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6806B1 - 송니수압과 지하수압의 제어수단이 구비된 쉴드 tβμ터널 시공구조 - Google Patents

송니수압과 지하수압의 제어수단이 구비된 쉴드 tβμ터널 시공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6806B1
KR101596806B1 KR1020140070038A KR20140070038A KR101596806B1 KR 101596806 B1 KR101596806 B1 KR 101596806B1 KR 1020140070038 A KR1020140070038 A KR 1020140070038A KR 20140070038 A KR20140070038 A KR 20140070038A KR 101596806 B1 KR101596806 B1 KR 101596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space
annular gap
pressur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1388A (ko
Inventor
정성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경도
강릉건설(주)
주식회사 경도이앤씨
정성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경도, 강릉건설(주), 주식회사 경도이앤씨, 정성남 filed Critical 주식회사경도
Priority to KR1020140070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6806B1/ko
Publication of KR20150141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6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 E21D9/0607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the shield being provided with devices for lining the tunnel, e.g. shutt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01Improving soil or rock, e.g. by freezing; Inj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2Devices for removing or hauling away excavated material or spoil; Working or loading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3/00Large underground chamber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터널을 굴착하는 터널보오링머신(TBM)을 이용한 시공구조에 있어서, 상기 터널을 굴착하는 머신부; 상기 머신부를 추진시키는 베이스이면서 관통된 그라우트공이 형성된 다수의 세그먼트가 조립된 세그먼트링; 상기 세그먼트링의 외면과 머신부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내측 테일실(tail seal); 상기 세그먼트링과 터널의 굴착외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인 에뉼러갭(annular gap)을 채워넣은 뒷채움(back fill)부재; 상기 에뉼러갭에서 내측 테일실과 뒷채움부재 사이에 지하수가 채워지는 에뉼러갭 공간부; 상기 에뉼러갭 공간부에 걸리는 압력을 상기 내측 테일실이 요구하는 규정압력 이하로 감소시키는 에뉼러갭 지하수압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에뉼러갭 공간부의 수압을 조절하여 상단부 내측 테일실과 세그먼트링 사이와, 상단부 외측 테일실과 머신부 사이에 누수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함에 따라, 세그먼트링의 내부로 고압수의 유입방지 및 송니수의 역류방지를 통한 터널 침수사고 발생을 저하시켜 시공기간을 단축하며 안전하게 공사할 수 있도록 하는 송니수압과 지하수압의 제어수단이 구비된 쉴드 TBM터널 시공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송니수압과 지하수압의 제어수단이 구비된 쉴드 TΒΜ터널 시공구조{Groundwater pressure control means comprises a shield TΒΜ tunnel structure}
본 발명은 송니수압과 지하수압의 제어수단이 구비된 쉴드 TBM터널 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쉴드터널 굴진시 과잉 지하수압과 배면부 지하수 압을 관리하기 위해 설정된 압력으로 상시 유지토록 하는 송니수압과 지하수압의 제어수단이 구비된 쉴드 TBM터널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 굴착 장치(Tunnel Boring Machine; TBM)라는 대형 장비의 개발에 의해 폭약을 사용하지 않고도 터널을 건설할 수 있게 되었다. TBM의 터널시공은 원형의 단면으로 굴착되므로 역학적으로 안정하고 무진동, 무발파의 기계화 굴착이므로 지반굴착에 따른 지반변형을 최소화함으로써 지반굴착으로 인한 시공 중 안정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으며, 소음, 진동에 의한 환경피해를 최소화하여 안전하고 청결한 작업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친환경적 터널굴착공법이다.
이러한 터널 굴착 장치는 비트, 커트 등이 부착된 디스크 형상의 굴착 헤드를 회전시켜 터널의 전 단면을 한꺼번에 굴착하거나, 비트, 커터 등이 부착된 드럼을 자유롭게 움직여 필요한 단면을 자유롭게 굴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널 굴착장치는 산악지대와 같이 비교적 단단한 지반에 터널을 건설할 때 특히 효과적으로 이용된다.
도 1은 종래의 쉴드터널을 나타낸 구조도이고, 도 2의 (a) 및 (b)는 도 1에 표시된 A-A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테일실(tail seal)(1)은 와이어 브러시(2)를 중첩하여 일정간격으로 배치한 뒤, 와이어 브러시(2) 사이에 그리스(Grease)(3) 또는 점성제를 충진하여 지하수 유입을 차단하는 구조이다.
이때, 도 2의 (a)를 참조하면 다수개의 세그먼트(segment)(4)가 스킨플레이트(skin plate)(5)의 중심부에 동심원으로 접속됨으로써, 수밀성이 확보된 세그먼트링으로 이루어진다.
즉, 세그먼트링이 테일실(1)에 의해 스킨플레이트(5)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세그먼트링의 동심원으로 와이어 브러시(2)가 펼쳐져서 세그먼트링과 스킨플레이트 사이의 수밀성이 확보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굴착이 진행되면서 중력에 의해 세그먼트링이 쳐져지게 된다. 이때,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에 배치된 와이어 브러시(2)는 압착되고 상단부는 이격되면서 접속부실로 인해 공간이 발생되어 테일실(1)의 지하수 유입차단 기능이 저하되거나 상실된다.
따라서, 장비의 테일실(1)과 세그먼트(4) 사이에 에뉼러갭 내에 지하수가 집적된 후 압력이 팽배하게 되면 테일실(1)의 접속 부실 공간을 통하여 지하수가 터널 내로 유입됨으로써 시공을 방해하고 유출이 심할 경우 터널이 침수되는 사고가 발생한다.
또한, 쳄버 내로 압송된 송니수 역시 스킨플레이트(5)와 굴착면 사이의 공간인 스티어링 갭을 통하여 역류된 니수가 테일실(1)을 통하여 유출될 경우는 쳄버 내부에서의 막장안정 관리수압이 강하되면서 터널 막장의 천반부가 붕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0-2010-0071324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세그먼트의 그라우트공과 배니관 사이에 유도관을 연결하여 배니관의 흡입력에 의해 지하수 수납 에뉼러갭 공간부에 채워지는 지하수가 배니관으로 자동배출됨으로써, 에뉼러갭 공간부의 수압을 조절하여 상단부 내측 테일실과 세그먼트링 사이와, 상단부 외측 테일실과 머신부 사이에 누수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함에 따라, 세그먼트링의 내부로 고압수의 유입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공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배면지하수압 제어 수단과, 송니수의 역류 유출을 방지하여 터널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는 송니수압과 지하수압의 제어수단이 구비된 쉴드 TBM터널 시공구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굴진이 계속됨에 따라 세그먼트가 추가로 설치되는데, 전진된 에뉼러갭 공간부 상에 위치되는 세그먼트의 그라우트공에 연결됨에 따라 전진하게 되는 유도관의 길이가 신축부에 의해서 길어짐으로써, 에뉼러갭 지하수압 제어부를 설치한 후, 굴진으로 인해 위치이동되는 지하수 수납 에뉼러갭 공간부를 따라 매번 재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시공시간 및 비용 등을 절약하고, 에뉼러갭 지하수압 제어부를 한번 설치하면 굴진이 일정거리 이루어지는 동안 용이하게 굴진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송니수압과 지하수압의 제어수단이 구비된 쉴드 TBM터널 시공구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터널을 굴착하는 터널보오링머신(TBM)을 이용한 시공구조에 있어서, 상기 터널을 굴착하는 머신부; 상기 머신부를 추진시키는 베이스이면서 관통된 그라우트공이 형성된 다수의 세그먼트가 조립된 세그먼트링; 상기 세그먼트링의 외면과 머신부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내측 테일실(tail seal); 상기 세그먼트링과 터널의 굴착외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인 에뉼러갭(annular gap)을 채워넣은 뒷채움(back fill)부재; 상기 에뉼러갭에서 내측 테일실과 뒷채움부재 사이에 지하수가 채워지는 에뉼러갭 공간부; 상기 에뉼러갭 공간부에 걸리는 압력을 상기 내측 테일실이 요구하는 규정압력 이하로 감소시키는 에뉼러갭 지하수압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머신부의 외주면과 터널의 굴착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인 스티어링갭(steering gap) 공간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외측 테일실(tail seal);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머신부는, 터널의 막장을 굴착하는 커터해드와, 상기 커터해드 뒷단에 터널굴착작업시 생성된 굴착부산물을 집합시키는 챔버와, 상기 챔버에 모인 굴착부산물을 믹싱시키기 위해 물을 공급하는 송니관과, 상기 물과 믹싱된 굴착부산물을 터널밖으로 운반하는 배니관;을 포함하고, 상기 에뉼러갭 지하수압 제어부는, 상기 에뉼러갭 공간부의 압력을 제어하되, 일단이 상기 에뉼러갭 공간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배니관의 소정부위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에뉼러갭 지하수압 제어부의 일단은, 상기 에뉼러갭 공간부 상에 위치되는 상기 세그먼트의 그라우트공에 연결되되, 상기 세그먼트링의 상부에 위치되는 세그먼트의 그라우트공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뉼러갭 지하수압 제어부는,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그라우트공과 배니관에 결합된 유도관; 및 상기 유도관에 설치되어 상기 에뉼러갭 공간부의 기 설정되어 있는 수압에 따라 개폐되는 릴리프밸브(relief Valve);를 포함하고, 상기 릴리프밸브에 기 설정되어 있는 수압 이상이 되면, 상기 유도관이 개방되어 상기 에뉼러갭 공간부에 채워지는 지하수가 배니관으로 흡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에뉼러갭 지하수압 제어부는, 상기 에뉼러갭에 상기 뒷채움부재가 채워짐에 따라 에뉼러갭 공간부가 전진되면, 전진된 에뉼러갭 공간부에 위치되는 세그먼트의 그라우트공에 일단이 연결됨에 따라 상기 유도관의 길이가 길어지는 신축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도관은, 상기 그라우트공에 결합된 제1관과, 상기 배니관에 결합된 제2관을 포함하고, 상기 신축부는, 상기 제1관의 내부에 제2관이 삽입되어 길이의 신축이 가능토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에뉼러갭 지하수압 제어부는, 상기 유도관에 설치되어 에뉼러갭 공간부에서 배니관으로만 고압수가 이동될 수 있도록 제어가능한 체크 밸브(check Valve);를 더 포함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에뉼러갭 공간부의 수압을 조절하여 상단부 내측 테일실과 세그먼트링 사이와, 상단부 외측 테일실과 머신부 사이에 누수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함에 따라, 세그먼트링의 내부로 고압수의 유입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공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배면지하수압 제어 수단과, 송니수의 역류 유출을 방지하여 터널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는 송니수압과 지하수압의 제어수단이 구비된 쉴드 TBM터널 시공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에뉼러갭 지하수압 제어부를 설치한 후, 굴진으로 인해 위치이동 되는 에뉼러갭 공간부를 따라 매번 재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시공시간 및 비용 등을 절약하고, 에뉼러갭 지하수압 제어부를 한번 설치하면 굴진이 일정거리 이루어지는 동안 용이하게 굴진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송니수압과 지하수압의 제어수단이 구비된 쉴드 TBM터널 시공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쉴드터널을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도 1에 표시된 A-A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니수압과 지하수압의 제어수단이 구비된 쉴드 TBM터널 시공구조의 굴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4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니수압과 지하수압의 제어수단이 구비된 쉴드 TBM터널 시공구조의 에뉼러갭 지하수압 제어부의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니수압과 지하수압의 제어수단이 구비된 쉴드 TBM터널 시공구조의 세그먼트링의 종단면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송니수압과 지하수압의 제어수단이 구비된 쉴드 TBM터널 시공구조 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니수압과 지하수압의 제어수단이 구비된 쉴드 TBM터널 시공구조의 굴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구조도이고, 도 4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니수압과 지하수압의 제어수단이 구비된 쉴드 TBM터널 시공구조의 에뉼러갭 지하수압 제어부의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니수압과 지하수압의 제어수단이 구비된 쉴드 TBM터널 시공구조의 세그먼트링의 종단면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즉, 본 발명의 송니수압과 지하수압의 제어수단이 구비된 쉴드 TBM터널 시공구조는 머신부(110), 세그먼트링(120), 내측 테일실(130), 뒷채움부재(140), 에뉼러갭 공간부(170) 및 에뉼러갭 지하수압 제어부(150)을 포함한다.
머신부(110)는 터널을 굴착한다.
이때, 머신부(110)는 커터해드(112), 챔버(114), 송니관(116) 및 배니관(118)을 포함한다.
커터해드(112)는 터널의 막장을 굴착한다.
챔버(114)는 커터해드(112) 뒷단에 터널굴착 작업시 생성된 굴착부산물을 집합시킨다.
송니관(116)은 챔버에 모인 굴착부산물을 믹싱 시키기 위해 물을 공급한다.
배니관(118)은 물과 믹싱된 굴착부산물을 터널밖으로 운반한다.
세그먼트링(120)은 머신부(110)를 추진시키는 베이스이면서 관통된 그라우트공(124)이 형성된 다수의 세그먼트(122)가 조립된다.
내측 테일실(130)(tail seal)은 세그먼트링(120)의 외면과 머신부(110)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킨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송니수압과 지하수압의 제어수단이 구비된 쉴드 TBM터널 시공구조는 외측 테일실(160)을 더 포함한다.
외측 테일실(160)은 머신부(110)의 외주면과 터널의 굴착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인 스티어링갭(steering gap)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머신부(110)의 외측에 구비된 외측 테일실(160)이 막장으로부터 후방 쪽으로 역류되는 송니수의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후술할 에뉼러갭 지하수압 제어부(150)을 통해 송니수가 유실되지 않도록 한다.
뒷채움부재(140)는 세그먼트링(120)과 터널의 굴착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인 에뉼러갭(annular gap)에 채워넣는다.
에뉼러갭 공간부(170)는 내측 테일실(130)과 뒷채움부재(140) 사이에 지하수가 채워진다.
에뉼러갭 지하수 제어부(150)는 에뉼러갭 공간부(170)에 걸리는 압력을 내측 테일실(130)이 요구하는 규정압력 이하로 감소시킨다.
즉, 에뉼러갭 지하수압 제어부(150)은, 하단부의 내측 테일실(130)이 접히지 않고, 상단부의 내측 테일실(130)과 세그먼트링(120) 사이에 고압수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에뉼러갭 공간부(170)의 압력을 제어한다.
또한, 에뉼러갭 지하수압 제어부(150)은 일단이 에뉼러갭 공간부(170)에 연결되고 타단이 배니관(118)의 소정부위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에뉼러갭 공간부(170) 상에 위치되는 세그먼트(122)의 그라우트공(124)에 연결된다. 이때, 세그먼트링(120)의 상부에 위치되는 세그먼트(122)의 그라우트공(124)에 연결된다.
따라서, 에뉼러갭 공간부(170)의 과잉수압에 의한 지하수가 세그먼트링(120)의 내부로 유입에 따른 터널 침수사고 발생을 저하시켜 시공기간을 단축하며 안전하게 공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에뉼러갭 지하수압 제어부(150)은 유도관(152) 및 릴리프밸브(154)를 포함한다.
유도관(152)은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그라우트공(124)과 배니관(118)에 결합된다.
릴리프밸브(relief Valve)(154)는 유도관(152)에 설치되어 에뉼러갭 공간부(170)의 기 설정되어 있는 수압에 따라 개폐된다.
이때, 릴리프밸브(154)가 개방되는 수압은 내측 테일실(130)의 규정압력과 동일하게 설정하거나 내측 테일실(130)의 규정압력보다 작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릴리프밸브(154)에 기 설정되어 있는 수압 이상이 되면, 유도관(152)이 개방됨에 따라 에뉼러갭 공간부(170)에 채워지는 지하수가 배니관(118)으로 흡입된다.
또한, 릴리프밸브(154)는 지하수가 배니관으로 흡입되면서 에뉼러갭 공간부의 수압이 낮아짐에 따라 릴리프밸브는 유도관을 폐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릴리프밸브(154)는 에뉼러갭 공간부(170)의 수압에 따라 기 설정된 수압 이상이면 유도관(152)을 개방시키고, 이하이면 유도관(152)을 폐쇄시킨다.
또한, 에뉼러갭 지하수압 제어부(150)은 신축부(156)를 더 포함한다.
신축부(156)는 에뉼러갭에 뒷채움 부재가 채워짐에 따라 에뉼러갭 공간부(170)가 전진 되면, 전진된 에뉼러갭 공간부(170)에 위치되는 세그먼트(122)의 그라우트공(124)에 일단이 연결됨에 따라 유도관(152)의 길이가 길어진다.
즉, 굴진이 계속됨에 따라 세그먼트(122)가 추가로 설치되는데, 이때마다
지하수압 제어부(150)의 위치를 매번 이동시키지 않고, 한번 설치하면 일정거리까지 용이하게 굴진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시공시간 및 비용 등을 절약할 수 있다.
에뉼러갭 공간부(170)를 매번 재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시공시간 및 비용 등을 절약하고, 에뉼러갭 지하수압 제어부(150)을 한번 설치하면 굴진이 일정거리 이루어지는 동안 용이하게 굴진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유도관(152)은 제1관(157)과 제2관(158)을 포함한다.
제1관(157)은 그라우트공(124)에 결합된다.
제2관(158)은 배니관(118)에 결합된다.
여기서 신축부(156)는 제1관(157)의 내부에 제2관(158)이 삽입되어 길이의 신축이 가능토록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뉼러갭 지하수압 제어부(150)은 체크 밸브(159)를 더 포함한다.
체크 밸브(check Valve)(159)는 유도관(152)에 설치된다.
이때, 체크밸브(159)는 에뉼러갭 공간부(170)에서 배니관(118)으로만 고압수가 이동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테일실 2: 와이어 브러시
3: 그리스 4: 세그먼트
5: 스킨플레이트 110: 머신부
112: 커터해드 114: 챔버
116: 송니관 118: 배니관
120: 세그먼트링 122: 세그먼트
124: 그라우트공 130: 내측 테일실
140: 뒷채움부재 150: 에뉼러갭 지하수압 제어부
152: 유도관 154: 릴리프밸브
156: 신축부 157: 제1관
158: 제2관 159: 체크밸브
160: 외측 테일실 170: 에뉼러갭 공간부

Claims (8)

  1. 터널을 굴착하는 터널보오링머신(TBM)을 이용한 시공구조에 있어서,
    상기 터널을 굴착하는 머신부;
    상기 머신부를 추진시키는 베이스이면서 관통된 그라우트공이 형성된 다수의 세그먼트가 조립된 세그먼트링;
    상기 세그먼트링의 외면과 머신부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내측 테일실(tail seal);
    상기 세그먼트링과 터널의 굴착외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인 에뉼러갭(annular gap)을 채워넣은 뒷채움(back fill)부재;
    상기 에뉼러갭에서 내측 테일실과 뒷채움부재 사이에 지하수가 채워지는 에뉼러갭 공간부;
    상기 에뉼러갭 공간부에 걸리는 압력을 상기 내측 테일실이 요구하는 규정압력 이하로 감소시키는 에뉼러갭 지하수압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머신부는, 터널의 막장을 굴착하는 커터해드와, 상기 커터해드 뒷단에 터널굴착작업시 생성된 굴착부산물을 집합시키는 챔버와, 상기 챔버에 모인 굴착부산물을 믹싱시키기 위해 물을 공급하는 송니관과, 상기 물과 믹싱된 굴착부산물을 터널밖으로 운반하는 배니관;을 포함하고,
    상기 에뉼러갭 지하수압 제어부는, 상기 에뉼러갭 공간부의 압력을 제어하되, 일단이 상기 에뉼러갭 공간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배니관의 소정부위에 연결되며,
    상기 에뉼러갭 지하수압 제어부는,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그라우트공과 배니관에 결합된 유도관; 및
    상기 유도관에 설치되어 상기 에뉼러갭 공간부의 기 설정되어 있는 수압에 따라 개폐되는 릴리프밸브(relief Valve);를 포함하고,
    상기 릴리프밸브에 기 설정되어 있는 수압 이상이 되면, 상기 유도관이 개방되어 상기 에뉼러갭 공간부에 채워지는 지하수가 배니관으로 흡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을 제어하는 별도의 송니수압과 지하수압의 제어수단이 구비된 쉴드 TBM터널 시공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신부의 외주면과 터널의 굴착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인 스티어링갭(steering gap) 공간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외측 테일실(tail seal);을 더 포함하는 압력을 제어하는 별도의 송니수압과 지하수압의 제어수단이 구비된 쉴드 TBM터널 시공구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뉼러갭 지하수압 제어부는,
    상기 에뉼러갭에 상기 뒷채움부재가 채워짐에 따라 에뉼러갭 공간부가 전진되면, 전진된 에뉼러갭 공간부에 위치되는 세그먼트의 그라우트공에 일단이 연결됨에 따라 상기 유도관의 길이가 길어지는 신축부;를 더 포함하는 압력을 제어하는 별도의 송니수압과 지하수압의 제어수단이 구비된 쉴드 TBM터널 시공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관은, 상기 그라우트공에 결합된 제1관과, 상기 배니관에 결합된 제2관을 포함하고,
    상기 신축부는, 상기 제1관의 내부에 제2관이 삽입되어 길이의 신축이 가능토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을 제어하는 별도의 송니수압과 지하수압의 제어수단이 구비된 쉴드 TBM터널 시공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뉼러갭 지하수압 제어부는,
    상기 유도관에 설치되어 에뉼러갭 공간부에서 배니관으로만 고압수가 이동될 수 있도록 제어가능한 체크 밸브(check Valve);를 더 포함하는 압력을 제어하는 별도의 송니수압과 지하수압의 제어수단이 구비된 쉴드 TBM터널 시공구조.
KR1020140070038A 2014-06-10 2014-06-10 송니수압과 지하수압의 제어수단이 구비된 쉴드 tβμ터널 시공구조 KR101596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038A KR101596806B1 (ko) 2014-06-10 2014-06-10 송니수압과 지하수압의 제어수단이 구비된 쉴드 tβμ터널 시공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038A KR101596806B1 (ko) 2014-06-10 2014-06-10 송니수압과 지하수압의 제어수단이 구비된 쉴드 tβμ터널 시공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388A KR20150141388A (ko) 2015-12-18
KR101596806B1 true KR101596806B1 (ko) 2016-02-23

Family

ID=55081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038A KR101596806B1 (ko) 2014-06-10 2014-06-10 송니수압과 지하수압의 제어수단이 구비된 쉴드 tβμ터널 시공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68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99407B (zh) * 2016-10-20 2019-05-24 上海交通大学 一种岩溶地区盾构隧道安全盾尾注浆压力的确定方法
CN113982654A (zh) * 2021-10-09 2022-01-28 中国建设基础设施有限公司 内压式水土压力控制钢套筒及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8481A (ja) * 2002-03-22 2003-10-02 Shimizu Corp トンネル掘削方法および掘削機
JP2011111874A (ja) * 2009-11-30 2011-06-09 Ohbayashi Corp 地下水の流動阻害を防止する通水構造、地下水の流動阻害を防止す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3724B2 (ja) * 1993-03-08 1997-02-19 鹿島建設株式会社 シールド機の有害ガス漏洩流入防止装置
KR101050756B1 (ko) 2008-12-19 2011-07-20 서경석 복합중압관을 이용한 세미쉴드 굴착장치 및 터널 굴착방법
KR101215903B1 (ko) * 2010-12-07 2012-12-27 주식회사 씨엠어 실드터널 라이닝 배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드터널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8481A (ja) * 2002-03-22 2003-10-02 Shimizu Corp トンネル掘削方法および掘削機
JP2011111874A (ja) * 2009-11-30 2011-06-09 Ohbayashi Corp 地下水の流動阻害を防止する通水構造、地下水の流動阻害を防止す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388A (ko) 2015-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94102B (zh) 隧道初期支护变形侵限段拆除及安全受力转换施工方法
CN103306687B (zh) 软岩隧道长悬臂水平旋喷变形控制施工方法
KR100847352B1 (ko) 강관 그라우팅 터널 보강 공법에 사용되는 보강 튜브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터널 보강 공법
CN107060803B (zh) 一种利用管幕注浆的隧道施工方法
CN107035376B (zh) 一种在巨厚基岩含水层中普通法开凿立井施工方法
CN111828025B (zh) 一种盾构接收的施工方法及接收洞门止水装置
JP6104617B2 (ja) トンネル掘削機及び該トンネル掘削機による立坑掘削工法
US6357965B2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building a wall in the ground
CN107013225B (zh) 旋喷封水防坍塌隧道盾构方法
KR101596806B1 (ko) 송니수압과 지하수압의 제어수단이 구비된 쉴드 tβμ터널 시공구조
KR102112120B1 (ko) 드릴 장치
CN105909262B (zh) 一种暗挖隧道掘进方法
CN111322075B (zh) 一种竖井掘进机用壁后回填注浆系统
CN106369224B (zh) 顶管机工具管及应用
KR101985267B1 (ko) 슬라임 배출 억제용 그라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트 그라우팅공법
CN103615265B (zh) 软岩隧道水平旋喷施工方法
CN116044426A (zh) 可变径盾构机及其施工方法
KR100891129B1 (ko) 지중파일용 오거의 파일 케이스
JP6365970B2 (ja) 水平ドレーン孔設置方法
KR101699938B1 (ko) 파일을 이용한 지중 벽체 시공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지중벽체 시공방법
KR20160004884A (ko) 지반침하 방지체계를 이용한 쉴드 터널 굴착구조 및 그 방법
JP2019210626A (ja) シールド掘進機、及びトンネル構築方法
KR102488061B1 (ko) 뒤채움부재의 역류방지부재를 구비한 터널굴착구조
JP4222902B2 (ja) シールド工法、及びシールド掘進機
KR20190108780A (ko) 에스디 네일링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