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3776A - 터널 시공용 세그먼트 조립체, 그에 의한 터널 및 터널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터널 시공용 세그먼트 조립체, 그에 의한 터널 및 터널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3776A
KR20210083776A KR1020190176405A KR20190176405A KR20210083776A KR 20210083776 A KR20210083776 A KR 20210083776A KR 1020190176405 A KR1020190176405 A KR 1020190176405A KR 20190176405 A KR20190176405 A KR 20190176405A KR 20210083776 A KR20210083776 A KR 20210083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nch
segment assembly
tunnel
waterproofing
waterproof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원
박재민
박창운
함방욱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176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3776A/ko
Publication of KR20210083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7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08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preformed concrete slabs
    • E21D11/083Methods or devices for joining adjacent concrete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38Waterproofing; Heat insulating; Soundproofing; Electric insulating
    • E21D11/385Sealing means positioned between adjacent lin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 시공용 세그먼트 조립체, 그에 의한 터널 및 터널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시공용 세그먼트 조립체는, 복수 개가 터널의 원주 방향과 축 방향으로 접합면이 인접 배치되는 호 형상의 세그먼트 조립체로서, 상기 세그먼트 조립체는, 인접 배치되는 다른 세그먼트 조립체와의 접합면에 방수제를 주입하는 유로 형성을 위해 방수제 트렌치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터널 시공용 세그먼트 조립체, 그에 의한 터널 및 터널 시공 방법{SEGMENT ASSEMBLY FOR TUNNEL CONSTRUCTION, TUNNEL THEREOF AND CONSTRUCTION METHOD OF TUNNEL}
본 발명은 터널 시공용 세그먼트 조립체, 그에 의한 터널 및 터널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통형의 실드를 이용한 터널굴착 이후 실드의 뒤쪽에서 반복 설치하는 터널 마감 구조물의 일부를 구성하되 지하터널 내 지하수 누수를 차단하기 위한 방수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지하터널 내부에 설치된 설비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터널 시공용 세그먼트 조립체, 그에 의한 터널 및 터널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그먼트 조립체(segment assembly)는 공장에서 제작된 후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활용되는데, 현장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민원 발생을 줄이고, 작업 시간을 단축하여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세그먼트 조립체는 터널굴착 공법 중 실드 공법 즉, 원통형의 실드를 수직구 안에 투입시켜 커터헤드(cutter head)를 회전하여 터널을 굴착하고, 실드의 뒤쪽에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를 반복 설치하여 터널을 시공하는 방식에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세그먼트 조립체는 기계를 이용하여 지하에서 터널을 만드는 기계굴착식 지하터널에서 활용된다.
도 1은 터널굴착 공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터널굴착 공법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터널굴착 공법은 우선 수직 굴착이 이루어진 다음 지하에서 수평굴착을 진행한다. 이때, 세그먼트 조립체는 수평굴착을 진행한 다음 세그먼트를 거치 및 체결하여 최종 마감을 통해 터널을 완성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세그먼트 조립체를 서로 접합시키기 위하여 강선을 이용하는 방식과 볼트를 이용하는 방식으로서 경사볼트, 곡볼트, 볼트박스 등의 방식이 있다.
하지만, 조립체간 체결을 위해 볼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미세한 물입자를 차단하기 곤란하기 때문에 지하터널의 내부로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이‹x, 지하터널 내부에는 전력, 통신, 가스 등의 설비가 설치되는 경우에 누수 발생으로 인한 설비 파손 또는 오작동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기존에는 지하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방수고무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방수고무는 특성상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화되거나 부풀어 오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 오차가 있을 경우에 도 2와 같은 지하수 누수를 차단하기 곤란하다. 도 2는 지하터널 내부의 지하수 누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따라서, 세그먼트 조립체는 조립체간 체결시 지하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방수 고무를 대신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5986호 (2004.10.18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원통형의 실드를 이용한 터널굴착 이후 실드의 뒤쪽에서 반복 설치하는 터널 마감 구조물의 일부를 구성하되 지하터널 내 지하수 누수를 차단하기 위한 방수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지하터널 내부에 설치된 설비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터널 시공용 세그먼트 조립체, 그에 의한 터널 및 터널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시공용 세그먼트 조립체는, 복수 개가 터널의 원주 방향과 축 방향으로 접합면이 인접 배치되는 호 형상의 세그먼트 조립체로서, 상기 세그먼트 조립체는, 인접 배치되는 다른 세그먼트 조립체와의 접합면에 방수제를 주입하는 유로 형성을 위해 방수제 트렌치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세그먼트 조립체는, 상기 방수제 트렌치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되 상기 방수제 트렌치를 기준으로 내/외측에 대칭되게 역류방지용 트렌치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세그먼트 조립체는, 상기 방수제 트렌치에 방수제를 주입하기 위해 세그먼트 하부면에 방수제 주입구를 형성하되, 상기 방수제 주입구는, 상기 방수제 트렌치의 연직 방향으로 관통되는 연직 유로를 통해 상기 방수제 트렌치에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세그먼트 조립체는, 상기 방수제 트렌치의 하부면에서 깊이 방향 아래로 쐐기형 홀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쐐기형 홀은, 일단이 상기 방수제 트렌치의 하부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연직 유로에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쐐기형 홀은, 상기 방수제 트렌치의 하부면에서 깊이 방향 아래로 폭이 줄어드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방수제는, 상기 방수제 주입구, 상기 연직 유로, 상기 쐐기형 홀, 상기 방수제 트렌치를 따라 이동하는 경로로 주입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수제 주입구는, 상기 세그먼트 하부면의 테두리에 인접하여 상기 방수제 트렌치에 연직 방향으로 상기 연직 유로를 관통하여 연결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수제 트렌치의 폭은 상기 역류방지용 트렌치의 폭 보다 †œ고, 상기 방수제 트렌치의 깊이는 상기 역류방지용 트렌치의 깊이 보다 깊은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의 시공방법은,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터널 시공용 세그먼트 조립체에 의한 터널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세그먼트 조립체 복수 개를 인접 배치하여 서로 체결하는 단계; 및 상기 세그먼트 조립체 복수 개가 서로 체결함에 따라 형성되는 방수제 유로에 방수제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은,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터널 시공용 세그먼트 조립체에 의해 시공되는 터널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원통형의 실드를 이용한 터널굴착 이후 실드의 뒤쪽에서 반복 설치하는 터널 마감 구조물의 일부를 구성하되 지하터널 내 지하수 누수를 차단하기 위한 방수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지하터널 내부에 설치된 설비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구 등 지하터널내 지하수 누수 원천 봉쇄로 전력선 등 설비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수고무 가공 및 부착, 고무거치 확인 등의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공사기간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하수 누수로 인해 지하터널 내 지하수 펌프를 가동할 필요가 없고, 운영시 하수도비용도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터널굴착 공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지하터널 내부의 지하수 누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시공용 세그먼트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A-A'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쐐기형 홀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세그먼트 조립체 체결 및 방수제 투입 완료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시공용 세그먼트 조립체에 의한 터널 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시공용 세그먼트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A-A'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쐐기형 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세그먼트 조립체 체결 및 방수제 투입 완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시공용 세그먼트 조립체(10)는, 원통형의 실드를 이용한 터널굴착 이후 실드의 뒤쪽에서 반복 설치하는 터널 마감 구조물(1)의 일부를 구성하되 지하터널 내 지하수 누수를 차단하기 위한 방수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지하터널 내부에 설치된 설비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터널 마감 구조물(1)은 복수 개의 세그먼트 조립체(10)의 조립을 통해 하나의 구조물을 형성한다. 여기서, 복수 개의 세그먼트 조립체(10) 각각은 조립 순서를 고려할 필요 없이 임의의 순서대로 조립 가능하도록 동일한 호 형상으로 제작된다.
그래서, 세그먼트 조립체(10)는 복수 개가 터널의 원주 방향과 축 방향으로 접합면이 인접 배치되어 터널의 관벽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세그먼트 조립체(10)는 터널굴착 공법 중 실드 공법 즉, 원통형의 실드를 수직구 안에 투입시켜 커터헤드(cutter head)를 회전하여 터널을 굴착하고 실드의 뒤쪽에서 반복 설치되어 터널을 시공하는 방식에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세그먼트 조립체(10)는 인접 배치되는 다른 세그먼트 조립체와의 접합면에 방수제를 주입하는 유로 형성을 위해 방수제 트렌치(11)를 형성한다.
여기서, 세그먼트 조립체(10)의 접합면은 터널의 원주 방향과 축 방향으로 다른 세그먼트 조립체가 인접 배치되는 세그먼트 측면을 의미한다. 세그먼트 상부면은 터널 외부면에 해당하고, 세그먼트 하부면은 터널 내부면에 해당한다. 그리고, 세그먼트 조립체(10)의 접합면 즉, 세그먼트 측면은 나머지 4면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방수제 유로는 세그먼트 조립체(10)의 접합면을 따라 환형 유로를 형성한다. 이로써, 터널 마감 구조물(1)는 세그먼트 조립체(10) 각각의 연결 부위에 대응하는 환형 유로에 의해 조립체와 조립체 사이 간격이 방수제로 채워져 지하수 누수가 방지된다.
그리고, 세그먼트 하부면에는 방수제 트렌치(11)에 방수제를 주입하기 위한 방수제 주입구(13)를 형성한다. 여기서, 방수제 주입구(13)는 방수제 트렌치(11)의 연직 방향으로 관통되는 연직 유로(14)를 통해 방수제 트렌치(11)에 연결된다.
도 3에서 방수제 주입구(13)는 하나의 세그먼트 조립체(10)에 한 개가 형성된 경우를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세그먼트 하부면의 테두리에 인접하여 방수제 트렌치(11)에 연직 방향으로 연직 유로(14)를 관통하여 연결할 수 있는 임의의 위치(HP)에 적어도 하나 이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세그먼트 조립체(10)는 인접 배치되는 다른 세그먼트 조립체와의 접합면에 방수제 역류 방지를 위한 역류방지용 트렌치(12)를 형성한다. 여기서, 역류방지용 트렌치(12)는 방수제 트렌치(11)를 따라 내/외측에 역류방지용 트렌치(12)를 형성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방수제 트렌치(11)의 폭(w1)은 역류방지용 트렌치(12)의 폭(w2) 보다 넓고, 방수제 트렌치(11)의 깊이(d1)는 역류방지용 트렌치(12)의 깊이(d2) 보다 깊다.
역류방지용 트렌치(12)는 방수제 트렌치(11)와 소정의 간격 만큼 이격 배치되되, 방수제 트렌치(11)를 기준으로 내/외측에 대칭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세그먼트 조립체(10)는 방수제 트렌치(11)의 깊이(d1) 보다 더 깊은 깊이(d3)로 쐐기형 홀(15)을 형성한다. 즉, 쐐기형 홀(15)은 방수제 트렌치(11)의 하부면에서 깊이 방향 아래로 형성된다. 여기서, 쐐기형 홀(15)의 깊이는 d1+d3이 된다.
또한, 쐐기형 홀(15)은 방수제 트렌치(11)의 폭(w1) 보다 작은 폭(w3)으로 깊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홀이다. 이러한 쐐기형 홀(15)은 방수제 트렌치(11)의 하부면에서 깊이 방향 아래로 폭(w3)이 줄어드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쐐기형 홀(15)은 일단이 방수제 트렌치(11)의 하부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방수제 주입구(13)와 관통되어 연결되는 연직 유로(14)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직 유로(14)는 방수제 트렌치(11)의 내측에 배치된 역류방지용 트렌치(12)에 간섭받지 않는다.
그리고, 방수제는 쐐기형 홀(15)에 주입되면 조립체 간 체결력을 증대시켜 조립체 간 이탈을 방지하는 형상으로 경화된다.
동일한 취지로, 쐐기형 홀(15)은 연직 유로(14)와 연결되지 않고 조립체 간 체결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방수제 트렌치(11)를 따라 임의의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방수제는 방수제 주입구(13)→연직 유로(14)→쐐기형 홀(15)→방수제 트렌치(11)(또는 방수제 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경로로 주입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세그먼트 조립체(10)는 인접 배치되는 다른 세그먼트 조립체와 체결하면, 방수제 트렌치(11)에 의해 방수제 유로를 형성하게 되고, 방수제 유로에 방수제를 주입하여 지하수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이 경우, 세그먼트 조립체 체결은 볼트를 이용하는 방식으로서 경사볼트, 곡볼트, 볼트박스 등의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시공용 세그먼트 조립체에 의한 터널 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시공용 세그먼트 조립체에 의한 터널 시공 방법은 세그먼트 조립체(10)를 인접 배치하는 단계(S201), 볼트를 이용하여 세그먼트 조립체(10)를 서로 체결하는 단계(S202), 방수제를 주입하는 단계(S203)를 포함한다.
터널 시공 방법은 세그먼트 조립체(10)의 설명과 더불어 이해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비록 상기 설명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들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되었지만, 본 기술 분야에 숙달된 기술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상기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의 형태 및 세부 사항에서 다양한 삭제, 대체, 및 변경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설명에서보다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안의 모든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섭된다.
1 ; 터널 마감 구조물 10 ; 세그먼트 조립체
11 ; 방수제 트렌치 12 ; 역류방지용 트렌치
13 ; 방수제 주입구 14 ; 연직 유로
15 ; 쐐기형 홀

Claims (11)

  1. 복수 개가 터널의 원주 방향과 축 방향으로 접합면이 인접 배치되는 호 형상의 세그먼트 조립체로서,
    상기 세그먼트 조립체는,
    인접 배치되는 다른 세그먼트 조립체와의 접합면에 방수제를 주입하는 유로 형성을 위해 방수제 트렌치를 형성하는 것인 터널 시공용 세그먼트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 조립체는,
    상기 방수제 트렌치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되 상기 방수제 트렌치를 기준으로 내/외측에 대칭되게 역류방지용 트렌치를 형성하는 것인 터널 시공용 세그먼트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 조립체는,
    상기 방수제 트렌치에 방수제를 주입하기 위해 세그먼트 하부면에 방수제 주입구를 형성하되,
    상기 방수제 주입구는,
    상기 방수제 트렌치의 연직 방향으로 관통되는 연직 유로를 통해 상기 방수제 트렌치에 연결되는 것인 터널 시공용 세그먼트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 조립체는,
    상기 방수제 트렌치의 하부면에서 깊이 방향 아래로 쐐기형 홀을 형성하는 것인 터널 시공용 세그먼트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 홀은,
    일단이 상기 방수제 트렌치의 하부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연직 유로에 연결되는 것인 터널 시공용 세그먼트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 홀은,
    상기 방수제 트렌치의 하부면에서 깊이 방향 아래로 폭이 줄어드는 형태인 터널 시공용 세그먼트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제는,
    상기 방수제 주입구, 상기 연직 유로, 상기 쐐기형 홀, 상기 방수제 트렌치를 따라 이동하는 경로로 주입되는 것인 터널 시공용 세그먼트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제 주입구는,
    상기 세그먼트 하부면의 테두리에 인접하여 상기 방수제 트렌치에 연직 방향으로 상기 연직 유로를 관통하여 연결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을 형성하는 것인 터널 시공용 세그먼트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제 트렌치의 폭은 상기 역류방지용 트렌치의 폭 보다 †œ고,
    상기 방수제 트렌치의 깊이는 상기 역류방지용 트렌치의 깊이 보다 깊은 것인 터널 시공용 세그먼트 조립체.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터널 시공용 세그먼트 조립체에 의한 터널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세그먼트 조립체 복수 개를 인접 배치하여 서로 체결하는 단계; 및
    상기 세그먼트 조립체 복수 개가 서로 체결함에 따라 형성되는 방수제 유로에 방수제를 주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널 시공용 세그먼트 조립체에 의한 터널의 시공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터널 시공용 세그먼트 조립체에 의해 시공되는 터널.
KR1020190176405A 2019-12-27 2019-12-27 터널 시공용 세그먼트 조립체, 그에 의한 터널 및 터널 시공 방법 KR202100837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405A KR20210083776A (ko) 2019-12-27 2019-12-27 터널 시공용 세그먼트 조립체, 그에 의한 터널 및 터널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405A KR20210083776A (ko) 2019-12-27 2019-12-27 터널 시공용 세그먼트 조립체, 그에 의한 터널 및 터널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776A true KR20210083776A (ko) 2021-07-07

Family

ID=76862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405A KR20210083776A (ko) 2019-12-27 2019-12-27 터널 시공용 세그먼트 조립체, 그에 의한 터널 및 터널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377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38397A (zh) * 2021-10-18 2021-12-03 重庆交通大学 一种装配式类矩形盾构隧道管片拼装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986Y1 (ko) 2004-08-09 2004-10-28 두우균 용접 이음 구조를 갖는 조립식 pc 암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986Y1 (ko) 2004-08-09 2004-10-28 두우균 용접 이음 구조를 갖는 조립식 pc 암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38397A (zh) * 2021-10-18 2021-12-03 重庆交通大学 一种装配式类矩形盾构隧道管片拼装结构
CN113738397B (zh) * 2021-10-18 2023-10-27 重庆交通大学 一种装配式类矩形盾构隧道管片拼装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66901B (zh) 一种盾构隧道洞门临时止水结构及其施工方法
KR20210083776A (ko) 터널 시공용 세그먼트 조립체, 그에 의한 터널 및 터널 시공 방법
JP5148742B2 (ja) 地下構造体へのシールド機通過方法
JP6858605B2 (ja) 支保構造および支保構造の構築方法
KR101990349B1 (ko) 형강재를 이용한 강지보재 임시고정장치
JP2007023499A (ja) セグメントおよび止水構造およびシールドトンネルの構築方法
CN109853604A (zh) 一种静压水力冲吸沉井施工方法
KR20190139507A (ko) 세미쉴드 공법의 추진관 및 이의 수밀구조
JP2016118040A (ja) トンネル支保構造および鋼製支保工
KR100715746B1 (ko) 지하수 심정 오염방지를 위한 그라우팅 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6254657B1 (ja) コンクリート函体の可撓継手構造
KR20180079676A (ko) Cip파일용 심재 및 이를 이용한 cip파일 연속벽 및 그 시공장치
CN203403891U (zh) 一种盾构隧道洞门临时止水结构
RU15904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манжеты трубопровода
JP5599329B2 (ja) 継手構造
KR102197032B1 (ko) 해체를 용이하게 하는 작업구용 강관의 구조
JP2011219999A (ja) トンネル構造
KR101051089B1 (ko) 보호캡을 이용한 앵커두부 보강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6713842B2 (ja) 裏込注入装置を有するシールド掘進機およびトンネルの止水方法
KR101596806B1 (ko) 송니수압과 지하수압의 제어수단이 구비된 쉴드 tβμ터널 시공구조
JP2014231694A (ja) シールドトンネルの接合構造と接合方法
JP5252208B2 (ja) 鉛直部材の接合方法及び鉛直部材の接合構造
JP6268522B2 (ja) シールドトンネルの拡幅部形成方法
JP6837364B2 (ja) 暗渠排水管合流排水マスの修復方法
JP4179416B2 (ja) 推進工法における開口部止水構造及び開口部止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