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1242B1 - 이동과 휴대가 편리한 접이식 목발 - Google Patents

이동과 휴대가 편리한 접이식 목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1242B1
KR102641242B1 KR1020220057580A KR20220057580A KR102641242B1 KR 102641242 B1 KR102641242 B1 KR 102641242B1 KR 1020220057580 A KR1020220057580 A KR 1020220057580A KR 20220057580 A KR20220057580 A KR 20220057580A KR 102641242 B1 KR102641242 B1 KR 102641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joint
mounting
stru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7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58185A (ko
Inventor
유창근
Original Assignee
유창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창근 filed Critical 유창근
Priority to KR1020220057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242B1/ko
Publication of KR20230158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8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61H3/0244Arrangements for storing or keeping upright when not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1Size reducing arrangements when not in use, for stowing or trans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이 불편한 사용자의 겨드랑이에 끼고 걸을 수 있게 도와주는 목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겨드랑이에 견착되어 어깨를 지지하는 ㅠ형의 거치대(10); 상기 거치대(10)의 하단 양측에 수직하게 연장 연결되고, 상기 거치대(10)를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되게 지지하는 Y형의 지주(20); 상기 지주(20) 사이에 사용자의 신장에 맞춰 높낮이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하중분산과 보행조작을 유도하는 손잡이(30); 상기 지주(20)의 하단 중앙에 사용자의 신장에 맞춰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지주(20)를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완충다리(40); 상기 거치대(10)와 지주(20)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거치대(10)와 지주(20)를 서로 포개진 상태로 중첩이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접이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목발을 이루는 거치대와 지주를 분할 구성하고, 거치대와 지주를 서로 포개진 상태로 중첩되게 연결하는 접이수단을 구성함으로써, 택배에 부합하는 길이로 축소시킬 수 있음에 따라 온라인에서도 신속 간편하게 구매할 할 수 있을뿐더러 차량탑승 시에도 출입크기와 좌석공간에 적합한 길이로 축소할 수 있음에 따라 편리한 탑승과 보관이 가능하여 전반적인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과 휴대가 편리한 접이식 목발{Folding crutches for easy portability and portability}
본 발명은 보행이 불편한 사용자의 겨드랑이에 끼고 걸을 수 있게 도와주는 목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발을 이루는 거치대와 지주를 분할 구성하고, 거치대와 지주를 서로 포개진 상태로 중첩되게 연결하는 접이수단을 구성함으로써, 택배에 부합하는 길이로 축소시킬 수 있음에 따라 온라인에서도 신속 간편하게 구매할 할 수 있을 뿐더러 차량탑승 시에도 출입크기와 좌석공간에 적합한 길이로 축소할 수 있음에 따라 편리한 탑승과 보관이 가능하여 전반적인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이동과 휴대가 편리한 접이식 목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교통사고와 산업재해 등 각종 사고가 빈번해지고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장애인 보조기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사람의 손상된 신체부위를 보완해주고 일상생활에 편리함을 더해 주며, 재활능력과 삶의 질을 높이는데 장애인 보조기구의 사용은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여러 가지 장애인 보조기구 중 특히 보행 보조기구의 대표적 기능인 이동성은 자기보호, 작업과 학습, 놀이와 여가 활동과 같이 각 개인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기초적 활동과 각자의 생활영역에 꼭 필요한 기능이다.
더욱이 이동성 면에서 증가된 자립능력의 확보는 긍정적 자아개념, 사회적 상호작용과 건강유지와 같은 다른 목표를 성취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장애인 보조기구는 종류도 다양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 질에 있어서도 크게 뒤떨어져 있고 외국의 규격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장애인들의 삶의 질을 효율적으로 향상시켜 주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대표적인 보행 보조기구인 목발은 다리가 불편한 사람이 보행을 위해 겨드랑이에 끼거나 팔꿈치를 고정하고 걷는 기구로써, 일시적 장애부터 중장기적 장애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 목발 제조업체 대부분이 영세한 소규모 업체이고, 목발의 사용을 고려한 배려 없이 제작됨에 따라 그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즉, 목발은 크게 지주와 다리로 이루어지는데, 비교적 가벼운 금속재를 이용하여 다리를 제외한 지주 전체를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목발은 특성상 긴 길이로 형성될 수밖에 없으므로 차량에 승하차시 통로에 간섭될 뿐만 아니라 높이가 낮은 좌석공간에서는 다른 좌석까지 침해해서 비치해 둘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더불어 목발은 택배 사이즈에 부적합함에 따라 온라인 구매가 불가능하여 사용자의 불편이 가중됨은 물론 비대면 상황에서도 오프라인으로 구매할 수밖에 없어 감염에 따른 사용자의 건강이 우려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73014호 발명의 명칭: 접철식 목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91003호 발명의 명칭: 접이식 목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2692호 고안의 명칭: 접이식 목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목발을 이루는 거치대와 지주를 분할 구성하고, 거치대와 지주를 서로 포개진 상태로 중첩되게 연결하는 접이수단을 구성함으로써, 택배에 부합하는 길이로 축소시킬 수 있음에 따라 온라인에서도 신속 간편하게 구매할 할 수 있는 이동과 휴대가 편리한 접이식 목발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탑승 시에도 출입크기와 좌석공간에 적합한 길이로 축소할 수 있음에 따라 편리한 탑승과 보관이 가능하여 전반적인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이동과 휴대가 편리한 접이식 목발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접이수단을 조인트와 연결로드 및 고정소켓만으로 단소하게 구성함에 따라 제작비용의 절감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할 수 있을 뿐더러 작동결함이나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고정소켓을 조이고 푸는 조작만으로도 사용과 접이상태로 전환이 가능함에 따라 남녀노소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동과 휴대가 편리한 접이식 목발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보행이 불편한 사용자의 겨드랑이에 끼고 걸을 수 있게 도와주는 목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겨드랑이에 견착되어 어깨를 지지하는 ㅠ형의 거치대; 상기 거치대의 하단 양측에 수직하게 연장 연결되고, 상기 거치대를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되게 지지하는 Y형의 지주; 상기 지주 사이에 사용자의 신장에 맞춰 높낮이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하중분산과 보행조작을 유도하는 손잡이; 상기 지주의 하단 중앙에 사용자의 신장에 맞춰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지주를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완충다리; 상기 거치대와 지주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거치대와 지주를 서로 포개진 상태로 중첩이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접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접이수단은, 상기 거치대의 하단에 장착 또는 일체로 연장되고, 상기 거치대로부터 지주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을 유도하는 거치조인트; 상기 지주의 상단에 장착되고, 상기 지주로부터 거치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을 유도하는 지주조인트; 상기 거치조인트와 지주조인트에 소정범위 내에서 유동 가능하게 구속 삽입되고, 상기 거치대와 지주를 서로 겹치는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로드; 상기 거치조인트의 외측에 동심선상으로 유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지주조인트에 체결되어 거치대와 지주를 수직하게 고정하는 고정소켓;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거치조인트는, 상기 거치대의 하단에 장착 또는 일체로 연장되고, 상기 연결로드의 일단을 소정범위 내에서 유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중공형 거치몸체; 상기 거치몸체의 중앙에 소정 높이와 폭으로 절개되고, 상기 연결로드를 소정범위 내에서 전후회전과 유동이 가능하게 구속하는 각형의 거치슬릿; 상기 거치몸체의 하단 양측에 소정 길이로 돌출되고, 상기 연결로드를 소정범위 내에서 상하유동이 가능하게 구속하는 거치요크; 상기 거치요크의 외면에 상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커지는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고정소켓의 이탈을 차단하는 걸림돌부; 상기 거치요크의 하면에 소정 길이로 돌출되고, 상기 지주조인트에 삽입되어 고정소켓을 따라 거치대의 유동을 차단하는 거치돌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거치몸체는, 상기 고정소켓의 내면에 밀착되어 이탈을 차단함과 함께 동심을 유지하면서 회전하도록 하측을 향해 직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거치돌부는, 상기 지주조인트의 함몰부위에 삽입 가능한 원형 또는 각형으로 돌출되되, 상기 지주조인트의 함몰부위에 맞물리게 삽입되어 지주로부터 거치대의 유동이 차단되게 고정하는 고정돌부; 상기 고정돌부의 상측에 지주조인트와의 맞물림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고정력을 높여주는 원뿔형의 확장돌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지주조인트는, 상기 지주의 상단을 소정 깊이로 삽입 수용하는 지주몸체; 상기 지주몸체의 상단에 소정 직경으로 확장 돌출되고, 상기 고정소켓이 체결되도록 외면에 수나사가 마련된 체결몸체; 상기 체결몸체의 중앙에 소정 높이와 폭으로 절개되고, 상기 연결로드를 전후유동과 회전이 가능하게 수용하는 지주슬릿; 상기 지주슬릿의 일단에 끼움 삽입되고, 상기 지주슬릿으로부터 연결로드의 이탈을 차단하는 U형의 슬릿덮개; 상기 체결몸체의 상면에 소정 깊이로 함몰되고, 상기 거치조인트와 맞물려 고정소켓을 따라 거치대의 유동을 차단하는 지주홈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지주슬릿은, 상기 거치몸체의 상측 중앙에 소정 크기와 깊이로 함몰되고, 상기 연결로드를 전후로 유동이 가능하게 수용하는 원형의 수용홈; 상기 수용홈의 상측에 수용홈 보다 작은 폭으로 관통되고, 상기 연결로드를 전후로만 회전이 가능하게 구속하는 각형의 안내홀; 상기 수용홈의 일측에 반원형으로 확장 함몰되어 슬릿덮개를 억지끼움으로 수용하는 덮개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지주홈부는, 상기 거치조인트의 돌출부위를 수용 가능한 원형 또는 각형으로 함몰되되, 상기 거치조인트의 돌출부위가 맞물리게 수용되어 지주로부터 거치대의 유동이 차단되게 고정하는 고정홈부; 상기 고정홈부의 상측에 거치조인트와의 맞물림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고정력을 높여주는 원뿔형의 확장홈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연결로드는, 상기 거치조인트와 지주조인트에 삽입 가능한 직경과 함께 거치조인트와 지주조인트가 서로 간섭받지 않고 중첩회전이 가능한 거리로 이격시키는 길이를 갖는 연결샤프트; 상기 연결샤프트의 양단에 소정 직경으로 확장되고, 상기 거치조인트와 지주조인트에 구속 삽입되어 서로 포개진 상태로 중첩되게 힌지점을 제공하는 연결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고정소켓은, 상기 거치조인트와 지주조인트가 감싸지게 수용이 가능한 내경을 갖는 소켓몸체; 상기 소켓몸체의 상측 내면에 중심을 향해 단차지게 돌출되고, 상기 거치조인트와 맞물려 이탈을 차단하는 소켓돌부; 상기 소켓몸체의 하측 내면에 돌출되어 지주조인트에 체결되고, 상기 거치조인트와 지주조인트를 서로 압박 밀착시켜 수직상태로 고정하는 소켓나사; 상기 소켓몸체의 외면에 방사로 돌출 배열되고,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으로부터 슬립을 차단하며 회전력을 전달받는 마찰돌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본 발명은 목발을 이루는 거치대와 지주를 분할 구성하고, 거치대와 지주를 서로 포개진 상태로 중첩되게 연결하는 접이수단을 구성함으로써, 택배에 부합하는 길이로 축소시킬 수 있음에 따라 온라인에서도 신속 간편하게 구매할 할 수 있을뿐더러 차량탑승 시에도 출입크기와 좌석공간에 적합한 길이로 축소할 수 있음에 따라 편리한 탑승과 보관이 가능하여 전반적인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접이수단을 조인트와 연결로드 및 고정소켓만으로 단소하게 구성함에 따라 제작비용의 절감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할 수 있을뿐더러 작동결함이나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고정소켓을 조이고 푸는 조작만으로도 사용과 접이상태로 전환이 가능함에 따라 남녀노소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고정소켓의 조임에 따라 조인트들이 서로 맞물리면서 압박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게 구성함으로써, 거치대와 지주가 높은 강도로 긴밀하고 견고하게 연결됨에 따라 우수한 내구성으로 사용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발의 펼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발의 접이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발의 접이수단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목발의 접이수단을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수단의 거치조인트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수단의 지주조인트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수단의 연결로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수단의 고정소켓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목발의 접이과정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동과 휴대가 편리한 접이식 목발에 관한 것으로, 도 1 및 도 2처럼 거치대(10)와 지주(20) 및 손잡이(30)와 완충다리(40) 그리고 접이수단(50)을 주요 구성으로 하는 이동과 휴대가 편리한 접이식 목발이다.
먼저, 거치대(10)는 사용자의 겨드랑이에 견착되어 어깨를 지지해준다.
이러한 거치대(10)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ㅠ형으로 형성되되, 수평부위는 착용감을 높여주기 위해 연질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지주(20)는 거치대(10)의 하단 양측에 수직하게 연장 연결된다.
즉, 지주(20)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Y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거치대(10)를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되게 지지한다.
이러한 지주(20)의 측면에는 손잡이(30)와 완충다리(40)의 장착을 유도하는 복수의 연결구멍이 관통 형성된다.
이어서 손잡이(30)는 지주(20) 사이에 사용자의 신장에 맞춰 높낮이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손잡이(3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하중분산과 보행조작을 유도한다.
이러한 손잡이(30)는 지주(20) 사이에 탈/장착되는 금속로드와, 금속로드의 외면에 감싸지는 연질의 덮개로 구성된다.
그리고 완충다리(40)는 지주(20)의 하단 중앙에 사용자의 신장에 맞춰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지주(20)를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해준다.
이러한 완충다리(40)는 지주(20)의 하단 중앙에 고정 장착되는 메인다리와, 메인다리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는 조절다리 및 조절다리의 하단에 감싸지게 장착되는 완충고무로 구성된다.
접이수단(50)은 도 1처럼 거치대(10)와 지주(20) 사이에 마련되고, 도 2와 같이 거치대(10)와 지주(20)를 서로 포개진 상태로 중첩이 가능하게 연결시켜준다.
이러한 접이수단(5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조인트(51)와 지주조인트(52) 및 연결로드(53)와 고정소켓(54)으로 구성된다.
거치조인트(51)는 거치대(10)의 하단에 장착 또는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거치대(10)로부터 지주(20)를 절첩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을 유도한다.
이러한 거치조인트(51)는 도 5 및 도 6처럼 거치몸체(51a)와 거치슬릿(51b) 및 거치요크(51c)와 걸림돌부(51d) 및 거치돌부(51e)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거치몸체(51a)는 내부가 빈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거치대(10)의 하단에 장착되거나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거치몸체(51a)는 후술하는 연결로드(53)의 연결볼(53b)을 소정범위 내에서 유동 가능하게 수용한다.
여기서 거치몸체(51a)의 외면은 하측을 향해 직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거치몸체(51a)는 경사진 외면이 고정소켓(54)의 소켓돌부(54b)에 밀착되어 고정소켓(54)의 이탈을 차단해주면서도 동심을 유지하면서 회전을 유도한다.
거치슬릿(51b)은 거치몸체(51a)의 중앙에 연결로드(53)의 연결샤프트(53a)의 직경에 대응하는 폭의 각형으로 절개된다.
이러한 거치슬릿(51b)은 연결로드(53)를 소정범위 내에서 전후회전과 유동이 가능하게 구속해준다.
거치요크(51c)는 거치몸체(51a)의 하단 양측에 소정 길이로 돌출되어 연결로드(53)를 소정범위 내에서 상하유동이 가능하게 구속해준다.
즉, 거치요크(51c)는 연결샤프트(53a)의 직경에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거치몸체(51a)의 수용된 연결볼(53b)을 구속하여 이탈을 차단해준다.
걸림돌부(51d)는 거치요크(51c)의 외면에 상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커지는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다.
즉, 걸림돌부(51d)는 후술하는 고정소켓(54)의 소켓돌부(54b)에 맞물려 고정소켓(54)의 이탈을 차단해준다.
거치돌부(51e)는 거치요크(51c)의 하면에 소정 길이로 돌출되고, 후술하는 지주조인트(52)의 지주홈부(52c)에 삽입되어 고정소켓(54)을 따라 거치대(10)의 유동이 차단되게 고정해준다.
즉, 거치돌부(51e)는 고정소켓(54)이 지주조인트(52)와 체결이 해제된 상태에서도 지주(10)로부터 거치대(10)의 유동을 차단시켜준다.
그리고 고정소켓(54)이 지주조인트(52)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고정소켓(54)을 따라 동반 회전하는 것을 차단시켜준다.
이러한 거치돌부(51e)는 지주홈부(52c)에 삽입 가능한 원형 또는 각형으로 돌출되되, 고정돌부(51e-1)와 확장돌부(51e-2)로 구분되게 형성할 수 있다.
고정돌부(51e-1)는 소정 길이로 수직하게 돌출된 것으로, 후술하는 지주홈부(52c)에 삽입되어 지주(20)로부터 거치대(10)의 유동이 차단되게 고정시켜준다.
확장돌부(51e-2)는 고정돌부(51e-1)의 상측에 원뿔형으로 확장 돌출되어 지주홈부(52c)와의 맞물림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고정력을 높여준다.
지주조인트(52)는 도 3 및 도 4처럼 지주(20)의 상단에 장착되어 지주(20)로부터 거치대(10)를 절첩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을 유도한다.
이러한 지주조인트(52)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몸체(52a)와 체결몸체(52b) 및 지주슬릿(52c) 그리고 지주홈부(52e)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고, 슬릿덮개(52d)가 부가 장착된다.
지주몸체(52a)는 지주(20) 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하측으로 개구된 연결홈이 함몰 형성되어 지주(20)의 상단을 소정 깊이로 삽입 수용한다.
체결몸체(52b)는 지주몸체(52a)가 감싸지게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소정 직경으로 돌출 형성되고, 고정소켓(54)이 체결되도록 외면에 수나사가 형성된다.
지주슬릿(52c)은 체결몸체(52b)의 중앙에 소정 높이와 폭으로 절개되어 연결로드(53)를 전후유동과 회전이 가능하게 수용한다.
이러한 지주슬릿(52c)은 원형의 수용홈(52c-1)과 각형의 안내홀(52c-2) 및 U형의 덮개홈(52c-3)으로 이루어진다.
수용홈(52c-1)은 거치몸체(51a)의 상측 중앙에 연결로드(53)의 연결볼(53b)을 전후로 유동이 가능하게 수용한다.
안내홀(52c-2)은 수용홈(52c-1)의 상측에 수용홈(52c-1) 보다 작은 폭 즉, 연결샤프트(53a)의 직경에 대응하는 폭의 각형으로 절개된다.
즉, 안내홀(52c-2)은 연결샤프트(53a)가 전후로만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볼(53b)을 구속한다.
덮개홈(52c-3)은 수용홈(52c-1)의 일측에 반원형으로 확장 함몰되어 슬릿덮개(52d)를 억지끼움으로 수용한다.
슬릿덮개(52d)는 수용홈(52c-1)의 일단에 끼움 삽입되어 수용홈(52c-1)으로부터 연결볼(53b)의 이탈을 차단시켜준다.
즉, 슬릿덮개(52d)는 수용홈(52c-1)에 탈착되어 연결로드(53)의 연결과 함께 필요에 따라 분리되게 해준다.
지주홈부(52e)는 체결몸체(52b)의 상면에 소정 깊이로 함몰되고, 거치돌부(51e)와 맞물려 고정소켓(54)을 따라 거치대(10)의 유동이 차단되게 고정해준다.
이러한 지주홈부(52e)는 거치돌부(51e)를 수용 가능한 원형 또는 각형으로 함몰되되, 고정홈부(52e-1)와 확장홈부(52e-2)로 구분되게 형성된다.
고정홈부(52e-1)는 소정 깊이로 수직하게 함몰된 것으로, 거치돌부(51e)와 맞물리게 수용되어 지주(20)로부터 거치대(10)의 유동이 차단되게 고정시켜준다.
확장홈부(52e-2)는 고정홈부(52e-1)의 상측에 원뿔형으로 확장 함몰되어 거치돌부(51e)와의 맞물림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고정력을 높여주고, 거치돌부(51e)가 고정홈부(52e-1)에 삽입되게 안내해준다.
연결로드(53)는 도 3 및 도 4처럼 거치조인트(51)와 지주조인트(52)에 소정범위 내에서 유동 가능하게 구속 삽입된다.
즉, 연결로드(53)는 거치대(10)와 지주(20)를 서로 겹치는 절첩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시켜준다.
이러한 연결로드(5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샤프트(53a)와 연결볼(53b)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연결샤프트(53a)는 거치조인트(51)와 지주조인트(52)에 삽입 가능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샤프트(53a)는 거치조인트(51)와 지주조인트(52)가 서로 간섭받지 않고 절첩 회전에 간섭되지 않는 거리로 이격시키는 길이로 형성된다.
연결볼(53b)은 연결샤프트(53a)의 양단에 소정 직경으로 확장 돌출되고, 거치조인트(51)와 지주조인트(52)에 각각 구속 삽입되어 서로 포개진 상태로 중첩되게 힌지점을 제공한다.
고정소켓(54)은 도 3 및 도 4처럼 거치조인트(51)의 외측에 동심선상으로 유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고정소켓(54)은 지주조인트(52)에 체결되어 거치대(10)와 지주(20)를 수직하게 고정시켜준다.
이러한 고정소켓(54)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몸체(54a)와 소켓돌부(54b) 및 소켓나사(54c)와 마찰돌부(54d)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소켓몸체(54a)는 거치조인트(51)와 지주조인트(52)가 감싸지게 수용이 가능한 내경을 갖는 중공형으로 형성된다.
소켓돌부(54b)는 소켓몸체(54a)의 상측 내면에 중심을 향해 단차지게 돌출 형성된다.
즉, 소켓돌부(54b)는 걸림돌부(51d)와 맞물려 거치조인트(51)로부터 이탈을 차단해준다.
여기서 소켓돌부(54b)의 내면은 거치조인트(51)와 동심을 유지하면서 회전하도록 거치몸체(51a)의 외면에 대응하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켓나사(54c)는 소켓몸체(54a)의 하측 내면에 돌출되어 지주조인트(52)의 체결몸체(52b)에 체결된다.
이러한 소켓나사(54c)는 거치조인트(51)와 지주조인트(52)를 서로 압박 밀착시켜 수직상태로 고정해준다.
마찰돌부(54d)는 소켓몸체(54a)의 외면에 방사로 돌출 배열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으로부터 슬립을 차단하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목발의 접이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1과 같이 고정소켓(54)을 왼쪽으로 풀어 지주조인트(52)와의 체결을 해제한다.
그리고 도 12와 같이 거치대(10)를 상측으로 살짝 들어 준 다음 우측 또는 좌측을 향해 놓아두면 자연스럽게 접어지게 된다.
이러한 목발을 사용 상태로 전환시킬 경우에는 전술한 과정을 역으로 실시하면 된다.
즉, 도 12와 같이 접어진 거치대(10)를 지주(20)와 수직하게 세워서 하측으로 살짝 눌러 준 다음 고정소켓(54)을 오른쪽으로 조여 지주조인트(52)와 체결시켜주면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거치대
20: 지주
30: 손잡이
40: 완충다리
50: 접이수단
51: 거치조인트
51a: 거치몸체
51b: 거치슬릿
51c: 거치요크
51d: 걸림돌부
51e: 거치돌부
51e-1: 고정돌부
51e-2: 확장돌부
52: 지주조인트
52a: 지주몸체
52b: 체결몸체
52c: 지주슬릿
52c-1: 수용홈
52c-2: 안내홀
52c-3: 덮개홈
52d: 슬릿덮개
52e: 지주홈부
52e-1: 고정홈부
52e-2: 확장홈부
53: 연결로드
53a: 연결샤프트
53b: 연결볼
54: 고정소켓
54a: 소켓몸체
54b: 소켓돌부
54c: 소켓나사
54d: 마찰돌부

Claims (7)

  1. 보행이 불편한 사용자의 겨드랑이에 끼고 걸을 수 있게 도와주는 목발에 있어서,
    사용자의 겨드랑이에 견착되어 어깨를 지지하는 ㅠ형의 거치대(10);
    상기 거치대(10)의 하단 양측에 수직하게 연장 연결되고, 상기 거치대(10)를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되게 지지하는 Y형의 지주(20);
    상기 지주(20) 사이에 사용자의 신장에 맞춰 높낮이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하중분산과 보행조작을 유도하는 손잡이(30);
    상기 지주(20)의 하단 중앙에 사용자의 신장에 맞춰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지주(20)를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완충다리(40);
    상기 거치대(10)와 지주(20)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거치대(10)와 지주(20)를 서로 포개진 상태로 중첩이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접이수단(50);
    을 포함하여,
    상기 접이수단(50)은,
    상기 거치대(10)의 하단에 장착 또는 일체로 연장되고, 상기 거치대(10)로부터 지주(2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을 유도하는 거치조인트(51);
    상기 지주(20)의 상단에 장착되고, 상기 지주(20)로부터 거치대(1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을 유도하는 지주조인트(52);
    상기 거치조인트(51)와 지주조인트(52)에 소정범위 내에서 유동 가능하게 구속 삽입되고, 상기 거치대(10)와 지주(20)를 서로 겹치는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로드(53);
    상기 거치조인트(51)의 외측에 동심선상으로 유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지주조인트(52)에 체결되어 거치대(10)와 지주(20)를 수직하게 고정하는 고정소켓(54);으로 구성되고,
    상기 거치조인트(51)는,
    상기 거치대(10)의 하단에 장착 또는 일체로 연장되고, 상기 연결로드(53)의 일단을 소정범위 내에서 유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중공형 거치몸체(51a);
    상기 거치몸체(51a)의 중앙에 소정 높이와 폭으로 절개되고, 상기 연결로드(53)를 소정범위 내에서 전후회전과 유동이 가능하게 구속하는 각형의 거치슬릿(51b);
    상기 거치몸체(51a)의 하단 양측에 소정 길이로 돌출되고, 상기 연결로드(53)를 소정범위 내에서 상하유동이 가능하게 구속하는 거치요크(51c);
    상기 거치요크(51c)의 외면에 상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커지는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고정소켓(54)의 이탈을 차단하는 걸림돌부(51d);
    상기 거치요크(51c)의 하면에 소정 길이로 돌출되고, 상기 지주조인트(52)에 삽입되어 고정소켓(54)을 따라 거치대(10)의 유동을 차단하는 거치돌부(51e);
    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과 휴대가 편리한 접이식 목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몸체(51a)는,
    상기 고정소켓(54)의 내면에 밀착되어 이탈을 차단함과 함께 동심을 유지하면서 회전하도록 하측을 향해 직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과 휴대가 편리한 접이식 목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돌부(51e)는,
    상기 지주조인트(52)의 함몰부위에 삽입 가능한 원형 또는 각형으로 돌출되되, 상기 지주조인트(52)의 함몰부위에 맞물리게 삽입되어 지주(20)로부터 거치대(10)의 유동이 차단되게 고정하는 고정돌부(51e-1);
    상기 고정돌부(51e-1)의 상측에 지주조인트(52)와의 맞물림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고정력을 높여주는 원뿔형의 확장돌부(51e-2);
    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과 휴대가 편리한 접이식 목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조인트(52)는,
    상기 지주(20)의 상단을 소정 깊이로 삽입 수용하는 지주몸체(52a);
    상기 지주몸체(52a)의 상단에 소정 직경으로 확장 돌출되고, 상기 고정소켓(54)이 체결되도록 외면에 수나사가 마련된 체결몸체(52b);
    상기 체결몸체(52b)의 중앙에 소정 높이와 폭으로 절개되고, 상기 연결로드(53)를 전후유동과 회전이 가능하게 수용하는 지주슬릿(52c);
    상기 지주슬릿(52c)의 일단에 끼움 삽입되고, 상기 지주슬릿(52c)으로부터 연결로드(53)의 이탈을 차단하는 U형의 슬릿덮개(52d);
    상기 체결몸체(52b)의 상면에 소정 깊이로 함몰되고, 상기 거치조인트(51)와 맞물려 고정소켓(54)을 따라 거치대(10)의 유동을 차단하는 지주홈부(52e);
    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과 휴대가 편리한 접이식 목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주슬릿(52c)은,
    거치몸체(51a)의 상측 중앙에 소정 크기와 깊이로 함몰되고, 상기 연결로드(53)를 전후로 유동이 가능하게 수용하는 원형의 수용홈(52c-1);
    상기 수용홈(52c-1)의 상측에 수용홈(52c-1) 보다 작은 폭으로 관통되고, 상기 연결로드(53)를 전후로만 회전이 가능하게 구속하는 각형의 안내홀(52c-2);
    상기 수용홈(52c-1)의 일측에 반원형으로 확장 함몰되어 슬릿덮개(52d)를 억지끼움으로 수용하는 덮개홈(52c-3);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주홈부(52e)는,
    상기 거치조인트(51)의 돌출부위를 수용 가능한 원형 또는 각형으로 함몰되되, 상기 거치조인트(51)의 돌출부위가 맞물리게 수용되어 지주(20)로부터 거치대(10)의 유동이 차단되게 고정하는 고정홈부(52e-1);
    상기 고정홈부(52e-1)의 상측에 거치조인트(51)와의 맞물림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고정력을 높여주는 원뿔형의 확장홈부(52e-2);
    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과 휴대가 편리한 접이식 목발.
KR1020220057580A 2022-05-11 2022-05-11 이동과 휴대가 편리한 접이식 목발 KR102641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580A KR102641242B1 (ko) 2022-05-11 2022-05-11 이동과 휴대가 편리한 접이식 목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580A KR102641242B1 (ko) 2022-05-11 2022-05-11 이동과 휴대가 편리한 접이식 목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8185A KR20230158185A (ko) 2023-11-20
KR102641242B1 true KR102641242B1 (ko) 2024-02-27

Family

ID=88974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580A KR102641242B1 (ko) 2022-05-11 2022-05-11 이동과 휴대가 편리한 접이식 목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12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7480A (en) 1982-07-08 1984-03-20 Husa Emmett O Mechanism for tightening and reinforcing the joint of a folding structure
CN201468223U (zh) 2009-07-15 2010-05-19 俞振贤 一种多功能拐杖
US8950415B1 (en) 2012-05-25 2015-02-10 Barry Spletzer Crutch system
CN208770323U (zh) * 2018-04-23 2019-04-23 中山市福仕得健身器材有限公司 三合一折叠腋下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3014A (ko) 2009-12-23 2011-06-29 정준혁 접철식 목발
KR200482692Y1 (ko) 2015-07-17 2017-02-22 김정태 접이식 목발
KR102291003B1 (ko) 2019-12-31 2021-08-17 김동길 접이식 목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7480A (en) 1982-07-08 1984-03-20 Husa Emmett O Mechanism for tightening and reinforcing the joint of a folding structure
CN201468223U (zh) 2009-07-15 2010-05-19 俞振贤 一种多功能拐杖
US8950415B1 (en) 2012-05-25 2015-02-10 Barry Spletzer Crutch system
CN208770323U (zh) * 2018-04-23 2019-04-23 中山市福仕得健身器材有限公司 三合一折叠腋下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8185A (ko) 202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0242B2 (en) Posterior walker
US4272071A (en) Walker apparatus
US20150048598A1 (en) Walker Device with Air Tank Holder
US20070012345A1 (en) Lower limb-support ambulatory device
US9974367B2 (en) Base structure for walking stick
CN201855401U (zh) 易拆可折叠拐杖
KR102641242B1 (ko) 이동과 휴대가 편리한 접이식 목발
US20120086257A1 (en) Orthopedic foot support for salon chair
JP3873076B2 (ja) 義足
CN202568757U (zh) 一种易拆便携拐杖
WO2017083222A1 (en) Mobility assistance device
CA2466963C (fr) Marchette ajustable
JP3205931U (ja) 荷重支持具及び抱っこ紐用の荷重支持具
EP3089613B1 (en) Portable securing device
KR101709613B1 (ko) 웨어러블 크러치
US20050109379A1 (en) Lower leg crutch
US20060118154A1 (en) Crutches that convert into canes and methods for conversion of same
KR100934193B1 (ko) 유아용 보행 보조구
JP2003061721A (ja) 携帯用椅子兼用杖
US20150342821A1 (en) Vaulting mono-crutch
KR200462860Y1 (ko) 의자 겸용 지팡이
KR101260747B1 (ko) 휴대용 결합식 목발
KR200181064Y1 (ko) 의자겸용 지팡이
JPH0321604Y2 (ko)
JP2020054682A (ja) 杖の装着座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