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4438A - 가식 부착 적층체, 광학 적층체 및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가식 부착 적층체, 광학 적층체 및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4438A
KR20210084438A KR1020217009294A KR20217009294A KR20210084438A KR 20210084438 A KR20210084438 A KR 20210084438A KR 1020217009294 A KR1020217009294 A KR 1020217009294A KR 20217009294 A KR20217009294 A KR 20217009294A KR 20210084438 A KR20210084438 A KR 20210084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indow
laminate
adhesive
decor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9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9805B1 (ko
Inventor
유타 와타나베
타카노부 야노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84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4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6Hard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Abstract

가식 부착 적층체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와,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에 협지되는 점착 부재와, 상기 점착 부재와 접촉하도록 설치된 가식층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에서 상기 제2 부재보다도 시인 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점착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가식 부착 적층체를 평평하게 둔 상태에서, 상기 제1 부재를 시인 측에서 보았을 때의 중심에서의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점착 부재와의 계면의 적층 방향의 위치를 L10으로 하고, 상기 중심에서의 상기 제1 부재의 시인 측의 표면의 상기 적층 방향의 위치를 L11로 하며,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가식층과 대향하는 부분에서의 시인 측에 가장 가까운 위치를 L12로 할 때, L10에서 L11까지의 높이 A1과 L10에서 L12까지의 높이 B1은, A1<B1의 조건을 충족한다.

Description

가식 부착 적층체, 광학 적층체 및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은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가식 부착 적층체(decorated laminate), 이를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및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는 예컨대 윈도우 부재와, 광학 필름과,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패널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는 또한 터치 센서를 구비하는 경우도 있다.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이들 부재 사이 또는 부재 내에는 접착층 또는 점착층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의 조립에,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의 패널 부재를 제외한 적층 구조를 세퍼레이터로 유지시킨 상태의 광학 적층체가 제공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광학 적층체의 세퍼레이터를 박리하여 패널 부재와 첩합(貼合)하면,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또는 광학 적층체에서는,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부의 외주에 구동 소자 또는 터치 센서의 인출 배선이 존재한다. 그 때문에,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또는 광학 적층체에는, 인출 배선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가식층이 설치되어 있다. 가식층은 통상적으로 터치 센서보다도 시인 측에서 점착층과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전면판과 첩합층과 배면판을 적층 방향으로 순서대로 구비하는 광학 적층체로서, 상기 배면판의 상기 첩합층의 제1 표면 위 또는 상기 제1 표면과는 반대 측의 제2 표면 위의 일부에 설치된 착색층을 더 구비하는 광학 적층체를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은, 광학 적층체가 착색층과는 접촉하지 않는 차폐층을 더 구비하는 것도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착색층(40)이 편광판(60a)의 제1 첩합층(20) 측의 표면 위의 일부에 설치되고, 차폐층(50)이 편광판(60a)의 제2 첩합층(21) 측의 표면 위의 일부에 설치되어 있는 예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착색층(40)이 편광판(60a)과 터치 센서(70)와의 사이에서 터치 센서의 제2 첩합층(21) 측의 표면 위의 일부에 설치되어 있는 예도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는, 편광자와 위상차 필름과 평활화층을 포함하고, 해당 위상차 필름의 주연부에 가식층에 상당하는 인쇄층이 형성되어 있는 광학 부재를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액정 표시 장치가 광학 부재와 액정 셀과 편광판을 시인 측으로부터 이 순서로 구비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9-191560호(청구항 1 및 2, 도 6 및 도 8)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6-65928호(청구항 1, [0067])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또는 광학 적층체에서 가식층을 설치하면 인출 배선 등을 은폐할 수 있다. 그러나, 시인 측에서 보았을 때, 가식층의 측부 주변이 하얗게 빛나고, 외견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가식 부착 적층체로서,
상기 가식 부착 적층체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와,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에 협지되는 점착 부재와, 상기 점착 부재와 접촉하도록 설치된 가식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에서 상기 제2 부재보다도 시인 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점착 부재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가식 부착 적층체를 평평하게 둔 상태에서, 상기 제1 부재를 시인 측에서 보았을 때의 중심에서의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점착 부재와의 계면의 적층 방향의 위치를 L10으로 하고, 상기 중심에서의 상기 제1 부재의 시인 측의 표면의 상기 적층 방향의 위치를 L11로 하며,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가식층과 대향하는 부분에서의 시인 측에 가장 가까운 위치를 L12로 할 때, L10에서 L11까지의 높이 A1과 L10에서 L12까지의 높이 B1은, A1<B1의 조건을 충족하는 가식 부착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상기 가식 부착 적층체를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로서,
상기 광학 적층체는
윈도우 부재와,
상기 윈도우 부재에 적층된 부재 A와,
상기 윈도우 부재에 상기 부재 A를 개재하여 적층된 부재 B와,
상기 윈도우 부재에 상기 부재 A 및 상기 부재 B를 개재하여 적층된 세퍼레이터와,
상기 가식층과 접촉하는 상기 점착 부재를 포함하는 복수 층의 점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부재 A 및 상기 부재 B의 한쪽은 광학 필름이고, 다른 쪽은 터치 센서이며,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윈도우 부재 또는 상기 광학 필름을 구성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윈도우 부재, 상기 광학 필름, 상기 터치 센서 또는 상기 세퍼레이터를 구성하며,
상기 터치 센서보다도 시인 측에 상기 가식층이 설치되어 있는 광학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상기 가식 부착 적층체를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로서,
상기 광학 적층체는
윈도우 부재와,
상기 윈도우 부재에 적층된 광학 필름과,
상기 윈도우 부재에 상기 광학 필름을 개재하여 적층된 세퍼레이터와,
상기 가식층과 접촉하는 상기 점착 부재를 포함하는 복수 층의 점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윈도우 부재 또는 상기 광학 필름을 구성하며,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윈도우 부재, 상기 광학 필름 또는 상기 세퍼레이터를 구성하고,
상기 세퍼레이터보다도 시인 측에 상기 가식층이 설치되어 있는 광학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은, 상기 가식 부착 적층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상기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는
윈도우 부재와,
상기 윈도우 부재에 적층된 부재 A와,
상기 윈도우 부재에 상기 부재 A를 개재하여 적층된 부재 B와,
상기 윈도우 부재에 상기 부재 A 및 상기 부재 B를 개재하여 적층된 부재 C와,
상기 가식층과 접촉하는 상기 점착 부재를 포함하는 복수 층의 점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부재 A 및 상기 부재 B의 한쪽은 광학 필름이고, 다른 쪽은 터치 센서이며,
상기 부재 C는 적어도 패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윈도우 부재 또는 상기 광학 필름을 구성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윈도우 부재, 상기 광학 필름 또는 상기 터치 센서를 구성하며,
상기 터치 센서보다도 시인 측에 상기 가식층이 설치되어 있는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5 측면은, 상기 가식 부착 적층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상기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는
윈도우 부재와,
상기 윈도우 부재에 적층된 광학 필름과,
상기 윈도우 부재에 상기 광학 필름을 개재하여 적층된 터치 센서 부착 패널 부재와,
상기 가식층과 접촉하는 상기 점착 부재를 포함하는 복수 층의 점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윈도우 부재 또는 상기 광학 필름을 구성하며,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윈도우 부재, 상기 광학 필름 또는 상기 터치 센서 부착 패널 부재를 구성하고,
상기 터치 센서 부착 패널 부재보다도 시인 측에 상기 가식층이 설치되어 있는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또는 광학 적층체에서 가식층을 설치하였을 때의 외견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가식 부착 적층체의 A1, B1, A2, 및 B2를 표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제2 실시형태의 가식 부착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제3 실시형태의 가식 부착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제4 실시형태의 가식 부착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제5 실시형태의 가식 부착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제6 실시형태의 가식 부착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 4의 가식 부착 적층체의 가식층 및 그의 내측의 측부 주변을 시인 측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도 9a는 비교예 1의 가식 부착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9b는 비교예 2의 가식 부착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은 비교예 1의 가식 부착 적층체의 가식층 및 그의 내측의 측부 주변을 시인 측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또는 광학 적층체는 복수의 구성 부재가 적층된 구조를 갖고 있다. 인접하는 구성 부재 사이 또는 구성 부재 내에 점착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를 굴곡시켰을 때의 응력을 점착 부재에 의해 완화하기 쉬워진다. 점착 부재는 경화에 의해 각 부재 사이 또는 각 부재를 구성하는 층 사이를 접착하는 접착 부재와는 달리, 각 부재 사이 또는 층 사이를 첩합한 상태에서도 높은 점성을 구비하기 때문이다.
또한, 접착 부재는 경화한 접착제이고, 유동성을 갖지 않는 것이다. 한편, 점착 부재는 비경화성 접착제이며, 유동성을 갖는다.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또는 광학 적층체에서, 가식층은 예컨대 점착 부재와 접촉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가식층은 시인 측으로부터 인출 배선이 보이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가시광의 투과성이 낮다. 그 때문에, 가식층은 패널 부재의 시인성이 손상되지 않도록 시인 측에서 보았을 때, 예컨대 외연측의 일부에 설치된다. 또한, 공업적으로 높은 생산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가식층과 점착 부재는 통상적으로 각각 별개로 제작되고 적층되어 압착된다. 점착 부재는 유동성 및 높은 점성을 구비하기 때문에, 일부에 설치된 가식층의 단차를 점착 부재에 의해 어느 정도 흡수할 수 있다. 그러나,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또는 광학 적층체에서, 보다 시인 측에 배치되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와 이들 부재에 협지되는 점착 부재를 포함하는 적층체에 착목하였을 때, 점착 부재와 접촉하도록 가식층을 설치하면, 시인 측에서 보았을 때에 가식층의 측부 주변이 하얗게 빛나고, 외견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시인 측에서 보았을 때에는, 가식층의 측부 주변이 하얗게 빛나는 경우에도, 시인 측과는 반대 측에서 적층체를 보았을 때에는 하얗게 빛나는 현상은 거의 관찰되지 않는다. 가식층의 측부 주변이 하얗게 빛나는 경우, 가식층의 내측의 측부를 따라 하얗게 빛나는 선이 관찰되는 경우가 많다.
상기와 같은 하얗게 빛나는 현상이 일어나는 메커니즘의 상세는 확실하지 않지만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한 것으로 추측된다. 우선,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점착 부재를 개재하여 압착시켰을 때, 가식층이 배치되어 있으면, 가식층이 두께를 포함함으로써 제1 부재, 제2 부재 및 점착 부재의 가식층과 대향하는 부분에는 응력이 가해진다. 점착 부재의 유동성 및 점성에 의해 어느 정도의 응력은 점착 부재에 의해 완화된다. 그러나, 모든 응력이 완화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부재 및 제2 부재에 응력이 가해진다. 제2 부재의 가식층과 대향하는 부분이 가식층에 의해 가압되면, 제2 부재는 가식층과 대향하는 부분으로부터 시인 측에서 보았을 때의 중심 측을 향해 시인 측에 볼록하게 된 상태로 변형된다. 특히, 가식층의 측부 주변에서는, 가식층에 의해 제2 부재에 큰 왜곡이 생기고, 볼록하게 된 부분에서 제2 부분의 표면의 경사가 커진다. 이 경사가 큰 볼록면의 부분에서는, 시인 측에서의 광선이 반사하기 쉬워짐으로써, 시인 측에서 보았을 때에 가식층의 측부 주변이 하얗게 빛나는 현상이 일어난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은 과제에 비추어, 본 발명에 따른 가식 부착 적층체는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또는 광학 적층체)에 이용되는 것이다. 가식 부착 적층체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와, 제1 부재 및 제2 부재에 협지되는 점착 부재와, 점착 부재와 접촉하도록 설치된 가식층을 구비한다. 제1 부재는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에서 제2 부재보다도 시인 측에 배치된다. 제1 부재 및 제2 부재는 점착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다. 가식 부착 적층체를 평평하게 둔 상태에서, 제1 부재를 시인 측에서 보았을 때의 중심에서의 제1 부재와 상기 점착 부재와의 계면의 적층 방향의 위치를 L10으로 하고, 상기 중심에서의 제1 부재의 시인 측의 표면의 적층 방향의 위치를 L11로 하며, 제1 부재의 가식층과 대향하는 부분에서의 시인 측에 가장 가까운 위치를 L12로 할 때, L10에서 L11까지의 높이(또는 거리) A1과 L10에서 L12까지의 높이(또는 거리) B1은, A1<B1의 조건을 충족한다.
또한, 본 명세서 중 가식 부착 적층체,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또는 광학 적층체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적층 방향(환언하면, 각 부재의 평균적인 두께 방향)에서, 각 부재 또는 각 부재를 구성하는 층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또는 광학 적층체의 '시인 측' 또는 '시인 측과는 반대 측'이라는 표현을 이용하여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중 가식 부착 적층체란, 가식층을 구비하는 적층체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가식 부착 적층체에서는, 제1 부재의 가식층과 대향하는 부분을 시인 측을 향해 변형시킨다. 즉, 가식층에 의한 응력을 제1 부재의 변형에 의해 제1 부재에 흡수시킨다. 가식층에 의한 응력을 제1 부재에 흡수시킴으로써, 제2 부재에 가해지는 응력이 상대적으로 경감된다. 이로 인해, 제2 부재의 가식층과 대향하는 부분에서의 변형이 저감되고, 시인 측에서의 광선의 반사가 억제된다고 생각된다. 그 결과, 가식층의 측부 주변이 하얗게 빛나는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가식층을 설치하였을 때의 외견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의 가식층과 대향하는 부분을 크게 변형시켜도, 가식층의 측부 주변이 하얗게 빛나는 현상은 관찰되지 않는다. 이것은, 시인 측에서 보았을 때에 하얗게 빛나는 현상이 관찰되어도, 시인 측과는 반대 측에서 보았을 때에 하얗게 빛나는 현상이 관찰되지 않는 것과 유사하다고 생각된다. 즉, 제1 부재의 가식층의 대향하는 부분이 가식층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변형하여도, 외연측의 부분이 시인 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변형한다. 그 때문에, 제1 부재의 표면의 경사가 큰 부분은 시인 측에서 보면 오목면이 된다. 이와 같은 오목면에서는 시인 측에서의 광선이 산란되기 때문이거나, 하얗게 빛나는 현상은 관찰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광학 적층체는 세퍼레이터를 박리한 상태에서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의 조립에 제공된다. 그 때문에, 제2 부재가 세퍼레이터인 경우, 세퍼레이터의 변형이 현저하여도,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에서는 외견의 저하가 현저하게는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광학 적층체의 상태에서 유통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제2 부재가 세퍼레이터인 광학 적층체이어도 상기와 같은 하얗게 빛나는 현상이 관찰되지 않는 것이 요구된다.
가식 부착 적층체에서, 제1 부재의 변형의 정도를 나타내는 (B1-A1)는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2 부재의 변형을 억제하는 효과가 더 높아진다.
제2 부재를 시인 측에서 보았을 때의 중심에서의 제2 부재와 점착 부재와의 계면의 적층 방향의 위치를 L20으로 하고, 상기 중심에서의 제2 부재의 시인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의 적층 방향의 위치를 L21로 하며, 제2 부재의 가식층과 대향하는 부분에서의 시인 측에서 가장 먼 위치를 L22로 하고, L20에서 L21까지의 높이(또는 거리)를 A2로 하며, L20에서 L22까지의 높이(또는 거리)를 B2로 할 때, (B1-A1)와 (B2-A2)는 동등하거나, 또는 (B1-A1)>(B2-A2)의 조건을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2 부재에 흡수되는 가식층에 의한 응력을 경감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응력을 제1 부재에 흡수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식층을 설치하였을 때의 외견을 향상하는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제2 부재에 흡수되는 가식층에 의한 응력을 경감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제1 부재에 응력을 흡수시키는 것이 가능한 관점에서, (B2-A2)≤5㎛의 조건을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식 부착 적층체를 평평하게 둔 상태란, 가식 부착 적층체의 적층 방향이 연직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수평한 대 위에 가식 부착 적층체(혹은, 가식 부착 적층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또는 광학 적층체)를 둔 상태이다.
(B1-A1) 및 (B2-A2)는 각각 가식 부착 적층체,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또는 광학 적층체를, 상기 중심을 통하거나 또한 가식층을 절단한 듯한 단면의 화상에 근거하여 측정된다. 이와 같은 단면의 화상은 X선 CT(Computed Tomography)에 의해 촬영할 수 있다.
제1 부재의 탄성률(GPa)을 E1로 하고, 제1 부재의 두께(mm)를 T1로 할 때, E1×T1로 나타내는 R1은 0.5kN/mm 이하의 조건을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률과 두께의 곱 R1은 제1 부재의 경도(또는 탄력)의 정도를 나타낸다. 제1 부재의 경도를 이와 같은 범위로 제어하면, 또한 제1 부재의 변형에 의해 가식층에 의한 응력을 흡수시키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제2 부재의 변형을 경감하는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각각에 흡수시키는 가식층에 의한 응력의 균형은, 각 부재의 경도(또는 탄력)에 의해서도 제어할 수 있다. 제2 부재의 탄성률(GPa)을 E2로 하고, 제2 부재의 두께(mm)를 T2로 할 때, 제2 부재의 경도 R2(또는 탄력)는 E2×T2로 나타낸다. 그리고, 제1 부재의 경도 R1과 제2 부재의 경도 R2는 동등하거나, R2>R1의 조건을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은 관계는 상술한 (B1-A1)과 (B2-A2)가 동등하거나, 또는 (B1-A1)>(B2-A2)의 조건을 충족하는 관계와 실질적으로 같은 의미이다. 환언하면, R1과 R2가 동등한 경우, (B1-A1)과 (B2-A2)는 동등하다고 할 수 있으며, R2>R1인 경우, (B1-A1)>(B2-A2)이라고 할 수 있다. 각 부재의 변형의 균형은, 예컨대 각 부재의 경도의 균형을 조절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또한, R1과 R2가 동등하다는 것은, 0.5≤R2/R1≤2의 조건을 충족하는 범위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R2>R1의 경우, 비 R2/R1은 R2/R1>1이다. 그 때문에, 비 R2/R1은 R2/R1≥0.5를 충족한다고 할 수 있다. R2/R1≥0.5로 함으로써, 가식층에 의한 제2 부재의 변형을 보다 효과적으로 경감할 수 있다.
R1(kN/mm)는 0.01≤R1≤2.5를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2(kN/mm)는 0.01≤R2≤2.5를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각각의 경도가 이와 같은 범위인 경우, 제2 부재의 변형을 경감하면서, 제1 부재와 제2 부재와의 사이에서 가식층에 의한 응력을 균형있게 분산시키기 쉽다.
비 R2/R1이 R2/R1>2의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제2 부재의 경도가 제1 부재에 비해 충분히 크다고 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식층에 의한 응력의 대부분을 제1 부재에 흡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2 부재의 변형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제2 부재의 경도 R2가 비교적 작은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가식층에 의해 제2 부재의 변형이 일어나기 쉽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비 R2/R1이 0.5≤R2/R1≤2의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가식층에 의한 응력을 제1 부재의 변형에 의해 완화하기 쉽다. 따라서, 제2 부재의 변형을 보다 효과적으로 경감할 수 있다. 여기서, R1 및 R2 각각은 0.5kN/mm 이하의 조건을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각각의 탄성률 E1 및 E2(GPa)은 각각, 각 부재의 측정용 샘플을 3개 준비하고, 각 샘플의 탄성률을 인장 시험에 의해 측정하여 평균화함으로써 얻어지는 평균값(산술 평균값)이다. 인장 시험은 하기의 장치를 이용하여 하기의 조건으로 행할 수 있다.
인장 시험기: (주)시마즈제작소 제조, 오토 그래프 AG-1S
컨트롤: 스트로크
표점 거리: 100mm
인장 속도: 50mm/min
탄성률 산출 범위: 10N/mm2∼20N/mm2
또한, 탄성률 측정용 샘플은 다음과 같이 하여 제작된다. 우선, 각 부재의 세로 및 가로의 탄성률을 측정한다. 이어서, 각 부재를, 탄성률이 높은 방향의 길이를 150mm로 하고 탄성률이 낮은 방향의 길이를 10mm로 하여 단책(短冊)상으로 커트함으로써 샘플이 제작된다. 각 부재의 커트에는, 예컨대 덤벨사 제조의 다목적 시험편 재단기가 이용된다.
각 부재의 경도 또는 그의 균형은, 예컨대 각 부재의 재질, 층 구성 및/또는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 가식 부착 적층체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가식층)
가식 부착 적층체에서, 가식층은 제1 부재와 제2 부재와의 사이에 협지되는 점착 부재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가식층은 예컨대 제1 부재의 제2 부재 측의 표면 및 제2 부재의 제1 부재 측의 표면의 적어도 한쪽에 배치되어 있다. 가식층에 의한 제2 부재의 변형을 저감하기 쉬운 관점에서는, 제1 부재의 제2 부재 측의 표면 또는 제2 부재의 제1 부재 측의 표면 중 어느 한쪽에만 가식층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부재가 세퍼레이터인 경우, 가식층은 제1 부재의 제2 부재 측의 표면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식층은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부의 외연 근방의 부분에 구동 소자 또는 터치 센서의 인출 배선이 외부로부터 시인되지 않도록, 통상적으로 프레임상의 패턴으로 설치된다. 그러나, 가식층의 형상은 프레임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인출 배선 등을 은폐할 수 있는 형상이면 된다.
가식층에는 시인 측으로부터의 광을 반사하지 않는 것과 더불어 시인 측과는 반대 측으로부터의 광을 차폐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가식층으로서는, 예컨대 잉크층, 금속 박막, 금속 미립자를 포함하는 박막으로 구성된다. 금속 미립자를 포함하는 박막은, 예컨대 금속 미립자와 바인더 수지를 포함한다. 가식층은 단층 구조여도 되고, 적층 구조여도 된다. 적층 구조의 가식층은 예컨대 잉크층, 금속 박막 및 금속 미립자를 포함하는 박막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2개의 적층체이어도 된다. 이 적층체에는 조성이 상이한 2개 이상의 잉크층, 조성이 상이한 2개 이상의 금속 박막, 또는 조성이 상이한 2개 이상의 금속 미립자를 포함하는 박막을 포함하는 적층체도 포함된다.
제2 부재의 변형을 저감하기 쉬운 관점에서, 가식층의 두께는 20㎛ 이하가 바람직하고, 15㎛ 이하여도 된다. 가식층에 의한 단차를 점착 부재에 의해 해소하기 쉬운 관점에서, 가식층의 두께를 10㎛ 이하로 하여도 되고, 8㎛ 이하 또는 5㎛ 이하로 하여도 된다. 또한, 가식층의 두께가 이와 같은 범위인 경우,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의 높은 내굴곡성을 확보하기 쉽다. 인출 배선의 보다 높은 은폐 효과를 확보하는 관점에서는, 가식층의 두께는 10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nm 이상 또는 50n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가식층의 두께의 상한치와 하한치는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가식층은 예컨대 상기 가식층이 형성되는 부재의 표면에, 가식층의 구성 성분을 포함하는 코팅제를 도포함으로써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가식층은 상기 가식층이 형성되는 부재의 표면에, 기상법으로 구성 성분을 퇴적시킴으로써 형성하여도 된다. 금속 박막의 경우, 특히 기상법을 이용함으로써 두께가 작은 가식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기상법으로서는 스퍼터법, 진공 증착법, 화학 기상 성장(CVD: Chemical Vapor Deposition)법, 전자선 증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식층이 형성되는 부재의 표면에는, 코팅제의 도포에 앞서 프라이머층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컨대, 가식층이 제1 부재의 제2 부재 측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가식층과 제1 부재의 제2 부재 측의 표면과의 사이에는 프라이머층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가식층이 제2 부재의 제1 부재 측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가식층과 제2 부재의 제1 부재 측의 표면과의 사이에는 프라이머층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프라이머층은 예컨대 금속 화합물(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 금속 탄화물, 금속 황화물 등) 및 수지 재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한다. 프라이머층은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 부재에 의해 가식층의 단차를 흡수하기 쉬운 것과 더불어, 프라이머층에 의한 광학적인 영향을 억제하기 쉬운 관점에서,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작은 쪽이 바람직하다.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예컨대 500nm 이하이고, 100nm 이하 또는 30nm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가식 부착 적층체를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또는 광학 적층체에 적용하였을 경우, 가식층이 예컨대 터치 센서(또는 터치 센서 부착 패널 부재)보다도 시인 측에서 적어도 1층의 점착 부재와 접촉하도록 배치된 상태로 하면 된다. 터치 센서를 포함하지 않는 광학 적층체에서 제2 부재가 세퍼레이터인 경우, 가식층은 세퍼레이터보다도 시인 측에서 적어도 1층의 점착 부재와 접촉하도록 배치된 상태로 하면 된다.
(점착 부재)
가식 부착 적층체에서는, 가식층이 점착 부재에 접촉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점착 부재의 유동성 또는 점성에 의해 가식층에 의한 응력을 완화할 수 있다.
보다 높은 응력 완화 효과를 확보하기 쉬운 관점에서, 점착 부재의 두께는 예컨대 3㎛ 이상이고, 5㎛ 이상 또는 6㎛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점착 부재의 층의 두께가 이와 같은 범위인 경우,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에서의 높은 굴곡성을 확보하기 쉬워진다. 점착 부재의 두께를 10㎛ 이상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가식층에 의한 단차를 흡수하기 쉽고, 가식층의 단부 부근에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가식층에 의한 단차를 흡수하기 쉬운 관점에서, 점착 부재의 두께를 가식층의 두께의 1.5배 이상으로 하여도 되고, 2배 이상 또는 2.5배 이상, 나아가 3배 이상으로 하여도 된다.
점착 부재의 두께는 50㎛ 이하여도 되고, 40㎛ 이하 또는 30㎛ 이하여도 된다. 점착 부재의 두께가 이와 같은 범위인 경우, 가식층에 의한 응력이 제1 부재 및 제2 부재에 전달하기 쉽고, 제2 부재가 보다 변형하기 쉽다. 그러나, 제1 부재와 제2 부재에서의 변형 또는 경도의 균형을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점착 부재의 두께가 이와 같은 범위여도, 제2 부재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점착 부재의 층의 두께의 하한치와 상한치는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예컨대, 점착 부재의 두께를 10㎛ 이상 50㎛ 이하(또는 40㎛ 이하 또는 30㎛ 이하)로 하여도 된다. 또한, 점착 부재의 두께를 가식층의 두께의 1.5배 이상, 50㎛ 이하(또는 40㎛ 이하 또는 30㎛ 이하)로 하여도 된다.
점착 부재의 두께는 가식 부착 적층체, 또는 가식 부착 적층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또는 광학 적층체의 단면의 X선 CT에 의한 화상에 기초하여 측정된다. 점착 부재의 두께는, 상기 단면의 화상에서 점착 부재의 가식층과 대향하지 않는 부분에 대하여 임의의 복수 개소(예컨대, 5개소)에서 두께를 측정하고 평균화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점착 부재의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통상적으로 10MPa 이하이고, 3MPa 이하여도 되며, 2MPa 이하 또는 1.5MPa 이하여도 된다. 점착 부재의 저장 탄성률이 이와 같은 범위인 경우, 높은 접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가식층에 의한 단차를 점착 부재로 흡수하여 제2 부재의 변형을 저감하는 효과를 더 향상시킬 수 있는 관점에서는, 점착 부재의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1MPa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 부재의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0.001MPa 이상이어도 되고, 0.005MPa 이상이어도 된다.
상술한 점착 부재의 저장 탄성률의 상한치와 하한치는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또한, 접착 부재의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10MPa보다 크고, 100MPa 이상이어도 되며, 통상적으로 1GPa 정도이다. 본 명세서 중 접착 부재란, 이와 같은 저장 탄성률을 갖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점착 부재는 접착 부재와는 저장 탄성률에 의해 구별된다.
점착 부재의 저장 탄성률은 JIS K 7244-1:1998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점착 부재를 이용하여 두께 약 1.5mm의 성형물을 제작한다. 이 성형물을 직경 7.9mm의 원반상으로 펀칭하여 시험편을 제작한다. 이 시험편을 패러렐 플레이트에 끼우고, 동적 점탄 측정 장치(예컨대, Rheometric Scientific사 제조 'Advanced Rheometric Expansion System(ARES)')를 이용하여 하기의 조건으로 점탄성의 측정을 행하고,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구한다. 또한, 접착 부재의 저장 탄성률도 점착 부재의 경우에 준하여 구할 수 있다.
(측정 조건)
변형 모드: 비틀림
측정 주파수: 1Hz
측정 온도: -40℃∼+150℃
승온 온도: 5℃/분
패널 부재의 높은 시인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점착 부재의 전 광선 투과율은 85% 이상이 바람직하고, 9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점착 부재의 전 광선 투과율은 JIS K 7136K:2000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측정에는 무 알칼리 유리(두께 0.8∼1.0mm, 전 광선 투과율 92%)에 점착 부재를 약 1.5mm의 두께가 될 때까지 배치한 시험편이 이용된다.
점착 부재는 점착제에 의해 구성된다. 점착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비닐알킬에테르계 점착제,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점착제, 폴리아크릴아미드계 점착제 및 셀룰로오스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에는 예컨대 베이스 폴리머, 가교제, 첨가제(예컨대, 점착 부여제, 커플링제, 중합 금지제, 가교 지연제, 촉매, 가소제, 연화제, 충전제, 착색제, 금속분,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산화 방지제, 열화 방지제, 계면활성제, 대전 방지제, 표면 윤활제, 레벨링제, 부식 방지제, 무기 또는 유기계 재료의 입자(금속 화합물 입자(금속 산화물 입자 등), 수지 입자 등) 등)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점착제로서 상기와 같은 저장 탄성률이 얻어지는 점착제를 이용하면, 가식층에 의한 응력을 완화하기 쉽기 때문에 유리하다.
점착 부재는, 예컨대 제1 부재 및 제2 부재 중 어느 한쪽의 표면에, 점착 부재를 구성하는 점착제를 도포하거나 시트상으로 성형된 점착제를 전사하거나 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다른 쪽을 점착 부재에 적층함으로써, 점착 부재가 제1 부재 및 제2 부재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부재 및 제2 부재 중 어느 한쪽의 표면에 가식층을 형성한 후에, 가식층을 덮도록 점착제를 도포하면 가식층이 흐트러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가식층과 점착 부재와는 따로 제작되어 적층된다. 이 경우, 가식층에 의한 제2 부재의 변형이 문제가 되기 쉽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에도, 제1 부재와 제2 부재로 변형 또는 경도의 균형을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제2 부재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제1 부재 및 제2 부재)
본 발명에서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로 변형 또는 경도의 균형을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제2 부재의 과도한 변형이 억제되고, 가식층을 설치하는 경우의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또는 광학 적층체의 외견의 저하가 억제된다.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각각은, 점착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점착 부재란, 상기와 같은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구비하는 점착 부재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B1-A1)는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 이상이어도 되며, 3㎛ 이상 또는 5㎛ 이상이어도 된다. (B1-A1)이 이와 같은 범위인 경우, 제2 부재의 변형을 억제하는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또는 광학 적층체의 시인 측의 표면의 높은 평활성을 확보하기 쉬운 관점에서, (B1-A1)는 예컨대 10㎛ 이하이다.
제2 부재의 변형의 정도를 나타내는 (B2-A2)는 5㎛ 이하가 바람직하고, 3㎛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B2-A2)가 이와 같은 범위인 경우,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또는 광학 적층체에서 보다 양호한 외견을 확보할 수 있다. (B2-A2)는 0㎛ 이상의 값을 취할 수 있다.
제1 부재 및 제2 부재에서의 변형의 정도의 관계는, (B1-A1)과 (B2-A2)가 동등하거나, 또는 (B1-A1)>(B2-A2)의 조건을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B1-A1)≥(B2-A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우,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또는 광학 적층체에서 보다 양호한 외견을 확보할 수 있다.
제1 부재의 경도 R1은, 예컨대 0.01kN/mm 이상이고, 0.05kN/mm 이상 또는 0.1kN/mm 이상이어도 된다. R1은 예컨대 2.5kN/mm 이하이고, 1kN/mm 이하 또는 0.5kN/mm 이하여도 되며, 0.35kN/mm 이하 또는 0.3kN/mm 이하여도 된다. R1이 이와 같은 범위인 경우, 가식층에 의한 응력을 제1 부재의 변형에 의해 흡수하는 효과가 높아진다. 이들 하한치와 상한치는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제2 부재의 경도 R2는 예컨대 2.5kN/mm 이하이다. R2는 1kN/mm 이하 또는 0.5kN/mm 이하여도 되고, 0.3kN/mm 이하여도 된다. R2는 예컨대 0.01kN/mm 이상이고, 0.05kN/mm 이상 또는 0.1kN/mm 이상이어도 된다. R2가 이와 같은 범위인 경우,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경도의 균형을 잡기 쉬워지고, 가식층에 의한 응력을 제1 부재의 변형에 의해 흡수하기 쉬워진다. 이들 상한치와 하한치는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비 R2/R1이 R2/R1>2의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제2 부재의 변형을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의 비 R2/R1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의 높은 굴곡성을 확보하기 쉬운 관점에서는, 비 R2/R1은 30 이하여도 되고, 20 이하 또는 16 이하여도 된다.
R1 및 R2의 각각이 0.5kN/mm 이하인 경우, 0.5≤R2/R1≤2의 범위에서도 제2 부재의 변형을 보다 효과적으로 경감할 수 있다. 비 R2/R1은 0.5∼1.5 또는 0.5∼1이어도 된다. 또한, R1 및 R2의 각각의 하한치는 상술한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각각은,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또는 그것에 이용되는 광학 적층체를 구성하는 부재, 또는 이 부재를 구성하는 1개의 층 또는 2개 이상의 층의 적층체이면 된다.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각각은, 용도에 따른 층 구성과 상술한 각 부재의 변형 또는 경도의 균형을 고려하여 결정하면 된다.
제1 부재는, 구체적으로는 윈도우 부재 또는 광학 필름을 구성할 수 있다. 제2 부재는, 구체적으로는 윈도우 부재, 광학 필름, 터치 센서, 터치 센서 부착 패널 부재 또는 세퍼레이터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각각은, 윈도우 부재 또는 광학 필름이어도 되고, 윈도우 부재 및 광학 필름의 각각을 구성하는 1개의 층 또는 2개 이상의 층의 적층체이어도 된다. 또한, 제2 부재는,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1개의 층 또는 2개 이상의 층의 적층체이어도 되고, 터치 센서, 터치 센서 부착 패널 부재 또는 세퍼레이터여도 된다.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상기 각각의 선택지에서 목적으로 하는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또는 광학 적층체의 층 구성에 따라 임의로 조합된다. 예컨대, 광학 적층체는 통상적으로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패널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구성이다. 그 때문에, 광학 적층체에서는, 제2 부재는 윈도우 부재, 광학 필름, 터치 센서, 또는 세퍼레이터를 구성할 수 있다.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는 통상적으로 세퍼레이터를 포함하지 않고, 패널 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그 때문에,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에서는, 제2 부재는 윈도우 부재, 광학 필름, 터치 센서 또는 터치 센서 부착 패널 부재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가식 부착 적층체는 적어도 제1 부재, 제2 부재, 이들 부재에 협지되는 점착 부재, 점착 부재에 접촉하도록 설치된 가식층을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가식 부착 적층체는 또 다른 부재를 포함하여도 된다. 예컨대, 제1 부재와 제2 부재와의 조합이 윈도우 부재를 구성하는 제1 부재와 광학 필름을 구성하는 제2 부재와의 조합인 경우, 가식 부착 적층체는 또한 윈도우 부재를 구성하는 1개의 층 또는 2개 이상의 층의 적층체, 광학 필름을 구성하는 1개의 층 또는 2개 이상의 층의 적층체, 터치 센서(또는 터치 센서 부착 패널 부재) 및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가식 부착 적층체는, 각 구성 부재 사이 및 구성 부재 내의 적어도 한쪽에 배치된 점착 부재의 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가식 부착 적층체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된 점착 부재(이하, 제1 점착 부재라고도 칭함) 외에, 2층 이상의 점착 부재(이하, 제2 점착 부재라고도 칭함)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제2 점착 부재의 구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제1 점착 부재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제2 점착 부재의 두께도 제1 점착 부재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제1 점착 부재 및 제2 점착 부재 중 적어도 2층의 점착 부재를 구성하는 점착제는 동일하여도 되고, 각 점착 부재를 구성하는 점착제는 상이하여도 된다. 제2 점착 부재는 제1 점착 부재의 경우에 준하여 형성할 수 있다.
가식 부착 적층체는, 제1 점착 부재와 접촉하도록 배치된 가식층(이하, 제1 가식층이라고도 칭함) 이외에, 제2 점착 부재와 접촉하도록 배치된 다른 가식층(이하, 제2 가식층이라고도 칭함)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제2 가식층은 1층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이어도 된다. 가식 부착 적층체가 2층 이상의 제2 가식층을 구비하는 경우, 각 제2 가식층은 통상적으로 제2 점착 부재의 상이한 층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2개의 제2 가식층이 1개의 제2 점착 부재와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2 가식층에 대해서는 제1 가식층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이하에, 제1 부재 및 제2 부재가 될 수 있는 각 구성 부재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윈도우 부재)
윈도우 부재는 광학 필름, 터치 센서, 터치 센서 부착 패널 부재 및 패널 부재의 파손 방지를 위하여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또는 광학 적층체의 시인 측의 최표면에 배치된다.
윈도우 부재는 통상적으로 윈도우 필름 및 윈도우 유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층을 구비하고 있다.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또는 광학 적층체에는 높은 유연성(높은 가환성 등), 높은 투명성(높은 전 광선 투과율 및 낮은 헤이즈 등) 및 높은 경도가 요구된다. 윈도우 필름의 재질 또는 윈도우 유리는, 이들 물성을 만족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윈도우 유리로서는, 예컨대 얇은 유리 기판을 들 수 있다.
윈도우 유리의 두께는 예컨대 5㎛ 이상 40㎛ 이하이고, 10㎛ 이상 35㎛ 이하여도 된다. 윈도우 유리가 이와 같은 두께인 경우, 높은 강도와 높은 굴곡성을 양립하기 쉽다.
윈도우 필름으로서는 예컨대 투명 수지 필름을 들 수 있다. 투명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예컨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아세테이트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설폰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설파이드계 수지, 비닐알코올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들 수 있다. 그러나, 투명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윈도우 필름의 두께는 예컨대 20㎛ 이상 500㎛ 이하이고, 30㎛ 이상 200㎛ 이하여도 된다. 윈도우 필름이 이와 같은 두께인 경우, 높은 강도와 높은 굴곡성을 양립하기 쉽다.
본 명세서 중 점착 부재 이외의 부재(성형체) 또는 점착제 이외의 재료에 대하여, 투명한 것이란, 시험편의 전 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전 광선 투과율의 측정에는 투명한 재료 또는 부재로 구성되는 두께가 약 1.5mm인 시험편이 이용된다. 전 광선 투과율은 점착 부재의 경우에 준하여 측정할 수 있다.
윈도우 부재는 하드코트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하드코트층은 통상적으로 윈도우 필름과 적층된다. 윈도우 필름의 높은 파손 방지 효과가 얻어지기 쉬운 관점에서, 하드코트층은 적어도 윈도우 필름의 시인 측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코트층의 두께는 예컨대 1㎛ 이상 100㎛ 이하이고, 1㎛ 이상 50㎛ 이하여도 된다. 윈도우 부재가 복수의 하드코트층을 구비하는 경우, 각 하드코트층의 두께를 이와 같은 범위로 하면 된다.
하드코트층은 예컨대 경화성 코팅제를 기초가 되는 층(예컨대, 윈도우 필름)의 표면에 도포하고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코팅제로서는 예컨대 광학 필름 용도인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코팅제로서는 예컨대 아크릴계 코팅제, 멜라민계 코팅제, 우레탄계 코팅제, 에폭시계 코팅제, 실리콘계 코팅제, 무기계 코팅제를 들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코팅제는 첨가제를 포함하여도 된다. 첨가제로서는 예컨대 실란 커플링제, 착색제, 염료, 분체 또는 입자(안료, 무기 또는 유기 충전제, 무기 또는 유기계 재료의 입자 등), 계면활성제, 가소제, 대전 방지제, 표면 윤활제, 레벨링제, 산화 방지제, 광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중합 금지제, 방오재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윈도우 부재는 필요에 따라 다른 층(이하, 층 Aw이라고 칭함)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층 Aw으로서는 반사 방지층, 방현층, 방오층, 스티킹 방지층, 색상 조정층, 대전 방지층, 이접착층, 이온 또는 올리고머 등의 석출 방지층, 충격 흡수층, 비산 방지층 등을 들 수 있다. 윈도우 부재는 층 Aw을 1층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복수 층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층 Aw은 예컨대 윈도우 부재를 구성하는 1개의 층(예컨대, 윈도우 필름 또는 윈도우 유리) 또는 2개 이상의 층의 적층체(예컨대, 윈도우 필름과 하드코트층과의 적층체)의 시인 측의 표면 측 또는 시인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다. 층 Aw은 윈도우 부재를 구성하는 층 위에, 코팅 등에 의해 직접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접착 부재 또는 점착 부재를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각각은 윈도우 부재를 구성하고 있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부재는 윈도우 부재이어도 되고, 윈도우 부재를 구성하는 1개의 층 또는 2개 이상의 층의 적층체이어도 된다. 또한, 제1 부재와 제2 부재와 이들 사이의 가식층 및 점착 부재로 윈도우 부재를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윈도우 부재에는 점착 부재가 포함되어 있어도 되지만,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각각은 점착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윈도우 부재가 점착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윈도우 부재를 구성하는 적층 구조 중 점착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블록(보다 구체적으로는, 점착 부재 이외의 1개의 층 또는 점착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2개 이상의 층의 적층체)이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에 상당한다.
윈도우 부재의 두께 Tw는 예컨대 0.02mm 이상 0.6mm 이하이고, 0.03mm 이상 0.3mm 이하여도 된다.
윈도우 부재의 두께 Tw, 윈도우 부재를 구성하는 각 층 또는 2개 이상의 적층체의 두께는 가식 부착 적층체, 가식 부착 적층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또는 광학 적층체의 단면의 X선 CT에 의한 화상에 기초하여 측정된다. 윈도우 부재의 두께 Tw, 윈도우 부재를 구성하는 각 층 또는 2개 이상의 적층체의 두께는, 상기 단면의 화상에서 임의의 복수 개소(예컨대, 5개소)에서 두께를 측정하고 평균화함으로써 구해진다.
또한, 본 명세서 중 가식 부착 적층체, 가식 부착 적층체를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또는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부재의 두께, 또는 부재를 구성하는 각 층 또는 2개 이상의 적층체의 두께는, 윈도우 부재의 두께 Tw, 윈도우 부재를 구성하는 각 층 또는 2개 이상의 적층체의 두께의 경우에 준하여 구해진다.
윈도우 부재의 탄성률 Ew은 예컨대 0.53GPa 이상 16GPa 이하이고, 1GPa 이상 15GPa 이하, 1GPa 이상 10GPa 이하, 또는 3GPa 이상 8GPa 이하여도 된다.
다만,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가 윈도우 부재를 구성하는 경우, 제1 부재의 경도를 나타내는 R1 또는 제2 부재의 경도를 나타내는 R2가 상술한 범위가 되도록, Ew 및 Tw의 각각이 상술한 범위 내에서 조절된다.
(광학 필름)
광학 필름이란, 광학적 기능을 갖는 필름이다. 광학 필름은 통상적으로 광학적 기능을 갖는 적어도 1개의 층을 포함하는 적층체이다. 광학 필름으로서는 화상 표시 장치의 분야 등에서 이용되는 것을 들 수 있다.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또는 광학 적층체에서, 가식 부착 적층체에 포함되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는 각각 광학 필름을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각각은 광학 필름이어도 되고, 또는 광학 필름을 구성하는 1개의 층 또는 2개 이상의 층의 적층체이어도 된다.
예컨대, 제1 부재가 광학 필름 또는 광학 필름을 구성하는 1개의 층 또는 2개 이상의 층의 적층체인 경우, 제2 부재는 광학 필름을 구성하는 1개의 층 또는 2개 이상의 층의 적층체, 터치 센서, 터치 센서 부착 패널 부재 또는 세퍼레이터일 수 있다. 제2 부재가 광학 필름 또는 광학 필름을 구성하는 1개의 층 또는 2개 이상의 층의 적층체인 경우, 제1 부재는 윈도우 부재를 구성하거나, 또는 광학 필름을 구성하는 1개의 층 또는 2개 이상의 층의 적층체일 수 있다.
광학적 기능을 갖는 층으로서, 예컨대 광학 이방성을 갖는 층(예컨대, 광학 이방성 필름)을 들 수 있다. 광학 이방성을 갖는 층으로서는, 예컨대 편광자, 위상차층, 시야각 확대 필름, 시야각 제한(엿보기 방지) 필름, 휘도 향상 필름, 광학 보상 필름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개 이상의 층의 적층체는, 이들 광학 이방성을 갖는 층에서 선택되는 2개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2개 이상의 층의 적층체에서, 광학 이방성을 갖는 층 전부가 상이한 기능을 갖는 것이어도 되고, 적어도 2개의 층이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예컨대 적층체는 편광자와 위상차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조성이 상이한 2개의 위상차층을 포함하여도 된다.
광학 필름은 적어도 1개의 광학적 기능을 갖는 층과 이 층을 유지하는 기재층(또는 보호하는 보호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예컨대, 층상의 편광자와 편광자를 유지하는 기재층과의 적층체는 편광판이라고 부른다. 광학 필름은 적어도 편광자 또는 편광판을 구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광학 필름은, 상술한 광학 이방성을 갖는 층 중 편광자와, 편광자 이외의 광학 이방성을 갖는 적어도 1개의 층(이하, 층 Bo이라고 칭함)과, 필요에 따라 적어도 1개의 기재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광학 필름은 편광자와 기재층과의 적층체를 편광판으로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층 Bo은 기재층을 개재하여 편광판에 적층되어 있어도 되고, 기재층을 개재하지 않고 편광자에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후자의 경우, 층 Bo이 기재층으로서 편광자를 유지 또는 보호하는 기능을 겸비하게 된다.
편광자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화상 표시 장치의 분야 등에서 이용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편광자로서는, 예컨대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이색성 물질을 흡착시켜 1축 연신한 필름, 폴리엔계 배향 필름을 들 수 있다. 친수성 고분자 필름을 구성하는 친수성 고분자로서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부분 포르말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도 포함),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의 부분 비누화물을 들 수 있다. 이색성 물질로서는 예컨대 요오드, 이색성 염료를 들 수 있다. 폴리엔계 배향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탈수 처리물,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의 탈염산 처리물을 들 수 있다.
편광자로서 두께가 10㎛ 이하의 박형 편광자를 이용하여도 된다. 박형 편광자로서는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51-06964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0-338329호, 국제공개 제2010/100917호 팜플렛, 일본특허공보 제4691205호, 일본특허공보 제4751481호에 기재되어 있는 편광자를 들 수 있다. 박형 편광자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과 수지 기재층을 적층시킨 상태에서 연신하는 공정과, 이색성 재료에 의해 염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법에 의해 얻어진다.
편광판의 두께는 예컨대 200㎛ 이하이다. 보다 높은 굴곡성을 확보하기 쉬운 관점에서는, 편광판의 두께는 100㎛ 이하가 바람직하고, 80㎛ 이하 또는 7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편광판의 두께는 예컨대 10㎛ 이상이다.
층 Bo의 두께는 예컨대 0.1㎛ 이상 100㎛ 이하이다. 편광자가 기재층을 개재하지 않고 층 Bo에 적층되어 있는 경우(즉, 층 Bo이 편광자를 유지 또는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층 Bo과 편광자와의 적층체의 두께가 편광판의 두께에 대하여 기재한 범위가 되도록 층 Bo의 두께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층으로서는 얇은 유리 기판, 고분자 필름 등이 이용된다. 고분자 필름으로서는 예컨대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 안정성, 수분 차단성 및 광학 등방성이 우수한 고분자 필름이 이용된다. 이와 같은 성질을 갖는 고분자 재료로서는, 예컨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도 포함), 아크릴계 수지, 이미드계 수지(페닐말레이미드계 수지도 포함),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도 포함), 아세테이트계 수지, 폴리에테르설폰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설파이드계 수지(예컨대,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및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들 수 있다. 그러나, 기재층을 구성하는 고분자 재료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학 필름은 1층의 기재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2층 이상의 기재층을 포함하여도 된다. 기재층은 광학적 기능을 갖는 1개의 층의 한쪽 표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쌍방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기재층은 한쪽 표면에 기재층이 배치된 광학적 기능을 갖는 층을 2개 이상 포함하여도 된다. 광학 필름에 2개 이상의 기재층이 포함되는 경우, 모든 기재층의 조성은 상이하여도 되고, 적어도 2개의 기재층에서 조성이 동일하여도 된다.
또한, 광학 필름을 구성하는 층은, 코팅 등을 이용하여 인접하는 층에 직접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광학 필름을 구성하는 층은, 접착 부재 또는 점착 부재를 개재하여 인접하는 층에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각각은 점착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광학 필름이 점착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광학 필름을 구성하는 적층 구조 중 점착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블록(보다 구체적으로는, 점착 부재 이외의 1개의 층 또는 점착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2개 이상의 층의 적층체)이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에 상당한다.
광학 필름의 두께 To는, 예컨대 0.005mm 이상 0.5mm 이하이고, 0.01mm 이상 0.1mm 이하여도 된다.
광학 필름의 탄성률 Eo은, 예컨대 0.001GPa 이상 100GPa 이하이고, 1GPa 이상 80GPa 이하여도 된다.
다만,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가 광학 필름을 구성하는 경우, 제1 부재의 경도를 나타내는 R1 또는 제2 부재의 경도를 나타내는 R2가 상술한 범위가 되도록, Eo 및 To의 각각이 상술한 범위 내에서 조절된다.
(터치 센서)
터치 센서로서는, 예컨대 화상 표시 장치의 분야 등에서 이용되는 것이 사용된다. 터치 센서로서, 예컨대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방식, 광학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의 것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및 광학 적층체에서, 터치 센서와 윈도우 부재와의 사이에 광학 필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를 이용하면 고 감도를 얻기 쉽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는, 통상적으로 투명 도전층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터치 센서로서는, 예컨대 투명 도전층과 투명 기재와의 적층체를 들 수 있다. 투명 기재로서는, 예컨대 투명 필름을 들 수 있다.
투명 도전층에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전성의 금속 산화물, 금속 나노 와이어 등이 이용된다. 금속 산화물로서는, 예컨대 산화 주석을 포함하는 산화 인듐(ITO: Indium Tin Oxide), 안티몬을 포함하는 산화 주석을 들 수 있다. 투명 도전층은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으로 구성되는 도전성 패턴이어도 된다. 도전성 패턴의 형상으로서는 스트라이프상, 스퀘어상, 격자상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투명 도전층의 표면 저항치는, 예컨대 0.1Ω/□ 이상 1000Ω/□ 이하이고, 0.5Ω/□ 이상 500Ω/□ 이하여도 된다.
투명 도전층의 두께는, 예컨대 0.005㎛ 이상 10㎛ 이하이고, 0.01㎛ 이상 3㎛ 이하여도 된다.
투명 필름으로서는, 예컨대 투명 수지 필름이 이용된다. 투명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도 포함), 아세테이트계 수지, 폴리에테르설폰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설파이드계 수지(예컨대,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투명 수지 필름은 이들 수지를 1종 포함하여도 되고, 2종 이상 포함하여도 된다. 이들 수지 중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및 폴리에테르설폰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투명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는, 이들 수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투명 도전층과 투명 기재와의 밀착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투명 기재로서는 표면 처리된 것을 이용하여도 된다. 표면 처리로서는 공지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투명 도전층의 적층에 앞서 투명 기재에는 예컨대 제진(除塵) 또는 청정화 처리(용제 또는 초음파 등을 이용한 세정 처리 등)를 행하여도 된다.
터치 센서는 필요에 따라 투명 도전층 및 투명 기재 이외의 다른 층(이하, 층 Ct라고 칭함)을 포함하여도 된다. 예컨대, 투명 도전층과 투명 기재와의 사이에, 층 Ct로서 언더코트층 또는 올리고머 석출 방지층을 설치하여도 된다. 또한, 투명 도전층 및 투명 기재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층 Ct를 적층하여도 된다. 층 Ct으로서는, 소망하는 기능을 갖는 기능층(예컨대, 상기 광학적 기능을 갖는 층(광학 이방성을 갖는 층 등)) 등을 들 수 있다. 다만, 층 Ct는 이들 층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층 Ct는 필요에 따라 접착 부재 또는 점착 부재를 개재하여 투명 도전층 또는 투명 기재에 적층하여도 된다.
터치 센서 전체의 두께 Tt는, 예컨대 0.005mm 이상 0.25mm 이하이고, 0.01mm 이상 0.2mm 이하여도 된다.
터치 센서의 탄성률 Et는, 예컨대 1GPa 이상 10GPa 이하이고, 3GPa 이상 8GPa 이하여도 된다.
다만, 제2 부재가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경우, 제1 부재의 경도를 나타내는 R1 또는 제2 부재의 경도를 나타내는 R2가 상술한 범위가 되도록, Et 및 Tt의 각각이 상술한 범위 내에서 조절된다.
(터치 센서 부착 패널 부재)
터치 센서 부착 패널 부재는, 터치 센서와 패널 부재가 일체화한 것이다. 이와 같은 터치 센서 부착 패널 부재에는, 예컨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의 박막 봉지층 위에 메탈 메쉬 전극의 제전 용량식 터치 센서를 형성한 구성의 것도 포함된다. 터치 센서로서는, 상기 설명을 참조하여도 된다. 다만, 터치 센서 부착 패널 부재는 점착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패널 부재는, 예컨대 적어도 화상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화상 표시 패널의 시인 측에는 봉지 부재(박막 봉지층 등)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봉지 부재는 통상적으로 화상 표시 패널의 시인 측의 표면에 직접 배치되어 있다.
화상 표시 패널로서는 공지의 것이 사용된다. 화상 표시 패널로서는, 예컨대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EL: Electro Luminescence) 패널을 들 수 있다.
터치 센서 부착 패널 부재는 보호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보호 부재로서는, 예컨대 패널 부재를 유지 또는 보호하는 시트 또는 필름(혹은 기판)을 들 수 있다. 보호 부재는 패널 부재를 유지함과 함께, 패널 부재를 보호하기 위한 적당한 강도, 그리고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의 굴곡성을 방해하지 않는 적당한 유연성을 갖는 것이면 된다. 보호 부재로서는 수지 시트 등이 이용된다. 수지 시트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화상 표시 패널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터치 센서 부착 패널 부재 전체의 두께 Tp는, 예컨대 0.005mm 이상 0.1mm 이하이고, 0.01mm 이상 0.05mm 이하여도 된다.
터치 센서 부착 패널 부재의 탄성률 Ep은, 예컨대 1GPa 이상 10GPa 이하이고, 3GPa 이상 8GPa 이하여도 된다.
제2 부재가 터치 센서 부착 패널 부재인 경우, 터치 센서 부착 패널 부재의 경도를 나타내는 Ep×Tp가 상술한 R2의 범위가 되도록 Ep 및 Tp의 각각이 조절된다.
(세퍼레이터)
세퍼레이터로서는, 예컨대 기재 시트와 기재 시트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배치된 박리제를 구비하는 박리 시트가 이용된다. 세퍼레이터는 박리제가 점착 부재와 접촉한 상태로 배치된다. 제2 부재가 세퍼레이터인 경우, 세퍼레이터는 박리제가 제1 점착 부재와 접촉한 상태로 배치된다.
기재 시트로서는 적당한 강도 및 유연성을 가지며, 박리제의 층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기재 시트로서는 수지 필름, 종이, 또는 이들 적층체 등이 이용된다. 기재 시트의 재질은 박리제의 종류, 광학 적층체의 구성 등에 따라 결정된다. 수지 필름으로서는,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필름(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 폴리올레핀 필름(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을 이용하여도 된다. 기재 시트의 두께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소망하는 박리성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다. 박리제로서는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점착 부재의 세퍼레이터에의 잔존량이 적은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실리콘계 박리제, 불소계 박리제를 이용하여도 된다.
세퍼레이터의 두께 Ts는, 예컨대 0.01mm 이상 1mm 이하이고, 0.05mm 이상 0.5mm 이하여도 된다.
세퍼레이터의 탄성률 Es은, 예컨대 0.001GPa 이상 100GPa 이하이고, 1GPa 이상 80GPa 이하여도 된다.
제2 부재가 세퍼레이터인 경우, 세퍼레이터의 경도를 나타내는 Es×Ts가 상술한 R2의 범위가 되도록 Es 및 Ts의 각각이 조절된다.
가식 부착 적층체는, 예컨대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한쪽 부재의 한쪽 표면에 가식층을 배치하고, 다른 쪽 부재의 한쪽 표면에 점착 부재를 배치하며, 점착 부재와 가식층이 접촉하도록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쌓아 올려 두께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제작된다. 이와 같이 점착 부재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가압함으로써,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접착된다. 미리 제작한 가식 부착 적층체를,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또는 광학 적층체의 제작에 제공하여도 된다. 또한,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또는 광학 적층체의 구성 부재 또는 층을 적층하여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또는 광학 적층체를 제작해 가는 과정에서, 가식 부착 적층체를 형성하여도 된다.
또 다른 부재 또는 층을 포함하는 가식 부착 적층체는, 인접하는 부재 사이 또는 인접하는 층 사이에 점착 부재를 개재시키면서, 각 부재 또는 각 층을 적층함으로써 제작된다. 적층 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1∼도 6에, 본 발명의 가식 부착 적층체의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그러나, 가식 부착 적층체는 이들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가식 부착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가식 부착 적층체는 제1 부재(I)와, 제2 부재(II)와, 제1 부재(I)와 제2 부재(II)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점착 부재(제1 점착 부재)(21)와, 점착 부재(21)에 접촉하도록 배치된 프레임상의 가식층(30)을 구비한다. 가식층(30)은 제2 부재(II)의 제1 부재(I) 측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한정하지 않고, 가식층(30)은 제1 부재(I)의 제2 부재(II) 측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가식 부착 적층체를 평평하게 둔 상태에서, 제1 부재(I)를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 측에서 보았을 때의 중심에서의 제1 부재(I)와 점착 부재(21)와의 계면의 적층 방향의 위치를 L10으로 하고, 상기 중심에서의 제1 부재(I)의 시인 측의 표면의 적층 방향의 위치를 L11로 하며, 제1 부재(I)의 가식층(30)과 대향하는 부분에서의 시인 측에 가장 가까운 위치를 L12로 할 때, L10에서 L11까지의 높이(또는 거리) A1과 L10에서 L12까지 높이(또는 거리) B1은, A1<B1의 조건을 충족한다.
또한, 제2 부재(II)를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 측에서 보았을 때의 중심에서의 제2 부재(II)와 점착 부재(21)와의 계면의 적층 방향의 위치를 L20으로 하고, 상기 중심에서의 제2 부재(II)의 시인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의 적층 방향의 위치를 L21로 하며, 제2 부재(II)의 가식층(30)과 대향하는 부분에서의 시인 측에서 가장 먼 위치를 L22로 하고, L20에서 L21까지의 높이(또는 거리)를 A2로 하며, L20에서 L22까지의 높이(또는 거리)를 B2로 한다. 이 때, (B1-A1)과 (B2-A2)는 동등하거나, 또는 (B1-A1)>(B2-A2)의 조건을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제2 실시형태의 가식 부착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제2 실시형태의 가식 부착 적층체는, 제1 부재(I)로서의 광학 필름(12)과, 제2 부재(II)로서의 세퍼레이터(S)와, 광학 필름(12) 및 세퍼레이터(S)의 사이에 개재하는 점착 부재(제1 점착 부재)(21)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부재(I)의 제2 부재(II) 측의 표면(시인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에, 점착 부재(21)와 접촉한 상태에서 프레임상의 가식층(30)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한정하지 않고, 가식층(30)은 제2 부재(II)의 제1 부재(I) 측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광학 필름(12)의 시인 측의 표면에는, 점착 부재(제2 점착 부재)(22)를 개재하여 윈도우 부재(11)가 적층되어 있다.
윈도우 부재(11)는 예컨대 윈도우 필름(111A)과, 윈도우 필름(111A)에 적층된 하드코트층(112)과의 적층체(11A)이다. 하드코트층(112)은 윈도우 필름(111A)의 시인 측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다.
광학 필름(12)은 편광자(121) 및 기재층(보호 필름)(122)으로 구성되는 편광판과 위상차층(123)과의 적층체(12A)이다. 위상차층(123)은 터치 센서(13) 측에 배치되어 있고, 편광판의 편광자(121) 측에 적층되어 있다.
도 3은, 제3 실시형태의 가식 부착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제3 실시형태의 가식 부착 적층체는 윈도우 부재(11)이다. 가식 부착 적층체로서의 윈도우 부재(11)는, 제1 부재(I)로서의 2개의 층의 적층체(11B)와, 제2 부재(II)로서의 1개의 층(11C)과, 적층체(11B) 및 층(11C) 사이에 개재하는 점착 부재(21)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부재(I)의 제2 부재(II) 측의 표면(시인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에, 점착 부재(21)와 접촉한 상태에서 프레임상의 가식층(30)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한정하지 않고, 가식층(30)은 제2 부재(II)의 제1 부재(I) 측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층(11C)은 예컨대 얇은 유리 기판이다. 적층체(11B)는 예컨대 윈도우 필름(111B)과, 윈도우 필름(111B)에 적층된 하드코트층(112)을 구비하고 있다. 하드코트층(112)은 윈도우 필름(111B)의 시인 측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다.
도 4는, 제4 실시형태의 가식 부착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제4 실시형태의 가식 부착 적층체는, 윈도우 부재(11)와 광학 필름 (12)과 이들 사이에 개재하는 점착 부재(제2 점착 부재)(122)를 구비하고 있다. 윈도우 부재(11)는 예컨대 윈도우 필름(111A)과 하드코트층(112)과의 적층체(11A)이다. 광학 필름(12A)은 제1 부재(I)로서의 층(12B)과, 제2 부재(II)로서의 적층체(12A)와, 층(12B) 및 적층체(12A) 사이에 개재하는 점착 부재(제1 점착 부재)(21)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부재(I)의 제2 부재(II) 측의 표면(시인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에, 점착 부재(21)와 접촉한 상태에서 프레임상의 가식층(30)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한정하지 않고, 가식층(30)은 제2 부재(II)의 제1 부재(I) 측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층(12B)은 투명 수지 필름이다.
도 5는, 제5 실시형태의 가식 부착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제5 실시형태의 가식 부착 적층체는 윈도우 부재(11)와, 광학 필름(12)과, 이들 사이에 개재하는 점착 부재(제2 점착 부재(22))를 구비한다. 광학 필름(12)은 제1 부재(I)로서의 적층체(12C)와, 제2 부재(II)로서의 적층체(12D)와, 이들 적층체(12C) 및 적층체(12D) 사이에 개재하는 점착 부재(제1 점착 부재)(21)를 구비하고 있다. 제2 부재(II)의 제1 부재(I) 측의 표면(시인 측의 표면)에, 점착 부재(21)와 접촉한 상태에서 프레임상의 가식층(30)이 설치되어 있다.
적층체(12C)는 편광자(121) 및 기재층(보호 필름)(122)으로 구성되는 편광판이다. 편광자(121)는 점착 부재(21) 측에 배치되어 있다. 적층체(12D)는 2개의 위상차층(124) 및 위상차층(125)의 적층체이다.
도 6은, 제6 실시형태의 가식 부착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제6 실시형태의 가식 부착 적층체에서는, 제1 부재(I)의 제2 부재(II) 측의 표면(시인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에, 점착 부재(21)와 접촉한 상태에서 프레임상의 가식층(3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외의 구성은 제5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및 광학 적층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및 광학 적층체의 각각은, 상기 가식 부착 적층체를 포함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는 윈도우 부재와, 윈도우 부재에 적층된 부재 A와, 윈도우 부재에 부재 A를 개재하여 적층된 부재 B와, 윈도우 부재에 부재 A 및 부재 B를 개재하여 적층된 부재 C와, 가식층과 접촉하는 점착 부재를 포함하는 복수 층의 점착 부재를 구비한다. 부재 A 및 부재 B의 한쪽은 광학 필름이고, 다른 쪽은 터치 센서이다. 부재 C는 적어도 패널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식 부착 적층체의 제1 부재는 윈도우 부재 또는 광학 필름을 구성한다. 제2 부재는 윈도우 부재, 광학 필름, 또는 터치 센서를 구성한다. 가식층은 터치 센서보다도 시인 측에 설치되어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는 터치 센서 부착 패널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는 윈도우 부재와, 윈도우 부재에 적층된 광학 필름과, 윈도우 부재에 광학 필름을 개재하여 적층된 터치 센서 부착 패널 부재와, 가식층과 접촉하는 점착 부재를 포함하는 복수 층의 점착 부재를 구비한다. 여기서, 가식 부착 적층체의 제1 부재는 윈도우 부재 또는 광학 필름을 구성한다. 제2 부재는 윈도우 부재, 광학 필름, 또는 터치 센서 부착 패널 부재를 구성한다. 가식층은 터치 센서 부착 패널 부재보다도 시인 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는 상기 가식 부착 적층체를 포함하며, 또한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광학 적층체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광학 적층체는 윈도우 부재와, 윈도우 부재에 적층된 부재 A와, 윈도우 부재에 부재 A를 개재하여 적층된 부재 B와, 윈도우 부재에 부재 A 및 부재 B를 개재하여 적층된 세퍼레이터와, 가식층과 접촉하는 점착 부재를 포함하는 복수 층의 점착 부재를 구비한다. 부재 A 및 부재 B의 한쪽은 광학 필름이고, 다른 쪽은 터치 센서이다. 여기서, 가식 부착 적층체의 제1 부재는 윈도우 부재 또는 광학 필름을 구성한다. 제2 부재는 윈도우 부재, 광학 필름, 터치 센서, 또는 세퍼레이터를 구성한다. 가식층은 터치 센서보다 시인 측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광학 적층체는 윈도우 부재와, 윈도우 부재에 적층된 광학 필름과, 윈도우 부재에 광학 필름을 개재하여 적층된 세퍼레이터와, 가식층과 접촉하는 점착 부재를 포함하는 복수 층의 점착 부재를 구비한다. 여기서, 가식 부착 적층체의 제1 부재는 윈도우 부재 또는 광학 필름을 구성한다. 제2 부재는 윈도우 부재, 광학 필름, 또는 세퍼레이터를 구성한다. 가식층은 세퍼레이터보다 시인 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또는 광학 적층체에서, 제1 부재와 제2 부재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가식층과 접촉하는 점착 부재는 상기 제1 점착 부재에 상당한다. 복수 층의 점착 부재는 제1 점착 부재 및 제2 점착 부재에 상당한다.
광학 적층체는 세퍼레이터를 박리한 상태에서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에 이용된다. 상기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는 세퍼레이터를 박리한 상태의 광학 적층체를 윈도우 부재가 시인 측에 배치된 상태로 포함하게 된다.
(패널 부재)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패널 부재에 대해서는, 상술한 터치 센서 부착 패널 부재에 대한 패널 부재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패널 부재는 보호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보호 부재에 대해서도 터치 센서 부착 패널 부재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점착 부재)
광학 적층체 또는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는 복수 층의 점착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각 점착 부재는 통상적으로 층상이다.
복수 층의 점착 부재의 각각은, 광학 적층체의 층 구성 등에 따라 윈도우 부재 내, 광학 필름 내, 윈도우 부재와 부재 A(또는 광학 필름)와의 사이, 부재 A와 부재 B와의 사이, 부재 B와 세퍼레이터와의 사이, 그리고 광학 필름과 세퍼레이터와의 사이에서 선택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 층의 점착 부재의 각각은,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의 층 구성 등에 따라 윈도우 부재 내, 광학 필름 내, 윈도우 부재와 부재 A(또는 광학 필름)와의 사이, 부재 A와 부재 B와의 사이, 부재 B와 부재 C와의 사이, 광학 필름과 터치 센서 부착 패널 부재와의 사이에서 선택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또는 광학 적층체에 포함되는 점착 부재(즉, 복수 층의 점착 부재)에는, 인접하는 각 부재 사이에 포함되는 점착 부재 및 각 부재 내에 포함되는 점착 부재의 쌍방이 포함된다.
각 부재 내에서의 점착 부재의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0층이어도 되고, 1층이어도 되며, 2층 이상이어도 된다.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또는 광학 적층체에 포함되는 점착 부재는, 예컨대 8층 이하여도 되고, 7층 또는 6층 이하여도 되며, 5층 또는 4층 이하여도 된다.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및 광학 적층체는, 예컨대 구성 부재를, 점착 부재를 각 부재 사이(그리고 필요에 따라 각 부재를 구성하는 층 사이)에 배치하면서 적층함으로써 제작된다. 이 때, 소망하는 위치에 가식층을 설치한 부재 또는 층에 점착 부재를 개재하여 다른 부재 또는 층이 적층됨으로써, 가식 부착 적층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또는 광학 적층체가 제작된다. 또한, 가식 부착 적층체를 제작한 후,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또는 광학 적층체를 구성하는 다른 구성 부재, 층 또는 이들 적층체와 가식 부착 적층체를 적층하여도 된다. 각 부재 및 각 층의 적층 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윈도우 부재와 부재 A(또는 광학 필름)를 이들 부재 사이에 점착 부재를 개재시킨 상태로 적층하고, 이어서 부재 A(또는 광학 필름)와 부재 B(또는 세퍼레이터)를 이들 부재 사이에 점착 부재를 개재시킨 상태로 적층하여도 된다. 또한, 부재 A(또는 광학 필름)와 부재 B(또는 세퍼레이터)를 이들 부재 사이에 점착 부재를 개재시킨 상태로 적층한 후, 부재 A(또는 광학 필름)와 윈도우 부재를 이들 부재 사이에 점착 부재를 개재시킨 상태로 적층하여도 된다. 각 점착 부재는, 각 점착 부재를 협지하는 부재의 한쪽에 미리 첩부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적층체에서는, 부재 B를 부재 A와 적층하기 전에, 부재 B의 부재 A 측과는 반대 측의 면에 점착 부재를 배치하여도 된다. 또한, 부재 B를 부재 A와 적층한 후의 적당한 단계에서, 부재 B의 부재 A 측과는 반대 측의 면에 점착 부재를 배치하여도 된다. 광학 적층체에서는, 부재 B의 부재 A 측과는 반대 측의 면에 배치되는 점착 부재에는, 부재 B의 면에 점착 부재를 배치하기 전 또는 배치한 후에 세퍼레이터가 적층된다.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는, 광학 적층체를 미리 제작하여 광학 적층체로부터 세퍼레이터를 박리하고, 노출된 점착 부재를 부재 C 또는 부재 B에 첩부함으로써 제작하여도 된다. 또한, 부재 C와 부재 B를 이들 사이에 점착 부재를 개재하도록 적층시킨 후, 부재 B에 부재 A를 이들 사이에 점착 부재가 개재하도록 적층하고, 이어서 부재 A에 윈도우 부재를 이들 사이에 점착 부재가 개재하도록 적층함으로써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를 제작하여도 된다. 또한, 부재 C와 부재 B와의 적층체와, 윈도우 부재와 부재 A와의 적층체를 미리 제작하고, 이들 적층체를 부재 A와 부재 B와의 사이에 점착 부재를 개재시킨 상태로 적층시켜도 된다. 터치 센서 부착 패널 부재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에서는, 예컨대 광학 적층체를 미리 제작하여 광학 적층체로부터 세퍼레이터를 박리하고, 노출된 점착 부재를 광학 필름에 첩부함으로써 제작하여도 된다. 또한, 윈도우 부재와 광학 필름을 이들 사이에 점착 부재가 개재하도록 적층한 후, 광학 필름에 터치 센서 부착 패널 부재를 이들 사이에 점착 부재가 개재하도록 적층함으로써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를 제작하여도 된다. 터치 센서 부착 패널 부재와 광학 필름을 이들 사이에 점착 부재를 개재하도록 적층시킨 후, 광학 필름에 윈도우 부재를 이들 사이에 점착 부재가 개재하도록 적층함으로써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를 제작하여도 된다.
이들 제조 방법은 단순한 예시이며,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일 실시형태의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1)는 윈도우 부재(11)와, 부재 A로서의 광학 필름(12)과, 부재 B로서의 터치 센서(13)와, 부재 C로서의 패널 부재(14)와의 적층체를 구비한다. 광학 필름(12)과 윈도우 부재(11)는, 광학 필름(12)과 윈도우 부재(11)와의 사이에 점착 부재(제2 점착 부재)(22)가 개재한 상태로 적층되어 있다. 터치 센서(13)는 광학 필름(12)을 개재하여 윈도우 부재(11)에 적층되어 있다. 광학 필름(12)과 터치 센서(13)와의 사이에는, 점착 부재(제1 점착 부재)(21)가 개재하고 있다. 패널 부재(14)는 광학 필름(12) 및 터치 센서(13)를 개재하여 윈도우 부재(11)에 적층되어 있다. 터치 센서(13)와 패널 부재(14)와의 사이에는, 점착 부재(제2 점착 부재)(22)가 개재하고 있다. 도 7에서의 패널 부재(14)를 제외한 구성과 세퍼레이터(도시하지 않음)와의 적층체가 광학 적층체에 상당한다. 광학 적층체에서는, 세퍼레이터는 터치 센서(13)의 시인 측과는 반대 측에 배치된 점착 부재(22)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윈도우 부재(11) 및 광학 필름(12)은 도 2와 동일하다.
터치 센서(13)는, 투명 도전층(131)과 투명 기재로서의 투명 필름(터치 센서 필름)(132)을 포함한다. 터치 센서(13)는, 투명 도전층(131)이 광학 필름(12)과 터치 센서(13)와의 사이에 배치된 점착 부재(21)(제1 점착 부재)와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패널 부재(14)는 유기 EL 패널(유기 EL 디스플레이)(141)과 박막 봉지층(142)을 구비한다. 패널 부재(14)는 박막 봉지층(142)이 터치 센서(13)와 패널 부재(14)와의 사이에 배치된 점착 부재(제2 점착 부재)(22)와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7에서는, 광학 필름(12)이 가식 부착 적층체의 제1 부재(I)에 상당하고, 터치 센서(13)가 제2 부재(II)에 상당한다. 제1 부재(I)와 제2 부재(II)와의 사이에 점착 부재(21)가 개재하고 있다. 도 7에서는, 제1 부재(I)의 제2 부재(II) 측의 표면에, 제1 점착 부재(21)와 접촉한 상태에서 프레임상의 가식층(30)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한정하지 않고, 가식층(30)은 제2 부재(II)의 제1 부재(I) 측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1 부재(I)와 제2 부재(II)의 변형 또는 경도의 관계를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가식층(30)을 배치하는 것에 의한 제2 부재(II)의 과도한 변형이 억제되고, 가식층(30)을 포함하는 경우의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1)에서의 외견을 향상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5 및 비교예 1∼2>>
(1) 평가용 샘플의 제작
하기의 각 부재를 이용하여, 도 2∼도 6,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가식 부착 적층체의 평가용 샘플을 하기의 순서로 제작하였다.
(i) 윈도우 부재 및 광학 필름 또는 이들을 구성하는 층 또는 적층체, 및 세퍼레이터의 준비
(a) 윈도우 부재(11)
(a1) 윈도우 부재를 구성하는 층의 적층체(또는 윈도우 부재)(11A)
윈도우 부재(11A)로서는, 윈도우 필름(111A)으로서의 투명 폴리이미드 필름의 편면에 아크릴계의 하드코트층(112)(두께 10㎛)을 설치한 것을 이용하였다. 하드코트층(112)은 하드코트층용 코팅제를 이용하여 형성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투명 폴리이미드 필름의 편면에 코팅제를 도포하여 도포층을 형성하고, 도포층을 투명 폴리이미드 필름과 함께 90℃에서 2분간 가열하였다. 이어서, 도포층에 고압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적산광량 300mJ/cm2으로 조사함으로써 하드코트층(112)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적층체(11A)를 제작하였다.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의 경우의 상술한 순서에 준하여 구해지는 적층체(11A)의 탄성률은 6.3GPa이었다.
투명 폴리이미드 필름으로서 KOLON사 제조, 제품명 'A_50_O', 두께 80㎛를 이용하였다. 적층체(11A)의 경도는 6.3GPa×0.09mm=0.57kN/mm이었다.
또한, 하드코트층용 코팅제는, 베이스 수지로서의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아이카공업사 제조, 제품명 'Z-850-16') 100질량부, 레벨링제(DIC사 제조, 상품명: GRANDIC PC-4100) 5질량부, 및 광중합 개시제(치바·재팬사 제조, 상품명: 이루가큐어 907) 3질량부를 혼합하고, 건조 고형분 농도가 50질량%가 되도록 메틸이소부틸케톤으로 조제하였다.
(a2) 윈도우 부재(11)를 구성하는 층의 적층체(11B)
글루타르이미드 환 단위를 포함하는 메타크릴 수지 펠릿을 압출 성형에 의해 필름상으로 성형한 후, 연신한 아크릴계 필름(두께 40㎛)을 윈도우 필름(111B)으로서 이용하였다. 윈도우 필름(111B)의 편면에 아크릴계 하드코트층(112)(두께 10㎛)을 설치한 것을, 윈도우 부재(11)를 구성하는 적층체(11B)로서 이용하였다. 하드코트층(112)은 윈도우 부재(11A)의 하드코트층(112)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작하였다.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의 경우의 상술한 순서에 준하여 구해지는 적층체(11B)의 탄성률은 3.0GPa이고, 경도는 3.0GPa×0.05mm=0.15kN/mm이었다.
(a3) 윈도우 부재(11)를 구성하는 층(11C)
두께 30㎛의 유리 기판을, 윈도우 부재(11)를 구성하는 층(11C)(윈도우 유리(111C))으로서 준비하였다.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의 경우의 상술한 순서에 준하여 구해지는 층(11C)의 탄성률은 75GPa이고, 경도는 75GPa×0.03mm=2.25kN/mm이었다.
(b) 광학 필름(12)
하기 순서에서 각 광학 필름(12), 또는 광학 필름(12)을 구성하는 층 또는 이의 적층체를 준비하였다.
(b1) 광학 필름을 구성하는 층의 적층체(12A)
(편광자(121)의 제작)
열가소성 수지제의 기재로서, 이소프탈산 유닛을 7몰% 포함하는 어모퍼스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100㎛)을 준비하고, 표면에 58W/m2·min의 출력 방전량으로 코로나 방전 처리를 행하였다.
아세토아세틸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일본합성화학공업(주) 제조, 상품명: 고세파이머 Z200(평균 중합도 1200, 비누화도 98.5몰%, 아세토아세틸화도 5몰%))을 1질량% 첨가한 폴리비닐알코올(중합도 4200, 비누화도 99.2%)을 준비하고, 폴리비닐알코올(PVA)계 수지를 5.5질량% 포함하는 수성 도공액을 준비하였다.
기재의 표면에, 건조 후의 막 두께가 12㎛가 되도록 도공액을 도포하고, 60℃의 분위기 하, 열풍 건조에 의해 10분간 건조함으로써, 기재 위에 PVA계 수지의 층을 설치한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적층체를, 우선 공기 중 130℃에서 1.8배로 자유단 연신(공중 보조 연신)함으로써 연신 적층체를 생성하였다. 이어서, 연신 적층체를 액체온도 30℃의 붕산 불용화 수용액에 30초간 침지함으로써, 연신 적층체에 포함되는 PVA 분자가 배향된 PVA층을 불용화하는 공정을 행하였다. 본 공정의 붕산 불용화 수용액은, 붕산 함유량이 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3질량부인 붕산 수용액이다. 얻어진 연신 적층체를 염색함으로써 착색 적층체를 생성하였다. 착색 적층체는, 연신 적층체를 액체온도 30℃의 요오드 및 요오드화 칼륨을 포함하는 염색액에, 최종적으로 생성되는 편광자를 구성하는 PVA층의 단체 투과율이 40∼44%가 되도록 소정 시간 침지함으로써, 연신 적층체에 포함되는 PVA층을 요오드에 의해 염색시킨 것이다. 본 공정에서, 염색액은 요오드 및 요오드화 칼륨을 포함하는 수용액(요오드 농도: 0.1∼0.4질량%, 요오드화 칼륨 농도: 0.7∼2.8질량%, 요오드와 요오드화 칼륨의 농도의 비: 1 대 7)이다. 이어서, 착색 적층체를 30℃의 붕산 가교 수용액에 60초간 침지함으로써, 요오드를 흡착시킨 PVA층의 PVA 분자끼리 가교 처리를 실시하는 공정을 행하였다. 본 공정의 붕산 가교 수용액은, 붕산 및 요오드화 칼륨을 포함하는 수용액(붕산 함유량: 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3질량부, 요오드화 칼륨 함유량: 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3질량부)이다.
얻어진 착색 적층체를, 붕산 수용액 중 연신 온도 70℃에서 상기 공기 중에서의 연신과 마찬가지의 방향으로 3.05배 연신(붕산 수중 연신)함으로써, 최종적인 연신 배율은 5.50배인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를 붕산 수용액에서 취출하여, PVA층의 표면에 부착한 붕산을 요오드화 칼륨 수용액(요오드화 칼륨 함유량: 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4질량부)으로 세정하였다. 세정된 적층체를 60℃의 온풍에 의한 건조 공정에 의해 건조하였다. 건조한 적층체에 포함되는 편광자(121)의 두께는 5㎛이었다.
(보호 필름(122)의 형성)
보호 필름(투명 수지 필름)(122)으로서는, 글루타르이미드 환 단위를 포함하는 메타크릴 수지 펠릿을 압출 성형에 의해 필름 상으로 성형한 후, 연신한 아크릴계 필름을 이용하였다. 보호 필름의 두께는 40㎛이었다. 보호 필름(122)과 편광자(121)를 접착제(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첩합하고, 하기의 조건으로 자외선을 조사하고 접착제를 경화시킴으로써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갈륨 봉입 메탈할라이드 램프: Fusion UV Systems. Inc사 제조, 상품명 'Light HAMMER10'
밸브: V밸브
피크 조도: 1600mW/cm2
적산 조사량: 1000mJ/cm2(파장 380∼440nm)
접착제는, 하기의 성분을 접착제 100질량% 중의 함유량이 하기의 값이 되는 비율로 혼합하고, 50℃에서 1시간 교반함으로써 조제하였다.
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11.4질량%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57.1질량%
아크릴로일모르폴린…11.4질량%
2-아세토아세톡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4.6질량%
아크릴계 폴리머(ARUFON UP-1190, 동아합성사 제조)…11.4질량%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2.8질량%
디에틸티옥산톤…1.3질량%
(위상차층(123)의 제작)
위상차층(123)으로서는, 액정 재료가 배향 및 고정화된 1/4파장판용 위상차층과, 1/2파장판용 위상차층과의 2층을 구비하는 위상차막을 이용하였다. 1/2파장판용 위상차층, 1/4파장판용 위상차층을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네마틱 액정상을 나타내는 중합성 액정 재료(BASF사 제조, 상품명 PaliocolorLC242)를 이용하였다. 위상차층(123)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8-28573호의 단락 [0118]∼[0120]의 기재를 참조하여 제작하였다.
(적층체(12A)의 제작)
상기에서 얻어진 편광판과 위상차층(123)을, 상기 접착제(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롤 투 롤 방식에 의해 연속적으로 첩합하였다. 이 때, 지상축과 흡수축과의 축 각도가 45°가 되도록 적층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광학 필름을 구성하는 층의 적층체(12A)를 제작하였다.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의 경우의 상술한 순서에 준하여 구해지는 적층체(12A)의 탄성률은 5.0GPa이고, 경도는 5.0GPa×0.05mm=0.25kN/mm이었다.
(b2) 광학 필름을 구성하는 층(12B)
투명 수지 필름(122)을 (b1)에 기재된 순서로 제작하여, 광학 필름을 구성하는 층(12B)으로서 이용하였다.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의 경우의 상술한 순서에 준하여 구해지는 층(12B)의 탄성률은 3.0GPa이고, 경도는 3.0GPa×0.04mm=0.12kN/mm이었다.
(b3) 광학 필름을 구성하는 층의 적층체(12C)
(b1)에 기재된 순서로 편광자(121) 및 보호 필름(투명 수지 필름)(122)의 적층체(편광판)를 제작하여, 광학 필름을 구성하는 층의 적층체(12C)로서 이용하였다.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의 경우의 상술한 순서에 준하여 구해지는 적층체(12C)의 탄성률은 4.9GPa이고, 경도는 4.9GPa×0.045mm=0.22kN/mm이었다.
(b4) 광학 필름을 구성하는 층의 적층체(12D)
(위상차층(124)을 구성하는 위상차 필름의 제작)
교반 날개 및 100℃로 제어된 환류 냉각기를 구비한 세로형 반응기 2기를 포함하는 배치 중합 장치를 이용하여 중합을 행하였다. 반응기에 비스 [9-(2-페녹시카보닐에틸)플루오렌-9-일]메탄(BPFM) 29.60질량부(0.046mol), 이소소르비드(ISB) 29.21질량부(0.200mol), 스피로글리콜(SPG) 42.28질량부(0.139mol), 디페닐카보네이트(DPC) 63.77질량부(0.298mol), 그리고 촉매로서 초산 칼슘 1수화물 1.19×10-2질량부(6.78×10-5mol)를 넣었다.
반응기 내를 감압 질소 치환한 후, 열매(heating medium)로 가열하여 반응기 내의 온도가 100℃가 된 시점에서 교반을 개시하였다. 승온 개시 40분 후에 반응기 내의 온도를 220℃에 도달시키고, 이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하였다. 반응기 내의 온도가 220℃에 도달한 시점에서 감압을 개시하고, 90분 후의 압력을 13.3kPa로 하였다.
중합 반응에서 부생하는 페놀 증기를 100℃의 환류 냉각기로 인도하고, 페놀 증기 중에 약간량 포함되는 모노머 성분을 반응기로 되돌리고, 응축하지 않은 페놀 증기는 45℃의 응축기로 인도하여 회수하였다. 제1 반응기에 질소를 도입하고 일단 대기압까지 복압시킨 후, 제1 반응기 내의 올리고머화된 반응액을 제2 반응기로 옮겼다. 이어서, 제2 반응기 내의 승온 및 감압을 개시하고, 50분에서 제1 반응기 내의 온도를 240℃, 압력을 0.2kPa로 하였다. 그 후, 교반 동력이 소정값이 될 때까지 중합을 진행시켰다. 교반 동력이 소정값에 도달한 시점에서 반응기에 질소를 도입하여 복압하고, 생성된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를 수중에 압출하고, 스트랜드를 커트하여 펠릿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99.5질량부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0.5질량부를 압출기를 이용하여 용융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PMMA 함유량: 0.5질량%)의 펠릿을 얻었다. 이 수지 조성물(펠릿)을 80℃에서 5시간 진공 건조를 한 후, 단축 압출기(이스즈화공기사 제조, 스크류 직경: 25mm, 실린더 설정 온도: 220℃), T 다이(폭: 300mm, 설정 온도: 220℃), 칠드 롤(설정 온도: 120∼130℃) 및 권취기를 구비한 필름 제막 장치를 이용하여 길이 3m, 폭 200mm, 두께 100㎛의 장척의 미연신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장척 미연신 필름을 고정단 1축 연신법으로 폭 방향(횡방향)으로 2.7배 연신하여 두께 37㎛의 위상차 필름을 작성하였다.
(위상차층(125)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의 제작)
하기 화학식(I)(식 중의 숫자 65 및 35는 모노머 유닛의 몰%를 나타내며, 편의상 블록 폴리머체로 나타내고 있다: 중량 평균 분자량 5000)으로 나타내는 측쇄형 액정 폴리머 20중량부, 네마틱 액정상을 나타내는 중합성 액정(BASF사 제조: 상품명 PaliocolorLC242) 80질량부 및 광중합 개시제(시바 스페셜리티 케미컬즈사 제조: 상품명 이르가큐어907) 5질량부를 시클로펜타논 200질량부에 용해하여 액정 도공액을 조제하였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얻어진 액정 도공액을, 기재 필름(노보넨계 수지 필름: 일본제온(주) 제조, 상품명 '제오넥스')에 바 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80℃에서 4분간 가열 건조함으로써 액정을 배향시켰다. 이 액정층에 자외선을 조사하고 액정층을 경화시킴으로써, 기재 필름 위에 위상차층(125)이 되는 액정 고화층(두께: 0.58㎛)을 형성하였다. 이 층은 nz>nx=ny의 굴절률 특성을 나타냈다. 여기서, nx는 액정 고화층의 면내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즉,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이다. ny는 액정 고화층의 면내에서 지상축과 직교하는 방향(즉,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이다. 'nz'는 액정 고화층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다.
(적층체(12D)의 제작)
위상차층(124)을 구성하는 위상차 필름의 한쪽 주면에, 아크릴계 접착제를 개재하여 적층 필름의 액정 고화층을 첩부하였다. 이어서, 적층 필름에 포함되는 기재 필름을 제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위상차층(124)과 액정 고화층에 상당하는 위상차층(125)이 적층된 적층체(12D)를 제작하였다.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의 경우의 상술한 순서에 준하여 구해지는 적층체(12D)의 탄성률은 3.7GPa이고, 경도는 3.7GPa×0.038mm=0.14kN/mm이었다.
(b5) 광학 필름(12)을 구성하는 층(12E)
두께 30㎛의 유리 기판(126)을, 광학 필름(12)을 구성하는 층(12E)으로서 준비하였다.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의 경우의 상술한 순서에 준하여 구해지는 층(12E)의 탄성률은 75GPa이고, 경도는 75GPa×0.03mm=2.25kN/mm이었다.
(c) 세퍼레이터(S)
두께 50㎛의 투명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한쪽 주면을, 실리콘계 박리제로 처리함으로써 세퍼레이터(S)를 준비하였다.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의 경우의 상술한 순서에 준하여 구해지는 세퍼레이터(S)의 탄성률 Es은 4.2GPa이고, Es×Ts(=0.05mm)=0.21kN/mm이었다.
(ii) 가식층의 형성
가식 부착 적층체의 가식층(30)을 설치하는 부재 또는 층의 표면에, 가식층(30)으로서 스크린 인쇄에 의해 프레임상의 흑색 잉크층(폭 15mm, 두께 5㎛)을 설치하였다. 흑색 잉크로서는 제국잉크사 제조 INQ-HF979을 이용하였다.
(iii) 점착제의 조제
점착 부재(21 및 22)를 제작하기 위한 아크릴계 점착제(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를 하기의 순서로 조제하였다.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조제)
모노머 성분으로서 메타크릴산 디시클로펜타닐 60질량부 및 메타크릴산 메틸 40질량부, 연쇄 이동제로서 α-티오글리세롤 3.5질량부, 그리고 중합 용매로서 톨루엔 100질량부를 혼합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70℃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열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2질량부를 투입하고, 70℃에서 2시간 반응시킨 후, 80℃로 승온하여 2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반응액을 130℃로 가열하고, 톨루엔, 연쇄 이동제 및 미반응 모노머를 건조 제거하여 고형상의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얻었다.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100이고, 유리 전이 온도(Tg)는 130℃이었다.
(프리폴리머 조성물의 조제)
라우릴아크릴레이트 43질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44질량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6질량부, 및 N-비닐-2-피롤리돈 7질량부, 그리고 광중합 개시제로서 BASF 제조 '이르가큐어 184' 0.015질량부를 혼합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중합을 행함으로써, 프리폴리머 조성물(중합률: 약 10%)을 얻었다.
(아크릴계 점착제의 조제)
상기 프리폴리머 조성물 100질량부에,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0.07질량부, 상기 아크릴계 올리고머 1질량부 및 실란 커플링제(신에츠화학 제조 'KBM403J') 0.3질량부를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함으로써 아크릴계 점착제를 조제하였다.
(iv) 점착제층의 형성
상기 (iii)에서 조제한 점착제를 이용하여, 점착 부재(21, 22)의 각 층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점착제를 박리 필름에 파운틴 코터로 균일하게 도포하고, 155℃의 공기 순환식 항온 오븐에서 2분간 건조하여, 박리 필름의 표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박리 필름으로서는, 실리콘계 박리제로 처리된 두께 38㎛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투명 기재, 세퍼레이터)을 이용하였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샘플에서의 점착 부재(21)의 두께가 25㎛, 샘플에서의 점착 부재(22)의 두께가 15㎛가 되도록, 점착제의 도포량에 의해 조절하였다. 점착 부재의 저장 탄성률을 상술한 순서로 구하였더니 0.3MPa이었다.
(v) 적층체의 제작
상기 (i)에서 제작한 각 부재 또는 각 부재를 구성하는 층 또는 이의 적층체는, 필요에 따라 소정의 크기로 커트하였다. 각 점착 부재를 협지시키는 부재 또는 층의 한쪽의 주면에, 점착제층을 박리 필름으로부터 전사하고, 점착제층을 사이에 두도록 각 부재 또는 층 또는 적층체를 적층하여 핸드 롤러로 압착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점착 부재에 의해 각 부재 또는 층 또는 적층체가 적층된 평가용 샘플을 제작하였다. 또한, 세퍼레이터(S)의 표면에 점착 부재를 접촉시키는 경우, 세퍼레이터(S)의 박리제로 처리한 주면이 점착 부재와 접촉하도록 점착 부재가 배치된다.
도 9a 및 도 9b는, 각각 비교예 1 및 2의 가식 부착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9a의 가식 부착 적층체는, 제1 부재(I)로서의 윈도우 부재(11)를 구성하는 층의 적층체(11A)와, 제2 부재(II)로서의 광학 필름(12)을 구성하는 층의 적층체(12A)와, 이들 사이에 개재하는 점착 부재(21)를 구비하고 있다. 도 9b의 가식 부착 적층체는, 제1 부재(I)로서의 광학 필름(12)을 구성하는 층(유리 기판)(12E)과, 제2 부재(II)로서의 광학 필름(12)을 구성하는 층의 적층체(12A)와, 이들 사이에 개재하는 점착 부재(21)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가식 부착 적층체에서는, 제1 부재(I)의 제2 부재(II) 측의 표면에는, 프레임상의 가식층(30)이 점착 부재(21)와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적층체(11A) 및 적층체(12A)의 구성은, 도 2의 경우와 동일하다.
(2) 평가
샘플을 시인 측에서 보았을 때, 가식층(30)의 내측의 측부에 하얗게 빛나는 선이 보이는 경우를 B, 보이지 않는 경우를 A로 하여 외견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서, e1∼e5는 실시예 1∼5이고, r1∼r2는 비교예 1∼2이다. 도 8은, 실시예 4의 가식 부착 적층체의 가식층 및 그의 내측의 측부 주변을 시인 측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도 10은, 비교예 1의 가식 부착 적층체의 가식층 및 그의 내측의 측부 주변을 시인 측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표 1]
Figure pct00002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1에서는 가식층(30)의 내측의 측부 부근에 하얗게 빛나는 선이 보였다. 또한, r2에 대해서도 r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얗게 빛나는 선이 보였다. 이에 반하여,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e4에서는 가식층(30)의 내측의 측부 부근에 하얗게 빛나는 선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양호한 외견을 확보할 수 있었다. 다른 실시예 e1∼e3 및 e5에 대해서도, e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양호한 외견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비교예와 실시예에서의 결과의 차이는, 제1 부재(I)와 제2 부재(II)에서 변형 또는 경도의 균형을 제어함으로써, 제2 부재(II)의 변형이 저감된 것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을 현 시점에서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개시를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다양한 변형 및 개변은, 상기 개시를 읽음으로써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당업자에게는 확실히 명백해질 것이다. 따라서, 첨부의 청구 범위는, 본 발명의 진의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모든 변형 및 개변을 포함한다고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가식 부착 적층체 및 광학 적층체는,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1: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11: 윈도우 부재
11A, 11B, 11C: 윈도우 부재를 구성하는 층 또는 그의 적층체
111A, 111B: 윈도우 필름
111C: 윈도우 유리
112: 하드코트층
12: 광학 필름
12A∼12E: 광학 필름을 구성하는 층 또는 그의 적층체
121: 편광자
122: 보호 필름(투명 수지 필름)
123∼125: 위상차층
126: 유리 기판
13: 터치 센서
131: 투명 도전층
132: 투명 필름
14: 패널 부재
141: 유기 EL 패널
142: 박막 봉지층
21: 점착 부재(제1 점착 부재)
22: 점착 부재(제2 점착 부재)
30: 가식층
S: 세퍼레이터
I: 제1 부재
II: 제2 부재

Claims (17)

  1.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가식 부착 적층체(decorated laminate)로서,
    상기 가식 부착 적층체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와,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에 협지되는 점착 부재와, 상기 점착 부재와 접촉하도록 설치된 가식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에서 상기 제2 부재보다도 시인 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점착 부재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가식 부착 적층체를 평평하게 둔 상태에서, 상기 제1 부재를 시인 측에서 보았을 때의 중심에서의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점착 부재와의 계면의 적층 방향의 위치를 L10으로 하고, 상기 중심에서의 상기 제1 부재의 시인 측의 표면의 상기 적층 방향의 위치를 L11로 하며,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가식층과 대향하는 부분에서의 시인 측에 가장 가까운 위치를 L12로 할 때, L10에서 L11까지의 높이 A1과 L10에서 L12까지의 높이 B1은, A1<B1의 조건을 충족하는 가식 부착 적층체.
  2. 제1항에 있어서,
    (B1-A1)≥1㎛의 조건을 충족하는 가식 부착 적층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를 시인 측에서 보았을 때의 중심에서의 상기 제2 부재와 상기 점착 부재와의 계면의 상기 적층 방향의 위치를 L20으로 하고, 상기 중심에서의 상기 제2 부재의 시인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의 상기 적층 방향의 위치를 L21로 하며,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가식층과 대향하는 부분에서의 시인 측에서 가장 먼 위치를 L22로 하고, L20에서 L21까지의 높이를 A2로 하며, L20에서 L22까지의 높이를 B2로 할 때,
    (B2-A2)≤5㎛의 조건을 충족하는 가식 부착 적층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를 시인 측에서 보았을 때의 중심에서의 상기 제2 부재와 상기 점착 부재와의 계면의 상기 적층 방향의 위치를 L20으로 하고, 상기 중심에서의 상기 제2 부재의 시인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의 상기 적층 방향의 위치를 L21로 하며,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가식층과 대향하는 부분에서의 시인 측에서 가장 먼 위치를 L22로 하고, L20에서 L21까지의 높이를 A2로 하며, L20에서 L22까지의 높이를 B2로 할 때,
    (B1-A1)≥(B2-A2)의 조건을 충족하는 가식 부착 적층체.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탄성률(GPa)을 E1로 하고, 상기 제1 부재의 두께(mm)를 T1로 할 때, E1×T1로 나타내는 상기 제1 부재의 경도 R1은 0.5kN/mm 이하의 조건을 충족하는 가식 부착 적층체.
  6.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각각의 탄성률(GPa)을 E1 및 E2로 하고,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각각의 두께(mm)를 T1 및 T2로 할 때, E2×T2로 나타내는 상기 제2 부재의 경도 R2의, E1×T1로 나타내는 상기 제1 부재의 경도 R1에 대한 비: R2/R1은, R2/R1≥0.5의 조건을 충족하는 가식 부착 적층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R1(kN/mm)는 0.01≤R1≤2.5을 충족하고
    상기 R2(kN/mm)는 0.01≤R2≤2.5을 충족하는 가식 부착 적층체.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 R2/R1은 R2/R1>2의 조건을 충족하는 가식 부착 적층체.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 R2/R1은 0.5≤R2/R1≤2의 조건을 충족하고,
    상기 경도 R1 및 상기 경도 R2는, 각각 0.5kN/mm 이하의 조건을 충족하는 가식 부착 적층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부재의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1MPa 이하의 조건을 충족하는 가식 부착 적층체.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식층의 두께는 20㎛ 이하의 조건을 충족하는 가식 부착 적층체.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식층이 접촉하는 상기 점착 부재의 두께는, 상기 가식층의 두께의 1.5배 이상의 조건을 충족함과 함께, 50㎛ 이하의 조건을 충족하는 가식 부착 적층체.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윈도우 부재 또는 광학 필름을 구성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윈도우 부재, 광학 필름, 터치 센서, 터치 센서 부착 패널 부재 또는 세퍼레이터를 구성하는 가식 부착 적층체.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식 부착 적층체를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로서,
    상기 광학 적층체는
    윈도우 부재와,
    상기 윈도우 부재에 적층된 부재 A와,
    상기 윈도우 부재에 상기 부재 A를 개재하여 적층된 부재 B와,
    상기 윈도우 부재에 상기 부재 A 및 상기 부재 B를 개재하여 적층된 세퍼레이터와,
    상기 가식층과 접촉하는 상기 점착 부재를 포함하는 복수 층의 점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부재 A 및 상기 부재 B의 한쪽은 광학 필름이고, 다른 쪽은 터치 센서이며,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윈도우 부재 또는 상기 광학 필름을 구성하며,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윈도우 부재, 상기 광학 필름, 상기 터치 센서 또는 상기 세퍼레이터를 구성하며,
    상기 터치 센서보다도 시인 측에 상기 가식층이 설치되어 있는 광학 적층체.
  15.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식 부착 적층체를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로서,
    상기 광학 적층체는
    윈도우 부재와,
    상기 윈도우 부재에 적층된 광학 필름과,
    상기 윈도우 부재에 상기 광학 필름을 개재하여 적층된 세퍼레이터와,
    상기 가식층과 접촉하는 상기 점착 부재를 포함하는 복수 층의 점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윈도우 부재 또는 상기 광학 필름을 구성하며,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윈도우 부재, 상기 광학 필름 또는 상기 세퍼레이터를 구성하고,
    상기 세퍼레이터보다도 시인 측에 상기 가식층이 설치되어 있는 광학 적층체.
  16.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식 부착 적층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상기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는
    윈도우 부재와,
    상기 윈도우 부재에 적층된 부재 A와,
    상기 윈도우 부재에 상기 부재 A를 개재하여 적층된 부재 B와,
    상기 윈도우 부재에 상기 부재 A 및 상기 부재 B를 개재하여 적층된 부재 C와,
    상기 가식층과 접촉하는 상기 점착 부재를 포함하는 복수 층의 점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부재 A 및 상기 부재 B의 한쪽은 광학 필름이고, 다른 쪽은 터치 센서이며,
    상기 부재 C는 적어도 패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윈도우 부재 또는 상기 광학 필름을 구성하며,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윈도우 부재, 상기 광학 필름 또는 상기 터치 센서를 구성하고,
    상기 터치 센서보다도 시인 측에 상기 가식층이 설치되어 있는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17.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식 부착 적층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상기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는
    윈도우 부재와,
    상기 윈도우 부재에 적층된 광학 필름과,
    상기 윈도우 부재에 상기 광학 필름을 개재하여 적층된 터치 센서 부착 패널 부재와,
    상기 가식층과 접촉하는 상기 점착 부재를 포함하는 복수 층의 점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윈도우 부재 또는 상기 광학 필름을 구성하며,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윈도우 부재, 상기 광학 필름 또는 상기 터치 센서 부착 패널 부재를 구성하고,
    상기 터치 센서 부착 패널 부재보다도 시인 측에 상기 가식층이 설치되어 있는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KR1020217009294A 2019-12-26 2020-08-21 가식 부착 적층체, 광학 적층체 및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KR1022898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237499A JP6877525B1 (ja) 2019-12-26 2019-12-26 加飾付積層体、光学積層体、および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
JPJP-P-2019-237499 2019-12-26
PCT/JP2020/031588 WO2021131152A1 (ja) 2019-12-26 2020-08-21 加飾付積層体、光学積層体、および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438A true KR20210084438A (ko) 2021-07-07
KR102289805B1 KR102289805B1 (ko) 2021-08-17

Family

ID=75961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9294A KR102289805B1 (ko) 2019-12-26 2020-08-21 가식 부착 적층체, 광학 적층체 및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354429A1 (ko)
JP (1) JP6877525B1 (ko)
KR (1) KR102289805B1 (ko)
CN (1) CN113196121B (ko)
TW (1) TWI738481B (ko)
WO (1) WO20211311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1881B (zh) * 2019-02-02 2020-06-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TWI805492B (zh) * 2022-09-22 2023-06-11 元璋玻璃股份有限公司 發光屏幕組、發光屏幕及其製作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6466A (ja) * 2011-10-21 2013-05-13 Asahi Glass Co Ltd 前面板および前面板の製造方法
JP2015224320A (ja) * 2014-05-29 2015-12-14 Dic株式会社 粘接着シート、物品ならびに物品及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16065928A (ja) 2014-09-24 2016-04-28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部材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7048328A (ja) * 2015-09-03 2017-03-09 日立化成株式会社 透明粘着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WO2018208049A1 (ko) * 2017-05-10 2018-11-1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WO2019168005A1 (ja) * 2018-02-28 2019-09-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9152695A (ja) * 2018-02-28 2019-09-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カバーパネル
JP2019191560A (ja) 2018-04-24 2019-10-31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244B1 (ko) * 2013-07-17 2019-12-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부재 및 그것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CN106103094B (zh) * 2014-03-07 2018-11-09 富士胶片株式会社 带有装饰材料的基板及其制造方法、触控面板、以及信息显示装置
JP6580315B2 (ja) * 2014-10-15 2019-09-25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ならびに両面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のカール抑制方法
KR102410265B1 (ko) * 2015-07-13 2022-06-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7050426B2 (ja) * 2016-05-30 2022-04-08 日東電工株式会社 圧電センサおよびその圧電センサ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
JP6881139B2 (ja) * 2017-08-07 2021-06-02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光硬化型粘着シート
KR102436547B1 (ko) * 2017-09-29 2022-08-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CN109407196B (zh) * 2018-09-30 2021-11-30 广州国显科技有限公司 偏光片、柔性显示面板及柔性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6466A (ja) * 2011-10-21 2013-05-13 Asahi Glass Co Ltd 前面板および前面板の製造方法
JP2015224320A (ja) * 2014-05-29 2015-12-14 Dic株式会社 粘接着シート、物品ならびに物品及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16065928A (ja) 2014-09-24 2016-04-28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部材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7048328A (ja) * 2015-09-03 2017-03-09 日立化成株式会社 透明粘着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WO2018208049A1 (ko) * 2017-05-10 2018-11-1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WO2019168005A1 (ja) * 2018-02-28 2019-09-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9152695A (ja) * 2018-02-28 2019-09-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カバーパネル
JP2019191560A (ja) 2018-04-24 2019-10-31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9805B1 (ko) 2021-08-17
JP6877525B1 (ja) 2021-05-26
WO2021131152A1 (ja) 2021-07-01
US20210354429A1 (en) 2021-11-18
TW202124998A (zh) 2021-07-01
CN113196121B (zh) 2022-06-10
CN113196121A (zh) 2021-07-30
TWI738481B (zh) 2021-09-01
JP2021104641A (ja) 2021-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30900B (zh) 图像显示装置
JP2010039458A (ja) 偏光板、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複合偏光板
KR102280836B1 (ko) 편광판
KR102289805B1 (ko) 가식 부착 적층체, 광학 적층체 및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KR102389656B1 (ko)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및 이에 이용하는 광학 적층체
KR102458092B1 (ko)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및 이에 이용하는 광학 적층체
KR102454310B1 (ko) 편광 필름, 광학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401803B1 (ko)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및 그에 이용하는 광학 적층체
JP6903804B1 (ja) 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光学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