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302B1 -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 - Google Patents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302B1
KR102343302B1 KR1020190138096A KR20190138096A KR102343302B1 KR 102343302 B1 KR102343302 B1 KR 102343302B1 KR 1020190138096 A KR1020190138096 A KR 1020190138096A KR 20190138096 A KR20190138096 A KR 20190138096A KR 102343302 B1 KR102343302 B1 KR 102343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ling
length
coupling
hair roll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2052A (ko
Inventor
김나경
김세례
손채현
박대원
Original Assignee
김나경
김세례
손채현
주식회사 다윈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나경, 김세례, 손채현, 주식회사 다윈테크 filed Critical 김나경
Priority to KR1020190138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302B1/ko
Publication of KR20210052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12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 A45D2/24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of multi-part type, e.g. with sliding parts other than for fastening
    • A45D2/2457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of multi-part type, e.g. with sliding parts other than for fastening with slid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12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 A45D2/14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of single-piece type, e.g. stiff rods or tubes with or without cord, band, or the like as hair-fastening means
    • A45D2/145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of single-piece type, e.g. stiff rods or tubes with or without cord, band, or the like as hair-fastening means with radial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12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 A45D2/24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of multi-part type, e.g. with sliding parts other than for fastening
    • A45D2/2464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of multi-part type, e.g. with sliding parts other than for fastening tube-like
    • A45D2/2471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of multi-part type, e.g. with sliding parts other than for fastening tube-like comprising bristles
    • A45D2/2478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of multi-part type, e.g. with sliding parts other than for fastening tube-like comprising bristles comprising hooks, e.g. hook and loop-type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36Hair curlers or hair winders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drying means, e.g. electric, using chemical reaction
    • A45D2/367Hair curlers or hair winders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drying means, e.g. electric, using chemical reaction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02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calp, i.e. steep-curlers
    • A45D2002/025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calp, i.e. steep-curlers lengthwise expandable, collapsible or adjustable, e.g. telescopic

Landscapes

  • Hair Cur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가 용이하고 외부 물건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은,
제1 길이로 압축된 상태와 제2 길이로 신장된 상태로 상호 전환 가능하며, 휴대시에는 상기 제1 길이로 압축된 상태가 되고, 사용시에는 상기 제2 길이로 신장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헤어를 말아서 감는 컬링부; 및, 상기 컬링부의 양단에 형성되며, 사용시에는 일방향으로 펼쳐지며, 휴대시에는 상기 일방향과 반대 방향인 타방향으로 접혀지면서 상기 제1 길이로 압축된 컬링부를 감싸는 접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 {Portable folding hair roll}
본 발명은 헤어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시에는 길이가 늘어나서 사용자의 헤어를 감아서 컬링할 수 있고, 휴대시에는 길이가 줄어서 용이하게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는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재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하는 것일 뿐, 종래 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헤어롤은 머리를 롤처럼 말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미용도구로, 여러가지의 종류가 있지만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제품이 많이 있으며 스펀지로 제작된 경우도 있다. 얇은 헤어롤과 두꺼운 헤어롤이 있어 뽀글뽀글하게 하고 싶다면 얇은 것을 사용하고 볼륨감 있게 하고 싶다면 두꺼운 것을 사용하여 다양한 연출을 할 수 있다.
헤어롤에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다. 일예로, 찍찍이 타입이나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어 뚜껑 역할을 하는 깍지로 고정시킬 수 있는 플라스틱 타입 등이 있다.
도 1의 (가) 내지 (라)는 기존 헤어롤들을 보여주는 예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원통형의 몸통 안쪽에 알루미늄 열선이 들어 있고 바깥쪽에 부직포가 붙어 있는 열전도 헤어롤에 해당한다. (나)는 일반적인 플라스틱 타입의 헤어롤에 해당하고, (다)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원통형의 몸통 바깥에 벨크로가 붙어 있는 찍찍이 타입의 헤어롤에 해당한다. (라)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헤어롤에 해당한다.
이러한 기존의 헤어롤들은 어느 정도 부피를 차지하여 주된 사용자인 여성의 핸드백에 휴대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설사 핸드백에 휴대하는 경우라도, 헤어를 감는 부위가 아무런 보호없이 외부에 노출되어 핸드백 내의 다른 물건들이 직접 접촉하게 되어 헤어롤의 손상을 초래하고, 접촉된 다른 물건 또한 손상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75072(2018.07.04.)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6595(2016.08.02)호
본 발명은 휴대가 용이하고 외부 물건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은,
제1 길이로 압축된 상태와 제2 길이로 신장된 상태로 상호 전환 가능하며, 휴대시에는 상기 제1 길이로 압축된 상태가 되고, 사용시에는 상기 제2 길이로 신장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헤어를 말아서 감는 컬링부; 및, 상기 컬링부의 양단에 형성되며, 사용시에는 일방향으로 펼쳐지며, 휴대시에는 상기 일방향과 반대 방향인 타방향으로 접혀지면서 상기 제1 길이로 압축된 컬링부를 감싸는 접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에 있어서, 상기 컬링부는, 서로 끼워져서 상기 제1 길이 및 제2 길이로 상호 전환 가능한 한 쌍의 컬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컬링부재는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헤어를 고정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컬링부재의 단부에는 내측으로 연장되며 결합구가 형성된 환형의 걸림턱을 구비하며, 상기 접이부에는 상기 결합구에 끼워지는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에 있어서, 상기 컬링부의 내측 공간에 형성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컬링부와 동기화되어 제1 길이로 압축된 상태와 제2 길이로 신장된 상태로 상호 전환 가능하며, 서로 끼워져서 제1 길이 및 제2 길이로 상호 전환 가능한 한 쌍의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의 단부는 외측으로 연장되며 결합구가 형성된 환형의 걸림턱을 구비하며, 상기 접이부는 상기 결합구에 끼워지는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에 있어서, 상기 컬링부의 양단에 형성되며, 상기 컬링부와 상기 접이부와 상기 지지부를 결합하는 결합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에 있어서, 상기 결합판은 중심에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과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면에는 체결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접이부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구와 상기 고정홈에 끼워지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구와 상기 결합홈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고정홈에 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에 있어서, 외부의 전원을 인가받아서 열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열을 상기 컬링부로 전달하는 전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른 구현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컬링부를 압축/신장할 수 있고, 접이부를 접어서 컬링부를 감싸는 형태로 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헤어롤의 부피가 감소하여 사용자는 부담없이 헤어롤을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상태에서 컬링부는 접이부에 의해 감싸지므로, 외부의 물질이 컬링부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컬링부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헤어롤들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의 일부가 절개되어 도시된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의 일부가 절개되어 도시된 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에 삽입되는 전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의 사용 상태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을 설명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의 일부가 절개되어 도시된 절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은, 컬링부(100)와 접이부(200)를 포함한다.
컬링부(100)는 경질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제1 길이로 압축된 상태와 제2 길이로 신장된 상태로 상호 전환 가능하다. 컬링부(100)는 휴대시에는 제1 길이로 압축된 상태가 되고, 사용시에는 제2 길이로 신장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헤어를 말아서 감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컬링부(100)는 서로 끼워져서 제1 길이 및 제2 길이로 상호 전환 가능한 한 쌍의 컬링부재(110, 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컬링부재(110, 12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컬링부재(110, 120)는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가이드 홈(130)이 형성되고, 컬링부재(110, 120)의 외주면에는 헤어를 고정하기 위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컬링부재에 형성된 가이드 홈(130)에 나머지 컬링부재가 끼워지고, 사용자가 두 컬링부재를 밀면 제1 길이로 압축되고, 두 컬링부재를 당기면 제2 길이로 신장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컬링부재(110, 120)의 단부는 소정 길이로 내측으로 연장되는 환형의 걸림턱(111)을 구비하며, 환형의 걸림턱 일부에는 결합구(112)이 형성된다. 결합구(112)에는 후술하는 접이부(200)의 결합돌기(210)가 끼워져서 접이부(200)와 컬링부(100)가 결합되도록 한다.
접이부(200)는 컬링부(100)의 양단에, 연질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접이부(2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일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와 타방향으로 접혀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일방향”은 컬링부(100)가 제2 길이로 신장되는 방향이고, “타방향”은 컬링부(100)가 제1 길이로 압축되는 방향이다.
접이부(200)는 소정의 형상, 예를 들어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컬링부(100)와 접촉하는 접촉면(201)에 결합돌기(210)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210)의 끝단은 결합돌기(210)의 반경보다 큰 반경을 갖는 반구 형상의 결합돌기 헤드(211)가 형성될 수 있다. 접이부(200)의 접촉면(201)은 단차를 구비하여, 접이부(200)가 펼쳐진 상태에서 접혀진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결합돌기(210)는 컬링부(100)의 결합구(112)에 끼워져서 접이부(200)와 컬링부(100)가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결합돌기 헤드(211)는 결합구(112)의 반경 보다 큰 반경을 가지나, 결합돌기 헤드(211)는 연질 플라스틱이므로,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구(112)에 끼워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의 일부가 절개되어 도시된 절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은, 컬링부(100)와 접이부(200)와 지지부(3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컬링부(100)를 구성하는 컬링부재(110, 120)의 단부에 환형의 걸림턱(111)을 구비하지 않는 점에서 차이가 있고, 나머지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접이부(200)의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컬링부(100)의 내측 공간에 형성되는 지지부(300)를 더 포함한다.
지지부(300)는 경질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컬링부(100)의 압축/신장 상태와 동기화되어 제1 길이로 압축된 상태와 제2 길이로 신장된 상태로 상호 전환 가능하다.
지지부(300)는 컬링부(100)가 제2 길이로 신장되었을 때, 컬링부(100)의 내측 공간에서 컬링부(100)를 수평 방향으로 견고하게 지지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사용시, 사용자 헤어에 의한 하중/압력 등에 의해 컬링부(100)가 내측 방향으로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300)는 서로 끼워져서 제1 길이 및 제2 길이로 상호 전환 가능한 한 쌍의 지지부재(310, 3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부재(310, 320)는 컬링부재(110, 120) 보다 직경이 작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컬링부재(110, 120)의 내측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310, 320)의 단부는 소정 길이로 외측(컬링부재가 있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의 걸림턱(311)을 구비하며, 환형의 걸림턱(311) 일부에는 결합구(312)이 형성된다. 결합구(312)에는 접이부(200)의 결합돌기(210)가 끼워져서 접이부(200)와 지지부(300)가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접이부(200)는 지지부(300)와 접촉하는 접촉면(202)에 결합돌기(210)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210)의 끝단은 결합돌기(210)의 반경보다 큰 반경을 갖는 반구 형상의 결합돌기 헤드(211)가 형성될 수 있다. 접이부(200)의 접촉면(202)은 단차를 구비하여, 접이부(200)가 펼쳐진 상태에서 접혀진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결합돌기(210)는 지지부(300)의 결합구(312)에 끼워져서 접이부(200)와 지지부(300)가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결합돌기 헤드(211)는 결합구(312)의 반경 보다 큰 반경을 가지나, 결합돌기 헤드(211)는 연질 플라스틱이므로,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구(312)에 끼워질 수 있다.
제1 지지부재(310)는 제2 지지부재(320) 보다 큰 반경을 갖는 원통 형상이며, 외주면에는 슬라이딩 홈(313, 도 6 참조)이 형성된다. 제2 지지부재(320)는 제1 지지부재(310)에 슬라이딩되도록 작은 반경을 가지며, 외주면에는 슬라이딩 돌기(323, 도 6 참조)가 형성된다. 슬라이딩 돌기(323)는 슬라이딩 홈(313)에 삽입된다.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컬링부(100)가 압축/신장되면, 컬링부(100)의 단부에 위치한 접이부(200)가 압축/신장되고, 접이부(200)의 압축/신장에 따라 접이부(200)와 결합된 제2 지지부재(320)에 형성된 슬라이딩 돌기(323)는 제1 지지부재(310)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313)을 따라 이동하면서 지지부(300)도 압축/신장된다. 설계에 따라, 제1 지지부재(310)의 내측에 슬라이딩 돌기(미도시)가 형성되고, 제2 지지부재(320)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은, 컬링부(100)와 접이부(200)와 지지부(300)와 결합판(4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컬링부(100)의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컬링부(100)를 구성하는 컬링부재(110, 120)의 단부에 환형의 걸림턱(111)을 구비하지 않는 점에서 차이가 있고, 나머지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접이부(200)의 구성은 전술한 제1 또는 제2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부(300)는 전술한 제2 실시예와 유사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재(310, 320)의 단부에 형성된 환형의 걸림턱(311)을 구비하지 않고, 지지부재(310, 320)의 단부면에 형성된 체결부재(330)를 포함한다. 체결부재(330)는 일자(-) 형상의 헤드(331)와 수직 방향의 레그(332)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T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결합판(400)은 컬링부(100), 접이부(200), 지지부(300)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결합판(400)은 컬링부(100)의 양단에 형성된다. 결합판(400)은 컬링부재(110, 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결합판(400)은 결합홈(410)과 고정홈(420)을 포함한다. 결합홈(410)은 결합판(400)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고, 고정홈(420)은 결합홈(410)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410)은 십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홈(420)은 일자(-) 형상 또는 일정한 곡률을 갖는 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330)는 접이부(200)에 형성된 체결구(220)와 결합판(400)에 형성된 결합홈(410)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결합홈(410)에 삽입된 후, 소정 각도(90도)로 회전될 수 있다. (체결부재(330) 회전시 지지부재도 함께 회전함) 그 결과, 결합홈(410)에는 지지부(300)의 체결부재(330)가 끼워지고, 고정홈(420)에는 접이부(200)의 결합돌기(210)가 끼워져서 컬링부(100), 접이부(200), 지지부(300)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에 삽입되는 전열부에 대해 설명한다.
전열부(500)는 외부의 전원을 인가받아서 열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열을 컬링부(100)로 전달한다. 전열부(500)는 PCB 기판(510)과, 외부 전원을 인가받는 USB 포트(520)와, PCB 기판(510)과 연결되며 열을 발생시키는 열선(미도시)과, 열선(미도시)에서 발생된 열을 컬링부(100)로 전달하는 열전달 필름(미도시)을 포함한다.
PCB 기판(510)에는 열선(미도시)을 통해 전류를 흘리게 하는 회로 패턴이 형성된다. USB 포트(520)에는 상용되는 보조 배터리의 케이블이 끼워져서 전열부(5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열선(미도시)을 흐르는 전류는 열선의 저항에 의해 열이 발생하고, 발생된 열은 은박지와 같은 열전달 필름(미도시)을 통해 복사 가열 방식으로 컬링부(100)로 전달된다.
전열부(5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 부재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 전열부(500)는 컬링부(1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고, 전술한 제2 및 제3 실시예에서 전열부(500)는 지지부(3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전열부(500)가 지지부(3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한편, 상기의 실시예들에서 열전달 필름(미도시)은 컬링부재(110, 120)의 내주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컬링부재(110, 120)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열선(미도시)은 열전달 필름(미도시)과 접촉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은 그 내부에 전열부(500)를 배치하여, 헤어롤 사용시 헤어가 얽히거나 헤어를 고정하는 돌기에 먼지 등이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의 사용 상태를 설명한다. 도 9는 사용을 위해 헤어롤이 신장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10은 헤어롤이 압축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11은 휴대 및 보관을 위해 헤어롤의 접이부가 접혀진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헤어롤을 사용하기 위해 컬링부(100) 또는 접이부(200)를 잡고 양 방향으로 당기면, 컬링부(100)는 제2 길이로 신장되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컬링부(100)에 헤어를 말아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헤어롤 사용을 마친 후, 컬링부(100) 또는 접이부(200)를 잡고 안쪽으로 밀면, 컬링부(100)는 제1 길이로 압축된다.
압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접이부(200)를 반대 방향으로 접으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링부(100)의 양단에 있는 접이부(200)가 접혀지면서 제1 길이로 압축된 컬링부(100)를 감싸는 형태로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에 의하면, 컬링부를 압축/신장할 수 있고, 접이부를 접어서 컬링부를 감싸는 형태로 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헤어롤의 부피가 감소하여 사용자는 부담없이 헤어롤을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상태에서 컬링부는 접이부에 의해 감싸지므로, 외부의 물질이 컬링부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컬링부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컬링부 110, 120 : 컬링부재
200 : 접이부 210 : 결합돌기
300 : 지지부 310, 320 : 지지부재
330 : 체결부재 400 : 결합판
410 : 결합홈 420 : 고정홈
500 : 전열부

Claims (8)

  1.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헤어를 고정하는 돌기가 형성되며, 서로 끼워져서 제1 길이로 압축된 상태와 제2 길이로 신장된 상태로 상호 전환 가능한 한 쌍의 컬링부재를 포함하며, 휴대시에는 상기 제1 길이로 압축된 상태가 되고, 사용시에는 상기 제2 길이로 신장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헤어를 말아서 감는 컬링부; 및,
    상기 컬링부의 양단에 연질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사용시에는 상기 컬링부가 상기 제2 길이로 신장되는 일방향으로 펼쳐지며, 휴대시에는 상기 컬링부가 상기 제1 길이로 압축되는 타방향으로 접혀지면서 상기 제1 길이로 압축된 컬링부를 감싸는 접이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컬링부재의 단부에는 내측으로 연장되며 결합구가 형성된 환형의 걸림턱을 구비하며,
    상기 접이부에는 상기 결합구에 끼워지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컬링부의 내측 공간에 형성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컬링부와 동기화되어 제1 길이로 압축된 상태와 제2 길이로 신장된 상태로 상호 전환 가능하며, 서로 끼워져서 제1 길이 및 제2 길이로 상호 전환 가능한 한 쌍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의 단부는 외측으로 연장되며 결합구가 형성된 환형의 걸림턱을 구비하며,
    상기 접이부는 상기 결합구에 끼워지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컬링부의 양단에 형성되며, 상기 컬링부와 상기 접이부와 상기 지지부를 결합하는 결합판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결합판은 중심에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과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면에는 체결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접이부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구와 상기 고정홈에 끼워지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구와 상기 결합홈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고정홈에 끼워지는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
  8. 청구항 1,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컬링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외부의 전원을 인가받아서 열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열을 상기 컬링부로 전달하는 전열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
KR1020190138096A 2019-10-31 2019-10-31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 KR102343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096A KR102343302B1 (ko) 2019-10-31 2019-10-31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096A KR102343302B1 (ko) 2019-10-31 2019-10-31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052A KR20210052052A (ko) 2021-05-10
KR102343302B1 true KR102343302B1 (ko) 2021-12-24

Family

ID=75918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096A KR102343302B1 (ko) 2019-10-31 2019-10-31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3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4493B1 (ko) * 2021-06-18 2023-06-15 추주영 신축식 헤어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3946B1 (en) 2000-05-11 2002-04-02 James W. Sumner Longitudinally adjustable permanent wave rods
KR101561294B1 (ko) 2015-08-27 2015-10-26 정향옥 퍼머롯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440U (ko) * 2011-01-19 2012-07-27 김창수 다기능 원추형 디지털 발열롯드
KR20170096840A (ko) * 2016-02-17 2017-08-25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헤어 롤
KR101646595B1 (ko) 2016-04-22 2016-08-09 주식회사 투씨오 전기 헤어롤
KR101931996B1 (ko) 2016-12-26 2018-12-24 유닉스전자 주식회사 전열 헤어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3946B1 (en) 2000-05-11 2002-04-02 James W. Sumner Longitudinally adjustable permanent wave rods
KR101561294B1 (ko) 2015-08-27 2015-10-26 정향옥 퍼머롯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052A (ko) 202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32422B (zh) 可收缩且可张开的装有弹簧的圆盘
US9844252B2 (en) Hair curling system and method that utilizes bi-stable ribbon springs
JP6780192B2 (ja) 自立型収納具
KR102343302B1 (ko) 휴대용 접이식 헤어롤
KR20200051344A (ko) 다기능 자동식 헤어고데기
CN112130620B (zh) 卷折拉伸定位结构及使用其的电子装置
WO2017119613A1 (ko) 고데기를 겸용한 휴대용 헤어롤
US10897973B2 (en) Hair curler
KR20170064970A (ko) [휴대용 로드]
US20190142130A1 (en) Hair styling device
JP3225105U (ja) 折り畳みやすい手持ちトレーニング器具
KR102335418B1 (ko) 헤어롤
KR102327658B1 (ko) 발열 기능을 가지는 가변형 헤어롤
US4901741A (en) Hair waving device
CN207544570U (zh) 一种可更换式卷发器
KR102544493B1 (ko) 신축식 헤어롤
CN217660394U (zh) 挂脖加热装置
US3927685A (en) Hair curler
KR101261893B1 (ko) 휴대용 헤어 아이론
KR200260223Y1 (ko) 웨이브 퍼머용 롯드행거장치
JPS638322Y2 (ko)
JP2005323621A (ja) ドライヤーホルダー
US20200375343A1 (en) Retractable strap for laptop computers
JPH0122310Y2 (ko)
TW201547143A (zh) 理線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