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3526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3526A
KR20210083526A KR1020190175882A KR20190175882A KR20210083526A KR 20210083526 A KR20210083526 A KR 20210083526A KR 1020190175882 A KR1020190175882 A KR 1020190175882A KR 20190175882 A KR20190175882 A KR 20190175882A KR 20210083526 A KR20210083526 A KR 20210083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light emitting
disposed
light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5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신복
정호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5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3526A/ko
Priority to EP20213280.9A priority patent/EP3843151A3/en
Priority to CN202011489558.2A priority patent/CN113053295B/zh
Priority to US17/125,543 priority patent/US20210202623A1/en
Publication of KR20210083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5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7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omprising two substrates, e.g. display comprising OLED array and TFT driving circuitry on different substrates
    • H10K59/1275Electrical connections of the two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60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light-sensitive elements, e.g. with inorganic solar cells or inorganic photodi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60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light-sensitive elements, e.g. with inorganic solar cells or inorganic photodiodes
    • H10K59/65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image sensors
    • H01L27/3225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H01L27/3253
    • H01L51/5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06Light emitting diode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티브 영역의 일부 영역에 저해상도 영역을 형성하고, 저해상도 영역과 중첩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광학 센서를 배치함으로써, 액티브 영역의 면적 감소나 형태 변경 없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학 센서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스처 센싱 등을 위한 광을 발산하는 광원을 논-액티브 영역에 본딩되는 연성 인쇄 회로 상에 배치함으로써, 광원으로부터 발산된 광이 영상에 미치는 영향을 방지하고 논-액티브 영역의 증가를 방지하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스처 센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활용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 다수의 데이터 라인 및 다수의 서브픽셀이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과,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 등을 구동하는 각종 구동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은, 다수의 서브픽셀이 배치되며 영상을 표시하는 액티브 영역과, 액티브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고 신호 라인 등이 배치되는 논-액티브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형에 따라, 논-액티브 영역에 배치된 카메라 센서, 근접 센서나 제스처 센서 등(이하, “광학 센서”라고도 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광학 센서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가 보다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나, 광학 센서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논-액티브 영역에 배치될 경우, 논-액티브 영역의 면적 증가로 인해 액티브 영역의 면적을 확장하는데 한계가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광학 센서를 액티브 영역에 배치할 경우, 액티브 영역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의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액티브 영역의 감소 및 화질 저하를 방지하면서, 다양한 센싱 기능 구현을 위한 광학 센서를 배치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티브 영역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학 센서를 배치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티브 영역의 감소나 논-액티브 영역의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학 센서를 배치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수의 서브픽셀이 배치된 액티브 영역과 액티브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논-액티브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논-액티브 영역에 일부분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연성 인쇄 회로와, 연성 인쇄 회로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와,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위치하고 액티브 영역과 중첩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광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발광부는, 연성 인쇄 회로 상에 부착된 광원과, 광원 상에 위치하며 볼록한 형태를 갖는 보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티브 영역은, 제1 해상도를 갖는 제1 영역과, 제1 해상도보다 낮은 제2 해상도를 갖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광부는, 액티브 영역의 제2 영역과 중첩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액티브 영역과 액티브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논-액티브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과, 기판 상에서 액티브 영역에 배치된 다수의 발광 소자와, 기판의 논-액티브 영역에 본딩된 연성 인쇄 회로 상에 배치되고 발광 소자가 발산하는 광의 파장과 상이한 파장의 광을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와, 발광부와 중첩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광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광학 센서의 발광부를 논-액티브 영역에 배치하고 광학 센서의 수광부를 액티브 영역의 저해상도 영역에 배치함으로써, 광학 센서의 구동이 디스플레이 구동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며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학 센서를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논-액티브 영역에 본딩되는 연성 인쇄 회로 상에 광학 센서의 발광부를 배치함으로써, 논-액티브 영역의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학 센서를 배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서브픽셀의 회로 구조와 구동 타이밍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학 센서가 배치된 구조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학 센서가 배치된 구조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광학 센서의 발광부의 배치 구조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광학 센서의 발광부를 배치하는 과정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한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구성 요소들의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등이 된다고 기재된 경우,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될 수 있지만, 둘 이상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가 더 "개재"되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다른 구성 요소는 서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둘 이상의 구성 요소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될 수도 있다.
구성 요소들의 시간 관계 또는 흐름 관계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 또는 흐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성 요소에 대한 수치 또는 그 대응 정보(예: 레벨 등)가 언급된 경우,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수치 또는 그 대응 정보는 각종 요인(예: 공정상의 요인, 내부 또는 외부 충격, 노이즈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수의 서브픽셀(SP)이 배열된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 회로(120), 데이터 구동 회로(130) 및 컨트롤러(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다수의 서브픽셀(SP)이 배치되며 영상을 표시하는 액티브 영역(AA)과, 액티브 영역(AA)의 외측에 위치하며 신호 라인 등이 배치되는 논-액티브 영역(NA)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액티브 영역(AA)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GL)과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이 배치되고, 게이트 라인(GL)과 데이터 라인(DL)이 교차하는 영역에 서브픽셀(SP)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서브픽셀(SP)은 각각 발광 소자(ED)를 포함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서브픽셀(SP)이 하나의 픽셀을 구성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 회로(120)는, 컨트롤러(140)에 의해 제어되며,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배치된 다수의 게이트 라인(GL)으로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다수의 서브픽셀(SP)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한다.
게이트 구동 회로(120)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 회로(GDIC: Gate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 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 측에만 위치할 수도 있고 양 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데이터 구동 회로(130)는, 컨트롤러(14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전압(Vdata)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게이트 라인(GL)을 통해 스캔 신호가 인가되는 타이밍에 맞춰 데이터 전압(Vdata)을 각각의 데이터 라인(DL)으로 출력하여 각각의 서브픽셀(SP)이 영상 데이터에 따른 밝기를 표현하도록 한다.
데이터 구동 회로(130)는, 하나 이상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 회로(SDIC: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40)는, 게이트 구동 회로(120)와 데이터 구동 회로(130)로 각종 제어 신호를 공급하며, 게이트 구동 회로(120)와 데이터 구동 회로(1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컨트롤러(140)는, 각 프레임에서 구현하는 타이밍에 따라 게이트 구동 회로(120)가 스캔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며, 외부에서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 회로(130)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신호 형식에 맞게 변환하여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 회로(130)로 출력한다.
컨트롤러(140)는, 영상 데이터와 함께 수직 동기 신호(Vsync), 수평 동기 신호(Hsync), 입력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Data Enable), 클럭 신호(CLK) 등을 포함하는 각종 타이밍 신호를 외부(예: 호스트 시스템)로부터 수신한다.
컨트롤러(140)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각종 타이밍 신호를 이용하여 각종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게이트 구동 회로(120) 및 데이터 구동 회로(130)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컨트롤러(140)는, 게이트 구동 회로(120)를 제어하기 위하여,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 Gate Start Pulse), 게이트 시프트 클럭(GSC: Gate Shift Clock),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GOE: Gate Output Enable) 등을 포함하는 각종 게이트 제어 신호(GCS)를 출력한다.
여기서,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는 게이트 구동 회로(120)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 회로(GDIC)의 동작 스타트 타이밍을 제어한다. 게이트 시프트 클럭(GSC)은 하나 이상의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 회로(GDIC)에 공통으로 입력되는 클럭 신호로서, 스캔 신호의 시프트 타이밍을 제어한다.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GOE)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 회로(GDIC)의 타이밍 정보를 지정하고 있다.
또한, 컨트롤러(140)는, 데이터 구동 회로(130)를 제어하기 위하여, 소스 스타트 펄스(SSP: Source Start Pulse), 소스 샘플링 클럭(SSC: Source Sampling Clock),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SOE: Source Output Enable) 등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 제어 신호(DCS)를 출력한다.
여기서, 소스 스타트 펄스(SSP)는 데이터 구동 회로(130)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 회로(SDIC)의 데이터 샘플링 스타트 타이밍을 제어한다. 소스 샘플링 클럭(SSC)은 소스 드라이버 집적 회로(SDIC) 각각에서 데이터의 샘플링 타이밍을 제어하는 클럭 신호이다.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SOE)는 데이터 구동 회로(130)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게이트 구동 회로(120), 데이터 구동 회로(130) 등으로 각종 전압 또는 전류를 공급해주거나, 공급할 각종 전압 또는 전류를 제어하는 전원 관리 집적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에는, 게이트 라인(GL)과 데이터 라인(DL) 이외에 각종 신호나 전압이 공급되는 전압 라인 등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서브픽셀(SP)에는 발광 소자(ED)와 이를 구동하기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 등과 같은 회로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서브픽셀(SP)의 회로 구조와 구동 타이밍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배치된 서브픽셀(SP)에 발광 소자(ED)가 배치되고, 발광 소자(ED)에 흐르는 전류 제어를 통해 발광 소자(ED)를 구동하는 구동 트랜지스터(DRT)가 배치될 수 있다.
서브픽셀(SP)에 배치된 발광 소자(ED)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일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발광다이오드(LED)나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μLED) 등일 수도 있다. 또는, 퀀텀닷으로 이루어진 발광 소자(ED)일 수도 있다.
그리고, 서브픽셀(SP)에 구동 트랜지스터(DRT) 이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박막 트랜지스터가 배치될 수 있으며,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게이트 노드의 전압을 한 프레임 동안 유지시켜주기 위한 스토리지 캐패시터(Cstg)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구동 트랜지스터(DRT)를 포함한 7개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1개의 스토리지 캐패시터(Cstg)가 서브픽셀(SP)에 배치된 7T1C 구조를 예시로 나타내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서브픽셀(SP)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도 2는 서브픽셀(SP)이 PMOS 형태의 박막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경우를 예시로 나타내나, 서브픽셀(SP)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 중 적어도 일부는 NMOS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발광 소자(ED)는, 구동 트랜지스터(DRT)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애노드 전극과, 기저 전압(Vss)이 공급되는 캐소드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DRT)는, 구동 전압(Vdd)이 인가되는 구동 전압 라인(DVL)과 발광 소자(ED)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구동 트랜지스터(DRT)는, 데이터 전압(Vdata)이 인가되는 데이터 라인(D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게이트 노드는 스토리지 캐패시터(Cstg) 및 초기화 전압 라인(IV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SWT1)는, 스캔 신호 SCAN(N)에 의해 제어되고,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1 노드(N1)와 제2 노드(N2)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SWT1)는, 데이터 전압(Vdata)에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문턱 전압(Vth)이 보상된 전압이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게이트 노드에 인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SWT2)는, 스캔 신호 SCAN(N-1)에 의해 제어되고,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1 노드(N1)와 초기화 전압 라인(IVL)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SWT2)는,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게이트 노드의 전압을 초기화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제3 스위칭 트랜지스터(SWT3)는, 스캔 신호 SCAN(N)에 의해 제어되고,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3 노드(N3)와 데이터 라인(DL)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스위칭 트랜지스터(SWT4)는, 스캔 신호 EM에 의해 제어되고,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3 노드(N3)와 구동 전압 라인(DVL)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5 스위칭 트랜지스터(SWT5)는, 스캔 신호 EM에 의해 제어되고,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2 노드(N2)와 발광 소자(ED)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5 스위칭 트랜지스터(SWT5)는, 발광 소자(ED)의 발광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제6 스위칭 트랜지스터(SWT6)는, 스캔 신호 SCAN(N)에 의해 제어되고, 발광 소자(ED)의 애노드 전극과 초기화 전압 라인(IVL)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6 스위칭 트랜지스터(SWT6)는, 발광 소자(ED)의 애노드 전극의 전압을 초기화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브픽셀(SP)의 구동 방식을 설명하면, 서브픽셀(SP)은 하나의 영상 프레임 기간 동안 초기화 기간, 데이터 기입 기간 및 발광 기간으로 구분되어 구동될 수 있다.
초기화 기간에, 로우 레벨의 스캔 신호 SCAN(N-1)이 서브픽셀(SP)로 공급되어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SWT2)가 턴-온 될 수 있다.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SWT2)가 턴-온 됨에 따라,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게이트 노드로 초기화 전압(Vini)이 인가될 수 있다.
초기화가 완료되면, 데이터 기입 기간에 하이 레벨의 스캔 신호 SCAN(N-1)과 로우 레벨의 스캔 신호 SCAN(N)이 서브픽셀(SP)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SWT2)는 턴-오프 될 수 있다. 또한,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SWT1), 제3 스위칭 트랜지스터(SWT3) 및 제6 스위칭 트랜지스터(SWT6)는 턴-온 될 수 있다.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SWT1)가 턴-온 되므로,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1 노드(N1)와 제2 노드(N2)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3 스위칭 트랜지스터(SWT3)가 턴-온 되므로, 데이터 전압(Vdata)이 구동 트랜지스터(DRT)와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SWT1)를 통해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게이트 노드인 제1 노드(N1)에 인가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전압(Vdata)에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문턱 전압(Vth)이 반영된 전압이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게이트 노드에 인가되어,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문턱 전압(Vth)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기입 기간에 제6 스위칭 트랜지스터(SWT6)가 턴-온 되므로, 발광 소자(ED)의 애노드 전극이 초기화 전압(Vini)에 의해 초기화될 수 있다. 즉, 데이터 기입 기간에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게이트 노드에 전압 인가와 발광 소자(ED)의 애노드 전극의 초기화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발광 기간에 하이 레벨의 스캔 신호 SCAN(N-1)과 하이 레벨의 스캔 신호 SCAN(N)이 서브픽셀(SP)로 공급되고, 로우 레벨의 스캔 신호 EM이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SWT1), 제3 스위칭 트랜지스터(SWT3) 및 제6 스위칭 트랜지스터(SWT6)는 턴-오프 되고, 제4 스위칭 트랜지스터(SWT4)와 제5 스위칭 트랜지스터(SWT5)는 턴-온 될 수 있다.
제4 스위칭 트랜지스터(SWT4)가 턴-온 됨에 따라,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3 노드(N3)에 구동 전압(Vdd)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1 노드(N1)와 제3 노드(N3)에 데이터 전압(Vdata)과 구동 전압(Vdd)에 의한 전압 차이가 형성되며 구동 트랜지스터(DRT)를 통해 데이터 전압(Vdata)에 따른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제5 스위칭 트랜지스터(SWT5)가 턴-온 됨에 따라, 데이터 전압(Vdata)에 따른 전류가 발광 소자(ED)에 공급되어, 발광 소자(ED)가 데이터 전압(Vdata)에 대응하는 밝기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서브픽셀(SP)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액티브 영역(AA)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거나, 단위 영역에 동일한 개수로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균일한 해상도를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또는, 경우에 따라, 액티브 영역(AA)의 일부 영역이 다른 해상도를 갖도록 서브픽셀(SP)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해상도가 낮은 영역의 투과율을 높일 수 있으며, 투과율이 높아진 영역에 광학 센서 등이 배치되어 센싱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액티브 영역(AA)에서 영상이 표시되며 광학 센서가 배치된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광학 센서가 배치된 구조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액티브 영역(AA)은, 제1 해상도를 갖는 제1 영역(A1)과, 제1 영역(A1) 이외의 영역으로서 제1 해상도보다 낮은 제2 해상도를 갖는 제2 영역(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A1)은 액티브 영역(AA)의 대부분의 영역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영역(A2)은 액티브 영역(AA)에서 제1 영역(A1)을 제외한 일부 영역일 수 있으며, 논-액티브 영역(NA)과 인접한 액티브 영역(AA)의 외곽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영역(A1)이 나타내는 제1 해상도는 제2 영역(A2)이 나타내는 제2 해상도보다 높으므로, 제1 영역(A1)에 배치되고 발광 소자(ED)와 회로 소자를 포함하는 제1 서브픽셀(SP1) 사이의 간격은 제2 영역(A2)에 배치되고 발광 소자(ED)와 회로 소자를 포함하는 제2 서브픽셀(SP2) 사이의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또는, 경우에 따라, 서브픽셀(SP)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영역(A1)에서 단위 면적당 배치된 제1 서브픽셀(SP1)의 수는 제2 영역(A2)에서 단위 면적당 배치된 제2 서브픽셀(SP2)의 수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제2 영역(A2)에서 발광 소자(ED)나 회로 소자 등이 배치되지 않은 투명 영역의 면적 또는 비율은 제1 영역(A1)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제2 영역(A2)에서 투명 영역의 비율이 제1 영역(A2)에서 투명 영역의 비율보다 높으므로, 제2 영역(A2)의 투과율은 제1 영역(A1)의 투과율보다 높을 수 있다.
여기서, 투과율이 높은 제2 영역(A2)과 중첩하는 영역에 광학 센서가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광학 센서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에 배치되며, 액티브 영역(AA)의 제2 영역(A2)과 중첩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광학 센서가 액티브 영역(AA)과 중첩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광학 센서가 액티브 영역(AA) 중 투과율이 높은 제2 영역(A2)과 중첩하도록 배치되므로,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광학 센서에 의해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액티브 영역(AA)의 감소나 논-액티브 영역(NA)의 증가를 방지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광학 센서를 배치할 수 있다.
이때, 광학 센서가 광을 발산하는 구성을 포함할 경우, 광을 발산하는 구성이 액티브 영역(AA)과 중첩하도록 위치하면 액티브 영역(AA)을 통해 표시되는 이미지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러므로, 광학 센서의 구성 중 광을 감지하는 구성만 액티브 영역(AA)과 중첩하도록 배치하고, 광을 발산하는 구성은 액티브 영역(AA)과 중첩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논-액티브 영역(NA)에 발광부(200)가 배치되고, 액티브 영역(AA)의 제2 영역(A2)에 수광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발광부(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서브픽셀(SP)에 배치된 발광 소자(ED)가 발산하는 광과 상이한 적외선을 발산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부(200)와 수광부(300)는, 근접 센서나 제스처 센서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액티브 영역(AA)의 제2 영역(A2)에는 광을 발산하는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카메라 등과 같은 이미지 센서(40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나 제스처 센서 등을 구성하는 발광부(200)는 논-액티브 영역(NA)에 배치되므로, 액티브 영역(AA)에서 표시되는 이미지에 영향을 주지 않고, 센싱을 위한 광을 발산할 수 있다.
그리고, 근접 센서나 제스처 센서 등을 구성하는 수광부(300)는, 액티브 영역(AA)에서 투과율이 높은 제2 영역(A2)에 배치되므로, 발광부(200)에서 발산되어 물체 등에 반사된 광을 센싱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에서 근접 센서나 제스처 센서 등의 배치로 인해 논-액티브 영역(NA)이 증가하는 것을 최소화하며, 근접 센싱 기능이나 제스처 센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액티브 영역(AA)의 제2 영역(A2)에 배치된 이미지 센서(400)에 의해 외부 광을 센싱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등과 같은 구성을 디스플레이 패널(110)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과 중첩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등과 같은 이미지 센서(400)의 배치로 인해 논-액티브 영역(NA)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고, 액티브 영역(AA) 내에 일정한 영역(예: 노치, 홀 등)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예시는, 제스처 센서 등을 구성하는 수광부(300)와 카메라 등과 같은 이미지 센서(400)가 인접하게 배치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 액티브 영역(AA)은 둘 이상의 제2 영역(A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논-액티브 영역(NA)에 배치된 발광부(200)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2 영역(A2)에는 수광부(300)만 배치되고, 이미지 센서(400)는 수광부(300)가 배치된 영역과 이격되어 위치하는 다른 제2 영역(A2)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액티브 영역(AA)의 일부 영역의 해상도를 낮춰 투과율을 높여줌으로써, 제스처 센서 등을 구성하는 수광부(300)나 카메라 등과 같은 이미지 센서(400)를 액티브 영역(AA)과 중첩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광학 센서의 배치로 인한 액티브 영역(AA)의 감소나 형태 변경을 방지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광학 센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논-액티브 영역(NA)에 발광부(200)가 배치됨으로써, 액티브 영역(AA)의 영상 표시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광학 센싱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발광부(200)의 배치로 인한 논-액티브 영역(NA)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발광부(200)를 논-액티브 영역(NA)에 배치되는 인쇄 회로 등에 배치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광학 센서가 배치된 구조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일 예로, 폴리이미드 기판(PI)과, 폴리이미드 기판(PI) 상에 위치하는 발광 소자(ED)와, 발광 소자(ED) 상에 위치하는 봉지부(ENCAP)를 포함할 수 있다.
봉지부(ENCAP) 상에 편광판이나, 커버 필름(CF: Cover Film) 등이 배치될 수 있으며, 폴리이미드 기판(PI)의 배면에는 후면 필름(BF: Back Film)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논-액티브 영역(NA)에는 구동 회로 등이 실장된 연성 인쇄 회로(500)가 본딩될 수 있다. 일 예로, 연성 인쇄 회로(500) 상에 데이터 구동 회로(130)가 실장될 수 있다.
그리고, 연성 인쇄 회로(500) 상에서 구동 회로나 신호 배선 등이 배치되지 않은 일부 영역에 제스처 센서 등을 구성하는 발광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발광부(200)는, 연성 인쇄 회로(500)와 논-액티브 영역(NA)이 중첩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액티브 영역(AA)과 중첩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연성 인쇄 회로(500)는, 논-액티브 영역(NA)에 위치하는 제1 부분(510)과, 제1 부분(510)에 연결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을 향해 구부러진 제2 부분(520)과, 제2 부분(520)에 연결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에 위치하는 제3 부분(5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발광부(200)는, 연성 인쇄 회로(500)의 제1 부분(510)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부(200)와 함께 제스처 센서 등을 구성하는 수광부(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에 위치하며, 액티브 영역(AA)과 중첩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수광부(300)는, 액티브 영역(AA)의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 중 제2 영역(A2)과 중첩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수광부(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 필름(BF) 아래에 위치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후면 필름(BF) 상에 위치하거나, 후면 필름(BF)이 일부 제거된 영역 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논-액티브 영역(NA)에는, 발광부(200)로 전원을 공급하는 광원 전원 배선(600)이 배치될 수 있다. 또는, 광원 전원 배선(600)은, 경우에 따라, 발광부(200)가 배치된 연성 인쇄 회로(500)의 일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스처 센서 등을 구성하는 발광부(200)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논-액티브 영역(NA)에 배치되는 연성 인쇄 회로(500) 상에 배치됨에 따라, 발광부(200)의 배치로 인해 논-액티브 영역(NA)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연성 인쇄 회로(5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배치된 서브픽셀(SP) 등으로 신호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구동 회로나 신호 배선 등의 배치를 위해 필요할 수 있으며, 연성 인쇄 회로(500) 상의 일부 영역에 발광부(200)를 배치하므로 논-액티브 영역(NA)에 발광부(200)를 배치하기 위한 추가적인 영역이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수광부(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에 위치하며 액티브 영역(AA)과 중첩하는 영역에 위치하므로, 수광부(300)의 배치로 인한 액티브 영역(AA)의 감소나 논-액티브 영역(NA)의 증가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수광부(300)가 해상도가 낮고 투과율이 높은 제2 영역(A2)과 중첩하는 영역에 위치하므로, 발광부(200)에 의해 발산된 광이 물체에 반사된 광을 수광부(300)에 의해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에서 액티브 영역(AA)과 논-액티브 영역(NA)의 면적, 형태 등을 변경하지 않으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광학 센서를 배치하여 제스처 센싱 기능 등을 구현할 수 있다.
또는, 경우에 따라, 제스처 센서 등을 구성하는 수광부(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에 위치하면서, 연성 인쇄 회로(500)의 일부 영역 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와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액티브 영역(AA)에 영상 표시를 위한 다수의 발광 소자(ED)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논-액티브 영역(NA)에 구동 회로 등이 배치된 연성 인쇄 회로(500)가 본딩될 수 있다. 그리고, 연성 인쇄 회로(500) 상의 일부 영역에 발광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에는 발광부(200)와 함께 제스처 센서 등을 구성하는 수광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수광부(300)는, 액티브 영역(AA)과 중첩하는 영역에 위치하며, 투과율이 높은 제2 영역(A2)과 중첩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수광부(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에 위치하는 연성 인쇄 회로(50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연성 인쇄 회로(500)의 제1 부분(510)의 제1 면 상에 발광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연성 인쇄 회로(500)의 제3 부분(530)에서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 상에 수광부(400)가 배치될 수 있다.
연성 인쇄 회로(500)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을 감싸며 배치되어 연성 인쇄 회로(500)의 제3 부분(530)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위치하므로, 연성 인쇄 회로(500)의 양면에 배선 패턴이 인쇄된 경우 연성 인쇄 회로(500)의 일면 상에 수광부(400)가 위치할 수도 있다.
즉, 논-액티브 영역(NA)에 위치하는 발광부(200)와 액티브 영역(AA)에 위치하는 수광부(300)가 연성 인쇄 회로(500)의 양면 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발광부(200)와 수광부(300)가 배치된 연성 인쇄 회로(500)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논-액티브 영역(NA)에 본딩함으로써, 제스처 센서 등을 구성하는 발광부(200)와 수광부(300)를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발광부(200) 등을 연성 인쇄 회로(500)에 미리 부착한 후 연성 인쇄 회로(500)를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연결함에 의해 발광부(200) 등을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광학 센서의 발광부(200)의 배치 구조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4에 도시된 광학 센서의 발광부(200)를 배치하는 과정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발광부(200)는, 적외선을 발산하는 광원(210)과, 광원(210)으로 전원 공급을 위한 전극부(220)와, 광원(210) 상에 배치되는 보호 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210)은, 근접 센싱이나 제스처 센싱을 위한 적외선을 발산할 수 있으며, 일 예로, 플립 칩 형태일 수 있다.
전극부(220)는, 광원(210)에 부착되며 제1 접착 부재(710)에 의해 연성 인쇄 회로(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연성 인쇄 회로(500)와 제2 접착 부재(72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광원 전원 배선(6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전극부(220)를 통해 광원(21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보호 부재(230)는, 일 예로, 에폭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광원(210) 상에 배치되어 광원(210)을 보호하고 마감재의 기능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보호 부재(230)는, 볼록한 형태로 배치되어 렌즈의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발광부(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폴리이미드 기판(PI) 상에 연성 인쇄 회로(500)가 본딩된 상태에서 배치될 수도 있으나, 공정의 편의를 위해, 발광부(200)를 연성 인쇄 회로(500)에 미리 부착한 상태에서 연성 인쇄 회로(500)의 본딩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플립 칩 형태의 광원(210)에 전극부(220)를 배치한다. 그리고, 전극부(220)가 배치된 광원(210)을 뒤집어 연성 인쇄 회로(500) 상에 부착한다.
연성 인쇄 회로(500) 상에 광원(210)의 배치가 완료되면, 광원(210) 상에 보호 부재(230)를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성 인쇄 회로(500) 상에 발광부(200)의 배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연성 인쇄 회로(500)를 폴리이미드 기판(PI) 상에 본딩시킴으로써, 연성 인쇄 회로(500) 상에 배치된 발광부(200)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논-액티브 영역(NA)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부(200)로 전원을 공급하는 광원 전원 배선(600)은, 폴리이미드 기판(PI) 상에 미리 패터닝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경우에 따라, 광원 전원 배선(600)이 연성 인쇄 회로(500)의 일면에 패터닝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발광부(200)와 발광부(200)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은 모두 연성 인쇄 회로(500)에 위치하고, 수광부(300)만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예시와 같이, 연성 인쇄 회로(500) 상의 양면에 발광부(200)와 수광부(300)가 배치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논-액티브 영역(NA)에 연성 인쇄 회로(500)가 본딩되며 발광부(200)와 수광부(300)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액티브 영역(AA)에 저해상도 영역을 형성하고, 저해상도 영역과 중첩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 상에 광학 센서를 배치함으로써, 액티브 영역(AA)의 영역 감소나 형태 변경 없이 광학 센서를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투과율이 높은 영역에 광학 센서가 배치됨으로써, 액티브 영역(AA)과 중첩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광학 센서에 의한 센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근접 센서나 제스처 센서 등을 구성하는 발광부(200)는, 논-액티브 영역(NA)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발광부(200)가 발산하는 광이 디스플레이 구동에 미치는 영향을 방지하며 제스처 센서 등을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논-액티브 영역(NA)에 본딩되는 연성 인쇄 회로(500) 상에서 구동 회로나 신호 배선 등이 배치되지 않는 일부 영역에 발광부(200)를 미리 배치한 상태에서 연성 인쇄 회로(500)를 논-액티브 영역(NA)에 본딩함으로써, 발광부(200)의 배치로 인한 논-액티브 영역(NA)의 증가 없이 제스처 센서 등을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디스플레이 패널
120: 게이트 구동 회로 130: 데이터 구동 회로
140: 컨트롤러 200: 발광부
210: 광원 220: 전극부
230: 보호 부재 300: 수광부
400: 이미지 센서 500: 연성 인쇄 회로
600: 광원 전원 배선 710: 제1 접착 부재
720: 제2 접착 부재

Claims (14)

  1. 다수의 서브픽셀이 배치된 액티브 영역과, 상기 액티브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논-액티브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논-액티브 영역에 일부분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연성 인쇄 회로;
    상기 연성 인쇄 회로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위치하고, 상기 액티브 영역과 중첩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광부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연성 인쇄 회로 상에 부착된 광원; 및
    상기 광원 상에 배치되고 볼록한 형태를 갖는 보호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연성 인쇄 회로와 상기 논-액티브 영역이 중첩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액티브 영역과 중첩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인쇄 회로는,
    상기 논-액티브 영역에 배치된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 연결되고 구부러진 제2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위치하는 제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연성 인쇄 회로의 상기 제1 부분의 제1 면 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는 상기 연성 인쇄 회로의 상기 제3 부분에서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 상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영역은 제1 해상도를 갖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해상도보다 낮은 제2 해상도를 갖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수광부는 상기 제2 영역과 중첩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논-액티브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영역을 통해 이미지가 표시되는 기간의 적어도 일부 기간에, 상기 발광부는 광을 발산하고, 상기 수광부는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산된 광이 물체에 반사된 광을 센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액티브 영역과 상기 액티브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논-액티브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액티브 영역에 배치된 다수의 발광 소자;
    상기 기판의 상기 논-액티브 영역에 본딩된 연성 인쇄 회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 소자가 발산하는 광의 파장과 상이한 파장의 광을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와 중첩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광부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는 상기 기판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액티브 영역과 중첩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영역은 제1 영역과, 단위 면적당 배치된 상기 발광 소자의 수가 상기 제1 영역보다 작은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수광부는 상기 제2 영역과 중첩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영역과 중첩하는 영역에서 상기 수광부가 배치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발광부가 발산하는 광의 파장과 상이한 파장의 광을 센싱하는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다수의 발광 소자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가 광을 발산하는 기간의 적어도 일부 기간에 광을 발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90175882A 2019-12-27 2019-12-27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8352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882A KR20210083526A (ko) 2019-12-27 2019-12-27 디스플레이 장치
EP20213280.9A EP3843151A3 (en) 2019-12-27 2020-12-11 Display device
CN202011489558.2A CN113053295B (zh) 2019-12-27 2020-12-16 显示装置
US17/125,543 US20210202623A1 (en) 2019-12-27 2020-12-17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882A KR20210083526A (ko) 2019-12-27 2019-12-27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526A true KR20210083526A (ko) 2021-07-07

Family

ID=73834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882A KR20210083526A (ko) 2019-12-27 2019-12-27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202623A1 (ko)
EP (1) EP3843151A3 (ko)
KR (1) KR20210083526A (ko)
CN (1) CN1130532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1422A (ko) 2021-11-30 2023-06-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원 공급회로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4633B2 (ja) * 2003-04-09 2011-01-1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電子機器
KR100936680B1 (ko) * 2009-07-17 2010-01-13 (주)터치사인 터치스크린
KR101633329B1 (ko) * 2009-08-19 2016-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631887B1 (ko) * 2016-02-16 2024-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KR102561120B1 (ko) * 2016-09-23 2023-07-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내장형 유기발광표시패널 및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572966B1 (ko) * 2016-11-30 2023-09-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KR20180088099A (ko) * 2017-01-26 2018-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 있어서 광 검출 장치 및 방법
US11422662B2 (en) * 2017-06-14 2022-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light emitting module and light receiving module adjacent to display,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510916B1 (ko) * 2017-11-02 2023-03-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CN107808606B (zh) * 2017-11-22 2020-11-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KR102504122B1 (ko) * 2018-03-05 2023-0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7015270A (zh) * 2019-01-04 2023-11-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20210038782A (ko) * 2019-09-30 2021-04-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EP4080403A4 (en) * 2019-12-16 2022-12-28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053295B (zh) 2024-05-17
EP3843151A3 (en) 2021-07-14
US20210202623A1 (en) 2021-07-01
CN113053295A (zh) 2021-06-29
EP3843151A2 (en) 202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7392B1 (ko) 열화 보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0234991B2 (en) Display device
US20230290302A1 (en) Display device
KR20220051619A (ko) 표시패널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20240023071A (ko) 게이트 구동 회로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8587577B2 (en) Signal transmission lines for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wiring the same
KR20210083526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51337B1 (ko) Oled 표시 장치
KR20180024376A (ko)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230067973A (ko) 표시장치 및 데이터 구동 회로
KR20230102995A (ko) 표시 장치
KR20210078003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00006A (ko) 표시 장치
US12008965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220101798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11527207B2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US20240177645A1 (en) Display device
KR20220092296A (ko)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KR20220093460A (ko) 표시장치
KR20220093544A (ko) 표시 장치, 컨트롤러 및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KR20220145964A (ko) 표시 장치
KR20240079290A (ko) 표시 장치
KR20230009255A (ko) 픽셀 회로와 이를 포함한 표시장치
KR20230033142A (ko) 표시 장치
KR20230067744A (ko) 표시장치