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5665A - 차전자를 함유하는 건강증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차전자를 함유하는 건강증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5665A
KR20210085665A KR1020190178976A KR20190178976A KR20210085665A KR 20210085665 A KR20210085665 A KR 20210085665A KR 1020190178976 A KR1020190178976 A KR 1020190178976A KR 20190178976 A KR20190178976 A KR 20190178976A KR 20210085665 A KR20210085665 A KR 20210085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syllium
weight
health promotion
heal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유진
Original Assignee
(주)뷰티나인
정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뷰티나인, 정유진 filed Critical (주)뷰티나인
Priority to KR1020190178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5665A/ko
Publication of KR20210085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66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8Plantaginaceae (Plantain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0Lax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12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climacter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docri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전자를 함유하는 건강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전차를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여기에 추가로 회화나무, 순결나무, 홉, 결명자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상의 천연성분을 함유하며, 이들 성분의 상승효과로 인해 장 건강개선, 변비개선, 다이어트, 혈행개선, 갱년기 증상 개선 등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건강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전자를 함유하는 건강증진용 조성물{Health promotion composition containing Plantago Seed}
본 발명은 차전자를 함유하는 건강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전차를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여기에 추가로 천연성분을 함유하여 이들 성분의 상승효과로 인해, 장 건강개선, 변비개선, 비만개선, 혈행개선, 갱년기 개선 등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건강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로 생활은 풍요로워 지고 편리함도 한층 좋아지고 있지만, 이러한 산업발달 과정에서 각종 환경오염이 발생하고, 사회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생활 스트레스, 운동량 부족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생활환경의 변화로 인해 식습관도 변화하고 육식이 급격하게 늘어나며, 영양 불균형 등의 이유로 각종 성인병이나 만성질환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만성질환은 현재까지 의학적 방법이 주된 치료 방법으로 이용되어 왔지만, 치료에 한계가 있는데다가 특히, 치료약의 부작용이나 일시적이거나 부분적인 치료효과 등으로 인해 그 만성질환이나 성인병 등의 치료에 많은 한계가 나타나고 있다.
그런데 식품 중에 함유된 유효성분에 의한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효과들이 여러 연구로부터 증명되면서, 매우 느린 속도이기는 하지만 천연 건강식품이나 음식의 조절 등을 통해 성인병과 만성질환의 예방이 점차 가능해지고 있다.
이와 같이, 현대인의 바쁘고 긴장된 생활 속에 스트레스의 증가, 불규칙적이고 불균형된 식생활, 운동부족 등과 같은 복합적 생활요인들로 인해 장 기능의 저하와 만성적 변비, 과민성 대장증후군, 설사, 장염 등 각종 장 관련 만성 질병을 겪고 있다. 이러한 장 건강의 문제는 매우 심각하고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도 장 건강 문제에 대한 해결과제는 많이 남아있다.
장 건강과 관련하여 대표적인 문제점으로는 변비가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변비가 발생하면, 체내 유해 물질을 몸 밖으로 배설하는 작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변의 독소가 장을 통해 혈액에 흡수됨으로써 미용에 크게 저해되는 여드름, 기미, 피부노화를 촉진시키기도 한다(Corfield AP, Carrol D, Myerscouh N, Probert CS. 2001. Mucin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in health and disease. Front Biosci 6: 1321-1327).
또한, 변비로 인해 장내 이상 발효로 생긴 유해물질 등이 두통, 식욕부진, 복부 불쾌감, 알레르기의 원인이 되고, 나아가 치질, 대장 게실증 및 대장암 발생과 뇌졸중 위험 등 2차 질환 발생의 원인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Park JG. 2005. Coloproctology. pp. 273-275. Ilchokak, Seoul, Korea).
이러한 변비의 완화를 비롯한 장 내의 건강 개선을 위하여, 여러 가지 방안이 연구되고 있지만, 대표적으로는 배변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식이섬유의 섭취가 권장되고 있다.
식이섬유는 인체의 소화효소에 의하여 분해되지 않는 난분해성의 복합 다당류로, 식이섬유가 풍부한 식품을 섭취하면 위에 포만감을 주어서 음식섭취량을 줄일 수 있으며, 배설물의 부피를 증가시키고 음식물의 장 내의 배변 통과 속도를 빠르게 하여 영양소의 흡수를 저하시키므로 비만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
대체적으로 식이섬유는 셀룰로오스(cellulose), 헤미셀룰로오스(hemicelluloses), 리그닌(lignin) 등 구성성분의 종류가 다양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수용성 식이섬유와 불용성 식이섬유로 구분된다. 그 중에서도 수용성 식이섬유는 위에서 음식물 체류시간을 증가시켜 포만감을 제공하고 장내에서의 영양소 흡수속도를 느리게 하며, 지질대사에 관여하여 혈청 콜레스테롤을 조절하고, 동맥경화를 예방하며, 대장암의 발병률을 낮추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또한, 불용성 식이섬유는 수분 보유능이 커, 변을 묽게 하여 분변의 장내통과시간을 촉진하고, 분변 양을 증가시켜 변비를 예방하거나 치료하며, 대장 기능에 관련된 효과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식이섬유는 장내에 매우 유익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식이섬유 섭취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 식이섬유를 함유하는 대표적인 물질로서는 각종 야채, 과일 등이 거론되고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식물이 식이섬유 공급원으로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단순한 식이섬유의 섭취만으로 충분한 장 건강 유지가 가능하다고 보기는 어렵다. 또한, 장 건강과 더불어서 갱년기 장애나 다양한 성인병 개선을 위해서는 보다 진전된 연구가 필요하고, 기존의 건강기능식품으로도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종래 이러한 장 건강 개선을 위한 건강식품으로서는 한국특허등록 제10-0849806호에서는 팽윤성 식이섬유인 차전자 및 차전자피가 리파제 억제제인 오를리스타트로 코팅된 제제를 포함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으며, 한국특허등록 제10-0614056호에서는 변비와 장기능 개선을 위한 기능성 식이섬유 보충용 식품 및 그 제조방법이 제안되어 있는 등 다양한 특허가 다수 제안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공개 제10-2015-0051020호에서는 한방제 추출물을 이용한 비만억제 및 다이어트 조성물, 한국특허등록 제10-2000170호의 체지방 감소 및 장관면역활성 증진을 위한 건강보조식품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변비개선 등의 식이섬유를 함유하는 식품조성물은 일부 변기 개선 등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그 개선 효과가 미미하거나 다른 성인병 개선 또는 장 건강 개선을 위한 문제 해결이 충분하지 않은 단점이 있어서 그 상품화에 한계가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10-0849806호 한국특허등록 제10-0614056호 한국특허공개 제10-2015-0051020호 한국특허등록 제10-2000170 호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천연물을 이용하여 새로운 조성의 성분 구성으로 장 건강 및 갱년기 증상 개선 등 다양한 면에서 건강증진에 효과가 있는 건강증진용 조성물의 제공을 해결과제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전자 유래의 식이섬유를 함유하고 추가로 천연성분을 함유하는 새로운 복합 조성의 장 건강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조성의 천연물의 혼합에 의한 상승효과로 장 건강과 갱년기 장애 개선의 효과를 가지는 새로운 건강식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조성의 천연물의 혼합에 의한 상승효과로 변비개선 및 다이어트에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는 새로운 건강식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조성의 천연물의 혼합에 의한 상승효과로 변비, 콜레스테롤 감소에 의한 혈행개선 및 갱년기 장애 치료 효과를 가지는 새로운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과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차전자를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회화나무, 순결나무, 홉, 결명자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복합성분으로 이루어진 건강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조성물을 함유하는 여성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조성물을 함유하는 변비개선, 다이어트,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 및 혈행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조성물을 함유하는 변비개선,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 혈행 개선용 및 갱년기 증상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조성물을 함유하는 여성청결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전자를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회화나무, 순결나무, 홉, 결명자 중에서 선택된 2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복합성분으로 이루어진 건강증진용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전자를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회화나무, 순결나무, 홉 성분을 포함하는 복합성분으로 이루어진 건강증진용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전자피 분말을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결명자 분말을 포함하는 복합성분으로 이루어진 건강증진용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프로바이오틱스, 프리바이오틱스, 아연, 비타민 중에서 하나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검정콩분말, 알로에분말, 조류분말, 핑거루트,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스테비아분말, 탈지분유, 알로에아보레센스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에서 차전자는 전체 조성물에 대해 60-80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전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특정 천연성분을 복합처방하여 복합 천연추출물로 구성함으로서 특히, 변비개선은 물론 성인병 개선을 위한 건강증진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차전자와 다른 천연성분을 혼합한 복합 조성물의 상승효과로 인하여, 장 건강개선, 변비개선, 비만개선, 혈행개선, 갱년기 개선 등에서 기존의 다른 천연성분의 조성물에 비해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변비증상 개선과 다이어트 효과가 있음은 물론 갱년기 장애 증상의 호전 효과가 우수하여, 변비개선이나 다이어트로 인해 다른 건강이 저해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안전한 건강증진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일반적인 장 건강이나 변비개선, 다이어트 제품과는 다른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것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한 선택적인 혼합 구성으로 인해 나타나는 상승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다양한 효과를 나타내는 건강증진용 건강보조식품 외에도, 건강기능식품 또는 약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나의 구현예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차전자를 주성분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건강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하기 설명하는 구현예들은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주성분으로 사용되는 차전자는 주로 차전차피 분말이 사용될 수 있으며, 차전자가 본 발명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천연 성분과 혼합되어 사용되면서 장 건강이 현저하게 개선되고 갱년기 증상이 현저히 개선되어 건강식품이나 약학적 조성물로 이용할 수 있는 조성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차전자는 기존에 변비개선제로 사용된 예가 있기는 하지만 본 발명에서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다른 천연성분인 회화나무, 순결나무, 홉, 결명자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의 특정 조성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건강증진용 조성물은 제안되어 있지 않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차전차를 전체 조성물의 60-80중량%로 함유하여 회화나무, 순결나무, 홉, 결명자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상의 성분은 20-40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전자를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회화나무, 순결나무, 홉, 결명자 중에서 선택된 2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복합성분으로 이루어진 건강증진용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특히, 이런 경우 당일 성분을 혼합하는 것에 비해 차전자와 혼합된 조성에 의해 나타나는 상승효과가 더 우수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전자를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회화나무, 순결나무, 홉 성분을 포함하는 복합성분으로 이루어진 건강증진용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한 일 구성예로서는 차전자 60-80중량%, 회화나무 5-20중량%, 순결나무 5-20중량%, 홉 5-20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차전자 이외의 각 성분은 하나이상아 사용될 수 있으나, 위와 같이 3 성분이 추가로 함유되는 경우 각 함량이 너무 적으면, 상승효과가 그만큼 저하되어 변비 개선효과나 다이어트 효과나 저하되고, 특히 갱년기 증상 개선이나 혈행개선 등의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전자피 분말을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결명자 분말을 포함하는 복합성분으로 이루어진 건강증진용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의 바람직한 구성예로서는 차전자피분말 60-80중량%와 결명자 20-40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여기서 결명자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본 발명의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너무 과량이면 변비개선, 다이어트 등의 효과를 충분하게 기대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천연성분들은 추출물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추출물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추출 용매는 예컨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디클로로메탄, 아세폰, 클로로포름, 메틸렌 클로라이드 중에서 하 나이상의 용매로 추출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여 분쇄물의 중량비로 3 내지 10배에 상응하는 추출 용매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추출은 바람직하게는 6 내지 24시간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이후에는 여과한 다음, 여액을 원심분리시켜 침전물을 제거하고, 감압 농축 또는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프로바이오틱스, 프리바이오틱스, 아연, 비타민 중에서 하나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성분이 혼합되는 경우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이러한 추가성분이 5-20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검정콩분말, 알로에분말, 조류분말, 핑거루트,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스테비아분말, 탈지분유, 알로에아보레센스, 홍삼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성분도 전체 조성에 대해 5-20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에서 또 하나의 바람직한 구성예로서는 전체 조성물에 대해 차전자피 60-80중량%, 결명자분말 0.1-10중량%,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0.1-10중량%, 알로에아보레센스 0.1-10중량%, 프로바이오틱스 0.1-5중량%, 프리바이오틱스 1-20중량%. 비타민 0.1-3중량% 로 함유될 수 있다. 여기서 결명자의 함량을 현저하게 적게 사용하는 이유는 다른 첨가성분들과의 혼합비를 고려한 것으로서, 만일 이러한 여러 성분의 혼합 구성에서 결명자의 함량이 너무 과다하면 다이어트 효과가 저하되고, 특히 콜레스테롤 저하에 의한 혈행개선 효과나 갱년기 장애 개선 효과가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여러 성분의 혼합 조성의 경우는 차전자피 분말 이외의 다른 성분의 함량에 대한 균형을 고려하여 과량 사용하지 않는 것이 오히려 바람직하다. 다만, 프리바오이틱스는 프로바이오틱스의 활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다소 많은 량으로 혼합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고, 식품 조성물의 맛도 좋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회화나무는 이소플라본의 일종인 소포리코사이드가 풍부하게 들어있어 생리활성 기능이 뛰어나 갱년기 증상 개선 등의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순결나무는 플라보노이드 성분과 이리도이드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호르몬 기능 정상화 및 여성 생리불순, 내분비 개선 등 갱년기 개선 등 전반적인 성인병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월경전증후군(PMS)으로 인한 두통, 피부증상, 가슴팽창, 아랫배 통증, 신경과민, 과민성 감정굴곡, 짜증스러움, 우울, 피로, 수면장애 등의 신체적 및 정신적 증상의 치료, 월경불순 개선 등 갱년기 증상 개선에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홉은 prenylflavonoid로 8-prenylnaringenin(프레닐나린제닌)과 isoxanthohumol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중 8-prenylnaringenin은 강력한 식물성 에스트로겐 활성을 나타낸다. 홉 100g 중에 30.000-300.000IE(IU)의 estrogen이 함유되어 있다. 그러므로 갱년기 때 나타날 수 있는 홍조증상, 골다공증 등 여러 갱년기 증상들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결명자는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찬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결명자는 간장, 대장, 신장 경락으로 작용하여 간열을 내리고 눈을 밝게 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간화(肝火) 또는 풍열(風熱)로 인해 눈이 충혈되고 종통이 있으며, 시력이 떨어지는 사람이나 급성결막염에 효과가 있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르면 결명자는 장을 윤활하게 하여 대변을 잘 나오게 하고, 간의 기운을 다스려 양기를 가라앉히는 효능이 있다. 또한,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가 있어서 고지혈증이나 고혈압 환자에게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프로바이오틱스는 건강한 면역의 지표가 되는 이로운 장내 균총 형성에 도움을 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프로바이오틱스로서는 Lactobacillus 균으로서 L.acidophilus, L.casei, L. gasseri , L. delbrueckii ssp . bulgaricus , L. helveticus , L. fermentum , L. paracasei , L.plantarum, L. reuteri , L. rhamnosus , L. salivarius , Lactococcus 균으로서 Lc . lactis , Enterococcus 균으로서 E . faecium , E. faecalis , Streptococcus 균으로서 S. thermophilus , Bifidobacterium 균으로서 B.bifidum, B. breve , B. longum , B. animalis ssp . lactis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균들 중에서 하나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프리바이오틱스로서는 다양한 성분이 사용 가능하다, 예컨대 바람직하게는 포도당, 구연산, 에리스리톨, 프락토올리고당, 말토오스, 글루코만난, 자이리톨 중에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타민 성분으로는 비타민 C, 비타민 B 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될 수 있는 비타민 B 군으로서 비타민 B1은 탄수화물 대사에서 transketolase, pyruvate dehydrogenase,
Figure pat00001
-ketoglutarate dehydrogenase의 보조인자로 작용하며 에너지 대사에 작용하여 신경조직과 근육활동에 필요하고 정신 상태를 안정적이고 활력있게 향상시키고 신경조직, 근육 및 심장이 정상적으로 활동하게 한다.
또한, 비타민 B2는 장점막 세포에서 FAD(flavin adenine dinucleotide) 상태로 변화하여 산화, 환원반응을 촉진하는 flavoenzyme의 조효소로 사용되며 수소 운반 역할을 담당하며 성장과 세포의 재생을 도와 건강한 피부, 모발, 손발톱 등을 만들어 주는 데 기여하므로 성인병 예방과 활력 증진으로 갱년기 극복에 도움이 된다.
그리고 비타민 B6는 단백질 대사에 관여하여 건강한 피부와 점막, 모발 성장을 촉진하며, 뇌기능 향상에 도움을 주고 뇌가 수축하는 속도를 감소시켜 치매 위험을 낮춰주며 에스트로겐의 대사에 관여해 호르몬 밸런스를 맞춰 주어 월경전 증후군의 증상을 완화하는데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프로바이오틱스는 유산균 증식을 통해 장이나 인테 내 건강한 산성 환경을 만들어주어 장 건강과 다이어트, 변비개선 및 갱년기 장애 증상의 개선에 바람직하다. 특히, 장내 유익균을 증가시키고 유해균을 억제시켜 장 건강에 도움을 준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아연은 주요 효소 및 전사인자를 포함하는 300여 종 이상 단백질의 zinc finger motif에 결합 후 보조인자로 작용하여 면역반응 조절에 기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조성물은 차전자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다른 성분들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특정 성분인 회화나무, 순결나무, 홉 또는 결명자 중 하나이상을 선택적으로 혼합 사용함으로 인해 기존에 예측할 수 없는 현저한 상승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장 건강과 갱년기 증상 개선에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변비개선, 다이어트, 콜레스테롤 감소, 혈행개선,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 등에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효과는 기존에 단순한 변비개선이나 다이어트 효과에 비해 월등하게 우수한 상승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무엇보다도 장 건강 개선으로 변비개선이나 다이어트 효과로 인해 오히려 다른 갱년기 증상이 더 나빠지거나 특히 여성갱년기 증상인 안면홍조, 우울감, 스트레스, 질 건조증, 골다공증, 가슴 울렁거림 등에 대한 효과도 함께 우수하게 개선되어 기존의 차전자 성분을 함유하는 복합 천연 조성물에 비해 예측할 수 없는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도, 상기와 같은 조성물을 함유하는 여성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조성물을 함유하는 변비개선, 다이어트,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 및 혈행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건강식품은 건강보조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로서는 이러한 조성물의 건강식품은 피부미용 개선의 효과도 있어서 이너뷰티 개념의 화장료 조성물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조성물을 함유하는 변비개선,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 혈행 개선용 및 갱년기 증상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조성물을 함유하는 여성청결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건강식품이나 약제학적 조성물로 투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분말, 엑기스, 그래뉼, 겔상, 입상, 펠릿형, 환형 등의 제형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이러한 제형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그대로 이용하거나 다른 천연 첨가제 등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하는 건강식품이나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적인 경구제형으로 투여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으로는 액제, 고형제 등으로 경구투여 가능하고, 피부 외용제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피부외용제의 예로서 전형적으로는 여성청결제로 제조하여 사용하는 경우 우수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구제형 중에서 고형제로서는 분말, 그래뉼, 입상, 환제 등으로 적용이 가능하고 캅셀제, 정제 등 통상의 제형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은 예컨대 10-1,000mg/정, 1-10g/포 등의 제형으로 1일 1-3회 섭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다음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5, 비교예 1-4 : 건강식품 조성물의 제조
차전자피 분말, 회화나무 열매추출물, 순결나무 열매추출물, 홉 추출물, 결명자 분말 등을 하기 조성비율(중량%)로 사용하여 건강식품 조성물로서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분말을 제조하였다.
또한, 다른 예로서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성분을 해당 함량 비율로 혼합하여 건강식품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실시예 1 2 3 4 5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차전자 70 70 70 70 70 85 70 65 60
회화나무 30 - - - - - - - -
순결나무 - 30 - - - - - - -
- - 30 - - - - - -
결명자 - - - 30 2.5 15 14 14 15
소맥발효분 - - - - - - 16 16 17
효모분말 - - - - - - - 5 5
덱스트린 - - - - 4 - - - -
알로에 - - - - 3 - - - 2.5
유산균 - - - - 0.2 - - - 0.5
프리바이오틱스 - - - - 20 - - - 10
비타민 - - - - 0.3 - - - -
(1) 덱스트린은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을 사용함
(2) 알로에로는 알로에아보레센스를 사용함
(3) 유산균으로는 락도바실러스 혼합균을 사용함
(4) 프리바이오틱스로서는 포도당, 자일리톨, 구연산 혼합물을 사용함
(5) 비타민으로서는 비타민 C, 비타민 B1, B2, B6의 혼합성분을 사용함
실험예 1 : 팽윤효과 실험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 시료를 시험물질로 이용하고, 각 시료의 물에 대한 팽윤효과를 시험하기 위하여 각 시험물질의 시료 1g을 눈금 실린더에 넣고, 20℃의 물을 가하여 총 부피가 100㎖가 되도록 한다. 1/2, 1, 12 및 24시간 후에 실린더 상의 밀리리터 눈금에 의하여 시험물질의 부피를 재어서 팽윤효과를 평가하였다. 그 실험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팽윤효과
(ml)
1/2(hr) 18 18 18 19 20 14 15 12 13
1(hr) 18 18 18 19 20 14 15 12 13
12(hr) 18 18 18 19 20 14 15 11 12
24(hr) 18 18 18 19 20 14 15 11 12
상기 표로부터 실시예의 경우 비교예에 비해 월등하게 우수한 팽윤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실시예의 시료 1g은 18-20ml로 팽윤되며 이러한 팽윤효과를 24시간 후에도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에 비해 비교예의 시료 1g은 11-15ml로 팽윤되고 12시간 경과 후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 물 보유성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에 대하여 20℃의 물로 1시간 동안 포화되도록 하여 각 조성물의 보유성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조성물을 여과지에 통과시켰다. 물과 결합한 여과지상의 섬유를 시계 접시에 옮겨서 무게를 측정하고, 이 결과로부터 해당 시료 제품에 대한 물-결합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수분 보유성을 확인한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조성물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초기량(g) 4.0 4.0 4.0 4.0 4.0 4.0 4.0 4.0 4.0
시료중량(g) 36.9 37.2 37.6 40.2 43.4 26.1 27.3 25.2 24.7
수분함량
(g)
32.9 33.2 33.6 36.2 39.4 22.1 23.3 21.2 21.7
제조된 시료는 일반적으로 차전자피 분말을 다량 함유하여 전체적으로 섬유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것이므로 수분함량이 비교적 높다.
따라서 각 시료에 대해 수분 보유량을 측정한 결과 물-보유량 기준으로 동일 중량당 수분량이 4중량부 기준으로 실시예의 경우 약 30-45중량부로서 비교예의 20-23.4중량부에 비해 50% 이상 월등하게 향상된 결과를 보여준다. 특히, 비교예를 보면 차전자의 함량이 85중량%로 과다하다고 하더라도 수분 함량이 낮은 형태를 보이고, 차전자의 함량이 55%로 적은 경우도 그 효과가 크게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서도 차전자의 함량의 범위가 60-80중량%에서 임계적 의의가 있고, 이는 특히 실시예의 조성에 대한 선택적 조성으로 인한 기술적 의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러한 실험결과(실험예 1, 2)는 실시예의 함량 조성비에 대한 중요한 기술적 의의를 보여주는데, 실시예의 경우 비교예에 비해 고-팽윤 및 물-보유성이 배설물량의 증가를 유발하고, 더 부드러운 배설물을 형성하기 때문에 배설을 용이하게 하고 변비를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실험예 3 : 장 건강 실험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각 시료에 대하여 대장관내 점액질의 분비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여, 변비 효과와 관련된 장기능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대장관내 점액질분비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였다.
소화기관의 점액질은 기계적인 손상과 화학적인 자극으로부터 상피조직인 장내 표면을 보호하는 역할과 소화운동의 윤활제 역할을 한다. 장 점막 (colonic mucosa)은 점액질 (Mucus)로 덮혀 있으며, 점액소(Mucin)는 점액질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칼리성에서 점성질의 액이 된다. 변비증상이 있을 경우에는 장 점막에서 점막층의 기능이 감소되며, 로페라마이드를 일정기간 투여하면 대장관의 점액질의 두께가 얇아져서 대장 내용물의 이동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실험을 위한 처리는 동물모델로 웅성의 평균 체중 220-240g 정도의 스프라그 도울리(Sprague Dawley) 랫트 (대한바이오링크, 음성)를 1군당 8 내지 10 마리를 사용하여 대사 케이지에서 3일간 순화 적응시키고, 4일째부터 변비를 유발시키기 위해 로페라마이드 (Sigma사, 미국)를 사료 3g당 1mg 함유하는 사료를 공급하였다.
실험동물의 맹장에서 직장까지를 적출하여 10% 포름알데하이드 인산염 완충용액에 고정시켜 대장관내 있는 변(feces pellet)의 갯수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그 실험 결과는 다음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장내 변의 개수(개) 1.25 1.0 1.25 1.0 0.75 3.5 3.25 3.75 3.75
상기 실험 결과, 대조군에서는 평균 변의 갯수가 5.5개였으며, 이에 비해 실시예의 경우 상당부분 감소된 0.75-1.25개였다(표 4 참조), 또한 이때 대장관의 상태를 관찰시 정상 대조군과 각 시료는 맹장과 직장내 잔존물이 거의 없었으며, 정상대조군에서는 잔존 내용물이 많았고 비교예는 약간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배변량 및 대장내 잔변의 개수와 일관성이 있는 결과로서 실시예가 특별하게 뛰어난 항 변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대장관내 점액질 분비를 관찰하기 위해 조직검사를 통한 점액질 분비세포와 점액질층을 관찰한 결과, 실시예 투여군은 정상대조군이나 비교예 투여군보다 점액분비세포가 활성화되어 점액질의 분비가 원활하고 점액질 두께도 변비 유발군보다 현저히 증가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상 대조군의 점액질 두께는 16.5 ㎛로서, 변비 유발군은 정상대조군보다 크게 감소한 12.2㎛의 두께를 가진 반면에, 실시예의 경우 17.5-18.5 ㎛로 정상 대조군보다 오히려 우수한 수준을 보였다.(표 5 참조). 반면에 비교예의 경우 정상 대조군과 유사한 정도 수준에 불과하였다.
변비유발군 실시예1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4
점액질두께(㎛) 12.2±3.55 17.5±3.15 17.8±3.75 18.5±3.25 12.1±2.75 11.8±3.07
(1) 점액질 두께는 평균치±표준편차로 표시함(정상대조군은 16.5±3.55)
(2) 실시예와 비교예 시료는 정상대조군 대비 p<0.01임
이러한 실험결과로부터, 실시예의 조성물은 점액질을 크게 증가시켜 장관내 윤활이 유지되고 장관운동을 증가시켜 변비증상을 완화시킴은 물론 장 건강에 크게 우수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4 : 혈액 중의 17β-estradiol의 농도 측정
21일령의 Sprague Dawley 암컷 흰쥐를 각 군당 5마리씩(평균체중 50g) 준비하고 6개월령의 흰쥐 역시 각 군당 5마리씩(평균체중 350g) 준비하여 상기 실시예,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시료를 100mg/kg body wt/day씩 3일간 경구 투여하였다. 시료 투여 전 혈액과 3 일간 경구 투여한 후 EIA(Enzyme Immuno Assay)를 이용하여 혈액 중 17β-에스트라디올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17β-estradiol의 농도
(pg/ml)
실시예1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4
21일
암컷
투여전 111.3 112.1 111.9 112.8 112.5
투여후 196.45 199.25 201.4 176.25 178.45
6개월
암컷
투여전 113.2 115.4 123.1 109.8 121.7
투여후 212.75 221.7 224.45 169.65 179.25
상기 표 6으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한 경우 미성숙 쥐와 성숙 쥐 모두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라디올의 농도가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위 실험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에스트라디올의 분비 감소에 기인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에 5 : 혈청 중 지단백질 함량 분석
실험동물로서 스프라그-도울리 종의 수컷(159∼168 g) 흰쥐를 7 마리씩 4 군으로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정상군에게는 일반 사료를 제공하고, 대조군은 고지방 식이군으로 전체 열량의 40%를 지방 열량으로 조성한 사료를 제공하였다. 실험군은 고지방 식이에 실시예5의 조성물을 고형으로 환산하여 각각 5% 및 10% 첨가되도록 사료를 제조하여 제공하였다. 물과 식이는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20 일간의 실험식이 후, 마우스를 12 시간 동안 절식시키고 에틸에테르로 마취시킨 후 개복하여 1 회용 주사기를 이용하여 심실에서 혈액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혈액을 3,000 rpm으로 20 분간 원심 분리하여 얻은 혈청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혈청의 지질 성분인 총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라이드, LDL 및 HDL, ALT 및 AST를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의 전체 콜레스테롤 함량은 정상 식이군에 비해 29.4% 증가하였으나, 5% 실험군 및 10% 실험군에서는 그에 비해 각각 52% 및 13% 감소하였다. 또한, 5% 실험군 및 10% 실험군에서 저밀도 지단백질은 각각 91.89% 및 59.45% 감소하였다. 반면, 트리글리세라이드, ALT 및 AST는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실시예5의 조성물이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 및 저밀도 지단백질 함량을 낮추어 각종 심혈관계 질환 등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간기능의 지표인 ALT 및 AST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므로 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독성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11)

  1. 차전자를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회화나무, 순결나무, 홉, 결명자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복합성분으로 이루어진, 차전자를 함유하는 건강증진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회화나무, 순결나무, 홉, 결명자 중에서 선택된 2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복합성분으로 이루어진, 차전자를 함유하는 건강증진용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차전자피 분말을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결명자 분말을 포함하는 복합성분으로 이루어진, 차전자를 함유하는 건강증진용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추가적으로 프로바이오틱스, 프리바이오틱스, 아연, 비타민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차전자를 함유하는 건강증진용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추가적으로 검정콩분말, 알로에분말, 조류분말, 핑거루트,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스테비아분말, 탈지분유, 알로에아보레센스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상을 포함하는, 차전자를 함유하는 건강증진용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차전자는 60-80중량%로 포함하는, 차전자를 함유하는 건강증진용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차전자 60-80중량%, 회화나무 5-20중량%, 순결나무 5-20중량%, 홉 5-20중량%을 포함하는 복합성분으로 이루어진, 차전자를 함유하는 건강증진용 조성물.
  8. 차전자피분말 60-80중량%, 결명자분말 0.1-10중량%,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0.1-10중량%, 알로에아보레센스 0.1-10중량%, 프로바이오틱스 0.1-5중량%, 프리바이오틱스 1-20중량%. 비타민 0.1-3중량% 를 포함하는, 차전자를 함유하는 건강증진용 조성물.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따른 차전자를 함유하는 건강증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변비개선, 다이어트,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 혈행 개선 및 여성갱년기 증상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따른 차전자를 함유하는 건강증진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변비개선,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 혈행 개선 및 갱년기 증상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따른 차전자를 함유하는 건강개선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KR1020190178976A 2019-12-31 2019-12-31 차전자를 함유하는 건강증진용 조성물 KR202100856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976A KR20210085665A (ko) 2019-12-31 2019-12-31 차전자를 함유하는 건강증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976A KR20210085665A (ko) 2019-12-31 2019-12-31 차전자를 함유하는 건강증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665A true KR20210085665A (ko) 2021-07-08

Family

ID=76893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976A KR20210085665A (ko) 2019-12-31 2019-12-31 차전자를 함유하는 건강증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5665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056B1 (ko) 2004-01-30 2006-08-22 이종균 변비와 장기능 개선을 위한 기능성 식이섬유 보충용 식품및 그 제조방법
KR100849806B1 (ko) 2006-11-03 2008-07-31 부광약품 주식회사 팽윤성 식이섬유와 리파제 억제제를 포함하는 비만 억제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51020A (ko) 2013-11-01 2015-05-11 주식회사 차연 비만억제 및 다이어트 조성물
KR102000170B1 (ko) 2018-06-14 2019-07-16 정건희 체지방 감소 및 장관면역활성 증진을 위한 건강보조식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056B1 (ko) 2004-01-30 2006-08-22 이종균 변비와 장기능 개선을 위한 기능성 식이섬유 보충용 식품및 그 제조방법
KR100849806B1 (ko) 2006-11-03 2008-07-31 부광약품 주식회사 팽윤성 식이섬유와 리파제 억제제를 포함하는 비만 억제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51020A (ko) 2013-11-01 2015-05-11 주식회사 차연 비만억제 및 다이어트 조성물
KR102000170B1 (ko) 2018-06-14 2019-07-16 정건희 체지방 감소 및 장관면역활성 증진을 위한 건강보조식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96850B (zh) 一种调节肠道微生态制剂的配方及应用
CN104643250B (zh) 一种可双向调节体重改善亚健康的固体饮料
CN102406860A (zh) 预防和治疗糖尿病的组合物、其制备方法及应用
KR102132066B1 (ko) 차전차피와 흑생강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비만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0123037A1 (ja) 腸内細菌叢構成比率調整剤
CN115074298A (zh) 具有抗幽护胃和消食化积功效的益生菌组合物及其应用
CN112569323A (zh) 一种解酒护肝的组合物及其应用
CN115120683A (zh) 原料组合物和中药发酵产品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854698B1 (ko) 홍삼 식이섬유 추출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추출된홍삼 식이섬유
CN108936628A (zh) 一种脑卒中患者食用的特定全营养配方食品及其制备方法
KR20170072003A (ko) 흰찰쌀보리를 이용한 당뇨에 도움을 주는 발효식품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발효식품
KR100549089B1 (ko) 장기능 및 변비 질환 개선용 건강 기능성식품
EP1583547B1 (en) Anti-obesity ingredients from medicinal plants and their composition
CN108523123A (zh) 一种糖尿病全营养支持食品
KR102000170B1 (ko) 체지방 감소 및 장관면역활성 증진을 위한 건강보조식품
EP1186295B1 (fr) Préparations pharmaceutiques contenant des extraits d&#39;isoflavone de soja et des micro-organismes probiotiques
CN107343935A (zh) 一种用于小儿健脾的粉剂及其制备方法
JP2010254594A (ja) 腸内バクテロイデス増殖促進剤
KR20210085665A (ko) 차전자를 함유하는 건강증진용 조성물
CN108310156A (zh) 一种治疗儿科腹泻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8420890A (zh) 一种具有降血脂作用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8618140A (zh) 孕妇产前调理医学配方食品
KR102133015B1 (ko) 당뇨병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20210067990A (ko) 장 건강을 위한 조성물과 제조 방법
KR102338119B1 (ko) 식물성 천연 복합성분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