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5216A - 쇼케이스, 쇼케이스용 선반, 및 쇼케이스용 선반을 위한 롤러 스테이지 - Google Patents

쇼케이스, 쇼케이스용 선반, 및 쇼케이스용 선반을 위한 롤러 스테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5216A
KR20210085216A KR1020190178020A KR20190178020A KR20210085216A KR 20210085216 A KR20210085216 A KR 20210085216A KR 1020190178020 A KR1020190178020 A KR 1020190178020A KR 20190178020 A KR20190178020 A KR 20190178020A KR 20210085216 A KR20210085216 A KR 20210085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wall
axis direction
roller
roller stage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3691B1 (ko
Inventor
김덕래
Original Assignee
세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8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3691B1/ko
Publication of KR20210085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3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3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Racks for dispensing merchandise; Containers for dispensing merchandise
    • A47F1/04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 A47F1/12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the side of an approximately horizontal stack
    • A47F1/121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the side of an approximately horizontal stack made of tubes or wi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8Show cases or show cabinets with arrangements for continuously or intermittently moving the merchandise

Landscapes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쇼케이스용 선반에 장착되며, 복수 개의 롤러들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롤러 스테이지로서,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일 측 가장자리와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z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1측벽 및 제2측벽, 상기 제1측벽 및 상기 제2측벽으로부터 각각 상기 +z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제1측벽 및 상기 제2측벽의 길이방향인 +x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돌출부, 및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돌출부들 사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안착홈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돌출부의 내벽에는 내측방향을 향해 돌출된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쇼케이스, 쇼케이스용 선반, 및 쇼케이스용 선반을 위한 롤러 스테이지{A show case, a shelf for the show case, and a roller supporting module for the shelf}
본 기술은 쇼케이스, 쇼케이스용 선반, 및 쇼케이스용 선반을 위한 롤러 스테이지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롤러 스테이지로부터 롤러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롤러의 이탈억제력을 증가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KR10-2017-0053498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쇼케이스 및 쇼케이스용 선반이 공개되어 있다. 이 선행기술에 따르면, 롤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돌기부의 크기에 따라 롤러의 이탈억제력이 결정될 수 있다.
롤러의 이탈억제력을 향상시키려면 상기 돌기부의 크기를 증가시켜야 하는데, 여기에는 두 가지 제약이 있다. 첫째, 상기 돌기부의 크기는 롤러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장착축의 사이즈에 제약을 받는다. 둘째, 상기 돌기부의 크기는 상기 돌기부가 형성되는 롤러단위체의 측벽의 두께에 의해 제약을 받는다.
이 선행기술을 단순히 설계변경하는 경우, 위 첫 번째 문제는 상기 장착축의 사이즈를 증가시키면 해결되지만, 이와 같이 상기 장착축의 사이즈를 증가시키면 상기 롤러의 본체의 크기도 당연히 증가되어야 하고, 그 결과 상기 롤러의 사이즈 설계 자유도가 제한된다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이 선행기술을 단순히 설계변경하는 경우, 위 두 번째 문제는 상기 측벽의 두께를 증가시키면 해결되지만, 이 경우 상기 롤러단위체를 구성하는 재료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상기 측벽의 두께가 단지 상기 두 번째 문제의 해결을 위해 과도하게 증가함으로써 재료비가 상승한다는 새로운 문제와 함께, 상기 롤러의 돌기부의 돌출길이 역시 증가시켜야 하기 때문에 롤러의 전체적인 형상을 재설계해야 한다는 점에서 상기 롤러의 설계 자유도가 제한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롤러단위체를 롤러 스테이지라는 명칭으로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롤러가 롤러 스테이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롤러의 이탈억제력을 증가시키되, 롤러의 설계 자유도를 훼손하지 않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롤러 스테이지 및 이를 이용한 장치들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쇼케이스용 선반(1)에 장착되며, 복수 개의 롤러들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롤러 스테이지(2)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롤러 스테이지는 바닥부(23); 상기 바닥부(23)의 일 측 가장자리와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z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1측벽(211) 및 제2측벽(212); 상기 제1측벽(211) 및 상기 제2측벽(212)으로부터 각각 상기 +z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제1측벽(211) 및 상기 제2측벽(212)의 길이방향인 +x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돌출부들(29); 및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돌출부들(29) 사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안착홈들(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상기 돌출부(29)의 내벽에는 내측방향(+y/-y)을 향해 돌출된 이탈방지돌기(7)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롤러는 원통형의 본체부(32) 및 상기 본체부(32)의 양 단부로부터 돌출된 두 개의 회전축(31)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이탈방지돌기(7)들 간의 최단거리(d1)는 상기 본체부(31)의 지름(R1)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이탈방지돌기(7)의 x-y평면 단면의 프로파일은, 상기 최단거리(d1)의 산출 기준점이 되는 상기 두 개의 상기 이탈방지돌기(7)들의 각 지점(71)으로부터 -z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32)의 y축 방향 길이는, 상기 제1측벽(211)의 내측벽과 상기 제2측벽(212)의 내측벽 간의 거리보다 작으며,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두 개의 상기 이탈방지돌기(7)들 간의 y축 방향 최단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롤러들(3) 중에서, 상기 복수 개의 안착홈들(22) 중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두 개의 상기 안착홈들로 이루어진 제1안착홈 페어에 배치된 제1롤러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두 개의 회전축(31)은, 상기 제1안착홈 페어(22)에 배치된 상기 제1측벽(211)의 상측면과 상기 제2측벽(212)의 상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어 지지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상기 이탈방지돌기(7)는 +x축 방향 또는 -x축 방향의 힘을 받았을 때에, 상기 힘의 방향으로 휘었다가 복원되는 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닥부(23)는, 상기 제1측벽(211) 및 상기 제2측벽(212)에 교차하여 상기 제1측벽(211)과 상기 제2측벽(212)를 연결하며, 상기 복수 개의 안착홈들(22)과 수직방향으로 정렬되어 배치된 복수 개의 브릿지 펜스(bridge fence)(233)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쇼케이스용 선반(1)은 상기 롤러 스테이지(2), 및 상기 롤러 스테이지(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복수 개의 롤러들(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쇼케이스용 선반은, 상기 롤러 스테이지(2)에 결합되어 상기 롤러 스테이지(2)를 고정하는 고정틀(6); 및 상기 고정틀(6)의 선단 및 말단에 끼워지는 앤드캡(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틀(6)은 x축 방향을 따라 +z축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레일부(6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롤러 스테이지(2)가 상기 레일부(61)를 따라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상기 각각의 상기 브릿지 펜스(233)에는 상기 레일부(61)와 수직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걸림홈(25)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쇼케이스는, 상기 롤러 스테이지(2), 및 상기 롤러 스테이지(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복수 개의 롤러들(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쇼케이스용 선반(1)에 장착되며, 복수 개의 롤러들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롤러 스테이지(2)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롤러 스테이지는, 바닥부(23); 상기 바닥부(23)의 일 측 가장자리와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z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1측벽(211) 및 제2측벽(212); 상기 제1측벽(211) 및 상기 제2측벽(212)으로부터 각각 상기 +z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제1측벽(211) 및 상기 제2측벽(212)의 길이방향인 +x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돌출부들(29); 및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돌출부들(29) 사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안착홈들(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상기 돌출부(29)의 내벽에는 내측방향(+y/-y)을 향해 돌출된 이탈방지돌기(7)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롤러는 원통형의 본체부(32) 및 상기 본체부(32)의 양 단부로부터 돌출된 두 개의 회전축(31)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롤러의 상기 롤러 스테이지로의 결합 및 상기 롤러 스테이지로부터의 이탈은, 상기 이탈방지돌기(7)가 상기 본체부(32)의 z방향으로의 이동을 가로 막음(block)으로써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롤러가 롤러 스테이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롤러의 이탈억제력을 증가시키되, 롤러의 설계 자유도를 훼손하지 않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롤러 스테이지 및 이를 이용한 장치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케이스용 선반의 일부를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케이스용 선반에 적용되는 롤러와 롤러 스테이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케이스용 선반에 적용되는 롤러 스테이지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나타낸 롤러 스테이지를 더 자세히 나타내기 위하여 일부를 생략한 상태로 표시한 상기 롤러 스테이지의 사시도이다.
도 4c는 도 4a에 나타낸 롤러 스테이지를 더 자세히 나타내기 위하여 일부를 생략한 상태로 표시한 상기 롤러 스테이지의 평면도이다.
도 4d는 도 4c에 나타낸 롤러 스테이지를 A-A를 따라 절단하여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e는 도 4d에 나타낸 B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f는 도 4e에 나타낸 영역을 사시도로서 표현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쇼케이스용 선반을 배열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케이스용 선반의 일부를 분리한 사시도이다.
쇼케이스용 선반(1)은 롤러 스테이지(2), 복수 개의 롤러(3)들, 고정틀(6), 및 앤드캡(5)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쇼케이스용 선반(1)은 롤러 스테이지(2), 복수 개의 롤러(3)들, 고정틀(6), 및 앤드캡(5)이 상호 결합되는 구성을 포함한다.
롤러 스테이지(2)는 쇼케이스용 선반(1)에 장착되며, 롤러 스테이지(2)에는 복수 개의 롤러(3)들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쇼케이스용 선반(1)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틀(6)은 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한 쌍의 레일부(61)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 스테이지(2)는 상기 한 쌍의 레일부(61)에 슬라이딩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앤드캡(5)은 고정틀(6)의 선단 및 말단에 설치되어 롤러 스테이지(2)가 고정틀(6)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케이스용 선반에 적용되는 롤러와 롤러 스테이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a)는 롤러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의 (b)는 롤러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롤러 스테이지(2)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롤러(3)들 각각은 원통형의 본체부(32) 및 상기 본체부(32)의 양 단부로부터 돌출된 두 개의 회전축(31)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체부(32)의 길이는 yd1로 나타낼 수 있고, 지름은 R1으로 나타낼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케이스용 선반에 적용되는 롤러 스테이지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나타낸 롤러 스테이지를 더 자세히 나타내기 위하여 반복되는 구성의 일부를 생략한 상태로 표시한 상기 롤러 스테이지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4b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롤러 스테이지(2)는 바닥부(23), 제1측벽(211) 및 제2측벽(212), 상기 제1측벽(211) 및 상기 제2측벽(212)으로부터 돌출된 복수 개의 돌출부(멀런, merlon)들(29), 및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들(29) 사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안착홈들(크레널, crenel)(2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측벽(211) 및 제2측벽(212)은 x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x-z 평면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대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측벽(211) 및 상기 제1측벽(211)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들(29)이 이루는 구조체를 파라펫(parapet) 또는 난간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측벽(212) 및 상기 제2측벽(212)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들(29)이 이루는 구조체를 파라펫 또는 난간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제1측벽(211) 및 제2측벽(212)은 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바닥부(23)는 제1측벽(211)의 하단 가장자리부와 제2측벽(212)의 하단 가장자리부를 서로 연결하는 구조체를 지칭한다.
제1측벽(211) 및 제2측벽(212)은 바닥부(23)의 일 측 가장자리와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z축 방향으로 돌출된 벽면을 갖는다.
복수 개의 돌출부(29)들은 상기 제1측벽(211) 및 상기 제2측벽(212)으로부터 각각 상기 +z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제1측벽(211) 및 상기 제2측벽(212)의 길이방향인 +x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상기 돌출부(29)의 내벽에는 내측방향(+y/-y)을 향해 돌출된 이탈방지돌기(7)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각각의 이탈방지돌기(7)는 +x축 방향 또는 -x축 방향의 힘을 받았을 때에, 상기 힘의 방향으로 휘었다가 복원되는 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안착홈(22)들은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돌출부들(29)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각 안착홈(22)에는 이에 대응하는 롤러(3)의 회전축(31)이 안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복수 개의 안착홈들(22) 중 y축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고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두 개의 상기 안착홈들을 제1안착홈 페어(22)라고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안착홈 페어(22)에 안착된 롤러를 제1롤러(3)라고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제1롤러(3)의 양 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두 개의 회전축들(31)은, 상기 제1안착홈 페어(22)의 위치에 배치된 상기 제1측벽(211)의 상측면과 상기 제1안착홈 페어(22)의 위치에 배치된 상기 제2측벽(212)의 상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롤러 스테이지(2)는 제3측벽(213) 및 제4측벽(2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측벽(213)은 제1측벽(211)의 일 단과 제2측벽(212)의 일 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4측벽(214)은 제1측벽(211)의 타 단과 제2측벽(212)의 타 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c는 도 4b에 나타낸 롤러 스테이지의 평면도이다.
도 4b를 함께 참조하여 보면, 바닥부(23)는, 상기 제1측벽(211) 및 상기 제2측벽(212)에 교차하여 상기 제1측벽(211)과 상기 제2측벽(212)를 연결하며, 상기 복수 개의 안착홈들(22)과 수직방향으로 정렬되어 배치된 복수 개의 브릿지 펜스(bridge fence)(233)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브릿지 펜스(233)는 여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안착된 롤러(3)가 -z방향으로부터 +z방향으로 향하는 외력으로부터 상기 롤러(3)를 보호하는 펜스 역할을 한다.
이때,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롤러 스테이지(2)가 상기 레일부(61)를 따라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각각의 브릿지 펜스(233)에는 상기 레일부(61)와 수직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한 쌍의 걸림홈(25)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레일부(61)에는 상기 한 쌍의 걸림홈(25)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수직리브(6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걸림홈(25)의 형상은 후술하는 도 5a에도 제시되어 있다.
한편, 롤러(3)의 본체부(32)의 y축 방향 길이(yd1)는, 상기 제1측벽(211)의 내측벽과 상기 제2측벽(212)의 내측벽 간의 거리(yd2)보다 작으며,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두 개의 상기 이탈방지돌기(7)들 간의 y축 방향 최단거리(yd3)보다 클 수 있다.
롤러 스테이지(2)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의 롤러(3)를 롤러 스테이지(2)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롤러(3)를 안착홈 페어, 예컨대 상술한 제1안착홈 페어(22)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정렬한 상태에서, 롤러(3)를 -z축 방향으로 가압하면, 롤러(3)의 본체부(32)가 상기 안착홈 페어 양 측에 배치된 이탈방지돌기(7)들의 저항력을 극복하고 상기 이탈방지돌기(7)들의 아래쪽에 형성된 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다. 이렇게 진입하는 과정에선 상기 이탈방지돌기(7)들은 자체적인 탄성력에 의해 +x축 및 -x축 방향으로 휘었다가 다시 원위치로 되돌아올 수 있다. 이때, 롤러(3)의 회전축(31)들은 이탈방지돌기(7)들과 접촉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는다.
롤러(3)가 롤러 스테이지(2)에 결합된 상태에서, 만일 롤러(3)를 +z축 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이 작용한다고 하더라도, 이 힘이 일정 수준 이하라면, 상기 이탈방지돌기(7)들이 상기 롤러(3)의 본체부(32)를 가로막아 이탈을 방지할 것이다. 다만, 상술한 브릿지 펜스(233) 때문에 롤러(3)를 +z축 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이 롤러(3)에게 우연히 가해지는 상황을 기대하기 어렵다.
도 4d는 도 4c에 나타낸 롤러 스테이지를 A-A를 따라 절단하여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e는 도 4d에 나타낸 B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f는 도 4e에 나타낸 영역을 사시도로서 표현한 것이다.
이하, 도 4d 내지 도 4e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이탈방지돌기(7)들 간의 최단거리(d1)는 +x축 또는 -x축 방향으로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이탈방지돌기(7)의 지점(71)들 간의 거리이다. 상기 최단거리(d1)는 롤러(3)의 본체부(31)의 지름(R1)보다 작을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이탈방지돌기(7)의 x-y평면을 따라 절단한 단면의 프로파일은, 상기 최단거리(d1)의 산출 기준점이 되는 상기 두 개의 상기 이탈방지돌기(7)들의 각 지점(71)으로부터 -z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쇼케이스용 선반을 배열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b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고정틀(6)은 수직리브(62), 수직벽(63), 및 수평리브(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직리브(62)는 레일부(61)의 일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리브(62)는 롤러 스테이지(2)의 바닥부(23)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홈(25)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수직리브(62)의 형상은 상기 바닥부(23)에 형성된 걸림홈(25)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직벽(63) 및 수평리브(64)는 롤러 스테이지(2)의 외측을 감싸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수직벽(63)은 롤러 스테이지(2)의 제1측벽(211)(또는 제2측벽(212))과 돌출부(29)의 외측면에 맞닿을 수 있다.
수평리브(64)는 수직벽(63)의 상부에서 롤러 스테이지(2)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수평리브(64)는 상기 롤러 스테이지(2)의 안착홈(22)들에 롤러(3)들이 장착된 후의 상기 돌출부(29)들 및 롤러(3)들의 회전축(31)들을 감싸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앤드캡(5)은 롤러 스테이지(2)가 한 쌍의 레일부(61)를 따라 고정틀(6)에 끼워진 후, 롤러(3)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복수 개의 안착홈(22)들의 개방부분을 폐쇄하면서 고정틀(6)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틀(6)의 연장방향의 양측단의 수직벽(63)에 천공된 나사체결 구명(6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벽(63)에 천공된 나사 체결 구멍(65)에 대응하는 앤드캡(5)의 양측벽에는 나사공(5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나사 체결 구멍(65)과 상기 나사공(52)을 일치시켜 체결나사(8)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고정틀, 및 상기 앤드캡(5)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내용은 본 명세서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인용관계가 없는 다른 청구항에 결합될 수 있다.
1 : 쇼케이스용 선반
2 : 롤러 스테이지
3 : 롤러
5 : 앤드캡
6 : 고정틀
7 : 이탈방지돌기
22 : 안착홈
23 : 바닥부
25 : 걸림홈
29 : 돌출부
31: 회전축
32 : 본체부
61 : 레일부
211 : 제1측벽
212 : 제2측벽
233 : 브릿지 펜스

Claims (8)

  1. 쇼케이스용 선반(1)에 장착되며, 복수 개의 롤러들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롤러 스테이지(2)로서,
    바닥부(23);
    상기 바닥부(23)의 일 측 가장자리와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z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1측벽(211) 및 제2측벽(212);
    상기 제1측벽(211) 및 상기 제2측벽(212)으로부터 각각 상기 +z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제1측벽(211) 및 상기 제2측벽(212)의 길이방향인 +x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돌출부들(29); 및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돌출부들(29) 사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안착홈들(22);
    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돌출부(29)의 내벽에는 내측방향(+y/-y)을 향해 돌출된 이탈방지돌기(7)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롤러는 원통형의 본체부(32) 및 상기 본체부(32)의 양 단부로부터 돌출된 두 개의 회전축(31)들을 포함하며,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이탈방지돌기(7)들 간의 최단거리(d1)는 상기 본체부(31)의 지름(R1)보다 작고,
    각각의 상기 이탈방지돌기(7)의 x-y평면 단면의 프로파일은, 상기 최단거리(d1)의 산출 기준점이 되는 상기 두 개의 상기 이탈방지돌기(7)들의 각 지점(71)으로부터 -z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본체부(32)의 y축 방향 길이는, 상기 제1측벽(211)의 내측벽과 상기 제2측벽(212)의 내측벽 간의 거리보다 작으며,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두 개의 상기 이탈방지돌기(7)들 간의 y축 방향 최단거리보다 큰,
    롤러 스테이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롤러들(3) 중에서, 상기 복수 개의 안착홈들(22) 중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두 개의 상기 안착홈들로 이루어진 제1안착홈 페어에 배치된 제1롤러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두 개의 회전축(31)은, 상기 제1안착홈 페어(22)에 배치된 상기 제1측벽(211)의 상측면과 상기 제2측벽(212)의 상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어 지지되도록 되어 있는,
    롤러 스테이지.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이탈방지돌기(7)는 +x축 방향 또는 -x축 방향의 힘을 받았을 때에, 상기 힘의 방향으로 휘었다가 복원되는 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
    롤러 스테이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23)는, 상기 제1측벽(211) 및 상기 제2측벽(212)에 교차하여 상기 제1측벽(211)과 상기 제2측벽(212)를 연결하며, 상기 복수 개의 안착홈들(22)과 수직방향으로 정렬되어 배치된 복수 개의 브릿지 펜스(bridge fence)(233)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롤러 스테이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롤러 스테이지(2), 및 상기 롤러 스테이지(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복수 개의 롤러들(3)을 포함하는 쇼케이스용 선반(1).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스테이지(2)에 결합되어 상기 롤러 스테이지(2)를 고정하는 고정틀(6); 및
    상기 고정틀(6)의 선단 및 말단에 끼워지는 앤드캡(5);
    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틀(6)은 x축 방향을 따라 +z축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레일부(61)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 스테이지(2)가 상기 레일부(61)를 따라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상기 각각의 상기 브릿지 펜스(233)에는 상기 레일부(61)와 수직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걸림홈(25)이 형성되어 있는,
    쇼케이스용 선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롤러 스테이지(2), 및 상기 롤러 스테이지(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복수 개의 롤러들(3)을 포함하는 쇼케이스용 선반(1)을 포함하는 쇼케이스.
  8. 쇼케이스용 선반(1)에 장착되며, 복수 개의 롤러들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롤러 스테이지(2)로서,
    바닥부(23);
    상기 바닥부(23)의 일 측 가장자리와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z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1측벽(211) 및 제2측벽(212);
    상기 제1측벽(211) 및 상기 제2측벽(212)으로부터 각각 상기 +z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제1측벽(211) 및 상기 제2측벽(212)의 길이방향인 +x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돌출부들(29); 및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돌출부들(29) 사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안착홈들(22);
    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돌출부(29)의 내벽에는 내측방향(+y/-y)을 향해 돌출된 이탈방지돌기(7)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롤러는 원통형의 본체부(32) 및 상기 본체부(32)의 양 단부로부터 돌출된 두 개의 회전축(31)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롤러의 상기 롤러 스테이지로의 결합 및 상기 롤러 스테이지로부터의 이탈은, 상기 이탈방지돌기(7)가 상기 본체부(32)의 z방향으로의 이동을 가로 막음(block)으로써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테이지.
KR1020190178020A 2019-12-30 2019-12-30 쇼케이스, 쇼케이스용 선반, 및 쇼케이스용 선반을 위한 롤러 스테이지 KR102283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020A KR102283691B1 (ko) 2019-12-30 2019-12-30 쇼케이스, 쇼케이스용 선반, 및 쇼케이스용 선반을 위한 롤러 스테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020A KR102283691B1 (ko) 2019-12-30 2019-12-30 쇼케이스, 쇼케이스용 선반, 및 쇼케이스용 선반을 위한 롤러 스테이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216A true KR20210085216A (ko) 2021-07-08
KR102283691B1 KR102283691B1 (ko) 2021-07-30

Family

ID=76893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020A KR102283691B1 (ko) 2019-12-30 2019-12-30 쇼케이스, 쇼케이스용 선반, 및 쇼케이스용 선반을 위한 롤러 스테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369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966B1 (ko) * 2007-12-12 2008-05-13 세대산전 주식회사 쇼케이스용 선반
KR200459144Y1 (ko) * 2011-11-24 2012-03-21 (주)편의점장비 쇼케이스 냉장고의 롤링 선반
KR101389747B1 (ko) * 2013-04-09 2014-05-27 세대산전 주식회사 상품 진열 선반
KR20160094454A (ko) * 2015-01-07 2016-08-10 이홍근 쇼케이스 롤러 선반용 롤러 장치
KR20170078485A (ko) * 2015-12-29 2017-07-07 신금철 쇼케이스용 선반
KR20180041943A (ko) * 2016-10-17 2018-04-25 김한을 쇼케이스용 선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966B1 (ko) * 2007-12-12 2008-05-13 세대산전 주식회사 쇼케이스용 선반
KR200459144Y1 (ko) * 2011-11-24 2012-03-21 (주)편의점장비 쇼케이스 냉장고의 롤링 선반
KR101389747B1 (ko) * 2013-04-09 2014-05-27 세대산전 주식회사 상품 진열 선반
KR20160094454A (ko) * 2015-01-07 2016-08-10 이홍근 쇼케이스 롤러 선반용 롤러 장치
KR20170078485A (ko) * 2015-12-29 2017-07-07 신금철 쇼케이스용 선반
KR20180041943A (ko) * 2016-10-17 2018-04-25 김한을 쇼케이스용 선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3691B1 (ko) 202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69196A1 (en) Mounting bracket for slide assembly
US6937297B2 (en) Liquid displa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fixing pieces on corners of its panel module
KR101427240B1 (ko) 이중 마루 내진 보강장치
KR102283691B1 (ko) 쇼케이스, 쇼케이스용 선반, 및 쇼케이스용 선반을 위한 롤러 스테이지
JP2016213163A (ja) 光源カバー、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EP4275549A1 (en) Prefabricated shelf
JP6628977B2 (ja) 光源カバー、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EP2848158B1 (en) Mounting bracket for slide assembly
KR102098932B1 (ko) 샤시 체결을 위한 수평형 조이너와 수직형 조이너, 그리고 이를 이용한 샤시 체결 구조
JP2002000376A (ja) スライドレール
KR102049583B1 (ko) 무용접 방식으로 트러스를 연결하는 브라켓
JP6701037B2 (ja) 分割枠材及び建具
KR101958592B1 (ko) 조립식 가구
KR200484266Y1 (ko) 클립장치
JP2024002018A (ja) 枠体、パネル体、及びパネル体の製造方法
JP4219255B2 (ja) 共有空間構造体
JP2005042496A (ja) 外壁材用取付金具、それを用いた壁面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493092Y1 (ko) 키오스크용 디스플레이 프레임 조립체
JP5312082B2 (ja) ガラス手摺りおよびガラス手摺りの施工方法
JP2003105905A (ja) 家 具
JP6877517B2 (ja) 光源カバー、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JP4442860B2 (ja) 縦桟と横桟との連結構造
KR200486135Y1 (ko) 클립장치
KR101932758B1 (ko) 유리 고정부재가 구비된 창틀용 프레임
KR200153182Y1 (ko) 창문용 프레임의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