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135Y1 - 클립장치 - Google Patents

클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135Y1
KR200486135Y1 KR2020170003729U KR20170003729U KR200486135Y1 KR 200486135 Y1 KR200486135 Y1 KR 200486135Y1 KR 2020170003729 U KR2020170003729 U KR 2020170003729U KR 20170003729 U KR20170003729 U KR 20170003729U KR 200486135 Y1 KR200486135 Y1 KR 2004861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ions
square pipe
curved portions
clip devi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7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옥
Original Assignee
김선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옥 filed Critical 김선옥
Priority to KR20201700037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1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1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1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fixed by means of spr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 파이프에 장착되는 클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립장치는, 상기 사각 파이프의 제1면에 접하는 제1면 접촉부; 상기 제1면 접촉부의 양측단에서 각각 절곡되고 연장 형성되어 상기 사각 파이프의 제2면 및 제3면에 각각 접하는 제2 및 제3면 접촉부; 및 상기 제2 및 제3면 접촉부의 끝단이 한번 절곡되고 연장 형성되는 제1 및 제2끼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및 제3면 접촉부는, 일부가 절개되는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끼움부는, 상기 절개홈 방향으로 볼록한 제1 및 제2곡면부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절개홈의 내측으로 상기 곡면부의 일부가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클립장치{CLIP}
본 실시예는 클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이 간편하고 체결력이 향상되어 조립후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클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널 어셈블리는 벽면 및 천장에 시공된다. 이 때, 패널 어셈블리는 지지프레임을 벽면 및 천장에 시공한다.
사용자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외부패널을 결합한다. 상기 외부패널의 일측에는 나사 등이 삽입되어 결합하는 홈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외부패널의 서로 인접하여 부분이 서로 겹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외부패널을 나사 등을 통하여 고정함으로써 지지프레임에 고정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나사 등으로 지지프레임에 외부패널을 고정하는 경우 패널 어셈블리를 조립하는데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나사 등이 외부로 돌출되어 미관을 저감시키고 외부의 사용자가 나사 등으로 인하여 신체상 손해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패널 어셈블리는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7-0000587호(2017.2.15 공개)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고정클립에 의해 지지프레임에 체결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고정클립의 체결력이 약하여 체결후에 외부패널이 쉽게 분리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 외부패널이 장착후 예기치 않게 분리 이탈될 경우, 지나가는 행인에게 떨어질 수 있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크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7-0000587호(2017.2.15 공개)
본 실시예는 조립이 간편하고, 체결력이 향상되어 조립후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클립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클립장치는, 사각 파이프에 장착되는 클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립장치는, 상기 사각 파이프의 제1면에 접하는 제1면 접촉부; 상기 제1면 접촉부의 양측단에서 각각 절곡되고 연장 형성되어 상기 사각 파이프의 제2면 및 제3면에 각각 접하는 제2 및 제3면 접촉부; 및 상기 제2 및 제3면 접촉부의 끝단이 한번 절곡되고 연장 형성되는 제1 및 제2끼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및 제3면 접촉부는, 일부가 절개되는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끼움부는, 상기 절개홈 방향으로 볼록한 제1 및 제2곡면부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절개홈의 내측으로 상기 곡면부의 일부가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곡면부는, 돌기부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클립장치는, 사각 파이프에 장착되는 클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립장치는, 상기 사각 파이프의 제1면에 접하는 제1면 접촉부; 및 상기 제1면 접촉부의 양측단에서 각각 절곡되고 연장 형성되어 상기 사각 파이프의 제2면 및 제3면에 각각 접하는 제2 및 제3면 접촉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및 제3면 접촉부는, 일부가 절개되어 절개홈과 절개판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절개판은, 상기 절개홈 방향으로 볼록한 제1 및 제2곡면부와, 상기 절개홈 방향으로 오목한 제3 및 제4곡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절개홈의 내측으로 상기 제1 및 제2곡면부의 일부가 위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곡면부의 끝단은 상기 절개홈 외측에 위치되어 외부패널의 장착부가 상기 제1 및 제2곡면부와 상기 제2 및 제3면 접촉부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절개판의 제1 및 제2곡면부는, 돌기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클립장치는, 제1면 접촉부에 슬롯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클립장치에 절개홈이 형성되고 절개홈의 내측으로 곡면부의 일부가 위치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외부패널의 체결부가 클립장치에 삽입될 때 보다 강한 압력으로 밀착 고정되어 외부패널들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클립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방향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클립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도 3의 B-B'방향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클립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방향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클립장치(100)는, 일측이 개방되어 삽입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사각 파이프(200)이 삽입공간으로 끼워져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의 체결 구조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클립장치(100)는, 사각 파이프(200)의 제1면(210)에 접하는 제1면 접촉부(110)와, 사각 파이프(200)의 제2면(220)에 접하는 제2면 접촉부(120)와, 사각 파이프(200)의 제3면(230)에 접하는 제3면 접촉부(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사각 파이프(200)의 제1면(210)의 양단은, 제2면(220) 및 제3면(230)에 각각 90도의 각도로 접하도록 구성되어 제1,2,3면(210,220,230)이 'ㄷ'형태로 결합된다.
클립장치(100)는, 상기 사각 파이프(200)의 제1,2,3면(210,220,230)에 대응되도록 제1,2,3면 접촉부(110,120,130)가 구비된다.
즉, 본 고안의 클립장치(100)는, 제1면 접촉부(110)의 양측단에서 각각 절곡되고 연장 형성되어 사각 파이프(200)의 제1면(210)과 접하는 제1면 접촉부(110)가 구비되고, 사각 파이프(200)의 제2면(220) 및 제3면(230)에 각각 접하는 제2 및 제3면 접촉부(120,130)이 구비되어 단면이 'ㄷ'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클립장치(100)는, 제2 및 제3면 접촉부(120,130)의 끝단이 한번 절곡되고 연장 형성되는 제1 및 제2끼움부(140,150)를 포함하고, 제2 및 제3면 접촉부(120,130)는, 일부가 절개되는 절개홈(120a,130a)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끼움부(140,150)는, 절개홈(120a,130a)의 방향으로 볼록한 제1 및 제2곡면부(140a,150a)가 각각 구비되며, 제1 및 제2곡면부(140a,150a)의 일부가 절개홈(120a,130a)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위치되도록 제1 및 제2곡면부(140a,150a)의 폭은 절개홈(120a,130a)보다 좁게 형성된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립장치(100)는, 제1 및 제2곡면부140a,150a)에 돌기부(141,151)가 구비될 수 있다.
돌기부(141,151)는, 사각 파이프(200)이 클립장치(100)에 삽입될 때 사각 파이프(200)의 제2면(220) 및 제3면(230)과 제1 및 제2곡면부(140a,150a)가 접하게 되고, 이후에 외부패널(미도시)의 장착부가 제1 및 제2곡면부(140a,150a)와 제2 및 제3면 접촉부(120,130) 사이에 끼워질때 외부패널(300)의 장착부(310) 일측면을 압착시키며 더욱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클립장치(100)는 사각 파이프(200)과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별도의 앵커볼트(미도시)를 체결하는 슬롯부(110a)가 제1면 접촉부(1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립장치(100)는, 제1 및 제2끼움부(140,150)를 형성하기 위해 제2 및 제3면 접촉부(120,130)의 끝단을 한번 절곡하였기 때문에 제1 및 제2끼움부(140,150)에는 절개홈(120a,130a)의 방향으로 오목한 제3 및 제4곡면부(140b,150b)가 형성된다.
한편,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클립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방향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클립장치(400)는, 일측이 개방되어 삽입공간이 형성됨으로써 도 1의 사각 파이프(200)이 삽입공간으로 끼워져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클립장치(400)는, 도 1에 도시된 사각 파이프(200)이 삽입되면 사각 파이프(200)의 제1,2,3면(210,220,230)에 각각 접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제1,2,3면 접촉부(410,420,430)가 구비되어 단면이 대략 'ㄷ'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클립장치(400)에서 제2 및 제3면 접촉부(420,430)는, 일부가 절개되어 절개홈(420a,430a)과 절개판(440,450)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절개판(440,450)은, 절개홈(420a,430a) 방향으로 볼록한 제1 및 제2곡면부(440a,450a)가 구비되고, 절개홈(420a,430a)의 방향으로 오목한 제3 및 제4곡면부(440b,450b)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곡면부(440a,450a)는, 절개홈(420a,430a)의 내측으로 일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제1곡면부(440a)와 제3곡면부(440b), 제2곡면부(450a)와 제4곡면부(450b)가 서로 연결되며 절개판(440,450)은 전체적으로 S형의 단면을 갖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립장치(400)는, 도 3 및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 및 작용과 동일하게 제1 및 제2곡면부(440a,450a)에 돌기부(미도시)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클립장치(400)는 사각 파이프(200)과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별도의 앵커볼트(미도시)를 체결하는 슬롯부(410a)가 제1면 접촉부(4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사각 파이프에 끼워지는 클립장치(100,400)를 제공한다.
특히, 클립장치(100,400)에 절개홈(120a,130a,420a,430a)과 절개홈(120a,130a,420a,430a) 내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위치되는 곡면부(140a,150a,440a,450a)가 형성됨으로써 사각 파이프(200)이 클립장치(100,4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각 파이프(200)과 곡면부(140a,150a,440a,450a) 간의 간격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강한 압착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클립장치(100,400)와 사각 파이프(2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패널(300)의 장착부(310)가 클립장치(100,400)의 곡면부(140a,150a,440a,450a)와 사각 파이프(200)사이에 삽입될때, 외부패널(300)의 장착부(310)을 강하게 가압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파이프(200)에 적용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다른 형상의 다각형 파이프나, 원형 파이프에 외부패널(300)을 조립하는 곳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클립장치(100,400)는 삽입공간의 형상을 원형 파이프나 다각형 다이프의 형상에 맞도록 변형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클립장치(100,400)는 외부패널(300)이 장착될 때 보다 강한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시공후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클립장치
110: 제1면 접촉부
120: 제2면 접촉부
130: 제3면 접촉부
140: 제1끼움부
150: 제2끼움부
200: 사각 파이프
300: 외부패널

Claims (3)

  1. 사각 파이프에 장착되는 클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립장치는,
    상기 사각 파이프의 제1면에 접하는 제1면 접촉부; 및
    상기 제1면 접촉부의 양측단에서 각각 절곡되고 연장 형성되어 상기 사각 파이프의 제2면 및 제3면에 각각 접하는 제2 및 제3면 접촉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및 제3면 접촉부는,
    일부가 절개되어 절개홈과 절개판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절개판은,
    상기 절개홈 방향으로 볼록한 제1 및 제2곡면부와, 상기 절개홈 방향으로 오목한 제3 및 제4곡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절개홈의 내측으로 상기 제1 및 제2곡면부의 일부가 위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곡면부의 끝단은 상기 절개홈 외측에 위치되어 외부패널의 장착부가 상기 제1 및 제2곡면부와 상기 제2 및 제3면 접촉부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클립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개판의 제1 및 제2곡면부는,
    상기 외부패널의 장착부를 가압하도록 돌기부가 구비되는, 클립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면 접촉부는,
    슬롯(slot)부가 구비되는, 클립장치.
KR2020170003729U 2017-07-18 2017-07-18 클립장치 KR2004861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729U KR200486135Y1 (ko) 2017-07-18 2017-07-18 클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729U KR200486135Y1 (ko) 2017-07-18 2017-07-18 클립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240U Division KR200484266Y1 (ko) 2017-05-08 2017-05-08 클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135Y1 true KR200486135Y1 (ko) 2018-04-06

Family

ID=61969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729U KR200486135Y1 (ko) 2017-07-18 2017-07-18 클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135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336B1 (ko) * 2012-10-18 2013-02-06 우리산업 주식회사 데크로드 시스템의 데크 상판 고정장치
KR20160019719A (ko) * 2014-08-12 2016-02-22 주식회사 광스틸 착탈식 금속 패널 시스템
KR20170000587U (ko) 2015-08-04 2017-02-15 이해식 판넬 고정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336B1 (ko) * 2012-10-18 2013-02-06 우리산업 주식회사 데크로드 시스템의 데크 상판 고정장치
KR20160019719A (ko) * 2014-08-12 2016-02-22 주식회사 광스틸 착탈식 금속 패널 시스템
KR20170000587U (ko) 2015-08-04 2017-02-15 이해식 판넬 고정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8113B2 (en) Telescoping mounting system for a recessed luminaire
KR101266585B1 (ko)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
KR200484266Y1 (ko) 클립장치
KR200486135Y1 (ko) 클립장치
JP2008025825A (ja) 配線・配管材保持具
US9874025B2 (en) Sheet fixing frame
KR20060009743A (ko) 배선덕트의 연결구조
JP6486110B2 (ja) 垂れ壁部材と垂れ壁
KR102010616B1 (ko) 루프랙 체결용 스페이서 및 이를 구비한 루프랙 조립체
JP6008918B2 (ja) パネル取付構造体及び構造物組立方法
JP2005164178A (ja) アルミニウム製防護屋根
JPH11190092A (ja) 天井野縁の連結具
KR101977790B1 (ko)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장치, 접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KR200360249Y1 (ko) 천정패널 고정행거
JP5410356B2 (ja) 嵌合部材及び建具
JP5863544B2 (ja) 配線器具取付体及び配線器具取付体の設置方法
JP4366302B2 (ja) 取着体およびビス固定部材
JP2006129675A (ja) 固定具
KR200300960Y1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구
JP2005317356A (ja) シャーシおよび照明器具
JP2005093270A (ja) 自己調芯型コネクタ
JP4994410B2 (ja) 取付具
JP2001188134A (ja) 光アダプタ用パネル取付金具
WO2009145367A1 (en) Deck fastener and structure for connecting deck board
JP2007162332A (ja) Alc下り壁下端水きりの取付け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