지 유닛의 접철을 제한하는 접철 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이동바 및 상기 제2 이동바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제1 연결 몸체; 및 상기 제1 이동바 및 상기 제2 이동바 중 다른 하나와 결합되고, 상기 제1 연결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연결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철 제한부는, 상기 제1 연결 몸체 및 상기 제2 연결 몸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 자성체; 상기 제1 연결 몸체 및 상기 제2 연결 몸체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자성체의 극성과 다른 극성을 갖는 제2 자성체; 및 상기 제1 연결 몸체 및 상기 제2 연결 몸체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연결 몸체 및 상기 제2 연결 몸체의 접철을 제한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프레임은, 외측면이 상기 커버 프레임의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돌출 부재가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의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이동바 및 상기 제2 이동바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결합 프레임의 상기 제1 결합부를 향하는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보강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철 제한부는, 상기 고정 부재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연결 몸체 및 상기 제2 연결 몸체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는 끼움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연결 몸체 및 상기 제2 연결 몸체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끼움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1 연결 몸체 및 상기 제2 연결 몸체 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머리부; 상기 머리부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둘레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부; 및 상기 나사부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끼움 부재가 결합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나사부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 몸체 및 상기 제2 연결 몸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나사부가 체결되는 제1 삽입부; 상기 제1 연결 몸체 및 상기 제2 연결 몸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제2 삽입부; 및 상기 제1 연결 몸체 및 상기 제2 연결 몸체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의 나머지가 삽입되는 제3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삽입부는 상기 제1 삽입부의 외경과 동일하고, 상기 제2 삽입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제1 연결 몸체 및 상기 제2 연결 몸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선택적으로 복원력을 생성하는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와 연결되고, 상기 탄성체로부터 상기 복원력을 전달받아 상기 끼움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지지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 부재는 상기 제3 삽입부에 삽입되고, 상기 연장부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 결합부; 및 상기 끼움 결합부의 둘레면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 돌기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수용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접이식 목발은 최소화된 부피를 가지도록 접힘으로써, 휴대성 및 보관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목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접이식 목발의 작용 상태도들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1의 접이식 목발의 접철 제한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측, 타측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목발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목발(1)은 한 쌍의 지지 유닛(10), 연결부(20) 및 접철 제한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유닛(10)은 접이식 목발(1)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유닛(10)은 한 쌍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지지 유닛(10a, 10b)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지지 유닛(10a, 10b)이 연결부(20)를 기준으로 볼 때, 상하 방향(도 1의 y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상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유닛(10)은 연결부(20)와 결합되는 제1 지지부(11), 제1 지지부(11)와 결합되는 손잡이부(12), 손잡이부(12)와 연결되고, 제1 지지부(11)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지지부(13), 및 제2 지지부(13)와 결합되고, 사용자 및 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되는 접촉 지지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11)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지지부(11)의 단면이 사각형인 경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제1 지지부(11)의 단면은 삼각형, 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12)는 접촉 지지부(14)에 신체의 일부를 지지한 상태를 갖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으로, 제1 지지부(11)의 폭 방향(도 1의 x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1 지지부(11)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부(11)는 손잡이부(12)에 관통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손잡이부(12)에는 제1 지지부(11) 및 후술할 제2 지지부(13)의 제1 이동바(131)가 관통 삽입될 수 있는 관통 삽입부(121)가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제2 지지부(13)는 적어도 하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지지부(11)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 예컨대,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지지부(13)가 단면이 사각형인 경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제2 지지부(13)는 단면이 삼각형, 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지지부(13)는 손잡이부(12) 및 접촉 지지부(14)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제1 지지부(11)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 이동바(131) 및 손잡이부(12) 및 접촉 지지부(14)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제1 이동바(131)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이동바(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동바(131)는 제1 지지부(11)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이동바(131)의 외측면이 제1 지지부(11)의 내측면과 면마찰됨에 따라, 제1 이동바(131)는 제1 지지부(11)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1 이동바(131)가 제1 지지부(11)에 고정되기 위한 별도의 고정 수단(미도시)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이동바(132)는 제1 이동바(131)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이동바(132)의 외측면이 제1 이동바(131)의 내측면과 면마찰됨에 따라, 제2 이동바(132)는 제1 이동바(131)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2 이동바(132)가 제1 이동바(131)에 고정되기 위한 별도의 고정 수단(미도시)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접촉 지지부(14)는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 예컨대, 겨드랑이와 접촉되어 사용자를 지지하거나, 지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접촉 지지부(14)는 제1 이동바(131) 및 제2 이동바(132)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결합 프레임(141), 결합 프레임(141)의 외측에서 결합 프레임(141)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 프레임(142) 및 결합 프레임(141)에 결합되는 돌출 부재(143)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프레임(141)은 외측면이 커버 프레임(142)의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돌출 부재(143)가 결합되는 제1 결합부(1411) 및 제1 결합부(1411)의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제2 이동바(132)가 결합되는 제2 결합부(14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이동바(132)가 제1 이동바(131)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제2 결합부(1412)에 제2 이동바(132)가 결합되는 경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이동바(131) 및 제2 이동바(132)의 결합 순서에 따라 제1 이동바(131)가 제2 결합부(1412)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1 결합부(1411)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제2 결합부(1412)를 통해 내, 외부가 연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이동바(132)는 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제1 결합부(1411)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도록 제2 결합부(1412)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42)은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 및 지면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된 상태로 보행시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일 예로 고무와 같은 충격 완충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커버 프레임(142)의 내측면 중 제1 결합부(1411)를 향하는 내측면에는 복수의 보강 리브(142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부(1411)를 향하는 커버 프레임(142)의 내측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의 보강 리브(1421)는 격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보강 리브(1421)가 형성된 커버 프레임(142)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결합 프레임(141)의 외측면은 복수의 보강 리브(1421)와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커버 프레임(142)에 일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커버 프레임(142)이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이 과정에서 복수의 보강 리브(1421)가 결합 프레임(141)과 접촉되어 결합 프레임(141)을 가압하게 된다. 이로써, 결합 프레임(141)과 연결된 제2 이동바(132)가 제1 이동바(131)에 인입되고, 제2 이동바(132)가 제1 이동바(131)에 모두 인입되면, 제1 이동바(131)가 제1 지지부(11)에 인입된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가 결합 프레임(141) 및 돌출 부재(143) 중 적어도 하나에 타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결합 프레임(141)이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함께 이동되어 복수의 보강 리브(1421)와 접촉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결합 프레임(141)과 연결된 제2 이동바(132)가 제1 이동바(131)로부터 인출되고, 제2 이동바(132)가 제1 이동바(131)로부터 모두 인출되면, 제1 이동바(131)가 제1 지지부(11)로부터 인출된다.
돌출 부재(143)는 제1 결합부(1411)의 둘레면 중 제2 결합부(1412)가 형성된 둘레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 부재(143)는 단면이 사각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고, 돌출 부재(143)의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돌출 부재(143)는 단면이 삼각형, 원형 등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연결부(20)는 제1 지지 유닛(10a) 및 제2 지지 유닛(10b)을 접철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부(20)는 제1 지지 유닛(10a) 및 제2 지지 유닛(10b)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20)는 제1 이동바(131) 및 제2 이동바(132)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제1 연결 몸체(21)와 제1 이동바(131) 및 제2 이동바(132) 중 다른 하나와 결합되고, 제1 연결 몸체(2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연결 몸체(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연결 몸체(21)와 제2 연결 몸체(22) 사이에는 힌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 유닛(10a) 및 제2 지지 유닛(10b)은 연결부(20)를 기준으로 볼 때, 전후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상태를 가지므로, 연결부(20)를 중심으로 제1 지지 유닛(10a) 및 제2 지지 유닛(10b)이 접철되는 경우, 제1 지지 유닛(10a)의 제1 지지부(11), 손잡이부(12), 제2 지지부(13) 및 접촉 지지부(14)는 제2 지지 유닛(10b)의 제1 지지부(11), 손잡이부(12), 제2 지지부(13) 및 접촉 지지부(14)와 각기 제1 연결 몸체(21) 또는 제2 연결 몸체(22)의 두께 방향(도 2의 z축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연결 몸체(21)에는 제1 지지 유닛(10a) 및 제2 지지 유닛(10b) 중 어느 하나의 제1 지지부(11)가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연결 몸체(22)에는 제1 지지 유닛(10a) 및 제2 지지 유닛(10b) 중 다른 하나의 제1 지지부(11)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연결 몸체(21)에는 제1 지지부(11)가 통과될 수 있는 제1 관통홀(211)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연결 몸체(22)에는 제1 지지부(11)가 통과될 수 있는 제3 관통홀(22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관통홀(221)은 제1 연결 몸체(21)와 제2 연결 몸체(22)가 접혀진 상태에서 제1 관통홀(211)과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 몸체(21)에는 후술할 접철 제한부(30)의 고정 부재(33)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관통홀(212)이 구비될 수 있고, 제2 연결 몸체(22)에는 고정 부재(33)가 삽입되고, 제2 관통홀(212)과 연통되는 제4 관통홀(222)이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연결 몸체(21)의 접철면에는 후술할 접철 제한부(30)의 제1 자성체(31) 및 제2 자성체(32)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도록 함몰 형성된 제1 홈(213)이 구비될 수 있고, 제2 연결 몸체(22)의 접철면에는 제1 자성체(31) 및 제2 자성체(32) 중 다른 하나가 결합되도록 함몰 형성된 제2 홈(223)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홈(223)은 제1 연결 몸체(21)와 제2 연결 몸체(22)가 접힌 상태에서 제1 홈(213)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접철 제한부(30)는 지지 유닛(10)의 접철을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접철 제한부(30)는 연결부(20)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접철 제한부(30)는 제1 연결 몸체(21) 및 제2 연결 몸체(22)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 자성체(31), 제1 연결 몸체(21) 및 제2 연결 몸체(22)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제2 자성체(32) 및 제1 연결 몸체(21)와 제2 연결 몸체(22)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제1 연결 몸체(21) 및 제2 연결 몸체(22)의 접철을 제한하는 고정 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자성체(31)는 제1 연결 몸체(21)의 접철면에 요입 형성된 제1 홈(213)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자성체(32)는 제2 연결 몸체(22)의 접철면에 요입 형성된 제2 홈(223)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자성체(31) 및 제2 자성체(32)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연결 몸체(21) 및 제2 연결 몸체(22)의 단부가 서로 접하는 경우, 제1 자성체(31) 및 제2 자성체(32)가 서로 접촉되어 제1 자성체(31)와 제2 자성체(32)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해 제1 연결 몸체(21) 및 제2 연결 몸체(22)의 접촉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고정 부재(33)는 제1 연결 몸체(21) 및 제2 연결 몸체(22)의 단부가 서로 접촉된 경우, 제1 연결 몸체(21)에 구비되는 제2 관통홀(212) 및 제2 연결 몸체(22)에 구비되는 제4 관통홀(222)에 삽입됨에 따라, 제1 연결 몸체(21) 및 제2 연결 몸체(22)의 접촉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더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접이식 목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도 3을 참조하면, 접이식 목발(1)을 휴대하여야 하거나, 보관하여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1 연결 몸체(21) 및 제2 연결 몸체(22)에 삽입되어 있는 고정 부재(33)를 제1 연결 몸체(21) 및 제2 연결 몸체(22)로부터 분리한다.
고정 부재(33)가 제1 연결 몸체(21) 및 제2 연결 몸체(22)로부터 분리되면, 연결부(20)가 접철 가능해지므로, 연결부(20)를 중심으로 연결부(20)의 일 측에 위치하는 제1 지지 유닛(10a)과 연결부(20)의 타 측에 위치하는 제2 지지 유닛(10b)이 접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지지 유닛(10a)의 제1 지지부(11) 및 제2 지지 유닛(10b)의 제1 지지부(11) 중 적어도 하나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도 3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제1 지지 유닛(10a) 및 제2 지지 유닛(10b) 중 어느 하나가 제1 지지 유닛(10a) 및 제2 지지 유닛(10b) 중 다른 하나에 대하여 접힐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지지 유닛(10a) 및 제2 지지 유닛(10b)이 접철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커버 프레임(142)을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외력을 가함으로써, 제2 지지부(13)가 제1 지지부(11)의 내부로 인입된다.
구체적으로, 제2 이동바(132)가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제1 이동바(131)로 인입되는데, 이러한 제1 이동바(131)에 대한 제2 이동바(132)의 인입 동작은 제2 결합부(1412)의 단부가 제1 이동바(131)의 외측에 접촉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이동바(131)에 대한 제2 이동바(132)의 인입 동작이 완료되면, 제1 이동바(131)가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제1 지지부(11)로 인입된다. 이때, 제1 지지부(11)에 대한 제1 이동바(131)의 인입 동작은 제2 결합부(1412)의 단부가 손잡이부(12)의 외측에 접촉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접이식 목발(1)은 부피가 최소화되게 접힘에 따라, 접이식 목발(1)의 휴대성 및 보관성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목발의 접철 제한부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접철 제한부(30')는 제1 자성체(31), 제2 자성체(32), 고정 부재(33'), 끼움 부재(34) 및 탄성 지지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1 자성체(31) 및 제2 자성체(32)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고정 부재(33'), 끼움 부재(34) 및 탄성 지지부(35)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고정 부재(33')는 제1 연결 몸체(21') 및 제2 연결 몸체(22') 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머리부(331), 머리부(331)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둘레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부(332) 및 나사부(332)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끼움 부재(34)가 결합되는 연장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장부(333)는 나사부(332)의 외경(a)보다 작은 외경(b)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나사부(332)는 제1 연결 몸체(21') 및 제2 연결 몸체(22')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 삽입부(214)에 체결될 수 있고, 연장부(333)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연결 몸체(21') 및 제2 연결 몸체(22')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2 삽입부(215)에 삽입될 수 있으며, 연장부(333)의 나머지는 제1 연결 몸체(21') 및 제2 연결 몸체(22')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제3 삽입부(224)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삽입부(224)는 제1 삽입부(214)의 외경(d)과 동일하고, 제2 삽입부(215)의 외경(e)보다 큰 외경(f)을 가질 수 있다.
끼움 부재(34)는 제1 연결 몸체(21') 및 제2 연결 몸체(22')가 접힌 상태에서 제3 삽입부(224)에 삽입되어 제2 연결 몸체(22') 내에서 고정 부재(3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1 연결 몸체(21') 및 제2 연결 몸체(22')가 펼쳐지기 위해 고정 부재(33')가 제2 연결 몸체(22')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제1 삽입부(214)의 나사산에 걸림에 따라, 고정 부재(33')가 제1 연결 몸체(21')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끼움 부재(34)는 고정 부재(33')가 연결부(20')에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연결부(20')에 삽입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고정 부재(33')가 제1 연결 몸체(21')에 일 방향으로 삽입된 다음, 끼움 부재(34)가 제2 연결 몸체(22')에 타 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 부재(33')의 연장부(333)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끼움 부재(34)는 연장부(333)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 결합부(341) 및 끼움 결합부(341)의 둘레면의 외측에 배치되고, 후술할 탄성 지지부(35)의 지지 돌기(352)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수용홀(342)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지지부(35)는 제1 연결 몸체(21') 및 제2 연결 몸체(22')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선택적으로 복원력을 생성하는 탄성체(351) 및 탄성체(351)와 연결되고, 탄성체(351)로부터 복원력을 전달받아 끼움 부재(34)를 탄성 지지하는 지지 돌기(3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 돌기(352)는 일 예로 단부가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체(351)는 제3 삽입부(224)의 반경방향 외측에 구비되고, 제3 삽입부(224)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탄성체 수용부(225)에 수용되어 선택적으로 압축됨으로써, 복원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복원력은 탄성체(351)와 연결된 지지 돌기(352)가 끼움 부재(34)와 접촉되어 가압되는 경우 생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접철 제한부(30')에 따르면, 고정 부재(33')가 도 7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1 연결 몸체(21')의 제1 삽입부(214)와 제2 삽입부(215) 및 제2 연결 몸체(22')의 제3 삽입부(224)에 결합되고, 제2 연결 몸체(22')의 제3 삽입부(224)에 끼움 부재(34)가 삽입되어 고정 부재(33')와 결합됨에 따라, 제1 연결 몸체(21') 및 제2 연결 몸체(22')의 접힌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고정 부재(33')가 도 8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2 연결 몸체(22')의 제3 삽입부(224)로부터 이탈되기 시작하고, 고정 부재(33')가 제3 삽입부(224)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어 제1 연결 몸체(21')의 제2 삽입부(215)로 진입하면, 고정 부재(33')의 단부에 연결된 끼움 부재(34)가 제1 삽입부(214)의 나사산에 걸림에 따라, 고정 부재(33')가 제1 연결 몸체(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부재(33') 및 끼움 부재(34)가 제1 연결 몸체(21')의 내부, 예컨대, 제1 삽입부(214) 및 제2 삽입부(215)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연결 몸체(21') 및 제2 연결 몸체(22') 중 어느 하나가 제1 연결 몸체(21') 및 제2 연결 몸체(22') 중 다른 하나에 대하여 회동되어 제1 연결 몸체(21') 및 제2 연결 몸체(22')가 펼쳐진 상태를 가지게 된다. 이로써, 고정 부재(33') 및 끼움 부재(34)가 분실될 가능성이 없으며, 제1 연결 몸체(21') 및 제2 연결 몸체(22')의 접철 동작이 보다 용이하게 제한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접이식 목발 10: 지지 유닛
10a: 제1 지지 유닛 10b: 제2 지지 유닛
11: 제1 지지부 12: 손잡이부
121: 관통 삽입부 13: 제2 지지부
131: 제1 이동바 132: 제2 이동바
14: 접촉 지지부 141: 결합 프레임
1411: 제1 결합부 1412: 제2 결합부
142: 커버 프레임 1421: 보강 리브
143: 돌출 부재 20, 20': 연결부
21: 제1 연결 몸체 22: 제2 연결 몸체
211: 제1 관통홀 212: 제2 관통홀
213: 제1 홈 214: 제1 삽입부
215: 제2 삽입부 221: 제3 관통홀
222: 제4 관통홀 223: 제2 홈
224: 제3 삽입부 225: 탄성체 수용부
30, 30': 접철 제한부 31: 제1 자성체
32: 제2 자성체 33, 33': 고정 부재
331: 머리부 332: 나사부
333: 연장부 34: 끼움 부재
341: 끼움 결합부 342: 수용홀
35: 탄성 지지부 351: 탄성체
352: 지지 돌기

Claims (13)

  1.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 유닛; 및
    한 쌍의 상기 지지 유닛 사이에 구비되고, 한 쌍의 상기 지지 유닛을 접철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와 결합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지지부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와 결합되고, 사용자 및 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 가능한 접촉 지지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목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손잡이부 및 상기 접촉 지지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지지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 이동바; 및
    상기 손잡이부 및 상기 접촉 지지부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이동바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이동바를 포함하는,
    접이식 목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지지부는,
    상기 제1 이동바 및 상기 제2 이동바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결합 프레임;
    상기 결합 프레임의 외측에서 상기 결합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 프레임; 및
    상기 결합 프레임에 결합되는 돌출 부재를 포함하는,
    접이식 목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지지 유닛의 접철을 제한하는 접철 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목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이동바 및 상기 제2 이동바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제1 연결 몸체; 및
    상기 제1 이동바 및 상기 제2 이동바 중 다른 하나와 결합되고, 상기 제1 연결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연결 몸체를 포함하는,
    접이식 목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 제한부는,
    상기 제1 연결 몸체 및 상기 제2 연결 몸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 자성체;
    상기 제1 연결 몸체 및 상기 제2 연결 몸체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자성체의 극성과 다른 극성을 갖는 제2 자성체; 및
    상기 제1 연결 몸체 및 상기 제2 연결 몸체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연결 몸체 및 상기 제2 연결 몸체의 접철을 제한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접이식 목발.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프레임은,
    외측면이 상기 커버 프레임의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돌출 부재가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의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이동바 및 상기 제2 이동바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목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결합 프레임의 상기 제1 결합부를 향하는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보강 리브를 포함하는,
    접이식 목발.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 제한부는,
    상기 고정 부재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연결 몸체 및 상기 제2 연결 몸체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는 끼움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연결 몸체 및 상기 제2 연결 몸체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끼움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목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1 연결 몸체 및 상기 제2 연결 몸체 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머리부;
    상기 머리부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둘레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부; 및
    상기 나사부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끼움 부재가 결합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나사부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접이식 목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 몸체 및 상기 제2 연결 몸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나사부가 체결되는 제1 삽입부;
    상기 제1 연결 몸체 및 상기 제2 연결 몸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제2 삽입부; 및
    상기 제1 연결 몸체 및 상기 제2 연결 몸체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의 나머지가 삽입되는 제3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삽입부는 상기 제1 삽입부의 외경과 동일하고, 상기 제2 삽입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접이식 목발.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제1 연결 몸체 및 상기 제2 연결 몸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선택적으로 복원력을 생성하는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와 연결되고, 상기 탄성체로부터 상기 복원력을 전달받아 상기 끼움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지지 돌기를 포함하는,
    접이식 목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부재는 상기 제3 삽입부에 삽입되고,
    상기 연장부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 결합부; 및
    상기 끼움 결합부의 둘레면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 돌기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수용홀을 포함하는,
    접이식 목발.

KR1020190179143A 2019-12-31 2019-12-31 접이식 목발 KR102291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143A KR102291003B1 (ko) 2019-12-31 2019-12-31 접이식 목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143A KR102291003B1 (ko) 2019-12-31 2019-12-31 접이식 목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744A true KR20210085744A (ko) 2021-07-08
KR102291003B1 KR102291003B1 (ko) 2021-08-17

Family

ID=76894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9143A KR102291003B1 (ko) 2019-12-31 2019-12-31 접이식 목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0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1242B1 (ko) 2022-05-11 2024-02-27 유창근 이동과 휴대가 편리한 접이식 목발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2070A (en) * 1994-10-04 1996-01-09 Kelly; James V. Combined adjustable crutch and cane
KR20040026249A (ko) * 2002-09-23 2004-03-31 신재화 접철식 목발
JP2008142251A (ja) * 2006-12-08 2008-06-26 Yasuyoshi Saiga 歩行補助具
US20100186789A1 (en) * 2007-05-28 2010-07-29 Alfred Michael Vegvary Length Adjustable Crutch
KR20110073014A (ko) * 2009-12-23 2011-06-29 정준혁 접철식 목발
KR20120000139U (ko) * 2010-06-29 2012-01-04 배연수 의자 겸용 지팡이
KR20130001653U (ko) * 2011-09-01 2013-03-11 송재관 절첩식 보조의자 겸용 목발
KR20130077725A (ko) * 2011-12-29 2013-07-09 김명환 의자로 사용 가능한 목발
KR200482692Y1 (ko) * 2015-07-17 2017-02-22 김정태 접이식 목발
CN208863654U (zh) * 2018-07-04 2019-05-17 肇庆学院 一种便于定位的智能拐杖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2070A (en) * 1994-10-04 1996-01-09 Kelly; James V. Combined adjustable crutch and cane
KR20040026249A (ko) * 2002-09-23 2004-03-31 신재화 접철식 목발
JP2008142251A (ja) * 2006-12-08 2008-06-26 Yasuyoshi Saiga 歩行補助具
US20100186789A1 (en) * 2007-05-28 2010-07-29 Alfred Michael Vegvary Length Adjustable Crutch
KR20110073014A (ko) * 2009-12-23 2011-06-29 정준혁 접철식 목발
KR20120000139U (ko) * 2010-06-29 2012-01-04 배연수 의자 겸용 지팡이
KR20130001653U (ko) * 2011-09-01 2013-03-11 송재관 절첩식 보조의자 겸용 목발
KR20130077725A (ko) * 2011-12-29 2013-07-09 김명환 의자로 사용 가능한 목발
KR200482692Y1 (ko) * 2015-07-17 2017-02-22 김정태 접이식 목발
CN208863654U (zh) * 2018-07-04 2019-05-17 肇庆学院 一种便于定位的智能拐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1003B1 (ko) 202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6580B2 (en) Foldable bag frame and pet bag using same
KR102291003B1 (ko) 접이식 목발
US6805144B2 (en) Protective cover for umbrellas and umbrella with the protective cover fixed thereto
CN106539252B (zh) 小物件收纳具
US20150296964A1 (en) Foldable brush for cosmetic container
US20220039529A1 (en) Luggage with support
JP2017169942A (ja) 車椅子
KR200482692Y1 (ko) 접이식 목발
KR101207879B1 (ko) 자바라 훌라후프
TWI594638B (zh) 耳機
KR20170008927A (ko) 목 베개
US20130092490A1 (en) Hard luggage case
KR100960077B1 (ko)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
KR20130006785U (ko) 서포터 장치 및 이 서포터 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CN216701869U (zh) 钱包型便携式雨伞
KR200458938Y1 (ko) 독서대로 변형가능한 가방
KR102343302B1 (ko)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
US20160135557A1 (en) Collapsible umbrella case
KR20170025391A (ko) 회전형 목발
KR101796577B1 (ko) 접이식 의자를 갖는 지팡이
US20160120278A1 (en) Deformable handle-case for umbrella
US20060090299A1 (en) Device with retractable handle structure
KR200366498Y1 (ko) 우산커버가 구비된 우산
KR200494124Y1 (ko) 지갑형 휴대용 우산
KR200275642Y1 (ko) 케이스가 구비되는 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